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치주-성장주 이상현상과 내재가치 및 재량적발생액이 미래주가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이준근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918

        This study recognizes stocks that do not coincide with the corporate value forecasts of capital markets in value-glamour anomaly, and focused on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investment strategies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ed the impact of intrinsic value measured using fundamental variables and discretionary accruals measured by a modified Jones model. A previous study, in which the Book-to-Market effect (BM effect) was effected by some value or glamour stocks rather than all value or glamour stocks (Lakonishok et al., 1994), indicated that not all shares in the value or glamour stocks were undervalued or overvalued. In addition, the higher intrinsic value of value stocks may be relatively undervalued, and the lower intrinsic value of glamour stocks may have relatively higher overvaluation errors. The smaller discretionary accruals in value stocks are likely to be relatively undervalued, and the larger discretionary accruals in glamour stocks show relatively higher overvaluation errors.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actual investment performance is improved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investment strategy performance based on the intrinsic value and discretionary accruals in relation to the effects of value-glamour anomaly and future stock return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17,688 company-year samples from 2004 to 2017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on whether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value and future stock return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is established between intrinsic value and future stock returns as in the previous studies.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intrinsic value of a company measured using the fundamental variables in the domestic stock market, the higher the future stock return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will be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discretionary accruals and future stock return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ccruals and future stock returns as in the previous studies. Using the modified Jones model, the level of discretionary accruals corresponding to the proxy value of earnings management is measur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discretionary accruals and the future stock returns show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discretionary accruals, the lower the future stock returns. Third, the weak result of the hypothesis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 stocks and future stock returns will increase with higher intrinsic value and lower level of earnings management. This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the stock investment strategy according to the value-glamour anomaly, intrinsic value and level of discretionary accruals in the domestic stock market. Among the value stocks, value stocks with higher intrinsic value and lower level of discretionary accruals were found to confirm higher future investment results. Fourth, the result of the hypothesis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glamour stocks and future stock returns will decrease with lower intrinsic value and higher level of earnings management. This confirms that glamour stocks with low intrinsic value and high level of discretionary accruals in the domestic stock market bring lower investment performance. Finally, in the case of RET(one year arrear buy and hold return), the future stock returns of value-glamour stocks will differ significantly from those with higher intrinsic value and lower earnings managements in value stocks, and with lower intrinsic value and higher earnings managements in growth stocks. Buying a value stocks portfolio with high intrinsic value and low accruals while selling glamour stocks portfolio with low intrinsic value and high accruals levels is expected to generate 22.19% of future stock returns. The regression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hypothesis holds. As a whol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not all stocks in value and glamour stocks are undervalued or overvalued. It is a result confirming that even within value stocks and glamour stocks, their characteristic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rinsic value and discretionary accruals. Contribu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most significant contribution point is that it analyzes the effects of intrinsic value and earnings managetments together on the future stock returns of value stocks and glamour stocks. It differs from other studies that analyze the effects of future stock returns using single variables of intrinsic value and discretionary accruals. In other words, it is meaningful to prove that the company performs better when considering the intrinsic value of the company and the earnings managetments at the time of establishing the next year’s investment strategy. Also, this study shows that buying value stocks with higher intrinsic value and lower discretionary accruals among value stocks and selling glamour stocks with lower intrinsic value and higher discretionary accruals among glamour stocks can lead to higher investment performance. The following year, we can get a large excess return from the market. This suggests a lot in terms of suggesting new investment strategies for investors and financial analyst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however, is that intrinsic value and discretionary accruals may not have full control over variables that may affect stock retur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 results with proper consideration. 【Keywords】value-glamour anomaly, fundamental variables, discretionary accruals, future stock returns 본 연구는 가치주-성장주 이상현상(value-glamour anomaly)에서 나타나는 자본시장의 기업가치 예측치가 일치하지 아니하는 주식을 인지하고 기본변수를 이용하여 측정한 내재가치와 수정 Jones 모형에 의해 측정한 재량적발생액이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투자전략의 성과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장부가-시가 효과(BM효과)가 모든 가치주나 성장주가 아닌 일부 가치주나 성장주에 의한 효과라는 선행연구결과(Lakonishok et al., 1994)는 가치주나 성장주에 속하는 모든 주식들이 저평가 되거나 고평가 된 것이 아님을 의미하고, 가치주 중에서 내재가치가 높은 것들은 상대적으로 더 저평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성장주 중에서 내재가치가 낮은 것들이 상대적으로 더 큰 고평가 오류가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가치주 중에서 재량적발생액이 작은 것들은 상대적으로 더 저평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성장주 중에서 재량적발생액이 큰 것들이 상대적으로 더 큰 고평가 오류가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가치주-성장주 이상현상과 미래주가수익률과 관련하여 내재가치 추정을 통한 투자전략 성과분석과 재량적발생액에 따른 투자전략 성과분석을 종합적으로 실시하여 실질적인 투자성과가 개선되는지 살펴보았다. 2004년부터 2017년까지 17,688 기업-연도의 표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재가치와 미래주가수익률 간에 양(+)의 관계를 보일 것인지에 관한 분석결과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내재가치와 미래주가수익률 사이에 유의한 양(+)의 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국내 주식시장에서도 기본변수를 이용하여 측정한 기업의 내재가치가 높을수록 더 높은 주식수익률을 보인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재량적발생액과 미래주가수익률 사이에는 음(-)의 관계를 보일 것인지에 관한 분석결과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발생액과 미래주가수익률 사이에 유의한 음(-)의 관계가 성립함을 확인하였다. 수정 Jones 모형을 활용하여 이익조정의 대용치에 해당하는 재량적발생액의 수준을 측정하고, 재량적발생액의 수준과 차기 주식수익률 간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 재량적발생액의 수준이 높을수록 차기의 주식수익률은 낮아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가치주와 미래주가수익률 간의 관계는 내재가치가 높고 이익조정 수준이 낮을수록 높아질 것인지에 대한 분석결과 가설이 약하게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주식시장에서 가치주-성장주 이상현상과 내재가치와 재량적발생액의 수준에 따른 주식투자전략 성과를 분석한 결과, 가치주 중에서도 내재가치가 높고 재량적발생액의 수준이 낮은 가치주가 보다 높은 투자성과를 가져온다는 점을 확인한 것이다. 넷째, 성장주와 미래주가수익률 간에는 내재가치가 낮고 이익조정 수준이 높을수록 낮아질 것인지에 대한 분석결과 가설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주식시장에서 성장주 중에서도 내재가치가 낮고 재량적발생액의 수준이 높은 성장주가 보다 낮은 투자성과를 가져온다는 점을 확인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치주-성장주의 미래주가수익률은 가치주에서 내재가치가 높고 이익조정이 적을수록, 성장주에서 내재가치가 낮고 이익조정이 많을수록 차이가 크게 나타날 것인지에 대한 포트폴리오 분석결과, 매입보유수익률(RET)의 경우 가치주이면서 내재가치가 높고 발생액 수준이 낮은 포트폴리오를 매수하고, 성장주이면서 내재가치가 낮고 발생액 수준이 높은 포트폴리오를 매도하면 22.19%의 수익 창출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도 가설이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가치주와 성장주에 속하는 모든 주식들이 저평가 혹은 고평가 된 것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으며, 가치주와 성장주 내에서도 기업의 내재가치와 재량적발생액에 따라 그 성격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확인시켜주는 결과라고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공헌점으로는 가치주와 성장주의 미래주가수익률과 관련하여 재무제표에 기반한 내재가치와 재량적발생액이 미치는 영향을 동시에 고려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내재가치와 발생액 단일변수를 가지고 미래주가수익률의 영향을 분석한 다른 연구들과 차별점을 가진다. 즉, 차기 투자전략 수립시 기업이 지니는 내재가치와 경영자의 의사결정에 해당하는 이익조정을 동시에 고려할 때 더 우수한 실적을 보인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입증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가치주 중에서도 더 높은 내재가치와 더 낮은 재량적발생액 수준을 지닌 가치주를 매입하고, 성장주 중에서도 더 낮은 내재가치와 더 높은 재량적발생액 수준을 지닌 성장주를 매도한다면 차기에 시장대비 큰 폭의 초과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실증하였으므로, 투자자나 재무분석가에게 새로운 투자전략 방안 제시라는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내재가치와 재량적발생액이 주식수익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을 완전하게 통제하지 못했을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적절히 고려하여 결과를 해석할 필요가 있다.

      • 사진치료 프로그램이 경력단절여성의 자아정체감과 자기성장주도성에 미치는 효과

        장유진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916

        사진치료 프로그램이 경력단절여성의 자아정체감과 자기성장주도성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예술치료전공 장 유 진 지도교수:임정은⋅박지은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한 사진치료 프로그램이 자아정체감과 자기 성장주도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의 진행은 2023년 6 월부터 7월에 걸쳐 사진치료 프로그램 연구, 대상자 구상과 선정, 사전검사, 사진 치료 프로그램 실시 및 적용, 사후검사, 자료처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대상은 35세 이상 55세 미만의 경력단절여성 20명을 모집하여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10명은 주 1회, 매회기 120분 총 8 회기의 사진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10명은 같은 기간 아무런 처치 없이 일상생활만 하게 하였다. 연구의 도구로는 다음과 같은 검사지를 이용하였다. 자아정체감 검사지는 서봉연(1975)이 번안하고, 박아청(2003)이 한국형 자아 체감 검사의 타당화 작업을 다시 시도한 Dignan(1965)의 자아정체감 측정 도구를 총 60 개의 문항으로 재구성한 것을 이경혜(1997)가 수정 보완한 20문항의 자아정체감 척 도를 사용하였다. 자기성장주도성 검사지는 자기성장주도성 척도Ⅰ의 한계점을 보 완하여 발전시킨 척도를 국내 실정에 맞게 타당화 과정을 거쳐 완성된 척도 (Robitschek et al., 2012)인 한국판 자기성장주도성 척도Ⅱ를 사용하였다(손단비, 2016). 본 연구는 사진치료 프로그램이 경력단절여성의 자기성장주도성과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SPSS 22.0을 활용하여 아래와 같은 분석을 실시하 였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자기성장주도성과 자아 정체감의 사전측정감에 대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시행하였다. 둘째, 측정 시점(사전-사후)에 따른 변화가 유의미한지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집단 과 통제집단에 대하여 대응 표본 t-검정을 시행하였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별 비교를 위하여 사후점수와 사전점수의 차이 에 대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시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정체감이 집단 간 사전, 사후 검사에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이는 것은 사진치료 프로그램이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자기성장주도성이 집단 간 사전, 사후 검사에서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이는 것은 사진치료 프로그램이 자기성장주도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주제어 : 사진치료, 경력단절여성, 자아정체감, 자기성장주도성

      • 모발의 성장주기에 따른 모근의 형태학적 특징

        김동표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902

        모발의 성장 주기는 모발 질환의 임상 및 병리생리학기전 연구에서 중요하게 인식된다. 따라서 모발의 성장주기를 알아보기 위해 이전 문헌을고찰하고 C군(4인)과 E군(4인)을 선발 두 그룹으로부터 모발을 각각 20개씩 총 160개의 모발시료를 공시 하였다. 이렇게 공시된 모발은 디지털실체현미경DSS(digital strero scope)와 광학투과전자현미경TEM(Transmis-sion eletron microscope)을 사용하여 C군 E군의 모발에 모근부을 중심으로 관찰 이전 모낭의 형태학적 사료와 비교 관찰하여 이들의 모발을 성장주기별로 분류하여 모근 빈도를 알아보고 판독 규명 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모발의 성장주기별 모근부의 형태특징과 빈도는 아래와 같다. 첫번째 이전 문헌의 고찰 결과 모낭은 상피세포와 신경세포 그리고 간엽세포 및 외배엽세포의 구조단위로서 색조를 띠는 모간은 모낭의 섬유모세포, 각질형성세포, 신경외배엽세포가 협동상호작용을 통해 만들어 내는구조이다. 이러한 일련의 조직들과 사이토카인 및 성장인자들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모발은 성장주기를 가지게 되며 초기에는 형태학상으로 조직들을 구분하기 어렵다. 두번째 C군와 E군의 성장기모발은 내모근초의 각질세포괴사가 없는 것으로 구분된다. 또한 조직학적으로 MX(matrix), ML(Melanin), HS(Hairshaft), IRSC(Inner Root Sheath cuticle), HU(Huxley' Layer),HN(Henle's Layer), ORS(Outer Root Sheath), CTS(Connective TissueSheath)의 8개의 조직 구조로 관찰되었고 일부 관찰된 모발에서 변성의형태도 발견되었다. 세번째 C군와 E군의 퇴행기모근의 공통적인 특징은 외형상 모유두와협부에서 세포고사(apoptosis)가 관찰되었고 이러한 세포고사의 형상은 구불구불한 형태의 상피주(epithelial column)와 두꺼워진 유리층(vitreouslayer)이 관찰되는 모발의 형태이다. 그러나 E군의 경우 C군에 비교하여발현되는 유리층(vitreous layer)의 모양이 적게 발견 되었고 C군의 경우는 유리층의 양이 E군에 비교하여 많이 발견 되었다. 네번째 C군와 E군에서 관찰된 휴지기모발의 특징은 모두 곤봉모의 형상이 관찰되었으나 C군는 지방조직의 양이 많았고 E군는 지방조직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E군 모발의 결과는 모발의 모소화의 진행에 의한결과로 판단된다. 다섯째 이렇게 분류된 모발의 성장주기별 평균수량와 빈도는 Table-1와같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평균수량의 결과 Anagen는 C군이 4.0개 많았으며 Catagen는 E군이 1.25개 더 많게 나타났고 telogen과 indetermina-ble에서는 C군이 2.25개와 0.50개 더 많았다. 또한 C군과 E군의 모발성장주기별 빈도의 결과는 Anagen에서 E군이 27.5% C군이 47.5%로 C군의 비율이 20% 높았고 Catagen은 E군이 48.75% C군은 42.5%로 E군이6.25%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telogen는 E군이 16.25% C군은 6.25%로 E군이 10% 더 높았으며 이러한 사실들은 이전 사료와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 모근을 분별하는 육안 검사의기준이라 판단되며 또한 모발 성장주기 비율은 이전 문헌의 비율과는 상이하게 나타났으나 결론적으로 얻어진 자료를 통하여 원형 탈모증, 세포독성 약제 등에 의한 탈모와 안드로겐성 탈모증, 생장기 탈모증과 범발성휴지기 탈모증의 진행 상태 및 감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air bulb by haircycle and reading hair root, which has abnormal symptoms, through aconsideration of morphogensis in the study for pathophysiologicalmechanism, growth cycle and the abnormal symptoms of hair. Accordingly, 4 people who was losing their hairs and another 4people who wasn't were selected as two groups, an alopecia group anda non-alopecial group. 20 hairs for each person, total 160 hairs werepicked up by a semiinvasive method and processed by treatment. Theresearchers observed them by using Digital Strero Scope (DSS) andTransmission Electro Microscope (TEM) in order to classify them intothe roots of non-alopecia and alopecia groups. Anagen of hair couldbe recognized, when necrosis of keratinocytes in inner root sheath wasnot found. The morphogenesis of anagen Ⅵ was that the haircomprised all the organic structure such as Matrix (MX), Melanin(ML), Hair Shaft (HS), Inner Root Sheath Cuticle (IRSC), Huxley'Layer (HU), Henle's Layer (HN), Outer Root Sheath (ORS) andConnective Tissue Sheath (CTS).The morphogenesis of catagen was that apoptosis was found aroundhair papilla in its appearance. Also, telogen physically showed shape ofclub hair. It is thought that morphorgenesis is the visual standard to discerneach period like anagen, catage, telogen. Although the rate of haircycl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usual rates in the precedingdocuments, it could be a help to discern the progress of androgenicalopecia and anagen effluvium, alopecia universalis affected by telogeneffluvium, alopecia areata, drug of cytotoxicity.

      • 디아스포라 한인교회와 종족 경계의 재생산 : 한 LA 재미한인교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대승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867

        1992년의 LA폭동 이후 한인사회에서 중심적 역할을 차지하는 한인교회에 대한 변화 요구가 커지고 있다. 한인교회가 한인만을 위한 디아스포라 공동체의 역할을 넘어서, 타인종 및 타종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열린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한인교회의 종족 경계를 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한인교회의 종족 경계는 여전히 한인 1세 위주로 한정되는 모습을 보인다. 본 연구는 1965년 이민법 개정 이후 미국에 온 이민 1세들의 개신교 중심적 종교참여가 어떻게 종족 경계를 형성 및 재생산하는지를 미국 LA지역에 위치한 한 개신교 교회의 사례를 통하여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미주한인교회의 모국중심성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가를 살펴보았다. 일제시기 동안 해외독립운동의 전진기지 역할을 한 한인교회는 종교적 차원보다는 정치적 차원이 우선시되는 모습을 보일 정도로 사회참여적이었다. 그러나 1965년 이민법 개정 이후 그동안 제한되었던 아시아계의 미국이민이 급증하면서, 기존의 오래된 이민자 중심의 한인교회를 대신하는 새로운 이민자 중심의 이민교회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1965년 이후의 한인교회는 모국의 근대화 과정과 함께 성장한 성장주의적 교회 모델을 직접적으로 받아들였다. 모국에서 월남민이나 이촌향도민 출신의 대형교회 모델의 유입, 그리고 한인들이 경제적 차원에서 중산층으로 편입되어 백인 중산층이 거주하는 교외지역에 거주하게 되면서, 1980년대 이후 한국에서 성장한 한국교회 모델이 교회의 한인 중산층 지역에서 성장하는 과정은 이를 잘 보여준다. 한인교회는 한인들이 더 이상 외부로 나갈 필요가 없는 공동체를 제공하고, 미국의 주류사회보다 한국과 디아스포라적 연결을 더 가깝게 만들었다. 이 모국중심적 디아스포라 모델의 한계는 1992년의 LA폭동과 함께 드러났지만, 세대교체의 실패, 그리고 2000년대 이후 새로운 1세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종족충원 과정은 여전히 단일종족 중심의 한인교회를 유지하게 하고 있다. 둘째로, 본 연구에서는 LA에 위치한 Y교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교회의 지역사회를 위한 봉사활동 및 해외선교활동이 교회 내 종족 경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2000년대 이후 Y교회는 지역화를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과 유리된 채 단지 교통상의 이점만으로 선택된 Y교회의 위치는 상징적으로 지역에 대한 무관심을 보여준다. Y교회의 지역화 시도는 타종족·타인종에게 일시적으로 교회를 방문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는 자선 바자회, 혹은 2세 교회 인력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노숙자 선교에 참여하는 모습으로 드러난다. 기존의 도덕적 담론을 통한 타락한 미국사회의 구원이 상징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반면, 이 시도는 좀 더 적극적인 개입을 의미한다. 하지만 교회의 성원권이 사실상 단일종족으로 제한되는 상황에서 지역사회를 위한 선교는 동력을 얻지 못한다. 그럼에도 Y교회의 지역사회에 대한 수익금 전달과 이에 대한 미국 주류 정치인들의 인사는 Y교회를 종교적 ‘모델 마이너리티’로 여기게 만든다. 한편 신자들은 기독교인의 ‘소명(calling)’으로서 해외선교 후원에 더 열정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지역 내에서 확장되지 못하는 교회의 종족 경계를 해외에서 상징적으로 확장하는 한인교회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셋째로, 한인교회가 지역사회를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교회 내부로 집중되는데 영향을 미치는 교회 구조 및 이념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민자 교회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는 이민자의 사회적·문화적 적응을 위한 교회의 역할에 초점을 맞춰왔기 때문에, 교회가 조직 성장을 목표로 하는 일종의 자영업적 성격을 띄고 있음에 대하여는 다루지 않았다. 한인교회는 단지 대안적 공동체를 형성하기보다는 미국의 번영신학에 기반한 한국의 성장주의 교회모델을 역수입하면서 성장주의적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했다. Y교회의 사례에서는 우선 세분화된 조직구조에 기반한 소속감 형성, 그리고 남성 신자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위계화된 직분구조 등이 어떻게 한인신자들의 수요에 부응했는지 살펴보았다. 하지만 이와 같은 조직구조 이외에 공급의 측면에서 담임목사가 더 많은 신자를 교회에 끌어들이는 설교를 할 것이 요구된다. 미국 및 한국 대형교회와 달리 소수종족 교회라는 성장에 불리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좋은 설교는 교회 성장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로, 한인교회에서 분열과정에 대한 참여관찰을 바탕으로 한인교회에서 정치가 어떻게 이루어지며, 분열과정에서 출현하는 정체성이 분열 후에 종족 경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한인교회의 분쟁은 담임목사에 대한 지지 여부로 드러나는 교회 내 정치 구조와 연관되어 있다. 양 측은 자신들의 입장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종교적 정체성의 틀 속에서 상징적인 미국적 정체성을 조합하는 ‘출현적(emergent)’ 정체성을 형성한다. 교회의 분열과정에서 한국적 특성은 오히려 타자화의 과정에 동원될 정도로, 교회 내에서는 종교적 정체성과 더불어 법치주의나 민주주의와 같은 미국적 정체성이 강조된다. 낙후된 정치문화를 가진 것으로 여겨지는 한국에 비해서 신자들은 더 민주적 태도를 가진 것을 주장하지만, 이는 교회 내에 국한된다. 이 미국식 민주주의와 법치주의가 교회 내부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은 이 미국적 가치에 대한 주장이 기존의 미국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한인들은 미국의 법질서를 높게 평가하면서도, LA 폭동 당시 코리아타운이 경찰 방어선에서 제외되는 등 법으로부터 보호받지 못했던 경험이나 그 엄격한 법집행이 주로 흑인이나 라티노 등의 비백인에게 이루어지는 것을 망각하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미국식 민주주의 가치에 대한 주장이 미국선거 참여를 위한 한인의 유권자 등록 저조 현상 등에 대한 문제제기로 이어지지 않는다. 결국 교회분열은 교회조직 및 리더쉽 차원에서 약간의 변형을 가했지만, 기존 교회와 동일한 종족교회를 재생산하는 한계를 보인다. 이상의 논의는 한인교회가 타종족의 참여를 통한 직접적 종족 경계의 이동보다 상징적 차원의 변형에 머무르게 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과거에 한인교회는 새롭게 미국사회에 적응하는 이민자를 위한 ‘안전한 집’의 역할을 잘 수행했지만, 한인사회 및 교회의 역량이 커진 현재는 교회의 모국중심적, 내부지향적 성격을 넘어서 새로운 이민신학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한인2세 및 타인종·종족을 포함하는 창조적 공동체의 모색 과정을 통하여, 이 과정 속에서 한국적 종족성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한인 종족성이 다른 종족문화와 어울릴 수 있을지를 새롭게 짚어나가는 과정이 한인교회에 필요하다. Following the 1992 L.A. riots, the call for transformation in Korean American churches was growing. Korean American churches, which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immigrant community, were being asked to open themselves up to both their second generation as well as other ethnic communities. However, despite these recent attempts to cross ethnic boundaries of Korean American Church, they still remain largely limited to first generation Korean Americans. Previous research had dealt with ethnic identities of Korean American Protestants, but few have focused on how these ethnic boundaries are maintained and reproduced through church organization. To fill the gap, this study analyzed post-1965 formation of Korean immigrant churches in the U.S. and how they reproduce ethnic boundaries through their migrant experience, with a case study of Y church based in Los Angeles. Firstly, this study delves into the historic roots of the home-oriented Korean American church.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Korean American churches were at the frontlines of the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 The Korean American church was a politically outspoken entity at that time. However, with the massive inflow of post-1965 Korean American immigrants, new immigrant churches transplanted the Korean church model which emphasized conservative faith and church growth.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grew explosively with national modernization; the megachurch model of Korea was then adopted by the immigrant church community with Korean immigrants. In that sense, Korean American churches embody ‘infrastructure migration,’ which makes diasporic connection to Korea easier for the immigrant community. During the 1990s, a ‘silent exodus’ of second generation Korean Americans from these immigrant churches and a dramatic decline in the number of Korean immigrants created a sense of crisis among Korean Protestants. However, renewed ethnic replenishment of Korean immigrants after 2000s has helped maintain the homogeneity in the ethnic makeup of the Korean American church. Secondly, the case study of Y church in Los Angeles helps us examine the influence of local community volunteerism and overseas missions activities on the ethnic boundaries of the church. The Y church hosts a charity bazaar that opens up the church for the neighborhood’s diverse population, and the church also participates in a homeless mission with the help of the second-generation ministry. However, these newly adopted programs connect them to the locals only superficially, because most of the main activities of the church are designed for co-ethnic believers, and not for people of other ethnicities. Members of the Y church place a heavier focus on overseas mission than on local civic activities. In spite of this de facto insulation to its immediate neighborhood, it paradoxically encourages symbolic expansion of ethnic boundaries abroad. Thirdly, this study explores the church structure and ideology which reinforces in-group commitment. Previous research of immigrant churches focused on the adaptive role ethnic churches play for immigrants; they did not investigate the self-employed character of Korean American churches that set its priority on church growth. Korean American churches have followed the Korean megachurch model which in turn was based on U.S-born prosperity theology. The Y church also adopts the cell group model that fosters a sense of belonging and enforces a hierarchical status structure leading to active in-group participation. Aside from the organization, the head pastor is obliged to provide charismatic preaching which brings more co-ethnic believers to the church. Unlike megachurches in the U.S. and Korea, the Y church has limitations on growth because they depend on only Korean first generation immigrants for membership. Despite this limitation in ethnic population, Korean American churches still hold the belief that powerful preaching can still lead to church growth. Lastly, this study chronicles and analyzes the conflict and schism occurring in the Y church, and how emergent identities formed between two distinctive factions during a church conflict, and the resulting effects of the schism on ethnic boundaries. Y church’s two factions were formed around the head pastor: pro-pastor and anti-pastor. The two factions legitimized their positions by combining symbolic components of American identity such as democracy or rule of law with their religious identity. However, these emergent identities claimed in the process of conflict were confined to the interior of the church because their discourse on American identities was argued within their co-ethnic group, and was not based on any flexibility of their position on the American racial hierarchy. Y church’s schism resulted in formation of two slightly different churches in terms of organization and leadership, but they both reproduced ethnic churches with identical ethnic formation. Korean churches have in the past been a ‘safe house’ for the newly arrived Korean immigrant, but the strength of Korean American society including ethnic churches has been much renewed recently. In this changed situation, Korean American churches need new immigrant theology that pushes beyond their home-oriented character and in-group commitment. Through exploring creative church communities that incorporate second generation Korean Americans and other ethnic community members, these churches have the capacity to adapt and to build more flexible ethnic boundaries that are more inclusive and relevant in a multiethnic American society.

      • 탈모생쥐 모델(C57BL/6N mice와 Hairless mice)의 성장주기별 털의 생성 및 탈모와 관련된 인자들에 대한 연구

        이문원 又石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1854

        C57BL/6N 생쥐와 hairless 생쥐에서 털의 성장주기별로 일어나는 비만세포 수의 변화 및 neuropeptide들의 면역조직화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성장주기별로 일어나는 B림프구와 T림프구 및 T림프구의 아형에 관한 면역반응을 관찰함으로써 털의 성장주기별로 일어나는 탈모와 관련된 인자(factor)들을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57BL/6N 생쥐의 toluidin blue에 염색된 비만세포의 수는 출생후 1일째부터 35일째까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1일째 탈모가 일어난 부위에서는 증가하였다. 2. C57BL/6N 생쥐의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에 의한 neuropeptide(substance P, CGRP, CRF, CRF-receptor 그리고 CRF-binding protein)의 염색강도에 있어서는 1, 3, 8일째에는 대체적으로 염색강도는 미약하였으나 35일째에는 매우 강하게 염색되었다. 또한 21일째 탈모생쥐와 29일째 탈모후 발모생쥐를 비교한 바 21일째 탈모생쥐에서 강하게 염색되었다. 3. C57BL/6N 생쥐의 비장내 B/T림프구의 분포는 생후 3일째부터 35일째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생후 21째의 탈모군(no pigment)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비장 T림프구 중의 CD4/CD8 양성세포의 비율은 생후 3일째, 8일째, 35일째로 성장과 더불어 CD4/CD8 양성세포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후 21째의 탈모군(no pigment)에서는 29일째의 탈모군(pigment)비하여 특히 CD4 양성세포인 T_(H)림프구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4. Hairless 생쥐의 toluidin blue에 염색된 비만세포의 수는 출생후 3일째부터 7일째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13일째부터 21일째까지 비만세포의 수가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56일째의 비만세포는 탈과립된 비만세포를 많이 관찰할 수 있었다. 5. Hairless 생쥐의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에 의한 neuropeptide (substance P, CGRP, RF)의 염색강도는 발모가 일어나는 3, 7, 13일째에는 미약하게 염색되었으나 탈모가 일어나기 시작하는 17일째부터 완전탈모가 일어난 21일에서 56일째로 성장하면서 매우 강하게 염색되었다. 6. Hairless 생쥐에서의 비장내 B/T림프구의 분포는 생후 13일째에 B/T림프구 모두 최대치를 보였다가 탈모가 시작되는 그후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로 감소하였다. 또한 비장 T림프구중의 CD4/CD8 양성세포의 비율도 역시 생후 13일째(발모시기)에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탈모 및 발모와 관련된 인자들은 비만세포 수의 변화, neuropeptide(substance P, CGRP, CRF)의 면역염색 강도 및 면역반응과 복합적인 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한국 기독교 역사를 통해 본 기독교 공동체의 대안적 연구

        황성욱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37

        연구자가 본 연구를 진행하는 목적은 첫째 한국교회의 미래를 위해서 교회 공동체가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나아가야 하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둘째 현재 한국교회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惹起)하며 신뢰를 잃어 가고 있다. 그래서 연구자는 본 논문을 통하여 먼저 한국교회의 성장 과정을 고찰하면서 한국교회가 성장을 추구해 오는 과정에서 가지게 된 문제점들이 무엇인지, 한국교회가 양적 성장 메커니즘에만 치우친 결과로 잃어버린 한국교회의 자산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국교회가 다시금 거듭나서 사회 속에서 인정받고 세상 속에서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교회로 거듭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연구자가 제시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은 첫째 이제 한국교회는 교회의 본질적인 의미를 바로 발견하고 교회의 정체성을 회복해서 종교적 신앙인의 자리에서 생활 신앙인으로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한국교회는 교회라는 공간에만 머무는 신앙에서 벗어나서 교회 내적으로는 공동체성을 교회 외적으로는 공공성을 강화하고 올바른 신앙교육을 통해 사회적 신앙인을 세워내는 방향으로의 변화를 이루어야 한다. 셋째 한국교회는 기독교 영성에 기초한 실천적 신앙인으로서 참된 봉사와 섬김의 삶으로 지역과 공동체를 섬겨내며 새로운 문화 생태계를 만들어 내야 한다. 연구자는 이 연구를 진행하면서 교회의 정체성 회복과 생활 신앙인의 삶을 추구했던 모델로는 일제 강점기 기독교의 재출발과 변화를 촉구하며 삶으로서 생활 신앙인의 모습을 보여준 이용도 목사와 김교신 선생의 삶을 살피면서 생활신앙의 원리인 (1) 기도와 회개, (2) 말씀 중심의 생활, (3) 성령의 인도를 받는 생활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둘째 연구자는 공동체성과 공공성을 회복하고 바람직한 사회 신앙인을 키워낸 모델로 이승훈 선생의 오산학교를 통해서 교회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영성적 실천과 섬김 신앙의 모델로 호남 영성가 최흥종 목사의 삶을 통해서 기독교적 영성에 기초한 섬김 영성의 의미를 되짚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신앙원리를 바탕으로 삶의 자리에서 변화된 패러다임에 따라 새롭게 시도되는 신앙 모델로 사회적 신앙인을 키워내고 있는 풀무학교와 생활신앙 원리에 기초해서 섬김 신앙을 실천하고 있는 봉평제일교회 공동체를 통해서 오늘 한국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주제어: 대안적 교회, 성장주의 신학, 생활신앙, 사회적 영성, 섬김신앙, 오산학교, 풀무학교, 봉평제일교회 김교신, 이용도, 이승훈, 최흥종.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clarify the direction the church communities should take for the future of Korean churches. Second, to identify the various problems that current Korean churches cause by examining the quantitative growth process they take. Lastly, to suggest the kind of efforts that should be put in for Korean churches to be reborn recognized and be the cause of positive influence in the world. The researcher suggests three directions towards the new paradigm: (1) Korean churches to revisit and restore the identity of the church by moving their basis away from religion to a living faith. (2) To break away and widen the impact of the church beyond the space of the church by strengthening the community in and out of the church and by delivering an adequate education. (3) To create a new cultural ecosystem by serving local communities. This study will conclude with the practical directions Korean churches can take to improve established challenges by examining the lives and works of Korean spiritual leaders and their principals and practices. Keywords : Alternative Church, Growthist Theology, Life Faith, Social Spirituality, Serving Faith, Osan School, Pulmu School, Bongpyeong First Church, Kyoshin Kim, Yongdo Lee, Seunghoon Lee, Heungjong Choi

      • 한국 개신교 정치적 보수주의의 기원

        김대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5

        Most Korean Protestant Churches has insisted politically conservative points of view in the modern Korean history. This study’s purpose is why Korean Protestant Churches has the point of conservative view even though ‘protest’ means ‘resist against something’. In the early days of Korean mission by American missionaries in 19th century, American missionaries who are theologically fundamentalists came to Korean peninsula and spread the Christinity very aggressively. Among American protestant denominations, Presbyterian Churches of USA (PCUSA) was the most widely expanded and powerfully influenced to whole Korean peninsula from Pyongyang to Daegu. They conducted according to the strategy of ‘Settler Colonialism’ with the concept of ‘Christian Zionism’. This strategy led to be a subordinate civil partner of its government and educated invited young people to be next native leader in the country so that the suzerain country’s influence lasts continually. Also anti-communism was good medium between its regimes and protestant Churches. Actually Christian right meaned the anti-communism politically so the protestant Churches became partner of the anti-communism government. This concept totally politically accorded with the principle of ‘One people’ (Ilmin Zuyi) of Syngman Rhee, the first president of Republic of Korea. And according the mission strategy of Nevius, Churches had to be independent financially from any other Churches and denominations on their own, so that there generated stressing the principle of Church. This concept also totally accorded with economic growth which is called “live better(jalsal ah bose)”. So Korean protestant most presbyterian Churches has been a lower ruling parter of Syngman Rhee government and Park Chung Hee government so that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met the expectations of external growth without protesting Caesarism and dictatorship in the era.

      • 초기 판상산호의 성장주기성과 고생태

        박주남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1822

        Growth cycles in the early tabulate coral genera Saffordophyllum, Trabeculites, Manipora, and Catenipora from the Late Ordovician of southern Manitoba, Canada are documented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modes of corallite increase is analyzed. Saffordophyllum and Trabeculites formed cerioid coralla, whereas Manipora and Catenipora produced cateniform coralla. Two growth zones forming a unit growth band are detectable in longitudinal sections. A zone with sparsely arranged tabulae may have been formed under favorable condition for corals whereas a zone with densely arranged tabulae may have been formed under less favorable condition. Alternation of bands in the corals are probably seasonal and annual. Growth rates are higher in early growth stage and become slower in late growth stage in all cases although cateniform corals have higher absolute growth rates comparing to their cerioid counterpart. Lateral increase, that an offset arises from side of parent corallite, is normal mode of corallite increases in fossil and Recent colonial corals. Axial increase, on the other hand, is a longitudinal fission known as a common mode of calice increase in sponges but rarely reported from true corals. Axial increase could take place during rejuvenation or regeneration following injury or death of polyps, as recorded by entry of sediment into corallites. In most cases, however, the absence of such sediment suggests that axial increase was also a normal mode of increase in the early tabulates. Lateral increases are dominated in dense bands in Saffordophyllum and Trabeculites, but are concentrated in sparse bands in Manipora and Catenipora. Axial increases are relatively rare: they are found in dense bands in Saffordophyllum and Trabeculites, but found in sparse bands in Manipora. Axial increases associated with rejuvenation or regeneration following injury or death of polyps, are predominated in sparse band in Manipora, Catenipora and Trabeculites. Regenerations following partial mortality associated with mass sediment influx, however, are appeared mostly in sparse bands in all genera. It suggests strongly that storms were concentrated in summers in the Late Ordovician.

      • 인체 모낭의 성장주기에 따른 표피 단백질의 발현

        박영군 忠南大學校 1999 국내석사

        RANK : 1822

        The transition from anagen to catagen involves profound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nges in the human hair follicles. The hair follicles contain several components with different programs which include the synthesis of cornified envelope as epidermal differenti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he expression of epidermal proteins associated with differentiation changes in hair follicles according to its cycle, I performed immunohistochemistry and western blot hybridization with several kinds of proteins associated with epidermal differentiation including involucrin, loricrin, elafin, filaggrin, small protein rich proteins, transglutaminase 1, 2, 3, trichohyalin, and cytokeratin 17. In addition, RT-PCR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xpression of mRNA of various cytokines (HGF, IGF, KGF, TGF-β1, TGF-β2, TGF-β3) which is related to the cycling of human hair. I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richohyalin was expressed at inner root sheath (IRS) and medulla in anagen hair follicle, but in IRS positive staining disappeared in catagen stage. Involucrin expressed at IRS and innermost cell (IMC) layer of outer root sheath (ORS) in anagen hair follicle diffusely spreaded into most area of ORS in catagen stage. Small protein rich proteins, elafin, and loricrin were observed at upper portion of keratinization zone of ORS in anagen hair follicles, and transglutaminase 1, 2, 3 were positive at the entire area of anagen hair follicles. The expressions of proteins associated with epidermal fferentiation in IRS were disappeared in catagen stage. Western blotting showed that the expressions of proteins associated with epidermal differentiation in anagen hairs were similar to those of catagen hairs. but expression of TGF-β was increased in catagen than in anagen hair. In RT-PCR, mRNA expression of HGF, KGF, and TGF-β2 upregulated in catagen hair follicle more than in anagen hair follicles, suggesting that upregulatory changes of these cytokines may involue in the change of the expression pattern of epidermal proteins according to hair stage. These data may be helpful to further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hair cycle and the expression of epidermal proteins associated with differentiation or various cytok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