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 학습참여동기의 간접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건부 직접효과를 중심으로

        서승경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tested the mediating effect of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targeting adult learners attending college, then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finally, the mediation of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A conditional direct effect was tested to simultaneously examine the effec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401 adult learners aged 25 or older attending two-year and four-year universities, and the final 346 copies of the data were analyzed as follo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and Process macro 4.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showed that adult learn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testing using Process macro Model 4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of adult learner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rd, as a result of testing using Process macro Model 1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using Process macro Model 5,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ediated moderating effec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ducts an integrated study considering various factors that affect adult learners' life satisfaction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this, it can be said that basic data for revitalizing education and learning has been presented for adult learners in universities to maintain their studies in the future. Third, by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depending on the level of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we established a basis for exploring specific strategies and measures for social support for adult learners. Four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influences life satisfaction through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that the influence of adult learn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strengthened by social support. The conditional direct effect that further increases life satisfaction was newly ident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great interest in adult learners and the need to build social infrastructure, and the need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to improv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build a social support system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of adult learners attending college. It provided important implications and presented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programs for adult learners. Keywords: Adult learn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Social Support, Life Satisfaction, Conditional Direct Effect 본 연구는 대학에 재학중인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학습참여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후,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뒤, 최종적으로 학습참여동기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동시에 살펴보는 조건부 직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년제와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25세 이상의 성인학습자 40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346부의 자료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과 Process macro 4.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에서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은 학습참여동기,사회적지지, 삶의 만족도와 모두 정적 상관 관계를 보였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학습참여동기의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Process macro Model 4를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분석을 위해 Process macro Model 1을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건부 간접효과를 Process macro Model 5를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 매개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 학습참여동기, 사회적지지,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검증하므로써 성인학습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통합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학습참여동기의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대학의 성인학습자가 학업 유지를 위하여 교육과 학습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겠다. 셋째,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삶의 만족도의 영향관계에서 사회적지지가 지지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조절효과를 검증하므로써 성인학습자를 위한 사회적지지의 구체적인 전략과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넷째, 본 연구의 결과는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는 학습참여동기를 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의 영향력이 사회적지지에 의해 강화되어 삶의 만족도를 더욱 높여주는 조건부 직접효과를 새롭게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인학습자에게 큰 관심과 사회적인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긍정심리자본 향상과 사회적지지 체제를 구축할 수 있도록 교육적 개입의 필요성에 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성인학습자를 위한 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주제어: 성인학습자, 긍정심리자본, 학습참여동기, 사회적지지, 삶의 만족도, 조적부 직접효과

      • 성인영어교수자의 교수리더십, 성인영어학습자의 영어자아개념, 셀프리더십, 영어교사효능감, 교육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신승원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concepts of andragogy that form the basis of adult learning are the role of experience, self-directedness, the learner's need to know, orientation to learning, and intrinsic motivation. Andragogy, the knowledge of adult learning and adult learners needs to be permeated into EFL adult education and the role of adult educators should be viewed as a facilitator. In addition, the existing research concerning educational satisfaction has focused mainly on the objective dimension of the learners and, by and large, has ignored the subjective dimensions. Educational satisfaction depends upon demographic or environmental variables in tandem with students' cognitive, metacognitive, affective, and motivational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dult English educators' instructional leadership, adult English learners' English self-concept, self-leadership, English teacher efficac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had two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The first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adult English educators' instructional leadership, adult English learners' self-leadership, and English teacher efficac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second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adult English learners' English self-concept, self-leadership, and English teacher efficac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sample(N=634) was drawn from 17 EFL teacher training programs of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zed research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ndings from SEM demonstrated the existence of a positive relationship of instructional leadership, self-leadership, and teacher efficacy with educational satisfaction. In particular, instructional leadership had the most influential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Although English self-concep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is study, English self-concept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for self-leadership and English teacher efficacy. With research indicating that English self-concept has affected self-leadership and English teacher efficacy directly, it may be inferred that enhancing English self-concept would be still an effective way to boost adult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undertaken analysis of conceptualized instructional leadership could serve as a benchmark for further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ndragogy in adult EFL programs. Inclusion of adult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dimensions in this analysis has also been an especially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extension of the existing research of educational satisfaction. Findings from this study could allow adult English educators to more fully understand adult English learners and their learning processes as well as to equip a more practical and rational knowledge for the antecedent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outcomes of self-concept, self-leadership, and teacher efficacy. The findings suggested that simila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terms of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variables such as motivation, self-leadership, locus of control, self-concept, and teacher efficacy as well as andragogical practice in the EFL adult education field. Such studies can bring about valuable insights and implications required for the improvement of EFL teacher training programs. 성인학습자의 경험, 자기주도성, 알고자 하는 욕구, 학습에 대한 지향성, 내적 동기와 같은 안드라고지 개념들은 성인학습의 토대를 형성한다. 안드라고지, 즉 성인학습과 성인학습자에 대한 지식은 EFL 성인교육 분야에도 반영되어야 하며 성인교수자의 역할도 촉진자로서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만족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이나 환경적 변인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인지적, 초인지적, 정의적, 동기적 변인에 영향을 받는데도 불구하고, 교육만족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관적인 측면보다는 객관적인 측면에만 집중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영어교수자의 교수리더십, 성인영어학습자의 영어자아개념, 셀프리더십, 영어교사효능감, 교육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영어교수자의 교수리더십, 성인영어학습자의 셀프리더십, 영어교사효능감은 교육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성인영어학습자의 영어자아개념, 셀프리더십, 영어교사효능감은 교육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7개 평생교육기관의 EFL 교사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634명의 성인학습자가 표본으로 추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모델을 통계적으로 검정하기 위한 주된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이 활용되었다. 구조방정식 통계 검정 결과 교수리더십, 셀프리더십, 영어교사효능감과 교육만족 간의 정적 상관이 입증되었다. 특히 교수리더십은 교육만족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셀프리더십은 중요한 매개변인임이 실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영어자아개념이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지만, 영어자아개념은 셀프리더십과 영어교사효능감의 중요한 선행변인임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해 볼 때 영어자아개념은 교육만족을 향상하는 데 여전히 중요한 변인임이 추론되었다. 교수리더십의 개념화와 분석에 대한 본 연구는 EFL 성인교육 프로그램에 안드라고지의 적용을 위한 후속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특히 성인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변인의 분석은 교육만족에 대한 기존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는 데 이바지했다. 본 연구결과는 성인영어교수자들이 성인영어학습자와 학습 과정을 더 잘 이해하고 교육만족의 선행변인 및 학업자아개념, 셀프리더십,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에 대한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지식을 갖추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와 유사한 맥락의 연구들이 실행되어 EFL 성인교육에서의 안드라고지의 적용과 성인학습자의 동기, 셀프리더십, 통제 소재, 자아개념, 교사효능감과 같은 다양한 인지적, 정의적 변인들을 심도 있게 조사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들은 EFL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통찰력과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유형이 경험학습양식에 미치는 영향

        이영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우리 사회와 삶은 끊임없이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의 변화와 저성장, 저출산·고령화, 일자리 부족 등의 사회적 위기는 현대인에게 지속적인 자기개발과 변화를 요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학습시대의 효과적인 학습 촉진을 위해 성인학습자 학습참여 동기유형과 경험학습양식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기관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학습참여동기와 경험학습양식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유형과 경험학습양식의 관계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유형은 학습지향형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목표지향형, 활동지향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학습자들이 배운다는 것 자체를 좋아하거나 지적욕구와 호기심이 강하다는 것을 말한다. 즉 학습에 초점을 더 두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학습참여 동기유형 중 활동지향형은 경험학습양식 중 구체적 경험 양식 성향이 높은 반면 목적지향형과 학습지향형은 경험학습양식 중 구체적 경험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습참여 동기유형 중 학습지향형은 경험학습양식 중 반성적 관찰 양식 성향이 높은 반면 활동지향형은 경험학습양식 중 반성적 관찰 양식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한편, 목적지향형은 반성적 관찰양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학습참여 동기유형 중 목적지향형은 경험학습양식 중 능동적 실험 양식 성향이 높은 반면 학습지향형은 경험학습양식 중 능동적 실험양식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한편, 활동지향형은 능동적 실험양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학습참여 동기유형 중 학습지향형은 경험학습양식 중 추상적 개념화 양식 성향이 높은 반면 활동지향형, 목적지향형은 경험학습양식 중 추상적 개념화양식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렇듯 성인학습자는 학습참여 동기유형별 선호하는 경험학습양식이 달랐다. 성인학습자의 학습양식은 다양한 삶의 경험에 의해 형성되어지며 환경과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이렇게 형성된 학습양식은 개인마다 특정하고 학습자 자신이 선호하는 학습양식과 환경에서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이며, 문제에 대한 높은 해결능력을 발휘한다. 성인학습자의 효과적인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평생교육기관은 학습자 분석이나 교육과정 개발 및 교수설계 단계에서 학습전략을 선택한다. 개발자는 적합한 학습전략을 세우는 있어 경험학습양식을 구체적으로 활용해야할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은 성인학습자 각자가 선호하는 경험학습양식을 고착시키는 것보다 다른 경험학습양식을 훈련시킬 필요도 있다. 목적지향형 또는 학습지향형 학습참여 동기자는 경험학습양식 중 구체적 경험양식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즉, 구체적 경험 양식에 부(󰠏)적 영향을 미친 목적지향형과 학습지향형에게는 변화에 개방적이고 적응적이며, 사람과의 관계 증진을 통해 구체적 경험 학습양식을 훈련시킬 필요도 있다는 것이다. 이렇듯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자는 참여자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사례와 상황을 교육과정으로 연결시키는 다각적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의 참여율과 지속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성인학습자는 자신의 경험학습양식을 파악하여 학습에 적용해 봄으로써 선호양식은 더욱 발달시키고 선호하지 않았던 양식은 훈련을 통해 개발함으로써 전체적 학습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성인학습자의 경험학습양식과 학습만족도와의 관계

        방은숙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Education Among Adult Learners Modern society is the learning society. It is necessary for people to learn anything they want in order to adapt to the changes. At the same time, They must be able to have the chance to educate themselv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Lifelong learning society is the inevitable social trend. Learning is co-existing as a right and as a duty in our society.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situation above, this research aims at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at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of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gender, age, occupation, major, grade, and incom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questionnaires with the students of the Broadcast Communication University so as to measure the level of the satisfaction of the learning experiences and the learning style. The resul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and the level of learning satisfaction is the followings: First, this research found that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the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higher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ways was shown to the women than men, 40's in the age, and the first grade among the grades. Moreover, people who are in 30's and earn less than two million won as an income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any other group. The satisfaction of educators depends on personal characteristics except for gender, but relating to the learning and satisfaction of educators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satisfaction had little difference. Second, i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learning according to the learning experience mode of adult learners.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degree in the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ors was getting higher as learners had propensity to experience concretely. In the view of the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method, environment, and facilities,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in general. This research made the conclusion that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was not suitable to explain the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 when researchers analyzed the impact of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on the whole parts of education. However, this conclusion does not mean that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has little impact on the sub-region of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has little impact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but adult learners have variable experiences, do the self-directed learning, have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 to adjust to life. When we think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and the process of perceiving the education as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adult learners will form a unique learning style exchanging meaningful impacts on the environment. In other words, adult learners including the learners who have the experience and don't have it will form the uniqu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showing the personal gap. Therefore, learning style systematic is needed in order to accurately diagnose the learning mode of adult learners and to take advantage in the field. Furthermore, there is more room to detect the various parameters when the research is studied using the collection tools and analyzing methods. Keyword: Adult Learners, Learning Satisfaction, Experience. 요약(국문초록) 성인학습자의 경험학습양식과 학습만족도와의 관계 현대사회는 학습사회이다.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누구나 학습을 해야 하며, 동시에 지속적인 발달을 위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학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의무로서의 학습과 권리로서의 학습이 공존하는 사회, 학습이 편재하는 사회인 평생학습사회는 이제 시대의 거스를 수 없는 추세가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성인학습자의 경험학습양식과 학습만족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해보고, 경험학습양식에 따라 학습만족도를 파악하여 성별, 연령별, 직업별, 전공별, 학년별, 수입별에 따른 학습만족의 차이를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송통신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경험학습양식과 학습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성인학습자의 경험학습양식과 학습만족도의 관계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서 학습만족도에 큰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자보다는 여자가 연령에서는 40대, 학년에서는 1학년이 교육내용과 방법에 대해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교육환경과 교육시설에서는 30대와 월 소득 200만원 미만의 집단의 만족도가 다른 집단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았고 교육담당자 만족도에서는 성별을 제외한 모든 개인적 특성에 따라 교육담당자에 대한 만족도 수준에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지만 개인적 특성에 따른 학습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경험학습양식에 따라서 학습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교육내용, 교육담당자 만족도 부문에 있어 경험학습 양식 중 구체적 경험의 성향이 높을수록 교육내용과 교육담당자에 대한 만족도 또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경험학습양식은 교육방법, 교육환경, 교육시설 만족도에 대해서는 대체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경험학습 양식이 교육만족도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해 볼 때 경험학습 양식이 교육만족도를 설명하는데 적합하지 않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분석 결과가 경험학습 양식이 교육만족도의 각 하위 영역에 대해 미치는 영향력까지도 유의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성인학습자의 경험학습양식이 학습만족도에 유의하지 않다고는 하지만 성인학습자는 다양한 경험학습을 하며,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고, 내재적 동기를 갖고, 생활적응 및 생활 중심적이다. 이러한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감안하고 학습을 새로운 정보나 지식을 지각하고 처리하는 유형화된 과정이라고 본다면, 성인학습자는 각각 환경과 의미 있는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독특한 학습양식을 형성할 것이다. 즉, 형식과 무형식학습을 포함한 성인학습자의 경험학습은 개인차를 보이면서 각각의 학습양식을 형성할 것이다. 따라서 성인학습자의 학습양식을 정확하게 진단하여 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학습양식이 필요하다. 또한 다른 조사대상이나 수집도구,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연구한다면 좀 더 다양한 매개변인들이 탐색될 여지가 있음을 시사한다. 주제어 : 성인학습자, 경험학습양식, 학습만족도

      • 성인학습자 평생교육 프로그램 실태분석 : 강원도 江陵市지역 평생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유경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in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a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desired by adult learners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the requirements by adult learners that are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offered by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located in Gangneung-si. The research was conducted centering on the issue of 'what is the plan for improving the management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desired by the citizens?' upo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adult learning and learning programs, and examining the history of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located in Gangneung-si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managed by these institutions, as well as the actual condition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 b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the evaluation of the management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the items of requirement and complaint on the management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As for the research methods, present condition research, actual condition research and survey research were conducted for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in Gangneung region. The results of the actual condition research o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adult learners are as follow. First, 23 adult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have been established and being managed in Gangneung-si as of the present time in 2009, and the total number of programs offered by these institutes is 380, and the number of peopl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s 9,428, which is 5.7% of the population over 20 years of age in Gangneung-si (165,766), and the programs are mainly focusing on in the areas of hobbies, entertainment and leisure, as well as basic cultural educ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xpand and offer the program subjects according to the desires of learners since the programs are not satisfying the demands of the learners from various classes. Second,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rate of participation is low for the low income earners that are earning less than 1 million won per month, people with middle school education or lower and youths in their 20s to 30s. In response to these, the program fee should be waived for the low income earners or offer programs that connect education cost support and income, and the programs that will be officially recognized and accredited for those without higher education should be introduced and the introduction of basic cultural programs should be expanded, and the programs that will be helpful for the youth in their 20s to 30s in their employment should be introduced. Third, nearly the half (46.9%)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working) but only a few institutions were offering night programs for them, and the biggest reason for stop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lack of time. Therefor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need to expand their night programs to accommodate their needs. Fourth, the many overlapping programs by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resulting from their piecemeal program management approaches that are irrelevant to the regional accessibility are making it difficult for learners to choose their desired program and causing the result of not being able to accommodate their various needs. Therefore, the institutes need to develop and offer specialized and professional programs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Fifth, it is currently difficult to quantitatively expand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desire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provide them systematically due to the lack of network established among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According,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mutual network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by the institutes. Sixth, the result is revealing that the use of the Internet through the homepage of the education institutes is the biggest path through which the learners participate in programs, thereby requiring the education institutes to thoroughly manage their homepage to swiftly provide information on their lifelong education program. Seventh, it is being revealed that the biggest item of complaint by the program participants is their complaint on educational equipment and facilities, thereby requiring the improving of deteriorated facilities and expand their insufficient educational equipment and facilities, as well as convenience facilitie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s a plan for improving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desired by adult learners. Fir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management programs for various user classes. Second, opportunities need to be expanded for the neglected to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them. Third, night programs for working professionals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need to be expanded. Fourth,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need to develop and offer specialized, high-qual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ifth, network among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needs to be established. Sixth,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need to thoroughly management their homepage to swiftly provide information on their lifelong education programs. Seventh, they need to improve or expand their educational equipment and facilities and convenience fac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江陵市에 소재하는 평생교육기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실태 및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성인학습자들이 원하는 평생교육의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는 데 기여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내용은 성인학습과 학습프로그램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江陵市에 소재하는 평생교육기관 설립연역과 이들 기관이 운영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운영현황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자들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실태는 어떠한가,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평가는 어떠한가,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 및 불만사항은 무엇인가를 파악하여 시민들이 원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개선방안이 무엇인가 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강릉지역 평생교육기관의 현황조사 및 실태분석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성인학습자 평생교육 프로그램 실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江陵市에는 2009년 현재 23개 성인평생교육기관이 설립·운영되고 있으며, 이들 기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 수는 총 380개로 참여인원은 江陵市의 20세 이상 인구(165,766명)의 5.7%인 9,428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의 내용은 취미·오락·여가 분야와 기초교양·문화교육 분야에 치중되어 있고 다양한 계층의 학습자들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어 학습자들이 새로이 개설을 원하는 프로그램을 확대 개설·운영을 해야 한다. 둘째, 성인학습자 중 월 평균 100만 원 이하의 저 소득자와 중학교 졸업이하의 저학력자, 그리고 20~30세의 청년 계층의 참여율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저소득층에 대하여는 수강료면제 또는 교육비용지원과 소득과 연계되는 프로그램 운영을 해야 하고, 저학력자들에 대하여는 학력·학점인정교육과 기초교양프로그램의 개설을 확대하고, 20~30세의 청년계층에 대하여는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설운영을 해야 한다. 셋째, 연구대상자 중에서 거의 절반(46.9%)에 가까운 학습자들이 현재 경제활동(직장)에 참여하고 있으나 이들을 위한 야간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있는 기관은 일부 기관에 불과하고, 프로그램참여 후 직장관계로 시간부족이 중단하는 가장 큰 이유가 되고 있으므로 이들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각 평생교육기관에서는 야간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해야 한다. 넷째, 각 평생교육기관에서는 지역별 접근성 등과 무관하게 백화점식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관계로 중복되는 프로그램들이 많아 학습자들이 원하는 프로그램의 선택을 어렵게 할뿐 아니라 그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어 지역 특성에 맞는 평생교육기관별 특성화된 전문성이 요구되는 프로그램을 개발운영 해야 한다. 다섯째, 현재 평생교육기관 간 네트워크가 구축되지 많아 원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운영을 양적으로 확대함과 동시에 체계적으로 제공하기 어렵다. 이를 위해서는 평생교육기관 상호간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네트워크 구축해야 한다. 여섯째, 인터넷발달로 인하여 교육기관 홈페이지를 이용한 인터넷활용이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참여경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신속한 정보제공을 위해서는 교육기관 홈페이지 관리에 철저를 기해야 한다. 일곱째, 프로그램 참여자의 불만사항 중 교육시설·설비에 대한 불만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므로 노후시설을 개선하고 부족한 교육시설·설비 및 편의시설을 확충해야 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성인학습자들이 원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이용자 계층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운영이 필요하다. 둘째, 소외계층 등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셋째,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직장인을 위한 야간 프로그램의 운영을 확대해야 한다. 넷째, 평생교육기관별 특성화된 질 높은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해야 한다. 다섯째, 평생교육기관 간의 네트워크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신속한 정보제공을 위해 기관 홈페이지 관리에 철저를 기해야 한다. 일곱째, 교육시설·설비 및 편의시설을 개선 또는 확충해야 한다.

      • 성인학습자의 기초문해력 조사 연구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학교를 중심으로

        박은선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기초문해력조사와 같이 국민의 통계적수치조사의 필요성에 치중한 연구가 아닌 현재 초, 중, 고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문해력조사를 실시하여 교육의 진행에 따른 문해력차이 및 평생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성인학습자(30~70대)의 비문해 실태와 수준을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성인학습자의 기초문해능력의 차이를 살펴보고, 어느 시기에 문해력이 급격히 향상되는 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시기적절한 문해교육이 이루어져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기회를 확대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소재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학교인 H학교에서 수업을 듣고 있는 초, 중, 고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국립국어원(2008)의 <국민의 기초문해력 조사 연구>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본 조사를 통해서 회수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빈도분석, t검정(t-test)과 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분산분석 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는 Duncan의 사후검정을 사용하여 집단 간 차이를 규명하였다. 이상의 조사와 분석절차를 거쳐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실증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연령별 분석결과는 50대 이하에서 문해력 교육이 완성되어야 교육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어 성인학습자에 대한 문해력교육의 중요한 특징을 보여 주었다. 둘째, 학년별 분석결과는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2학년, 중학교 3학년 간의 문해력수준차이가 통계적으로 없게 나타났다. 이를 국내의 작문능력 실증조사의 연구와 관련지어 조사하였다. 즉 성인학습자의 과도기적 과정이 정규학습자보다 굉장히 넓어 초등학교 상급학년과 중학교 전 과정에 걸쳐 있는데 반해 정규학습자는 중학교 과정에 한정되어 있는 것을 조사하였다. 셋째, 문해력이 급격히 증가하는 시기를 살펴보면, 정규학력자에 비해 고등학교에서 급격히 증가함을 보였다. 넷째, 성인학습자의 개별문해력을 조사한 결과로 현대지능이론에서 중시하는 실제의 문화권이나 생활의 차이에 따라 유창성을 발휘하는 지능이 다르다는 개념과 지능검사에 있어서도 개인의 상황을 고려하여 신기성과 자동성을 구분하여야 하지 실험실 상황과 같이 지능을 검사해서는 안 된다는 개념으로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 성인학습자의 고등교육 참여동기와 성인학습 구현목적과의 관계

        장현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higher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es and their adult learning goals. The research problems to be identified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higher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e frequency between six participation groups? Second.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groups and adult learning purposes importancy? Third.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groups and the contribution for adult learning goals ? To identify above three research problems, five hundred fifty two subjects from a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in Jeonbuk province were randomly selected. To collect data, An questionaire for adult learning purposes goals was distributed and administered to each subject. Independent variables are six higher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es; win diploma, job finding, certification, academic learning, and social human relationship. Dependent variables are five adult learning goals such as self realizat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social inclusion, employment possibility an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aire is Cronback's Alpa .807. Data were analyzed by the use of Chi squres and F tests.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collectively between group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higher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es frequency between higher education six participation groups. Second. There is significant relationship partially between participation groups and importancy for adult learning goals. Third. There is significant relationship partially relationship between higher education participation groups and the contribution for adult learning goals.

      •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상담 수준이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평생학습 참여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윤아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상담 수준이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평생학습 참여성과에 어떻게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평생학습 현장에서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상담 수준 향상을 통한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성과를 높일 수 있는 실무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첫째,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상담 수준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상담 수준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셋째,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상담 수준이 평생학습 참여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넷째,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상담 수준이 평생학습 참여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학습몰입, 학습만족도가 어떠한 직접 효과와 간접 효과가 있는지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비형식 평생교육기관에서 평생학습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성인학습자 중 학습상담의 경험이 있는 학습자로 지역과 기관을 고려하여 550명의 성인학습자를 조사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조사 도구는 평생학습상담,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평생학습 참여성과, 일반적 특성 및 평생학습상담 경험 유형으로 구성된 설문지로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도구를 연구 목적에 맞게 보완하여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AMOS 22.0과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상담 수준이 학습몰입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상담 수준이 학습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학습몰입이 평생학습 참여성과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학습만족도가 평생학습 참여성과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상담 수준이 평생학습 참여성과에 직접 영향은 없었지만 학습몰입, 학습만족도를 매개로 간접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상담 수준이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됨에 따라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상담 수준을 높이는 것은 성인학습자의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를 향상하는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가 평생학습 참여성과에 직접 영향을 주기 때문에 성인학습자의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평생학습 참여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상담 수준은 성인학습자의 학습몰입, 학습만족도를 매개로 평생학습 참여성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므로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상담 수준을 높이는 것은 성인학습자의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를 높이고 결과적으로 평생학습 참여성과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상담 수준을 높이는 것이 성인학습자의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는 물론 평생학습 참여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임을 검증하고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상담과 관련변인에 대한 후속연구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성인학습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업태도가 취업욕구에 미치는 영향 : 송파구 한림 실업고등학교 여성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상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는 한국의 상황에서,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경제활동이 높은 고령의 인구비율로 인한 사회적인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다고 여러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이에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에 재학 중인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일반적인 특성변인과 취업관련 요인에 따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현재의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의 교육과정이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취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변화하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에 재학중인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연령, 결혼상태, 가족의 수, 건강상태)이 취업욕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에 재학중인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직업태도가 취업욕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위해 송파구의 한 학력인정평생교육시설학교의 고등학생 3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여성 성인학습자들은 건강상태와 직업태도가 긍정적일 경우, 취업에 대한 욕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내에 성인학습자들을 위한 직업교육의 부재, 취업상담의 부재 등으로 인하여 이들의 취업욕구가 취업으로 이어지는 데는 장애가 있다. 따라서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의 교육과정은 취업욕구가 있는 성인학습자들을 위한 직업교육을 포함하도록 변화하여, 이들의 취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재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평생교육환경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인식 연구

        최정연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평생교육환경은 평생교육 서비스의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이다. 성인학습자는 자신이 지각하는 여러 요인을 통해 평생교육 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한다. 평생교육환경은 학습자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주는 교육상황에서의 다양한 요인들이 총체적으로 작용하는 조건으로, 성인학습자는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상황에서 이를 평생교육환경으로 인식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학습자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평생교육환경의 영역과 각 영역에 대한 인식수준, 성인학습자 특성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조사도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평생교육환경을 공간, 시간, 운영, 내용, 활동, 강사, 동료학습자의 7개 영역으로 범주화하고, 각 영역을 구성하는 하위요소를 도출하여 구성하였다. 조사연구는 전문가 내용타당도(CVR), 면담, 예비조사를 통해 수정·보완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환경에 대한 인식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10월 7일부터 10월 27일까지 21일간 진행되었다. 조사대상은 부산지역의 평생교육 기관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20세 이상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비확률적인 편의 표집과 의도 표집을 통해 500명을 선정하였다. 방문조사와 우편조사 방법을 활용하여 설문지 총 500부 중 485부를 회수하였고, 부적합한 설문지 25부를 제외한 460부가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IBM SPSS(version 23.0)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주로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활용하여 유의수준 0.05% 수준에서 관련 변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성인학습자들은 평생교육환경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으며,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에 있어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내용과 강사의 전문성을 가장 중요하게 본다. 교육내용과 교수자는 교육의 세 요소에 포함될 정도로 교육에서 기본적인 사항으로, 교육의 품질을 결정하는 본질적 특성이다(신은경, 현영섭, 2018). 따라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가장 우선시해야 하는 것은 학습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내용과 그에 적합한 강사를 섭외하는 것이다. 더불어, 학습자들은 청결한 공간, 자신에게 맞는 시간대, 교육내용에 적합한 교재 및 재료의 지원을 원하며, 지속적인 학습활동과 학습자 간의 상호존중을 중요하게 생각하므로 평생교육 프로그램 기획에 있어 위의 요인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평생교육환경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부분은 내용이지만, 성인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특히, 20대와 30대는 내용과 더불어 강사에 대해서도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고, 중학교 졸업 이하와 복지관은 강사와 활동을 중요하게 보았다. 특히, 참여 프로그램이 1개인 경우와 기초문해교육, 직업능력교육에서는 강사를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며, 학력보완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는 동료학습자를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생교육환경의 영역별 수준은 강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외에도 시간, 내용, 공간 또한 5점 환산에서 4점이 넘는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운영, 활동, 동료학습자 역시 3.8점 이상의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는 강사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 제시한 7개 영역 모두가 학습의 여건으로서 의미있는 요소임을 뜻한다. 따라서 평생교육환경의 평가 지표나 조건으로 적용가능하며, 공간, 시간, 운영, 내용, 활동, 강사, 시간의 7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성인학습자 특성에 따라 평생교육환경의 영역은 6개 변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성인학습자의 특성 변인은 평생교육환경 조성 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인이 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학술적 측면에서는 성인학습자가 평생교육에 참여하면서 실질적으로 느끼고 경험한 구체적인 상황에 초점을 맞춰 실증적으로 탐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실천적 측면에서 평생교육 기관과 운영자가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할 때 성인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평생교육환경을 함께 고려하여 최적의 평생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환경에 대한 인식 연구를 토대로 후속연구 수행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연구범위의 확대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자의 범위를 부산지역 평생교육 기관에 한정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지여과 다양한 기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자료의 표집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 다양한 평생교육 현장의 환경 변화와 특성이 반영된 성인학습자의 인식을 정확히 조사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조사 범위를 전국으로 넓혀 지역 간 차이를 규명하고, 평생교육 기관별 집중적인 조사를 통해 좀 더 정교한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방법의 보완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토대로 성인학습자가 인식하는 평생교육환경의 영역을 구성하고 세부요인들을 구성하였다. 때문에, 조사에 포함되지 못한 영역과 세부요인이 존재할 수 있는 한계를 가진다. 후속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혼합연구 등의 연구방법을 통해 성인학습자들이 인식하는 평생교육환경 요인을 보다 정교하게 밝혀내는 체계적인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현재 평생교육 기관의 교육환경에 대한 실질적인 측정과 효과성을도출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교육의 서비스 품질적 관점에서 성인학습자의 인식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평생교육환경은 서비스 제공자적 관점이 아니라 성인학습자에 의해 지각된 서비스 품질(perceived service quality)적 관점에서 논의되어야 그 효과성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성인학습자가 인식하는 평생교육환경에 대한 7개 영역이 실제 교육기관에서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만족감을 밝히는 것은 평생교육환경 구성에 있어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is a determinant of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services. Adult learners assess the quality of lifelong learning services based on a number of factors they perceive. The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is a condition in which various factors in the educational situation affect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learner collectively work. Adult learners recognize this as a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when they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areas of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that are perceived by adult learners, the recognition level of each area, and the perceptions of adult learners. The research tool categorized the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into seven areas of space, time, operation, contents, activities, instructors, and peer learners through literature studies, and derived and composed sub-elements of each area. The research was developed by utilizing a survey tool to measure the percep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of adult learners who have validity and reliability after correction and supplementation through expert content validity (CVR), interview, and preliminary survey. Data collection took place for 21 days from October 7, 2019 to October 27, 2019.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0 people who were 20 years of age or older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facilities in Busan, through inconsistency sampling and intentional sampling. 485 copies of 50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using the visit and postal surveys, and 460 copi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except for 25 unsuitable questionnaires. IBM SPSS (version 23.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and related variables were analyz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It was. The main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dult learn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 and when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e most important content and the professionalism of the instructor will help. In addition, learners want to support materials and material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clean space, time zone, and educational contents, and they need to consider these factors in the planning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because they want continuous learning activities and mutual respect among learners. There is a need. Second, the most important part of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 is contents, bu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In particular, the twenties and thirties showed high importance for lecturers as well as the contents, and below middle school graduates and welfare centers viewed lecturers and activities as important. In the case of one participant program, basic literacy education, and vocational competency education, the instructor was important, and the adult learner who participated in the supplementary education was found to recognize the peer learner. Third, instructo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but time, content, and space were also higher than four points in terms of five point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as an evaluation index or condi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and it is appropriate to include seven areas of space, time, operation, contents, activity, lecturer, and time. Fourt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the area of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all six variable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istic variables of adult learners are important factors to be considered in creating a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On the basis of the above, the academic aspect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explores the specific situations that adult learners have actually felt and experienced while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In practical terms, it is meaningful that the establishment of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an operator has provided the basis for providing optimal lifelong education services in considera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of adult learners conducted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This study limited the scope of the subjects to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in Busan. As a result, sampling of the analytical data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institutions has been somewhat difficult. In order to accurately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erceptions of adult learners reflecting the environmental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lifelong education sites in recent years, the scope of the survey has been broadened across the country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regions, and more sophisticated analysis is conducted through intensive research b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It needs to be done. Second, the research method needs to be supplemented. In this study,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perceived by adult learners was constructed and detailed factors based on literature studies. As a result, there are limits to the areas and details that may not be included in the survey. Subsequent research needs systematic complementation to elaborate the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 factors recognized by adult learners through research methods such as qual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Third,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derive the actual measure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In terms of service quality of education, adult learners' perceptions play a very important role. The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 must be discussed in terms of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of the adult learner, not the service provider, to ensure its effectiveness. Therefore, identifying how seven areas of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 perceived by adult learners are formed in actual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identifying adult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m can provide specific directions in constructing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