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오지은의 졸업 작품 「20’s」 해설

        오지은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My 20‘s」라는 큰 주제를 토대로 창작하여 졸업 공연에서 발표한 4개의 작품을 해설한 것이다. 누구나 20대를 보내면서 경험하게 되는 꿈과 사랑에 대한 감정 변화를 담은 작품으로 곡의 형식과 악기 편성 및 화성 구조를 통해 작곡가의 의도와 음악적인 특징을 해설하고자 한다.

      • 중국계 다문화 가정 학습자의 오류 양상을 고려한 맞춤법 교육

        오지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국계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이 맞춤법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언어적 배경의 차이로 인해 한국어 모어 초등학생과 다른 양상을 나타낼 것이라고 보고, 중국계 다문화 가정 학습자의 오류 양상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맞춤법 교육 방안을 구성하였다. 오류 양상에 대한 논의에 앞서 문자 표기 체계와 철자 능력 발달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고 한국어 표기의 특징을 탐색하였다. 한국어의 자모 체계는 중국어와 상이하며, 한글의 일부 자모에서는 글자와 소리의 일대일 대응 원칙이 지켜지지 않는다. 또한 한국어의 표기는 소리 나는 대로 쓰는 표음주의적 표기와 원형을 밝혀 적는 표의주의적 표기의 조화를 추구하기 때문에 소리와 글자의 불일치가 여러 음운 현상과 함께 나타난다. 이러한 이유로 중국계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표기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본고는 중국계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이 맞춤법에 맞게 표기하는 능력을 갖추는 과정에서 맞춤법 오류가 나타난다고 보고 맞춤법 오류의 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틀을 설정하였다. 더불어 최근 개정된 국어과 교육과정과 한국어 교육과정을 검토하고 교사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맞춤법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맞춤법 오류의 분석을 위해서 오류 유형별로 원인을 살펴보고 한국 거주 기간과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학년에 따라 오류 양상을 비교하였다. 오류 양상 비교를 위해 집단별로 나타나는 오류 학습자의 분포를 비교하였으며, 오류 빈도의 차이를 분산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오류 유형과 원인을 분석한 결과, 자모 오류의 유형은 대체로 중국인 학습자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음운을 혼동하여 자모를 음가대로 쓰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음운 현상 관련 형태소 오류의 유형은 대체로 모어 학습자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음운 현상이 일어난 결과인 소리대로 쓰거나 음운 규칙을 과잉 일반화하면서 발생하였다. 한국 거주 기간과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학년에 따라 오류 양상을 비교했을 때에는 오류 유형에 따라 집단별 차이가 나타나는 유형과 그렇지 않은 유형이 있었다. 이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 학습자를 위한 맞춤법 교육 방안을 구안하였다. 내용 체계 구성에 있어서는 한국 거주 기간과 학년별 오류 양상을 바탕으로 화석화 가능성을 예상하여 교육의 우선순위를 정하였으며,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별 오류 양상을 바탕으로 학습의 난도를 결정하고 교육 내용을 나선형으로 조직하였다. 또한 맞춤법 교육에 관한 기존 논의를 바탕으로 세부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적합한 모형과 기법에 대해 상술하였다. 나아가 구안한 교육 내용과 방법을 실제 중국계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구체적인 교육 절차와 내용, 방법을 예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계 다문화 가정 학습자의 맞춤법 오류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여 맞춤법 교육의 방안을 구안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will show different aspects of learning Korean orthography compared to Korean native learners due to the differences in linguistic backgrounds. It aims to analyze the error patterns of Chinese multicultural family learners and to find effective ways of teaching Korean orthography to them. For this purpose, I first explored the theories about the writing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spelling ability, and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orthography. The Korean alphabet system is different from Chinese, and the principle of one-to-one correspondence is not maintained in some Korean alphabets. Also, the discrepancy between sounds and letters appears with phonological variations, as the Korean writing system pursues a harmony of phonetic notation and morphologic preservation. For this reason, learners of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are likely to have difficulty in writing Korean. In this paper, I set up a framework to analyze the error patterns of Chinese multicultural learners in the process of learning Korean orthography. In addition, I reviewed the recently revised Korean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eachers and learners to confirm the necessity of orthography education. To investigate spelling errors, I examined the causes of them, and compared the error patterns according to the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the level of Korea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he grade. I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the learners with the errors and identified the differences in error frequencies through Kruskal–Wall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s a result, the errors of the alphabets were similar to those of Chinese learners, and they occurred from the confusion with phonemes. On the other hand, errors about morphophonemic rule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native learners, and they appeared as a result of either the phonological phenomenon or the over-generalization of the phonological rules. While comparing the error patterns by groups, some types of errors showed the group-specific differ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is paper, I devised a customized education method for multicultural family learners. In terms of the teaching contents, I set the priority by considering the probability of fossilization according to the error patterns by the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and their grades. Furthermore, I determined the difficulty of learning considering the error patterns based on the level of Korean communication competence. Given the existing discussions on spelling education, I constructed the detailed educational contents and explained appropriate models and techniques. To this end, the proposed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in this paper were applied to a learner from a Chinese multicultural family to illustrate the procedures,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of teaching. This study is important in that it analyzes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spelling errors from Chinese multicultural family learners and designed the effective ways of teaching Korean orthography to them.

      • 독해전략이 수학 문장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오지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제해결은 1980년대 이후 수학교육의 기본 목표로서 꾸준히 강조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실생활의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학적 연산능력과 언어적 이해능력을 동시에 요구하는 문장제는 종합적인 문제해결력 신장에 필수적이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많은 아동들은 수, 식의 기호형태로 제시된 문제보다 문장제를 더 어려워하며 수학문제해결에 있어 이해과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고, 계산기능이 우수한 아동이라 하더라도 문장제 해결에 부진함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문장제 해결과정을 문제이해단계와 수학적 연산의 실행단계로 본다면 연산능력이 있는 아동의 경우에, 문장제 해결력이 부족한 원인을 문제 이해 능력의 부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연산능력은 있으나 언어적 이해능력의 부족으로 문장제 문제해결에 어려움을 느끼는 아동들을 찾아내어 독해전략 훈련을 통해 이해능력을 향상시켜 줌으로써 궁극적으로 종합적 문제해결력을 신장시켜 주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2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1. 독해전략 훈련을 받은 집단과 훈련을 받지 않은 집단간에 독해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2. 독해전략 훈련을 받은 집단과 훈련을 받지 않은 집단간에 문장제 해결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독해전략 훈련은 SQ3R 독해전략을 사용하였으며 읽기 자료와 함께 학습지 형태로 총 16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실험기간은 4주로 실험 전, 후 독해력과 문장제 해결력 검사를 통해 집단간 실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Q3R 독해전략 훈련을 받은 집단이 훈련을 받지 않은 집단보다 독해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SQ3R 독해전략 훈련을 받은 집단이 훈련을 받지 않은 집단보다 문장제 해결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학습자의 능력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문장제 지도 방안 강구가 필요하다. 아무리 효과적인 전략이라 하더라도 모든 학생에게 의미있게 적용되지는 않기 때문에 각 학습자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문제해결의 결손을 보완할 수 있는 지도방법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평가결과에 대한 주의 깊은 분석을 통해 수학적 잠재력이 있는 아이들을 발굴해내야 할 것이다. 수, 식 형태의 계산문제 해결능력은 비슷하나 문장제 해결능력에서 현저한 차이가 날 경우 이들의 수학부진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여 적절한 지도를 함으로써, 잠재되어 있는 수학적 능력을 키워 수학우수아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주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문장제 문제해결력을 높이기 위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문장제 해결에 있어 문제이해 중심의 수학교육 환경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문장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간과하기 쉬운 언어능력의 지도가 필요하다. 둘째, 학생들이 문제를 분석하고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언어적 기능과 수학적 기능이 필수적이므로 충분한 연습의 기회를 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다른 사람에게 문제를 설명해 보거나, 수학 일기 쓰기 등의 작문활동, 또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독해전략이나 읽기 학습을 통한 문제풀이 등의 활동을 도입해 보면 좋을 것 같다. 셋째, 단순히 언어적인 문장으로 문제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문장제 지도시에 도해 즉, 그림이나 도표 등을 사용하여 구성, 제시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방법들은 특히 추상적 언어의 특성으로 인해 문장제 자체의 의미파악에 어려움을 느끼는 중위 및 하위 집단 학생들의 지도에 유용하리라 생각한다. 아동의 동기, 학습력, 심리적 기제 등의 개인차를 고려하고 문제 해결단계의 결손요인을 찾아 적절한 전략을 수립하고 아동에게 알맞은 유형으로 문장제를 구성하여 문장제 해결을 지도하는 등 앞으로도 꾸준히 문장제 문제해결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 선의 교차와 방사의 조형미를 응용한 가구디자인연구

        오지은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디자인가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가구디자인의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디자인의 범위가 확대되면서 건축의 구조물이나 회화의 구성, 디자인 요소 등을 가구에 적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그 중 선은 가장 기본적인 조형요소이며 최소한의 디자인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나타낸다. 선은 방향, 속도, 힘, 장단, 굵기, 조밀, 굴절 등의 변화에 의해 무한한 표현이 가능하며, 이러한 선의 다양한 이미지를 응용한 디자인은 주위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다양한 선의 조형미를 평면에서 입체까지 가구에 적용한다면 독창적인 가구디자인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자들의 미적욕구를 충족시키고자 선의 조형미를 가구에 적용하여 디자인하고, 교차되거나 방사된 선의 형태가 주는 조형성과 추상성을 가구에 적용하여 다양한 가구를 디자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조형요소로서의 선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하고, 선의 조형미를 적용한 다양한 디자인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선의 다양한 조형성 중 방사와 교차를 응용하여 길이, 굵기, 방향 등의 형태의 변화는 물론, 색채의 대비, 재료의 대비를 통해 더욱 부각시킨 디자인을 선재와 면재(면과 면사이의 틈, 홈)로 전개, 콘솔, 테이블, 조명, 선반, 서랍장, 거울 등의 아이템에 적용하여 제작 완성하였다. 시제품 제작을 통해 선의 반복, 변화, 방사와 같은 디자인 요소를 가구에 적용하여 전개함으로써 시각적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었고, 기본적인 요소인 선의 변화와 재료, 컬러의 대비를 통해 좀 더 조형성을 살릴 수 있었다. 또한 선을 평면적, 입체적으로 가구에 적용함으로써, 공간감을 형성하고 조형성을 가진 가구디자인을 전개할 수 있었다. 앞으로 선의 조형성을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 가구에 적용한다면, 소비자들의 개성을 살리고 미적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 demand for design furniture has been increasing to widen the area of furniture design. As the scope of design expands, application of architectural structure or composition of paintings and design factors to design is being extended. Among them, the line is the most basic formative factor and gives the maximum effect with the minimum design. The line can create infinite expression by changes of direction, speed, strength, length, thickness, density and refraction and design applying various images of the line can be easily found around. When the formative aesthetics of various lines is applied to furniture from the plane to the solid, creative furniture design can be implemented. Therefore, this study is going to design a variety of furniture from designing by applying the formative aesthetics of the line to furniture and applying formativeness and abstract of the spun types of the line to furniture in order to satisfy the aesthetic desire of users. This study produced and completed consoles, tables, lighting, shelves, drawers and mirror from general examination on the line as a formative factor and various design cases that apply the formative aesthetics of the line and application of spinning and interaction among the a variety of formativeness of the line and development of design that is more emphasized through not only the change of shapes such as length, thickness and direction but also color contrast and material contrast to the line and the surface(face, gap between faces, groove). Through sample production, design factors such as repetition, change and spinning of the line were applied to furniture so that visual variety could be pursued and formativeness could be emphasized through line changes as the basic factor, material and color contrast. In addition, the line was applied to furniture two-dimensionally and three-dimensionally and a sense of space was formed and furniture design with formativeness could be developed. If the formativeness of the line can be applied to furniture in more various methods from now on, the design to emphasize the individualities of consumers and satisfy their aesthetic desire can be created.

      • 전문대학 학위과정 참여 성인학습자의 참여 동기 및 실태 분석

        오지은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학위과정 참여 성인학습자의 참여 동기, 평생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재참여의향, 학위과정 선택 영향요인, 학위과정 발전방안이 개인적 변수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조사·분석하는 것이다. 개인적 변수는 성별, 연령, 재직여부, 최종학력, 학과, 학년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D광역시에 소재한 Y전문대학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회수된 304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인 설문 28부를 제외한 276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은 SPSS 21.0을 사용하였으며 개인적 변수에 따른 참여 동기, 평생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재참여의향, 학위과정 선택 영향요인, 학위과정 발전방안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참여 동기와 평생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재참여의향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위과정 참여 성인학습자의 참여 동기는 학습지향형 동기가 가장 높았으며, 개인적 변수 중 성별, 연령, 재직유무, 최종학력, 전공,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평생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재참여 의향은 긍정적인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변수에 따라서는 학년, 학과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 동기와 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재참여 의향은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학습지향형 동기를 가진 성인학습자는 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재참여 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성인학습자의 학위과정 선택 영향요인으로는 입학설명회, 지인 권유, SNS 순으로 응답하였으며 개인적 변수에 따라서는 성별, 연령, 재직여부, 최종학력, 학과,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전공 선택의 이유로는 배워보고 싶어서, 향후 진로 및 구직에 대비 순으로 높았으며, 개인적 변수에 따라서는 성별, 연령, 재직여부, 학과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학위과정 발전방안에 대한 인식 중 진학 활성화를 위한 지원으로는 교육 전문성의 강화, 성인학습자 입학 관련 정보 및 홍보자료 제공, 선행학습 인정 순으로 높았으며, 성인학습자의 학교 적응을 위한 투자 분야로는 장기간 학업 공백을 도와주기 위한 보충교육 프로그램 제공, 성인학습자를 위한 학습서비스센터 운영, 맞춤형 상담시스템 운영 순으로 나타났다. 성인학습자의 고용 가능성 향상을 위한 지원으로는 성인학습자 취업을 위한 인턴십 프로그램 운영, 성인학습자 대상 취업 정보 제공, 직업능력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성인학습자들이 어떠한 참여 동기를 가지고 있는지, 학위과정에 대한 인식과 실태는 어떠한지 연구하는 것은 새로운 학위과정을 운영하거나 기존 학위과정을 발전시키는 것에 있어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학습자 개인마다 학습의 선호와 요구가 다름을 인식하고 다양한 접근 방식으로 학습전략을 세워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s of adult learners motivation, their need for lifelong education and their willingness to re-participate in college dgree programs. Participants’ demographic variables were composed of gender, age, employment status, final education, department, and grad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 learners at Y College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and 276 copies of the 304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es. A series of one-way ANOVA, cross-tabulation, and independent t-test were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need for lifelong education and willingness to re-participate.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21.0 were conduct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need for lifelong education, and willingness to re-particip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dult learners showed the highest learning-oriented motiva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job status, final degree, major, and grade. Second,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and willingness to re-participate showed a high level of positive perception,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and major. Thir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and the intention to re-participate have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each other. Fourth,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on the selection of the degree programs, were an admission information session, recommendation from friends and a social network syste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degree program selection according to gender, age, job status, final academic background, department, and grade. In addition, the adult learners had desire to learn because of their future career and job search. Lastly, the reinforcement of educational expertise, supply of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 of admission information for adult learners, and acceptance of their prior learning experiences were suggested as the suitable support for their career development. It was also suggested that supplementary education program, learning centers, and customized counseling system were needed to help adult learners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Internship availability, job inform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support for developing their job skills were also needed to provide for adult learners to increase the possibility to get a job. It is very important and essential to study what kind of motivation adult learners have to participate and how they perceive their degree program considering that these basic data can be used to develop a new degree course or to improve an existing degree course. Therefore, it suggests that learning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with various approaches, recognizing that each learner has different learning preferences and needs.

      • 시각인지에 따른 브랜드 아이덴티티 가치향상에 관한 연구 : 도시브랜드 상징적 표현요소를 중심으로

        오지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는 인류 역사와 함께 하였으며, 언제나 새롭게 변화하고 있다. 도시는 그에 속해 있는 다양한 환경들과 요소의 유기체에 의해 변하게 된다. 도시 발전과 성장에서 도시의 브랜드이미지는 정체성 확립은 물론 가치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가운데 도시브랜드 상징적 표현 요소들이 도시 이미지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그 중요성이 크다. 도시브랜드 상징적 디자인요소들은 투자자와 방문객은 물론 거주자에게 호의적 또는 비호의적 감정을 형성하거나 자극하는데 중요한 매개체가 되고 있다. 국내는 물론 세계의 각 도시들이 상징적 도시브랜드디자인을 위해 심혈을 기울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도시브랜드의 상징적 디자인은 관광객 증대나 상업적 매출, 수익증가에 기여하며, 도시이미지 마케팅의 대표적 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효율적 브랜드 상징디자인을 통해 경쟁도시와의 경쟁력 확보나 차별화를 통해 거주자는 물론 방문자의 호감, 선호도를 높일 필요성이 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도시의 상황과 발전 단계에 따라 전략적으로 기획하고 만들어진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성요소들을 분석하고, 둘째, 시각인지론을 바탕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도시브랜드의 가치향상에서의 영향력을 알아보고, 셋째, 효율적인 도시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키는 상징 표현디자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진행은 도시의 시대적 정의와, 학자들의 연구내용에 따른 정의 등 이론적 고찰과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성요소를 탐색하였다. 특히 시각인지가 도시브랜드의 상징과의 관계성과 영향력을 파악보기 위하여 시각의 역동적 특성과 물리적 측면에 대하여 살펴보고, 시각 정보처리과정을 알아보았다. 인간은 시각인지의 흐름에 따라 대상을 인지할 수 있다. 먼저 물리적 에너지를 통해 인간의 눈으로 대상이 전달되고, 눈으로 전달된 도시브랜드는 시각피질을 통해 도시브랜드의 각 구성요소를 파악하게 되며, 대뇌피질의 브랜드의 정보처리와 통합작용을 통하여 도시브랜드를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인간이 어떠한 대상을 받아드릴 때 자신이 알고 있는 기본 지식이나, 기억 속에 잠재하고 있는 무언가를 연상하여 그 대상과 대응하여 받아드린다는 이론에서 시작되었다. 이는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시각적으로 인식 할 때 도시의 특징과 특색을 떠 올리게 되는 것과 관계를 지니고 있고 인지요소에 따라 도시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자는 시각인지에 따라 도시브랜드 상징이 브랜드 가치를 향상할 것임을 제시하였으며, 이론적 내용과 조사 내용에 따른 설문지를 작성, 배포, 분석을 통해 시각인지에 따라 브랜드아이덴티티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논하였다. 브랜드와 브랜드 아이덴티티, 도시브랜드의 상징적 표현요소, 시각인지 등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고찰과 시장 현황 등은 국내외 문헌 연구와 기존 유사 논제에 관한 선행 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실증적 분석은 국내 16개의 도시브랜드 상징을 기초로 로고, 슬로건, 컬러, 그래픽요소 등의 도시브랜드 상징의 구성요소와 도시의 이미지, 특징, 명소, 차별화, 비전 등의 도시브랜드 인지요소를 세분화 하여 분석하였으며, 도시브랜드 상징을 고려한 도시인식과 고려하지 않은 도시인식의 차이를 바탕으로 구성요소와 인지요소에 따른 브랜드 아이덴티티 가치향상의 영향을 탐색하였다. 분석의 정확성을 위하여 거주자 및 방문자의 반응을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사용된 통계방법은 기술통계, 빈도분석, 회귀분석, Paired Samples t-test, One-Way ANOVA 분산 동질성 검사 등을 통하여 분석내용을 입증하였다. 위의 연구 방법을 통해 연구 문제의 가설 검증은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 시각인지에 따른 도시브랜드 상징은 거주자 및 방문자의 도시인식을 변화시킨다, 둘째, 도시브랜드 상징의 요소가 차지하는 중요도는 다를 것이다. 셋째, 시각인지에 따른 도시브랜드 상징의 인지요소가 브랜드 아이덴티티 가치향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3가지이며, 연구 결과 요약하면 첫 번째는 사람은 도시브랜드 상징을 볼 때 브랜드네임, 로고, 컬러, 그래픽과 같은 도시브랜드 상징의 구성요소보다 도시를 표현 할 수 있는 도시의 특징, 명소, 비전, 이미지와 같은 인지요소를 먼저 떠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인지는 어떠한 대상을 인지하는 과정에 있어, 대상을 통해 대응 되는 것을 연상하는 것이며, 도시브랜드 상징의 구성요소는 그 도시를 대표하는 요소로서 시각인지과정에 따라 도시브랜드 상징을 정립한다면 거주자 및 방문자는 도시에 대한 이미지를 구체화 시키고 도시에 대한 특징을 인식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각인지에 따른 도시 브랜드 상징은 거주자 및 방문자의 도시인식을 구체화 시킨다고 할 수 있겠다. 두 번째는 도시브랜드 상징요소의 중요도에서 유의 수준은 5%내에서 Sig값이 0.000으로써 도시브랜드 상징의요소가 차지하는 중요도는 모두 다르다고 할 수 있겠다. 이는 거주자나 방문자가 시각적으로 도시브랜드를 인식 할 때 각 요소의 역할이 모두 다르다는 것을 증명 하였다. 세 번째는 시각인지 작용인<물리적 에너지→도시브랜드 상징의 구성요소→도시의 인지요소→도시브랜드인식>과 같은 과정에 있어 인지요소는 도시의 이미지, 특징, 명소, 차별화, 비전 등을 통해 효과적으로 도시를 표현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거주자 및 방문자에게 도시를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거주자와 방문자의 인식도가 높아지면 사람들은 해당도시에 관심을 갖게 될 것이며, 방문자 수의 증가로 유동인구가 확장될 것으로 이는 곧 도시의 가치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시각인지에 따른 도시브랜드 상징의 인지요소가 브랜드 아이덴티티 가치향상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시각인지에 따른 브랜드아이덴티티의 가치향상을 연구하기 위한 논문으로서 거주자 및 방문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통해 도시 브랜드 가치향상에 있어 시각인지과정에 따른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요소가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시브랜드 상징의 시각인지에 따른 발전 전략을 통해 거주자 및 방문자의 도시의 인식을 구체화 하고, 시각인지 과정의 인지요소 과정을 체계화 하여 도시브랜드 상징에 대한 명확한 이미지 구축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발전시켜야 할 것을 강조하는 바이다. 나아가 세계의 도시시장에서 국내 도시브랜드 점유율이 상승하도록 도시브랜드의 가치를 확장시켜 나가길 기대한다.

      • 대규모점포 입점이 주변상권에 미치는 영향 : 이랜드리테일 NC구로점을 중심으로

        오지은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이랜드리테일 NC구로점의 입점으로 인하여 반경거리별 상권의 업종별 경영 현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데이터에 기반한 공정한 관점에서 서울시 구로구 이랜드리테일 NC 구로점 신규 입점으로 인해 주변 상권에 미치는 업종별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대규모 점포가 입점하는 지역 상권에서 소상공인들과 함께 나아가야할 상생 방안 및 전략에 대하여 제안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현재 서울지역 대규모점포의 다점포화 전략 및 무분별한 입점에 따라 다자간의 경쟁 관계로 진입되며 유통기업 및 중소유통업체의 경영난이 가중되고 지역유통환경 악화에 따른 지역경제침체 및 양극화현상이 가중되고 있음에 따라 통계청, 나이스지니데이터 카드사 데이터에 근거하여 서울지역의 대규모 점포 현황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대규모 점포의 입점 전후에 따라 업종별 매출액, 매출건수 등의 경영성과 등을 분석하여 향후 소상공인과 대규모점포, 지역상권의 유통업의 상생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대규모 점포의 입점 후 1년간 대부분의 업종에서 입점 이전 대비 경영성과의 악화가 발생하지만, 입점으로 인한 경영성과 하락은 초기 6개월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대규모 점포와 인근 상권 지역에서 영업 업종에 따라서도 영향력이 달라짐을 알수 있다. 최근에는 대형마트와 백화점 등 대표적인 오프라인 유통은 침체되는 반면, 그 자리를 온라인 유통이 빠르게 점령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형유통사들은 오프라인 유통과 함께 온라인 유통을 결합한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이고 있고 있는 상황이다. 과거 대규모 점포의 입점이 전통시장에 국한하여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에서 최근에는 전통시장을 포함한 인근지역의 골목상권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영향을 긍정적으로 타개하기 위해서는 민관차원의 상생 협력이 지속 되어야 한다. 지속적인 상생 활동에 대한 내부 인식을 높이고 성공사례를 만들어 점차 확산하는 전략이 유리하며 지원제도 효과 지속을 위해 사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협동조합 설립 등을 통해 자영업자 자력으로 지원효과를 지속할 수 있는 수익모델 발굴 및 지원 필요하다.

      • 지역공공도서관 역할에 관한 사서인식 연구

        오지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역 공공도서관에 있어서 지식정보화시대의 도래는 지역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환경을 급속도로 확산시켰으며 민선 지방자치제의 도입으로 지역 공공도서관은 양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식정보화시대의 도래로 인한 지역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환경의 확산과 양적인 공공도서관의 성장은 지역 공공도서관의 역할은 무엇인가에 대한 새로운 고민과 과제를 안겨주게 되었다. 사회의 변화와 정보의 다양화 속에서 지역 주민들은 지역 공공도서관이 보다 다양하고 적극적인 역할을 하여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그 역할을 정보센터, 교육센터, 문화센터, 복지센터, 커뮤니티센터로 다섯 가지로 나누고 연구 대상 지역 공동도서관 현장에서 근무하는 사서의 공공도서관 역할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함으로써 변화하는 환경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공공도서관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외의 문헌연구, 서울특별시 소재 9개 지역 공공도서관의 현황 자료 분석 및 개인면담, 그리고 9개 지역공공도서관에 근무하는 124명의 사서를 대상으로 지역 공공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조사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대상 지역 공공도서관의 다섯 가지 역할에 대한 현재 서비스 비중은 정보센터로서의 역할, 교육센터로서의 역할, 문화센터로서의 역할, 복지센터로서의 역할, 커뮤니티센터로서의 역할 순으로 비중을 두고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공공도서관의 역할 변화의 필요성에 대하여는 조사대상자의 절대 다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나타내었다. 향후 지역공공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해 사서들이 인식하는 미래 지역 공공도서관의 중점역할은 정보센터로서의 역할, 커뮤니티 센터로서의 역할, 교육센터로서의 역할, 문화센터로서의 역할, 복지센터로서의 역할 순으로 비중을 두어 수행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설문 결과를 종합하여 사서들이 인식하는 미래 지역 공공도서관의 역할수행 방향은 아래와 같다. 첫째, 지역 공공도서관 중점 역할에 대하여는 미래에 있어서는 커뮤니티센터, 문화센터 및 복지센터로서의 역할이 현재보다 더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정보센터로서 역할에 있어서는 미래에 있어서는 단순한 도서정보제공에서 벗어나 지역주민이 생활하는데 필요한 생활편의 정보제공 서비스와 전자도서관 운영 및 민간정보기관과 연계한 정보 접근점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더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교육센터로서 역할에 있어서는 사서들은 현재의 다양한 연령과 대상을 상대로 한 정기적 강좌운영 및 지역사회 독서진흥을 위한 독서교육프로그램 운영 서비스가 미래에서도 변함없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문화센터로서 역할에 있어서는 미래에는 현재보다 더 여가생활을 위한 레저 및 스포츠프로그램 운영과 도서관 내 공연 및 전시시설을 활용한 공연예술프로그램 운영 서비스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복지센터로서 역할에 있어서는 미래에는 다문화 가정, 장애인에 대한 보다 집중적인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커뮤니티센터로서 중점서비스는 미래에는 주민들의 참여의 장을 마련하기 위한 자원봉사센터 운영 및 지역사회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각종 지역모임 지원 서비스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지역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지역공공도서관의 역할 수행에 있어서 지역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단순한 대상이 아니라 지역공공도서관을 같이 발전시켜야할 파트너로서 인식하고, 그들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지역 공공도서관 이용자인 주민의 욕구 뿐 아니라 지역 공공도서관이 기반하고 있는 구체적 지역성에 기반을 둔 특화된 내용과 프로그램 등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