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聖靈論 四大論爭點 考察

        裵勝彦 베뢰아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기독교 신앙은 성령의 역사로부터 비롯된다. 오늘날 한국 교회 현장에 나타난 성령 운동은 그 본래적인 진실한 면모보다는 상당히 혼란스러운 형편으로 변질되어 가고 있다. 그러므로 성령의 사역과 은사에 대해 성서 중심의 하나님 경륜적, '성서 중심 주제적' 바른 이해가 필요한 때이다. 1. 성령론에 대한 역사적 고찰 초대 교회의 관심 분야는 주로 기독론에 있으며 기독론이 신학의 주류를 형성했던 이유 중의 하나는 가현설(docetism)을 주장하는 영지주의, 신비주의적 성령 운동으로 알려진 몬타니즘(Montanism) 때문이었다. 그 당시의 성령론은 조직적이거나 체계적으로 정립되지는 않았으며 성령의 사역이나 역할보다는 주로 삼위일체의 개념에 관심을 두고 있는 때였다. 따라서 세 명의 갑바도기아 교부들(Basil the Great, Gregory of Nyssa, Gregory of Nazianzus)에 의해 성령의 신성이 확정되고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에 반영되어 '성령은 삼위일체의 한 위(位)이며 성령은 아버지와 아들과 본질적으로 동등한 존재이다'는 진리가 확정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성령이 아버지뿐만 아니라 아들에게서 나온다는 필리오케(filioque) 교리 문제로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가 양분되어 의견일치를 보지 못한 상태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종교개혁 시대의 성령론은 성령을 성경의 저자로서 이해하는 것과 말씀을 통하여 인간을 구원하고 거룩하게 하는 존재로 성령을 이해하는 것이 특징이다. 개혁 전의 카톨릭은 성례(sacrament)를 통하여 속죄의 은혜와 성령의 은사가 주입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개혁자들에 의해 이러한 왜곡된 성령론이 개혁되고 교황과 교회 의식의 권위대신에 오직 성경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여 그 시대에 맞게 적절히 해석된다. 그러나 이들의 성령론이 지나치게 주지주의적이며 편향된 성령 이해를 가지고 있어서 역동적인 은사들에 의한 방언, 신유, 축사 등이 부인되고 이러한 경향을 답습한 정통 주의 신학의 성령론은 정적(靜的)이 되어 칼빈주의 성령론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교조화된 정통주의에 대하여 독일을 중심으로 경건주의가 일어나 성령으로 말미암아 신자의 내적인 신앙, 회개, 중생, 성화를 강조하게 된다. 경건주의 성령론의 특징은 성령의 개인적이며 직접적인 사역을 중시하여 선교의 영으로서 성령의 사역만을 강조하며 신학적인 문제나 결과에 관심을 두지 아니하여 신학적으로 새로운 성령론을 발전시키지 못한 결과였다. 19세기의 자유주의 신학과 이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났던 신정통주의 신학과 칼 바르트(Karl Barth), 루터계의 조직신학에서도 성령론이 도외시되거나 경미하게 취급되어 왔다. 그러나 성경을 그대로 믿고 인정하는 사람들에게 성령이 역동적으로 현현하여 오순절운동이 일어난 것이며 은사주의 운동, 제 3의 물결로 이어져 발전하고 있으며 성령론을 신학의 중심 주제로 이해하는데 중대한 역할을 하게 된다. 2. 성령론에 대한 성서적 고찰 성령의 사역에 대하여 성서적으로 고찰해 보면, 구약 시대는 성령이 선택된 사람에게만 임하였고 잠정적으로 주어지고 떠날 수도 있었으며 옛 언약 아래의 성도들에게 임재하여 영적인 예배를 드리도록 감화, 감동시켰다. 그리고 성령이 만민에게 부어질 것과 새 언약하에 있는 자들 위에 영원히 머물 것과 사람의 마음 속에 임하여 그를 새롭고 거룩하게 함과 새 언약의 중보자 메시아에게 임할 것이 예언되었다. 신약 시대 성령의 사역은 예수의 탄생, 침례, 공생애 사역, 복음 전파, 십자가 사건과 부활 등 전 과정이 성령의 능력을 통하여 성취되었다. 오순절 날이 이르매 새 언약을 실행하기 위한 성령의 공적인 강림의 목적은 성도들에게 위로부터의 능력을 입게 하고 성도들이 권능을 받아 온 세상에 그리스도의 증인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교회를 형성하기 위해서만 아니라 형성된 교회에 능력을 부여하기 위해서였다. 성령의 침례는 각 사람 위에 성령이 임하므로 하나님의 놀라운 은혜에 잠기는 것을 의미하며 그 결과가 성령의 충만으로 나타났던 것이다. 성령은 성부 하나님으로부터 성자 그리스도가 보내는 것이며 성령의 침례, 인침, 보증은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다. 중생은 순간적으로 일어나며 성령이 인간의 영혼 속에 새 생명의 원리를 심고 영혼의 주도적 성향을 거룩하게 하는 최초의 주관적 사역이며 중생을 통하여 성령이 인간에게 임재하고 그 후에 내주한다. 중생은 성령이 우리 안에 행하는 사역이지만 성령 침례는 예수 그리스도에 의한 성령의 부어줌이다. 3. 성령론 4대 논쟁점과 그 비판 성령 침례는 중생과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시간적 간격을 두고 일어난다. 성령 충만은 은사 충만과 능력 충만이 있는데 은사 충만은 인간의 지·정·의가 성령의 감화, 감동 아래에 있는 상태나 조건을 의미하며 능력 충만은 임무 수행을 위해 특별한 경우에 주어지는 성령 충만이다. 오순절 사건은 단회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성령에 관한 약속의 보편성이 성도들 개개인에게 주어졌다는 점에서 오늘날도 오순절 강림과 같은 동질의 성령이 계속 나옴을 증거한다. 오늘날 현대 그리스도인들은 일반적으로 표적과 기사는 사도 시대의 종료와 더불어 종식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표적과 기사는 종식될 수 없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사도 시대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계속하여 일어나고 있다. 성경에는 성령의 은사들이 사라졌다는 말이 전혀 없다. 교회의 덕과 유익을 위해 성령의 은사들을 인정하고 복음 사역을 돕는 보조 사역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구약과 신약에 나타난 성령의 사역 형태에 다소의 차이가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구약에서의 성령의 사역 형태는 외부적, 특수적, 예언적임에 대하여 신약에서의 성령의 사역 형태는 외부적, 내면적, 일반적, 예언의 성취적이라 할 수 있다. 바울 서신을 기초로 한 개혁주의 성령론은 성령의 역동적인 사역을 배제한 성령론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이 20세기의 신정통주의 신학과 연결되어 성령론은 조직신학의 극히 작은 부분으로 취급되고 구원론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인본주의적 성령론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누가 저작을 중심으로 한 성령 운동하는 그룹들은 성령으로 말미암은 이적, 신유, 축사 등 외부로 드러나는 현상에만 관심을 집중하기에 신비주의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요한의 성령 이해는 성령이 예수 그리스도의 하나님 아들됨과 아버지의 뜻대로 겸손과 순종으로 사역하고 마귀를 진멸하며 인간 구원을 성취함을 변호하고 증거하는 보혜사임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인본주의적인 신학적 한계와 체험 지향적 신비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하나님의 전체적인 경륜을 중시하는 요한 서신을 기초로 하여 균형 잡힌 성령의 이해가 있어야 할 것이다. It is beginning at the work of the Holy Spirit in the Christian faith. The movement of the Holy Spirit that show on the spot of Korean churches is deteriorated fairly in the confused situation from its original f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correctly theocentric and biblical understanding about the work and grace of the Holy Spirit. 1. Historical study on pneumatology The interest aspect of early church was concentrated mainly on the Christology, and one of the reason that constituted the main current of theology was due to Gnosticism asserted by docetism and Montanism known to the movement of mystical Spirit. The pneumatology of those days was not stand systematically but was interested in more the concept of Trinity than the work of the Holy Spirit. Accordingly three Capadocian Fathers(Basil the Great, Gregory of Nissa, Gregory of Nazianzus) confirmed divinity of the Holy Spirit and reflected on the Niceano-Constantinoplitan Creed and the Holy Spirit is one person of Trinity. The truth that equal to God the Father and God the Son substantially was confirmed. In the middle ages, problem of filioque doctrine that processed not only from God the Father but also God the Son has caused for separate east church into east church because of disagreement in their opinions up to today. In the ages of Reformation, it is the feature to understand the Holy Spirit into the author of the Holy Scripture and the existence to save human and make human to sanctify through the Word. Catholic Church prior to Reformation was understood to infuse the grace of atonement and of the Holy Spirit through sacrament. Therefore, this distorted pneumatology was reformed by reformer and was maintained to back to only the scripture instead of the authority of the Pope and a rite, and then it was to fit with the appropriate exegesis in the Holy Scripture in Sitz im Leben. But These pneumatology was very intellectualism and inclined in the comprehension of the Holy Spirit. Because of these reasons, dynamic graces of the glossolalia and divine healing and demon-ousting were denied, and then the pneumatology of orthodoxy theology followed these tendency was statical. This tendency was seriously disclosed in the pneumatology of Calvinism. Against to these dogmatized orthodoxy, pietism centered in the Germany arose and they emphasized inward faith, penance, regeneration, sanctification of the believers caused by the Holy Spirit. The characteristic of pietism pneumatology was attached importance in individual and direct work of the Holy Spirit. the result that was not interested in the thelogical issues and effects, only emphasized the work of the Holy Spirit for the missionary Spirit, the pneumatology was not developed. In nineteenth century Liberalism theology and Neo-Orthodoxy theology and Barthianism and Lutheran systematic theology, the pneumatology was disregard and worthless. But the Holy Spirit was dynamically present to peoples who believed and acknowledged the bible in their heart frankly. Eventually Pentecostal Movement arose and Charismatic Movement and the Third Wave was combined. These movements influenced largely to the undertanding for the pneumatology into the main theme of theology. 2. Biblical study for the pneumatology Researching for the work of pneumatology, the Holy Spirit particularly presented to the peoples was selected, was sent potentially, could be leaved, and presented the saints who was laid under the Old Covenant and was influenced by the Spirit and was had moving of the Spirit to make them serve the worship. It was prophesied to be poured to all the peoples by the Spirit, to stay enternally to the inside heart of the peoples under the New Covenant, to make them renew, sanctify, and to be presented to the intercessor of new covenant. In the new ages, the work of the Holy Spirit was achieved to the birth, baptism of Jesus, the work of public ministry, proclamation of the gospel, crucifixion, resurrection etc. in all process. When the pentecostal day coming, the purpose of descending Spirit public made the saints wear power from the heaven, receive power and then to be a witness, and endow the power not only to build up church but also already formed church. The baptism by the Holy Spirit is meaning of being soaking by the marvelouis grace of God due to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consequently peoples were filled with the Holy Spirit. The Holy Spirit was processed by the God the Father, sent by the God the Son, and baptism, sealing, assurance are homogeneous. Regeneration arises momentarily and the Holy Spirit plants the principle of new life into the human soul and first subjective work to sanctify leading disposition of soul and after the Holy Spirit is descending on the believers is indwelling. The regeneration is the working of inside the human soul but the baptism in the Holy Spirit is pouring of the Spirit inside the human soul. 3. The demonstration about four kinds of arguments for pneumatology Through baptism in the Holy Spirit arise simultaneously, generally it arises at the time intervals. The fullness to the Holy Spirit is divided to the fullness of charisma and the power, the fullness of the grace is meaning of the condition and the situation under the influence and moving of the Holy Spirit inside the human soul, but the fullness of the power is meaning of the fullness in the Holy Spirit that is specially given to the evangelists' mission. Although the Pentecost descent of the Holy Spirit has a sense of one time, in the point that catholicity of the promise by Him was given to each saint, it is proved that homogeneous Holy Spirit stem out continuously today. In this present day, modern christians generally say that both the sign and wonder has ceased but though it has a few degree from apostolic age to these days, it arises continuously. We have never found the news that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disappeared. We have to try to acknowledge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and to gospel ministry. Consequently, we have never passed over some difference between the ministry form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Although in the Old Testament the ministry form of the Holy Spirit is the exterior ministry of the believers, characteristic, predictive ministry. But the ministry form of the New Testament can be exterior, interior, catholic ministry and predictive achivement. Reformed pneumatology based on the Pauline Epistles was constituted the pneumatology removed form the dynamic Holy Spirit. This current was combined with the Neo-Orthodoxy theology, the pneumatology was dealt with the extreme tiny section and it could not be escaped form the limitation of anthropo-centricism for the pneumatology that centered into soteriology. And the reason that the groups centered the writings of Luke and exercised the Charismatic movement had only interesting in the circumstance that only exposed out in the sign, divine healing, demon-ousting, etc. They have dangerous mysticism. But in the comprehension of the John for the Holy Spirit he emphasis the Paraclete that Jesus Christ become the Son of God and minister humanity and obedience at Father's will, and crushed down the Devil and advocate, witness achievement of human soteriology. Therefore we overcome the limitation of anthropo-centricism and of experience oriented mysticism, we have to try to understand balanced apprehension based on the Epistles of John taken the serious view of all dispensation of God.

      • 칼빈의 성령론 : 성령의 위격과 사역에 대한 고찰

        박현국 총신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고는 칼빈의 성령론을 중심으로 하여 성령 하나님의 위격과 사역이라는 주제에 대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이해와 더불어 온전한 성령신학의 정립을 위한 방향성을 타진하고 그 초석을 놓기 위해 시도되었다. 칼빈은 성령론(Pneumatology)을 주제로 별도의 저술이나 논문을 발표한 바 없으므로 본고는 주로 칼빈의 탁월한 교의학 저서인 『기독교강요』를 중심 텍스트로 삼고 이에 덧붙여 칼빈의 『성경주석』을 비롯한 다양한 저술에서 성령과 관련된 논의들을 연구대상으로 관련 내용들을 고찰하며 칼빈 이후로 지금까지 등장한 여러 신학자들의 다양한 연구의 성과물들도 함께 고찰과 연구의 범위와 방법으로 삼았다. 성령의 위격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칼빈의 삼위일체론와 성령론의 관계를 살펴 본 후 칼빈의 삼위일체론의 성격에 근거하여 성령론을 이해하게 되었다. 칼빈은 고전적인 삼위일체론을 계승하고 있는 바, 그의 신학에서 성령은 삼위일체의 한 위격이시며 신성을 동등하게 소유하시고 삼위일체 하나님이신 분이시다. 또한 성령과 성부와의 관계, 성령과 성자와의 관계, 성령의 하나님 되심에 대한 성경의 분명한 증거들을 논거하고 성령을 표상하는 성경의 기록들을 확인해 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성령의 신비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성령의 사역에 대한 이해에서는 성령사역의 원리를 찾아보고 성령의 창조사역과 일반은총에 대하여 칼빈이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 성경의 영감과 성령의 사역과의 관계를 고찰하면서 성경에 대한 성령의 내적 증거와 성경의 영감과 권위에 있어서 성령의 역할이 어떠한가를 고찰하였다. 예수님의 구속사역과 성령과의 관계에서는 성육신, 세례, 사역, 십자가, 부활, 승천 등의 예수님의 구속사역과 성령이 어떻게 상호 관련되며 교통하고 있는지를 확인해 보았다. 이어서 신자의 구원과 성화를 위한 성령의 사역에서는 구원에 있어서 성령의 적용사역과 증거 및 중생의 의미를 살펴보고 그리스도인의 삶이라 할 수 있는 성화 부분을 칼빈의 바울신학 계승이라 할 수도 있을 독특한 개념인 ‘자기부정’과 ‘십자가를 지는 것’ 안에서 고찰해 보았다. 교회와 목회를 위한 성령의 사역에 대해서는 성령과 교회의 관계, 교회를 위한 성령의 사역과 더불어 교회의 목적과 기능을 살펴보고 성례전과 성령의 관계 속에서는 성례전의 정의와 효능 및 칼빈의 성례론과 세례, 성찬, 그리스도와의 일치, 성령 안에서의 일치 등의 주제를 고찰하였다. 이와 더불어 성령과 은사 및 목회를 위한 성령의 사역으로 목회자의 소명, 설교사역, 성경해석, 설교의 효력 등에 관계되는 성령의 역할을 다루었다. 고찰을 통해 확인된 칼빈의 성령론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칼빈은 전통적이면서도 추상화되지 않은 성령론을 주장했다. 둘째, 칼빈은 성령의 인격과 신성을 강조함으로 삼위일체의 한 위격으로서의 사역을 강조했다. 셋째, 칼빈은 한편으로는 루터파의 경향도, 다른 한편으로는 재세례파와 열광주의자들의 경향도 비판하고 말씀과 성령의 밀접한 관계를 주장했다. 넷째, 칼빈은 성령의 개인 체험적 측면을 강조하면서도 동시에 그리스도의 교회를 위한 사역에 더 강조점을 둠으로써 교회 중심의 실천적 성령 사역에 집중했다. 성령은 항상 말씀과 함께 역사하신다. 말씀이 선포되는 현장마다 생명의 역사, 성령의 역사가 나타난다. 우리가 칼빈의 성령론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그는 모든 신학, 특히 성령론을 펼쳐 나감에 있어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그 중심에 두고 있다. 또한 성령론에 대한 모든 사고와 논증과 연구의 토대와 전체 지평을 성경에 입각하여 전개시키고 있다. The view on the Holy Spirit has so much influences on the theology and faith in the Christian Religion. We have the various patterns of theology and faith because there are many a view of the Holy Spirit in the church. So many different ideas on the Holy Spirit may confuse believers. There are many people in the church who speak of the Holy Spirit through his experience. The Christian Churches had been not unified in one due to disperssion of understandings on Holy Spirit. Under such a recognition, I, the writer of this essay will illuminate Calvin's view of the Holy Spirit to hold the centered position in the outlooks on the Holy Spirit, and state what is desirable the view of the Holy Spirit coming. I will illuminate what is Calvin's view of the Holy Spirit through Calvins's Christian Institues and Calvin's Commentary on the Bible, dividing the existence of Person from the work of the Holy Spirit. So I will bring out a conclusion with remarkable the standard understanding on the Holy Spirit by Calvin's view. Calvin's view on the Holy Spirit stands on the focus of the Being of Person in the Trinity. The Holy Spirit is God of the third Person in the Trinity according to the decision of the term, concept, and relation on 'substance' and 'person'. The Holy Spirit took the role to purify human spirit, related the Holy Spirit to God with 'procession'. Calvin's view of the Holy Spirit sets the Bible in the center of the theory. He has such a view accept in the center that the Bible vivified by illumination of the Holy Spirit testifies. Therefore in his view, the Holy Spirit is God who has Godhead and Person in the existential aspect, the Worker of creation and salvation in work. He states that the Holy Spirit receive glorification with the Father of heaven and the Son equally. Also the Holy Spirit acts through and with the Word freely, and makes the means of grace be effective. Calvin who is theologian and pastor of the Holy Spirit have preserved the view of the Holy Spirit testified by the Word. Understandings on the Holy Spirit in the modern church lost the ground of the Bible, and exposed a tendency to run towards subjectivistic, emotional, selfish and self-centered outlook on the Holy Spirit. Modern believers have a understanding that the Holy Spirit's work is mysterical feelings or abnormal experiences. In fact they deny the Person of the Holy Spirit disappear. Certainly such the understandings on the Holy Spirit differ from Calvin's understanding. Calvin's view of the Holy Spirit sets the position to guide various views mediately not to incline towards one side, for it is discussed the being and work of the Holy Spirit with the Bible in the center. He developed the understanding on the Holy Spirit through the testimony of the Bible, and conveyed many of their theological works coming generations. The views of the Holy Spirit have an effect upon a theology and faith. Mystic or secularistic understandings on the Holy Spirit appear in church with the patterns of the theology and faith variously. It needs us, the Christians to posses the view of the Holy Spirit not to confuse, not dry, and not indulge in immanent view. In such an aspect, it is very meaningful that we study on Calvin's view of the Holy Spirit. The desirable view of the Holy Spirit must be decided by the Bible. Calvin has made way on the ground of the Bible for us, believers who want to maintain the right outlook on the Holy Spirit.

      • 존 오웬의 성령론을 통한 성령의 특수 사역과 중생 사역 연구

        최근진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6

        현대는 성령론에 대한 관심이 가장 큰 시대로서, 현대 교회에서는 정통신학에서 벗어난 성령의 이해에서 비롯된 성령운동에 의해 신비주의나 열광주의, 그리고 은사주의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개혁주의 성령론을 회복하는 방법은 역사적 개혁주의의 기틀 안에서의 성령론을 회복하고, 그 성령론에 근거하여 오늘날에도 적용 가능한 성령론을 세우는 것이다. 존 칼빈이 『기독교강요』를 세상에 내놓으면서 구원론의 한 부분으로서 성령론의 기초를 세웠으나, 제대로 된 종합적인 성령론이 나오지 않았다. 그로부터 100여년이 지난 후에 존 오웬은 그의 『개혁주의 성령론』을 세상에 내놓았다. 칼빈의 토대 위에 오웬은 성령론을 저술하였는데, 칼빈처럼 성령의 칭호를 설명하지만 칼빈보다는 본질적인 측면에서 성령의 정체를 밝혔고, 칼빈처럼 성령의 사역을 구원에다가 중심을 두지만 칼빈보다는 확장하여 특수 사역으로서 창조와 그리스도와 관련된 부분까지 다루었으며, 칼빈이 다루지 않았던 은사를 성경 전체를 통하여 소개하고 있다. 즉, 오웬은 칼빈에 근거해서 성령론을 말하되, 칼빈보다 더 조직적이고 폭넓은 성령론을 말하는 바, 지금까지의 어떤 성령론보다 탁월한 성령론을 저술하였다. 그러나 오웬 이후의 근-현대사회와 함께 이성의 능력을 우선시하고 절대시하는 합리주의에 밀려서 당시의 개혁주의는 성령의 사역을 중요시하지 않았으며, 구원사역의 한 부분만을 중심으로 담당하시는 것으로 축소하여 제한된 시각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성령의 사역을 은사가 중심이 되는 사역을 중심으로 삼은 왜곡된 시각을 가진 군소종파의 교리에도 주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개혁주의 안에서도 다시 오웬의 성령론으로 돌아가서 재점검해야 하며, 오웬의 성령론에 근거하여 개혁주의 성령론을 올바르게 정립해야 한다. 존 오웬의 성령론에서 드러나는 특징 중에 가장 큰 특징은 성령의 특수 사역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성령의 사역의 범위를 창조, 그리스도의 성육신과 교회, 그리고 성경의 기록에까지 확장하였다. 성령의 특수 사역으로서의 창조와 재창조, 그리고 보존사역과 함께 구원사역으로서 중생사역을 포함하는 전우주적인 사역을 오웬은 설명하면서, 그는 성령론을 체계적으로 적용하면서 성령론에 대한 독보적인 자리매김을 하였다. 그러나 성령의 주된 사역은 구원이기 때문에 오웬은 중생을 크게 강조하였다. 성령이 예수의 영으로서,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예수님의 관계처럼, 성령은 예수님께 속한 자들에게 ‘하나님의 아들 됨’을 중개하시는 ‘양자의 영’이 되신다고 강조한다. 삼위 하나님의 외적인 사역은 완전히 분리될 수 없으므로 성령 역시 성부와 성자와 함께 일하시며, 특별히 인간의 구원에 대하여 일하신다. 따라서 기적적인 은사만을 강조하는 것은 성령의 사역을 다른 위격들의 사역과 분리된 것으로 착각할 수도 있고, 또한 구원보다 구원의 열매를 우선시하는 것과 같은 식의 위험성이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오웬은 성령의 특수 사역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통하여 체계적인 성령론을 보여줌으로서, 성령론의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였다. 일반적으로 신론에서 다루었던 창조사역을 성령론의 관점에서 접근하였고, 기독론에서 다루었던 그리스도의 인성을 성령론의 시각에서 보완하고 재구성하였으며, 교회론에서 다루었던 그리스도의 몸을 성령론의 관점에서 조명하였고, 또한 성경의 기록사역을 성령의 사역으로 강조하고 있다. 그리하여 우리가 보지 못했던 부분들을 새롭게 안내하며 폭넓게 볼 수 있게 이끌어준다. 결과적으로, 오웬은 구원이라는 주제의 중심에 성령의 사역을 둠으로서 성경적인 성령론을 정립하였으며, 개혁주의와 칼빈의 신학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견고하고 심도 있는 성령론을 건설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의 성령론을 따라 성령을 온전히 믿고 의지함으로서 우리는 성령의 시대를 주도해야 한다.

      • 요한복음의 성령론 연구 : 구약과의 관계에서 본 새로운 구속사적 해석의 탐구

        송영의 총신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806

        본고에서는 요한복음의 성령론이 가지고 있는 두 가지 성격을 함께 고찰한다. 첫째는 요한복음의 성령론이 가지고 있는 구약적 배경을 찾는 것이고, 둘째는 그것의 구속사적 성격을 밝히는 것이다. 제1부에서는 먼저 기존 연구사를 개관하면서 최근의 각 연구 방법론을 대표할 수 있는 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기존 연구 방법론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드러냈다. 그들은 Hans Windisch, Rudolf Bultmann, Charles Harold Dodd, Günther Bornkamm, Otto Betz, U. B. Müller, Siegfried Schulz, Felix Porsch, Gary M. Burge, and Max M. B. Turner다. 그 다음에는 그 대안으로서 성경신학에 바탕을 둔 구속사적 해석과, 비유적 표현에 대한 언어학적이고 문학적인 해석을 제시했다. 제2부에서는 요한복음의 성령론이 가지고 있는 맥락을 두 가지로 나눠 고찰했다. 첫째로, 요한복음의 성령론이 담겨 있는 요한복음 전체의 문학적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로, 요한복음의 성령론의 배경이 되는 구약 성령론의 성격에 대해 고찰했다. 여기서는 세부적으로 1) 구약의 루아흐x;Wr가 가지고 있는 언어학적 의미와 신학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 2) 구약의 성령론을 (1) ‘창조의 영,’ (2)‘언약의 영’(‘구원의 영’과 ‘카리스마적 영’), (3) ‘새 언약의 영’(‘메시야의 영,’ ‘새 창조의 영’과‘예언의 영’)으로 나눠 개괄하며 요한복음과의 연결 고리를 찾아보았다. 제3부에서는 요한복음의 성령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비유적 표현과 구속 사적 의미를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첫째로, ‘메시야의 영’의 강림에서는, 성령께서 메시야의 구속성취의 원동력으로서 예수께 강림하신 것에 대해 살펴보았다. 예수께서는 죄인의 대표가 아니라 메시야로서 성령을 받으셨다. 메시야의 영은 ‘비둘기’(요 1:32-34)와 ‘물’(3:34)로 표현되었다. 여기에서는 은유의 존재론적 성격에 대해 함께 탐구했다. 둘째로, ‘새 창조의 영’의 선취적 적용에서는, 예수께서 이미 진행하고 계시는 구속 사역을, 그것의 성취가 완료되기 전에 성취가 완료된 것처럼 적용해 주시는 독특한 구속사적 성격을 고찰했다. 그것은 성령세례다. 새 창조의 영은 물(요3:5-7), 바람(3:8), 생수(4:6-15), 진리(4:23-24), 그리고 말씀(6:63)으로 표현되었다. 여기서는 은유의 구조적 체계성에 대해 함께 탐구했다. 셋째로, ‘파라클레토스’para,klhtoj의 약속에서는, 새 창조의 영에 예언의 영의 기능을 통합하신 성령을 주실 것에 대해 약속하신 것에 대해 탐구했다. 그 약속은 ‘생수의 강’(7:37-39)과 파라클레토스(요 14:15-18; 14:25-28; 15:25-27; 16:6-11;16:12-16)에 대한 것이었다. 특히 파라클레토스는 구약의 사상적 토대 위에서, 당대 유대교나 헬레니즘 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언어 표현을 빌려와서, 기독교적인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여 새롭게 창조한 비유적 표현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넷째로, 새 언약의 영의 성취-완료적 수여와 선취적 적용에 대해 고찰했다. 여기서 성령은 ‘물’(요 19:34), ‘호흡’(20:22)으로 표현되었다. 여기서 필자는 구속사적 해석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제안하였다. 그것은 예수의 공생애 시에는 구속성취가 단계적으로 진행되었으므로 제자들에게 단계적으로 적용해 주셨지만, 오순절 이후에는 신자들에게 단번에 적용해 주신다는 내용이다. 결론에서는, 요한복음의 성령론에 사용된 구약적 토대들을 종합하여 요한복음의 성령에 대해 간단하게 요약하고, 그 다음에는 요한복음의 성령론을 연구하며 얻게된 구속성취의 단계설에 따라 요한복음에 표현된 성령에 대해 간단하게 요약하며 개관하고, 마지막으로, 본문 논의에서 도출되었던, 이러한 성령론을 제시하게 된 요한의 삶의 정황(Sitz im Leben)도 함께 간단하게 정리했다. 부록에서는, 기존 성령론에서 거의 논하지 않았지만, 성령에 대한 표현일 가능성이 있는 표현으로서, “주의 팔”(요 12:38), “인”(6:27) 등에 대해 살펴보고, 그 다음에는 구약에 있는 루아흐 구절의 번역 수정안을 나름대로 제시했다. In this dissertation, the author considers two aspects of the Pneumatology of John's Gospel. One aspect is its strong inter-textual connections of the Old Testament background and the other is the new johannine redemptive-historical interpretation. In the first part, the general survey of the existing research history reveals the limitations within the works of representative scholars` study methodologies. They are Hans Windisch, Rudolf Bultmann, Charles Harold Dodd, Günther Bornkamm, Otto Betz, U. B. Müller, Siegfried Schulz, Felix Porsch, Gary M. Burge, and Max M. B. Turner. The redemptive-historical interpretation based on biblical theology is demonstrated as a viable alternative to the preceding methodologies. At the same time, the linguistic and literary interpretation about figurative expression is also presented. In the second part, the two landscapes of the Pneumatology of John's Gospel are explored. The first section is on the literary character of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which contains the Pneumatology. The second is on the supporting parallels between the Pneumatology of the Old Testament and John's Gospel by taking great attention to: 1) Study the linguistic and theological meaning of ru^aḥ in the Old Testament. 2) Find the connection points between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and the Old Testament. These connection points are further divided into subsections: the Spirit of Creation, the Spirit of Covenant(which contains the Spirit of Salvation and the Charismatic Spirit), and the Spirit of the New Covenant(containing the Spirit of Messiah, the Spirit of the New Creation, and the Spirit of Prophecy). In the third part, examining the Pneumatology of John's Gospel, the author studies the figurative expression and the redemptive-historical meaning in concentration. First of all, in the advent of the Spirit of Messiah, it is investigated that the Holy Spirit comes to Jesus as the dynamic of the redemption-fulfillment. Jesus received the Holy Spirit not as the representative of sinners but as the Messiah. In this part, the Holy Spirit was expressed as a dove(Jn 1:32-34) and water(3:34). Here, the ontological nature of metaphor was investigated along together. Secondly, in the 'preoccupied' application of the Spirit of the New Creation, the writer studies the unique character of Jesus Christ‘s redemptive ministry. The fulfillment of redemption was started and not finished, or it was being processed. But He applied it to the disciples as if it had already been finished. That was 'preoccupied' application of the Spirit. John presents it as Spirit-Baptism. The Spirit of the New Creation was expressed as water(Jn 3:5-7), wind(3:8), living water(4:6-15), truth(4:22-23), and word(6:63). In this part, the structural system of metaphor is investigated along together. Thirdly, in the promise of the Paraclete, the promise of giving the Holy Spirit is researched. The promise was about the rivers of living water(7:37-39) and the Paraclete(Jn 14:15-18; 14:25-28; 15:25-27; 16:6-11; 16:12-16). Especially, it is verified that 'the Paraclete' is the newly created figurative expression giving a new Christian meaning. It is based on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the Old Testament but borrows the linguistic expression which was common in use in the Judaism and Hellenism society. Lastly, the author studies the presentation of the Spirit of the New Creation according to the fulfillment-finish and 'preoccupied application' of the Paraclete. In this part, the Holy Spirit was expressed as water(Jn 19:34) and breath(20:22). Here a new proposition about the redemptive-historical interpretation is presented. In the time of Jesus` public life, as the fulfillment of redemption was proceeded in several stages, it was also applied to the disciples in stages. However, after the Pentecost, all stages are applied to the believers at once. In conclusion, the Pneumatology of John's Gospel is briefly summarized putting together the Old Testament foundations, and briefly summarized and generally surveyed in accordance with the theory of stages in redemptive fulfillment. And then Sitz im Leben of John`s Pneumatology is briefly arranged. In the appendices, 'the arm of the Lord'(Jn 12:38) and 'Seal'(6:27) are considered. It seems to be the expressions for the Holy Spirit even though they have not dealt with. Also a draft amendment as for the interpretation of ru^aḥ phrases in the Old Testament is suggested.

      • 영산 조용기의 인격적 성령론 연구 : : 방언의 중요성과 관점을 중심으로

        이종호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논문의 목적은 영산 조용기 목사(이하 ‘영산’이라 한다)의 인격적 성령론과 방언 그리고 양자의 관계를 논구하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성령론은 삼위일체 교리와 관련되어 논의되어 왔다. 성령의 신성과 위격이 정립됨으로 인해 최종적으로 삼위일체 교리가 정립되었다. 초대교회 시절부터 지금까지 역사적으로 다양한 성령 이해가 존재하였다. 구원의 영, 거룩의 영, 능력의 영, 인격적 교제의 영이 그것이다. 인격적 성령론의 역사적 전개를 보면, 이러한 성령 이해와 궤를 같이 하면서 발전하여 왔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와서야 성령론이 이론과 실제에 있어서 정립되기에 이르렀다. 이는 20세기 오순절주의가 대두됨으로 인한 결과였다. 그러나 21세기를 살아가는 현재에도 여전히 성령론은 논쟁 중이며 정립되어가는 과정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먼저, 본 논문에서는 영산의 성령 이해가 기독교 정통적인 성령 이해를 계승했으며, 20세기에 새롭게 대두된 오순절주의 성령 이해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산의 성령 이해는 이에 그치지 않고 성령을 인격적으로 이해하고 삶의 자리에서 구체적으로 교제하는 교제의 상대로서 이해했다는 것이다. 즉 영산의 성령 이해의 핵심은 성령을 인격적 교제의 영으로 이해하고 목회 현장에서 철저하게 성령과 교통·협업했다는 점이다. 그는 모든 삶의 과정에서 그가 계시 받은 인격적 성령과의 교제를 기도와 설교 등의 사역에 온전히 실천하였다. 이러한 영산의 성령에 대한 이해와 그 실천은 그가 섬기는 교회의 놀라운 교회성장의 결과로 귀결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영산의 인격적 성령 이해와 그 실천의 중심에는 방언이 존재하고 있었다. 영산은 방언을 성령 충만의 증거로, 성령의 기도로, 영적 교제의 수단으로, 그리고 선교를 위한 수단으로 이해하였다. 더 나아가 영산은 방언을 성령의 인격적인 현현으로까지 언급을 하였다. 그래서 방언은 성령의 인격성을 드러내고, 성령과의 깊고 친밀한 사귐으로 인도한다. 따라서 방언은 영산에게 있어서 성령과의 인격적 교제의 핵심을 차지하는 중요한 사역의 기제로 작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Youngsan’s (Reverend Yonggi Cho’s nickname) personal Pneumatology and his relationship with Holy Spirit Tongues. Historically, Pneumatology has been dealt with in relation to the doctrine of the Trinity and the Holy Spirit placement in the Trinity. We are given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aspects of the Holy Spirit since the inception of the Early Church as presented in Dr. Luke’s Book of Acts. The Holy Spirit has been referred to as the Spirit of Salvation, the Spirit of Holiness, the Spirit of Power, and the Spirit of personal fellowship. The Holy Spirit has played a fundamental role in personal Pneumatology. However, it has only been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through the Pentecostal baptisms of the Holy Spirit, that Pneumatology has been recognized and established both theologically and practically. Today, a little over one hundred years later evangelical theologians are still discoursing the nature and scope of influence Pneumatology plays in practical Christianity. Firstly, this thesis endeavors to confirm that Youngsan’s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inherited the Pneumatology of Orthodox Christianity but has demonstrated a personality and personal expression of 20th century Pentecostalism. Youngsan understood the Holy Spirit as a person and consequently accepted him as a partner of actual fellowship in his daily life. In fact, the core of Youngsan’s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was the Spirit of personal fellowship and co-partner in his ministry work. Youngsan demonstrated a consistent and conscientious journey of personal fellowship with the Holy Spirit in both his prayer life and preaching. His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personal fellowship with the Holy Spirit resulted in marvelous and exponential church growth. In the center of Youngsan’s personal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the Holy Spirit was ‘Speaking Tongues.’ This was the anchor of his personal fellowship with the Holy Spirit. Youngsan understood ‘Speaking Tongues’ as a sign of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a prayer of the Spirit, a tool of spiritual fellowship, and a means of evangelism. He often referred to ‘Speaking Tongues’ as a ‘personal epiphany of the Holy Spirit.’ He believed that ‘Speaking Tongues’ manifests the personality of the Holy Spirit and naturally and progressively leads to a deep and familiar fellowship with the Trinity. In conclusion, to Youngsan, ‘Speaking Tongues’ serves as a main spiritual vehicle for his ministry motives and activities. To Youngsan ‘Speaking Tongues” is the fundamental center of having personal fellowship with the Holy Spirit.

      • 존 오웬의 성령론 연구

        박대남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7806

        종교개혁자들이 참된 교회를 회복하기 위해 초대교회로 돌아가자고 외쳤던 것처럼, 오늘날 참된 성령론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존 칼빈과 존 오웬에게 돌아가야 한다. 칼빈은 초대교회의 성령론을 이어받아 성령의 구원사역에 관한 교리를 설명하였고, 오웬은 칼빈의 신학의 기초 위에서 최초로 성령론의 체계를 확립하였다. 그러나 초대교회의 성령론이 로마가톨릭의 성직자제도와 반펠라기우스주의에게 밀려났듯이 오웬의 성령론은 근대의 합리주의에 의해 소외되었고, 공동화(空洞化)된 영역에 특정한 은사를 앞세워서 침투한 오순절파에 의해 전통적인 성령론이 왜곡되고 말았다. 따라서 성령론을 바르게 세울 뿐만 아니라 제3위의 시대를 개진하기 위해서는 오웬의 업적을 복구해야 하고. 그 토대위에서 오늘의 시대가 요구하는 건물을 지어야 한다. 존 오웬은 1674년에 최초로 성령론을 저술함으로서 교회의 역사에 큰 획을 그었다. 칼빈이 기독교 강요에서 구원론의 측면에서 성령의 사역을 언급한 후 한 세기가 지나도록 이렇다할만한 성령론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오웬이 큰일을 행하였던 것이다. 칼빈이 목회했던 제네바는 성령론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고, 화란에서는 알미니안주의와의 투쟁 때문에 성령론을 발전시킬 기회를 찾지 못했다. 그런데 오웬은 청교도 혁명의 기간에 나타난 열광주의자들의 비뚤어진 성령운등을 지켜본 후, 올바른 성령론의 필요성을 느끼고서 훌륭한 명작을 저술하였다. 그의 저술은 철저하게 성경을 기초로 하였으며, 칼빈의 신학과 오웬 자신이 겪은 성령에 대한 체험을 재료로 삼아, 성령의 존재와 창조, 중생과 성화와 은사에 대해 다루었다. 그 결과 그의 작품은 어느 시대에도 유용한 성령론의 고전이요 교과서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오웬은 초대교회에서 성령의 신성과 인격을 삼위일체에 포함하여 설명한 것과 달리 성경에 있는 성령의 이름을 가지고 성령의 정체성을 규명하였고, 신약성경에 나타난 성령의 칭호를 소개한 칼빈을 뛰어넘어 חוד와 πνευμα란 용어에서 성령의 특성을 찾아냄으로서 성령론의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했다. 또한 하나님의 영과 그리스도의 영이란 이름으로부터 성령과 다른 위격과의 관계를 설명하였으며, 성령의 인격을 삼위일체론에서 독립시켜 설명함으로서 제3위에 대한 연구를 진척시켰다. 그리고 성부께서 성령을 우리에게 보내셨으며, 동시에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해 성령께서 자발적으로 오셨다고 말함으로서, 성령의 신성과 인격을 확증하였다. 이와 같이 오웬은 초대교회와 칼빈의 교리에 근거하여 성령론을 저술하되, 한층 발전을 가져왔다. 존 오웬의 성령론에서 두드러진 요소 중의 하나는 성령의 사역을 토마스 긋윈(Thomas Goodwin)처럼 구원론에 한정하지 않고, 그 범위를 창조와 그리스도의 사역과 교회와 성경의 기록까지 확장한 것이다. 오웬은 삼위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실 때 성령은 피조물의 질서를 확립하고, 만물에게 생명을 부여하였으며, 인간의 창조와 만물을 보존하는 일도 담당하셨다고 하였다. 이처럼 성령의 사역은 전우주적인 것이기 때문에 오순절파가 한두 가지 은사만을 강조하는 것은 성령의 위상과 사역을 축소하는 것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오웬은 성령께서 그리스도의 사역에 관여하였고, 교회를 거룩하게 하는 일을 행할 뿐만 아니라, 성경을 기록케 하셨다고 주장함으로서, 성령의 사역의 범위를 구속과 섭리의 분야까지 넓혔다. 그러나 성령의 주된 사역은 구원과 성화이기 때문에 오웬은 중생을 크게 강조하였다. 삼위의 외적인 사역은 완전히 분리될 수 없기 때문에 성령도 성부와 성자와 함께 인간의 구원에 초점을 맞춰서 사역하신다. 성령은 그리스도께서 완성하신 구속을 택자에게 적용시켜서 구원하는 일을 행하시며, 은사를 비롯한 다른 요소들은 중생과 성화 사역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신다. 따라서 성령세례란 승천하신 그리스도께서 최초로 보내시는 성령을 받는다는 뜻이요, 사마리아와 고넬료의 사건은 제2의 축복을 발하는 것이 아니라 사도행전 1:8이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설명한 것이다. 오순절은 구속사에서 성령 하나님의 강림으로 인해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사건이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사건이 아니다. 중생은 100% 성령의 사역에 의한 것이지만, 성화는 성령님이 주도하실지라도, 신자가 거룩해지기 위해 자발적으로 협력해야 한다. 오웬은 신자도 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성령께 의존하여 죄 죽이기를 지속해야 한다고 말함으로서, 존 웨슬리(John Wesley)의 완전성화를 부정하였다. 유한에게 완전이란 용어란 어울리지 않으며, 신자가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것은 이 세상에서만이 아니라, 영원히 계속해야 할 과제이다. 성령의 은사 문제는 오늘날 가장 뜨거운 감자로 대두되었다. 20세기에 급부상한 오순절파는 사도행전 2:4을 그들의 교리의 출발점으로 삼아, 방언이 성령을 받은 증거라고 하였으며, 후에 이것이 잘못되었음을 알게 되자, 제2의 축복으로 바꾸어서 자신들의 독특성을 드러내는 표지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오웬은 모든 은사는 성령께서 주시는 것이므로 우열을 가려서는 안 되며, 모든 은사는 교회의 유익을 위해 사용해야지, 종교적인 자기만족을 위해 악용해서는 아니 된다고 하였다. 사실 방언이나 병 고침과 같은 은사는 성령의 전체 사역에서 아주 작은 것임에도 불구하고, 기적적인 현상 때문에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다른 중요한 요소들을 경홀히 여기게 만들었다. 이런 부작용에 대한 책임을 개혁주의도 면할 수 없는데, 근대의 개혁주의는 합리주의의 영향을 받아서 기적적인 은사를 부정함으로서 오순절파가 은사를 자기네 전유물처럼 사용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두었기 때문이다. 오웬은 구약시대에도 다양한 은사를 주셨던 성령께서 신약시대에는 더 풍성한 은사를 주신다고 말함으로서, 오늘날에도 성령의 은사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오순절에 세상에 오신 성령은 성탄절에 세상에 오셨던 성자처럼 모든 일을 주도적으로 수행하실 뿐만 아니라, 교회를 위해 은사들을 풍성하게 주시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오웬은 성령과 관련된 제반 내용들을 체계적으로 정립함으로서, 후대의 교회가 성령을 전적으로 의존하고 높일 뿐만 아니라, 제3위의 시대를 열 수 있는 확고한 기반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오웬은 칼빈주의 5대 신학자, 즉 칼빈(Calvin), 오웬(Owen), 에드워즈(Edwards), 핫지(Hodge), 워필드(B.Warfield)의 반열에 들어갈 수 있었고, 성령론에 있어서는 독보적인 위치를 점유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혁주의는 오랫동안 오웬의 성령론에 대한 단편적인 인용이나 평가, 그리고 유사한 성령론의 저술은 많았으나, 오웬의 성령론에 대한 연구가 없었던 점은 아쉬운 일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아쉬움을 떨쳐버릴 뿐만 아니라, 개혁주의 신학의 유산을 되살리고 재정립한다는 의미에서 필자가 오웬의 성령론을 탐구하였다. 단순히 오웬의 성령론의 소재로 그친 것이 아니라, 오웬의 성령론으로 오늘날 야기되는 성령론의 다양한 문제들을 풀어보려고 애썼다. 그 결과 오늘날의 성령론의 일반적인 문제들은 성령에 대한 총체적인 지식이 빈약한데서부터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오웬은 성령의 신성과 인격, 특별 사역과 중생과 성화, 그리고 은사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섭렵하였다. 반면에 오늘날의 성령론은 이러한 체계가 없었기 때문에 성령론이 협소해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 神學함에 있어서 傳統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이 성경 위에 군림해서는 아니 되지만, 조상들이 물려준 유산을 소홀히 해서도 좋은 신학을 세울 수 없다. 그러므로 개혁주의는 오웬에게 물려받은 성령론을 기반으로 삼아, 오늘날에 부합한 성령론을 확립해야 한다. 그래서 제3위에 대한 연구의 주도권을 회복해야 하며, 올바른 성령운동을 이끌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이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As the Reformers declared that they should go back to the Early Church to recover a real Church, we should go back to John Calvin and John Owen to recover a real doctrine of the Holy Spirit. Calvin explained the doctrine for the salvation work of the Holy spirit on the basis of the Early Church and Owen installed the system for the doctrine of the Holy Spirit from the first time on the basis of Calvin's theology. But as the doctrine of the Early Church was forced out by the clergy system and the doctrine of semi-Pelagianism in Rome Catholicism, Owen's the doctrine of the Holy Spirit was forgotten by recent rationalism and this vacant field was wrongly seated by the Pentecost group who are based on special gift, not above traditional doctrine of the Holy Spirit. In oder to open the Three Person Period, We should restore Owen's work who installed the true doctrine for the Holy Spirit, then we could do keeping it and install a new building based on it which we are satisfied with currently. Jone Owen, from the first time, wrote for the doctrine of the Holy Spirit in 1674 which was meaningful in the history of the Church remarkably. He did such kind of a great job for which have not been written as well as studied since Calvin explained the work of the Holy Spirit on the view of the salvation in the Institute. As Calvin did his ministry in Genova in which Church were not paid attention to the doctrine of the Holy Spirit, as there was no chance for the Church in Holland to develop it due to arguing with Arminianism severly. But when Owen himself observed a wrong the Holy Spirit movement done by enthusiasts which was shown for clearly during the Puritan Revolution, and at the same time he grew conscious of his duty about the right doctrine of the Holy Spirit so that he wrote for it which was a great work indeed. His writing was based on the Bible itself throughly, Calvin's theology as well as his direct experience about the Holy Spirit, and is dealing with the existence, creation, regeneration, sanctification and gift of the Holy Spirit so that it has been the Bible and textbook certain for the doctrine of the Holy Spirit anytime and anywhere. The Early Church explained the divinity and personality of the Holy Spirit in the category of the Trinity, but on the other hand Owen got a line on what the Holy Spirit is with the name itself of the Holy Spirit in the Bible and found out the unique character of the Holy Spirit from the words of im and ltvcupa so that he could have an independent area about the doctrine of the Holy Spirit. Also, he explained the Holy Spirit and another persons in relation with the name of the Spirit of God and the Spirit of Christ, as well as the personality of the Holy Spirit independent with the Trinity that developed studying for the three person. The divinity and personality of the Holy Spirit was confirmed by being told the Father sent the Holy Spirit to us as well as he came to us by his own will to save his people. Such like these facts, Owen wrote the doctrine of the Holy Spirit based on the doctrine of the Early Church as well as Calvin, and enhanced it very much accordingly. If we look into John Owen's writing for the doctrine of the Holy Spirit, we can find a striking difference with Thomas Goodwin who restricted the work of the Holy Spirit only to salvation, which is extending it even to creation, the work for Christ, church and writing of the Bible. Owen claimed the Holy Spirit kept creatures good in order, gave life to all creation, created man and took the work for keeping all creation. Like above things, we can see the Holy Spirit work over all universe and we can't help telling the truth that it is reducing his work and position as the Pentecost group is bringing the focus on one or two gift only regarding Him. Also, Owen persisted he involved in Christ's work, doing the Church holy as well as writing the Bible so that he could extend the work area of the Holy Spirit even to salvation and economy. But Owen stressed on regeneration very strongly as the main work of the Holy Spirit is salvation and sanctification. The Holy Spirit is doing work on focusing on man's salvation along with the Father and the Son as the work of the Trinity can't be done separate together. Christ has completed his salvation work, and the Holy Spirit is adjusting it to the chosen person so that the latter can be saved when the former is willing to use another factors including gift as method for regeneration and sanctification. So baptism of the Holy Spirit means to receive the Holy Spirit which Christ, who already ascended to heaven is sending from the first time and the events which were happened in Samaria and Cornelius don't mean a second blessing, but are showing how to come to the Acts 1:8. The Pentecost is an event which informs a new age has been begun by the decent of the Holy Spirit God on behalf of God's history of salvation, but not a case which occurs repeatedly. Regeneration is done 100% by the work of the Holy Spirit, but Christian should cooperate with the Holy Spirit for sanctification even though the latter leads it mostly. Owen denied Christian's perfect sanctification for which John Wesley claimed and told any Christian should keep trying to kill his sins as he is still keeping nature of sins, depending on the Holy Spirit. The word of a perfection can't be used for a creatures, so it is an eternal homework for a Christian to go after a perfect image of Christ now and forever. The gift of the Holy Spirit has been issued highlighted these days. In 20th century, the Pentecost group emerged remarkably when they claimed it is a proof for a Christian of receiving the Holy Spirit to say tongues(Acts 2:4), but they learned it was wrong. So they changed it over to a second blessing and they are using now it as their unique symbol to reveal themselves. But Owen claimed all gifts shouldn't be evaluated like as ranks and used badly for their own religious satisfaction, but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Church's profits as they are given just by the Holy Spirit. In fact, in spite of the gifts of tongues and healing are very small things in the light of all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but these kinds of gifts are paid much attention by many people due to their mysterious characters and are resulted in neglecting other important gifts on the other hand. But the Reformers can't be free from their sense of responsibility for such kinds of side effects totally as recent Reformers under a lot of influences from the Rationalism have denied those kinds of mysterious gifts continuously so that the Pentecost group could have used them as their own gifts as well as they might have been considered. It was told by Owen the Holy Spirit gave various gifts during Old Testament times and still giving them these days, too and he insisted the Holy Spirit is giving much more gifts during New Testament times additionally. The Holy Spirit descended upon the Pentecost shall do his work with his own will same as Christ born on the Christmas and is willing to give abundant gifts to his Churches. As above stated, Owen builded up a lot of details related with the Holy Spirit, so coming Churches could establish the concrete system for the three persons period as well as they could be dependent upon fully and do praise Him highly. As these results, Owen could be included with the same line as 5 representative theologist of Calvinism, that is, Calvin, Owen, Edwards, Hodge, B. Warfield, but he could stand unchallenged in the doctrine of the Holy Spirit. Despite of these results, I feel lack of studying for the doctrine of the Holy Spirit by Owen even though many Reformers, during that time, have quoted and evaluated piece by piece from it, and wrote many similar books with it. So I have studied it very carefully so that I could fill up lack of studying, and bring back as well as build up quite a lot of inheritance from the doctrine of the Reformation. I have not only introduced Owen's writing of the doctrine of the Holy Spirit, but also I have tried to solve various kinds of matters involved with these days due to the doctrine of the Holy Spirit by Owen. Through careful studying, I could come to this conclusion that general matters regarding the doctrine of the Holy Spirit being growing these days have been issued from Christian's lack of whole knowledge for the Holy Spirit. Owen studied many-sided things broadly about the Holy Spirit like divinity, personality, special work, regeneration, sanctification and gift. On the other hand, current doctrine of the Holy Spirit does not include those kinds of varieties, but only try to take a narrow, simple way. So I could learn how important we have to keep our tradition to study the theology. Our tradition should not reign over the Bible, but I can say we can't build up any good theology if we are willing to neglect our tradition born by our forefathers. So current Reformers should install a fitted theology of the Holy Spirit, agreed with and based on Owen's inheritance. At the same time, we have to recover our leadership in this field of studying for the three persons and lead the Holy Spirit movement in a right way, too. For them, I hope this article could be helpful.

      • 몰트만의 성령론적 칭의론 : 『생명의 영』을 중심으로

        이명성 영남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6

        A. 요약 및 평가 몰트만은 그의 생명의 영을 통해서 전통적-종교개혁적 성령론의 지평을 넓게 확장하였다. 특히 그의 칭의론은 종교개혁의 신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확장시키고 있음을 볼 수가 있다. 몰트만의 칭의론에서 먼저 의로움의 근거는 하나님의 의로우심과 하나님의 자비이다. 그리고 예수그리스도의 버림받으심을 통하여 죄짐을 벗기시는 성령의 능력으로 칭의하신다. 몰트만의 칭의론은 ‘성령의 이신칭의’라 불리울 수 있다. 왜냐하면 첫째로 십자가는 삼위일체적 사건이기 때문이다. 둘째, 성령은 부활의 능력이기 때문이다. 성령은 그리스도의 부활을 현재화시키며, 그분과 함께 종말론적인 미래를 현재화시키신다. 성령은 칭의와 다시 태어남을 주신다. 성령은 삶 가운데, 개인과 공동체 속에서 권리없는 자들의 권리를 세워주시고, 범법자들을 의롭게 하시고, 구조적인 악과 문제들 가운데서 의로움을 창조하신다. 성령 안에 있는 삶은 그리스도의 인식과 사귐으로 인도하지만 단순한 인식과 인정으로 끝나지 않는다. 성령 안에 있는 삶은 그리스도의 반향으로서 새로운 삶의 서곡이다. 성령은 미래를 현실속에 가져온다. 그러나 그것은 완결되지 않는다. 몰트만은 경건주의 부흥운동의 다시 태어남의 의미를 칭의론 가운데 흡수한다. 그 이유는 첫째, 다시 태어남(중생)이 그리스도의 부활이 지닌 의미를 드러내주기 때문이고 둘째, 칭의론이 성령론적으로 재구성됨을 알게 해주기 때문이며, 셋째, 칭의론이 종말론적으로 지향되어야 함을 말해주기 때문이다. 몰트만의 성령론적 칭의론은 해방신학과 여성신학, 에큐메니칼 신학, 경건주의와 부흥운동의 장점을 잘 수용한 새로운 칭의론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의 성령론적 칭의론은 첫째, 일면적 십자가의 신학을 극복한다. 둘째, 기독론적인 해석을 성령론적으로 풍부하게 한다. 셋째, 삶과 성령의 관계와 본질을 깨닫게 한다. 넷째, 종말론적인 시야를 갖게 한다. 다섯째, 실천적이고 해방적인 면이 있다. 여섯째, 생명의 영, 거룩하게 하시는 영이 온 우주적 하나님이심을 깨닫게 하고 하나님의 의롭다 하시는 은혜를 깨닫게 한다. 그의 성령론적 칭의론은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제고해보아야 할 점이 있다. 성령이 살리는 영이요, 생동케 하는 모든 피조물 속에 있는 역동성이라 할 때, 세상 속에 있는 모든 생동케 하는 힘이 성령 속에 포함되어진다고 하는 의미에서는 긍정적이지만, 모든 생동케 하는 에너지가 다 성령인가? 라고 하는 역으로의 방향에서 그 정체성을 규정할 필요성이 남아있게 된다. 삶을 의롭게 하시고 성화시키시는 성령의 사역의 보편성은 교회와 신자 가운데, 신자를 통해 역사하시는 성령의 사역과의 연관성가운데 더 풍성하게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