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대중문화에 대한 선호도가 한국패션상품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대련지역을 중심으로

        양유동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number of Chinese people who consume South Korean culture and its merchandises increases because of Chinese economic development, which results in increase of their income, and open policies of Chinese government toward foreign cultures. Since South Korean cultural programs were often aired in China, Chinese people’s interests in Korean products and services has increased. There are studies that examine that promotion of Korean cultural merchandises influence preference and purchasing intentions on Korean product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However, those studies were performed in limited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and lack thorough examinations on relationship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al products. And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focus on relationship between preference and purchasing intentions according to types of Korean cultural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people’s preference of Korean intangible cultural products (pop songs, talents, dramas, movies, etc.), Korean fashion products, and their purchasing intentions. It also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brand image and trend leadership in order to help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of Korean fashion products and utilize them in a national economic level.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s collected in China presents research results and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on Chinese people’s preference to Korean talents, pop songs, TV dramas, movies, and fashion products show that Chinese people have positive response to them and the degree on preference to each item are similar. Second, as for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people’s preference to Korean intangible cultural products, one for Korean fashion products, and purchasing intention for them, preference for Korean talents, movies and TV drama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preference for Korean fashion products. Also, Chinese people’s preference to Korean fashion products significantly influences their purchasing intentions on Korean fashion products. Third,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people’s preference to Korean intangible cultural products (Korean talents, pop songs, TV dramas, and motion pictures), Korea’s fashion leadership, and its national brand image, preference for Korean talents and fashion products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fashion leadership. Also, preference for Korean talents, movies, TV dramas, pop songs and fashion products has the sam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Korea’s national images. This study examines in a structural aspect how preference of Korean intangible cultural products affects purchasing intention on Korean fashion products. Specifically,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explores that preference to Korean cultural products is beyond popularity of the Korean popular culture, and contributes the national industrial and economic ripple effect, and it confirms that eventually it improves the national brand image. 중국 경제의 발전과 그에 따른 소득 수준의 향상, 외국문화에 대한 개방정책 등이 결합되면서 한국문화와 상품을 향유하고 소비하는 중국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대중문화상품이 중국 국내 매체에서 자주 상영됨에 따라 중국인들은 한국에 대한 제품이나 서비스 등에 대해 더욱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한국문화상품을 강화함으로써 한국의 상품선호도와 상품구매의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가 있으나, 대부분 그 범위는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에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한류상품의 다양한 특성들에 따른 관계구조에 대한 파악이 미진할 뿐만 아니라, 한국문화상품유형에 따른 선호도와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의 한국무형문화상품(가요, 스타, 드라마, 영화) 선호도와 한국패션상품 선호도 및 구매의도 사이의 인과적 관계를 밝히고, 이들과 국가브랜드이미지, 유행선도력과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국가적, 경제적 차원에서 한국패션상품의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고 효율화하는데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조사는 2010년 5월 1일부터 5월 11일까지 인터넷을 이용해 중국 요녕성 대련시에 거주하는 20-30대 남·여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총7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586부를 수거하였으며. 이중 580부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16.0과 AMO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중국인의 한국스타, 한국가요, 한국드라마, 한국영화와 한국패션상품에 대한 선호도를 빈도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그 정도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둘째, 중국인의 한국무형문화상품과 한국패션상품 선호도와 한국패션상품 구매의도 사이의 인과적 관계를 보면 한국스타, 영화, 드라마의 선호도는 한국패션상품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패션상품선호도는 한국패션상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인의 한국무형문화상품(스타, 가요, 드라마, 영화)에 대한 선호도와 유행선도력 및 한국의 국가브랜드이미지 사이의 관계를 보면 한국스타와 한국패션상품에 대한 선호도는 유행선도력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스타, 한국영화, 한국드라마, 한국가요, 한국패션상품의 선호도는 국가브랜드이미지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형문화상품 선호도가 가져올 수 있는 경제적 영향을 한국패션상품의 구매의도 관점에서 구조적으로 살펴보고 있다는 데서 학술적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특별히 한국문화상품선호가 단순히 대중문화 현상의 의미를 넘어, 산업경제적인 측면에서 국가 중요산업에 적지 않은 경제적 파급효과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유발 과정에서 국가브랜드 이미지 개선도 가져올 수 있음을 체계적으로 확인한 사실이 의의가 있다고 본다.

      • 은퇴 후 라이프스타일과 주거선호에 관한 연구 : 전국 지역농협 근로자를 중심으로

        이관우 한양사이버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aging of South Korean society continues much faster than any other countries and now super-aged society is coming up. It means that the individual life after retirement becomes longer. Also the retirees try to make social participation and pursue more various lifesty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ference of lifestyle and residence type after retirement of office workers who are able to prepare after-retirement life by themselves. In addition, I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preferred housing after retirement. In order to carry out these research purposes, a survey was conducted for employees of Nonghyup nationwide from 29 June, 2017 to 28 September, 2017. In this study, 2,559 questionnaires containing all information were analyzed. Before empirical analysis, I have conducted basic statistic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idence characteristics, preferred lifestyle after retirement, preference of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elderly of the subjects. I also have performed analysis of variance (ANOVA)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housing preference after retirement according to these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of ANOVA, I have set up the regression models with and without the lifestyle variable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ctors on housing preference after retirement.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after-retirement lifestyle in rural area (57.49%) was preferred to in city (42.51%). The most biggest reason why retiree wants to live in rural area was clean and beautiful nature, and in city area was modern living convenience. Also result of survey about preference of after-retirement labor and leisure was: labor (69%) was preferred and the reason was earning a living (38.41%) and health maintenance and self-development (over 60%). The most wanted leisure style was taking rest and enjoying hobby. Second, the order of preference of residential area was: rural area (38.23%), suburb of city (25.92%), small city( 20.21%), large city (15.17%). Third, subjects are mainly living in an apartment block (73.57%) but they prefer to live in a detached house after retirement (62.39%). Fourth, 97.77% of subjects wanted to live in their own house still after retirement. Fifth, the most considered two factors choosing after-retirement house were nature environment and accessability to convenient facilities. The results of ANOVA are as follows. According to gender, there are differences in preferred residential area and house type after retirement. The preferred residential area, occupancy type, and housing size differ by age and educational level. The housing size is also different by type of family form and amount of assets. As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re are differences in preferred housing depending on current residential experience variables. In the meantime, there are differences in all the housing variables after retirement according to lifestyle. However, willingness of labor after retirement has been only related to preferred house of scale. Last,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the modes with lifestyle variables have better explanatory power. More detail, in residence area preference analytic model, modified R² value of a model which not contains lifestyle variable is 22.03% and modified R² value of a model which contains lifestyle variable is 66.43% so explanation power became higher. And in house type preference analytic model, modified R² value of a model which not contains lifestyle variable is 6.94% and modified R² value of a model which contains lifestyle variable is 38.00%.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idence area preference analysis, model 1-1 which does not contain lifestyle variable shows that gender, age, education, current resident area, type of house, housing occupancy typ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However, those variables are not ever important in model 2-1 which contains lifestyle variables. Instead, amount of property and lifestyle turn out to be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f preference of house type after retirement, gender, current resident area(especially rural area), house type, occupancy typ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model 3-1 which does not contain lifestyle variables. However, occupancy type are not significant in model 4-1 without lifestyle variables. The following are som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shows that current middle-aged people want to stay their own house instead of staying a sanatorium for elderly people.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to establish some policies that support retirees staying their own home and communities. Second,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lifestyle is an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housing preference after retirement. By the time current middle-aged people are retired, the lifestyle they pursue is expected to be more diverse.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for the elderly to provid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considering their diverse lifestyle. Keyword: preference of residence, lifestyle, retirement, middle-aged people 한국사회의 고령화 추세는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만큼 빠르게 진행되며 이제 초 고령화 사회를 눈앞에 두고 있다. 더불어, 100세 시대를 맞이하여 직장으로부터 은퇴한 뒤에도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 기간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은퇴자들의 사회참여가 늘어나고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은퇴 후 삶에 대하여 스스로 준비하고 주도적으로 해 나갈 수 있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과 은퇴 후 주거선호를 조사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에 전국의 지역농협 근로자를 대상으로 2017년6월29일부터 9월 2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설문지 2,559부 이다. 실증분석에 앞서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현재 주거특성, 은퇴 후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 노인전용 주거시설 입주의향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그리고 조사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주거경험,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은퇴 후 주거선호에 차이가 있는지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고려하여 라이프스타일 변수를 포함한 모형과 포함하지 않은 모형으로 구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술통계량 결과를 보면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은퇴 후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을 도시생활과 전원생활로 분류하여 빈도분석 결과 전원생활을 선호하는 비율이 57.49%로 도시생활 42.51%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원생활을 원하는 이유는 깨끗하고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최고로 꼽았으며, 도시생활을 원하는 이유는 생활편의 시설을 가장 높게 꼽았다. 은퇴 후 근로의향과 여가생활에 대한 태도에 대하여 빈도분석 결과 69%의 응답자가 은퇴 후에도 계속 일을 하고 싶어 하였는데, 근로이유는 38.41%가 경제적인 이유를, 나머지 60% 이상이 건강이나 자기발전을 위해 일을 하고 싶다고 하였다. 여가생활에 대한 태도는 개인적 휴양생활이나 취미생활을 가장 선호 하였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의 은퇴 후 주거선호의 주거입지는 전원지역38.23%, 도시근교 25.92%, 중소도시 20.21%, 대도시 15.17%로 나타났다. 셋째, 주택 형태는 현재 아파트에 살고 있는 비율이 73.57%로 높았던 반면 은퇴 후에는 단독주택을 선호하는 비율이 62.39%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주택 점유형태는 조사대상자의 97.77%가 은퇴 후에도 본인소유의 주택에서 거주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은퇴 후 주택을 선택할 때 고려사항으로는 자연환경과 근린시설 접근성을 가장 높게 꼽았다. 분산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라 은퇴 후 선호주거지역과 주택유형에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과 교육수준에 따라 선호하는 주거지역, 점유형태, 주택규모에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동거가족의 형태와 자산규모에 따라 선호 주택규모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주거경험(주택유형, 점유형태, 규모, 지역)도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마찬가지로 은퇴 후 선호주거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라서도 은퇴 후 선호하는 주거지역, 주택유형, 점유형태, 주택규모에서 모두 차이를 보였으나, 은퇴 후 근로의향은 선호주택규모에서만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결과 선호주거입지 분석모형에서 라이프스타일 변수를 포함하지 않은 모형의 수정된 R²값이 22.03%인 반면 라이프스타일변수를 포함한 모형의 수정된 R²값이 66.43%로 설명력이 월등히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선호주택유형 회귀분석결과 또한 라이프스타일 변수를 포함하지 않은 모형과 포함된 모형의 수정된 R²값의 차이가 6.94%에서 38.00%로 설명력이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선호주거입지 분석결과 라이프스타일 변수가 포함되지 않은 모형1-1에서는 설명변수 중 성별, 연령, 교육수준, 현재주거입지, 주택유형, 점유형태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라이프스타일 변수가 포함된 모형2-1에서는 모형1-1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던 설명변수 성별, 교육수준, 현재 주택유형, 점유형태가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으며, 대신에 자산규모와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다른 결과를 보였다. 선호주택유형 분석결과 라이프스타일 변수가 포함되지 않은 모형3-1에서는 설명변수 중 성별, 현재 주거입지 중 전원지역, 주택유형, 점유형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라이프스타일 변수가 포함된 모형4-1에서는 모형3-1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던 현재주택점유형태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난 반면, 유의하지 않았던 연령과 동거가족형태,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기술통계 자료를 보면 현재 중·장년층은 은퇴 후에 자신의 집에서 거주하기를 선호하고 노인들만 모여 사는 곳을 좋아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정부에서는 이런 점을 고려하여 은퇴자들이 자신의 집에서 거주하며 사회 속에서 조화를 이루며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분산분석과 회귀분석결과 은퇴 후 생애주기의 라이프스타일이 주거선호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중·장년층이 은퇴할 시기가 되면 사회구성원이나 이들이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이 더욱 다양해 질 것이다. 이에 따라 은퇴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다양한 노년층 주거환경 계획이 필요하다. 주요어 : 주거선호, 라이프스타일, 은퇴, 중·장년층

      • 중장년층의 은퇴 후 선호 주거특성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의 대기업과 중소기업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성범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울산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장년층의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은퇴 후 주거계획을 위한 선호 주거특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은 첫째, 울산광역시 중장년층의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울산광역시 중장년층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의 은퇴 후 선호 주거선택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울산광역시 중장년층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의 은퇴 후 선호 주거선택을 통해 중장년층의 은퇴 후 시기의 주거계획에 반영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은퇴 후 주거계획에 대한 의견과 선호주거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1960년대 산업화 이후 유입된 산업인력들 중 향후 은퇴를 앞둔 40-50대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연령을 한정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들은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근로자 중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들 9명을 대상으로 1차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수정·보완을 거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인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는 울산광역시 상공회의소에 등록된 사업체에 근무하는 근로자를 기준으로 종사자 규모가 1,000명 이상인 대기업 근로자 60명과 상공회의소에 등록된 중소기업업체의 근로자 각 60명씩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측정도구인 설문지는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직접 개발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거주자 주거사항, 중장년층 조사대상 주거에 대한 주의식과 선호도, 만족도 등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는 2013년 9월 27일부터 10월 1일까지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중장년층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조사대상자 9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조사는 2013년 10월 7일부터 10월 13일까지 1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후 최종 검토 후 부실한 설문지 3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총 117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장년층의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은퇴 후 주거계획을 위한 선호 주거 현황을 통해 중장년층의 은퇴 후 시기의 주거계획에 반영한 계획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울산광역시 중장년층의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특성을 살펴보면 본 연구의 조사결과 학력은 고등학교졸업이하, 소득은 500-700만원이 가장 많았으며, 주택유형은 아파트거주자(70.9%)와 주택규모는 30평대, 소유형태는 자가소유율이 76.3%로 나타났다. 이는 울산의 사회지표 결과에서 40-50대의 중장년층과 비교하였을 때 소득이 200-3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은 것과 비교했을 때 본 연구의 조사결과 대상자들이 훨씬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으며, 자가 소유율 또한 사회지표 결과(63.3%)와 비교해 더 높게 나타나 전체 중장년층과 비교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경우 소득과 자가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울산광역시 중장년층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주거선택 행동특성을 분석한 결과 과반수 이상이 결혼 후 집을 마련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결혼 후 이사 횟수는 3번으로 대부분 10년 안에 자가를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주택으로 이사 온 이유로는 직장·학교의 거리가 가장 중요가 이유로 나타났으며, 현재 주택을 선택시 고려한 사항으로 가장 높게 응답한 것은 편리한 생활여건(16.8%), 거주 지역(16.2%), 주택유형(15.1), 교통의 편리성(13.7%)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주택의 규모(4.5%), 주거의 질(5.2%), 재산증식(6.5%)은 고려순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주택을 선택할 경우 편리성과 직장이나 자녀의 학교와의 거리 및 지역, 주택 유형과 같은 편리성과 생활적 측면의 요소가 주거선택의 주요요소로 작용하며, 주거의 질이나 재산 증식, 규모 등의 가치와 질적 요소는 현재 주택 선택요인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울산의 사회지표 조사결과에서는 이사할 경우 경제적 여건이 가장 중요 요인으로 생각하며 다음으로 직장과 교육환경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선택시 고려사항으로는 주위환경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과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조사대상인 중장년층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경우 소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경제적 여건이 중요요인으로 작용하는 사회조사결과와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경제적 요인 다음의 요인에서는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고려사항 역시 본 조사결과에서는 편의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사회조사결과에서는 주위환경을 더 중요하게 여겨 이 역시 소득, 자가소유율 등의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여겨져 경제적 요인이 중요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울산광역시 중장년층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은퇴 후 주거계획에 대해 살펴 본 결과 은퇴 후 울산에 거주하려는 비율이 70.8%였으며, 이사계획은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51.0%로 나타났으며, 이사시기는 3년 이내가 가장 많았으며, 선호지역으로는 교외지역, 부도심, 도심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사지역은 타지역을 제외한 울산지역은 울주군, 남구, 중구, 동구, 북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선호지역 선택이유로는 자연환경 때문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은퇴 후 선호주택유형으로는 전원주택이 44.1%로 가장 많았으며, 주택규모는 30평대를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 후 이사시 고려사항으로는 편리한 생활여건, 거주지역, 주거의 질이 주요 고려사항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주택의 선택요인으로 편리성과 거주지역 등 생활요소가 주요 선택요인으로 작용하였고 질적·가치요소인 주거의 질은 주택 선택요인에서 주요 선택요인으로 작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과 비교하였을 때 향후 은퇴 후 주거의 선택에 있어서는 주거의 질적 측면이 주요 선택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넷째, 울산광역시 중장년층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은퇴 후 선호 주거선택 특성에 대한 분석결과 소득이 중요 선택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심과의 거리, 투자가치, 사생활보호, 보안시스템, 유지관리비 등 중요도 차이가 클수록 분석결과 소득이 낮을수록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소득이 높을 경우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소득이 낮을수록 여러 가지 측면에서 중요성을 고려해 주거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소득이 높은 경우 주변 환경이나 여가 및 취미활동 등 자기개발 측면을 중요요소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선호 주거유형 중요도 분석결과에서는 나의 건강과 자연, 안전 등이 중요 주거 선택요소로 작용하고 있었으나 주택의 시설이나 구조와 단지와 같은 계획적 요소는 중장년층의 은퇴 후 선호 주거 선택요소에서 중요 선택요소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중장년층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은퇴 후 선호 주거선택 특성에서는 경제적 요인인 소득이 주요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은퇴 후에는 건강과 자연, 안전 등이 주요 주택 선택요인으로 시설이나 계획적 측면보다 자연과 안전, 건강 등의 개인적 편리성과 편안함을 추구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상의 결론을 통해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중장년층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의 경우 전체 울산의 중장년층과 비교해 소득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주거선택시 주요 선택요소로 나타난 경제적 여건이 이들 계층의 경우 주거선택요인에 주요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 대신 편리성이나 지역, 유형 등의 선택의 폭을 넓혀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주택공급에 있어 다양한 선택과 적용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중장년층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의 경우 타지역에서 이주해 울산에서 20년 이상 거주한 사람들이 대부분으로 울산을 제 2의 고향으로 생각하여 울산에 대한 정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애착이 매우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은퇴 후 울산에 계속 거주하려는 비율이 2/3로 매우 높게 나타난 것을 본 조사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중장년층의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은퇴 후 주거계획에 있어 울산에 대한 정주성과 애착 증대를 강화한다면 은퇴 후 주거의 보급과 계획에 있어 큰 해결방안이 될 것이라 여겨진다. 셋째, 중장년층의 은퇴 후 주거계획의 경우 향후 주거계획에 있어 편리성과 질적 요소, 소득 등이 주요 선택요소로 작용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주거선택요소의 특성이 반영된 주거계획의 개선안을 마련하여 주거계획과 공급적 측면에서 홍보와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넷째, 울산시의 경우 다른 지역과는 다른 공업도시의 특성을 갖추고 있어 계획과정에서 이 부분에 대한 파악과 이해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은퇴 후 중장년층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의 주거계획을 위하여 단순한 주거계획을 실시할 것이 아니라 계층적·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계획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은퇴 후 시기의 주거계획을 위해 중장년층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대상 표본수가 전체 모집단을 대표하기에는 표본수가 작아 일반화하기에 연구의 한계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향후 중장년층의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의 은퇴 후 주거계획을 연구하기 위하여 더 많은 표본조사와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선호 음악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중학생의 체육활동 참여 동기와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안상국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 목적은 선호 음악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중학생의 체육활동 참여 동기와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체육수업 교수학습 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성남시 소재의 W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게는 선호 음악을 적용한 체육수업을 10주간, 주 2회 체육수업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체육수업을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에 대한 타당도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거쳐 사전 동질성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이 종료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실험 및 비교집단 간, 실험 및 비교집단 내 평균 비교를 통해 선호 음악을 적용한 체육수업 후 학생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호 음악을 적용한 체육수업에 따른 체육활동 참여 동기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집단 내 전·후 차이 분석에서는. 실험집단의 심신만족, 부정적 태도, 친교수단, 학습의지, 자기과시 요인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에 반해 비교집단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집단 간 비교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체육활동 참여 동기의 모든 하위 요인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심신만족, 친교수단, 자기과시 요인은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집단 간, 집단 내 차이를 분석해봤을 때 선호 음악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중학생의 체육활동 참여 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둘째, 실험집단 내 성별에 따른 체육활동 참여 동기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실험집단 내 남학생의 체육활동 참여 동기 전·후 차이를 살펴보면 하위요소 중 부정적 태도, 친교 수단, 학습 의지에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다. 여학생은 심신 만족, 부정적 태도, 친교 수단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모든 하위요소의 평균이 향상되었다. 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변화가 나타난 것은 부정적 태도와 친교수단이다. 남, 여학생 집단 모두 체육활동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감소하였고, 다른 학생들과 어울리는 매개로 체육 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동기가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 간 비교에서는 자기과시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의 평균이 남학생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체육에 대한 참여 동기가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기본적으로 높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선호 음악을 활용한 체육수업은 남학생의 부정적 태도, 친교 수단, 학습 의지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여학생은 심신 만족, 부정적 태도, 친교 수단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셋째, 선호 음악을 활용한 체육수업에 따른 집단별 수업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실험집단의 수업 만족도 전·후 차이를 살펴보면 교수행동, 체육환경 요인에서 향상을 보였고, 체육성적, 운동능력 요인에서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비교집단은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집단 간 비교에서는 실험집단의 교수행동 및 체육환경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체육성적, 운동능력 만족도에서는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선호 음악을 적용한 체육수업은 체육수업 만족도의 하위요소 중 교수행동 만족도와 체육환경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넷째, 실험집단 내 성별에 따른 수업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의 전·후 차이를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교수행동 만족도의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체육 환경 만족도에서는 여학생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체육성적 만족도와 운동능력 만족도에서는 남, 여학생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남, 여학생 집단 모두 체육수업에 선호 음악을 적용함으로써 교수행동 만족도가 증가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체육환경 만족도에서 여학생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은 체육수업에서 선호 음악의 적용에 따른 체육환경의 변화에 여학생 집단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한 결과로 체육환경 만족도 향상을 가져온 것으로 사료 된다. 집단 간 비교에서는 남학생은 교수행동, 체육성적, 운동능력 요인의 평균이 높았고, 여학생은 체육 환경 요인에서 평균이 높았으나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선호 음악을 적용한 체육수업은 중학생의 체육활동 참여 동기 중 심신만족, 부정적 태도, 친교수단, 학습의지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수업 만족도 중 교수행동 및 체육환경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학습자들이 선호하고 학습과제에 적합한 형태의 음악을 적용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 및 효과 연구에 필요성을 확인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시간선호이론에 대한 재검토 : 행동경제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김성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경제이론에서 통상적으로 가정되는 시간선호의 정확한 의미를 알아보고, 고전학파에서부터 최근의 행동경제학에 이르기까지 시간선호이론이 변화해 온 양상을 개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행동경제학과의 비교를 기본적인 방법으로 채택하여 시간선호이론의 변화를 파악할 것이다.시간선호는 ‘미래에 현재보다 더 작은 가치를 부여하는 것 자체, 즉 현재를 미래보다 선호하는 것 자체’를 의미한다. 시간선호는 할인과는 엄밀하게 구분된다. 할인이란 미래에 일어날 결과가 현재의 결과보다 더 작은 가치를 낳게 될 때에 적용되는 것이다. 하지만 경제이론에서는 할인과 시간선호가 마치 동일한 것처럼 여겨지고 있어서 혼동을 주고 있다.고전학파에 속하는 스미스와 래는 인간 본성에 대한 통찰을 통해 시간선호와관련된 주목할 만한 발언을 하고 있다. 스미스가 『도덕감정론』에서 말한 ‘열정’과 ‘공평무사한 방관자’, 래가 『사회적 자본이론』에서 말한 ‘축적에 대한 유효한 욕망’을 결정하는 네 가지 요인들은 경제학의 초기 역사에서 시간선호와 관련된 중요한 언급들이다. 그러나 스미스와 래는 시간선호를 고정된 선호로 인식하지도, 효용극대화 원리와 결부시키지도 않았다.공리주의를 수용한 초기 신고전학파는 효용극대화를 선택의 기본 원리로 삼았다. 초기 신고전학파의 제본스, 피셔, 마셜, 피구 등은 시간선호는 인간에게 내재한 결점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발생한다고 생각했다. 이들은 시간선호가 효용극대화라는 목적에 위배된다고 보았으며, 교육을 통해 시간선호를 교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한편 오스트리아 학파의 뵘바베르크는 기술적인 요인에 주목하여 시간선호를 해명하고자 했다. 우회생산의 개념을 도입한 뵘바베르크는 자본의 생산성으로 인해 시간선호가 존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현대의 주류경제학인 신고전학파 경제이론에는 시간선호가 안정적인 선호로서 수용되게 된다. 이는 시점 간 선택에 있어서 규범적인 모델인 할인효용모델을 통해 알 수 있다. 할인효용모델에서 시간선호와 할인은 명확하게 구분이 되지 않으며, 할인율은 항상 일정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시장에서의 균형을 통해 개인의 할인율과 이자율은 일치하게 된다는 것이 신고전학파의 기본적인 입장이다.1970년대 이후 새롭게 부상한 행동경제학은 고전학파, 초기 신고전학파가 주목한 바 있던 인간 본성의 특징에 다시 주목한다. 이는 경제학에 심리학의 연구 결과가 수용됨으로써 가능하게 되었다. 행동경제학은 신고전학파의 합리성 가정, 효용극대화 원리와는 거리를 두게 된다.행동경제학은 실제 실험결과를 근거로 삼아서 할인효용모델의 예측을 반박하는데 집중했다. 행동경제학이 보고하는 있는 실험결과들에 따르면 할인효용모델과는 달리 할인율은 일정하지 않았으며, 이자율과도 심한 차이를 보였다.행동경제학은 초기 신고전학파에게는 인간에게 내재한 결점으로 여겨졌던 성급함이나 근시안, 또는 자기통제의 결여 등을 시간선호를 설명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들로 도입하게 된다. 현재 행동경제학은 인간의 심리적 요인, 인지적 특성 등을 모두 수용하는 사실적인 모델을 구축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exact meaning of time preference which is usually assumed in economic theories, and to summarize the ways in which the theory of time preference has been changing from classical economics to recent behavioral economics. In this thesis, changes in the theory of time preference will be examined by adopting the comparison with behavioral economics as the basic methodology.The theory of time preference simply means ‘placing less value on the future than on the present, i.e. preferring the present to the future.’ Time preference is strictly distinguished from discounting. Discounting is applicable when the results that will happen in the future produce less value than the value produced by the results that happen at the present time. In economic theories, however, the discounting and the time preference are regarded as if they were the same things, thereby causing confusion.Smith and Rae who belong to the classical school made noteworthy remarks regarding time preference through insight into human nature. ‘passions’ and ‘the impartial spectator' that Smith mentioned in his 『A Theory of Moral Sentiments』and the four factors which determine ‘effective desire of accumulation’ that Rae mentioned in his 『The Sociological Theory of Capital』are important references related to time preference in the early history of economics. Smith and Rae, however, neither recognized time preference as fixed preference nor associated it with utility maximization.The early neoclassical economics school, which adopted utilitarianism, used utility maximization as the basic principle of choice. Jevons, Fisher, Marshall, and Pigou of the early neoclassical economic school thought that time preference was inevitably generated by the weaknesses inherent to humans. They thought that time preference was against the purpose of utility maximization and contended that the time preference should be corrected through education.Meanwhile, Böhm-Bawerk of the Austrian School tried to explain the time preference focusing on technological factors. Böhm-Bawerk who introduced the concept of roundabout production maintained that the time preference can exist due to the productivity of capital.In the neoclassical economic theories which are mainstream economics of modern times, the time preference is accommodated as a stable preference. This can be seen through the discounted utility model which is a normative model in inter-temporal choice. In the discounted utility model, the time preference and the discounting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and the discount rates always appear constant. It is the basic positions of the neoclassical economics school that the individuals’ discount rates and interest rates agree with each other through equilibrium in the market.Behavioral economics that newly rose to the surface since the 1970s focuses again on human nature that classical economic school and early neoclassical economics school had observed. This became possible when the research results of psychology were accommodated in economics. Behavioral economics maintains a distance from the assumptions of rationality and the principles of utility maximization of the neoclassical economics school.Behavioral economics concentrated on refuting the prediction of the discounted utility model based on the results of actual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periments reported in behavioral economics, unlike the discounted utility model, discount rates were not constant and also showed a sharp difference from interest rates.Behavioral economics introduces impatience, myopia or the lack of self control, which was regarded by the early neoclassical economics school as shortcomings inherent to humans, as important factors to explain time preference. Currently, behavioral economics attempts to establish the bottom-up model that can accommodate all of human psychological factors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 광고의 형태와 해석 수준이 광고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민경천 아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다른 해석수준의 상황에서 제시된 두 가지 광고의 유형(정서적 광고vs정보적 광고)이 상호작용하여 광고에 대한 선호도 및 광고에 나타난 상품에 대한 선호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일반적으로 광고의 효과에 중점을 두어 광고가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는 연구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소비자가 주변 환경에 의해 유발된 다른 정보처리 방식을 가진 상태로 광고를 보았을 때 광고의 효과에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광고의 중요한 두 요소인 개념적 요소 및 감정적 요소를 토대로 광고를 두 가지로 구분하였으며, 개념적 요소(상품에 대한 정보)를 가진 정보적 광고 및 감정적 요소(상품에 대한 정서)를 가진 정서적 광고를 보았을 때 해석수준이론(Construal Level Theory)에 따라 달라진 해석수준의 상태에서 광고의 효과가 어떻게 다른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추상적이고 중심적인 정보를 중요시하는 상위해석(High-construal)수준에서는 정서적 광고를 보았을 때 광고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였을 것이며(가설1-1), 구체적이고 부가적인 정보를 중요시하는 하위해석(Low-construal)수준에서는 정보적 광고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가설1-2). 또한, 이렇게 증가된 광고에 대한 선호도는 상품에 대한 선호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았다(가설2). 실험 결과 광고 선호도에 대한 해석수준과 광고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을 확인하였으나 그 상호작용효과가 상품 선호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른 해석 수준에는 다른 광고를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발견하였으며, 광고에 대한 선호도가 반드시 상품에 대한 선호도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남아선호경향과 심리적 부담감에 관한 연구 : 기혼남녀를 중심으로

        윤지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사회는 그 동안 경제발전에 따라 급속한 산업화, 도시화가 이루어졌고 이에 따라 과거로부터 내려오던 많은 전통적 가치관과 의식들이 변화되어왔다. 하지만 이러한 의식구조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남아선호사상은 여전히 우리 사회 속에 남아 있다. 조선시대의 유교사상에 바탕을 둔 남아선호사상은 남녀평등을 추구하고 있는 오늘날에도 그 경향을 뚜렷이 나타내고 있는데 그 단적인 예로 ‘출생성비불균형’ 이라는 새로운 사회현상을 유발하고 있다. 출생성비불균형은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야기 시킬 뿐만 아니라 남아선호사상은 개인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에도 여러 가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아들을 낳아야 한다는 심리적인 부담감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남아선호사상은 가치관의 변화, 즉 국민의 의식전환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하며 사회구성원의 남아선호로 인하여 초래되는 심리적 부담감을 갖은 사람들의 교육 및 상담이 이루어져야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남아선호 경향과 남아선호로 인한 심리적 부담감정도를 알아봄으로서 우리 나라 국민들의 남아선호의식을 전환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및 홍보자료로 사용하여 우리 국민이 올바른 가치관과 건전한 윤리를 함양하기 위함이며, 또한 남아선호로 인한 심리적 부담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육 및 상담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20-60세의 기혼남녀로서 서울, 경기, 전남지역의 기혼남녀 중 편의표출하여 연구에 동의한 884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1999년 8월 30일부터 1999년 9월 30일까지 한 달에 걸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도구 중 남아선호경향 측정도구는 연구자가 문헌고찰을 통해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도구의 내용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간호과학과 전공교수1인, 간호학박사과정1인, 간호학연구원 2인에게 각 문항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내용과 문구를 수정, 보완하였으며 심리적 부담감 측정도구는 남아선호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참조로 연구자가 개발하여 간호과학과 전공교수1인, 간호학박사1인, 간호학 연구원 2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 구성타당도, 신뢰도를 검증한 뒤 본 연구의 도구로 사용하였다. 본 도구의 신뢰도를 알 수 있는 Cronbach's α 값은 .8232이다. 본 연구에 사용한 통계방법은 SPSS를 사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방법과 Chi-Square test, one-way ANOVA, Sheffe's-test,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총 대상자 884명중 성별은 남자가 44.9%, 여자가 55.1%로 나타났다. 연령분포에는 30-39세가 51.8%로 가장 많고 월 평균소득은 200만원 미만이 49.7%로 가장 많았다. 직업은 전업주부가30.7%, 회사원이 26.3%, 공무원 및 교사가 20.2%이다. 남자의 가족에서의 위치는 차남 또는 막내가 53.1% 장남이 33.2%로 나타났으며 부모님을 모시고 있는 경우는 20.4%이며 그 중에서 남자의 부모인 경우는 85.8%이고 여자의 부모인 경우는 14.2%로 나타났다. 아들이 있는 경우는 74.9%이며 아들이 없는 경우는 25.1%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의 자녀구성비율을 살펴보면 아들과 딸이 같은 구성비율로 있는 경우가 33.7%로 가장 많았으며 아들만 있는 경우는 26.1%, 딸만 있는 경우는 20.4%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남아선호경향을 알 수 있는 질문중의 하나인 ‘아들이 꼭 있어야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그렇지 않다’가 429명(49.0%), ‘그렇다’가 371명(42.4%)로 응답하고 있다. 이는 우리 나라에 남아를 선호하는 기혼남녀가 42.4%수준으로 나타나 우리 나라의 많은 기혼남녀들이 남아선호경향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들이 꼭 필요한 이유’로는 ‘가정의 조화를 위해서’가 197명(27.4%)이며 ‘아들은 마음이 든든하여’가 170명(23.7%) 그리고 ‘아들이 없으면 대가 끊긴다’가 147명(20.5%)로 나타났다. 남아선호사상으로 인하여 초래되는 성비불균형을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일에 대한 응답으로는 ‘사회구조적인 변화인 불평등을 해소해야된다’가 289명(45.7%)으로 가장 많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남성의 의식변화가 131명(20.7%)의 응답률을 나타내었다. 3. 대상자의 남아선호로 인한 심리적 부담감은 평점이 2.41 (표준편차 0.33)로 나타났다. 심리적 부담감 문항에서 가장 부담감이 많은 문항은 ‘딸인 경우 본인(또는 배우자)이 성감별이나 인공유산을 하게 되면 모체의 건강을 해칠 것이다’(평점3.15, 표준편차 0.64), ’아들은 나에게 있어서 자부심과 긍지를 갖게 해준다’(평점3.15, 표준편차 0.64)이며, 부담감이 가장 적은 문항은 ‘아들이 없으면 배우자와 자주 말다툼을 할 것이다.’(평점1.94, 표준편차 0.60)의 문항으로 나타났다. 6가지로 분류한 요인 중에서는 ‘성감별과 인공낙태에 대한 부담감’(평점3.05, 표준편차 0.57)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결혼생활의 안정화로서의 부담감’(평점2.02, 표준편차 0.56)이 가장 낮게 나타나 있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라 남아선호경향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들이 꼭 있어야 하느냐’ 문항에서 성별(X^ 2=12.23, p=0.00), 나이( X^2=35.58,p=0.00), 직업 ( X^2=20.10, p=0.02), 남자의 가족상 위치 (X^2=15.56, p=0.00), 아들유무(X^2=58.06, p=0.00)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살펴보면 남자가 여자보다, 연령이 많을수록, 외아들인 경우, 그리고 아들이 있는 경우에서 ‘그렇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나 아들을 선호하는 경향이 많음을 알 수 있으며, 반대로 공무원이나 교사인 경우가 남아를 선호하는 경향이 적게 나타나고 있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라 심리적 부담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나이(F=8.03, p=0.00), 남편의 가족상 위치(F=5.64, p=0.00), 부모봉양대상(F=3.76, p=0.05), 아들유무(F=44.62, 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 외아들인 경우, 시부모를 모시고 있는 경우, 그리고 아들이 있는 경우에 남아선호로 인한 심리적 부담감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6. 남아선호경향을 알 수 있는 질문인 ‘아들이 꼭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의 문항에 대 한 응답과 심리적 부담감과의 관계에 유의한(F=88.78, p=0.00) 차이를 보였다. ‘그렇다’라고 응답한 대상자의 부담감의 평점이 2.57(표준편차0.33)이며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대상자의 평점은 2.27(표준편차 0.29), 또는‘잘 모르겠다’라고 응답한 대상자의 평점이 2.38(표준편차 0.22)로 나타나 ‘그렇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더 많은 부담감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리 나라의 많은 기혼남녀들이 남아선호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남아선호의식으로 인하여 초래되는 성비불균형이 가져올 사회문제의 심각성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으나 대부분 개인적인 차원에서 받아들이고 있다. 또한 성비불균형해소를 위해서 사회구조적인 변화인 불평등을 해소해야 하며 남성의 의식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응답하고 있어 남성중심의 불평등의 사회구조가 여전히 존재하고 많은 기혼남녀들이 이를 느끼고 있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그리고 우리 나라의 남아선호사상을 가진 많은 대상자들이 심리적 부담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부담감이 해결되지 않고 지속되면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앞서 제시한 여러 가지 정서적인 문제를 일으키게 되고 안녕 감을 저하시켜 질적인 삶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남아선호사상은 해소되어져야 하며 이러한 남아선호사상을 해소할 수 있는 남아존중사상 자체의 성 의식의 변화가 필요하고 이러한 의식전환을 위한 교육 및 홍보의 구체적인 방안이 도출되어져야 하며 이러한 심리적 부담감을 가진 대상자의 간호중재전략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남아선호경향과 심리적 부담감을 파악할 수 있는 보다 신뢰성 높은 도구개발을 위하여 본 도구의 반복 사용과 수정보완작업이 계속 이루어져야한다. 2. 남아선호의식을 가진 사람들의 심리적 부담감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간호중재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다. 3. 우리 나라 국민들의 남아선호에 대한 의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간호학적인 측면에서의 구체적인 교육방안과 홍보전략이 필요하다. 4. 남아선호의 의식전환을 위한 제도적, 법적 측면에서의 다 학문간 접근이 필요하다. 5. 기혼남녀의 심리적 부담감에 대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purposely designed to identify the son preference of married men and married women and identify the degree of the psychological burden caused by the son preference. and It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education and public information to change their view about the son preference, be helpful to cultivate right value and sound morality for Korean and be proposed as a basic material for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psychological burden. For this thesis, I've conducted a poll. The people polled were 884 married men and married women aged from 20 to 60, who lived in Seoul, Gyunggi-do, and jullanam-do. They understood the purpose and need of my study and helped me very earnestly. It took for a month, from Aug. 30, 1999. to Sep. 30, 1999, to collect this data. For objectivity of this data, I used several ways. At first I read a lot of books about this topic, and made questions for this thesis. I had consulted with specialists in this field- 1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professor, 1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doctor and 2 other researchers to modify questions and raise the effectiveness. They also clarified the validity of the construction, the content of the son preference questionnaire and clarified the validity of the construction, the content and the reliability of the psychological burden tool.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core,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test, one-way ANOVA, t-test and Chronbach alpha coefficient with SPSS/PC+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re like this 884 subjects were 44.9%(395) men and 55.1%(484) women. The main age is 30-39 (51.8%). In family hierachy, the second son and the youngest son 53.1% and the eldest son are 33.2%. This data showed that 74.9% of subjects have son and 25.1% don't have. And in the constituent children, the subjects who have the same component ratio with son and daughter are 33.7% (majority). The respondents who have only son or sons are 26.1%, and only daughter or daughters are 20.4%. 2. `Do you think the son should be necessary in your life?', 429(49.0%) subjects said `No' and 371(42.4%) said `Yes'. It revealed that the numbers of married men and married women had son preference. 3. The psychological burden for the son preference revealed MS 2.41 (SD 0.33). In the questionnaire about the psychological burden, the respondents marked that `sex detection test or sex selective abortion would injured the health of mother's body.'(MS 3.15, SD 0.64), and `son gives me the self esteem and pride'(MS 3.15, SD 0.64) are the most important causes. The lightest cause is `If I don't have the son, I would quarrel with my spouse frequently.'(MS 1.94, SD 0.60). In the questionnaire about the 6 factors which gave the psychological burden to the subjects, the highest one is `the burden comes from sex detection test and sex selective abortion'(MS 3.05, SD 0.57) and the lowest one is `the burden of the stabilization of the life.'(MS 2.02, SD 0.56) 4. Significant differences about the preference for the son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is `Do you think the son should be necessary in your lif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Signig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s(x²=12.23, p=0.00), ages(x²=35.58, p=0.00), occupations(x²=20.10, p=0.02), man's status in the family(x²=15.56, p=0.00), the respondents who have son or not(x²=58.06, p=0.00). To put it concretely, man prefer the son than woman, the older prefer the son than the younger. And respondents the only son and who have any son prefer the son than respondents who have not. In contrast, the public officers or teachers' son preference showed lesser ratio than the other people. 5. Significant differences about the psychological burden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aused by son preference. The ages(F=8.03, p=0.00), the man's status in the family(F=5.64, p=0.00), the eldest sons who have obligation to take care of their parents(t=1.94, p=0.05), the man or woman who has the son or not (t=-6.68, p=0.00). Another way, the older respondents, only son respondents, the man or woman who have son, the respondent who takes care of their parents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the psychological burden which comes from son preference. 6. Significant differences(F=88.78, p=0.00) between the question `Do you think the son should be necessary in your life?' and the psychological burden. The psychological burden of the respondents saying `yes' revealed MS 2.57(SD 0.33) and those saying `no' MS 2.27(SD 0.29), the remaining subjects saying `I don't know' revealed MS 2.38(SD 0.22). It showed the subjects saying `yes' have more psychological burden than the other respondents I would like to propose below based on the result from this study; 1. I propose the need for development the more valuable and objective instrument in evaluating the son preference and psychological burden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is study. 2.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are necessary to reduce the psychological burden for people who have the son preference. 3. Detailed educational plans and strategies of public information should be introduced to change koreans who have son preference in the nursing aspect. 4. Multidisciplinary approach should be necessary to change korean's view about son preference in the social and legal systems. 5. It is necessary to have qualitative study about psychological burden of married men and married women.

      • 청년층의 공직선호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송주섭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어떤 요인들이 청년들로 하여금 공무원을 직업으로서 선호하게 되는지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는 공무원 열풍을 축약적으로 표현하는 다양한 신조어가 등장할 만큼 직업으로서 공무원을 선호하는 개인들이 증가해온 국내 현상 때문이었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과도한 공무원 선호가 자칫 인재를 한쪽으로 쏠리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대해 기존 연구들은 공공봉사동기를 중요한 요인으로 지목하고 있었다. 공공부문은 공공성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으로, 따라서 공공부문에서 활동함으로써 사회 구성원 전체의 이익을 위해 봉사하고자 하며 공공정책을 개발하거나 집행하는 업무를 통해 미래세대의 이익증진에까지 기여하고자 하는 욕구가 큰 개인들이 공무원을 직업으로서 선호하며 선택하게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공공봉사동기 뿐 아니라, 직업과 관련된 다양한 선택동기 역시 공무원을 직업으로 선택한 동기가 될 수 있다는 지적 역시 존재했다. 즉 단순히 공공을 위해 봉사하고자 하는 동기만이 공무원을 선호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직업관련 동기 혹은 욕구 역시 중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논의들은 경제적 보상이나 직업을 통해 얻게 되는 사회적 지위 등 역시 공무원을 직업으로 선택하는 과정에서 중요하며 따라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반드시 차별화되는 것은 아니라 설명한다. 이상의 논의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청년들의 공무원 선호 현상에 대한 분석에서 공공봉사동기와 직업선택동기를 주요한 설명변수로 설정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추가적으로 현 공무원들에 대한 인식 역시 중요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관점이었다. 이는 일반적으로 어떤 직업을 사회구성원들이 불신하는 등 해당 직업을 수행 중인 자들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한다면, 개인들의 해당 직업에 대한 선호도 역시 낮아질 수밖에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것이 우리나라의 현실이라는 것이 기존 연구들의 지적이었다. 공무원들은 부패한 집단이라 지적하며 그들을 불신하지만, 동시에 직업으로서의 공무원에 대한 선호수준은 높은 이중적 모습이 우리사회의 특징이라는 것으로, 이것이 본 연구가 공무원 대상 인식관련 요인 역시 공직선호수준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공직선호수준과 개인의 공공선호동기, 직업선택동기, 그리고 공무원의 인식 간의 관계를 분석해 보았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봉사동기는 견고한 수준에서 공직선호수준과 긍정적 관계를 맺고 있었다. 즉 기존 연구들의 분석 결과와 동일하게, 사회의 이익과 안녕을 위해 봉사하고자 하는 동기가 큰 개인일수록 공무원을 직업으로서 선호하고 있던 것이다. 둘째, 개인의 직업선택동기 중 공직선호수준과의 관계가 강건하다는 판단이 가능했던 것은 존재욕구였다. 즉 직업을 통한 경제적 보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이를 위한 경제활동이 삶의 질을 해치지 않는 수준이어야 한다고 보는 개인일수록 공직을 선호하는 수준 역시 높았던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우선 공직으로의 진출과 관련하여, 개인들이 비단 공공성을 위해 봉사하고자 하는 동기를 충족시키기 위함뿐 아니라 경제적 보상의 안전성 확보 역시 주요한 이유임을 알 수 있게 하는 결과이다. 셋째,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인식 역시 개인의 공직선호수준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이때 일반적이며 보편적 인식은 그러지 못했다는 점이 중요하다. 즉 공무원들을 어느 수준만큼 불신하며, 그들의 역량은 어떠하다고 생각하는지와 같은 다소 추상적인 수준에서의 인식은 개인의 공직선호수준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주지 못한 것이다. 이 점이 우리사회의 양가적 감정이란 현상을 설명해 줄 수도 있다. 즉 사회 전반적으로 관찰 가능한 공무원에 대한 낮은 신뢰수준은 개개인의 공직선호수준을 달리하지 못할 수 있는 것이다. 대신 공무원 대상 인식과 관련하여서는 현 공무원들의 공공봉사동기에 대한 것만이 공직선호수준과 유의미하고 견고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공무원이라는 직업이 고유하게 갖는 특징이라고 설명되는 봉사동기에 대한, 즉 직업에 특화된 인식은 해당 직업의 선호 수준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했던 것이다. 본 연구는 측정 대상이 제한되어 있고, 몇몇 문항에서 측정의 신뢰성과 타당성에 문제가 있는 등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단순히 공공봉사동기나 직업선택동기와 같은 개인적 요인을 넘어, 공무원이라는 직업에 대한 인식까지 분석에 포함하고자 했다는 의의를 지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는 높은 공무원 선호 현상은 비단 최근의 현상이 아닌 상당히 장기간 지속되어 온 것이며, 전세계적 감염병 위기나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한 국가에서 공공영역의 역량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져가는 상황 속에서 더 큰 의미를 지닌다. 과연 누가 공무원이 되고 싶어하는가라는 질문의 답을 찾아 나가는 것은 곧 공공영역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어떻게 공무원이 되고 싶어 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지 라는 문제와도 연계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핵심어: 공직선호, 공공봉사동기, 직업선택동기, 공무원불신 This study tried to analyze what factors led young people in Korea to prefer civil servants as jobs.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the phenomenon in which the number of individuals who prefer civil servants as a job has increased. If this phenomenon continues, the problem could arise that excessive preference for civil servants could cause the talent to be skewed to one side. Previous studies have pointed to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henomenon. It is said that the public sector is an area characterized by public nature, so individuals with a strong desire to serve the interests of all members of society by working in the public sector and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future generations' profits through public policies would choose civil servants as jobs, according to them. However, others pointed out that not only PSM but also various career-related motivations could be the factors which make people pursue civil servants as a job. In other words, not just motivation to serve the public makes public officials preferable, but general career motivation or desire can also be important. The related discussions have explained that economic rewards and social status gained through jobs are important in the process of selecting public officials as jobs, so that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re not necessarily differentiated. Following the above discussion, this study aimed to set the motivation for public service and career choice as the main explanatory variables in the analysis of young people's preference for civil servants. In addition, however, the view of this study was that perceptions of current civil servants could also be important. This is because in general, if a job is negatively evaluated by members of society, such as distrust, individuals' preference for the job would be lowered. Existing studies pointed out that the aforementioned phenomenon is exeptionally crucial in Korea because many Korean point out that civil servants are corrupt groups and distrustful while preference for those jobs are high, which is the reason it could be said that the factors related to perception towards public officials are also essential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the high preference.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preference levels for public servants as a job and individual PSM, career choice motivations, and perceptions related to public officials. The result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SM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reference for public office as a job at a solid level. In other words, as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show, individuals with greater motivation to serve the interests and well-being of society preferred civil servants as jobs. Second, it was the existence desire that it was possible to judge that the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preference for public office as a job was statistically strong among individuals' job-selection-related motivations. In other words, individuals who believe that economic compensation with jobs should remain stable and that economic activities should not harm the quality of life, showed the high level of preference for public office. These result means in relation to selecting public officers as a job, that to secure the safety of economic rewards is important. Third, the perception related to public officials also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preference for public servants as a job. Especially, it is important that general perception did not. In other words, perceptions at a somewhat abstract level, such as the level of distrust about officials failed to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n individual's preference. This may explain the phenomenon of ambivalent feelings towards public servants in our society.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a low level of trust towards civil servants observable throughout our society may not differentiate individual preferences for public office as a job. Instead, only the people’s assessment of the PSM of current public officials showed a significant and solid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preference for public office. This study had limitations, such as insufficient measurement targets and problems with the reliability or validity of measurements in several questions. Despite those limitations, this study would have significance for it showed that people’s perception about public officers as well as personal factors such as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selection motivation would be considered in the course of explaining the high level of preference for public officials as a job. This could be more meaningful in a situation where the public sector's capacity is increasing due to the global epidemic crisis or climate change. Finding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who really wants to be a civil servant can also be linked to the question of how to induce human resources in need of the public domain to public officials. keywords: preference for public office, PSM, Job Selection Motivation, distrust for public officials

      • Best linear estimation을 이용한 선호색 검출

        염지영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LCD, PDP와 같은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결정하는 요소로는 가격, 디자인, 수명, 소모 전력, 크기 및 화질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요소들 중에서 화질은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최근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여러 나라와 기업에서 진행 중이다. 디스플레이에서의 화질은 색 재현 능력을 말하며, 디스플레이의 색 재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는 3개의 primary(삼원색, R, G, B)의 색도 좌표계에서의 위치, 색역, 컬러 색역 사상 알고리즘, 선호색 보정 등을 들 수 있다. 선호색이란 사람의 기억 속에 인식되어 있는 색으로 크게 피부색, 풀의 녹색, 하늘?바다색으로 나눌 수 있다. 디스플레이 되는 색이 사람들이 기억하는 색(선호색)과 같을 때 디스플레이의 화질이 좋다고 생각한다. 이와는 반대로 디스플레이 되는 색이 사람들이 기억하는 색(선호색)과 다를 때 디스플레이의 화질이 나쁘다고 생각한다. 디스플레이 되는 색을 사람들이 선호하는 색으로 바꾸어 줌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화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선호색 보정이다. 선호색 보정은 크게 선호색 검출과 보정의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선호색 검출은 디스플레이에 입력된 영상에서 어느 영역이 피부색, 녹색, 하늘?바다색인지 판단하는 과정이다. 선호색 보정은 선호색 검출을 통하여 얻은 피부색, 녹색, 하늘?바다색 영역의 색을 사람들이 선호하는 색으로 바꾸는 과정이다. 선호색 검출이 정확히 수행되지 않으면 선호색이 아닌 다른 색이 선호색으로 검출되거나 선호색이 검출되지 않는다. 선호색 보정은 검출된 영역에 대해 수행하기 때문에 선호색 검출이 정확히 수행되지 않으면 선호색이 아닌 다른 색도 같이 보정되거나 선호색이 보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확한 선호색 검출이 선행되어야 선호색 보정의 성능이 향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Best linear estimation을 이용한 선호색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선호색 검출 방법은 hue angle의 범위[3], 사각형 모델[6], 색 분포 통계(Bayes rule)[7], Neural network[8], Genetic algorithm[8]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hue angle의 범위를 이용한 방법과 패턴 인식 방법 중에 하나인 Best linear estimation을 이용하여 선호색 검출을 수행한다.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이 기존 방법의 성능보다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erceptual visual quality is major factor which determine performance of display device. Perceptual visual quality in display device is based on its color reproduction. Color reproduction is influenced by many factors such as primary coordinate in chromaticity coordinate system, color gamut, color gamut mapping algorithm, preferred color correction, and so on. Preferred color is the color which people favorite and impression. Preferred color can be divided into skin color, grass green color, sky and sea color. If the displayed color is closed to preferred color people will think the perceptual visual quality of the display device is good. Otherwise, people will think the perceptual visual quality of the display is poor. The goal of preferred color correction is to improve the perceptual visual quality of display device by modify the displayed color to preferred color. Preferred color correction consists of preferred color detection and preferred color correction. The preferred color detection detects the skin color, green color, sky and sea color from input image in display device. If the preferred color detection is not implemented correctly, other color is detected as preferred color or preferred color is not detected as preferred color. Then the following preferred color correction will not product satisfied result. So, preferred color detection is the important pretreatmen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preferred color correction. This paper proposes a preferred color detection method. Proposed preferred color detection method has two steps. The first step is implemented by using hue angle range. And second step is implemented by Best linear estimation method. The experiment result indicates that the performance of proposed preferred color detection method is better than previous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