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폐기물매립장 선별토사에 적용된 동다짐공법의 개량심도에 관한 연구

        남홍기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내에서 사용이 종료된 폐기물매립장의 정비를 위한 굴착, 선별, 이적, 소각 등 이른바 Landfill mining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여 최종적으로 남게 되는 선별토사를 어떻게 얼마나 안정화시키고, 어떠한 지반개량을 하여야 타매립장 복토재 또는 성토재로 재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동다짐공법(Dynamic Compaction Method)은 지반에 가하는 다짐에너지가 크므로 느슨한 사질토 지반, 버력매립층, 광산폐석매립층, 준설매립지반 또는 폐기물매립장 표층부 등에 널리 적용되어 왔다. ○○시에서는 사용이 종료된 관내 폐기물매립장을 정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실트질 성분의 선별토사를 부지복원토로 성토하면서 동다짐공법으로 지반개량을 시행한 바 있는데, 이는 선별토사로만 성토층에 동다짐공법을 적용한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정비사업에서 발생한 선별토사에 대한 특성을 국내 타지역에서 발생한 모래질 선별토사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적용할 지반개량공법의 검토 및 선정, 동다짐공법의 설계․시공, 동다짐 전⋅후의 표준관입시험에 의한 N치의 변화와 평판재하시험에 의한 지지력 확보 여부 확인, 동다짐 전⋅후의 N치 증가량과 타격에너지를 이용한 역해석에 의한 연구대상 선별토사의 개량심도계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선별토사 성토층의 지반개량에 적용할 공법을 검토함에 있어, 함수비가 큰 실트질 선별토사 성토층을 일반적인 층다짐을 실시하는 것이 곤란한 점과 다짐의 효율성, 경제성, 현장여건 등을 고려하여 검토한 결과 동다짐공법을 선정하였다. 유기물을 함유한 선별토사로만 성토된 지반의 동다짐을 위하여 현장조사 및 시험, 설계, 시공 과정에서의 다짐의 적정성 및 다짐 효과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동다짐 전・후에 수행한 표준관입시험(SPT)에서 N치는 평균 6.7에서 평균 13.6으로 목표 N치 12 이상을 확보하였으며, 평판재하시험(PBT) 에서는 동다짐 전 허용지지력은 평균 83kN/m2를 나타냈으나, 동다짐 시공 후에는 150∼227kN/m2으로 산출되어 최소 80% 이상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동다짐 설계시 개량목표심도인 1구간 7m, 2구간 6m를 초과한 8m 이하까지 개량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다짐 시공에 대한 확인시험과 역해석을 통해 본 연구대상 선별토사에 적용할 수 있는 개량심도계수를 α=0.38∼0.57 범위로 산정하고, 확률통계분석에 의해 대표값 α=0.51를 제안하였다.

      • 폐기물 매립지 선별토사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최재규 서울시립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recycling the residual soil which was produced by the remediation of the landfill sites in K and M landfill. The characteristics of barried wastes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physical composition of wast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mbustible material, moisture and ash. Also, the biological stabilization of wastes were masured by ratio of organic matters in the residual soil and the quantity of CO₂ generated by decomposition.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the residual soil were analyzed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such as Cadmium(Cd), Lead(Pb) in the residual soil. Also, to decide the recycle of the residual soil as banking materials, the characteristics of geotechnical engineering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grain size distribution test, compaction test and shear test. The specimen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eotechnical engineering were made of the flesh soil which were collected near the landfill sites mixed with the residual soil. The mixing ratio of the residual soil was 100%, 75%, 50%, 25% and 0% respectively. The ratio of the residual soil in landfilled wastes was about 80% in K-landfill and about 44% in M-landfill.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plan for the residual soil recycle is very important.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s in the residual soil was 5.61%~9.4%(Ave. 7.4%) which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organic matters in the flesh soil.(1.0%~7.0%) In the case of the landfill which was operated over 10 years, CO₂ generation of the residual soil was 0.1㎎ CO₂/g in the dried residual soil. This result means that CO₂ generation of the residual soil is the almost same quantity compared with that of the fresh soil. In the case of landfill which was operated under 5 years, CO₂ generation of the residual soil was 0.37㎎ CO₂/g in the dried soil residual soil. This result means that CO₂ generation of the residual soil is a little higher quantity compared with that of the flesh soil. Therefore, biological stabilization process is necessary for recycling the residual soil as the banking materials. The result of leaching test with the residual soil, the concentration of Arsenic(As) was 0.2~0.5㎎/㎏. Mercury(Hg) was not detected and the concentration of Cadmium(Cd) was 0.15~0.45㎎/㎏. Also, it masured 7.61~7.87 of PH in residual soil. The residual soil in K and M landfill was not much polluted so it can be used as the banking materials. The residual soil and the flesh soil in K-landfill are classified as SM(sand with silty fines). The residual soil in M-landfill is classified as SC(sand with clayey fines) and common soil in M-landfill is classified as SW(well-graded clean sand). In this result, it is expected that characteristics of soil classification is various depending on the landfill. The specimens of the mixed the residual soil and fresh soil were tested such as the compressive strength, compaction test, hydraulic conductivity, CBR test. Maximum dry unit weight of specimens was various 1.887t/㎥ ~1.838t/㎥ and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was 12.0%~13.2%. Also, interal fraction angle measured 34.2°~31.2° and the range of CBR showed 14.6%~15.8%. Therefore, the author surmises that the residual soil can be used as a banking material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ditions of residual soil in landfill have a various characteristics of waste. However, they can be used as a banking materials because they have good enough testing results of chemically and physically. Also, Whenever you use the residual soil mixed with the fresh soil, it is necessary to be stabled because the residual soil has still CO₂ gas. 본 연구는 폐기물 매립지 복원과정에서 다량으로 발생하는 선별토사를 도로,제방 등의 토목재료로 재활용 가능성 평가를 목적으로 선별토사에 대한 환경공학적인 특성 분석과 함께 토질공학적 특성 연구를 하였다. 중소 규모의 도시에서 발생한 생활 폐기물을 매립하여 사용 종료한 K매립지와 M매립지를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매립폐기물의 물리적 조성과 삼성분을 분석하여 매립된 폐기물의 특성의 조사와 선별토사의 유기물의 함량 및 CO₂ 발생량을 분석하여 생물학적 안정화의 정도를 판단하였고 또한 카드늄, 납 등의 유해물질 함량을 분석하여 선별토사의 오염여부를 조사하였다. 선별토사를 성토재 등의 토목재료로 재활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유기물 함량, CO₂발생량 등의 환경공학적인 특성 외에 토질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되어 선별토사의 입도 시험, 다짐시험, 전단강도 등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선별토사의 역학적 특성실험은 K매립지와 M매립지에서 채취한 선별토사에 각 매립지 인근에서 채취한 일반토사를 혼합비 100%, 75%, 50%, 25%, 0% 로 혼합하여 혼합비에 따른 역학특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K매립지와 M매립지의 매립폐기물의 구성비는 토사류가 전체 매립량 중 각각 약 80%, 44%로 대부분 차지하여 매립장 복원 사업을 위해서는 선별토사에 대한 처리방안 수립이 매우 중요한 경제적, 기술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선별토사내의 유기물 함량은 5.61%~9.4%(평균 7.4%)로 일반토양의 유기물 함량 범위인 1%~7% 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선별토사의 CO₂ 발생량은 매립기간이 10년 이상인 경우 0.1mgCO₂/g dry soil/day로 일반토양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매립기간이 5년 미만인 경우는 0.37mgCO₂/g dry soil/day로 높게 분석되어 선별토사를 성토재 등으로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매립경과 기간에 따라 별도의 생물학적 안정화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별토사의 pH는 7.61~7.87로 약 알카리성으로 분석되었으며, 유해물질 함량 실험결과 비소(As)는 0.2~0.5mg/kg, 수은(Hg)은 ND~0.04mg/kg, 카드늄(Cd)은 0.15~0.45mg/kg로 K매립지 및 M매립지 모두 토양오염 우려기준 보다 훨씬 하회하여 도시 생활폐기물을 매립한 매립지에서 발생한 선별토사의 토양오염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별토사의 함수비, 비중, 입도시험, 애터버그 한계(Atterberg limit)등 기본성질 시험결과 대조토인 일반토사와 큰 차이가 없었으며, 통일분류법에 의한 분류시 K매립지는 선별토사와 일반토사가 실트질 모래(SM)으로 분류되었고, M매립지의 경우 선별토사는 점토질이 다소 혼합된 점토질의 모래(SC)로, 일반토사는 입도분포가 좋은 모래(SW)로 분류되어 선별토사의 분류는 개별 매립지의 특성에 따라 다양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선별토사와 일반토사를 각각 100%, 75%, 50%, 25%, 0%로 혼합하여 혼합비에 역학적 특성변화를 보기 위하여 다짐시험, 강도 및 투수시험, C.B.R (Califonia Bearing Ratio)시험 등을 수행하였다. K매립지의 선별토사와 일반토사의 혼합비율에 따른 최대건조밀도는 1.887t/m³~1.838t/m³, 최적함수비는 12.0%~13.2%로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또한 내부 마찰각(Φ)이 34.2°~31.2°, C.B.R.(Califonia Bearibg Ratio)값은 14.6%~15.8%로 역시 거의 변화가 없었다. 이는 일반토사와 선별토사의 토질특성이 유사하기 때문에 선별토사 단독으로 성토재료로의 재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보여진다. K매립지의 경우 일반토사의 혼합비율에 따른 최대건조밀도는 1.34t/m³~1.84t/m³, 최적함수비는 25.9%~13.2%로 일반토사의 혼합비율을 증가 시킬수록 최대건조밀도는 증가하고 최적함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K매립지와는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개별 매립지의 특성에 따라 역학특성이 다양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상과 같이 도시 생활계 폐기물 매립지 복원시 발생하는 선별토사는 개별 매립지 특성에 따라 토질공학적 특성이 다양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성토재로서의 재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성토재의 특성을 고려한 일반토사의 혼합사용이 토질공학적 안정성 확보에 유리하며, 매립경과년도가 짧은 매립지의 경우 선별토사의 CO₂ 발생량이 많아 별도의 안정화을 거친 후에 성토재로 사용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非衛生 埋立地 選別土砂의 再活用性 判斷을 위한 事例硏究

        유정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사용종료매립지의 선별/이적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선별토사를 매립지의 복토재 및 공원 식생층의 성토재, 건설현장의 건설재료로 재활용 가능성 평가를 위해서 사용종료매립지 선별토사의 환경에 미치는 유해성평가 및 지반 공학적 특성을 평가하여 선별토사의 재활용 가능성을 판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현재 이미 사용이 종료된 기종의 단순 매립지에 포한된 쓰레기층과 쓰레기층 하부 토양에 대한 유해성물질 포함 여부를 조사하여 1차적으로 인근에 위치한 위생쓰레기 매립장으로의 이전 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한 기본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으며 더 나아가서 landfill mining에 의한 재활용 즉, 주변 공원지역이나 농지로 이동하였을 때 수목이나 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이나 매립지 복토재로 이용시 미칠 영향 등을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P매립장는 매립 경과년수가 10년 이상인 매립지로서 선별토사가 질량비로 65.32%, 부피비로 33.49%로 전체 매립폐기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 비위생 매립지에 대한 정비사업 수행시 폐기물 매립층에 함유된 토사성분의 처리방안이 최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선별토사의 재활용을 위한 환경공학적 특성 분석 결과, pH는 7.3정도로 안정한 pH값을 나타내었고 토양오염에 따른 유해성 문제점이 없으므로 매립지 복토재나 공원 식생층의 성토재로 재활용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선별토사에 대한 삼성분 분석결과 유기물함량이 10% 이내에 있는 토양에 대해서는 매우 안정화 되어 있다는 것을 근거로 하면 선별토사의 유기물함량이 약 7%로 나타나 일반토양으로의 처리가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선별토사에 대한 용출시험결과 비소, 납, 구리, 6가 크롬 모두 지정폐기물 판정 기중치보다 훨씬 낮은 미미한 양이 용출되었으며 토양기준법에 따른 유해물질 분석 결과도 우려기준보다 낮게 나타나 중금속 등 유해물질에 의한 환경적 영향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선별토사의 이물질 함유량은 평균 0.79%로 나타나 폐기물관리법(부피 기준으로 1% 이하)에 준하는 복토재 등으로 재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선별토사와 일반토사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일축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 선별토사에 대해 일반토사를 적절하게 75% 이하로 혼합하면 복토재 및 토목재료로서 활용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선별토사의 투수계수는 일반토사의 투수계수 보다 약 1.5배 낮게 나타나 선별토사 및 선별토사와 일반토사의 혼합토를 도로 성토재 및 복토재로 활용할 때 강우 및 지하수의 침투 등에 대한 지반공학적 문제점은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에서 사용하는 토사와 별 차이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은 선별토사에 대해 환경에 미치는 유해성평가 및 지반공학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용종료매립지 복원시 발생하는 선별토사는 인근지역에서 채취된 일반토사와 특성차이가 크지 않은 안정화 상태로 조사 되었다. 하지만 선별토사가 매립지 복토재 및 타용도로 사용 가능여부에 대한 기준이 강화될 시 생태계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어독성 테스트와 같은 기준 항목을 추가적으로 연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 landfill was constructed in 1990 and has been reclaimed by 2000. The P landfill is a small unsanitary landfill which does not equipped with environmental controlling system like leachate treatment facility and smell or landfill gas controling system. The expired landfill soil was studied to estimate the possibility of reuse for cover soil, embarked material for public park, and construction material. The researches include risk assessment at the fields and the characterization of landfill-mined soil for ground engineering purpose. 1. According to the three component analysis, the P landfill soil contains 7% organic material and 71% ash indicating that soil is very stabilized and usable like fresh soil. 2. Elution test for the landfill-mined soil suggests that As, Pb, Cu, and Cr6+ were observed at the concentration of 0.01mg/L, 0.27mg/L, 0.09mg/L, and 0.01mg/L, respectively, which is much lower in concentration compare to the specified waste elution criteria. Also, low toxicant concentrations based on the allowable criteria of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were observed by Soil Pollution Standard Process Test, indicating no significant adverse effect when reused. 3. Batch tests with landfill-soil were performed to estimate the metal adsorption capacity of the landfill-mined soil indicating higher adsorption capacity at pH 7 compare to pH 5 regardless of the soil amount added. The maximum removal rate of 47.2% was observed at pH 7 with 10g of landfill-mind soil. 4. The average foreign material content was 0.79% which is satisfactory to the Waste Control Act regulating 1% foreign material content by volume. The particle size observed was shown to be favorable in reuse and very similar to the fresh soil in the vicinity and showed 60.24 uniformity coefficient and 0.88 curvature coefficient. The specific gravity of the landfill-mined soil was 2.52 similar to the fresh soil showing 2.49, indicating the stability of the landfill waste. 5. The compressive strength test for both landfill-mined and fresh soil shows that the landfill-mined soil(0.82 kg/cm2) overwhelms the fresh soil(0.47 kg/cm2) by 1.7 fold. From this result, the mixture of 25% landfill-mind soil and 75% fresh soil was proved to be appropriate for cover soil or civil engineering material. Conclusively, through the risk assessment or ground engineering viewpoint, the landfill-minded soil from P landfill was proved to be similar in characteristic to the fresh soil in the vicinity and in the stabilization stage. Therefore, the landfill-mined soil is fairly applicable to the cover soil, embarked material for public park, and construction material.

      • 매립지 선별토사에서 DEHP의 잔류특성

        정인호 서울시립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2

        플라스틱 및 비닐류, 고무 및 가죽류 등 DEHP(di-2-Ethylhexyl phthalate)를 함유한 도시고형폐기물에서 소각처리 되지 않은 대부분의 폐기물은 최종적으로 매립에 의해 처분된다. 플라스틱제품에는 사용목적에 따라 생산과정에서 가소제가 첨가되며, 주로 프탈산계 가소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DEHP의 사용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DEHP는 Polyvinyl chloride(PVC), Cellulose ester plastic 등의 가소제(Plasticizer)로 사용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연간 약 1×106ton이 사용되고 있다. 국내 가소제의 94.7%가 Phthalate계 가소제이며 75.4%가 DEHP인 것으로 조사되었다(1991년). DEHP는 세계생태보전기금(WWF)과 일본 후생성에서 내분비계교란물질(Endocrine Disruptors)로 규정하고 있으며 생체내에 축적되어 MEHP (Monoethylhexyl phthalate)와 2-EHA(2-ethylhexanoic acid)로 대사되어 생식독성과 간독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매립된 폐기물에서 Phthalate 화합물의 용출과 매립이 완료된 사용종료 매립지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선별토사에서 Phthalate 화합물의 잔류 및 이동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매립지 선별토사에 잔류하는 Phthalate ester의 매립지 선별토사에서 함량과 잔류농도가 높은 DEHP의 잔류특성을 평가하였다. 선별토사는 고무/가죽류, 비닐/플라스틱류, 섬유류의 매립폐기물이 G 매립지-16.29%, J 매립지-13.25%, M 매립지-34.51% 잔류하고 있는 선별․이적이 진행되고 있는 사용종료매립지에서 채취하여 폐기물을 포함한 불순물을 제거하고, 풍건 후 No. 10체(2㎜)를 통과한 토사를 시료로 사용하였고 물리․화학적 특성과 입경분포를 분석하였다. 매립지 선별토사의 함수비, 비중, 체 가름, 비중계시험 항목은 한국산업규격(KS)에 따라 시험하였고, pH, 중금속(Cu, Cd, Pb, Zn, Ni) 분석은 토양오염공정시험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양이온교환용량(CEC: Cation Exchange Capacity)은 1N-NH4OAc(pH 7.0) 침출액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흡착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회분식 등온흡착실험은 매립지조건을 고려하여 35℃, 200rpm 조건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흡착평형실험과 등온흡착실험을 수행하였고, Freundlich 등온흡착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매립되는 생활폐기물의 조성에 따른 Phthalate ester의 용출 개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도시고형 폐기물을 수거하여 용출 개연성이 있는 종이류, 섬유, 플라스틱, 가죽 및 고무류의 폐기물에 대하여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용출실험을 하였다. 용출결과 가소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있는 DEHP가 모든 폐기물에서 검출되었고 특히 가죽 및 고무류의 폐기물에서 가장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매립지에서 채취한 잔류 토사를 대상으로 Phthalate ester화합물을 분석하였고, 높은 농도로 검출된 DEHP의 Retention Time과 Mass Spectral Library(NIST)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잔류토사에서 DBP(Dibutyl phthalate)와 DEHP는 주변지역 토양보다 높은 농도로 잔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립된 폐기물에서 용출된 Phthalate ester는 토사에 흡착되며, DEHP는 폐기물에서 용출농도가 DBP보다 높고 혐기성 조건에서 생물학적 분해속도가 느리게 진행되므로 높은 농도로 잔류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J 매립지 잔류토사에서 유기물함량, CEC, #200체 통과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Phthalate ester 잔류농도는 M 매립지 토사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다. 매립지조건을 고려하여 35℃, 200rpm 조건에서 등온흡착 실험을 수행하였다. 초기농도 100 ㎎/L 농도에서 시간에 따른 흡착평형 실험을 수행한 결과 48시간 경과 후 DEHP의 농도가 평형에 이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reundlich 등온흡착식에 K와 n값이 J 매립지 잔류토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M 매립지, G 매립지 선별토사 순서로 높게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M매립지 토사에서 DEHP 잔류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매립지 잔류토사에서 Phthalate 화합물의 잔류농도는 토사의 물리․화학적 특성보다 매립지에 잔류하는 매립 폐기물의 종류에 영향을 받으며, 매립지의 혐기성 조건에서 분해가 느리게 진행되고 용출개연성이 가장 큰 DEHP의 잔류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선별토사에 흡착된 DEHP의 생물학적 분해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슬러리 반응기를 이용하여 호기성 조건에서 분해실험을 수행하였다. 초기 농도를 약 200mg/kg으로 하여 분해실험을 수행한 결과 DEHP에 대한 흡착력이 가장 놓은 J매립지 선별토사에서 DEHP의 분해속도가 가장 느리게 나타났다. 선별토사의 이적에 따른 토사에 함유된 DEHP의 용출 가능성을 컬럼 실험을 통하여 시험하였다. 선별토사에서 DEHP의 용출은 흡착특성이 강한 J매립지 토사에서는 용출이 서서히 진행되었고, M 및 G매립지 선별토사에서는 J매립지 토사보다 빠른 속도로 용출되었다. 선별토사에 흡착된 DEHP는 호기성 조건에서 생물학적 분해가 가능하며 이송 및 이적에 의한 주변 환경으로의 용출 가능성도 나타났다. 따라서 사용종료 매립지 정비과정에서 발생하는 선별토사에서 Phthalate ester 화합물의 적절한 관리가 요구된다. 주요어: 내분비계 장애물질, 프탈레이트, 선별토사, DEHP, 등온흡착, 사용종료 매립지 Plastics and vinyl resin have been commonly used in the various fields of industry and daily life. Plastics contain plasticizers to enhance the flexibility of material. Since most of the plastic products become waste at the end of their life cycles except for some incinerated wastes, most wastes finally disposes in landfill. Accordingly, the possibility causing the leaching of plasticizer as a DEHP (bis(2-ethylhexyl) phthalate) in the municipal landfill is increased. A large part of plasticizer with DEHP is phthalate ester compound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dsorption and residue were investigated using three residual soils which had been gathered in the closed landfills (illegal waste dumped landfill). The closed landfills are currently sorting and transferring under stabilization. The residual soils sampled in closed landfills contained waste materials such as rubber, leather, vinyl, plastics and fiber. The content of waste materials in G-, J-, and M-landfill was 16.29, 13.25, and 34.51%, respectively. Mass spectra from GC-MSD analyses of sample peak(DEHP) wer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spectra(NIST) and indicated that both mass spectra matched. DBP(di-n-butyl phthalate) and DEHP were detected in all of residual soils tested. Especially content of DEHP in the residual soil was greater than DBP. It means that the biodegradation of DEHP makes progress slowly under anaerobic condition. The batch test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behavior of adsorption behavior of DEHP on the residual soils under landfill conditions(35℃, 200rpm, 48hr). Freundlich isotherm was fitted to the data. The residual soil in the J-landfill seems to have high probability to keep great organic matter content, CEC, and #200 sieve passing ratio. In addition, Freundlich isotherm sorption coefficient(K) and constant(1/n) were higher than others. However, content of phthalate esters in residual soil in the M landfill was greater than others. In residual soil in the M landfill, content of waste material relating leaching of phthalate esters was the highest among three residual soils. In this study suggests that residual amount of phthalate esters in landfill can be affected by waste materials remaining. Key wards: Endocrine disruptor, Phthalate ester, Residual soil, DEHP(di-2-Ethylhexy phthalate), Adsorption, Closed landfill

      • 건설폐기물 선별토사의 활용에 관한 연구

        황석호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87

        In this study, reuse of the selected construction waste, generated from the pavement demolition or the reconstruction site, is investigated by using the physical/chemical tests, hamfulness analyses and plant growth analysis. Five different samples with different mixture ratio of the selected construction waste to the ordinary soil are prepared for the study. The mixture ratios are 100:0, 75:25, 50:50, 25:75, and 0:100. Several cases of tests are performed according to purposes. Firstly, physical tests of the soil are conducted to identify soil behavior. Secondly, the potential of plant growth in the selected construction waste is tested by using the harmfulness analysis. thirdly, the soil analysis is carried out in order to evaluate the mechanism of hampered plant growth for different soil mixture ratios. Finally, possible key factors of impediment of plant growth due to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re identified using plant growth analysis. The physical tests indicate that the behavior of the selected construction waste is similar to that of the ordinary soil and applicable to fill material. Soil contamination analysi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soil contamination analysis, also reveal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soil pollution effects in the selected construction waste. However, the comparative plant growth tests for the different crop species show that the level of growth impediment is high at the mixture ratio of 100:0, 75:25, 50:50, and relatively low at 25:75. From the soil analysis, it is revealed that acidity of the selected construction waste shows strong alkali behavior and a lack of phosphoric acid. In addition, the test results identify that the plant growth in the selected construction waste is hampered mainly due to excess of calcium in the exchangeable 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