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지역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현황 및 요구조사 :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장선미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서울지역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현황 및 요구조사: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장선미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본 연구는 서울지역 보육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직원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연계 현황 및 개선요구를 파악하고, 지역사회 연계 활성화 위한 목적으로 설립·운영되고 있는 육아종합지원센터에 대한 이용도 및 요구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서울지역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현황은 어떠한가? 1-1.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교육을 위한 물적 자원 및 인적 자원 활용현황은 어떠한가? 1-2.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교육 시행의 어려움 및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2. 서울지역 보육시설 교직원(이하 보육교직원)의 육아종합지원센터 이용도 및 요구도는 어떠한가? 2-1. 보육교직원의 육아종합지원센터 방문 및 프로그램 참여경험은 어떠한가? 2-2. 보육교직원의 육아종합지원센터 이용도 및 요구도는 어떠한가? 2-3. 보육교직원의 변인(직위, 경력, 학력, 근무시설 유형)에 따른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이용도 및 요구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지역 권역별 총 5개 구에 소재한 보육시설에 현재 근무하는 보육교직원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회수된 설문지 중 자료처리가 가능한 332부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일원분산분석 및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에 대해 Scheffe test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지역 보육시설의 96.7%가 지역사회 연계 교육활동을 시행하고 있으며 운영횟수는 연 5회 이상에서 13회 미만으로 실시하고 있다. 현재 보육시설에서 지역사회 연계교육을 위해 가장 많이 활용하는 물적 자원은 자연체험이며, 인적 자원으로는 급식지원센터의 인력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 연계교육 시행의 어려움은 지역사회와의 협조체계 부족과 지역사회 내 자원부족을 가장 심각하게 느끼고 있으며 지역사회 연계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협조체계 구축과 현장학습을 위한 기관이나 시설확충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울지역 보육교직원의 육아종합지원센터 방문횟수는 총 1~2회가 가장 많았고, 응답자의 88%가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시행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응답자의 경우, 미참여 이유로는 1순위‘제공되는 사업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2순위‘시간이 맞지 않아서’, 3순위‘이용의 필요성을 못 느껴서’의 순으로 응답이 나타났다. 넷째, 서울지역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사업내용에 따른 이용도 및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현재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업 중 정보지원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보육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서울지역 보육교직원의 변인에 따른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이용도 및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직위에 따른 이용도는 모든 프로그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요구도는 정보지원과 보육지원 프로그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이용도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요구도에서는 모든 프로그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분석결과는 이용도와 요구도 모두 보육지원 프로그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근무시설 유형에 따라서는 육아지원 프로그램의 이용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 모든 자치구에 육아종합지원센터가 설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선행연구는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보육시설과 지역사회 연계기관인 서울육아종합지원센터의 이용도 및 요구도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을 돕고, 궁극적으로 보육서비스의 대상인 영유아의 성장을 위한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최적화된 지역사회 연계활동을 실행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 제공되길 기대한다. 주제어: 서울지역, 지역사회 연계, 육아종합지원센터, 보육교직원, 이용도, 요구도

      • 서울지역 산업클러스터의 집적효과 및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장석명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703

        As globalization of the world economy has advanced simultaneously with localization, localities have risen as new units of competition within the global economic system. Moreover, the role of local economies in pursuing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has expanded with greater influence. In the meantime, a number of countries have adopted industrial cluster policies for regional and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So far, the academic studies on the necessities and effects of industrial clusters have been carried out mainly in foreign countries. In particular, the effectiveness of industrial cluster policies in those countries have been proven through empirical analyses on agglomeration effects of the clusters. It is still not clear, however, whether similar conclusions can be drawn for Korean cases, mainly due to the lack of empirical studies on Korean industrial clusters. As such, it would be too hasty to use those studies to justify the effectiveness of industrial cluster models as viable economic policies in Korea. Against this backdrop,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analysing the industrial clus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o be more specific, this dissertation intends to provide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Are there industrial clus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f so, what are some of the agglomeration effects that are observed? Finally, what were primary determinants that triggered such agglomeration? In so doing, my objective is to provide practical policy recommendations for Seoul. In this dissertation, "industrial cluster" is narrowly defined as one that satisfies two conditions: spacial proximity and complementarity of interrelated industries. Thus, an industrial cluster is defined as a geographically proximate group of leading industries, interrelated sectors and institutions in the region. This dissertation, based upon above-mentioned concept of industrial cluster, was conducted in three phases. The first phase attempted to examine the state of industrial clusters in Seoul. The next phase focused on analysing the effectiveness of agglomeration. The last is the analysis of primary determinants affecting cluster formation. First, employing the Location Quotient(LQ) analysis, ten business sectors were identified as Seoul's Regional Highs. They are: information service, computer programming, consultancy and related activities; wearing apparel and fur articles; printing and reproduction of recorded media; air transport; activities auxiliary to financial service and insurance activities; movie, broadcasting and performance activities; profess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services; business support services; wholesale, trade and commission trade; real estate activities. Second, analytical study on the ten verified Regional Highs in Seoul was carried out on the purpose of identifying leading industries of Seoul. First, interrelated industries in production-sale chain among ten Regional Highs of Seoul were identified through input-output analysis. Subsequently, the level of specialization of predominant businesses was examined through LQ analysis. As a result, the following five industries were selected as Seoul's leading industries: information-technology; textile and fashion; publication and printing; film and entertainment; and professional knowledge service. The subsequent study focused on examining whether these five predominant industries are geographically concentrated in the formation of industrial clusters. Location Quotient, Space Gini index and Ellision & Glaeser(E-G) index were employed in the analysis. Consequently, four industries out of five were found to be agglomerated in clusters; in the order of concentration level, film and entertainment come first, followed by publication and printing, information-technology, and textile and fashion. In the next phase, an analytical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se four industries on the basis of geographical agglomeration level, employment ratio, level of specialization(LQ), and geographical proximity. The outcome showed that film and entertainment industry formed seven clusters at Gangnam-gu, downtown Seoul, Mid-west Seoul, Mok-dong, Guro-gu, Yeouido and Hannam-dong;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was concentrated in nine areas such as Gangnam-gu, downtown Seoul, Guro-gu, Yongsan-gu, Yeouido, Sindaebang-dong, Mok-dong, Mid-west Seoul, and Seongdong-gu; publication and printing industry formed six clusters at downtown Seoul, Yongsan-gu, Seongsu-dong, Mid-west Seoul, Gangnam-gu and Guro-gu; eight clusters of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were identified at downtown Seoul, Yongsan-gu, Gangnam-gu, Guro-gu, East Seoul, Mid-west Seoul, North Seoul, Guro-gu, and Mid-south Seoul. Through analysing the effect of agglomeration of each clust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nsity of industry agglomeration and productivity index was studied by distinguishing the cluster areas from non-cluster areas. The outcome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information-technology industry ha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exponents in both 2003 and 2005. The film and entertainment industry also indicat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exponents in both 2003 and 2005 yet only in terms of sales revenue. On the other hand, the publication and printing, and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ies turned out to hav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exponents only in 2005. These results lead us to the conclusion that the information-technology industry is the cluster predominant industry in Seoul which calls for more government policies that are designed to foster the industry. On the contrary, the other three industries--film and entertainment, publication and printing, and textile and fashion--still require multi-year in-depth studies to make a concrete judgement on the level of agglomeration and productivity of industrial clusters. The subsequent phase of the study intended to find out the primary determinant influencing the agglomeration of industries that form industrial clusters in Seoul. For this purpo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ndertaken. The outcome of the study showed that transportation environment such as vehicle to road ratio and proximity to subway stations had a substantial influence on the location of predominant industries in Seoul. In addition, business supportive environment prov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haping predominant industries in Seoul, such as connectivity with business service industry, availability of offices and public amenities, and the local government's financial capability and policy support. The study also indicated that the location of the information-technology, and printing and publication industries was largely affected by the existence of large businesses of the same kind. Factors such as research manpower of relevant institutions and possibility of cooperation with universitie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location of the information-technology industry. Proximity to universities also turned out to be an important factor for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The results of a series of studies in this dissertation present us with several policy suggestions which are relevant to the introduction of industrial economic polices of Seoul. First, since the productivity of industries in the industrial clusters proved to be higher than those in non-cluster areas, there should be consistent and continued polices aimed at strengthening industrial clusters in order to enhanc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local economy. Second, considering that factors such as convenient transportation system, available office space and establishment of technology and information exchange network among businesses mainly affect the location and agglomeration of industries, transportation network and business friendly conditions should be given prior consideration shoul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ims to boost the formation of highly competitive new industry complexes and transform existing industrial districts into competitive industry clusters. Therefore, it is critical to contemplate ways to enhance transportation system and expand business-friendly areas as well as secure sufficient office space. To this end, Seoul should take necessary measures to widen business & industrial areas, and to designate specialized zones such as high-tech industry district or industry development and promotion area. At the same time,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closely-knit cooperation network for industry-academy research in newly formed industrial complexes. In particular, given the fact that 58 universities are located in Seoul, the city has a strong advantage of fostering information-technology exchange/ cooperation network among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ions and related businesse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district governments' roles and functions affect the formation of businesses in Seoul and that the industrial clusters stretch over several Gus(counties), policy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is indispensable. Last, the knowledge-based industry and the distribution industry were found to show high level of specialization in Seoul. Therefore, how to develop and enhance specialization level of the knowledge-based industries and the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will be a major task in Seoul's drive to achieve further economic advancement. In addition, given the fact that Seoul's leading industries are connected with service industries such as finance, R&D and others, future industrial policies of Seoul need to actively promote those service sectors. 세계 경제의 국제화와 함께 지역화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지역이 새로운 경쟁단위로 부상하고 있고 국가경제발전에서 지역경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세계 각국은 지역발전 수단으로서 지역 또는 도시의 산업클러스터 조성을 주요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해서 주로 외국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특히 산업클러스터의 집적효과에 대해서는 실증적 분석을 통해 클러스터 정책의 정당성을 확인해 오고 있다. 그러나 지역여건이 다른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실증적 분석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대도시 특히 수도 서울지역에 산업클러스터가 형성되어 있는지, 있다면 집적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집적을 유발하는 입지결정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여 정책추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2003년, 2005년 서울의 전 사업체를 대상으로 입지계수 분석(LQ), 요인분석, 산업연관표에 의한 투입-산출 분석, 집적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단순회귀 또는 다중회귀분석 등 다양한 통계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산업클러스터는 상호의존성과 지리적 인접성에 기반을 둔 클러스터 개념과 산업 연관성에 기반을 둔 클러스터 개념을 동시에 충족하는 협의의 개념으로서 '지역 우위산업과 상호 연계된 산업의 지리적 집중체'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개념에 기반하여 본 논문은 서울의 산업클러스터 확인단계, 집적효과 분석단계, 클러스터 입지영향요인 분석단계 등 3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서울지역에 산업클러스터 대상이 될 수 있는 산업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국 산업과 대비하여 서울지역이 특화패턴을 보여주는 지역우위 특화업종(regional highs)을 입지계수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한국표준산업분류상 중분류(2-digit)를 기준으로 하여 정보처리 및 기타 컴퓨터 운영 관련업, 봉제의복 및 모피제품 제조업, 출판?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항공 운송업, 금융 및 보험관련 서비스업, 영화?방송 및 공연산업,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사업지원 서비스업, 도매 및 상품 중개업, 부동산업 등 10개 업종이 해당되었다. 다음으로 10개의 지역우위 특화업종을 대상으로 전후방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생산-판매 사슬로 상호 연관된 산업을 확인하고 이들 연관산업의 특화도를 분석한 결과, 정보통신산업, 의류패션산업, 인쇄출판산업, 영상공연산업, 전문지식서비스산업 등 5개 산업이 서울의 지역우위산업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5개 지역우위산업이 클러스터 형태로 집중 분포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공간 집중도 분석기법인 입지계수와 공간지니계수, E-G지수를 통해 집중 분포도를 분석한 결과, 영상공연산업, 인쇄출판산업, 정보통신산업, 의류패션산업 순으로 집중분포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제 이들 산업들이 어느 지역에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지리적 집적도, 고용비중, 특화도, 지리적 근접성 등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영상공연산업은 서울 4대문 안의 도심, 중서부, 목동, 구로, 여의도, 강남, 한남클러스터 등 7개 클러스터가, 정보통신산업은 도심, 용산, 성동, 중서부, 목동, 구로, 여의도, 신대방, 강남 등 9개 클러스터, 인쇄출판산업은 도심, 용산, 성수동, 중서부, 강남, 구로 등 6개 클러스터, 의류패션산업은 도심, 용산, 동부, 북부, 중서부, 구로, 중남부, 강남 등 8개 클러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초로 산업클러스터의 집적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클러스터 형성지역과 그 외 지역을 구분하여 산업집적밀도(경제활동면적에 기초한 종사자 집적도)와 생산성 지수(제조업은 종사자 1인당 부가가치액, 서비스업은 종사자 1인당 영업이익과 매출액)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보통신산업은 2003년, 2005년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상공연산업은 매출액 기준으로만 2003년, 2005년에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으며, 인쇄출판산업과 의류패션산업은 2005년에만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정보통신산업은 클러스터의 집적도가 높을수록 기업의 생산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서울지역에서 산업클러스터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는 클러스터 우위산업으로 나타났다. 영상공연산업, 인쇄출판산업, 의류패션산업은 대상 연도나 생산성 지수에 따라서 유의성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 집적도와 생산성간의 관계를 판단하기에는 보다 심층적이고 다년도에 걸친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서 산업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는 지역우위산업을 대상으로 산업집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산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도로율과 지하철역 인접성 등과 같은 교통환경요인은 서울의 지역우위산업에 전반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즈니스 서비스업과의 연계 가능성과 사무공간 및 업무시설 확보 용이성, 그리고 지자체의 재정력 및 정책 지원 가능성 등과 같은 기업지원 환경요인도 지역우위산업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함께 동종의 규모가 큰 기업과 혼재되어 기술지원 및 정보교류 용이성은 정보통신산업과 인쇄출판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과의 산학협력 가능성과 연구소 연구인력 등 지식기반요인은 첨단기술산업인 정보통신산업의 입지에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 중 대학과의 인접성은 의류패션산업의 입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일련의 분석과정과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서울의 지역경제 및 산업클러스터 정책추진에 참고가 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우위산업의 클러스터 지역이 그 외 지역에 비하여 생산성 향상에 더 큰 효과가 있으므로 향후 지역경제의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산업클러스터를 강화하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둘째, 산업클러스터 집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통의 편리성과 기업의 사무공간 및 업무시설 확충, 업체간의 기술 및 정보교류 네트워크 구축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난 점을 고려할 때, 향후 서울의 산업경쟁력을 견인할 수 있는 신규 산업거점지역을 조성하거나 기존의 산업밀집지역을 경쟁력있는 산업클러스터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교통환경과 기업지원환경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지역내 지하철 연계시스템과 도로망을 확충하여 교통의 편리성을 강화하고, 기업활동에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고 충분한 사무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지역을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산업집적지역이나 신규 조성지역을 현행 도시계획상 제약이 가장 적은 상?공업지역으로 용도 변경하거나 산업육성특별지구 개념의 첨단산업단지 또는 산업개발진흥지구로 지정하여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대학과 연구소와의 협력 용이성이 산업집적에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산업집적지역과 신규 조성지역을 중심으로 긴밀한 산학연 협력네트워크가 작동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서울은 세계 어느 도시보다도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에 50개가 넘는 많은 대학이 집적되어 있으므로 미국 샌디에고 바이오클러스터의 Connect 프로그램 등을 모델로 하여 대학?연구소?관련업체간의 정보 및 기술교류 시스템을 구축해 나갈 필요가 있다. 또한 서울에서의 기업입지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기능에 영향을 받고 있고 서울의 산업클러스터 지역이 여러 자치구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지역을 뛰어넘는 자치구간의 정책협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산업별 자치구협의회 등과 같은 정책협의기구를 운영하여 권역 내에서의 연계 및 정책 공조를 강화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서울의 지역우위산업으로서 서울지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특화패턴을 보여주는 산업을 살펴보면, 모두가 지식기반산업과 유통서비스 산업에 속하는 산업이므로 이들 산업을 어떻게 특화 발전시키느냐가 서울의 경제발전에 주요한 과제가 될 것임을 보여준다. 또한 서울의 지역우위산업이 금융, 연구개발, 사업지원 등 비즈니스 서비스업과 전후방으로 연계되어 있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서울의 산업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비즈니스서비스 산업을 함께 육성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 서울지역농협 상호금융 활성화 방안

        김장호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A Plan to Revitalization of Mutual Financial Business of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in Seoul Kim jang ho Department of Food And Resource Economics Graduate school of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Korea University After the National General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was inaugurated on Aug 15, 1961 the Mobil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has developed as a major business of the association through a rapid growth of business by starting a mutual financial business with unification into Myon-district unit since it was introduced in 1969. And it provides the local residents in a vulnerable agricultural region where left out of a systematic financial foundation with all kinds of financial services, and it greatly contributes to a self-business foundation in a reg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But, there is even some possibility that the business of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on basis of a rural district and agriculture would be collapsed in a business foundation and the existent basis because agriculture is unstable in an agricultural income due to a falling in price in accordance with a reduction of the rural population and an opening of an agricultural market and an agricultural earning rate and a farm economic sound situation in the country is getting increasingly worse. Also, the nature of the cooperative association has to change its character into a form of enterprise due to capitalistic influenc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market economics, and the association has to compete with private enterprises into a limitless competition as the subject of business . The mutual financial business has been developed as a regional financial system and an agricultural financial system in a community to date, however it rapidly encroached upon the field of the mutual financial business to enlarge the retail financial business of commercial banks as well as , a scale enlargement through a structural control of manpower among financial institutions and aggressive operation through diversification of business the low interest policy of foreign banks. Thus, the mutual financial business has been rapidly reduced from a margin between deposit and lending and it is expected that a profitable business of the association would be reduced. It is not regulation of partitioning type by current terms by the law of the capital market unification, but opportunity that the agricultural mutual financial business is able to enlarge a business field for a fund sale, foreign exchange business and so on, in accordance with change of its direction to the comprehension. This is clearly a good chance to enlarge their business capacity at a position of the agricultural mutual financial business because they could diversify their operation of assets which aimed excellent clients, members of an association and associate members, and also they could provide clients with a portfolio of the various ordered goods to be fit for their needs. Thereupon, this thesis analyzed the agricultural mutual financial situation throughout the country with a definition of the agricultural mutual financial business and found up a position of the mutual financial business to examine the operation in the special account of a mutual financial business and investigated the status quo and questions of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s in Seoul, and also, it grasped information about the points that non-efficient associations would not be some efficient associations until how much they have to increase their production and how much they have to reduce their productive factor to compare with the efficient local associations by analyzing efficiency of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s in Seoul through DEA. 1. A plan to revitalization of mutual financial business of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s in Seoul is to unify a mutual financial business of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s in Seoul by stages. At the first stage it establish a mutual financial committee at the headquarters in Seoul, and is to enter into an agreement on mutual business, common information, and management of risk & sale of an equal goods with enlargement of a business area to establish a mutual financial committee at the headquarters in Seoul. At the second stage it will be essential to revitalize an exchange of the personnel to enlarge a business field of a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and a branch of the central association through a strategic cooperation with the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and the central association. At the third stage after it performed the first stage and the second stage of the above and is to unify a credit business of the central association and the mutual financial business of the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with a long-term aim by introducing them throughout the land. The mutual financial business need to change a method of unification into a type of a subsidiary company and a mutual financial business of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s and a credit business of the central association have to be developed toward a financial institution. 2. The mutual financial business must enlarge the fields of business through unification of the law of a financial institution in a mutual financial business and the enlargement of business fields through a business on the side and management on the side. 3. The mutual financial institute need to strive in marking an effort to contribute to a continual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by adhering closely to a region and by performing activity and management with a social responsibilities as a financial institute of the regional financial business. 4. It has to introduce and enlarge PB( Private Banking) as a financial service of a customer center, a busines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revitalization as well as Customer Division through a management of a customer center and a market center. 5.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the mutual financial institute could give a position of an associate member to the excellent customer of the regular customers by improving a reserve for working expenses of only the members of the association, and also it has to ensure against risks for a reserve of working expenses and business to participate in the coefficient of utilization-profit and a reserve for working expenses in accordance with utilization of business. 6. It has to revitalize an exchang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and also it has to make vitality a join investment between an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in a rural district and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in Seoul. 7. The importance of managing risks This thesis has proposed the plan to revitalization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in Seoul as the above mentioned. The plan is a developmental direction toward the whole mutual financial businesses as well as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s in Seoul. But, a change of the mutual financial organization in the whol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s would be very difficult because they range all over the country and have a character of geography and by regions. This thesis consisted of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s not more than 19 with a equality of the mutual financial organization in Seoul and also it searched for a solution capable of the maximization of efficiency recognizing independence of a reg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s without a sharp method of opinion on interest among the associations due to amalgamation condition of a reg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s. - End- 국 문 요 약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식품경제학과 김 장 호 1961년 8월 15일 종합농협으로 발족된 이후 이동조합이 1969년도에 들어와 면단위로 통합함과 함께 상호금융업무가 도입되어 급속한 성장을 거듭하여 이제는 조합의 핵심 사업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제도금융기반이 취약한 농촌지역과 지역주민들에 대한 각종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농협의 자립경영기반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농업은 농촌의 인구 감소와 농산물 시장 개방에 따른 가격하락으로 농가 소득이 불안정하고 농업부문의 수익성 감소와 농가 경제 건전성 악화되고 있어 농업과 농촌을 기반으로 하는 농협의 사업은 사업 기반의 약화 및 존립기반 붕괴의 가능성도 있다. 또한 협동조합의 성격이 시장원리에 따른 자본주의 영향으로 기업적 성격으로 변화하고 경영체로서의 민간기업과 무한 경쟁을 해야 한다. 현재까지 상호금융은 지역사회의 지역금융과 농업금융으로서 발전하였는데 금융 기관 간 구조조정을 통한 규모 확대 및 사업의 다각화를 통한 공격적 경영과 외국 은행의 저금리에 의한 시장잠식과 시중은행의 소매금융 영업 확대에 따른 상호금융의 사업 영역이 급속하게 잠식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상호금융은 예대마진이 급속하게 감소하면서 조합 경영 수지가 급속하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자본시장 통합법으로 현재 기간별 칸막이 식 규제가 없어지고 포괄주의로 전환됨에 따라 농협 상호금융은 펀드판매, 외환업무 취급 등 업무영역의 확대는 분명 기회이다. 우수 고객 및 조합원 및 준조합원 고객을 대상으로 한 자산운용이 다변화될 수 있다는 점과 고객 니즈에 부합하는 다양한 맞춤형 상품 포트폴리오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은 분명 농협 상호금융 입장에서 영업력을 확대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작용할 것이다. 이에 농협 상호금융 의의와 발전과정과 전국 농협 상호금융 현황을 분석하고, 상호금융특별회계의 운용을 검토하여 상호금융의 위치를 파악하였고 서울지역농협의 현황과 과제를 살펴보고 자료포락분석(DEA)분석을 통하여 서울 농협의 효율성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지역농협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비효율 조합에 있어서 생산요소를 얼마나 절감하고, 산출물을 얼마나 증대시켜야 효율적인 지역농협이 될 수 있는가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였다. 서울지역 농협 상호금융 활성화 방안은 첫째. 서울지역농협의 상호금융을 단계적으로 통합 첫 번째 단계로 서울지역 본부에 상호금융위원회를 두어 동일한 상품 판매와 업무지역 광역화 및 리스크관리, 정보공유, 업무상호 협약을 하고 두 번째 단계로 중앙회와 지역 농협과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중앙회 지점과 지역농협의 업무영역을 확대하고 인사교류도 활성화 한다. 세 번째 단계로 위의 첫 번째 단계와 두 번째 단계를 시행하고 이를 전국적으로 도입하여 장기적인 목표로 중앙회 신용사업과 지역농협 상호금융의 완전한 통합이다. 통합방식은 상호금융이 자회사 형태로 전환하여 농협 상호금융과 중앙회 신용사업이 하나의 금융기관 형태로 가야 할 것이다. 둘째. 상호금융의 업무영역 확대방법으로 겸업제도, 겸영제도에 의한 업무영역 확대와 상호금융의 농협법으로 법규 일원화를 통한 업무영역 확대를 한다. 셋째. 지역금융 및 지역 밀착화로 지역사회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사회적 책임경영 및 지역 사회의 지속 발전에 기여하는 금융기관으로 지속적으로 노력 한다. 넷째.고객중심 및 시장중심의 경영관리로 고객만족경영과 고객관계관리(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활성화, 고객중심의 금융서비스 프라이빗뱅킹(PB, Private Banking) 도입 및 확대, 고객별 사업부제(customer division)도입이다. 다섯째. 조합원에게만 적립되는 사업 준비금 제도를 개선하여 일정기간 거래 고객 중 우수고객에게 간주 조합원등과 같은 제도를 두어 사업이용에 따른 사업 준비금 적립과 이용고 배당을 실시하여 사업 및 사업 준비금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여섯째. 도농교류 활성화와 서울 지역농협과 농촌 지역농협간의 공동투자를 활성화한다. 일곱째. 리스크 관리를 강화한다. 이와 같이 서울지역농협의 상호금융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방안은 서울지역농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호금융 전체의 발전방안이다. 하지만 농협 전체의 상호금융 조직변화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지역별, 지리적으로 특성도 가지고 있어 매우 어려울 것이다. 서울지역은 상호금융의 동일성과 19개의 많지 않은 농협으로 구성되어 있고, 지역농협의 합병에 따른 조합 간 이해관계가 첨예한 방법이 아닌 지역농협의 독립성을 인정하면서 전체적인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 서울 지역 대기중 오존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박영석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 나라는 1980년대부터 자동차의 운행이 급속히 증가하여 서울을 비롯한 도시지역의 대기환경은 악화되었다. 특히 서울지역은 과도한 기능 집중 현상으로 인해 공업지역 및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이 주변지역으로 확대됨으로서 대기오염은 점차 가속화되었으며, 최근 서울지역에서 봄과 여름철에 오존주의보가 빈번히 발령되고 있어 시민들은 과거 LA스모그 사건과 같은 대기오염 사건이 서울에서도 발생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존이 고농도로 발생될 때 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오존발생 저감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오존이 고농도로 발생될 때의 특성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서울지역에서의 대기 중 오존발생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1990년부터 1999년까지 서울지역 전역에 설치된 대기오염 자동측정소에서 측정한 대기오염물질 농도 및 기상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연도별·월별·시간대별 오존발생 현황 및 변화추이를 파악하고, 오존농도와 오존발생과 관계가 있는 인자를 비교·분석하였으며, 1999년도에 고농도의 오존이 발생될 때 서울지역 오존농도의 수평적·공간적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연도별 오존농도 현황 및 변화추이는 지난 10년간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며, 연 평균 농도가 1990년 9ppb에서 1999년 16ppb로 89% 증가하였다. 월별 오존농도의 변화는 1990년은 8월이 14ppb로 가장 높았고, 1991년부터 1999년까지는 5월과 6월이 가장 높았다. 둘째, 오존농도의 단기기준초과 횟수는 1990년에 20개 지점 중 9개 지점, 1999년에는 27개 지점중에서 93%인 25개 지점으로 증가하였으며, 월별로는 초과횟수가 많은 달은 연도별로 일정하지 아니하였다. 또한 1995년부터 실시하는 오존경보제도에 의하여 주의보가 발령된 횟수는 1995년에 2회에서 1999년에는 16회로 증가하였으며, 월별로는 6월이 가장 많았다. 셋째, 오존농도와 다른 대기오염물질과의 연도별 변화추세는 오존은 1990년에 비해 1999년에 89% 증가하였으나, 이산화질소는 7%(2ppb) 증가하였으며 반면, 아황산가스·일산화탄소 및 총 먼지는 각각 86%·58%·57% 감소하여, 서울지역도 광화학반응에 의한 오존 등 2차 오염물질이 증가하고 있었다. 넷째, 서울지역 27개 지점에서 1999년도에 측정된 월별 오존농도는 최고치가 25개 지점은 30ppb이하이었으나, 방학동지점은 6월에 37ppb, 신림동 지점은 5월과 6월에 39p p b로 가장 높았고, 월별 최고치를 나타내는 달은 6월이 20개 지점으로 가장 많았다. 다섯째, 또한 주요지점 7개지점을 선정하여 시간대별로 분석한 결과 15시∼16시에 최고치를 나타내고, 08시∼09시에 최저치를 나타내었다. 시청앞지점 등 일부 지점은 03시∼04시에 약간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신림동의 경우 01시∼06시에 26ppb을 보여 다른 지점보다 높은 편이였다. 여섯째 1999년도 오존농도와 기상과 비교한 결과 고농도의 오존발생에는 일정한 기온과 일사량 조건에서 강수량과 풍향 및 풍속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Episode기간 오존경보 발령 권역별로는 남동지역과 북동지역이 남서지역과 북서지역보다 전체적으로 오존농도가 높았다. 또한 지점별로는 하루 중 최고치를 기록하는 같은 시간대에 140ppb이상을 나타내는 지점도 있는 반면, 100ppb이하를 나타내는 지점도 있어, 지점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야간의 농도가 다른 지점의 낮 시간대와 비슷하게 높은 지점도 있었다. 여덟째, 오존농도와 NO 및 NO_2농도의 관계는 대부분의 지점은 오전에 NO와 NO_2농도가 높았다가 오후 오존농도가 가장 높을 때부터 감소하는 전형적인 광화학반응을 보이는 지점도 있으나, 일부지점은 오전에 NO와 NO_2농도가 높지 않으면서 고농도의 오존을 보이는 지점도 있어, 고농도의 오존이 발생될 때에는 지점별로 또 다른 인자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서울지역 전체 27개 지점에 대한 Episode기간 3시간 간격의 수평적·공간적 오존분포도는 시간대별·지점별 변화가 크게 나타났으며, 1999년 6월 4일 12시 분포도의 경우 오존농도가 도시 중심부는 낮고, 외곽 부는 높은 현상을 보이는 특성을 볼 수 있었다. 끝으로 오존발생 특성을 보다 정확하고 과학적인 조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광화학평가측정망의 설치, 기상자료와 환경자료의 실시간 연계방안 및 대기오염측정소에서의 기상자료 측정, 대기오염 측정자료에 대한 QA/QC 프로그램 개발, 대기오염 배출량 산정에 대한 체계구축, 광화학반응을 평가 할 수 있는 단기예측 모형개발」같은 기반구축이 필요하였다. Since 1980, urban air quality in cities like Seoul has deteriorated largely due to a drastic increase in transportation. siting industry near Seoul, along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accelerated air pollution. Recently, frequent ozone warnings in spring and summer generated considerable public concern.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ozone formation were investigated to reduce damage caused by high concentrations of ozone and establish measures to diminish ozone formation.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obtained via air pollution monitoring stations located near Seoul from 1990 to 1999, as well as meteorological data, were applied. I investigated yearly, monthly, and hourly status of ozone formation and trend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ozone concentration and factors resulting in ozone formation, as well as spatial distribution of ozone in Seoul in 1999. Conclusions are as follows : 1. Change of annual average ozone concentration increased during the past 10 years. Annual average ozone concentration increased from 9ppb to 16ppb for 1990-1999. The maximum monthly ozone concentration was recorded 14ppb, in August 1990, May or Jun from 1991 to 1999. 2. The number of sites violating short-term standards of ozone concentration increased from 9 among 20 monitoring sites in 1990 to 25 among 27 monitoring sites in 1999. The number of ozone warnings increased from twice in 1995 to 16 times in 1999. The greatest number of warning occured in June. 3. From 1990 to 1999, Ozone concentrations and N02 increased 89% and 7%, respectively. Concentrations of SO_2, CO and TSP decreased 86%, 58%, and 57%, respectively. Concentrations of secondary air pollutants like ozone That generated photochemical reactions increased in Seoul. 4. Although maximum ozone concentrations were below 30ppb at 20 monitoring sites in 1999 among 27 sites, that of Banghak - Dong was 37ppb in June and that of Shillim - Dong was 39ppb in May and June. June had the overall highest concentrations (month-averaged) 5. Analysis of average hourly concentration based on the data gathered at 7 important monitoring sites revealed that maximum and minimum concentrations occurred from 3 to 4 pm and from 8 to 9 am, respectively. In front of city hall, a slight increase was observed from 3 to 4 am. Sillim-Dong exhibited higher concentrations than other sites from 1 to 6 am, measured at 26ppb 6. Under constant temperature and solar energy's amount, rain precipitation, wind speed and wind direction greatly influenced highly concentrated ozone formation. 7. Ozone concentrations in south-eastern and north-eastern seoul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outh-west and north-west. Ozone concentration was also site-dependent; that is, during the same time period exhibiting the maximum concentrations, that of one site was above 140ppb and that of another site was below 100ppb. 8. When ozone concentration was high, some factors apart from NO_2 concentration influence ozone formation. Although concentrations of NO and NO_2 at most sites decreased in the afternoon, when ozone concentration was high, some sites revealed high ozone concentration in spite of low concentrations of NO and NO_2. 9. Spatial distribution of ozone concentrations at 27 sites during the episode period changed greatly according to time and site. Specifically, spatial distribution showed that ozone concentrations at the center of the city was low and that of the suburbs was high on the 4th and 12th of June, 1999. Finally, to precisely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ozone formation, it was required to set up a photochemical evaluation monitoring system, determine a real-time correlation between meteorological data and environmental data, measure meteorological data at air pollution measurement sites, develop a QA/ QC program for air pollution measurement data, evaluate emission of air pollutants, and develop a model to evaluate short-time photochemical reactions.

      • 서울지역 발명교실의 교육과정 분석 및 운영 실태

        박세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curriculum at invention classroom in Seoul area and to recognize the reality of administration of the invention classroom.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earch with a way of interviewing the teachers in charge at 19 invention classroom in Seoul area has founded the educational purposes of the curriculum of Invention Education, contents, teaching techniques, evaluation, the reality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administration in Seoul area.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following. 1. Educational curriculum at invention classroom in Seoul area First, the 94.5 % classes of invention classroom in Seoul area suggested the purposes of Invention Education and the way of suggestion was usually through the yearly adminstration plan. The educational purpose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or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by teachers was "to raise the ability of creative planning through the invention activities", followed by "to raise the ability to solve the problems". However, actually suggested purpose was "to raise the ability of creative planning through the invention activities", followed by "to recognize the impacts that invention affect the society". Second, the content of invention Education perceived the most important was "problem solving process", and followed by "the methods of creating new idea" but actually most frequently suggested was "the examples of invention" and "the creativity ability with a sense of beauty". Third, the teaching methods perceived most important by teachers was "problem solving methods", followed by "brainstorming processing" , but the actually most used method was "explanation", followed by "application activity of invention principles". Fourth, the 78.9% classes of invention classroom in Seoul area evaluate the students and they most frequently evaluate them "after every class". The most importantly perceived evaluation method was " observation ", followed by " experiment;actual training method", and actually most frequently accomplished method was just the same. Fifth, the type of room most held by invention classroom in Seoul area was "the preparation room for teachers", followed by "experiment;activity room", "room for keeping the materials". 2. The reality of administrating invention classroom in Seoul area. First, the students of invention education in Seoul area are preschoolers, elementary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middle students, teachers, parents, family (student+parents). In case of elementary students, the classes begin at 15:30 and teaching time was mostly 120 minutes , for middle students they start at 16:30, and teaching time was mostly 120 minutes or 90 minutes. And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classes start at 17:30 and teaching time was most frequently 120 minutes. Second, the steps of educational curriculum for student-invention at invention classroom in Seoul area are mostly divided into beginner-intermediate-advanced levels. The names of classes are used very diversely and the required time for each step was very different. Third, the serious problem and improvement to be needed in educational aspects most perceived by teachers are "the lack of invention mind in students, parents, teachers, administrators", followed by "neglecting the educational activity", "the absence of systematical educational curriculum for invention education", and"the expansion and continuous promotion of invention education",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 curriculum of invention education". The most serious problem and improvement in administrative aspects most perceived was the necessity of solving "the poor treatment of teachers in promoting and welfare in life", and the serious problem and improvement in the financial aspects most perceived by the teachers are "the limitation of class activities due to financial lack" and the enlargement of financial support to "the worn-out facilities and teaching tools".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지역 발명교실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그 운영 실태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지역에 소재한 19개발명교실의 담당교사와 면담을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여 교육목적, 교육내용, 수업방법, 평가방법, 교육시설 및 운영 실태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서울지역 발명교실의 교육과정 첫째, 서울지역 발명교실 중 94.7%가 발명교육의 목적을 제시하고 있었으며, 가장 많이 제시하는 방법은 연간운영계획서였다. 발명교실 담당교사들이 가장 강조하거나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발명교육의 목적은 ‘발명활동을 통해 창의적 설계능력을 기를 수 있다’, ‘발명활동을 통해 문제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순이었으나 실제로 제시된 목적은 ‘발명활동을 통해 창의적 설계능력을 기를 수 있다’, ‘발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다’ 순이었다. 둘째, 발명교실 담당교사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발명교육의 내용은 ‘문제해결과정’, ‘아이디어 창출을 위한 착상기법’ 순이었으나 실제로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는 발명교육의 내용은 ‘발명의 사례’, ‘심미적 창작능력’ 순이었다. 셋째, 발명교실 담당교사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수업방법은 ‘문제해결법’, ‘브레인스토밍’ 순이었으나 실제로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는 발명교육의 수업 방법은 ‘강의법’과 ‘발명원리 적용 실습’ 순이었다. 넷째, 서울지역 발명교실 중 78.9%의 발명교실이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평가 시기는 ‘매 수업 시’가 가장 많았다. 발명교실 담당교사들이 인식하는 가장 중요한 평가(총평)기법은 ‘관찰법’, ‘실험․실습법’ 순이었으며, 실제로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는 평가(총평)기법 역시 ‘관찰법’, ‘실험․실습법’ 순이었다. 다섯째, 서울지역 발명교실에서 보유하고 있는 공간 유형 중 가장 많은 발명교실에서 보유하고 있는 공간 유형은 교사의 준비공간, 실습공작 활동공간, 실습재료 보관공간 등이었다. 2. 서울지역 발명교실의 운영실태 첫째, 서울지역 발명교실에서 실시되는 발명교육의 대상은 유치원생,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교사, 학부모, 가족(학생+학부모)이었다. 초등학생의 경우 15시 30분에 수업이 시작되어 120분 동안, 중학생의 경우 16시 30분에 시작되어 120분 또는 90분 동안, 고등학생의 경우 17시 30분에 시작되어 120분 동안 수업이 진행되는 발명교실이 가장 많았다. 둘째, 서울지역 발명교실에서 개설된 학생 발명 교육과정 개설반의 구성은 초급-중급-상급의 3단계로 개설된 곳이 가장 많았으며, 각 개설반의 명칭이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고 개설반별 이수시간의 편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명교실 담당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육적 측면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 및 개선점은 ‘학생, 학부모, 교사, 행정담당자의 발명마인드 부족, 교육활동 소홀에 대한 지속적 홍보’, ‘체계적 발명 교육과정 부재에 대한 표준 발명 교육과정 수립’ 이었다. 행정적 측면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 및 개선점은 ‘발명교실 담당교사에 대한 인사상, 복지상의 처우 부족에 대한 대책 마련’이였으며, 재정적 측면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 및 개선점은 ‘예산 부족으로 인한 수업활동의 제약, 발명 교육시설의 노후에 대한 예산지원 확대’였다.

      • 1970년대 서울외곽지역에 형성된 이주민 정착지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신월6동'의 변화과정과 현황분석을 중심으로

        안화연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1970년대 서울외곽지역에 형성되었던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Urban settlement)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는 1970년대 서울 도심의 정비와 토지구획정리사업을 통해 외곽지역으로 주거지를 확장해 가던, 서울의 도시변화과정 속에서 형성되었다. 그리고 1980년대 이후 주변 주거지의 개발로 인한 도시의 변화 속에서도 형성될 당시의 모습을 유지하며, 지금까지 서울의 주거지로 남아있다. 1960~70년대 형성되었던 서울인근의 많은 이주민 정착지(Squatter settlement) 들이 1980년대 이후 재개발로 사라졌던 것을 생각해 볼 때,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가 도시 속에서 유지․변화되어 지금까지 남아있는 것은 흥미로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를 서울의 다양한 주거지들 중의 한 부분으로 인식하면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가 도시의 변화 속에서 도시정착지(Urban settlement)로서 도시에 적응하며 지금까지 남아있을 수 있었던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선, 본 연구는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에 대해 네 가지의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2장에서는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가 1970년대 서울외곽지역에 조성되게 되었던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았으며, 3장에서는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가 토지구획정리사업의 경인지구 내에서 어떠한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4장에서는 1970년대 이후 서울외곽지역의 도시변화에 따른,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의 형성과 변화과정을 살펴보았으며, 5장에서는 이러한 도시의 변화 속에서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의 주거들이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 알아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가 도시 속에서 유지․변화될 수 있었던 특성에 대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가 1970년대 경인지구의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의해 서울외곽지역으로의 주거지 확장과정에서 형성되었다는 점이다. 그로 인해 1960년대 서울인근 구릉지에 국․공유지를 점유해가는 방식으로 형성되었던 도시무허가 정착지들이 1980년대 이후 도시개발로 인해 재개발되었던 것에 비해,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는 주변지역의 도시변화에 쉽게 적응할 수 있었다. 그리고 1970년대 구획되었던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의 지적은 지금까지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 두 번째는,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의 토지와 건물의 복잡한 소유관계에 있다. 1973년 서울시는 늘어난 이주민들로 인해 경인지구 내에서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를 추가로 조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서울시는 30평으로 구획된 땅을 반으로 나눈 15평씩을 이주민에게 주었는데, 그로인해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는 한 대지에 좌․우의 두 가구가 지어지게 되었다. 이후 1982년 경인지구의 환지처분을 통해 이주민들이 토지소유권을 갖게 되는 과정에서,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는 좌․우가 분리된 주거형식으로 등기신청을 하였다. 따라서 대부분의 주거들은 30평의 대지를 공유지분으로 가지고 건물을 좌․우 구분등기 또는 공유지분등기로 가지는 복잡한 소유관계가 되었다. 이러한 복잡한 소유관계로 인해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는 공공에 의해 쉽게 재개발 될 수 없었으며, 개별주거의 건축을 통해 지금까지 유지․변화될 수 있었다. 세 번째는,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의 주거가 도시주거의 형태로 변화되어왔다는 것이다.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의 주거들은 토지구획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구획된 대지위해 형성되었기 때문에, 1960년대 먼저 형성되었던 도시이주민주거의 형태를 참고하여 일정한 형식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주거의 형태를 본 논문에서는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의 초기정착주거로 보고 있는데, 초기정착주거는 주변지역의 도시변화에 따라 1970년대 후반부터 증축되어 다가구로 변형되었고, 1980년대는 좌․우가 분리된 새로운 형태의 신축주거로 변화하였다.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의 이러한 변화는 당시 서울지역에서 민간업자들에 의해 지어졌던 주거들에서 나타났던 일반적인 현상으로서 지금까지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가 서울지역 주거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의 이러한 특징들은 경인지구 내에서 같은 시기에 형성되었던 정착지들이 이미 1980년대 재건축 되었던 것과 달리,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가 지금까지 도시에 적응하며, 변화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그리고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 대부분의 주거들은 이주민 초기정착주거의 틀인 좌․우가 분리된 형태를 유지하며 변화하였다. 따라서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는 서울 다른 지역의 주거지들과 구별되는, 자생적으로 도시에 적응한 모습으로 지금까지 서울의 주거지로 남아있다. 그러나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는 현재 2004년 양천구 신정뉴타운재개발사업지구에 포함되어 재개발이 진행 중이며, 주변 지역은 이미 철거작업이 시작되었다. 도시는 다양한 사람들이 살아갈 수 있는 공간들로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서울의 모든 주거지가 깨끗한 주택과 아파트로 바뀔 필요는 없다. 우리는 1980~90년대를 거치면서 서울 도심의 불량주거지 재개발에 대한 문제점 등으로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거주자에 대한 배려가 전혀 되지 않은 개발방식이 여전히 행해지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가 지난 35년간 어떻게 변화하여 지금까지 도시에 적응하여 왔는지 살펴보았으며, 앞으로도 변화를 통해 서울의 주거지로서 계속 변화․유지가 가능할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집을 거주공간의 개념보다는 재산 가치의 개념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신월6동’이 재개발 되어 사라지는 것을 막을 방법은 없어 보이며,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를 풀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해결책은 절실하다. 끝으로, 서울도시 역사의 기억 속으로 곧 사라질 예정인 ‘신월6동’이주민 정착지의 모습을 기록에 남김으로서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소셜미디어가 선거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 서울지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트위터의 영향력 분석

        박용수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99

        2010년 6.2지방선거 이후 두 차례의 보궐선거에서 트위터의 영향력이 확인되면서 소셜미디어의 선거활용이 확산되고 있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입후보자들은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소셜 미디어를 선거에 적극 활용했다. 최근에는 소셜미디어가 선거에 매우 중요한 변수로 간주되고, 소셜미디어 여론을 실제여론으로 여기는 경향까지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은 소셜미디어가 서울지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실체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4.11총선 에 출마한 1, 2위 득표자 96명이다. 연구방법은 두가지 방법을 병행했다. 첫째, 정치인의 소셜미디어 활용 실태와 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해 서울지역 4.11총선에서 1,2위 득표자들이 가장 많이 활용한 소셜미디어 종류와 활용효과는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했다. 둘째, 서울지역 4.11총선 1,2위 득표자의 트윗 원문 9,400건의 내용을 직접 읽고 분류한 뒤 소셜미디어 변수와 선거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토대로 소셜미디어와 트위터 유력자들이 국회의원 선거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했다. 상관관계 분석은 소셜미디어 10개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고, 선거당락과 득표율, 득표 경쟁력, 20대 투표율 등 4개 선거변수와 차례로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지역 4.11총선에서 1,2위 득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 소셜미디어 가운데 트위터가 가장 많이 활용됐으며, 선거 당락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응답자의 66.7%가 트위터를 매우 자주 사용하고, 47.2%는 트위터가 선거 당락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고 답했다. 트위터 유력자의 트윗활동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6.7%가 선거 당락에 영향을 받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또한, 응답자의 83.7%가 트위터를 활용한 결과 유권자와 소통이 종전보다 잘됐으며, ‘정보제공’과 ‘대화와 토론’, ‘지지자 상호연결’ 등에 유용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둘째, 소셜미디어 변수가 선거당락과 득표율, 투표율 등에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가운데 후보자에 대한 긍정트윗 RT수와 유력자의 후보자에 대한 긍정트윗 RT수는 당락과 득표 경쟁력에 영향을 미쳤고, 버즈량과 후보자에 대한 트윗 RT총수는 당락과 20대 투표율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 클라우트사에 의해 개발된 클라우트 지수가 선거 전반에 가장 폭넓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클라우트 지수가 높은 후보자들이 그렇지 못한 후보에 비해 당선과 득표율, 득표 경쟁력, 20대 투표율이 높게 나왔다. 팔로워수는 득표 경쟁력과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후보자의 트윗수는 여당 강세지역인 강남권에서 트윗수가 많을 수록 낙선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후보자가 작성한 트윗에 대한 RT수는 서울의 비강남권에서 선거 당락에 영향을 주고, 강남권에서는 득표 경쟁력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미디어 활동과 여론순위지수는 각각 서울 전체적으로 득표 경쟁력과 20대 투표율에 영향을 주고, 소셜미디어 여론 순위지수는 비강남권의 득표율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울지역 4.11총선의 1,2위 득표자 96명 가운데 소셜미디어 활동과 여론 순위지수가 둘 다 높은 그룹의 득표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그룹은 모두 36명으로 새누리당 소속 11명, 민주통합당 22명, 통합진보당 3명 등 야권의 수가 전체의 69.4%로 여권보다 2배 많았다. 넷째, 소수 트위터 유력자들이 트위터 버즈량의 2/3를 좌우할 정도의 막강한 영향력을 바탕으로 선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트위터 유력자들은 선거당락과 득표 경쟁력, 20대 투표율에 영향을 미쳤다. 서울지역 4.11총선에서 활약한 팔로워수 1천명 이상의 트위터 유력자는 128명으로 이들의 90.6%인 116명이 친야 성향으로 나타났다. 친야 성향 유력자들의 팔로워 수는 754만 4,973명인데 반해, 친여성향 유력자들의 팔로워수는 32만 5,291명에 불과했다. 트위터 유력자들의 트윗을 받아 보는 팔로워 수에 있어서 96 : 4의 비율로 야권 절대우세였다. 팔로워수 754만여 명은 일부 중복을 감안하더라도 전통 매스미디어인 신문과 방송의 독자 수를 능가하는 막강한 영향력의 원천이다. 트위터 유력자가 소셜미디어 여론공간에서 차지하는 비중에서도 트위터 유력자의 여론 지배적 위치를 짐작할 수 있다. RT가 많은 상위 100개 트윗중 유력자 트윗의 RT수 합은 33만 3,006으로 상위 100개 트윗RT총수 51만 5,353의 64.6%를 차지했다. 소셜미디어 여론의 65%가 트위터 유력자들에 의해 형성되는 셈이다. 이는 친야 성향의 트위터 유력자들이 언제든지 트위터 여론을 좌지우지 할 수 있는 ‘여론 지배적 위치’에 있음을 뜻한다. 이런 결과 트위터 유력자들이 작성한 긍정 트윗의 RT수에 있어서 야권지지 98%, 여권지지 2%로 야권지지 쏠림현상이 극명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통합진보당 등 야권 지지자들의 집중적인 RT가 서울지역 4.11총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미디어 여론측면에서 후보자에 대한 긍정트윗의 RT수에서 야권지지 94%, 여권지지 6%로 야권 지지세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 같은 야권지지 쏠림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통합진보당 지지자들의 영향으로 분석됐다. 통합진보당은 후보가 3명에 불과한데도 불구하고 트위터 활동측면은 물론 여론측면의 RT수에서 새누리당과 민주당에 비해 압도적인 우세를 보였다. 통합진보당을 긍정적으로 언급한 트윗의 RT수 비율이 74.9%나 됐고, 부정적인 트윗 RT수는 4.5%에 그쳤다. 야권 지지자들의 집중적인 RT가 여야 일대일 대결구도의 선거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여섯째, 서울지역 4.11총선에서 소셜미디어의 영향력은 지역에 따라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여당 초강세 지역인 강남의 7개 선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영향력이 비강남권과 상반되게 나타났으며, 당락을 좌우할 만큼 크지 않았다. 비강남권에서는 클라우트 지수와 후보자가 작성한 트윗 RT수를 비롯해 버즈량과 후보자가 언급된 트윗 RT 총수, 후보자에 대한 긍정트윗 RT수, 유력자의 후보자에 대한 긍정트윗 RT수가 많거나 높을수록 당선 가능성이 높았으며, 클라우트 지수가 클수록 득표율이 높았다. 또, 소셜미디어 여론 순위지수가 높을수록 득표율이 높고, 팔로워수와 클라우트지수, 유력자의 후보자에 대한 긍정트윗 RT수, 소셜미디어 활동 순위지수, 소셜미디어 여론 순위지수가 클수록 득표 경쟁력이 높았다. 클라우트 지수와 소셜미디어 활동 순위지수, 여론 순위지수가 클수록 20대 투표율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강남권에서는 소셜미디어의 영향력이 비강남권과 상반되게 나타났다. 후보자 트윗수가 많고, 후보자에 대한 긍정트윗 RT수와 유력자의 후보자에 대한 긍정 트윗 RT수가 많은 후보일수록 낙선 가능성이 높았다. 또, 득표율과의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클라우트 지수와 후보자가 작성한 트윗 RT수, 후보자에 대한 긍정 트윗 RT수, 유력자의 후보자에 대한 긍정 트윗 RT수, 소셜미디어 활동 순위지수, 소셜미디어 여론 순위지수가 높을수록 득표경쟁력이 높아졌다. 소셜미디어 여론은 20대 투표율에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번째, 서울의 초접전 8개 선거구에서는 트위터 여론의 지지를 많이 받은 후보자일수록 득표 경쟁력(실제 득표율-정당 득표율의 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득표율 2%이내에서 당락이 결정된 초접전 8개 선거구에서 후보자에 대한 긍정적인 트윗 RT수와 유력자의 트윗RT수, 소셜미디어 여론 순위지수가 높을수록 득표 경쟁력이 높았다. 주제어 : 소셜미디어, 소셜미디어 영향력, 트위터 영향력, 소셜미디어 선거운동, 서울지역 4.11총선,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소셜미디어 기반 정치커뮤니케이션, 웹 2.0, 정치담론, 공론의 장, 정치 참여, 선거, 소통, 정책과정, 의제설정, 신뢰, 갈등, 사이버 테러, 사생활침해, 정보격차

      • 서울 지역 초등학생의 심상도 특성 분석

        남기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87

        우리가 두 발을 딛고 살아가는 땅, 공간, 지역은 우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인간에 의해 표상되고 개개인의 다양한 경험에 의해 구성되는 공간에 주목하는 입장이 사회과 교육에서는 각별하다. 사회과 지리 교육과정 및 수업은 아동과 무관하게 설계되어, 아동 외부에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일방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이 현재 가지고 있는 공간에 대한 표상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루어질 때 보다 ‘의미 있는’ 과정이 될 수 있다. 아동은 환경 및 공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인지적인 도식을 형성하며, 이와 함께 공간에 대한 애착과 정서 등 정의적인 감정도 총체적으로 표상한다. 여기서 공간에 대한 인지적 측면의 도식을 ‘공간인지’라고 하며, 공간에 대한 감정 및 정서적인 측면을 ‘토포필리아’라고 하는데, 이 두 과정은 총체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아동이 머릿속에 공간과 환경에 대해 인지적이고 정서적으로 표상하는 지도형태의 총체를 심상도(mental map)라고 한다. 아동의 심상도를 파악하여 교육과정과 수업에 반영하는 것은, 아동에게 의미 있는 학습을 위해 필요할 뿐 아니라 흥미와 능동성을 가져다 줄 수 있다. 또한, 장소에 의한 정체성 형성과 지리적 사고력 발달을 직․간접적으로 도울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을 사례지역으로 하여 초등학생이 가진 지역에 대한 심상도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초등학생의 지역 심상도의 형태적, 지시적, 평가적 측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학년별, 성별 지역 심상도의 특성 분석에 기초하여, 초등학생의 지역 심상도 특성을 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통해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여, 분석 및 해석한 내용이 사회과 교육에 환류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조사 결과, 지역 심상도의 형태적, 지시적, 평가적 측면에서 아동의 서울 지역 표상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형태적 지역 심상도에 있어서, 집과 학교를 포함한 근린위주로 서울을 표상하는 비율이 가장 많았고, 외곽이 없는 열린 공간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내부형태는 경관형, 약도형, 산재형, 모자이크형, 연결형이 다양하게 공존하고 있었다. 지시적 지역 심상도에 있어서는, 자연요소보다 인문요소를 중심으로 표상하는 비율이 압도적이었다. 또한 평가적 지역 심상도에 있어서, 중립적인 주요 랜드마크를 중심으로 서울을 표상하는 비중이 높았으며, 현재 가진 지역 이미지에 비하여, 외부로 보여 지도록 부여하는 지역 수식을 보다 긍정적으로 하고자 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연령별 지역 심상도의 특성에 있어서도 의미 있는 경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형태적 지역 심상도의 표현범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근린에서 시 전체로 이행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외곽형태는 열린 미지의 공간에서 닫힌 공간으로 경계가 형성되었다. 내부형태는 정면에서 조망으로, 길 중심에서 지리적 사상 중심으로, 선에서 점, 그리고 면으로 변화하였다. 지시적 지역 심상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총 요소의 출현빈도가 증가하였으며, 상업중심의 인식에서 문화중심의 인식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었고, 행정구역 인지율이 증가하였다. 평가적 지역 심상도의 지역 이미지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중립에서 부정적인 이미지로, 지역 수식어는 형태 중심의 수식에서 기능중심의 수식으로 변화하였다. 성별 지역 심상도의 세부적 차이를 보면, 형태적 지역 심상도에서 여학생은 시 일부를 외곽 없이 경관형, 산재형으로, 남학생은 시 전체를 혼합형과 장방형의 외곽을 가진 약도형과 모자이크형으로 표상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지시적 지역 심상도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평균 1.07개 더 많은 사상을 표상하였다. 평가적 지역 심상도에서는 여학생이 서울에 대해 인문 중심적이고 부정적인 이미지를, 남학생은 자연적이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더 많이 표상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사회과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해 볼 수 있었다. 형태적 지역 심상도에서 근린을 거울로 지역을 표상한다는 점에서 장소학습과 토포필리아가 사회과에서 가지는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국가 및 세계의 학습은 아동이 현재 가지고 있는 근린 및 고장에 대한 표상을 토대로 연결 및 확대해 가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되었다. 외곽형태 형성에서 다양한 지도 및 매체의 사용이 중요함과, 아동의 지역 내부 표상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교과서의 삽화 및 지도가 제시되는 것이 필요함도 고찰할 수 있었다. 지시적 지역 심상도에 있어서는, 지역학습에 있어서 인문과 자연의 균형적 표상을 위한 접근이, 평가적 지역 심상도에 있어서는 중립적이고 건조한 성격의 지역만을 다룰 것이 아니라, 건강한 유기체로서 애착을 가지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지역 또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연령별, 성별 지역 표상의 특성 및 경향성을 섬세하게 고려하는 접근도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은행지점의 입지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서울특별시 중심으로

        김진영 명지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87

        은행지점의 입지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서울특별시 중심으로 - 김 진 영 명지대학교 부동산대학원 부동산학과 지도교수 조 인 창 경제성장으로 규모가 커지면서 국내은행의 총자산이 2016년말 2,623조원으로 2012년말 대비 29.1% 증가하였다. 반면 은행의 지점수는 2016년말 6,095개로 2012년말 대비 659개가 감소하고 직원은 2016년말 131천명으로 2012년말 대비 약 7천명이 줄어드는 등 경영합리화 조치를 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2011년 시작된 유럽 발 금융위기에서 비롯된 저금리 정책으로 순이자마진이 축소되고 경기침체에 따른 기업 부실로 대손비용이 증가하여 은행의 자기자본수익률(ROE)이 2012년 6.19%에서 2016년 1.34%로 4.85%p 감소하는 등 국내은행의 수익성은 악화되었다. 최근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함에 따라 국내에서도 금리가 인상될 것이라는 기대로 인해 대출금리가 먼저 상승하였다. 예금금리 보다 빠르게 상승한 대출금리로 인해 순이자마진이 개선되어 은행의 수익성이 증대되고는 있으나 예견된 국내 기준금리 인상으로 예금금리도 상승하게 되어 순이자마진이 축소될 뿐만 아니라 대손비용도 증가하여 또 다시 은행의 수익성을 위협할 것이다. 또한 텔레뱅킹과 인터넷뱅킹을 이용한 온라인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입출금, 자금이체 및 조회서비스 등 단순 거래의 은행창구 이용비중은 계속 감소추세를 나타내고 있고, 케이·카카오뱅크 등 점포 없는 인터넷전문은행의 출현으로 은행 지점의 효율성이 점점 악화되고 있어 수익성 다변화, 비용감축을 통한 수익성 개선, 시장확대 및 지점형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지점운영전략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4년 6월말 기준 서울지역 25개 자치구의 186개 행정동에 소재하는 국내은행 1,987개 지점을 대상으로 은행지점의 입지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은행지점의 개설, 통합, 폐쇄 등 지점전략 수립과 효율적인 지점 관리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수신금액과 여신금액을 합한 여수신금액을 종속변수로 하고 입지특성을 독립변수로 하였다. 독립변수인 입지특성은 은행의 영업대상인 고객이 소재한 장소적 요건 즉 위치요소(등록인구수, 사업체수, 종사자수, 경쟁지점수)와 고객을 유치 또는 유지하기 위한 은행의 투입자원 즉 투입요소(근무인원, 전용면적, 환산임차료, 영업기간)로 구분하여 8개 변수를 선정하였다. 위치요소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각 독립변수가 여수신금액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분석하고, 위치요소 중 사업체수와 종사자수는 업종별로 세분화하여 업종별 차이점을 추가 분석하였다. 투입요소는 각 변수를 5~9개 구간으로 분류하여 분산분석(ANOVA)을 통해 구간 간 여수신금액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존속지점과 폐쇄지점의 경영성과 차이는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지역 은행지점의 입지로는 종사자수와 경쟁지점수가 많은 오피스 밀집지역이 적합하다. 종사자는 주거지역 보다는 근무지 인근 지점과 거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경쟁지점이 많은 지역은 그 지역에 영업대상 고객이 다수 존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경쟁지점수가 많은 지역에서 지점의 경영성과가 좋은 것은 은행지점이 동종업종 끼리 모여 있어야 유리하다는 집재성 점포의 특징을 잘 반영해주고 있다. 둘째, 기업 여신금액 증대를 위해서는 금융업, 도소매업 및 서비스업의 사업체가 많은 지역에, 개인 여신금액 증대를 위해서는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공공/교육/보건업, 건설부동산업 및 금융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많은 지역에 지점을 개설하거나 이들 업종에 영업력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기업 및 개인의 여신금액을 동시에 증대시킬 수 있는 지역으로는 금융업과 도소매업이 많은 지역이다. 제조업이 기업 및 개인 여신금액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은 서울지역이 제조업 적합지역이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셋째, 은행지점의 경영성과 증대를 위해 투입요소를 확대할 경우 근무인력은 5명, 전용면적은 200㎡, 환산임차료는 4억원 이상의 규모로 추가 투입이 있어야 유의미한 성과를 낼 수 있으며, 통폐합을 통한 지점의 대형화 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지점의 대형화로 세미나실, 상담실 등의 공간 확보, 쾌적한 환경 구현, 분야별 전문 인력 확보 등이 가능하여 고객에게 다양하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소비자의 효용은 점포의 매장 면적에 비례한다는 허프의 확률모형이 타당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최근 KB국민은행의 대형거점 지점 신설은 본 연구 결과에 부합하는 지점전략이라고 사료된다. 넷째, 신설 지점이 정상적인 경영성과를 달성하는데 5년이 소요되고 한번 지점을 개설하면 20년 이상 오랜 기간 영업을 하게 되므로 지점의 입지선택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존속지점과 폐쇄지점의 수신금액, 여신금액 및 손익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은행 내부의 지점축소 전략이 타당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 은행지점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모형과 결과를 기타 지역에도 그대로 적용하여 일반화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향후 최근 국내은행이 선택한 대형거점 지점 전략이 실제 은행의 경영성과에 미친 영향과 적정 지점수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Location Characteristics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Bank Branch - In Case of Bank Branch in Seoul - Kim Jin Young Department of Real Estate Graduate School of Real Estate,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o In Chang As the size of economic growth has increased, the total assets of banks in Korea accounted for 2,623 trillion won at the end of 2016, an increase of 29.1% at the end of 2012.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bank branches accounted for 6,095 branches at the end of 2016 and reduced by 659 compared to that at the end of 2012. The number of bank branch employees accounted for 131,000 persons at the end of 2016 and reduced by about 7,000 persons compared to that at the end of 2012. In spite of measures for business rationalization taken, the net interest margin was reduced by the low interest policy originating from the financial crisis begun in Europe in 2011 and the bad account cost increased due to increasing insolvent enterprises resulting from economic recession. This resulted in a reduction in the return of equity(ROE) of banks by 4.85%p from 6.19% in 2012 to 1.34% in 2016, which worsened the profitability of domestic banks. With the recent rise in the base interest rate in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 the lending interest rate has first risen due to the expectation that interest rates will rise at home. The deposit interest rate has improved due to the lending interest rate rising more rapidly than the deposit interest rate and the profitability of banks has increased. But the predicted rise in the domestic base interest rate will lead to a rise in the deposit interest rate, which will result in an increase in the bad account cost as well as a reduction in the net interest margin. This will threaten the profitability of banks once again. And as online transactions using telebanking and internet banking become active, the proportion of using the bank window for the purpose of simple transactions such as money deposit and withdrawal, money transfer and inquiry service has tended to continue decreasing. With the emergence of branchless Internet banks such as K-Bank, Kakaobank and so on, the efficiency of bank branches has gradually become worse, and so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branch operation strategy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s the diversification of profitability, the improvement of profitability through a reduction in costs, the expansion of the market, the form of branch banks and so o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location characteristic of bank branch on business performance in 1,987 bank branches located in 186 administrative dongs of 26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at the end of June, 2014. It intende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bank branch strategy such as the opening, integration and closing of the bank branch, and its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dopted the deposited and loaned sum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location characteristic as the independent variable. It selected eight variables by dividing the location characteristic, the independent variable, into the place requirements for clients, the object of bank operation, to exist, namely, the location elements(number of the enrolled population, number of enterprises, number of employees and number of competing branches) and the input resources of the bank to attract or maintain clients, namely, the input elements(working personnel, area for exclusive use, reduced rent and the period of business). In case of the location element,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effect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on the deposited and loaned sum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ddi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on a difference in the location element according to types of business by subdividing the number of enterprises and the number of employees by type of business. And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posited and loaned sum between intervals through analysis of variance(ANOVA) by dividing each variable of the input element into 5~9 intervals. Finally,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business performance between ongoing branches and closed branche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the concentration area of offices having the large number of employees and the large number of competitors is appropriate as the location for the bank branch of the Seoul area. Employees could be found to transact with the bank branch adjacent to their workplace rather than their residential area. The area having a number of competing bank branches means that there are a number of clients intended for banking business in the area. And business performance is good in the area having the large number of competing branches, which indicates that the bank branches well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centration-type store that stores engaging in the same kind of business should cluster together to have the favorable locational condition. Second, there is a need to open the bank branch or concentrate sales capacity on such a type of business in the area having business enterprises such as financial business, wholesaling and retailing business and service business to increase the loaned sum of firms and in the area having people engaged in wholesaling and retailing business, food and lodging business, public/educational and public health business, construction and real estate business and financial business to increase the loaned sum of individuals. In particular, the area that can simultaneously increase the loaned sum of firms and individuals is that having a number of people engaged in financial business and wholesaling and retailing business. Manufacturing business has no effect on the loaned sum of both firms and individuals, which is because the Seoul area is not appropriate for manufacturing business. Third, there is a need to inject five working personnel, the area for exclusive use of 200㎡ and the reduced rent of over 400 million won so as to achieve the significant performance by expanding the input element to increase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bank branch. This is applicable to make the bank branch bigger through merger. This is because making the bank branch bigger can make it possible to secure the space for seminar room, counseling room and so on, realize the comfortable environment, secure specialized manpower by field and so on and provide diverse and specialized services for clients.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Huff's probability model that the consumer's utility is proportional to the floor area of the store is valid. And it is thought that the recent opening of the large base branch by KB Kukmin Bank is the bank branch strategy corresponding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rth, it can be said that the choice of the location for the bank branch is very important as the newly opened bank branch needss five years to achieve normal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bank branch, once opened, should engage in operation for over 20 year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posited sum, the loaned sum and loss and profit between ongoing bank branches and closed bank branches, which proves that the bank branch reduction strategy within the bank for the years has been valid.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 in applying and generalizing its research model and findings to any other areas as its scope was confined to the bank branches in the Seoul area.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to make an additional study concerning the effect of the large base bank branch strategy recently adopted by the domestic bank on its actual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proper number of bank branches. Key words: bank branches in the Seoul area, deposited and loaned sum, location characteristic, bank branch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