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녹지 면적과 기온의 비교분석을 통한 서울시 도시공원계획의 고찰 : 기후변화 대응을 중심으로

        이초현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447

        These days, 2022, In the era of in the face of the climate crisis, the world is setting common global goals such as carbon neutra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o reduce global temperature by 1.5℃ and promoting various policies and plans by country and city. Seoul, the capital of the Republic of Korea, is also continuing to promote urban planning and policies to deal with climate change. Therefore, in this study, intuitively analyzed how the securing of green spaces for climate changes responses is related to the reduction of urban heat islands. In addition, after selecting autonomous districts with weak green spaces, implications were drawn throug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urban park plan of Seoul.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een area index and the heat island related index was analyzed ba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the green area and extreme temperature using ArcGIS Pro.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green area index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xtreme temperature.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green cover area and green cover rate with extreme temperature was -0.68(p=0.000), showing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green space and temperature in the city, and a total of 9 indicators related to green space were comprehensively sorted out to select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as autonomous districts with weak green spaces in this study. In addition,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whether the actual satisfaction level of each autonomous district corresponds to this result, and the two autonomous districts showed low values ​​in terms of satisfaction as well. Accordingly, this thesis suggested that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desperately need to secure green areas. Afterwards, the 「2030 Seoul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 and the 「Comprehensive Plan f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were reviewed to review the park and green area expansion plans for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In the「2030 Seoul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 there were plans to expand parks in Dongdaemun-gu(4.35%) and Yeongdeungpo-gu(3.87%), So this thesis emphasized that the policy to expand parks and green areas should be pursued as planned by 2030. In addition, Suggest that the park creation plan using idle land, which is being promoted to resolve the imbalance in underprivileged areas in the 「Comprehensive Plan f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should be implemented first for the above two autonomous districts. 2022년 현재 전 세계는 기후 위기 시대를 맞아, 지구 온도 1.5℃ 저감을 위한 탄소중립, 지속가능한 발전 등과 같은 세계 공동목표를 세우고 국가별·도시별로 다양한 정책과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 또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계획과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녹지 확보가 도시열섬 저감에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직관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녹지 취약 자치구를 선정하여 서울시의 도시공원계획을 고찰한 결과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ArcGIS Pro를 이용하여 녹지와 극한 기온의 공간 분포 분석을 바탕으로 녹지 지표와 열섬 관련 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녹지 지표가 극한 기온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별히 녹피면적 및 녹피율이 극한 기온과 갖는 상관계수는-0.68(p=0.000)로 나타나 강한 음의 상관성을 가졌다. 이에, 도시 내 녹지와 기온이 상관관계가 있다고 판단하였고, 총 9개의 녹지 지표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동대문구와 영등포구를 본 연구의 녹지 취약 자치구로 선정하였다. 아울러 실제 자치구별 만족도가 이 결과에 상응하는지 확인하고자 비교분석을 하였고, 두 자치구는 만족도 측면에서도 저조한 값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동대문구와 영등포구는 녹지 확보가 절실히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이후, 「203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과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을 고찰하여 동대문구와 영등포구에 해당하는 공원녹지 확충 계획을 검토하였다. 「203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에서는 동대문구(4.35%), 영등포구(3.87%)로 공원확충 계획이 있었기 때문에, 2030년까지 계획대로 공원녹지를 확충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의 공원 소외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하여 추진하고 있는 유휴지를 활용한 공원 조성계획은 위 두 자치구를 대상으로 최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 서울시 남북녹지축을 연결하는 도시형 생태통로의 평가 및 활성화 방안

        허윤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399

        서울시의 거점 녹지인 북한산, 북악산, 남산, 용산공원, 현충묘지공원, 까치산 근린공원, 관악산 등을 연결하여 서울시를 종(縱)으로 가로지르는 남북녹지축은 서울시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환상(環狀)녹지축과 함께 서울 도심 내에 서식하는 생물종의 주요 서식처 역할을 한다. 하지만 서울시의 도시화에 따른 자동차도로의 개설과 거주지 증축으로 인해 야생 동식물의 서식처였던 녹지축이 단절되어 왔다. 이에 서울시는 1994년부터 생태통로 조성 사업을 시작하여 도시생태네트워크의 복원에 대한 정책적 노력과 관심을 기울여왔다. 하지만, 도시 거주민의 이동통로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하는 도시형 생태통로의 특성상, 생태적 기능에 대한 실질적인 고찰이 결핍되어 동식물의 서식지 연결고리로서의 본연의 기능은 제대로 수행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도시형 생태통로가 인간과 동물의 이동통로로서의 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생태적 측면과 이용자적 측면을 고려한 종합적인 현황 분석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인간과 동물의 이동통로로서의 기능이 혼합되어 있으나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도시형 생태통로를 선정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도시형 생태통로로서의 각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생태적 연결성과 보행자환경을 모두 고려한 종합적인 평가지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시한 평가지표를 대상지로 선정한 도시형 생태통로에 적용함으로서 도시형 생태통로로서의 유형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종합적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대상지로서는 토지이용이 밀집하여 도시형 생태통로의 기능이 요구되는 서울시 강남권의 남북녹지축 일대를 선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서달산에서 관악산구간의 녹지축을 연결하는 서달로(동작충효길 생태육교), 사당로(백운고개 생태육교), 솔밭길(솔밭로 생태다리), 남부순환로(까치산 생태육교) 네 곳이 이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해당하는 도시형 생태통로의 생태적 연결성과 보행자 환경을 면밀히 분석하고, 종합적 분석이 가능토록 마련된 평가지침을 통해 양자가 종합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도시형 생태통로의 방향성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 문헌연구를 통하여 생태통로의 정의, 관련법, 설치기준 및 도시형 생태통로 관련 사업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이에 도시형 생태통로의 개념과 필요성을 정리하였다. 이를 토대로 3장에서 현장조사, 설문조사, GIS 분석 및 SPSS 분석을 통해 대상지 네 곳에 대한 실증연구가 이루어졌다. 생태적 연결성은 연결 서식지 동물출현 현황분석과 동물이동환경 적합성 평가를 통해서, 보행자 환경은 생태통로 관련사업과의 연계파악과 이용행태 및 이용환경에 대한 만족도 설문조사를 통해서 각각 분석이 이루어졌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이루어진 실증연구를 토대로 도시형 생태통로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졌다. 도시형 생태통로의 생태적 연결성과 보행자 환경에 대한 평가지침을 제시하고, 평가지침에 따른 도시형 생태통로의 유형을 분류함으로써 도시형 생태통로의 유형별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연구 요약을 통해 연구의 의의와 향후과제를 언급하였다. 지난 50년간 지속된 서울시의 도시화에 대한 대안으로 남북녹지축과 이를 잇는 생태통로에 대한 정책적 수요가 증대되어 왔다. 하지만 조성된 생태통로들은 혼합형 생태통로로서의 목적을 상실한 채 편향된 기능만을 수행하는 한계를 보여 왔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형 생태통로의 생태적 측면과 이용자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분석 및 평가하고, 이를 통해 평가지침을 마련하고자 한다. 제시된 평가지침을 통해 생태통로의 생태적 연결성과 보행자 환경을 동시에 평가함으로서 도시형 생태통로의 각 유형에 적합한 방향성과 활용계획이 제안될 것이라 전망된다.

      • 서울시 가로경관 특성화와 녹량 증진을 위한 가로녹지 설계

        변혜옥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16063

        본 연구는 서울시의 가로경관을 특성화하고 녹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가로수 및 가로녹지의 설계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서울시 가로의 가로수 및 가로녹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가로는 도로폭 40m 이상인 서울시의 광로로 하였으며 가로수 수종과 수형, 보도폭 현황과 가로띠녹지 현황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서울시 가로의 가로수 및 가로녹지의 녹량과 경관 현황을 정밀하게 파악하기 위해 가로주변 토지이용 현황을 분석하여 용도지역별로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주거지역 가로, 상업지역 가로, 업무지역 가로, 녹지지역 가로로 유형화하여 대표조사구를 선정하여 가로 유형별로 가로수종, 식재유형, 차도폭, 보도폭, 자전거도로폭, 가로띠녹지폭과 관목수종, 녹피율, 녹지용적계수를 조사하였고 녹시율과 화시율을 분석하고, 가로수 형태평가를 하였다. 그 후 서울시 가로 유형별 가로수 및 가로녹지 현황과 일본의 가로유형별 모범사례의 가로수 및 가로녹지 현황을 비교분석하여 설계기준을 제시한 후 가로수 및 가로녹지의 설계를 수행하였다. 서울시 가로의 가로수 및 가로녹지 특성을 분석해본 결과, 양버즘나무와 은행나무 두 수종이 서울시 가로수의 79.3%를 차지해 가로수 편중현상이 심하였고 가로수 수형은 양호, 보통, 불량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는데 양호인 가로가 3.3%밖에 되지 않았다. 보도폭 현황은 보도폭 3m 미만, 3~5m 미만, 5~7m 미만, 7m 이상으로 나누어 가로의 길이를 조사한 결과, 보도폭이 5~7m 미만인 가로는 32.4%이었고 가로띠녹지가 없는 가로는 78.3%이었다. 서울시 가로의 녹량과 경관 특성 정밀현황을 파악해본 결과, 서울시 가로의 녹량으로 녹피율은 평균 52.1%이었으며 녹지용적계수는 1.9㎥/㎡이었다. 경관 특성으로 녹시율은 평균 45.3%이었고 화시율은 2.4%이었고 가로수 형태평가 점수는 65.7점으로 분석되었다. 아교목은 식재되어 있지 않았으며 관목류 녹피율은 6.6%이었다. 가로 유형별로 파악해본 결과, 녹량으로 녹피율은 업무지역 가로가 71%로 가장 높았고, 상업지역 가로가 36.2%로 가장 낮았다. 녹지용적계수도 업무지역가로가 3.1㎥/㎡로 가장 높았고, 상업지역 가로가 0.9㎥/㎡로 가장 낮았다. 경관 특성으로 녹시율은 주거지역의 가로가 51.6%로 가장 높았고, 업무지역 가로가 43.7%로 가장 낮았다. 화시율은 녹지지역의 가로가 3.7%로 가장 높았고, 상업지역 가로와 업무지역 가로가가 1.7%로 가장 낮았다. 우리나라와 비슷한 도로 여건을 가지고 있는 일본의 가로들과 비교·분석한 결과, 일본의 가로수종은 느티나무, 은행나무, 배롱나무 등 다양한 수종이 식재되어 있었다. 특히, 일본의 수도인 도쿄도는 가로수 조성 및 관리의 모범 도시로 한 수종이 15% 이상을 차지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은행나무가 13.4% 밖에 되지 않았다. 식재구조에 있어 교목 2열식재 + 아교목 1열식재 + 가로띠녹지 조성의 식재유형이 가장 많았으며, 평균 보도폭 5.7m, 가로띠녹지폭 4.7m이었다. 가로띠녹지 수종도 철쭉류, 영산홍, 애기동백나무 등의 다양한 관목이 식재되어 있었다. 녹량으로 녹피율 평균은 63.4%이었으며 녹지용적계수는 2.3㎥/㎡이었다. 녹피율은 녹지지역의 가로가 86.2%로 가장 높았고 상업지역의 가로가 41%로 가장 낮았다. 경관 특성으로 녹시율 평균은 71.4%이었고 화시율 평균은 16.6%이었으며 녹지내 화시율 평균은 23.2%이었다. 녹시율과 화시율도 녹지지역의 가로가 녹시율 81.2%, 화시율 24.2% 로 가장 높았다. 서울시 가로 경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파악한 결과, 서울시 주거지역 가로의 가장 큰 문제점은 녹량 부족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목 사이에 아교목을 식재하여 녹량과 녹음을 증진시켜 지역 거주자들의 커뮤니티를 형성하였다. 또한, 근린이동이 많은 가로임에도 불구하고 사계절 볼거리를 고려하지 않은 녹지로 조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화목류나 단풍으로 사계절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 방향을 설정하였다. 경관이 열악한 상업지역의 가로는 상가업종을 살릴 수 있는 수종 선택에 설계 방향을 정하였다. 또한 상가 서비스 행위나 보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가로수를 증대 시켜 녹시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업무지역 가로의 문제점은 넓은 보도로 인해 녹량이 부족하여 직장인들의 휴식처인 녹음공간이 없다는 것이었다. 주차장화되어 있는 공개공지에 녹음수를 식재하여 쾌적한 업무환경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로수 선정 시에는 오피스빌딩과 조화되는 정돈된 수형의 가로수를 선정하였다. 녹지지역 가로의 문제점은 주변 녹지와 연계되지 않으며 동물이나 곤충을 배려하지 않은 식재구조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동물의 먹이가 될 수 있는 식이수종을 선정하고 자생종의 다층식재로 주변녹지와 연계시켜 동물의 이동통로를 만들어 주는데 설계 방향을 설정하였다. 일본 가로 유형별 모범사례의 녹량과 경관 현황 분석 수치를 근거로 서울시의 실정에 맞게 설계 기준을 설정하여 서울시의 가로 유형별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서울시 주거지역 가로의 녹피율 현황 평균 37.3%에 비해 설계에 의한 녹피율은 97.2%로 2.6배가 증가되어 녹량이 증진되었다. 주거지역 가로의 화시율도 현황 평균 3%에서 설계안 23.4%로 7.8배 증가하여 경관도 향상되었다. 상업지역 가로의 화시율이 설계에 의해 1.3%에서 17.7%로 13.6배 증가되어 경관이 향상되었고 업무지역 가로의 녹피율은 설계에 의해 71%에서 88.4%로 증가하여 녹량이 증진되었다. 녹지지역 가로의 녹시율은 설계에 의해 43.7%에서 69.9%로 1.6배 증가되어 경관이 향상되었고 화시율은 설계에 의해 2.9%에서 11.3%로 3.9배 증가되어 경관이 향상되었다. 주요어 : 가로 유형화, 녹피율, 녹지용적계수, 녹시율, 화시율

      • 서울시 아파트단지 내 조경요소 중 녹지조성경향과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우지현 高麗大學校 生命環境科學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199503

        As people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the present study, focusing on 'green spaces' among landscape features that can decide the quality of a residential environment, was performed to examine green space setting trends by periods at apartment complexes, implement a survey regarding user satisfaction for a green space, find out apartment residents' perception in a green space and how important a green space was to them, learn the details of residents' use of a green space, research effective ways to use a green space and how to use a green space as a nature education place, and suggest directions to improve a green space so that pla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mong residents can be proposed. In the examination of changes in the green space ratios of 6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which were selected as research target places, it was found that green spaces accounted for more than 15%, the legal requirement, of the whole research target places. Recently constructed apartments had a higher landscape area ratio. In an analysis of tree species planted at the 6 apartment complexe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the tree species was 66. As there were 26 species from 1995 to 1999, 39 from 2000 to 2004, and 44 from 2005 to 2009, it was confirmed that increasingly diverse trees were planted. The survey period for analyzing the levels of user satisfaction with a green space at an apartment complex was 25 days from April 12, 2010 to April 25, 2010. In the examination of the details of green space use at an apartment complex, it was found that 'very necessary'(67.8%) was the most frequently selected answer for a question asking the necessity of a green space. In terms of the reasons why residents needed a green space, 'to increase the amenity of the apartment complex(eco-friendly apartment complex)' was selected by 115 persons(87.1%), the biggest number of people. 'A walk' was selected by 50.7% of the respondents as an additionally needed green spaces at an apartment complex, 'once a week' by 45 persons(29.6%) as the frequency of use, 'family' by 83 persons(54.6%) as a companion who would use the green space at an apartment complex together with the respondent, '10 to 30 minutes' by 69 persons(45.4%) as the time used at the green space at an apartment complex, 'to feel the green nature' by 45.4% as the reason why there should be many green spaces at an apartment complex, and 'reducing stress' by 67.8% as the expected effect of green space use. Apartment residents were asked to answer a short answer question regarding the most preferred tree species to be planted at their apartment complex, and the most frequently selected tree was a cherry tree(26.3%). In terms of how to efficiently use a green space and how to use a green space as a nature education place, creating a vegetable garden(43%) was the most popular answer. Through the present study, it was found that a green space was one of the most needed feature for modern day people living at an apartment complex and that a green space was a nature feature of residential environments that would reduce stress suffered by modern day people who were under a great deal of stress in artificial settings and make them feel the natur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t a plan to make people experience and enjoy a variety of green spaces and live a healthy life so that the quality of life among residents can be improved.

      • 생활권 공원녹지 정책 활성화를 위한 정책집행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 서울시「도시구조물 벽면 녹화사업」을 중심으로-

        김지정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01326

        서울 도심 내 불균등한 녹지 분포와 지가상승에 따른 공원녹지 정책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서울시는 최근 생활권 공원녹지정책을 활발히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서울시의 이와 같은 정책적 노력과는 달리 실제 정책집행 현황은 자치구별 극적인 정책집행 편차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황에 경종을 울리며 향후 정책 과정에서 개선되어야 한다는 의견 개진이 최근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자치구단위를 연구의 분석단위로 상정하여 정책집행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향후 통제가 요구되는 방해요인에 관한 연구들을 활발하게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해당 연구는 이러한 현황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정책집행 영향요인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주요한 목적으로 삼았으며 궁극적으로는 이를 통해 관련 정책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특히 문헌 연구를 통해 연구의 분석틀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기존 정책집행 영향요인 연구의 주요한 관점인 정책집행 행위자들에 집중한 상향적·하향적관점이 아닌 환경정책의 분야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정책 내용적 요인’과 ‘정책 환경적 요인’으로 유형화하여 연구 대상을 혼합적 방법론(Mixed methods)을 통해 분석하였다. 혼합적 방법론을 통해 연구를 시행함에 따라 순차적 통합설계(sequential mixed design)를 통해 먼저 정량적인 방법론을 통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산분석(ANOVA)을 통한 기초통계분석을 시행하였으나 유의미하지 않은 통계분석결과로 인해 사분위수 범위(interquartile range)를 box plot으로 시각화하여 자료의 경향성을 고려한 분석으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정성적인 방법론을 통해서는 앞선 기초통계분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분석틀을 기반으로 한 질문지를 통해 심층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대상은 도시구조물 벽면녹화정책관련 경험이 있는 공무원 13명과 전문가 집단 7명으로 총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정책 내용적 요인의 6개 세부요인 모두 영향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그 과정에서 국내 지방자치제 제도의 특성에 따라 상대적으로 강한 영향관계를 형성하는 요인과 약한 영향관계를 형성하는 요인이 있었다. 각각 정책결정자의 지지 및 태도 요인과 물적 자원요인이 예산과 지방정부의 재정상황이 이에 해당됐다. 이러한 맥락은 기존 선행연구들의 연구결과에 있어서 차이점을 보이는데 그간 환경 정책집행에 있어 주요한 방해요인으로 거론되었던 예산과 지방정부의 재정상황이 국내의 경우 자치단체장 개인의 정책적 지지를 통해 상쇄가능하다는 향후 관련 정책 활성화에 있어 시사점을 제시한다. 정책 환경적 요인의 경우 전체 8개의 세부요인 중 대기오염, 지역 소득 수준, 정책집행에 대한 순응 중 정책 대상 집단의 순응과 정책 집행 담당관료의 순응의 총 4개의 요인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대기오염이 심할수록 지역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공원녹지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게 것으로 결과가 나타나 영향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정책집행에 대한 순응요인의 경우 관련 정책에 관한 불순응에 따라 정책집행 비활성문제가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자치구 공무원집단의 생활권 공원녹지 개념에 관한 이해와 정책 배경 및 필요성에 관한 이해 부족이 불순응을 야기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더불어 서울시의 명확하지 않은 정책내용과 우선순위 미제시 등의 문제에 따라 자치구 공무원들의 정책 책임성이 가중되는 것 또한 궁극적인 문제로 존재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Explori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of Neighborhood Green Spaces - Focusing on「Afforesting the Wall of City Structures」 in Seoul- Jijeong Kim Department of Urban Adminstration The Graduate School of University of Seoul Supervised by Professor Taehwa Le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green space policy due to the unequal distribution of green space in Seoul and rising land pric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actively implemented the Neighborhood Green Space policy. Nevertheles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policy efforts have not resulted in similar policy implementation status among local district governments within Seoul due to diverse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policy implementation and to further contribute to activate green space policy at city and local levels in the future. It uses a mixed research methodology which combines qual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For utilizing a quantitative method, basic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ANOVA was conducted. However, due to non-significant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interquartile range was visualized as a box plo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rough showing the tendency of the data. For utilizing a qualitative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questionnaires designed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The interviewees were public officials and experts who were carefully selected. Majo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analysis shows that all six detail factors of policy content factors are functioned as influential factors. However, there were factors that formed a relatively strong influence relationship and a weak influence relationship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Korea. The former factors are the support and attitude factors of policy makers and material resources factors and latter factors include the budget and the financial condition of local governments. This finding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suggesting that the budget and local government's financial condition major obsticles to environmental policy implementation, could be offset by political leadership. Second finding is as follows: In case of policy environmental factors, four of eight detailed factors were air pollution, local socioeconomic level, policy compliance of policy target group and policy compliance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The analysis explains that the higher the air pollution, the higher the local income level, the higher the demand for Neighborhood Green Spaces, the more likely it is to form an impact relationship. In the case of compliance factors for the last policy implementation, it was interpreted that there was an inactive policy implementation problem in accordance with the non-compliance of related policies. In particular,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Neighborhood Green Spaces in policy target group and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of the policy resulted in disobedience. Additional policy implications include that increasing burdens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caused by issues such as unclear policy contents and non-presentation of priorities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lso create the ultimate problem. Keywords : Neighborhood Green Space, Environmental policy, Influencing factor of policy implementation, Wall-greening, Afforesting of the Wall of City structure, Urban Afforestation of Building Wa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