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활이동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생활이동권 특성 연구

        최강록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Seoul, an intermediate unit plan between the city's basic urban plan and urban management plan, the '2030 Seoul Plan,' was announced to be established, introducing the 2013 Community Plan, and the Community Plan was established in March 2018. In contemporary society,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data analysis opens new opportunities to comprehend and interpret our lifestyle mobility patterns. Daily human mobility data encompasses all population movement data between specific points and areas, processed from mobile phone traffic volume (O/D) and estimated based on the total population. Its nearly exhaustive coverage, spatial-temporal flexibility, and high resolution make it highly suitable for classifying Community Zones for urban planning and policy formula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atterns extracted based on real-life mobility big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Daily Human Mobility Zones') and find implications by comparing these zones with the Community Plan. Additionall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aily Human Mobility Zon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various factors such as the city's physical, social, and functional elements as variables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opulation movement. Moreover, a centrality index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ily Human Mobility Zones. In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Daily Human Mobility Zones and Community Zones, the Community Detection technique, one method of extracting Daily Human Mobility Zones, was utilized to extract and compare the shape of these zones with Community Zones' forms. Subsequently,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boundary lines between Daily Human Mobility Zones and Community Zones, distinctions in natural boundaries, physical boundaries, land-use characteristic boundaries, and administrative district (autonomous district) boundaries were examined. Further, a comparison of the forms of autonomous districts within Daily Human Mobility Zones and Community Zones was conducted. Regarding the analysis of Daily Human Mobility Zone characteristics, these zones were delineated based on traffic volume. Utilizing centrality indices derived from traffic volume as the dependent variabl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aim was to explore the features of the core and periphery within Daily Human Mobility Zones by considering urban physical, social, and other relevant factors influencing actual population movement as independent variables. Additionally, this analysis sought to describe the distribution within Daily Human Mobility Zones, further elucid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zones. 1. In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Daily Human Mobility Zones and Community Zones, it appeared that Daily Human Mobility Zones south of the Han River displayed shapes highly resembling Living Zone forms when combined in groups of two or three.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apes between the urban center north of the Han River and Community Zones were observed.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boundary lines, it was confirmed that natural boundaries exert the most considerable influence, followed by administrative district boundaries, physical boundaries, and land-use characteristic boundaries, with the impact of land-use characteristic boundaries being notably insufficient. 2. The analysis of Daily Human Mobility Zone characteristics revealed factors influencing the centrality index, including commercial and business floor areas, large-scale facilities, and transportation characteristics. Observing the distribution of these variables, it was noted that Daily Human Mobility Zones are divided into zones with a high residential ratio and those with a high commercial-business ratio. Generally, as the residential ratio increases, the zone's area tends to decrease, while a higher commercial-business ratio corresponds to a larger area. However, exceptions exist, primarily influenced by the number of large-scale facilities. Examining the central parts of each Daily Human Mobility Zone revealed that zones with a higher commercial-business ratio are characterized by the most central areas being commercial-business districts, while zones with a higher residential ratio feature central areas dominated by large-scale facilities. The comparison of the shapes and boundary line characteristics between Daily Human Mobility Zones and Community Zone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rban center, which could offer insights for the urban center Community Plan within the current Community Plan. Moreover, considering that citizens' movements are significantly divided by natural boundaries and also affected by physical boundaries, future planning of Community Zones could be more effective when considering such factors. Additionally, the current Daily Human Mobility Zones appear to be divided between residential-centric and commercial-business-centric zones, with centralization influenced by large-scale facilities and specific commercial-business areas.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would contribute to equitable spatial planning and uniform urban development. This study, relying on data aggregated at the administrative district level, faces limitations in examining movements at smaller scales. Furthermore, due to the absence of age stratification and the use of averaged data, the analysis represents an overall perspective, which is a limitation. Additionally, the analysis solely considers movements within Seoul, without accounting for movements betwee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or other regions. Future research employing finer-grained data, age stratification, and temporal segmentation is expected to yield more meaningful insights. 서울시에서 도시기본계획과 도시관리계획 간의 중간단위 계획으로 2030서울플랜을 수립하여 2013년 생활권계획을 도입하겠다고 선언하 고, 2018년 3월 서울시 생활권 계획을 수립했다. 한편, 현대 사회에 서는 디지털 기술과 데이터 분석의 발전으로 우리의 생활 이동 패턴 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새로운 기회가 열리고 있다. 생활이동 데이 터는 특정 시점, 특정 지역간에 이동하는 모든 인구이동 데이터이며, 휴대폰 기종점 통행량(O/D)을 가공하고 전체 인구수로 추정하는 방식 이며 그 수가 전수에 가깝고, 데이터의 시공간적 범위 설정에 자유롭 고 해상도가 높아 도시계획 및 도시정책 수립을 위한 생활권 분류에 매우 적합하다. 이에 대해 본연구는 ‘실제 생활이동 빅데이터를 기준 으로 추출한 패턴의 형태’(이하 생활이동권 이라 칭함)를 생활권계획 의 생활권과 비교하여 연구 시사점을 찾는 연구이다. 추가로 각각의 생활이동권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도시의 물리적, 사회적, 기능적 등의 다양한 요소를 변수로 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진행하여 인구이동 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알아내고, 중심성 지수 분석을 진행하여 두 가지 결과를 종합해 생활이동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생활이동권과 생활권 유사 차이점 비교분석의 경우, 생활이동권을 추출하는 방법의 하나인 Community Dection 기법을 활용하여 생활 이동권을 추출하고 형태를 생활권의 형태와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생 활권계획에서 생활권 경계선은 자치구를 기준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이와 생활이동권의 경계선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자연적경계, 물리적 경계, 토지이용 특성 경계, 행정구역(자치구) 경계로 나누어 경계선의 유사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생활이동권과 생활권에 속한 자 치구 형태를 비교하였다. 생활이동권 특성 분석의 경우, 생활이동권은 통행량을 기준으로 나 누어진 것이기 때문에 통행량을 기준으로 도출한 중심성 지수를 종속 변수로 하고 실제 인구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의 물리적, 사회적 등의 요소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진행해 생활이동권의 중심부와 주변부의 특징을 찾아내고 추가로 생활이동권에 어떻게 분 포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생활이동권의 특성을 설명하였다. 첫째, 생활이동권과 생활권 비교분석의 결과, 한강 남쪽의 생활이동 권은 두 개 혹은 세 개씩 합치면 생활권의 형태와 매우 유사하게 나 오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강 북쪽의 도시 중심부에서는 생활권 의 형태와 많은 차이를 보인다. 다음으로 생활이동권의 경계선 특성 은 자연적 경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다음으로 행정구역 경계, 물리적 경계, 토지이용 특성 경계 순으로 영향을 받는걸 확인 할 수 있다. 이중 토지이용 특성 경계의 영향은 다른 특성에 비해서 아주 미흡하다. 둘째, 생활이동권 특성 분석의 결과, 중심성 지수에 영향을 주는 요 소로는 상업, 업무 연면적이 있고 대규모 시설물과 교통 특성 변수가 있다. 변수들의 분포도를 살펴보면 먼저 생활이동권은 주거 비율이 높은 생활이동권과 업무-상업 비율이 높은 생활이동권으로 나누어진 다. 대체적으로 주거 비율이 높아질수록 생활이동권은 면적의 크기가 작아지고 업무-상업 비율이 높아질수록 면적의 크기가 커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예외도 있다. 이유는 대규모 시설물 개수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각 생활이동권의 중심부를 확인하면 업무-상업의 비율이 높은 생활이동권은 중심성이 가장 높은 중심부가 업무-상업지구로 이 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주거 비율이 높은 생활이동권은 대규모 시설물들이 중심부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활이동권과 생활권의 형태와 경계선 특성을 비교한 결과 생활이 동권은 도심권에서 형태와 경계선에 많은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현 생활권 계획의 도심권 권역생활권 계획의 시사점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실제 시민의 이동은 자연적 경계 에 의해 많이 나누어지고 물리적 경계의 영향도 많이 받는다는 것을 참고한다면 앞으로 생활권계획을 세우는 것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 한다. 다음으로 현재 생활이동권은 거주 중심과 업무-상업 중심으로 나누어져 있는 것으로 보이고 생활이동권의 중심지는 업무-상업단지 와 특정 시설물로 인해 중심성이 올라가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특 성에 대한 고려는 생활권을 계획하는 것이 있어 형평성 있는 공간 계 획과 균일한 도시발전에 효과적일 것이다. 본 연구는 행정동 단위로 집계된 데이터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작은 단위의 이동까지 면밀히 살펴보기는 힘들다. 또한 연령대를 나누지 않고 평균을 내었기 때문에 전체적인 측면만 고려한 한계점이 있다. 또한 서울 내부에서 움직이는 데이터만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 했기 때문에 서울시와 수도권 혹은 지방간의 이동을 고려하지 않은 분석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좀 더 데이터를 세분화하여 연령대 혹은 시간대별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한다면 더욱 의미있는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도로망 형태에 따른 공원수요분석방법 연구 : 2030서울생활권계획을 중심으로

        남고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2030서울생활권계획에서는 도로망 형태가 고려되지 않은 시설의 수요분석 및 공급계획 지표를 사용하고 있다. 다양한 도로망 형태를 가진 생활권에 동일한 기준의 공원수요분석과 공급을 계획한다면, 많은 시민들이 공원을 일상생활의 공간으로서 누리기 어려울 수 있다. 도로망 형태를 반영한다면 수요분석 및 공급계획의 결과가 실제 공급현황과 수요를 더 잘 담은 실효성 있는 계획으로 이어질 것이다. 또한 지역밀착형 계획인 생활권계획에서 시설 공급은 생활권계획의 주요 목적 중 하나이기 때문에 형평성 높은 분석을 하는 것은 생활권계획에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2040서울도시기본계획(안)에서는 시민 생활공간 단위에 주목하여 보행일상권 개념을 도입했다. 이런 생활권 도시에서 쾌적한 거주환경에 대한 수요는 생활서비스시설 중에서도 공원의 중요성을 대두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로망 형태가 공원의 수요분석 및 공급계획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고 그 정도의 차이를 비교했다. 도로망 형태에 따른 공원 수요 및 공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2030서울생활권계획의 공원수요분석방법(보행이용, 공급불균형, 주민의견)을 중심으로 그 분석 방법의 실효성에 대해 검증했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보행이용’의 경우, 기존 2030서울생활권계획에서 사용하던 공원 서비스영역 분석 방법인 버퍼분석을 사용할 경우 도로망 형태를 담는 네트워크분석을 사용하는 것보다 서비스영역이 과하게 추정된다고 나타났다. 또한 주변 도로망 형태에 따라 250m 규모의 공원 접근성이 간섭받는 정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500m 규모의 공원은 주변 도로망 형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나타났다. 둘째 ‘공급불균형’의 경우, 도로망 형태가 비격자 형태를 띠는 지역생활권일수록 공급불균형 수치가 높아 서울시 공급기준 대비 시설공급이 많게 이루어졌다고 나타났다. 셋째 ‘주민의견’의 경우, 도로망 형태와 주민의 수요는 상관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생활권계획이 주민중심의 상향식 계획이기 때문에 여전히 중요한 수요분석방법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도로망 형태를 반영하여 공원의 공급현황 및 수요분석을 할 경우 더 정확하고 형평성 있는 공간관리분석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 의의를 가진다. 또한 2040서울도시기본계획(안)이 발표된 시점에서 생활권계획 수립 시, 시민들이 모든 장소에서 공원의 어메니티를 느낄 수 있는 보행일상권을 계획하는 것에도 효과적일 것이다. 하지만 도로망 형태가 지형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로 생활권계획에 적용하기보다 분석된 결과가 지형에 영향을 받았는지 한번 더 정제하여 생활권계획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e 2030 Seoul Community Plan uses demand analysis and supply plan indicators for facilities that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form of road networks. Reflecting the form of road networks, the results of demand analysis and supply plans will lead to effective plans that better contain actual supply status and demand. In addition, since the supply of facilities is one of the main purposes of the 2030 Seoul Community Plan in the regional plan for living zone planning, conducting an equitable analysis is a very important problem for the 2030 Seoul Community Plan. In the 2040 Seoul Plan(proposal), the concept of daily walking area was introduced, paying attention to the unit of living space for citizens. The demand for a pleasant living environment in these living areas increases the importance of parks among living service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whether the form of road network affects the demand analysis and supply plan of the park and compared the degree of difference.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mand and supply of parks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road network, the effectiveness of the analysis method was verified, focusing on the park demand analysis method of the 2030 Seoul Community Plan (Pedestrian use, Supply imbalance, Residents' opin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Pedestrian use", when using buffer analysis, park service area analysis method used in the 2030 Seoul Community Plan, the service area is estimated to be excessive than that of using a network analysis containing the form of road network.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accessibility of parks with a walking distance of 250m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urrounding road network, but parks with a walking distance of 500m are not affected by the form of the surrounding road network. Second, in the case of "Supply imbalanc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upply imbalance level in local living areas where the road network is in the form of a non-grid, the more facility supply was made compared to the supply standards of the Seoul City. Third, in the case of "resident opinion,"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 of road network and residents' demand is irrelevant, but it is still considered an important demand analysis indicator because the living zone plan is a resident-centered bottom-up pla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finding that more accurate and equitable spatial management analysis can be conducted when analyzing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park by reflecting the form of road network. It will also be effective in planning a daily walking zone where citizens can feel the amenity of the park in all places when establishing the Community Plan at a time when the 2040 Seoul Plan is announced. However, there is a limit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at the form of the road network can be affected by the terrain. Therefore, rather than apply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the Community Plan immediately, it is necessary to refine once again whether the analyzed results were affected by the topography and use them for the Community plan.

      • 住居團地 開發에 따른 旣存 住居地 住民의 生活圈 認識變化에 關한 硏究 : 광주광역시 주거정비사례를 대상으로

        이수용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최근 수십 년간 우리의 도시는 인구와 산업의 과도한 집중으로 각종 도시시설에 대한 막대한 수요를 유발하였다. 이러한 도시화 과정에 건설된 주택들은 노후화가 진행되어 재개발, 재건축의 주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도시정비를 통해 기성시가지 내 주택의 질 향상과 대량의 주거 공간 확보에 괄목할만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대단위 공동주거단지방식의 개발은 개별사업단위로 사업성 확보를 전제로 추진되고 있어 주변지역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존 주거지 주민의 생활양식이나 도시공간구조와 정합되지 못해 주민들 간의 연대감이나 공동체 의식의 약화, 유·무형의 지역 내 역사흔적의 손실, 기반시설의 과부하, 경관훼손 등의 영향을 주고 있으며, 거주자의 근린관계 지속성을 방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주민들은 익명성 속에 우리 동네라는 의식이 희박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도시전체에서의 생활은 있으나 동네에서의 생활은 사라지는 상황”을 맞게 된 것이다. 이처럼 기존의 재개발과 같은 방식으로는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어렵다는 인식과 함께 주변지역을 고려하여 주거환경을 정비해야 할 필요성과 사회적 당위성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성시가지 내 대규모 재개발등 도시정비 사업에 의한 주거지 공간구조의 변화에 따른 기존 커뮤니티 내 거주자의 생활권인식, 근린의식 변화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기성시가지 내 주거단지 개발계획 수립 시 주변지역 거주자들의 근린생활권인식과 근린 내 활동변화를 예측하고, 주변지역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궁극적으로는 기성시가지 내 통합적 주거지 정비의 기본적인 고려사항과 객관적인 평가기법으로서 공간구문모델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간구문모델과 생활권인식, 주거단지계획, 근린환경변화와 거주자의식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구문모델과 생활권 인식의 관계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주변지역 거주자들의 생활권 인식 변화의 주요한 영향요인은 가로체계, 경계구성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로체계의 변화를 통해 공간구문모델의 통합도가 높아진 가로에 인접한 주호의 거주자가 생활권인식범위 변화가 빈번하며, 동시에 통합도가 큰 가로 방향으로 인식범위의 중심도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폭원이 넓거나 교통량이 많은 도로에 의해 거주지가 분리되는 경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주호가 접하고 있는 주거단지의 경계의 특성에 따라 각각 출입구 인접형, 경계 인접형, 공지 인접형, 도로 인접형으로 주변지역 거주자를 분류하면, 출입구 인접형의 경우에 영역인식변화가 빈번하고, 단지 방향으로 영역인식의 중심이 수렴하는 특성이 나타났다. 경계인접, 도로인접, 공지인접의 경우에는 인접가로의 통합도가 높아지더라도 영역인식범위가 축소되거나 변화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주거단지계획의 특성 측면에서는 주변지역 거주자들의 생활권 영역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단지의 개방성, 주동의 배치특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주변지역과 적극적 연계를 고려한 개방적 단지구성의 경우 주변지역거주자들도 단지 내 오픈스페이스를 중심장소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이고, 폐쇄적 단지구성의 경우 고밀 고층의 주동배치와 폐쇄적 오픈 스페이스, 출입 통제용 게이트 등으로 인해 주변 거주자들의 활동은 인접한 상업가로에 국한되고 있다. 주거단지의 부대복리시설로서 근린생활시설의 입지는 출입영역의 위치결정과 함께 주변지역과 연계가 가능한 곳 중 차량통행량이 많지 않으며, 가로체계의 정비로 주변지역으로 파급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영역에 배치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단지 내 근린생활시설이 주변지역 활성화의 촉매 역할의 가능성을 갖기 때문이다. 주변지역의 근린생활시설 입지 또한 노후주거지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으로서 Space syntax의 통합도 모델을 기초로 예측하여 단지계획 초기단계에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근린환경변화에 따른 거주자의식 측면을 살펴보면 지역 내 거주 동기는 기성시가지 노후불량주거지인 사례지역들의 특성상 경제 여건, 교육, 직장과의 거리 순서로 중요도가 나타나고 있다. 개발 후 주거환경변화의 장점은 물리적 환경의 개선, 교통, 휴게활동증가, 녹지 증가 등이 나타났고, 일조, 조망에 대한 침해, 이웃관계, 주택임대비 상승이 단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개발 전·후 이웃관계에 있어서 대응표본 t-검정 결과 통계적으로는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아 공동주거단지 개발과 이웃관계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범주에서 개발 전·후 근린의식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발이 각 연령대의 근린의식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기본적으로 거주자들의 생애주기의 변화에 따라 각 연령대별로 근린의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밀감, 참여도, 신뢰도, 동질감의 4가지 요인에 대한 5점 척도로 조사한 근린의식은 개발 후 전반적으로 감소하지만 특히 동질감이 유의확률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다른 사회적 계층이 지역 내로 유입되면서 느끼게 되는 위화감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기성시가지 내 주거지 정비 대안의 평가는 공간구문모델의 통합도(Integration)를 지표로 비교하면 개발로 인한 주변지역 거주자들의 근린생활권 변화를 예측할 수 있어 주변지역과의 맥락을 고려한 가장 바람직한 대안을 선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주변지역 거주자의 생활권변화예측과 이를 활용한 기성시가지 내 상이한 주거유형의 혼합 시 바람직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주변지역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통합적 주거지 정비의 주요한 고려사항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 도시 주거지 유형별 근린생활권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안양시를 사례로

        김현중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근린생활권에 대한 종합적 관점을 견지하여 근린생활권의 특징을 도시 주거지 유형별로 비교분석하였으며, 아울러 근린생활권의 바람직한 계획방향을 제시하였다. 도시 주거지 유형은 도시공간구조의 상이성과 주거지 유형에 따라 설정하였는데, 전자는 기성시가지와 신도시, 후자는 공동주택, 단독주택, 복합용도로 각각 설정하였다. 안양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근린생활시설 이용행태, 근린생활권 영역인지, 근린관계 및 근린생활권 만족도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근린생활시설의 이용거리는 근린생활시설이 많이 입지해 있고, 계획적으로 시설을 배치한 평촌신도시가 기성시가지에 비해 짧게 나타났다. 거주민들이 생각하는 근린생활권 내 필요시설은 근린생활시설의 경우, 지역마다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은행, 대형 슈퍼마켓 및 식료품점, 의원 및 약국 등이었으며, 공공시설의 경우, 기성시가지는 공원, 평촌신도시는 주민자치, 문화센터가 각각 높게 나타났다. 근린생활권의 중심장소는 전통적 근린생활권의 중심장소인 초등학교와는 달리, 전 지역에서 지하철역, 백화점, 대형할인점, 상업지역 등이 높게 나타났다. 영역인지 범위는 기성시가지 복합용도와 평촌신도시 단독주택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전통적인 근린생활권 범위 보다 넓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이용하는 근린생활시설에 종속적인 경향을 보였다. 근린생활권의 만족도는 전 지역에서 높지 않은 가운데, 근린생활시설과 근린관계만족도는 평촌신도시, 근린생활권의 종합만족도는 기성시가지가 각각 높게 나타났다. 근린생활권의 바람직한 계획방향으로는 첫째, 주민의 애착심을 제고해야 한다. '(가칭)근린생활권 활성화 지구'를 선정, 지원하여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어 근린생활권을 지속적으로 관리, 운영할 수 있는 환경을 시범적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근린생활시설 계획의 방향전환이 필요하다. 근린생활권 내 근린생활시설 설치의 경직성을 재고해야 하며, 이를 위해 현재의 경직된 용도지역제의 재검토가 요구된다. 계획수법은 근린생활권과 연계하여 근린생활시설을 계획하되, 복합용도개발을 통해 주거지에 다양한 근린생활시설을 입지시켜, 거주민의 이용편의성을 제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신도시에 비해 근린생활시설이 부족한 기성시가지에 경쟁력 있는 근린생활시설을 확충해야 한다. 셋째, 도시 주거지 유형에 적합한 차별적 근린생활권 계획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현 제도상 경직되게 규정, 운영되고 있는 근린생활권의 유형을 다양화하고 유형별 지침 등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제도적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제도정비시 도시 주거지 유형별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며, 근린생활권의 유형정립, 주민참여 제고, 근린생활시설 설치의 경직성 탈피, 다양한 지원방안 모색 등이 요구된다. 향후 다양한 도시를 대상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근린생활권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이를 현실에 반영하려는 노력이 경주되어 현대도시에서 근린성이 회복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eatures of neighborhood unit by comparative study among the types of neighborhood unit and to suggest some reasonable plans for planning and developing neighborhood unit. The types of the unit are categorized based on the difference of spatial structure and types of residential area. Examples are built-up areas and new towns and apartment complexes, single detached housing, and multi-purpose housings, respectively. To analyze the patterns of utilizing neighborhood facilities, recognition of neighborhood, the extend of satisfaction on the unit, this study conducts a survey in Anyang, Korea. The survey shows that Pyeong-Chon city which has more neighborhood facilities arranged by thorough planning has relatively short distance in utilizing the facilities compared to the built-up areas. According to the survey, respondents generally answered bank, large-size super markets, grocery stores, hospitals, pharmacies and hair shops are essential facilities in neighborhood unit. Concerning public facilities, parks were essential facilities in built-up areas and residents' community facilities, in Pyeong-Chon city. Subway stations were rated 1st as a key space that allows people to recognize the neighborhood area and department stores, large-sized supermarkets, and commercial areas were followed. The spatial range of recognition in every space in Pyeong-Chon city, excepting single detached housing area, was measured wider than that of traditional neighborhood unit and was highly relying on the facilities. This study suggests 4 guide-lines for reasonable neighborhood unit development : improving residents place attachment, putting more attractive or inducing facilities on development plan and improving the flexibility in laws and regulations, developing selective neighborhoods to fulfill requirements from different types of residential areas, paving the way for developing a better policies and plans. This study expects more efforts to be followed for further improvements in neighborhood areas and ultimately the neighborhood-ness in urban areas to be revived.

      • 생활권계획의 생활거점지구 설정에 관한 연구 : 나주시 봉황 근린생활 거점 중심으로

        정일중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생활권계획이란 “법적으로는 도시기본계획의 후속계획인 부분별 계획으로 전체 도시기본계획의 내용을 생활권별로 상세화한 계획이고, 이론적으로는 도시의 가장 기초적인 지역사회의 공간구조계획이며, 물리적으로는 도시민들이 도보권 내 교류와 생활ㆍ편익시설을 확보ㆍ배치하는 권역 계획이다.” 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법ㆍ지침 등에서는 생활권, 생활권계획에 대해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 도시의 중심부인 도심이 쇠퇴, 시가지의 확산, 인구감소, 고령화 등 위기의 전라남도의 중소도시인 나주시 봉황 근린생활권을 중심으로 생활권계획 현황과과 생활권 현황을 분석하여 도시계획적인 측면에서 개선방향을 도출하는 것이다. 컴팩시티 이론 중 거점지구를 생활거점으로 형성하는 일본의 사례를 분석하여 설정 방향을 제안하고, 도시계획의 근간이고 정부정책의 기본적 지표인 인구의 감소, 저출산, 고령화와 저성장시대에 대비하여 우리나라 대도시, 지방중소도시, 농산촌지역등의 도시ㆍ지역공간구조를 보다 콤팩트하게 재편ㆍ정비하여 지속가능하고 살기 편리한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근린생활권의 생활거점지구 수립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근린생활권계획의 생활거점지구 설정에 관하여 이론적 논의와 사례 분석을 통해 생활권의 인구, 중심지의 인구, 생활거점지구 권역크기 및 권역위치, 거점기능시설의 종류 및 시설배치, 대중교통과 버스정류장, 5가지 분석요소를 통해 현황과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생활거점지구 적용분석과 관련하여 나주시 도시기본계획의 도시공간구조의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법, 지침에서 공간구조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하고 계획 간 서로 달리 표현되고 있다. 둘째, 공간구조는 생활권단위로 적정하게 구분하며 생활권별로 생활ㆍ편익시설이 고루 갖추어지도록 계획하여야 되는데, 도시계획 지표가 되는 인구의 과대지정, 행정구역 경계 기준으로 권역지정, 생활ㆍ편익시설에 대한 조사 부족 및 기준 미 확립 등 많은 문제점이 있어 실질적으로 면 소재지에 생활권계획을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셋째, 생활권별 주요시설 및 고려사항이 제 각각이고 나주시 기본계획과 관리계획의 생활권별 주요시설 및 고려사항이 상이하다. 생활권별 시설의 종류, 배치기준, 시설의 유ㆍ무 및 현황조사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 이러한 생활권계획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근린생활권의 생활거점지구를 적용하기 위해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근린생활권 중심에 생활거점지구를 지정하고, 선도 거점지구를 선정하여 생활거점 시범지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나주시 봉황면 근린생활권 내 면사무소를 중심으로 생활거점지구를 적용하도록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생활거점지구 내 거점기능시설을 집적화 시켜 시민들이 도보권 내 이용할 수 있도록 법적 제도는 물론 민관의 협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생활권계획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생활거점지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나, 관련 자료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세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향후 효과적인 생활거점지구를 위해서는 생활권계획 및 공간구조에 대해 더욱 세밀하고 면밀히 분석하여 이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야 한다. 또한, 법적으로나 행정적으로 그리고 주민들이 근린생활권의 생활거점지구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관련내용 보완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극심한 인구 감소로 오는 2040년 광주전남지역 읍ㆍ면ㆍ동의 3분의1이 소멸될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어, 도시ㆍ지역공간구조를 보다 컴팩트하게 재편ㆍ정비하고 근린생활권의 생활거점지구로 조성하여 지속가능하고 살기 편리한 도시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neighborhood unit plan may be defined as “a follow-up plan and a partial plan to specify the contents of the urban master plan by neighborhood unit in the legal aspect, a spatial structure plan of city’s most basic community in the theoretical aspect, and a plan of the area where citizens can exchange within the walking distance and living and convenient facilities are secured and arranged in the physical aspect.” However, laws and guidelines do not appropriately address the neighborhood unit or the neighborhood unit plan. Jeollanam-do is now facing a crisis of declining in the downtown which is the center of a city, the diffusion of streets, depopulation, and aging.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neighborhood unit plan and the neighborhood unit in Bonghwang located in Naju that is a small city and derive improvement directions in the urban planning aspect. This study analyzed a Japanese case which forms the centric district as the neighborhood center in the compact city theory and suggest establishment directions. We should prepare for the decline in population that is the basis of urban planning and a basic index of governmental policy, the low birth rate, aging, and the period of low growth. In this sense, methods to establish the neighborhood centric district in the neighborhood unit should be developed for sustainable and convenient space by reorganizing and improving the spatial structure of cities and regions including large and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in a more compact way. This study conducted a theoretical discussion and a case analysi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neighborhood centric district in the neighborhood unit plan and presented current status and problems through five analytic elements such as the population of the neighborhood unit, downtown population,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neighborhood centric district, the kinds and arrangement of centric functional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and bus stop . First, the problems of urban spatial structure in the urban master plan of Naju were analyzed regarding the application and analysis of the neighborhood centric district. The results showed that laws and guidelines had no clear definition on the spatial structure and differently expressed between plans. Second, the spatial structure should be planned to be reasonably divided into the neighborhood unit and equally have life and convenient facilities by the neighborhood unit.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application of the neighborhood unit plan to the seat of a myeon office due to many problems including the excessive assignment of population that becomes the index of urban planning, unit assignment based on the boundary of administrative district, and the lack of investigation and criteria of convenient facilities. Third, the main facilities and consideration for each neighborhood unit were very different in the urban master plan and management plan of Naju. The kinds and assignment criteria, presence, and situations of facilities should be investigated and discussed for each neighborhood unit. The application of the neighborhood centric district of the neighborhood unit was suggest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neighborhood unit plan. First, the model neighborhood centric district was suggested by designating the neighborhood centric district and selecting the leading centric district in the center of the neighborhood unit. Second, the neighborhood centric district was applied based on the myeon office within the neighborhood unit of Bonghwang-myeon in Naju. Finally, the central functional facilities should be integrated within the neighborhood centric district for citizens to use within the walking distance. In this regard, legal systems and the cooperation of government and people are necessary.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neighborhood centric district closely associated with the neighborhood unit plan. However, in-depth analysis was not made due to the lack of related information. Further study should analyze the neighborhood unit plan and the spatial structure more closely and examine their current status and problems for the effective neighborhood centric district. Moreover, it is urgent to add related contents to arouse the need of the neighborhood centric district of the neighborhood unit by law, administration, and residents. It is pointed out that the one-third of eup, myeon, and dong in the Gwangju and Jeonnam area will disappear in 2040 with extreme depopula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o reorganize and improve a urban and local spatial structure in a more compact way and create it as the neighborhood centric district of the neighborhood unit for a sustainable and liveable city.

      • 대중교통 이용자 통행 패턴 기반 서울지역 대생활권 분류 : 딥러닝 모형을 이용하여

        한가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생활권을 분류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준은 생활권 내의 동질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통행 패턴의 동질성을 기준으로 서울시 생활권 분류를 시도하였는데, 고차원의 통행 벡터 간 유사성 및 차이점을 가시화하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차원 축소를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형 차원 축소 방안인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과 비선형 차원 축소 방안인 심층신뢰신경망(Deep Belief Networks: DBN), 오토인코더(Autoencoder) 세 가지 차원 축소 방안을 통하여 고차원의 통행 벡터를 저차원으로 축소시키고, K-means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서울시를 5개 생활권으로 분류하였다. 통행 패턴 기반 생활권 분류 결과, 세 가지 차원 축소 방안 모두 기존의 생활권 분류와는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먼저 서남권이 두 개의 권역으로 분리되어 강서 권역이 하나의 독립적인 생활권을 형성하였고, 기존에는 하나의 독립적인 생활권으로 분류되던 도심생활권이 세 개의 권역에 의해 점유되었으며, 동남권의 영역이 지형적, 행정적 경계를 넘어서 한강 북측까지 확장되었다. 특히 DBN의 경우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들이 발견되었는데, 주요 중심업무지구 중 하나인 여의도가 강남과 같은 생활권으로 분류되었고, 지리적으로 인접하지 않은 행정동끼리 같은 생활권으로 묶이는 섬(island)의 발견이 도드라졌으며, 특히 이러한 섬 형태의 행정동들의 분포가 지하철 2호선 순환선 경로와 거의 정확히 일치하는 모습을 보였다. 세 가지 차원 축소 방안을 이용한 클러스터링 결과에 대한 검증 결과, DBN의 검증 지수가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When clustering a metropolitan area, the most important criteria is homogeneity within a zone.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ravel flows that have high-dimension.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interpreting high dimensional data, three different approaches to dimensional reduction are utilized: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DBN (Deep Belief Networks) and Auto-encoder. A PCA takes into account only a linear correlation of variables, while DBN and Auto-encoder can consider even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inter-zonal travel patterns. After reducing large dimension of origin-destination flows, K-means algorithm was applied to partiti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to five travel-pattern based clusters. The clusters categorized by each of the three approaches exhibited several deviations from geographical clusters defined by conventional zoning. The south-west region was divided into two clusters, while the historical CBD region was shared by three model-based clusters. In addition, the south-east region including Gangnam was expanded to north beyond the Han River which is penetrating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east to west. Of the three clustering techniques, The DBN-based approach produced far more realistic information than provided by PCA-based or Auto-encoder-based zoning approach. The Yeoido area, one of the three employment cen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as classified into the same cluster as Gangnam, originally part of the south-east area. Also interesting was the discovery of islands which were isolated from main cluster with no geographical proximities. The distribution of islands were nearly identical to the distribution of metro line 2 stations. As a result of validation of the utility of three tools, DBN-based zoning method recorded highest ratio value.

      • 생활권도시림의 농약사용과 수목진료제도에 대한 연구

        김종갑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Urban forest neighboring to the living space, easily accessible and utilizable without surplus time and cost, has the important roles for refreshing and recreation of urban dwellers, where considerable amounts of the various pesticides have been sprayed every yea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problems of protection of trees for the management of the urban forest, which would be the core of the tree clinic system. A questionnaire was performed to the officers charging the forest management and tree clinic managers of the whole country. Tree protection in the forest neighboring to the living space is neglected with the reason for the lack of the related office, expert, and budget, and the standard for the pesticide applicators is not existed but only the standard of treatment of pesticides. Furthermore, even this is much lower in our country than those in USA or UK, which might not prevent the abuse of pesticide. In addition, no recommended price for the consumer, the blanket purchase, and the intricate distribution structure make consumers confused to select the suitable pesticides. Managing the urban park and the roadside tree of the urban forest is the main task for the officers charging the forest management and tree clinic managers, which reaches 50% of their task and they visit 3 to 4 times a week for it. They also replied that the more construction of urban park, roadside green, school forest should be needed for the enlargement of the urban forest neighboring the living space of urban dwellers with ensuring the budget and enforcing the program for the managing system. From the investigation on the pesticide application, it is revealed that they would determine the pesticides according to forecasting the occurrence of pests with the advise of pesticide sellers. Also they would read and perform the guideline for pesticide treatment, especially in keeping time for 1- to 2 hour- spraying and treating chemicals. However, more than the half of the related officers have no experience to study the safety education for pesticide application, but less than the half of the tree clinic managers who have the knowledge about the pesticides for trees and use them practically. It also is suggested that the related managers would persuade the dwellers if complained with the pesticide application and consider the spraying time or dispose the safety man in order to reduce the compensation for the damage by pesticide application. Finally, shortage of the professional experts and pesticides registered for trees is indicated as the biggest problem in the pesticide application to the urban forest neighboring the living space of human. Moreover, they are answering that the development of the pesticides with the lower toxicity and persistence in environment as well as the biological regulators with the observance to the guideline for the pesticide application is necessary. For the reducing the pesticide application in the urban forest neighboring the living space with the launching of the tree clinic system, it is suggested that eco-friendly pesticides such as biological, crown-injected, supplied with bottom-watered, and solid-typed pesticides would be developed and pests should be controlled with the integrated pest management. Especially from the time of planning for tree planting, expert specialized with plant physiology should join to encourage the tree growth and to reduce the pest occurrence by planting with the proper tree to the proper area and the experts should be guaranteed by the government. Furthermore, pesticide management system for trees should be classified with the general users and the professional users as in USA. Also pesticides should be purchased by the authorized office and distributed to the users for the preventing the abuse of pesticides. Forming management systems for the urban forest neighboring is proposed. Tree clinic that contract with a local government should manage professionally the urban forest neighboring. The public tree clinic center and tree clinic center review the result of diagnosis from tree clinic. And staffs of the tree clinic should receive the trains from the tree clinic center. 생활 주변에서 접근이 용이하고 별도의 시간이나 비용의 부담이 없이 활용할 수 있는 생활권도시림은 도시화된 시민들의 정서함양과 휴양등의 목적으로 아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수목진료에 제도의 핵심인 생활권도시림 관리를 위한 수목방제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농약사용을 줄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농약관리 제도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생활권도시림 관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전국의 도시림 담당 공무원과 나무병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생활권도시림의 수목방제는 관리기관의 부제와 전문 인력 부족, 정부의 무관심, 예산부족 속에서 방치 되고 있었으며, 농약은 취급 기준만 두고 있을 뿐 농약 사용자 적용을 위한 기준은 없었다. 우리나라는 미국과 영국에 비해 기준이 너무 완화되어 있어 농약의 남용을 막을 수 있는 제도적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또 농약의 권장 소비자 가격의 미 표시와 일괄판매, 복잡한 유통구조의 현실 속에서 가격을 믿지 못하고 판매상의 권유로 농약적용을 결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태 조사를 위한 설문조사 결과 중 생활권도시림에 관한 사항을 보면 도시림 중에서 도시공원과 도로변 녹지(가로수)를 주로 관리를 하며, 도시림관리 업무비중 50%정도이고 1주일에 3~4회 정도를 방문을 하였다. 생활권도시림의 확대는 도시공원과 도로변 녹지, 학교 숲이 새롭게 조성될 필요가 있다고 하였으며, 관리를 위해서 예산확보와 체계적 관리 계획 수립 및 강화가 가장 필요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 생활권도시림 농약사용 실태를 보면 농약사용에 관해서는 대부분 병의 예찰결과에 의해 농약 사용을 결정하고 농약판매상을 통해 구입하며 농약사용 지침서는 거의 읽고 오전시간에 1~2시간 정도 살포하며 지상방제와 수간주사 방법을 혼용하여 시약작업을 시행하고 있다. 농약사용 안전교육은 공무원 50% 이상이 받은 경험이 없었고, 수목 등록 농약에 대한 인식이 낮았다. 반면에 나무병원은 50% 이상이 농약사용 안전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고, 수목 등록 농약에 대한 인식과 사용이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민원 발생 시는 민원인을 설득하거나 피해보상 등의 조치를 취하고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유동인구가 적은 시간대에 작업을 하거나 사전에 작업홍보를 실시하고 작업안전요원을 배치하는 방법이 제시 되었다. 마지막으로 생활권도시림 방제의 문제점으로는 전문 인력 수목 등록 약제의 부족이 지적되었으며, 농약 절감 대책에는 저독성, 저잔류성 농약개발과 농약안전 사용기준 철저 준수, 생물농약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생활권도시림 농약사용에 대한 의견을 보면 농약사용은 반드시 필요하며 관리미흡의 원인으로 민원발생과 예산부족을 꼽았다. 수목진료제도 시행에 따른 생활권도시림 농약사용에 저감에 필요한 제안으로는 친환경 농약사용과 수간주사, 저면 관수 시설을 이용한 농약공급 방법, 고형 시용제 사용방법을 제시 하였다. 병해충 종합관리를 통해 해충을 관리 하여야 하며, 생활권도시림 신설 설계 시 수목 생리 전문가에게 감수를 하여 적지적수의 개념을 설계당시에 도입 수목활력을 높여 병해충의 발생을 차단하는 방법을 제시 하였다. 또한 생활권도시림 관리를 위한 국가 자격제도 신설을 제안하였다. 수목 등록 농약관리제도는 선진국처럼 일반사용자와 전문사용자로 취급자격으로 분류하였다. 농약유통문제 해결 방안으로 전문 사용약제로 구분한 수목 등록약제를 산림청에서 일괄 구입하여 유통구조를 해결하면 농약의 오남용과 수목방제 전문자격문제의 해결이 가능할 것이다. 생활권도시림 관리시스템을 구축방안을 제안하였다. 나무병원은 자치단체와 관리계약을 체결하여 생활권 도시림의 전문 관리를 실시하며 공립나무병원과 수목진단센터는 나무병원에서 이뤄지는 진단결과의 적부를 판단하고, 매년 나무병원 소속인력은 수목진단센터에서 관리 실무교육을 받아야 한다.

      • 생활권 중심 교육자치 단위설정에 관한 연구

        유상덕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fine the proper units for Local Education Self-Government and it's proper administrative structures in accordance with that educational self-government institution. The thesis reviewed the history of the centralized bureaucratic ruling system and its effects to Korean Education from the beginning of the modern education syste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ing Period 1930' to now. So long time, the Korea Education System has been ruled by the strict bureaucratic administration, there are no self-regulation in local educational adminstration and most of the schools lies in the dearth of autonomy and creative education. Now, the world is in the face of rapid change to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because of the transportation and information revolution. Korean society needs to accept the main concepts of that change especially 'decentralization and autonomy' in all of the areas. This is very important idea to change and develop the historically inactive Korean school system. This study is designed and progressed under that environment as a doctorial essay. First, I studied the history of the Korean education autonomy system. And I studied the education autonomy systems in the several foreign countries,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England, Deutschland, France and Japan. And also compared with many experiences to re-conceptualize the educational autonomy systems in the Latin America and Asia, for example, Colombia, Venezuela, Brazil, Chile etc. Among them, I visited The Mt. Lebanon School District, Pennsylvania, United States and Kunitatz City, Tokyo, Japan to meet the specialists about local education who had been working in the Life Areas. I could have gathered many materials for this study. Thirdly, I have gathered many ideas and materials used during the discussions conducted in academic seminars, discussions among the experts and governmental committees. Finally I made several model case studies for the proper examples. If I sum up the contents of studies, I can say as following; (1) Most of the debates and discussions about the re -institutionalizing local education autonomy systems, there was proceeded two focused subjected debates. First, in relation to the local general administrative power and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power to assure more administrative power. And secondly, debates about the sharing of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power with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This resulted the ommission to the main concepts to back up the needs vitalizing school-based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changing society. (2) Analysing the educational autonomy systems of main foreign countries, I could have got informations that all of the countries, they have the educational autonomy system to the basic local--based units, and they have a closed or unified relations between general local administration and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3)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the questionnaire with general people and parents, half of the people didn't know even there had been the local education self-government system, and most of the people didn't answer affirmatively the results of the on-going system. They wanted to rule directly themselves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by the direct vote to the delegation and Superintendents for the benefit of school system. (4) So, according to the discussions among the seminars and official meetings in the governmental committees, there needs the innovation of educational autonomy systems which contained the solidification with local general administration and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system. And we should have the autonomy system to the basic local-based. Summed up all this data and ideas, with the analysed ideas of preceding studies in the same subjects, I made several models as following for the re-institutionalized Korean Education Self-Government System. (1) We need have, conceptually, units of local self-autonomy system. We call it the unit of 'Life-Area Educational Self-Government Units' It is the regional unit who have the same experience, historically and culturally. At the same time, it is the regional unit which could provide and aid all of the services to the school. So this unit would coincide first of all with the adminstration boundary in the rural areas, but large cities would separate to several units, and in rural areas, there could be constitute a one unit with the several basic adminstration units according to the proper regional educational projects. And this units would be decided by the people who are living in that areas by vote or other methods. (2) This unit must be institutionalized by the 'Local Autonomy Law' article 117, as a "The Special Autonomy Administration District". This units will constitute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districts contained the broad administrative units, basic administrative units and intermediate units which is conglomerated several basic units. (3) We enlarge the solidification with local general administration and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system to grant the responsibilities of the presidents of the local governments to the regional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area of the educational matters, it belongs to the educational autonomy units. According to the above principles, we can have a model to define and set up following local education autonomy units and it's structure to manage the national education system, Firstly, we can devide approximately 60 local life--sphere units nationally to manage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system. The so called metropolitan cities would be devided into several units according to the population, students and general or educational adminstration units(ex. Seoul, Pusan, Daegu, Inchon). But Kwangju, Ulsan and Daejeon will constitute one unit. In the rural areas, They will constitute one unit with several basic administrations, so in Kangwon, Chung-buk, Chung-nam Chun-buk, Chun-nam, Kyung-buk, Kyung--nam and Jeju Provincial Areas will constitute each approximately 1-6 units. Kyunggi-do will constitute 12-13 units. Kyunggi-do have several cities as basic adminstration units whose population estimates 3-5 hundred thousands, and this areas is accord with the basic adminstration units and life--sphere units. Secondly, If any basic administrative units decided to be the special district according to the law, 'special regional district law for specialized regional development' they would be constitute a educational districts. Thirdly, in the life-area units, there have a effective administrative structure. executive and delegation structure would be united to support the regional and school-based affairs effectively. the president of local governments will join with the 'education committee' to participate and have the responsibilities of local areas. Local units will support the schools with all of the resources, personnel financial and cultural. Fourth, to activate the life-sphere educational districts, the provincial education administration units will constitute 'the special education committee' within the Provincial Assembly. The delegation will elected directly from the provincial residents as a special methods. The superintendents will elected by vote with the Provincial Presidents at the same time. Lastly, to activate the life-sphere educational autonomy, central government will transferred to proper administrative power to the provincial, local and school-base units. Especially the executive affairs about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o regional units and about university affairs to university committee properly constituted. And many institutions and associations supporting to the central government will re-institutionalized.

      • 지역생활권별 교통에너지 소비량 및 탄소배출량 분석

        석주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많은 재해들이 발생함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중 약 20%를 차지하는 교통부문을 대상으로 하여 교통에너지 소비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승용차를 이용한 통행이 행정구역을 넘어 점차 광역화 되어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통행패턴을 기초로 지역생활권을 설정하고, 지역생활권별 교통에너지 소비량 및 탄소배출량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자동차를 이용한 통행권의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통근통행권과 일상통행권을 설정하고, 이를 종합하여 지역생활권을 설정하였다. 1인당 주행거리 지표를 이용하여 지역생활권별 교통에너지 소비량을 추정하였다. 또한 탄소배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종합한 지역생활권별 프로파일(profile)을 구축하고, 군집분석을 통해 지역생활권을 유형화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울릉군을 제외한 우리나라 162개 시·군은 23개의 지역생활권으로 분류되었다. 지역생활권별 1인당 주행거리를 비교해보면 중소도시 생활권이 대도시 생활권보다 높게 나타났다. 시·군 단위와 1인당 주행거리를 비교해보면 대도시 인접지역의 1인당 주행거리가 더 길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탄소배출량 저감을 위해서는 지역생활권 단위로 교통에너지 소비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함을 잘 말해준다. 교통에너지 소비요인 특성에 따라 23개 지역생활권을 군집분석한 결과 5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각 유형별로 교통에너지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상이함에 따라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전략도 차별화되어야 함을 시사해준다. 본 연구결과, 교통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효과적인 탄소저감 정책을 수행하기 위해 지역생활권을 공간단위로 삼아야 하며, 일괄적인 정책보다는 각 지역생활권 교통에너지 소비특성에 맞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As many meteorological disasters caused by global warming, multilateral efforts are being made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2 emissions according to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It is targeted at the transportation sector which accounts for about 16 percent of domestic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is study, it sets city-regions on the basis of travel patterns. This is to reflect that traffic patterns used by passenger car are becoming wide beyo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 So it sets regions of commuting trips and daily trips, and sets city-regions by integrating them. Then this study analyzes the city-regional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and CO2 emissions by using VKT(Vehicle Kilometer Travelled) per person. Futhermore, it makes city-regional profiles and classifies the city-regions by aggregating factors to affect CO2 emissions. As a empirical analysis result, Korea's 162 cities and countries set to 23 city-regions except for Ulleung-gun. Compared with each city-region, average VKTs are higher in small-medium sized city-regions than metropolitan. Also VKTs per person are longer in the cities and countries located nearby metropolitan. It suggests that the city-region is needed to measure the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for reducing CO2 emissions. This study builds up the city-regional profiles and classifies into 5 types according to the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factors. Each type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factors affecting the transport energy consum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ity-region should be considered the unit to reduce the transport energy consumption and establish more effective CO2 emissions reduction.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promote policies based on the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each city-region than uniform standard.

      • 기성시가지 근린생활권의 오픈스페이스 이용특성 연구 : 관악구 전업주부를 대상으로

        홍예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공원 및 오픈스페이스는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생태적가치, 심미적가치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하게 여겨진다. 최근에는 근린환경이 건강한 삶의 방식(Healthy Lifestyle)에 근본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건강한 삶의 증진에 생활권 내 물리적 환경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오픈스페이스와 같은 물리적 도시환경의 변화를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지속적이고 장기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거둘 수 있으므로 다양한 오픈스페이스를 공급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시의 1인당 오픈스페이스 면적은 4.53㎡로 규모가 비슷한 해외 주요도시에 크게 부족하다. 특히 기성시가지는 도시형태의 변화가 소단위, 개별적, 점진적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그 문제가 더욱 크다. 또한 구릉지형과 아파트 재개발로 인해 가로망 단절과 복잡한 도시구조가 심화되어 그나마 부족한 오픈스페이스를 이용하는데 상당한 제약을 받고 있다. 거주자들은 오픈스페이스의 시설이나, 거리, 이용목적, 보행선호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이를 선택적으로 이용한다. 그러나 공급방식 및 그 기준이 미흡하여 획일적이고 단편적인 공원만을 공급하거나, 공원의 이용실태에 대한 평가 역시 개별 공원의 이용실태 조사에 한정되고 있어, 전체 생활권 내에서 공원공급의 수준을 진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를 구체적으로 진단하여 그 원인을 밝히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새로운 평가방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생활권 오픈스페이스의 특성에 대해 현상을 관찰하고 그 속성을 정리함으로써 동네의 환경을 평가하는 새로운 기준이 밝히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목적을 설정하고 수행하였다. 1) 생활권 오픈스페이스의 기능을 정리하였다. 오픈스페이스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인 생활권에서의 이용특성을 살피기에 앞서 생활권에서 오픈스페이스가 이용되는 목적과 기능을 구체화 할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해 생활권 공원의 설치목적, 도시공원의 기능, 생활권 내 학교 및 학교외부공간의 기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로 모든 오픈스페이스의 기능으로 가장 기본이 되는 ‘휴식 및 정서함양‘과, 다른 오픈스페이스와 달리 생활권에서 분명하게 요구되는 ’신체활동 지원‘, ’어린이의 활동 및 정서함양‘의 세 가지로 생활권 오픈스페이스의 기능을 정리하였다. 2) 오픈스페이스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오픈스페이스 자체의 특성뿐만 아니라 지역적 환경이나 개인의 선호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이용행태 및 특성이 다를 수 있다는 전제하에 여러 요인들을 도출하고 정리하였다. 그 결과로, 개별 오픈스페이스의 특성, 지역의 특성, 이용자 개인의 특성이라는 세 개로 카테고리화 하였으며 각 세부 요인에 따라 이용행태(빈도, 활동종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3)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생활권에서 오픈스페이스의 이용특성을 도출하였다.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오픈스페이스를 비슷한 유형으로 묶고, 응답자의 주거지 또한 동질한 구역으로 나누었다. 오픈스페이스 유형은 평지시설형(평지에 위치하고 시설이 다양함), 산지근린형(구릉지에 위치하고 시설이 많지않음), 학교(초,중고교 및 서울대학교캠퍼스), 기타의 4가지로 나누었다. 구역설정은 1km 반경의 지역을 대로로 크게 나누고, 경사 및 단지로 인해 단절된 구역을 서로 구분하여 총 7개의 구역으로 설정하였다. 먼저 구역과 관계 없이 오픈스페이스별 이용현황을 살펴보았다. 주 1회 이상 이용자의 비율과 이용 요일, 교통수단에 따라 크게 근린내적 이용과 근린외적 이용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주 1회이상 이용자의 비율이 10%이상이고, 평일 이용자의 비율이 높고, 걸어서 방문하는 경우를 근린내적인 이용으로 보았다. 그 결과 산지근린형 오픈스페이스와 학교유형의 초중고교의 학교운동장,이 근린 내적으로 이용되는 경향을 보였고, 평지시설형 오픈스페이스와 학교유형의 서울대학교 캠퍼스, 기타유형의 관악산 자연공원은 근린외적 이용을 보였다. 도림천의 경우 방문자가 거의 없었으며 이를 통해 근린내적 이용이 주될 것이며 금번 설문조사의 구역과 생활권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음으로 GIS를 이용하여 응답자의 주거지 위치와 함께 이용빈도, 교통수단을 도면화하여 분석하였다. 평지시설형 오픈스페이스는 방문자가 전체 구역에 퍼져있으며 차량이용자가 거리에 관계없이 분포하였다. 거리가 가깝더라도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와, 거리가 멀더라도 걸어서 이용하는 경우가 혼재하여 나타났다. 산지근린형 오픈스페이스는 방문자가 구역의 일부에 나타났으며 대부분 걸어서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지근린형 오픈스페이스 중 까치산공원만 유일하게 대로를 건너서 이용하는 경우가 나타났는데, 이는 산지형근린공원 중 해당 공원만 트랙과 공터, 아동놀이시설 등 시설이 다양하게 갖춰져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학교유형과 기타유형은 앞서의 유형별 분석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구역을 설정하고 오픈스페이스와의 거리를 참고하여 이용특성을 분석하였다. 오픈스페이스-구역간 거리는 구역 내 응답자의 주거지로부터 각 오픈스페이스까지의 거리를 평균하여 도출하였다. 여기에서 거리는 단순 직선거리가 아닌 실제로 움직이는 경로의 거리로 측정하였다. 오픈스페이스로부터 각 구역까지의 거리를 반영하여 빈도를 분석한 결과, 평지시설형 공원은 다른 유형에 비해 주 1회미만- 월1회이상의 이용자의 비율이 높아 근린외적인 이용이 높다고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거리가 1.5km이내인 구역에서는 주 1회이상 이용자의 비율이 20`30%로 근거리 이용자들에게는 근린내적인 이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이 나타났다. 반면 산지근린형 공원은 거리에 따른 이용률의 편차가 매우 크고 거리가 1.5km보다 먼 경우에는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1회미만- 월1회이상 이용자의 비율이 평지형에 비해 매우 적어, 산지근린형 공원은 근린외적인 이용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유형의 도림천의 경우, 거리가 특별히 멀지 않지만 전반적인 이용률이 낮게 나타나는데 이는 도림천과 설문구역의 경로상 고도편차가 심하며 도림천의 시설이 다양하지 않기 떄문에 매력도가 떨어 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관악산 자연공원의 경우 거리가 매우 가깝다 하더라도 이용률이 높지 않았는데 이는 산지의 경우 장비를 갖추거나 동반자에 제한이 있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다음으로는 각 구역으로부터 오픈스페이스까지의 거리를 반영하여 빈도를 분석하였다. 이 분석으로 산지근린형 오픈스페이스가 가까이에 있다 하더라도 보행가능거리인 1.5km 내에 평지시설형 공원이 있는 경우, 해당 거리를 이동하고서라도 평지시설형 공원을 이용하려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구역의 환경에 따라 학교운동장의 이용률에 큰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교운동장은 단조로운 시설로 대단지 입주민들은 주거지 형태상 유사한 공간을 제공받기 때문에 이용할 필요가 적으며 반면 그 외의 구역에서는 단조로운 공간조차도 제공받기 어려운 상황임을 짐작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근거리에 위치함에도 잘 이용되지 않는 도림천과 오픈스페이스 공급량 뿐만아니라 경사외 보행로 단절에 의해 오픈스페이스 이용에 어려움이 있는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근린환경이 건강한 삶의 방식(Healthy Lifestyle)에 근본적인 영향을 미치는 생활권 내 오픈스페이스에 관심을 가진 연구로, 거주자가 다수의 오픈스페이스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근린생활권이라는 영역을 설정하여 영역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오픈스페이스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 근린생활권 내 공원의 이용이 단순하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인접한 여러 오픈스페이스의 각기 다른 기능 및 특성에 의해 종합적으로 결정된다는 새로운 관점을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점을 갖는다. 또한 연구과정에서 생활권 오픈스페이스가 갖는 기능과 오픈스페이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한 것, 다양한 방법으로 오픈스페이스가 이용되는 특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가 근린생활권의 환경을 계획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쓰이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