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존분석을 이용한 베트남 전쟁 참전 미군의 전사에 관한 연구

        이영훈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전쟁에 참전하는 군인들에게 있어 어떠한 요소가 군인들의 생존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그에 따른 생존 확률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군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데이터가 갖는 60개의 변수들에 대해 단계별 선택법(Stepwise Selection)과 분산팽창계수(Variance Inflation Factor)를 활용하여 생존 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 9개를 선별하였으며, 각 변수별 카플란-마이어(Kaplan-Meier) 생존곡선을 통해 시간에 따른 생존 확률의 변화를 분석하고 콕스 비례 위험 모델(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시간 종속형 콕스 모델(Time dependent Cox Model)을 통해 상대적 생존 확률을 나타내는 해저드 비를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 전쟁에서 생존 확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군 계급, 군 복무기간, 복무 유형, 전개 지역이었으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군 계급임을 알 수 있었다. 군 계급의 경우 일반병사의 생존 확률이 가장 낮았으며, 장교, 준사관, 부사관 순으로 생존 확률이 높았고 복무 유형의 경우 강제로 징집되어 전쟁에 투입된 징집군(Selective Force)의 생존 확률이 다른 유형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낮았다. 군 복무기간이 5년 미만인 군인은 복무기간이 5년 이상인 군인들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생존 확률이 낮았으며, 전개지역의 경우 특정 전개지역에 전개된 군인의 생존 확률이 다른 전개지역에 전개된 군인들의 생존 확률 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초등학교 3학년 생존수영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지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생존수영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3학년 생존수영교육에 대한 수영지도자와 담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3학년 생존수영교육에 대한 수영지도자와 담임교사가 생각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학교 3학년 생존수영교육에 대한 수영지도자와 담임교사가 생각하는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에서 사용되는 비확률표집 중 하나인 유목적 표집을 활용하여 D광역시에 근무하는 생존수영교육 지도자 4명, 초등 담임교사 2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 선행논문 등을 활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텍스트 분석(textual analysis)과 의미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혼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존수영교육의 인식을 나타내는 핵심단어는 ‘안전’, ‘사고’, ‘필요성’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생존수영교육은 학생들의 안전과 사고를 대비해 수영 기능 보다는 안전교육의 목적으로 실시한다고 나타났으며 공교육에서 수영교육은 당연히 배워야함을 강조하였으며 필요성 여부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둘째, 생존수영교육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핵심단어는 ‘안전’, ‘안전교육’, ‘수영장’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은 생존수영을 안전교육이라 강조하였다. 하지만 학교 내부에 수영장이 없기 때문에 학교 외부로 이동하면서 오히려, 학생들이 주변 안전사고 위험에 많이 노출되고 있었으며 체계적인 안전교육이라는 실질적 교육목표에 도달하기는 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생존수영교육은 제도적 문제, 지도역량 부족, 생존수영 프로그램 부재로 나타났다. 셋째, 생존수영교육 개선방안을 나타내는 핵심단어는 ‘교육청’, ‘담임교사’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제도적 개선, 지도역량 강화, 생존수영 프로그램 개발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uce the problem of the survival swimming education for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its remedy. The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awareness of the swimming instructors and homeroom teachers regarding the survival swimming education for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Second, what is the problem of the survival swimming education for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ird, what is the remedy of the survival swimming education for the 3rdgradeofelementaryschool? 4 survival swimming education teachers and 2 elementary homeroom teachers working in D Megalopolis were selected as the study participants by means of the purposeful sampling, one of the nonprobability samplings which were used in the qualitative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the in-depth interview and the precedent thesis, and the result was drawn from the collected data by mixing the textual analysis and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the keywords representing the awareness of the survival swimming education were ‘safety’, ‘accident’, and necessity’. It was revealed that the survival swimming education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the safety education rather than the swimming function in readiness for the accident students might face, and study participants emphasized the swimming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naturally in the public education and showed a very positive awareness for the necessity.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keywords indicating the problem of survival swimming education were ‘safety’, ‘safety education’, and ‘swimming pool’. Study participants emphasized the survival swimming was the safety education. However, since there was no swimming pool in the school, the students were exposed to the surrounding safety accident risks when they moved outside the school and it was very difficult to reach the practical education goal called the systematic safety education. Accordingly, it was revealed that the problem of the survival swimming education included the institutional problem, lack of instruction capability, and lack of the survival swimming program. Third, it was shown that the keywords indicating the remedy of the survival swimming education were ‘Education Office’ and ‘homeroom teacher’. Accordingly,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reinforcement of instruction capability, and development of the survival swimming program were adduced.

      • 위암 장기 생존자의 직장 복귀

        장보윤 울산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turn-to-work status of long-term survivors of stomach cancer and to investigate the need for them to resume work in order to establish fundamental data for institutional cancer policy develop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135 long-term stomach cancer survivors who followed-up in A hospital in Seoul, Korea. The error,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22.0 program. Detai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84 of the subjects were male (62.2%) and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59.87. 117 of the subjects (86.7%) were married and 55 (40.8%) held a community college or higher degree. The most frequent range of monthly income was less than 2 million won wherein 35 subjects (25.9%) was included, while 90 subjects (67.2%) experienced a decrease in monthly income after they were diagnosed with cancer. Work experience of more than 16 years was most common with 109 subjects (80.8%). 2. Laparoscopic surgery was performed in 76 patients (56.3%), and 128 patients (94.9%) did not receive adjuvant treatment following surgery. 112 patients (83.6%) had early gastric cancer, and 93 patients (68.9%) had concurrent disease. Patients at 5 to 9 years postoperative were most common (108, 80%). 3. 114 (84.5%) returned to work following the cancer diagnosis whereas 21 (15.5%) did not. After treatment, 57 (50.9%) patients returned to the workplace after 1 month, while 34 (30.4%) after 5 to 6 months. 94 (84.7%) had been employed at another workplace upon returning to work after the cancer treatment. 4. The rationale for unemployment and leave at the point of cancer diagnosis was deterioration of physical ability for 102 (76.3%), while the most frequent type of unemployment and leave was sick leave (102, 75.6%). 5. 117 subjects (89.3%) considered the medical staff not interested in their returning to work. Also 125 (94%) subjects stated that they did not receive counseling from the medical staff regarding returning to work. As to what occupation is most adequate for return-to-work counseling, 69 (51.1%) answered physicians, 39 (28.9%) considered professional reinstatement counselors, and 12 (8.9%) considered nurses. 6. On the cancer survivors' need to return to work, 55 (42.7%) answered that the policies for patients’ returning to work need to be developed while 26 (20.1%) answered that the cooperation of employers is necessary. 14 (10.9%) answered that there is a need for change in the sociocultural perception towards cancer patients, 19 (14.7%) the need for reinstatement administration service (flexible working hours), and 8 (6.2%) the need for reinstatement counseling service while 7 (5.4%) answered that reinstatement training and rehabilitation services are necessary. This study showed that 84.5% of long-term stomach cancer survivors returned to work. The findings will serve as a source data for understanding the actual state of long-term stomach cancer survivors who have returned to work. It is hoped that such data can help alleviate the negative perception towards cancer patients about their ability to return to corporate life. Also, based on the result that 42.7% of cancer survivors believe that national policies regarding cancer patients’ returning to work must be established, development of these policies is necessary. 94.1% of the cancer survivors answered that they have not received any counseling regarding about returning to work. It is considered that return-to-work counseling by medical staff should be developed as it may affect the chances for reinstatement of cancer patients. 본 연구는 위암 장기 생존자의 직장 복귀 실태를 파악하고, 직장 복귀 관련 요구도에 대해 조사하여 제도적 암 정책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A 병원에서 추후 관리 받는 위암 장기 생존자 135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 편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남성은 84명(62.2%)이였고, 평균연령은 59.87세로 나타났다. 결혼 상태는 117명(86.7%)이 기혼자였고, 교육 정도는 전문 대학 졸업 이상이 55명(40.8%)이였다. 월 수입은 101만원에서 200만원 이하가 35명(25.9%)으로 많았으며, 암 진단 후 가정의 월 소득 감소가 90명(67.2%)이 있다고 하였다. 직장 경력은 16년 이상이 109명(80.8%)으로 가장 많았다. 둘째, 대상자의 암 수술 종류에 있어서는 복강경 수술이 76명(56.3%)으로 많았으며, 수술 후 보조 치료를 받지 않은 대상자가 128명(94.9%)이였다. 조기 위암이 112명(83.6%)이였으며, 동반 질환이 93명(68.9%)이 있다고 하였다. 수술 후 5년에서 9년이 경과 된 대상자가 108명(80.0%)으로 가장 많았다. 셋째, 암 진단 이후 직장 복귀자는 114명(84.5%)였으며, 직장 미 복귀자는 21명(15.5%)이였다. 치료 후 대상자의 직장 복귀 시기는 1개월후가 57명(50.9%)이였고, 5주에서 6개월후가 34명(30.4%)으로 나타났다. 위암 치료 후 직장 복귀 시 다른 직장으로 취직한 경우가 94명(84.7%)으로 나타났다. 넷째, 암 진단 시 실직 및 휴직의 사유는 신체 기능 저하가 102명(76.3%)으로 가장 높았으며, 암 진단 시 실직 및 휴직의 종류는 질병 휴직이 102명(75.6%)이 가장 높았다. 다섯째, 대상자는 의료진이 암 생존자의 직장 복귀에 대한 관심이 없다라고 117명(89.3%)이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의료진이 암 생존자의 직장 복귀에 대해 125명(94%)이 상담 해준 적이 없다라고 하였다. 암 생존자의 직장 복귀와 관련한 상담은 누가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지에 대해 의사가 69명(51.1%)이였으며, 전문 직업 복귀 상담사가 39명(28.9%)이였고, 간호사가 12명(8.9%)의 순으로 높았다. 여섯째, 대상자의 암 생존자의 직장 복귀 관련 요구도에서 55명(42.7%)이 직장 복귀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라고 했으며, 26명(20.1%)이 고용주 협조가 필요하다고 했다. 14명(10.9%)이 암환자의 편견에 대한 사회 문화적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하였고, 19명(14.7%)이 직장 복귀 행정 서비스(유연한 근로시간제도), 8명(6.2%)이 직장 복귀 상담서비스, 7명(5.4%)이 직업 복귀 훈련 및 재활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위암 장기 생존자들의 84.5%가 직장 복귀를 한 것으로 파악 되었다. 이를 통해 높은 직장 복귀를 이루고 있는 위암 장기 생존자의 현 실태를 파악하고, 직장 생활 하기 어렵다는 암 생존자에 직장 복귀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근거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 된다. 또한 암 생존자에게 직장 복귀 관련 국가 정책을 마련이 42.7%가 필요하다고 한 결과를 토대로 적절한 암 생존자의 정책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대상자는 암 생존자의 직장 복귀 상담을 94.1%가 받은 적이 없었다. 의료진의 직장 복귀 관련 상담은 암 생존자의 직장 복귀에 영향을 미치므로 시급한 직장 복귀 상담이 필요하다고 고려 된다.

      • 초등학교 생존수영 재교육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학습태도가 수상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이미정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초등학교 생존수영 재교육에 대하여 주관적 인식과 학습태도가 수상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편의표본추출법을 활용하여 G 광역시와 J 도에 소재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64명을 대상으로 생존수영을 직접 교육하고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07월 01일부터 09월 30일까지 시행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통계자료에 적합하지 않은 4부를 제외하고 160부(97.6%)가 최종 자료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지에 구성된 내용은 선행연구에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인정된 척도를 이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항 내적 일치도를 검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 ver. for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 ency analysis),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 sis)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존수영 재교육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하위 요인 중 수영 수업은 수상안전의식의 하위 요인인 안전예방의식(t=4.705, p<0.001), 안전인지(t=2.2 18, p<0.05)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안전교육(t=0.586, p=0.559)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수영 재교육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하위 요인 중 위험상황 대처는 안전교육(t=0.370, p<0.001)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안전예방의식(t=1.949, p=0.053), 안전인지(t=-1.360, p=0.176)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존수영 재교육에 대한 학습태도의 하위 요인 중 수업 흥미는 수상안전의식의 모든 하위 변인인 안전예방의식(t=-0.660, p=0.510), 안전교육(t=-1.216, p=0.226), 안전인지(t=0.027, p=0.979)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수영 재교육에 대한 학습태도의 하위 요인 중 수업 주의집중은 안전예방의식(t=3.151, p<0.01), 안전인지(t=2.911, p=<0.05)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안전교육(t=1.414, p=0.159)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수영 재교육에 대한 학습태도의 하위 요인 중 수업 학습의욕은 안전예방의식(t=2.476, p<0.05), 안전인지(t=-2.383, p<0.05)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안전교육(t=-0.627, p=0.532)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수영 재교육에 대한 학습태도의 하위 요인 중 수업 성취동기는 안전예방의식(t=2.048, p<0.05), 안전교육(t=3.259, p<0.05)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안전인지(t=0.440, p=0.661)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부터 생존수영 재교육을 통해 초등학생들의 수상안전의식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제 상황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생존수영을 담당하는 교육기관 및 연구기관에서는 생존수영 재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학교현장에 보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ubjective perceptions and learning attitudes toward the retraining of survival swimming for water safety consciousness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gave lessons on survival swimming herself to 164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 Metropolitan City and J Province via convenience sampling and conducted a survey with them.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1~ September 30, 2021. After four questionnaires were deemed unfit as statistical data from the returned questionnaires, 160 (97.6%)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data. The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was based on inventories whose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proven in earlier studies and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for this study. Inter-item consistency was tested to examine the scales in reliability. Data was treated with the SPSS 18.0 ver. for Windows program in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wimming lessons, a subfactor of subjective perceptions of survival swimming retrain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afety prevention awareness (t=4.705, p<0.001) and safety recognition (t=2.218, p<0.05), two subfactors of water safety consciousness, but no effects on safety education (t=0.586, p=0.559). Another subfactor of subjective perceptions, coping with a risky situ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afety education (t=0.370, p<0.001) but no effects on safety prevention awareness (t=1.949, p=0.053) and safety recognition (t=-1.360, p=0.176). Furthermore, interest in lessons, a subfactor of learning attitudes toward the retraining of survival swimming,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any of the sub-variables of water safety consciousness including safety prevention awareness (t=-0.660, p=0.510), safety education (t=-1.216, p=0.226), and safety recognition (t=0.027, p=0.979). Concentration in lesson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afety prevention awareness (t=3.151, p<0.01) and safety recognition (t=2.911, p=<0.05) but no effects on safety education (t=1.414, p=0.159). Motivation for learning in lesson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safety prevention awareness (t=2.476, p<0.05) and safety recognition (t=-2.383, p<0.05) but no effects on safety education (t=-0.627, p=0.532). Motivation for achievement in lesson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afety prevention awareness (t=2.048, p<0.05) and safety education (t=3.259, p<0.05) but no effects on safety recognition (t=0.440, p=0.661). The study proposed some ideas, based on its findings, to increase the level of water safety consciousnes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 retraining of survival swimming. This also included developing a program fit for real situations, identifying problems with the retraining of survival swimming at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research institutes in charge of survival swimming, and distributing developed programs to schools.

      • 한국 유료방송시장에서 방송채널사용사업자의 생존에 관한 분석 : 비모수 생존분석 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곽규태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국내 유료방송시장에서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의 생존주기와 이들 PP의 생존과 도태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규명을 목적으로, PP제도 도입 이후 현재까지 텔레비전 PP채널의 기간별 생존확률과 폐업 위험률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선행연구들에서 제시된 PP의 경영성과 요인이 실제로 PP 채널의 생존과 도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지 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도절단자료인 폐업된 PP들의 정보도 분석대상에 포함하는 생존분석을 그 분석방법으로 활용하였는데, 먼저 비모수적 방법인 생명표법(life-table method)을 이용해 1993년부터 2008년 말까지 전체 PP들의 생존율과 위험률의 변화를 90일 주기로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선행연구에서 입증된 PP의 성과변인이 도태된 PP집단과 생존한 PP집단 사이에서 유의한지 그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유의성이 검증된 변인들을 대상으로 일명 ‘콕스 회귀분석’으로 불리는 콕스 비례위험함수모형(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적용해, PP의 생존과 도태에 영향을 미친 결정요인이 무엇인지를 추정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명표법의 시행결과 분석대상 189개 PP 중 28개가 도태하여 누적생존확률은 85.19%로 나타났으며, 시장에서 도태될 위험률은 전 구간에 걸쳐 고르게 분산되어 있었으나 특히 PP가 시장에 진입한 이후 2년에서 2년 반 사이 시기인 630일 ~ 900일 구간의 위험률이 매우 높았다. 둘째, PP의 생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는 예측변인들의 유의도를 검증한 결과 해당 변인들은 대체로 모두 PP의 생존과 도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유의도가 검증된 변인들을 대상으로 콕스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수평적 통합(MPP)’ 여부와 ‘시청규모(리치)’가 PP의 생존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독립채널이 MPP에 편입될 경우 시장에서 도태될 위험률이 75.6% 감소할 수 있으며, ‘리치’ 역시 1단위 상승할 때마다 해당 PP가 시장에서 도태될 위험률이 20%씩 감소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존분석을 시행한 결과 시장 진입유형에 관계없이 PP는 시장에 진입한 이후 2년에서 2년 반 사이에 가장 도태될 위험률이 높았는데, 이는 방송콘텐츠 시장개방으로 인한 국내 PP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IPTV 등 유료플랫폼의 증가로 콘텐츠수급이 안정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PP의 진흥과 육성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해당 시기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휴먼 PP와 페이퍼컴퍼니 등을 제외하고 실제 방송서비스를 시행한 PP 채널의 생존율과 위험률의 변화추이를 통해 알 수 있듯, 등록제 시행 이후 많은 채널들이 새롭게 시장에 등장해 경쟁이 가속화되었음에도 PP채널의 생존율이 85%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PP의 경영성과 혹은 플랫폼사업자와의 수익배분 문제와는 별개로 현재 PP의 생존환경이 그리 열악하지 않고 오히려 잉여의 측면이 있어 최근 일고 있는 채널자격 강화의 논거가 상당부분 설득력이 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리치’와 더불어 ‘수평적 통합(MPP)’ 여부가 PP의 생존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향후 정부의 소유·겸영규제 정책의 수립 시 공정한 시장경쟁 환경 조성 등을 위해 MPP 등 결합 사업자 허용 논의에 있어 시장상황에 대한 면밀한 추가분석을 통해 상한비율 설정 등의 논리가 검증될 필요성을 시사한다.

      • 소기업·소상공인의 생존분석에 관한연구 : 강원신용보증재단이 지원한 소기업·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이근우 강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생존분석을 기법을 이용하여 강원신용보증재단(강원신보)에서 보증을 받은 기업의 생존함수 추정을 통해 현황과 과제를 살펴보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강원신보에서 보증을 받은 34,465개 소기업,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 중 중도절단된 자료는 29,639 사고 자료는 4,526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생존분석(Survival Analysis)중 비모수적 방법인 생명표법을 사용하였으며 논의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 장은 연구의 목적 및 방법을 기술하였다. 제 2 장에서는 공공서비스의 정의 및 신용보증제도의 개관에 대해서 알아 보고 지역신용보증재단 및 강원신용보증재단의 현황에 대해서 언급 하였으며, 생존분석 이론 및 선행연구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제 3 장에서는 실증연구로 생존분석을 통해 전체기업, 지점별, 업종별, 상환 유형별, 기업규모별, 대표자 성별, 연대보증인 입보 유형별, 특례보증 유형별, 부분보증 유형별, 보증금액별, 대표자 연령별 생존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 4 장에서는 본 연구의 요약과 미쳐 다루지 못한 문제들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the survival analysis technique to examine the estimate the survival functions of businesses which had received guarantees from the Gangwon Credit Guarantee Foundation (GCGF) and to suggest methods for improvement. To this end, 34,365 small businesses and small enterprises that had received guarantees from GCGF were chosen; however, 29,639 among those were censored, leaving 4,526 to be used in this study. To attai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non-parametric life table method was chosen from among survival analysis methods, and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and methods of the study are described. In the second chapter, the definition of public services and an overview of the credit guarantee system are examined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credit guarantee systems and the Gangwon Credit Guarantee Foundation are discussed. The survival analysis theory and previous studies using it are also examined. In the third chapter, survival analysis to prove the thesis was implemented based on all businesses, by location, by type of business, by form of repayment, by form of business, by gender of CEO, by form of joint liability, by form of special guarantee, by form of partial guarantee, by amount of guarantee, and by age of CEO. Finally, in the fourth chapter, research is summarized and problems unable to be solved within this study are discussed.

      • 생존분석모형을 이용한 의료기관 입원환자의 생존기간 및 재원일수 결정요인 분석

        장해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우리나라의 응급의료체계는 응급환자가 발생할 경우, 병원 전 단계로 현장 처치 및 이송 중 처치를 실시하며, 병원 단계에서 응급실 진료 후 입원진료를 실시한다. 이에 따라 응급환자 관리 관점에서 응급실에서 어떠한 조건을 가진 사람의 사망률이 높은 것인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응급실 경유 입원 환자와 일반 입원 환자의 사망률에 대한 결정요인을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다. 한편, 최근 의료보험환자의 증가와 인구 고령화에 따른 진료비의 증가 등으로 입원 환자 재원일수의 합리적 관리는 병원 및 환자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 따라서 재원일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재원일수를 합리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생존기간 또는 재원일수 결정요인을 조사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다중회귀분석 또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다중회귀분석은 선형성, 독립성, 등분산성, 정규성, 다중 공선성의 부재 등의 기본 가정을 만족시켜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은 로짓의 선형성, 오차항이 독립성, 다중 공선성의 부재 등을 만족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의료데이터는 중도절단된 특징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생존시간 또는 재원시간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다중회귀분석은 이러한 특징들을 반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입원환자와 응급실 경유 입원환자의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입원환자의 재원일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생존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한 2016년부터 2019년까지의 총 4개년도에 대한 표본 코호트 DB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표본 코호트 DB는 국민건강정보DB를 기반으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범위 내에서 연구용으로 공개하기 위하여 2013년 1월에 구축된 자료를 의미한다. 데이터 전처리를 한 후 카플란 마이어 생존 추정을 통해 사회인구학적 특성, 환자별 특성, 검진기록별 특성, 의료기관별 특성 요인에 따라 생존 확률 및 재원확률을 추정하였다. 그러나 카플란 마이어 생존 추정은 분석하고자 하는 요인을 제외하고 다른 요인들을 통제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다른 변수의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콕스 비례 위험 모형을 통해 계량경제학적 추정에 의해 검증하였다. 이러한 카플란 마이어 생존 분석과 콕스 비례 위험 모형은 데이터 분포에 대한 가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의료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존기간 및 재원일수의 결정요인을 조사하는데 적합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건강보험공단의 코호트DB를 사용하여 400만 건 이상의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존분석을 통해 일반 입원환자와 응급실 경유 입원환자의 생존기간의 결정요인을 비교 분석하고 입원환자의 재원일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을 처음으로 시도한 연구이다. 둘째, 카플란 마이어 생존 분석과 콕스 비례 위험 모형을 통해 일반 입원환자와 응급실 경유 입원환자의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입원환자의 입원시간에 따라 한정된 의료자원의 효율적으로 배분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카플란 마이어 생존 분석과 콕스 비례 위험 모형을 통해 입원환자의 재원일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기존의 다중회귀분석 또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재원일수의 결정요인을 분석한 연구와 본 연구의 결과는 일치하는 부분이 있지만, 병상 수에 따른 병원 유형 등에 있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분석결과와는 별개로 생존분석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재원일수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표현 가능하므로 향후 의료정책을 수립할 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s a part of South Korean Emergency Medical Services System (EMSS) protocol, an emergency patient is treated onsite or during transfer to the hospital in the pre-hospital stage, while the next stage involves providing emergency room treatment followed by inpatient treatment. From an emergency patient management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high mortality rate of certain conditions in the emergency room,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 mortality rate of patients admitted via the emergency room and general hospitalized patients. In fact, an efficient management of inpatients’ length of stay benefit both hospitals and patients along with an increase in medically insured patients, as well as medical expenses due to aging population. The study therefore aim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determinants affecting length of stay for effectively manage length of stay. Many previ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determinants of survival period or length of sta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Howev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s the disadvantage of satisfying basic assumptions such as linearity, independence, equal variance, normality, and absence of multicollinearity. Meanwhile, the disadvantage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s satisfying the linearity of the logit, the independence of the error term, and the absence of multicollinearity.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not reflecting the censored characteristics of medical data regardless of the significance of survival period and length of stay. This study performed survival analysis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survival period between general inpatients and emergency room inpatients, as well as their length of stay.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the sample cohort DB for a total of four years from 2016 to 2019 provid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o conduct survival analysis. The sample cohort DB refers to data constructed in January 2013 to be disclosed for research within the scope of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Information DB. After data preprocessing, we used the Kaplan-Meier survival method to estimate survival and rehospitalization probabiliti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each patient, characteristics of each examination record, and characteristics of each medical institution. However, the limitation of the Kaplan-Meier survival method is the inability to control other variables except for the variable to be analyzed. We therefore used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to control the influence of other variables under econometric assumptions. Since both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and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do not require data variability assumptions, they are suitable for investigating determinants of survival period and length of stay using medical data.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is pioneering research comparing and analyzing determinants of the survival period of general inpatients and inpatients admitted via the emergency room through survival analysis using more than 4 million big data from the cohort DB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as well as their length of stay. We also compared determinants affecting the survival period of general inpatients and emergency room inpatients through Kaplan Meier survival analysis and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As a result, we expect hospitals to develop their own plan to distribute limited medical resources according to the given length of stay in an efficient manner. Finally, through the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and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affecting length of stay.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ose of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length of stay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sisten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hospitals as of the number of beds. Besides the analysis results, survival analysis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establishing future medical policies due to its ability to visually represent the change in length of stay over time. Keywords: Survival Analysis, Kaplan Meier Estimation,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S Sample Cohort DB, Survival Period, Mortality Rate, Length of Stay in Hospital, Discharge Probability. Medical Data.

      • 생존성을 고려한 함정 공간배치에 관한 연구

        신정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함정의 생존성은 함정이 전투환경에서 임무를 완수하고 생존하여 귀환하는데 필수적인 사항으로 함정의 전투력을 유지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또한, 단위 함정의 생존성은 전쟁의 승패를 좌우할 수도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설계 초기단계에서부터 함정 생존성 향상을 고려한 설계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함정 자체로서 부대의 개념을 갖는 함정의 특성과 일반 무기체계보다 더욱 복잡하고 정밀한 특성을 들 수 있다. 함정은 제한된 공간 내부에 전투, 거주, 정비 등 다양한 목적을 지닌 장비를 배치하여 최적의 성능을 발휘해야 하므로, 체계적인 공간배치 방법론이 필요하지만, 함정 내부 공간 배치를 위한 프로세스와 방법론이 정립되어 있지 않으며, 다양한 체계들이 각각 다양한 목적을 지니고 복잡하게 얽혀있는 특성으로 인하여 설계 초기단계부터 생존성을 고려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함정 내부 공간배치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국내외 주요 일반배치 방법론을 조사하고 국내 실적함정의 일반배치 보고서를 분석하여 새로운 일반배치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SLP(Systematic Layout Planning) 방법을 이용하여, 격실간의 관계를 활용한 공간배치 방법과 이를 통한 공간배치 대안 생성 방법을 제시하였다. SLP 방법을 통해 격실배치 대안이 생성되면 다양한 배치 대안들 중에 생존성이 가장 우수한 배치 대안을 선정하는 방법으로 격실별 취약성을 정량화하고 이를 이용한 배치 대안의 생존성 계산 방법을 제시하여, 장비의 세부 위치가 결정되지 않은 설계초기단계에서부터 함정의 배치 대안에 대해 생존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일반배치 프로세스 및 SLP 방법을 활용한 격실 배치 방안을 가상의 함정에 적용하여 배치 대안을 생성하였으며, 생성된 배치 대안들에 대해 생존성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생존성 측면에서 최적의 배치 대안을 생성하였다. Survivability of a naval ship is essential performance element to complete a mission and to survive in a combat environment. Furthermore, i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ould influence the outcome of a war.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sider improving survivability of a naval ship in the early stages of design. It i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val ships: a naval ship, per se, is considered to be a troop, and it is a more complicated and sophisticated weapon system then general weapon systems. In a naval ship, equipment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battle, residence, and repairing, that is intricately inter-related, needs to be arranged so that the performance of the ship is maximized. Thus, a systematic methodology is needed for the spatial arrangement. However, a process and methodology for the spatial arrangement of a naval ship has not been well establish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onsider survivability in the early stages of design. In this stud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patial arrangement of naval ships, methodologies for general arrangement are investigated for both domestic and overseas ones, and the general arrangement report for the existing naval ships have been analyzes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a new process for the general arrangement is proposed. Furthermore, a new method of spatial arrangement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rtments and of generating alternatives is suggested using the Systematic Layout Planning (SLP) method. Once the alternatives of spatial arrangement are generated by the SLP method, vulnerability of each compartment is quantified, and then a method of calculating survivability of each alternative is proposed based on the quantified vulnerability to choose the best arrangement among the alternatives.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onsider survivability from the early stages of design in which the detailed location of equipment is not yet determined. The proposed general arrangement process and the compartments arrangement using SLP are applied to an imaginary ship and the alternatives are generated. Then, the alternatives are assessed by the quantified survivability and the best alternative is chosen by the survivability.

      • 성분작전 별 함정 생존성 강화방안 조사ㆍ연구

        김현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첨단 과학기술의 발전은 자동화·정보화를 통해 인류에게 안락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현대 전쟁 양상의 변화에 커다란 역할을 담당하였다. 효과도(Effectiveness)가 큰 위협적인 무기로 인해 함정이 감당해야 할 치명도 및 손상 정도가 과거의 전쟁 양상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증폭되었으며. 단 한 발의 피격으로 함정 임무를 수행할 수 없을 정도의 손상을 가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인해, 현대전에서는 더 이상 병력 및 무기체계의 수적인 우세 확보하였다고 해서 전장에서의 승리를 장담할 수 없게 되었다. Exocet 미사일 피격 등 위협적인 적 공격으로 인해 다수 함정의 전투손상을 경험한 미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이러한 전장양상을 사전에 감시하여 연구하고 발전시키고 있었다. 냉전체제의 붕괴와 국방비 절감의 요구로 인해 함정의 운용 인력 및 보유척수를 감소하는 방안이 요구되어 적은 척수로도 임무수행이 가능토록 자동화되었으며 기존의 함정 대비 임무능력이 한층 더 강화되는 추세로 설계하고 있다. 국내의 함정 건조사업의 흐름을 살펴보면 70년대 이전 미국함정을 군원으로 대여하여 운용한 군원 의존기, 70년대 고속정을 국내 첫 건조한 태동기, 80년대 중·소형 전투함을 건조한 성장기, 90년대 대형 전투함 국내 설계·건조한 정착기, 2000년대 전 소요함정을 국내 설계한 도약기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하여 현재에 이르러서는 총 58종 751척의 함정을 국내에서 설계·건조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했다. 현재 대한민국 해군의 수상함과 잠수함의 선체와 탑재무장 기술력은 선진국 수준에 근접하여 함정의 국내 설계 및 건조는 가능하지만 함정에 소요되는 스텔스, 적외선 신호 등 생존성을 위한 전문기술은 다소 미흡하여 이에 대한 국내 산·학·연의 협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함정생존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레이더반사단면적(RCS), 적외선 신호(IR), 수중방사소음(URN), 자기신호(Magnetic), 방진·방음(Vibration·Noise) 등의 피탐신호 감소, 수중폭발(Underwater Explosion), 충격(Shock)(내충격 포함) 성능향상을 통한 취약성 감소, 소화 및 방수 등의 손상통제를 통한 회복성 향상 등 다양한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함정의 생존성은 일반적으로 피격성(Susceptibility), 취약성(Vulnerability), 회복성(Recoverability)으로 구성된 세 가지의 확률적 지표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표현하며. 생존성이란 적의 위협적인 공격을 무시하고 함정 본연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즉, 적의 위협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결국, 생존성이 높은 함정이란 전투시스템 및 전투원의 생존을 보장하고 위협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생존성 제반 기반기술을 보유한 함정을 말한다. 국내에서도 함정 생존성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함정 생존성 설계의 필요성과 생존성 관련 국내 기술 현황 및 발전방향, 생존성 향상을 위한 위험기반 접근법의 활용방안,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반 함정생존성 향상 연구 등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함정 생존성 향상을 위한 통합적 방법론을 위한 분석에 필요한 기본 개념 및 이론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함정 생존성 강화방안 조사·연구의 필요성을 토대로 함정 생존성의 정의 및 개념을 정의 및 식별하는 것을 서두로 하여 생존성 기존의 생존성 연구방법과 달리 실제 현재 해군이 수행하고 있는 성분작전 별 생존성 강화 방안에 대하여 조사·연구하였다. 각 성분작전 별 적의 무기체계에 대해 생존성을 보유하기 위한 대응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미 해군의 생존성 강화방안 설계지침 검토을 통해 국내 함정 획득절차 상 생존성을 고려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조사·연구한 함정 생존성 방안은 적의 무기체계를 중점으로 하여 우리 해군이 주로 보유한 무기체계를 대상으로 그 대응 방안을 모색하였으므로, 특정 함정에 대한 생존성 강화 방안은 위 연구를 토대로 해당 함정이 수행하는 임무 또는 운용개념에 따라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아직은 함정 생존성 강화를 위한 국내 원천 기술이 미흡하고 함정 획득사업 절차 상 생존성을 고려할 수 있는 절차가 미정립되어 있기 때문에 생존성이 강화된 함정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설계단계 이전의 소요기획 단계에서부터 후속함 양산 단계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친 관련 기관들의 협조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