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암생존자의 암검진 미수검 관련 요인 연구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5기 조사(2007년-2012년)를 중심으로
양송이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암 발생율과 암 생존율이 증가하면서 현재 암치료를 받고 있거나 암치료 후 생존해 있는 암생존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암생존자는 일반인과 비교하여 새로운 암이 발생할 위험이 높으며, 암생존자의 이차암 발생은 사망률 증가와 연관되어 조기에 이차암을 발견하여 완치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 암생존자의 암검진율은 외국과 비교 저조한 실정이며, 암생존자의 암검진 수검 관련 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암생존자의 암검진 미수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암생존자의 이차암 검진 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암생존자의 건강관리에 대한 합리적인 보건의료정책을 수립하기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제4기(2007-2009), 제5기(2010-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건강설문조사에 응하였던 만 19세 이상인 35,882명 중 암을 진단받은 적이 있다고 답한 1,12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암검진 수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변수를 설정한 후 기술분석과 Rao-scott chi-square 검정, Survey logistic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통계분석에는 SAS ver. 9.2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1,125명 암생존자 중 최근 2년 간 암검진 미수검자는 377명으로 전체 대상자의 33.5%이었다. 암검진 수검여부에 대한 사회 경제적요인과 건강행태요인을 Rao-scott chi-square 검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남성인 경우, 만19-36세, 만 64세 이상 연령층, 배우자가 없는 경우, 교육수준이 낮은 경우, 소득수준이 낮은 경우, 민간보험이 없는 경우의 암검진 미수검률이 높았다. 그리고 음주 고위험자와 현재흡연자, 일상 활동 제한이 있는 경우와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경우의 암검진 미수검률이 높았다. Survey logistic regression 결과, 남성에 비해 여성의 암검진 미수검 교차비가 0.339였고, 19-36세 비교 50-63세 교차비는 0.183, 64세 이상은 0.247, 37-49세는 0.327이였으며. 배우자가 있는 경우에 비해 배우자가 없는 경우 암검진 미수검 교차비는 1.532였다. 초졸 비교 고졸의 미수검 교차비는 0.585, 대졸이상은 0.518이었으며, 가구균등화 월 소득은 83만원 이하 그룹과 비교 146-225만원 그룹의 교차비가 0.430이었다. 비음주자와 비교해 음주 중간위험 그룹의 암검진 미수검 교차비는 0.482이었다. 이 연구는 암생존자만을 대상으로 그들의 사회경제적요인과 건강행태요인을 광범위하게 보정하여 분석한 첫 연구이다. 특히 만 19세 이상의 암생존자들의 암검진 미수검 현황을 포함하였고, 최근 6개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통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암생존자들에게 건강행태변수보다는 성, 연령, 결혼상태, 교육, 소득수준 등 사회경제적요인이 암검진 미수검에 관련이 있음을 처음으로 밝혔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암생존자를 위한 이차암 검진 프로그램 개발 시 미수검률이 높은 남성, 40세 이하와 64세 이상의 연령, 배우자가 없고, 교육수준이 낮은 암생존자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며, 소득수준이 낮은 경우 암검진 미수검율이 높은 이유를 밝혀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암생존자의 이차암 검진 미수검율을 낮추기 위한 정책 수립시 건강행태요인보다 사회경제적요인에 관련성이 있음을 인식하여 정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The sinking of the Sewol in 2014 has resulted in widespread social interests and awareness of water accident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look into the current state of water accidents in Japan where has the most systematic water safety rules. Moreover, this research is to compare with Korean water safety and clarify the water safety distinction between Korean and Japa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is research compares the survival swimming training courses in each country based on this current conditions of the water accident. This research suggests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water accident analysis methods and presents fundamental data and proper recognition of water accident to develop the survival swimming process. For this purpose, research has four research questions. 1) Does it have any differences in analysis standard of water accidents states between Korea and Japan? If yes, what does it have? 2) Does it have any differences in constitution system of survival swimming training program between Korea and Japan? If yes, what does it have? 3) Does it have any differences in instructional contents of survival swimming training per each program between Korea and Japan? If yes, what does it have? 4) What is the specific developmental plans for the survival swimming training according to the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These research questions were considered and chosen based on the documents which was reported in Korea and Japan and participant observation survey of survival swimming training program.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Research shows the differences in water accident situation analysis standard between Korea and Japan according to the place and causes. Japan has determined the water accident situation by considering some details before the accidents. They grasped the situation based on the analysis standard systematically. 2) Research shows that Korea and Japan have different survival swimming training textbook units. Both of them have interpreted essential movements and practical skills elements in survival swimming training in different sight. For instance, survival swimming training in Korea concentrates how to float and move safely. On the other hand, survival swimming training in Japan concentrates on how to float. Practical skill elements in Korea and Japan show difference in teaching method, such as how to enter the water, swimming style and saving technique. 3)Research suggests that current situation of water accident needs to be analyzed systematically by considering drowner movements and situation. Moreover, survival swimming curriculums should be introduced and developed for saving drowners who wear clothes in the accident. In conclusion, it needs to be checked for the current states of water accident in Korea through the high utilization statistics which is based on practical criteria for water safety environments. The exact statistics will be used to promote the efficient survival swimming training development and adoption and also it will be helpful for Korea to be the most powerful water safety country. 2014년 세월호 침몰 사건으로 인해 사회 전반에 범국민적인 수난사고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수상안전 강대국인 일본의 수난사고 현황에 대한 다각적인 비교 분석을 통한 차이점을 알고, 현황 분석에 근거한 각국의 대표적인 생존수영 교육을 비교하고자 한다. 양국의 생존수영 교육은 담당하고 있는 기관 및 단체의 프로그램을 선정하였으며, 단원 구성 체제 및 내용에 대한 비교 분석으로 구체적인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앞으로 우리나라 수난사고 통계 및 교육 과정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수난사고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생존수영교육의 개선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하여 우리나라와 일본 내에서 보고되고 있는 수난사고 통계 자료와 대표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생존수영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관찰 조사 및 문서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우리나라와 일본의 수난사고 실태 및 분석 기준 둘째, 우리나라와 일본의 생존수영 교육의 단원 구성 셋째, 우리나라와 일본의 생존수영 교육 내용 넷째, 한국과 일본의 비교에 따른 한국 생존수영의 지향점 이상의 연구 문제에 따른 비교와 분석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우리나라와 일본은 정부기관에 의해 정기적으로 수난사고 발생 및 사망자 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양국의 수난사고 현황은 대상 범주와 분석 방법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난사고 현황 범주의 차이점으로 우리나라는 수난 사고를 해수면과 내수면으로 구분하여 물놀이 안전사고와 선박에 의한 인명피해로 한정하여 분석하는 반면 일본은 물에 의한 사고를 수난사고로 총칭하여 현황 범주를 넓게 적용하여 분석하고 있었다. 양국은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다각적인 분석 방법을 적용한 구체적인 현황을 발표하고 있었다. 분석 방법을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물놀이 사고의 인명피해, 장소별, 연령별, 시기별, 시간별, 원인별로 구분하였고 일본은 수난사고 발생 건수와 사망자, 행방불명자수의 추이, 수난사고 발생 장소, 수난사고 발생 시 하고 있던 활동 구성비, 연령별 사고로 구분하였으며, 해양에서의 수영 중 또는 낚시 중의 사고를 사고원인별, 사고내용별, 연령별로 구분한 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비교 결과, 가장 눈에 띄는 차이점은 수난에 대한 범주와 사고원인 및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분석 방법이라 사료된다. 둘째, 우리나라와 일본의 생존수영교육은 각각의 수난사고 실태 및 분석에 근거한 단원 구성 체제와 착의 여부를 상이하게 해석하고 있었으며 단원 내용 면에서도 중점적으로 다루는 동작의 차이와 실기요소에 차이가 있었다. 우리나라는 물놀이 장소의 사고로 한정한 생존교육을 시행하고 있었으며 단원 구성 체제는 발차기와 호흡법 익히기를 통한 물과 친해지기, 자유형 익히기를 통한 이동 연습, 구명조끼 바르게 착용하기와 안전한 입수하여 뜨기, 구명조끼 없을 때 대처 방법으로 물건 및 옷으로 부력 만들기, 기본구조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었다. 착의한 상태의 입수 상황은 별도로 교육하지 않고 있었으며 입고 있던 옷을 벗어 부이를 만드는 법을 교육하고 있었다. 단원 중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는 실기는 기초수영 및 구명조끼 입고 뜨기 및 이동으로 수면 이동에 주력하는 연습이었다. 일본은 수난 사고 현황의 사고원인 및 내용을 고려한 단원 체제로서 착의 상태에서의 유용한 생존영법을 집중적으로 교육하고 있었으며, 단원 구성은 입수 및 전락, 웨이딩, 잠수, 등뜨기, 몸뜨기, 이동, 복합연습, 유수에서의 실기, 구조, 해양실기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었다.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는 실기는 누워 몸뜨기 동작이었다. 단원의 실기요소 차이점은 전락, 유수에서의 실기, 복합연습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의 내용적인 면에서는 착의 상태의 실기요소를 전제 하는 것에서 가장 큰 차이가 있었으며, 그 밖에 구체적인 실기 내용은 입수, 이동 영법, 구조기술에서 동작별 취지 및 연습 방법의 차이가 있었다. 넷째, 이상의 비교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수난에 대한 범국민적 인식을 고취시키고 사고 발생과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 수난 사고 현황의 대상 범주의 확대와 익수자의 활동 상태 및 사고내용에 대한 분석 방법을 통해 보다 실제적인 교육을 전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물놀이 장소에서의 익수자뿐만 아니라 그 밖에 수변활동으로 통행 중 실족에 의한, 낚시 등의 어업활동 중 갑작스런 전락에 의한 착의 상태의 익수자를 위한 생존수영교육으로 착의에 유용한 실기 훈련 교육과정을 도입하여야 한다. 종합해보면, 안전한 수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보다 실제적인 분석 기준에 의한 활용도 높은 통계를 통해 수난 사고에 대한 현 시점에 대한 파악이 최우선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효과적인 통계 정보는 전문적인 생존 수영교육의 개발 및 도입에 핵심 근거가 되며 결과적으로 수상안전 강대국의 자리에 오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함정의 생존성 향상을 위한 스텔스 함형 설계 시스템 개발
A survivability of naval ship is defined as its ability to evade or withstand a hostile environment while performing a given mission. Stealth technology, which reduces the probability of being detected by enemy detection equipment with the development of a highly advanced detection syste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survivability of naval ships. Radar cross section (RCS) reduction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stealth technology, because the smaller RCS, which is the main parameter of susceptibility, making them better able to evade enemy detection equipment. Also, During naval warfare, if the armed space of a naval ship is exposed to the enemy, even a single shot can damage the combat system.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inimize damage to the armed space of naval ships and improve survivability. In this study, an automated topology design for improving susceptibility was developed by combining the geometric deep learning and the topology optimization. Also, a system was implemented to automate the ship compartment layout design process considering survivability and to derive the optimal compartment layout. A 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model was used as the geometric deep learning model, and the triangle mesh of the naval ship models and equipment models were set as datasets.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training data, randomly generated meshes were additionally used as datasets. In order to express the feature data of the mesh as a matrix, points at equal intervals were projected orthogonally and the distance between plane and the point was set as a matrix value. The label data was defined as the highest RCS value excluding the cardinal points. After performing the topology design improving susceptibility using the developed system, verification was performed through RCS analysis of the original model and the topology designed model. The survivability of a compartment can be calculated using the susceptibility distribution obtained using the axis-aligned bounding box (AABB) model and damage ellipsoid volume. In addition, the line distribution space division (LDSD) method was developed to extract the AABB model from the analysis model. The internal space susceptibility was derived from the susceptibility distribution obtained using the AABB model and the damage ellipsoid volume. A genetic algorithm (GA) was used to derive an optimal compartment layout considering survivability.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survivability according to the compartment layout, optimal and worst compartment layout analysis was performed. 함정의 생존성은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면서 적대적인 환경을 회피하거나 견딜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고도로 발전된 탐지시스템의 개발로 적 탐지장비에 탐지될 확률을 줄이는 스텔스 기술은 함정의 생존성을 높이는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피격성의 주요 매개변수인 레이다반사면(Radar Cross Section, RCS)이 작을수록 아함이 적 탐지 장비에 의한 피탐 확률을 줄일 수 있어 레이다반사면적은 스텔스 설계 기술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해전 중 함정의 무장공간이 적에게 노출되면 단 한 발의 사격으로도 전투 시스템에 손상을 입어 함정의 생존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함정의 피격성을 줄이는 스텔스 함형 설계와 무장공간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여 생존성을 높이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스텔스 함형설계를 위한 레이다반사면적 해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기존 레이다반사면적 해석 시스템의 경우 전체 형상에 대한 레이다반사면적 해석만 가능하여 높은 레이다반사면적을 나타내는 영역의 특정이 어렵다. 또한, 레이다반사면적 기여도 분포 해석의 경우 요소의 크기에 따라 기여도 분석에 차이가 발생하여 정확한 기여도 분포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기존 시스템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해석 모델의 영역을 구분하여 레이다반사면적 특성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높은 레이다반사면적을 나타내는 형상을 특정하여 형상설계가 가능하도록 하였고, 기여도 분석 모델 생성을 통한 기여도 분포 해석 시스템을 구축하여 짧은 해석시간에 정밀한 기여도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함정 외부탑재장비에서 발생하는 다중반사와 레이다반사면적을 최소화하는 외부탑재장비 레이다반사면적 특성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함정의 생존성능은 전투환경에 임무를 수행하고 생존할 수 있는 능력으로 외부 형상의 스텔스 함형 설계를 통하여 함정의 생존성 향상이 가능하다. 하지만 기존 생존성 설계변수는 피격사례, 전문가의 의견 등 경험적 지식에 의존하여 정의할 수 있다. 경험적 지식에 의한 스텔스 설계의 경우 설계자의 숙련도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전문가의 의견, 설계자의 경험적 지식 없이 최적설계를 수행하기 위해 기계학습과 요소의 위상 설계를 결합하여 피격성을 향상시키는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피격성 최적화를 위한 기계학습 모델은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모델을 사용하였다. 합성곱 신경망의 학습 데이터는 함정 모델의 요소로 설정하였고, 학습 데이터의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 무작위로 생성된 요소를 학습 데이터에 추가 하였다. 요소의 특성 데이터를 행렬로 표현하기 위해 등간격의 점들을 직교 투영하고 평면과 점 사이의 거리를 행렬 값으로 설정하였고, 레이블 데이터는 방위각에서 희생각를 제외한 영역의 가장 높은 RCS 값으로 정의하였다. 학습된 합성곱 신경망으로 도출한 함형의 피격성 분포를 통하여 높은 피격성을 나타내는 요소를 도출하여 요소의 위상 설계를 통하여 피격성 감소 설계를 수행하였고, RCS 해석을 통하여 검증을 수행하였다. 함형의 피격성이 높은 영역에 취약성이 높은 격실이 배치될 경우 생존성에 영향을 미친다. 함형의 피격성을 이용하여 생존성을 고려한 격실 배치 설계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최적의 격실 배치를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내부공간을 모델링 하기위해 함정 모델 내부의 기하학적 형상을 Box로 모델링하는 AABB 모델의 추출이 필요하다. 다양한 형상의 함정에 대하여 빠르게 AABB 모델을 추출하기 위해 LDSD(Line Distribution Space Division) 방법을 개발하였다. 함형 내부공간의 피격성은 함형의 피격성 분포, AABB(Axis Aligned Bounding Box) 모델 그리고 손상 유발 체적을 사용하여 도출하였다. 생존성을 고려한 최적의 격실 배치를 도출하기 위해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GA)이 사용하여 최적배치를 도출하였다. 격실 배치에 따른 생존성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최적 격실 배치와 최악 격실 배치의 분석을 통하여 피격성을 고려한 최적배치로 생존성 향상 효과를 분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turn-to-work status of long-term survivors of stomach cancer and to investigate the need for them to resume work in order to establish fundamental data for institutional cancer policy develop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135 long-term stomach cancer survivors who followed-up in A hospital in Seoul, Korea. The error,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22.0 program. Detai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84 of the subjects were male (62.2%) and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59.87. 117 of the subjects (86.7%) were married and 55 (40.8%) held a community college or higher degree. The most frequent range of monthly income was less than 2 million won wherein 35 subjects (25.9%) was included, while 90 subjects (67.2%) experienced a decrease in monthly income after they were diagnosed with cancer. Work experience of more than 16 years was most common with 109 subjects (80.8%). 2. Laparoscopic surgery was performed in 76 patients (56.3%), and 128 patients (94.9%) did not receive adjuvant treatment following surgery. 112 patients (83.6%) had early gastric cancer, and 93 patients (68.9%) had concurrent disease. Patients at 5 to 9 years postoperative were most common (108, 80%). 3. 114 (84.5%) returned to work following the cancer diagnosis whereas 21 (15.5%) did not. After treatment, 57 (50.9%) patients returned to the workplace after 1 month, while 34 (30.4%) after 5 to 6 months. 94 (84.7%) had been employed at another workplace upon returning to work after the cancer treatment. 4. The rationale for unemployment and leave at the point of cancer diagnosis was deterioration of physical ability for 102 (76.3%), while the most frequent type of unemployment and leave was sick leave (102, 75.6%). 5. 117 subjects (89.3%) considered the medical staff not interested in their returning to work. Also 125 (94%) subjects stated that they did not receive counseling from the medical staff regarding returning to work. As to what occupation is most adequate for return-to-work counseling, 69 (51.1%) answered physicians, 39 (28.9%) considered professional reinstatement counselors, and 12 (8.9%) considered nurses. 6. On the cancer survivors' need to return to work, 55 (42.7%) answered that the policies for patients’ returning to work need to be developed while 26 (20.1%) answered that the cooperation of employers is necessary. 14 (10.9%) answered that there is a need for change in the sociocultural perception towards cancer patients, 19 (14.7%) the need for reinstatement administration service (flexible working hours), and 8 (6.2%) the need for reinstatement counseling service while 7 (5.4%) answered that reinstatement training and rehabilitation services are necessary. This study showed that 84.5% of long-term stomach cancer survivors returned to work. The findings will serve as a source data for understanding the actual state of long-term stomach cancer survivors who have returned to work. It is hoped that such data can help alleviate the negative perception towards cancer patients about their ability to return to corporate life. Also, based on the result that 42.7% of cancer survivors believe that national policies regarding cancer patients’ returning to work must be established, development of these policies is necessary. 94.1% of the cancer survivors answered that they have not received any counseling regarding about returning to work. It is considered that return-to-work counseling by medical staff should be developed as it may affect the chances for reinstatement of cancer patients. 본 연구는 위암 장기 생존자의 직장 복귀 실태를 파악하고, 직장 복귀 관련 요구도에 대해 조사하여 제도적 암 정책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A 병원에서 추후 관리 받는 위암 장기 생존자 135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 편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남성은 84명(62.2%)이였고, 평균연령은 59.87세로 나타났다. 결혼 상태는 117명(86.7%)이 기혼자였고, 교육 정도는 전문 대학 졸업 이상이 55명(40.8%)이였다. 월 수입은 101만원에서 200만원 이하가 35명(25.9%)으로 많았으며, 암 진단 후 가정의 월 소득 감소가 90명(67.2%)이 있다고 하였다. 직장 경력은 16년 이상이 109명(80.8%)으로 가장 많았다. 둘째, 대상자의 암 수술 종류에 있어서는 복강경 수술이 76명(56.3%)으로 많았으며, 수술 후 보조 치료를 받지 않은 대상자가 128명(94.9%)이였다. 조기 위암이 112명(83.6%)이였으며, 동반 질환이 93명(68.9%)이 있다고 하였다. 수술 후 5년에서 9년이 경과 된 대상자가 108명(80.0%)으로 가장 많았다. 셋째, 암 진단 이후 직장 복귀자는 114명(84.5%)였으며, 직장 미 복귀자는 21명(15.5%)이였다. 치료 후 대상자의 직장 복귀 시기는 1개월후가 57명(50.9%)이였고, 5주에서 6개월후가 34명(30.4%)으로 나타났다. 위암 치료 후 직장 복귀 시 다른 직장으로 취직한 경우가 94명(84.7%)으로 나타났다. 넷째, 암 진단 시 실직 및 휴직의 사유는 신체 기능 저하가 102명(76.3%)으로 가장 높았으며, 암 진단 시 실직 및 휴직의 종류는 질병 휴직이 102명(75.6%)이 가장 높았다. 다섯째, 대상자는 의료진이 암 생존자의 직장 복귀에 대한 관심이 없다라고 117명(89.3%)이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의료진이 암 생존자의 직장 복귀에 대해 125명(94%)이 상담 해준 적이 없다라고 하였다. 암 생존자의 직장 복귀와 관련한 상담은 누가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지에 대해 의사가 69명(51.1%)이였으며, 전문 직업 복귀 상담사가 39명(28.9%)이였고, 간호사가 12명(8.9%)의 순으로 높았다. 여섯째, 대상자의 암 생존자의 직장 복귀 관련 요구도에서 55명(42.7%)이 직장 복귀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라고 했으며, 26명(20.1%)이 고용주 협조가 필요하다고 했다. 14명(10.9%)이 암환자의 편견에 대한 사회 문화적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하였고, 19명(14.7%)이 직장 복귀 행정 서비스(유연한 근로시간제도), 8명(6.2%)이 직장 복귀 상담서비스, 7명(5.4%)이 직업 복귀 훈련 및 재활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위암 장기 생존자들의 84.5%가 직장 복귀를 한 것으로 파악 되었다. 이를 통해 높은 직장 복귀를 이루고 있는 위암 장기 생존자의 현 실태를 파악하고, 직장 생활 하기 어렵다는 암 생존자에 직장 복귀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근거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 된다. 또한 암 생존자에게 직장 복귀 관련 국가 정책을 마련이 42.7%가 필요하다고 한 결과를 토대로 적절한 암 생존자의 정책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대상자는 암 생존자의 직장 복귀 상담을 94.1%가 받은 적이 없었다. 의료진의 직장 복귀 관련 상담은 암 생존자의 직장 복귀에 영향을 미치므로 시급한 직장 복귀 상담이 필요하다고 고려 된다.
김지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생존수영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3학년 생존수영교육에 대한 수영지도자와 담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3학년 생존수영교육에 대한 수영지도자와 담임교사가 생각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학교 3학년 생존수영교육에 대한 수영지도자와 담임교사가 생각하는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에서 사용되는 비확률표집 중 하나인 유목적 표집을 활용하여 D광역시에 근무하는 생존수영교육 지도자 4명, 초등 담임교사 2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 선행논문 등을 활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텍스트 분석(textual analysis)과 의미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혼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존수영교육의 인식을 나타내는 핵심단어는 ‘안전’, ‘사고’, ‘필요성’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생존수영교육은 학생들의 안전과 사고를 대비해 수영 기능 보다는 안전교육의 목적으로 실시한다고 나타났으며 공교육에서 수영교육은 당연히 배워야함을 강조하였으며 필요성 여부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둘째, 생존수영교육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핵심단어는 ‘안전’, ‘안전교육’, ‘수영장’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은 생존수영을 안전교육이라 강조하였다. 하지만 학교 내부에 수영장이 없기 때문에 학교 외부로 이동하면서 오히려, 학생들이 주변 안전사고 위험에 많이 노출되고 있었으며 체계적인 안전교육이라는 실질적 교육목표에 도달하기는 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생존수영교육은 제도적 문제, 지도역량 부족, 생존수영 프로그램 부재로 나타났다. 셋째, 생존수영교육 개선방안을 나타내는 핵심단어는 ‘교육청’, ‘담임교사’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제도적 개선, 지도역량 강화, 생존수영 프로그램 개발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uce the problem of the survival swimming education for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its remedy. The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awareness of the swimming instructors and homeroom teachers regarding the survival swimming education for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Second, what is the problem of the survival swimming education for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ird, what is the remedy of the survival swimming education for the 3rdgradeofelementaryschool? 4 survival swimming education teachers and 2 elementary homeroom teachers working in D Megalopolis were selected as the study participants by means of the purposeful sampling, one of the nonprobability samplings which were used in the qualitative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the in-depth interview and the precedent thesis, and the result was drawn from the collected data by mixing the textual analysis and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the keywords representing the awareness of the survival swimming education were ‘safety’, ‘accident’, and necessity’. It was revealed that the survival swimming education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the safety education rather than the swimming function in readiness for the accident students might face, and study participants emphasized the swimming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naturally in the public education and showed a very positive awareness for the necessity.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keywords indicating the problem of survival swimming education were ‘safety’, ‘safety education’, and ‘swimming pool’. Study participants emphasized the survival swimming was the safety education. However, since there was no swimming pool in the school, the students were exposed to the surrounding safety accident risks when they moved outside the school and it was very difficult to reach the practical education goal called the systematic safety education. Accordingly, it was revealed that the problem of the survival swimming education included the institutional problem, lack of instruction capability, and lack of the survival swimming program. Third, it was shown that the keywords indicating the remedy of the survival swimming education were ‘Education Office’ and ‘homeroom teacher’. Accordingly,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reinforcement of instruction capability, and development of the survival swimming program were adduced.
베트남 빈증성 지역 진출 한국 자회사의 누적 생존율 및 영향 요인 분석
Tran, Thi Thanh Hang 부경대학교 2018 국내박사
In recent years, Vietnam has continued to attract foreign investment and has joined the Trans-Pacific Strategic Economic Partnership (TTP) and various trade agreements. In particular, since the Korea-Vietnam FTA came into effect in 2015, both the investment and trade volume between Korea and Vietnam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Considering that overseas exits are on the rise in investment in Korea and Vietnam, the survival factors of subsidiaries need to be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of Korean subsidiaries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rate of subsidiaries through data analysis of 435 Korean subsidiaries that entered in Binh Duong Province between 2005 and 2015. The Kaplan-Meier method was chosen to perform analyses on survival rate and its affecting factors. As a result,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business survival rate by the 5 year operating subsidiaries reached 86% and the 10-year cumulative survival rate was 45 %. The result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previous studies in Korea and Vietnam.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survival factors of firms used total six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characteristics of firm(initial investment size, current size, CEO characteristics, investment typ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industrial zone vs general area). As a result, initial investment size and current size, investment typ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ubsidiarie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survival rate. But CEO’s gender and nationality was not related with the survival rate of Korean Subsidiaries in Binh Duong Province.
이재연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본 연구는 생존수영교육을 참여한 중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이슈를 대변하는 일시적인 정책이 아니라, 국민의 관심을 잘 정착시키기 위한 생존수영 연구들이 지속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 현장에 있는 학생들의 필요성과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학생 중심의 다양한 교육이 행해질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춘천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생존수영교육을 받은 1, 2, 3학년 380명을 추출 하였다.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안내하고 설문지를 배포하고 자기 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작성하도록 한 후 설문지를 회수 하였다. 이후 회수된 380부의 설문지 중 성실하지 못한 답변을 하였거나, 응답내용이 누락된 자료를 분석대상에서 제외시키고 369부를 실제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 EFA)을 실시하였고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Cronvach’s 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의 분석은 SPSS Windows ver 24.0을 이용하여 일원량분석(One-way ANOVA)과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교차분석(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생존수영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의 목적, 취지 및 필요성을 학년별로 살펴본 결과 학년이 높을수록 높은 응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3학년이 가장 목적, 취지, 필요성에 가장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존수영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학년별로 살펴본 결과, 전체 학년 모두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으나 3학년 학생들이 특히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등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배우고 싶은 내용, 홍보, 강사의 문항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생존수영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생존수영시간에 배운 활동은 뜨기가 가장 많았고 더 많이 다루었으면 하는 활동에는 영법이 가장 많았다. 영법을 선택한 학생들이 영법을 선택한 이유로는 실제상황에 가장 필요할 것이라는 응답을 가장 많이 보였다. 생존수영교육 활동 중 좀 더 자세히 배웠던 요인들을 묻는 문항을 살펴보면 ‘물에서 이동하기가’ 172명(19.4%)으로 가장 많았고 ‘착의수영’이 0명(0.0%)로 가장 적었다. 그러나 학생들이 좀 더 자세히 배웠으면 하는 요인에는 ‘물과 친해지기’가 154명(23.0%), ‘착의수영’ 114명(17.0%) 순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실제 교육받는 내용과 학생들의 받고 싶어 하는 내용과 불일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존수영을 통해 물과 관련된 체험 여부와 수상활동 참여희망여부에는 ‘없다’라는 의견이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살펴보면 생존수영교육에 참여한 중학생들의 학년별 간에는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교육을 가장 많이 받은 3학년이 중요도를 인식이 가장 높음으로써 교육을 경험이 증가할수록 생존수영교육을 통해 얻게 되는 물에 대한 두려움을 잊고 수상안전사고에 대한 예방 및 대처 능력을 길러 오랫동안 생존하는 방법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활동하게 되어 안전한 삶의 살아가는데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basic data for the survival and swimming studies for the well-established public interest, not temporary policies for representing social issues, and to identify the needs and needs of the students at the site so that various student-centered education can be conducted. To achieve this goal, 380 student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were selected from middle schools in Chuncheon, which participated in survival swimming education. The researchers visited the research site to guide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study,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and prepared it in self-administration method, and retrieved the questionnaire. Out of 380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that were not sincere or missing response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and 369 parts were used for actual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as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urvey tool and the Cronvach's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Analysis of the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Windows ver 24.0 for one-way ANOVA,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First, the purpose, meaning, and necessity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survival swimming education were found to be that higher grades gave higher responses, making the third grade the most positive about purpose, meaning, and necessity. Second, after examin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ival swimming education, it was found that all grades showed high satisfaction, but the third grad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school year, especially in the satisfaction level.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hat he wanted to learn, public relations or the instructor's questions. Third, according to the study, which looked at the perceptions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urvival swimming education, the activities most learned during survival training were the "floating from water" and the most "swimming style" for activities that students wanted to deal with more. Students who chose swimming style answered that they would need it the most in real life. According to the question asking about factors that have learned more time during survival swimming education activities, 172 (19.4 percent) or 19.4 percent) were "moving in water," and the fewest were "learn to swim while wearing clothes." However, when asked about the factors students wanted to learn more, 154 (23.0 percent) answered "familiarity with the water," followed by 114 (17.0 percent) who answered "learn to survival swimming while wearing clothes." This was found to be inconsistent with what was actually taught and what students wanted to receive. The above research shows that differences exis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ho took part in survival and swimming education, and that the third graders who participated in the most education had the highest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ducation, so that as the educational experience increased, they were able to overcome the fear of water gained through survival training and develop their ability to prevent and cope with water safety accidents for a long time, so that they played a big role in making a safe life.
여성 근로자의 경력지속 및 이탈에 관한 연구 : 여성관리자패널을 활용한 생존분석을 중심으로
강선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This study used the methodology of survival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asons for women's retention and withdrawal through the Korea Women Manager Panel. For this purpose, the method of outline and analysis of survival analysis was summarized and previous studies on the survival of female workers were explored. Also,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areer continuity and withdrawal of female workers among the factors identified through the search process were examined through Cox proportional Hazard analysis. The step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ox proportional risk analysis was conducted for all variables. Second, the variable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model was selected through the backward selection. For this purpose, the extended cox model including the time varying variable was appli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female workers on career continuity and turnover, the concept, significance and current status of female managers were described. Through a panel of Korean female manager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female managers was surveyed and the ratio was confirmed. The number of female managers in Korea ha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ir positions increase in their companies, and this is not affected by the size of the company or industry. The sharp decline in the proportion of women as women move up to higher positions is closely related to the career retention of women workers, so the meaning of women's careers and related theories were explained. In the discussions related to women's careers, literature review of career breaks, turnover and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embeddeness model were considered.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economic characteristic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ional characteristics, and Policy characteristics. However, since sub-factors of each trait interact and influence each other, it is not easy to clearly classify the effects that affect the career retention of female workers and reveal the causal relationship. Therefore, in this study, Tried to find a significant result by trying various methods, such as a model incorporating all factors, by characteristic, by rank, and a model derived through the backward selection. In the last chapter, the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withdrawal event of female workers were analyzed through the recurrent event data analysis. 본 연구는 여성관리자패널 조사를 통해 최초 조사 시점에 대상자로 선정된 원표본들을 대상으로 근속과 퇴직의 이유를 알아보고자 생존분석의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서 생존분석의 개요 및 분석의 방법을 정리하였고, 여성 근로자의 생존에 관한 선행연구 탐색하였다. 또한 탐색 과정을 통해 파악된 요인 중 여성 근로자의 경력지속 및 이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Cox 비례위험 분석을 통해 그 영향력을 검증하려고 하였 다. 분석의 단계별로는 전체 변수들을 대상으로 Cox 비례위험 분석을 진행하고, 두 번째로 후진 제거 방법을 통해 모형에 영향력이 큰 변수들을 선별하였으며, 이를 대상으로 시간 변동 변수를 포함한 확장형 Cox 모형을 적용하였다. 여성 근로자의 경력지속과 이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여성 관리자의 개념과 의의, 현황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여성관리자패널 자료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 여성관리자의 직급별 현황을 살펴보고 여성 관리자 비율은 어떤 수준인지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여성관리자는 기업 규모나 업종에 따라 큰 차이가 없이 여전히 대체적으로 직급이 높아짐에 따라 그 수가 급격히 적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상위직급으로 갈수록 여성 비율이 급격히 낮아지는 것은 여성 근로자들의 경력 유지와도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여성의 경력에 대한 의미와 이와 관련한 이론들을 이어 기술하였다. 여성의 경력과 관련한 논의에서는 경력 지속의 요인을 찾기 위해 경력단절, 노동이동과 이직의도 그리고 조직착근모델의 선행연구들을 고찰하 였으며, 요인들을 인적특성, 가족/경제적 특성, 심리적 특성, 관계적 특성, 제도 특성의 5가지로 구분하였다. 그러나 각 특성들의 하위 요인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여성 근로자의 경력지속에 영향을 주는 효과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성별, 직급별, 전체 요인을 통합한 모형, 후진 제거법을 통해 도출된 모형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하여 유의한 결과를 찾으려고 노력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언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시간 규제에 대한 제도들의 경우 각각의 조직의 특성에 맞는 하위 대책들이 수반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조직차원에서 여성이 자신의 경력을 긍정적으로 볼 수 있도록 여성 근로자의 심리적인 요인들에 관심을 가지고 대응해야 한다. 셋째, 조직 및 상사의 지원의 내용은 일-가정 양립보다는 여성 근로자의 경력 및 역량에 대한 지원이 더 강화되어야 한다. 넷쨰, 기업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를 조성하는 데있어 경제적 가치가 중요한 기업의 생리를 고려해야 하며 이를 통해 기업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돌봄에 대한 책임이 여성에게 적합하다는 사회적 인식을 깨는 시도 등을 통해 사회적인 인식의 변화에도 노력해야 한다. 보론에서는 재발사건분석을 통해 여성 근로자의 퇴직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21세기에 이르러 과학 기술의 진보와 발전으로 인하여 인간의 삶은 공전의 편안함과 편리함을 누리고 있다. 이와 동시에 우리는 긴장된 시대에 살고 있는데, 전 세계적인 환경오염, 생태파괴, 이상 기후, 치명적인 살상무기 등은 인간의 생존에 큰 위협을 주고 있다. 위기를 기회로 변화시키려면 인간은 선택을 해야 하는데, 이런 변화는 우리가 개인 생존과 종족 번식에 대한 생각을 다시 세워야 함을 요구한다. 공자의 유가문화는 동아시아 지역의 주도적인 문화로써 동아시아 농경문명을 안정적으로 2천년 이상을 유지하는데 기여했고, 이것이 함유하고 있는 생존 가치에 대한 배려는 우리가 지금 시점에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볼만한 가치가 있다. 일반적으로 각 지역의 문화는 그 지역의 생존환경과 구조에 맞게 서로 맞춰지는 경향이 있다. 공자의 유가문화 역시 동아시아 지역의 문화를 주도하고 오늘까지 유전될 수 있었던 이유는 그것이 바로 동아시아 지역의 생존환경과 구조에 맞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生存’의 시각에서 서양 철학과 자연과학의 결합을 통해 공자의 유가문화가 어떻게 ‘인간의 生存’ 이라는 핵심 철학 사상 체계를 구성하는지 살펴보았고, 유가의 生存論 분석으로 동아시아 문명 지역의 윤리체제와 유가의 ‘仁義禮智’, ‘道德倫理’의 생존문제 관계를 탐색해 보았으며, 공자 유가문화가 가지고 있는 인류 사회 생존과 발전에 대한 참고 의미를 찾아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논문은 서론, 동아시아의 생명철학, 동아시아문명의 사회생존 질서에 대한 구성, 공자문화의 현대적 생존가치, 결론까지 총 다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서는 연구 동기와 목적, 연구 방법과 연구 내용을 기술하였다. 본론의 제2장에서는 동아시아 문화가 생겼을 때부터 하나의 ‘生命哲學’이었고, 인간의 생존문제에 주목하고 있었음을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生存’ 문제가 존재하는 이유, 즉 生命之道의 ‘弱化’현상에 대해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간단하게 노자 ‘無爲’에 대한 주장과는 다른 공자가 ‘弱化’ 현상에 대한 생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논술하였다. 제3장은 공자 유가문화가 어떻게 ‘禮’를 통해서 인간사회의 질서를 구성하는지를 기술하여 유가의 ‘仁義禮智’, ‘修齊治平’ 이론의 출현과 생존문제의 관계를 분석했다. 제4장은 현대 사회의 개인적인 생존문제의 구현과 사회현상에서 생존문제의 구현을 기술하고 공자 유가문화의 생존 가치에 대해 기술하였다. 결론 부분에서는 공자 유가문화의 생존가치와 현대 인류사회 생존과 발전에 대한 의미를 종합 분석하였다.
소기업·소상공인의 생존분석에 관한연구 : 강원신용보증재단이 지원한 소기업·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이근우 강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생존분석을 기법을 이용하여 강원신용보증재단(강원신보)에서 보증을 받은 기업의 생존함수 추정을 통해 현황과 과제를 살펴보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강원신보에서 보증을 받은 34,465개 소기업,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 중 중도절단된 자료는 29,639 사고 자료는 4,526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생존분석(Survival Analysis)중 비모수적 방법인 생명표법을 사용하였으며 논의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 장은 연구의 목적 및 방법을 기술하였다. 제 2 장에서는 공공서비스의 정의 및 신용보증제도의 개관에 대해서 알아 보고 지역신용보증재단 및 강원신용보증재단의 현황에 대해서 언급 하였으며, 생존분석 이론 및 선행연구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제 3 장에서는 실증연구로 생존분석을 통해 전체기업, 지점별, 업종별, 상환 유형별, 기업규모별, 대표자 성별, 연대보증인 입보 유형별, 특례보증 유형별, 부분보증 유형별, 보증금액별, 대표자 연령별 생존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 4 장에서는 본 연구의 요약과 미쳐 다루지 못한 문제들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the survival analysis technique to examine the estimate the survival functions of businesses which had received guarantees from the Gangwon Credit Guarantee Foundation (GCGF) and to suggest methods for improvement. To this end, 34,365 small businesses and small enterprises that had received guarantees from GCGF were chosen; however, 29,639 among those were censored, leaving 4,526 to be used in this study. To attai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non-parametric life table method was chosen from among survival analysis methods, and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and methods of the study are described. In the second chapter, the definition of public services and an overview of the credit guarantee system are examined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credit guarantee systems and the Gangwon Credit Guarantee Foundation are discussed. The survival analysis theory and previous studies using it are also examined. In the third chapter, survival analysis to prove the thesis was implemented based on all businesses, by location, by type of business, by form of repayment, by form of business, by gender of CEO, by form of joint liability, by form of special guarantee, by form of partial guarantee, by amount of guarantee, and by age of CEO. Finally, in the fourth chapter, research is summarized and problems unable to be solved within this study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