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색채어 교육 방안 연구

        이한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색채어는 한 민족의 전통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항상 사람들의 생각과 습관에 영향을 미친다. 색채어는 자신이 지니고 있는 어휘의미와 문법의미 외에도 선명한 민족문화적인 상징의미를 지니고 있다. 또한 색채어는 전통문화의 영향을 받아 상대적으로 고유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는데 거울처럼 한 민족의 기쁨과 슬픔, 좋고 나쁨, 긍정과 부정을 진실하게 반영한다. 그리고 사람들의 생각과 습관에 직접적으로 작용되며 특정한 언어 환경 속에서 사람들의 일상 행위를 제약한다. 그러므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지니고 있을 경우 색채에 대한 태도도 다르다. 색채어는 각 민족의 문화 속에서 특정한 가치관과 심미관을 지니게 있는데, 사람들의 색채에 대한 연상을 통해 점점 그 사회문화의미가 고정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때문에 이러한 사회문화의미를 알고 있으면 사용자들의 의사소통 상황에서 문화 묵계가 이루어지지만, 그렇지 않으면 잘못된 인식에 빠지거나 소통에 불편을 겪게 된다. 그리하여 양국 사람들이 교류 활동 속에서 규범에 맞게 언어를 사용하고 더 예절 바르게 행동할 수 있도록 본고는 한국어와 중국어 색채어의 문화적인 상징 의미의 차이를 밝히고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학습자나 중국어를 배우는 한국학습자에게 양국의 색채어가 갖는 의미를 통하여 그 민족의 언어문화를 이해하는데 부족하게나마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하여 본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한중 색채어를 대조하여 한국어 색채어 교육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제시했고 기존 선행연구를 검토한 다음, 연구의 방법을 제시했다. 제2장에서는 한중 색채어의 기본의미를 제시하고, 한중 색채어의 구성방식에 따라 한중 색채어의 분류를 따로 살펴본 다음, 연구할 색채어의 범위를 선정했다. 제3장에서는 우선 한중 색채어가 지닌 문화적인 상징의미를 자세히 분석하여 제시한 후에 각 색채어의 의미가 같은 경우와 의미가 다른 경우, 두 가지로 나누어 한중 색채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제시했다. 소결론 부분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색채어가 지니는 문화적인 상징 의미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나는 이유를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한국어 색채어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존재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밝힌 다음에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세워 보았다. 마지막 결론 부분에서는 총괄적으로 본 연구를 요약하였다. 정리하여 보면, 한 민족의 사회, 제도, 사고방식, 생활습관 및 문화 등을 가장 잘 반영하는 것이 언어라고 할 수 있고 또한 그 중에서도 문화가 잘 반영된 어휘가 색채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색채어의 문화적인 상징의미 및 그와 관련된 배경지식을 제대로 이해하여야만이 서로 교류할 때 발생 가능한 문화 충돌이나 갈등을 피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색채어 교육은 언어 교육에 있어서 매우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본고는 실제 의사소통에서 색채어가 자주 쓰이는 상황 분석 및 출현 빈도수를 조사하여 색채어 교수의 필요성의 근거로 활용하지 못했다는 것이 본고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이 부분은 후속 연구를 통해서 색채어 교수에 적용할 있기를 기대해 본다. 色彩语与一个民族的传统文化有着密不可分的关联,对人们的思想与习惯产生着影响。色彩语不仅具有词汇意义和语法意义,还具有鲜明的民族文化象征意义。也就是说,色彩语受到传统文化的影响,具有相对稳定的形象,如同镜子一般真实的反映出一个民族的喜悦与悲伤,喜欢与厌恶,肯定与否定等感情色彩,并且直接表现在人们的思想与习惯中,在特定的语言环境中制约人们的日常行为。因此,不同的文化团体对待色彩的态度也不相同。色彩语在各个民族的文化中具有特定的价值观与审美观,人们通过对这些色彩的联想而逐渐将其固定成为社会文化意义。因此,如果理解了色彩语的社会文化意义,使用者在交流的时候就可以形成文化默契。相反,则就会导致对色彩语的错误认识,或导致沟通障碍。因此,为了使两国人民在交流活动过程中,符合章法的正确使用语言,并能够遵守对方国家的礼仪,本文分析了韩国语与中国语之中色彩语文化象征意义的差异,希望能够对学习中国语的韩国学习者和学习韩国语的中国学习者们,在通过对两国色彩语所具有的意义了解对方民族的语言文化方面,起到一些帮助。 本文按照以下的顺序对韩中色彩语进行了对比,并提出了韩国语色彩语教育的方案。第一章中首先提出了本文的目的和意义,并对基准的先行研究进行了调查,然后展示了本文的研究方法。第二章提出了韩中色彩语的基本意义,并且分别察看了韩中色彩语根据构成方式的分类,之后对将要研究的色彩语范围进行了设定。第三章中首先对韩中色彩语具有的文化象征意义进行了仔细的分析研究,之后根据韩中色彩语中色彩与意义相同,以及色彩与意义分别不同两种情况对韩中色彩语的共同点与差异点进行了比较和展示。在小结论部分对韩国语与中国语色彩语所具有的文化象征意义共同点与差异点产生的原因进行了详细的分析说明。第四章中根据对现行教材的考察以及问卷调查,针对韩国语色彩语教育现状进行了分析,并对所存在的问题,提出了有效的教育方案。最后结论部分对本文进行了整体性的总结。 总结性的来看,语言是一个民族的社会,制度,思考方式,生活习惯及文化等的最好反映,可以说最能够反映文化的词汇就是色彩语了。因此,只要能够准确理解色彩语的文化象征意义,以及与其相关的背景知识,在互相交流之中便可以避免一些可能产生的文化冲突或者纠纷。所以,笔者认为色彩语的教育在语言教育中是非常有必要的。 但是,在考察过程中,尚未能对实际生活沟通中色彩语的使用状况和出现频率进行分析调查,因此,也未能将其调查结果活用于色彩语教育中。笔者认为这是本文最大的不足之处。在今后的研究中,期待能有更全面的考察研究。

      • 유아 색채교육 활동의 구성 및 효과

        김명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유아 색채교육 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 능력과 감성지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 색채교육 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 능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둘째, 유아 색채교육 활동이 유아의 감성지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K구에 위치한 Y 및 D 유치원에 다니는 만 4세 유아(남아 21명, 여아 19명)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남아 8명, 여아 12명)과 통제집단(남아 13명, 여아 7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본 연구에서 구성한 유아 색채교육 활동을 제공하여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유아들에게는 색채 요소를 포함한 조형활동을 구성하여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성한 유아 색채교육 활동 프로그램은 8주간 실험집단 유아들에게 적용하였으며 미술표상능력 검사척도와 감성지능 척도를 사용하여 유아 색채교육 활동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했던 유아의 미술표상 능력의 변화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통계적 차이가 나타난 영역은 선과 도형의 병합, 세부적 묘사, 조화로운 공간표상, 그림의 완성, 표상과 언어의 연계성 등 5개 영역이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했던 유아의 감성지능의 변화 또한 전체적으로 유의한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통계적 차이가 나타난 영역은 4개 영역 중 사고촉진, 정서이해, 정서조절의 3개 영역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유아 색채교육 활동은 유아들의 미술표상능력과 감성지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 색채교육 활동은 유아의 미술표상능력과 감성지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활동이 될 수 있으며,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 색채 종합분석을 통한 농촌경관 관리방안

        민태규 경북대학교 농업생명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2020년 경상북도 경관계획이 수립된 경주시와 안동시, 청송군, 문경시의 농촌마을의 경관을 집합형, 분산형, 경관형으로 구분하고 각 마을에 대한 색채 종합분석을 통하여 농촌경관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각 마을의 주택과 자연환경, 외부환경, 생활환경 등의 색채를 현장 촬영하였다.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을 조망지점에서 사람의 눈높이(160㎝)와 사람이 지각하는 각도로 디지털 카메라(Canon 550D)를 장착하여 촬영하였으며, 촬영한 자료를 포토샾(Photoshop cs4)에서 RGB값을 측정하여 RGB값을 멘셀 컨버젼(Munsell Conversion)에서 먼셀표색계(색상 명도/채도, HV/C)로 치환하여 분석하였다. 농촌경관의 관리방안 모색을 위해 집합형 마을의 원경과 마을안길 경관 현황을 분석한 결과, 중․고명도, 고채도 파란색(B, PB계열)과 빨간색(R)계열의 지붕이 색채경관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채도가 높은 파란색 지붕은 색상과 채도 면에서 자연환경색채와 대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집합형 농촌마을의 색채와 채도의 대비성이 높은 것은 주변자연환경과의 조화로운 농촌의 이미지 보다는 주변색채경관을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뿐만 아니라, 분산형 마을과 경관형 마을의 원경 시설물 색채 분석 결과도 중․고명도, 고채도의 파란색(B, PB)계열 지붕이 두드러지며 자연환경색채와 대비되어서 농촌마을의 색채경관을 저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마을경관을 형성하는 주생활시설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유형이 이미테이션 기와집으로 재료는 함석, 시멘트 등 다양한 지붕재료를 사용한 현황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따라서 농촌마을에 대한 경관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이들 지붕에 대한 색채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농촌경관 중 주거시설의 골함석 또는 골슬레이트는 주택을 비롯해 부속창고, 대형창고(공장) 등의 지붕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형으로 나타나며 대규모 창고는 규모가 크기도 하지만 지붕과 벽 모두가 자연경관 및 주변시설과 명도, 채도, 색상 대비가 커 시각적으로 지나치게 두드러지는 경관 색채를 나타내고 있다. 향토문화자원의 색채는 대부분 중명도․저채도의 YR계열, 그리고 회색빛(5PB5~6/3)의 기와색이 있으며, 불교건축과 유교건축에서는 전통단청인 석간주(5R3.8/8)와 뇌록(7.5GY5/4) 현황을 볼 수 있다. 풍경을 통해 측색한 토양 색채는 YR계열로서 중명도(V=6), 채도는 저채도(C=5)로 분석된다. 농촌마을의 벼는 GY계열로서 중명도(V=6), 중채도(C=8)로 나타나고 있으며, 산의 색채는 거리에 따라 다르게 지각되는데, 근경은 GY계열 원경은 G, PB계열로 지각되며, 명도와 채도도 차이가 있어서 근경은 중․저명도(V=3~4) 저채도, 원경은 중․고명도(V=6~7) 저채도 분석되고 있다. 농촌마을의 보호수림과 느티나무 보호수, 그리고 마을 특산작물인 사과나무, 대추, 벼, 마늘 등은 주민에게 오래전부터 친숙한 농업생산 자연자원으로 파악되어 진다. 특히 수목의 잎은 GY계열로 중․고명도(V=4~8), 채도는 중채도(C= 7)이하로 분석되었고, 나무의 줄기는 YR, N계열로서 명도는 중명도(V=4~5), 채도는 저채도(C=3~0) 분석되었다. 농촌마을의 논과 밭의 흙은 농사 활동하는 가운데 주민들이 밟고, 일구면서 눈에 친숙해지는 색채자원으로서 색상은 YR, Y계열에 밀집 분포현황을 보이고 있으며, 명도는 중․고명도(V=4~8)현황이며, 습윤한 흙은 중명도, 건조한 흙은 고명도 현황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채도는 2~7까지 다양하며, 습윤한 흙은 마른 흙보다 1~2정도 높은 6의 분석결과을 나타내고 있다. 지역의 암석 색상은 YR계열의 빈도가 가장 높으며, Y, N 계열 분석되어지며, 명도는 중명도로부터 고명도(V=5~8.7)까지 다양하게 분석되었다. 특히 채도도 저채도(C=0)부터 중채도(C=8)까지 다양한 자원현황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농촌마을 공공시설 및 향토문화자원, 자연자원, 그리고 풍토자원 등의 색채자원의 색상은 주황색(YR)계열 빈도가 월등하고, 다음으로 노랑(Y), 연두(GY), 무채색(N), 파랑(PB, B) 계열 자원 순으로 분석되었다. 농촌마을의 경관색채는 명도는 중명도부터 고명도까지 그 범위가 넓으며, (V=5~7)에 밀집 분포되나, 주황(YR)계열은 고명도(V=7~9) 자원도 풍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의 색채분석은 농촌경관의 지역여건과 특성을 고려한 분석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농촌마을의 경관 조성시 마을의 자원요소로 선정한 공공시설 및 향토문화 자원, 자연자원, 풍토경관 등을 색의 삼속성(색상, 명도, 채도)에 따라 구분하여 색채자원 맵(map)을 작성하고 활용함으로써 농촌마을의 통일적 색채와 자연과 친화적인 우수한 농촌경관을 연출할 수 있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대한민국은 계절의 변화에 따라 같은 마을일지라도 색채경관이 다양하여 계절적 변화에 따른 색채분석을 장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행하고 각 지역에 가장 잘 어울릴 수 있는 색채자원 맵을 작성하여 경관 조성시 활용한다면 조화로운 농촌경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dissertation classifies the landscape of agricultural villages in the cities of Gyeonju, Andong, Cheongsong, and Mungyeong, established of Gyeongsangbuk-Do Landscape Planning for 2020, into set type, dispersal type, and landscape type, and filmed the color sites in residents, natural environment, exterior environment, and living environments of eave village to suggest a landscape management plan of the agricultural village through color analysis of each village. The subject of measurement was filmed at the eye level (160cm) with the angle of perception from the view point, using a digital camera (Canon 550D), and the RGB value of the filmed materials were admeasured using photoshop (Adobe Photoshop cs4), in which the measured RGB value was then replaced with Munsell Table Color System in Munsell Conversion to analyze.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distant view and landscape of the village’s inner roads to seek for the landscape management plan of the agricultural village, blue (B, PB affiliated) of intermediate and high brightness and high saturation, and red (R affiliated) roofs took lead of the environmental color. The high chromatic blue roofs appeared to contrast natural environmental colors in the aspects of color and saturation. The highly comparative color and saturation of the set type agricultural village are analyzed to be a hindrance to environmental color landscape rather than creating a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Also, the result of color analysis on the distant view facilities of dispersal and landscape types also display the prominence in blue (B, PB affiliated) roofs of intermediate and high brightness and high saturation, contrasting to hamper with the color of scenery in the agricultural villages. In the study, the usage of galvanized steel sheet, cement, and various roofing materials were confirmed to imitate roofing tiles, which were found the most within the main living facility founding the village scenery. Thus, it is understood that a color organiza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e scenery regarding agricultural villages. Corrugated sheet iron, and corrugated cement sheets are the types of roofing materials most utilized in residential facilities, as well as the affiliated storehouses, and warehouses (factorial); the warehouses are large scale, but their size, roofs, and walls contrast largely with the brightness, saturation, and hue of the natural landscape and surrounding facilities, showing a visual remark in the color of scenery. The color scheme of Rural Cultural Resources have the roof colors in YR of intermediate brightness and low saturation, and grey (5PB5-6/3), whereas the traditional dancheong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in red ocher (5R3.8/8) and jade (7.5GY5/4) can be found in the Buddhist and Confucianist architectures. The rice of agricultural village appears to be GY of intermediate brightness (V=6), and intermediate saturation (V=8); the color scheme of the mountains are perceiv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istance, perceived as GY in close view, and G, PB in distant view, and displaying a difference in brightness and saturation with intermediate-low brightness (V=3-4) and low saturation in close view, and intermediate-high brightness (V=6-7) and low saturation in distant view. Conserved forest, and zelkova trees of the agricultural villages, as well as the regional crops, such as apple trees, dates, rice, and garlic have long been a natural source of agricultural production familiar to the residents. The leaves of the trees are GY with intermediate-high brightness (V=4-8) and below low saturation (C=7), and their stems are analyzed as YR, N with intermediate brightness (V=4-5) and low saturation (C=3-0). The soil of paddies and field of the agricultural villages is color source that become familiar as the residents step on and cultivate during their farming activities, and displays a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YR, Y with intermediate-high brightness (V=4-8); moist soil appears to be of intermediate brightness, and dry soil appears to be of high brightness. The saturation varies from 2 to 7, in which moist soil shows a value 6, 1-2 values higher than the dry soil. The color of regional rocks have highest frequency of YR, analyzed as Y and N; the brightness varies from intermediate to high (V=5-8.7). The saturation also show various source status from low saturation (C=0) to intermediate saturation (C=8). Thus the colors of color sources such as public facilities, Rural Cultural Resources, natural resources, and climate resources of the agricultural village illustrate a superior frequency of orange (YR), followed by yellow (Y), green-yellow (GY), achromatic color (N), and blue (PB, B). The landscape color scheme display a wide scope of brightness from intermediate to high, with concentrated distribution of (V=5-7), with an abundance of orange (YR) in the sources of high brightness (V=7-9). Such color analysis of the results will be of use to the analysis, which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conditions of the landscape of agricultural village. Classification of Public facilities, rural cultural resources, natural resources, climate landscapes selected as the source factors of the village in accordance with the three properties of color (hue, brightness, saturation) to form color source map, and its utilization are interpreted to direct color scheme of uniformity, and superb nature-friendly landscape of the agricultural villages in the future. On the other hand, the execution of long-term and systematic color analysis, and the formation of the resource map of the most harmonious color schemes to each region in accordance to the seasonal transitions will contribute to a harmonious landscape of agricultural village in the formation of landscape, as the color scheme of the same village will differ depending on the seasonal changes of Korea.

      • 한·중 전통을 주제로 한 가로경관색채비교연구 : 서울인사동, 상해신천지(新天地)를 중심으로

        ZHU LIN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를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도심지 대표적 전통가로인 서울 인사동 및 상해 신천지의 경관 색채 현황을 통하여 비슷한 문화배경에서 서로 다른 색채의식을 취하고 있으며, 색채 측색방법은 사진촬영과 측색기(Spectro-photo-meter CM-700d)를 활용하여 조사․분석하고 평가하였다. 이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검토를 해 봄으로서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도시가로 경관색채의 배색특성 및 차이성을 새롭게 제안할 수 있는 연구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한국과 중국 전통적 가로경관의 배색 차이점은 두 나라 건축공간의 배경, 나아가 양국 문화의 차이점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며 앞으로 진행될 가로공간의 개선사업에 있어 질 높은 여가공간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aking the theory of colors as frame, this paper studies the streetscape of two famous places which are Insa-dong in Seoul and Xin-tiandi in Shanghai. The main practical ways are field investigation, which include photograph and measurement of color by Spectro-photo-meter CM-700d.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d comparative study, this paper will give on-site assessment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Furthermore, this paper will indicat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the traditional Streetscape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using the color theories of Korea Image Resource Institute and Practical Color Co-ordinate System.

      •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 로비공간의 재료의 색채 특성에 관한 연구

        박윤정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는 아파트를 대체하는 주거공간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연구는 건축계획적인 분야와 디자인 분야에 치중되어 왔다. 주상복합아파트가 아파트와 달리 가지고 있는 로비공간은 그 기능뿐만 아니라 주거공간의 시작이라는 점에서 디자인적으로 매우 중요한 공간임에 틀림없다. 본 연구에서는 로비공간 디자인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색채계획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로비공간의 재료의 색채 특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 11개의 사례의 로비공간을 현장 조사하여 실내구성요소 5가지인 벽, 천정, 바닥, 가구(안내데스크 가구, 소파가구)의 재료의 색채를 조사하여 로비공간 사례별 색채 특성을 파악하고, 주재료로 사용된 재료의 색채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비공간의 사례별 색채의 특성은 총 11개의 사례 중에 9개의 사례에서는 바닥과 벽에 대리석을 주재료로 사용하였으며, 색상은 Y와 Y50R사이에 집중된 분포를 보였으며, 색조는 주조색의 경우에는 8개의 사례가 whitish & pale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강조색의 경우에는 dull 또는 deep영역을 포함하고 있었다. 둘째, 로비공간에 사용된 재료의 색채 특성은 상위 5개의 사용빈도수를 가지는 석재, 목재, 도장, 패브릭, 가죽의 5가지를 분석하였다. 로비공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석재는 주로 바닥과 벽에 대리석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색채의 특징은 Y25R~Y75R색상의 whitish & pale영역에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며, 그 다음으로는 동일한 색상의 dark gray영역에 분포하고 있다. 석재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는 재료는 목재이며, 주로 안내데스크의 뒤벽과 소파가구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었다. 목재의 색채 특징은 석재와 동일한 색상 영역인 Y25R~Y75R의 dull영역에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동일한 색상 영역의 dark gray에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 목재는 로비공간의 주재료인 석재보다 높은 명도의 색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장은 목재 다음으로 사용되는 빈도를 보이며 주로 천정에 사용되어 로비공간의 개방감과 밝은 분위기를 제공하는 데에 역할을 하고 있었다. 패브릭과 가죽은 주로 가구적 요소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패브릭은 과반수의 색상이 R75B~B26G의 영역에 분포하였으며 색조는 light gray의 영역에 주로 분포하였다. 소파가구의 마감으로 사용되는 패브릭과 가죽은 사용 빈도수가 많지 않았으며 가죽은 다양한 색상과 색조의 영역에 분포되어 특징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로비공간의 재료의 색채 특징은 Y25R~Y75R색상과 whitish & pale영역의 우아하고 부드러우며 침착한 색조의 배경위에 동일한 색상의 dull영역의 둔하고 소박하며 중후한 색조의 보조색이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패브릭과 가죽은 다양한 색상에서 주로 light gray 색조를 띄며 강조색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로비공간은 주거공간의 첫 진입공간으로서 우아하고 부드러우며 따뜻한 색채 특징은 로비공간의 색채계획시에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 number of super-high-rise residential complex is dominating residential space more and more in alternating existing apartments, while studies about it have been concentrated on the fields of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apartment, the lobby space of super-high-rise residential complex is sure to be important one in aspect of its operative function as well as its starting point of residential space. This study has operated the research about color-characteristics of materials in lobby space to suggest the basic data for color-design which can be the fundamental resources in designing the lobby space. Research subjects are eleven cases of lobby spaces in super-high-rise residential complex which have been investigated in field trip. Colors of materials of five indoor compositional elements as wall, ceiling, floor, furniture (information desk and sofa) have been investigated to understand case-specific color-characteristics assigned to each case of lobby space with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main materials used, which has led to results as below.First, color-characteristics assigned to each lobby space are that the marble is mainly used on floor and ceiling in nine cases among eleven cases, colors are distributed intensively on between Y and Y50R, color tone includes 'whitish and pale', accentuated color includes at least one of 'dull' or 'deep' region. Second, for color-characteristics of materials used in lobby space, five materials in highly frequent uses such as stone, wood, coating, fabric, and leather are analyzed. The marble is mostly used stone in floor and wall of lobby space, of which color-characteristics show intensive distribution firstly in 'whitisj & pale' of Y25R~Y75R and secondly in same color of 'dark gray'. Secondly most used material is the wood which is used in back wall of information desk and sofa furniture. Color-characteristics of the wood show intensive distribution at 'dull' region of Y25R~Y75R which is identical with that of the stone. The wood material shows higher luminosity than the stone as major elements in lobby space. The coating shows frequent uses, next to that of the wood, in playing the role of supplying the open and bright mood of lobby space in its use for ceiling. Fabric and leather are mostly used for elements in furniture while over half of colors of fabric are distributed in R75B~B26G and color tones are mostly in the domain of 'light gray'. Fabric and leather as used as finishing material for sofa furniture, do not show frequent uses while the characteristic of leather can not be found because its colors are distributed through domains of diverse colors and tones. Color-characteristics of materials in lobby space show the harmonization of supportive colors in 'dull', simple and generous tones in dull region of same color on the background of graceful, soft and calm tones in the region of 'whitish & pale' and Y25R~Y75R, while fabric and leather operates as accent in showing light gray tones on diverse colors. As the lobby space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residence, its graceful, soft and warming color-characteristic data can be referred in planning the colors for it.

      • 색채 연어와 텍스트 맥락 대조를 통해 본 한·불 색채어 비교 연구 : 한국어 '빨갛다' 계열, '파랗다' 계열과 프랑스어 'rouge', 'bleu'를 중심으로

        김민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국과 프랑스의 색채어와 공기하는 표현을 통해 나타나는 양국 색채어의 형태적, 의미적 차이를 대조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 각국의 색채어의 문화적 상징성과 그 배경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양국의 신문 자료에서 각국의‘빨간색’계열과‘파란색’계열의 연어 말뭉치를 구축하고, 말뭉치 자료를 통해 양국 색채어의 언어적 차이와 문화적 차이를 비교하여 양국 색채어의 다양한 실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한·불 색채어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과 함께 본 연구의 논의와 관련된 선행 연구, 연구 자료와 연구 방법을 밝혔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 해당되는 대조 분석을 살펴보고 색채어의 개념과 양국 색채어의 특징을 형태·통사적 특징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3장과 4장에서는 양국의 신문 기사에서 추출한 연어를 크게 형태와 의미가 동일한 연어와 상이한 연어의 두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색채 연어 대응 유형 분석 결과 한국어는 사전에서 제시된 의미를 따르는 경우가 많았으며 사회에서 통용되는 파생 의미로 쓰이기도 하였으나, 프랑스어는 사전에서 제시된 색채어의 표면적인 의미보다 독자적인 상징 의미로 사용되어 대부분이 단순히 색채어와 공기 표현이 아닌 문맥을 통해서만 의미 파악이 가능하였다. 이를 통해 색채어의 의미 이해는 색채 표현이 쓰인 문맥은 물론 각국의 문화적인 배경과 색채어의 구조적 특징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5장에서는 신문 기사에서 추출한 색채 표현을 대상으로 하여 실제 한국과 프랑스어 색채 표현의 실현 양상을 크게‘연상 의미, 실현 형태, 문화적 상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형태적으로는 한국어 색채어는 일반적으로 기본형과 파생형으로 실현되나 프랑스어는 기본형과 합성형으로 실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빨갛다’계열과‘파랗다’계열이 상징하는 의미는 각 사용 영역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색채어와 공기하는 표현과 그 상징 의미의 생성 배경을 통해 차이의 원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6장에서는 연구의 전체 내용을 정리하고 본 연구가 가지는 함의와 제한점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가 양국 색채어 관련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 것은 물론 프랑스어권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 프랑스어 학습자의 색채어 학습과 문화 이해에 도움을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has a goal of comparing and analyzing differences of morphemes and meanings of words and collocations for colors in Korea and France to support analyzing the cultural symbols and backgrounds of words indicating colors of each country. In order to meet the goal, bunches of collocations indicating red colors and blue colors were collected from newspaper resources of the two countries, and with the resources collected, various ways words indicating colors are used in each country were looked at by analyzing language and cultural differences in words for colors of the two countries. Chapter one explains the necessity of research in words indicating colors in Korean and French and introduces prior studies concerning the intention of this study, research materials and methods. Chapter two looks at contrastive analysis which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words indicating colors of the two countries, mainly in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For Chapter three and four, collocations collected from newspaper resources of the two countrie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largely by equivalency and difference in mea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lor collocation equivalence type analysis, for the Korean words, when it comes to delivering meanings, many of them were found to be used as explained in dictionaries. Also in some cases, words were found to have derived meanings that are widely understood in society. For the French words, however, most words were found to have independent and symbolic meanings, rather than to be used as explained in dictionaries which mostly explain superficial meanings of words indicating colors. This means that through understanding contexts, not just words indicating colors and collocation expression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meanings.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understanding contexts in which color expressions are used, cultural backgrounds of each country,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words indicating colors is the prerequisite to understanding meanings of words for colors. Chapter five deals with expressions for colors collected from newspaper articles and analyzes ways color expressions are used largely by 'association meaning, way they are used and cultural symbol'. As a result, when it comes to morphemes, for Korean words indicating colors, they are generally used in basic and derivation forms. For French words however, they are used in basic and compound forms.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meanings for 'red' colors and 'blue' colors in each area in which they were used, and it was possible to figure out what causes the differences by understanding words and collocations for color expressions, the backgrounds symbolic meanings are from. Chapter six summarizes the whole contents of the study and shows implications and limits this study has. The results of the study hopefully can serve as basic resources for research in words indicating colors in both countries as well as help people learning Korean in French-speaking countries and Koreans learning French better learn words for colors and get a better cultural understanding.

      •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색채어 대조 연구 : 기본 5 색을 중심으로

        이쉐신윈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구에는 무지한 수의 빛이 존재하는데, 그 빛을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기 위해 색깔로 표현하곤 한다. 언어마다 색깔이 여러 종류가 있는데 기본 색채어의 개념이나 유형이 각각 다르다. 한 나라의 색깔을 인식하는 방식에 따라 그 나라의 언어의 특색, 문화 및 정서를 지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나라의 사람들의 사고방식, 성향 등을 사회언어학 측면에서 볼 때 흥미로운 교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색깔이 수천만 개가 존재하는데, 기본 색채가 가지고 있는 기본 의미와 확장된 제 3 의 의미를 알아 가는데 깊이 있는 교육이 필요하고, 거기에다가 그 나라의 사회, 역사, 정서, 문학 및 문화적인 요인들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제 2 언어 습득자로서는 큰 어려움을 직면할 수 밖에 없다. 한국어에서는 기본 색채어를 음양오행에 따라 다섯 가지로 분류하는데, 기원이 불교사상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미얀마어도 종교에 영향을 받아서 불교사상을 통해 기본 색깔의 개념이나, 인식, 상징 의미가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원래 가지고 있는 기본 의미뿐만 아니라 환유, 온유가 적용되어 또 다른 사회 관련 의미를 더 확장시키고 있다. 그리고 동양문화권의 특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또 역사적 배경 및 변천과 같은 이유로 두 언어에 다른 특징을 다 볼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에서는 색채어와 관련된 연구가 90년대부터 활발히 이루어졌는데, 그 연구 내용 및 성과는 다양하면서 풍부하지만, 어디까지나 국어쪽에 치중되면서 한계점을 지니고 있는 실정이다. 제 2 언어로서 타 언어와 비교하였을 때 분명히 가지고 있는 차이점, 공통점을 인식하지 못하고 문화 변이가 존재하는 것을 고려하되, 개념화되는 색채어 표현을 기본 색채어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되, 한국어와 미얀마어를 대조 분석하는 방식으로 보다 나은 교육을 실시하는 데에서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무한 수의 색채 중에서 언어마다에 존재하는 기본 색채어 다섯 가지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색채어는 언어에 따라 저마다의 체계를 가지며, 언어적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 흥미로운 점이다. 그러므로 동일한 색깔일지라도 전달하는 의미가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복잡하기도 한다. 각각 색채어의 계열에 따라 기본 의미, 형태론적 구조 방식, 인지언어학적인 관용표현을 어휘 목록을 제시하고, 한국어와 미얀마어가 가지고 있는 언어적 특징, 문화적 특징 등을 살펴보았다. 한국어와 미얀마어는 어순(주어+목적어+서술어)이 유사한 언어기도 하고, 반면에 어휘 영역에서는 한국어의 경우 한자어가 많이 발달되어 있으며, 미얀마어는 거의 고유어나 빨리어라는 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문어에서 사용되지만 일상생활에서 사용되지 않은 어휘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학습자들이 학문적인 가치를 기준으로 할 때 의사소통 능력뿐만 아니라 문어 구사 능력까지 향상시키려면 교육 자료가 많이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제 2 언어 교실에서 학습자들에게 효율적인 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한국과 미얀마의 색채어 어휘에 따라 기본 의미 , 상징의미 및 형태를 비교하기로 한다. 어휘가 발달한 언어이기에 각각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하면, 많은 표현 방식이 각자 특정한 상징 의미를 전달하기도 한다. 즉, 하나의 색채로부터 생성된 상징 의미는 공통적인 부분도 있지만, 서로 상반된 부분도 있다는 것으로 나타냈다. 두 언어에서 나타나는 기본 색채 어휘에 대한 대비 분석을 도모하되, 색채어의 분류와 의미로 나뉘어서 설명하여 상세하게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다른 학자들의 연구 성과에 대한 분석과 보완을 시도할 것이며,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실용이 가능하고, 양국어간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밝힘으로써 색채어 표현이 가지고 있는 현재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인식 조사를 통해 기본 색채어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로써 본고의 목적은 색채 어휘를 통한 두 언어의 교류가 더욱 활발해질 수 있도록 추진하려는 것이며, 향후 양국어를 공부하는 학습자들에게 원활한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고, 쉽고 나은 교육 자료로 사용될 것을 전망한다. Countless lights exist in the earth. To be able to classify the lights visually, we used to express them in color terms. Every language has several types of color terms. The concept and the type of basic color term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way of recognizing the color of a country, not only the distinct characteristic, culture and emotion of the language can be perceived, but the way of thinking and propensity of the people in that country are able to become an interesting education from the side of the sociolinguistics. There are thousands of colors. This study is finding out the basic meaning of the basic color term and the extended third meaning, and meaningful education is needed. In addition, to recognize the society, history, emotion, literature and the cultural factors of that country, we, as the second language learner, can only face the big difficulty . The basic color term of Korean is divided into five types by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We can find out that the origin derived from the Buddhism. The Myanmar is also affected by the religious. Through the Buddhism, it can be seen that the concept, awareness or symbolic meaning of the basic tone change. Not only the basic meanings of two languages originally have, but the metonymy and gentleness become applicable and two languages are extending other society related meanings. Despite of the distinct cultural feature, all other distinct features of two languages can be seen due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hanges. Therefore, the tone and the related study of Korean are actively realized in 1990s. Although the content and the result of the study are diverse and abundant, they focus on the mother language while it is carrying the limitation in fact. As a second language, when it is compared with other languages, it cannot recognize the obvious difference and the common points. Also, the existence of the cultural modification is considered and the generalized color term expression is selected to be the target of basic color term study. By analyzing the contrast between Korean and Myanmar, the meaning of the study is put into the place where better education is implemented. In this study, among all the unlimited colors, the five basic color terms in every language was considered as the target of this study. Color term contains its own system in different languages while it is an interesting point to see different aspects from each other with different linguistics and social cultural backgrounds. Thus, as identical color can transfer different meanings, it can also be complicated. According to the alignment of each color terms, it shows the basic meaning, morphologic structure, cognitive linguistic idiomatic expression and lexicon. Moreover,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at Korean and Myanmar have are examined. The word order of Korean and Myanmar (subject+ object+ predicate) is similar. On the contrast, in the vocabulary region, Korean has many Chinese characters, while Myanmar is affected by the native language or Pali that most of the lexicons use in written language but not in the daily life. However, using the academic value as a standard, if the langauge learners also want to improve the command of language, but not only the communication ability, it is seen that many educational resources are needed. Therefore, to implement efficient education to the learners, education plan is suggested as well. Consequently, according to the color terms and lexicons of Korean and Myanmar in this study, it is decided to compare the basic meaning, symbolic meaning and form. If it is said that lexicon has different distinct characteristics in developmental language, many expression methods also deliver their own specific symbols. In other words, although created symbolic meaning also has the common part from a color; it is also shown that there are opposite parts. It is aimed to compare the basic color lexicons of two languages. The division and meaning of color terms are explained separately that realized the study in details. Furthermore, the analysis and supplementation of other learners’study result will be made an attempt while Korean education is possible to practically applied. By means of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both languages, to solve the present limitation in the expression of the color terms has, basic color terms guidance plan is present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awareness. The aim of this study hereby is to propel the exchange of Korean and Myanmar to become active through the color lexicons. Also, it can be a help to the learners on having fluent communication from now on and prospect to be used as an easier and better education resource.

      • 國民學校 敎室 內部의 色彩에 關한 硏究 : 서울市內 國民學校를 中心으로

        조용완 檀國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7807

        色彩의 발달은 인류문화의 발달과 함께 하였으며, 인간의 心理變化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우리의 環境에 크게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色彩가 가지고 있는 物理的, 生理的, 心理的인 성질을 적절하게 이용해서 危險의 防止, 視力의 向上, 雰圍氣의 改善을 도모하며 心理的으로 일하고자 하는 動機와 意慾을 높이고 일의 能率을 향상시킬 수 있는 最適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色彩調節에 대한 노력이 오늘날에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도 아동들의 擧習動機나 意慾을 북돋아 주고 擧能能率을 최대한으로 발휘시키기 위해서 학교 시설에 대한 色彩調節을 효과적으로 실시하여 최적의 분위기와 환경을 造成해 주도록 노력해야 하는 것이다 특히 국민학교의 환경은 色彩가 교실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막중함을 고려하여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색체 계획의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교육목표의 효과적인 달성을 위해서는 아동의 성장 발달에 따른 특징과 色彩에 대한 嗜好度가 충분히 고려되어져야 하고, 잘 조화된 色彩環境으로 아동들의 학습활동을 활발하게 해주며 정서적 분위기를 한층 높여 주어야 하는 것 이다 그러나, 학교 현장이서는 교실 내부의 彩色에 있어서 아동들의 성장 발달에 따른 특징과 색체 기호도가 고려되지 않고 있으므로 色彩環境의 단조로움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민학교에 있어서 低學年과 高學年은 성장 과정상의 특징과 교육 과정상의 상이한 차이점에 따라 실내 환경이 다르게 조성되어야 하는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이며 色彩計劃 또한 적절한 배려가 있어야 하는 것이다 대체적으로 低學年의 교실은 暖色系가 좋으며, 이외의 교실은 恩考力의 증진을 위해서 寒色系의 色을 쓰는 것이 좋다 그리고 特別室은 용도에 따라서 色의 선택을 고려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色彩의 선택은 色彩가 주는 心理的 영향을 고려해서 전문적인 색채 이론의 적용과 함께, 各 色彩의 섬세하고 미묘한 점들을 배려하여야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또한 色들은 어?게 배색되느냐에 따라 아름답게 보일 수도 있고 추하게 보일 수도 있는 것이므로 色彩調和論에 바탕을 두어야 하는 것이다 色彩調和는 인간의 嗜好에 따라 달라지며, 정서 반응은 개인차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本 硏究에서는 국민학교 아동들의 色彩嗜好度를 조사하여 여기에서 얻어진 자료를 분석하고 이에 따르는 실내 색채계획의 試案을 提示하였다 The development of colour coincided with that of human culture, and since then, the colour has been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which influence psychological changes of human beings, affecting our environment.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colour on our human beings, we need to apply its physical,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influence in reducing various accidents, improving eyesights and fostering good atmosphere while promoting working motivation and efficiency through colour schemes. Accordingly, schools should also create optimal atmosphere and environment through effective colour schemes for the school facilities, in an. effort to promote studying motivation and efficiency of students. In particular,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significance of influence exerted by colour on the environ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a more reasonable and scientific colour scheme should be implamented, and the features arising from children's growth and their tastes of colour should be also fully considered for the effective fulfilment of the scheme. Moreover, the scheme should be designed to promote the student's studying activities and their "balanced development of emotions through harmonious environment of colour. However, the reality is much for from the ideal. The colour displays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are dull and do not reflect the features arising from children's growth and their tastes of colour at all it is desirable that the classroom environment of the lower grades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hose of the higher grades sh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the features arising from physical growth and the curriculum Therefore, these difference should be also given due consideration in the colour schemes of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Generally speaking, it is desirable to apply warm colour in the colour scheme of the lower grade classrooms while applying the cool colour which can help promote thinking in that of the higher grade ones. In eddition, the special classrooms should have their own colour schemes according to their own colour schemes according to their purposes. In a nutshell, we can anticipate a more desirable results in selecting each colour scheme when we take into account its psychological influence and its delicate effect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technical colour theories, and because a colour scheme can be seen beautiful or otherwise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and harmony of colour, we should. select a colour scheme based on the harmony theory of colour. In full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s of each colour scheme according to the tastes of human beings and the individual differences of emotional responses, this paper put forward a test draft of colour scheme for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e colour tast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