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컴포머(Compomer)와 복합레진의 색조안정성에 대한 비교연구

        김희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85

        컴포머는 복합레진과 유사한 물리적 성질을 가지면서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장점들을 가진다. 그러나 컴포머의 색조안정성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재료선택시 심미성이 매우 중요한 전치부 수복재로서의 가능성은 확실히 결론지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폴리산 강화형 복합레진, 즉 컴포머와 심미수복재로서 널리 사용되는 복합레진의 색조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해 Dyract, F2000 등 2종의 컴포머와 Estelite, Z100 등 2종의 광중합형 복합레진을 선택하여 37℃의 항온수조에서 1주일간 보관후 60℃의 항온수조에서 1주일간 보관하고, 이후 150 k㏓의 xenon 램프하에서 1주일, 이후 다시 1주일간 보관하였다. 처음의 색과 60℃ 항온수조에서 1주일 보관한 후의 색, xenon 램프하에서 1주일 보관한 시편에서 건조한 상태의 색과 젖은 상태의 색, xenon 램프하에서 2주일 보관한 시편에서 건조한 상태의 색과 젖은 상태의 색을 비교하여 색변화를 구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yract에서는 항온수조 침적 이후와 xenon 램프 조사 후 10이상의 ΔE값을 나타내었고, F2000은 항온수조 침적 이후에는 3.3을 넘는 색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xenon 램프 조사 후 3.3 이상 6.35이하의 색 변화를 나타내었다. 2. Z100은 항온수조 침적 이후에는 3.3을 넘는 색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xenon램프 조사 후에는 3.3 이상 5.23이하의 색 변화를 나타내었고, Estelite에서는 시각인지한계 3.3을 넘는 색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재료의 두께가 증가하였을 때 L^(*)값, a^(*)값, b^(*)값은 Dyract를 제외한 모든 재료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p<0.05). 4. 습윤한 상태의 색은 건조한 상태의 색에 비해 L^(*)값은 모든 재료에서 유의성있게 감소하였고, b^(*)값은 모든 재료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a^(*)값은 일정한 양상을 보이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 심미수복용 컴포머는 복합레진에 비하여 색조가 불안정한 제품이 있어 영구치의 심미치료시 재료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Compomer materials have the advantages of glass-ionomer cements and similar physical properties of composite resins. But there were a few studies about the color stability of compomers. In this study, two commercial compomers, Dyract and F2000 and two composite resins, Estelite and Z100 were used. They were stored in 37℃ water bath for 1 week and in 60℃ water bath for another 1 week and then they were aged with 150 klx xenon lamp for 1 week and another 1 week. The original colors just after light cured as the control color were measured by spectrophotometer according to the C.I.E. L^(*)a^(*)b^(*) system, and the colors stored in 60℃ water bath for 1 week, the colors aged with xenon lamp for 1 week in dry and wet condition, the colors aged with xenon lamp for 2 weeks in dry and wet condition were measured by the same method and compared with the control colo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Dyract the ΔE values after water bath storage and xenon lamp aging were over 10, and in F2000 the ΔE values after xenon lamp aging were 3.3-6.35. 2. In Z100 ΔE values after xenon lamp aging were 3.3-5.23 and in Estelite there were not ΔE values over 3.3. 3. When the thickness of specimen increased, the L^(*), a^(*), b^(*) values of all material except Dyrac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05). 4. Compared with dry condition, the L^(*) valu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b^(*) valu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wet condition (P< 0.05). It was concluded that Dyract compomer was not acceptable for an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 in permanent teeth for the color changes were over 10, and F2000 compomer had the color stability similar to the Z100 composite resin.

      • 레진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의 수분흡수도와 용해도가 색조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황선아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83

        Objective: The study was aimed to evaluate effects of water sorption, solubility and staining solution on the color stability of resin-modified glass ionomer. Materials and Methods: Specimens for evaluation of water sorption, solubility and color stability methods were fabricated with resin-modified glass ionomers. L*a*b* values of color stability methods were recorded with a Xrite Bench top spectrophotometer. Specimens of color stability method were placed in staining solutions for 2 weeks. After storage, specimens were cleaned and L*a*b* measurements were remeasured. Data were analyzed by Kruskal-Wallis test and Spearman test. Results: Regarding water sorption, materials ranked: Riva Light Cure> GC Fuji II LC> Ketac™ N100. Regarding solubility, materials ranked: Ketac™ N100> Riva Light Cure> GC Fuji II LC. After storage for 2 week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ater sorption and ΔE* of color stability. There was no signigicant difference between solubility and color stability. Conclusion: Within the limits of this study, water sorption of resin-modified glass ionomer may effect on color stability, but solubility of resin-modified glass ionomer may not effect on color stability.

      • Efficacy of nitrogen saturated post-curing on color stability of 3D-printed resin crowns : in-vitro study

        임보현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4 국내석사

        RANK : 232345

        이 체외 연구의 목적은 질소 포화 조건과 일반 대기 조건에서 경화된 3D 프린팅 크라운의 색조 안정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전장관 형태의 시편은 3Shape CAD 소프트웨어로 디자인되었으며 테스트를 위해 질소 그룹 (실험군, 질소 포화 후 경화)과 대기 그룹 (대조군,대기 후 경화)으로 나누었다. 시편은 통상적인 상악 전치 전장관의 형태로 Computer aided design (CAD) 소프트웨어인 3Shape Dental System (3Shape, 덴마크, 코펜하겐)상에서 디자인하였다. 대조군의 시편은 Tera Harz Cure (THC)(Graphy Inc., 한국 서울)를 이용하여 상온 일반 대기에서 15분간 경화시켰으며 실험군의 시편은 동일한 THC 경화기를 사용하여 질소 포화 조건에서 15분 동안 질소 포화 모드로 경화시켰다. 각 그룹은 넣은 염색제에 따라 4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누었다. 하위 그룹은 증류수, 커피, 와인, 카레이며 시편을 단단히 밀봉된 용기에 담아 염색제에 완전히 담그고 37℃ 항온 수조에 4주간 보관하였다. 그 후 각 시편의 색조를 24시간 단위로 1주일(7일), 1주일 단위로 1개월 단위로 측정하였다. CIELAB 색 공간에서 L, a, b 값을 얻기 위해 휴대용 디지털 분광 광도계 EasyShade V(VITA Zahnfabrik, 독일 바트 재킹엔)를 사용하여 색조를 측정하였으며 L, a, b 값을 기록하고 ΔE를 계산하였다.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학 분석은 경화 시간에 따른 중합체의 전환 정도에 대한 두 가지 후 경화 방법의 차이를 검사하기 위해 표준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다. 원통형 시편을 제작하여 경화기 안에서 경화시켰으며, 시간에 따른 빛의 조사량과 중합체의 전환 정도를 시간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색조 안정성에 대한 질소 포화 후경화 공정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반복 측정 ANOVA를 수행했다. 모든 군 및 하위군에서는 경화조건이나 염색제에 관계없이 침지시간에 따른 색조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후경화 방법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와인과 카레 하위그룹에서만 실험군과 대조군이 실험시간에 걸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학 분석에서 후경화 장치에 10, 30, 60, 300, 600, 900초 동안 2.552, 6.9, 20.7, 41.4, 193.2, 392.7, 564.5 J/cm2의 광량이 조사되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10~300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나, 대조군의 전환 정도는 경화 후 시간이 600, 900초에서 실험군을 따라잡았다. 이러한 후경화 초기 단계의 전환 정도 차이로 인 질소 포화 후경화 과정에서 중합체의 구조가 치밀 해져 시편의 색상 안정성이 향상되었을 것이라 추측된다. 이 연구는 3D 프린팅 된 보철물이 변색되기 쉬우며 질소 포화 후경화는 3D 프린팅 된 크라운의 색조 안정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FTIR 분석에서는 질소 포화를 한 군의 경화 과정에서 빠른 전환율을 보여주었으며, 이와 같은 전환율의 차이가 색조 안정성의 차이를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lor stability of 3D-printed crowns that are cured in nitrogen saturated condition and normal air condition. Specimen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nitrogen saturated post-curing) and control group (air post-curing) for testing. The specimens were designed in the CAD software, 3Shape Dental System (3Shape, Copenhagen, Denmark) to fabricate typically fabricated crown prosthesis of maxillary incisor. Specimens in air group (control group) were cured in the condition of normal air using Tera Harz Cure (THC) (Graphy Inc., Seoul, Korea) post-curing machine and Specimens in nitrogen group (experimental group) were cured in nitrogen saturated condition using the same THC curing machine, but with the nitrogen saturation mode. Each of the group was divided into 4 subgroups of distilled water, coffee, wine, and curry depending on the staining agents. The specimens were immersed completely in the staining agent and, the shade of each specimen was measured in 24 hours term for a week (7days), and in a week term for 1 month. The shade was measured with portable digital spectrophotometer, EasyShade V (VITA Zahnfabrik, Bad Säckingen, Germany) to acquire the L, a, b values, and L, a, b values were recorded and ΔE was calculate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alysis of the resin sample was conducted to inspect the degree of conversion of resins according to its curing time depending on the two post-curing methods. Cylindrical specimens were cured in curing machine, and degree of conversion was measured along with quantity of light used for post-curing.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ost-hoc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effect of nitrogen saturated post-curing process on color stability over time. All groups and sub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f shade according to the immersion time regardless of curing condition or staining agent. However, when comparing the effect of post-curing methods, the nitrogen group and air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ver the experiment time in wine and curry subgroup. FT-IR analysis of the resin sample was conducted and 10, 30, 60, 300, 600, 900 seconds in post-curing unit provides quantity of light of 2.552, 6.9, 20.7, 41.4, 193.2, 392.7, 564.5 J/cm2. Nitrogen group and air group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from 10~300 seconds, although degree of conversion from air group catches up with the nitrogen group in 600, 900 of post-curing time. This gap in the degree of conversion in the early stage of post-curing would have caused dense structure of resin molecules which improved color stability of specimen. This study showed that nitrogen saturated post-curing improved color stability of 3D printed crowns although 3D printed prosthesis were susceptible to discoloration. FTIR analysis showed rapid conversion rate on nitrogen saturated post-curing procedure which is thought to induce the difference.

      • Aging에 따른 임시치관용 수복물의 색조안정성

        신요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2316

        연구목적: 수종의 3D 프린팅, 덴탈 밀링 및 기존 재료로 제작된 임시 치관 수복물을 다양한 시간 간격 동안 일반적으로 소비되는 음료에 담근 후 색조 안정성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는 화학적 조성과 제조 방법이 다른 6개의 임시치관용 수복물을 사용하였다. 전통적인 재료에 해당하는 재료 2개 (AlikeTM & Luxatemp automix plus), 3D 프린팅 레진 소재인E-Dent 100, VeroGlaze)와 2개의 Milling용 PMMA 블록(PMMA DISK, Telio®CAD)을 사용하였다. 수분 흡수도 및 용해도 시험은 국제표준규격(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서 기술한 실험방법 “ISO 4049:2009, Dentistry - Polymer-based restorative materials, Water sorption and solubility”의 내용을 기초로 하였다. 색조안정성 시험은 커피와 Black Tea를 착색용액으로 사용하여 12주간 시편을 착색용액에 보관하였다. 통계 분석은 One-way ANOVA를 통하여 분석을 시행하며 Tukey HSD test 를 사후 검정으로 활용하였다. 결과: Alike와 VeroGlaze는 가장 높음 수분 흡수도를 보였고 Luxatemp는 가장 낮은 수분 흡수를 보였다. 색조 안정성 시험에서 기존 재료의 ΔE는 염색 액에 따라 달라졌다. PMMA 밀링 블록은 최대 4 주까지 상대적으로 낮은 ΔE를 보인 후 8주 후에 크게 증가했다. (P <.05). 3D 프린팅 된 재료는 높은 ΔE 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당한 증가를 나타냈다 (P <.05). 결론: 변색의 정도는 색소가 있는 음료와 관련이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다. 시각적으로 인지 할 수 있는 색차 값(ΔE)은 재료나 용액에 관계 없이 나타날 수 있으며 PMMA 밀링 재료 및 3D 프린팅 레진 소재는 8주 후에 더 빠른 변색을 나타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shade stability of provisional restorative materials through various fabrication techniques. MATERIALS AND METHODS. The following were used for the specific processing groups, 3D-printing provisional resins (E-Dent 100; EnvisionTEC, GmbH, Germany and VeroGlazeTM; Stratasys®, USA), dental milling blocks (PMMA Disk; Yamahachi Dental Co., Japan and Telio®CAD; Ivoclar Vivadent AG, Liechtenstein), and chairside materials (AlikeTM; GC Co., America & Luxatemp automix plus; DMG, Germany). The water sorption and solubility test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ISO4049:2000. For the color stability test, coffee, and black tea were used as staining solutions. Data was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verified by Tukey’s HSD using SPSS version 22.0 (SPSS Inc. Chicago, IL, USA). RESULTS Alike and Veroglaze showed the highest values and Luxatemp showed the lowest water sorption. In the color stability test, PMMA milling blocks showed a relatively low ΔE up to 4 weeks, and then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8 weeks (P<.05). 3D-printed materials exhibited a high ΔE or a significant increase over time (P<.05). CONCLUSION Color stability diminishes with time, and a visually perceptible color difference value (ΔE) was shown regardless of the materials and immersions. PMMA milled and 3D-printed materials showed more prominent change in discoloration after 8 weeks.

      • 리튬을 포함하는 복합레진(T-com)의 물리적 성질 분석

        이병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2267

        본 연구에서는 기존 광중합형 복합레진의 굴곡강도를 개선하고자 리튬 디실리케이트를 첨가하여 새롭게 제작한 T-com (Lot No. TS1804111, NexoBio. Korea)에 대한 물리적 성질 중 굴곡강도 및 흡수도와 용해도, 방사선 불투과성, 색조 안정성을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복합레진 Z- (3M ESPE. USA)과 비교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T-com의 굴곡강도는 (89.44 ± 9.71) MPa를 보였으며, 흡수도와 용해도는 (17.50 ± 0.36) μm/mm³, (1.97 ± 0.44) μm/mm³를 나타냈다. Z-의 굴곡강도는 (143.72 ± 16.54) MPa를 보였고, 흡수도와 용해도는 각각 (23.90 ± 0.46) μm/mm³, (1.57 ± 0.52) μm/mm³를 나타냈다. 방사선 불투과성의 경우, T-com은 (3.27 ± 0.25) mm를 나타냈고, Z-은 (3.57 ± 0.46) mm를 나타냈다. T-com의 색조 안정성을 의미하는 ⊿E는 (0.51 ± 0.11)를 보였으며, Z-의 ⊿E는 (1.22 ± 0.69)를 보였다. 정규성 검정을 통해 정규성을 만족한 굴곡강도, 방사선 불투과성 실험은 Shapiro-Wilk를 이용한 Independent t-test를 하였으며, 표본 갯수에 따라서는 Mann-Whitney test를 실시했다. 유의성 검정 결과 굴곡강도 외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로 볼때 굴곡강도를 제외한 흡수도, 용해도, 방사선 불투과성, 색조 안정성 모두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T-com의 굴곡강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In this study, physical properties such as flexural strength, water sorption, solubility, radiopacity and color stability of the light cured composite resin – T-com (Lot No. TS1804111, NexoBio. Korea) including 10wt% lithium disilicate was compared with z- (N894506, 3M ESPE, USA). All specimens were made under the following as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4049. As the tested results, flexural strength of T-com was 89.438 ± 9.711 MPa, that of Z- was 143.718 ± 16.539 MPa. Water sorption and solubility of T-com were 17.495 ± 1.966 μm/mm³, 0.356 ± 0.444 μm/mm³ individually. Those of Z- were 23.895 ± 1.573 μm/mm³, 0.464 ± 0.524 μm/mm³ individually. Radiopacity of T-com was 3.27 ± 0.25 mm and that of Z- was 3.57 ± 0.46 mm. According to the CIE Lab of color stability was that ⊿E of T-com was showed 0.51 ± 0.11 and ⊿E of Z- was showed 1.22 ± 0.69. Flexural strength and radiopacity results satisfing normality test were statistically evaluated with Indepent t-test using Shapiro-Wilk test. Other test results were evaluated with Mann-Whitney test. From this study, solubility and water sorption, radiopacity, color stability except flexural strength were no statistic differences and flexural strength of T-com was needed for improvement.

      • 도재수복물의 표면첨색시 온도에 따른 색조 안정성과 표면조도의 평가

        백은주 全北大學校 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32252

        The effects of oven firing on the color stability and surface texture of extrinsic stains used characterization and color modification of metal ceramic restoration were studied by comparing different temperatures and techniques. They were autoglaze technique, applied glaze technique, two step low-fusing glaze technique and one step low-fusing glaze technique. Autoglaze technique and applied glaze technique were air-fired to manufactu-rer’s recommended temperature. Two step low-fusing glaze technique is seperated staining and overglazing. Thin slurry of stain powder were air-fired to 1500°F. Overglaze powder was then mixed with stain medium and air-fired to 170 °F. One step low-fusing glaze technique is combined staining and overglazing. Thin slurry of stain and glaze powder were air-fired to 170 °F.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Slightly significant color differences by colorimeter were found between different stain application and fusion techniques (P<0.05). 2. Two step low-fusing glaze method showed the most rough surface, especially ceramco orange stain (P<0.05). 3. Surface roughness increased gradually in order of autoglaze, applied glaze, one step low-fusing glaze but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4. When two step low-fusing glaze was applied, both color measurement and surface textu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groups (P<0.05).

      • 단일 색조 복합레진의 표면 연마에 따른 색 안정성과 표면 거칠기의 비교 평가

        신혜원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3198

        단일 색조 복합레진은 자체적으로 색소를 포함하지 않고도, 일정한 크기와 간격을 갖는 filler의 미세구조에 의한 ‘구조색’ 현상을 이용하여 색조 선택 과정에서의 시간 단축과 편의성 등의 이점을 갖는다. 본 연구는 단일 색조 복합레진의 연마 이후 색 안정성과 표면 거칠기를 다색조 복합레진과 비교 평가하였다. 단일 색조 복합레진 1종과 다색조 복합레진 2종이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연마를 시행하지 않은 하위군과, 텅스텐 카바이드 버를 이용한 피니싱 및 Sof-Lex diamond를 이용한 폴리싱 과정을 거친 피니싱-폴리싱 하위군으로 나누었다. 색 안정성 실험은, 발치된 제2유구치 협면에 와동을 형성한 뒤 실험군 레진을 수복하고, 커피 용액에 48시간 동안 담가 염색하였다. 염색 전, 후로 측색계를 이용하여 각 표본의 ΔE 값의 평균을 계산하였다. 표면 거칠기 실험은, 디스크 형태의 레진 시편을 제작하고 원자 힘 현미경과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마를 시행하지 않은 하위군 간 색조 변화량 비교에서 단일 색조 복합레진은 다색조 복합레진들과 비교 시 가장 낮은 색조 변화를 나타냈으며, 피니싱-폴리싱 하위군 간 비교에서는 세 가지 레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0.0167). 연마를 시행하지 않은 하위군 간 비교와 피니싱-폴리싱 하위군 간 비교 모두에서, 세 가지 레진의 표면 거칠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0.0167). 본 실험의 결과, 단일 색조 복합레진은 다색조 복합레진과 유사한 정도의 준수한 색 안정성과 표면 거칠기를 나타낸다. 단일 색조 복합레진은 색조 선택 과정을 단순화하여 특히 협조도 문제로 짧은 술식 시간을 필요로 하는 소아치과 수복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임상적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경도, 마모 저항성 등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