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황인지 애플리케이션의 효과적인 개발도구에 대한 연구

        박종문 울산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03

        Context-aware computing, as a component of a ubiquitous computing, is a core technology that supports human-centric intelligent service using contextual information in real situations. With the advent of the IoT era, multiple billion devices can generate huge amounts of data that might be used in IoT applications. However, there are a lot of obstacles to delivering these tremendous data at the right time, to the right place and with the right quality. Also, effective development of context-aware applications using the delivered data is not an easy challenge. In this dissertation, we present two studies for supporting effective development of context-aware applications in the IoT environment. As the first part of our research, we propose a context distribution framework named SCondi utilizing the messaging service which supports MQTT. SCondi provides the notion of context channel as a core feature to support efficient and reliable mechanism for distributing huge context information in the IoT environment. The context channel is an abstract communication channel which can reliably tailor and disseminate a collection of information to service providers. Based on the MQTT messaging service, the context channel provides a pluggable filter mechanism that supports effective extraction, tailoring, authentication and security of information. Using the context channels as transport media of context-aware systems, SCondi provides a higher level abstract mechanism for information delivery in the IoT environment. As the second part, we present a toolkit named JCOOLS that effectively generates context-aware applications that work in a ubiquitous environment. To manage the complicated and various context information of users, JCOOLS adopts JCAF as the context awareness framework and programming API for creating context-aware applications. Also, to separate much of the business logic from the application source codes, we utilize DROOLS which is a JBOSS business rule management system to support a Java rule engine API (JSR-94). Based on JCAF and DROOLS, JCOOLS enables developers to define contexts and actions as context rul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contexts. Based on the definition of contexts, JCOOLS also generates abstract program codes for the development of context-aware server and client applications, which enables users to effectively develop a variety of context-aware services. Keywords: Internet of Things, Context-aware Computing, Context Data Distribution, Context Channel, Messaging Service, Inference Engine, MQTT, M2M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중요한 부분인 상황인지 컴퓨팅은 실제 환경의 여러 상황정보를 이용하여 인간중심의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핵심 기술이다. IoT 시대의 도래와 함께, 수십억의 장치로부터 IoT 응용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막대한 양의 정보가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의 품질을 보장하면서 적절한 시기에, 올바른 장소로 전달하고, 이를 활용하여 상황인지 애플리케이션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개발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IoT 환경에서 상황인지 애플리케이션의 효과적인 개발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두 종류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MQTT 메시징서비스를 활용하는 상황정보 분배 프레임워크인 SCondi를 소개한다. SCondi는 IoT 환경에서 막대한 양의 상황정보를 분배하기위한 효과적이고 신뢰성 있는 메커니즘을 지원하는 핵심기능으로 Context Channel을 제공한다. Context Channel은 상황정보를 안정적으로 서비스 공급자에게 전달하는 추상화된 통신채널로서 MQTT 메시징 서비스를 기반으로 상황정보의 효과적인 추출, 처리, 인증, 보안 등을 지원하는 필터체인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SCondi는 IoT 환경에서 상황인지 시스템에서의 전송매체인 Context Channel을 활용하여 상황정보 분배를 위한 고수준의 추상화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상황인지 애플리케이션을 효과적으로 생성하는 도구인 JCOOLS를 소개한다. JCOOLS는 복잡하고 다양한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관리하고 애플리케이션 구현을 위한 API를 제공하는 상황인지 프레임워크인 JCAF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내부에서 구현되는 비즈니스 로직을 애플리케이션의 소스코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DROOLS를 이용한다. DROOLS는 자바 규칙엔진 API(JSR-94)를 지원하는 JBOSS 비즈니스 규칙관리 시스템이다. JCAF과 DROOLS를 기반으로, JCOOLS는 프로그램 개발자가 상황정보와 상황정보의 변화에 대응하는 Context Rule을 정의하도록 지원한다. 이와 더불어 정의된 상황정보를 기반으로 상황인지 서버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작성을 위한 추상화된 프로그램 코드를 생성하여 다양한 상황인지 서비스의 효과적인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상황정보 공유 프레임워크의 설계 및 구현 : MoCE (Mobile Context Explorer)

        정성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rough the proliferation of the mobile devices, sensor devices, and wireless networks, computing environments are becoming ubiquitous. This trend is beginning to generate new service concepts of sharing contexts in the mobile environment. These new services make context management in the mobile environment important to providing more convenient services to the user.To gather context data, a context-based service first discovers the context providers within the predefined area via a wireless network. The service then transfers context data of several types from the context providers it discovers. This context sharing, however, requires standard information model and communication protocols to transfer context data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Moreover, various complex functionalities are required to manage context data in the mobile environment.In this paper, the MoCE(Mobile Context Explorer) architecture is proposed to support rapid development of context-based services with sharing contexts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in the mobile environment. MoCE uses abstract information modeling with encoding based on XML syntax to express context data. Context discovery protocol is designed to discover context providers and context transfer protocol is designed to transfer context data. These two protocols support communication with heterogeneous devices in the mobile environment for sharing context in MoCE. Moreover, MoCE provides additional functionalities for context management, such as context database, context provider repository, and location detection manager.MoCE was used as a context-sharing framework of the U-Town service in the Ubiquitous computing TOwn Project: Intelligent Context Awareness (UTOPIA) at Yonsei University. The U-Theme Park prototype in the U-Town service was based on a MoCE framework. In the near future, MoCE will be used as a framework for context-based services in the various environments of the UTOPIA Project and MoCE will improve continuously to provide more efficient communication and development support for the environments in UTOPIA. 빠른 속도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으로 진입하고 있는 현재의 컴퓨팅 기술은 모바일 기기의 급속한 확산, 다양한 센싱 장치의 보급, 무선 네트워크의 비용 감소와 같은 모바일 환경에 대한 인프라의 확충으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신 개념의 서비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신 개념의 서비스에서 상황정보의 관리와 이용은 중요한 기술적 요소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상황인지 기반 서비스는 디스커버리를 통하여 주변에 존재하는 컴퓨팅 장치를 검색하고 상황정보를 전송받는다. 그렇지만 이질적인 장치와 다양한 플랫폼 간의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상황정보의 공유는 표준화된 정보모델과 데이터 전송 방법이 필요하며 여러 가지 복잡한 기술적 요소를 처리하여야만 한다.본 논문에서는 빠르고 쉬운 상황인지 기반 서비스의 개발을 위하여 모바일 환경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질적인 장치간의 상황정보를 공유하는 MoCE(Mobile Context Explorer) 아키텍처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MoCE 아키텍처는 추상화된 정보모델을 설계하여 XML 문법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인코딩하여 사용하였으며 상황정보의 공유를 위하여 상황정보 디스커버리 프로토콜과 상황정보 전송 프로토콜을 설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상황정보 관리를 위한 부가 기능으로서 상황정보 데이터베이스, 상황정보 제공자 저장소, 모바일 기기의 위치 탐지 기능을 제공하였다.MoCE 아키텍처는 연세대학교 UTOPIA 프로젝트의 U-Town 서비스의 상황정보 공유를 위한 프레임워크로 사용되었으며 U-Theme Park 서비스 프로토타입의 개발에 이용되었다. 향후 MoCE 아키텍처는 UTOPIA 프로젝트의 다양한 환경에서 상황인지 기반 서비스의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로 사용되어 지속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 유비쿼터스 지능공간 재설계 시 상황정보를 활용한 공간분석방안에 대한 연구

        고득호 서강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유비쿼터스 컴퓨팅기반의 정보시스템 구축은 H/W와 S/W융합의 관점에서 구현 되어져야하며 이를 수행함에 있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혹은 하부시스템)의 능동적인 작동, 지능공간의 개념, 그리고 상황정보의 식별과 상황정보에 따른 상이한 서비스의 제공 등을 특히 중요한 요소로 언급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실시하고 있는 BPR방법론은 프로세스 중심의 방법론으로 상기 유비쿼터스 컴퓨팅기반의 정보시스템 구축에 중요한 요소들을 감안하지 않음으로 실제 시스템구축 사업 시 적지 않은 서비스 오류 및 추가장비 도입으로 인한 수행비용 증가가 발생하고 있음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된 BPR-USS 방법론수행의 내부 절차인 공간분석방안에서 제시되지 못한 상황정보에 대한 명확한 표현과 이를 활용한 새로운 공간분석방안을 IDEF0모델링기법을 활용하여 제시하고 To Be모델에 대한 타당성분석방안을 기기간 상호운용성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또한 사례검토를 통하여 제안된 기법에 대한 분석,검토를 실시하였다. 지능공간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은 시스템 활동(기능)들에 의하여 그 내용이 결정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활동들을 제어하는 제어요소(Control)로 상황정보를 활용, 상황정보에 따른 패턴(Rule)의 형태를 정의하였고 해당 패턴(Rule)에 의하여 동일한 활동임에도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됨을 확인 하였다. 또한 공간분석 시 제시된 데이터스키마를 활용하게 되면, 각 분석 데이터간 정합성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특정관점에서 타당성분석을 수행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ubiquitous computing must be implemented by fusion concept of hardware and software. And important elements for above information systems are such that the active machines for services and the conceptual smart space and identification of contextual information and special services depended on contextual information.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method which is oriented to process for developments of information system will make over-costs and some faults in ser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accurate definition of contextual information and new method for space analysis using IDEF0 modeling and method of validity(an aspect of interoperability) for To-Be smart space in constrast to BPR-USS(BPR for ubiquitous smart space). This study also provide results of case study. This study defines the format of the rule by contextual information and verify the differential service by rule in spite of same activity. The services provided in smart space depend on activity, this study used contextual information for control factor in that activity. And space analysis by using proposed data scheme may guarantee integrity for each of analysis data and can do validity at a specific views.

      • 모바일 컴퓨팅 환경에서의 상황정보 디스커버리 프로토콜 설계

        강범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87

        Current computing environment is evolved to Ubiquitous computing due to rapid increase in the usage of mobile device and the pervasiveness of wireless technology. This trend is beginning to generate new service concepts of sharing contexts in the mobile environment. These new services make context management in the mobile environment important to providing more convenient services to the user.In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the service that is in user device can provide reflection of continuous change of context. Therefore a context-aware service first discovers the context providers within the predefined area via a wireless network. It is possible to use service discovery protocol such as Jini, SLP, DEAPspace in developing a context-aware service. If the discovery protocol will be used to develop context-aware service, it is not only necessary to need centralized registry, but also generates amount of network traffic needed to advertise dynamic context to mobile device in the vicinity. In this paper, to solve these problems, proposed Context Discovery Protocol is designed to distributed discovery protocol using peer-to-peer mechanism without Registry. Also this paper shows that advertise context to member node in group using UDP unicast to use limited broadcast, which generates heavy network traffic. 현재의 컴퓨팅 환경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급속한 확산과 무선 네트워크의 결합을 통하여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으로 진화되어 가고 있다. 최근에는 수많은 새로운 형태의 디바이스와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으며 이는 소형화, 착용화, 지능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서비스는 사용자의 상황정보와 연관하여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모바일 컴퓨팅 환경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서비스가 주위 환경의 지속적 변화를 반영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황인식 기반 서비스는 주변에 존재하는 상황정보 제공자를 검색하여 상황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 Jini, SLP, DEAPspace 등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몇몇 아키텍처가 사용가능하다. 이런 아키텍처들을 상황정보 기반 서비스에 사용한다면 중앙 집중적인 Registry의 존재가 필수적으로 요구될 뿐만 아니라 다이내믹한 상황정보의 변화를 알리기 위한 Broadcast의 사용으로 많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유발하는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상황정보 디스커버리 프로토콜은 Registry가 존재하지 않는 peer-to-peer방식의 분산 디스커버리 프로토콜로 디자인 되었다. 또한 네트워크 트래픽의 부하를 증가시키는 Broadcast의 과용을 막기 위해 제안된 상황정보 디스커버리 프로토콜은 그룹의 멤버 노드에게 UDP Unicast를 이용하여 변화된 상황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황정보를 이용한 추천 시스템 설계

        송창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70

        인간은 상황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추천 시스템에 관한 기존 연구들에서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몇 가지 메타데이터(장르, 아티스트 등)만을 내용기반 필터링으로 분석하여 이용함으로써 적절한 상황을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들어 환경의 몇 가지 상태(온도, 습도 등)변화를 적용한 추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상황으로서 이해하기는 부족한 실정이다.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물리적인 환경, 상황 등을 시스템이 인식하고 이에 따라서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지원하는 서비스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존연구에서의 메타데이터는 물론 상황정보를 동적으로 반영하여 사용자가 더욱 만족할 수 있는 결과를 추천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피드백이 가능함으로써 더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추천에 필요한 상황정보를 정의하고 내용기반 필터링 기법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취향과 상황에 적합한 추천 시스템을 설계한다. 설계하는 추천 시스템에서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황정보를 인식하기 위해 OSGi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이동성 및 분산처리를 지원하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추천에 대한 콘텐츠로는 흔히 접할 수 있는 음악을 선택하여 국내외에서 제공되고 있는 추천 사이트들과 비교한 결과 추천시간이 줄어들었음은 물론 재사용률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eople affected by the context. However, previous researches on the recommendation system have the problem that they didn’t consider the proper contextual information efficiently. They only used the content-based filtering or the method to use musical metadata (genre, artist, etc.). Recently, there are some researches about the music recommendation system which applies the status(temperature, humidity, etc.) of environments. But, it is difficult to be accepted by the contextual information. The home network environment focuses on recognizing the context and physical entities were mainly focused on the conversational interactions between the computer and the user. Therefore, we propose the recommendation system in the home network that is dynamically applied by the contextual information as well as the metadata in the previous researches. And the system can provide users with the result that they want to listen to, and then the users can be more satisfied. Also, the services can be improved by the feedback of the use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text-information for selecting a music list is defined and the music recommendation system is designed by using the content-based filtering method. The system is suitable for the user’s taste and the context. This recommendation system is implemented on the OSGi framework in the home network. As a result, the satisfaction of users and supports will be improved more efficiently by supporting the mobility as well as the distributed processing.

      •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개인 상황 정보를 활용한 집단 상황 추론 방법론: 집단 응집성 추론을 중심으로

        김종옥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69

        인식컴퓨팅(Aware computing)은 환경에 대한 시의적절한 반응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자동적이고 효율적으로 인식하기 위한 연구 분야로서 안전, 상거래, 의사결정지원시스템 등 매우 다양한 응용 영역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응용분야 중 상당수는 개인 차원뿐 아닌 집단 수준의 상호작용을 지원하게 한다. 집단 내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집단 역학과 같은 특수한 현상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역할, 갈등, 권력, 규범 등과 같은 집단의 속성에 대한 획득 및 이를 근거로 한 효과적인 집단 상호작용이 중요하다. 그런데 집단은 개인의 단순 합이 아니듯이 집단 상황도 개인 상황의 단순 합으로 획득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인식 컴퓨팅은 개인 상황 대한 인식에 집중되어 있고, 집단만이 가지는 고유한 상황 정보에 대해 인식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거의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 상황정보를 활용한 집단 상황(group context)을 추론하는 방법론을 새롭게 제안하는 것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집단 응집성의 추론에 집중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물리적 센서(physical sensors) 또는 논리적 센서(logical sensors)로 측정 가능한 요소를 인식하고 그로 이루어지는 사례기반 추론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을 시행하여 기존 집단 응집성을 측정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Aware computing is a research field that enables automated and effective information analysis required for well time reaction. It is applied in safety, business transaction and decision support system. Many of the such applications enable beyond individual unit level transactions. For smooth communication within a community specific issues such as Group Dynamics must be considered. For this, it is important to gain information of the group such as the role, conflict, power, standards and utilize it for effective group level transaction. However, as a 'group' is not a simple sum of individuals, group contexts are not a sum of those of individuals. Yet, aware computing so far has been focused on the individual contexts and despite the necessity on the research of group situations further research on the latter has not been as aggressive as it should've been. Thus, the purpose of the following research is a proposal of methodology on recognizing the group context. Especially, it will concentrate on realization of group coherence. For it, a new Case-based deductive reasoning system has been conjectured upon which informations calibrated by physical sensors or logical sensors will be analyzed.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introduced methodology

      • 情報化時代 警察情報의 發展方案에 관한 硏究

        이주민 延世大學校 行政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5

        오늘날 우리는 자본과 자원이 중요시되는 산업사회에서 벗어나 컴퓨터와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지식과 정보의 가치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시되는 정보화사회에 살고 있다. 정보화사회는 사회 전반에 걸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정보가 폭증하고, 노동과 삶의 형태·산업구조·사회조직원리가 변화하며, 참여민주주의가 발달한다. 경찰행정 분야도 변화에 있어서 예외는 아니다. 그중 국가안전을 침해하는 개인이나 단체의 불법행위를 예방하는 경찰작용인 정보경찰은 특히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정보경찰 환경의 주요한 변화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정보원의 국내 정보활동이 제한되고, 군 정보기관도 군 내부 및 대북 정보활동에만 종사하도록 업무가 조정되어 국내정보에 관한 한 경찰정보의 활동 영역이 확대되었다. 둘째, 매스미디어가 발달하고, 인터넷이 폭발적으로 보급됨에 따라 공개정보를 통한 정보수집 및 분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셋째, 지방자치제의 실시로 기존의 중앙집권적인 행정 행태가 크게 변하고, 지방행정에 대한 주민 참여와 요구수준도 갈수록 높아져 집단민원·지역갈등 등이 급증함으로써 정보경찰의 역할과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넷째, 언론·기업 등 민간부문의 정보수집 및 분석능력이 국가정보기관을 능가하고, 신속성·전문성·적시성 등에서 앞서가는 등 민간부문의 정보역량이 비약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다섯째,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히 발달함으로써 다방면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정보가 다량으로 유통되므로 정보경찰의 업무가 증가하고 있다. 여섯째, 시민단체의 역할이 확대되고, 그 위상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일곱째, 민주화에 따른 국민 의식수준의 향상으로 정보경찰의 활동이 법적·제도적으로 엄격하게 통제되고 있다. 여덟째, 과거 정치적·사회적 혼란기에는 재야·학생운동권의 민주화 투쟁 과정에서 발생하는 반정부 집회·시위가 대부분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삶의 질’에 대한 관심 고조로 노조와 시민·사회단체들의 활동이 두드러지고, 집단민원이 빈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경찰정보 환경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정보경찰은 이러한 환경 변화에 둔감한 나머지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했고, 그 결과 정보경찰의 경쟁력이 떨어지고, 잘못된 관행의 답습으로 인하여 국민적 불신과 비난을 초래하는 경우까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정보화시대를 맞아 세계 여러 나라의 정보기관과 국가정보원 등 국내의 정보기관, 언론·기업 등 민간의 정보력이 급신장하고 있다. 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체제를 갖추었기 때문이다. 이제 정보경찰도 정보화시대에 걸맞게 변화해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정보경찰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정보경찰이 안고 있는 문제점은 크게 두 가지로, 첫째는 치안정보의 한계와 정보수집활동의 근거가 경찰작용법에 구체적으로 명시돼 있지 않아 정보활동의 적법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인권침해 및 사찰 등의 논란을 낳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는 상황정보에 치중한 나머지 분석기능 미약, 다단계 보고체계로 정보의 신속성 저해, 범죄정보 수집활동 소홀, 공개정보와 최신장비 활용 저조, 전문성 부족, 인사·실적관리 시스템 미비, 정보자료 관리체계 미흡, 건수 위주의 첩보수집과 같은 잘못된 관행 답습 등으로 인해 정보활동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정보경찰은 국가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 침해의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고 사회의 기본질서를 유지하여 개인의 법적 안전을 도모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정보경찰이 이러한 역할에 충실하려면 정보활동의 적법성이 충분히 확보돼야 하고, 업무의 효율성도 한층 높아져야 할 것이다. 정보활동의 적법성 확보를 위해 독일의 경우처럼 경찰작용법에 경찰의 정보활동에 대해 자세하고 구체적으로 규율해야 한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집회·시위 채증에 대한 법적 근거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정보활동 과정에서 국민의 프라이버시권을 침해하지 않도록 정보활동에 대한 행동규범을 확립하여 모든 종사자들이 이를 준수하게 할 필요가 있다. 정보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책정보 기능 강화, 보고체계 단순화, 범죄첩보 수집활동 강화, 공개정보 적극 활용, 첨단장비 확보, 교육강화 및 전문성 제고, 시민단체와의 협조체제 구축, 인사·실적관리시스템 개선 등이 필수적이다. 아울러 장기과제로 자치경찰제 도입, 수사권 현실화, 남북통일에 대비하여 조직체계를 개편하고 관련법령 정비 방안 등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oday, we are living information society that departs from the industrial society that makes much of fund and resources, instead, lays stress on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science,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value of knowledge & information. This information society has brought about a great change across the whole society. The amount of information is drastically increasing, forms of human labor and human life styles·structure of industry·principle of social organization are changing, and participating democratism are developing. The area of police administration is not exceptional, either. Among the police-related matters, the functions of Intelligence Police are hanging, of which main roles are preventing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illegal actions that violate the national security. Main environmental changes of Intelligence Police are as follows; First, intelligence activities of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are limited in the domestic land, the functions of the military secret service are range within the inside matters related with the army and the intelligence activities toward the North Korea, so that the area of the Police's activity is expanded in the matters of domestic land. Second, the mass-media has been developed continually, the internet has been also used by many people,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collecting and analyzing open information is being emphasized. Third, the system of local autonomy has been executed, so that the existing administrative ways are changing their directions, the level and quantity of residents' participation in matters of local administration are increasing continually. Petitions by citizens·discords among regional districts are increasing also. Consequently, the role as well as necessity of the Intelligence Police is emphasized. Fourth, the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abilities of organs of public opinion, enterprises, and citizenry organs stand above those of the national secret intelligence service, furthermore, citizenry rapidity·speciality·timeliness are very advanced in this information-related area. Fifth, the level of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is highly advanced, which have a great affect on most areas in the society. And a lot of information is being distributed, consequently, the amount of the Intelligence Police is increasing, too. Sixth, the role of citizenry organs has been expanded, and their status has been emphasized, also. Seventh, democratization made the thinking level of citizens strengthened, and activity of Intelligence Police is controlled by the law and social system. Eighth, the public opinion doesn't allow illegal and violent demonstrations gradually, instead, the demonstration is shown in new and different ways, for example, individual demonstration or cyber demonstration. Ninth, during the past disorderly age with political, social problems, the demonstrations were mostly displayed in the forms of ant-governmental gatherings that were caused by democratization-struggles of outside-governmental groups or students. Today, people's concern about 'living standards' is increasing, so that activities of the labor union, citizenry organs, and other social organs have been increased and mass petition has been shown by civil organs. In this way, environmental changes of Intelligence Police are being shown rapidly. However, the actual conditions are that the Intelligence Police themselves have been insensitive to and have not prepared for these environmental changes, consequently, the Intelligence Police's competitive power has not been developed well, and their following wrong customs has caused people's distrust and censure. In this information age, both the citizenry and national powers of dealing with information have been increased over the whole world, in such organs as each nation's secret intelligence servic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in Korea, organs of public opinion(mass media), and other enterprises. Because they bega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and to prepare the system that positively applies computer system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Now, the Intelligence Police should change its attitudes corresponding to this information society. in this sense, the problems of the Intelligence Police were investigated and corresponding developmental methods were groped for as follows. The main problems of the Intelligence Police are as follows; The first problem is that the information concerning public security information is limited, the grounds of collecting information are not clarified in the operative law of the Police, so that lawfulness of intelligence activity has not secured sufficiently. This first problem has caused the question of violating human rights as well as needless inspections. Second, they have made too much of circumstantial information, consequently, efficiency of intelligence activities became to fall off; wrong ways of activities are insufficient analysis ability, checking rapidity of information delivery by multi-report-system, unfaithful crime-related information-collecting activities, insufficient open information, insufficient up-to-date equipments, insufficient specialty, defective personnel management, inadequate positive achievement management, unsatisfying management system of collected data, number of cases centered intelligence reports(secret information), etc. The Intelligence Police takes an important role of removing any invasion elements in advance, maintaining the basic orders in the society, protecting individual security in the legal side, which are for the purpose of confirming the national security. In order that the Intelligence Police could perform their duty faithfully, lawfulness of their intelligence activities should be guaranteed, and efficiency of duty need be enhanced, all the more. For the sake of guaranteeing their intelligence activities' lawfulness, their(the Intelligence Police's) activities should be minutely and concretely regulated by the operative law of the Police as in Germany. Also, the problems of increasing mass-gatherings, demonstrations should be grounded by the law. The intelligence activities must not violate citizens' privacy, behavioral standards of those intelligence activit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all people should observe them. In order to increase efficiency of intelligence activities, the most necessary things are enhancing the functions of policy and information, simplifying the reporting system, strengthening crime collecting activities and espionage activities(collecting secret information), applying open information actively, maintaining up-to-date equipments, enhancing education and specialty,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of citizenry organs, improving the personnel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etc. Additionally, more long-term tasks are introducing the autonomy police system, actualizing the right of criminal investigation, reorganizing the national systems preparing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nd setting all related regulations in good working order.

      • 가맹사업법상 거래공정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 계약체결 및 종료단계를 중심으로

        정진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55

        2002년 가맹사업법이 제정된 이후 지속적으로 법제가 보완․개선되어 왔지만 아직까지 건전한 가맹사업 거래질서의 확립은 그 달성이 요원한 사회적 과제로 머물고 있다. 더구나 2010년대 들어 경제민주화가 사회적 화두로 부각되어 가맹본부의 불공정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강력한 제도들이 도입되었음에도 가맹본부의 불공정행위는 계속되었고 오히려 그 행위의 악질성이 심화된 것으로 평가된다. 그 결과 최근에는 정부에서 하도급, 유통, 대리점 등 분야에 앞서 가맹분야가 핵심적 개혁대상이 되어 관련 개혁이 진행되었고,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이전보다는 거래관행이 개선되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가맹분야는 많이 기울어진 운동장이고 가맹본부와 가맹점사업자 간 갈등도 계속 노정되는 등 가맹분야에서의 거래공정화를 위해서는 갈 길이 멀다. 본 연구는 갈 길이 많이 남은 가맹분야에서의 거래공정화를 위하여 법제 개선에 초점을 맞추어 입법론을 제시함으로써 건전한 가맹사업 거래질서 확립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가맹사업법제를 개선․보완함에 있어 미국, 호주 및 일본 3개 주요국 법제와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가맹사업거래의 계약체결․존속․종료의 3단계 중 계약체결․종료단계에 해당하는 부분의 입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가맹사업의 불공정거래는 근본적으로 가맹본부와 가맹희망자․가맹점사업자 간 정보력과 교섭력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우선 정보력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가맹계약 체결단계에서 가맹희망자에게 충분하고 진실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다음 교섭력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가맹점사업자의 관계특수적 투자에 따른 고착효과를 악용한 가맹본부의 계약해지․갱신거절의 위협을 방지하는 것이 실용적인 방법이 되는데, 이는 가맹계약 종료단계의 규율에 해당한다. 따라서 우리나라 가맹사업거래의 공정화를 위해서는 가맹계약 체결․종료 단계의 법제 개선이 중요하고 시급한 것이기에, 본 연구도 가맹계약 체결․종료 단계에 대하여 그 입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가맹계약 체결단계에 있어 핵심이 되는 정보공개제도와 관련하여, 현행 및 기존 가맹점사업자 목록, 가맹점사업자단체 및 협력기금․협동조합의 현황․내용 등을 정보공개사항으로 추가할 것을 입법론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정보공개서 등록심사 시 심사의 질을 제고할 수 있도록 실질심사 기준을 확충하는 등 정보등록․공개절차를 보완하며, 가맹본부의 정보등록의무 위반을 직접적으로 제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정보등록․공개의무를 위반한 가맹본부의 책임성을 강화할 것을 제시하였다. 다음 가맹계약 체결단계에 있어 정보공개제도의 이면(裏面)에 해당하는 허위․과장 정보제공 금지제도와 관련하여, 가맹사업법령을 개정해서 금지되는 부당한 정보제공행위의 범위를 확대하여 규율의 사각지대를 없애되 부당한 정보제공행위가 지니는 부당성의 경중을 고려해서 부당성 정도에 따라 그 제재․책임을 달리 적용할 것을 입법론으로 제시하였다. 더불어 가맹본부의 수익상황 관련정보 제공 시 현재 의무사항이 아닌 근거자료 제공을 의무화하며 가맹본부가 수익상황 관련정보를 구두로 제공하거나 근거자료 없이 제공하면 실체적 불이익을 받도록 하는 등의 제도개선을 제시하였다. 한편 가맹계약 종료단계에 있어서는 가맹사업법에서 규율하고 있는 2가지 사항 중 하나인 가맹본부의 계약해지 제한제도와 관련하여, 가맹본부에 의한 계약해지 시 현재 2회 이상으로 되어 있는 해지통지 횟수 규제는 없애되 유예기간 외 30일 이상의 합리적인 시정기간을 새로 마련하는 등 절차적인 면을 합리화하는 입법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내용적인 면에서 합리적이지 않거나 중요하지 않은 계약상 의무를 가맹점사업자가 이행하지 않은 것을 이유로 가맹본부가 계약해지를 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일반조항을 마련하며, 가맹본부의 계약해지 시 가맹본부에게 환매의무를 부여하는 등의 제도개선을 제시하였다. 다음 가맹계약 종료단계에서의 가맹본부의 갱신거절 제한제도와 관련하여, 가맹점사업자의 갱신요구에 대한 가맹본부의 거절사유를 구체화하는 등 계약갱신요구제도를 보완할 것을 입법론으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가맹본부의 선제적 갱신거절이 남용되지 않도록 내용적 제한을 설정하며, 가맹본부의 계약해지처럼 갱신거절에 대하여도 가맹본부에게 환매의무를 부여하는 등의 제도개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입법론이 반드시 정답이라고 볼 수는 없으며, 그보다는 가맹사업법제의 발전을 위한 화두를 던진 것으로, 본 연구를 기화로 활발한 후속 연구와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Since the enactment of the Korean Fair Transactions in Franchise Business Act(hereinafter "KFTFBA") in 2002, the legal system has been supplemented and improved continuously, but the establishment of a fair trading order in franchising remains an ongoing challenge. As economic democratization has become a social agenda since the 2010s, a number of strong measures have been introduced to prevent unfair acts by franchisors. However, it is regarded that the unfair practices of franchisors have continued and the level of maliciousness has rather increased. Under these circumstances, recently the franchise business sector has become a key area of the government’s reform agenda, given priority over other areas such as Subcontracting, Distribution and Dealership. With these efforts, there have been some improvements in trade practices compared to that of the previous ones. But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unlevel playing filed in the franchising sector and conflicts arising between franchisors and franchisees, there is still a long way to go in order to establish fair transaction practices in the franchising se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mmend legislative changes contributing to establishing fair franchising practices in Korea. The author intended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among Korea, the USA, Australia, and Japan by examining different legal regulations surrounding the franchising sector, in an attempt to propose a new legal model which focuses on the recruitment and termination stages among the three stages in the franchising contract life cycles, the recruitment, maintenance and termination. Unfair practices in franchising stem from information asymmetry and inequality of bargaining power between franchisors and real or prospective franchisees. First of all, in order to solve asymmetric information problem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fficient and true information to prospective franchisees at the recruitment stage of franchising contract. Next, preventing threats of termination or nonrenewal by franchisors who are abusing lock-in effects of investments by franchisees can be an effective measure to improve inequality of bargaining power. Therefore, for the fair transactions in Korean franchising business, it is important and urgent to improve the legal system at the recruitment and termination stages. Therefore, this study recommends legislative changes focusing on the recruitment and termination stages of franchising contract. In regards to the franchise disclosur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olicy means in the beginning stage of the franchise business transactions, the author suggests adding information such as a register of previous and current franchisees, basic facts on franchisee associations, cooperative funds and current status of cooperatives to the list of mandatory disclosure items. And this study suggests to redeem weak points in the franchise registration and disclosure process such as reviewing the franchise disclosure documents substantially. This study also proposes to strengthen liabilities of franchisors. For example, it shall be prohibited from making franchise business offers and sales by a franchisor if the aforementioned franchisor does not register the franchise disclosure document. Current regulations on the disclosure of false or misleading information inducing transactions need to be strengthened by extending the range of offences so that they can cover all the possible variations of unconscionable schemes that franchisors might come up with. At the same time, franchisors shall be held responsible and penalized according to the seriousness of the act committed by them. With respect to preventing unrealistic and overstated profit projections, it is desirable that it should become mandatory for a franchisor to provide supporting data for projected profit in written form and any violations thereof be liable to a substantive penalty. In regards to the termination stage of franchising contract, this study recommends to improve a provision stipulated by the KFTFBA on limitation of termination in franchising contract by rationalizing the process of termination. Current provisions stipulate that the franchisors should make a notice more than 2 times to franchisees when terminating franchising contract, but a recommended legislation suggests to eliminate the number of notice provisions and introduce a reasonable cure period of 30 days or more besides a grace period of 60 days or more. The author advises that KFTFBA should be amended to ensure that a franchisor cannot repudiate the franchise agreement when the franchisee's non-performance is minor or the contract term in question is unreasonable and also to impose a post-termination repurchase obligation on franchisors. Additionally, regarding the limitation on nonrenewal of a franchise, this study gives recommendations for rationalizing the process, contents and compensation of nonrenewal by franchisors. For example, this study suggests to put more restrictions on the nonrenewal reasons by the franchisors when franchisees request renewal. It also suggests that the repurchase liability towards franchisors should be introduced when the franchisors refuse to renew the franchising contra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wide open to debate and it is hoped that they can pave the way for further improvements in understanding and adopting wise policies and strategies to deal with franchi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