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Influence of Board of Directors’ Background Characteristics on the Risk-taking of Commercial Banks : Empirical Analysis Based on Commercial Banks in Korea and China

        장민 우석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stable operation of banks is vital to the healthy operation of each country's financial and economic systems. If commercial banks are facing a crisis, they will inevitably cause strong damage to the financial and economic systems. The financial crisis that occurred in 2008 is an example. The excessive risk of commercial banks in the United States is widely believed to be the trigger for the crisis. In recent years, the intensification of global financial market volatility, the expansion of China's financial openness, and the strengthening of regulatory supervision have put forward higher requirements for risk management of commercial banks in China. The board of directors is the core and key human capital element of the bank's internal governance and risk management. As the core of bank governance, the bank's board of directors is the final decision maker of bank risk decisionmaking, so their decision-making behaviour determines the bank's risk-taking level. However, board members are not always rational and their decisionmaking behaviours are influenced by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cognition, risk appetite, and overconfidence,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board members. Therefore,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board members, including age, education level, social capital characteristics and related heterogeneity characteristics, affect the bank's risktaking through influencing their decision-making behaviour. However, current research on bank risk taking is less concerned with this aspect. The appointment and selection of board members of commercial banks in China and Korea are different due to country differences. Therefore,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board members in two countries may reflect different cognitions, values and risk preferenc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board members on the risk-taking of commercial banks in different national conditions by selecting commercial banks in China and Korea as research samples. Based on the upper echelon theory, information decision theory, social identity theory and risk preference theory, this study selected the data of 43 commercial banks in China and Korea from 2011 to 2018 as the research samples􀀅and conducted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 of the basic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 heterogeneity of board members on risk-taking of commercial banks in China and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used the average age, the average education degree, political capital, financial capital and non-financial capital of the board members as indicators of the basic background characteristics, selected age heterogeneity, education degree heterogeneity, professional background heterogeneity and industry background heterogeneity as indicators of board members' background characteristic heterogeneity, used the non-performing loan ratio as an indicator to measure the risk-taking level of commercial bank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Eviews10.0 software.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1) Both the average age and age heterogeneity of the board of directors, a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isk taking of commercial banks in China and Korea. (2) In Korea, the education degree of the board of directors i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risk taking of commercial banks. While in China􀀅 this impact is not significant. In addition, the education degree heterogeneity i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isk taking of commercial banks in China􀀅but this impact is not significant in Korea. (3) The political capital of the board of directors i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isk taking of commercial banks in China, while in Korea this relationship is positively related. (4) The financial capital of board members i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isk taking of commercial banks in China, and this relationship has also been verified in Korean city commercial banks. (5) In Korea, the non-financial capital of board members i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isk taking of national commercial banks, and this negative relationship has also been verified in city commercial banks in China. (6) The influence of the professional background heterogeneity of the board of directors on the risk taking of commercial banks is not significant both in China and Korea. (7) The industry background heterogeneity of board members i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isk taking of commercial banks in both China and Korea. This study constructed the analysis framework of commercial banks' risk tak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board of directors, which provided a new research perspective for bank risk-taking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of great reference value for the rational construction of the boards of directors of commercial banks and the improvement of the bank risk control level in China and Korea. 은행은 국가의 경제시스템에서 금융자원의 유통과 분배를 가능하게 하는 관건이며, 은행기능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것은 경제시스템의 건전한 작동에 매우 중요하다. 은행이 위기에 직면하게 되면 금융과 경제시스템에 강력한 파괴를 초래할 것이고 지난 2008년에 발생한 금융 위기가 그 한 예로 볼 수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전세계 금융시장의 파동의 심화, 중국의 금융분야 대외개방의 확대, 그리고 감독기구의 은행에 대한 감독의 강화는 중국 상업 은행의 리스크 관리능력에 대해 더 엄격한 수준을 요구하고 있다. 은행 이사회는 은행 내부 관리와 리스크 관리의 가장 핵심적이고 중요한 인적자본요소인 동시에 은행 리스크의 최종 책임자이자 의사결정자로서 그들의 의사결정행위가 은행의 리스크 부담 수준을 결정한다. 그러나 이사회 구성원들이 항상 이성적인 것은 아니며 그 의사결정 행위는 인지, 위험선호, 과도한 자신감과 같은 심리적 특징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심리적 특성들은 이사회 구성원들의 배경적 특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이사회 구성원의 배경 특성은 연령, 교육 정도, 사회적 자본 특징 등은 그 의사결정 행위에 영향을 미치면서 은행의 위험 부담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은행 리스크 부담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많지 않으며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중한 양국의 상업계 은행 이사회 구성원의 선임은 국가 간의 차이로 인해 일정한 차이점이 있으며 따라서 양국의 상업계 은행 이사회 구성원의 배경 특징에서 반영되는 인식, 가치관, 리스크 선호도 등에는 일정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중한 양국의 상업계 은행을 대상으로 하여 서로 다른 금융환경 하에서 이사회 구성원의 배경 특징이 상업계 은행의 위험 부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고 경영층 이론, 정보 의사결정 이론, 사회 정체성 이론 및 리스크 선호도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2011년부터 2018년까지의 중한 양국의 43개 상업계 은행의 데이터를 연구 표본으로 사용하여 상업계은행 이사회 구성원의 기본적인 배경 특징 및 이사회 구성원의 배경 특징 이질성 두 가지 측면으로부터 은행의 위험부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는 이사회 구성원의 평균 연령, 평균 학력 수준, 정치자본, 금융자본 및 이사회의 비금융자본을 이사회의 기본적 배경 특징을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하였고 연령 이질성, 학력 이질성, 전공 배경 이질성 및 업계 배경 이질성을 이사회 구성원의 배경 특징 이질성에 대해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하였다. 상업계은행의 위험부담 수준에 대해서는 부실대출율을 평가 지표로 사용하였고 Eviews10.0을 이용하여 다원회귀분석을 진행한 실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국과 한국의 경우, 이사회 구성원의 평균연령과 연령의 이질성은 상업계 은행의 위험 부담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 (2) 한국의 경우, 이사회 구성원의 교육수준은 상업계 은행의 위험 부담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중국의 경우, 이러한 영향은 그다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중국의 경우, 이사회 구성원의 교육수준 이질성은 상업계 은행의 위험 부담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지만 한국의 경우, 이런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3) 중국의 경우 이사회 구성원의 정치자본은 상업계 은행의 위험 부담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지만 한국의 경우 이사회 구성원의 정치자본은 상업계 은행의 위험부담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 (4) 중국의 경우, 이사회 구성원의 금융자본은 상업계은행의 위험 부담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한국의 경우, 이러한 관계 는 지방은행에서만 유의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5) 중국 지방 상업은행, 그리고 한국의 전국규모 상업은행의 경우,이사회 구성원의 비금융자본은 은행 위험부담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6) 중한 양국 상업계은행의 이사회 구성원의 전문성 배경 이질성은 은행 위험 부담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7) 중한 양국의 상업계은행 이사회 구성원의 업계 배경 이질성은 은행의 위험 부담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이사회의 배경 특징 차원에서 상업계은행의 위험 부담에 대한 분석체계를 구축하고 은행의 위험부담 연구에 대해 새로운 연구 관점을 제공해 보았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중한 양국 상업계은행의 이사회 구성에 있어 합리적이며 리스크 관리 및 통제 수준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중요한 참고 가치가 있다.

      • 商業系 女高生의 進路指導 實態分析과 改善方案 : 濟州地域을 中心으로

        구남철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791

        취업 환경의 변화는 상업계 고교생의 취업 지도상에도 큰 변화를 촉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여학생들이 사회경제 구조 속에서의 여성의 위치를 파악하도륵 하고 일에 대한 태도 및 가치관의 정림을 위해 건전한 직업관 및 직업윤리를 헝성하게 하고 삶의 질과 직업간의 연관성을 이해하게 하며, 직장과 가정생활을 공유하는데 필요한 지식 및 태도를 형성하게 함과 아울러 비경제 활동 영역의 일에 대한 가치관을 형성하게 하고 있다. 아울러 여학생들이 자신의 직업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넓게 수집·분석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직업을 선정하고 이를 위해 준비하게 해야 하고, 생애 적기에 따른 직업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있다. 이틀 위해 먼저 문헌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으며 이 이론적 고찰에서 규명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여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자료를 분식하였다. 먼저 이론적 고찰로서 진로지도의 의의와 필요성 및 방향, 그리고 진로지도에 관한 실천모형을 제시하였고, 진로교육 및 진로의식 구조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학업성적이 부족하여 진학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이들의 사회에 진출하여 건전한 직업관을 가지고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가치관 교육을 강화해 나가야 하겠으며, 다양한 직업에 대하여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편중되지 않고 그들의 적성과 능력을 최대한 발취할 수 있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둘째, 현행 상업고둥학교 교육과정을 개편하여 직업교육 과목이나 진로지도 시간을 설정 운영하여야 하며 개인의 특성, 희망, 신체조건, 가족, 가정환경등 본인을 둘러싼 제요인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하겠다. 셋째, 적성과 인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취업보도실을 설치, 운영하여야 하겠으며 각종 검사 자료를 십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며, 올바른 직업선택을 위하여 학부모와 교사 학생 사이에 긴밀한 협조와 상담이 이루어져야 하겠으며, 지역사회와 유관단체와도 항상 협조 체제가 이루어져서 학생들이 요구하는 취업정보를 즉시 제공할 수 있어야 하겠다. 상업계 고둥학교에서 진로지도와 관련된 제반 사항들이 해결될 때 진로지도가 정착되어 유능한 사무 인력이 배출됨으로써 상업계 고둥학교에 대한 인식이 새로워지고 더 나아가 국가경제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취업 희망 학생들이 올바른 직업관을 확립하고 변화하는 사회에 적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학교에서의 교수·학습 내용과 직업 현장을 연결하는 산·학 연계 교육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어떠한 직업이든 그에 알맞은 직업지도를 할 수 있는 연구 방안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oday great change of circumstances of getting a job forces us to make efficient efforts to guide students for job who now go to commercial high school. Considering this, this study has been done to make girl students as women in a society have right attitude to jobs and feel worth of jobs and to help them have sound view of job and job ethics. And to help them collect and analyze information necessary for getting a job, choose the most suitable job, prepare themselves and make their own plan suitable for age. Thus I would try to find out how to effectively guide students for job according to their interest, life and aptitude and have them cope with changing situation. For this, first I had referred to various records and researched the theory. And then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ed theory I had analyzed what the survey found.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most of students choose to enter the commercial high school because of their poor grade. Therefore, they should be taught on the right attitude to jobs in school so that they can get a job after graduation with sound view of job. And they should be assisted to show the maximum of their ability and aptitude through providing them with valuable information about various jobs. Second, guiding students in getting a job should be carried out with regard to all factors around them, such as interest, hope, health condition, family, home situation, etc. And Job Information Office should be established at once and administrated in order to help student get the job suitable for their aptitude and personality. Third, cooperation between school and local organizations should be done so closely all the time that students should be able to be given without delay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getting a job. School curriculum should be taught more effectively and planned more adaptably in order to make student be fit for the job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field training. Fourth, the enforcement of the system of using a job specialist among teachers and support in finance and policy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ifth, materials for counseling on personality, manners at work, a good worker and so on, which are necessary for getting a job, and examples of guiding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and classified considering present school situation and be made practical use of. And continuous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getting a job should be made, activities for guiding students for job should be checked and examined and steady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e teaching materials for getting a job. If all problems caused in guiding students for job in commercial high schools should be solved, guiding students would go in the right direction, a lot of competent students would be graduated and high school in the field of commerce would deserve a correct understanding.

      •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이 상업계 여고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의사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

        김소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790

        진로준비의 시기에 있는 고등학생은 직업에 대한 이해, 탐색, 준비의 과정을 거쳐 장차 사회의 일익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는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진로교육이 필요하다. 실업계 고등학생은 입시에 대한 부담이 적고 학교 공부 이외에 자신의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시간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실업계 고등학생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지 못하여 효과적으로 진로를 준비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Harren의 진로의사결정 이론을 중심으로 인지적 영역과 행동적 영역이 조화된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시하여 상업계 여고생들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의사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은 상업계 여고생의 진로준비행동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은 상업계 여고생의 진로의사결정수준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연구문제에 따라 첫째,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은 상업계 여고생의 진로준비행동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은 상업계 여고생의 진로의사결정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 소재 1개 상업계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 중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20명의 학생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 배치한 후 실험집단은 4주에 걸쳐 60분 내외로 총 10회의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을 집단상담 형태로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두 집단은 진로준비행동 검사와 진로의사결정수준 검사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가설 1을 검증하기 위하여 두 집단의 진로준비행동 척도의 사후검사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t-검정으로 통계적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고, 가설 2를 검증하기 위하여 진로의사결정 수준의 사후검사 득점을 MANOVA로 처리하였다. 또한 양적 연구 결과가 갖는 신뢰성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매 회기를 마치고 작성한 경험 소감문의 내용과 평가 설문의 결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은 상업계 여고생의 진로준비행동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은 상업계 여고생의 진로의사결정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의사결정수준과 관련한 하위 영역과 관련하여 첫째,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은 상업계 여고생의 학교적응 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은 상업계 여고생의 직업계획 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은 상업계 여고생의 전공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이 진로준비 단계에 있는 고등학생들이 진로를 준비함에 있어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행동으로 일관할 수 있도록 하며, 자신에 대한 탐색과 직업 세계에 대한 정보 수집을 통해 진로의사결정 수준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진로상담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진로와 관련한 준비행동을 강화하고 진로의사결정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을 학교현장에 적용한다면 실업계 고등학생의 생활지도 차원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과교육에서 벗어나 바른 인성과 학생들의 가능성을 지향하고자 하는 7차 교육과정의 취지에 부합하도록 창의적 재량활동 교육과정 편성에 있어서 학교상담을 적극 도입함으로써 수업시간을 활용한 진로교육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첫째, 학년별로 차별적인 진로상담을 실시할 필요성이 있다. 각 학년별로 진로상담을 통해 요구하는 바를 파악하여 차별적인 진로상담이 이루러질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진로준비행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추후 상담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진로상담이 끝난 후에도 진로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준비하는 행동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한 추후 상담이 필요하다. 셋째,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의 진로결정 요인 중에 부모가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선정할 때에 부모의 동의서를 받아오는 것으로 부모의 참여가 극히 제한적이었다. 이에 진로상담 프로그램에 부모가 참여할 수 있는 내용을 구성하여 내담자의 진로의사결정 과정을 부모가 이해하고 조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 ※ 이 논문은 2004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상담심리)학위 논문임. For the high schoolers to make decision about their future course or care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a series of rational and systematic career orientation, so that they may play a role in society by understanding, exploring and preparing their desired occupations in advance. Even though having less burden of college entrance exam but many times for exploring their own course except school study, commercial high schoolers often have lots of difficulties in preparing their future careers effectively, possibly because of underdeveloped career orientation programs suitable to meet their academic level. By organizing and applying a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program in harmony between cognitive and behavioral region, based on Harren's theory of career decision-making,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how much the program may have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decision-making level of commercial high school girls. The basic assignments established in detail by this goal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how much may a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program have effects on improv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mmercial high school girls? Secondly, how much may the program have effects on improv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level of commercial high school girls? Based on these two assignments,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hypotheses: First, the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program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career arrangement behaviors of commercial high school girls. Secondly, the program may also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s of commercial high school girls. To verify these hypotheses, total 20 students at the 1st grade of a commercial girls' high school in Suwon city, Gyeonggi province,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is program, were equally divided into experimental(10 students) and control group(10 students) respectively in random manner. Experimental group was asked to participate in total 10 times of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program in the form of group counseling around 60 minutes a time over 4 weeks, while control group wasn't asked so. This study applied pretest and post-test to both groups by mean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est and career decision-making test.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and analyzed via a proven statistical program 'SPSS.' To verify Hypothesis 1, this study attempted to calculate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post-test scores for the scale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 both groups, and suggested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via t-test. To verify Hypothesis 2, this study processed the scores of post-test for the career decision-making levels via Multiple Analysis of Variance(MANOVA). In addition, to complement limitations in the reliability of quantitative result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post-comments both group prepared after every session of program and also analyze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data. Through these procedures of experimen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commercial high school girls.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career decision-making level of commercial high school girls. In terms of subordinate regions related to career decision-making level, it was first found that the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program had positive influences on improving the school adaptation level of commercial high school girls.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had positive influences on improving career designing level of commercial high school girls. Thirdly, it was also found that the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major level of commercial high school girls. Based o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program may be an effective career counseling program, so that it may help high schoolers keep more practical and concrete behaviors in consistent manner to prepare their own future careers, while upgrading their career decision-making level through exploring into themselves and collecting the information about occupational worlds outside school. Hopefully, if the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program is applied on educational fields of school, which may enha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improve related decision-making levels, it will be very usefully employed in the living instruc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ers.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positively introduce school counseling in the creative organization of discretionary activities and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 of the 7th Curriculum aiming at right personality and potential of students beyond subject-based education, so that career education via class hours may be provided for students in ceaseless and systematic ways. Based on th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som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course counseling depending on school grades. That is,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research a program that allows you to identify any requirement of students via course counseling by grade and provide them with differentiated course counseling. Secondly, it is requisite to coordinate follow-up counseling so that you can identify whether students keep do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Even after course counseling, our students have to keep exploring and arranging their own courses steadily till they meet a desired goal. For this sake, it is requisite to do follow-up counseling. Finally, in the course of coordinating program, it was found that parents might have great impact on career decision-making of students. However, upon selecting the subjects hereof, parents' participation was confined only to giving a written consent to their children. Thus, it is essential to develop and research a little more advanced career counseling program that contains the contents to facilitate participation of parents and allows them to understand and assist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ir children as client.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Counseling Psychology) in February, 2004.

      • 정성적 의사결정기법을 활용한 교육서비스요소 우선순위 도출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상업계특성화고 중심으로

        김용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743

        2019년에 맞닥트린 ‘인구절벽’이라는 인구통계학적 난제 속에서, 그간 국민경제와 기업의 금융, 경영, 사무관리 부문에 풍부한 노동력을 공급을 담당해오던 상업계 특성화고가 2015년부터 정원 미달, 교실의 붕괴, 직업교육의 정체성 상실 등의 총체적 위기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상업계 특성화고가 직면한 이러한 문제를 연구의 배경으로, 서울지역 상업계특성화고의 교육서비스요소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교육서비스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개선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먼저, 기업의 서비스품질을 평가하고 개선 과제를 도출하는 관리시스템인 KS-SQI 모델의 구성요소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교육서비스요소를 재구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실증적 조사를 위해 총 4가지의 설문지를 개발하고, 교직원과 재학생을 표본으로 총 712부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정성적 의사결정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델파이 설문결과에서 켄달의 W 계수를 이용한 일관성 지수에 만족하는 31개의 교육서비스요소를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AHP 기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인지하고 있는 교육서비스요소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끝으로, IPA 기법을 교육서비스요소의 중요도와 만족도 매트릭스를 도출하여 사분면상에 나타난 교육서비스요소의 효율성에 따른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그에 따른 제언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AHP 분석결과 중요도가 높은 순위 교육서비스요소는 교우 관계 및 인간관계, 기업체 취업, 학생 대우의 공평성, 열린 인성교육, 취업 정보제공과 연수 및 강연, 교통의 편리성, 교실과 실습실 환경 및 기자재 요소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IPA 분석에서는 만족도가 높은 순위의 교육서비스요소로서는 적절한 보건 서비스, 기능 습득, 자격증과 고졸 학위 취득, 행정서비스의 신속과 정확성, 매점 및 휴식 공간 등 편익시설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IPA 매트릭스 분석결과로는 1사분면의 요소로 지식 습득, 기능 습득, 교우 관계 및 인간관계, 기업체 취업, 자격증과 고졸 학위 취득 등의 요소가 나타나 있는데, 이들 요소는 높은 중요도와 높은 만족도의 요소이므로 현재의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야 한다. 2사분면의 요소로는 학생 대우의 공평성, 대입정보제공 및 진학지도, 대학 입학 등이 나타나 있는데, 이들 요소는 중요도보다 만족도가 낮은 요소이므로 긴급하고 강력한 개선이 필요하다. 3사분면의 요소로는 교과 평가의 공정성, 상벌 적용의 일관성, 민주적 생활교육 요소로 나타나 있으며, 이들 요소는 낮은 중요도와 낮은 만족도 요소에 해당하여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4사분면의 요소에는 교사 교과 전문성, 교과 지도 효율성, 행정직원의 친절, 다양한 장학제도, 적절한 보건 서비스 등의 요소로 나타나 있는데, 이 요소들은 중요도보다 만족도의 정도가 높아 앞으로 이들 요소는 자원의 할당을 축소하여 여유 자원을 2사분면으로 이전되도록 전략의 전환이 필요하다. 그간 서비스와 관련된 선행연구가 주로 대학이나 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 성과나 수익, 만족도 분석 중심 연구가 주종을 이루었는바,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상업계 특성화고와 재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서비스요소를 중심 연구과제로 하였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학교관리자와 교사에게 학생의 학교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당면한 상업계 특성화의 총체적 위기 극복을 위한 효율적인 작은 지침이 되었으면 한다. In response to the demographic challenge of “Population Cliff” in 2019, the commercialized specialized high school, which has been in charge of supplying abundant labor to the national economy, corporate finance, management, and office management, has fallen below the capacity of the classroom since 2015. In other words, they face a total crisis such as loss of identity of vocational education.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educational services by deriving the priority of educational service elements of commercial specialized high school in Seoul.As a research method, first, the components of the KS-SQI model, which is a management system that evaluates the service quality of companies and derives improvement tasks, are reorganized the educational servic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this, a total of four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for empirical surveys, and a total of 712 copies were collected from staff and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decision-making techniques. First of all, 31 education service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the Delphi questionnaire, which satisfied the consistency index using Kendall's W coefficient. Next,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the elements of education service perceived by students was derived using AHP technique. Finally, IPA techniques were derived from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matrix of the education service elements to derive priorities according to the efficiency of the education service elements shown in the quadrant and suggested accordingly.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HP analysis showed that the ranking of education service factors of high importance included peer relations and human relations, corporate employment, fairness of student treatment, open personality education, employment information and training and lectures,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classrooms and laboratories. Environmental and equipment elements were in order. Second, in the IPA analysis, the most satisfactory educational service elements were in order of appropriate health services, skill acquisition, certification and high school diplomas, speed and accuracy of administrative services, and convenience facilities. Third, as a result of IPA matrix analysis, factors such as knowledge acquisition, skill acquisition, companionship and human relations, corporate employment, and certificate acquisition of high school diploma are found in the first quadrant, which are factors of high importance and high satisfaction. Therefore, the current state must be maintained. Factors in the second quadrant include fairness of student treatment, provision of college information and guidance for admission, and admission to universities. These factors are less satisfactory than importance and therefore require urgent and powerful improvement. Factors in the third quadrant are fairness in curriculum evaluation, consistency in the application of punishment, and democratic life education. These factors correspond to low importance and low satisfaction, so they are not a problem. Factors in the fourth quadrant include teacher curriculum expertise, curriculum efficiencies, administrative staff's kindness, various scholarships, and appropriate health services. Strategies need to be shifted to shrink and transfer free resources to quadrant 2.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ervice have mainly focused on service performance, profit, and satisfaction analysis for universities or companies. In this study, the education service element was focused on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and students.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can be found. Finally,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n effective small guideline for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to improve student satisfaction with school and overcome the overall crisis of commercial characterization.

      • 회계전문가 관점에서 본 상업계고등학교 회계원리 교육의 개선방향

        김은정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91

        본 연구는 회계원리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로, 기업이 재교육 없이도 즉각적으로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사원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하여 이러한 사회 요구에 적합한 회계원리 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현행 상업계 고등학교 회계교육에 대한 개선과 함께 향후 지향점을 도출하고 나아가 국제수준의 우수한 회계인력을 양성하는데 기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수행은 선행 연구에 대한 문헌 연구를 살펴보고, 회계전문가, 회계실무자, 상업계고등학교 교사의 표본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회계 교육과정은 상업계열 고등학교 회계교과의 교육과정을 의미하며, 회계교과는 회계원리, 원가회계, 세무회계, 기업회계, 회계 실무 등을 말하는데, 연구의 주 대상은 회계교과 중에서 회계 원리로 선택하였다. 이유는, 실제로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선택되어지는 교과는 계열 필수 교과인 회계원리 과목이 대부분이고, 다른 회계 과목은 선택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2005학년도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직업탐구 영역의 교과로 그 중요성이 날로 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회계원리 교과를 중심으로 상업계 고등학교의 회계원리 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에 관한 실증분석을 위하여 상업계 고등학교 교사 28명과 회계법인 소속 공인회계사․세무사 등 회계전문가 7명, 중소기업 및 회계법인 실무자 28명을 대상으로 2010년 4월부터 5월 7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회계 실무 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며. 회계정보의 분석 및 이용능력 배양을 위하여 정보기술을 활용한 회계교육이 실시되어야 하고, 회계윤리교육의 강화가 요청된다는 것이었다. 또한 교과의 성격이나 목표에 적합한 산업체의 요구나 사회의 요구를 수용하고 반영하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과 회계 원리는 교과 내용면에서 회계의 기본원리 중심의 내용으로 재구성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교수학습활동에서 산학협력을 실시하여 산업체의 요구를 받아들일 필요가 있으며, 국제화시대에 맞는 회계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商業系 高等學校 學生들의 進路意識에 관한 硏究 : 釜山地域 女學生을 中心으로

        김태동 慶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7663

        Recently, upon the change for the structure of economy and employment, the portion of women's participation in industries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areer consciousness of girls'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in Pusan.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by inquring into literature of the subject as well as a questionnaire survey. To achieve the purpose, I have collected a sample of 468 girls'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whose grades range 1 to 3 in Pusan. Materials were analyzed by the percentage and chi-square(x^(2)) test, an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n the motive of entrance into a school, students said that 46.9% of them got their jobs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Second, on a course after graduation, students said that 78.8% of them got jobs and 10.2% of them entered into university or college. Third, on the of motive of getting jobs, they answered that 29.2% of them wanted the development of their faculty and 27,2% of them wanted the advance of society. Fourth, when students select their job, 74.3% of them consider interest and appetite and 41 1% of them consider the future prospective as their important items. Fifth, on student's selecting their paths in life, 43.9% of them consult their parants and relatives and 36.8% of them consult their friends and elders. conclusions from analys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 the satisfaction degree of entrance into a commercial high school, that of students with religions were very high. Therefore we should help them be active in special club, service club and religion club. Second, many of student's agonize on their school courses and need right school course guidance of new administration improvement. Third, on job's choice condition, interest and appetite are such the most important problems that the understanding and the recognition of each of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Fourth, if there is an opportunity, we should expand university or college education facilities so as to go to a night college, an open college and a broadcasting correspondence college etc.

      • 事務自動化(OA)趨勢에 따른 商業敎育 改善方案 硏究 : 釜山地域 商業系 高等學校 中心으로

        박민숙 慶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7644

        Nowdays we live in the current demanding originality and efficiency evidently in the highly industrialized society. In achieving enterprise operation or administration business, quantitative expansion of tremendous business and the high speed management for it have become prominent figure. Though the automatic apparatuses equipped with computer in their inner parts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the starting point of this research is how much they are used in the reality of life and how school education should correspond to the automation trends of society. For sioving these problems I have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s of business apparatus, made a comparative study of each industry, investigated group conscious of people engaged in office work and analysed the actual conditions of commercial education in commercial high school which produces office workers according to office automation and group consciousness of teachers and then I made five conclusions. 1. First of all, law for facilities standard in commercial high school should be strengthened and supplemented to have more modernized business apappratus in actual education and to raise efficiency of education. 2. We have to try to strengthen computer science education because office automation depends on operation technique innovation by computer in the long run, when we consider in this aspect, first of all, we have to think efficiency of typing class to have relation with Word Processor. In addition, we have to reform the content of typing class in order to prepare National Qualification for Word Processor technical licence eventually being held by Korea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KCCI) from 1992. 3. In truth, it is impossible to learn all the office automation apparatus which have a variety of forms and multiple functions in school education. For these reasons, it is necessary to re-educate in the office and schools also should educate heneral functions, manipulate fine function basic skill and primary principle fitting for reality about them. 4. In receiving trails and demands of community, commercial high schools should recognize the consistence of school curriculum and realize the need for living education. 5. As curriculum of school don't harmonize industrialized society and vocational education don't be done only skill education, we all have to try to educate for fully functioning per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