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행정서비스가 시민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성윤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342

        본 연구에서는 행정서비스 만족도가 개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각자가 인지하고 있는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할 때, 행정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개인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서베이센터가 한국갤럽에 의뢰하여 조사한 ‘2012년도 삶의 질과 정부 역할에 관한 조사’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또한 ‘행복’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과정에서, 생태학적 오류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국가가 아닌 개인을 분석단위로 설정하였다. 분석 기법으로는 주요 관심사인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행정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반영하는 변수로써 자연환경, 교통 및 도로, 문화 및 관광, 공공질서 및 안전, 사회복지, 교육, 보건, 고용의 8개 분야에 대한 서비스 만족도를 측정하여 종합한 ‘행정서비스 만족도’ 변수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개인별로 문항을 통해 측정된 ‘행복’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이론과 선행연구에 의해, 행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삶에 대한 만족도 변수 군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변수 구성을 토대로, 본 연구는 행복이론 중 생활영역의 요인들이 궁극적으로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상향이론(bottom-up)에 근거하여 행정서비스가 개인의 행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첫 번째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주관적 행복감이 행정서비스 만족도 및 삶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하향이론(top-down)에 따라 행복하다고 응답한 개인과 행복하지 않다고 응답한 개인 간에 행정서비스 만족도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가 발생할 것이라는 두 번째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요인보다는 행정서비스와 같이 개인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환경적인 요인들에 대한 만족도가 행복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정서비스와 같은 주변 환경적인 요건 보다는 개인 차원에서 존재하는 삶에 대한 만족도가 행복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행복수준별로 행정서비스 만족도 및 삶에 대한 만족도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행정서비스와 행복의 상호작용 항의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검정되었다. 마찬가지로 삶에 대한 만족도와 행복의 상호작용 항의 계수 값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검정되었다. 이는 행복에서 행정서비스 만족도 및 삶에 대한 만족도가 차지하는 영향력의 정도가 개인의 주관적인 행복감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가 행복이론 중 하향이론보다는 상향이론을 더욱 타당성 있게 뒷받침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앞서 살펴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먼저, 인구통계학적 요인보다 행정서비스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은 행정서비스의 질을 제고 하기위한 관련부처와 집행 기관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삶에 대한 만족도가 행정서비스보다 행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정부가 공공서비스의 질을 제고하는 것 이상으로 개인차원의 삶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행복하다고 응답한 개인과 행복하지 않다고 응답한 개인 간에 행정서비스 만족도 및 삶에 대한 만족도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분석결과 또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는 행복한 사람과 행복하지 않은 사람 모두에게 행정서비스 만족도와 삶에 대한 만족도가 행복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가 시민의 행복을 증진시키고자 국정목표를 설정할 때, 제한된 시간과 노력으로 사회 전체 후생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개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맞춘 행복 정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수들 중에서 소득이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행복하다는 분석 결과를 염두에 둘 때, 소득이 낮은 계층일수록 한계효용의 법칙에 의해 행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행정서비스 질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또한 삶에 대한 만족도가 행정서비스 만족도보다 행복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다는 분석 결과를 고려할 때, 행복하지 않은 사람일수록 개인적 차원의 생활 여건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부 정책을 선호할 수 있다. 즉, 분석 결과에 의해 소득이 낮고 학력수준이 낮은 사람일수록 불행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일수록 개인의 삶의 질을 직접적으로 제고할 수 있는 정책을 선호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기존의 연구에서 개인의 행복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써 주로 인구통계학적 요인들만을 제시하고 있는 반면, 본 연구는 행정서비스 만족도가 개인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삼아, 다수의 후속연구들이 새로운 방법론 및 데이터를 활용하여 행정서비스와 행복간의 관계에 대한 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연구결과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 우울 · 자존감 그리고 자기 삶에 대한 만족도가 음주 · 흡연에 미치는 영향

        배규환 동양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40

        이 연구는 우울감, 자존감, 자기 삶에 대한 만족도 등이 음주, 흡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여 금주 금연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제공이 목적이고 연구대상은 한국복지패널에서 2022년에 조사한 자료를 통계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 하였으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흡연여부에 따른 우울, 자존감, 자기 삶에 대한 만족도 차이를 분석 실시한 결과 우울의 경우 흡연을 하지 않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우울이 높게 나타났고 자기 삶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 흡연을 안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삶의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음주여부에 따른 우울, 자존감, 자기 삶에 대한 만족도 차이를 분석 실시한 결과 우울의 경우 음주를 하지 않는 경우가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 자존감의 경우 음주를 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자존감이 높게 나타났다. 자기 삶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 음주를 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자기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결혼여부에 따른 우울, 자존감, 자기 삶에 대한 만족도 차이를 실시한 결과 우울의 경우 결혼을 하지 않는 경우가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 자존감의 경우 결혼을 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자존감이 높게 나타났다. 자기 삶에 만족도의 경우 결혼을 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자기 삶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우울, 자존감, 자기 삶에 대한 만족도가 음주여부에 미치는 영향은 우울이 높은 경우 음주를 적게 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자존감과 자기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면 음주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우울, 자존감, 자기 삶에 대한 만족도가 흡연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우울과 자기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경우 흡연을 적게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우울, 자존감, 자기 삶에 대한 만족도가 음주에 미치는 영향에서 결혼여부 조절회귀분석 결과는 결혼을 한 경우 자존감과 결합하여, 음주를 적게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혼을 한 경우 자기 삶에 대한 만족도와 결합하여, 음주와 흡연을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금주와 금연의 의지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금주 금연 프로그램을 개발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이용되고자 하였다.

      • 빈곤의 동태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삶에 대한 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

        이종정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309

        Poverty ratio and depression of the old are very serious problems and many scholars find that the powerful association between poverty and mental health has been recognized in Kore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verty dynamics(a total of 8 types)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and analyzed whether the effect is mediated by the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in Korea based on social causation theory.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were three waves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urvey(2011.01.01.~2013.12.31) and the data of 3337 older ad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ur regression analysis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uration of poverty experienced and degree of depression in elderly Koreans. In particular, unstable poverty status of re-entry into poverty group had more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than poverty entry group. Second, the longer poverty duration negatively impacted upon life satisfaction. Specially, poverty-exit type had more nega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of elderly's life than poverty entry group. The results denoted that not only poverty experience but also duration and timing of poverty are very important in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Finally, Two types (one is poverty-escaping group from two years of poverty and another is poverty re-exit group) had no effect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Koreans and life satisfaction did not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two types of poverty dynamics and depression. However, satisfaction of life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depression in poverty-exit type and other types were predictors of elderly's depression complete mediated by quality of life. The results said that the status into poverty affects depression of the aged through perceptual-cognitive and affective judgement about their own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for social work are as follows. Differentiated services, economic support, physical improvement, psychological interventions are needed for the elderly who are into very different poverty situations based on thoroughly identify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each class in order to increase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need to pay attention to efficient anti-poverty policy and strengthening of ability of social workers in mental health. In particular, social workers need to be expanded the knowledge and practical skills in terms of late-life depression, mental health, current poverty issues as well as to increase the quality level of social workers in order to provide any service with stability and efficiency for the elderly. 현재 초고령화 사회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성공적인 노화를 위해 빈곤과 정신건강문제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인식하고, 영향요인들과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파악하여 적절한 개입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빈곤 동태의 8가지 유형별로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삶에 대한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다. 이를 위해 최근 3년 동안의 한국복지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3337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경험이 길수록, 우울의 정도가 높았으며, 빈곤탈출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중간에 빈곤을 경험하지 않는 기간이 있더라도 이러한 불안정한 빈곤 상태가 빈곤에 진입한 경우보다 우울에 더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빈곤경험이 길수록, 삶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으며, 일시적으로 조사 전년도에 1년만 빈곤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가 빈곤 진입의 경우보다 삶에 대한 만족도에 더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들은 우울과 삶에 대한 만족도가 단순히 빈곤여부의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빈곤의 지속기간과 빈곤지위의 변화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말해준다. 셋째, 빈곤의 동태와 우울의 관계에서 삶에 대한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단기빈곤탈출과 일시단기빈곤의 유형을 제외하고서, 삶에 대한 만족도는 일시빈곤탈출과 우울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가졌고, 나머지 다른 빈곤 동태 유형과 우울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졌다. 이러한 결과는 빈곤의 진입이 삶에 대한 인지적 판단을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리고 일시적으로 빈곤상태에서 벗어났다 하더라도 자신의 삶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함으로써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본 연구의 사회복지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 대부분이 지속빈곤상태에 속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소득보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공적연금제도의 확대와 기초보장제도의 부양의무자 기준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저소득층 노인을 위해 일정 수준 이상의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와 노인취업을 증진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둘째, 노인에게 있어 빈곤문제와 정신건강문제를 함께 해결하기 위한 통합적인 체계의 필요성과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기관에서 빈곤 노인에게 물질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건강, 여가생활, 가족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달체계를 구성하고, 빈곤의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서비스 개입을 하는 것이 좋다.

      • 스마트도시, 경제, 혁신 그리고 삶의 질 : 제1차 유비쿼터스도시 종합계획 효과에 관한 실증 연구

        이재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3260

        Smart city us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increase competitiveness in economy, innovation, and quality of life. Smart city plan is the process by which a city becomes a smart city. Through three national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s, Korean government has presented the smart city vision and promotion strategy and has been supported smart city projects. From the perspective of innovation theory, it should be noted that a city with a smart city plan recognizes that it is possible to create and manage an innovative ecosystem in which other actors such as citizens, businesses, and public institutions interact. As cities become smart city, they are leading in improving their own competitiveness of cities including economy, innovation, and quality of life. It was proven whether the first ubiquitous city comprehensive plan in Korea from 2009 to 2013 demonstrate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urban economy, innovation and quality of life. Trend line analysis, difference-in-differences analysis, and difference-in-differences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step by step. As a result, the first ubiquitous city comprehensive plan in Korea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rease of the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and the number of innovative enterprises in the city. However, it was hard to find a significant effect on increasing subjective satisfaction with life. In light of these empirical results, it is reasonable that recent smart city policy in Korea tends to promote participation from private sectors. 스마트도시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경제, 혁신 그리고 삶의 질 등에 관한 도시 경쟁력을 높인다. 스마트도시 계획은 한 도시가 스마트도시로 거듭나는 과정이다. 한국은 세 차례에 걸친 국가 스마트도시 종합계획을 통해 스마트도시 비전과 추진전략을 제시하고, 이를 따르는 스마트도시 관련 지원 사업을 시행해왔다. 혁신 이론 관점에서 스마트도시 계획을 갖춘 도시는 도시가 시민, 기업, 공공기관 등 다른 혁신 주체가 상호작용하는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고 인식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도시는 스마트도시 계획을 시행해 스마트도시 구성요소를 갖추어 나갈 수록 경제, 혁신 그리고삶의 질 등 도시 경쟁력을 주체적으로 개선한다. 한국에서 2009년에서 2013년까지 시행한 제1차 유비쿼터스도시 종합계획이 도시 경제, 혁신 그리고 삶의 질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지 실증했다. 추세선 분석, 이중차분 분석 그리고 이중차분 모형 회귀분석을 단계적으로 시행한 결과, 제1차 유비쿼터스도시 종합계획은 지역내총생산과 혁신형 기업 수 증가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삶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 증가에 유의미한 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이러한 실증 결과에 비추어 최근 한국 스마트도시정책이 민간 참여를 확대하고자는 경향은 타당하다.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학업중단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계획된 우연기술에 의해 조절된 진로불안의 매개효과

        서성식 충북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00575

        본 연구의 목적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학업중단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에 의해 조절된 진로불안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업중단 청소년 194명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계획된 우연기술, 진로불안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SPSS PROCESS 매크로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유형에 따른 측정변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 검증을 실시하였고,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그리고 조절된 매개효과를 차례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중단 청소년이 일반 고등학생보다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았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학업중단 청소년과 일반 고등학생 간의 진로불안과 계획된 우연기술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업중단 청소년과 일반 고등학생 모두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삶의 만족도와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 진로불안과는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 계획된 우연기술과는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업중단 청소년과 일반 고등학생 모두 진로불안은 삶의 만족도와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 계획된 우연기술과도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업중단 청소년과 일반 고등학생 모두 계획된 우연기술은 삶의 만족도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학업중단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진로불안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학업중단 청소년의 진로불안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학업중단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에 의해 조절된 진로불안의 매개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일반 고등학생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진로불안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일반 고등학생의 진로불안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일반 고등학생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에 의해 조절된 진로불안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학업중단 청소년의 경우, 일반 고등학생과 마찬가지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진로불안을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학업중단 청소년의 경우도 일반 고등학생과 마찬가지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진로불안에 영향을 미쳐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학업중단 청소년의 경우, 일반 청소년과 달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불안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는 않았고, 이에 따라 조절된 매개효과 역시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수준이 일반 고등학생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난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학업중단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수준을 향상시키는 교육과 상담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 방안에 대한 이론적 토대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nxiety moderated by planned happenstance skill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life satisfaction of school dropout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194 school dropout adolescents to measure their life satisfaction, intolerance of uncertainty,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anxie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SPSS PROCESS macros. In this study, t-tes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measurement variables according to scholastic type,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order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this study, mediation effect, moderation eff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were verified in orde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ife satisfaction of the school dropout adolesce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high school students, while intolerance of uncertainty of the school dropout adolesc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career anxiety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between school dropout adolesc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in both school dropout adolesc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a neg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but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areer anxiety,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a neg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both school dropout adolesc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nxiety had a neg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both school dropout adolesc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planned happenstance skills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Third, in the case of school dropout adolesc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olerance of the uncertainty and life satisfaction, the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anxiety was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olerance of the uncertainty and career anxiety of school dropout adolescents, no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as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olerance of the uncertainty and life satisfaction of school dropout adolescents, no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career anxiety moderated by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as shown. Fourth, in the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olerance of the uncertainty and life satisfaction, the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anxiety was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olerance of the uncertainty and career anxiety of high school students,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as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olerance of the uncertainty and lif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no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career anxiety moderated by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as show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tolerance of uncertainty of school dropout adolescents has a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ut effects life satisfaction through mediation of career anxiety, as in high school students. This shows that, in the case of school dropout adolescents, as in high school students, intolerance of uncertainty effects life satisfaction by effecting career anxiety. However, in the case of school dropout adolescents, unlike high school students,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nxiety did not appear to have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thus did not show significant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is result seems to be due to the rusult that the level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f school dropout adolescents is significant lower than that of high school student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school dropout adolescents, education and counseling will be needed to improve the level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n theoretical foundation for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school dropout adolescents.

      •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와 우울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안소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0057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future thinking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tigma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with the aim of exploring way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se adolescents.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second year (2014) of the panel survey on school dropout adolescents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analyzed using SPSS 29.0 and SPSS PROCESS macro 4.2. Descriptive statistics were initially employed to understand the general trends of each variable, followed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th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dividual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future thinking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tigma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Additionally, Process macro Model 6 was utilized to verify and analyze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future thinking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tigma and life satisfaction.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revealed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all variables. Positive future thinking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tigma and depress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Social stigma exhibit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demonstrat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Secondly, the results of bootstrapping indicated the presence of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future thin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fit of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model involving depression was deemed appropriate. In other words, when considering the impact of social stigma on life satisfaction,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future thinking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evident. This implies that the perceived level of social stigma plays a mediating role in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through both positive future thinking and depression.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ly, the social stigma perceived by out-of-school adolescents significantly negatively influences life satisfaction. Secondly, positive future thinking and depress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Specifically, social stigma diminishes the tendency to think positively about the future, increases depression, and consequently reduces life satisfaction. Thirdly, positive future thinking and depress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life satisfaction in a dual manner. In other words, social stigma hinders positive future thinking, subsequently increases depression, ultimately decreasing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practical intervention strategies to enhance the life satisfac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s were discussed. In summary, this study confirmed that perceived social stigma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predicts life satisfaction and that increasing positive future thinking while reducing depression can lead to higher life satisfaction. The significance lies in identifying factors and mechanisms that contribute to the life satisfac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s. The study demonstrated the impact of social stigma, positive future thinking, and depression on life satisfaction and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positive future thinking, which is an under-researched variable in the current domestic literature. Furthermore, by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future thinking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life satisfaction, the study provides a basis for developing educational and counseling intervention strategies and measures for the life satisfac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s.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낙인감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학 교 밖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의 2차년도 (2014) 자료를 SPSS 29.0과 SPSS PROCESS macro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각 변인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본 이후 각 변인 간의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과 삶 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와 우울의 개별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Process Macro Model 6을 활용하여 사회적 낙인감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와 우울의 순차적 이중매 개효과를 검증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 간 관련성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미 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는 사회적 낙인감, 우울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삶의 만족도와 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사회적 낙인감은 삶의 만족도와 부적 상관관계, 우울과 정적 상 관관계를 나타냈다. 삶의 만족도는 우울과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낙인감과 삶의 만족도 간 관 계에서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우울을 매개로 하는 순차적 이중매개모형의 적합도가 적절했다. 즉 사회적 낙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와 우울을 순차적으로 투입했을 때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 타났으며, 이는 사회적 낙인감에 대한 학교 밖 청소년의 지각 정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에서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와 우울이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에 대한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사회적 낙인감은 생활 만족도(삶의 만족도와 혼용)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와 우 울은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한다. 즉, 사회적 낙인감은 각각 미래에 대해 긍정적으로 사고하는 경향성을 감소시키고, 우울감을 증가시켜 생활 만족도에 영향 을 미치게 된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와 우울감은 사회적 낙 인감과 생활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이중매개한다. 즉, 사회적 낙인감은 미래에 대한 긍정 적 사고를 방해하고 이어서 우울감을 증가시켜서 최종적으로 삶의 만족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 양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이 삶의 만족도를 예측하 고, 미래에 대해 긍정적으로 사고하는 경향을 늘리고 우울감을 감소시키면 삶의 만족도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했다. 즉 학교 밖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변인들 과 그 기제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중요한 변인 중 사회적 낙인감,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 우울 등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 고 있음을 확인했으며, 특히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는 현재 국내에서 많이 연구되지 않 은 변인으로, 우울과 함께 연구가 진행된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상호 관련성을 증명했다는 점 또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회적 낙인감과 삶 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와 우울이 지닌 매개효과를 확인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교육 및 상담 개입 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복지패널 만족도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이슬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67790

        최근 몇 년 동안 한국사회에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활발하게 논의된 분야 중 하나가 바로 ‘복지’분야이다. 특히 ‘노인장기요양보험’은 급증하는 노인 인구의 복지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차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정부 정책이다. 인구의 고령화와 저출산 문제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노인복지의 근간이 되는 주요한 정책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이 제도를 통해 노인의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부양가족의 부담 경감, 비공식적 요양인의 사회·경제 활동 활성화, 사회서비스 산업 및 지역 경제의 활성화, 노인의료 및 요양체계의 효율화 등 사회전반에 걸친 파급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실제로 제도가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도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자료는 ‘한국복지패널’의 1차(2006년)에서 5차(2010년)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제도 자체의 순수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중차이모델(difference-in-difference model)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모형을 통해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전반적 만족도와 가족생활에 대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연구 가설을 네 가지 설정하였다. <가설 1>과 <가설 2>는 제도의 이용자 만족도와 관련한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설정한 것으로, 전반적 만족도와 가족생활에 대한 만족도 모두에서 수급자와 그 가족구성원의 만족도가 비수급자와 그 가족구성원의 만족도보다 높을 것이라는 것이다. <가설 3>과 <가설 4>는 제도시행의 경과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제도시행 후를 2009년으로 했을 때와 2010년으로 했을 때 전반적 만족도와 가족생활에 대한 만족도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보고 이를 가설로 설정하였다. 이중차이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제도시행 후를 2010년으로 했을 때 제도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반면 2009년으로 했을 때는 제도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2009년과 2010년 사이에 전반적 만족도에 있어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3>이 어느 정도 지지되는 것으로 보이나, 2009년의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이를 단순히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더욱 중요한 것은 제도효과의 방향에 관한 것인데, 제도효과가 음(-)의 방향으로 나타나 수급자와 그 가족 구성원의 전반적 만족도가 비수급자와 그 가족 구성원의 전반적 만족도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설 1>을 기각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가족생활 만족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한 경우를 제외하고 나머지 경우에서 제도효과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급자와 비수급자 및 그 가족구성원 간의 가족생활 만족도의 차이를 보려한 <가설 2>는 본 연구에서 검증할 수 없었다. 시행시기에 따른 차이에 대한 <가설 4> 또한 본 연구의 결과로는 알 수 없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 해석을 제시하였다. 제도의 미숙성으로 인한 결과라는 해석, 정책의 의도하지 않은 효과라는 해석, 삶의 질에 대한 가설 자체에 대한 해석, 마지막으로 제도 자체의 문제와 관련된 해석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각각의 해석이 어느 정도 타당성이 있는 것이 사실이나, 그 중에서도 가장 설득력 있는 설명은 세 번째 것이라고 생각된다. 실제로 제도를 수급 받는 노인들은 건강상태가 쇠퇴하는 상황에 있기 때문에, 제도의 목적 자체가 삶의 질 증진이라기보다는 삶의 질 유지에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본 연구의 분석대상이 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살펴보면 더욱 확연히 들어난다. 두 집단은 연령,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인식, 공적연급 수급여부, 가구소득 등 다양한 변수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집단 간의 이질성은 제도의 순수한 효과를 살펴보고자 도입한 이중차이모델의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왜냐하면 이중차이모델의 중요한 가정 중 하나가 제도변수 이외의 기타 변수들은 동질해야 한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표본집단의 이질성으로 인해 제도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만약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특성을 비슷하게 구성하여 이중차이모델을 적용한다면, 그 분석결과는 지금과 다르게 나타났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단순히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한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제도 자체의 순수한 효과를 살펴보고 나아가 제도가 원래 의도하였던 정책목표를 달성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패널 자료 자체의 한계점을 해결하는 것과 제도의 효과를 보다 다양하게 측정하는 것은 추후 연구에서 보완되어야 할 사항이다.

      • 주관적 공정성 인식이 명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혜인 韓國外國語大學校 經營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1677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modern social phenomena (justice perception and luxury consump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life-satisfaction can affect this relationship. To this end, two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first, the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ith a “high” sense of fairness and the other with a “low” sense of fairness, and their preferences for luxury goods and non-luxury goods were analyzed in this context. Ultimately, levels of fairness and preferences for luxury goods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Thus while there was a noticeable preference for luxury goods in groups that valued fairness, there was a high preference for non-luxury products in those less aware of fairness. In the second study, life-satisfaction was examined as a mediator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perception and luxury preference. This study confirmed that life satisfac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irness awareness and luxury preference.

      • Parental Financial Assistance, Pressure from and Fulfillment of Career Expectations,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Young Adults

        오상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02216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경제적 지원과 청년의 심리적 복지의 관계를 부모의 진로기대 부담과 진로기대 충족을 통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부모의 경제적 지원에 관한 기존 연구는 대부분 청소년이나 대학생만을 고려하였는데, 학생이 아니더라도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받는 청년이 적지 않은 한국의 현실을 감안하여, 이 연구에서는 만 19세 부터 34세의 넓은 연령 범위의 청년층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는 경제적 지원의 실제 금액만을 살펴보았으나 경제적 지원에 대하여 청년자녀가 어떻게 지각하는지 역시 중요한 측면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실제 경제적 지원과 이에 대한 지각을 모두 고려하였다. 매개변수는 부모의 진로기대 부담과 진로기대 충족수준이었으며, 청년의 심리적 복지는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만 19-34세로, 부모가 한 명 이상 생존해 있으며, 결혼한 적이 없는 청년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Mplus를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여, 실제 부모의 경제적 지원, 부모의 경제적 지원에 대한 지각, 청년의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의 직접적, 간접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부모의 진로기대로 인한 부담과 청년이 지각한 부모의 진로기대 충족수준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bootstrapping 방법으로 살펴보았다. 실제 부모의 경제적 지원은 우울 및 삶의 만족도 모두와 정적이 관련이 있었다. 즉,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많이 또는 자주 받은 청년은 높은 수준의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로 나타났다. 부모의 경제적 지원에 대한 긍정적 지각은 긍적적인 심리적 복지로 이어졌다. 즉, 부모의 경제적 지원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청년은 낮은 수준의 우울감과 높은 수준의 삶의 만족도로 나타났다.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부모의 진로기대 부담은 실제 경제적 지원과 우울감, 경제적 지원에 대한 지각과 우울감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실제 경제적 지원을 높은 수준으로 받은 경우, 부모의 진로기대 부담을 더 많이 경험하였으며, 그 결과 청년의 우울감 수준도 높았다. 그러나, 경제적 지원에 대한 지각이 긍정적일수록 부모의 진로기대로 인한 부담 수준은 낮았으며, 그 결과 우울감 수준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는 실제 부모의 경제적 지원과 경제적 지원에 대한 지각 모두 진로기대 부담과 진로기대 충족이 함께 매개변수로 고려되었을 때만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실제 경제적 지원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의 진로기대로 인한 부담감을 더 나타났고, 부담을 높게¬¬¬ 지각함으로써 진로기대에 대한 충족수준을 낮게 지각하였으며, 그 결과 낮은 삶의 만족도로 이어졌다. 경제적 지원에 대한 지각이 긍정적이면 부모의 진로기대로 인한 부담 수준도 낮았고, 부담이 낮으면 부모의 진로기대를 높은 수준은 성취했다고 지각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삶의 만족도로 연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경제적 지원과 청년의 심리적 복지의 복잡한 관계를 시사한다. 실제 경제적 지원은 청년의 심리적 복지와의 관련성이 부정적이기도 하고 긍정적이기도 하였으며, 경제적 지원에 대한 지각은 청년의 심리적 복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경제적 지원의 실제 금액이나 빈도 뿐 아니라 지원에 대한 자녀의 인식도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는 부모의 진로기대 부담과 진로기대 충족을 매개변수로 살펴봄으로써 부모의 경제적 지원과 청년의 심리적 복지의 복잡한 관계를 더 깊이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었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financial assistance (PFA)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young adults through pressure from and fulfillment of parental career expectations. Previous literature on financial assistance from parents has considered adolescents and college students as the main participants, as many young adults receive financial assistance from their parents in Korea,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between the ages of 19 to 34. Also, with the focus on actual PFA on existing studies, both actual and perceived aspects of PFA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conflicting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and Korean parents’ strong desire for their children’s success, pressure from and fulfillment of parental career expectations were considered as mediators in examining the mechanism between PFA and Korean young adults’ psychological well-being. Young adults’ psychological well-being included depressive symptoms and life satisfaction. The data in the study came from 1,107 Koreans between the ages of 19 to 34, who had at least one living parent and had never been marri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among actual parental financial assistance (APFA), perceptions of parental financial assistance (PPFA), and young adults’ depressive symptoms and life satisfaction. Mediators were pressure from parental career expectations for their young adult children, and young adults’ perceived fulfillment of parental career expectation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rect association between APFA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terestingly, a higher level of APFA was directly related to more depressive symptoms, but also to high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PPFA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lso significant. Higher levels of PPFA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better psychological well-being: fewer depressive symptoms and high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As for indirect associations, pressure from parental career expectations mediated both the relationship between APFA and depressive symptom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PFA and depressive symptoms. The higher levels of APFA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pressure from parental career expectation, and in the end, the young adults experienced more depressive symptoms. However, higher levels of PPFA was related to lower levels of pressure from parental career expectations, and in the end, the young adults experienced fewer depressive symptoms. As for life satisfaction, the indirect relationship with APFA or PPFA was only significant when the sequential mediation of pressure from parental career expectations and fulfillment of parental career expectations were considered. The higher levels of APFA had a positive relation to pressure from parental career expectations that resulted in negative associations with the levels of fulfillment of parental career expectations, and, in turn, lower life satisfaction. For PPFA, higher levels of PPFA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pressure, and through higher levels of fulfillment, high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inancial assistance from parents plays a complex role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young adults. APFA was associated with both positive and negative outcomes while PPFA was consistently associated with better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result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showing the importance of perceptions as well as the actual aspect of PFA. Lastly, by examining the mediational roles of pressure from and fulfillment of parental career expectations, it provides another explanation for the complex and inconsistent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FA and young adults’ psychological well-being.

      • 장애아동 부모의 낙관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대처행동을 매개로

        박지연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85868

        본 연구는 장애아동 부모의 낙관성,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 대처행동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낙관성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대처행동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전, 광주, 충북, 강원 지역에 거주하는 학령기 장애아동 948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낙관성,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 자아 강화적 대처 및 삶의 만족도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연구자가 직접 또는 교사와 치료사의 도움을 받아 배포 · 회수하였다. 이 중 907명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총 692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과 AMOS 19.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낙관성,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 자아 강화적 대처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자아 강화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모형과 대안모형들을 설정한 후 적합도 확인을 통하여 최종모형을 채택하였고, 어머니와 아버지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낙관성,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 자아 강화적 대처 및 삶의 만족도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낙관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 강화적 대처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자아강화적 대처를 통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은 어머니와 아버지 집단 모두에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장애아동 부모의 낙관적 성향이 높을수록,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을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적극적 대처를 많이 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며, 장애아동 부모의 낙관성은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자아 강화적 대처를 통하여 직·간접적으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며,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자아 강화적 대처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coping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an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life satisfaction mediates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and coping behavior. For the study, a questionnaire including measures of optimism,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self-strengthening coping and life satisfaction were distributed or collected by the researcher directly or with the help from teachers or therapists to parents of 948 school-age children with disabilities living in Seoul, Gyeonggi province, Daejeon, Gwangju, Chungbuk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Of these, 90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692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9.0 program and AMOS 19.0.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self-strengthening coping and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done to look into the mediated effect of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and self-strengthening coping. Research models and alternative models were set, and the final model was selected through a test of goodness of fit and the difference between mothers and fathers group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for optimism,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self-strengthening coping and life satisfaction. Self-strengthening coping had a partial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had a double mediated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self-strengthening coping. Also, si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others and fathers, the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both mothers and fathers. Through the above study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more optimistic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the more positive the perception of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and the more proactive coping behaviors are,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is. Also, it can be seen that optimism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directly and indirectly impacts life satisfaction through positive perception of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and self-strengthening coping, and positive perception of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indirectly impacts life satisfaction through self-strengthening cop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