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은퇴예정자의 사회적자본과 지적자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길대호 한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국 문 요 약 은퇴예정자의 사회적자본과 지적자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논문제출자 길 대 호 지 도 교 수 정 화 영 본 연구는 현재 직장인들 가운데 은퇴예정자들을 대상으로 그동안 내재된 사회적자본과 지적자본이 기업가정신을 매개로하여 창업의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조사와 문헌고찰을 통하여, 첫째, 은퇴예정자의 사회적자본과 지적자본이 기업가정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둘째, 은퇴예정자의 사회적자본과 지적자본이 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셋째, 은퇴예정자의 기업가정신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해보고자 하는 연구이며, 넷째, 은퇴예정자의 기업가정신은 사회적자본과 창업의지 사이에서 어떤 매개효과가 있는가? 다섯째, 은퇴예정자의 기업가정신은 지적자본과 창업의지 사이에서 어떤 매개효과가 있는가? 여섯째, 기존의 지적자본 중에서 고객자본을 사용하는 대신 마케팅자본을 사용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의 연구이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 첫째, 은퇴예정자의 사회적자본과 지적자본이 기업가정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둘째, 은퇴예정자의 사회적 자본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지적자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 되었고, 셋째, 은퇴예정자의 기업가정신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넷째, 은퇴예정자의 기업가정신은 사회적 자본과 창업의지 사이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다섯째, 은퇴예정자의 기업가정신은 지적자본과 창업의지 사이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여섯째, 기존의 지적자본 중에서 고객자본을 사용하는 대신 마케팅자본을 사용해본 결과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사회적자본과 기업가정신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적자본이 창업의지로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자본과 지적자본이 기업가정신을 매개로 창업의지 관계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은퇴예정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회적자본과 지적자본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최초의 조명이라는 차이점과 사회적자본과 지적자본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각각의 변수로서 성숙기업의 경영성과로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에 반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자본과 지적자본이 창업의지와의 관계를 조명한 점과 기업가정신이 그 둘의 변수와위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할 수 있는지와 영향관계를 복합적으로 조명한 점도 기존 연구와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특정한 집단내의 경험이나 지식 또는 사회적관계가 창업의지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고, 은퇴예정자의 주 대상인 시니어세대나 베이비부머세대의 창업의지가 창업의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사회적자본과 지적자본, 그리고,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의 관계를 분석해본결과 사회적 자본은 창업의지에 있어서 기업가정신이 부분매개효과를 도출하였고, 지적자본은 창업의지에 있어서 기업가정신이 완전매개효과를 도출 하였다. 따라서 집단 혹은 직장 내에서의 경험, 사회적관계는 창업의지와 연결되어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개연성을 알 수 있고, 지적자본만으로는 창업의 한계성을 나타내주고 있다 하겠다. 본 연구의 실증연구에서 매우 의미 있는 시사점은 창업자가 창업을 결심하는 데는 단지 지적자본 만으로는 부족하고 기업가정신을 반드시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또한, 지적자본을 측정함에 있어서 기존의 연구와 달리 중요한 구성요소인 고객자본을 사용하지 않고 마케팅자본으로 대체한 점은 후속 연구에서 본 연구를 참고함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점이다.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the Marketing Performance of Farmers' Specialized Cooperatives in China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Opportunity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Learning

        주조흥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831

        국은 전면적인 샤오캉사회(小康社會) 건설과 빈곤 완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농촌 지역 경제 활성화가 중요해졌다. 이에 따라 민간조직을 비롯한 협력경제는 농촌지역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동인이 되고 있다. 특히, 2006년에 중국 농민전업합작사법이 공포된 이후 중국에는 이미 220만 개 넘는 농민 합작사가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전통적인 중국 농촌의 자족(自足)적인 경제 문화와 경쟁을 위주로 하는 현대문화의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경영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시장에서 살아남아야 한다. 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마케팅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으나 중국 농민전업합작사의 마케팅 성과는 좋지 않다. 또한 중국 농민전업합작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농민전업합자사의 마케팅과 관련한 연구들은 진행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중국 농민전업합작사의 마케팅 성과 뿐만 아니라 기회개발, 조직학습등 다양한 변수를 입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농민전업합작사의 사회적 자본과 기회개발 및 조직학습이 마케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중국 농민전업합작사의 마케팅 성과를 향상하기 위한 정책적인 제언과 실천적인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중국 농민전업합작사의 사회적 자본이 조직학습과 기회개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중국 농민전업합작사의 사회적 자본이 마케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중국 농민전업합작사의 조직학습과 기회개발이 마케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 중국 농민전업합작사의 사회적 자본과 마케팅 성과와의 관계에서 조직학습과 기회개발이 매개변수로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설정된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를 통하여 측정 도구를 도출하고 도출된 측정도구에 대한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중국의 하난성, 산둥성, 광서성과 장쑤성에 위치한 농민 전업합작사에서 종사하고 있는 종사자이다. 본 연구는 편의 표본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회수된 설문지 487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방법은 SPSS 23.0 및 AMO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농민전업합작사 사회적 자본의 하위요인인 구조적, 관계적, 인지적 요인이 기회개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농민전업합작사의 사회적 자본의 하위요인인 구조적, 관계적, 인지적 요인이 조직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농민전업합작사의 사회적 자본의 하위요인인 구조적, 관계적 요인은 마케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사회적 자본의 인지적 요인은 마케팅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농민전업합작사의 기회개발과 조직학습은 마케팅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국 농민전업합작사의 기회개발은 사회적 자본의 하위요인인 구조적, 관계적 요인과 마케팅 성과와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가 있지만, 기회개발은 사회적 자본의 인지적 요인과 마케팅 성과와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중국 농민전업합작사의 조직학습은 사회자본의 구조적, 관계적, 인지적 차원과 마케팅 성과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농민전업합작사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중국 농민전업합작사의 마케팅 성과를 높이기 위하여 중국 농민전업합작사의 기회개발과 조직학습능력을 향상시키고, 소셜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확대와 통합을 해야 한다. 둘째, 중국 농민전업합작사의 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지원체계를 구축하여 합작사에 대한 협력개발기회와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학습지원에 대한 분위기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농민전업합작사의 안정적인 사회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셋째, 중국 농민전업합작사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대학교내의 교육과정 개설과 종사자를 대상으로 연수지원, 교육비 지원, 대학교와의 산학협력체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넷째, 중국 농민전업합작사의 성장과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회적 자본, 기회개발, 조직학습 및 마케팅 성과에 대한 광범위한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The revitalization of the economy in rural areas has become important because China is pushing for an all-round well-off society construction and poverty alleviation campaign. Accordingly, the cooperative economy, including social organizations, became an important force for the promotion of the economy in rural areas. More than 2.2 million farmers' specialized cooperatives have been established in China since the Chinese Farmer Specialized Law was promulgated in 2006. However, the marketing performance of the Chinese farmers' specialized cooperatives is not good because of the problems such as the conflict between traditional Chinese rural self-sufficient economic culture and competition culture in the modern commercial world. Although there were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marketing performance in the past, but 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f farmers' specialized cooperatives on marketing performance under the mediating effects of opportunity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learning was ra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truct a model on the mechanism of how social capital, opportunity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learning influence marketing performance of China's farmers' specialized cooperatives. Also the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capital, opportunity development, organizational learning and marketing performance. Based on the analysis, basic data about these variables is obtained and policy suggestions and practical suggestions is provided to improve marketing performance for Chinese farmers' specialized cooperative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1) What is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marketing performance of farmers' specialized cooperatives? (2) What is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opportunity development of farmers' specialized cooperatives? (3) What is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learning and opportunity development on marketing performance of farmers' specialized cooperatives? (4) Does opportunity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learning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marketing performance of farmers' specialized cooperatives? The subjects of the investigation were employees who worked for the farmers' specialized cooperative located in Henan, Shandong, Guangxi and Jiangsu provinces. This study verifi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by conducting small-scale pre-test. After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This study collected 57 valid pre-test survey questionnaires and 487 valid questionnaires from a large-scale survey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used the SPSS 23.0 and AMOS 24.0 programs to analyze the data. The analysis includes reliability and feasibility analysi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iscriminant validation analysis, path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relational and cognitive dimensions of the social capital of the China's farmers' specialized cooperatives have been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opportunity development. Second, the structural, relational and cognitive dimensions of the social capital of the China's farmers' specialized cooperatives have been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learning. Third, the structural and relational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of China's farmers' specialized cooperative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marketing performance, but the cognitive dimension of social capital has no positive influence on marketing performance. Fourth, the opportunity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learning of China's farmers' specialized cooperatives have been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marketing performance. Fifth, the opportunity development of China's farmers' specialized cooperatives has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al and relational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and the marketing performance, but opportunity development has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dimen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marketing performance. Sixth, it was found that the organizational learning of China's farmers' specialized cooperative has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relational and cognitive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and marketing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propos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marketing performance of China's farmers' specialized cooperatives. First, in order to enhance the marketing performance of China's farmers' specialized cooperatives, the opportunity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of China's farmers' specialized cooperative should be strengthened, and social networks should be actively expanded and enhanced.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the policy support system, create cooperative development opportunities, provide learning resources and establish learning communities, and guide the cooperatives to build healthy and stable social networks. Third, to solve the human resources problem of the farmers' specialized cooperative, the human resources reserve and training support system should be adjusted to attract college graduates and other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Fourth, follow-up research on social capital, opportunity development, organizational learning and marketing performance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in order to promot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hinese farmers' specialized cooperative.

      • 교사의 사회적 자본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김지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교사의 사회적 자본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변수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후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자본의 하위 변인인 신뢰, 네트워크, 협력과 학교조직효과성의 하위 변인인 직무만족, 조직적응, 직무성과 각각은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타당성과 신뢰도 역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여 잠재변수의 하위 구성요인으로서 적합하게 설정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의 사회적 자본이 학교조직효과성의 하위 구성요소인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실시 결과, 신뢰(t=5.852), 네트워크(t=3.676), 협력(t=6.209) 모두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자본 하위변수의 영향력 크기를 비교한 결과, 신뢰(β=.306), 협력(β=.301), 네트워크(β=.258)의 순서로 높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 내 신뢰와 네트워크가 축적되면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긍정적인 조직효과성을 이룩할 수 있다는 송승숙(2013)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업무에 관하여 동료 교사들과 서로 돕고 협력하는 문화가 교사의 불안함과 불확실성을 줄여주고 만족감을 높여준다는 김혜영(2014)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교사가 동료들과의 지속적 의사소통 네트워크를 가지고 교육 및 교육 외적인 정보를 공유하며 지식공유 활동에 적극적으로 임한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이끌어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교사의 사회적 자본이 학교조직효과성의 하위 구성요소인 조직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실시 결과, 신뢰(t=5.492), 네트워크(t=2.692), 협력(t=3.957) 모두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조직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조직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자본 하위변수의 영향력 크기를 비교한 결과, 신뢰(β=.327), 네트워크(β=.210), 협력(β=.204)의 순서로 높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 내 원활환 네트워크 형성이 교사들의 비전공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조직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 김세정(2010)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사회적 자본이 학교조직효과성의 하위 구성요소인 직무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실시 결과, 신뢰(t=5.852), 네트워크(t=3.676), 협력(t=6.209) 모두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자본 하위변수의 영향력 크기를 비교한 결과, 협력(β=.385), 신뢰(β=.232), 네트워크(β=.177) 의 순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의 협력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허훈구(2015)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간의 협력이 다른 어떤 변인들보다도 학교 효과나 학교 개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제시한 권순형(2014)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교사의 사회적 자본은 학교조직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직무만족 및 조직적응과 같은 교사들의 심리적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조직 구성원들의 심리적 기제인 신뢰이고 협력과 같은 행동적 요인은 직무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 information-oriented age, It is very important for organizational members to have ‘trust’ each other, and have constant ‘network’ and ‘cooperation’. Especially, School-organizations aim for a long-term vision rather than visible outcome, and teacher share these kinds of aim together. Based on this thinking, this study criticizes previous teacher policies, and suggests that recent studies focus on teachers’ culture of community like trust, network, cooperation, etc. With educational perspective, It is called the ‘Social Capital’. So in this study, the theory presupposes that improving teacher’s level of social capital can highly affect development of school education. This study aim to analyze the effects of teachers’ social capital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adaptation, job performance) targeting public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egu. The survey used sampling method, and the target of the survey were the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the public schools of Daegu.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by offline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29 to October 18, 2016 for about 3 weeks. With respect to the survey tool, 34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demographic and major variables. 280 survey sheets were distributed and 254 were analyzed (collection rate of 90.7%).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is study di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Statistics ver. 22. To achieve such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by considering lots of preceding researches, and established to find out the conclusion. An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ocial capital highly affect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using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It finds out that all variables of social capital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re positively correlated each other. And each variables of Social capital affects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By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finds out that ‘trust’ affect the most influence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adaptation. It means that teachers’ emotional trust has great affect on their own mentality. Therefore, they can think their job positively. Third, By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finds out that ‘collaboration’ affect the most influence on teachers’ job performance. It means that teachers’ co-operative behavior can have great affect on their achieve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사회적 자본의 분석을 통한 정책 유형별 갈등과 순응 연구 : 제주특별자치도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강권오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831

        지방자치제의 실시는 중앙의 권력을 지방으로 이양함으로써 민주주의 발전에 지대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이는 한편으로 많은 이해관계자들을 정책 과 정에 참여시킴으로써 공공갈등이 복잡⋅다양해지는 등 부정적 외부효과를 발생 시키기도 하였다. 제도 및 정책 환경의 변화는 궁극적으로 지방정부의 역할에 변 화를 가져오는 변수로 작용하였으며, 이러한 흐름에 따라 공공갈등 관리는 지방 정부의 주요 역할 중 하나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일반적으로 지역 정책 수립 및 추진 과정에서 지방정부와 지역 주민은 정책 의 공급자, 수요자이자 공공갈등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두 이해관계자 사이에 형성된 관계는 정책 순응 확보를 위한 매우 중요 한 배경 요소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책의 두 주체 사이 에 형성된 사회적 자본이 정책 순응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제 하에 사회적 자 본의 요소를 기준으로 정책 유형 분류를 위한 틀을 개발하고 제주특별자치도의 정책들을 분석함으로써, 정책 유형 별 갈등의 특징과 순응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 였다. 본 연구의 분석 모형은 크게 두 개의 축을 토대로 설정되었다. 하나의 축은 사회적 자본의 구성 요소(네트워크, 주민참여, 규범, 신뢰)를 활용하였으며, 다른 하나의 축은 정책의 강제성 유형을 기준으로 정책을 분류한 Lowi(1972)의 분류 기준(재분배정책, 구성정책, 분배정책, 규제정책)을 활용하였다. 두 개의 축을 토 대로 구성된 정책 분류 모형은 총 16개의 유형으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각각의 유형은 각자 고유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독자적인 형태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분석 모형은 지방정부에서 추진하는 정책을 그 특성에 따라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세분화하여 분석함으로써 각 영역의 특징을 도출 하고, 갈등의 관리를 위한 대안 및 궁극적으로 행정과 지역 주민 간의 사회적 자 본 형성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본 연구는 앞 서 실시한 16개 정책 유형별 주요 사례를 검토하고 언론을 통해 빈번하게 이슈 화되거나 갈등이 발생하는 4개 유형의 사례를 집중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해당 유 형의 갈등 관리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NC형 정책은 네트워크 영역에 포함된 구성정책으로서 대체적으로 공사나 공 단, 센터 설립 등 물리적인 조직의 신설되는 형태를 보이는 정책 유형이다. 이 유형의 경우 대체적으로 정책 추진에 따른 결과가 매우 장기적으로 나타나는 경 향을 보이며, 또한 신규 조직이 하나의 이해관계자로 등장함으로써 권한과 범위 의 충돌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이 유형의 정책을 추진할 경우 기관 간 권한 및 업무범위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장기적 계획 수립을 통해 정책의 각 과정을 관리하는 등의 방안이 효과적이다. OC형 정책은 규범 영역에 포함된 구 성정책으로서 대체적으로 지역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형태의 정책들이 포함되는 정책 유형이다. 이 유형의 정책들은 정책 수행에 따른 개인적인 이해관계와 관련 된 갈등보다는 절차적인 과정에서의 문제 또는 정책의 방향성과 관련된 문제들 이 갈등을 발생시키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이 유형의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 는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초기 단계부터 지역 주민들의 공감대 형성을 매우 중요하게 고려해야하며, 추진 과정에서 충분한 제도적 검토를 통해 절차적 정당 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TD형 정책은 신뢰 영역에 포함된 분배정책으로서 지 역사회 내에서 갈등이 가장 빈번하고 치열하게 발생하는 유형이며, 따라서 공공 갈등의 관리 측면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유형이다. 이 유형의 정책들 을 추진할 경우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은 이해관계자를 명확하게 도출 함으로써 갈등 관계를 명확하게 규정해야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개 인의 이득과 관련된 치열한 갈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각 이해관계자를 적절하게 조율할 수 있도록 신뢰할만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사전에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TG형 정책은 신뢰 영역에 포함된 규제정책으로서 정책 자체가 개 인이나 집단을 강제하는 성격을 띄기 때문에 추진 과정에서 갈등이 발생하기가 쉽다. 이 유형은 추진 시 합법성과 관련된 이슈가 발생할 여지가 매우 높으며, 따라서 정책을 설계하는 단계에서부터 정책의 합법성에 대한 충분한 사전 검토 가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정책의 순응 확보를 위해 지방정부와 지역 주 민간의 사회적 자본 강화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계 강화 를 위해 전담조직의 설치 및 전문 인력의 운영이 필요하다. 공공갈등이 지속적으 로 복잡다양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지방정부가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가지고 모든 문제에 대응하는데에는 한계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공공갈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갈등관리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 조직의 마련이 필요하다. 다만 현재 제주특별자치도의 경 우 전문 조직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부분에서의 개선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설립된 전문 조직은 지방정부와 지역 주민 간의 효과적인 연결점으로 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주민 참여 유도를 위해 현안문제 발 굴 방식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정책의 목적이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이라고 봤을 때 가장 효율적으로 정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지역 주민들이 직접 문제를 발굴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발굴할 수 있도록 주민들이 직접 현안 문제를 발굴하고 제보하는 형 태의 제도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 내 규범 공유를 위해 공감대 형성 및 체계적 정책 운영의 제도화가 추진될 필요가 있다. 규범은 지역 주민들이 공 유할 수 있는 지역의 방향성이라고 볼 수 있으며, 다수의 주민들이 이해하고 공 유할 수 있음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지역 내 규범들이 지역의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면, 이를 제도화하여 지역 주민들이 함께 지키고 공유할 수 있도 록 정책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는 지역민의 결속을 보다 강화함으로써 궁 극적으로 사회적 자본 강화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넷째, 행정과 지역 주민 간 신뢰 구축을 위해 정책 추진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전 과정을 DB화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신뢰는 사회적 자본의 핵심이며, 행정과 주민 간 신 뢰의 크기에 따라 정책 순응 확보의 성패가 드러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 라서 정책 순응의 확보를 위해서는 주민들이 지방 정부의 정책을 신뢰하고 참여 할 수 있도록 정책 추진 과정의 공개 등의 반복적인 노력을 통해 관계를 두텁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has resulted in various stakeholders, and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public conflicts continues to increase. Local governments have recently recognized conflict management as very important because public conflicts are likely to ultimately hamper regional development. In general,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local policies,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play a role as direct stakeholders of public conflict, and the relationship formed between the two stakeholders is a very important background factor for ensuring policy compliance. Therefore, this study assumes that social capital formed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will affect policy compliance. And by developing a framework for classifying policy types based on the elements of social capital and analyzing the policie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t was intende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 and compliance measures by policy type. The composition of the analytical model of this study was established by applying two main criteria. One utilized the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and the other utilize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Lowi(1972), which classified policies based on the types of compulsory policies. The policy classification model using two criteria consists of a total of 16 areas, each of which has its own characteristics. The analytical model designed in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policies promoted by local governments by subdividing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apital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to suggest alternatives for managing conflicts by area and for strengthening social capital. This study presented alternatives for conflict management in the area by reviewing the major cases of 16 policy types previously conducted and focusing on the four areas where frequent issues or conflicts occur through the media. NC-type policies are constituent policies that are included in the network domain, and are generally a type of policy that takes the form of a new physical organization. In this type of case, in general, the results of policy implementation tend to be very long-term, and the emergence of new organizations as a single stakeholder creates a conflict of authority and scope. Therefore, when implementing this type of policy, measures such as clearly establishing authority and scope of work among agencies and managing each process of policy through long-term planning are effective. OC-type policies are constituent policies that are included in the normative domain, and are generally a type of policy that includes policies in the form of establishing regional orientation. These types of policies tend to cause conflicts in procedural processes or problems related to policy direction rather than conflicts related to personal interests in policy implementation. Thus, in order to promote this type of policy, the formation of consensus among local residents from the early stages of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policies must be considered very important, and procedural justification needs to be secured through sufficient institutional review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TD-type policies should be addressed most importantly in terms of the management of public conflicts because they are the most conflict-prone areas within the community as a distribution policy included in the trust zone. When pursuing policies in this area,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is to clearly define conflict relationships by drawing out stakeholders. In addition, there should be specific, reliable guidelines in advance to ensure proper coordination of each stakeholder, as fierce conflicts related to individual interests occur frequently. The TG-type policy is a regulatory policy that is included in the trust zone, and conflicts are likely to arise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because the policy itself forces individuals or groups. This type has very high room for issues related to legality in its implementation, and therefore sufficient pre-examination of the legality of the policy from the stage of designing the policy is of paramount importance. Based on these results, to secure compliance with local policies, alternatives for strengthening social capital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a dedicated organization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As public conflicts continue to be complex and diverse, there is no choice but to limit the ability of local governments to respond to all problems with their expertise.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respond to and manage public conflicts occurring within the region, a specialized organization consisting of conflict management experts is needed. Conflict management professional organizations will be able to act as effective connection point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by directly acting as mediators in conflict situations and performing various research functions, DB construction, etc. Second,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methods of finding pending issues to induce residents to participate. Given that the purpose of the policy is to resolve problems occurring within the region, the most efficient means of achieving the objectives of the policy is to find the problems directly by local resi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system in which residents directly discover and report pending issues in order to effectively identify problems occurring within the region. Third,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formation of consensus and institutionalization of systematic policy operation to share norms within the region. The norms can be seen as the direction of an area that can be shared by local residents, and should be assumed to be understood and shared by a large number of residents. Therefore, if local norms are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them so that local residents can keep and share them together. This could ultimately have a great impact on strengthening social capital by further strengthening the solidarity of the local people. Final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ransparently disclosing the process of policy implementation and DBing the entire process in order to build trust between the administration and local residents. Trust is the core of social capital, an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uccess or failure of securing policy compliance is revealed depending on the size of trust between administration and residents.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policy compliance, it is necessary to keep the relationship strong through repeated efforts, such as disclosure of the process of policy implementation, so that residents can trust and participate in local government policies.

      • 사회적경제의 사회적자본이 협력적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사회적경제 조직을 중심으로

        유미현 전남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831

        새로운 지역발전 전략으로서 사회적경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세계자본주의 시장경제와 복지국가의 위기에 대응하여 복지와 노동 영역에서 사회적인 것을 복원하려는 시도들이 확산되면서, 사회적경제가 지역발전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사회적경제의 역할은 정부와 시장이 외면했거나 그 힘이 미치지 못하는 곳에서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나 사회서비스를 제공해 나가는 것이며,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우리사회의 빈곤과 사회적 배제를 극복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 사회적기업 기본법을 기점으로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해왔다. 그러나 사회적경제 성장에 있어 시민사회의 준비와 대응이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에서, 정부 주도의 정책이 진행됨에 따라 문제점이 발생했다. 정부의 일자리 창출 중심의 정책 기조는 인건비나 사업비 등 단기자금 지원 방식에 집중하게 했고, 단기자금 지원이 끊기는 순간 많은 조직의 존속이 어려운 지속가능성에 대한 과제를 남겼다. 이것은 지역의 발전을 도모하며, 시장경제의 대안을 창출한다는 사회적경제의 본래 역할과 그것이 가능한 환경조성이 어려운 현실을 보여준다. 사회적경제의 본연의 의미를 되찾고, 지속가능성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자본과 협력적거버넌스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경제가 경제·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은 높은 수익실현이나 정부의 재정지원이 아닌, 연대와 협력을 통해 형성된 사회적자본에 있다. 또한 사회적경제는 사회적․경제적 목적이라는 두 가지 가치를 실현해야 하는 어려움으로 시장경제체제 속에서 지속가능성 문제에 직면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정부, 시장, 그리고 다양한 민간부문 간의 협력적거버넌스 구축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경제를 대상으로 사회적자본과 협력적거버넌스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적경제 중간지원조직의 매개효과를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자본 형성과 협력적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사회적경제로의 연계 노력을 지속하고 있는 광주광역시 사회적경제를 주요대상으로 한다. 중앙정부, 광역과 기초자치단체에서 제도화 이후 추진 중인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 관련 정책 사업을 중심으로 하였고, 사회적경제 조직과 연계조직으로 유형화하여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3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사회적자본과 협력적거버넌스, 중간지원조직의 영향관계에 대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사회적자본은 중간지원조직을 매개로 협력적거버넌스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경로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분석틀에 대한 검증을 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는 사회적자본의 세부요소인 ‘신뢰’, ‘규범’, ‘참여’, ‘네트워크’가 협력적거버넌스 세부요소인 ‘공동의사결정’, ‘거버넌스운영’, ‘공동사업수행’, ‘파트너십구축’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적경제 조직의 ‘공동의사결정’은 ‘네트워크’, ‘신뢰’ 순으로 영향을 끼쳤고, ‘거버넌스운영’은 ‘참여’만이 영향을 미쳤다. ‘공동사업수행’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없었고, ‘파트너십구축’은 ‘네트워크’만이 영향을 끼쳤다. 다음으로 사회적경제 연계조직의 ‘공동의사결정’은 ‘네트워크’에 정(+)의 영향을 끼치고 있었으나, ‘참여’는 부(­)의 영향을 끼쳤다. ‘거버넌스운영’은 ‘신뢰’, ‘네트워크’순으로 영향을 끼쳤고, ‘공동사업수행’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없었으며, ‘파트너십구축’은 ‘네트워크’만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회적경제 조직과 연계조직 모두 ‘공동의사결정’ 측면에 있어서 ‘네트워크’가 영향을 끼치고 있었으며, ‘파트너십구축’은 ‘네트워크’가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또한 ‘공동사업수행’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모두 없었다. 사회적경제 조직에 있어 ‘거버넌스운영’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참여’였으며, 사회적경제 연계조직은 ‘네트워크’와 ‘신뢰’로 차이가 있었다. 세 번째 연구는 사회적자본과 협력적거버넌스 영향관계에 있어서 중간지원조직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사회적경제 조직을 대상으로 한 ‘중간지원조직 중요도’의 매개효과는 ‘신뢰’와 ‘공동의사결정’, ‘신뢰’와 ‘거버넌스운영’, ‘참여’와 ‘공동사업수행’에 있어서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파트너십구축’은 모든 사회적자본 요인에 있어서는 아직까지는 매개효과가 없었다. ‘중간지원조직 만족도’의 매개효과는 ‘네트워크’, ‘신뢰’와 ‘공동의사결정’에 있어서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나머지 ‘거버넌스운영’, ‘공동사업수행’, ‘파트너십구축’ 측면에 있어서는 아직까지는 매개효과가 없었다. 사회적경제 연계조직을 대상으로 한 ‘중간지원조직 중요도’의 매개효과는 협력적거버넌스 및 사회적자본 모든 요인에 있어 아직까지는 매개효과가 없었다. ‘중간지원조직 만족도’의 매개효과는 ‘네트워크’와 ‘공동의사결정’에 있어서 매개효과가 있었고, 나머지 ‘거버넌스운영’, ‘공동사업수행’, ‘파트너십구축’ 측면에 있어서는 아직까지는 매개효과가 없었다. 본 연구의 사회적자본과 협력적거버넌스 영향관계 측면에 있어서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경제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는 사회적자본의 형성을 토대로 하는 성장이 요구되어지며, 축적되어진 사회적자본 요소들이 협력적거버넌스를 통해 사회적경제 영역으로 연계되어질 수 있게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발적 유도를 강조하는 넛지(nudge)와 같은 방식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과적으로 자발적 유도를 통해 개인 참여를 공동체와 사회적경제 영역으로 유인하기 위해서는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이 중요하다. 중간지원조직은 사회적경제 조직 및 연계조직별 특화모델을 개발하고, 활성화하려는 노력이 접목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적경제의 협력적거버넌스 현황은 아직까지는 약한 자원교환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파트너십과 같은 강한 자원교류 단계로 이르기 위해서는 ①구조만들기, ②사회력 조직화, ③거버넌스 디자인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협력적거버넌스 구조만들기를 위해서는 사회적경제 각 주체별 특성과 기능을 파악할 필요성이 있으며, 그에 부합하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협력적거버넌스는 장기간에 걸쳐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자원교환과 결합도에 의거한 사회력 조직화 단계를 진단해볼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협력적거버넌스를 디자인해 나가야 한다. 셋째, 사회적자본은 단기간에 형성되어지는 것이 아닌 오랜 시간에 거쳐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지역공동체 문화, 네트워크 형성 등을 통해 포괄적이고 장기적으로 체화되어 진다. 따라서 경제적 가치관을 형성해 나가는 시기에 해당되고 있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협력과 상생 경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고, 사회적자본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사회적경제 교육을 통해 사회적자본을 형성하고, 협력적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사회적경제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중간지원조직 매개역할 구축 측면 정책적 시사점 다음과 같다. 중간지원조직은 지역민과의 친밀도를 높이고, 사회적경제 조직의 건전한 아이디어를 관계부서와 연결시켜주는 매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사회적경제 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은 재정 및 경영지원 역할이다. 이는 민간이 기금 조성을 주도하고, 행정기관이 지원하며, 중간지원조직이 관리하는 형식으로 추진할 수 있다. 또한 중간지원조직은 사회적경제 조직 네트워크 촉진을 위한 매개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 사회적경제 조직간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의 결점을 매워주고 시너지 효과를 창출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회적경제 블록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회적경제 연계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사회적경제 중간지원조직은 사회적경제에 대한 정보수집․제공의 역할을 담당해야한다. 또한 사회적경제 조사․교육․연구 및 정책개발에 있어서의 역할을 담당해야한다. 중간지원조직은 사회적경제 이해 증진을 위한 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교재개발 및 시스템 구축이 요구되어진다.

      • 사회적 배제 완화를 위한 사회적 자본의 역할 : 한국의 비영리자활지원조직 사례 연구

        김정원 全北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at social capital can support to reduce social exclusion through the case of an active of a nonprofit self-sufficiency organizations(heareafter 'NSSOs') in Korea. The nonprofit self-sufficiency organizations in this study means a nonprofit organization that helped job creation and support to inaugurate of an enterprise for the poor after the economic crisis in the late 1990s. And, this study set up that the cause of poverty is social exclusion. Social exclusion is a kind of a mechanism that make a specific group separate from the mainstream society. So, it gives attention to 'relation'. What is more, social capital is made from the network and it function as a fund if the resource from the network and the resource's using and access make interests. Therefore, growing the social capital can solve to reduce social exclusion In this study, social capital is defined as 'social opportunities given to the poor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NSSOs'. And also the participants in the services given by the NSSOs are defined as 'the poor who have been experiencing social exclusion at labor market and social networks as well.' The in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is 'social exclusion experienced by the poor who participate in the services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 NSSOs.' The parameter affecting the independent variable is 'social capital produced by the poor wh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by NSSOs.' Social capital is composed of 'presenting job opportunity', 'internal solidarity at work place through the activities aimed at boosting integration', 'useful resources and opportunities through linkage with other organizations'. The concepts of integration and linkage are given advices to Woolcock(1998) that used for analysis in the micro level. Three major things will be dealt with here in this study. First, the methodology underlying NSSOs's activities through analyze the birth of NSSOs. Second, NSSOs activities to increase the social capital among the poor. Las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increased by NSSOs and social exclu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SSOs in Korea share common 'methodology'. This is ascribed to the fact that NSSOs have unique backgrounds. Many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began to work with the government when government changed its social welfare policy into workfare during the economic crisis in the late 1990s. Micro-network of urban poor movement actors was a primary sub-structure in this process and mesomobilization actors had an important effect upon presentation of agendas and organization. And then hard efforts were done to organize already-existing organizations, which helped each separate activist and organization get together under the shared agendas. Those shared agendas include 'co-operate work', 'social employment', 'self-solution method on the problem.' These agendas influence education of the participants, management of the work place, and all areas concerned with NSSOs. Second, presenting job opportunity is given to the poor were excluded from labor market. NSSOs give the poor the chance to give a helping hand to society through their labor in the form of 'social employment' or 'returning the profits to society.' Meanwhile, NSSOs are trying to boost self-support consciousness of the poor through cultivate education. And strengthen integration with member at the workplace through co-operation oriented economic organization, right endowment, and inducement to self-gorvenment organization. In addition, the NSSOs strngthen linkage with outside organizations in order that supplement weak part of the poor at the workplace. Third, Psycho-emotional aspect should be considered. Even though economic benefits are not so great, the poor take participate work of NSSOs are satisfied when they get a chance to work, which means the job opportunities are greatly helping the poor to feel psychologically secured. The participants are report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cultivate education programs. They also show they appreciated trust at the workplace. And then they recognize that life chances are increased before participation. The participants recognize to raise their social status before participation, and report that they view themselves more positively than the poor who are in similar economic situations but who do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s. To sum up, the poor wh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by the NSSOs in Korea can have the chance to boost their social capital, and this capital can help reduce their social exclusion.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의 완화에 사회적 자본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한국의 비영리자활지원조직의 활동을 사례로 해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영리자활지원조직은 1990년대 후반의 경제위기 이후 빈곤층의 고용창출과 창업지원을 목적으로 활동을 전개하기 시작한 비영리조직을 지칭한다. 사회적 배제는 특정 집단을 주류로부터 격리시키는 일종의 메커니즘으로 ‘관계’의 문제에 주목한다. 한편, 사회적 자본은 연결망에서 형성되는 자본으로 연결망에서 형성된 자원과 그 자원의 이용과 접근이 이익을 가져올 때만이 자본으로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회적 자본의 함양은 사회적 배제의 완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점이 있다. 본 연구는 여기에 주목하고 다음과 같이 변수를 설정한다. 본 연구에서의 사회적 자본은 ‘빈곤층이 비영리자활지원조직과의 관계를 통해서 획득할 수 있는 사회적 기회’로 설정하고 비영리자활지원조직의 사업에 참여하는 빈곤층은 노동시장에서의 배제와 사회적 연결망에서의 배제를 경험하는 집단으로 설정한다. 종속변수는 ‘비영리자활지원조직과 관계를 맺고 일터에 참여하는 빈곤층의 사회적 배제’가 되며,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비영리자활지원조직과의 관계를 통해 발생하는 빈곤층의 사회적 자본’이 된다. 사회적 자본의 구성은 일터를 통해서 제공되는 ‘노동기회’, ‘통합성 강화를 위한 활동을 통해서 이뤄지는 일터 내부의 연대’, ‘연계성 강화를 위한 활동을 통해서 연결되는 각종 유용한 자원이나 기회’이다. 통합성과 연계성이라는 개념은 울콕(Woolcock, 1998)이 미시수준에서의 사회적 자본의 차원으로 규정했던 개념을 빌려온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를 한다. 첫째, 비영리자활지원조직의 등장 과정에 대한 파악을 통해 비영리자활지원조직이 동의해서 규범화하고 있는 활동의 방법론에 대해서 파악을 한다. 둘째, 비영리자활지원조직의 빈곤층에 대한 사회적 자본 함양 활동을 살펴본다. 셋째, 비영리자활지원조직과의 관계를 통해 함양된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 배제의 완화에 기여하는지를 살펴본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비영리자활지원조직은 활동의 ‘방법론’을 공유하고 있다. 이는 등장 과정의 특수함이 주요 원인이다. 1990년대 후반의 경제위기와 정부의 노동연계복지정책으로의 정책 변화라는 외적 환경에 사회운동 세력이 결합하면서 등장했다. 이 과정은 도시빈민운동의 미시연결망이 1차적 하부구조였으며, 중위동원자들이 조직적 과제의 제시와 조직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과정에서 ‘협동 노동’, ‘사회적 일자리’, ‘주민이 주체가 되어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 등이 비영리자활지원조직의 규범으로 자리를 잡는다. 이 규범은 비영리자활지원조직과 관계를 맺고 있는 빈곤층에 대한 소양교육프로그램과 일터의 운영 및 지원 과정, 그리고 빈곤층의 노동 활동에 반영된다. 둘째, 노동시장에서 배제된 빈곤층은 비영리자활지원조직과의 관계를 통해서 노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한다. 또한 비영리자활지원조직은 ‘사회적 일자리’나 ‘수익의 사회적 환원 유도’ 등을 통해 빈곤층이 노동을 통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일터 속에서 비영리자활지원조직은 소양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주체적 의식을 배양하고자 하며, 일터를 공동체적 경제조직의 지향, 사업단 구성원에 대한 권한 부여, 자치조직의 결성 등을 통해 공동체적이고 주체적인 운영을 도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등 일터 내 통합성을 강화하는 활동을 한다. 또한 자원의 연결 등을 통해 빈곤층의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는 등 일터 외부와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활동을 수행한다. 셋째, 비영리자활지원조직과의 관계를 통해서 발생하는 일터는 빈곤층에게 높은 수준의 경제적 성과를 제공해주지는 않으나 빈곤층은 비영리자활지원조직과의 관계에서 일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해 비영리자활지원조과의 관계를 통해서 발생하는 일터가 심리·정서적으로 심각한 장애를 겪을 가능성이 큰 빈곤층에게 심리적 안정을 주고 있다. 한편, 빈곤층들은 대체로 비영리자활지원조직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소양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만족도, 일터 내 신뢰에 대한 긍정적 인식, 사업단 참여로 인한 생활기회의 확대에 대한 긍정적 인식 등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긍정적 인식은 고용창출조직 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고용창출조직의 사업 참여 전보다 사업 참여 후가 더 사회적 지위가 높아졌다는 경향이 큼이 확인되었으며, 비슷한 경제적 상황에 놓여있는 일반 노동빈곤층과의 비교에서도 자신의 상황을 좀 더 긍정적으로 바라봄이 확인되었다. 이런 점들로 볼 때 비영리자활지원조직의 사업에 참여하는 빈곤층은 사회적 자본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며, 이렇게 함양된 사회적 자본은 빈곤층의 사회적 배제를 완화하는데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 組織內 社會的 資本과 知識資本의 關係에 관한 實證的 硏究

        이희미 西京大學校 經營行政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논문은 조직내 지식자본이 조직의 생존 및 발전에 필수적이라는 인식의 바탕위에서 조직내 사회적 자본과 지식자본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지식기반사회가 도래하면서 지식자본을 어떻게 창출할 것인가는 조직의 성공을 좌우하는 중대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지식자본이란 조직의 재무적 가치와 시장가치의 차이를 만드는 무형의 자본으로 정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지식자본은 인적자본, 고객자본, 그리고 구조자본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지식자본의 개발에 있어 하나의 동인(driving force)으로 간주되는 사회적 자본은 네트워크와 사회적 상호작용의 맥락에서 형성되는 신뢰와 규범, 그리고 개방적 커뮤니케이션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지식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이론적으로 조명하고 조직에 있어 지식자본의 형성과 축적을 위한 조건으로써 사회적 자본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민간기업과 공사, 행정기관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시행하여 사회적 자본이 지식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기법으로는 회귀분석과 던칸(Duncan)의 방법에 의한 다중범위검증, 그리고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을 사용하였다. 사회적 자본과 지식자본에 대한 본 논문의 실증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자본과 지식자본은 본 연구의 조사대상인 민간기업과 공사, 그리고 공무원 조직에 있어 중간을 약간 상회하거나 못 미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무형의 자본이 아직 국내의 민간기업과 공공조직에 충분히 조성되어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응답자가 속한 조직유형에 따라 사회적 자본과 지식자본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기도 했는데 대체로 공사 내지 공무원 조직이 민간기업에 비해 다소 사회적 자본과 지식자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점은 특기할 만하다. 이러한 결과는 공사나 공무원 조직이 근래에 들어 조직개혁과 고객만족, 인적자원의 개발을 제고하기 위한 경영혁신에 많은 노력을 경주하여 온 것에 기인하지 않았는가 보인다. 둘째로 사회적 자본의 구성변수인 규범과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신뢰는 지식자본의 구성변수인 고객자본과 구조자본 그리고 인적자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실증적으로 밝혀졌다. 고객자본과 구조자본에 대해서는 규범이 가장 큰 설명력이 있으며 인적자본에 대해서는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 대부분은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대 지식정보 사회에서 조직의 새로운 경쟁력의 원천으로 떠오르고 있는 지식자본의 육성과 발전을 위해 어떠한 노력과 개선이 필요한지에 대해 시사해 주고 있다. 즉 조직의 지식자본 강화를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의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규범적 측면에서는 조직내의 규범과 규칙이 잘 확립되어 있고 공과 사가 엄격히 구분되어 있으며 개인적 친분이나 연고보다는 원칙이 중시되며 정해진 규칙은 예외 없이 적용될 때 지식자본이 꽃피울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는 조직내의 하의상달과 같은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상반되는 견해가 대두되더라도 생산적인 논쟁이 벌어지는 토론문화가 성숙할 때 지식자본이 뿌리내릴 수 있다. 조직내의 수직적, 수평적 신뢰관계 역시 지식자본의 융성을 위해서는 중요한 조건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 of social capital and intellectual capital in organization, based upon the centrality of intellectual capital in organizational survival and growth. With getting into knowledge-based society, how to create intellectual capital become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urce for organizational success. Intellectual capital can be defined as the intangible capital that makes difference between financial value and market value of organization. Intellectual capital is commonly composed of human capital, customer capital and structural capital. Social capital regarded as one of the driving force for formation of intellectual capital, consists of trust, norms and open communication developed in the context of network and social interaction. In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social capital and intellectual capital is reviewed theoretically. Then it is examined empirically whether social capital is the effective factor for the development and accumulation of intellectual capital. For this, this study carries out survey by questionnaire method. The research sample is composed of members of enterprises in private and public sector, and government.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ar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ange test by Duncan's method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vel of social capital and intellectual capital is found to be slightly high or slightly low relative to middle level in enterprises in private and public sector, and government. This result indicates that intangible capital such as social capital and intellectual capital is not enough in enterprises in private and public sector, and government. Level of Social capital and intellectual capital is foun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questionnaire respondents are members of enterprises in private sector or public sector, or government. Level of social and intellectual capital is found to be relatively high in enterprises in public sector, and government. This phenomenon may be explained by the recent efforts for managerial innovation towards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customer satisfac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public organization. Second, by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about the effect of the social capital variables on the intellectual capital variables, social capital variables like norms, communication and trust have positive effect on intellectual capital variables such as customer capital, structural capital and human capital. The most effective factor in social capital to develope customer capital and structural capital is proved to be norm. Communication is proved to be the most effective force for human capital. With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most hypothese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proved.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what efforts and improvements are needed to develop intellectual capital as the new competitive edge of organization in era of knowledge based society. For the 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intellectual capital, the cornerstone consisted of social capital has to be established in organization. Intellectual capital flourishes in case that the norms and principles are firmly established in organization, and that private and public spheres are divided rigorously, and that impersonal rule prevail over personal ties and relations and that there is no exception to every rule ever established. Also bottom-up communication and productive discussion atmosphere has to be developed in organization, and trust of vertical and horizontal relation in organization is to be developed in order to strengthen organizational intellectual capital.

      • 팀의 사회적 자본이 구성원의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장정윤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1

        서비스 조직이 전문화되기 위해서는 조직의 목표를 수행하고 달성하기 위해 각 접점 구성원들이 자신의 업무를 잘 수행하면서 동시에 구성원 간의 긴밀한 협조도 이루어져야 한다. 서비스 조직 및 구성원이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같은 물적·인적 자본을 가지고 있어도 구성원 간의 관계에 따라 전혀 다른 성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팀제로 운영되는 서비스 접점부서에서의 사회적 자본이 구성원의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현재 접점별 팀제를 실시하고 있는 D리조트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크게 인구통계학적 변인, 사회적 자본 척도, 고객지향성 척도 세 가지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인 7문항, 사회적 자본 13문항, 고객지향성 12문항으로 총32문항이며 이 중 인구통계적 변인을 제외한 측정도구는 5점 척도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가 상황에 적합한지, 내용은 이해하기 쉽고 명확한지 D리조트 교육팀 및 경영기획팀 22명에게 예비조사(pilot test) 후 검토결과를 반영하여 설문지를 수정·확보하였다. 연구의 조사도구인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내적일관성 계수는 사회적 자본 .882, 고객지향성 .883이었다. 자료수집은 2010년 11월 1일부터 11월 12일까지 D리조트 종사자를 대상으로 12일간 총 230부가 배포되었고 그 중 184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회수율은 80%였다. 회수된 184부의 설문지 중 무응답이나 outlier가 존재하지 않아 184부 모두를 유효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 분석방법은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자본과 고객지향성의 고객지원 욕구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자본의 관계적 차원인 신뢰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자본과 고객지향성의 고객지원 흥미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자본의 관계적 차원인 신뢰와 인지적 차원인 규범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뢰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 도시지역 주거 유형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비교 분석

        천지영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우리나라의 사회적 자본은 전통적인 농경사회를 기반으로 한 씨족마을과 같은 공간적 배경에서 형성되어 자연스럽게 공동체 의식과 같은 사회적 자본이 형성되어 있었다. 196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수많은 인구가 도시로 이동하게 되면서 인구 집중, 주택 부족의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는 주거공간이 변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일반적으로 도시주거지역의 사회적 자본 감소의 원인은 이와 같은 급격한 도시의 팽창, 대단위 아파트 단지의 보급,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따른 이웃과의 단절로 판단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통념일 뿐 주거유형에 따라 사회적 자본의 정도를 측정한 연구는 없었으며 향후 도시 주거지역의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한 정책의 기본 자료로서 주거유형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형성정도를 측정한 연구가 절실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지역의 사회적 자본을 측정하여 주거유형에 따라 비교 분석하고 사회적 자본 형성정도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여 향후 정책에 반영하는 기본 자료로서 활용하는 것에 있다. 주거유형을 세분화하여 분석하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학적 기준에 따라 단독주택, 연립주택, 아파트의 주거유형에 따른 사회적 자본을 비교분석한다. 둘째, 주거지역을 구성하는 밀도에 따라 저밀지역은 단독․연립주택과 고밀지역인 아파트로 분류하여 사회적 자본을 비교분석한다. 셋째, 주택은 그 위치와 배치에 따라 특수성에 있으므로 단독주택은 골목형과 대로변형, 연립주택은 중정형과 일자형, 아파트는 복도형과 계단형으로 분류하여 사회적 자본을 비교분석한다. 넷째, 아파트의 경우 단지의 규모에 따라 사회적 자본의 형성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단지를 구성하는 세대에 따라 사회적 자본을 비교 분석한다. 주거유형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형성정도를 비교한 결과, 주거유형에 따라 미세한 차이를 보임으로 주거유형은 사회적 자본의 형성정도에 큰 영향은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유형보다는 개인적 성향에 따른 차이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 통념적인 예상과 달리 아파트의 사회적 자본이 단독 및 연립주택과 차이가 없는 이유로는 공간적 범위가 일정하게 규정되어 있는 폐쇄된 지역에서의 교류가 개방된 지역에서의 교류보다 활발하며 이웃 간의 규칙을 강화하여 규범의 형성에 더욱 용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유형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형성정도를 비교한 결과 주거유형보다는 다른 요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성을 검토하였다. 거주기간, 주택의 점유형태, 성별, 연령, 결혼상태, 자녀의 수, 이사 횟수, 가구구성, 주택의 규모, 평균소득, 최종학력, 직업의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사회적 자본의 관계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인구사회학적요인 중 연령, 결혼상태, 자녀의 수, 거주기간의 순으로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자본이 오랜 시간을 소요로 하는 관계적 자본이며 한 지역에 오랫동안 거주하는 여건이 형성되었을 때 더욱 증가한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결혼의 과정은 한 지역에 정착하는 원인이 되며 자녀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웃과의 교류를 증진시킨다. 또, 연령이 증가할수록 사회적 자본의 형성정도도 증가하며 특히 지역사회의 활동이 두드러지는 40․50대의 사회적 자본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활발한 교류 및 지역사회의 참여는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의 결과 도시지역은 과거의 농경사회와 달리 확산근린의 형태로 발달되고 있어 거주지에 기반한 사회적 자본의 형성보다는 개인적 성향에 따른 특정조직에서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령, 결혼상태, 자녀의 수, 거주기간과 같은 한 지역에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될 경우 지역사회에서의 사회적 자본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동적인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는 주택 정책이 절실함을 알 수 있다. 향후 도시지역 거주민의 성향에 맞춰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 본 연구는 자연발생적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향후 신도시지역, 광역권 거점도시와 같은 계획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사회적 자본의 형성정도를 분석하여 주거지역 발생에 따라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한 정책이 차별화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ocial capital according to the house-type of urban area and find out the effective forming of social capital in the house-type. More specifically speaking,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participants of the each house-type build social capital, to compare social capital formed in each house-typ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them, and finally to find out what kind of house-type have affected its differen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s previous theoretical studies and reports, and relevant these. It also conducts community social capital studies using the in-depth surveys.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speculations about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capital, the elements of social capital were classified as trust, norms, networks and it was made an indicators feasible to evaluate and compare each element of social capital building among house-type of urban area. For the comparative measurement of social capital, house-type of urban area can be subdivided into four sections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architectural classification, detached house/row house/ apartment 2) According to the areas of population density, detached․row house/ apartment 3)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placement of house-type, detached house by the narrow street/ detached house by the wide-street, patio row house/ row house, walk-up apartment/ hall apartment 4) According to the block scale of apartment Major finding of this study that house-type of urban area haven't an effect on building social capital. Because urban residential area formed spread community and urban resident make a relationship depend on personal tendency. Therefore, socioeconomic factors as residence term, ownership of house, age, gender, marriage, children number, move number, academic ability, job, income social capital of urban residential area. Especially, result of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chi-squared test, four socioeconomic factors as age, marriage, children number, residence term have an effect on building social capital. To sum up, Building social capital of urban area be influenced by socioeconomic factors better than house-type. Therefore, public assistance, attempt to increasing social capital of urban area through amalgamation of urban resident.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Responsibilit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Agricultural Leading Enterprises in China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Competitive Advantage

        양천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responsibility, social capital, competitive advantag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agricultural leading enterprises by establishing a conceptual model. It attempts to provide basic data for scholars, the government and enterprises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agricultural leading enterprises. 610 employees of leading agricultural enterprises in several cities of Xinjiang Uygur Autonomous Region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and random sampling method were used to collect data, and finally 492 vali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What is the current situa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social capital, competitive advantag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agricultural leading enterprises in China? (2) What are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responsibility, social capital, competitive advantag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agricultural leading enterprises in China? (3) What influences do social responsibility, social capital and competitive advantage hav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agricultural leading enterprises in China? (4) How do social capital and competitive advantage, as mediating variables,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esponsibi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the agricultural leading enterprises in China? SPSS 25.0 and Amos 24.0 software were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discriminant valid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path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tes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social responsibil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social capital. The dimensions of economic responsibility, ethical responsibility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of social responsibility have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social capital of agricultural leading enterprises, and legal responsibility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capital. Second, social responsibil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ompetitive advantage. The four dimensions of social responsibility, economic responsibility, legal responsibility, ethical responsibility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agricultural leading enterprises. Third, social responsibil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Economic responsibility, legal responsibility and ethical responsibility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ve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agricultural leading enterprises. However,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urth, social capital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ifth, competitive advantage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Sixth, social capital h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impact path of social responsibilit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venth, competitive advantage h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impact path of social responsibilit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proposed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agricultural leading enterprises in China. First, the government needs to promote the formation of industry standar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ricultural industry.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agricultural enterprises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non-agricultural enterprises. Supervision towards agricultural enterprises and non-agricultural enterprises should be different. Second, measures should be taken to improve the agricultural enterprise's moral quality and sense of responsibility in order to seek social stability and harmony from the cultural and moral level. Supervision from the public should be enhanced to create outer pressure for enterprises to actively undertake social responsibility. The public should be educated of business ethic codes and cultivated sense of corporate responsibility.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the disclosure and supervision role of leading enterprises at all level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centive funds can be established to encourage enterprises to fulfill their social responsibility obligations. The government can also launch a series of measures to provide various awards to encourage enterprises to actively perform social responsibility and fully practice social responsibility. Third, the government could actively guide agricultural enterprises to fulfill thei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gricultural enterprises in weak industries should not only adhere to the social responsibility based on economic responsibility and legal responsibility but also undertake ethical responsibility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to perfor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at is beneficial to the accumulation of corporate social capital. Fourth, agricultural enterprises can improve enterprise performance by undertaking social responsibility, so these enterprises should actively undertake social responsibility in specific practice. At the same time, in the process of fulfilling social responsibility, enterprises should find a correct posi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enterprise management and change the business philosophy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Fifth, enterprises can obtain social capital and competitive advantage by adjust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ehaviors so as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Sixth, more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on social responsibility, social capital, competitive advantag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o promot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na's agricultural leading enterprises. Scholars could continue to study agricultural leading enterprises, especially on how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agricultural leading enterprises. More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on relevant issue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o further explore approaches on the improvement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utilizing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the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and the increase of competitive advantage. 본 연구는 중국 농업선도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주요 변수로 선정하여 사회적 책임, 사회적 자본, 경쟁우위와 사업성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정부와 기업에게 농업선도기업의 사업성과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신장웨이우얼자치구의 농업선도기업 종사자 총 610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 추출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유효한 자료 492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국 농업선도기업의 사회적 책임, 사회적 자본, 경쟁우위, 사업성과는 어떠한가? 둘째, 중국 농업선도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적 자본과 경쟁우위와 사업성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중국 농업선도기업의 사회적 책임, 사회적 자본, 경쟁우위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중국 농업선도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경쟁우위가 사회적 책임과 사업성과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자료처리 방법은 SPSS 25.0과 AMO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며, 빈도 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탐색적인 및 확인적인 요인 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판별 효도 분석, 회귀분석, 경로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국 농업선도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사회적 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책임인 경제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이 농업선도기업의 사회적 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법적 책임은 사회적 자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농업선도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경쟁우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책임인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이 농업선도기업의 경쟁우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농업선도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사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책임인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이 농업선도기업의 사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선적 책임은 사업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농업선도기업의 사회적 자본은 사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국 농업선도기업의 경쟁우위는 사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중국 농업선도기업의 사회적 자본은 사회적 책임과 사업성과와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중국 농업선도기업의 경쟁우위는 사회적 책임과 사업성과와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농업선도기업의 사업성과를 향상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정책적인 제언과 실천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정부는 농업산업의 특성에 따른 산업표준의 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농업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일반기업과 다른 특징이 있으므로 정부는 농업기업과 일반기업을 구분하여 산업표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농업선도 기업가들의 도덕적 자질과 책임 의식을 함양하고, 사회의 안정과 화합을 도모하기 위하여 농업선도기업의 기업문화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대중의 관심은 적극적으로 농업선도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도록 압력을 행사할 수 있다. 또한, 대중의 관심은 기업의 윤리 교육과 기업의 책임 의식 함양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더불어 정부는 농업선도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홍보와 관리 감독의 역할을 강화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위한 기금을 조성해야 한다. 또한, 정부는 농업선도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장려하기 위해 사회적 책임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기업에 대하여 각종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사회적 책임을 전면적으로 실천하도록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농업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실천을 정부가 적극적으로 유도해야 한다. 취약업종인 농업기업은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에 기초한 사회적 책임을 토대로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을 포함하여 농업기업의 사회적 자본을 축적해야 한다. 넷째, 농업기업은 사회적 책임을 기반으로 기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사업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를 가져야 한다. 아울러 농업기업은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데 있어 올바른 자세를 갖고 기업 경영에 있어 사회적 책임을 근간으로 사회적 책임 경영 마이드로 전환해야 한다. 다섯째, 농업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적용함으로써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경쟁우위를 획득할 수 있고 또한 기업의 사업성과를 높일 수 있다. 여섯째, 중국 농업선도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회적 책임, 사회적 자본, 경쟁우위, 사업성과 등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학계에서는 농업선도기업을 대상으로 농업선도기업의 사업성과를 향상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더불어, 농업기업을 대상으로 다양한 시각으로, 심도 깊은 연구를 진행하여 농촌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여 경쟁우위를 높여 사업성과를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