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및 부모-자녀의사소통이 사회적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송정순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및 부모-자녀의사소통이 사회적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기의 사회적유능성 획득은 건강한 자아와 사회정서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성인이 된 후 사회생활의 실패와 성공의 기준이 된다. 아동기는 자신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과 관계를 맺는 첫 사회화 과정이므로, 이 시기에 사회적유능성 획득은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시사 하는바가 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과 학년에 따라 사회적유능성, 자기조절능력, 부모-자녀의사소통의 차이, 자기조절능력과 부모-자녀의사소통 및 사회적유능성의 관계와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및 부모-자녀의사소통이 사회적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학년에 따라 사회적유능성, 자기조절능력, 부모-자녀의사소통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자기조절능력 및 부모-자녀의사소통은 사회적유능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자기조절능력 및 부모-자녀의사소통은 사회적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를 고찰하기 위하여 I광역시에 소재한 2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 5, 6학년 아동 3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방법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t-test와 F검증, Pearson 적률상관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사회적유능성, 자기조절능력, 부모-자녀의사소통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유능성과 자기조절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유능성의 하위요인인 사교성,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인기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아가 남아보다 사회적유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적자기조절능력과 동기적자기조절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아가 남아보다 자기조절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대한 부모-자녀의사소통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학년에 따른 사회적유능성, 자기조절능력, 부모-자녀의사소통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유능성, 자기조절능력, 부모-자녀의사소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유능성 하위요인인 사교성과 사회참여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교성과 사회참여도에서 5학년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4학년, 6학년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인 동기적자기조절능력과 행동적자기조절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동기적자기조절능력과 행동적자기조절능력에서 4학년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5학년, 6학년 순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부모-자녀의사통의 하위요인인 문제형의사소통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문제형의사소통에서는 6학년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5학년, 4학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적유능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적유능성과의 모든 하위요인 간에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이는 자기조절능력이 높을수록 사회적유능성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부모-자녀의사소통과 사회적유능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자녀의사소통과 사회적유능성과 각 변수 간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적의사소통은 사회적유능성의 하위요인과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문제형의사소통은 사회적유능성의 하위요인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이는 부모와 개방적의사소통을 많이 할수록 사회적유능성이 높으며, 문제형의사소통을 많이 할수록 사회적유능성이 낮음을 의미한다. 셋째, 자기조절능력과 부모-자녀의사소통이 아동의 사회적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모든 하위요인이 사회적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유능성의 하위요인별 결과를 살펴보면, 사교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지적자기조절능력, 동기적자기조절능력, 개방적의사소통이며, 대인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지적자기조절능력, 행동적자기조절능력, 개방적의사소통이다. 다음으로 사회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지적자기조절능력, 동기적자조절능력, 행동적자기조절능력, 개방적의사소통이며, 주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지적자기조절능력, 행동적자기조절능력, 개방적의사소통, 문제형의사소통이다. 인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지적자기조절능력과 개방적의사소통이며, 사회적유능성 총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지적자기조절능력, 동기적자기조절능력, 행동적자기조절능력, 개방적의사소통이다. 이런 결과는 자기조절능력이 높을수록 부모와 개방적의사소통을 할수록 사회적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고, 또한 본 연구에서는 고학년 아동의 사회적유능성에 자기조절능력과 부모-자녀의사소통의 영향력을 검증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제어 : 사회적유능성, 자기조절능력, 부모-자녀의사소통 ABSTRACT The effects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their social competence Song, Jung Soon Department of Consumer and Child Studies Graduate School Incheon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der and grade on social competence, self-regulation, learn how parent-child communication differ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ocial competence.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social competence were also examined. In order to analyze the research problem, 326 children in 4th grade, 5th grade and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were surveyed.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problem, the SPSS 21.0 program was used and a t-test, F-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ain results from the research problem of this study can be summ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gender, social competence, self-regulat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ocial competence and self–regulation. Social competence, interpersonal adaptability, social participation, initiative, and popularity were the sub-factors of social competence, and girls showed higher social competence than boys. Also, there was a difference in cognitive self-regulation and motivational self-regulation which is a sub-factor of self-regul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parent-child communication between sexes. Next the differences in social competence, self-regulat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according to grade level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in social competence, self-regulat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bility and social participation among sub-factors of social competence, and 5th grade was the highest in sociability and social participation. Followed by 4th grade and 6th grade. Nex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otivational self-regulation and behavioral self–regulation which is a sub-factor of self–regulation, the 4th grade showed the highest level of motivational self-regulation and behavioral self-regulation, followed by 5th grade, 6th grad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blem-type communication, which is a sub-factor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ccording to grade. In problem-type communication, 6th grad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5th grade and 4th grade.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self-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ocial competence,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ocial competence and each variable. Open communic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b-factors of social competence, whereas problem-type communic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b-factors of social competence. Third, the effects of self-control ability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showed that all sub-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competence. Key Words : social competence, self-regulation, parent-child communication

      • 학령기 아동의 놀이성이 자기수용 및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정해영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2

        ABSTRACT The Effects of Playfulness in School-age Children upon Their Self-acceptance and Social Competence Jung Hae-Young Major in Play Therapy Department of Psychotherapy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Soonchunhya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Byeong-kug S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playfulness in school-age children upon their self-acceptance and social competence. The collected data was total of 291 copies except unsuitable data for the study, an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57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lived in big city (Apgujeong-dong, Gangnam-gu, Seoul, Korea) and 134 those who lived in medium-sized city(Osan, Gyeonggi-do, Korea). Children’s playfulness was assessed by Playfulness Scale for Children(developed by Choi, Choi, and Cho, 2008 and reorganized by Kim, 2009).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assessed by Social Competence Scale(developed by Park, 1998 and reorganized by Jung Hee Wang, 2001).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WIN 18.0 program and conducted a t-test, One-way ANOVA to find out general features of school-age children. After calculating pearson’s coefficient to research the effects of playfulness in school-age children on their self-acceptance and social compete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urvey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playfulness and social competence in big city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in medium-sized city. But self-acceptance had no difference between big city and medium-sized city. And then about sex differentiation, boys had more humor sense and extraordinariness, the sub-variable of playfulness, than girls had. And statistically girls had more playfulness for oneself than boys had. But self-acceptance has no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After verifying to grade differentiation, self-acceptance of 5th graders was higher than 6th grader.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in playfulness and social competence. Finally, school-age children’s perception and consequential playfulness, self-acceptance and social competenc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tudents who got high-grade had the highest score of playfulness, and students who got middle-grade had more sociability, interpersonal adaptability, social engagement, initiative and popularity than those who got low-grade. Students who got high grade had more self-acceptance and social competence in compared with lower grade students. Second,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variable of playfulness and self-acceptance, the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e sub-variable of playfulness, humor sense, emotional playfulness, extraordinary, social playfulness were related to a self-acceptance positively. Third, regarding links between playfulness and social competence, the sub-variable of playfulness and the sub-variable of social competence had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The sub-variables of social competence are sociability, interpersonal adaptability, social engagement, and that is related to the sub-variables of playfulness, emotional playfulness and social playfulness. Also, social engagement and popularity was related to playfulness for oneself. Therefore, playful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social competence.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the source of the programs to develop acceptance and social competence of school-age children. And it would be helpful for play therapy to help children who have psychological difficulty.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놀이성이 자기수용 및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도시(서울 압구정)와 중소도시(경기도 오산)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질문지 300부를 배부하여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응답자는 대도시 157명(54.0%)과 중소도시 134명(46.0%)으로 총 291명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학령기 아동의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최태산, 최명선, 조미정(2008)이 제작한 초등학생의 놀이성 척도와 아동의 자기수용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종권(1986)이 번안한 질문지를 수정, 보완한 김선화(2009)의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유능성 측정 도구는 박금옥(1998)이 개발한 질문지를 수정, 보완한 왕정희(2001)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학령기 아동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ANOVA)과 t-test를 실시하였고, 학령기 아동의 놀이성이 자기수용과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한 뒤 중다회기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통계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학령기 아동의 성장 지역별 차이검증 결과에서 놀이성과 사회적 유능성은 대도시 지역이 중소도시 지역에 비해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자기수용은 대도시와 중소도시 간은 지역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별 차이검증 결과 놀이성 하위변인인 유머감각과 기발성은 남아가 여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자적 놀이성은 여아가 남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자기수용과 사회적 유능성은 차이검증 결과 남아와 여아 두 집단 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차이검증 결과 자기수용 전체는 5학년이 6학년에 비해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놀이성과 사회적 유능성의 경우 5학년과 6학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학령기 아동의 놀이성과 사회적 유능성에는 학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령기 아동의 학업성적 인식에 따른 놀이성, 자기수용, 사회적 유능성의 차이검증 결과 성적이 상인 아동들이 중인 아동들과 하인 아동들에 비해, 또한 성적이 중인 아동들이 하인 아동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령기 아동의 놀이성이 자기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놀이성의 하위변인과 자기수용 전체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수용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놀이성의 하위변인은 유머감각, 정서적 놀이성, 기발성, 사회적 놀이성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수용에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진 놀이성의 하위변인은 정서적 놀이성과 사회적 놀이성으로 자기수용을 증진시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령기 아동의 놀이성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놀이성의 하위변인과 사회적 유능성 하위변인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변인인 사교성과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에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진 놀이성의 하위변인은 정서적 놀이성과 사회적 놀이성으로 나타났다. 주도성과 인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놀이성의 하위변인은 유머감각과 정서적 놀이성, 사회적 놀이성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참여도와 인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독자적 놀이성으로 나타나, 놀이성과 사회적 유능성 간의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학령기 아동의 놀이성이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자기수용과 사회의 올바른 구성원으로 성장하고 환경에 적응하는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학령기 아동의 놀이성에 대한 영향력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부모의 놀이성 및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심윤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놀이참여도와 놀이성을 살펴보고 이들 각각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놀이참여도와 놀이성을 고려하여 집단을 네 개로 나누어서 집단 유형에 따른 사회적 유능성은 어떠한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부모의 놀이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은 관계가 있는가? 1-1. 아버지의 놀이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은 관계가 있는가? 1-2. 어머니의 놀이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은 관계가 있는가? 1-3. 아버지, 어머니의 놀이성을 고려하여 분류된 집단 유형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부모의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은 관계가 있는가? 2-1. 아버지의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은 관계가 있는가? 2-2. 어머니의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은 관계가 있는가? 2-3. 아버지, 어머니의 놀이참여도 수준을 고려하여 분류된 집단 유형에 따fms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전북 남원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들의 부모님과 담임선생님 204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WIN 12.0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부모의 놀이참여도와 유아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 부모의 놀이성과 유아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부모 놀이참여도와 놀이성에 따라 분류된 집단 유형에 따른 유아 사회적 유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는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놀이참여도와 유아 사회적 유능성 간의 상관관계는 아버지의 놀이참여도는 사회적 유능성 중 정서조절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놀이참여도는 사회적 지식 이해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놀이참여도에 따라 분류된 네 집단(아버지와 어머니 놀이참여도가 모두 높은 집단, 아버지의 놀이참여도는 높고 어머니는 낮은 집단, 아버지의 놀이참여도는 낮고 어머니는 높은 집단,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참여도가 둘다 낮은 집단)과 유아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는 사회적 유능성 중 사회적 지식 이해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놀이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간의 상관관계에서 아버지의 놀이성은 사회적 유능성 중 정서조절, 사회적 지식 이해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놀이성은 놀이성 하위요인 중 즉흥성과 사회적 유능성 중 대인관계기술, 사회적 지식 이해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 놀이성에 따라 분류된 네 집단(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성이 둘다 높은 집단, 아버지의 놀이성은 높고 어머니의 놀이성은 낮은 집단, 아버지의 놀이성은 낮고 어머니의 놀이성은 높은 집단,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성이 둘다 낮은 집단)과 유아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는 사회적 유능성 하위요인 중 정서조절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부모의 낙관성이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과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김언수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1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부모의 낙관적 사고가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유아가 사회적으로 유능한 인간으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사회적 능력과 관련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가정에서 바람직한 부모와 자녀 관계형성에 도움을 주며, 유아가 사회적으로 유능한 인간으로 성장하며 발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부모의 낙관성은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과 사회적 유능성에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유아의 성별은 심리적 건강성과 사회적 유능성에 차이를 나타내는가? 셋째,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라 주요 변인들 간의 차이를 보이는가? 넷째, 부모의 낙관성은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과 사회적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5곳에 재원 중인 만3세~6세 유아130명(남아 60명, 여아70명)과 그들의 부모와 해당학급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부모의 낙관성과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부모평정), 사회적 유능성(교사평정) 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낙관성이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과 사회적 유능성에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라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과 사회적 유능성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유아의 연령에 따라 사회적 유능성에 집단차이를 보였다. 넷째, 어머니의 낙관성이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 하위요인 자기통제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부모의 낙관성, 심리적 건강성, 사회적 유능성, 긍정심리학

      • 암환아를 위한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조헌하 고려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암환아의 학교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정하고자 시도된 AB Design의 단일 대상자 연구이다. 본 연구는 Cavell(1990)의 사회적 유능성 모형인 Tri-Component Model을 개념적 기틀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소아암으로 진단 받고 치료의 급성기를 종료하고 유지 치료 중이거나 치료 종료 직후의 암환아로 학교에 복귀한 초등학교 아동 3명을 임의 표출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암환아의 학교생활경험과 관련된 문헌내용을 기초로 개발되었으며 자아 조절, 대인관계, 사회적 문제해결 증진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주 2회, 5주간, 10회기의 개별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이다. 효과검증을 위하여 교우관계는 이동원(1991)의 교우관계 검사지를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교우관계 척도로, 학업수행태도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학업수행태도 척도로, 친사회적 행동은 교사를 대상으로 Gresham과 Elliott(1990)의 교사용 사회 기술 척도로, 부모를 대상으로 Achenbach(1991)의 부모 작성용 아동행동평가 척도를 오경자 등이(1997) 표준화한 한국형 아동 행동 평가 척도 중 사회능력 척도로 측정하였고, 자존감은 Coopersmith(1972)의 자존감 척도로, 학교생활적응은 Weissman과 Bothwell(1976)의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학교생활적응 척도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이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한미현(1996)의 문제행동검사를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문제행동목록에 따라 학교생활을 관찰하였으며 암환아의 학교복귀와 관련된 어려움을 확인하고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의 유용성과 암환아의 학교생활적응과 관련된 요구를 파악하고자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은 기초선 단계와 중재 후 단계에 암환아 4명, 교사 4명, 어머니 3명 총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비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하여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 특성은 사례별로,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기초선 단계와, 중재 단계, 중재 후 단계에서의 문제행동관찰 내용은 행동발생률을 분석하고 그래프를 통하여 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암환아, 교사, 부모와의 면담 자료의 분석은 잠재적 내용분석 방법(Fox, 1982 Babbie, 1979)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이 암환아의 교우관계, 학업수행태도, 친사회적 행동,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교우관계, 학업수행태도 점수가 프로그램 중재 후에 증가했으나 중재 1개월 후에는 대상자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암환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평가에서 교사들은 프로그램 중재 후에 사회기술 점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하였으나 부모는 프로그램 중재 후에 총사회능력 점수가 감소하거나 중재 전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평가하였고 총사회능력 점수는 T점수 상에는 변화가 없었다. 즉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은 암환아의 학교생활에서 보이는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아는 학교생활에서 과잉, 불안, 위축행동을 나타내었으며, 프로그램은 특히 불안, 위축 행동에 영향하여 기초선, 중재, 중재 후 단계에 걸쳐 문제행동들이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2.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이 암환아의 학교생활적응과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암환아의 학교생활적응 점수는 프로그램 중재 후에 증가했다가 중재 1개월 후에는 감소하거나 중재 후 수준을 유지하였다, 자존감 점수는 아동 B, C의 경우 프로그램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증가하였고, 중재 1개월 후에는 아동 B는 중재 후보다 증가하였고 아동 C는 감소하였으나 중재 전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아동 A는 프로그램 중재 전, 중재 후, 중재 1개월 후에 걸쳐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즉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은 암환아의 학교생활적응에 단기적으로 영향 하였고 자존감에 대한 영향은 개인차가 있었으나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추가적으로 어머니와 교사를 대상으로 한 면담내용을 잠재적 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어머니는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 어머니가 교사에게 말하지 못하는 전문적이고 의학적 측면에 대한 이야기를 중재자가 직접 설명해 줌으로 부모의 입장을 대변함, 암환아의 학교복귀를 돕는 내용의 소책자를 통한 소아암에 대한 지식 증가, 교사가 아동의 학습참여에 대하여 물어오는 등 교사와 의사소통 증진, 암환아에 대한 교사의 적극적 배려, 암환아의 자신감과 독립성 증가, 또래와 교사에게 암환아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조성한 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교사는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 소책자의 내용을 통한 소아암과 암환아 관리에 대한 지식 증가, 암환아를 수용하기 위한 또래환경 조성, 암환아의 학교생활에 대한 관심 증가, 암환아의 수업 참여 유도, 교사가 암환아의 질병상태에 대한 진행상황을 알게 되고 어머니가 학교생활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갖게 됨으로 지지적 환경을 조성하게 됨, 암환아의 자기표현 증가, 또래와 관계 형성, 학습태도 향상, 활달해지고 밝아지는 등 학교생활에 대하여 긍정적 태도로 변화된 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은 친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고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며 교우관계를 원활하게 하고 학업수행태도를 증진시킴으로 자존감 향상과 학교생활적응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암환아의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켜 성장, 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어 :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 암환아, 학교생활적응, 자존감, 교우관계, 학업수행태도, 친사회적 행동, 문제행동

      •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의 창의적리더십 및 사회적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놀이성을 매개로-

        김태정 중부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0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어린이집 및 유치원의 유아 499명과 그들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양육참여가 유아의 창의적리더십, 사회적유능성, 놀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유아의 놀이성이 창의적리더십과 사회적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양육참여가 유아의 창의적리더십 및 사회적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놀이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유아의 창의적리더십과 사회적유능성에에 정적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유아의 놀이성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놀이성은 유아의 창의적리더십과 사회적유능성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놀이성은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창의적리더십,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사회적유능성 간의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보아 유아의 창의적리더십 및 사회적유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통한 놀이성 증대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 :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비교

        염효진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연구는 경상남도 및 서울 지역에 소재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초등학교 2, 3, 4, 5학년 아동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와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Kahen(1994)이 개발한 Kahen 정서 코딩 시스템(Kahen Affect Coding System: KACS)을 남은영(2008)이 개정・번안한 도구를 통해, 과제 상황에서의 부모와 아동의 정서적 상호작용 방식을 평가하였다. 둘째,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Coopersmith(1967)의 연구를 참조하여 강민아(2010)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Pease, Clark과 Crase(1979)의 ‘사회적 유능감 척도(Iowa Social Competency Scale)’를 이하경(2003)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먼저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살펴보았다.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내에서의 어머니와 자녀 간 정서적 영향력을 비롯하여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서 다문화가정의 어머니 연령이 비교적 높았으며 부모의 교육수준, 부모의 직업적 측면 뿐 아니라 경제적 수준에서 뚜렷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하위요인, 아동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유능성 변인들의 차이를 검증해본 결과, 일반가정에 비해 다문화가정 어머니에게서 부정 정서가 더 많이 나타났으며 그 외 긍정 정서와 중립 정서는 일반가정 어머니에게서 더 많이 관찰되었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경우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성이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모두에게서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높거나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집단 모두에게서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긍정 정서가 높으며,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높거나 혹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에는 다문화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낮으며,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거나 자녀의 긍정 정서가 높거나 혹은 자녀의 중립 정서가 높았다. 끝으로 자녀의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낮으며, 자녀의 중립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높거나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자녀가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낮으며, 자녀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넷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내에서 어머니 정서가 자녀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력을 집단별로 살펴본 결과, 먼저 다문화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정적으로, 어머니의 긍정 정서와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부적으로 자녀의 부정 정서를 예측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긍정 정서는 자녀의 긍정 정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어머니의 부정 정서는 부적으로 어머니의 중립 정서는 정적으로 자녀의 중립 정서를 예측하였다. 다음으로 일반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와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자녀의 부정 정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이어서 어머니의 긍정 정서는 자녀의 긍정 정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어머니의 부정 정서와 어머니의 긍정 정서는 자녀의 중립 정서를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높거나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낮을 경우 혹은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을 경우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높거나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집단 모두에게서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를 살펴보면 첫째, 다문화가정에 대한 연구가 상당수 이뤄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어머니와 자

      •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이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연화 광주여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99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사-영아 상호작용,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 내면적 문제행동변인이 어떠한 경향을 보이고, 교수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변인들 중 어떠한 변인이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과 내면적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보육시설 중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법인 어린이집을 포함하여 63개의 보육시설을 무작위 표집하여 선정한 후, 선정된 보육시설 교사 189명과 그들이 담당하고 있는 만 0세~만 2세의 영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기초사항 질문지,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과 내면적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 도구, 교사-영아 상호작용 도구와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과 내면적 문제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과 내면적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변인인 교수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 영아변인인 사회적 유능성과 내면적 문제행동에 대한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여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보육교사의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대한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과 내면적 문제행동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상관분석을 통하여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판단하였으며 교수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이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 및 내면적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유능성은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내면적 문제행동은 점수가 낮을수록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고려해 볼 때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영아의 사회·정서적 적응이 낮지 않았으며, 교수효능감 및 교사-영아 상호작용 변인도 평균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둘째, 독립변인인 일반적 교수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및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하위변인들과의 상관이 적절이 높고 낮아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하위변인이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 및 내면적 문제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관관계 또한 높지 않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은 상관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일반적 교수효능감과 개인적 교수효능감 모두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0.6% 설명)과 내면적 문제행동(1.3% 설명)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변인 중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변인은 종속변인인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고 있어, 교사-영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이 될수록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다른 독립변인들은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영아의 내면적 문제행동에 대해서는 모든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하위변인이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와 영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많을 수록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영아의 초기적응에 있어서 교사와 영아의 상호작용은 매우중요한 부분이 됨을 시사 한다고 볼 수 있다.

      • 기혼여성의 요가활동참여가 사회적유능성 및 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영향

        권가연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85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ffects of yoga on married women referred to yoga clinic by analyzing the positive effects of primary factors of participating yoga, thus, it could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yoga, providing academic data which could be the basis of the way to activate participating yoga activities and analyzing the positive aspects of participating yoga as a daily stress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erefore, they could enjoy a healthy through maintaining their exercise. The paper carried out a survey which targeted 380 married women participating in yoga in private yoga clinics, a yoga program at the comprehensive fitness centers, and the HATA yoga program of the cultural centre respectively located in Suwon,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as examined in its factors and credibility by a statistical program called SPSS version 18.0. Also, analysis methods include frequency, percentage, independent T-examination, interrelation, multi-regression and so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at least three features in the population statistics of participating yoga: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ipating yoga by the groups on age, religion, ownership of property, and a motivation of participating yoga while there is a statistical mean difference in frequency of participation by the groups on number of child and family type. There is also a mean difference in periods of participation by the groups on job and monthly income. There are features in the population statistic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there is no difference in self-ascertain by the groups on age, job, number of child, family type, and a motivation of participating yoga. However, there is mean difference in self-ascertain by the groups on religion and monthly income. There are features in the population statistics of daily stress; there is mean difference in health problems by the groups on age, job, religion, and number of child.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health problems by groups on family type, motivation of participating yoga, and ownership of property. There i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conomic and health problems by the groups on family type, ownership of property, and monthly income. Second,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interpersonal competence by frequency of participation under the effects of attending yoga activities on interpersonal competence. However, an emotional support increases following a high intensity of participation. Moreover, an increase in self-disclosure, willingness of participation, and self-ascertain respectively causes an increase in periods of participation. Thir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tress by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intensity of participation under the effects of attending yoga activities on daily stress. However, an increase in periods of participating yoga brings a decrease in economic problem due to the mean difference in economic problems by the periods of participation. Fourth, there is mean difference in self-disclosure, willingness of participation, and emotional support under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on daily stress while there is no difference in self-ascertain. The higher self-ascertain it shows, the lower economic and health problems they have. The health problems decrease following a high willingness of participation. Furthermore, an increase in emotional support causes a decrease in family relationship problems. 본 연구는 요가활동에 참여하는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요가활동에 영향을 주는 특성을 조사하고, 이러한 요가참여 요인이 사회적 유능성과 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이를 통해 요가 활동 참여의 활성화 방안의 기초가 되는 학문적 자료를 제공하여 요가활동참여를 유도하고, 기혼여성들이 지속적인 운동을 통해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수원시에 소재한 사설기관의 요가 수련원, 종합 휘트니스 내의 요가 프로그램, 문화센타에서 하타 요가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기혼여성을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 중 339부를 분석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Version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빈도분석, 백분율, 독립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도출해 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요가활동의 참여의 차이에서 연령, 종교, 주택소유, 참여동기에 따른 요가활동 참여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직업에 따른 참여기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자녀수에 따른 참여빈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가족형태에 따른 참여빈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월수입에 따른 참여기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에 따른 사회적 유능성의 차이에서 연령, 직업, 자녀수, 가족형태, 참여 동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종교에 따른 자기주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월수입에 따른 자기주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에 따른 생활스트레스의 차이에서 연령에 따라 건강문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직업에 따른 역할문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종교에 따라 건강문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자녀수에 따라 건강문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가족형태와 주택소유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며, 월수입에 따른 경제문제, 건강문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참여 동기에 따른 건강문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둘째, 요가활동 참여가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참여빈도에 따른 사회적 유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참여강도가 높을수록 감정적 지지가 높아진다. 또한 참여기간이 높을수록 자기개방, 적극성, 자기주장이 높아진다. 셋째, 요가활동 참여가 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참여빈도에 따른 생활스트레스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며, 참여강도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그러나 참여기간에 따른 경제문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요가활동 참여기간이 높을수록 경제문제가 낮아진다. 넷째, 사회적 유능성이 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방, 적극성, 감정적 지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자지주장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 자기개방이 높을수록 경제문제, 건강문제가 낮아지며, 적극성이 높을수록 역할문제와 건강문제는 높아진다. 또한 감정적 지지가 높을수록 가족관계문제는 낮아진다.

      • 5세 유아의 정서지능과 화용언어가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이사라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athways of influence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five-year-old children on social competence through pragmatic language.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mothers of five-year-old children were given an online questionnaire and a total of 307 sets of results were col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NOVA, Scheffé test,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using the SPSS 23.0 program and AMOS 18.0.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higher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as, the pragmatic language level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As the pragmatic language level was higher, their social competence became higher. Consequently, it was confirmed that five-year-ol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elevates social competence mediated by pragmatic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