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진로역량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한솔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University students are having difficulties in determining their career due to the recent rise in youth unemployment, and they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areer capabilities amid changes in the world of work requiring the cultivation of skilled manpow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uch influence of career competence of social welfare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Collected data for this study were included open-ended surveys and questionnaires, interviews from social welfare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directly for 15 days from September 2 to September 17, 2019, and the total of 23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for includ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First, as the result of analyzed career competen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career competency level was 3.60 points (five points) or high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was 3.18 points (five points). Second,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career capabiliti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for the students who got high grade or completed internship training were higher than the other students who have not done. Third, as a result of analyzed the mutual 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and career competencies, information gathering behaviors, tool preparation behaviors, and goal achievement behaviors, which are sub-factors of the overall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grade, field experience, career capability, career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reflection, self-reflection, self-expression, networking, career search, and career management. Fourth, the results of a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impact on the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showed that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the students who were experienced and completed internship were higher than the students have not done. In addition, when the level of networking, career searching, and career management as the sub-factors of career competency is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are higher. Also Information collection activities are higher than the others when the students were experience and completed internship training. Variations affecting tool preparation behavior, which is a sub-factor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higher in grade, and higher in self-examination,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management among lower factors of career competency, higher in tool preparation behavior. Variables that affect target attainment behavior, which is a sub-factor of career preparation actions, had experience in field practice, and among the lower factors of career capabilities, the higher the networking,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management, the higher the target attainment behavior. In conclusion, the sub-factors of career competence of social welfare university students are networking, career search, and career management and it was showed that the sub-factors provided the positive impacts on their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through the analysis on sub-factors. Suggestions from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ggestion is that university students of social welfare are required the measures to improve their career competencies as the sub-factors; networking, job searching, and career management. Through the analysis of sub-factors, if the students have their high career competencies, they have high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ir career competencies constantly on the sub-factors; networking, job searching, and career management, the university needs to open the new courses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related to the sub-factors of career competencies. Second, the field practic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requires various forms and reinforcement. suggestion is that students’ job internship showed a positive impact on career competencies and the university students of social welfare need to complete their internship training with a short term or a long term program to build their positive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and make their career preparation experience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internship development cooperation betwee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by securing field training institutions and developing programs. 대학생들은 최근 청년 실업의 증가로 진로결정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숙련된 인력양성을 요구하는 직업세계의 변화 속에서 진로역량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진로역량이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충청남도 소재의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2019년 9월 2일부터 9월 17일까지 약 15일간에 걸쳐 직접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였으며, 총 236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립된 자료는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역량과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분석한 결과, 진로역량의 수준은 3.60점(5점 기준)으로 보통 이상이며, 진로준비행동 수준은 3.18점(5점 기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역량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로준비행동은 학년이 높을수록, 현장실습 경험이 있을수록 높았다. 셋째, 일반적 특성과 진로역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진로준비행동 전체와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인 정보수집행동, 도구준비행동, 목표달성행동 등은 학년, 현장실습 경험, 진로역량, 진로성찰, 자기성찰, 자기표현, 네트워킹, 진로탐색, 진로관리 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넷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준비행동 전체를 종속변수로 하였을 때, 학년이 높을수록, 현장실습 경험이 있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았다. 또한, 진로역량의 하위요인인 네트워킹, 진로탐색, 진로관리 등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았다.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인 정보수집행동은 학년이 높을수록, 진로역량의 하위요인 중 자기표현, 진로탐색, 진로관리 등이 높을수록 높았다.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인 도구준비행동은 학년이 높을수록, 진로역량의 하위요인 중 진로탐색, 진로관리 등이 높을수록 높았다.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인 목표달성행동은 현장실습 경험이 있을수록, 진로역량의 하위요인 중 네트워킹, 진로탐색, 진로관리 등이 높을수록 높았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진로역량의 하위요인인 네트워킹, 진로탐색, 진로관리 등은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진로역량의 하위요인인 네트워킹, 진로탐색, 진로관리 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이는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진로역량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진로역량의 하위요인인 네트워킹, 진로탐색, 진로관리 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학교육과정에서 진로역량과 관련된 교양강의를 개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은 다양한 형태와 강화가 필요하다.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인 현장실습 경험이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긍정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위해서는 단기 또는 장기의 현장실습, 학기제 현장실습 등의 다양한 형태의 현장실습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장실습기관의 확보와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사회복지기관과 대학교 간의 인턴십 개발협력을 구현할 필요가 있다.

      •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여민 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개인요인, 사회복지 현장교육의 사회복지현장실습요인, 사회복지 이론교육요인에 초점을 두어 어떤 요인들이 상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함으로써, 사회복지 현장과 이론교육의 함의를 마련하고 사회복지 전문직의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사회복지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충북지역에 위치한 사회복지학과가 있는 2년제 대학교 1곳 및 4년제 대학교 3곳을 선정하여(총 4곳) 사회복지현장실습을 마친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7년 9월 19일~9월 29일 동안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회수 된 설문지 275부를 본 연구의 실증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정(t-test),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전문직 정체성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성별 및 학업과정은 전문직 정체성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개인요인에서 이타주의의 사회적 책임감과 공감, 사회복지현장실습요인의 실습기관 환경, 실습내용 적절성, 슈퍼비전 만족도, 사회복지 이론교육요인의 사회복지 전공교육 수준 모두 평균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 수준도 평균 이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요인에서 이타주의의 사회적 책임감 및 공감과 자원봉사 참여시간, 사회복지현장실습요인에서 실습기관 환경, 실습내용과 적절성, 슈퍼비전 만족도, 사회복지 이론교육요인에서 사회복지 전공교육이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1에서는 통제변수인 성별과 학업과정을 투입하였고, 모형2에서는 개인요인의 이타주의(사회적 책임감과 공감), 자원봉사활동을 추가하였다. 모형3에서는 사회복지현장실습요인의 실습기관 환경, 실습내용 만족도, 슈퍼비전 만족도를 추가하였으며, 모형4에서는 사회복지 이론교육요인의 사회복지 전공교육을 추가한 결과 사회복지 전공지식이 높을수록, 슈퍼비전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이타주의의 공감성이 높을수록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타주의의 사회적 책임감과 자원봉사 참여시간, 실습기관 환경, 실습내용의 만족도는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복지 전공교육,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슈퍼비전 만족도, 이타주의의 공감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54.4%이다. 현재 사회복지사를 양성하는 다양한 교육기관과 다른 나라에 비해 짧은 교육기간을 통해 많은 사회복지사가 배출되고 있는데, 이러한 양적 배출은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사회복지 인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하였으나 이들의 질적 관리 차원에서는 우려스러운 상황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를 양성하는 사회복지 교육은 중요하며, 사회복지 전공 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과 실천영역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예비 사회복지사인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 전공교육의 체계적이며, 실질적인 교육을 통해 질을 높여야 한다. 다음으로 사회복지현장실습 교육과정에서 슈퍼비전의 개발 및 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공감(이타주의)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 중장년 학습자의 평생교육 교육참여동기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복지전공만족도의 매개 효과

        이규희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중장년의 평생교육 교육참여동기(활동지향성, 학습지향성, 목표지향성)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복지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사회복지전공 과목을 수강 중인 중장년 학습자 3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법으로 유의표집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조사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22부를 제외한 210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성별, 연령, 최종학력, 이수학기, 경제수준을 통제한 상태에서 SPSS 22.0을 사용하여 Baron & Kenny(1986)의 3단계 순서에 의해 회귀분석를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여 Z값을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장년 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동기 중 활동지향성과 목표지향성은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지향성은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중장년 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동기 중 활동지향성, 학습지향성, 목표지향성 모두 사회복지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장년 학습자의 사회복지전공만족도는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사회복지 전공만족도는 교육참여동기 중 활동지향성과 목표지향성이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지향성과 참여지속의도의 관계에서는 사회복지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실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social welfare major satisfaction in the effect of middle-aged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ation (activity-oriented, learning-oriented, goal-oriented) on the intention of participation. The Busan-based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 collected data from 300 middle-aged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through a self-introduction survey method, and 210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for 22 questionnaires that did not respond faithfully.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regression was performed using SPSS 22.0 with control over gender, age, final academic background, completion semester, and economic level, and Sobel 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mediate effects. The main findings are: First, activity orientation and goal orientation among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ations of middle-aged learners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 of participation, but learning orient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ntent of participation. Second, Activity-oriented, Learning-oriented, and Objective-oriented among the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ations of middle-aged learners are all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welfare major satisfaction. Third, it has been confirmed that middle-aged learners'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 of continuing their participation. Fourth, social welfare major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erms of the impact of activity-oriented and goal-oriented activities on the intention of continuing participation during the educational participation.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participation continuity did not have a mediated effect on social welfare major satisfaction.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meaning of social welfare practice was presented.

      •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진로소명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염경혜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727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진로소명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 염 경 혜 명지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학과간협동과정 지도교수 최 인 화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진로성숙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진로소명과 전공만족도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진로소명과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진로성숙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학에서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가설의 실증적 검증을 위해 서울소재 대학 2개교, 강원도 강릉소재 대학 1개교, 대전시소재 대학 1개교, 충남 천안소재 대학 1개교 총5개교의 1~4학년 420명의 사회복지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중 377부를 SPSS 20.0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회귀모형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해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소명, 전공만족도 수준을 살펴본 결과 모두 5점 척도 기준으로 보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성별과 학년, 현장실습경험에 따라 진로소명,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에 차이를 조사해 본 결과 먼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로소명과 진로소명 하위요인들 중 개인적 의미와 적극적인 참여에서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타-지향적 의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공만족도에서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진로성숙도의 경우 진로성숙도는 물론 하위요인인 진로태도성숙, 진로능력성숙, 진로행동성숙 모두에서 성별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학년이나 현장실습경험에 따른 진로소명,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소명, 전공만족도와 이를 구성하는 주요 하위요인 등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넷째,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진로소명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진로소명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의미와 타-지향적 의미, 적극적인 참여의 순으로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진로태도성숙에는 진로소명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의미, 타-지향적 의미의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통제변수 중 현장실습 경험이 진로태도 성숙에 영향을 미쳤다. 즉, 현장실습경험이 없는 경우, 개인적 의미와 타-지향적 의미가 높을수록 진로태도성숙이 높아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진로능력성숙에는 진로소명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의미, 타-지향적 의미의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적극적 참여는 영향을미치지 않았다. 진로행동성숙에는 통제변수 중 성별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진로소명의 하위요인은 개인적 의미, 적극적 참여, 타-지향적 의미의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진로행동성숙이 높아지고, 개인적 의미, 적극적 참여, 타-지향적 의미가 높을수록 진로행동성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진로소명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진로소명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의미, 타-지향적 의미, 적극적 참여 모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공만족도는 진로성숙도는 물론 진로태도성숙, 진로능력성숙, 진로행동성숙 각각에 모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소명과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본 결과 전공만족도는 진로소명의 모든 하위요인 즉 타-지향적 의미, 개인적 의미, 적극적인 참여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전공만족도는 진로소명 중 타-지향적 의미 및 개인적 의미가 진로태도성숙과 진로능력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는 진로소명 중 개인적 의미와 적극적인 참여가 진로행동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진로성숙도를 진로태도성숙과 진로능력성숙 그리고 진로행동성숙으로 구분하여 각각에 미치는 진로소명 및 전공만족도의 영향력을 살펴보고 진로소명과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대학에서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진로와 관련한 태도 및 능력, 행동을 높이기 위한 진로소명과 전공만족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제어(키워드) : 사회복지전공대학생, 진로성숙도, 진로소명, 전공만족도 The Effects on Career Calling on Career Matur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Youm Kyunghae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oi Inhwa In this study, the role of career calling and major satisfaction as a raising factor of career matur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was sought; in particular,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alling and career maturity was verified to find a way to raise the career 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Through the process, the study attemp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 course to improve the career maturity of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from several Universities. A survey was conducted to a total of 420 first to fourth year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from 5 Universities; 2 from Seoul, 1 from Gangneung, 1 from Daejeon, and 1 from Cheonan to make an empirical verification of the study hypothesis. 377 copies were collected to carry out 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by SPSS 20.0;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a regression model, and Sobel-test was conducte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The major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level of students’ career maturity, career calling and major satisfaction, all showed above average with a 5-point scale standard. Second, as a result of students’ career calling,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by their gender, year and field experience, a difference by gender was primarily shown. In all of career calling and individual significance and active participation within its sub-factors, male students verified to have high significance than female students;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shown in other-oriented significance. Male students showed higher significance in major satisfaction. In the case of career maturity, none of its total, including the sub-factors—career attitude maturity, career ability maturity, career behavior maturity—showed significance in the difference by gender; students’ career calling,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difference was shown not to be significant by their year or field experience. Thir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areer maturity, career calling, major satisfaction and the major variables such as major sub-factors,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Four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social welfare majoring students’ career calling on their career maturity,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all of the career maturity in the order of individual significance, other-oriented significance, and active participation; career attitude maturity in the order of individual, and other-oriented significance. Field experience within the control variable affected career attitude maturity. Thus, those without a field experience had their career attitude maturity raise the higher the individual and other-oriented significance were. In career ability maturity,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the career calling sub-factors in the order of individual significance and other-oriented significance, with no effect from active participation. In career behavior maturity, gender within the control variable has a significant impact, with career calling sub-factors showing a significant effect in the order of individual significance, active participation, and other-oriented significance. Hence, the career behavior maturity rose the higher the individual significance, active participation, and other-oriented significance were; career behavior maturity of female students rose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Fif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ocial welfare majoring students career calling on their major satisfaction, all of the sub-factors of career calling which are individual significance, other-oriented significance, and active participati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Six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ocial welfare major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on their career maturity, major satisfaction showed positive significance not only in all of the career maturity but also in career attitude maturity, career ability maturity, and career behavior maturity respectively. Seven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whether th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career calling and career maturity, the major satisfaction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sub-factors of career calling—other-oriented significance, individual significance, active participation—and all career maturity. Also, the major satisfaction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affecting relationship of other-oriented significance and individual significance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ability maturity; major satisfaction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affecting relationship of individual significance and active participation within the career calling on career behavior maturity.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career maturity was divided into career attitude maturity, career ability maturity, and career behavior maturit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er maturity and major satisfaction to each respective factor as well as enlighten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calling and career maturity, thereby verifying the importance of career calling and major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majoring University students to raise their career-related attitude, ability, and behavior. Keywords: Social welfare majoring University students, career maturity, career calling, major satisfaction

      •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미숙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사회복지현장실습은 사회복지전공생들에게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사회복지기관인 실천현장에서 적용해 봄으로써 예비사회복지사로서의 진로를 준비하고 계획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진로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실습생 개인요인, 실습기관요인, 수퍼비전요인 그리고 학교요인과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태도와의 관계성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사회복지실습기관과 학교차원에서 다루어야 할 중요한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 질문은 첫째,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실습생 개인요인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실습기관요인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수퍼비전요인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사회복지현장실습의 학교요인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실습을 종료하였거나 현재 실습 중인 사회복지전공생 중 임의표본추출을 통해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4개 학교에 총 220부를 배부하였고 이 중 회수된 설문지는 205부였으며 응답이 불성실한 2부를 제외한 203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생 개인요인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실습기관선정시 개인의 의사가 충분히 반영될수록 진로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습현장과 유사한 분야에서 자원봉사를 정기적으로 할수록 진로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습기관요인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실습기관 및 실습내용과 실습수퍼바이저와 관련된 요소는 진로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퍼비전요인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수퍼바이저와 실습생과의 관계가 만족스러울수록 진로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요인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실습수업시기가 현장실습보다 선행하거나 동시에 실시될수록 진로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실습기관은 학교와의 협력체계를 통해 학생들이 실습기관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최대한 제공해 주어야 하며 실습생은 실습기관 선정시 자신의 의사가 폭넓게 반영되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여야 한다. 둘째,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학생들은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에서 다양한 자원봉사경험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실습기관에서는 자원봉사자를 활용할 때 적절한 모니터링을 통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그리고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자원봉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실습기관에서는 실습수퍼바이저에게 정기적인 교육과 훈련의 기회를 제공해주고 지침서를 마련하여 체계적인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교에서는 실습기관을 방문하여 실습수퍼바이저가 실습생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관심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현장실습수업시기는 조사결과에서 보듯이 실습이후에 수강이 이루어져 학생들은 실습현장에서 부딪히는 어려움에 대하여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방학 중에 먼저 실습을 하고 다음 학기에 현장실습수업을 수강하는 것을 지양하고 학생들에게 현실적으로 도움이 되는 실습수업이 진행되도록 제도적인 지원을 마련하여야 한다. A social work practicum is important process to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with career preparative and career plans as pre-social welfare, by applied in field the learned knowledge and technic from university. A purpose of study has understand that the social work practicum, what effect on career attitude of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To put it concretely, the important factors checked into the relationship with a personal factors of student apprentice, a practice institutional factors, a supervision, an university factors and a career attitude of major students, as social practice institutional situation and university situation. The main study question is as follow. The first, how do the personal factors of student apprentices of the social work practicum effects on a career attitude of major students? The second, how do the practice institutional factors of the social work practicum effects on a career attitude of major students? The third, how do the supervision of the social work practicum effects on a career attitude of major students? The forth, how do the university factors of the social work practicum effects on a career attitude of major students? The object of study was selected as random sampling, with practice-finished students or current practicing students among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in four-year universities on Gyeonggi area. The questionnaire handed out a total 220 copies at forth by university and a final analysis used 203 copies among withdrew a 205 copies except for 2copies because of non-responser and unfaithful the questionnaire. Such a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 about the effect on career attitude of major students by personal factors, when practice institutional selection, the more opinion of personal reflected in full, the more has brought a positive impacts on the career attitude. And the more regular take part in similar field as volunteers, the more came up a positive impacts on the career attitude. Second, the analysis result about the effect on career attitude of major students by practice institutional factors, the factors related with practice institution and practice contents, supervisor hasn't brought a effect on the career attitude. Third, the analysis result about the effect on career attitude of major students by supervisor factors, the more th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and student apprentices satisfied, the more came up a positive impacts on the career attitude. Forth, the analysis result about the effect on career attitude of major students by university factors, the more practice class carried out the precedes or at the same time than field practice, the more has brought a positive impacts on the career attitude. An implication with study by the result is as follow. First, the practice institution has to offer the most of an opportunity that students is able to choice the institution through cooperation with university. Also student apprentices has to effort actively reflection to choose the institution by self-opinion. Second, major students needs to volunteer work in variety of field with interested. Also when the practice institution used volunteer, has to help to show self ability with monitoring. Third, the practice institution needs to systematic application by a regular education and give a chance of training, get a guide book. Also, in university needs to attention to fare any better with supervisor and student apprentice with visit the institution. Forth, the appropriate time of practice class get not feedback from university because class was conducted since practice. Accordingly, on university is given practice of vacation at students and then most be sublated to practice class, also systematic application has to prepare to help to students realistically.

      • 사회복지전공자의 성격유형과 직업가치관의 관계 연구

        이주영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자의 성격유형과 직업가치관의 관계를 연구하여 MBTI의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써의 활용가능성을 높이고, 바람직한 직업가치관형성과 사회복지서비스현장에서의 만족도 높은 직무의 선택을 돕는 진로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의 범위를 설정하였다.첫째, 사회복지전공자의 성격유형 및 직업가치관 분포는 어떠한가? 둘째, 사회복지전공자의 성격유형과 직업가치관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사회복지전공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업가치관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D대학교 사회복지전공 학부생과 대학원생 94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사용한 측정도구는 성격유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MBTI 성격유형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직업가치관 척도는 한국고용정보원(2006)에서 개발한 직업가치관검사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직업가치관검사의 신뢰도는 Cronbach's ɑ 0.84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이용된 통계분석도구는 SPSS 12.0을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방법은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분석, t-test, ANOVA를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은 DUNCAN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공자의 선호지표에 의한 성격유형의 분포를 살펴 본 결과, 외향 형이 49명(52.1%), 감각 형(81명, 86.2%), 사고 형(59명, 62.8%), 판단 형(65명 69.1%)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전공자의 직업가치관의 평균 점수를 살펴본 결과 ‘몸과 마음의 여유’가 4.26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전공자의 성격유형과 직업가치관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에너지의 방향은 외향 형이 성취, 영향력 발휘에서, 내향형은 직업안정에서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식기능은 감각 형이 개별활동, 실내활동에서, 직관 형은 변화지향, 애국에서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판단기능은 이성형이 성취, 영향력 발휘, 가치추구, 애국에서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16가지 성격유형에 따른 직업가치관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취와 봉사에서 ENFP, 변화지향과 영향력 발휘는 ENTP, 자율성은 ESFP가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사회복지전공자가 자신의 성격유형과 직업가치관을 고려하여 사회복지 직 업무를 택하게 된다면 자신의 선호성향을 강점으로 활용하고 올바른 직업가치관을 형성하여 보다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직무수행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 and work values, to raise the availability of MBTI in more various methods and to suggest necessary basic data to assist in forming desirable work values and selecting highlysatisfactory job in field of social welfare services.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ranges of study were set up as follow: Range of study 1:What was distribution of personality type and work valuesin social welfare majors? Range of study 2:What correlations werebeing existed between personality type and work values? Range of study 3:What differences in work values by personality type of social welfare were being existed? For this study, total 94 students from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majored in social welfare from D university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MBTI test for personality type was conducted to grasp personality type. In addition, work values test which was develop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06) was utilized as a barometer of work values, and the reliability of this work values test was appeared to be Cronbach's ɑ0.84 in this study. SPSS 12.0 was used as a statistic analysis tool for the performance of this study. As data treatment process, frequency analysi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and for post-testing, DUNCAN test was done.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as a result of reviewing of distribution of personality types based on preferred indicators of social welfare majors, it was found to be 49 students in extroverted type (52.1%), 81 students in sensing type (86.2%), 59 students in thinking type (62.8%), and 65 students in judging type (69.1%). Second, as a result of reviewing of average scores of work values of social welfare majors, the score of ‘composure of body and mind’ got 4.26 scores to be the highest factors.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work values of social welfare majors, the direction of energy showed high correlation in achievement and influence fields for extroverted types, while job stability for introverted types. In case of perceiving function, sensing types wereappeared to be high correlation in individual activities and indoor activities, while intuitive types in change-orientation and patriotism. In case of judging function, rational types were appeared to be high correlationin achievement, influence, value seeking, and patriotism. Fourth, as a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o examine work values by 16 kinds of personality types, ENFP was appeared to havethe highest average score in achievement and volunteering fields, ENTP in change-orientation and influence, ESFP in self-control.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conclusions were made as below: If social welfare majors undertake social work services fully considering his or her personality type and work values, they can perform their duty in more productive and efficient manners by utilizing their preference as strong point and forming correct work values.

      •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복지의식 유형에 관한 연구

        정환수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727

        This study investigated 563 social welfare students attending colleg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to identify their type of welfare consciousnes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welfare conscious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103 students (18.29%) of total respondents were welfare-indifferent types and 90 students (15.99%) were blind action-oriented types, ideal welfare -oriented types were 81 students (14.39%), theoretical thinking types were 73 (12.97%), passive action-averse were 71 (12.61%), emotion-oriented were 64 (11.37%), compassionate action-oriented were 43 (7.64%) and realistic society critic type were 38 (6.75%). Second, in the case of passive action-averse type students, self-esteem among independent variables and family circumstances and experience of volunteer work among control variabl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welfare consciousness. Experience of welfare education, academic year(freshman, sophomore, junior and senior in university), level of determination to choose major, experience as a leader or volunteer worker among control variable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welfare consciousness of compassionate action-oriented types. Third, in the case of emotion-oriented types, their welfare consciousnes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elf-esteem, campus culture, experience of welfare education, academic year(freshman, sophomore, junior and senior in university), level of determination to choose major and family circumstances among control variables .In the case of realistic society critic types, campus culture and parents’ attitude towards welfar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welfare consciousness and academic year, level of determination to choose major, family circumstances and experience as a leader among control variables also significantly influenced them. Fourth, parents’ attitude towards welfare, experience of welfare, academic year(freshman, sophomore, junior and senior in university) and control variables including level of determination to choose major, and experience as a leader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welfare consciousness of theoretical thinking types. In the case of welfare-indifferent types, self-esteem, campus culture, parents’ attitude towards welfare, experience of welfare and welfare education, academic year(freshman, sophomore, junior and senior in university) and control variables such as level of determination to choose major, experience as a leader or volunteer worker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welfare consciousness. The welfare consciousness of welfare student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consciousness were identified through these results, and that can be used as a preliminary data to understand issues in education fields and to formulate countermeasures. To assure the objectivity of the study, it was also necessary to identify the relations between more diverse factors and welfare consciousness, to minimize possible errors caused by self-reporting in many other forms of investigation other than the questionnaire in our study. 이 연구는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 소재 대학교의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 563명을 대상으로 복지의식의 유형과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응답자 중에 가장 많은 유형은 무관심형으로 103명이 해당되어 18.29%를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맹목적 실천지향형(90명, 15.99%)이었고, 이상형 복지지향형(81명, 14.39%), 이론적 사고형(73명, 12.97%), 소극적 실천기피형(71명, 12.61%), 감성지향형(64명, 11.37%), 온정적 실천형(43명, 7.64%), 현실적 사회비판형(38명, 6.75%) 순으로 분포되어 있다. 둘째, 소극적 실천기피형은 독립변인 중 자아 존중감이 유의하게 영향을 주고, 통제변인들 중에는 가정형편, 봉사경험이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다. 온정적 실천형은 복지교육경험, 학년이 유의하게 영향을 주고, 통제변인들 중에는 전공선택의지, 임원경험, 봉사경험이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다. 셋째, 감성지향형은 자아존중감, 대학문화, 복지교육경험, 학년이 유의하게 영향을 주고, 통제변인들 중에는 전공선택의지, 가정형편이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다. 현실적 사회비판형은 대학문화, 부모의 복지태도가 유의하게 영향을 주고, 통제변인들 중에는 성적, 전공선택의지, 가정형편, 임원경험이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다. 넷째, 이론적 사고형은 부모의 복지태도, 복지경험, 학년이 유의하게 영향을 주고, 통제변인들 중에는 전공선택의지, 임원경험이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다. 복지 무관심형은 자아존중감, 대학문화, 부모의 복지태도, 복지경험, 복지교육경험, 학년이 유의하게 영향을 주고, 통제변인들 중에는 전공선택의지, 임원경험, 봉사경험이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복지전공 대학생의 복지의식 및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교육현장에서의 문제점 파악과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후속연구에서는 좀 더 다양한 요인과 복지의식의 관계를 살펴보고, 조사방법을 질문지 이외의 여러 방법을 통해 자기 보고로 인한 오류를 최소화함으로써 연구의 객관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사회복지전공 선택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대학원을 중심으로

        임문정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727

        사회복지직은 그 자체로 특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누구에게나 적합하거나 수행할 수 있는 전문직은 아니며, 이러한 전문직에 필요한 전문성은 전문교육을 통해서 내면화되기 때문에 사회복지의 전문교육은 학생들의 학과 선택동기를 기초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선택한 사람들의 선택동기와 만족도에 대한 조사연구를 통하여 바람직한 진로지도와 상담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의 발달과정과 문제점을 살펴본 후, 대학생의 의사결정의 특징과 사회복지학의 학문적 특성, 그리고 사회복지전공 선택동기의 중요성과 동기이론을 살펴보았다. 조사연구에서는 경기도내에 있는 사회복지학과 또는 사회사업학과가 있는 대학의 대학원 3개의 대학원생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를 이용하여 조사결과를 통계, 분석하였다. 조사에 대한 분석은 첫째, 전체 조사결과에 대하여 빈도분석과 기술분석을 통하여 일반적 사항과 영역별 항목을 분석하였으며, 둘째, 사회복지학부를 전공한 사람과 타학부를 전공한 사람, 자원봉사를 경험한 사람과 경험하지 않은 사람, 실무를 경험한 사람과 경험하지 않은 사람을 t-test로 영역별, 항목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선택한 조사대상자들은 자신의 가치관과 사회복지의 가치관이 일치하고 사회복지전문직과 유사한 관심영역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타주의적 성향이 강한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기여의 욕구가 무엇보다도 강하며, 사회복지사의 자격획득과 직업선택의 용이성도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선택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외국조사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73%가 가족기능의 장애와 관련된 문제(물질장애, 성학대, 폭력 등)들을 경험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외국의 조사결과와는 다르게 우리나라의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의 경우 개인적 경험과 환경에 대한 조사결과에서 신체적, 정서적, 성적 학대와 같은 경험은 거의 없었으며, 심각한 사고나 질병을 경험하거나 만성적인 질병을 지닌 가족구성원을 가지고 있는 조사대상자는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회복지전공선택에 있어서의 종교의 영향에 대한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종교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들의 경우 대부분의 조사대상자들이 종교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학부전공자와 타전공자, 자원봉사경험자와 무경험자, 실무경험자와 무경험자에 대한 교차분석의 경우, 학부전공자와 타전공자는 선택동기에서 개인적 경험과 환경에서, 만족도에서는 적성과 전문성, 학문의 분위기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자원봉사경험자와 무경험자의 경우, 모든 항목에서 거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무경험자와 무경험자의 경우가 세 경우 중 가장 많은 부분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나 유의한 차이는 거의 없었다. 사회복지전공 선택에 영향을 주는 동기에 대한 조사결과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선택하고자하는 동기는 어느 한 부분에 의한 것이 아니라 복합적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또 한가지 생각해 보아야할 것은 이러한 조사대상자들의 응답이 어떤 성향이나 전문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단순히 감상적이었다거나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가치있는 사람임을 확인하고자 하는 무의식적인 욕구에 의한 것일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제시된 연구과제와 제언점은 사회복지전문성에 대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은 학부에서는 일반사회복지사(generalist)교육에 초점을 둘 수밖에 없는 상황이므로 대학원중심의 효율적 교육을 위해서는 대학원 학생의 개개인의 전문성 지도와 상담, 그리고 직업적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고 실제 교육과정에서 실천모형을 정형화할 수 있는 실증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Since social worker is peculiar vocation in it self. It is not a profession anyone can perform and which is suitable for anybody. The profes sional education of social welfare should be given as a basis of selective motives of students, because the speciality for profes sion is int ernalized through profes sion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rve as a basis for desirable occupation guide and consultation by investigating selective motives and satisfaction extent of students who selected social welfare as majo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0 graduate students from three graduate schools which had Social Welfare Department or Social Work Department located in Kyungi Province. A survey was implemented with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First, I analyzed general matters and items by field. Second, I analyzed social welfare majors vs the others,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voluntary support and vs students who had not and student s who were experience in business vs student s who were not by item and by field. As a result , the subject s majored in social welfare had their value system in harmony with value system of social welfare. They were interested in fields similar to social welfare profession and had strong altruistic tendency. First of all, they had strong desire for social service. They were influenced on the fact that it was easy to obtain certification as a social worker and to choose their profession.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made by foreign countries, 73% students of social welfare majors had experienced the problems related to dysfunctional families, sexual abuse, violence etc.). Indifferent to foreign investigation, graduate students majored in social welfare of Korea had very few experiences of physical, emotional and sexual abuse as a result of personal experience and surroundings. There were few subjects who had serious wounded and painful members or chronic invalid in their family. There'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ocial welfare majors and the others,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voluntary support and students who had not, and students who were experience in business and students who were not. As a result of motives of selecting social welfare, they were complicated not a part. However, we cannot conclude that the response of the subjects were professional and had some tendency. There can be a sentimental thinking or unconscious desire for confirming valuable person by themselves. The above mentioned findings suggest some action. Since the education of social welfare speciality has to focus on the education of generalist in college, we should guide speciality of graduate students each in per son and consult them and study speciality of occupations, and inquire actually to standardize practical model for graduate school-centered efficient education.

      • 사회복지전공자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 : 태도 수준과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이민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9727

        빈곤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는 빈곤한 사람들에게 서비스를 선택하고 제공하는 전문적인 개입 활동에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하여왔다. 그럼에도 빈곤문제를 최일선에서 다루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빈곤에 대한 태도와 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우리나라에서는 실증적인 연구가 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자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가 어떠해야 한다는 것에 관한 논의가 아니라, 그들이 빈곤실태와 빈곤문제에 대한 책임에 대하여 어떠한 생각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빈곤의 태도 수준은 어떠한가, 그리고 빈곤에 대한 태도의 결정요인은 어떠한 것이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사회복지전공자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 수준과 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영향요인들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해 봄으로써, 사회복지 교육 현장에 실천적인 함의를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사회복지 전공자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2〉사회복지 전공자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2-1. 사회적 가치 관련 변수들은 빈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줄 것인가? 2-2. 사회경제적 수준 변수들은 빈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줄 것인가? 2-3. 사회복지교육 관련 변수들은 빈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줄 것인가? 2-4.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들은 빈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줄 것인가? 먼저 태도 이론과 빈곤에 대한 태도에 관한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사회복지 전공자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 수준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적인 근거를 기술하였으며, 빈곤에 대한 태도 측정을 위해 Antherton et al.(1993)이 만들어 사용한 척도를 한국적 상황에 맞게 수정하였다. 그리고 전문적인 빈곤에 대한 태도를 형성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함의를 마련하기 위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의미있는 요인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빈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표본은 서울 경인지역의 7개 종합대학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학부 4학년생, 일반대학원생, 특수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수집은 1998년 10월 9일에서 11월 3일까지 약 4주에 동안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총 290부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적 통계와 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은 학부4학년생이 87명, 일반대학원생이 114명, 특수대학원생이 89명이었다. 연구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우리 나라 사회복지전공자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 수준은 총 155점 만점에 109.8점으로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 수준을 보였다. 이것은 그들이 비교적 빈곤한 사람들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취하며, 빈곤 문제를 사회구조적인 책임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태도의 수준은 학부전공수준별, 직장 근무 기간, 소득수준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사회복지전공자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아보기위하여, 사회적 가치 관련 변수, 사회경제적 수준 변수, 사회복지 교육 관련 변수,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로 구분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가치 관련 변수군은 9.7%, 사회경제적 수준 변수군은 5.3%,사회복지 교육 관련 변수군은 34%,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군은 4.3%의 설명력을 보였다. 다시 세분화하여 사회적 가치 관련 변수는 사회관, 정치적 성향, 일에 대한 태도로 구성하였고, 사회경제적 수준 관련 변수는 성장기와 현재의 주관적 계층 판단, 본인과 가족의 소득수준으로 구성하였다. 사회복지교육 관련 변수는 사회복지를 택한 동기, 사회복지활동의 가치, 활동 경험 내용 및 기간, 교과목 수강 등으로 구성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는 나이, 종교, 결혼 여부, 성장 지역, 학부전공여부, 자격증 소유 여부 등으로 구성하였다. 이들 중 유의미한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한 최종 회귀분석 결과, 정치적 성향, 사회복지 선택 동기-성적, 사회복지 활동 가치-거시성, 교과목 수강-지역사회조직론, 교과내용에서 빈곤의 중요도 변수들이 36.6%로 빈곤에 대한 태도에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사회복지전공자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사회복지 교육 관련 변수들임이 밝혀졌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들이 사회복지 교육 현장에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우선 사회복지 전공자들의 욕구를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들이 갖고 있는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 수준, 사회복지를 택한 동기, 사회복지 활동에 대한 가치 인식, 그리고 관심 분야 등이 어떠한지 파악하고, 수업 내외의 과정을 통해서 보다 바람직하게 변화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교과과정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빈곤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갈등과 편견이 구체적으로 논의될 수 있는‘사회복지 가치와 윤리’과목이 보다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사회복지정책’과목이나‘지역사회조직’과목 등 사회복지의 거시적 시각과 방법론에 대한 필요한 지식을 갖출 수 있는 과목들을 반드시 수강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신념과 지식이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제대로 옮겨질 수 있도록, 철저한 수퍼비젼을 기본으로 하는 실습과목이 강화되어야 한다. 학교와 실천현장의 연계는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하기 위한 빈곤 현실과 서비스의 인식 뿐만아니라, 사회복지 기관과 서비스의 한계로 인해 보수화 되어 있는 사회복지사들을 위한 재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 및 함의가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보다 실증적인 후속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개념, 변수, 측정 도구 등이 검토되고, 다양한 특성을 가진 집단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연구된다면, 사회복지 교육과 사회복지사들의 태도와의 관계가 보다 구체적으로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후속연구들이 사회복지 교육의 중요성을 발견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한 사회복지 전문가 교육이 이루어지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 빈곤에 대한 태도, 빈곤, 사회복지교육, 사회복지전공자, 사회복지사, 사회복지 전문직, 사회복지(사업)학 전공 학생. The social worker's attitudes toward the poor are crucial factor in the way he/she will find client problems, intervene to address them, and subsequently, deliver service to the poor. There is no attention, however, to what social workers' attitudes toward the poor are in Korea. This study is the first such study to sample social work students-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nd assess their attitudes toward the poor in Korea. This study focused on Korean social work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poor and identifies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might predict which students' attitudes would be more positive/favorable to the poor, for recommending practical implication in social work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examined in this study are: <Question 1> How is the social work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poor? <Question 2> Which variables affect social work students' attitudes? 2-1. Do social value variables affect social work students' attitudes? 2-2. Do socio-economic status variables affect social work students' attitudes? 2-3. Do social work education variables affect social work students' attitudes? 2-4. Do demographic character variables affect social work students' attitudes? The disguised structured instrument for the assessment of attitudes toward the poor and poverty from Antherton et al.(1993), which improvised to suit Korean situation for this study, assessed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poor and poverty in Korea(favorable/positive-neutral-unfavorable/negative). A 24-item questionnaire gathered social value, socio-economic status, social work education, demographic character independent variables' categories. The above independent variables could be specified as follow ; (1)Social value factors: social orientation, political orientation, work orientation, (2)socio-economic status factors: past and present social class, individual/family income, (3)social work education factors: motivation, social work idealism, field experience, period of work experience, curriculum, importance of poverty problem in the curriculum, (4)demographic character factors: age, marriage, religion, region, year of major in undergraduate, level of education. The subjects were 290 students which were 87 seniors in undergraduate, 114 graduate school students(day classes), and 89 graduate school students(night classes) from seven major universities in Seoul and Kyungki province. A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tudy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1. For the dependent variable, social work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poor and poverty, the mean score was 109.8(range of 31-155) with standard deviation of 9.6. A score of more 93(the median score) indicates comparatively more positive/favorable attitudes. ANOVA discovered significant effects on variables: year of major in undergraduate, year of work experience, family-income level. 2. In order to address <research question 2>, a Pearson correlation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18 independent variable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attitudes to the poor. 4 social value factors for 9.7%, 2 socio-economic status factors for 5.3%, 2 demographic character factors for 4.3%, 10 social work education factors accounted for 34% of variance in the attitudes. For finding more influencing factor among 18 variables, final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Political orientation, the non-voluntary motivation, the macro-social work idealism, Community organization in curriculum, and the importance of dealing poverty problem in curriculum accounted for 36.6% of variance in the attitudes to the poor.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most influencing factor was social work education variables. The implication that the above research results give to social work education is as follow. First of all, the educators have to understand social work education consumers' need. They must assess students' social and political orientation, motivation, social work idealism, and field interest. It can help lead the students to become profession throughout the courses. Secondly, the educators have to review the curriculum closely. In order to form/reform desirable attitudes to the poor as social worker, courses such as 'Social work value and ethic' will be mandatory to discuss any conflicts or prejudice of the subject. 'Social policy' and 'Community organization' courses are also necessary to give students macro practice perspective and strategies of social work. Internship with systemic supervision will help the students to explore their belief and knowledge from school in field practice. Through education and field linkage, student will (re)form their professional attitudes based on the reality of the poor as well as continuing education for the social workers who are already out in the field will manage and reform. More practical following studies should take place in order to apply the above results and implications in social work education. The concept, variables, and scales that were used in this study should be reapplied to various social work students/workers and others. This will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 education and the consumers' attitudes as gener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