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使用者責任에 관한 硏究 : 判例를 中心으로

        김계영 延世大學校 法務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1. 使用者는 그가 고용한 被用者가 事務執行에 關하여 제3자에게 가한 손해를 배상할 책임을 지게 된다. 이러한 使用者責任의 입법취지는 피용자는 자력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피해자에게 충분히 배상받을 기회를 주기 위하여, 피용자를 고용하여 기업 활동을 하면서 많은 이익을 얻는 사용자로 하여금 피용자가 제3자에게 가한 손해를 배상하도록 하려는데 있다. 그러나 비영리 사업자나 영세사업자와 같이 배상능력이 거의 없거나 충분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대기업과 같은 기준에 의하여 피용자의 不法行爲에 대한 賠償責任을 지운다면 부당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유형과 규모에 따라 사용자책임규정을 탄력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그 동안 사용자책임에 대하여 많은 논의가 있었으나, 이러한 논의는 피해자와 피용자의 보호에 치우쳐 왔기 때문에 배상능력이 거의 없는 사용자의 보호에 대한 필요성이나 대책에 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 判例에서 事務執行關聯性의 판단기준으로 채택하고 있는 外形理論은 사용자의 귀책성이나 사정과는 관계없이 피해자의 신뢰에 따라 그 적용 여부가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를 엄격하게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사용자가 영세사업자나 비영리사업자로서 당해 사업으로 인해 많은 이익을 얻고 있지 못하여서 피용자의 가해행위로 인한 손해를 배상할 자력이 충분하지 아니한 경우는 대기업의 경우에 비하여 외형이론이 보다 엄격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영세사업자의 피용자가 범죄행위를 했을 경우에는 피해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누가 얼마만큼 손해를 부담하는 것이 공평한 것인가를 기준으로 손해를 부담시키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3. 民法 제 756조 단서 조항에 의하여 사용자는 免責이 가능한 것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판례는 사용자에게 피용자에 대한 選任?監督상의 注意義務를 상당히 높게 요구하고 있어 실제 면책이 거의 인정되지 아니한다. 이에 면책조항을 삭제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으나, 사용자가 창출한 위험성이 커지는 오늘날 사용자에게 실제로 면책의 기회가 없다면 사용자는 사업으로 인한 위험방지 조치에 비용을 투자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피용자에 대한 감독의무와 위험방지 조치에 충실한 사용자에게는 면책을 인정하여 주어서, 이러한 의무에 소홀한 사용자와 차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에게 피용자의 불법행위에 대한 豫見可能性이 전혀 없었던 경우 責任無能力者의 監督者와 같이 면책의 기회가 주어져야 할 것이다. 4. 피용자의 가해행위에 의해 발생한 손해는 사용자가 창출한 위험이 현실화되어 발생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피용자의 가해행위 당시의 사정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求償權을 제한할 필요가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법관의 재량에 의하여 信義則에 따라 사용자의 구상권을 제한하고 있으나, 신의칙에 의해 개별적으로 판단하기 보다는 독일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는 범위를 피용자의 故意나 重過失에 의한 불법행위로 한정하여 법적안정성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 NASA-TLX를 활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용편의성 평가에 관한 연구

        김현호 韓國技術敎育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사용자인터페이스의 분야에서 자콥 닐슨(Jacob Nielsen)과 더불어 명성을 얻고 있는 도널드 노만(Donald A. Norman)은 그의 저서 'The psycho logy of everyday things'의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인간이 항상 서투르게 행동하는 것은 아니며 항상 오류를 범하는 것도 아니었다. 오히려 잘못 고안되었거나 디자인된 물건을 사용할 때 인간은 오류나 사고를 범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잘못이나 사고의 책임을 인간에게 돌리는 사회에서 살고 있다". 이는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중요성과 제품사용과정에서 인간-제품 상호작용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단적으로 지적하는 문구이다. 즉,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적합하게 이루어져야만 제품사용과정에서 인간과 제품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되고 더불어서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제품사용과정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디자인이 적합하지 못했을 때 인간과 제품사이의 상호작용이 원할 하지 못하게 되고 사용자의 작업부하를 초래하여 결국, 사용편의성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현상이 대형화된 인간-기계시스템에서 초래되면 사용자 또는 시스템 운영자의 인적오류를 유발시켜, 과거 체르노빌(Chernobyl, 1986)원자력 발전소 사고처럼 피할 수 없는 재해를 초래하기도 한다. 또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수많은 제품의 사용과정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디자인이 원활하지 못해서 겪게 되는 불편함과 시간적 경제적 손실은 막대하다. 이는 대형화된 인간-기계시스템에서 초래된 경우에 결코 뒤지지 않을 것이다. 이처럼 중요한 제품 사용과정에서의 사용편의성에 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바라 볼 수 있다. 첫째, 사용편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 및 디자인에 관한 연구이며, 둘째,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사용편의성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편의성 평가방법 연구의 일환으로 인간-제품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NASA-TLX(task load index) 평가방법을 활용한 작업부하 평가방법을 제안하였다. 또 제품사용과정에서 NASA-TLX 평가방법을 활용하여 사용성 측면에서의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적합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편의성 파악의 타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제품 사용과정에서 중요한 사용편의성의 측정척도 중의 하나인 작업수행시간과 작업부하와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작업부하가 제품의 사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작업부하와 제품의 사용성이 어떠한 상호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를 실험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입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사용편의성의 평가방법으로서 NASA-TLX 평가방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제1장 서론부에서 연구의 배경과 연구 목적을 살펴보고, 논문에서 다루고자하는 내용의 당위성 및 논문의 내용 및 구성체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2장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 설계를 위한 사용자특성을 고찰하는데 인간의 인지적 특성과 물리적 특성, 그리고 감성적 특성에 입각해서 살펴보고 제품사용과정에서 사용편의성의 의미와 자콥 닐슨(Jacob Nielsen)을 비롯한 사용편의성 연구자들의 사용편의성 기준속성을 알아보았다. 사용편의성검사(usability inspection) 방법으로, 탐색적 평가(heuristic evaluation), 인지적 과제분석(cognitive walk through)들을 알아보고 사용편의성 테스트(usability testing)방법으로, 음성보고 방법(think aloud), 관찰법(observation)등을 알아보았다. 기타 사용편의성 평가방법으로 실험법(experiment)등을 통하여 본 연구 주제인 NASA-TLX 평가방법을 활용한 제품 사용과정에서의 작업부하 평가방법의 효용성 여부를 알아보았다. 제3장은 NASA-TLX 평가방법을 활용한 사용편의성 평가가능성 파악의 장이다. 인간-제품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제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적합성 파악을 위하여 NASA-TLX 평가방법에 대하여 고찰 하였다. 또 사례연구로 NASA-TLX 평가방법을 사용하여 제품(휴대폰) 사용과정에서의 작업부하를 평가하였다. 또 작업부하 평가자의 주관적 답변의 객관화 검증을 위해 분석계층과정(AHP)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를 활용하여 사용성 측면에서 제품(휴대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적합성을 파악하였다. 즉, 사용편의성 평가척도중의 하나인 작업수행시간을 측정하여 실험적으로 제품사용과정에서의 작업부하와 관련성을 입증하였다. 대표적 사용편의성 측정척도 중의 하나인 작업수행시간과 NASA-TLX 평가방법으로 구한 작업부하와의 관련성을 종합 분석하여 서로의 상관관계를 입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인간-제품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제품의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적합성 파악에 NASA-TLX 평가방법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또한, 이를 토대로 사용편의성 파악의 가능성을 확인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제4장은 결론 및 향후과제의 장으로 NASA-TLX 평가방법을 이용한 작업부하 평가를 통해서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적합성 파악의 타당성에 대한 결과들을 종합하였다. 또, 제품의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적합성 파악과 이를 활용한 사용편의성 파악을 위한 방법으로서 NASA-TLX 평가방법이 타당한지 결론을 내리고 향후 과제에 대해서 방향을 제시하였다. In the present information society, there are a lot of requirement for the change of design value. In particular, the focus of value is changing from hardware to software because of the computerization of product. Product complexity was increased with the computerization of product and it gave rise to many problems for the usability of products. In order to solve the complexity of a product, its user interface design was more important than ever. In this study, a method that can evaluate the design suitability of user interface from the point of view on usability was proposed. NASA-TLX (NASA-Task Load Index) that can subjectively evaluate task load in man-machine system was used in this method. Six evaluation criteria; mental demands, physical demands, temporal demands, effort, performance, frustration were used in this method. Relative importance weights of evaluation criteria were obtained b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n, task load index was calculated by weighted-averaging using these weight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load and task completion time was identified. Eight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and two mobile phones were us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ask load index and task completion time was proved in significance level 0.05. Furthermore, the result of ANOVA (analysis of variance) on the type of mobile phone consistently appeared in both task load index and task completion time. In conclusion, that NASA-TLX can be effectively used to evaluate task load in man-product interaction and also task load can be used to evaluate the design suitability of user interface on a product were proved.

      • 사용자 선택을 중심으로 한 승용차 인테리어 디자인의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고수진 國民大學校 디자인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자동차는 움직이는 공간이며 방(房)이다. 일상 생활에서 자동차 이용 시간의 비중은 점차로 커지고 있기 때문에 어떻게 안락하게 만드는가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승용차의 상품성을 크게 좌우하는 것은 실내의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자동차의 디자인은 실내에서 시작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으며, 특히 유럽의 자동차 디자인에서 이러한 경향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자동차 실내 디자인(이후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이라 함)은 상품기획에 의한 기본 방침을 기초로, 장래 동향, 사회 요구, 인간공학 등을 고려하여 실내의 쾌적한 거주 공간의 설정과 쾌적한 실내 이미지를 종합적으로 추구하고, 내부공간을 종합적으로 기획하는 것이다.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의 요인으로는 안전성(Safety), 거주성(Roominess), 조작성(Operatability), 시인성(Visibility)이 있으며 이들과 함께 21세기 디지털 환경으로 인해 중요시되고 있는 요인으로 사용자의 심리적 만족도를 들수가 있다. 과거의 자동차가 승차하는 공간이라면 현대의 자동차는 생활의 일부로서 생활 공간이라 할수 있다. 자동차는 움직이는 공간이며 방(房)이다. 일상 생활에서 자동차 이용 시간의 비중은 점차로 커지고 있기 때문에 어떻게 안락하게 만드는가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승용차의 상품성을 크게 좌우하는 것은 실내의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자동차의 디자인은 실내에서 시작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으며, 특히 유럽의 자동차 디자인에서 이러한 경향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자동차 실내 디자인(이후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이라 함)은 상품기획에 의한 기본 방침을 기초로, 장래 동향, 사회 요구, 인간공학 등을 고려하여 실내의 쾌적한 거주 공간의 설정과 쾌적한 실내 이미지를 종합적으로 추구하고, 내부공간을 종합적으로 기획하는 것이다.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의 요인으로는 안전성(Safety), 거주성(Roominess), 조작성(Operatability), 시인성(Visibility)이 있으며 이들과 함께 21세기 디지털 환경으로 인해 중요시되고 있는 요인으로 사용자의 심리적 만족도를 들수가 있다. 과거의 자동차가 승차하는 공간이라면 현대의 자동차는 생활의 일부로서 생활 공간이라 할수 있다. 사용자의 심리적 만족도를 결정짓는 요소 중 색채는 심리 표현 및 대화의 수단으로서, 지역, 문화, 민족간의 고유 특성의 대변자로서, 지구상에서의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통언어로서 자동차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우리의 실생활과 관련된 여러 분야에서도 눈부시게 발전, 응용되어 왔다. 인간의 정서와 감정에 밀접한 정보들은 색채를 통하여 상징화되거나 다른 감성적 시각 표현들과 함께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커뮤니케이션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는 현대에는 선택된 제품의 디자인과 색채를 통하여 개인 또는 집단의 이미지가 형성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은 ‘소비자들이 선호하게 될 제품 색채의 트랜드 예측’과, ‘미래의 라이프스타일에 적합한 색채 계획’ 이라는 큰 과제를 안고 있다. 감성이 우선하는 시대에서는 상품 선택의 심리적 만족도가 감성 만족도와 직결되어 작용하게 되므로 복잡하고 다양화되는 감성변화에 항상 민감하게 대처하는 동시에 소비자의 감성특성을 분석해 나감에 따라 감성에 호소할 수 있는 색채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다. 이러한 감성적 가치중시시대에 발맞추어 보다 적극적인 색채전략을 내세워 주목을 받고 몇몇 기업들은 개발 과정에 소비자를 직접 참여시키는 방법을 취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소비자를 관여시키고 있다. 이것은 제품개발 과정에서 사용자 관여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반영하고 있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 사례들을 살펴볼 때, 아직 사용자의 관여도를 반영한 색채계획의 사례가 미흡하다고 판단되어 이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것은 색채와 사용자의 관여도 사이의 차이에서 오는 문제이며, 또한 색채에 대한 사용자의 관여가 커질수록 자동차의 인테리어의 색채적용에 관한 참여는 더 클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의 인테리어에 있어서 색채를 계획하고 개발함에 있어 사용자 참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승용차 인테리어의 색채디자인 개발 과정에 사용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디자인 툴의 게발을 위한 그 방향을 툴의 유형과 내용, 방식의 측면에서 제시할 것이다. 사용자의 심리적 만족도를 결정짓는 요소 중 색채는 심리 표현 및 대화의 수단으로서, 지역, 문화, 민족간의 고유 특성의 대변자로서, 지구상에서의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통언어로서 자동차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우리의 실생활과 관련된 여러 분야에서도 눈부시게 발전, 응용되어 왔다. 인간의 정서와 감정에 밀접한 정보들은 색채를 통하여 상징화되거나 다른 감성적 시각 표현들과 함께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커뮤니케이션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는 현대에는 선택된 제품의 디자인과 색채를 통하여 개인 또는 집단의 이미지가 형성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은 ‘소비자들이 선호하게 될 제품 색채의 트랜드 예측’과, ‘미래의 라이프스타일에 적합한 색채 계획’ 이라는 큰 과제를 안고 있다. 감성이 우선하는 시대에서는 상품 선택의 심리적 만족도가 감성 만족도와 직결되어 작용하게 되므로 복잡하고 다양화되는 감성변화에 항상 민감하게 대처하는 동시에 소비자의 감성특성을 분석해 나감에 따라 감성에 호소할 수 있는 색채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다. 이러한 감성적 가치중시시대에 발맞추어 보다 적극적인 색채전략을 내세워 주목을 받고 몇몇 기업들은 개발 과정에 소비자를 직접 참여시키는 방법을 취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소비자를 관여시키고 있다. 이것은 제품개발 과정에서 사용자 관여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반영하고 있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 사례들을 살펴볼 때, 아직 사용자의 관여도를 반영한 색채계획의 사례가 미흡하다고 판단되어 이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것은 색채와 사용자의 관여도 사이의 차이에서 오는 문제이며, 또한 색채에 대한 사용자의 관여가 커질수록 자동차의 인테리어의 색채적용에 관한 참여는 더 클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의 인테리어에 있어서 색채를 계획하고 개발함에 있어 사용자 참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승용차 인테리어의 색채디자인 개발 과정에 사용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디자인 툴의 게발을 위한 그 방향을 툴의 유형과 내용, 방식의 측면에서 제시할 것이다. A car is a mobile space and the time used in this space is increasing in ordinary life that the importance of making it comfortable is a very important problem to solve. The value of a vehicle is greatly dependent on the interior design of the car and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automobile design begins from the interior. Especially, in Europe this tendency is very strong. The interior design of a car starts based on the basic principles of product planning. The features like future trend, social demand, and human engineering, are all the vital informations needed to set the bounds and create comfortable interior space systematically. The basic features in designing interior is as follows, Safety, Roominess, Operatability, and Visibility. And another very important feature rising in 21st century, it is the mental satisfaction of the user. If the cars of the past are used for getting on the car, present cars have settled as a part of life providing active living space. Communicating through color has been the typical language in commom and was used to express and communicate thoughts with each other. This is not just limited to a car, but it cover our real life. This is one of the element that decides the user mental satisfaction. The informations close to our emotions visual expressions, the fast and accurate communications are made. There are so many varieties of product out in the market now, and through the color and be made. Therefore, the companies making products has a big task of predicting the color the companies making products has a big task of predicting the color trend and making an appropriate color plans. In the era of emotions, the mental satisfaction. It is important to get ready for the complicated and sensitive changes made in emotion territory, and at the same time analysing users' emotion and setting up the color plan is needed to appeal to the emotion. Some companies are making positive color plans by making the user to participate in the design process before the real product is out. The reflections and feedback are made through this process. However, looking through the cases of an automobile interior design,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made related to this matter that this research was decided to be made. This is a problem between the user participation and color, and there would be a lot more participation made in interior color application as the user participation related to color gets larger. This thesis proposes a new model of developing automobile color plan by running series of tests and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result.

      • 사용자별 고유 키패드를 이용한 키스트로크 다이나믹스 기반 인증

        최마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사용자 인증이란 사용자가 제시한 신분의 타당성 및 근거가 되는 정보를 확인하는 절차이다. 인증을 사용하는 이유는 사용자 간의 권한이 다를 때, 해당 권한을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이 맞는지 입증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인증은 크게 3가지 유형으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유형은 사용자 지식 기반 인증 방법으로 패스워드나 PIN(Personal Information Number)과 같이 사용자가 알고 있는 정보로 인증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 유형은 사용자 소유 기반의 인증 방식으로 스마트카드나 출입 카드 등이 속하며 사용자가 직접 보안 인증 매체를 가지고 다닌다. 세 번째 유형으로는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 기반 인증 방식으로써 얼굴, 지문, 홍채 등이 그 예이다. 그리고 인증 과정에서 보안성 강화를 위해 2가지 이상의 인증 유형을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시도하는 멀티 팩터 인증 방식(Multi-factor Authentication)을 사용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멀티 팩터 인증 방식의 개념을 스마트폰에 도입하였다. 기존의 스마트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던 사용자 지식 기반의 PIN 인증 방식과 사용자 특징 기반의 유형으로 사용자가 키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타이핑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를 확인하는 방법인 키스트로크 다이나믹스 기반 인증 방식을 추가하여 보안성을 강화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이 인증은 기존 PIN 인증 방식의 편리성과 비용적인 측면을 확보하고 키스트로크 다이나믹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특징을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만이 인증 가능한 높은 보안성을 모두 갖춘 방식이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더 나아가 키스트로크 다이나믹스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분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타이핑 패턴에서 추출할 수 있는 특징을 다양화하고, 인위적인 리듬을 적용하여 사용자를 구분 짓거나, 이진 결과 분류에 적합한 분류기를 적용하는 방법들이 연구되었다. 본 논문은 위에서 언급한 기존의 성능 향상 방식과 다르게, 사용자 분류 과정에서 정상 사용자에게 랜덤으로 숫자가 배치된 고유한 키패드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 분류 성능을 향상시킨다. 우리는 기존 키패드보다 고유 키패드를 사용했을 때 사용자 분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검증했다. 그 결과 고유 키패드를 사용한 분류 성능이 기존 키패드보다 더 좋은 성능을 나타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해 실제 스마트폰 환경에서 키스트로크 다이나믹스 기반 인증 시스템 구축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사용자 분석에 기반한 모바일 사용자인터페이스 설계 및 경제성 평가에 관한 연구

        김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807

        모바일 폰이 보편화됨에 따라 기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중요성이 데스크톱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던 이전 시대와 크게 달라지기 시작했다. 이전 시대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고 구현하는 것이 소프트웨어 제품의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잠재적인 제품의 유지보수 작업을 줄여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고객 만족 및 비용절감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개발 과정상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성공적인 IT 서비스 개발을 위해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사용 경험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개발은 말 그대로 사용자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감동을 주는 사용 경험을 제공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사용자 분석에 기반하지 않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은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분석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시 발생하는 투자비에 대한 성과 측정 모델을 제안하였다. 첫번째 연구 주제로 모바일 폰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바탕화면을 디자인할 때 시장 세분화를 통한 타겟 마케팅을 함으로써 바탕화면의 가치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사용자 분석 결과를 이용한 시장 세분화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한 방법으로 요인 분석과 군집 분석을 사용한 편익 세분화 모델을 제안하였다. 편익 세분화를 수행하기 위해서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들이 찾는 핵심 편익을 파악하고 이 편익을 찾는 고객을 분류하여 고객별로 모바일 폰 및 바탕화면 디자인 전략을 도출하였다.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편익 세분화 결과 같은 연령, 성별 집단이 다양한 편익을 추구하는 다른 군집으로 분류됨을 볼 수 있었고 각 군집마다 사용하는 모바일 폰의 종류가 다를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연령, 성별 같은 인구통계학적 세분화, 단말 특성 같은 기술통계학적 세분화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보여진다. 두번째 연구 주제로 점점 증가하는 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에 대한 성과 측정 모델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발에 대한 투자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2단계 성과 측정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1단계인 사전 성과 측정 모델에서는 컨조인트 분석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프로젝트 개발 전 단계에서 사용자 분석을 통해 지불용의액을 도출하여 ROI(Return On Investment)를 측정하였다. 2단계인 사후 성과 측정 모델에서는 균형성과기록표와 경험 곡선 효과를 적용함으로써 프로젝트 상용 후 실제 매출액과 비용절감액을 산출하여 ROI를 측정하였다. 이 모델을 실제 사례에 적용함으로써 2단계 성과 측정 프레임워크의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것은 기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성과 측정 모델의 문제점들을 해결함으로써 사전 개발 단계에도 평가가 가능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만의 효과를 분리할 수도 있으며 계산이 간단한 모바일 특화된 성과 측정 모델임을 보였다. 또한 실제 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의 ROI 검증을 통해 긍정적인 사업 효과도 검증할 수 있었다.

      • 사용자 생성 태그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객체의 검색 및 추천에 관한 연구

        이상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807

        최근 다양한 웹 서비스 사이트에서 태깅을 지원하면서 효율적 멀티미디어 객체 관리를 위한 대안으로 태그가 주목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객체의 내용을 텍스트로 나타내는 태그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객체의 효과적인 검색 및 추천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호도와 사용 패턴 정보를 활용하여 정보 검색 및 정보 필터링에 용이하도록 개인화된 추천을 제공한다. 웹 서비스 사이트에서 사용자들이 생산하는 콘텐트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가 관심 있어할 콘텐트를 즉시 발견하도록 돕는 추천 시스템의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의 동영상에 붙여진 태그를 활용한 추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제안된 방법은 사용자가 관람한 동영상들의 태그 클라우드를 집적시킴을 통해 각 사용자 별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이러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활용하여 자신과 유사한 관람 패턴을 가지는 다른 사용자들을 추천에 활용하는 두 가지 단계로 구성된다. 실험을 통하여 태그 클라우드 집적에 의해 만들어진 사용자 별 프로파일이 자신과 관람 패턴이 유사한 이웃을 찾는데 효율적이었으며, 특별히 관람 편수가 적은 사용자에 대해 보다 정확한 추천이 가능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본 논문은 태그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멀티미디어 객체 집합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멀티미디어 객체 집합은 사용자가 생성한 멀티미디어 객체들의 저장 단위를 말하며, 이러한 객체 집합을 대상으로 집합 검색은 사용자들의 정보 필요를 충족시킬, 유의한 집합 반환이 검색의 목적이다. 집합은 분리 가능한 여러 개의 객체가 모여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단일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객체 검색 방법론과 차이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사용자 질의에 대해 집합이 가지는 주제적 유의성을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론의 핵심 개념은 질의와 관련된 세부 토픽을 가능한 많이 포함하는 집합을 선호한다는 것이며, 보다 정확한 계산을 위하여 태그 동시 발생 빈도수 기반의 태그 중요성 평가를 통하여 노이즈 포함 태그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이 기존의 다른 방법에 비해 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사용자 생성 태그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객체 검색 및 추천 방법을 통해 학술적으로 태그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들의 활용 범위를 넓히는데 기여하였다고 판단된다. Tag has been receiving increased attention recently in web service sites. In this paper, we suggest effective recommendation and search algorithm for multimedia objects of web environment by means of tag. Recommender systems make use of various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users such as preferences and usage patterns, and provide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facilitating the information retrieval and filtering processes. In particular, with the recent unprecedented growth of user generated content in social media sites, the role of recommender systems that can prune large information spaces and assist users in discovering items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The proposed method operates by constructing a per-user profile as an aggregate of the tag clouds of videos viewed by the user, and recommendations are then generated based on the viewing patterns of similar users identified according to a similarity function over the user profiles.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tag clouds aggregated for a user can effectively characterize the user profile for similarity computation, enabling more accurate recommendations particularly for the casual users with a few video views in the social media communities that support tagging. As a storage and retrieval unit of user generated web objects, set has been receiving increased attention recently in information retrieval research community. Set search requires relevant sets to be retrieved to meet information needs of users. Set search and individual object search are different in terms of content granularity. This paper proposes a new approach that can effectively measure topical relevance of sets against a user query. The main idea of the proposed approach is to prefer the set which covers as many query related subtopics as possible. In particular, in order to compute the topical relevance while addressing the problem of noisy tags, the notion of tag significance score is introduced based on tag co-occurrence frequency. We consider a problem domain of photo set search at flickr.com where individual photos are annotated with texts such as title and tag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method outperforms the previous approaches for photo set retrieval.

      • 휴업의 개념과 휴업수당 지급에 관한 연구

        이초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최근 코로나-19 감염병 발생으로 인하여 세계보건기구(WHO)는 팬데믹을 선언하였고, 세계 각국은 감염병의 확산을 막기 위하여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시행하고 국가 간 봉쇄 조치를 하는 등 사회·경제·문화 전방위적인 변화를 겪었다. 그로 인하여 기업은 예측하지 못한 경영 위기에 처하였고, 근로자는 근로를 제공하지 못하는 상태에 놓였다. 사용자와 근로자 간 고용계약이 체결되어 있음에도 근로자가 노무를 제공하지 않는다면 근로자는 사용자에게 노무 제공의 대가인 임금을 청구할 수 없다(민법 제655조). 고용 또는 고용계약은 민법상 전형계약 중 하나이므로 계약의 불이행이 발생한 경우라면 그 원인을 일으킨 사용자 또는 근로자가 대가위험을 부담하는 것이 타당하다. 만약 코로나-19 전염병 확산으로 인하여 휴업이 발생한 경우처럼 노사 양측의 책임이 없이 근로자의 근로 불이행이 발생한 경우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 독일에서는 공장의 멸실, 전력 등의 에너지 공급중단, 원자재 공급 부족, 행정명령 등으로 인하여 발생한 경영 장애로 인해 사용자에게 근로자의 근로 제공이 어려운 휴업 동안에 사용자에게 임금 지급 의무를 부담하도록 민법 규정을 확장하거나 노동법상 일반원칙을 적용하는 견해가 학설과 판례를 통하여 전개되었다. 우리나라는 휴업 발생 시 대가위험 부담에 관하여 민법 제538조 제1항 1문 또는 2문을 적용하자는 견해와 근로기준법 제46조의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발생한 휴업’으로 보아 휴업수당을 부담시키자는 견해로 대립하여 전개되어왔다. 우리나라는 민법의 특별법인 근로기준법에서 휴업수당 지급제도를 두고 있으므로 (근로기준법 제46조) 해석에 있어서 일반법인 민법 규정에 우선하여 특별법인 휴업수당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우리나라의 통설과 판례는 근로기준법 제46조의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인한 휴업’을 사용자의 고의나 과실뿐만 아니라 지배관리 가능한 범위에서 발생한 휴업까지도 포함하여 휴업수당 지급범위를 민법 제538조 제1항 제1문의 임금 지급범위보다 넓게 해석하고 있다. 다만, 노사 양측의 책임 없는 경영 장애로 인하여 발생한 휴업 중 불가항력 사유는 제외된다고 해석한다. 일본의 통설과 판례도 우리나라와 같이 ‘사용자의 귀책사유’를 ‘사용자의 고의나 과실 그리고 신의칙상 이와 동일시 할 수 있는 사유’뿐만 아니라 경영 장애 상황을 포함하고 불가항력 사유를 제외하여 사용자의 책임 범위를 확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불가항력 사유를 휴업수당 지급범위에서 제외하는 것은 일본에서 노동기준법 제26조의 휴업수당 규정 제정 당시에 사용자에게 과도한 책임을 부담시키는 것이 공평의 원칙상 타당하지 않다는 견해가 있어 사용자의 책임 범위에서 불가항력 사유를 제외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다만, 우리나라는 근로기준법 제46조 제2항에서 ‘부득이한 사유로 사업을 계속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노동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휴업수당을 감소시킬 수 있는 휴업수당 감액 제도를 두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휴업수당 지급액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귀책사유’를 일본과 달리 해석할 여지가 있다. 우리나라의 통설 및 판례는 사용자의 귀책사유에서 제외하는 ‘불가항력 사유’를 절충설의 입장에서 ‘불가항력이란 사업의 외부에서 발생하고 또한 통상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예방 방법을 다하여도 발생을 방지할 수 없는 사고’라고 해석한다. 그럼에도 판례는 ‘베트남 국지전의 변화로 인하여 휴업’을 ‘불가항력 사유’가 아니라고 판단하였고, 행정해석도 ‘코로나-19로 인하여 발생한 행정청의 행정지도’로 휴업한 때를 불가항력 사유로 해석하지 않고 사용자의 귀책사유 범위로 포함하는 등 모순된 태도를 보인다. 또한, ‘사용자의 지배관리 가능한 범위’와 ‘불가항력 사유’라는 불명확한 용어를 사용하여 휴업수당을 지급하기 위한 전제 조건인 사용자의 귀책사유 범위를 명확히 알기 어렵다. 그러면서도 근로기준법 제109조는 사용자의 휴업수당 미지급을 이유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형사상 명확성의 원칙에도 위배 될 여지가 있다. 이렇듯 불명확한 근로기준법 제46조의 ‘사용자의 귀책사유’ 범위를 보다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독일과 달리 휴업이 발생한 때 근로자의 생계보장을 위하여 휴업수당 지급제도를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사용자와 근로자 양측의 민법상 고의나 과실 없이 발생한 경우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책임 범위도 임금 전액이 아닌 평균임금의 100분의 70 이상 또는 통상임금으로 정하고 있다. 이렇듯 독일과 법규정이 다름에도 우리나라에서는 독일에서 전개된 경영 장애와 경영위험 이론의 영향을 받아 영역설을 원용하여 사용자와 근로자 그리고 노사 양측의 귀책사유 없이 발생한 휴업 동안에에 대해서 누구에게 대가위험을 부담하게 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가 전개되어왔다. 또한, 쟁의행위로 인하여 휴업이 발생한 때에 근로자가 원인을 제공한 것으로 보아 쟁의행위 기간 중의 임금 위험부담 법리를 원용하여 사용자의 휴업수당 지급 의무 범위에서 제외하였다. 우리나라 근로기준법 제46조에서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는 휴업은 근로계약 중간에 노사 양측이 예측하지 못한 경영상의 어려움 등이 발생한 때에 근로계약을 해지하지 않고 유지하기 위하여 근로자의 근로 제공을 일정 기간 정지하거나 중단하는 기간을 정한 것이다. 휴업수당 제도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일방적으로 책임이 부과되고 있다고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지만, 이는 휴업 동안 노사가 근로를 제공하지 못한 것에 대한 대가위험을 사용자가 100분의 70, 근로자가 100분의 30으로 공동으로 부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노사가 경영 장애 발생 시 근로계약을 유지하기 위하여 노사 공동의 책임을 인정하면서, 사용자와 근로자의 책임 범위를 적절하게 조정하기 위하여 휴업수당 감액 제도를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휴업수당 지급 및 감액 제도는 독일 또는 일본과 달리 휴업 동안 사용자 또는 근로자에게 일방적으로 책임을 부과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노사 양측의 책임 없이 발생한 휴업 동안에 노사가 공동으로 임금위험 책임을 부담하기 위한 제도이다. 이 휴업수당 제도는 미지급 시 사용자를 처벌하는 것에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휴업 동안 근로자 생계보장을 위한 최소한의 제도라는 본질에 집중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휴업 및 휴업수당은 노사 영역을 나누어 누가 책임을 질 것인지 관심을 두고 논의가 전개되었고, 이러한 배경에서 사용자의 휴업수당 미지급을 이유로 근로자가 사용자를 고소 또는 고발하는 등의 극한 노사 갈등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휴업수당 제도는 노사 양측이 예상하지 못한 경영 장애가 발생한 때 근로자의 최소한 생계보장이라는 본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휴업 동안에를 노사 공동책임 기간으로서 관점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휴업 및 휴업수당 제도가 경영 위기 상황에서 노사 간 협의 또는 합의를 통하여 협력을 강화하고, 개별근로자가 휴업수당 지급 사유와 기간 그리고 지급 시기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입법적인 정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목적에서 ‘사용자의 귀책사유’를 ‘근로자의 귀책사유 없이 발생한 휴업’으로 그 범위를 명확히 규정하고 사업체의 경영 위기 상황에서 근로자대표와 사용자 간 합의로 휴업수당 지급액을 감면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휴업수당 감면 승인 신청할 때 선행적으로 노사 간 협의 절차를 진행하도록 강제하여 노동위원회 신청 전 노사 간 협의 절차 관련 입법적인 정비를 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현재 노동위원회의 감액 승인 사유를 ‘부득이한 사유로 사업을 계속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로 한정한 규정을 ‘부득이한 사유로 정상적인 사업 운영이 어려운 경우’로 개정하여 휴업수당 감액 대상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글로벌 경제위기나 사업구조 개편 등 다양한 경영 위기에 대비하여 사용자가 근로자를 정리해고하거나 사업체를 폐업하는 대신 최우선으로 근로자와 체결한 근로계약을 유지하여 고용을 안정시키고 경영 위기가 극복된 후 해당 사업장에서 근로자가 다시 정상적으로 근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휴업수당 제도가 휴업 동안 최소한의 안전망으로서 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기를 기원한다.

      • 고령 소비자의 사용자경험을 통한 복지용구 개발 방향 연구

        안지영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경제 및 의학 발전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 영양상태의 개선, 보건기술의 향상과 의학의 발달로 인간의 평균 수명이 증가하면서 세계적으로 고령 인구 비율이 늘어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000년 고령화사회에 진입하였으며, 2025년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인층을 대상으로 하는 산업인 고령친화산업 또한 급성장 할 것으로 예상하고 고령친화산업진흥법과 같은 관련 산업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일반적인 소비 중심의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의 사용자는 정신적, 인지적, 그리고 사회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제품 개발 과정 중 하나인 컨셉 과정에 사용자의 요구사항 및 특성 분석이 포함되고 있다. 그러한 컨셉에서의 요구사항 및 특성 조사방법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 사용자경험(User Experience, UX)이며, 이를 통해 제품에 대한 주요한 개발 방향 및 개선방안 등을 수렴해 소비자의 필요에 의한 제품 개발에 활용된다. 그러나 아직 고령 사용자 관점에서는 제품개발을 하는 산업체의 영세성 등으로 인해 사용자 경험을 통한 제품 개발이 많지 않은 상황이며, 개발 방법 또한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기존 산업체가 고령 소비자들을 대하는 태도는 주로 노인 집단을 신체 및 인지적으로 병약한 집단으로 판단하고 노인 주거 환경이나 노인 복지 시설 측면에서 편의를 도모 할 뿐, 실제 사용자이자 소비자로서의 노인을 고려한 제품 및 서비스 개발과 감성적 요구사항에 대한 대응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들이 많이 선택하고 필요로 하는 복지용구에 대하여 사용자 경험기법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더블 다이아몬드 방법을 적용한 개발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고령 소비자 중심의 복지용구 개발을 위한 사용자 경험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사용자 경험 기법에서 사용하는 더블 다이아몬드 방법은 확산과 수렴을 반복하는 4단계의 디자인적 사고를 바탕으로 사용자 경험이 반영된 제품 또는 서비스를 개발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론은 수요자에 대한 깊은 이해와 통찰을 바탕으로 제품 및 서비스의 컨셉을 확정하는데 활용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발견(Discover), 정의(Define), 발전(Develop), 상세화(Deliver)의 일련의 과정 중 발견과 정의를 통한 아이디어 수립과정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한 이유는 본 연구의 목적이 사용자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이를 복지용구 개발에 반영하는 것으로 사용자 경험의 요소가 많이 반영되는 발견과 정의 부분에 보다 집중한 결과를 얻기 위함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다양한 복지용구 중 고령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보행보조차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사용자 경험의 적용과 발전 방향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보행보조차를 사용하고 있고 인천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고령자 10명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제품에 대한 문제점을 발견하고 아이디어를 수집하였다. 조사 결과 문제의 발견에서 각 개인이 사용하고 있는 보행보조차에 대한 조작성 및 만족도 등에 대한 의견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색 및 크기, 높이조절과 사용상의 설명 등과 관련한 부분에서의 고객 요구사항이 발견되었다. 이를 통한 제품의 개발 컨셉을 도출하는 아이디어 수집단계에서는 국내·외에서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보행보조차의 사진을 보여주고 이를 통한 고령소비자의 의견을 받는 방법을 통하여 색과 높이조절의 편리함, 그리고 직관적인 사용에 대한 인식을 할 수 있는 형태의 아이디어와 해결방안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보행보조차의 개선 및 개발 방향에 대한 적용방안의 방안으로 보행보조차 개발을 위한 색과 높이조절 및 직관적인 사용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영세성으로 인해 고령 사용자에 대한 의견수렴 문제 등으로 적용이 어려웠던 사용자 경험 프로세스를 복지용구 개발에 적용한 사례 연구로, 고령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복지용구의 개발 방향에 대해 살펴본 의미가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비록 본 연구에 참여한 인원의 한계 및 대상 제품이 복지용구 전체를 대변하지는 못하지만 향후 광범위한 고령자 집단 및 제품에 대해 본 연구 방법이 확대 적용된다면 국내 고령친화제품에 대한 고령 소비자의 만족도 향상 및 관련 산업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사용자 형평성을 고려한 MC-CDMA 시스템에서의 적응형 부채널 할당 알고리즘

        최승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the MC-CDMA system employing adaptive modulation scheme,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system can be increased by selecting the proper modulation level for each subchannel. In a multi-user system, adaptive subchannel allocation scheme can also increase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system via judicious selection of transmittable users among total users. However the existing subchannel allocation methods cannot fairly allocate transmission rate for all users. We propose a new method of efficient subchannel allocation via prioritizing users with respect to channel gain ; the ratio of the transmission rate and the required rate of users is kept to a constant. This paper proposes a new subchannel allocation method which guarantees both high data rate and fairness of allocation for all users.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ubchannel allocation algorithm was simulated in a 3-ray Rayleigh fading channel, and compared against the existing allocation algorithm. Simulation results verified that the allocation method with channel information achieves higher data rates compared to the allocation method without channel information. But method without user requirment, required data rate, cannot guarantee the fairness between users. The proposed allocation method promises the high data rate and the fairness between all users because it uses the channel information and the requirement of users simultaneously. 적응형 MC-CDMA 시스템은 적응형 변조 방식을 통해 채널 상황에 적합한 변조레벨을 부채널별로 선택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적응형 부채널 할당 방식을 사용하면 전체 사용자 중에서 전송 가능한 사용자를 제한해서 부채널을 할당하며 이를 통해 전송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기존의 적응형 부채널 할당 방식은 전체 사용자의 전송율을 높일 수 있으나 각 사용자에게 고르게 부채널을 할당하지는 못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채널 상황과 사용자의 요구 데이터율을 동시에 이용하는 부채널 할당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부채널 할당 알고리즘은 채널 SNR이 높은 사용자에게 부채널을 할당하면서도 각 사용자의 요구데이터율과 전송율의 비를 일정하게 맞춤으로써 높은 전송율과 사용자 형평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실내 보행자 환경을 가정한 3-ray 레일리 페이딩 채널에서 전산 모의 실험을 하였으며 기존의 부채널 할당 알고리즘과 전체 사용자 전송율 및 각 사용자의 전송율 분포를 비교하였다. 채널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부채널을 할당하는 경우 전체적으로 낮은 전송율을 보였으며, 채널 정보만을 이용하여 부채널을 할당하는 경우 전체 전송율은 높았으나 사용자들 간의 형평성이 지켜지지 않았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부채널을 할당하는 경우, 높은 전송율과 사용자 형평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