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사회 “혼혈” 보도에 대한 담론분석 : 2000년대 초반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전승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708

        This study explores a discursive transformation and articulation of racism in South Korea in early 2000s. It was conducted in response to the discourse on mixed-race people in Korean society in the early 2000s when academic interest in the subject was lower than social craze in it. In this study, 108 newspaper articles were critically analyzed to identify the discursive spaces with regard to mixed-race studies and stereotypes about mixed-race people in Korean society. Two canonical concepts of Foucault’s (rules of exclusion/inclusion) and Hall’s (articulation)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discourse in newspapers, which represented mainstream media outlets and common social views. Using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and conjunctural analysis, the study aims to probe five newspapers’ articles on mixed-race issues. The most important event related to mixed-race issues between 2000 and 2005 was “the Confession” of Ms Lee, which happened on May 28, 2003. Newspapers’ discourses from 2003 to 2005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words used and the authors’ identities. The conjunction between mixed-race people, some civic groups,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n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over the course of 15 months related to this Confession. This study had three major results. First, media and social responses against racism in the early 2000s were excessive. Newspapers repeatedly published overly compassionate and flattering articles about mixed-race people. Newspapers used measures to focus attention on stories about social minority groups and ordinary people, such as mixed-race people and civic groups. They also promoted the social values of ‘recognition’ and tolerating ‘difference’. Second, newspapers promoted national shame over concerns about racial purity in South Korea and emphasized that these concerns should be eradicated immediately. Third, by changing words related to stereotypes and re-articulating new words, newspapers promoted the ending of discrimination against mixed-race people. And they highlighted the value of success by profiling some mixed Korean-white people and dramatized the daily lives of common mixed-race people. Newspapers, however, did not suggest specific policies that would reduce discrimination against mixed-race people and largely ignored the tragic experiences of Korean-white and -black people. Newspapers also made immigrants from elsewhere in Asia and their children into new targets of discrimination, thereby shifting attention away from Korean-white and -black peopl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y had successfully overcome discrimination. This phenomenon is still occurring today. Although some newspapers and civic groups have called on the government to make changes, they have not made specific demands. Despite the fact that the Ms Lee’s Confession broke a social taboo in publicly discussing their mixed racial background, social interest in human rights and racism in South Korea was low. Additionally, mixed-race people react to this social atmosphere by refining their narratives and striving to become model minorities of society. Instead of pushing for structural social changes, the media and the government emphasize that racism should be fought through individual efforts. Thus, the government did not seek to solve structural problems facing mixed-race people and instead increased individuals’ responsibility for addressing them. 본 연구는 사회적 열광에 비해 학술적 관심은 낮았던 2000년대 초반 한국 사회 혼혈인 담론 연구를 보강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했다. 해당 시기의 신문기사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한국사회의 혼혈인을 구성하는 담론 지형과 혼혈인 재현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이데올로기를 확인하려 했다. 일상의 미디어를 대표하는 신문과 사회 행위자들의 담론을 분석하기 위해, 푸코의 배제와 홀의 접합이라는 이론적 개념을 기반으로 삼았다. 또한 혼혈인 관련 보도에서 대표성을 띠는 다섯 개 신문을 선정한 후, 비판적 담론분석과 국면분석을 활용하여 혼혈인 관련 기사의 보도 관행과 담론의 전개 경향을 분석하였다. 2000년부터 2005년 사이 한국 사회의 혼혈인에게 벌어진 가장 중요한 사건은 2003년 5월 28일에 벌어진 한 혼혈 방송인의 “고백”이었다. 이에 시기를 구분하고, 일차로 2003~2005년의 신문 기사 텍스트를 ‘어휘’와 ‘발화자’로 나눈 후 분석하고 담론전개 경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고백” 사건을 둘러싼 1년 3개월의 국면(conjuncture)에서 나타난 언론 및 시민단체, 혼혈인 개인, 국가인권위원회, 정부의 사회문화적 실천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본고는 2000년대 초반 한국 신문 및 사회 전반에서 색맹에 가까운 인종주의가 실현되고 있었다고 보았다. 신문이 강조하여 말하는 것과, 말하지 않는 것에 따라 혼혈인에 대한 한 사회의 지식이 구성된다고 한다면, 유달리 나타나는 혼혈인 보도 경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문은 혼혈인에 대해 과도할 정도로 온정주의적이고 관용적인 보도를 반복했다. 담론 지배력을 가진 언론이나 정부보다도 혼혈인들과 시민단체 등 소수자와 일반인의 이야기에 관심을 갖는 방편을 사용한다. 이는 마치 ‘다름’을 인정하고 용인하는 사회의 모습처럼 나타난다. 둘째, 한국사회의 순혈주의와 수치심을 과도한 수준으로 자극하고, 이를 서둘러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셋째, 고정관념과 관련된 단어를 변경하고 새로운 단어를 활용함으로써, 혼혈인에게 가해진 과거의 차별을 지워야 한다는 주장을 강조한다. 넷째, 일부 백인계 혼혈인을 중심으로 그들의 성공의 가치를 부각시키고, 혼혈인의 일상을 극화하고자 한다. 반면 신문은 백인·흑인계 혼혈인이 겪어온 사회문화적 차별과 배제를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정책을 제시하지 않는다. 또한 아시아 권역의 이주민과 그 자녀들을 새로운 차별의 대상으로 전환한다. 이에 비해 백인·흑인계 혼혈인들은 사회의 관심으로부터 멀어진다. 그들은 이미 사회에서 성공하고 차별을 극복한 개인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차별의 구조적인 문제에 직면하지 않는 현상은 현재에도 익숙한 모습이다. 차별의 인식을 변경하기 위해 일부 신문과 시민 단체가 정부와 시민 사회의 직접적인 개선을 요구하였음에도, 변화는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소수자가 직접 사회적 터부를 깨고 용감하게 발언한 사건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의 인권과 인종주의 등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는 터무니없이 낮았던 것이다. 또한 혼혈인 개인은 이러한 사회분위기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온순하고 씩씩한 모델 소수자가 되어 자신의 목소리를 스스로 정제했다. 무엇보다 거시적이고 구조적으로 사회를 변화시키는 대신, 언론은 개인 스스로의 노력과 능력을 통해 인종주의를 극복해야 한다는 수사를 활용했다. 정부 역시 혼혈인에 대한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 않으며, 보여주기식 인종감수성을 부추기면서 개인의 통치성을 강화하고자 했다. 혼혈인을 위시로 한 모든 인권 관련 문제는 귀찮을 만큼 경쟁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단지 일방향적으로 반복되는 언론의 이데올로기, 문제를 직면하지 않고 지름길만을 선택하는 국가, 그에 동의하는 시민 사회의 모습이 반복된다면, 소수자의 사건을 문제화하고 담론을 개진하며 교차할 수 있는 헤게모니 쟁탈전이란 그저 이론적 환상에 그칠 것이다.

      • 포털 뉴스기사의 프로야구단 CSR 활동 담론 분석 : 페어클러프(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을 바탕으로

        김기백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08

        본 연구는 포털 뉴스기사의 프로야구단 CSR 활동 담론을 페어클러프(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프로야구단의 CSR 활동의 본연의 목적인 구단의 평판 및 이미지 상승에 포털 뉴스기사가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3년에서 2016년까지 포털 뉴스에 기재된 프로야구단의 CSR 활동 관련 기사를 Fairclough의 비판적담론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포털 뉴스기사의 프로야구단 CSR 활동 담론은 ‘꿈’, ‘지속적’과 같은 표현이 사용되었다. 둘째, 포털 뉴스기사의 프로야구단 CSR 활동 담론은 지역사회 동반자 담론 및 엘리트주의 담론이 형성되고 있다. 셋째, 포털 뉴스기사의 프로야구단 CSR 활동 담론은 2014년 리틀 야구 월드시리즈 우승과 2015년 프로야구단 삼성라이온즈 소속 선수들의 원정도박사건에 영향을 받았다. 이와 함께 연구 결과에 따른 논의와 후속 연구 기회에 대한 내용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ortal web site’s news affect professional baseball clubs’ original object of CSR activities such as raising clubs’ evaluation and image by analyzing portal web site’s news articles regarding professional baseball clubs’ CSR activities through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rticles regarding professional baseball clubs’ CSR activities from 2013 ~ 2016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m through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professional baseball clubs’ CSR activities discourse use expressions such as ‘dream’, ‘consecutive’ repeatedly. Second, professional baseball clubs’ CSR activities discourse creates baseball club as community’s partner and elitism discourse. Finally, professional baseball clubs’ CSR activities were affected by 2014 Little League World Series and 2015 illegal gambling incident by professional baseball club, Samsung Lions. In addition, discus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plans were proposed.

      • 사회적 선발기제로서 대학입학제도 담론변화에 대한 분석 : 1990년 이후 신문에 나타난 대학입학제도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석상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62

        This research examines the news articles on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since the 1990s. It applies Norman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s the means to reveal the vocabularies and discourses within these news articles and scrutinize their ideologies and historical changes. Corpus Analysis was chosen among other analytical methods in linguistics for thi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 literature review was thoroughly done about relevant issues such as previous cases of critical discourse analyses on education, research on social selection and university admission, and studies o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fluctuations and discursive changes. After reviewing how other scholars have discussed this issue, it analyzes the “exam” as the phenomenon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social selection from the critical perspectives of Michel Foucault and George Herbert Mead. Examining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in South Korea, it reveals the contexts and social environments in which the discourses on the university admission have been developed. Distinguishable in the result of Corpus Analysis of news articles on university admission over each period since 1990 is the fact that, from the beginning, such interested parties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parents, and students have often been mentioned; and, until 2006, such terminologies as “normalization of highschool education” and “rights of student selection,” justifying the current admission system, were often appearing as the co-occurring words with ideological overtones and discourse-struggling characteristics. Four terminologies in sub-categories, namely “highschool records,” “national university admission exam,” “admission officer system,” “comprehensive student records,” turned out to be regularly associated respectively with the following co-occurring words: “advantage and disadvantage” discourses (for “highschool records”), “private education” discourses (for “national exam”), “capability” and “fairness” discourses (for “admission officer”), and “golden spoon” discourses alongside “fairness” (for “comprehensive student records”). In the part for discursive practice analysis, the other four co-occurring words, derived from the textual analysis as those characterizing the discursive structures of news articles, namely “normalization of highschool education,” “private education,” “rights of student selection,” and “fairness,” were examined as the means to illustrate the respective discursive structures of “ab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conflict between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universities’ right to select students,” and “the fairness of university admission system.” From this complete enumeration survey of news articles, this research discovers four mechanisms which have programmed the discourses and ideologies around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1) enhancing mechanism for the merit system, 2) discrimination mechanism, 3) apparatuses for disciplining and molding exam citizens, 4) inheritance and reproduction of education. In the part for the analysis of sociocultural practice in the situational contexts and institutional conditions of the university admission, it is argued how the high rate of university entrance and the economic and social merit of university admission have functioned as situational contexts and how high schools’ publishing of university entrance reports has enhanced this context. This part also suggests the limitation on the number of graduates, commitment to universities’ establishment principles, and deliberative democracy as the institutional conditions that could be introduced to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and argue how the situational contexts and institutions conditions suggested ar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conclusion, the discursive changes around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turn out to consist of three consecutive stages: namely, the state-led period (~2007) where the government took a significant leading role in the discursive formation, the experts-led period (2008~2017) where the experts were leading the discourses about the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of different university admission systems, and the publicization period (2017~) where not only experts but also a variety of interested parties and discursive actors have publicized the university admission discourses through the processes of deliberative democracy and expanded them far beyond those about effectiveness but even to the ideological discourses on class relations.

      • 대통령 탄핵사건 보도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5개 일간신문의 정파성과 담론경쟁을 중심으로

        윤철수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3342

        본 연구는 2017년 3월10일 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 헌정사상 처음으로 현직 대통령에 대한 파면을 선고한 역사적인 사건과 관련해, 소위 비선실세 국정농단 및 박근혜 대통령 탄핵을 전후한 시기에 나타난 미디어 담론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페어클라우(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 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의 이론적 틀을 차용하여 탄핵사건 관련 담론들은 텍스트 구성에 있어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 시기별 주요 담론들은 어떤 변화의 과정을 거치며 의미를 재구성하는지, 그리고 탄핵사건을 둘러싸고 경쟁하는 담론들은 무엇이고, 쟁점이슈 담론 구성에 있어 신문사의 정파성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기간은 2014년 11월1일부터 2017년 3월31일까지이며, 시기별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이를 4시기로 구분하였다. 분석대상 신문은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5개 신문이고, ‘1면’ 뉴스, 사설, ‘오피니언’ 지면의 내부칼럼과 외부칼럼 등 총 2,642건을 최종 분석대상 기사자료로 선정했다. 분석방법에 있어서는 질적 분석을 중심으로 수행하되, 방법론적인 엄밀성을 강화하기 위해 계량적 내용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첫 번째로 대통령 탄핵사건 관련 미디어 담론의 흐름과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내용분석을 실시한 결과 담론구성에 있어 시기별, 신문사별 차이가 확인되었다. 먼저 탄핵사건 관련 뉴스담론의 유형(대주제)은 ‘대통령 의혹/책임’이 가장 많았고, 이어 ‘측근비리와 ‘비선실세 국정농단’, ‘대립 갈등’, ‘탄핵’, ‘대기업/재벌 책임’, ‘국정수습’, ‘촛불/시국선언’ 순으로 나타났다. 신문사별로는 ‘대통령 의혹/책임’과 ‘대기업/재벌 책임’은 진보신문에서, ‘대립 갈등’은 보수신문에서 보다 더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탄핵사건 관련 담론의 텍스트 구성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주제어는 ‘최순실 국정개입’이고, 다음으로 ‘대통령의 현실인식/책임’, ‘대통령 측근에 제기된 의혹’,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정윤회 문건’, ‘촛불집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기별로 보면, 제1시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주제어는 ‘정윤회 문건’으로 나타났다. 반면 제2시기에서는 ‘최순실 국정개입’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대통령 현실인식/책임’, ‘촛불집회’ 등의 순이었다. 제3시기에서는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4시기에서는 ‘대통령 구속 찬반’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각 뉴스텍스트에서 나타난 보도태도를 분석한 결과 ‘부정/비판/반대’ 논조가 54.7%로 가장 많았고, ‘중립적’ 26.7%, ‘긍정/옹호/지지’ 18.6%의 비율을 보였다. 이어 ‘비선실세 국정농단’ 논란이 제기되었던 2014년 비선실세 정윤회 국정농단 의혹, 2016년 비선실세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두 케이스를 비교대상으로 설정하여 이항대립(二項對立) 구도의 담론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 정윤회 국정농단 의혹 사건에서는 ‘정윤회 문건’을 매개로 하여 ‘비선실세 국정농단’ 담론과 ‘찌라시’ 담론이 대립하는 구도가 나타났다. 뉴스담론 텍스트 구성은 신문사에 따라 차이가 확인되었는데, 진보신문에서는 사건의 본질을 ‘국정농단 사건’으로 규정하며 대통령의 책임과 강력한 후속조치를 촉구하고 있는데 반해, 보수신문 중 <조선일보>의 경우 ‘정윤회 문건=찌라시’ 및 범죄행위로서 ‘문건 유출’을 강조하는 텍스트 구성 빈도가 높았다. 반면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에서는 보수, 진보신문 구분 없이 비판적 논조를 이어나가며 ‘최순실=대통령 책임’ 담론이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대통령과 청와대에서 해명 입장 등을 통하여 미르재단 대기업 모금 지원과 관련한 ‘강제 모금’ 담론은 ‘재계 주도’ 담론으로, ‘최순실=대통령’ 담론은 ‘최순실 개인 일탈’ 담론으로 각각 담론적 변화를 시도했으나 실제 이항대립적 구도는 형성되지 않았다. 이는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이 여러 가지 비리 및 특혜 사건이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으면서 중대성이 크고, ‘촛불’로 상징되는 성난 민심이 이미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확산되고 있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세 번째로, 대통령 탄핵사건을 둘러싼 담론들이 어떻게 담론적 실천으로 재구성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접합이론을 통한 담론 변화의 과정을 탐색했다. 이 결과 첫째, 2014년 11월 ‘정윤회 문건’ 파문에서는 ‘비선실세 국정농단’과 ‘찌라시(허위 문건)’ 2개 축의 담론이 형성되어 있었는데, 이중 ‘비선실세 국정농단’ 담론은 대통령 핵심측근으로 불리는 일명 ‘문고리 권력 3인방’, ‘국정개입’, ‘십상시(十常侍)’를 접합시키고, ‘찌라시’ 담론을 탈접합시키는 방법으로 해 구성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찌라시’ 담론은 대통령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비선실세 국정농단’ 담론을 탈접합 시키고, 대신 ‘문건유출 사건’과 ‘검찰수사’ 담론을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사건의 본질을 국정농단이 아니라 문건유출이란 범죄행위로 돌리고 있었다. 둘째, 대통령의 공무원 임면권 남용 논란을 불러온 문화체육관 광부 인사개입 논란에서는 ‘문체부 인사 게이트’ 담론과 ‘체육계 적폐’ 담론 2개 축을 중심으로 각각 논리성 강화를 위한 담론요소들을 결합시키고 있었다. 셋째, 미르·K스포츠재단 의혹사건에서는 ‘최순실 게이트’ 담론과 ‘대기업 자발적 모금’ 담론이 대립하였다. ‘최순실 게이트 담론’은 미르·K스포츠 재단 관련 의혹 규명이 핵심인데, ‘대기업 강제모금’과 ‘청와대 개입’, ‘전경련 해체’를 접합시키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반면 ‘대기업 자발적 모금’ 담론은 ‘인식공격성 폭로 및 비방’, ‘대기업 순수 의지’, ‘문화 융성’ 등을 접합시키고, ‘최순실 친분’은 탈접합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되었다. 네 번째로, 탄핵사건을 둘러싼 쟁점이슈를 중심으로 하여 담론경쟁 구도 및 정파성 차이를 분석하였는데, 이 결과 최순실의 국정농단 사건이 터진 후 박근혜 대통령의 3번에 걸친 대국민 담화 사과는 1차 담화에서부터 ‘거짓 해명’ 논란이 일면서 오히려 역효과만 크게 초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거짓 해명’이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고, 이는 진보언론은 물론 보수언론으로부터도 강력히 비판받는 상황에 직면하는 원인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정수습 방안과 관련한 미디어 담론은 정파성에 따른 담론전략의 차이가 확인됐는데, 진보언론은 ‘탄핵 촉구’ 담론이라는 일관성을 유지하며 탄핵 당위성의 논리를 더욱 확장하는 양상을 보였다. 반면 보수 언론은 ‘2선 후퇴’,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 전환’, ‘질서 있는 퇴진론’, ‘탄핵절차 불가피’ 등으로 담론전략이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특징을 보였다. 셋째, ‘세월호 7시간’ 논란에서는 진보언론에서는 대통령이 참사 당일 관저에 머물러 있으면서 대통령으로서의 직책을 성실히 수행하지 않았다는 담론을 편 반면, 보수언론 중 <조선일보>에서는 무분별한 의혹제기 담론으로 대립각을 세웠다. 넷째, 재벌기업 청문회와 검찰 수사 관련한 이슈에서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논조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났다. 모금지원에 연루된 재벌기업 총수들에 대한 청문회나 검찰조사에 대해서는 보수언론 대부분이 ‘피해자’ 및 ‘경제위기’ 담론을 통해 재벌 총수들을 적극 옹호하는 논조를 취한 반면, 진보언론에서는 대기업들의 자금 지원을 정경유착의 적폐로 규정하면서, 재벌개혁을 촉구했다. 다섯째, 헌재 탄핵심판 선고를 둘러싼 담론에서는 보수언론과 진보언론 모두 ‘승복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으나, 검찰의 대통령 소환조사 시점에서는 다시 대립각을 세웠다. 진보언론에서는 ‘법과 원칙’, ‘법 앞의 평등’, ‘범죄사실의 중대성’ 등의 프레임을 연결하며 구속수사 당위성을 강조하는 담론전략을 편 반면, 보수언론들은 불구속 수사 필요성을 역설하는 담론을 형성시켰다. 본 연구는 비판적 담론분석의 틀을 이용하여 헌정 사상 초유의 대통령 탄핵사건과 관련해 국가적 위기의 대혼란 상황에서 나타난 언론의 뉴스담론 메커니즘을 규명해 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또한 비판적 담론분석의 방법론적 측면에서, 탄핵사건 관련 뉴스기사의 ‘텍스트 분석’에서부터, 담론의 생성 및 변화 흐름을 탐색하기 위해 홀(Hall)의 접합이론을 접목시켜 분석틀을 마련한 ‘담론적 실천’ 분석, 그리고 텍스트가 담론적 실천을 통해 헤게모니를 어떻게 재구성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설정한 ‘사회문화적 실천’ 분석 등을 통해 여러 의미있는 성과들이 도출된 것도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비판적 담론분석의 방법론을 체계화시키고, 담론이론을 정립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features of media discourse about the rul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that formally impeached the incumbent president on March 10, 2017, a first in the nation’s history. Articles on the first page, editorials and opinion pieces of the Kyunghyang Shinmun, Donga Ilbo, Chosun Ilbo, Jungang Ilbo and Hankyoreh were analyzed in the frame of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n the development and features of discourse about the presidential impeachment showed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discourse over time and by individual news paper company. “Suspicion/responsibility of the president”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topic in the news discourse. “Close allies’ corruption”, “secret commander’s influence on governmental decisions”, “discord, confrontation”, “impeachment”, “responsibilities of conglomerate and chaebol”, “normalization of state affairs” and “candlelight vigil and declaration on the deplorable state of affairs” followed. “Suspicion/responsibility of the president” and “responsibilities of conglomerate and chaebol” frequently appeared in the progressive news paper while “discord, confrontation” repeatedly appeared in the conservative news paper.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text composition of the discourse about the impeachment, “masterminding governmental policy and decision making by the president’s confidant, Choi Soon-sil”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topic. “President’s awareness of the reality and responsibilities”, “suspicion raised concerning president’s close allies”, “impeachment ruling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Chung Yoon-hoi’s dossier” and “candlelight vigil” followed. When examined by the passage of time, at the first phase, “Chung Yoon-hoi’s dossier”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key word. “Masterminding governmental policy and decision making by Choi Soon-sil”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one and “president’s awareness of the reality and responsibilities” and “candlelight vigil” followed during the second phase. “Impeachment ruling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one at the third phase and “imprisonment of the president” was frequently used at the fourth phase. Discourse text analysis was made on the allegation of the masterminding governmental policy and decision making by Chung Yoon-hoi in 2014 and by Choi Soon-sil” in 2016 in the frame of the binary opposition. In the Chung Yoon-hui’s case, the discourse about “secret commander’s influence on governmental decisions” conflicted with the “gossip” discourse in the parameter of “Chung Yoon-hoi’s dossier.” The progressive newspapers defined the case as the “criminal influence on governmental decision by civilians” and stressed the president’s responsibilities and asked for strong punishment. Meanwhile, Chosun Ilbo, one of the conservative newspapers, highlighted the “leaking of the confidential document” as a criminal act. On the contrary, both of the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newspapers criticized Choi Soon-sil’s influence on governmental decisions. The discourse about the president’s fault for Choi’s acts was extensively spread. Third, changes of the discourse were examined within the theory of articulation to see how the discourse about the presidential impeachment was restructured into the discourse practice. Results show that the case of the “Chung Yoon-hoi’s dossier” in November, 2014 had two main discourses: “secret commander’s influence on governmental decisions” and “gossip.” The discourse about the “secret commander’s influence on governmental decisions” articulated with the “president’s close three allies” and “intervention in state affairs.” Meanwhile, the “gossip discourse” tried to turn readers’ attention to the leaking of the confidential document, not to the improper influence on governmental affairs by articulating with the “leaking of the confidential document” and “prosecution-led investigation.” Regarding the intervention in the personnel affairs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two major discourses about the “personnel affairs gate scandal“ and the ”deep-rooted bad practices in sports circle“ articulated with discourse factors to fortify logicality. And regarding the allegation against the Mir, K-Sports Foundation, the discourse about the “Choi Soon-sil gate” and the “voluntary funding by conglomerates” conflicted. Fourth, the discourse competition structure surrounding the presidential impeachment related issues and differences in partisanship were analyzed. The statements of the three rounds of apologies about Choi Soon-sil’s wrong influence on governmental decisions released by the president brought a reverse effect amid controversy over the truth of the statement. Regarding the plans to normalize the state affairs, differences in discourse strategies by partisanship were observed. The progressive newspapers consistently urged the presidential impeachment. Meanwhile, the conservative newspapers constantly changed their discourse strategies from “fence-sitting president”, “switching to acting president system”, and “orderly resignation” to “impeachment, inevitable.” Regarding the controversy over the secret seven-hour meeting after the sinking of Sewol Ferry, the progressive newspapers wrote that the president failed to perform her duties even if she was in the presidential residence on the day the ferry sank. Meanwhile, the conservative Chosun Ilbo argued that the progressive newspapers imprudently cast doubts on the president. Regarding the issues related to the hearings of conglomerate leaders and the prosecution investigation, the overall tone of a newspaper differs based on partisanship. Regarding the hearings and prosecution investigation of heads of conglomerates who were involved in the illegal funding, most of the conservative newspapers strongly defended the conglomerates arguing that they were “victims” and discoursing “economic crisis.” Meanwhile, the progressive newspapers urged reformation of the conglomerates saying the funding was a part of a back-scratching alliance of government and businesses. In the discourse about the impeachment ruling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both of the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newspapers used “acceptance frame.” However, the two sides disagreed on the timing of summons of the president for investigation by the prosecution. While the progressive newspapers emphasized that custody investigation of the president was justified, the conservative newspapers stressed that the presidential investigation should be made without deten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the mechanism of news discourses about the unprecedented presidential impeachment in the constitutional history was revealed in the frame of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t is also significant that various methodological attempts for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ere made to produce meaningful results. Result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codification of methodology of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d development of discourse theory.

      • 전교조 주요 교육담론의 형성 및 발전과정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최상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3342

        본 연구의 대상은 비공식적 행위자이면서도 정부의 법적인 교섭당사자이자 이익집단으로 행위해 온 전교조이다. 특히 Fairclough가 제시한 비판적 담론분석의 분석틀을 활용하여 1989년 출범 시기부터 2010년 전국동시지방선거 전까지 전교조 주요 담론의 형성과 발전, 경쟁 과정의 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전교조의 텍스트적 차원의 실천과 담론적 차원의 실천이 어떻게 실제 사회문화적 실천으로 연결되는지 그 과정과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전교조의 교육담론의 구성요소를 ‘교육의 민주적 통제’와 ‘민주주의를 위한 교육’, ‘교육기회의 민주적 배분’으로 개념화 하였다. 이후 전교조에서 발간한 기관지, 백서, 단행본 등 다양한 자료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세부 담론을 설정하였다. 세부 담론은 교육의 민주적 통제와 관련하여 ‘교육자치 담론’, ‘학교자치 담론’, 민주주의를 위한 교육과 관련하여 ‘참교육 담론’, 교육기회의 민주적 배분과 관련하여서는 ‘교육공공성 담론’과 ‘교육복지 담론’으로 구체화 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교조의 주요 교육담론은 정치·사회적 배경과 어떤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형성되었고, 발전하였는가? 둘째, 전교조의 주요 교육담론이 형성·발전하는 과정에서 각 담론들은 서로 어떻게 접합되었고 어떠한 대항담론과의 담론경쟁을 수행하였는가? 셋째, 전교조 주요 교육 담론 간 접합과 대항담론 간의 담론경쟁 결과를 어떠한 사회문화적 실천으로 연결하였고 그 결과는 어떠하였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담론분석의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비판적 담론분석은 담론을 언어를 발화한 주체가 나름의 의미와 질서를 부여한 언어로 상정하고 담론의 형성과정은 의미 있는 진술들이 단순하게 배열되는 과정이 아니라, 주변을 둘러싼 힘들이 언어를 둘러싸고 서로 끌며 배척하는 가운데 의미가 형성되는 과정으로 본다. 비판적 담론분석은 담론분석을 대화 그 자체 혹은 언어 그 자체의 분석이 아니라 인종차별, 계급·성적 차별 등과 같이 일상적인 담화나 언어에 내재된 권력, 지배, 차별, 통제 등의 명백하게 드러나지 않는 은폐된 구조적 관계성이나 지배·종속관계, 권력현상에 대한 비판적 분석의 의미로 활용하는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다.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의 틀은 언어적 속성 분석을 중심으로 하는 텍스트 차원, 텍스트의 생산·분배·소비 과정에 관련된 담론적 실천 차원, 텍스트 담론에 작용하는 상황적, 제도적,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사회문화적 실천 차원 등 3가지 층위로 구성되어 이른바 3차원 모델이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3차원 모델을 통하여 텍스트와 담론적 실천, 사회문화적 실천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은 단순히 담론에 사용되는 텍스트를 살펴보는 차원을 넘어 담론의 생성과정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연결하는 통합적인 분석이라 할 수 있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육자치 담론과 관련하여 지방교육자치제도의 시행과 함께 교육민주화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의 민주적 통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담론을 바탕으로 하여 교육자치법의 개정 및 교육감 및 교육위원의 직선제 문제가 핵심적인 쟁점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전교조는 일반행정과의 관계에서 교육의 자주성과 전문성을 보장하기 위한 주민직선제가 필요하다는 주장에 공감하면서도 민주성 확보를 위한 직선제 도입을 더욱 강조하였다. 또한, 교육자치 담론이 ‘상급 교육행정’과 관련한 논의만 이어나가고 있음을 주장하면서 ‘하급 교육행정’ 중심의 ‘학교자치’ 담론을 접합시키고자 하였다. 특히 학교자치와 관련하여서는 교장의 임용제도를 개선하고자 하여 교장임기제와 교장공모제라는 제도 개선을 이끌어내기도 하였다. 교육감을 직선으로 선출하는 지방교육자치법이 통과된 이후 전교조는 교육감 선거를 교육을 넘어 정권에 대한 비판담론의 장으로 적극 활용하고자 하였다. 교육공공성 담론과 관련하여서는 신자유주의적 담론 확장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담론이 형성되고 발전하였다. 신자유주의 도입 초기 민주화 운동 이후 강화된 노동 운동 중심의 담론과 민족주의적 담론을 중심으로 대응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신자유주의가 심화되면서 사회적으로 양극화가 심화되고 교육양극화 문제가 대두되자 경제적 담론으로 대항담론을 구성하여 대응하였다. 이는 특히 자율형 사립고를 둘러싼 담론경쟁을 통해 그 양상이 전개되었고 지배적 지위에 올라가게 된다. 또한, 심화되는 교육양극화의 문제는 교육복지 담론을 태동시켰고 보편적 복지로서의 무상급식 담론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민주화 시기를 거치면서 민주노총의 탄생으로 대표되는 변혁적 노동운동 중심의 담론은 전교조의 담론전략에도 영향을 미쳤고 참교육을 중심으로 한 교육 중심 담론의 약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흐름은 2000년대 들어 학교붕괴 담론과 대안학교 담론과의 접합을 통하여 혁신학교 담론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전교조의 주요 교육담론은 자율형사립고 담론경쟁 과정에서 대표적인 반신자유주의적 교육담론으로서의 지위를 확보함과 동시에 보편적 복지로서의 무상급식 담론과 공교육 체제의 대안 개념으로서의 혁신학교 담론으로 발전하면서 2010년 직선제 도입 이후 최초로 치러진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6명의 진보교육감을 탄생시키는 결과로 이어지게 되었다.

      • 서울시 교육청 학생인권종합계획 관련 청소년 성소수자 논의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Judith Butler의 젠더 및 주체화 이론을 중심으로

        강윤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27

        본 연구는 서울시 교육청 제 2기 학생인권종합계획과 관련하여 한국 사회 내부에 형성되고 있는 청소년 성소수자에 관한 담론의 질서를 Judith Butler의 젠더 및 주체화 이론을 중심으로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의 방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성소수자 학생의 권리 보호를 명시한 최초의 사례인 서울시 교육청 제 2기 학생인권종합계획을 중심으로 생산된 담론들은 표면적으로 매우 다른 성격을 띠는 듯 보이나 섹스, 젠더, 주체, 권력, 규범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서로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 또한 교육 외부의 사회문화적 구조 및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더욱 거시적인 질서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여러 담론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의미의 망을 이성애 규범성을 비판하는 젠더 이론가인 Butler의 젠더 및 주체화 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사회의 청소년 성소수자 담론의 질서는 이성애 규범성의 효과로 이해될 수 있었다. Butler의 젠더 이론의 관점에서, 인간의 성을 양성의 구분을 토대로 생물학적 섹스에 기반한 섹스-젠더-섹슈얼리티의 논리적 인과성으로 설명하는 성 본질주의 담론과 이러한 도식의 절대성을 부정하고 도식 외부의 젠더 주체를 인정하는 성 다원주의 담론들이 대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성애적 규범을 자연성으로써의 성의 본질적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바람직한 규범으로 인식하며 이성애 이외의 섹슈얼리티를 비규범적 행위로 여기는 담론과 이성애 규범을 사회문화적 구성물로 이해하며 이성애 이외의 섹슈얼리티를 강제적 규범의 불가피한 결과물로 재현하는 담론이 충돌하고 있었다. 주체와 관련해서는, 청소년 성소수자 젠더 주체를 이성애 규범이라는 바람직한 질서에서 벗어난 규범의 이탈자로 규정하고 이들을 다시 정상적이고 올바른 규범 내부로 복귀시켜야 할 존재로 인식하는 담론과 이성애 규범을 권력의 효과 혹은 문화적 구성물로 규정하며 청소년 젠더 주체를 강제적 규범성의 희생자로 묘사하는 담론이 대립하고 있다. 담론간의 차별성과는 별개로 한국사회의 청소년 성소수자 담론 질서 내부에서 청소년 성소수자 주체는 일방적으로 대상화되거나 단편적으로 재현되는 존재이다. 그러나 이러한 담론의 특성과 달리 실제적으로 청소년 성소수자 주체들은 그들의 정체성과 삶을 통해 이성애 규범성이라는 권력의 효과에 직접적으로 균열을 일으키는 저항과 재의미화의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주체이다. 교육의 장 내부에서 형성되어 있는 담론의 질서는 교육 외부의 사회문화적 구조와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제 2기 학생인권종합계획 관련 청소년 성소수자 담론의 질서의 경우 차별금지법에 대한 한국사회의 논의 그리고 정치적 질서로서의 보수진영과 진보진영의 대립이라는 사회구조와 변증법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더욱 거시적인 질서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파악한 한국 사회 내부의 청소년 성소수자 담론의 질서는 크게 세 가지 논의점을 드러내고 있다. 첫째, 학생인권종합계획 비판 담론은 많은 부분 혐오 담론으로서의 특성을 지니며 공론장 내부의 윤리적 기준의 마련이 미흡하다는 점, 둘째, 청소년 성소수자들 간의 섹슈얼리티의 차이에 따른 다원적이고 개별화된 논의가 전무하다는 점, 마지막으로 청소년 성소수자 권리 보호를 지지하는 담론 내부에서도 여전히 성소수자와 비성소수자에 대한 이분법적 구분에 따라 담론이 생산되고 전개된다는 점이 한계점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함으로서 한국 사회는 성정체성의 구분을 뛰어 넘어 진정으로 모든 청소년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교육의 장을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 한국 스포츠 미디어 담론구조의 변화 : 비판적 담론 분석

        김창금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3327

        이 연구는 1945년부터 2019년까지 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3개 신문사의 스포츠 사설을 비판적 담론분석(CDA) 방법으로 조명한 것이다. 먼저 전체 1182개의 사설을 내용분석한 뒤 민족주의, 스포츠 정신, 개혁주의, 남북 이데올로기 등 네 개의 대범주(담론)를 도출했고, 각 범주를 대표하는 22개 사설에 대해 Fairclough의 텍스트 분석, 담론 실천, 사회문화적 실천의 3가지 차원의 모델을 적용해, 사설에 내재한 담론의 통시적 변화 추이와 공시적 특성을 ‘언어는 순수하지도, 중립적이지도 않다’는 이데올로기 비판의 시각으로 규명하였다. 통시적 분석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사설을 대상으로 했는데 첫째, 민족주의는 시기별로 왜소 콤플렉스, 개인 성취의 국가 전유, 개인 성취의 개인 귀속, 개방적 민족주의 등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해왔지만, 여전히 집단주의 가치를 수반하는 가장 강력한 스포츠 담론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스포츠 정신은 초기의 경기장 난동과 폭력을 비판하는 페어플레이 담론에서 80년대 올림픽 등 국제대회를 전후해 관중 매너 등 질서 담론을 강조하는 시기를 거쳐, 베팅과 승부조작 등 새로운 유형의 일탈이 등장하면서 선수 윤리를 부각하는 담론으로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셋째, 개혁주의는 체육행정, 체육조직, 학교체육, 인권, 장애인 등 다양한 하위 영역에서 제기되었으며, 이 가운데 학교체육 담론을 분석한 결과 60년대 체력은 국력이라는 표현이 2000년대 체력은 경쟁력으로 달라졌을 뿐 체육을 수단적 가치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하다가 2011년 학교체육진흥법 제정을 전후해 체육의 본질적 가치를 성찰하는 쪽으로 패러다임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넷째, 남북 이데올로기는 88 올림픽 이전까지 적대적 대립, 이후 2000년 시드니올림픽 때 남북 선수단 공동입장을 정점으로 한 대립의 지양 시기를 거쳐, 최근에는 미디어 상업주의 강화, 남북 스포츠 교류에 대한 국가 헤게모니의 약화 속에서 과거 교류의 당위성에서 벗어나 선수나 선수단의 이해를 중시하는 쪽으로 담론의 중심이 이동하는 모습을 보였다. 공시적 분석에서는 한겨레신문 사설 한 개와 동 시점에서 똑같은 주제를 다룬 동아‧조선일보 사설 가운데 한 개를 일대일로 대응해 담론 유형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첫째, 2011년 이뤄진 평창올림픽 유치 확정을 둘러싼 민족주의에서는 한겨레신문이 분단극복과 평화 등 정치 담론을, 조선일보가 올림픽 계기를 활용한 경제 담론을 펴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2018년 정현의 호주오픈테니스 4강 진출을 다룬 스포츠 정신에서는 한겨레신문과 동아일보 모두 개인의 성취, 공정한 경쟁과 규범의 보편적 가치, 스포츠 성과의 집단적 효과 등에서 일치된 관점을 보여주었다. 셋째, 프로야구 선수협 구성을 둘러싼 개혁주의에서는 한겨레신문이 계급담론과 갈등론적 입장에서, 조선일보가 점진적 개혁과 계급 화해의 시각으로 선수 노조를 바라보는 등 차이를 드러냈다. 넷째, 2019 축구 월드컵 아시아예선 평양경기 생중계 불방과 관련한 남북 이데올로기에서는 한겨레신문과 조선일보 모두 북한의 국제 규범 위배를 비판하고 있다. 하지만 한겨레신문이 민족화해라는 큰 틀 속에서 북한을 바라보는 것과 달리 조선일보는 노골적인 반북주의 태도를 드러냈다. 통시적 분석 대상인 14개 사설의 어휘 분석표를 보면 집단적 정체성 단어가 189개로 개인적 정체성 단어 66개를 압도했다. 1945년부터 1980년까지 1시기, 1981년부터 2000년까지 2시기, 2000년 이후 3시기로 나눠보면, 1시기 80개 대 20개, 2시기 36개 대 17개, 3시기 73개 대 29개로 최근까지도 집단주의 코드가 개인주의 코드의 두 배를 차지했다. 이는 한국 현대 스포츠에 대한 미디어 담론이 집단주의적 가치에 기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and to what extent the media has influenced the current sports landscape of Korea by analyzing the sports-related editorials of three national newspapers - the Dong-a Ilbo, the Chosun Ilbo and the Hankyoreh newspaper - from 1945 to 2019 with the analyzing tool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by Norman Fairclough in the perspective that language is not innocent nor neutral.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collected 1182 editorials revealed that four big discourses such as nationalism, sports spirit, reformism and inter -Korean ideology have apparently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current sports in Korea. All the editorials were categorized into four discours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 contents, and then twenty two editorials were finally selected for analysis based on either diachronic or synchronic models. The diachronic CDA was designed to find out long-term changes of discourse patterns. For this analysis, fourteen editorials were used with three to five editorials assigned to the four discourse categories respectively. First, the diachronic analysis of nationalism indicated that there were inferiority feelings to the big western powers when describing athletic achievements and that there was also a tendency to regard athletes’ victories as national honor in the first segment of time division. However, it changed in the second time segment. Editorials started to put athletes’ achievements in the fore-ground more than before, leading to the full appreciation of athletes’ commitments in the third time segment. Recently we can even see editorials stressing nationalism-free attitudes even though sports nationalism is still prevalent in Korea. Second, the diachronic analysis of sports spirit showed that the main issue in the first time period was the request for fair play of players who were often involved in a stadium fracas with fights and violence. Then, in the 1980s, it changed to stress spectators’ etiquette and civil manners in the stadium in the coming of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Since the emergence of new types of illegal activity like match-fixing or doping. in the 2000s, editorials have been obviously emphasizing the rigid morality of individual athletes. Third, for the diachronic analysis of reformism, there were so many sub-areas ranging from mismanagement and inter-conflicts within sports organizations including the Korean Olympic Committee to physical education issues, human rights abuse and handicap sports. However, this research focused solely on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as the main theme for the analysis of reformism. Conclusively, physical education for students has been focused on the basic notion that physical power is national power and it went further justified by emphasizing physical fitness of students for being competitive enough against western students in the neo-liberalism era which has shown no change from the previous view of physical education as a means of promotion of national competence. However, since the enactment of law which obliged schools to boost sports club activities for students in 2012, focus has been shifting to the original value of physical education, that is, enjoying the sports itself. Fourth, the diachronic analysis of the inter-Korean ideology revealed that, there was a long hostile confront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until the 88 Olympics. After that, the inter cooperation and harmony came to a climax when the South and North Korean athletes made their joint entry in the opening ceremony of 2000 Sydney Olympics. Unfortunately, it did’nt last long. With media commercialism strengthened while the government hegemony on inter-Korean sports exchange recently weakened, far diverse voices have been raised on inter-Korean sports issues. For instance, public opinion was divided when South and North Korea tried to form a unified women’s ice hockey team in the PyeongChang Olympics, which was quite a different picture than before. The synchronic analysis was designed to study the same subject in the same period. For the analysis of the four discourse types, this research compared one of the Hankyoreh editorials with one of the Dong-a or the Chosun Ilbo editorials one to one. First, in the nationalism analysis, surrounding the IOC decision in 2011 to hold the 2018 Pyeongchang Olympics in Korea, the Hankyoreh newspaper welcomed it as a good chance to promote inter-Korean peace and cooperation, while the Chosun Ilbo embraced it as an economic stimulus by maximizing the Olympic momentum. Second, in the sports spirit analysis, concerning the young star player Junghyun's progress into the semifinals of the Australian Open Tennis in 2018, both the Hankyoreh newspaper and the Dong-A Ilbo showed no difference with a consistent credit on individual achievement, fair play and universal values of sports norms, and collective effects of sports performance on ordinary people. Third, in the reformism analysis, surrounding the attempt to form the professional baseball players’ union, the Hankyoreh newspaper fully supported the players’ movement from the viewpoint of class conflict between workers and capitalists, while the Chosun Ilbo requested players involved in the conflict to cooperate with the owners of teams on the gradual reform base. Fourth, in the inter-Korean ideology analysis, both the Hankyoreh newspaper and the Chosun Ilbo criticize North Korea's violation of international norms for not having a live broadcast of the 2019 World Cup Asian Preliminary Pyeongyang match. However, unlike the Hankyoreh newspaper, which looked at North Korea within a large framework of national reconciliation, the Chosun Ilbo revealed a blatant anti-North Korean attitude. Looking at the lexical table of each of all 14 editorials which are the subjects of diachronic CDA analysis, the number of the words labeled as showing collective identity was 189, overwhelming the 66 personal identity words. Dividing them into three periods, in the first period(1945-1980) there were 80 collective identity words to 20 personal identity words, changing to 36 to 17 in the second period(1981-2000), followed by 73 to 29 in the third period(after 2000), which testifies that the collectivism code words accounted for twice as many as the individualism code words. It means until recently, media discourse on sports is yet being made considerably on collectivist values. Key words: discourse, sports, media, critical discourse analysi

      • 비판적담론분석을 통한 기록관리전략 연구 : 5·18 담론의 기록왜곡사례를 중심으로

        이진룡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327

        2011년 5월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는 5·18이 시민운동으로서의 가치를 가진 역사임을 전 세계에 알리게 된 사례라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국제적 인정에도 불구하고 5·18에 대한 그릇된 편견과 입장으로 이를 부정하는 기록물은 무시할 수 없을 만큼 도처에 널려 있다. 그들은 자신의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기록물을 왜곡하면서까지 담론을 형성하고 있었다. 자신의 담론을 정당화시키기 위한 기록물의 활용, 그리고 그에 대한 해석의 다양성은 존중받을 수 있다. 하지만 기록을 왜곡하면서까지 자신의 주장을 강화한다면, 이는 비난받아 마땅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인식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고 있는 5·18 담론을 대상으로 그들이 어떻게 이데올로기를 형성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담론별로 제시된 기록물의 왜곡 가능성과 이에 대응하기 위한 아키비스트의 입장 및 역할을 제고해보는 것으로 주제를 설정하였다. 기존에 5·18과 관련한 담론분석 연구는 주로 언론·정치학 분야에서 시행되었을 뿐, 아직 기록학 분야에서는 시행된 적이 없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 발견된 한계를 살펴보면, 왜곡 담론 대응에 사용되는 기록 역시 검증되지 않은 사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하였는데, 이는 기록학 분야에서의 담론분석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결국, 본 연구는 5·18을 두고 전개되었던 담론의 어느 쪽이 옳고 그르다는 결론을 내리는 것이 아닌, 그들의 주장이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되고 표출되었으며, 사용하고 있는 증거 기록물의 활용실태 파악과 이에 대한 아키비스트의 입장을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또한, 궁극적으로 비판적 담론분석을 통해 5·18 담론을 형성하고 있는 집단이 제시하는 기록 활용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진실된 기록을 토대로 담론 형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아키비스트에게 기록관리 전략을 제안하는 것으로 의의를 두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아키비스트가 기존에 시행 중인 왜곡 대응에 보다 체계적인 전략을 제시함과 동시에, 아직 왜곡 담론에 휩쓸리지 않은 학생 등을 위주로 이들에게 진실된 기록을 토대로 한 담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제 더 이상 아키비스트는 한정된 기록관에서의 정보를 제공하는 소극적 입장이 아닌, 적극적으로 5·18 담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입장이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추후 지속적으로 연구될 기록 왜곡 대응 전략 분석에 본 연구가 가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In May 2011, the ‘5·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Records’ were registered as the UNESCO Memory of the World. This was the great moment telling the world that the 5·18 movement is a valuable and historic asset as civil movement. However, despite international recognition, those records in denial of this are rampant, all due to misdirected standings and prejudices. These sources are developing discourses even by distorting the records to justify what they maintain. Application of records to justify one's own discourse and diversity in interpretation shall be respected. However, strengthening such a maintenance by distorting the records deserves condemnation. Accordingly, the study aimed to identify how these sources form ideologies surrounding the 5·18 movement discourses that are characteristic of extreme social standings. It explored the possibility of distortion of records presented for each discourse and reconsider the archivist's positions and roles to cope with such a possibility. Existing studies and analyses on the 5·18 movement can be found in the areas of journalism and political science and there has been no such attempt in the area of archival science. However, based on the limits found in the existing studies, records applied to respond to distortions were dependent on unverified historic materials. This means that there is the need to study discourse analysis in the area of archival scienc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to explore how the maintenances were established and presented, identify the status of use of evidential records in use and examine the positions of archivists rather than concluding which discourse is right or wrong. Also, it is meaningful as it identifies the issues pertaining to application of the records presented by the groups establishing the 5·18 discourses through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d suggests archiving strategies to archivists who wish to develop discourses based on true and accurate records. Finally, the author aims to suggest a more systemic strategy to advance the existing responses against the distortions and provide discourses mainly to students who have not yet been introduced to such distorted discourses based on true and accurate records. In the future, archivists shall try to develop positive awareness about the 5·18 discourses rather than maintaining passive positions providing information from limited archives. In this way, this study is expected to advance future analyses to effectively fight distortion of records.

      • 국내 언론사의 인공지능 뉴스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 <조선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을 중심으로

        이보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3326

        본 연구는 푸코와 페쇠의 유물론적 담론이론을 중심으로 국내 언론사가 보도하는 인공지능 관련 뉴스담론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담론 이론으로서 푸코의 물질성과 페쇠의 적대성 사유를 토대로 페어클러프의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조선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의 사설에 나타난 인공지능 뉴스담론의 언어적 규칙성과 담론적 실천, 사회문화적 실천의 함의를 탐구하였다. 먼저, 각 언론사 뉴스담론의 텍스트 차원에서 나타난 언어의 규칙성을 선구성 기제와 절합 기제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선구성 기제를 통해 인공지능 기술 경쟁에서 한국이 뒤처져 있음을 강조하였다. <조선일보>는 절합 기제를 사용하여 정부의 산업 규제 완화와 노동 개혁을 요구하였고, <중앙일보>는 절합 기제를 통해 교육과 문화 영역 전반에 걸친 총체적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반면, <경향신문>은 절합 기제와 선구성 기제를 사용하여 인공지능 기술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인공지능을 인간의 도구 역할에 제한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한편, 각 언론사의 사설에 나타난 담론적 실천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면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인공지능 기술의 긍정적 가능성과 국가 간 기술 경쟁을 강조하며, 정부의 산업 규제 완화와 인공지능 기술 개발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주장한다. 그러나 <경향신문>은 인공지능 기술의 위험성을 윤리적, 사회적 측면에서 강조하며, 인공지능 기술의 부작용에 대한 대비와 윤리적 접근의 필요성을 지적한다. 특히, 인공지능이 촉발할 수 있는 일자리 소멸과 소득 격차 문제에 대해 기본소득 정책과 같은 대안을 제시하고, 플랫폼 노동 이슈에 대한 관심을 촉구한다. 마지막으로 사설과 함께 칼럼, 기획기사를 검토하여 인공지능 이슈에 대한 언론사별 사회문화적 실천을 살펴보았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규제 완화에 중점을 두고, 정부의 노동 및 경제 정책 실패를 강조하며 노동시장 유연화 및 신산업 규제 개혁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이들은 정부의 지능정보기술 투자 확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정부의 직접적 관여에 대한 우려와 네거티브 규제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경향신문>은 인공지능의 편익과 위협을 동시에 지적하며, 기본소득 및 로봇세 도입과 같은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루다 사태를 통해 인공지능의 편향성 문제를 지적하며, 인공지능 서비스의 설계와 검증 과정에 대한 철저한 검토와 윤리 교육의 확대를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이념 성향의 언론사 사설을 바탕으로 텍스트의 규칙성 그리고 담론적 실천과 사회문화적 실천 층위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언론사별로 서로 다른 정치, 경제적 입장을 토대로 인공지능 이슈에 대한 상이한 실천 방안과 윤리적 대안을 제시하였음을 발견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news discourse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AI) reported by domestic news media, focusing on the materialist theory of discourse of Foucault and Pêcheux. To this end, the study applie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Fairclough based on Foucault's materialist reasoning and Pêcheux's hostile reasoning to examine the implication of the linguistic regularity, discursive practice, and sociocultural practice of AI news discourse presented in the “Chosun Ilbo”, “JoongAng Ilbo” and “Kyunghyang Shinmun”. First, the study examines the linguistic regularity shown in the text of news discourse in each news media, focusing on the preconfigured mechanism and articulation mechanisms. “Chosun Ilbo” and “JoongAng Ilbo” emphasizes that Korea falls behind in terms of technology competition through the preconfigured mechanism. “Chosun Ilbo” demands industry deregulation and labor reform of the government using articulation mechanisms. "JoongAng Ilbo" emphasizes that overall effort is necessary across education and general cultural areas through articulation mechanisms. On the other hand, "Kyunghyang Shinmun" emphasizes the risk of AI technology using articulation and preconfigured mechanisms. It claims that AI should be limited to the role of human tools. Meanwhile, in the specific aspect of discursive practice presented in the editorial of each news media, Chosun Ilbo" and "JoongAng Ilbo" emphasize the positive possibility of AI technology and technological competition between countries. They claim the industry deregulation of the government and active participation in AI technology development. However, "Kyunghyang Shinmun" emphasizes the risk of AI technology from ethical and social aspects. It comments on the necessity of preparation for the negativ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ethical approach. It calls for concerns about platform labor issues and presents alternatives like basic income policy in response to the problem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 trigger, such as job loss and income gap issues. Lastly, the study reviews the columns, featured articles, and editorials to examine sociocultural practices per news media on the AI issue. "Chosun Ilbo" and "JoongAng Ilbo" focus on deregulation and emphasize the failure of the government's labor and economic policies. They argue the importance of labor market flexibility and new industry regulatory reform. Despite their positive evaluation of the expansion of government investment in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they raise concerns about direct government involvement and the necessity of negative regulation. Pointing out both the benefits and threats of AI, "Kyunghyang Shinmun" suggests alternatives such as basic income and implementation of robot tax. The controversial AI Chatbot, "LEE LUDA" points out the bias of AI and asserts the expansion of the thorough examination and ethical education for AI service design and verification process. This study comprehensively reviews the text regularity, level of discursive practice, and sociocultural practice based on the news media editorials of diverse ideologies.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dentified that each news media presents different action plans and ethical alternatives on AI issues based on their distinctive political and economic po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