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동 차선 변경 시스템의 측후방 차량 충돌 위험도 판단

        이지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자동 차선 변경 시스템에서 협조 여부 판단 개념을 적용하여 측 후방 영역의 상대 차량에 대한 충돌 위험도 판단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충돌 위험도 판단 방법에서 상대 거리, 속도, 가속도 정보를 예측하여 상대 가속도를 추정하기 위해 칼만 필터를 설계했다. 등가속도 모델 기반의 충돌 안전 거리에 대한 상대 거리의 비율로 충돌 위험도 판단 인덱스를 개발했고 안전 조건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충돌 위험도 판단 알고리즘은 등가속도 모델에서 충돌 위험이 예측될 때, 상대 차량 운전자의 협조/비협조를 판단하여 협조적인 경우 미리 차선 변경을 시작하여 원활한 차선 변경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을 실제 차량에 적용 시, 도시와 같이 복잡한 교통 상황에서도 원활하고 빠르게 차선 변경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안된 방법은 차량 동역학 S/W인 CarSim과 MATLAB/Simulink를 통한 모의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We develop a predictive risk assessment for side crash using a cooperation concept in LXS. The predictive risk assessment is determined on the assessment of a situation whether object vehicles are cooperative or not. In the proposed method, Kalman filter is designed to estimate the relative longitudinal acceleration and to predict the relative longitudinal position, velocity, and acceleration. In this paper, we index object vehicles with cooperative or non-cooperative drivers based on their relative acceleration and collision-free time. We also introduce an index for risk assessment considering relative distance and a distance for safety margin. The proposed method enables lane change earlier even though there is collision risk expected at the moment of starting lane change. Thus the proposed method can reduce the execution time for lane change by earlier starting to move the ego vehicle near to the target lane without waiting until collision risk is cleared. The proposed method is validated via computational simulation results with CarSim and MATLAB/Simulink.

      •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이 창업교육의 만족도와 창업역량,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이지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창업이 경제 발전 및 청년실업, 일자리 창출의 대안으로 부각되면서 그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창업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여러 제도 및 지원 사업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창업의 성공률은 매우 낮다. 우리나라의 신규사업체 10곳 중 7곳이 5년 안에 폐업을 하며 신생업체의 55% 안팎은 3년을 버티지 못하고 있다. 창업에 성공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과 준비가 필요하며 무엇보다 창업자의 역량이 뛰어나야 한다. 이러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창업교육이 대두되고 있지만, 국내 창업교육의 역사가 짧아 체계적인 창업교육의 콘텐츠와 프로그램, 전문성을 가진 강사, 교육인프라 등이 부족하고 단순한 지식전달에 의한 강의 방식이 창업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창업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행위에 의한 학습(Learning by Doing), 사업게임(Business game), 역할 수행 학습(role laying), 시뮬레이션 등의 체험과 실습위주의 창업교육이 제안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험과 실습기반의 경영 교육 콘텐츠인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을 활용하여 창업교육을 진행하고,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이 창업교육의 만족도와 창업역량,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을 활용하여 창업교육을 진행한 I 대학교(2013년도 1학기), S 대학교(2013년 7월 22일 ~ 26일), H 대학교(2013년 8월 17일 ~ 9월 14일)에서 교육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04부의 설문을 회수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의 교육환경, 콘텐츠 특성, 강사의 능력, 교육생의 참여도는 창업교육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의 교육환경, 강사의 능력, 교육생의 지식수준, 콘텐츠의 특성이 창업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의 교육환경, 콘텐츠 특성, 교육생의 지식수준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창업교육에서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의 활용방안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을 활용한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향후 창업교육에서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의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판단되며, 창업교육의 질 역시 향상 될 것이라 예상된다.

      • 학생선수의 대학생활 및 진로의사결정 과정 탐구

        이지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생선수들이 겪고 있는 다양한 문제점의 원인과 더불어 해결 방안을 찾고자 하는 노력에서 기인하였다. 현재 학생선수들이 겪는 문제점은 대표적으로 학업 결손으로 인한 학습능력 저하, 선수와 학생 사이에서 정체성 혼란, 수업불참으로 인한 교우관계 단절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은 특히 그들의 진로의사결정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한다. 문제점 해결을 위해 투입되었던 지난날 방법들의 효과성에 대해서는 주로 회의적인 반응들이 주를 이루었다. 특히 학생선수의 진로와 관련해서 각 시기별 수행해야 할 진로발달과업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연령을 고려하지 않는 획일화된 진로교육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그들의 진로의사결정에 긍정적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했다. 이에 학생선수들이 겪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찾는 것이 선결과제라는 여론이 조성되었으며, 학생선수들의 삶에 초점을 맞춰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려고 하는 것이 현재 학생선수의 진로 문제 해결을 위한 주된 기조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생선수의 삶과 그들의 학교생활 경험의 탐색을 통해 향후 학생선수들이 당면한 문제점의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진행되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의 경험과 내면을 깊이 있게 들여다볼 수 있는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선택하여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다. 이에 연구 참여자 총 5인을 섭외하였으며, 약 37개월에 걸친 장기간의 자료 수집을 통해 구체적인 자료 획득에 성공했다. 더불어 연구 참여자들의 인터뷰와 문서 수집 및 문헌 분석을 통해 얻어진 자료는 범주화 작업 후 진실성 확보를 위한 다각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Connelly & Clandinin(2007)가 제시한 내러티브 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해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과 내러티브적 해석을 통해 총 7가지의 범주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각 범주에 따른 하위범주와 개념 또한 밝혀낼 수 있었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교 시기 학생선수로서의 경험. 해당 범주에서는 운동선수의 삶, 선수로서의 평가, 학생으로서 평가, 교우관계의 4가지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해당시기 연구 참여자들은 스스로를 학생으로서 인식하지 않았으며, 특히 학업능력 부진과 교우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는 수업불참에서 시발되는 문제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최저학력제의 도입에 따라 연구 참여자들의 학업능력, 교우관계 등에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첫 번째 진로의사결정. 고등학교 졸업 이후 대학을 선택한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를 담았으며, 해당 범주에서는 탐색기 진로발달과업, 진로의사결정 유형, 대학 선택에 영향을 준 인물 및 사건이라는 3가지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탐색기에 해당되는 중·고등학교 시기 진로교육 부재로 인해 진로발달과업을 수행할 수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 진학의 선택에 있어 특정 인물의 영향력이 절대적임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통해 진로의사결정 유형 또한 대부분 의존적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해당됨을 밝혀냈다. 셋째, 선수로서의 대학생활. 선수로서 맞이하는 대학생활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가 담겨있으며, 해당 범주에서는 선수로서의 나, 훈련 경험, 시합 경험, 해당 경험과 현재 나와의 연관성이라는 총 4가지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대학시절 선수로서 스스로를 돌아보며 연구 참여자들은 대부분 노력의 부재를 꼽으며 아쉬움을 표현했으며, 자율성이 강조된 대학훈련에서 스스로를 통제하지 못한다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음을 밝혔다. 하지만 스스로의 의지가 수반된다면, 바뀐 환경이 선수로서 성장에 큰 도움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공통적으로 주장했다. 넷째, 학생으로서의 대학생활. 학생의 입장에서 경험한 대학생활에 대한 이야기로 구성되었으며, 해당 범주에서는 대학에서의 학업 경험을 비롯한 총 5가지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의 특성에 따라 대학에서 학업성취에 차이가 있었음을 발견했으며, 그 중에서도 개인이 학업을 대하는 태도가 가장 큰 변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선수들이 일반학생들에 비해 학업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점에 대한 발견과 더불어 학생선수만의 ‘고립된 섬 문화’의 폐해가 특히 교우관계에 있어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 째, 두 번째 진로의사결정. 대학을 졸업한 후 직업선택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를 담아냈으며, 해당 범주에서는 진로교육의 경험과 직업선택 과정이라는 두 가지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대학을 졸업한 학생선수들은 과거 고등학교 졸업 시기와 비교했을 때 양질의 진로교육을 경험했음을 확인하였다. 이 중에서 대학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하는 진로특강은 학생선수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했으며, 이는 직업선택의 과정에 있어서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을 벗어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지도자를 통한 직업선택이 다수를 차지함을 발견했으며, 학생선수가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에 도달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이자 유일한 방법은 진로교육이 유일함을 연구 참여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 째, 사회인으로서의 경험. 직업선택 이후 사회인으로서의 경험이 주된 내용이며, 해당 범주에서는 현재 직업에 대한 만족도를 비롯한 4가지 하위 범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에서의 모든 경험이 현재 자신의 분야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밝혔으며, 대부분 긍정적인 측면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주장했다. 특히 대학에서 경험한 다양한 사람들과의 교우관계는 사회에서 능숙한 대인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일종의 선행학습으로 작용했으며, 학생선수라는 신분에서 오는 특수성은 타인으로부터 호감과 긍정적 시선을 받을 수 있었음을 주장했다. 반면 선수의 역할을 수행해야 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다양한 경험을 누릴 수 없던 점을 연구 참여자들은 가장 아쉬워했다. 일곱 째, 사회 진출 방법. 해당 범주는 자신의 분야로 진출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생각이 담겨 있다. 직업분야별로의 차이점이 존재하지만, 공통적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선수와 학생으로서 본연의 역할에 충실해야 함을 주장했다. 특히 사회진출 이전 경험하게 되는 대학생활을 작은 사회로 받아들이고, 다양한 경험을 통해 사회 구성원으로서 발돋움할 수 있어야 함을 주장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요자가 희망하는 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연령에 맞는 진로교육을 통해 진로발달과업을 반드시 수행해야 한다. 현재의 진로교육은 대상에 따른 교육의 정체성과 방향성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수요자로 하여금 적극적인 참여를 불러일으키지 못하고 있다. 올바른 진로의사결정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수단은 시기에 맞는 진로교육과 이를 통한 진로발달과업 수행이므로, 수요자의 연령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투입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선수의 의사결정유형의 변화를 이끌어내야 한다. 이를 위해 장기적 관점과 단기적 관점의 두 가지 방법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 관점에서는 진로교육을 통해 합리적 의사결정유형으로의 변화를 이끌어 내야하며, 단기적 관점으로는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의 배경이 되는 지도자·학부형 등의 인물들의 교육을 통해 학생선수들이 양질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셋째, 학생선수들이 학업 참여로 얻게 되는 긍정적인 영향력은 훈련시간 단축 등으로 대변되는 부정적 영향력을 상쇄할 만큼 크기 때문에, 학생선수들의 수업 참여를 적극 권장해야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학업활동을 통해 얻게 되는 지적 능력이 경기력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연구 참여자들의 주장은 수업 참여가 경기력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기존의 패러다임을 불식시킬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로 불리기 손색없다. 따라서 학생선수들의 학업 참여가 선수로서의 기량 증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설득하고, 자발적으로 학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이다. This study was conceived by an effort to identify the causes of various problems faced by student players and find solutions for them. Today student players have three major problems including lower learning abilities due to an academic loss, confusion with their identity between a player and student, and the discontinuity of peer relations due to no participation in lessons. These problems have negative impacts, especially o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There were mainly doubtful responses to the old methods introduced to solve these problems for their effectiveness. Student players have certain career development tasks for each period, but uniform career education that did not take age into consideration had no positive impact on their career decisions. Public sentiment was formed that it was first needed to identify the fundamental causes of student players' problems. Today the main keynote in the efforts to help student players address their career issues is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with a focus on their l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 consumption that it would be able to propose solutions to the problems faced by student players by closely examining their lives and experiences and considering the diverse experiences that they had. The study adopted the narrative methodology to take a deep look into the experiences and inner worlds of participants to fulfill its goals. The investigator recruited a total of five participants and succeeded in obtaining their specific data by collecting data for a long time over approximately 37 months. Data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interviews and documents and a literature analysis was categorized, analyzed at multiple angles to secure its veracity, and interpreted in the narrative interpretation method by Connelly & Clandinin(2007). Data collection and narrative interpretations resulted in a total of seven categories and their subcategories and concepts. The specific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ategory of experiences as a student player in middle and high school had four subcategories including life as an athlete, evaluation as a player, evaluation as a student, and peer relations. In middle and high school, the participants did not perceive themselves as a student and had difficulties with lower learning abilities and poor peer relations, which derived from their absence from school lessons. Since its introduction, the minimum academic achievement system had positive impacts on their learning abilities and peer relations. Second, the category of the first career decision covered the stories of the participants that chose to go to college after graduation from high school. The category included three subcategories such as career development tasks at the exploration stage, career decision-making types, and people and events that had impacts on their choice of going to college. The participants were not able to implement their career development tasks due to the absence of career education at the exploration stage in middle and high school, which means that certain people in their lives had absolute effects on their choice of going to college. Most of them thus fell under the dependent career decision-making type. Third, the category of college life as a player covered the stories of the participants about their college life as a player. This category contained four subcategories including me as a player, training experiences, game experiences, and connections between the experiences and current me. Most of the participants felt sorry that they did not make effort, looking back on their college life as a player. They knew that if they do not control themselves in college training emphasizing autonomy, they will get no results they want. A common opinion among the participants was that a changed environment accompanied by their determination would give them huge help to grow as a player. Fourth, the category of college life as a student consisted of their stories about their college life in the position of a student. The category had five subcategories including academic experiences in college. There wer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s in colle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of which personal attitude toward study was the biggest variable. The study also found structural issues that made it inevitable for student players to have academic difficulties compared with common students. The harmful consequences of the "isolated island culture" unique to student players had negative effects on their peer relations. Fifth, the category of the second career decision covered the participants' stories about their choice of occupation after graduation from college. The category included two subcategories, experiences with career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choosing an occupation. Graduating from college, the student players confirmed that they received a quality career education compared with the time when they graduated from high school. Special lectures on careers for student players in college had positive effects on them and became their driving force to move away from the dependent decision-making type in the process of choosing an occupation. A majority of student players still chose an occupation via their instructors. The participants' interviews show that career education is the most effective and the only way for student players to make a rational career decisions. Sixth, the category of experiences as a member of society mainly covered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s a member of society after choosing an occupation. The category contained four subcategories including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occupation. The participants said that all the experiences they had in college had direct impacts on their current fields and argued that their experiences worked in positive ways in most cases. They, in particular, had peer relations with diverse people in college, and their peer relations served as a kind of prior learning for them to keep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society. Their unique status as a student players earned them favorable and positive views from others according to them. The participants felt the sorriest about their relative lack of diverse experiences as they had to perform their roles as a player. And seventh, the category of methods to advance into society contained the participants' thoughts about what they would need to enter the field of their choice. The participants' common argument was that student players should play their given roles sincerely as players and students with some differences among different fields of profession. They maintained that student players should embrace college life as a little society that they would experience before advancing into society and make use of diverse experiences to leap a member of socie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vid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is critical to provide the career education that users wish to receive. Career education according to age should offer a chance for users to perform their career development tasks. Current career education has no clear identity and directionality according to users and fails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from them. The most effective means of making the right career decision is to provide care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periods and chances to perform career development tasks through education, which raises a need to introduce custom career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age of users. Secondly, it is important to bring changes to student players' decision-making types. This requires an approach from a long- and short-term perspective.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t is needed to bring changes toward the rational decision-making type through career education. From a short-term perspectiv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their instructors and parents who make the background of their dependent decision-making type so that student players can have access to quality information. Finally, the positive impacts of student players' participation in study are big enough to offset the negative influences represented by the reduction of training time, which raises a need to recommend actively student players to participate in lessons. The research participants argued that the intellectual competence obtained through academic activities would lead to improved performance. This argument offers a good case to dispel the old paradigm that participation in lessons would inevitably lead to lower performance. The best approach will be to convey persuasively that participation in the study is closely related to the cultivation of student players' abilities and induce them to participate in lessons voluntarily.

      • 초·중등 교사의 수업전문성 비교연구

        이지형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초․중등 교사의 수업전문성 비교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Class Expertise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행정전공 이 지 형 지도교수 윤 홍 주 교사를 전문가로 볼 때 교사의 전문성을 가늠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부분은 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수업은 교사 본연의 역할이며 가장 핵심적인 활동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수업전문성에 대한 이해 및 초․중등교사의 수업전문성 비교를 통해 상호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등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수업관점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중등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수업방법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중등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에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강원도 지역의 초․중등교사 325명을 임의 표집 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관한 측정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Ver 10.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사용하였고,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 F-검증을 사용하였다. 위의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얻은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에 대한 관점 중 관리적 관점 영역에서는 수업이해(초등 M=4.12 중등 M=3.98), 수업과 관련된 사례적용(초등 M=4.06 중등 M=3.88), 경험중시(초등 M=4.15 중등 M=3.76), 보충지도(초등 M=3.73 중등 M=3.40)에서 초등교사가 중등교사에 비해 더 비중을 두고 있다. 전달형 관점 영역에서는 규범중시(초등 M=4.24 중등 M=4.01), 수업내용 재구성(초등 M=4.02 중등 M=3.75), 교실환경구성(초등 M=3.87 중등 M=3.58), 시범보이기(초등 M=4.06 중등 M=3.75)에서 초등교사가 중등교사에 비해 더 비중을 두고 있다. 자유교육적 관점 영역에서는 토론유도(초등 M=3.87 중등 M=3.58), 다양한 수업점검(초등 M=3.47 중등 M=2.83), 다양한 표현방법(초등 M=3.84 중등 M=3.28), 다양한 평가방법(초등 M=3.78 중등 M=3.43), 수업 목표점 인지(초등 M=3.98 중등 M=3.68)에서 초등교사가 중등 교사에 비해 더 비중을 두고 있다. 양육형 관점 영역에서는 학생의 자아실현 추구(초등 M=3.90 중등 M=3.60), 학습의 개인차 인정(초등 M=3.67 중등 M=3.22)에서 초등교사가 중등교사에 비해 더 비중을 두고 있다. 교사중심 수업방법 영역에서는 학습 자료의 획일성(초등 M=3.71 중등 M=3.40)에서 초등교사가 중등교사에 비해 이미 만들어진 자료의 활용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중심 수업방법 영역에서는 활동중심 수업구성(초등 M=3.29 중등 M=3.09)과 다양한 수업자료를 제시(초등 M=3.76 중등 M=3.26)하는 것에서 초등교사가 중등교사보다 더 비중을 두고 있다.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 영역에서는 동료장학 적용(초등 M=3.68 중등 M=3.48)과 새로운 수업 개선방법 적용(초등 M=3.96 중등 M=3.71)에서 초등교사가 중등교사에 비해 더 비중을 두고 있다. 둘째, 배경 변인에 따른 수업전문성 비교에서는 수업관점 영역에서 관리적 관점, 전달형 관점, 양육형 관점, 자유교육적 관점에서 남교사에 비해 여교사의 평균값이 높았다. 교사중심 수업방법 영역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생중심 수업방법 영역 중 개별화 수업에서 남교사에 비해 여교사가 더 비중을 두고 있다.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 영역에서는 새로운 수업방법 적용과 동료장학 적용에서 남교사에 비해 여교사가 더 비중을 두고 있다. 학력에 따른 관리적 관점 중 수업내용 보충지도에서 대졸교사가 대학원 재․졸 교사보다 더 비중을 두고 있다. 양육형 관점에서는 학생상담 및 학생실수 인정 격려에서 대졸교사가 대학원 재․졸 교사보다 더 비중을 두고 있다. 학생중심 수업방법 영역에서는 다양한 수업자료 제시에서 대졸교사가 대학원 재․졸 교사보다 더 비중을 두고 있다. 경력에 따른 수업관점 영역에서는 20년 이상의 교사집단에서 4가지 수업관점의 세부영역에서 다른 경력의 교사 집단에 비해 더 높은 평균값을 나타냈다. 그러나 수업방법 영역에서는 교사중심 수업방법의 학습 자료의 획일성에서 11~15년 교사집단이 가장 높은 평균값을 나타냈고 학생중심 수업방법의 활동중심 수업구성에서 높은 평균값을 나타냈다. 셋째, 교사의 역할에서 수업이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수업활동, 생활지도, 업무처리 순으로 역할의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처리에서는 초․중등 교사 간 통계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업활동에서는 초등교사가 생활지도에서는 중등교사가 더 높은 평균값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초․중등 교사 간 수업관점, 수업방법,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중등 교사들은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에게 부족한 수업 관점과 수업방법을 인식하고 적용해 보아야 할 것이며 아울러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 주요어 : 수업전문성, 수업관점, 수업방법

      • 학대피해아동의 보호유형에 따른 대인관계성향 및 사회적지지, 학교적응 양상의 비교

        이지형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대피해아동의 보호형태에 따른 대인관계성향, 사회적지지, 학교적응을 파악하여 학대피해아동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아동학대로 신고접수되어 사례관리중인 10-13세 아동으로 원가정보호 및 격리보호된 학대피해아동 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교집단은 학대피해아동의 연령과 학년을 기준으로 짝짓기 하여 56명의 11세, 13세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인관계성향 척도, 사회적지지 척도, 학교적응 척도를 사용하여 대인관계성향, 사회적지지 정도, 학교적응 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성향은 일반집단이 원가정보호집단과 격리보호집단 보다 독립적-책임적성향, 동정적-수용적성향, 사교적-우호적성향으로 나타났으며, 원가정보호집단 및 격리보호집단은 의존적-무책임적성향, 비동정적-거부적성향, 비사교적-비우호적 성향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지지는 일반집단 아동이 학대피해아동집단보다 사회적지지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학교적응은 학대피해아동중 격리보호집단이 일반집단보다 학교적응 수준이 높고, 원가정보호집단이 가장 낮다. 넷째, 대인관계성향, 사회적지지, 학교적응의 상관관계에서 대인관계성향과 사회적 지지는 학교적응에 정적상관을 보이고 있다. 요약하면, 학대피해아동집단은 일반집단에 비해 부정적 대인관계성향, 낮은 사회적지지를 나타냈으며, 학교적응에서는 격리보호집단이 적응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인관계성향, 사회적지지, 학교적응의 상관관계는 정적상관을 제시하였다.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ing more effective service about abused child grasping personal relations inclination, social support, school adjustment by abused child's protection form. 80 abused child and 56 normal subject were compared on personal relations inclination rating scales, social support rating scales and school adjustment rating scale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ly, the normal group had higher independent-responsible than empathic-acceptable, sociable-friendly than family protection group and separate protection group. Secondly, the normal group had higher social support than family protection group and separate protection group. Thirdly, the separate protection group had higher school adjustment than normal group and family protection group. Fourthly, school adjustment is related with such positive personal relations inclination and social support. In short, the family protection group and separate protection group had lower personal relations inclination and social support than normal group. And it is also indicates that the separate protection group shows higher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 that school adjustment is related with such positive personal relations inclination and social support.

      • 학생선수의 진로의식 및 진로교육 실태분석

        이지형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s for future improvements, by investigating problems of several career education for student athletes, based on a survey on career awareness current students athletes have and career counseling being conduc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lthough there were a number of the relevant preceding papers, in fact their results were not reflected on the field, whe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ort because the subject’s sport was limited to one thing and only fragmentary features was focused. Therefore, its aim was to make people to look to the view for student athletes’s career issues from a more macroscopic point of view, by examining·analyzing general characteristics into the five factors of gender, class, sport, region, prize-winning. For this, it was set as research issues that how student athletes’s career awareness, career choice, view on occupation and the actual situation of career education were, did these career factor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general characteristics?. Questionnaire data processing was compared·analyzed after calculating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by each question using SPSS Ver. 19, and chi-square test was done to look 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et variables.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all, the tree contents on the actual conditions for student athletes’s career awareness were derived.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student athletes’ career awareness, paths to acquire career information were limited, many student athletes seem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n their career problems, looking at the answer that ‘they should be able to select career suitable for their interest and aptitude before middle school through systematically early career educa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systematically early career education program’s development and input were urgent as the students to response their real career plan establishment were not half.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student athletes’ career choice, they told that the target of consultation was their parents and family about career choice in all groups except for male high school, we should make future leaders play a central role in career counseling by selecting leaders as a teacher as the target in future. In addition, it’s urgent to prepare for institutional measures on student athletes’s right for learning as they told academic performance was one of the biggest obstacles. It’s also desperately needed to explore right jobs as both the hope of student athletes and their parents was concentrated in only a few jobs. Third, as a result of looking at view on occupation of student athletes, it’s necessary to have planning and systematic information, since various awareness on distinct view on occupation or job choice is lack. Moreover, when taking into account employment is hard regardless of highly education, systematic career education to fit their majors and aptitude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y told minimum education was college graduation to get the job they want. The following information as for the conditions of career education was drawn. Even though career education in school has been done currently, in the case of career counseling, fair and negative answers were much more than positive answers. Then, it’s needed to increase the number of future career education, seeing career education’s effects in school was positive. In addition, even if career counseling has been done as call-typed consultation now, we hope it will be done as voluntary consultation, the question of asking reasons why career counseling was not well done,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but Rapport formation between counselors and clients before career counseling seems to be preferentially done seeing tha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told they did not like teachers or professors as the first reason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학생선수들이 가지고 있는 진로의식 및 교육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진로상담에 관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학생선수 대상의 여러 가지 진로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조사하여, 향후 개선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관련 선행논문들이 다수 존재하였지만 연구대상의 종목을 한 가지로 제한하여 단편적 특성에만 주목하였기 때문에 실제 활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의 대상을 포괄적으로 선정함으로써 종목마다의 다양한 의견을 종합하였으며 종목 외에도 성별, 학급, 지역, 입상경력의 총 다섯 가지 일반적 특성에 따른 다양한 변인들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을 위해 ‘현재 학생선수들의 진로인식, 진로선택, 직업관 그리고 진로교육의 실태는 어떠하며, 이 진로요인들이 일반적 특성에 따라 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설문지의 자료 처리는 SPSS Ver. 19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한 후 비교·분석하였으며, 설정한 변인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chi-square test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생선수들의 진로의식 실태에 대해서는 세 가지의 내용이 도출되었다. 첫째, 학생선수들의 진로인식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 진로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경로가 한정되어있었으며, 다수의 학생선수들이 ‘체계적 조기 진로교육을 통해 중학교 이전에 본인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진로를 선택 할 수 있어야한다’ 라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나 본인의 진로문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실제 진로계획이 수립되어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절반도 안 되는 것으로 파악된 것으로 보아 체계적 조기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투입이 시급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생선수들의 진로선택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 남자 고등학생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현재 진로선택 문제에 대한 상담대상을 부모나 가족으로 꼽았으며, 향후 대상으로는 지도자를 선택해 앞으로 지도자가 진로상담의 중심역할을 충분히 수행 할 수 있도록 개선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진로선택의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학업성적을 꼽은 것으로 보아 학생선수의 학습권에 대한 제도적 방안의 마련이 요구되며, 학생선수와 부모의 장래희망이 모두 몇 가지 직업에만 편중되어 있어 올바른 직업탐색에 대한 교육이 절실하다. 셋째, 학생선수들의 직업관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 뚜렷한 직업관이나 직업선택의 다양한 의식이 매우 부족하므로, 이에 대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안내가 필요하다. 또한 원하는 직업을 얻기 위한 최소학력을 대학졸업을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는데 현재 고학력자임에도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사회적 풍토를 감안하였을 때 바람직한 직업관이이라 볼 수 없으므로 체계적인 진로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직업관을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생선수들의 진로교육 실태에 관해서는 다음의 내용이 도출되었다. 현재 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은 대체적으로 잘 이루어져 있지만, 진로상담의 경우 긍정보다는 보통과 부정이 더욱 많았다. 또한 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향후 진로교육의 횟수를 늘려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진로상담의 경우 현재 호출식의 상담이 가장 많이 이루어져 있지만 향후 자진상담으로 진행되기를 희망하였으며, 진로상담이 제대로 실시되고 있지 않은 이유를 묻는 질문에서 각 변인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다수의 응답자가 교사나 교수가 마음에 들지 않는 다는 이유를 첫째로 꼽은 것으로 보아 상담 전 학생과 상담 진행자간의 Rapport형성이 선결적으로 이뤄져야 효과적인 진로교육 및 상담이 진행 될 수 있을 것이다.

      • 환율과 주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경기 국면에 따른 비대칭성을 중심으로

        이지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의 원/달러 환율과 종합주가지수가 서로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상이한 결론을 도출하고 있는 기존의 논문들에 반해, 보다 설득력 있는 결과와 근거를 도출하려는 취지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기존의 논문들이 채택한 방법론을 충실히 따르면서 두 변수를 기간별로 나누어 경기 국면의 비대칭성에 초점을 맞춰 분석한다. 분석에 이용한 자료는 일별 원/달러 환율과 종합주가지수 자료이며, 분석 기간은 1998. 1. 5부터 2009. 11. 30까지이다. 위 기간 동안 한국에는 네 번의 경기 수축기와 네 번의 경기 팽창기가 있었다. 각 경기 국면별로 기간을 나누어 두 변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우선, 기초통계량과 상관계수를 구해서 대략적인 데이터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시계열 변수인 두 변수의 특성을 고려하여 단위근 검정을 실시하였다. 관계 분석을 위해서는 Granger 인과관계 검정을 통해 두 변수 간 상관관계의 방향과 크기를 알아보았다. 더 심도 있는 분석을 위해 VAR(벡터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충격반응함수와 분산분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위와 같이 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기변동에 따라 환율과 주가의 관계가 바뀐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선, 한국의 경우 팽창기보다 수축기에 두 변수 간 상관도가 컸다. 또한, 한 변수의 충격에 대한 상대 변수의 반응의 크기는 점차 커진다. 두 변수 중, 환율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보다 주가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이 시간에 따라 커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두 변수는 상대 변수에 대해 부(-)의 영향을 미치는데, 그중 주가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2008년 이후 부호가 바뀐 듯 보인다.

      • K리그 심판에 대한 인식이 관람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이지형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K리그 심판에 대한 인식이 관람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K리그 팬 4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회수된 460명의 설문지 중 불성실 응답 자료로 판단된 64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396명의 설문 자료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각 요인들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변인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심판인식이 관람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람만족도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도출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K리그 팬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성별에 따른 심판인식, 관람만족도, 충성도 차이 검증 결과, 충성도의 하위요인인 태도적 충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리그 팬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연령에 따른 심판인식, 관람만족도, 충성도 차이 검증 결과, 심판인식의 하위요인인 정확성, 태도, 활동성과 관람만족도, 충성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리그 팬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직업에 따른 심판인식, 관람만족도, 충성도 차이 검증 결과, 심판인식의 하위요인인 정확성과 관람만족도, 충성도의 하위요인인 태도적 충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K리그 팬들의 참여 실태 특성의 축구경기 참여빈도에 따른 심판인식, 관람만족도, 충성도 차이 검증 결과, 심판인식의 하위요인인 활동성과 관람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K리그 팬들의 참여 실태 특성의 연평균경기 관람빈도에 따른 심판인식, 관람만족도, 충성도 차이 검증 결과, 심판인식의 하위요인인 정확성, 판정과 충성도의 하위요인인 태도적 충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K리그 심판인식은 관람만족도에 태도, 정확성, 활동성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K리그 심판인식은 충성도의 하위요인인 태도적 충성도에 태도, 정확성, 활동성, 판정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K리그 심판인식은 충성도의 하위요인인 행동적 충성도에 태도, 활동성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K리그 관람만족도는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wareness toward K-League referees on viewing satisfaction and loyalty. A survey was conducted on 460 K-League fan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and questionnaires of 396 interviewees were analyzed, excluding those of 64 interviewees that were classified as insincere responses. Data were verifi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layout analysis of variance (ANOVA)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mong each factor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viewees a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study the influences of awareness toward referees on viewing satisfaction and loyalty, and the influences of viewing satisfaction on loyalty, an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obtained from the deducted results. First, the difference test among referee awareness, viewing satisfaction, and loyalty depending on gender, a demographic feature, of K-League fan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inal loyalty, a subfactor of loyalty. Second, the difference test among referee awareness, viewing satisfaction, and loyalty depending on age, another demographic feature, of K-League fans showed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attitude and activity, which are subfactors of referee awareness and in all factors of viewing satisfaction and loyalty. Third, the difference test among referee awareness, viewing satisfaction, and loyalty depending on occupation, another demographic feature, of K-League fan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a subfactor of referee awareness, and attitudinal loyalty, a subfactor of loyalty. Fourth, the difference test among referee awareness, viewing satisfaction, and loyalty depending on frequency of match participation, a participation status feature, of K-League fan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tivity, a subfactor of referee awareness, and viewing satisfaction. Fifth, the difference test among referee awareness, viewing satisfaction, and loyalty depending on the average number of matches attended, another participation status feature, of K-League fan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and judgment, subfactors of referee awareness, and attitudinal loyalty, a subfactor of loyalty. Sixth, awareness toward K-League referees i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viewing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attitude, accuracy, and activity. Seventh, awareness toward K-League referees i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ttitudinal loyalty, a subfactor of loyalty, in the order of attitude, accuracy, activity, and judgment. Eighth, awareness toward K-League referees i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al loyalty, a subfactor of loyalty, in the order of attitude and activity. Ninth, viewing satisfaction of K-League i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loyal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