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시행과정 연구 : 비행아동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연구

        최효선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IMF 이후 계속되는 경제적 불안정으로 인해 대두되는 사회문제 중 현대의 가족구조 변화와 기능 상실은 가정폭력과 아동학대를 비롯해 아동을 가출, 도벽 등의 비행에 가담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대 중 방임의 경험으로 비행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아동과 이미 비행의 문제를 갖고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비행예방의 일환으로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시행함으로써 그 적용가능성과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프로그램은 인지-정서-행동적 접근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으로 김향미(2001)의 놀이중심 프로그램과 1995년 청소년 대화의 광장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을 김은숙(1998)이 아동에 맞게 재구성 한 것을 기초로 본 연구자가 대상에 맞게 방법적 접근과 내용을 조정하여 개발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가출, 도벽, 방임 등으로 서울특별시립D아동상담소 P반에 입소중인 7∼11세의 아동 13명이다. 분노조절 프로그램 기간은 2003년 8월 21일부터 9월 25일까지 5주 동안 상담소 내에서 60분씩 총 10회 동안 실시되었다. 이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3달 동안 총 7회에 걸쳐 집단 프로그램을 통해 관계형성을 하였고, 프로그램 이후 효과의 지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1달 동안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여 총 6개월 동안 관찰하였다. 연구방법은 단일집단전후비교 사례연구로 검사기준으로써 공격성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Buss와 Durkee(1975)가 제작한 '공격성 진단검사'와 황정규(1964)의 '공격욕구 검사'에서 구성된 목록을 사용하였다. 이것을 중심으로 공격성의 정도를 평가한 후 프로그램 전-후의 공격성은 물론, 프로그램 도중에도 행동 변화추세를 관찰한 후 비교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이때 반 전체 아동들 사이에 분노가 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까지도 고려하여 평가하였다. 그리고 P반 생활 교사가 일상생활에서 아동의 공격성 및 기타 행동상의 특징을 관찰하였고, 보조 진행자도 프로그램 개입 1주 전부터 개입 1달 후까지 아동을 관찰하여 그 내용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 보완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분석해 보면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연구 대상자에게 실시한 후 개입 전과 비교해봤을 때 공격성 정도가 '상, 중, 하'그룹 모두 공격성 완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특히, 공격성이 높은 그룹일수록 프로그램의 효과가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도와 효과성 사이에도 상관관계가 있었다. 프로그램 참여는 연령은 11세, 성별은 여자, 가족형태는 부모결, 생활수준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의 수급권자(이하 수급권자), 입소 개월은 8개월 이상, 의뢰 경위는 파출소, 주요 문제는 방임, 공격성 정도는 '중'인 그룹이 높은 참여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볼 때 환경적으로 외적변수를 가지고 있고 적은 표본인 만큼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엔 한계를 갖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존의 통제되어진 개인을 대상으로 연구한 것과는 달리 선정되어진 반 전원을 6개월 동안의 참여관찰을 통한 관찰 자료를 연구한 것으로서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하였다. 아동의 개입 전-도중-후등 3단계를 거쳐 행동 변화 추이를 고려하여 분석한 효과성은 기존의 수치화하여 효과성을 검증한 방법과는 달리 더욱 치밀하고 사실적인 연구방법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질적인 연구방법을 통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봤을 때 프로그램 개입 후 일상생활에서 자신들의 분노를 적절하게 표현하고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행동이 관찰되고, 전반적으로 높은 참여를 보인 것을 미루어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비행과 방임을 비롯한 복합적 문제를 갖고 있는 아동뿐 아니라 일반 학교 교육에도 적용할 수 있으리라 본다. The change of modern family structure and loss of its function among many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continued economic recession after IMF bailout, causes not only family violence and child abuse but also child delinquencies such as runaway from home and theft etc. This study aims to apply the anger control program as one of delinquency prevention measurements to those who are exposed to the family violence and to those who conducted misdeeds already, and to find out the possible application and the improved measurements of this program. This study adopted the anger control program(hereafter the Program) of cognitive-affective-behavioral approach, which was adjusted and re-developed for this study that was developed initially for juvenile in 1995 by KIM Hyang-Mi (2001) and reorganized by KIM Eun-Sook (1998) for Children. For this study,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the program was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target children of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ose who are staying at Seoul Metropolitan D Children Center and from 7 to 11 years old who have experienced in runaway from home and theft etc. The anger control program conducted 10 times (1 hour each) for 5 weeks from 21 August 2003 to 25 September 2003 at the Cent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before applying the Program, the group program was conducted 7 times for 3 months for building up the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 Then, in order to assess the sustainability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fter conducting the Program, the researcher kept observing those target children for a month and 6 months in total. This study used the list from ‘Diagnosis of Aggressiveness’ which was developed for measuring the status of aggressiveness by Buss and Durkee (1975) and ‘Aggressiveness Desire’ by HWANG Jung-kyu (1964). Through this Program, first, assessed the status of aggressiveness of the target children; second, observed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of the target childrens aggressivenes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including the process of the Program; third, with these information, evaluated how much the Program was effective considering how the anger among all children would affect among themselves. Additionally, the observation records of the target children by teachers and assistant conductors at the Center were also included in this evalu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Program, it shows the differences of the degree of the anger from the target children between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especially, the program was very effective to the group who used to have highest aggressiveness. Also, it was noted that the participation and effectiveness were closely correlated on the result of the program. The high participation group of the program was those who were 11 years-old girls from mal-functional and poor family; stayed for over 8-month at the Center; led to the Center by the Police station; and had a medium degree of aggressivenes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ould be a limitation to generalize the result considering some external variables and very limited number of target children. However, this study is more comprehensive and more systematic research by participation of whole selected group members for 6 month period with participatory observation methodology, whereas the existing researches targeted only very limited number of single person. Also this study applied very realistic methodology, which analyzed the behavior variable trend by three steps covering before-on-going process-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researches. In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which was observ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anger-control program reduced the aggressiveness and helped to express their anger properly, the Program would be applicable not only to the child delinquencies but also to the public school education program.

      • 분노조절, 비합리적 신념, 학업스트레스가 중·고등학생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문정은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적 요인과 가족적, 사회적 요인으로 분노조절, 비합리적 신념,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의 분노조절, 비합리적 신념, 학업스트레스, 자살충동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중·고등학생의 분노조절, 비합리적 신념,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중·고등학교 3개 학교 재학 중인 학생 30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중 285부가 회수되었고,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충실하지 못한 설문지 39부를 제외한 246부가 자료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중·고등학생의 분노조절, 비합리적 신념, 학업스트레스, 자살충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중·고등학생의 분노조절, 비합리적 신념,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노조절, 비합리적 신념, 학업스트레스, 자살충동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둘째, 분노조절, 비합리적 신념, 학업스트레스가 중·고등학생 자살충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분노조절, 비합리적 신념, 학업스트레스가 중 ·고등학생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고등학생 자살충동을 예방하기 위하여 청소년들이 삶을 가치 있는 것으로 여기고 그런 삶에 대한 동기부여와 자신감을 향상을 위한 현실적인 대안의 필요성과 생애발달 단계별 생명존중 문화 확산 및 분위기 조성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매체 개발 및 지속 연계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와 상담현장에서는 자살충동에 예방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 및 연구가 요구되며 가정, 학교, 사회 상호 협력적 교육환경을 제공하여 구체적인 적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anger control, irrational beliefs, and academic stress on suicidal impulse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relationships amoug control of anger, irrational beliefs, academic stress, and suicidal impulse? Second, do control of anger, irrational beliefs, and academic stress effect on suicidal impulse? For this study, 3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nd surveyed Date from 246 students' survey were analyzed. The conclusions from the discussion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nd correlations amoug anger control, irrational beliefs academic stress, and suicidal impulse. Second, anger control, irrational beliefs and academic stress effect on the suicidal impuls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we see anger control, irrational beliefs, and academic stress effect on suicidal impuls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for young people to think that life is worth living in order to prevent the suicidal impuls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chools and counseling sites may require development and research on a variety of programs to prevent suicidal impulse and specific applications may be made by providing a collaborative environment between households, schools and society.

      • '분노' 의 조직적 확산 - 중화인민공화국 초기(1950-1952) 항미원조(抗美援朝) 운동에서의 대중동원전략

        이준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중국공산당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과정에서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유의 ‘대중노선’을 수립하였다. 이는 당의 강서, 연안 시기 경험에서부터 축적되어 온 전략으로 위기 해결에 있어 상당히 유효하게 작동한 바 있다. ‘대중노선’의 성패를 가르는 가장 중요한 지점 중 하나는 운동의 목적을 납득시켜 대중의 적극성을 유발하는 것이었다. 인민의 구체적인 행위에 기반을 두고 운동이 진행되어야 했기 때문에 당은 본래 무관심의 상태에 있던 대중을 각성시켜야 했다. 당의 지침을 자신의 문제인 양 수용하고, 충실히 이행하는 국민을 양성하기 위함이었다. 이 때 중국공산당이 인민의 적극성을 유발하기 위하여 활용한 방법이 인민의 실제 생활에서의 문제에 주목하여 이들의 구체적 감성 반응을 이끌어내는 것이었다. 특히 표적에 대한 집단적인 분노와 폭력성은 다른 어떤 요인보다도 대중을 격렬하게 각성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당은 대중의 정서적 흥분 표출을 장려할 수 있는 장치를 곳곳에 설치하여 이들의 분노를 한층 심화시켰다. 가령 토지 개혁 상황에서의 대중 집회가 이를 가장 잘 드러내는 예시이다. 대중의 감성을 활용하여 혁명의 수행을 도모하는 초보적인 수준의 ‘감성작업’을 이 시기의 대중동원전략에서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음과 같은 ‘감성작업’ 의 시도를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기의 항미원조운동에서도 동일하게 발견할 수 있다. 1950년의 한국전쟁은 당시 냉전의 국제 정세가 열전으로 분출된 거의 유일한 전쟁이지만, 중국의 이해관계가 직접적으로 반영되어 있다고 보긴 어렵다. 오히려 건국 직후 불안정한 대내외적 상황으로 미루어보아 참전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당은 ‘항미원조 보가위국(抗美援朝 保家衛國)’ 의 구호를 내세워 참전을 선언하고, 동시에 국내에서 대대적인 항미원조운동을 전개하였다. 항미원조운동은 전쟁을 후방 지원한다는 목적 하에 선전되었으나, 실상 그 세밀한 진행과정에서 ‘원조(援朝)’의 맥락을 찾아보긴 어렵다. 오히려 국가의 제반 시설을 갈고 닦는 구체적인 활동과 국민의 애국 감정에 호소하여 생산 증대, 세금의 안정적 납부를 요구하는 등의 내용이 주를 이룬다. 즉 신생 정권에 있어 항미원조운동이 기대고 있는 ‘전쟁’ 의 대외적 맥락은 대중운동을 통해 신생 정권의 안정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와 다름 아니었다. 당은 항미원조 대중운동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대중을 각성시켜야 했다. 하지만 전쟁의 발발과 참전은 각 계층 대중에게 다양한 사상적 파동과 혼란, 특히 극심한 불안과 공포를 야기하였다. 당은 대중의 이러한 반응을 극복하고 운동의 전개를 도모하기 위하여 앞서 사용했던 그들의 ‘감성’ 영역을 자극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두려움이나 공포, 혹은 적을 숭배하는 마음을 ‘분노’로 대체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었다. 따라서 이 시기의 선전 운동에서 가장 먼저 표면화된 것은 ‘적’의 실체이다. 특히 전쟁이라는 특수 상황은 적과 나의 구분을 심화시킬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다. 따라서 항미원조운동 시기 미국은 중국의 안보를 위협하는 사악한 적으로 부각되어 인민의 분노가 향할 방향으로 설정된다. 가시화된 적의 위협은 나와 이웃을 지켜야 한다는 명분으로 이어져 대중의 능동적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동원을 정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일본의 이미지에 미 제국주의의 이미지를 결합시키기도 하고, 인민이 적에 대한 분노 감정을 고양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피해 사례를 공유하는 매체를 생산, 공유하기도 하였다. 그 중 가장 유효하게 사용되었던 방법 중 하나가 ‘소고회(訴苦會)’인데, 대중 연극과 같은 형태로 진행된 본 집회에서는 미국에 의해 피해를 입은 사람들의 끔찍한 이야기가 대규모로 공유되어 대중의 의분과 열정을 이끌어냈다. 피해 당사자의 분노는 피와 눈물로 점철된 고발과 함께 듣는 이들에게 전이되어 분노 감정을 대중 전반에 점화하였다. 구체적인 상황, 경험에 기반한 분노는 매우 강렬하여 이후 행위의 동력으로 기능할 수 있었다. 대중 전반에 축적된 분노는 중국 인민의 이름을 호명하여 국가를 기꺼이 뒷받침하고자 하는 ‘애국’ 감정으로 전환되었다. 나의 분노, 내 이웃의 분노에 공감하는 것을 넘어서 이러한 분노에 연유하여 우리는 이 전쟁을 지원해야만 한다는 논리이다. 분노는 단순히 참전의 논리를 국민들에게 납득시켰을 뿐만 아니라 인민 개개인의 생활 속에서의 항미(抗美)를 실천할 수 있는 명분을 제공하였다. 본인의 일상적 업무와 관련한 생산적 활동들이 적에 대항하여 애국을 실현하는 임무로 부각된다. 당에 치밀한 ‘감성작업’을 통해 유발된 분노가 단계적으로 지원의 맥락으로 전환되는 순간이다. In 1949,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established its own "Mass Mobilization"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s fac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is is a strategy that has been accumulated from the party's experience of the Kiangsi and Yenan periods and has worked quite effectively in resolving the cris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ints that determined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Mass mobilization" was to convince the purpose of the movement and induce public activity. Since the movement had to proceed based on the specific actions of the people, the party had to awaken the public, which was originally in a state of indifference. It was to cultivate people who accept and faithfully implement the party's guidelines as if they were their own problems.  At this time, the method used by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o induce people's activism was to draw specific emotional reactions by paying attention to problems in the people's real lives. In particular, collective anger and violence against targets resulted in a violent awakening of the public more than any other factor. The party has installed devices everywhere to encourage the public to express emotional excitement, further deepening their anger. For example, public rallies in land reform situations are the best examples of this. It is said that a rudimentary level of 'emotion work' that promotes the implementation of the revolution by utilizing the sensibility of the public can be found in the public mobilization strategy of this period. The following attempts to "emotion work" can be found in the anti-American aid-Korea movement in the early days of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Korean War in 1950 was almost the only war in which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the Cold War erupted into a heated war, bu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China's interests were directly reflected. Rather, considering the unstable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 immediately after the found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participation itself was difficult. However, the party declared its participation in the war under the slogan of "Anti-America Aid-Korea," and at the same time launched a massive anti-American aid-Korea campaign in China. The anti-American aid-Korea movement was promoted with the aim of supporting the war backward, but in fact, it is difficult to find the context of aid-Korea in the detailed process. Rather, the main focus is on specific activities such as honoring and polishing all the nation's facilities, increasing production by appealing to the patriotism of the people, and demanding stable payment of taxes. In other words, the external context of the "war" on which the anti-American aid-Korea movement is leaning in the new regime was no different from an opportunity to secure stability of the new regime through the popular movement. The party had to awaken the public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anti-American aid-Korea public movement. However, the outbreak and participation of the war caused various ideological waves and confusion, especially extreme anxiety and fear, to the public of each class. In order to overcome this reaction from the public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movement, the party uses the method of stimulating their 'emotion' area that had previously used. It was to replace fear, fear, or the heart of worshiping the enemy with anger.  Therefore, the first thing that surfaced in the propaganda movement of this period was the reality of the 'enemy'. In particular, the special situation of war is the optimal environment to deepe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enemy and me. Therefore, during the anti-American aid-Korea movement, the United States emerged as an evil enemy threatening China's security and was set in the direction of people's anger. Visible enemy threats led to the justification of protecting me and my neighbors, justifying mobilization based on active public participation. To this end, the image of U.S. imperialism was combined with the image of Japan, and a medium was produced and shared to share specific damage cases so that the people could raise their anger against the enemy.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s was Sogohoe(訴苦會), which was held in the same form as a popular play, and the terrible stories of people damaged by the United States were shared on a large scale, drawing public righteousness and passion. The anger of the victim spread to the listeners with accusations dotted with blood and tears, igniting anger emotions throughout the public. Anger based on specific situations and experiences was so intense that it could function as a driving force for subsequent actions.  The anger accumulated throughout the public turned into a "patriotic" emotion that was willing to support the state by calling the names of the Chinese people. Beyond sympathizing with my anger and the anger of my neighbor, the logic is that we must support this war due to this anger. Anger not only convinced the people of the logic of participation, but also provided a justification for practicing ‘anti-America’ in the lives of individual people. Productive activities related to one's daily work emerge as a mission to realize patriotism against the enemy. This is the moment when anger induced through meticulous "emotion work" in the party gradually shifts to the context of support.

      • 분노조절을 위한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오석희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청소년 초기인 중학교 시기는 제 2차적 성징의 발달로 본능충동과 자아의식이 급속히 높아지는 연령단계로서 도피적 혹은 공격적인 행동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생에게 분노조절을 위한 집단상담을 실시하면 공격성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고 그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 남구에 소재한 남녀공학인 중학고의 1학년 학급 중 남녀 혼합학급 두 학급(70명)을 선정하여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노조절을 위한 집단상담에 사용한 프로그램은 청소년 대화의 광장(1995)에서 제작한 "분노조절 훈련 프로그램"으로 인지-정서-행동의 통합을 하나의 모델로 인간의 개인적 변인으로 생각되는 생각, 감정, 행동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공격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Buss & Durkee가 제작하고 노안녕(1983)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간접적 공격성, 부정성, 언어적 공격성, 원한, 의심, 죄의식, 폭행, 흥분성의 8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노조절을 위한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격성 점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집단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노조절을 위한 집단상담은 중학생의 공격성 감소에 효과가 있다. 둘째, 분노조절을 위한 집단상담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공격성 총점 및 그 하위영역인 의심, 폭행, 흥분성의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노조절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공격성 감소에 효과적이며 공격성 영역 중에서 의심, 폭행, 흥분성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늘 분노의 문제로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중학생들이 분노의 문제를 적절하게 다루는 방법을 습득하게 하여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를 건강하게 형성할 수 있도륵 도와주어 학생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활용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eriod of middle school, early in the adolescents, is showed adolescents' escape or attractive 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actice an anger-control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rain how to help them change their way to deal with anger and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ir aggress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0 selected boy and girl freshmen at class in an middle school in the city of Ulsan, and each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For attaining the purpose, the Plaza For the Youth Dialogue(1995)‘s "Anger-Control Training Program" theoretically founded and built on a model; cognition-emotion-action integration approach. The inventory was used to measure aggression that Buss & Durkee's inventory adapted by No Ahn Ryong(1983) was classified into 8 subareas - indirect aggression, denial, verbal aggression, enmity, doubt, a sense of guilt, violence, excitement. To verify the effect of an anger-control program on students' aggression, the analysis methods were output mean and standard deviation, used the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anger-control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aggress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after the practice of the anger-control program, indirect aggression, verbal aggression, doubt, violence, excitement turned o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fore, the anger-control training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aggress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direct aggression, verbal aggression, doubt, violence, excitement among the aggression area. As a result, the middle school students learned how to deal with anger. And the proper application of the anger-control program in school will be able to prevent students' violence.

      •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허은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공격성 감소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아동의 공격성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 둘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공격성의 하위 요인인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우회적 공격성, 부정성, 흥분성, 적의성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 연구의 대상은 제주시 J 초등학교 5학년 남학생 20명이었다. 연구 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5학년 전체 남자 아동 86명을 대상으로 공격성 검사를 실시하고 이 중 공격성 점수가 높은 상위 학생 20명을 뽑았다. 이 들 중 상담을 희망하는 학생 10명을 상담집단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10명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청소년대화의 광장(1995)에서 개발한 분노조절 프로그램과 천성문(1999)이 분노조절을 위해 만든 통합 집단치료 프로그램을 토대로 연구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집단상담은 주 2회씩 총 10회기에 걸쳐 연구자가 직접 실시하였으며 한 회기당 시간은 60분이었다. 그리고 비교집단은 사전, 사후 검사에만 참여시켰다. 공격성 검사 도구는 Buss와 Durkee(1957)가 제작한 공격성 진단검사와 황정규(1964)의 공격욕구 검사 를 참고로 하여 문재경(1998)이 초등학생에게 맞게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6개의 하위영역(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우회적 공격성, 부정성, 흥분성, 적의성)을 측정하는 총 3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의 분석은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의 공격성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SPSS/PC+전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은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효과가 있다. 둘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화가 나서 싸울 때 주로 폭력을 사용하는 신체적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 셋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남을 위협하거나 저주하는 나쁜 말을 사용하는 언어적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 넷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상대방을 무시하거나 짓궂은 장난을 하는 우회적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 다섯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협동하기를 거절하거나 반항하게 되는 부정성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 여섯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쉽게 화를 내거나 모욕을 주는 흥분성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 일곱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대인관계에서 타인을 믿지 못하고 경계하게 되는 적의성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면,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아동들로 하여금 사고의 결과로서 분노라는 감정적 문제를 적절히 다루는 기술을 습득하여 공격성을 감소시킴으로서, 다른 아동과의 원만한 대인관계와 학교생활 적응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교육현장에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anger-control program on the reduction of children's aggressi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what effect does the anger-control training program have on children's aggression? Second, what effect does the anger-control training program have on the sub-factors of aggression; physical aggression, verbal aggression, indirect aggression, negativism, excitability and hostility? The test was conducted to select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 selected male students who were 5th grade students in Cheju city. They showed a high-level aggression in the pretest. 10 students who agreed to volunteer were the counseled group, the other 10 students were the control group. This anger-control program was recreated on the basis of the anger-control program produced by the Square of Youth Conversation in 1995 and the integration group therapy program for anger-control devised by Cheon Seong Moon in 1999. The group therapy was conducted a total of 10 times for 1 hour each time, twice a week by the researcher. Meanwhile, the control group was only given pretest and post-test evaluations. The measurement tool of aggression used was standard, revised by Moon Jae Kyoung(1998) which was based on the 'diagnostic test of aggression' produced by Buss & Durkee(1957) and the 'test of aggression need' by Hwang Jung Gue. The test consists of 35 items evaluating the 6 sub-factors that are physical aggression, verbal aggression, indirect aggression, negativism, excitability and hostil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PC program. In the meantime the t-test was conducted so as to compare th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holding the program.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through the procedure mentioned earlier is as follows. First, the anger-control program is effective for reducing aggression in children. Second, the anger-control program is effective for reducing physical aggression which is violent. The physical aggression can be used when students are angry and fight with others. Third, the anger-control program is effective for reducing verbal aggression which can be used when students threaten and curse others. Fourth, the anger-control program is effective for reducing indirect aggression which can be shown when students ignore others and carry a practical joke. Fifth, the anger-control program is effective for reducing negativism which can be shown when students defy their teacher or parents and refuse cooperation. Sixth, the anger-control program is effective for reducing excitability which can be shown when students are easily angry and offer an insult. Seventh, the anger-control program is effective for reducing hostility which can be shown when students do not trust others. Consequently the anger-control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aggression in children. This means that the anger-control program is necessary for the children to understand themselves, to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life. Thus, this program needs to be used for the children to acquire skills in solving their anger problem in the primary school setting.

      • 분노의 대한 여성주의 목회상담

        한일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의 목적은 교회 안에서, 가정에서, 그리고 인간 관계 안에서 침묵되고 억압되어 결국에는 왜곡된 방법으로 표출되는 여성의 분노를 적절하게 표현하고 또한 자신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여성주의 목회상담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논문의 출발점은 여성으로서의 필자 개인의 경험과 가부장 사회의 억압적인 현실 속에서 있었던 성서 속의 여성들의 잃어버린 분노와 그리고 오늘날 여전히 교회 여성의 현실 속에서 침묵되고 있는 분노에 대한 인식에서 시작된다. 분노에 대한 여성주의 목회상담을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일반심리학에서 말하는 분노의 이해와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보는 분노에 대한 이해들을 제시한다. 일반심리학에서 말하는 분노에 대한 이해는 다양하다. 많은 심리학자들이 분노는 자연스럽고, 정상적인 인간의 정서라고 말한다. 즉 모든 사람이 분노라는 감정을 경험한다. 또한 분노는 적대감 혹은 공격성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때로는 적대감과 공격성을 수반하기도 하지만 분노에는 긍정적인 측면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분노의 원인들도 인간 관계 속에서의 좌절과 자존감에 대한 상처, 열등감, 부당한 일이나 사회적인 불의 너무나 다양하다. 또한 분노에는 짜증으로부터 격노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단계가 존재하고, 분노는 건강한 분노 혹은 왜곡된 분노로 나뉘어질 수 있다. 이 왜곡된 분노가 여러 가지 문제들을 만들어 낸다. 그리고 분노의 원인은 사회 구성적 요인들과도 관련이 있어서, 문화나 성에 따라서 나타나는 양상이 달라진다. 여성주의적 관점에서는 일반심리학의 이해와는 달리 여성의 분노 표현에 보다 깊은 이해를 제공한다. 여성의 삶에 있어서 분노는 여성의 심리 구조와 여성이 처해있는 상황/현실 속에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들은 가부장적 사회의 차별적 인식에 의해서 자신들의 분노를 오랫동안 억압해 왔다. 생애주기를 통해 볼 때, 여성이 남성과 다르게 분노를 경험하고 인식하는 것은 후기 아동기를 지나면서부터 이다. 이것은 여성들에게 있어 분노가 부정되고 억압되며, 왜곡된 형태로 표출되기 쉬운 이유들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전통적인 기독교 신학의 이원론적인 사고는 여성의 억압을 더욱 강화하였고, 그러한 틀 속에서 분노를 파괴적인 것으로 보는데 공헌해왔다. 여성주의적 입장에서 볼 때 분노는 여성들이 자신의 힘을 인식하는 매개로서, 변화를 위한 매개체로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분노에 대한 여성주의적 목회상담의 접근은 교회의 여성들이 억압된 자신들의 분노를 인식하고 적절하게 표현하도록 돕고자 한다. 분노에 대한 여성주의적 목회상담의 출발점으로서 목회상담자의 역할은 중요하다. 목회상담자 자신의 분노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며, 목회 상담자가 상담의 과정에서 여성들이 분노를 인정하고 수용하도록 돕는 데에 공감과 힘의 부여는 필수적인 것이다. 그리고 목회상담자 자신이 상담에 있어서, 일상의 삶의 과정에 있어서 모델이 될 수 있다 상담자로서의 목회자는 공동체 안에 나타난 분노의 문제를 주의 깊게 살펴보고, 분노를 다루는 상담과 돌봄이 필요하다는 사실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여성들의 분노의 해결하도록 돕는 목회상담의 기법으로서 크게 세 가지를 제시한다. 첫 번째로 분노에 대해 이야기하기는 여성들이 분노를 중심으로 한 삶의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삶 가운데 형성된 분노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분노를 인식하는 첫 번째 단계이다. 두 번째로 자기 자신과 대화하기는 여성으로서의 자신을 수용하며, 자신의 분노를 인정하고 변화시키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상하기를 통해 자기 자신과의 내적 대화와 글쓰기 등을 통한 내적 대화가 있다. 이러한 분노에 대한 인식과 변화의 작업들을 통해 여성들은 자신의 분노를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방법으로 표현하도록 하는 데 힘을 얻게 될 것이다. 세 번째로 분노 표현하기는 주장성(assertiveness)에 기초하여 여성들이 자신의 분노를 적절하게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분노 표현하기는 여성들이 수동적이거나 공격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다른 사람들의 권리와 감정들을 존중하고 분명하고 정직하게 자신의 감정들을 표현하도록 돕는다.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분노는 억압되어야 할 그 무엇이 아니라 건강하게 표현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여성주의적 접근에 기초한 분노에 대한 목회상담은 오랜 시간 동안 축적된 분노를 왜곡된 방법으로 표출하여 고통당하는 여성들이나, 분노의 감정을 전혀 느낄 수 없는 무력한 상태에 빠져있는 여성들을 위하여 교회가 시작해야 할 우선적 과제이며, 동시에 교회 안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나가야 할 목회적 과제이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describe the anger of women who are expressing restrained anger by methods distorted in the church, the home and in relationships between person and person. Also, it aims to suggest feministic and pastoral counselling, by which the anger is changed to energy to transform women's lives. The starting point of this thesis is a recognition about what it is that caused my individual experiences as a woman, the restrained anger which is shown under the patriarchal society in the bible and also which still appears in the situation and reality of the Church today. It is suggested that the psychologic진 understanding and feministic understanding of angers as basic, works for the feministic and pastoral counselling. Many varieties of anger are mentioned in the aspect of the general psychology. he understanding of anger as a psychological state covers a wide variety. Psychologists have said that it is a natural and normal emotion for human beings, who are experiencing anger. Anger is accompanied by hostility and an aggressive attitude but it also has positive sides.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warm anger. The other is cold anger. This causes a lot of problems. The causes of anger are related to factors in society, so that the figures are changed by culture and gender. The aspects of feminism offer an understanding of anger in depth rather than general psychology. Anger needs to be understood in the situation and reality of women and in women's mentality. Women have been repressing their anger for a long time by the discriminatory action of a patriarchal society. The dualistic thoughts of traditional Christian theology strengthen the oppression of women and contribute to regarding anger as destructive in a framework such as this. In the feministic aspects, anger is used as an intermediation or a medium for the recognition of women and change. Depending on this premise, I would try to help so that women can express their oppressed anger through the approach of feministic and pastoral counselling. The role of the pastoral counselor is very important as a starting point for feministic and pastoral counseling on anger. Pastoral counselors must understand their anger and help women to acquire and accept their anger in the counseling process. The pastor, as a pastoral counselor should show concern by counseling and care, about the anger in his/her community. There are three technical methods of pastoral counseling to help in solving the problem of anger. First, it is in talking, caring sessions in which the counselor lets women talk through their anger by themselves. This is done so as to lead women to grasp the problem of their anger through talking about it. This is the first step for the recognition of anger. Second, it is inner dialogue, which can help women to accept themselves as a woman and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change themselves. There are two inner dialogues, one is to imagine and the other is to write down the contents of the various angers. Third it is by expressing anger on the basis of assertiveness. It is to help women so that they can express their emotions without hurting other people. In the aspect of feminism, anger is not anything else but a way to express it in a healthy manner. Pastoral counseling on the basis of anger from a feminist aspect should go ahead for women who have been oppressed and lack expression by the distorted attitudes in the church. This is the first task in the pastoral concern for women in the church.

      • 스트레스 노출 상황에서의 분노표현 양식에 따른 심박변이도의 차이

        김현도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목적: 스트레스 노출 상황에서의 분노표현 양식에 따른 심박변이도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분노표현 양식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심혈관계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추론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의학대학 재학 중인 103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STAXI-K, BDI, BAI 등의 설문지를 작성하고 기저 HRV를 측정하였으며, 그 중 89명의 자료를 상관 분석하였다. 89명의 집단을 STAXI-K의 분노표현 점수에 따라 3개 집단으로 선별한 후 집단 간의 우울, 불안, 심박변이도의 양상을 비교하였다. 이들을 다시 기능적 분노표현 양식 집단과 역기능적 분노표현 양식 집단, 두 집단으로 분류한 후 각각 다시 스트레스 노출 집단과 비노출 집단으로 분류하여 총 4개의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4개의 집단 모두에서 스트레스 조작 전, 후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였으며 스트레스 조작을 위해서 스트레스 노출군에 대해서만 5분간의arithmetic task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분노표현 양식(기능적, 역기능적)과 스트레스 조작(스트레스 노출, 비노출) 여부에 따라 4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여, 측정된 심박변이도 지표들의 변화량을 비교하였다. 각 집단 간 인구 통계학적 변인 및 상태분노, 특성분노, BDI, BAI 점수 상에서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분노표현 양식과 스트레스 조작 여부에 따른 각각의 주효과만이 유의하였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 및 고찰: 본 연구에서 스트레스 조작 여부와 상관 없이 역기능적 분노표현 양식 집단이 기능적 분노표현 양식 집단에 비해 보다 높은 LF/HF 비의 증가를 보였고, 이를 통해 기능적 분노표현 양식 집단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보다 높은 교감신경의 항진을 보임을 추론할 수 있었다. 또한, 스트레스 조작 상황에서 스트레스 비노출군에 비해 스트레스 노출군이 상대적으로 높은 TP의 증가를 보였고, 이는 교감신경의 보다 높은 항진과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종합해 보면, 본 논문의 결과들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분노 경험 자체보다도 분노표현 양식에 따른 차이가 심혈관계 질환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ger expression under the stress condition on the cardiovascular disease by finding out the change pattern of HRV with respect to anger expression under stress exposure circumstances. Method: In this study included 103 medical college students as participants and analyzed the data of the participants by the survey of STAXI-K, BDI, BAI and measured the basal heart rate variability. Among them, the data of 89 participants were crossly analyzed. The 89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with respect to anger expression scores and then, the aspects of depression, anxiety, and HRV were compared among the 3 groups. This study divided the participants into two different groups, which are functional anger expression group and dysfunctional expression group, respectively. Each group is divided into stress exposure subgroup and non-exposure subgroup, finally becoming 4 different groups. In all of the 4 groups, we measured the HRV before and after manipulating the stress exposure and then put arithmetic task into operation in stress exposure group for 5 minutes. Result: In this study divided the group into 4 different subgroups according to the anger expression aspect (functional, dysfunctional) and stress manipulation(stress exposure, non-exposure) and then compared the amount of HRV. Each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the scores of state anger, characteristic anger, BDI, and BAI. Only each of the main effect in terms of the anger expression aspect (functional, dysfunctional) and stress manipulation(stress exposure, non expos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m was not identified. Conclusion: In this study, irrespective of stress manipulation, the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group showed the increased LF/HF ratio in comparison with the functional anger expression group, which means that the functional anger expression group expressed the increased action of sympathetic nerve under the stressful circumstances. Also, under the stress manipulation circumstances, the stress exposure group showed the relatively increased total power, which would be related with the increased action of sympathetic nerve. In conclusion, we could find out that anger has an effect on cardiovascular disease with respect to the anger expression aspect rather than the anger experience itself under the stressful conditions.

      • 사이버 상담을 통한 분노조절훈련이 아동의 공격성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지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공격성 감소와 교우관계 향상을 위한 사이버 상의 분노조절훈련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 사이버 상에서의 분노조절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아동은 통제집단의 아동에 비하여 공격성이 의미 있게 감소할 것이다. 가설 2 : 사이버 상에서의 분노조절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아동은 통제집단의 아동에 비하여 교우관계 능력이 의미 있게 향상될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상담 실태와 상담 요구에 대한 선행 연구(조영숙, 1999; 김인숙, 2004; 권기남, 2005; 이팔헌, 2006; 염애숙, 2007; 문현진, 2009), 비행청소년 분노조절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강신덕, 1997),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이윤경, 2003; 류안나, 2006; 조영희, 2006; 황혜선, 2007), 초등학생의 교우관계 향상을 위한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김순옥, 2001; 김미라, 2008)에 대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한 분노조절훈련 프로그램을 사이버 상에서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화성시 소재의 H초등학교 5학년 6개 반에 속한 243명을 대상으로 공격성 검사와 교우관계 검사를 실시하여 아동 16명을 선정한 후 실험집단에 8명, 통제집단에 8명을 무선 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공격성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도구는 Buss와 Durkee(1957)가 개발한 ‘적의성 검사’의 일부로 된 ‘공격성 진단 검사’와 Murray의 욕구 이론을 바탕으로 제작된 황정규의 ‘욕구진단검사’ 중 ‘공격 욕구 검사’를 참고로 하여 추출, 보완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교우관계 검사는 친구의 유·무와 신뢰도, 교제의 지속과 적응, 친구와의 공동생활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김영진(2005)의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검사를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의 평균점수 간 차이를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를 간단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사이버 상담을 통한 분노조절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은 공격성에 대한 사후 검사 결과 사전 검사와의 차이 검증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내었다(t=4.091, p<.001). 특히 공격성의 하위 요인 중 언어적 공격성, 우회적 공격성, 부정성, 흥분성 감소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사이버 상담을 통한 분노조절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은 사후 검사 시 교우관계 향상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상의 분노조절훈련 프로그램은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서는 효과가 있었으나 교우관계를 향상시키는 데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학생의 수줍음과 또래애착 그리고 분노표현간의 관계

        김현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고 있는 수줍음의 정도와 또래애착에 따라 분노표현방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려는 것이였다. 이를 위해 경기 지역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19부가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Zimbardo(1977)의 수줍음 검사와 Lazarus(1980)의 수줍음 검사를 참고로 하여 번안한 수줍음척도, 또래애착 척도는 Armsden과 Greenberg(1987)에 의해 개발된 것을 번안한 척도, 그리고 분노표현방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도구는 Spielberger와 Jacobs 등(1983)에 의해 제작된 것을 번안한 척도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질 변인들에 대한 기초분석을 위해 평균, 표준편차, 신뢰도를 산출하였으며, 각 변인들이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분노표현 양상인 분노 표출, 분노 억제, 분노 조절에 어떠한 변인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설명력을 가지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줍음, 또래애착 그리고 분노표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수줍음과 또래 애착간의 관계’는 부적관계를 보였다. 이는 수줍음이 많을수록 또래애착이 낮아질 것이라는 예상된 결과였다. ‘수줍음과 분노’는 정적관계로 나타났는데 이 또한 수줍음이 많을수록 억제된 심리상태에 의한 분노와의 관계가 유의하다는 예상된 결과였다. 또래 애착과 분노표현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또래와의 애착이 강함은 분노표현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에 따른 수줍음 또래애착과 분노표현 양상과의 관계를 남학생과 여학생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노표출의 경우 남학생들은 수줍음과 애착이 모두 분노표출에 영향을 주었으나 여학생의 경우 두 변수 모두 영향을 주기 어렵다는 결과가 나왔다둘째, 분노억제의 경우에도 남학생은 수줍음과 애착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학생은 수줍음의 경우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나 애착과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남녀학생 모두 수줍음이 많은 경우 분노를 억제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기존의 연구를 다시 한 번 뒷받침 하였다. 마지막으로 분노조절에서는 남녀 간의 차이가 없이 모두 수줍음은 분노조절과 관련이 있으나 애착은 분노조절과 관련이 없다는 동일한 결과 나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연구에서 청소년들의 분노표현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밝혀진다면, 청소년들의 건강한 분노표현을 돕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분노표현의 어려움이 있는 두 명의 여성에 대한 문학치료 사례연구

        유지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두 명의 성인 여성이 경험하는 분노표현의 어려움으로서 자기처벌적인 분노표현과 타자파괴적인 분노표현에 대한 문학치료 상담을 사례연구 방식으로 서술하고 의미를 분석하였다. 분노표현의 두 양상이 어떤 서사적 특성을 가지는지 살펴보고, 분노표현의 어려움 이면에 작동하는 내면의 자기서사에 대한 형태 및 특성을 밝히고, 서사의 변화 과정을 드러냄으로써 효과적인 문학치료 개입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노표현은 자기처벌적인 분노표현과 타자파괴적인 분노표현으로 분류하였다. 자기처벌적인 분노표현은 주로 분노를 억압하며 타자를 향해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는다. 타자파괴적인 분노표현은 주로 분노를 표출하며 외부 세계의 상태와 요구에 대한 고려 없이 표출된다. 분노표현의 어려움과 관련된 자기서사와 문학치료적 변화를 논의하였다. 분노표현의 어려움으로 드러내는 자기서사는 두 참여자의 문학치료 과정에서 도출된 공통적 특성에 따라 ‘위협당하고 공격받는 사건’, ‘피해자가 되는 주인공’, ‘주인공이 피해자에 머무는 결말’로 범주화되었다. 분노표현 양상에 따른 차별적 서사 특성은 서로 다른 분노표현양상을 보이는 두 참여자의 행동 방식에 따라 2개의 의미로 범주화되었다. 자기처벌적인 분노표현의 사례의 경우 ‘갈등을 회피하는 행동 방식’을 나타냈으며, 타자파괴적인 분노표현의 사례의 경우 ‘대상을 파괴하는 행동 방식’을 나타냈다. 자기서사의 치료적 변화는 참여자의 문학치료 과정에서 유의미하게 보인 치료적 의미에 따라 ‘안전하고 보살피는 조력자의 등장’, ‘수용되기를 시도하는 주인공’, ‘상호적 관계맺기를 지향하는 결말’로 범주화되었다. This thesis deal with a case study of literary therapy for two women who suffer from punishment anger expression toward herself and destructive anger expression toward others respectively. The study focuses on three things: revealing what story characteristics each of them has for such anger expressions respectively, searching the causes of the troubles of such anger expressions from a self-story perspective respectively, and exploring effective solutions of literary therapy by capturing the transitions of the perspectives for each person. The trouble of anger expression was classified into 'self-punishment anger expression' and 'destructive anger expression'. The former indicates an expression mode repressing the anger expressions toward others by suppressing the anger of oneself. The latter indicates a mode expressing one’s anger toward others regardless of the conditions and needs of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