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부갈등 극복을 위한 Donovan의 단기 대상관계 부부치료 사례연구

        신연재 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thesis provides qualitative analysis on the recovering process from the conflict of 3 couples who have been in danger of divorce by applying Donovan's five-step-model of Short-term Object Relations Couple Therapy. Couple A and couple B went through a one-hour counseling once a week for ten weeks, and couple C went through a 90-minute counseling for nine weeks. This couple therapy consisted of 5 steps: the first step was for ‘Exploring the core fight’, done during the first and second counseling. The second step, comprising the third and fourth counseling, was for ‘Investigating the Triangle of Focus.’ The third step, which ran through the fifth to the seventh counseling, was for 'Exploring the Triangle of Conflict.' The fourth step was designed to 'Change Triangle of Conflict' during the 8th and 9th counseling. The fifth step, the tenth counseling, finally 'resolves the core fight'. This type of process was meant to make couples explore core fight, look into unconscious object relation and emotion which make up the cause of the fight, understand the dynamic relation of the couple, and then finally resolve the conflict in reality by developing their own tools and methods. The steps were roughly classified but they were carried out in relation to each other rather than separately. The counseling was recorded for the qualitative study with the agreement of the participants, and the recorded contents were rephrased into researchers' terms as much as possible. The researcher together with the other two counselors who have studied object relation theory and conducted counseling, have analyzed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the process of their change on the basis of the rephrased content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o be helpful in resolving the conflict if the couple learns to fully express their emotion in the course of exploring the conflict (fight) even if they had oppressed the expression of their emotion before. Second, the couple A, who came to understand that their conflicts repeatedly came from the inner object relation with their origin of the family via projective identification, could escape from the recurring conflict pattern. It seems that Donovan's five step model is especially efficient for the couple who has the similar psychological tendency like couple A. Third, even though the other couples failed to recognize that the current conflicts with their spouse are heavily influenced by their past object relation with the origin of the family in the form of projective identification, they could experience positive change in the relation with their spouse by understanding them better in the course of counseling. 본 연구는 부부갈등으로 이혼 위기에 처한 3쌍의 부부들에게 Donovan의 단기 대상관계 부부치료 5단계 모델을 적용하여 갈등을 극복하는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갈등 극복을 위한 부부 상담은 Donovan의 5단계 단기 대상관계 부부치료 모델을 활용한 상담으로 A, B부부의 경우 매주 1시간씩 10주간, C부부는 90분씩 9주간 실시하였다. Donovan의 5단계 단기 대상관계 부부치료 모델의 단계별 구성은 1단계 (1-2회기) ‘싸움 탐색하기’, 2단계(3-4회기) ‘초점적 삼각형 탐구하기’이며, 3단계(5-7회기) ‘갈등의 삼각형 탐구하기’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4단계(8-9회기)는 ‘갈등의 삼각형 변화시키기’, 5단계(10회기)는 ‘싸움 극복하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진행 방식은 부부가 현실의 싸움 탐색에서 시작하여 싸움의 원인이 되는 각 배우자의 무의식적 대상관계와 정서 그리고 그로 인한 부부관계의 역동을 통찰하고, 자신들만의 도구를 스스로 개발해서 현실의 부부갈등을 해결하는 것으로 연결되게 한다. 회기를 대략적으로 구분하기는 하였으나 별도로 진행되기 보다는 서로 연관되어 진행되었다. 질적 연구를 위하여 참여자들의 동의하에 상담을 녹음하였고, 녹음한 것을 최대한 연구자들의 언어를 살려 전사하였다. 전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자 외에 2명의 대상관계 이론을 공부하고 상담 경력이 있는 사람들이 참여자의 경험과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용납되지 않았던 환경에서 감정을 억압하고 살았던 부부가 갈등(싸움)의 탐색과정에서 정서를 충분히 표현하였던 것이 갈등을 극복하는 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신들의 갈등의 원인을 원가족과 맺었던 내적 대상관계 방식이 투사적 동일시로 재현 되고 있다는 것을 통찰한 A부부의 경우에는 반복되는 갈등의 패턴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Donovan의 5단계 모델은 A부부처럼 심리적인 성향이 있는 부부들에게 더 큰 효과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이혼을 고려할 정도로 갈등이 고조된 나머지 부부들이, 과거 원가족과 맺었던 내적 대상관계 패턴이 반복되어 재현되면서 현재의 부부갈등에 투사적 동일시의 형태로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통찰하지는 못했지만, 상담을 하면서 배우자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게 되어 긍정적인 부부 관계를 가지게 되었다.

      • 부부갈등이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지각된 부부갈등과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이민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부부갈등이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있어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과 지각된 부정적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461명(남아=220, 여아=241)을 표집하여 아동 각각과 부모 및 담임교사로부터 부부갈등, 지각된 부정적 양육태도,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회귀분석과 경로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회귀분석결과, 남아와 여아 모두 부모가 보고한 부부갈등은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에 의해 매개되어 아동의 내면화 문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현화 문제의 경우에는 여아의 경우에만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의 매개효과가 지지되었고, 남아의 경우에는 부모의 부부갈등이 직접적으로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남아와 여아 모두 부모의 부부갈등은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에 의해 매개되어 지각된 부정적 양육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아와 여아 모두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이 직접적으로 내면화 문제에 유의한 영향을 주기도 하며, 지각된 부정적 양육태도에 의해 매개되어 내면화 문제에 영향을 주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현화 문제에 있어서는 남아와 여아 모두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이 지각된 부정적 양육태도에 의해 매개되어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인들의 관계를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경로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내면화 문제의 경우에는 부모의 부부갈등이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다시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에서 내면화 문제로 영향을 주는 직접경로와 지각된 부정적 양육태도에 의해 매개되어 내면화 문제에 영향을 주는 간접경로가 둘 다 유의하였다. 외현화 문제의 경우에는 한편으로는 부모의 부부갈등이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에 의해 매개되어 지각된 부정적 양육태도에 영향을 주고 다시 외현화 문제로 영향을 주는 간접경로가 유의하였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부모의 부부갈등이 직접적으로 아동의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주는 경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회귀분석이나 경로 모형의 검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아동의 성별은 부부갈등이 내면화 혹은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의미있는 중재효과를 지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들의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al effects of children's perceptions of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perceptions of parental attitude on the process of marital conflict influencing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The sample subjects were comprised of 461 4th,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220 boys and 241 girls), their parents and teachers. Children completed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CPIC: Grych et al, 1992), the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al Attitude Scale and Youth Self-Report(YSR: Achenbach, 1991). Both parents completed Conflict Tactic Scale(CTS; Strauss, 1979). In addition mothers completed Child Behavior Checklist(CBCL: Achenbach & Edelbrock, 1983). Teachers also participated by completing rating scales on the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s.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perceived marital conflict mediated the influences of marital conflict on boy's and girl's internalizing problems and on girl's externalizing problems. The perceived marital conflict did not mediate the influences of marital conflict on boy's externalizing problems. Regression analyses also revealed that the perceived marital conflict mediated the influences of marital conflict on boy's and girl's perception of negative parental attitude. The results suggested that perceived marital conflict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boy's and girl's internalizing problems, and that perceived marital conflict had only indirect effects on boy's and girl's externalizing problems.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 among parental reports of marital conflict, children's perceptions of marital conflict, perceived negative parental attitude, and children's internalizing,' externalizing problems as part of a system. The results of fitting the model for internalizing problems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path from parental reports of marital conflict to perceived marital conflict. The result showed that both direct path from perceived marital conflict to internalizing problems and indirect path from perceived marital conflict through perceived parental attitude to internalizing problems were significant. The results of fitting the model for externalizing problems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indirect path from parental reports of marital conflict to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s through perceived marital conflict and perceived parental attitude. The result also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rect path from parental reports of marital conflict to externalizing problem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d path analyses showed that the gender of child didn't moderate the influences of marital conflict on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부부의 성 욕구표현과 성 수행불안이 성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수도권 거주 기혼 남녀를 중심으로

        송양근 동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With the recently enhanced sense of gender equality and the rapid extension of women's rights due to remarkable activities by women and the pursuit of nuclear family, Korea got an important issue of equal relationship based on husband and wife. Sexual life serves as an important variable in rearranging couple relationship whether they are a couple that gets along well and understands each other or a couple that has repressed troubles. However, since the story of sex is a topic which cannot be introduced easily even for a couple that has lived together for many years, sexual conversation is not held smoothly between husband and wife, which can develop into a sexual conflict and ultimately become a cause of family disintegration, that is, divor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sexual desire expression and sexual performance anxiety, which have been disregarded, affect sexual satisfaction in married couples in order to lay the groundwork for coping with a sexual conflict,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of marital troubles, improving sexual satisfaction, and helping lead a happy married life. As for data collec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married men and women residing in metropolitan areas for three weeks from March 6 through 28, 2006; then, 267 copies returned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0.0. With no verified measuring tool, some questions were extracted from prior researches and the remaining ones were personally made and selected with high variable validity by factor analysis after a preliminary examination for this survey. Demographics were mainly determined by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sexual desire expression and sexual performance anxiety and sexual satisfaction. First, after t-test for examining differences in sexual desire expression, sexual performance anxiety, and sexual satisfaction by gen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ual desire expression but little differences in sexual performance anxiety and sexual satisfaction. Second, aft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examining effects of sexual desire expression and sexual performance anxiety on sexual satisfaction, sexual desire expression and sexual performance anxiety had immediate effects on sexual satisfaction. As shown above, sexual desire expression and sexual performance anxiety had great effects on sexual satisfaction in a married life. It is therefore urgent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system to provide educational support in developing sexual communication techniques and sexual education programs including sexual desire expression and sexual performance anxiety for college students, pre-married couples, new-married couples, middle-aged couples, and aged couples and systematically cultivating experts in this field.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private organizations with financial support for sexual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activities. The practice of sexual education programs and continuous services with high accessibility to preventive and post-management social welfare systems may cope with unnecessary sexual troubles caused by ignorance of sex in a married couple, consequently helping many married couples reduce difficulties caused by distorted sex knowledge, preventing family disintegration, minimizing social confusion caused by family members' social maladjustment, helping lead a happy married life, and forming healthy society. 우리나라는 요즘 여성계의 맹활약으로 양성평등의식이 고조되어 여권 신장의 급부상과 핵가족화 등의 이유로 부부중심의 평등적 관계가 중요한 이슈화되었다. 서로 이해하고 원만했던 부부이건, 갈등을 억누르고 참아오던 부부이건 부부관계 재정립이라는 과정에서 성생활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수년간 살아온 부부들도 성에 관한 이야기는 쉽게 꺼내기 어려운 화제이어서 부부간에 성적 대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성적 갈등으로 발전하게 되며 궁극적으로 이혼이라는 가족해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애써 무시되어왔던 부부간의 성 욕구표현과 성 수행불안이 성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파악해 봄으로서, 부부간의 갈등문제 중에 중요한 요인인 성적갈등에 대처하고, 성생활만족도를 증진시켜 행복한 부부생활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 수집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기혼 남녀들을 대상으로 2006년 3월6일부터 3월28일까지 3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267부를 바탕으로 SPSSWIN 1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문항은 검증된 측정도구가 없어서 본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부분적으로 활용하고 나머지는 직접 작성하여 예비조사를 한 후 요인분석에 의하여 변수의 타당도가 높은 것만을 추출하여 본 설문에 활용하였다. 인구학적 속성에 관한 내용은 빈도 분석을 주로 하였으며, 성 욕구표현과 성 수행불안과 성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과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성 욕구표현과 성 수행불안과 성생활만족수준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남녀에 따라 성 욕구표현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 수행불안과 성생활만족도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 욕구표현과 성 수행불안이 성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 욕구표현과 성 수행불안은 성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부부생활에 있어서 성 욕구표현과 성 수행불안은 성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대단히 큰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 예비부부, 신혼부부, 중년기부부, 노년기부부를 대상으로 하는 성 욕구표현, 성 수행불안 등을 포함하는 성 의사소통기법과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고 운영하는데, 체계적인 실시와 교육지원을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민간단체들에 대한 성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활동에 대한 경제적 지원 또한 필요하다. 이러한 예방적, 사후적인 사회복지 시스템과 접근성이 용이한 성교육프로그램 실천과 지속적인 서비스는 성의 무지에서 오는 부부간의 불필요한 성적갈등에 대처함으로써, 많은 기혼부부들이 왜곡된 성 지식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일이 줄어들 것이며, 이로 인해 가정해체로 이어지는 불행한 일을 사전에 줄일 수 있어, 이혼으로 야기되는 가족구성원의 사회적 부적응에 의한 사회혼란을 최소화하고 행복한 부부생활에 도움을 주어 건강한 사회를 형성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 부부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주부의 가정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혜경 숙명여자대학교 1992 국내석사

        RANK : 247807

        부부중심의 핵가족으로 변화해 가는 우리나라의 현시점에서 부부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은 가정 생활을 행복하게 영위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통하여 주부는 가정경영시 합리적이고 올바른 의사결정으로 보다 우수한 가정관리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부부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 정도와 주부의 가정관리능력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고 또한 이들이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며 부부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주부의 가정관리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는 동시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를 규명함으로써 보다 부부간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이 되기 위한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합리적이고 계획적인 가정관리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 정도는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며 이는 사회, 인구학적 변인(연령,학력, 결혼지속년수, 자녀수, 가족 형태, 소득, 직업)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주부의 가정관리능력은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며 이는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부부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 정도에 따라 주부의 가정관리능력은 차이가 있는가? 넷째, 종속 변인인 주부의 가정관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독립적인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커뮤니케이션 정도, 대화시간, 대화유형, 대화빈도, 대화일치도, 가정관리능력, 일반적 사항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 조사대상자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자녀 1명 이상을 둔 배우자가 있는 주부로 선정하였으며 최종적 분석에 사용된 질문지는 418부이다. 표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률, 평균, 표준편차, t-test, F-test,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단체적 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및 논의를 통하여 유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 정도의 평균은 중간점보다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볼때 부부간 대화시간은 하루에 약 2시간 정도로 나타났고 대화유형에 있어서는 중간점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나 개방형에 가깝다고 볼 수 있으며 대화빈도는 중간점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고 대화일치도에서는 중간점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부부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의 정도는 부인의 연령(P<.05),부인의 학력(P<.001), 남편의 학력(P<.001),소득(P<.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주부의 가정관리능력은 평균이 중간점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행위별 하위영역에서는 통제, 지도, 조정, 계획, 평가순으로 낮아지고 있으며 대상별 하위영역에서는 금전관리면이 가장 높고 지식, 기능관리면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주부의 가정관리능력은 학력(P<.001), 자녀수(P<.05), 소득(P<.05), 남편의 직업(P<.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부부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 정도에 따라 주부의 가정관리능력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대화유형이 개방형에 가까울수록 대화빈도가 많을수록 대화일치도가 높을수록 주부의 가정관리능력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종숙 변인인 주부의 가정관리능력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대화일치도(β=0.43)이고 그 다음이 주부의 학력(β=0.38)로 나타났으며 이들 설명력은 26%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1)to identify the overall levels of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home management ability, (2)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home management ability, (3)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home management ability. For the purpose reviewing literatures and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selected the samples from wives living in Seoul, who has children more than one and spouse. Among a total of 600 respondents, 418 wives were finally selected as a data sources, and the other were discarde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ies, percentile, t-test, F-test, pe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t results are as follows: (1)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 fe score was 3.22. To refer to subclassfication,communication time between husband and wife was two hours a day. The level of communication style was above average, and it implies opened style. communication frequency was under average, communication agreement was above average.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wife differs significantly according to wive's education level, husband's education level, income. (2) Home management ability score was 2.47. In behavior specific, home management ability score of control, coordination and guidence were relatively high, and that of evaluation and planning were relatively low. In object specific, home management ability score of money was the highest, and that of knowledge and skills were lowest. This home management ability differs significantly according to wive's edcation level, child number, income, husband's occupation. (3)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had an influenced on home management ability. (4)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home management ability. (5) Home management ability was dependently affected by the following variables in order : communication agreement, wive's education level.

      • 부부갈등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대처효율성의 조절효과

        임수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아동의 대처효율성(coping efficacy)이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를 갖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조사대상자들은 서울 및 경기도 지역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391명(남자 210명, 여자 181명)이었다. 조사대상자들은 연구절차에 따라 Gryth와 Fincham(1993)의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척도(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CPIC)'를 권영옥과 이정석(1997)이 한국판으로 표준화 한 것과 CPIC의 하위척도인 '대처효율성 척도', 그리고 Achenbach(1991)의 '아동, 청소년 자기보고식 문제행동척도(Youth Self Report: YSR)'를 오경자 등(1991)이 번안하여 표준화한 K-YSR 등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조사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교차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과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 및 대처효율성 간의 정적인 상관이 나타냈다. 즉, 부부갈등을 많이 지각할수록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많이 보였고, 대처효율성이 낮을수록 문제행동을 많이 보인다. 또한 부부갈등을 많이 지각할수록 대처효율성이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과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대처효율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여아에서는 부부갈등과 대처효율성이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주 효과와 부부갈등과 대처효율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부부갈등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대처효율성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아에서는 부부갈등과 대처효율성이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주 효과는 나타났지만, 부부갈등과 대처효율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남아의 대처효율성은 부부갈등과 남아의 문제행동 사이에 조절효과를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이 부부갈등 상황에 노출되었을 때 부적응적으로 나타나는 아동의 문제행동을 줄이기 위해 아동이 가지고 있는 대처효율성이라는 보호요인을 연구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아동이 부부갈등 상황에서 적응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대처효율성을 높여주어야 한다. 즉, 부부갈등이 있는 가정환경에서 자라는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예방하는 데 있어서 대처효율성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s' marital conflicts on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efficac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91 students (210 boys and 181 girl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CPIC) Scale designed by Gryth & Fincham (1992), and Coping Efficacy Scale, Youth Self Report (YSR) designed by Achenbach (1987) were administered to them. Frequency analysis, cross tab,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for the data using SPSS statistical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marital conflict and coping efficacy. That is, the more the children perceived the parents' marital conflicts, the greater they exhibite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The fewer coping strategies they had, the more they experience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more of their parents' marital conflicts also utilized less efficient coping skills. Second, the coping efficacy functioned as a buffering variable for children who experienced their parents' marital conflicts. It reduced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were demonstrated only by the girls, not boys.

      •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성 지식 수준의 성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김요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부부간 의사소통과 성 지식 수준이 성 만족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검증하고, 더불어 성관계에 관한 많은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살펴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배경변수(성별, 연령, 경제적 수준, 종교, 결혼기간, 부모 봉양 여부 등)에 따라 성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개인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성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부부 의사소통 유형에 나타난 언어적 표현 정도에 따라 부부간 성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가? 넷째, 부부 의사소통 유형에 나타난 감정 노출 정도에 따라 부부간 성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성 지식 수준과 성 만족도는 상관이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에서 거주, 혹은 근무하고 있는 1224명(612쌍)의 부부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264명(132쌍)의 유효설문을 가지고 분석을 하였다. 연구도구는 Hawkins 등이 개발한 의사소통 유형 검사지와 Derogatis Sexual Functioning Inventory 중 성 지식 수준, 성 만족도를 측정하는 문항을 종합하여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을 통해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종교, 결혼기간, 결혼형태, 교제기간, 자녀 수, 가족수입, 부모 봉양 여부 등의 11가지 개인 배경변수 중 학력, 결혼형태, 가족수입, 교제기간 등의 4가지 요인이 성 만족에 중요한 관련 요인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즉 학력이 높을수록, 연애결혼을 했을 때, 가족수입이 많을수록, 교제기간이 짧을수록 성 만족도가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둘째, 개인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성 만족도는 차이가 있고, 언어적으로 개방적이고 감정 노출 정도가 높은 친숙형의 성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언어적으로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부부가 폐쇄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부부보다 성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감정의 노출 정도가 높은 유형의 의사소통을 하는 부부들이 감정노출 정도가 낮은 유형의 부부보다 성 만족도가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다섯째, 성 지식 수준과 성 만족도는 높은 상관을 보이고 있으며, 성 지식 수준이 높을수록 성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기초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지금까지 중요성이 간과되었던 부부간의 의사소통이 성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고, 성 지식 수준이 성 만족도와 깊은 연관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성 지식은 성 만족도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건전한 성 지식 습득을 위한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전문가들이 성인 부부들을 대상으로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배우자와 친밀하게 의사소통 하려는 부부간의 노력이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건전한 성 지식을 습득하려는 개인의 노력과 아울러 이러한 것들을 돕기 위한 전문가들의 성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들로 인해 부부간에 의사소통이 활발해질 수 있고 성 만족도가 향상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veal the relation among the marital communication style, the level of sexual knowledge, and the sexual satisfactions. In addition, it aims to provide useful data to the successive studies on the sexual behavior. Subjec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Do individuals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income level, religion, length of marriage, family composition, etc., have any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sexual satisfaction? (2) Does the personal communication style have any impact on the level of sexual satisfaction? (3) Does the openness of communication style have any impact on the level of sexual satisfaction? (4) Does the level of disclosure in communication style have any impact on the level of sexual satisfaction? (5) Does the level of sexual knowledge have any impact on the level of sexual satisfaction? Of the data from a survey on 1224 husbands and wives (612 married couples) who live or work in Seoul, the study analyzed 264 valid responses (responses from 132 married couples). The study utilized the communication style questionnaire developed by Hawkins et. al., and questions in Derogatis Sexual Functioning Inventory which are designed to help determine the level of sexual knowledge and sexual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can summarized as follows: (1) Among the 11 background variables, individuals' educational attainment, the type of marriage, the income level, and the length of pre-marital association are four most significant explanatory variables for the level of sexual satisfaction. (2) Couples with "contactful" communication style tend to achieve the highest level of sexual satisfaction. (3) Couples with open communication style tend to achieve higher level of sexual satisfaction. (4) Couples with high level of emotional disclosure tend to achieve higher level of sexual satisfaction. (5) Couples with high level of sexual knowledge tend to achieve higher level of sexual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study concludes that : (1) The communication style and the level of sexual knowledge, which have been overlooked due to various reasons, d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sexual satisfaction. (2) Since the level of sexual knowledge is an important determinant for the level of sexual satisfaction, specialists' efforts to develop effective sexual education program should help improve the overall level of sexual satisfaction of inquiring couples, along with individuals' efforts to develop intimate communication skills and to become more familiar with healthy sexual knowledge.

      • 부부 갈등에 기인한 별침의 선택으로부터 해소까지의 과정에서 나타난 부인의 심리적 특성

        박진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부부 갈등 때문에 별침(別寢) 상태를 선택한 후 다시 이를 해소 [즉, 동침(同寢)]할 때까지의 과정을 살펴보면서 단계별로 나타나는 심리적 특성을 탐색해보는 것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5년 이상 결혼생활을 지속하고 있었고, 부부 갈등의 대처방식으로 별침을 최소 2회 이상 선택한 경험이 있었으며, 그리고 그 별침의 기간이 1일 이상 2개월 이하이었던 30대부터 50대까지의 기혼 여성 21명이었다. 또 여성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얻어진 결과를 해석할 때 남성의 관점을 참고할 목적으로 별침 선택의 경험이 있었던 기혼 남성 3명도 추가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심층면접으로 이루어졌고, 면접 시 녹음된 내용은 연구자에 의해 축어록으로 작성되었다. 그 축어록의 검토는 심리학 박사학위를 소지한 두 명의 전문가들과 함께 했으며, 그 결과 개념들이 발견되었고 또 비슷한 개념들을 묶어서 범주가 형성되었다. 그리고 형성된 범주는 부부 갈등의 파생으로부터 별침 그리고 별침 이후 동침에 이르는 과정의 단계별로 다시 분류ㆍ정리되었다. 부부 별침에서 동침에 이르는 과정은 갈등 전개, 별침 개시, 별침 전기, 별침 후기, 동침 계기, 그리고 동침 후 갈등 해소 등 모두 6단계로 구분되었다. 첫째, 갈등 전개 단계에서 부부 갈등의 원인은 가사분담, 친인척 관계, 자녀문제, 경제적 문제, 문제행동, 개인특성 등이었다. 이들은 모두 갈등 당시 의사소통이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못해서 결국 부부 별침으로 이어졌다. 부부가 갈등을 겪을 당시 기혼 여성들의 심리적 특성은 답답함, 자존심 손상, 화가 남, 보기 싫음 등이었다. 둘째, 별침 개시 단계는 남편이 스스로 다른 장소로 나가서 자거나, 아내가 남편을 다른 장소로 나가서 자라고 쫓아내거나, 부인이 스스로 다른 장소로 나가서 자거나, 그리고 부인을 다른 장소로 가서 자라고 쫓아내는 등 네 가지 상황으로 구분되었다. 이 단계에서 드러난 기혼 여성들의 심리적 특성은 후련함, 괘씸함, 거절당한 느낌, 배신감, 갈등 상황의 악화 방지에 대한 고마움, 양가감정, 복수심 등이었다. 셋째, 별침이 개시된 이후 동침이 이루어지기 전까지의 과정 중 전반기에는 부인이 분노 감정을 가라앉히지 못해 동침할 의사가 없었다. 이 단계에서는 의사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서 답답함을 느꼈고 마주치면 불편하여 남편을 회피하였다. 이 단계의 의사소통 형태는 언어적 표현이 있는 경우(예, 필요한 말만 요점 형태로 간단히 전달, 자녀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전달 등)와 언어적 표현이 없는 경우(예, 남편을 투명인간 취급, 말을 전혀 하지 않으면서 행동만을 취함 등)로 구분되었다. 넷째, 별침이 개시된 이후 동침이 이루어지기 전까지의 과정 중 후반기에서 부인은 별침상태 전반기보다 동침할 의사가 더 높았으며, 의사소통도 조금 더 완화된 상태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부부간에 주도권 행사를 하기 위한 힘겨루기에서 밀릴지도 모른다는 생각 때문에 부인은 남편에게 먼저 다가가지 않았고, 그 대신 남편이 적극적으로 다가오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다섯째, 별침 상태에서 다시 동침이 이루어진 계기는 타인에 의한 경우와 남편이나 아내가 먼저 화해의 의지를 보인 경우였다. 여섯째, 동침 이후 갈등 해소 단계에서의 부부간 성적 상호작용 양상은 부인의 불편한 감정 해소 정도와 동침 당일 성관계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 단계에서 기혼 여성들의 심리적 특성은 친밀감, 긴장감 해소 및 편안함 등이었다. 본 연구는 부부갈등으로부터 별침의 선택 그리고 동침에 이르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기혼 여성들의 심리적 기제를 밝혀내어 부부상담 및 부부치료에서 개입방법을 제시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었다.

      • 발달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부부적응과의 관계

        김관주 대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을 둔 가족에게 있어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부부 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아버지 양육참여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건강한 가족 기능을 돕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ㆍ경기, 대구ㆍ경북, 충청 남ㆍ북, 부산ㆍ울산ㆍ경남, 전남ㆍ제주지역에 소재하는 장애아동전담 보육시설 32곳의 0세부터 12세사이의 발달장애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242가정의 부부였다. 연구를 위해 사용한 측정 도구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를 측정하기위해 최경순(1992)이 제작한 아버지 양육참여도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Abidin(1983)이 개발하고, 다시 축소ㆍ개정된 양육스트레스 척도(PSI/SF: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1990)를 서혜영(1991)이 사용한 PSI/SF를 사용하였다. 또한 부부 적응은 결혼생활 및 안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Spanier(1976)가 개발한 (Dyadic Adjustment Scale)의 우리말 번역본인 부부관계 적응척도(Dyadic Adjustment Scale)를 사용했다(이민식, 김중술, 1995).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인구론적인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평균 및 표준 편차,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Cronbach's alpha를 산출하였다. Pearson 상관관계분석, t검증, F검증(ANOVA)을 실시하였고 각 하위 영역에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Scheffe 사후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으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높으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낮아지고,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낮으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부부 적응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으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높으면 부부 적응도 높고, 양육참여도가 낮으면 부부 적응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부부 적응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으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부부 적응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 양육참여도는 자녀특성(자녀 성별, 연령, 장애정도) 및 아버지 일반 특성(아버지 연령, 아버지 학력, 가정의 월수입)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는 자녀특성(자녀 성별, 연령, 장애정도) 및 어머니 일반 특성(어머니 연령, 학력, 취업 유무)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was done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merital adjustment in a family having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and help good function of family. The subjects were 242 couples having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of the age between 0-12. The research was distributed to 32 educare center for the disabled children located in seoul· kyounggi province, Daegu·kyoung-buk province, The north and south of Chungchong, Busan·Ulsan·Kyongnam province, Jeon-nam province, Jeju island. Inorder to measure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Examination Tool created by Kyungsoon Choi(1992) was used as the measurement tool. For measuring mother;s parenting stress, Parenting Stress Index(PSI)/Short Form(SF) developed by Abidin(1983) adepted by Haeyoung Seo(1991)was used. Also to measure marital adjustment , Dyadic Adjustment Scale made by Spanier(1976)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dows ver 12.0.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o investiga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 instrument, Cronbach a was calculated. For the each research question, Pearson's correlation and t-test, F-test(ANOVA), Scheffe-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has an effect on mother's child rearing stress. The more fathers participated in child rearing the less mother's child rearing stress was. Second, it was found that a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has on effect on the marital adjustment. The more fathers participated in a child rearing, the marital adjustment got higher. Third, Mother's parenting stress showed that as the stress is high the marital adjustment was low. Fourth,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characteristics( children's age, sex, and the degree of handicap) and father's general characteristics( father's age, education, income) Fifth,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characteristics( children's age, sex, and the degree of handicap) and mother's general characteristics( mother's age, education, having job or n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