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의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부모교육 실태

        이화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해 유치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부모교육의 실태 및 부모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요구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살펴 볼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부모교육 실태는 어떠한가? 1-1. 부모교육의 실시, 횟수, 시기는 어떠한가? 1-2. 부모교육의 내용, 유형은 어떠한가? 1-3. 부모교육의 효과는 어떠한가? 1-4. 부모교육의 장애요인은 무엇인가? 2.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공·사립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으며 부모교육을 계획하거나 진행하는 원감 또는 만 5세 담임을 맡은 경험이 있는 교사 149명과 서울시에 소재한 공립 초등학교에 다니는 1학년 자녀를 둔 부모 중 취학 전 유치원에 자녀를 보낸 경험이 있는 부모 222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유아의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부모교육 실태 및 교사와 부모의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교사용, 부모용 설문지이다.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설문지 결과를 각 항목에 의거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또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요구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부모교육의 실태 1)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부모교육의 실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하는 횟수는 연 1회 실시되는 곳이 많았으며 주로 학년 말에 실시되었다.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을 실시하는 사람은 원장 또는 원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을 실시하는 유형은 강의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가정통신문, 개인면담의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의 내용으로 기본생활습관 지도를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으며, 입학 시기 결정, 학습지도, 또래관계의 형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 시 대부분 유치원에서 부모에게 유인물 자료를 제공하고 있었다.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시 부모들은 교사에게 유아의 또래관계, 유아의 학습능력, 학습지도에 대한 조언, 자녀의 초등학교 적응 여부에 대해 많이 질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부모교육의 평가를 분석한 결과 부모교육의 실시가 부모에게 비교적 도움이 되거나 보통이라고 효과를 인식하였다.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 부모교육 자료의 부족이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2.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부모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요구 1)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교사와 부모가 필요하다고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부모들은 자녀를 초등학교에 보내면서 궁금하거나 곤란했던 적이 보통이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녀의 또래관계 형성에 대해 가장 궁금하고 곤란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를 초등학교에 보내면서 어려움이 있을 때 부모들이 제일 많이 참고로 한 자원은 다른 자녀를 초등학교에 보내 본 경험이었다. 2)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의 실시에 대한 부모의 요구를 알아보면 부모들은 연 2회, 학년 말에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을 받기 원하고 있다. 부모들은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의 실시자로 초등학교 교사를 가장 선호하였다. 부모들은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의 유형 중 부모들은 강의를 가장 원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집단 토론 모임과 개인면담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 시 자료가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주로 소책자를 제공받기를 원하고 있었다.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요구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부모는 교사보다 유아의 건강점검과 입학 준비물 안내에 대한 부모교육 내용이 더 필요하다고 본 반면, 교사는 입학시기 결정에 대한 부모교육 내용이 더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 외에 교사들은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의 내용으로 부모들의 마음가짐과 자세를 가장 많이 요구하고, 부모들은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의 내용으로 인성교육을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었다. 3)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의 개선방안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시 부모의 잘못된 인식과 비전공자의 부모교육 실시를 문제점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개선점으로는 경험있는 부모교육 실시자의 활용과 부모교육 자료의 개발 및 활용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부모들은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시 대집단 형태의 강의에 대한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에 대한 개선점으로 집단토론 모임의 활성화를 높게 요구하였다. This thesis is aimed to determine the actual condition of education given to parents by kindergartens and the requests of teachers and parents for the education, to help infants adapt themselves to the first step in their elementary school. The topics of researches to accomplish such an aim include the following: 1. What is the actual condition of education given to parents by kindergartens to help infants adapt themselves to the first step in their elementary school? 1-1. What are the frequency and time of education given to parents by kindergartens? 1-2. What are the contents and types of the education? 1-3. What are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1-4. What are the obstacles to the education? 2. What are the requests of teachers and parents for the education to help infants adapt themselves to the first step in their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49 head teachers and teachers previously in charge of 5-year old infants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who are planning or conducting the education for parents, and 222 parents whose children have finished the kindergarten education and are the first graders in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teachers and parents,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and t-tested to get relevant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the analyses include the following: 1.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ducation given to parents by kindergartens to help infants adapt themselves to the first step in their elementary school 1) It is reported that most kindergartens are providing education to parents to help infants adapt themselves to the first step in their elementary school. The education is preferably conducted once a year at the end of a semester by the head or head teacher of a kindergarten. The education is implemented the most frequently through lectures, followed by correspondences delivered to homes and personal interviews. The most favored teaching subject is the guidance for the basic practices of children's life, followed by the decision of the time to send children to an elementary school, and the guidance for learning. Most kindergartens supply printed matters to parents, who often ask teachers questions about the peer relationship and learning abilities of infants. 2) It is recognized that parents are usually or relatively helped by the education given to them by kindergartens to help infants adapt themselves to the first step in their elementary school. Lack in appropriate materials is the greatest obstacle to the education. 2. The requests of teachers and parents for the education to help infants adapt themselves to the first step in their elementary school 1) Both teachers and parents acknowledge the great need for education given to parents by kindergartens to help infants adapt themselves to the first step in their elementary school. In particular, parents are often or sometimes faced with difficulties or anxiety in sending their children to an elementary school, and they are wondering the most about the peer relationship formed among infants. Confronted with such difficulties, parents refer to the most frequently to the experiences of others who have already sent their children to an elementary school. 2) Parents want to be trained two times a year at the end of a semester in the education given by kindergartens to help infants adapt themselves to the first step in their elementary school. Parents prefer the most to be trained by teachers of an elementary school. The most favored type of the training is a lecture, followed by a group discussion and a personal interview. Most parents recognize the need for appropriate materials to be distributed during the training, and booklets are the most wanted learning material. Parents recognize a more urgent need for the guidance about the health examination of infants and things to be prepared for sending children to school, while teachers a more urgent need for the guidance for parents about deciding the time of sending their children to school. 3) In relation to the education given to parents by kindergartens to help infants adapt themselves to the first step in their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mand the improvement of parents' wrong recognition of the education and the change in inefficient trainers for the education. Accordingly, it is highly required that practical instructors should be invited and the materials for the education developed and fully utilized. Parents are recognizing the problems of lectures delivered in front of a large audience. As such, it is considerably needed that group discussions be activated to enhance the education given to parents by kindergartens to help infants adapt themselves to the first step in their elementary school.

      •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종훈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초등학교 학부모들의 부모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Ⅰ :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효능감을 증진시킬 것이다. 가설 Ⅱ :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킬 것이다. <Ⅱ-1>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의 고통을 감소시킬 것이다. <Ⅱ-2>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자녀의 역기능적인 상호작용을 감소시킬 것이다. <Ⅱ-3>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을 감소시킬 것이다. 위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M초등학교 학부모 16명을 실험집단으로 하였고, 그와 동일집단으로 검증된 초등학생을 자녀로 둔 학부모 18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부모교육프로그램은 MBTI 지표활동과 P.E.T. 활동, 아버지 교육활동을 통합구성하여 적용하였다. 부모교육프로그램은 실험집단에만 12회, 일주일에 2씩, 1회기에 2시간씩 실시하였으며, 총 6주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검사도구는 우희정(1993)의 부모역할효능감 척도와 Abindin(1990)의 부모스트레스지수/단축형(PSI/SF)이다. 자료분석의 방법은 실험·통제 두 집단에 대하여 각 척도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을 SPSSWIN 14.0 프로그램을 이용한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 및 비교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부모효능감 검사 사후 검증결과 실험집단이 부모효능감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양육스트레스 검사 사후 검증 결과 두 집단간에는 양육스트레스 영역 중 부모의 고통, 부모·자녀의 역기능적인 상호작용,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 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내린 결론은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학부모들의 부모효능감 향상과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효과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on Parenting Efficacy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For that purpose,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Hypothesis Ⅰ : Parent who experience Parent Education Program will show increase in Parent Efficacy. Hypothesis Ⅱ : Parent who experience Parent Education Program will show decrease in Maternal Parenting Stress. Ⅱ-1 : Parent who experience Parent Education Program will show decrease in Parental Distress. Ⅱ-2 : Parent who experience Parent Education Program will show decrease in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Ⅲ-3 : Parent who experience Parent Education Program will show decrease in Difficult Child in parent's mi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earcher selected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rom mothers of students who 4th-grade at M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had been examined same. The members of experimental group were 16. There were 18 in control group.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including the index activities in MBTI, P.E.T., fathers group education was only applied to the experiment group two times a week. Each session lasted for two hour and the entire application peiod was six weeks. The Indexes of Parenting Self-Efficacy Scale(PSES) by Uh H Jung(1993) and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PSI/SF) by Abidin(1990) were used to verify the dffects of the program. In analyzing the data, both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were pre-tested and post-tested for each index item. The data were then t-tested using SPSSWIN 14.0.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f the Parent Program was post-tested after applying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designed to help develop Parent Efficacy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Parent Efficacy.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f the Parent Program was post-tested after applying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designed to help develop Maternal Parenting Stress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ections of Parental Distress,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Difficult Child in parent's mind in Maternal Parenting Stress. Thus it was concluded that the Parent Educational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arent Efficacy and decreasing the Maternal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s.

      • 교회학교 유아의 신앙발달을 위한 부모교육의 인식 및 실태조사

        원희정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lays its purpose on providing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parental roles for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faith in church schools by understanding parents' perceptions of the necessity of instruction for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faith in church schools and also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nd then analyzing the actual state of parental roles, with the subjects of Christian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How do parents perceive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ir young children's faith in church schools? 2) How do parents perceive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parents with their young children in church schools? 3) How is the actual state of parental roles for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faith in church schoo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6 parents (183 fathers and 183 mothers) with young children in 10 church schools in Seoul, selected by random sampling. As a researcher tool, tools used in 'A Study on Parents' Perceptions on and Demands for Education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in Church Schools' by Kim Yeong-hui (2003), and 'An Investigative Study on Christian Parents' Awareness of Educational Responsibility for and the Actual State of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Faith' by Lee Seong-bok (1999) and 'A Study on Parents' Roles for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Faith' by Jin Myeong-ok (2003), were borrowed by being modified and complemented properly for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have gone through statistical processes-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sponse analysis, Chi ()-test and independent t-comparison, by the SPSS WIN 2.0. The results of the study by research questions are as below. First, in parents' perceptions of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faith in church schools in Seoul, 78.1% of the parents in total responded that 'it is necessary',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thers (64.5%) and mothers (91.8%), (=43.254, p<0.001). Second, in parents' perceptions of the necessity of parent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faith in church schools, 49.2% of the parents responded that 'I think it is very necessary',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thers (38.8%) and mothers (56.9%), (=51.423, p<0.001). Third,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actual parental roles for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faith in church schools, by items-family worship, praying, the Bible, chanting, church schools, models of faith, and admonition and conversation, are as the following. - Family worshi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family worship according to fathers (20.2%) and mothers (32.8%), (=47.414, p<0.001). - Time for praying with childre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thers (53.6%) and mothers 91.3% (=65.105, p<0.001). - Whether parents read the Bible to their childre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thers (36.6%) and mothers (62.9%), (=51.708, p<0.001). - Whether parents chant with their childre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thers (44.3%) and mothers (84.7%), (=68.246, p<0.001). - Church schools: 54.6% of the fathers and 82.5% of the mothers responded that their children attend church schools, indica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47.180, p<0.001). - Parental models of fai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dels of faith, church services and collections between fathers and mothers,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dels of praying, the Bible, and thanksgiving between fathers and mothers, showing average 3.00 (fathers) and 3.29 (mothers) (t=-2.755, p<0.01), average 2.73 and 3.02 (t=-2.608, p<0.01), and average 3.06 and 3.25 (t=-1.968, p<0.05), respectively. - Admonition and conversation: It was revealed that 43.7% of the fathers and 73.2% of the mothers talk with their children once they find something wrong,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70.117, p<0.001). Therefore, we could understand that in Christian parents'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faith and parent education for it in church schools, overall awareness was high, while there is a fair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of parents. In addition, when analyzing all factors of faith education regarding the actual state of parental roles, largely mothers rather than fathers are more interested and play a role in developing their children's faith. In light of this, we can explain that largely, only mothers play a role in and take respon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s faith in church school settings, in the absence of fathers in terms of the role and responsibility.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기독교 가정을 대상으로 유아의 신앙발달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 대한 부모의 인식과 교회학교 유아부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고, 부모역할의 실태를 분석해봄으로써 교회학교 유아의 신앙발달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부모역할의 방법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회학교 유아의 신앙발달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2) 교회학교 유아부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3) 교회학교 유아의 신앙발달을 위한 부모역할의 실제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의 위치한 교회학교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무선표집한 10교회의 유아부 부모(부:183명, 모:183명)로서 총 366명이다. 연구도구는 , ‘김영희(2003)의 ‘교회학교 영&#8228;유아부 부모교육에 관한 부모의 인식 및 요구 조사’, ’이성복(1999)의 ‘유아의 신앙교육을 위한 기독교인 부모의 교육적 책임 인식 및 신앙교육현황 조사연구’, ‘진명옥(2003)의 ‘유아의 신앙발달을 위한 부모 역할 연구’등의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들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수정&#8228;보완하며 사용하였다. 연구에 수집된 자료처리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 카이검증(), 독립비교 t-검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지역 교회학교 유아부 부모의 신앙발달에 대한 필요성에서는 78.1%의 부모가 ‘필요하다‘고 나타났으며, 아버지는 64.5%, 어머니는 91.8%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43.254, p<0.001). 둘째, 교회학교 유아부 부모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다. 부모들은 교회학교 유아부에서 부모교육에 대하여 ‘아주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49.2%로 나타나 필요성이 높게 인식되었으며, 아버지는 38.8%, 어머니는 59.6%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51.423, p<0.001). 셋째, 교회학교 유아의 신앙발달을 위한 부모역할의 실제적인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서 가정예배, 기도, 성경, 찬양, 교회학교, 신앙의 모범, 훈계 및 대화로 나눈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가정예배 : 아버지 20.2%, 어머니 32.8%로 나타나 부모에 따라 가정예배 실시에 대한 의견에 유의미한 차이를(=47.414, p<0.001) 나타내었다. - 자녀와 함께 기도하는 시간 : 아버지 53.6%, 어머니 91.3%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65.105, p<0.001) 나타내었다. - 자녀에게 성경을 읽어주는 여부 : 아버지 36.6%, 어머니 62.9%로 어머니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51.708, p<0.001) 보였다. - 자녀와 함께 찬양을 부르는 여부 : 아버지 44.3%, 어머니 84.7%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68.246, p<0.001) 나타내었다. - 교회학교 : 아버지는 54.6%, 어머니 82.5%로 자녀가 교회학교에 참석한다고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47.180, p<0.001) 나타내었다. - 부모의 신앙의 본 : 신앙모범과 예배모범, 헌금모범은 아버지, 어머니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그러나 기도모범은 아버지 평균 3.00, 어머니 평균 3.29로 유의미한 차이를(t=-2.755, p<0.01), 성경모범은 아버지 평균 2.73, 어머니 평균 3.02로 유의미한 차이를(t=-2.608, p<0.01), 감사모범은 아버지 평균 3.06, 어머니 평균 3.25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t=-1.968, p<0.05) 나타냈다. - 훈계 및 대화 : 아버지 43.7%, 어머니 73.2%가 발견즉시 대화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70.117, p<0.001) 나타냈다. 따라서 기독교가정의 부모는 유아의 신앙발달에 필요성과 교회학교 부모교육의 필요성의 인식에 있어서 전체적인 인식은 높으나 부모의 성별에 따라 아주 상이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부모역할의 실제에 있어서 신앙교육의 모든 요소들을 분석해 볼 때에도, 유아의 신앙발달의 관심과 역할은 전적으로 어머니에게 편중되어 있었다. 이처럼 오늘날 교회학교 유아의 신앙발달을 위한 부모의 역할은 대부분 아버지의 부재 속에서 어머니만이 그 책임을 맡아 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선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위의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율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인 실험집단은 전북 M지역 G유치원에 자녀를 둔 어머니들(30명) 중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어머니 15명이고, 통제 집단은 동일한 유치원에 부모교육을 신청하지 않은 어머니 15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도구는 Schaefer, Bell과 Bayley(1959)의 MBRI(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1959)‘를 번안하여 최혜경(2005)이 수정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 집단 어머니들은 본 연구자가 진행하는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하였으며, 기간은 주 1회씩 총 9회기이며 회기당 2시간 40분씩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PSS/ for window 19.0을 사용하여 두 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증가분의 t검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 양육태도의 애정적 양육태도의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 양육태도의 거부적 양육태도의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 양육태도의 자율적 양육태도의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는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율적 양육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 양육태도의 통제적 양육태도의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는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 부모교육을 병행한 놀이중심현실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효과

        박지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applied Play-based Reality Therapy Program with Parent Education o children with a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and their mothers experiencing conflicts in mother?child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children’s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self?control,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their mother?child relationship. First, the method of integrating play into therapy was design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reality therapy, and reality therapy was applied based on play techniques in consideration of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theory. The therapy was named ‘a play?based reality therapy program’ in this study. In order to supplement the limitation of the play?based reality therapy program applied only to children, parent education was executed togeth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 pairs of child and mother who complained of difficulty in mother?child relationship sampled among children found to have a potential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by the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and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8 pairs) and the control group (n=8 pairs). The play?based reality therapy program was applied to the children twice a week, 50 minutes per session, and a total of 16 sessions, and parent education was applied to the mothers once a week, 90 minutes per session, and a total of 8 session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is study measured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self?control, and mother?child relationship(mother?child relationship, mother?child communication) for the children with a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and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mother?child relationship(mother?child relationship, mother?child communication) for the mothers after the application of play?based reality therapy program ith parent educat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nalysis methods were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made in order to see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Second, prior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tested through Mann?Whitney U?test. Third,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play?based reality therapy program with parent education. Fourth, communication and behavioral change were analyzed qualitatively in order to examine changes in the children and the mothers observed during the sessions of the play?based reality therapy with parent educat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lay?based reality therapy program with parent education improved positively the use of smartphone in the children with a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The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was mitigated and, as a result, some of the children were changed from the potential risk group to the ordinary user group. In addition, the children came to recognize problems in the use of smartphone during the process of therapy, and this reduced the use of smartphone and induced behavioral changes. Second, play?based reality therapy program with parent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ren’s self?control. After the program,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elf?control and they controlled their desire appropriately in group activities. Third, play?based reality therapy program with parent education caused positive changes in the subjects’ mother?child relationship(monther-child relationship, mother?child communication, parents’ rearing attitude). After the program, the children and the mothers recognized positive changes in their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became more affectionate and autonomous. Fourth, play?based reality therapy program with parent education brought positive changes to the children’s self?control and the mothers’ communication and parents rearing attitude. With these findings, this study has meaning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signed a play?based reality therapy program with parent education, and proved that the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for children with a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and their mothers. Second, by executing parent education for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a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staining the therapeutic effect observed in children and in preventing smartphone addiction. Third, for more reliable testing of effects, this study used various scales for the children and the mothers and, at the same time, conducted qualitative analysis for high validity of the results. Fourt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pproached children with a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in both preventive and therapeutic dimensions at the same time.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 아동과 이로 인해 모-자 관계에서 갈등을 겪고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부모교육을 병행한 놀이중심현실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목적은 프로그램 실시 후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 자기통제력, 어머니의 부모양육태도, 아동과 어머니의 모-자 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먼저 현실치료의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놀이를 접목할 방안을 모색하고, 각 이론의 장단점을 보완하여 놀이기법을 적용한 현실치료를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놀이중심현실치료 프로그램이라고 하였다. 아동에게만 실시되는 놀이중심현실치료 프로그램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부모교육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에 의해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 위험군으로 분류된 아동 중 모-자 관계에서 어려움을 호소하는 아동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실험집단 8쌍, 통제집단 8쌍으로 총 16쌍이였다. 프로그램은 아동에게는 놀이중심현실치료 주2회 50분씩 총 16회기, 어머니에게는 부모교육 주1회 90분씩 총 8회기가 진행되었다. 연구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부모교육을 병행한 놀이중심현실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 아동에게는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과 자기통제력, 모-자 관계(모-자 관계, 모-자 의사소통)을, 어머니에게는 부모양육태도, 모-자 관계(모-자 관계, 모-자 의사소통)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설 검증을 위해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다. 셋째, 부모교육을 병행한 놀이중심현실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사전-사후 차이를 살펴보고자 Wilcoxon signed rank 검정을 실시하였다. 넷째, 부모교육을 병행한 놀이중심현실치료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아동과 어머니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의사소통과 행동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육을 병행한 놀이중심현실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 아동의 스마트폰 사용 정도가 긍정적으로 개선되었다.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낮아져, 잠재적 위험군에서 일반 사용자군으로의 변화가나 나타났다. 또한, 치료 과정에서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문제 인식이 증가하면서 사용량이 감소하였으며, 실제 행동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교육을 병행한 놀이중심현실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의 자기통제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 아동은 자기통제력이 유의미하게 상승하였으며, 집단 내에서 자신의 욕구를 적절히 조절하며 통제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부모교육을 병행한 놀이중심현실치료 프로그램은 아동과 어머니의 모-자 관계(모-자 의사소통, 부모양육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아동과 어머니는 프로그램 실시 후 모-자 관계가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어머니의 부모양육태도는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태도로 개선되었다. 넷째, 부모교육을 병행한 놀이중심현실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의 자기통제력과 어머니의 의사소통, 부모양육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육을 병행한 놀이중심현실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본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 아동과 어머니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 아동의 어머니에게 부모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아동에게 나타난 치료 효과를 유지하고 지속하며,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명확한 효과 검증을 위해 아동과 어머니 각각에 다양한 측정도구를 실시함과 동시에 질적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결과의 타당도를 높였다. 넷째,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 아동을 대상으로 예방적 차원과 치료적 차원에서의 접근을 동시에 진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精神遲滯 特殊學敎 父母敎育 프로그램 構成을 爲한 基礎調査 硏究

        윤경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intends to supply the basic data for a parent education programs. I have studied the oper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that currently exist and the desire for a parent-teacher. Parent Education Program in a school for Mental retarded children. In order to survey parent programs, in the Dae-Jun, Chung-nam district, 32 parents with previous parentsprogram experience were chosen. To find iut if parents and teachers desire institution a Parent Education Programs, 63parentsand 50 teachers in a school for the handicapped, from the same district, have been questioned and surveyed. handicapped, from the same district, have been questioned and surveyed.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parent education program management that can be implemented in schools for the mentally handicapped parent education has been done once a term, and 1 or 2-hour parent education in a course is tje most. The survey was conducted mostly through individual counsels and group counsels. It is my belief that various other ways of education should be chosen such as the appointment of a special teacher solely responsible for handicapped children. The most important reason parents don't take part in parent-education is that proper parent-education programs do not exist. Second, the desire for parent-teacher participation in parent-teacher is that parents and teachers have confidence in the mental handicapped children, but they don't know how to teach their children well. Most parents and teachers replied. They also replied, another difficulty with handicapped children is that they are not properly taught according to their needs. Thus, we can concludethatcurrent methods educating of handicapped children are inadequate, and by instituting proper educational programs, we are acknowledging that parent-teacher cooperation is necessary. The desire for parent-teacher programs is the way of education that discussion or talk among participants is very important. We Believe the most effective time for a course is approximately sixty minutes. The best time to take part inthe educational process is from 9 Am. to 12(noon). Most parents and teachers chose the middle of the term(they could chose times ranging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term). They wanted the time of educational execution to be four times a year.(twice every term.) They also wanted parent education to be executed in the same school as their children.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program, both parents and teachers are essential in every aspect of the proram. The most necessary item is understanding and recognizing how handicapped children are best guided in daily life. Thirdl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eacher-groups and parent-groups in parent-education programs. The survey indicated that teacher-groups have a lot of confidence teaching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as opposed to parent-groups who have very little confidence in teaching. The difficulty in educating handicapped children as teacher-groups point out, is the lack of family understanding. In response to such claims, teacher-groups point out that they don't know how to properly teach their children. Therefore, both teachers and parents believe parent-education is necessary in teaching handicapped chilren. The difference of parents' desire about the way of parent-eduaction program progress is that parent-groups want the passive way that parent-group only hear the lecture, but teacher-groups want to adopt a active method, in which participants discuss topics with other parent-groups. Thus, it seems apparent what the difference is between each group desire. The difference in their desires about the times of parent-education execution is that parent-groups want to participate more than four times a year. The difference in their desires concerning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shows that parent-groups more strongly desire information than do teacher-group's. As seen by the free-question items, parent-groups want their handicapped children taught according to the child's aptitude or vocational education, and through counselling with other handicapped children's parent and specialists. However, teacher-groups want handicapped children to learn through a close connection placing an emphasis on learning how to perform daily routines. Therefore, in mentally handicapped schools, we believe parent-education programs are necessary for the proper development of its children and their parent.

      • MBTI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아수용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

        양영숙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유치원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MBTI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어머니의 자아수용과 양육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를 구체적으로 진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BTI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자아수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가? 둘째, MBTI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해 K시에 위치한 5유치원의 3~7세 원아 자모 98명중 자원한 어머니 40명을 대상으로 무선표집하여 통제집단 20명과 실험집단 20명인 두집단으로 나누었다. 이 두 집단의 어머니들 중 실험집단에 소속된 어머니들에게는 MBTI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1회 180분씩 총 6회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자료처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수용도 및 양육태도 사전-사후검사에서 얻어진 점수를 가지고 각 가설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집단간 평균득점 및 평균차의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BTI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어머니의 자아수용도가 통제집단의 어머니 자아수용도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 -2.566, p<.05). 둘째, MBTI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통제집단의 어머니 양육태도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5.255, p<.001).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MBTI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어머니의 자아수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MBTI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자아수용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MBTI를 활용한 프로그램은 부모 스스로 자기자신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여 자신의 고유한 장점을 인식하고, 자신의 성격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자신과 타인을 깊이 이해하게 되므로서 자신의 긍정적인 성격적 특성과 잠재력을 발견하고 개발하여 건강한 자아수용의 형성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MBTI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MBTI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앙육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MBTI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 자신의 성격유형에 따른 효율적인 양육태도를 이해하고, 자녀의 성격유형에 맞는 양육태도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으며, 통제하고 간섭하는 양육태도를 지양하고 대신 자녀들의 자율성 및 선택과 책임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민주적인 양육태도를 지향하도록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MBTI on mothers' self-acceptance and their child rearing attitud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investigated. First, does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MBTI have positive effects on mothers' self-acceptance? Second, does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MBTI have positive effects on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 40 of 98 mothers of the kindergarten children whose ages range from 3 to 7 were simpled in the city of K and used for the study.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six times (180 minutes/one time) and no treatment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The means and the standard deviations the pre of the child rearing attitude and self-acceptance from the two groups were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e t-test was us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the group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self-acceptanc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2.566, p<.05).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s of the self-acceptance scales than the control group. It seemed that the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mothers' self-acceptance. Sccond, regarding the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5.255, p<.00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s on the monthers' child rearing attitude scales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 showed the program seemed to had positive effects on monthers' child rearing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