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유아 보육프로그램의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대혁 東國大學校 社會科學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Nowadays, the radical social changes made women have changes to work with men in many fields so the care and education problems of their children became pending ones. According to this, more various educare programs of good quality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with for more effective educa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e opinions of the employees at daycare centers and the state of execution on the program presented in the standard law and the guide.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existing infant educare programs, in the condition of the practical educare programs not given us entire satisfaction this study intended to show you the standard of infant educare program which would meet the present needs. For these subjects, the literary study and the questionaire were simultaneously execu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f the contents of infant educare program, the weakest part was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participation program at community 2. It is analyzed that the participation rate is low in Hygiene and security program, while the importance of employees at a daycare facility was high. 3. In most of education programs, the participation rate was high, but as you know in the recognition of the employees at daycare facilities, we need more various developed programs than uniform program management. Compared with the importance of science education, execution rate of the program is low. When it is taken in to consideration that the development of science is connected directly with country's development, it is analyzed that the practical counter measure is needed. It is needed to supply the programs on thi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showed for reform of educare program in the future. First, the educare guide on the infant educare program should be established in more concrete ways. Second, the support of educare programs should be provided widely. Third, the development and high quality on the educare program should be intended. Fourth, the integrated function of educare program should be strengthen. Fifth, the educare facilitie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s a social facility which is interested in and responsible for. The relation between daycare facilities and community should be more strengthen than before. The socialization of daycare facilities will lead the residents and parent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and it will also contribute to the modernization of the present daycare facilities.

      • 방 과후 아동보육프로그램 개선방안연구 : 국·공립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정주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responsibility on children upbringing process is not only parents' due to the change of cognition in modern society and the role of society in child care became enlarged at present. These days when the importance of children's after-school educare programs for school-aged children is emphasized, this program is needed to be enlarged in active way considering it is able to reduce the burden on private education expenses by upbringing and care and protect children more safely and realize a welfare society ultimately.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lan to extend the after-school educare program in more useful and developmental aspect through educare centers on the basis of analysis and comparison result on each degree of demand in cognition on the after-school educare program, upbringing program and child care environment between the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s and parents. According the result of this study, there were several problems on the matter to be solved or improved like following. - Most people, generally, are in the lack of recognition on the necessity of after school childcare program and the importance of the program operation due to lack of social recognition on the concept of 'after-school childcare'. - The operation guide or principals described in details are too insufficient. - There are no programs with high quality as the operation guide or education process have been not defined yet. In order to solve or improve such several points stated above, it is suggested that proper operation guide and educational process and various after school educare programs that children require should be developed in more professionally. What is more, it should make people recognize that the main purpose of after school educare program is to care and nurture children by giving them sense of stability in psychology and emotion as its complementary function of home and school.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etailed guide or definition on the program and the law and system to guarantee and protect children's right in government level should be made surely in proper way.

      • 시간제보육사업 운영과 시간제보육프로그램 실행에서 나타난 어려움에 대한 시간제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 인식 비교

        김민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시간제보육사업 운영과 시간제보육프로그램 실행에서 나타난 어려움에 대한 시간제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의 인식을 비교해봄으로써 시간제보육 운영 방향성을 모색하고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의 시간제보육을 제공하는 어린이집과 육아종합지원센터 시간제보육교사 97명과 사업 운영 담당자인 어린이집 원장과 육아종합지원센터 보육전문요원 86명이다. 시간제보육사업 운영과 시간제보육프로그램 실행에서 나타난 어려움에 대한 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 인식을 비교하기 위해 시간제보육 관련 선행연구(김경미⋅김영신, 2017; 김설아, 2015; 김지혜, 2016; 서문희 외, 2011; 신수진⋅이승현, 2017; 이명우, 2016; 이연승⋅안혜정, 2018; 이영환, 2015)와 시간제보육사업(보건복지부, 2020)과 시간제보육 모니터링 매뉴얼(한국보육진흥원, 2020a)에서 사용된 질문 문항과 내용을 본 연구 목적에 따라 재구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시간제보육사업 운영에서 나타난 어려움은 총 4개 하위영역으로 건강 및 안전관리, 급⋅간식, 보육환경, 적응 및 주 양육자 관계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시간제보육프로그램 실행에서 나타난 어려움은 총 4개 하위 영역으로 환경구성, 보육프로그램 필요성, 보육 활동, 보육프로그램 개발 방향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간제보육사업 운영에서 나타난 어려움에 대한 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 인식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 및 안전관리에서 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 모두 아픈 영아를 돌보는 게 가장 어렵다고 응답하였고, 보육교사가 경험한 대표적인 안전사고 유형은 타박상과 할퀴거나 무는 경우였다. 둘째, 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 모두 시간제보육 제공기관에서 급⋅간식 미제공으로 인해 서로 다른 급⋅간식을 준비해옴으로써 영아 간 갈등이 가장 어렵다고 응답하였지만, 여전히 제공기관에서 급⋅간식 미제공을 원칙으로 하자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셋째, 다수의 보육교사가 현재 보육실 면적이 적당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공간 확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 놀이영역 확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보육교사는 교사 대 영아 비율이 현재 기준에서 영아 1명을 감소하여 1대 2가 적절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넷째, 보육교사는 주 양육자에게 예약 이용 기준과 영아 적응 지원을 안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보육교사는 계속 울음을 보이는 영아를 돌보며 정신적, 육체적으로 가장 힘들고 교사 대 영아 비율을 낮추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면에 사업 운영 담당자는 보육교사가 영아와 일회적 관계로 적응 지도가 어렵고 주 양육자 협조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시간제보육프로그램 실행에서 나타난 어려움에 대한 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 인식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 모두 영아 혼합 연령에 적합한 놀이영역 구성이 가장 어렵다고 하였고, 이에 대한 세부 지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 모두 시간제보육프로그램이 자발적 놀이와 활동 속에서 영아의 발달과 성장에 도움이 되므로 필요하다고 하였다. 실제로 보육교사는 1일 평균 1∼2회 보육 활동과 각 활동 당 평균 5∼10분 제공되고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는 동시에 시간제보육을 이용하는 영아 수가 많거나 짧은 시간 이용하는 경우 개별 특징을 파악하여 관찰과 일지 작성이 어렵다고 하였다. 이에 대한 효과적인 관찰과 평가 방법으로 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 모두 보육일지에 간단히 관찰을 기록하는 방법과 보육프로그램에 관련한 평가척도 활용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넷째, 시간제보육프로그램 개발 방향에 대해 보육교사는 영아 혼합 연령에 적합한 자유 선택 놀이 중심 보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사업 운영 담당자는 영아-교사 간 안정적 관계 맺기 및 적응에 중점을 두는 보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시간제보육사업 운영과 시간제보육프로그램 실행에서 나타난 어려움에 대한 시간제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 인식을 비교한 결과, 시간제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는 영아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어려움 및 영아 적응을 위해 필요한 사항과 시간제보육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제외하고 인식에 차이가 없었다. 시간제보육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선 시간제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 모두 시간제보육 목적 및 특성을 인식하고 이에 적합한 사업지침과 보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영아 발달 및 욕구와 요구에 맞춰 적절한 보육서비스를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direction for the operation of part-time childcare and to provide the necessary primary data for improvement by comparing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directors on the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 part-time childcare project and implementing part-time childcare program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97 teachers and 86 directors working at part-time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prepared based on prior research on part-time childcare, part-time childcare project guidelines, and part-time childcare monitoring manuals.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teachers and directors in operating the part-time childcare project were divided into four sub-areas: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meals and snacks, childcare environment, and adaptation and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 difficulties faced in implementing part-time childcare programs were divided into four sub-areas: the environmental composition, the necessity of childcare programs, childcare activities, and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childcare program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rforming frequency analysi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on the perceived difficulties in operating part-time childcare centers by the teachers and the directors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a comparison of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directors about the difficulties in operating part-time childcare programs is as follows. First, as for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both the teachers and the directors answered that caring for sick infants/toddlers was the most challenging, with the typical types of safety accidents among the infants/toddlers being getting bruised, scratched, or bitten in the order of frequency. Second, both the teachers and directors responded that conflicts among the infants/toddlers were the most difficult to handle as they brought different meals and snacks because the centers did not provide any meals and snacks. Still, the prevailing opinion was that centers should not provide meals and snacks in principle. Third, most of the teachers voiced the opinion that the current part-time childcare rooms at the centers were adequate but that the space for the play area needed to be expanded. Most of the teachers shared that reducing the teacher-to-infant/toddler ratio from the current one-to-three to one-to-two would be appropriate. Forth, the teachers were having difficulties guiding the parents about the reservation criteria for using part-time childcare and support for infant/toddler adaptation. The teachers believed that caring for infants/toddlers who cry continuously was the most difficult,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hence thinking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teacher-to-infant/toddler ratio. On the other hand, the directors thought it was challenging to guide infants/toddlers to adapt because the teacher and the infants/toddlers had a one-time relationship, requiring the cooperation of the parents. Next, a comparison of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directors about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implementing part-time childcare programs is as follows. First, both the teachers and the directors answered that it was the most difficult to lay out a play area suitable for a mixed-age group of infants/toddlers, and hence that detailed guidelines for this were required. Second, most teachers and the directors reported that the part-time childcare program should be provided because it helps the infants/toddlers develop and grow while playing and acting voluntarily. The teachers provided two types of activities once or twice daily with an average of 5-10 minutes for each activity. Third, the teachers reported that they had difficulties in identifying and observ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ach infant/toddler and keeping a journal when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infants/toddlers who were in charge or stayed for a short time. Both the teachers and the directors pointed out the need to simplify the journal and use the evaluation scales related to the childcare program as an effective way to observe and evaluate the infants/toddlers. Fourth,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part-time childcare programs, the teachers felt that a part-time childcare program centered on free choice play suitable for a mixed-age group of infants/toddlers was needed. At the same time, the directors reported that a part-time childcare program focusing on establishing a st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s/toddlers and the teachers and adaptation was required. In conclusion, a comparison of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directors about the difficulties in operating part-time childcare projects and implementing part-time childcare programs indicated that teachers and directors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except for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the infant/toddler adaptation, what is needed for infant/toddler adaptation, and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part-time childcare progra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address the difficulties of part-time childcare, both teachers and directors should recognize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part-time childcare as well as provide childcare appropriate to the development of infants/toddlers, their wants and needs by developing proper guidelines and childcare programs.

      •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따른 보육프로그램 운영의 차이분석

        정선영 동아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보육프로그램 집행자로서 보육의 질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인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따른 보육프로그램 운영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보육교사들의 전문성 강화 및 자격기준의 강화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격증에 따라 보육프로그램 운영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라 보육프로그램 운영에 차이가 있는가? 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으며, 부산시 국·공립보육시설과 민간보육시설의 보육교사 214명으로부터 설문을 회수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격증에 따라 보육프로그램 운영에 차이가 있는가? 를 분석한 결과, 교육 프로그램, 부모에 대한 서비스 프로그램, 지역사회와의 교류 프로그램 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교육과정과 평가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교육과정은 유치원정교사, 평가성은 보육교사1급 자격을 소지한 보육교사가 잘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에 대한 서비스 프로그램은 유치원정교사, 지역사회와의 교류 프로그램은 보육교사1급 자격을 소지한 보육교사가 잘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라 보육프로그램 운영에 차이가 있는가? 를 분석한 결과, 보육프로그램 중 교육 프로그램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 프로그램 중 다양성과 평가성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특히, 경력이 많은 보육교사가 평가성 부분을 세심하게 고려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학력 및 전공과 연결되는 자격증과 경력으로 나누어 보육프로그램의 운영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격증과 경력에 따라 보육프로그램 운영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보육프로그램의 운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는 결과이다.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basic materials in reinforcement of specialty of upbringing teachers and of status standard by analyzing difference of upbringing program management according to specialty of upbringing teacher taking teachers who are important factor in deciding the upbringing quality as an object, being executor of upbringing program at upbringing institu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mentioned purpose, the author established study matters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management of upbringing program according to qualification of upbringing teacher? Second, is there any different in management of upbringing program according to career of upbringing teacher ? To prove this, in this study, the author carried out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questionaire investigation side by side, and collected questionaires from 214 upbringing teachers of national,public and private upbringing facilities of Pusan city. For analysis of material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dispersion analysis of staff arrangement were used,and reliance of measuring instrument and propriety verification were also used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result of "Is there any difference in nurture program operation according to the qualification of upbringing teacher ?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 program,service program to parents, and exchange program of the local community, etc. In the education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ducation course and evaluation character, and it showed that kindergarten regular teacher operated well in education course, while upbringing teacher with status of upbringing teacher 1st class license operated well in evaluation character. As for service program to parents, it showed that regular teacher of kindergarten did operate well , while the upbringing teacher holding the 1st status of upbringing teacher did operate well for exchange program of the local community. Second, as result of analysis " Is there any difference in operating the upbringing program according to an upbringing teacher's career ?",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program among the upbringing program.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diversity and evaluation characters among the education program, in particular, it showed that the upbringing teacher with many careers operates the education program well considering the parts of evaluation characters carefully. In this study, as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for operation of upbringing program by classifying the license and careers connected with scholarship and major subject in upbringing teacher's specialty, there appeared differences in operation of upbringing program according to such license and career. Such result as this is the result to prove that the specialty of upbringing teacher has important effect on operation of upbringing program.

      • 보육의 전문성을 위한 보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민간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관련하여

        김옥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urbanization after the 1960s brought a big change into our family structure and our thinking method, and was expected the participation of women in society. Increased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have caused greater number of women to seek income-generating work away from home. Modern rapid change of society has also changed the status of women, which made the problem of raising, caring and educating her children a practical task to be solved urgently. To cope positively with the problem Korean administration has extended its support to develop educare area by unifying diverse businesses related to childcare into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vesting fund immensely, and and reforming various laws. As the law for protection and aducation of little children was established and put inforce in 1991, our nursing policy met a turning point. As a result, the quality of childcaring facility has augmented considerably, but it seems that it is time to rethink the qualitative problem of childcare. The social change and economic development came to pursue the good quality of education for little children. The good quality of daycare service is indispensable to the development of nursing service and the children who are our hope of the future. Educare teachers play the most important part for the child's good upbringing, because a teacher makes a great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the learning and the growth of the sentiments of a chi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ogram quality of day-care services and the professional quality of children's daycare teachers. After that, it is to find the relat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quality of children's daycare teachers and the program quality of daycare servic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 framework is established based on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1) What is the quality of children's services assessed by day-care teachers? (2) What is the professional quality of daycare teachers? (3)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quality of a daycare program and the professional quality according to the teacher's level of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major, pay and in-service educational training? (4) Which factors of the professional quality most affect to the quality of a daycare program? In this thesis, the quality of a daycare program and a teacher's professionalism is assessed by six parameters; age, educational background, daycare career, major, pay, and in-service educational training, The quality of program is evaluated in five categories: everyday planning and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educational process; nutrition, health, and safety; relationship between homes and institute, And the quality of a daycare teacher is evaluated in six categories: teaching ability and knowlege of practices; social necessity; altruism; autonomy; impartiality;prolonged training experiences. statistical analysis of their replies is arried out. From the analysis, the following observations are made. Questionnaire is provided to daycare teachers. (1) The quality of the daycare program is a little higher than average. That is, it can be stated that the program is managed with a least qualified manner with some excellence. (2) The Professional quality of the day-care teachers is the same level of the program quality as stated above. (3) All of the parameters of daycare career, major, pay and in-service training affect to the program quality as well as the professional quality. (4)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re obtained between the program quality and professional quality. Finally, it can be concluded that quality of a children daycare program becomes higher as the professional quality of teachers is higher. From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for better-quality of daycare program. The physical environment of day-care centers and the professional quality of day-care teachers be improved.

      • 영아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김혜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해서 조사 분석하여, 바람직한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보육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향상과 발전 방안을 모색하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들에 대한 현직 교육의 현황은 어떠한가? 2. 보육시설 유형별에 따른 어린이집 영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3. 어린이집 영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1. 교사의 학력별 영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차이가있는가? 3-2. 교사의 경력별 영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차이가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 국·공립, 민간 어린이집 중 50명 이상 보육시설의 전, 현직 영아보육교사 500명을 무작위로 조사하여 이중 307부 회수하여 부적합한 설문지 11부를 제외한 296부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서울지역 어린이집 대상으로만 하여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이다. 현직 교육의 현황, 필요성 및 교육형태의 인식정도를 묻는 연구도구는 Ronbinson(1990)이 영아기 보육교사의 현직 교육 요구를 조사하기 위해 제작한 면접틀을 수정하여 유아교육과 교수 3인의 타당도를 거친 후 예비조사의 일부로 6명에게 질문지를 배부하고 34번 문항부터 39번 문항을 수정하였다. 이 도구의 하위요인은 건강, 안전, 교사-영아와의 상호작용, 교사-부모와의 상호작용, 신체·운동발달, 사회·정서발달, 지적발달을 4문항씩 7개의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한 자료의 분석 방법으로는 연구대상 교사의 일반적인 배경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교사의 학력, 경력별, 시설유형에 따른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들에 대한 현직 교육의 현황은 어떠한가? 대부분의 교사들은 영아보육에 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었으며, 근무경력이 6-10년인 교사들이 가장 연수경험이 많았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보건복지부에서 연수를 받았다고 응답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영아교육에 관련된 교육도 민간어린이집이 국·공립보다는 그 활용빈도가 낮았다(28.7%). 이러한 이유로 인해 영아관련 교사 교육에 대해서 민간어린이집 교사가 그 필요성(63.5%)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또한 영아 보육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관련 자료가 없기 때문에 매우 어려움을 느낀다고 상당수가 응답하였다. 특히 영아를 위한 보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질문에 67.4% 였으며, 영아프로그램이 마련되어있지 않는 어린이집도 32.6%로나 되었다. 영아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는 기관을 유형별로 비교해보면, 국·공립 어린이집(77.6%)이 민간 어린이집(56.1%)보다높게 나타났다. 영아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건강(3.72점), 안전(3.50점), 교사-부모 상호작용(3.39점), 지적발달(3.64점)이 낮았으며, 신체 운동발달(4.12점), 사회정서발달(4.11점)의 교사인식이 높았다. 또한 프로그램 작성은 교사혼자서 매주 작성한다고 응답한 곳이 많았으며, 필요할 때마다 한다(5.9%)고 응답한 경우도 있었다. 둘째, 보육시설 유형별에 따른 어린이집 영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민간, 국·공립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영아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정도를 건강, 안전, 교사-아동 상호작용, 교사-부모 상호작용, 신체·운동발달, 사회·정서발달, 지적발달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신체·운동 발달이 4.13점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사회·정서발달이4.12점, 교사-아동 상호작용이 4.04점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운동 발달, 사회·정서 발달, 교사-아동 상호작용은 비교적 높은 인식 수준을 나타내고있으며, 교사-부모 상호작용(3.39점), 건강(3.72점), 지적발달(3.64점), 안전(3.50점)은 그리 높은 수준이 아니어서, 영아에 대한 교육 역시 활발하고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자체 내에서 영아교사교육에 대해서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어린이집도 36.7%로 비교적 적었다. 셋째, 학력별, 경력별 어린이집 영아 보육프로그램제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또한 영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경력별, 학력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기관 유형에 따라서 교사-부모 상호작용, 신체·운동발달, 사회·정서발달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학력별로는 건강, 안전, 교사-아동 상호작용, 교사-부모 상호작용, 신체·운동발달, 지적발달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근무경력별로는 건강, 사회·정서발달, 신체·운동발달, 지적발달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신체·운동 발달(4.13점), 사회·정서발달(4.12), 교사와 아동과의 상호작용(4.04점)에 있어서는 비교적 높은 인식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건강(3.72점), 안전(3.50점), 교사와 부모와의 상호작용(3.39)에 있어서는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었다.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인식에 있어서 영아보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깊이 인식하고 있었다.

      • 시간연장 보육프로그램 실행연구

        김영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시간연장 보육 대상인 유아의 관점에서 그들의 삶에 풍요로움을 더할 수 있는 시간연장 보육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S어린이집 시간연장반 유아 11명을 대상으로 2008년 6월 30일부터 2008년 10월 31일까지 19주 동안 오후 5시 30분부터 오후 9시 30분까지 실행연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시간연장 보육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과정에서 유아의 삶을 어떻게 변화하는지, 유아의 관점에서 시간연장 보육프로그램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시간연장 보육프로그램의 주제는 다양한 생활 주제와 유아들이 관심 있어 하는 주제를 선정하여 시간연장 보육프로그램과 친숙해 지도록 하였다. 첫 번째 “시간연장반 이름 짓기”는 유아들이 ‘부엉이반’이라는 이름을 통해 시간연장 보육은 ‘밤에 눈을 뜨고 활동’하는 것이 그 의미를 두고 있다. 두 번째 “여름 밤”은 유아들이 시원하고 편안하게 보내기 위해 공간을 이동하였으나 친숙하지 않은 공간으로 받아들여진 유아들은 갈등이 나타났다. 그러나 편안한 놀이를 선택하고 먹을거리를 자유롭게 접하면서 가정처럼 편안한 분위기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한편 유아들에게는 보육시설이 어두워지는 공간을 통해 “밤”에 존재하고 있음을 깨닫는다. 세 번째 “베이징 올림픽”은 자유로운 공간과 활동을 전개 할 수 있게 하는 반면, 활동 공간이 이동됨에 따라 부모가 귀가지도를 할 때 자신의 위치를 알지 못하여 귀가시간에 방해가 될 두려움이 활동의 장애로 나타났다. 이러한 두려움은 유아들이 부모가 오는 시간을 예측할 수 있도록 인터폰 또는 현관이 보이는 1층 홀을 이용하면서 유아들은 시간연장 보육을 보다 편안한 분위기로 이끌었다. 네 번째 “가을 밤”은 유아들이 시간연장 보육을 친숙한 경험을 하면서 가정과 관련된 활동으로 전개 되었다. 다섯 번째 “별이 빛나는 밤에”는 시간연장 보육 공간(부엉이반)의 특성과 가정에서부터 가져온 친숙한 경험(장난감 또는 먹을거리)이 유연성 있게 관계를 맺으면서 점차 유아들이 요구하는 편안한 분위기를 가지는 시간연장 보육프로그램으로 변화하였다. 실행연구 결과, 유아의 관점에서 그들이 삶에 풍요로움을 더할 수 있는 시간연장 보육프로그램은 유아가 ‘공간’과 ‘시간’을 주체적으로 영위할 수 있는 방법에서 발견하였다. 유아들은 시간연장 보육 공간을 채우는 과정에서 그동안 시간연장 보육프로그램을 통해 겪은 보육시설의 경험과 가정에서의 경험이 유연하게 연결하여 시간연장 보육 공간과 시간을 구성하는 능력이 있다. This is the action research whose purpose is making good time-extended child care program.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30 July 2008 to 31 October 2008 for 11 children who were in time-extended class. How does children's life change in the middle of developing and applying time-extended child care program? In the course of naming class, Children defined their class as owls which reflect their life in Children center even at night. Children were made to move into other space to stay cool and comfortable but some unadaptable children had fears and confusion in the program of 'Summer nights'. Over time, however, they got comfortable as their own home choosing games and eating snacks. These familiar experience made children free and active in spacious space through the program of 'Beijing Olympic' but they had fear due to changed location their parents did not know. Due to the fear, children stayed in the first floor to predict the time when their parents come to pick them up, and it made them stable. To keep children more familiar with time-extended child care program, events were focused on home life doing outside activities such as a walk, buying snacks, joining with parents in the course of 'Fall nights'. Connecting characters of time-extended child care program and familiar experiences from home such as toys and snacks made comfortable atmosphere in the program of 'staring night'. What is the meaning of experiencing in time-extended child care program in the view of children? When planing 'Time-extended child care program' which makes children's daily life rich, the plan should be focused on the way to help children manage their 'space' and 'time' positively. It gives children who have stayed in limited 'Child Center' various and spacious spaces which make them creative and comfortable. In other hands, they got confused between fun of activities at night and fear from limited time till their parents back. In conclusion, proper and adaptable activities are needed and familiar activities which remove fears from children are more suitable than new one.

      • 원주시 보육시설의 장애통합보육프로그램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이경숙 상지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장애통합보육이란 비장애유아와 장애유아가 함께 더불어 생활하는 것 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장애유아가 물리적 환경에만 통합되는 것이 아니라 학문적, 사회적으로 통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완전한 통합이란 장애유아가 일반 보육 환경 내에서 그 또래들의 모든 활동에 동등하게 참여하고 구성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성공적인 통합보육을 위해서는 물리적 환경을 갖추는 것은 물론 통합보육을 위한 구성요소의 영향도 매우 중요하다. 그 통합보육 프로그램이 어떻게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장애유아에 대한 보육의 질적인 측면이 달라지게 된다. 본 연구는 장애유아통합보육프로그램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원주시에 위치한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통합보육프로그램의 구성요소 중 가장 중요한 인적자원인 시설장과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과 통합보육프로그램의 실시현황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05년 9월 6일부터 9월 12일까지로 총 250부를 배포하여 그 중 205부를 회수하였으며, 분석이 불가능한 13부를 제외한 192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조사방법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통합보육프로그램의 실시여부 및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은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통합보육프로그램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적응프로그램의 계획 및 실시내용으로는 관찰기록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그 기간은 l주가 가장 많았다. 부모교육의 실시에 있어서는 단지 12.5%만이 장애통합부모교육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부모교육의 목적으로는 비장애유아 학부모의 인식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사연수프로그램의 경우 15.1%만이 실시하고 있으며, 통합교사연수프로그램의 필요성의 인식에서는 90.7%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실시 방법으로는 사례발표와 현장견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의 실시는 매우 미흡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것은 장애유아를 담당하는 교사들의 전문성이 부족하고, 장애유아에게 지원되는 프로그램 또한 매우 부족한 실정임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연계를 통한 전문가와의 협력이나 자원봉사의 활용에 대한 실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공적인 장애통합보육을 위해 몇 가지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통합보육프로그램의 개발, 둘째 재정적 지원 확대, 셋째 전문가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체제 구축, 마지막으로 인적자원의 확충을 들 수 있다. 장애통합보육은 장애유아에게 있어서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당연한 권리의 문제이다. 그러므로 장애통합보육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전문성을 갖춘 교사를 위한 연수 기회 확대, 시설 및 설비의 확충, 통합교사를 위한 인건비 지원 등 재정적 지원이 확대되어야 하며, 통합보육을 위한 구체적인 기준이 수립되고 제도화되어야 할 것이다. The Inclusive Child Care Program is a program that introduces and includes thos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to a normal environment and enables them to participate in all daily activities with average children; those without disabilities. This means that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ould have those children as role models for all areas of development, and would be an integral part of their peer group. In order for the Inclusive Child Care Program to be a success, the physical environment needs to coexist in harmonious way with all other components for this program such as: placement staff, caregivers and parents. The quality of a care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depends solely on how all these components come together and effectively run the program. This research was undertaken to understand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Inclusive Child Care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focus group for this study was the placement staff and care givers working at this program's facilities in WonJu city. These are the most important human resources needed among the components of this program. This research was undertaken by means of a questionnaire. The period of the survey was from September 6^(th) 2005 to September 12^(th) 2005, the time frame therefore being that of one week. 20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e 250 distributed. 192 out of the 205 were finally analyzed. 13 questionnaires were not taken into account as they didn't have sufficient data or were incomplete. Frequency and crossing analysis was used as a survey method,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 of the surveyed participants and whether the Inclusive Child Care Program is being carried and successfully integrated. The adaptation program made common use of observation reports, one week of the period was usual, as noted earlier. Only 12.5% of respondents actually undertook to educating the parents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bout the contents and compontents of the Inclusive Child Care Program.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recognition of parents with normal developing children as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this program. The training program for care staffs was going on only 15.1%, and most people, 90.7%, who responded the research realize that the staff training program is really needed. Also, they prefer to case presentation and an field study for the training program methods. The performing of individual education program is ranked very low. This has revealed that the staffs in charg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insufficient in professionalism and there is the lack of adequate programs for them and the cooperation between specialists connected to local society and present conditions of using volunteers is rare. The following are some of suggestions to be draw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 there needs to be development of integrated nursing program. Second, extension of financial support. Third,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system between specialists and local society Forth, Securing of human resources. The Inclusive Child Care Program is not the problem of selection but one of righ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ere should be a increase in financial support such as the development of diverse programs for the Inclusive Child Care Program, the adequate training opportunities for integrated professional staffs, the securing facilities and conveniences, the provision of personnel expenses of integrated teachers, etc,. Those are necessary to set up the standard of the Inclusive Child Care Program and to be institutionalized it.

      • 영아보육프로그램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 및 인식 조사

        채영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영아보육에 대한 요구와 교육적 관심의 증가로 인하여 영아보육시설이 양적으로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영아보육 프로그램 개발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에 있다. 영아의 발달에 적절한 보육프로그램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영아의 부모들의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아보육프로그램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와 인식을 다각적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이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영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 및 인식은 어떠한가? 총 47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영아 보육프로=1램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 및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거주지역을 도시와 농촌지역으로 나누어 영아를 보육하고 있는 시설을 도시 30곳, 농촌 25곳 총 55개시설의 어머니 274명을 무선 표집하여 선정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 된 연구 자료는 χ^(2)-검증을 통해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등·하원 및 보육시간에 대하여 등원시간은 8:30-9:30사이, 하원시간은3-5시, 시간제 보육은 어머니가 편리한 시간에 자유롭게 등·하원 할 수 있는 것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으며, 보육료는 11-l5만원이 적합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가 주체가 되어 운영하는 집 근처에 위치한 보육시설 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며, 교사대 영아의 비율은 12개월 미만의 경우 1:3, 24개월 미만은 1:4, 36개월 미만은 1:6으로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위생·간식 점심에 대해서는 지금보다 더 개선해줄 것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둘째, 보육프로그램 구·펑은 영아의 연령에 따른 발달단계를 고려한 정서적 안정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신체지도는 칭찬 및 유도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었으며, 언어지도는 기본적인 의사표현 지도에 가장 많은 요구도를 보였다. 또한 생활지도에 있어서 배변지도는 배변 의사표현 능력을 지도해줄 것을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아의 수면시각은 0-12개월의 영아의 경우 약 3시간. 13-24개월의 경우는 약 2시간, 25-36개월의 경우는 약 1시간 30분이 적절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물리적 환경 측면에서는 비상구 옆에 위치한 수면실과 청결하고 안전한 놀이공간, 발달단계에 적절한 놀이간을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에 대해서는 2-3년 교육경력이 있는 기혼인 교사를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교육에 대해서는 연구대상자의 대부분이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내용은 부모의 역할과 양육에 대한것으로 1년에 2회 실시할 것을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아양육에 대하 여는 응답자의 절반정도가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 및 인식을 조사한 본 연구결과는 영아 보육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구성하고 운영하는데 기초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By the increase of demand on the infant nurture and educational interest it is on the extension of infant nursery facilities. But, the development of infant nursery program related to it is insufficient relatively. For accomplishing the nursery problem proper to the development of infant, it needs to reflect the demand of nursery program for the infants' parents.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approach the degree of demand by the mothers for the infant nursery Program multilaterally. The research questions determined above are as follows.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mothers' demand and recognition of infant nursery program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district, achievement, age, the existence of employment, and the gross income in their homes? This researcher developed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total 47 items, and investigated the mothers,'demand and recognition of infant nursery program. As for the object of research, it was divided into the urban areas and rural areas in the residential district. And it selected 274 mothers in the total 55 facilities, 30 urban areas(Gwangju) and 25 rural areas(Jeonnanl) where it executed the stratified sampling for the facilities with the infants with random sampling As for the research data collected from above, it analyz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he variable through t-test.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As for the nursery hours in attendance and close, the attendance hours are between 8:30 and 9:30, and the close hours are between 15:00 and 17:00. The mothers demanded the part-time nurture most that they could attend and close freely' at a convenient time. It presented that they recognized as the nursery fee was proper to eleven thousands to fifteen thousands Won. Also, they preferred the nursery facilities located on near home operated as a subject of government. As for the rate of teachers to infants, they required 1:3 in case of below 12 months, 1:4 24 months, and 1:6 36 months most. And they wanted to improve the sanitary snack lunch more. As for the constitution of nursery program, it presented that they required the program most that would be helpful to the emotional stability,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stage according to the infants' ages. In the physical guidance, they required a method of appraise and inducement most. And in the linguistic guidance, they required to guide the basic expression most. Also, as for the life guidance, they required to guide the capacity of bowel movement expression most in the guidance of bowel movement. As for the infants' sleeping hours, it presented they recognized it proper to about 3 hours in case of 0~12 months infants, about 2 hours 13-24 months, and about one and a half 25~36 months. At the physical environmental sides, it showed that they required the proper amusements proper to the sleeping room located on near the exit, clean and safe space for playing, and the developmental stage most, As for the nursery teachers, it presented that it needed the married teachers with the educational career for 2~3 years most. About the parents' education, most of research objects recognized the necessity. In the curriculum, they required to execute the parents 'roles two times a year. Also, half of respondents felt stress about the rearing of infants. This result of research that investigated the mothers' demand and recognition about the infants' nursery program would be considered as it was to supply important information for composing and operating the nursery program for the infants eff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