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엑셀러레이터보육프로그램이 스타트업의 경쟁우위성과에 미치는 영향; 흡수역량의 매개효과

        손수연 국립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8703

        엑셀러레이터보육프로그램이 스타트업의 경쟁우위성과에 미치는 영향; 흡수역량의 매개효과 논문제출자 손 수 연 지 도 교 수 민 경 세 본 연구는 엑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이 스타트업의 경쟁우위 성과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흡수역량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한다. 특히, 엑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의 주요 구성 요소인 교육, 멘토링, 네트워크, 인프라지원이 스타트업의 성과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 토하며, 흡수역량이 보육프로그램과 성과 간의 관계를 강화하는 중요한 요인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창업 초기 1~7년차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엑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 의 구성 요소가 흡수역량을 통해 경쟁우위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 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엑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과 흡수역량, 그리고 경쟁 우위 성과의 개념과 정의를 정립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가설로 설정하여 실증적 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개별 요소가 흡수역량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경로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엑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의 멘토링, 네트워크, 인프라지원은 스타트 업의 흡수역량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육은 흡수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흡수역량은 경쟁우위 성과와 의 관계에서 멘토링, 네트워크, 인프라지원의 효과를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이와 더불어, 네트워크와 인프라지원은 흡수역량을 통해 경쟁우위 성과에 간 접적이면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엑셀러레 이터 보육프로그램의 구성 요소 중 단기적인 효과를 볼 수 있는 요소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본 연구는 엑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이 스타트업의 경쟁우위 성과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밝혔으며, 특히 흡수역량의 매개적 역 할을 규명함으로써 학문적 공백을 메웠다. 본 연구는 스타트업이 경쟁력 있는 기 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멘토링, 네트워크, 인프라지원과 같은 실질적이고 단기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는 엑셀러레이터 운영자와 정책 입안자에게 구체 적인 전략적 방향성을 제공하며,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의 설계와 실행에 실질적 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흡수역량을 기반으로 한 창업 지원 전략은 창업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보육의 전문성을 위한 보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민간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관련하여

        김옥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urbanization after the 1960s brought a big change into our family structure and our thinking method, and was expected the participation of women in society. Increased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have caused greater number of women to seek income-generating work away from home. Modern rapid change of society has also changed the status of women, which made the problem of raising, caring and educating her children a practical task to be solved urgently. To cope positively with the problem Korean administration has extended its support to develop educare area by unifying diverse businesses related to childcare into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vesting fund immensely, and and reforming various laws. As the law for protection and aducation of little children was established and put inforce in 1991, our nursing policy met a turning point. As a result, the quality of childcaring facility has augmented considerably, but it seems that it is time to rethink the qualitative problem of childcare. The social change and economic development came to pursue the good quality of education for little children. The good quality of daycare service is indispensable to the development of nursing service and the children who are our hope of the future. Educare teachers play the most important part for the child's good upbringing, because a teacher makes a great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the learning and the growth of the sentiments of a chi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ogram quality of day-care services and the professional quality of children's daycare teachers. After that, it is to find the relat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quality of children's daycare teachers and the program quality of daycare servic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 framework is established based on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1) What is the quality of children's services assessed by day-care teachers? (2) What is the professional quality of daycare teachers? (3)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quality of a daycare program and the professional quality according to the teacher's level of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major, pay and in-service educational training? (4) Which factors of the professional quality most affect to the quality of a daycare program? In this thesis, the quality of a daycare program and a teacher's professionalism is assessed by six parameters; age, educational background, daycare career, major, pay, and in-service educational training, The quality of program is evaluated in five categories: everyday planning and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educational process; nutrition, health, and safety; relationship between homes and institute, And the quality of a daycare teacher is evaluated in six categories: teaching ability and knowlege of practices; social necessity; altruism; autonomy; impartiality;prolonged training experiences. statistical analysis of their replies is arried out. From the analysis, the following observations are made. Questionnaire is provided to daycare teachers. (1) The quality of the daycare program is a little higher than average. That is, it can be stated that the program is managed with a least qualified manner with some excellence. (2) The Professional quality of the day-care teachers is the same level of the program quality as stated above. (3) All of the parameters of daycare career, major, pay and in-service training affect to the program quality as well as the professional quality. (4)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re obtained between the program quality and professional quality. Finally, it can be concluded that quality of a children daycare program becomes higher as the professional quality of teachers is higher. From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for better-quality of daycare program. The physical environment of day-care centers and the professional quality of day-care teachers be improved.

      • 영아보육프로그램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 및 인식 조사

        채영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영아보육에 대한 요구와 교육적 관심의 증가로 인하여 영아보육시설이 양적으로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영아보육 프로그램 개발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에 있다. 영아의 발달에 적절한 보육프로그램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영아의 부모들의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아보육프로그램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와 인식을 다각적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이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영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 및 인식은 어떠한가? 총 47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영아 보육프로=1램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 및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거주지역을 도시와 농촌지역으로 나누어 영아를 보육하고 있는 시설을 도시 30곳, 농촌 25곳 총 55개시설의 어머니 274명을 무선 표집하여 선정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 된 연구 자료는 χ^(2)-검증을 통해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등·하원 및 보육시간에 대하여 등원시간은 8:30-9:30사이, 하원시간은3-5시, 시간제 보육은 어머니가 편리한 시간에 자유롭게 등·하원 할 수 있는 것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으며, 보육료는 11-l5만원이 적합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가 주체가 되어 운영하는 집 근처에 위치한 보육시설 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며, 교사대 영아의 비율은 12개월 미만의 경우 1:3, 24개월 미만은 1:4, 36개월 미만은 1:6으로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위생·간식 점심에 대해서는 지금보다 더 개선해줄 것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둘째, 보육프로그램 구·펑은 영아의 연령에 따른 발달단계를 고려한 정서적 안정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신체지도는 칭찬 및 유도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었으며, 언어지도는 기본적인 의사표현 지도에 가장 많은 요구도를 보였다. 또한 생활지도에 있어서 배변지도는 배변 의사표현 능력을 지도해줄 것을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아의 수면시각은 0-12개월의 영아의 경우 약 3시간. 13-24개월의 경우는 약 2시간, 25-36개월의 경우는 약 1시간 30분이 적절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물리적 환경 측면에서는 비상구 옆에 위치한 수면실과 청결하고 안전한 놀이공간, 발달단계에 적절한 놀이간을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에 대해서는 2-3년 교육경력이 있는 기혼인 교사를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교육에 대해서는 연구대상자의 대부분이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내용은 부모의 역할과 양육에 대한것으로 1년에 2회 실시할 것을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아양육에 대하 여는 응답자의 절반정도가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 및 인식을 조사한 본 연구결과는 영아 보육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구성하고 운영하는데 기초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By the increase of demand on the infant nurture and educational interest it is on the extension of infant nursery facilities. But, the development of infant nursery program related to it is insufficient relatively. For accomplishing the nursery problem proper to the development of infant, it needs to reflect the demand of nursery program for the infants' parents.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approach the degree of demand by the mothers for the infant nursery Program multilaterally. The research questions determined above are as follows.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mothers' demand and recognition of infant nursery program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district, achievement, age, the existence of employment, and the gross income in their homes? This researcher developed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total 47 items, and investigated the mothers,'demand and recognition of infant nursery program. As for the object of research, it was divided into the urban areas and rural areas in the residential district. And it selected 274 mothers in the total 55 facilities, 30 urban areas(Gwangju) and 25 rural areas(Jeonnanl) where it executed the stratified sampling for the facilities with the infants with random sampling As for the research data collected from above, it analyz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he variable through t-test.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As for the nursery hours in attendance and close, the attendance hours are between 8:30 and 9:30, and the close hours are between 15:00 and 17:00. The mothers demanded the part-time nurture most that they could attend and close freely' at a convenient time. It presented that they recognized as the nursery fee was proper to eleven thousands to fifteen thousands Won. Also, they preferred the nursery facilities located on near home operated as a subject of government. As for the rate of teachers to infants, they required 1:3 in case of below 12 months, 1:4 24 months, and 1:6 36 months most. And they wanted to improve the sanitary snack lunch more. As for the constitution of nursery program, it presented that they required the program most that would be helpful to the emotional stability,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stage according to the infants' ages. In the physical guidance, they required a method of appraise and inducement most. And in the linguistic guidance, they required to guide the basic expression most. Also, as for the life guidance, they required to guide the capacity of bowel movement expression most in the guidance of bowel movement. As for the infants' sleeping hours, it presented they recognized it proper to about 3 hours in case of 0~12 months infants, about 2 hours 13-24 months, and about one and a half 25~36 months. At the physical environmental sides, it showed that they required the proper amusements proper to the sleeping room located on near the exit, clean and safe space for playing, and the developmental stage most, As for the nursery teachers, it presented that it needed the married teachers with the educational career for 2~3 years most. About the parents' education, most of research objects recognized the necessity. In the curriculum, they required to execute the parents 'roles two times a year. Also, half of respondents felt stress about the rearing of infants. This result of research that investigated the mothers' demand and recognition about the infants' nursery program would be considered as it was to supply important information for composing and operating the nursery program for the infants effectively.

      • 영유아 보육프로그램의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대혁 東國大學校 社會科學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Nowadays, the radical social changes made women have changes to work with men in many fields so the care and education problems of their children became pending ones. According to this, more various educare programs of good quality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with for more effective educa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e opinions of the employees at daycare centers and the state of execution on the program presented in the standard law and the guide.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existing infant educare programs, in the condition of the practical educare programs not given us entire satisfaction this study intended to show you the standard of infant educare program which would meet the present needs. For these subjects, the literary study and the questionaire were simultaneously execu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f the contents of infant educare program, the weakest part was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participation program at community 2. It is analyzed that the participation rate is low in Hygiene and security program, while the importance of employees at a daycare facility was high. 3. In most of education programs, the participation rate was high, but as you know in the recognition of the employees at daycare facilities, we need more various developed programs than uniform program management. Compared with the importance of science education, execution rate of the program is low. When it is taken in to consideration that the development of science is connected directly with country's development, it is analyzed that the practical counter measure is needed. It is needed to supply the programs on thi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showed for reform of educare program in the future. First, the educare guide on the infant educare program should be established in more concrete ways. Second, the support of educare programs should be provided widely. Third, the development and high quality on the educare program should be intended. Fourth, the integrated function of educare program should be strengthen. Fifth, the educare facilitie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s a social facility which is interested in and responsible for. The relation between daycare facilities and community should be more strengthen than before. The socialization of daycare facilities will lead the residents and parent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and it will also contribute to the modernization of the present daycare facilities.

      • 한국의 영유아 보육정책에 관한 연구

        권헌애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에서는 기혼여성의 사회참여 증가와 핵가족화의 심화에 따라 야기되고 있는 영유아들의 보육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음을 직시하고, 아동간의 상호작용과 보육서비스를 큰 틀로 정하고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첫째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 즉 영양, 건강, 안전, 최상의 환경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맞벌이 부모가 원하는 교사와 부모, 교사와 아동 간의 상호작용과 보육서비스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셋째 이론적 배경으로 선행연구에서는 보육사업의 유형 및 국내외의 아동보육 현황과 자녀보육 유형을 살펴보았으며,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맞벌이 부모들의 육아실태를 고찰 분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어린이집 보육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데 그 연구의 목적을 두고,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정책을 올바르게 인지시키기 위한 맞벌이가정의 자녀보육문제와 정책적 대안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보육문제는 보육시설의 부족, 높은 보육비용, 다양한 서 비스의 부족, 저소득층의 보육문제, 시설장ㆍ운영자의 재정난과 그로 인한 보육의 질의 저하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보육문제의 원인으로 는 보육의 경제적 성격, 보육책임을 아직까지 여성에게 돌리는 사회ㆍ문화적인 분위기 내지 인식의 부족, 정부의 대여 위주의 지원정책과 정부보조의 부족으로 인한 전반적인 사보육화의 경향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저소득층의 기본적인 보육수요의 일부만을 충족시키고 나머지 중산계층의 보편 보육수요 내지는 대리 보육수요에 대해서는 시장에 방임하는 자세를 취해왔다. 또한 보육예산의 증가로 인해 보육시설의 양적 확대가 두드러졌다. 그러므로써 보육예산 증가 및 그로 인한 보육시설의 양적 확대에도 불구하고 보육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 보육교사 인력 및 처우, 보육프로그램상의 많은 문제가 발견되고 있다. 또한 저소득층 취업모의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선별주의적 특성이 현행 보육정책의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관해 보육교사에 대한 처우문제가 시급함을 알 수 있고 국가예산의 확보를 통해 기존수당의 상향조정이나 수당제도개선 등으로 보수의 현실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보육시설의 서비스 질을 제고하기 위해서 보육시설의 확대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정부의 보육정책에 내포된 선별주의적이고 사보육지향적인 보육정책의 경향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보육비용 적절성과 접근 가능성 등의 보육정책의 원칙에 비추어 밝혀내야 한다. 또 정부는 민간시설, 보육료수입이 적은 시설, 규모가 작은 시설, 농촌의 저소득층, 도시 영세민에게 큰 혜택을 줄 수 있는 보육정책 마련에 힘써야 한다. 아동의 연령특성을 감안한 보육정책의 다양화를 추구하는 방안으로서 1살 미만의 영아의 보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육아휴직을 활용할 수 있는 여건조성과 육아휴직기간 동안의 소득보장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3세 미만 여아나 장애아동 등 특수한 욕구를 가진 아동을 위한 가정보육의 체계화 및 재정지원, 질적 수준 통제가 이루어져야 하며, 3∼6세 아동을 위한 보육기관이 보육시설과 유치원으로 이원화되어 있는데서 오는 부모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맞벌이 부부들이 자녀들에게 특별히 강조하고 있는 덕목에 대한 질문에서 전체 응답자의 74.5%(정직과 성실이 56.4%, 사랑과 봉사가 18.1%)가 정직·성실하고 사랑·봉사자로 자라주기를 희망하고 있다. 셋째, 맞벌이 부부들이 육아정보의 출처로는 매스컴(신문, 잡지, TV)이 46.3%, 경험자로부터가 26.8%로 그들 맞벌이 부부들은 육아에 대한 정보(지식)를 매스컴이나 신문, 잡지 또는 경험자로부터 얻고 있었다. 특히 그들이 얻고 있는 지식은 단편적인 것이거나 교육적으로 검증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므로 맞벌이 부부를 위한 보다 체계적이면서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현실적으로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맞벌이 부부들은 자녀가 엉뚱한 말(상상력)을 했을 때 어떻게 대하느냐는 질문에 부정적인 태도로 대하는 부모는 약 5.2%에 불과한 반면 91.7%에 해당하는 대부분의 부모들은 이해하려고 노력하거나 칭찬을 한다는 대답을 하였다. 다섯째 일반적 사항과 영역별 검증에서는 맞벌이 부부의 학력이 높을수록 정서발달 영역을 중요시했다. 월소득이 300만원 이상보다는 200만원 미만은 부모들이 지적발달 영역을 중요시했다. 맞벌이 부부의 영유아보육에 관하여 정책적 대안으로는 맞벌이 부부의 적극적인 경제활동 참여를 위해 영유아보육에 대한 보다 많은 지원이 필요하고, 영유아를 가진 맞벌이 부부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며, 안전한 영유아보육 환경조성, 보육교사나 보육자의 질적 수준향상, 교육내용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직장 내 보육시설을 확충해야 하고, 영유아보육에 대한 부모의 참여와 지역사회와의 교류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가장 잘된 교육은 자연스러운 인성의 통합을 갖게 하는 In this thesis, I want to face up to the reality that the nurture of infants is the serious social problems which are cau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social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and profundity of nuclear family. And I also want to study the following items through the big paradigm of correlation and nurturing services among children First, I want to study the quality standard of nurturing facilities which affects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such as nutrition, health, security, and the best environment. Second, I want to study the interaction and nurture service among teachers who dual career couples want, parents, and children. Thirdly, the preceding study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examines both the patterns of nurture business and the present conditions and types of the nurture of children. Then the main study not only aims to develop the more efficient nurture program in nursery school by analyzing the childhood situations of dual career couples, but also seeks out the nurture problem of children in dual income family and an alternative plan in policy in order to realize correctly the policy of social welfare of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Nurture problems in Korea consist in insufficiency of nurture facilities, expensive nurture cost, lack of various services, nurture problem of low income families, financial difficulties of managers or owner, deterioration of nurture service through the difficulties, and so on. These nurture problems are caused by the economic character of nurture, the social·cultural atmospheres(or the insufficiency of recognition) that still attribute a nurturing responsibility to women, and the general tendency of private nurturing because of government's supporting policies based on lending and insufficiency of government's assistance. Meanwhile, government fulfills a portion of basic nurturing demand of low income families, takes the position that the general nurturing demand or surrogate nurturing demand of middle class families are left under the free market system. In this situation, a quantity expansion of nurture facilities stands out owing to an increase of nurture budget. Thus, in spite of not only an increase of nurture budget but also a quantity expansion of nurture facilities through the increase, we can find many problems about the workforce and treatment of nurture teachers that decide a quality of nurture service. Also selective characteristics on the children that career women in low income family have were indicated as the uppermost limit of present nurture policy. According to this problem, because we can realize an urgency on the treatment problem of nurture teacher, actualization of pay has to come true in the way that present bonus is revised upwards and present bonus system is improved. It is essential to be interested in an expansion of nurture facilities in order to review the service quality of nurture facilitie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rivate nurturing-oriented and selective tendency that implies in the nurture policy of government, and to illuminate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tendency in the principle of the relevance and accessibility of nurture cost. Also government have to strive to prepare the nurture policy that bring a big benefit to facilities of low nurture income, small facilities, low income families in countries, too poor citizens. As an plan for seeking a variety of nurture policies considering characters of child ages, it is necessary to make use of child care leave for settling the nurture problem of babies under one year old, and to seek out a plan for income guarantee during the child care leave. For children who have a special desire such as babies under three years old and disabled children, systematization, financial support, and control of quality standard on home child care will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material in preceding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nurture policy, firstly in an age structure dual career couples 30 years of age consists of 84.3%(31~35= 53.3%, 36~40= 46.4%) in total. By the study they feel more burdensome than happy about their own child nurture. Mothers have much more this feeling in the case than fathers. This phenomenon will be connected with Korean tradition that imposes the responsibility of child care on mothers. Secondly, in the question that what virtues dual income couples specially stress to their children, 74.5 % of total respondents hope that their children will grow up as a man of honesty, integrity, love, and service(honesty and integrity = 56.4%, love and service = 18.1). Thirdly, as the resource of information on child care that they get, media(newspaper, magazine, TV) is 46.3% and information from experienced people is 26.8%. They have gotten information on child care from media and experienced people. Especially most of the knowledge that they have gotten is fragmentary and not to examine educationally. Therefore, we can realize that we need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systematically educational program. Fourthly, in the question that how they feel when their children said extravagant thing(or imagination), about 5.2% of them have a negative position about the case, while approximately 94.7% answer that they make an effort to understand their children or praise them. Fifthly, in the general matters and the examination of each area, the more brilliant school career duel income couples have, the more importantly they think the area of emotional development. But parents who earn less than 2 million won stress the area of intellectual development. An alternative plan on duel income couples's infant·child care is to demand much support to infant·child care in order for them to participate actively in economic activities, to consider an plan for relieving an economic burden of duel income family, and to need the foster of safe environment of infant·child care and the improvement of both nurture teachers's

      • 시간제보육사업 운영과 시간제보육프로그램 실행에서 나타난 어려움에 대한 시간제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 인식 비교

        김민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시간제보육사업 운영과 시간제보육프로그램 실행에서 나타난 어려움에 대한 시간제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의 인식을 비교해봄으로써 시간제보육 운영 방향성을 모색하고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의 시간제보육을 제공하는 어린이집과 육아종합지원센터 시간제보육교사 97명과 사업 운영 담당자인 어린이집 원장과 육아종합지원센터 보육전문요원 86명이다. 시간제보육사업 운영과 시간제보육프로그램 실행에서 나타난 어려움에 대한 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 인식을 비교하기 위해 시간제보육 관련 선행연구(김경미⋅김영신, 2017; 김설아, 2015; 김지혜, 2016; 서문희 외, 2011; 신수진⋅이승현, 2017; 이명우, 2016; 이연승⋅안혜정, 2018; 이영환, 2015)와 시간제보육사업(보건복지부, 2020)과 시간제보육 모니터링 매뉴얼(한국보육진흥원, 2020a)에서 사용된 질문 문항과 내용을 본 연구 목적에 따라 재구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시간제보육사업 운영에서 나타난 어려움은 총 4개 하위영역으로 건강 및 안전관리, 급⋅간식, 보육환경, 적응 및 주 양육자 관계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시간제보육프로그램 실행에서 나타난 어려움은 총 4개 하위 영역으로 환경구성, 보육프로그램 필요성, 보육 활동, 보육프로그램 개발 방향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간제보육사업 운영에서 나타난 어려움에 대한 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 인식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 및 안전관리에서 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 모두 아픈 영아를 돌보는 게 가장 어렵다고 응답하였고, 보육교사가 경험한 대표적인 안전사고 유형은 타박상과 할퀴거나 무는 경우였다. 둘째, 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 모두 시간제보육 제공기관에서 급⋅간식 미제공으로 인해 서로 다른 급⋅간식을 준비해옴으로써 영아 간 갈등이 가장 어렵다고 응답하였지만, 여전히 제공기관에서 급⋅간식 미제공을 원칙으로 하자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셋째, 다수의 보육교사가 현재 보육실 면적이 적당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공간 확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 놀이영역 확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보육교사는 교사 대 영아 비율이 현재 기준에서 영아 1명을 감소하여 1대 2가 적절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넷째, 보육교사는 주 양육자에게 예약 이용 기준과 영아 적응 지원을 안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보육교사는 계속 울음을 보이는 영아를 돌보며 정신적, 육체적으로 가장 힘들고 교사 대 영아 비율을 낮추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면에 사업 운영 담당자는 보육교사가 영아와 일회적 관계로 적응 지도가 어렵고 주 양육자 협조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시간제보육프로그램 실행에서 나타난 어려움에 대한 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 인식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 모두 영아 혼합 연령에 적합한 놀이영역 구성이 가장 어렵다고 하였고, 이에 대한 세부 지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 모두 시간제보육프로그램이 자발적 놀이와 활동 속에서 영아의 발달과 성장에 도움이 되므로 필요하다고 하였다. 실제로 보육교사는 1일 평균 1∼2회 보육 활동과 각 활동 당 평균 5∼10분 제공되고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는 동시에 시간제보육을 이용하는 영아 수가 많거나 짧은 시간 이용하는 경우 개별 특징을 파악하여 관찰과 일지 작성이 어렵다고 하였다. 이에 대한 효과적인 관찰과 평가 방법으로 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 모두 보육일지에 간단히 관찰을 기록하는 방법과 보육프로그램에 관련한 평가척도 활용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넷째, 시간제보육프로그램 개발 방향에 대해 보육교사는 영아 혼합 연령에 적합한 자유 선택 놀이 중심 보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사업 운영 담당자는 영아-교사 간 안정적 관계 맺기 및 적응에 중점을 두는 보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시간제보육사업 운영과 시간제보육프로그램 실행에서 나타난 어려움에 대한 시간제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 인식을 비교한 결과, 시간제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는 영아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어려움 및 영아 적응을 위해 필요한 사항과 시간제보육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제외하고 인식에 차이가 없었다. 시간제보육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선 시간제보육교사와 사업 운영 담당자 모두 시간제보육 목적 및 특성을 인식하고 이에 적합한 사업지침과 보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영아 발달 및 욕구와 요구에 맞춰 적절한 보육서비스를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direction for the operation of part-time childcare and to provide the necessary primary data for improvement by comparing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directors on the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 part-time childcare project and implementing part-time childcare program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97 teachers and 86 directors working at part-time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prepared based on prior research on part-time childcare, part-time childcare project guidelines, and part-time childcare monitoring manuals.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teachers and directors in operating the part-time childcare project were divided into four sub-areas: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meals and snacks, childcare environment, and adaptation and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 difficulties faced in implementing part-time childcare programs were divided into four sub-areas: the environmental composition, the necessity of childcare programs, childcare activities, and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childcare program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rforming frequency analysi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on the perceived difficulties in operating part-time childcare centers by the teachers and the directors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a comparison of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directors about the difficulties in operating part-time childcare programs is as follows. First, as for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both the teachers and the directors answered that caring for sick infants/toddlers was the most challenging, with the typical types of safety accidents among the infants/toddlers being getting bruised, scratched, or bitten in the order of frequency. Second, both the teachers and directors responded that conflicts among the infants/toddlers were the most difficult to handle as they brought different meals and snacks because the centers did not provide any meals and snacks. Still, the prevailing opinion was that centers should not provide meals and snacks in principle. Third, most of the teachers voiced the opinion that the current part-time childcare rooms at the centers were adequate but that the space for the play area needed to be expanded. Most of the teachers shared that reducing the teacher-to-infant/toddler ratio from the current one-to-three to one-to-two would be appropriate. Forth, the teachers were having difficulties guiding the parents about the reservation criteria for using part-time childcare and support for infant/toddler adaptation. The teachers believed that caring for infants/toddlers who cry continuously was the most difficult,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hence thinking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teacher-to-infant/toddler ratio. On the other hand, the directors thought it was challenging to guide infants/toddlers to adapt because the teacher and the infants/toddlers had a one-time relationship, requiring the cooperation of the parents. Next, a comparison of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directors about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implementing part-time childcare programs is as follows. First, both the teachers and the directors answered that it was the most difficult to lay out a play area suitable for a mixed-age group of infants/toddlers, and hence that detailed guidelines for this were required. Second, most teachers and the directors reported that the part-time childcare program should be provided because it helps the infants/toddlers develop and grow while playing and acting voluntarily. The teachers provided two types of activities once or twice daily with an average of 5-10 minutes for each activity. Third, the teachers reported that they had difficulties in identifying and observ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ach infant/toddler and keeping a journal when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infants/toddlers who were in charge or stayed for a short time. Both the teachers and the directors pointed out the need to simplify the journal and use the evaluation scales related to the childcare program as an effective way to observe and evaluate the infants/toddlers. Fourth,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part-time childcare programs, the teachers felt that a part-time childcare program centered on free choice play suitable for a mixed-age group of infants/toddlers was needed. At the same time, the directors reported that a part-time childcare program focusing on establishing a st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s/toddlers and the teachers and adaptation was required. In conclusion, a comparison of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directors about the difficulties in operating part-time childcare projects and implementing part-time childcare programs indicated that teachers and directors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except for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the infant/toddler adaptation, what is needed for infant/toddler adaptation, and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part-time childcare progra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address the difficulties of part-time childcare, both teachers and directors should recognize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part-time childcare as well as provide childcare appropriate to the development of infants/toddlers, their wants and needs by developing proper guidelines and childcare programs.

      • 방 과후 아동보육프로그램 개선방안연구 : 국·공립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정주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responsibility on children upbringing process is not only parents' due to the change of cognition in modern society and the role of society in child care became enlarged at present. These days when the importance of children's after-school educare programs for school-aged children is emphasized, this program is needed to be enlarged in active way considering it is able to reduce the burden on private education expenses by upbringing and care and protect children more safely and realize a welfare society ultimately.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lan to extend the after-school educare program in more useful and developmental aspect through educare centers on the basis of analysis and comparison result on each degree of demand in cognition on the after-school educare program, upbringing program and child care environment between the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s and parents. According the result of this study, there were several problems on the matter to be solved or improved like following. - Most people, generally, are in the lack of recognition on the necessity of after school childcare program and the importance of the program operation due to lack of social recognition on the concept of 'after-school childcare'. - The operation guide or principals described in details are too insufficient. - There are no programs with high quality as the operation guide or education process have been not defined yet. In order to solve or improve such several points stated above, it is suggested that proper operation guide and educational process and various after school educare programs that children require should be developed in more professionally. What is more, it should make people recognize that the main purpose of after school educare program is to care and nurture children by giving them sense of stability in psychology and emotion as its complementary function of home and school.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etailed guide or definition on the program and the law and system to guarantee and protect children's right in government level should be made surely in proper way.

      • 장애영유아통합보육프로그램의 운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서미경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장애영 유아의 통합보육에 대한 요구의 증대 속에서 장애영유아가 통합보육시설에 물리적으로는 통합되어 있지만, 교육활동의 주체로서 참여할 수 있는 제반 여건들이 잘 갖추어져 있지 못한 상황으로 장애영 유아통합보육프로그램의 운영 실태와 장애영 유아통합보육의 실시 주체인 원장과 교사의 만족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을 파악하여 장애영 유아의 교육 받을 권리를 보장하고 장애영 유아에게 풍부한 자극과 비 장애영 유아인 또래와의 폭넓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사회통합을 이루는 장애영 유아통합보육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하여 장애영 유아통합보육프로그램의 운영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북․경남지역 장애영 유아통합보육시설의 원장과 교사 151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SPSS for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내적 일관성 분석,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상관관계분석,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영 유아통합보육프로그램의 운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 환경요인인 전문 인력과 보조 인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 인력보다 보조 인력이 운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변인으로 나타났다. 전문 인력과 보조 인력에 대한 만족도 수준은 62.1%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특수교사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장애영 유아의 가족 및 친지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영 유아통합보육프로그램의 운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요인인 교육환경, 종사자, 영 유아비율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환경요인 중 교육환경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교육환경, 종사자, 영 유아비율의 만족도 수준은 57.2%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환경 중 특수의자 및 책상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보조 공학 기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장애영 유아통합보육프로그램의 운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적 환경요인인 교육 지원, 연계․협력 지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운영비 지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정책적 환경요인의 만족도 수준은 55.1%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과정재구성을 위한 지원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관운영비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장애영 유아통합보육프로그램의 운영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적 환경요인인 전문 인력과 보조 인력을 충분히 배치하고 지원하여야 한다. 장애 영 유아통합보육 관련 인력의 확충과 전문성을 개발하기 위한 지속적인 교육과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상호협력이 필요하며 근무여건과 처우 개선을 통하여 타 영역에서와 같은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둘째, 물리적 환경요인인 편의시설 등의 물리적 환경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장애영 유아의 교육접근 권을 높일 수 있는 편의시설과 보조 공학 기, 교재교구, 보육과정재구성 등에 대한 운영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정책적 환경요인인 물리적 환경마련 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하여야 한다. 통합보육환경의 조성을 위한 지원은 재정적인 부담이 큰 요인으로 열악한 보육시설부터 전체 보육시설로의 점진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includes increase of demanding unificated education of nusery disabled infant, in other words they unificated nersery facilities physically but can't take part in condition as the subject of education themselves. Therefore we grasp the point research on the facilities operation. It needs to know that principal and workers the extend of satisfaction and factor of satisfaction. In order to gurantee of rights between disabled infant and undisabled infant offer same chance of interaction. As a result, we can fix unificated education of disabled infant and activate. This study carried out SPSS for PASW Statistics 18.0 program,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rossing analysis, interrelation analysis, t-verification, unitary arrangement dispersion analysis and recurrence analysis about total data from principal and 151 teachers work as nursery facilities for disabled infant in Dae-gu, Kyung-buk, Kyung-nam area. In brief, result of studying. First, human surroundings factor have true sense. There are expert officials and assistance officials. they are affected by operating satisfaction unificated nursery program for disabled infants. It rates 62.1% satisfaction level. Among them, satisfaction level is the highest to the special teacher, however the lowest disabled infants' family and relatives. Second, physical surroundings factor have true sense. There are education condition, workers, rate infants. It rates 57.2% satisfaction level. Among factors, satisfaction of educated condition, the highest the special chair and desk, however the lowest aid engineering tools. Third, Policy surroundings factor have true sense. There are support education, cooperation. But operation expenses aid is meaningless. It rates 55.1% satisfied. Among them, satisfaction aid level is the highest reconstruction process of education. However, the lowest operationg expenses for facilities. As a study conclusion, to improve operating satisfaction for unificated nursery program disabled infants. First, we consider about human surroundings with the enough support special official and assistance official. So as to, expang for unificated nursery disabled infant human and to continue educated improve specialty and cooperate between general teacher and special teacher. Besides, improvement of labor condition. Second, we consider about physical surroundings. We should support convenience facilities. In short, with the support convenience facilities and aid engineering tools, instruments of education, reconstruction process of education for disabled infants. Third, we consider about policy surroundings. Above all it should support policy to achieve improve physical surroundings. It needs to improve their financial supports and then, we could be gradual progress.

      • 영아보육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소재 국ㆍ공립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김춘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소재 국공립 어린이집의 운영현황을 알아보고, 영아보육 활성화를 위한 영아보육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모집단은 서울특별시 소재 국공립 어린이집 509곳 중 「1999년도 보육사업안내(서울특별시 1999, 267-278)의 주소록을 참조하여, 영아보육을 실시하고 있는 국공립 어린이집 200곳을 무작위 표본추출하였다. 설문 방법은 200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자가 직접 기관을 방문하여 질문지에 응답을 받거나, 우편으로 질문지를 우송하여 회수하는 우편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회수된 질문지는 162부로 81%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부적합한 15부를 제외하여 147부의 질문지를 통계 패키지인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① 영아보육교사의 일반적 사항, ② 영아보육시설 현황, ③ 영아보육시설의 부모교육 및 등원·귀가, ④ 영아를 위한 시설, ⑤ 영아급식에 관한 사항, ⑥ 영아보육프로그램, ⑦ 영아보육교사, ⑧ 영아의 건강·안전관리, ⑨ 영아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 등 총 42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영아보육교사의 일반적 사항을 보면, 영아보육교사 배경수준은 양호한 편이었다; 영아보육교사의 연령은 20-30대가 87.8%로 젊은편이었고, 70.1%가 전문대학 이상을 졸업하였으며, 85.0%가 2년 이상의 경력을 가졌다. 또한, 영아보육교사가 담당하고 있는 영아의 연령은 대부분(94.6%) 1-2세아로 0세아는 극소수였다. (2) 영아보육시설의 일반적 현황을 살펴본 결과, 0세반 담당 보육교사 등 영아를 위한 인력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어린이집의 운영체는 84.4%가 종교단체·종교법인, 사회복지법인이었으며, 시설면적은 50-150평이 전체 시설의 37.4%(무응답 제외시 68.8%)였다. 영아반 운영은 1세(110곳) 2세(130곳) 영아반 위주로 편성되어 있었다. 담당교사 1인당 영아수는 1세반(90.7%), 2세반(83.5%)의 경우 「영유아보육법」의 기준을 대체로 준수하였으나, 0세반의 경우 48.5%만이 기준을 준수하였다. 영아보육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종사자 수는 응답시설의 57.8%가 6-10명으로 소규모였으며, 보육교가는 57.8%가 6-10명이었다. 전체 영아보육시설에서 원장과 보육교사를 제외한 인원 현황은 취사부 (93.9%), 양호교사(21.8%), 영양사(6.1%), 관리인(12.9%), 사무원(21.1%), 기타(8.2%) 등이었다. (3) 영아보육시설의 부모교육 및 등원·귀가에서, 부모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부모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아보육시설의 부모교육은 42.9%가 실시하였으며, 영아보육시설의 부모교육프로그램 운영방법은 71.4%가 원장 또는 담임교사가 어린이집에서 실시하였다. 영아들의 등원·귀가 방법은 대부분(95.2%)이 부모가 직접 데리고 오고 데리고 간다고 응답하였다. 영아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부모들의 가장 큰 바램은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었다. (4) 영아를 위한 시설에서, 영아만을 위한 필요시설 및 영아의 건강에 관계되는 몇가지 비품은 확보율을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아를 위한 영아보육시설의 시설 확보률은 실내미끄럼들(90.5%), 낮은 식탁(83.7%) 등만이 비교적 높게 조사되었으며, 영아를 위한 비품 확보율은 개인사물함(99.3%), 시계(98.0%), 이불·이불장(95.9%), 모빌(85.0%), 의류·기저귀보관통(85.0%) 등이 비교적 높게 조사되었다. (5) 영아급식에 관한 사항에서, 전문적인 지식이 있는 영양사의 확충과 균형있는 급식을 위한 재정의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아급식 식단 작성자는 원장(시설장)(41.5%), 영양사(22.4%), 외부전문가(19.0%)였으며, 영아급식 운영에서 가장 큰 애로점은 영아급식에 대한 자료(정보) 부족(25.2%)과 전문지식 부족(22.4%), 균형있는 급식을 위한 재정 부족(21.1%) 등으로 조사되었다. (6) 영아보육프로그램에서,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영아보육을 담당하고 있는 보육교사의 과중한 업무(업무시간·담당아동수)를 줄여주어야 할 것이다;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작성자는 90.5%가 담임교사였으며, 작성시 참고자료(개발된 교재)로 사용하는 교재는 보건복지부 영유아보육프로그램 42.2%, 영유아 보육에 관한 각종 전문서적 26.5%, 서울특별시 영유아보육프로그램 23.2% 등을 사용하였다. 영아 보육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가장 어려운 점은, 교재연구를 위한 시간 부족(3.15점/4점기준), 다양한 프로그램 부족(2.65점/4점기준) 등으로 나타났다. 영아보육계획시 비중의 중요도는 0세 영아의 경우 영아가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갖도록 지도하기(5.49점/6점기준), 1세 영아의 경우 신체이동이 가능하도록 도와주기(4.79점/6점기준), 2세 영아의 경우 신체활동이 왕성한 시기의 아이들에게 안전훈련 지도하기(6.03점/7점기준) 등이었다. 영아보육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분야는 영아의 안정과 정서발달(4.52점/5점기준)로 나타났다. (7) 영아보육교사에서, 영아보육교사의 학력의 적정선은 전문대졸 이상이었으며, 「영유아보육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보육인원을 줄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보육교사의 자질향상 을 위한 연수교육기회를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영아보육교사로 가장 적합한 연령층은 30대(83.1%)였으며, 학부모들이 영아를 영아보육시설에 보내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직장문제(96.6%)였다. 영아보육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에 관하여, 영아에 대한 따뜻한 사랑(3.65점/4점기준)이었으며, 영아보육교사의 학력 적정선은 전문대졸 이상(81.6%)이었다. 「영유아보육법」에 의한 보육교사 대 아동(영아) 비율에 대한 보육교사의 입장에 관하여, 1인당 0세 2명, 1세 3명, 2세 5명(91.6%)이었으며, 영아반 보육교사로서 자신의 문제점으로 전문지식·경험부족(77.5%) 등이었다. 영아반 보육교사를 위한 연수교육 기회가 현장실무에 대부분 도움이 된 것(76.6%)으로 조사되었으며, 영아반 운영에 있어서의 애로점은 학부모의 인식 부족(3.58점/5점기준) 및 시설·설비 부족(3.45점/5점기준)이었으며, 어린이집의 선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보육교사 및 시설(92.1%)이었다. 또한, 영아보육에 대한 의견으로는 가정양육이 가장 바람직하지만(4.25점/5점기준), 영아보육시설의 질적수준에 따라 가정양육보다 지능지수가 높을 것이라(4.51점/5점기준) 생각하고 있었다. (8) 영아의 건강·안전관리에서, 영아의 체온측정의 정기적 점검이 필요할 것이며, 영아가 아플 경우를 대비하여 응급약품의 구비와 응급처치요령 등 교육을 통하여 영아의 안정적인 보육환경을 적극적으로 조성해야 할 것이다; 영아보육기관에서 영아의 체온측정(영아의 건강 체크) 시기는 몸이 아플 때 실시(63.9%)하였으며, 0세아(12개월 미만) 입소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영아의 감염유무(4.52점/6점기준) 및 병력(4.34점/6점기준)이었다. 영아보육기관에서 영아들의 건강·안전관리에 비중을 두는 부분은 위생적이고 안전한 보육환경의 정비·점검(4.91점/6점기준)과 개개 영아들의 신체적인 상태 파악(4.66점/6점기준)이었다. 영아보육기관에서 영아의 신체검사(신장, 체중) 측정은 대부분 연 2회 이상 실시(93.2%)하였으며, 영아보육기관에서 영아가 아플때 조치 사항으로는 부모에게 연락(61.2%)하거나 시설의 응급약·응급처치를 이용하는 조치(27.2%)를 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9) 영아보육의 질적 수준을 위한 정책에서, 정부가 우선적으로 수행할 사항을 재정지원확대 측면과 교사자질향상 측면으로 구분하여 조사(3점기준)한 결과, 재정지원확대 측면은, 영아보육교사의 보수와 영아보육프로그램 및 교재·교구지원의 현실화(2.13점), 영아보육시설 개선(2.10점), 교사 1인당 영아 비율 축소(1.77점) 순으로 조사되었다. 교사자질향상 측면은, 영아보육교사에 대한 정기 연수교육의 확충(2.65점), 영아보육프로그램 연수 전담교사제 실시(2.31점), 연간보육결과에 대한 보고서 작성(1.05점)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유아교육에 비하여 짧은 역사를 가진 영아보육에 일선 영아반 교사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불편한 시설개선과 영아보육에 대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연수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전제로 어린이집의 미래에 대해서 보다 더 효율성을 지닌 통합교육·전인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정부 보육정책의 개선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어린이집에서 여러 연령층의 영아가 생활하므로 각 연령에 따른 발달단계를 고려한 보육의 분화를 위해서는 정부에서 별도의 예산을 책정하여 영아의 연령에 맞는 다양한 영아보육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함은 물론 시설장 및 교육담당자에 대한 재교육 및 시설·비품 확보를 위한 합리적인 예산이 지원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법적·제도적 정비가 필요할 것이다. (2) 건강한 시민양성을 위한 최초의 사회기관으로서 영아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환경조성을 위해 교사 1인당 영아수를 적정 수준으로 줄여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린이집은 부모와의 긴밀한 유대를 위해서 일차적으로 영아와 가장 가까운 부모교육에 예산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며, 점차 그 지원범위를 확대해 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f the national/public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to present suggestions for infant day-care policy. Out of 509 national/public day-care centers 200 randomly sampled for subjects by making reference to the day-care center directory of the day-care center's. With 200 questionnaires either researcher's visiting to centers or mailing method was used. By 81 percent of return rate 16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147 questionnaires excluding 15 were analyzed by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As a result of analysis more efficient integrated education for future day-care centers requires improvement on government policies for infant education as follows: Due to infants of different age groups are living together, government policy should consider budget for specialized day-care programs. Also, these programs are included teacher reeducation, development of facility and equipment. Apparently, it needs leg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infant per teacher needs to be reduced moderate level for confortable educational environment. In order to this, government ought to increase the financial support.

      • 영아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김혜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해서 조사 분석하여, 바람직한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보육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향상과 발전 방안을 모색하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들에 대한 현직 교육의 현황은 어떠한가? 2. 보육시설 유형별에 따른 어린이집 영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3. 어린이집 영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1. 교사의 학력별 영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차이가있는가? 3-2. 교사의 경력별 영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차이가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 국·공립, 민간 어린이집 중 50명 이상 보육시설의 전, 현직 영아보육교사 500명을 무작위로 조사하여 이중 307부 회수하여 부적합한 설문지 11부를 제외한 296부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서울지역 어린이집 대상으로만 하여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이다. 현직 교육의 현황, 필요성 및 교육형태의 인식정도를 묻는 연구도구는 Ronbinson(1990)이 영아기 보육교사의 현직 교육 요구를 조사하기 위해 제작한 면접틀을 수정하여 유아교육과 교수 3인의 타당도를 거친 후 예비조사의 일부로 6명에게 질문지를 배부하고 34번 문항부터 39번 문항을 수정하였다. 이 도구의 하위요인은 건강, 안전, 교사-영아와의 상호작용, 교사-부모와의 상호작용, 신체·운동발달, 사회·정서발달, 지적발달을 4문항씩 7개의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한 자료의 분석 방법으로는 연구대상 교사의 일반적인 배경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교사의 학력, 경력별, 시설유형에 따른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들에 대한 현직 교육의 현황은 어떠한가? 대부분의 교사들은 영아보육에 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었으며, 근무경력이 6-10년인 교사들이 가장 연수경험이 많았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보건복지부에서 연수를 받았다고 응답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영아교육에 관련된 교육도 민간어린이집이 국·공립보다는 그 활용빈도가 낮았다(28.7%). 이러한 이유로 인해 영아관련 교사 교육에 대해서 민간어린이집 교사가 그 필요성(63.5%)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또한 영아 보육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관련 자료가 없기 때문에 매우 어려움을 느낀다고 상당수가 응답하였다. 특히 영아를 위한 보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질문에 67.4% 였으며, 영아프로그램이 마련되어있지 않는 어린이집도 32.6%로나 되었다. 영아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는 기관을 유형별로 비교해보면, 국·공립 어린이집(77.6%)이 민간 어린이집(56.1%)보다높게 나타났다. 영아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건강(3.72점), 안전(3.50점), 교사-부모 상호작용(3.39점), 지적발달(3.64점)이 낮았으며, 신체 운동발달(4.12점), 사회정서발달(4.11점)의 교사인식이 높았다. 또한 프로그램 작성은 교사혼자서 매주 작성한다고 응답한 곳이 많았으며, 필요할 때마다 한다(5.9%)고 응답한 경우도 있었다. 둘째, 보육시설 유형별에 따른 어린이집 영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민간, 국·공립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영아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정도를 건강, 안전, 교사-아동 상호작용, 교사-부모 상호작용, 신체·운동발달, 사회·정서발달, 지적발달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신체·운동 발달이 4.13점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사회·정서발달이4.12점, 교사-아동 상호작용이 4.04점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운동 발달, 사회·정서 발달, 교사-아동 상호작용은 비교적 높은 인식 수준을 나타내고있으며, 교사-부모 상호작용(3.39점), 건강(3.72점), 지적발달(3.64점), 안전(3.50점)은 그리 높은 수준이 아니어서, 영아에 대한 교육 역시 활발하고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자체 내에서 영아교사교육에 대해서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어린이집도 36.7%로 비교적 적었다. 셋째, 학력별, 경력별 어린이집 영아 보육프로그램제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또한 영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경력별, 학력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기관 유형에 따라서 교사-부모 상호작용, 신체·운동발달, 사회·정서발달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학력별로는 건강, 안전, 교사-아동 상호작용, 교사-부모 상호작용, 신체·운동발달, 지적발달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근무경력별로는 건강, 사회·정서발달, 신체·운동발달, 지적발달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신체·운동 발달(4.13점), 사회·정서발달(4.12), 교사와 아동과의 상호작용(4.04점)에 있어서는 비교적 높은 인식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건강(3.72점), 안전(3.50점), 교사와 부모와의 상호작용(3.39)에 있어서는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었다.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인식에 있어서 영아보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깊이 인식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