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수언론의 천안함 침몰 사건의 보도에 관한 사례연구 : 원인 프레임의 심층 분석을 중심으로

        김상균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2010년 3월 26일 발생한 천안함 침몰 사건에 관한 보수언론의 보도에 관한 사례연구로써 원인 프레임의 심층분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사건 발생 이후 2015년 4월 30일까지 천안함 침몰 사건에 관해 보도한, 검색엔진 아이서퍼에 나타난 보수언론의 전 기사를 대상으로 분석했다. 연구자는 분석을 위해 사례연구, 프레임이론, 보도 기사의 내용분석, 심층인터뷰를 연구방법론으로 활용했다. 그리고 천안함 침몰 사건의 보도에 드러난 보수언론의 취재보도의 문제를 적시하기 위해 『저널리즘의 기본원칙』을 원용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보수언론은 냉전시대의 관행으로 작동해온 대북 보도 프레임의 설정원리인 ‘적대적 공생관계론’과 ‘안보상업주의’에 의해 ‘북한 소행설’을 천안함 침몰 사건의 원인 프레임으로 추정ㆍ예단하고 확정했다. 그리고 여기에는 주요 정보원으로서 탈북자의 미확인 정보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해왔음을 기술했다. 둘째, 보수언론은 천안함 보도에 있어서 사건 발생 초기에 이미 ‘북한 소행설’을 추측하고 예단하며, 선택하고 강조해 왔다. 검증엔진 아이서퍼에 의하면, 보수언론은 전 기간에 걸쳐, 특히 보도의 초기인 제1차 국면에서 ‘어뢰’란 키워드를 ‘좌초’나 ‘기뢰’보다 더 많이 보도해왔다. 침몰 당시 ‘북한, 특이 동향은 포착되지 않았다’는 한미 정보자산의 보고에도 불구하고 보수언론은 북한의 어뢰 공격설을 주창하고 예단했다. 그리고 어뢰의 잔해인 실증적 증거물을 찾아야 한다고 군 당국에 촉구하기도 했다. 중간발표 닷새 전 인양된 어뢰 추진체는 ‘북한 소행설’의 결정적 증거로 확정되고 반복해 보도되었다. 셋째, 보수언론은 ‘북한 소행설’ 이외의 대항적 프레임에 대해 왜곡하거나 축소하고, 배제하거나 보도를 전혀 하지 않음으로써 ‘북한 소행설’을 지배적 프레임으로 고착화해 왔다. 서재정과 이승헌은 북한 어뢰의 결정적 증거로 거론한 백색 흡착물질이 폭발재가 아니라 침전재이며 실험결과가 조작됐다는 것을 폭로했다. 신상철은 천안함 선체에 선명하게 긁힌 자국과 S자로 뒤틀린 스크루를 좌초의 뚜렷한 증거라고 본다. 합조단의 보고서와 달리 러시아보고서는 좌초와 기뢰폭발성을 주장한다. 대잠수함전 전문가 안수명은 최종 보고서 전체가 비과학적ㆍ비윤리적ㆍ비양심적이라고 비판한다. 이들 집단지성의 합리적 의심이나 과학적 문제제기는 보수언론에 의해 축소되거나 왜곡되고 배제되거나 전혀 보도되지 않았다. 그리고 최종보고서와 다른 이견을 제기한 집단지성은 ‘종북몰이’의 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현실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수언론의 천안함 침몰 사건의 보도는 진실과 사실 검증의 원칙에서 크게 벗어나있다. 둘째, 보수 언론이 대북보도에 있어서 매우 적대적이거나, 북한을 악마화 하려는 근거는 ‘적대적 공생관계론’과 ‘안보상업주의’에 기인한다. 셋째, 합조단 최종 보고서의 ‘과학적 진실’은 이미 상당 부분 밝혀졌고 다만 이와 상반되는 ‘정치적 진실’을 고집하는 소수가 보수언론에만 의탁하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민주주의를 위해 언론의 다양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공영언론체제를 회복하는 것이 시급하다.

      • 뉴스과부하 인식이 선택적 뉴스 이용을 매개로 국제쟁점 관여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한·중·미 쟁점을 중심으로

        리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71

        전통미디어와 소셜미디어를 포함한 새로운(디지털)미디어의 결합을 통해 점점 더 많은 정보와 미디어가 과부하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정보와 미디어가 풍부한 환경에서는, 이용자들이 국제쟁점에 관한 뉴스를 어떻게 접하고 관리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게 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뉴스과부하 환경에서 한국 대학생들은 뉴스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지, 이러한 선택적 뉴스 이용 방식이 국제쟁점에 대한 관여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서 출발하여 뉴스과부하 인식, 선택적 뉴스 이용과 국제쟁점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2023년 3월 8일부터 24일까지 17일간,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은 SPSS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는데,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이다. 총 365개의 설문이 최종분석에 활용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들의 피로감, 부담감과 같은 심리적 인식 요인은 뉴스과부하 인식 요인으로 파악됐다. 선택적 뉴스 이용은 SNS뉴스 이용, 네이버뉴스 이용, 다음뉴스 이용 등 주제와 매개 플랫폼에 따른 선택적 이용, 그리고 정치적 성향에 따른 보수언론 및 진보언론 이용과 같은 요소로 추출됐다. 국제쟁점에 대한 관여 및 태도는 사드 쟁점과 동북공정 쟁점 두 가지 이슈를 추출했다. 즉 사드에 대한 관여, 사드에 대한 태도, 동북공정에 대한 관여, 동북공정에 대한 태도이다. 둘째, 결과에 따르면, 뉴스과부하 인식은 소셜미디어의 국제·시사·정치 뉴스의 선택적 이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뉴스과부하 인식은 네이버뉴스 이용과 다음뉴스 이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대학생들은 뉴스과부하를 의식하더라도 특정 소셜미디어를 통해 관심 주제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경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뉴스과부하로 피로감, 부담감 등 인식이 증가하는 환경에서 정파적 선택적 뉴스 이용을 초래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즉 대학생들의 뉴스과부하 인식이 높을수록 정치적 성향에 따라 보수 또는 진보언론의 뉴스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택적 뉴스 이용이 사드 관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네이버와 다음 포털의 국제·시사·정치뉴스의 선택적 이용이 사드 관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용자들이 포털에서 국제·시사·정치 관련 콘텐츠를 이용할수록 사드에 대한 관여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수언론 이용, 진보언론 이용 등은 사드에 대한 관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형성하고 있었다. 특히, 사드 관여에는 보수언론 이용은 다른 뉴스 이용 방식에 비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드 관여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선택적 뉴스 이용과 사드 태도의 관계에서 사드 관여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선택적 뉴스 이용가 사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사드에 대한 관여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연구가설은 채택됐다. 즉 뉴스과부하 환경에서 선택적 뉴스 이용에 의해 사드에 대한 관여가 높아질수록 사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선택적 뉴스 이용이 동북공정에 대한 관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네이버와 다음 포털의 국제·시사·정치뉴스의 선택적 이용이 동북공정에 대한 관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보수언론 이용, 진보언론 이용 모두 동북공정에 대한 관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북공정에 대한 관여에는 진보언론 이용가 다른 뉴스 이용 방식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여섯째, 동북공정 관여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선택적 뉴스 이용과 동북공정 태도의 관계에서 동북공정 관여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이용자가 동북공정에 대한 관련 뉴스를 선택적으로 이용할수록 중국 주도의 동북공정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보수언론뿐만 아니라 진보언론의 선택적 이용도 동북공정에 대한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동북공정 쟁점은 민족 감정과 결부된 역사문제이며, 보수와 진보언론 모두 공감하였기 때문에 동북공정 보도에서 정파성에 따른 극명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많은 선행 연구를 통해 검증되었던 언론의 프레임(frame) 효과와 선택적 노출 효과가 본 연구에서도 확인되었다. 한국언론의 보도를 통해 한국언론의 편향된 보도 프레임이 존재하며 이용자들도 기존 신념과 입장에 기반한 선택적 뉴스 이용이 존재할 것이라는 점을 예측해 볼 수 있다. 중국 주도의 쟁점에 대해, 한국 대학생들은 낮은 관여 수준과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반면 한·미 주도의 쟁점에 대해, 한국 대학생들은 높은 관여 수준과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하여 한국 대학생들은 한·중·미 쟁점 상황과 책임 소재 등에 대한 균형 있는 인식과 평가를 갖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된다. 요약하면, 이러한 편향된 뉴스 프레임과 이용자의 선택적 뉴스 이용 행위가 국제관계의 발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특히 국가의 미래를 전망하고 국제사회의 주요 이슈를 논의하는 국제쟁점에서 미디어의 선택적 뉴스 이용이 초래하는 결과를 탐색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게 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선택적 뉴스 이용의 국제정치 차원의 정치적 효과와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라는 결과는 향후의 관련 연구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던진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포털사이트와 소셜미디어를 포함한 온라인 뉴스 플랫폼이 담당해야 할 국제뉴스 차원의 역할 및 국제관계의 양성적 발전에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달성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In today's high-choice environment, where traditional and new (digital) media coexist, news overload has become a common issue. In this context, understanding how users consume and manage international news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ews overload, selective news use, and international issues. Specifically, it examines whether users selectively use news in the news overload environment and the effect of this selective news use on the involvement and attitude towards international issues.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over a 17-day period from March 8 to 24, 2023. A total of 365 valid response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he measurement items used in this study include "perceived news overload", "NAVER news use", "Daum news use", "progressive media use", "conservative media use", "THAAD involvement", "THAAD attitude", "Northeast project involvement" and "Northeast project attitude". Data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using SPSS 16.0, and various analysis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presented below. First, in this study, perceived news overload was identified as a psychological cognitive factor affecting users' selective news use. Selective news use was measured by NAVER news use, Daum news use, conservative media use, and progressive media use, with a focus on two international issues: THAAD issue and Northeast Project issue. Second, it was found that perceived news overload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ective use of Naver News and Daum News. Additionally, the study suggests that the more people perceive news overload, the higher the likelihood that they will selectively use conservative or progressive media news based on their political ideology.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s that the use of partisan news may increase in the context of news overload. In other words, the more people perceive news overload, the higher the likelihood that they will selectively use conservative or progressive media news based on their political ideology. Third, this study finds that the use of international, current affairs, and political news on portal website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users' THAAD involvement. Specifically, the more users consume such content on portal websites, the higher their THAAD involvement. Additionally,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edia use als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users' THAAD involvement. Notably, conservative media use has a greater impact than other types of selective news ues on users' THAAD involvement. Fourth, this study finds that THAAD involvemen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ve news use and users' attitudes towards THAAD. The research hypothesis that selective news use affects attitudes towards THAAD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THAAD involvement has been adopted. In other words, in the context of news overload, it was confirmed that as the use of selective news increases, higher involvement in THAAD is associated with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AAD. Fifth, examining the effect of selective news use on involvement in Northeast Project, it was found that portal news us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involvement in Northeast Project. In addition, both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news media use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involvement in Northeast Project issue. In particular, it was analyzed that progressive media use had a greater impact on involvement in Northeast Project issue compared to other news use methods. Sixth, this study found that selective news us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attitude toward Northeast Project issue through involvement in Northeast Project issue. As users select articles related to Northeast Project issue, they show a negative attitude toward China-led Northeast Project issue. Selective use of both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news media also has a negative impact on attitude toward Northeast Project issue. Northeast Project issue is closely related to national sentiment and historical issues, and both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news media share similar sentiments, so no sharp differences based on partisanship were found in Northeast Project-related coverage. Finally, the framing effects and selective exposure effects of the media, which have been validated through numerous previous studies, were also confirmed in this study. It is predicted that biased reporting frames exist in Korean media and that users also engage in selective news use based on their pre-existing beliefs and ideologies. Regarding contentious issues such as the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led by China and the Northeast Project, Korean university students exhibit low levels of involvement and negative attitudes. On the other hand, regarding issues such as the THAAD and North Korean nuclear issues led by the US and South Korea, Korean university students exhibit high levels of involvement and positive attitudes. Therefore, it is predicted that Korean university students will have difficulty in forming balanced perceptions and evaluations regarding the situations and responsibilities of Korea, China, and the US. In summary, considering the negative impact of biased news framing and selective news use on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xploring the consequences of selective news use in international issues that discuss the future of nations and major issu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political effects and mediating effects of selective news use o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dimension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future related studies. Additionally, this study sugges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online news platforms, including portals and social media, in the international news dimension and the positiv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relations.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this study,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oposed.

      • 韓國의 대표 보수언론과 진보언론의 프레임 비교 분석 : 사드(THAAD) 관련 보도를 중심으로

        조박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71

        언론은 한 나라의 가장 기본적인 정치적 사회적 구조를 반영한다. 달리 말하면, 국제적인 사건이나 이슈에 대한 뉴스 보도가 나라별 문화적 차이로 인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언론보도는 언론사의 논조에 따라 다르게 틀 지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동일한 이슈라 하더라도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보도의 시각이나 관점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물론 사드와 같이 해당 국가뿐만 아니라 주변국과의 관계 또한 중요한 이슈의 경우에는 이해관계에 있는 국가들의 사회적, 외교적, 문화적, 경제적, 군사적 등 다양한 관점에서의 논의가 전개되기도 한다. 이는 특정 이슈의 범주가 국내를 넘어 외교적 문제를 포함할 경우, 언론사의 논조보다 해당 이슈에 대한 국가적, 외교적 입장에서의 관점이 더욱 중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최근 외교적 이슈로 부각한 한국의 사드 배치와 관련한 논의들이 언론사의 논조에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드’ 관련 보도에 대한 한국의 대표 보수언론인 <조선일보>와 진보언론인 <한겨레> 간의 프레임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한국에서 사드에 대한 논의가 처음 시작된 시점인 1999년 1월 22일부터 사드의 배치장소를 비롯하여 사전결정을 마무리 한 2016년 9월 30일까지이다. 분석 자료는 두 신문사 홈페이지에서 ‘사드’를 검색하여 수집하였다. <한겨레>의 경우, 홈페이지에서 추출된 기사들 가운데 한겨레에 저작권이 없는 경우에 한해 해당 언론사에 직접 문의하여 구별방법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조선일보 734건, 한겨레 729건의 기사를 추출하였다. 이후 1차 분석 작업을 거쳐 사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사 121건을 제외했다. 이에 최종 분석대상 기사는 조선일보 649건, 한겨레 693건으로 총 1324건이다. 분석유목은 보도 량, 정보원, 프레임, 보도태도 등이다. 보도 량은 두 신문사의 보도 건수와 유형을 비교하였다. 정보원은 뉴스에 등장한 정보원의 국적과 직업유형을 구분하였다. 프레임은 ‘안보 프레임’, ‘정치 갈등 프레임’, ‘신 냉전 프레임’, ‘경제 프레임’, ‘풀뿌리 민주주의 프레임’, ‘패권 프레임’, ‘사드 사양 프레임’, ‘북한위협 프레임’, ‘한미동맹 프레임’, ‘기타 프레임’ 등 10개 프레임으로 분류했다. 분석결과, 두 신문사 간 보도 량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에서는 사설과 칼럼, 연재기사 등이 비교적 많이 나타났으며, <한겨레>의 경우에는 스트레이트와 해설기사가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보원의 국적에서는 한국 정보원이 가장 많이 등장했고, 미국과 중국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일본, 북한, 러시아 정보원도 등장했지만 그 비율은 높지 않았다. 정보원의 직업유형은 <조선일보>에서 전문가와 익명 정보원이 더 많이 등장했고, <한겨레>의 경우에는 시민단체와 일반인이 더 많이 등장했다. 사드 관련 보도에서 가장 자주 나타난 프레임은 ‘신 냉전 프레임’이었다. 한국에 사드를 배치하게 되면 아시아에서의 한국의 위치가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조선일보>의 경우에는, ‘안보 프레임’, ‘사드사양 프레임’, ‘한미동맹 프레임’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한겨레>는 ‘풀뿌리 민주주의 프레임’을 더 강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도태도는 두 신문사 간 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찬성태도를 보였고, 정부의 입장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보도하였다. 사드에 대한 보도에서도 <조선일보>는 ‘북한위협 프레임’, ‘한미동맹 프레임’ 등을 사용하였고, 이러한 프레임들은 정부의 관점과도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한겨레>는 주로 사드에 대한 한국정부의 정책과 입장을 비판하는 입장을 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사드’에 대한 한국의 보수신문과 진보신문 간의 보도시각, 보도태도 등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ress reflects the most fundamental political and social structure of Korea. In other words, the news reports of international events or issues may vary in different countries due to cultural differences. Furthermore, press reports generally have a tendency of being edited differently based on the tone of the press company. This demonstrates that even regarding a singular issue, the perspective and point of view of a report may vary depending on the tendency of the press company. Of course discussions are made on important issues, such as THAAD, which affect not only the relevant country, but the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countries. This occurs from various perspectives - including social, diplomatic, cultural, economic, and military views. It signifies that if the scope of a specific issue includes diplomatic problems outside national borders, the perception from national and diplomatic positions on the issue may be further emphasized than the tone of the press. In this regard, it is worth examining whether the discussions related to the arrangement of THAAD in Korea, which surfaced as a recent diplomatic issue, have been affected by the tone of the press. Thus,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frame of Korea’s key conservative press <ChosunIlbo> and progressive press <Hangyore> on reports related to ‘THAAD’. The period of research was from January 22, 1999, the starting point of discussions on THAAD in Korea, to September 30, 2016, the point at which all prior determinations including the location to arrange THAAD had been set. As data for analysis, the keyword ‘THAAD’ was searched on the websites of the two newspaper companies to be collected. With <Hankyore>, the articles extracted from the website, on whichthe copyright was not owned by Hankyore, were directly inquired to the relevant press companies to identify the articles. Through this process, 734 articles fromChosunIlbo and 729 articles fromHankyore were extracted. After a primary analysis process, 121 articles that were not directly related to THAAD were eliminated. Thus, there were a total of 1324 final articles for analysis: 649 articles by ChosunIlbo and 693 articles by Hankyore. The categories of analysis included the report quantity, source, frame, and attitude of the piece. With respect to the quantity, the number and types of reports of the two press companies were compared. With respect to source, the category was further categorized into the nationality and occupation of the source that appeared on the news. The category of frame was categorized into 10 frames, including ‘security frame’, ‘political conflict frame’, ‘new cold war frame’, ‘economy frame’, ‘grass-root democracy frame’, ‘hegemony frame’, ‘THAAD specifications frame’, ‘North Korea threat frame’, ‘Korea-USA alliance frame’, and ‘other’. The result of analysis display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press companies concerning the quantity. ChosunIlbo displayed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editorials, columns, and running stories; however,Hankyore displayed more straight-forward and narrative articles. With respect to the sources, Korean was the most common nationality of sources, followed by the USA and China. There were also Japanese, North Korean, Russian, and other sources, but these appeared less frequently. The most common occupation of the sources included professionals and anonymous sources in the ChosunIlbo, and private organizations and the public in Hankyore. The most common frame in THAAD-related reports was the ‘new cold war frame’. This signifies that once THAAD is placed in Korea, the position of Korea in Asia may suffer. In the ChosunIlbo in particular, it was identified that the security frame, THAAD specifications frame, and Korea-USA alliance frame featured highly whereas theHankyore further emphasized the grass root democracy frame. With respect to the reporting attitude, a clear difference was displayed between the two press companies. <ChosunIlbo> displayed a notably serious attitude towards THAAD, and reported positively on the government’s position. In the process of reporting on THAAD, <ChosunIlbo>centered its reporting on the North Korean threat frame and Korea-USA alliance frame - this did not display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government’s stated stance. In contrast, <Hankyore> appeared to be more critical on the Korean government’s policies and position on THAAD.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reporting time and attitude of Korea’s progressive press and conservative pres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tendency of the press concerning ‘THAAD’.

      • 사회적 갈등이슈에 대한 뉴스 프레임 연구 : 한미 쇠고기 협상과 촛불집회 보도를 중심으로

        윤영욱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70

        2008년 상반기에 있었던 ‘미국 쇠고기 재수입 협상’과 여기서 촉발된 ‘촛불집회’는 근래 보기드문 한국사회의 갈등 이슈였고 대변혁이었다. 그만큼 찬반논쟁이 뜨거웠고 각계각층의 갈등과 이념대결이 극심했다. 특히 진보, 보수 언론간의 격렬한 ‘미디어 전쟁’을 야기했고 우리 언론의 객관성과 공정성에 큰 의문을 던져준 계기가 됐다. 뉴스 프레임 연구에 따르면 언론은 이같은 갈등이슈를 보도하면서 같은 내용이라도 특정한 맥락과 관점에 따라 전체 뉴스의 전개방식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다시말해 뉴스 프레임을 다르게 채택할 수 있다. 또 이처럼 같은 사건이나 같은 이슈에 대한 뉴스일지라도 그것을 전달하는 뉴스 프레임이 달라진다면 이를 접한 사람들의 사건에 대한 해석과 의견도 달라진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런 점에서 2008년 한국사회 최대 갈등 이슈였던 ‘한미 쇠고기 협상 및 촛불집회’에 대한 국내 언론매체들의 프레임을 비교 분석했다. 진보와 보수언론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조선일보와 경향신문, MBC가 관련 보도에 있어 어떻게 뉴스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엔트만의 정의에 따라 각 매체가 특정 프레임을 통해서 문제를 어떻게 정의하고, 원인을 분석해서, 어떤 도덕적 평가를 내리고, 어떤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보수, 진보매체들 간에 어떤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촛불집회’ 뉴스 프레임은 ‘민심소통 프레임’과 ‘왜곡선동 프레임’ 그리고 ‘정치부재 프레임’, 이 세 가지 프레임으로 구분됐다. ‘민심소통 프레임’에서는 촛불집회가 대통령 및 정권의 독선과 오만에 대한 경고이자 민심 외면에 대한 심판으로 정의됐고, ‘왜곡선동 프레임’에서 촛불집회는 반미.반정부 세력에 의해 배후조종된 법질서 파괴행위라고 정의됐다. ‘정치부재 프레임’에서 촛불집회는 대의정치가 실종된 결과 발생된 것으로 규정됐다. 또 조선일보는 ‘왜곡선동 프레임’을 지배적으로 사용한데 반해 경향신문과 MBC는 ‘민심소통 프레임’을 집중적으로 선택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언론은 보수와 진보라는 기존의 패러다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뉴스 프레임은 물론이고 그 프레임에 따른 촛불집회의 정의나 원인분석, 도덕적 평가, 해결책 제시에 있어 보수언론과 진보성향의 언론이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즉 보수성향을 대표하는 조선일보와 진보쪽의 경향신문 및 MBC의 이념적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또 하나 우리 언론이 사회 갈등적 이슈를 보도함에 있어 갈등을 조정하기보다는 오히려 갈등을 조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뉴스 프레임은 물론이고 해당 이슈에 대한 정의와 평가, 원인 등에 있어 극단적인 대립과 쏠림현상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결국 우리 언론은 갈등 이슈를 놓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객관적으로 보도하기보다는 한쪽의 생각과 의견을 중점적으로 보도함으로써 대중사회의 갈등을 조정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공론장으로서의 언론 역할에 충실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한국 사회의 갈등 구조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고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우리 언론에 대한 근본적이고 포괄적인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됐다.

      • 사이버폭력 보도에 대한 주제 분석과 언론의 정치성향에 따른 차이 탐색 : LDA 토픽모델링 활용

        온가혜 경희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02

        Cyber violence is emerging as a serious social problem beyond simple crimes. In particular, as the use of smartphones and social media has soared since COVID-19, not only famous people in society but also the general public are more likely to suffer physical or psychological damage caused by cyber violence. The problem is that many people are not fully aware of the acts and their harmfulness that correspond to cyber violence, and do not take appropriate defense and countermeasures. This is followed by the responsibility of media coverage. The media reported cyber violence only in the event of an incident, focusing on interest, and failed to induce continuous social discussions and countermeasures.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status of cyber violence reports in the media over the past 10 years and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media. In terms of methodology, this study collected 12,145 articles from 11 daily newspapers nationwide on the subject of cyber violence and looked for the subject (topic) of the report through LDA topic modeling analysis. Through this, the content and change trends of cyberbullying reports over the past 10 years of the media were analyzed, and the differences in reports between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media were verif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derived 10 topics that constitute cyberbullying reporting. The names of each topic were misogyny, school violence, sports-related criticism, broadcast program criticism, politician criti cism, celebrity criticism, accident-catastrophic criticism, legal action and punishment, celebrity family criticism, and YouTube criticism. Among the 11 daily newspapers, the Segye Ilbo had the highest number of cyber violence-related news, followed by the JoongAng Ilbo, Seoul News paper, Hankook Ilbo, Dong-A Ilbo, Chosun Ilbo, Kyunghyang Ilbo, Kookmin Ilbo, Hankyoreh, Munhwa Ilbo, and Naeil Newspaper. The most reported topic in the entire news story was celebrity criticism. It was followed by legal action and punishment, misogyny, sports-related criticism, celebrity family criticism, politician criticism, broadcast program criticism, school violence, and accident-catastrophic criticism.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progressive and progressive media in cyberbullying reports. The top three topics in the conservative media were legal response and punishment, celebrity criticism, and sports-related criticism, but the top three topics in the liberal media were misogyny, school violence, legal response and punishment. In addition, conservative media have shown more coverage of social celebrities and strong players such as celebrities and sports players than liberal media. On the other hand, the progressive media covered more content targeting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women and students.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most media companies showed excessive interest in celebrities and celebrities in cyberbullying reports. Most articles revealed the problem of sensational reporting through provocative titles and contents. As the media exerts an influence on agenda setting even in cyberbullying, it is necessary to be careful in reporting. It shoul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serious social public opinion on cyber violence through accurate and fair reporting. Second, the media's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discussion on legal responses and punishment in cyberbullying reports as an independent topic. This shows that the media has covered many follow-up reports on cyberbullying cases. It seems that there were many reports of investigations and lawsuits related to cyber violence by celebrities. What is regrettable is that the media's prevention of cyber violence was relatively insufficient. As cyberbullying is a serious social problem, it is necessary to make preliminary and daily reports to prevent and prevent it. Third, in cyberbullying reports, conservative media focused on celebrities and social strongmen, while progressive media showed interest in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women and students. This may reflect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s of Korea's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camps. However, some argue that the discussion of the role of the media should represent the socially disadvantaged. Regardless of political orientation, it seems that more interest in the socially disadvantaged should be increased in the media's reports of cyber violence. Fourth, in cyberbullying reports, criticism related to accidents and disasters or criticism of celebrity families is being delivered as it is. The criticism of the victims of the disaster, which should be socially consoled, and the criticism of the celebrity family, which should be protected, are also expected to be judged on the value of media reports. In this case, even if it is an issue that attracts the attention of readers and viewers, it should have maintained a critical perspective in media reports and showed a cautious reporting attitude. This study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exceeded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to collect vast news data for 10 years and analyze major topics.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hat the trend and structural problems of cyber violence reporting were explored, and complementary points were pointed out. In the future, this study needs to expand the scope of analysis to broadcast reports and news comments, and to expand the scope of analysis in the direction of comparing it with foreign media reports. 사이버폭력이 단순 범죄를 넘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사회 유명 인물은 물론 일반인도 사이버폭력으로 인한 신체적이거나 심리적인 피해를 당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문제는 많은 사람이 사이버폭력에 해당하는 행위와 그 유해성을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고, 적절한 방어와 대책을 강구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언론 보도의 책임도 뒤따른다. 언론이 사이버폭력을 사건 발생 때에만 흥미 위주로 보도하면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사회적 토론과 대책 마련을 유도하지 못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지난 10년간 언론의 사이버폭력 보도의 실태를 탐색하고 진보와 보수 언론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기획되었다. 방법론상으로 본 연구는 사이버폭력을 주제로 보도된 전국 11개 일간지의 12,145건 기사를 수집하였고 LDA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하여 보도의 주제(토픽)를 찾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언론의 10년에 걸친 사이버폭력 보도의 내용과 변화 경향을 분석하고, 진보와 보수 언론의 보도 차이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는 사이버폭력 보도를 구성하는 10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각 주제명은 여성 혐오, 학교폭력, 스포츠 관련 비난, 방송 프로그램 비난, 정치인 비난, 연예인 비난, 사고-참사 비난, 법적 대응과 처벌, 유명인 가족 비난, 유튜브 비난 등으로 나타났다. 11개 일간지 가운데 사이버폭력 관련 뉴스 건수가 가장 많은 언론사는 세계일보였으며, 그 뒤에 중앙일보, 서울신문, 한국일보, 동아일보, 조선일보, 경향신문, 국민일보, 한겨레, 문화일보, 내일신문의 순으로 집계되었다. 전체 뉴스 기사에서 가장 많이 보도된 주제는 연예인 비난이었다. 이어서 법적 대응과 처벌, 여성혐오, 스포츠 관련 비난, 유명인 가족 비난, 정치인 비난, 방송 프로그램 비난, 학교폭력, 사고-참사 비난의 순으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점은 사이버폭력 보도에서 진보와 진보 언론 사이에 차이가 나타난 점이다. 보수 언론에서 기사량 1~3위를 차지한 주제는 법적 대응과 처벌, 연예인 비난, 스포츠 관련 비난이었지만, 진보 언론에서 1~3위 주제는 여성혐오, 학교폭력, 법적 대응과 처벌이었다. 또한, 보수 언론은 진보 언론에 비해 연예인이나 스포츠 선수 등 사회적 유명인에 관한 보도를 더 많이 보여주었다. 반면, 진보 언론은 여성이나 학생 등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내용을 더 많이 다루었다. 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언론사 대부분이 사이버폭력 보도에서 연예인과 유명인에 대한 과도한 관심을 보였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기사가 자극적 제목과 내용을 통하여 선정적 보도의 문제를 드러냈다. 사이버폭력에서도 언론은 의제설정의 영향력을 발휘하는 만큼, 보도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또한, 언론은 다각적인 입장에서 논의하여 정확하고 공정한 의식으로 객관적인 보도를 통하여 사이버폭력에 대한 편견을 없애기 진지한 사회적 공론 구성에 기여해야 한다. 둘째, 사이버폭력 보도에서 법적 대응과 처벌에 관한 논의가 독립 주제로 나타날 만큼, 이에 대한 언론의 관심이 집중되었다. 이는 언론은 사이버폭력 사건에 대한 후속보도를 많이 다루었음을 보여준다. 주로 유명인의 사이버폭력 관련 수사와 소송에 대한 보도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아쉬운 점은 언론의 사이버폭력에 대한 예방 보도가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는 것이다. 사이버폭력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인만큼, 이에 대한 방지와 예방을 위한 사전적이면 일상적인 보도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사이버폭력 보도에서 보수 언론은 유명인에 중점을 둔 반면, 진보 언론은 여성과 학생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을 보여 주었다. 이는 한국에 보수와 진보 진영 가치관의 차이를 반영하는 모습일 수 있다. 그러나 언론의 역할에 대한 논의에는 사회적 약자를 대변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정치성향과 상관없이 언론의 사이버폭력 보도에서도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이 더 많아져야 할 것을 제안한다. 사회 유명인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보도뿐만 아니라 학생이나 여성 등 사회 약자에 대해도 심층적인 보도를 증가시켜야 한다. 넷째, 사이버폭력 보도에서 사고-참사 관련 비난이나 유명인 가족에 대한 비난이 그대로 전달되고 있다. 사회적 위로가 모아져야 할 참사 희생자에 대한 비난과 보호받아야 할 유명인 가족에 대한 비난은 언론 보도에서도 가치 판단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에는 독자와 시청자의 관심을 끄는 사안이더라도 언론 보도에서 비판적 관점을 유지하며 신중한 보도 태도를 보였어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본 연구는 언론사의 뉴스 데이터만 수집하였고 방송사 및 블로그 등 매체의 데이터를 없기 때문에 사이버폭력 관련 보도에 대한 전체 매체 키워드나 주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따랐다. 두 번째, 본 연구는 양적 연구 방법론만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연구 부족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전면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론과 결합함으로 보완해야 한다는 조언을 제시한다. 세 번째, LDA 토픽모델링에서 토픽 이름을 설정하는 데에 따르는 주관적 해석의 문제를 한계로 밝힌다. 한편, 뉴스 데이터에서 못 발견된 숨겨진 토픽을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에 향후 더 많은 뉴스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토픽 분석 결과의 타당성을 향상하게 시킬 필요도 있다. 이러한 제한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한계를 뛰어넘어 10년에 걸쳐 뉴스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주요 토픽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하여 사이버폭력 보도의 경향과 구조적 문제를 탐색하였고, 이에 대한 보완점을 지적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향후 이 연구는 방송 보도와 뉴스 댓글 등으로 분석 대상을 확대하고, 외국 언론 보도와 비교하는 방향으로 분석 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다는 제언해 본다.

      • 인사청문회에 대한 언론의 현실 구성 연구 : 보수·진보 언론과 인사청문회 회의록 비교를 중심으로

        장윤희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01

        국내 인사청문회는 2000년 시행 이래 개선해야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인사청문회 제도와 운영상 논의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언론이 인사청문회 현실을 구성하는 방식에도 주목해야 한다. 언론이 인사청문회 정국을 어떻게 평가하고 보도하느냐에 따라 여론 흐름이 달라지고, 청와대가 후보자 임명 여부를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박근혜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열린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청문회에 대한 보도와 국회 회의록을 비교 분석했다. 두 정부는 정권 교체기에 출범한 각각 보수 정권과 진보 정권으로서 정치 성향별 차이, 최근 인사청문회 흐름을 잘 보여줄 수 있다. 2014년 신설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직무역량’과 ‘도덕성’이란 인사 검증 양대 축을 가장 잘 드러낼 공직이라 판단했다. 분석 매체는 보수 언론 <조선일보>·<중앙일보>, 진보 언론 <한겨레신문>·<경향신문>으로 선정했다. 뉴스 프레임은 헤드라인을 중심으로 프레임과 논조를 분석했다. 헤드라인에는 언론사의 뉴스 가치 판단이 응집되어 있고, 헤드라인 위주로 기사를 읽는 독자가 많아지는 미디어 환경을 고려했다. 국회 회의록은 인사청문회를 실시간 기록한 문서로 ‘현실’에 근접한 공식 자료이다. 연구 결과, 청문회 보도에서는 도덕성 프레임 비중이 직무역량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형식적 프레임에서는 보수와 진보 언론 모두 일화 중심적 보도가 많았다. 내용적 프레임에서는 매체와 정권 성향이 같을수록 직무역량 프레임이, 다를 경우 도덕성 프레임이 많았다. 언론 논조에서도 매체와 정권 성향이 동일하면 중립적 논조가, 차이가 있다면 부정적 논조가 많았다. 청문회 보도는 실제 현실보다 여당 청문위원 질의 인용 비율이 낮고, 야당 청문위원의 질의를 더 많이 인용하고 있었다. 기사에 인용된 여야 질의에서 야당 청문위원 대부분은 부정적 질의가 많았다. 이는 보수·진보 언론 모두 동일하게 나타났다. 인사청문회 '현실'로 볼 수 있는 회의록에서는 보도와 달리 직무역량 질의가 도덕성 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여당 의원들은 후보자에게 중립적 태도의, 야당 의원은 부정적 태도의 질의가 많았다. 언론은 도덕성 문제 위주로 인사청문회 현실을 구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레임, 논조는 취재 대상이 속한 정권 성향에 따라 달라졌다. 언론은 수많은 질의 중 후보자의 도덕성 문제를 공격하는 야당 의원 질의를 전략적으로 인용 보도했다. 언론의 이중 잣대, 정파적 보도 특징이 검증됐다. 본 연구는 방법론 측면에서 언론 보도와 회의록 내용을 비교하고, 인사청문회 보도의 정치인 발언 인용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언론의 현실구성 모습을 한층 더 깊이 탐색했다. 인사청문회 제도 개선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지만 이를 보도하는 언론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미약해, 이 점을 보완하는 의미도 있다. 연구 결과에서 진보 언론은 보수 언론에 비해 보도 방식이 유사하지 않은 경우가 두드러졌다. 한국 언론의 보수와 진보 기준에 대한 정교한 이해를 돕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올바른 검증 보도를 향한 언론 보도 준칙을 마련하는 방안도 이어져야 한다. 정책적으로는 청문회 준비 기간을 늘리고 인사 검증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 Since their implementation in 2000, confirmation hearings have been under consistent criticism for excessive personal allegations and political disputes between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Now is the time to take a step further from the discussion over the system and operational issues to the way the media constructs the reality of the confirmation hearings. It is because how the media evaluates and reports on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hearing has a meaningful impact on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and even the appointment of candidate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minute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media reports on the four hearings held by the Park Geun-hye and Moon Jae-in governments for the nominees of the Deputy Prime Minister for Social Affairs and Minister of Education. National Assembly Minutes are documents that record hearings in real time, and can be viewed as close to ‘reality’. For media analysis, this study selected two conservative media outlets, <The Chosun Ilbo> and <The JoongAng Ilbo>, and two progressive media <The Hankyoreh Shinmun> and <The Kyunghyang Shinmun>, respectivel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media constructed the reality of the confirmation hearings mainly based on moral issues. The tone of the report changed according to the ideology of the government to which the subject of the report belonged. Among the many inquiries, the media strategically cited inquiries from opposition lawmakers attacking the candidate's moral issue. The double standards of the media and the characteristics of factional reporting discovered in this study. In terms of methodolog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ared the results of media reports and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minutes to explore in depth how the media constructs reality. If a follow-up study of the criteria that divides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edia is conducted,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factional reporting will be possible. As a practical suggestion, it is necessary to collect opinions from the media on the desirable direction for the reporting principles when verifying public officials and to prepare guidelines for candidate verification reporting.

      • 학교폭력 학생부 기재 정책에 관한 미디어 프레임 분석

        장우중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282

        본 연구는 2012년 2월에 발표된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의 내용 중 하나로써 많은 사회적 논란을 낳았던 ‘학교폭력 가해 학생에 대한 징계 사항을 학생부에 기재하는 조치(이하 기재 정책)’에 대한 각 언론의 보도를 프레임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기재 정책에 관한 언론 보도의 양상을 살펴보고, 그것이 정책에 미친 영향을 가늠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진보 언론으로 분류되는 한겨레신문, 경향신문과 보수 언론으로 분류되는 조선일보, 동아일보 등 총 네 신문의 관련 기사 207건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언론사별 프레임을 도출한 후 갬슨과 라쉬(Gamson & Lasch, 1983)의 틀에 맞추어 그 구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진보 언론은 ‘무용지물 프레임’, ‘교육적 가치 프레임’, ‘권위주의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었다. 무용지물 프레임은 기재 정책이 효과는 없고 역효과만 크다는 것을 강조하는 프레임으로, ‘근본원인’, ‘후속결과’는 중요한 요소였다. 교육적 가치 프레임은 기재 정책이 비교육적이며 인권을 침해함을 강조하는 프레임으로, ‘원칙에 호소’는 중요한 요소였다. 권위주의 프레임은 기재 정책을 강행하는 교육과학기술부(이하 교과부)의 권위적인 태도를 규탄하는 프레임으로, ‘비교사례’는 중요한 요소였다. 보수 언론은 ‘폭력의 심각성 프레임’, ‘현실적 대안 프레임’, ‘정치 투쟁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었다. 폭력의 심각성 프레임은 학교폭력의 잔인성과 보편성을 강조하는 프레임으로, ‘대상묘사’, ‘시각적 이미지’는 중요한 요소였던 반면, ‘근본원인’, ‘후속결과’, ‘원칙에 호소’는 생략되었다. 현실적 대안 프레임은 기본적으로 기재 정책의 학교폭력 근절 효과를 인정하며 신중한 적용을 강조하는 프레임으로, ‘원칙에 호소’는 중요한 요소였다. 정치 투쟁 프레임은 진보교육감 및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정책 거부를 정치적인 행위로 격하하는 프레임으로, ‘비교사례’는 중요한 요소였다. 기사의 형태와 논조 및 프레임 사용량을 분석한 결과, 진보 언론은 기재 정책을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강도 높게 비판하였던 반면, 보수 언론은 기재 정책을 상대적으로 가볍게 인식하였고 지지의 강도 또한 낮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정책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형성되었고, 교과부 또한 정책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수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frames of reports of each of the press outlets on the measure that disciplinary actions should be recorded on the school life records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recording policy) for wrongdoing students of school violence, one of the controversial 'Comprehensive Preventative 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announced February 2012. Through this,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aspects of reports on the recording policy and then estimate their effects on the policy.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207 articles of 4 domestic newspapers, that is to say, the Hankyoreh and the Kyunghyang Shinmun classified as progressive newspapers and the Chosun Ilbo and the Dong-A Ilbo as conservative. Specifically, the study derived the frames according to these newspapers and then analyzed the structures of the frames drawn in accordance with framework in Gamson & Lasch(1983).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rogressive newspapers were using the frames of 'good-for-nothing', 'educational values', and 'authoritarianism'. The frame of 'good-for-nothing' was a frame emphasizing that the recording policy has only great adverse effects, and 'roots' and 'consequences' were important elements of it. The frame of 'educational values' was a frame emphasizing that the recording policy is detrimental to education and infringing on the human rights, and 'appeals to principles' were an important elements of it. The frame of 'authoritarianism' was a frame impeaching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for its authoritarian attitudes of pressing ahead with the recording policy, and 'exemplars' were an important elements of it. In contrast, the conservative newspapers were using the frames of 'seriousness of violence', 'realistic alternatives', and 'political struggles'. The frame of 'seriousness of violence' was a frame emphasizing the cruelty and universality of school violence, and 'depictions' and 'visual images' were important elements while 'roots', 'consequences', 'appeals to principles' were omitted from it. The frame of 'realistic alternatives' was a frame that basically recognized the effect of the recording policy, and emphasized its carful application to the school settings, and 'appeals to principles' were an important elements of it. The frame of 'political struggles' was a frame disparaging the rejection of the recording policy on the part of progressive superintendents of education and the Korean Teachers & Educational Workers' Union (KTU) as politically motivated acts, and 'exemplars' were an important elements of it.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forms and tones of the news articles, it was found that the progressive newspap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recording policy, and severely criticized it, while the conservative ones took the policy in a relatively light manner and showed low support for the policy. As the result of these, critical public opinions were formed, and it was found that the Ministry itself could not help but moderate the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