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국 유력 경제신문의 한국 대기업 보도에 관한 연구 : 국제 뉴스 보도와 기업 PR을 중심으로

        김병철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Wall Street Journal(아시아판), financial Times, 日本經濟新聞 등 외국 유력 경제신문에 나타난 한국 대기업에 대한 보도 성향을 분석함으로 써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기업의 국제 PR 활동중 가장 중심적이고 전통적이라 할 수 있는 언론을 대상으로 한 퍼블리시티(publicity) 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효율적인 국제 PR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들 외국 유력 경제신문에 나타난 한국의 기업 특히 5대 그룹 관련 기사에 관한 내용 분석을 통해 기업의 규모에 따른 기사 빈도 및 기사 크기 등 보도의 양적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전체 뉴스 구성에서 5대 그룹이 차지하는 비중을 알아보고 5대 그룹의 홍보 조직 규모 및 홍보 활동 종류, 해외광고 지출 규모 등에 따른 기사의 보도량 및 보도 태도의 차이를 추론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네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했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기업의 규모에 따라 외국 유력 경제신문의 한국 대기업에 관한 보도 성향은 어떤 차이를 보일 것인가에 대한 검증을 위해 「현대, 대우, 삼성, LG, SK 등 규모가 큰 1-5대 그룹에 속하는 제1집단과 규모가 작은 기타 나머지 그룹 및 기업에 속하는 제2집단간의 기사 빈도에 현저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현대, 대우, 삼성, LG, SK 등 규모가 큰 1-5 대 그룹에 속하는 제1집단과 나머지 그룹 혹은 기업에 속하는 제2집단간의 기사 크기에 현저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현대, 대우, 삼성, LG, SK 등 1-5대 그룹에 속하는 제1집단과 나머지 그룹 혹은 기업에 속하는 제2집단간의 기사 비중에 현저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현대, 대우, 삼성, LG, SK 등 1-5대 그룹에 속하는 제1집단의 보도가 나머지 그룹 혹은 기업에 속하는 제2집단의 보도보다 더 긍정적일 것이다」 라는 네가지 연구 가설을 설정했다. 연구 결과 1-5대 그룹과 나머지 그룹간 기사 빈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업의 규모가 큰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 보다 기사 크기 및 기사 비중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보도 태도의 경우는 1-5대 그룹과 기타 나머지 그룹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기업의 크기는 보도 태도에 대해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이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외국 유력 경제신문의 한국 대기업에 대한 보도 성향은 홍보 조직의 규모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일 것인가에 대한 검증을 위해 「홍보 조직의 규모에 따라 기사의 크기에 현저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홍보 조직의 규모에 따라 기사의 비중에 현저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홍보 조직의 규모에 따라 보도 태도에 현저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세가지 가설을 설정했다. 연구 결과 홍보 조직의 규모에 따라 외국 유력 경제신문에 보도된 기사 크기, 기사 비중, 보도 태도 등은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세 번째 연구문제인 외국 유력 경제신문의 한국 대기업에 대한 보도 태도는 홍보 활동 종류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일 것인가에 대한 검증을 위해 「홍보 조직의 활동 종류에 따라 기사의 크기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홍보 조직의 활동 종류에 따라 기사의 비중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홍보 조직의 활동 종류에 따라 보도 태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세가지 가설을 설정했다. 연구 결과 홍보 조직의 홍보활동 종류는 기사 크기나 보도 태도 등과는 유의미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기사 비중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연구문제인 외국 유력 경제신문의 한국 대기업에 대한 보도 성향은 해외 광고비 지출 규모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일 것인가에 대한 검증을 위해 「그룹의 해외 광고비 지출이 많을수록 해당 그룹 혹은 기업에 대한 기사의 크기는 커질 것이다」 「그룹의 해외 광고비 지출이 많을수록 해당 그룹 혹은 기업에 대한 기사의 비중이 커질 것이다」 「그룹의 해외 광고비 지출이 많을수록 해당 그룹 혹은 기업에 대한 보도 태도는 더 긍정적 일 것이다」 라는 세 가지 연구 가설을 설정했다. 연구 결과 국내 5대 기업의 해외 광고 지출 규모에 따라 기사 크기, 기사 비중, 보도 태도 등에 있어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그룹의 규모에 따라 기사 빈도와 기사 크기, 기사 비중에는 차이가 난다고 볼 수 있지만 보도 태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 홍보조직의 규모에 따라 기사 크기, 기사 비중, 보도 태도 등에는 차이가 나지 않지만 홍보 활동 종류에 따라 기사 비중에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해외 광고비 지출 규모에 따라 기사 크기, 기사 비중, 보도 태도 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기업의 매출 규모가 30조 이상인 5대 그룹의 경우 6대 이하 여타 그룹 혹은 기업에 비해 기사빈도 및 크기, 비중 등의 측면에서 외국의 유력 경제신문에 대해 중요한 뉴스 공급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외국 유력 경제신문의 한국 대기업에 대한 보도 빈도와 양은 한국 기업을 인식시키기에는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보도 태도 역시 다소 부정적이라는 점에서 한국 기업들의 긍정적인 해외 이미지 형성을 위해 보다 적극적이고 역동적인 국제 PR 활동이 요구되어진다고 할 수 있다. 한국 기업들의 해외 이미지 제고를 위한 이러한 국제 PR 활동은 단순히 기업의 규모나 홍보조직의 규모, 해외광고비 지출 규모 등에 의존하기보다는 홍보 활동 종류의 다양화 등 복합적인 홍보 전략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해외에서의 한국 기업들의 일차적인 이미지는 한국 주재 외국 특파원들의 보도에 따라 좌우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외국 특파원들과의 관계를 긴밀히 함으로써 호의적인 매체관계 형성 등 적극적인 PR 활동을 전개한다면 장기적으로 한국 기업들의 해외 이미지 개선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eek ways to improve effectiveness of publicity activities of Korean corporations by examining how Korean companies are dealt with in major foreign business newspapers such as The Asian Wall Street Journal, Financial Times and Nihonkeizai Shimbun of Japan. To this end, it looked into the frequency, size and attitude of the three foreign business dailies' coverage of Korean companies, especially of Korea's five largest business groups--Hyundai, Daewoo, Samsung, LG and SK. It examined if there existed any difference in the frequency, size and attitude of their news coverage between the so-called big five business group affiliated corporations and the others. And it also looked into the difference in coverage between each of the top five business groups, The research set four questions for the aim of the thesis. The first question was what difference is made in the coverage of Korean companies in relation to the size of corporations. The research set four hypotheses for the question. The first hypothesis(1-1) was that there existed some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the reports being dealt with in the three newspapers by the size of corporations (based on sales) they cover. The second hypothesis(1-2) was that there existed some difference in the size of news coverage by the size of corporations. The third hypothesis(1-3) was that there existed some difference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news coverage of Korean companies. The fourth hypothesis(l-4) was that the reporting on larger corporations was more positive than that on smaller ones.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ed that there existed some difference in the frequency, size and relative importance of news coverage by the size of Korean corporations. However,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ttitude of coverage by the corporate size, which means that the sheer size of corporation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attitude of foreign business newspapers' coverage of Korean companies. The second question was what difference was made in foreign business newspapers' reporting by the amount of international advertisement expenses. The first hypothesis for the question(2-1) was that there existed some difference in the size of coverage by the scale of international PR team of Korean companies. The second hypothesis(2-2) was that there existed some difference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foreign business newspapers' coverage of Korean companies by the scale of their international PR team. The third hypothesis(2-3) was that there existed some difference in the attitude of foreign newspapers' covering of Korean companies by the scale of their international PR team.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existed no difference in the size, relative importance and the attitude of coverage by the size of international PR team of Korean companies. Thus all the hypotheses for the second question were refuted. The third question was what difference was made in newspaper coverage by the kinds of PR activities of Korean companies, including publicity. The first hypothesis for the question(3-1) was that there existed some difference in the size of coverage by the kinds of PR activities of Korean companies. The second hypothesis(3-2) was that there existed some difference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foreign business newspapers' coverage of Korean companies by the kinds of their PR activities. The third hypothesis(3-3) was that there existed some difference in the attitude of foreign newspapers' coverage of Korean companies by the kinds of their PR activities. The result of the research revealed that there existed no difference in the size and the attitude of news coverage by the kinds of Korean companies' PR activities. However, there existed some difference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news coverage by the kinds of their PR activities. The fourth question was what difference was made in newspaper coverage by the amount of international advertisement expenses. The first hypothesis for the question(4-1) was that there existed some difference in the size of coverage in foreign business newspapers by the amount of international advertisement expenses. The second hypothesis(4-2) was that there existed some difference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oreign newspapers' coverage of Korean companies by the amount of international advertisement expenses. The third hypothesis(4-3) was that there existed some difference in the attitude of foreign newspapers' coverage of Korean companies by the amount of international advertisement expens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heer amount of advertisement expenses didn't affect the coverage of reports in terms of size, relative importance and attitude of coverage. Thus, all the hypotheses for the question were refuted. In short, major foreign newspapers' coverage showed some difference in frequency, size and relative importance by the size of Korean corporations. However, the sheer size of corporations cannot serve as a factor in expecting positive coverage of major foreign newspapers. In the meantime, there existed no difference in size, relative importance and attitude of news coverage by the scale of Korean companies' international PR team. However, there existed some difference in relative importance of news coverage by the kinds of PR activities of them. And the amount of advertisement expenses didn't affect the coverage of foreign business dailies' reports in terms of size, relative importance and attitude of coverage. In conclusion, though the top five Korean business groups acted as the most important news source of major foreign economic newspapers, their news coverage was not enough to make Korean companies properIy recognized by foreign audiences. The attitude of their news coverage was in general negative to a certain extent. Therefore it deems necessary for Korean companies to enhance international PR activities, including publicities, in order to help form more positive corporate image abroad. Such PR activities should be focusing on developments of diverse PR programs rather than depending on the sheer size of corporations themselves, the scale of PR team or the amount of international PR expenses. And when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 first image of Korean companies abroad are most likely to be determined by foreign correspondents residing in Korea, it is recommended that Korean companies establish favorable media relations by form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foreign correspondents.

      • 南·北新聞의 報道態度에 대한 硏究 : 「조선일보」ㆍ「한겨레신문」ㆍ「로동신문」 의 한총련 사태에 대한 기사를 중심으로

        문봄나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논문은 서로 다른 사회 체제하의 남·북한 신문이 남북관계 특정 이슈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양국의 신문이 특정이슈와 관련해서 상대체제에 대해 어떠한 보도태도를 취했는지를 비교 분석하고자 했다 또한 각 신문이 속한 사회체제에 따라 언론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 그리고 각 신문의 특정이슈에 대한 보도태도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고찰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북-미 평화협정 체결, 주한미군철수, 연방제 통일방안, 국가보안법 철폐 등 북한의 통일방안과 비슷한 한총련의 정치적 구호와 경찰에 화염병으로 대항한 폭력성이 정부와 대립함으로써 벌어진 1996년 8월의 한총련 사태는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상대체제에 대한 남·북신문의 성격과 기사의 논조를 가장 잘 반영하는 특정이슈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총련 사태를 중심으로 한 남 · 북신문의 보도태도를 양적 · 질적분석을 통하여 밝혀보고자 했다. 이 연구를 위해 남한의 대표적인 신문이라 할 수 있는 중도보수성향의 「조선일보」와 진보성향의 「한겨레 신문」 ,그리고 북한을 대표하는 당의 대변지인 「로동신문」 등 세 신문을 선택했으며 분석기간은 한총련 사태가 일어나기 이틀전인 8월 10일부터 한 달간으로 정했다. 한 달간 한총련 사태에 대한 신문의 기사건수는 「조선일보」가 139건으로 제일 많았으며 「한겨레신문」 은 108건 그리고 「로동신문」은 지면수가 상대적으로 작음에도 불구하고 138건으로 「조선일보」 와 거의 비슷한 기사건수를 나타냈으며 한총련 사태에 대한 세 신문의 총 기사건수는 385건으로 추출됐다. 385건을 대상으로 한총련 사태에 대한 보도기사의 보도량과 기사유형을 신문별로 양적 분석했으며 각 신문의 스트레이트와 사설내용의 차이, 한총련과 정부기관을 지칭한 용어의 차이 그리고 사진보도에 따른 신문별 보도태도를 텍스트를 중심으로 해서 질적 분석함으로써 보도대상에 대한 기사의 논조와 기사의 취급방식을 규명하고자 했다. 양적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남한신문보다 「로동신문」 이 한총련 사태에 대해 더 많은 비중을 두었으며 기사유형을 살펴보면 남한신문은 사실기사를 많이 게재한 반면 「로동신문」 은 선전선동의 원칙에 따라 여론을 조성하는 해설을 주로 게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신문의 정보원도 각기 달리 나타났는데 「로동신문」 은 남한방송을, 「조선일보」 는 정부기관을 그리고 「한겨레신문」 은 정보원을 밝히지 않은 건수가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동일한 사건에 대한 기사내용의 차이를 살펴보면 「조선일보」 는 한총련 학생들의 과격한 시위에 초점을 맞춘 반면 「한계레신문」 은 학생들의 시위와 경찰의 대응을 중립적인 시각으로 다루었으며 「로동신문」 은 정부의 강경대응에만 초점을 맞춘 것으로 나타났다. 객관적인 사실을 기초로 보도된 스트레이트 내용의 차이는 사설에서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즉 「조선일보」 는 한총련에 대해 아주 부정적인 시각을 나타냈으며 「한겨레신문」 은 한총련과 정부에 대해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하려 했고, 「로동신문」 은 남한정부기관에 대해 아주 부정적인 시각을 나타낸 것이다. 스트레이트기사와 사설의 내용에서 나타난 각 신문의 보도태도는 한총련과 정부에 대한 용어의 차이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가져왔다. 세 신문이 양적분석에서나 질적 분석에서 각기 조금씩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보도대상에 대한 기사의 전체적인 논조를 살펴보면 세 신문이 동일하게 정부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그 부정적인 논조의 관점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즉 「조선일보」 는 정부가 친북세력인 한총련을 너무 안일하게 대응한다는 점에 대해, 「한겨레신문」 은 정부가 한총련을 이적단체 혹은 친북단체로 매도한다는 점에 대해, 「로동신문」 은 정부가 한총련을 무차별하게 강경진압한데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자유민주주의제도하에 있는 남한언론은 불특정 다수인 대중에게 전달하는 매체로 기사의 대상을 정확하게 표현해야 함은 물론 기사의 선입견이나 편견이 개입되어서는 안 되지만 「조선일보」 는 사실기사중심의 스트레이트 기사에서 한총련에 대한 부정적인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논평과 보도를 엄격히 구분하지 못했다. 또한 정부 측 일면제시보도에 치중함으로써 보도의 균형점을 상실했다고 할 수 있다. 같은 체제 하의 「한겨레신문」은 보도대상에 대해 객관적으로 표현하려 했으며 어느 측의 일면제시보도가 아닌 중립적이고 다양한 시각에서 보도했기에 「조선일보」 와는 달리 보도의 객관성, 균형성을 유지하는 보도태도를 나타냈다고 할 수 있다. 공산주의제도하의 북한 언론은 인민들이 알고자 하는 사실을 보도하기 보다는 인민들이 알아야 할 사실들을 당의 결정에 따라 보도하는 매체로써 선전과 선동의 중요한 도구로 역할 한다. 이에 사건에 대한 사실 전달보다는 해설을 강조하고 인민대중의 사회 정치적 활동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로동신문」은 보도의 객관성과 균형성을 무시했지만 이번 한총련 관련 보도에서 공산주의 언론의 독특한 기능인 집단적 선전자, 선동자 그리고 조직자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했다고 할 수 있다. Since Japanese defeat in world War Ⅱ, Korea peninsula had been divided into two countries - South and North. These two Korea adopted different social systems, Communicsm and Capitalism, which represent two different ideologies and thoughts. Herewith, North Korea attempted to communized South Korea, and South Korea turned against North Korea with anti-communism. Between these two countries, their different role of press was due the social system where they bel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et reporting attitude of North and South Korea newspapers, concerning the specific issue, "Hanchongreun affair", which broke out last August 12. 1996, in Yonsei University.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reporting attitude of North and South Korea newspapers concerning "Hanchongreun affair",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made. 1. what are the differences in frequency and pattern of news reports of three newspapers concerning " Hanchongreun affair"? 2. How different comments are reported in South and North Korean newspapers regarding Hanchongreun and South Korean government? 3. what are the propensity of news reporting for Hanchongren and South Korea government? To solve these questions, representative newspapers in South and North Korea were selected. They are 「Chosun Ilbo」, 「Hankyoreh」Shinmoon and 「Rodong Shinmoon」. 30 days - news reports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reporting attitude with regards to "Hanchongreun afair".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re were 385 reports during the period of 30days from Aug. 10 to Sept. 10. Among them, 139 reports were form 「Chosun Ilbo」, 109 reports were form 「Hangyoreh Shinmoon」and 138 reports were form 「Rodong Shinmoon」. The number of pages of 「Rodong Shnmoon」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Korea newspapers. However 「Rodong Shinmoon」's reporting freqencies are much the same with those of South Korea newspapers. Consequently Rodong Shinmoon is given much more weight in reporting of "Hanchongreun affair". Concerning the reporting pattern, South Korean newspapers published more straight news than editorials but 「Rodong Shinmoon」published explanation pattern rather than straight news. 「Chosun Ilbo」had negative comments for Hanchongreun, while 「Hankyoreh Shinmoon」took a neutrality attitude in news reporting. On the other hand, 「Rodong Shnmoon」showed negative comments for South Korean government. And these three newspapers. had a consensus in negative ideas for South Korean government, however, they had slighlty different point of view. Specifically, 「Chosun Ilbo」criticized the South Korean police in that they handle 'communist Hanchonreun' at ease. 「Hangyoreh shinmoon」criticize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by denouncing Hanchongreun as a communist. 「Rodong Shinmoon」criticized South Korean government which suppressed Hanchongreun mercilessly. 「Chosun Ilbo」showed a partiality reports by accepting government's opinion without any criticism so that this newspaper could lack impartiality and balance of news reporting. 「Hankyoreh Shinmoon」had impartiality and balance of news reporting because of its neutral attitude. 「Rodong Shinmoon」was used as a tool of propaganda and instigation to strength communization of North Korean people. This North Korean newspaper did not report the circumstances and presistences of Hanchongreun and South Korean government. 「Rodong Shinmoon」serves in the way that North Korean government makes decision. It do not taking people's right to know the truth into consideration. However, North Korea newspaper only suggest the social and political way of life of North Korean people.

      • 경찰의 경비 및 수사사건에 대한 언론의 보도태도 차이 분석 : 보수 및 진보 신문을 중심으로

        김동주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0

        Abstract Analysis the difference of the media report attitudes regarding police security and investigation case : from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newspaper Kim, Dong-ju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Police has a mission to provide public security and order, protect the life of the people, the physical and the property as well. Those police service are not only for general action for citizen but also interaction between police and citizen especially, it influences politics, the media and culture too. Moreover, regarding the media they don’t explain nature social status, they reconstructed the status and exercise independent influence. Recently the media is getting strengthen of social influence and it influence to awareness of public institution and to build up reliability. From this research, I would like to make sure how the press report’s attitude show of police’s main stories. basically I analyzed based on: firstly case of the media, it is not limited in a fact objective convey I guess the media report’s aspect will be shown differently by news tendency, reporting attitudes and etc as main agent to form of frame so, analysis real condition of the media report about police. Secondly analyzed how each agents have difference view, i aspect different understanding and expressions based on identical matter by every media agents, the media tendency. Lastly I analyzed how the media agents make difference report attitudes depending on the type of police’s duty. This reseach’s analysis about the media report’s time unit is from 2000, Jan 1 to 2012, Dec 1 and selected every year’s major total 13 cases regarding police security and police investigation. The research method that I used is content analysis to analyze the media report attitudes. For sampling I chioce “Cho-seon and Han-kye-le newspaper“ and used Korea Press Foundation’s an article DB-KINDS(KINDS : www.kinds.or.kr) from Han-kye-le an opinions, a person, politics, explanation, total contents, regions, economy, the media, culture, social, life, woman, specail event and report genre is included all genre from Cho-seon. The reason that I selected these two media is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The result of analysis, Cho-seon and Han-kye-le have difference on individual case. Basically Han-key-le was more negative than Cho-seon regarding“ Police”based on all cases without any exception. Concretely they have difference regarding security case; Korea pro-anti image and possibility of change reliability police suppression’s violence and cause, assembly and demonstration’s people legitimacy and etc. To take a broad view, Cho-seon and Han-kye-le have different view point when values is crash about assembly, demonstration and freedom of association and to keep public security and order. About investigation case, two media have different view: crime victim, bereaved family protection, police members and departs’s possibility of concealment, police investigation’s ability and police investigation’s ethicality. After individual case’s analysis, I analyzed widely regarding same issues. First of all I couldn't find any very affirmation articles about police’s news from both media. Also, to compare positive(very positive and positive) and negative(very negative and negative) Han-kye-le’s positive is 3.4% and negative is 39.9% and Cho-seon’s positive is 12.0% and negative is 20.3% so, both media have bigger importance to the latter. Thru this result, current media have negative report attitudes for police’s articles. Regarding second research matter, Han-kye-le has more negative attitudes than Cho-seon about all case. overall, Han-kye-le report attitudes is 3.49% and Cho-seon report attitudes is 3.11% the difference between media is 0.37%. More in detail, biggest report attitudes gab is 0.78 from famer assembly Jeon Youngchul’s death case and smallest gab is 0.11 from TV star Jang Jayeon’s sex scandal case(so-called Jang Jayeon case), noble senior and massager’s consecutive murder incidents(so-called Yoo Youngchul case). Lastly I analyzed report attitudes different from each media regarding “5 case of Police security and 8 Police investigation”and result of that matter: “Police security” has big difference than “Police investigation”. 경찰은 공공의 안녕과 질서,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의 보호라는 사명을 토대로 국민들에게 치안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경찰활동은 경찰의 시민에 대한 일방적인 작용이 아니라 경찰과 시민 간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그 사이에서 정치, 언론, 문화 등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언론과 관련하여 이들은 사회 현상을 그대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재구성하여 독자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최근 언론의 사회적 영향력이 강화되어 가고 있으며, 공공기관에 대한 인식 및 신뢰도 형성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찰의 주요사건에 대하여 언론의 보도태도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본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는 언론의 경우 사실의 객관적 전달에만 역할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을 형성하는 주체로서 보도성향, 보도태도 등에 따라 언론보도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바, 경찰에 대한 언론의 보도 실태는 어떠한 지를 분석한다. 둘째로 언론매체별, 언론성향별로 동일한 사안에 대해서 다른 해석과 표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바 경찰과 관련된 주요 사건에 대해서 각 매체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그 정도는 어떠한 지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이 언론매체 간에 경찰에 대한 보도태도가 차이를 보일 경우 경찰업무유형에 따라서 그 차이가 다르게 나타날 것인가를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언론보도에 대한 분석의 시간적 범위를 2000년 1월 1일부터 2012년 12월 1일까지로 하며, 각 해에 주요 ‘경찰경비’ 및 ‘경찰수사’사건을 한 건씩 선정하여 총 13개의 사건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언론의 보도태도를 분석함에 있어서 내용분석을 방법론으로 사용하였다. 표본 추출에 앞서 우선 조선, 한겨레 양 신문(매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한겨레신문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언론기사 DB인 KINDS(이하 KINDS : www.kinds.or.kr)를 활용하고, 조선일보는 조선일보 DB를 활용하여 보도면종은 오피니언·인물, 정치·해설, 종합, 지역, 경제, 매체, 문화, 사회, 생활·여성, 특집을, 보도장르는 전 장르를 대상으로 기사를 분석하였다. 이 두 신문을 선정한 것은 보수와 진보성향에 따른 언론 보도태도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비교해보기 위함이었다. 분석결과 개별적인 사건 내에서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은 보도태도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기본적으로 모든 사건에서 예외 없이 한겨레신문이 조선일보에 비해서 경찰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보도하였다. 구체적으로 양상을 살펴보면 경비 사건의 경우 경찰 진압 자체의 폭력성 및 그 원인, 집회 및 시위자의 정당성, 집회·시위 등으로 인한 대한민국의 대외적 이미지 및 신뢰도 변화 가능성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거시적으로 집회, 시위, 결사의 자유라는 국민의 기본권 보장과 공공의 안녕과 질서 유지라는 가치가 충돌하는 상황에서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은 각각 다른 부분에 중심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수사 사건에 있어서는 범죄 피해자 및 유족의 보호, 경찰 수뇌부 및 일선 수사관의 은폐 가능성 및 정도, 경찰의 수사 역량, 경찰수사의 윤리성 등에서 양 매체가 차이를 드러내었다. 이러한 개별적사건분석 이후 상기에서 제시한 연구문제에 대한 거시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우선, 경찰에 대한 언론의 보도 실태라는 첫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조선일보 및 한겨레신문 모두 각 사건별로 경찰에 대하여 ‘매우긍정’적으로 보도한 기사를 찾아볼 수 없었다. 또한, ‘긍정군’(‘매우긍정’및‘긍정’)과 ‘부정군’(‘매우부정’및‘부정’)을 비교해보았을 때 한겨레신문의 경우 ‘긍정군’이 3.4%, ‘부정군’39.9%로 나타났고, 조선일보의 경우‘긍정군’이 12.0%, ‘부정군’20.3%로 나타나 한겨레신문 및 조선일보 모두 후자의 비중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현재 언론의 경찰에 대한 보도태도가 부정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우선 경찰주요사건에 대한 매체별 보도태도를 살펴보면 단 한 건의 예외 없이 한겨레신문이 조선일보보다 모든 사건에 있어서 경찰주요사건에 대한 보도에 있어서 더 부정적 태도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도 한겨레신문이 3.49, 조선일보가 3.11의 보도태도를 나타내어 0.37만큼의 보도태도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여의도 농민집회 전용철 사망사건에서 양 매체 간 차이가 0.78로서 보도태도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이고 있고, 탤런트 고 장자연 성상납 의혹 사건 (소위 ‘장자연리스트’사건) 및 부유층 노인 및 출장마사지 종사 여성 연쇄살인사건 (소위 ‘유영철’ 사건)에서 양 매체 간 차이가 0.11로서 보도태도에서 가장 작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마지막 연구문제와 관련해 '경찰경비'사건 5개와 '경찰수사'사건 8개를 각각 보도매체간 보도태도 차이 순대로 정리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 '경찰경비'사건에서의 보도태도 차이가 '경찰수사'사건에서의 보도태도 차이보다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무상급식 논쟁을 통해 본 복지에 대한 언론의 보도태도 분석

        조원근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85

        국문초록 무상급식 논쟁을 통해 본 복지에 대한 언론의 보도태도 분석 조 원 근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지도교수 : 이 용 재 6·2지방선거를 전후하여 언론매체가 무상급식 정책에 대한 논쟁을 보도하면서 복지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었다. 이러한 언론보도는 향후 복지에 대한 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길이 될 것이다. 대부분의 국민들은 사회복지에 대해 언론매체에서 제공하는 관련뉴스와 정보를 통해 이해하고, 그 이미지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무상급식정책을 둘러싼 국내 언론의 보도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구체적으로 연구목적을 다음과 같이 세웠다. 첫째, 신문이 무상급식정책과 관련하여 어느 정도의 관심을 갖고 보도하였는지를 기사수량, 보도유형, 필진의 구성 등 일반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신문이 무상급식정책을 보도하면서 얼마나 정확하고 심층적으로 보도했는지 제목의 서술형태, 출처 밝힘 여부, 대안의견 제시 여부 등 신문의 전문성을 살펴보았다. 셋째, 신문이 무상급식에 대해 어떤 보도태도와 복지성향을 나타내는지? 성향을 나타냈다면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복지에 대하여 어떤 복지성향을 가지고 보도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은 신문기사를 대상으로 하며 분석대상기간은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이 당선된 2009년 4월부터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끝난 2011년 10월말까지 2년 7개월간의 보도된 것으로 하였으며, 분석대상매체는 조선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신문 등 4개 일간지로 하였다. 기사 수집은 신문기사검색시스템 ‘KINDS'와 ’파워조선‘을 활용해 ’무상급식‘으로 제목을 포함해 본문내용까지 검색하여 양적분석을 하고 내용분석을 위하여 검색된 기사 가운데 정확도(일치도) 순으로 정렬하여 각 언론사별로 100건씩의 기사를 표본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상급식에 대한 보도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양적분석과 내용분석을 병행했는데, 일반적 경향과 전문성, 보도관점으로 3가지 항목으로 분석기준을 구분하였다. 또한 각 분석항목마다 세부항목을 나누어 분석했다. 무상급식과 관련한 신문기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대한 분석으로 기사수량, 기사유형, 필진의 구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무상급식과 관련한 기사는 양적으로 상당히 많은 양을 나타냈고, 기사유형에서 단순보도의 비율이 높았으나 기획·연재나 사설, 칼럼을 통한 보도들도 상당한 양이 보도되어 언론이 무상급식과 관련한 복지의 방향성에 대하여 뉴스로서의 가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신문사들은 제목의 서술 형태에서 의견제시형 서술이 제일 많았는데 언론이 복지의 방향성에 대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해석된다. 대안의견제시 유형에서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부분 무상급식 단계적 실시’ 의견을 제시하고 있으며, 경향신문과 한겨레신문은 ‘전면무상급식의 단계적 확대’를 제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보도관점을 알아보기 위한 보도태도분석에서는 전체적으로는 긍정적의견이 21%, 중립적 의견이 56%, 부정적인 의견이 23%로 나타났으나,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중립이거나 부정적인 보도태도로 전면무상급식정책에 대하여 ‘복지 포퓰리즘’이라는 시각을 가지고 선별주의적인 입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경향신문과 한겨레신문은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이고 지지적인 보도태도를 보임으로써 무상급식정책에 대해 무상의무교육의 차원에서 확대 실시하여야 하며, 저소득층 아이들의 낙인을 방지하여야 한다는 주장으로 보편주의적인 입장을 나타내고 있어 서로 상반된 입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황우석 사태 前後 일간지의 건강의료보도 태도 변화 연구 :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서한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69

        황우석 사태는 표면적으로는 2005년 11월 13일 미국 피츠버그대 제럴드 섀튼 교수가 불법 난자취득 등 연구윤리 문제를 이유로 스스로 'My brother'라고 부르며 형제와 같이 지내던 황우석 박사와 결별을 선언하면서 시작됐다. 그리고 수많은 우여곡절과 반전에 반전을 거듭한 끝에 2006년 5월 23일 검찰이 수개월에 걸쳐 실시한 황우석 줄기세포 논문 조작사건의 최종 수사결과를 발표하면서 적어도 공식적으로는 마침표를 찍었다.그러나 황우석 사태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언제 끝날 지 모르는 숙제로 남을 지도 모른다.특히 황우석 사태 내도록 권력 감시자의 역할을 못하고 과학자의 근거 없는 연구 업적과 일방적 주장을 그대로 받아쓰고 앵무새처럼 따라 부르기에 급급했던 언론이 뼈아픈 반성과 성찰 없이 예전의 잘못된 보도관행을 되풀이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황우석 사태의 해결 가능성은 당분간 기대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황우석 사태는 언론의 고질적인 병폐를 집약적으로, 총체적으로 드러낸 ‘언론 사건‘이었다. 언론은 황우석 사태에서 결코 자유롭지 못하다. 사실보도, 객관보도, 공정보도에서 실패했기 때문이다.이 연구는 황우석 사태를 겪으면서 언론이 보도태도에서 어떤 변화의 모습을 보였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지금껏 황우석 사태 이후 언론의 변화양상을 계량적 측면에서 추적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황우석 사태 과정에서 ‘보수-중도-진보’의 색깔을 각각 드러낸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등 3개 중앙일간지를 분석대상으로 골랐다.2005년 1-12월과 2006년 1-12월 등 2년간에 걸쳐 이들 3개 일간지의 건강의료면에 실린 연구성과기사를 논문에 근거했는지, 해당 연구의 한계를 지적했는지, 관련 전문가의 크로스체크를 거쳤는지, 연구비 출처를 밝혔는지 등 4가지 평가측도를 가지고 꼼꼼하게 내용분석을 실시했다.분석결과, 황우석 사태 이전 2005년 1년간 3개 중앙지에 실린 전체 연구성과기사는 156건이며, 황우석 사태 이후 2006년 한 해 동안 3개 언론사에서 보도한 전체 연구성과기사는 155건 이었다.이 중에서 2005년 논문근거기사는 57건(36.54%), 2006년 논문바탕기사는 57건(36.77%)에 그쳤다. 2005년 한계지적기사는 7건, 2006년 한계지적기사는 10건에 불과했다. 2005년 크로스체크 기사는 17건, 2006년 크로스체크 기사는 22건에 머물렀다. 2005년 연구비 출처 밝힌 기사는 한 건도 없었고, 2006년 연구비 출처 공개 기사는 겨우 3건이었다.이어 이를 바탕으로 ‘황우석 사태 이후 언론은 논문에 근거하고, 해당 연구의 한계를 꼬집으며, 관련 전문가의 크로스체크를 거치고, 연구비의 출처를 밝힌 연구성과기사를 더 많이 생산할 것이다.‘ 라는, 미리 설정한 네 가지 가설을 SAS프로그램을 이용해 카이제곱 검정으로 검증했다.연구결과, 모든 가설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모든 가설은 기각됐다.언론이 건강면의 연구성과기사를 보도하면서 황우석 사태 이전이나 이후나 별로 달라진 게 없었다는 결론이다. 언론은 결국 황우석 사태에도 불구하고 이로 부터 별다른 교훈을 얻지 못했다고 풀이할 수 있는 셈이다.어느 조직에서든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문제는 개선 노력이다. 언론은 막강한 전파력을 갖고 있다. 그래서 오보의 부작용은 더욱 크다.검증되지 않은 건강의료보도는 오히려 국민의 건강을 해칠 뿐이라는 사실을 명심하고 사실성이 확보되지 않은 기사는 애초부터 아예 보도하지 말아야 하는 보도원칙을 세울 필요가 있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똑같은 잘못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는 데스크를 비롯해 편집기자, 현장기자 등 언론계 구성원 전체의 진지한 성찰과 반성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주요 용어 : 황우석, 일간지, 보도태도, 연구윤리 The Hwang Woo-suk issue began when Gerald P. Schatten of the University of Pittsburg declared on November 13, 2005 that he was severing his ties with Dr. Hwang Woo-suk, whom he had been addressing as 'Brother' and had maintained a close collaborative relationship.The reason for this sudden change of heart, at least superficially, was Dr. Hwang’s unethical conduct such as illegal acquisition of egg cells used in the study. After the complications and intriguing twists and turns of events, the case was closed, at least officially, on May 23, 2006 when the prosecutor announced the investigation results of the months-long investigation on the alleged fabrication of the stem cell research.However, in reality, we can say, the Hwang Woo-suk issue has not reached its closure yet. Actually, it might just become one of those ‘never ending stories’ with no viable conclusion on the horizon.This is especially true as the press has learned no lessons from this issue or the role they had played in turning the Hwang Woo-suk issue into the giant circus it became. The fact of the matter is that the press had been an utter failure in keeping a close eye on the authority and society.It had simply resorted to faithfully repeating the claims of Hwang and the government with no screening or verification process.Considering that the current reporting practices of the press shows no difference from what we witnessed back then, the chance of seeing a clear resolution of the Hwang incident seems very slim at the moment.The Hwang issue was actually a debacle on the part of the press, a raw revelation of its chronic and deep-seated invalidism. The press could never be free from blame for what happened as it was neither accurate, objective, nor fair in covering the Hwang issue.The present study attempts an empirical analysis of how the press has changed in its reporting practices since the Hwang Woo-suk candal.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is the first quantitatively to track the changes in media and press practices after the Hwang Woo-suk scandal. To achieve its objective, the three major dailies, namely, Chosun Daily, JoongAng Daily, and Hankyoreh, were selected to represent the conservative, middle-line, and progressive camps, respectively.The three daily newspapers were analyzed over two one-year periods, spanning from January to December 2005 and from January to December 2006.Their articles covering scientific research studies and its related events on their health sec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ur criteria: whether the articles were based on scientific research papers, whether the limitations of the studies were pointed out, whether the claimed results were cross checked by other experts in the relevant field, and whether the source of the research fund was disclosed in a transparent manner.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three newspapers had run a total of 156 articles covering scientific research and studies in 2005, the year prior to the Hwang Woo-suk issue, and a total of 155 articles in 2006.Of those articles, only 57 (36.54%) and 57 (36.77%) articles were based on scientific research papers in 2005 and 2006, respectively. The number of articles that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es was 7 in 2005 and 10 in 2006. Only 17 articles in 2005 and 22 articles in 2006 had their contents cross checked by experts.In 2005, none of the articles managed to disclose the source of funds used by the researchers, and the figure improved only minimally in 2006 to 3.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ur hypotheses (after the Hwang Woo-suk issue, more newspaper articles will be based on scientific research papers, point out the limitations of the respective research studies, undergo a cross checking process involving experts, and disclose the source of the research funds in a transparent manner) were subjected to Chi-Square Test validation using the SAS program.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four hypotheses and they were all rejected.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ess has learned no lessons whatsoever from the Hwang Woo-suk issue and that the reporting practices for scientific articles remains unchanged even after the issue.Inappropriate conduct or issues can occur in any organization. What matters is that corrective actions are taken to rectify the misdeeds and improvement efforts are made. The press has tremendous power in information dissemination, and thus, the greater the side effects of any erroneous reporting.This is the very reason journalists and reporters should take to heart the fact that articles on unverified claims for health and medicine can harm rather than benefit the wellbeing of the general public. Thus, clear reporting principles must be established to prevent such articles from being released in the first place.A sober self-reflection of all those working in the journalism circle, including reporters and editors, is ever more called for so as to stop any more precarious walks down the same erroneous path again.

      • 地域民放의 地域이슈에 대한 報道態度 연구 : TBC와 PSB의 위천공단관련 뉴스보도를 중심으로

        신영미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8669

        1995년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이후 지방정부들은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간의 경쟁의식이 제한된 자원을 놓고 지자체간에 갈등을 일으키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대구·경북과 부산·경남의 위천공단 조성을 둘러싼 분쟁이다. 지역사회의 갈등과정에 있어서도 지역매체는 핵심적 구성요소가 되는데, 그 것은 사회적 갈등과정에서 지역사회의 갈등과정에 있어서도 지역매체는 핵심적 구성요소가 되는데, 그것은 사회적 갈등과정에서 지역매체가 어떻게 위치하는가에 따라 일반인들의 갈등을 바라보는 관점에 크게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지역 언론 연구는 한국사회 전반, 특히 지역사회에서 강하게 나타나는 '지역'이라는 구체적 변인을 분석하거나 설명한 것이 적었다. 그러나 '지역'은 더 이상 전체와의 연관 속에서만 의미를 갖는 존재가 아니다. 자치시대의 연구는 적어도 그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질 때 의미를 갖는다. 이상과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의 두가지 연구문제, 즉 특정 지역현안이 특정 지역민방의 보도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지역민방의 지역주의적 보도성향은 보도의 공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여서 방송사별 위천관련 뉴스보도내용을 비교 분석하고, 비교 분석 의 종합적인 결과를 가지고 보도내용의 공정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분석대상은 1996년 한해 동안 방영된 대구방송(TBC)의「뉴스채널」과 부산방송(PSB)의「뉴스아이」뉴스 프로그램이고, 내용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유목의 신뢰도는 두 명의 코더간 신뢰도 분석결과, 93.6%였다. 자료분석에 사용된 통계는 윈도우용 SPSS를 이용하였고, 분석기법은 교차분석(Crosstabs)과 카이스퀘어검증(x^(2)), 그리고 t-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결과, 특정 지역현안은 특정 지역민방의 보도태도와 상관관계를 가질 뿐 아니라 강한 지역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지역민방의 지역성은 보도태도에서 약한 균형성과 다양성을 나타내 보도의 공정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각 지역민방은 각 지역현안을 보도하면서 자기지역중심의 균형적이지 못한 보도를 한 것으로 나타났고, 따라서 보도의 다양성도 그 정도가 매우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도의 공정성 문제는 지역민방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지만, 지역성을 담보로 하는 지역민방의 경우 공정성 개념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지역방송이고, 상업방송이라 할지라도 최소한의 보도의 공정성은 지켜져야 하면 그것이 곧 지역만을 위한 길임을 자명하다. 본 연구는 방송매체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지만 메시지 자체만을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므로 영상자료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에 따라 방송매체의 특성을 살리지 못한 점이 본 연구의 한계로 작용하였고, 또 지역갈등이슈에 대한 지역민방의 뉴스보도의 분석 결과만 가지고 지역민방의 뉴스프로그램 전체에 대해 일반화하는 데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구체적인 이해로부터 지역언론을 연구한다는 접근방식과 지역문제에 대한 이전의 중앙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각 지역에 토대를 두고 있는 지역민방의 시각을 연구하는데 그 의의가 있고, 특히 지역민방에 있어서의 공정보도에 관한 분석을 시도한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ews reporting attitude of local broadcasting on local issues which is concerned with interests of two regions in Korea.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impartiality of television news reporting upon a local issue which causes conflicts between two communiti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f communities, localism, local conflict and impartiality of television news report, there are only a few prior studies on the local issues which are commonly related to two regions. Local media play a major role in causing conflicts between two regions on the local issues. Local media also make a big impact on the viewpoints of local audience in the process of social conflicts. A subject of analysis of this paper is news program such as "news-eye" of Pusan Broadcasting (PSB), "news-channel" of Taegue Broadcasting (TBC) in the 1996. This study on the impartiality of news report helps to better understand how current issues influence the reporting attitude of local broadcasting. It turned out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news report on the local issues between two regional stations : PSB and TB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attitude of news report concerning "Wechun". These differences in attitudes of news report on "Wechun" resulted from localism which tells where they belong to. Second, A principle of impartiality of news report is not applied to local broadcasting. Each local station has the tendency to report in favor of interest of communities where they belong to. The implications of this paper lie in (1) the methodology to study local pres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specific community, (2) is to study on viewpoints of local station based on each community, which is away from the prior general viewpoints about local issues, (3) is to attempt to analyze impartiality of news report on local station.

      • 일제강점하의 한국에 관한 중국<신보>의 보도실태 연구 : 1919-45년간 기사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무소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68

        본 논문에서는 1919년 1월 1일부터 1945년 12월 31일까지 27년간에 중국 상하이에서 발행된 <신보>(申報)에 게재된 한국관련 보도기사를 구조적(양적)으로 그리고 평가적(질적)으로 내용분석하여 한·중 양국이 공동적으로 일제에 저항하였던 그 특정적인 역사 환경 하에 중국 사람들이 한국에 대해서 어떤 관심을 지녀 왔던가,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중국 신문에 어떻게 나타나 있었던가 살펴보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신문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를 밝히기 위하여 연구문제 3개를 설정하였으며 그들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한국의 일제 강점 하 당시 중국신문은 한국에 대하여 무엇을 얼마나 보도했는가? 당시 중국신문이 한국관련 기사를 보도하는 데 한국이라는 나라 자체보다는 역시 한국과 중국간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친 특별사건에 관심이 제일 컸다고 볼 수 있다. <신보>의 예를 들자면 1919년의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상해에서의 설립, 1920년의 훈춘사건, 1921년의 워싱턴회의, 1922년의 신관부두 암살사건, 그리고 1931년의 9.18사변과 만보산사건 등에 대해 많은 지면을 할애해 추적 보도를 하였다. <연구문제 2> 당시 중국신문은 한국에 대하여 어떠한 보도태도를 취했으며, 그 이유는 무엇이었는가? 당시 중국신문이 한국에 대한 보도태도가 아주 애매하였다. 한국 관련기사를 보도하는 데 제목 없거나 그 제목의 길이, 그리고 기사의 크기가 비교적 작게 하면서 보다 중요한 위치에 실린 사실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중국신문은 한국기사를 눈에 띠게 보도하지 않았지만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다뤄졌다. 또한 한국관련 뉴스를 보도하면서 섣부른 시각의 개입을 가급적 배제하고자 했던 보도태도를 택하였다. 한국관계 기사를 취급함에 있어서 온건하고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한국에 대한 관심이 비교적으로 높았다. 특히 한국 독립운동 등에 대해서 상당히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그런데 특별사건으로 분류된 만보산사건이나 훈춘사건이 중국과 중국 국민에게 피해를 주었기 때문에 중국 신문은 다소 부정적인 태도로 그들을 보도하였다. <연구문제 3> 당시 중국신문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는 어떠했는가? 중국신문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일본에 의해 합병된 비교적 약한 나라라고 평가되지만, 한국국민이 독립운동을 전개하며 일본의 잔혹한 진압에 저항하는 항일투쟁을 전개하는 면에서는 일본의 침략을 당하는 중국과 동맹국 같은 이웃 나라로 나타났다. This study did a research on the reports about Korea that appeared on <Sin-bo>, which was published in Shanghai, using the method of content analysis. The reports chosen were those reported from 1st Jan, 1919 to 31st Dec. 1945, altogether 27 yea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in the particular background of Japanese Imperialism when Korean and Chinese people both rose in resistance to Japanese invasion, which aspects Chinese people were interested in about the nation of Korea, and what kind of image Korea was reported as through the Chinese newspapers. Three research problems, and their results of the analyses respectively are as follows. <Problem 1> What and how much did Chinese newspapers report about Korea in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of Korea? In the particular period, when Chinese newspapers reporting about Korea, compared with the nation itself, they put much more focus on the special accidents between Korea and China which influenced a lo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nations. Taking <Sin-bo> as an example, there were many news and articles published about 3.1 Movement and the Founding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in 1919, Hun-chun Accident in 1920, and Washington Conference in 1921, etc. <Problem 2> On what kind of attitudes did Chinese newspapers report about Korea in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of Korea? And what was the reason? The attitudes on which Chinese newspapers reported about Korea were a little ambiguous. It was reported without title or with a short and small title, and the news or the articles were relatively short. Meanwhile, the reports were usually put on a comparatively important place. In another word, reports about Korea were not made so distinctive that readers could notice at the first sight, but they were relatively importantly carried. Moreover, when reporting about Korea, objective and neutral attitudes were chosen. Especially, Chinese newspapers showed their affirmative support and praise to the independence movements of Korean people. On the contrary, as to the particular accidents like Wan-baoshan Accident and Hun-chun Accident in which Chinese people were hurt, as newspapers published by Chinese, they expressed a negative attitude. <Problem 3> As what kind of image did the nation of Korea appear on Chinese newspapers? Korea under Japanese Imperialism appeared on Chinese newspapers as a small and weak country, under the conquer of Japan. In the aspect of fighting against Japanese army for independence, it was considered as the ally of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