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방자치단체 행정조직 기능 및 기구 변화에 관한 연구 : 강원도청 조직을 중심으로

        박광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강원도 본청 행정조직을 대상으로 민선지방자치제가 실시된 1995년 7월부터 2009년 6월 현재까지 행정조직의 기능과 기구의 변화를 Peters(1988)의 조직변화 유형 분류기준인 신설, 폐지, 승계로 나누고 승계는 다시 선형대체, 비선형대체, 통합, 폐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환경의 변화와 전략에 따라 조직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분석 기준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여 조직의 기능 및 기구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때 분석의 단위는 과(課)단위였으며, 분석의 방법은 민선자치 시기별, 행정기구 유형별로 구분하여 그 변화의 빈도수와 비율을 살펴보았다. 첫째, 강원도 본청 조직의 총 승계율은 총폐지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신설된 조직이 단순히 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적으로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조직의 변화율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때의 변화는 승계가 높게 나타났다. 민선자치단체장의 교체나 IMF 외환위기, 동계올림픽 유치 선언과 같은 환경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조직의 변화율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동계올림픽 유치 추진은 조직기능의 변화를 통해 적극적으로 환경을 통제하려고 시도했다는 점에서 임의론적 시각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셋째, 행정기구의 유형 가운데 경제관련기구의 변화율이 높았으며, 생활관련 기구의 변화율이 가장 낮았다. 이를 통해 강원도는 지역경제발전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를 지도·관리하는 분야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민선자치단체 시기별로 조직변화율은 다르게 나타났으며, 조직의 승계 가운데 비선형 대체의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조직은 일단 신설되면 폐지되기 어려우며, 외부적으로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내부적으로는 부단히 변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This thesis attempts to analysis the patterns in which the functional ad apparatus changes occur in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focusing on Gangwon provincial office in particular. The changes was classified with the same criteria as Peters(1988) where he categorized the types of the organizational changes into birth, death, succession and the succession was categorized further into linear replacement, nonlinear replacement, consolidation, and death. The period that the present research concerns is from July, 1995 when the local elected government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until June, 2009 to the present. This research aims to point out that the organization changes constantly as the environment and strategies change. In order to identify this, the analysis criteria were drawn first through the theoretical discussions and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basis of these criteria, the hypothesis was set up and then the functional and apparatus changes of organization were examined. The analysis was performed at the sectional level of the organization. The frequency and the rate of change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period of the local elected government and the types of the administrative apparatus. First, the rate of total succession was higher than the rate of total death in Kangwon provincial office. This indicates that the newly established organization undergoes internal changes continuously rather than simply maintains its current status. Second, the rate of organizational changes varies depending on the changes in environment of the organization. In particular, the rate of succession was higher. The rate of organizational change was higher when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such as the replacement of the local government head, IMF economic crisis, and the invitation of winter Olympics occurred. While promoting the invitation of the winter Olympics, the organization tried to control the environment actively by changing the organizational function. In this respect, this change can be explained arbitrarily. Third, the rate of changes in the economic-related apparatus was higher and the rate of changes in the life-related apparatus was lower among the types of the administrative apparatus. It might be concluded that Gangwon province office is concentrating on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economy and thus is highly interested in supervising and managing the economy. Finally, the rate of organizational change was different depending the period of the local elected government. Also, the result shows that of the successions of the organization, the proportion of the nonlinear replacement has increased.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once the organization is established, it is hard to be terminated and its internal is changing constantly although it appears constant externally.

      • 기후변화가 농작물 재배환경에 미치는 영향

        이기섭 전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기후변화 현상을 정리하고 농작물 재배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 및 생물 환경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농작물 재배환경 중 기상환경으로는 온도, 강수량, 온실가스, 생물환경으로는 병해충, 토양미생물, 잡초를 중심으로 기후변화의 영향 및 대응방안을 구명하였다. 평균기온의 상승, 기존 장마 유형의 무너짐, 온대에서 아열대 기후로의 변화, 대기 불안정에 따른 국지성 호우 증가, 여름철 폭염 일수의 빈도 및 강도 증가, 가뭄, 해수면 상승, 유해 미생물 증식, 온실가스 농도 증가 등 여러 가지 기후변화 현상에 의해 농작물 재배환경은 위험성과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다. 지구 온난화에 의한 기온 증가는 농작물 군락 내 기상환경의 불균형을 초래하며, 농업 생태계 악화로 인한 농작물의 생리 생태적 교란 현상 초래, 생육 위축, 수량 및 품질 저하를 유발한다. 저수량 고갈 및 토양수분 부족, 강우량의 계절적 편중 현상은 농업용수 확보에 한계요인으로 작용하며, 집중호우와 폭우는 농업의 생산기반인 토양을 크게 유실시킨다.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등 온실가스의 급증은 지구 온난화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농업 생태계 교란 및 기상이변을 초래하여 농작물의 피해를 증가시킨다. 지구 온난화에 따라 월동 병해충이 많아지면서 외래 유입 신종 병해충이 농작물에 피해를 입히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라 토양미생물의 우점종은 변화하며 산성비에 의한 토양미생물 활동 위축은 농작물 생육을 저해한다. 외래 잡초는 그 영역을 점차 확장하고 있으며 농작물을 위협하고 농업생산성을 떨어뜨린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연구 환경 조성과 활성화가 필요하다. 농업인과 기업은 기후변화의 위험성을 인식하여 새로운 적응기술과 경영기법을 창출해야 한다. 정부와 사회는 식량 안보, 공익적 기능, 준공공재로써의 가치 등 농업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다양한 지원정책 수립과 문제해결 방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기후변화 대응 국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선진국 및 국제기구와 연대하여 온난화 영향 감시시스템 구축, 취약성 분석, 세계 식량수급 변동 예측 모델 등을 마련해야 한다. 전 지구적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선진국과의 정보 교류를 통한 기후변화 적응능력 향상 및 저개발국 기술 공여를 통한 국제사회에서의 역할 강화가 필요하다.

      •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배수시스템의 평가 :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김진영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기후변화가 도시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예의 주시하고 있는 국가들은 최근 활발한 연구 활동을 통해 미래에 발생할 재난에 대한 방재정책과 대비책을 마련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지역의 강수발생과 홍수의 변화를 고려한 배수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후변화가 도시지역의 배수망 및 설계홍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RCM인 RegCM3모형을 이용해 기후조건을 모의하고, 비정상성 마코브체인 모형을 통해 인천지점으로 축소하였다. 축소된 일 강우를 카오스 분해기법을 적용하여 시간단위자료로 분해함으로써 도시지역의 배수시스템 검토 및 설계홍수량 산정에 필요한 짧은 지속시간을 갖는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확률강우량은 Huff 분포를 통해서 시간분포 시킨 후, 도시유출모형인 XP-SWMM에 적용함으로써 기후변화가 도시지역의 배수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대상유역으로는 굴포천 유역을 중심으로 한 구도심 지역과 최근 새로 매립한 송도신도시를 포함하고 있는 인천지역을 선정하였다.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인천지역의 배수시스템과 설계홍수량을 각각 비교한 결과, 굴포천 유역은 기존의 홍수범람지역에서 25곳에서 홍수량이 증가하였고, 송도신도시 지역의 경우, 16곳에서 홍수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기존에는 홍수범람지대가 아니었던 지역이 굴포천과 송도신도시에서 각각 19곳, 25곳이 추가적으로 홍수범람지역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인천지역의 경우, 기후변화에 따라 현재보다 홍수에 취약한 지역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바 이에 대한 대책과 정책방향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동래야류의 변화양상과 그 의미

        유미랑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A Study on the Changing Aspects and the Meaning of Dongrae Yaryu Yu, Mi-Rang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Dongrae Yaryu(field game) is the mask dance which has been handed down in Dongrae-Gu of Busan City. The performances of Dongrae Yaryu were interrupte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Korean War, and after its full-scale restoration, Dongrae Yaryu was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18, in 1967. Since then, it has been how its performance looks like today. Dongrae Yaryu was reconstructed not through natural transmission, but through artificial restoration. Changes of the each period such as time and space, means and ends have caused the change of performance aspects, and sometimes its entertainers try to change performances in accordance of its environmental change. The second chapter deals with the changing aspects of Dongrae Yaryu in which was examined the change of space for performance, performance time, processes of performance, and entertainers for its transmission. Dongrae Yaryu had been performed in the night of the 15th of the New Year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as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before it was interrupte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in 1935. Today, it was frequently performed irregularly having permanent stages. It also has regular subscription shows or receives invitations to perform. These frequent shows cannot help affecting the way of directing. Dongrae Yaryu was performed in wide open space near traditional markets, but today is performed in performing art center or outdoor stage, which makes its audience participation block during performance. In particular, as it is invited to perform in other provinces, it can be performed without spectators' participating at all, unlike in the past. Dongrae Yaryu was performed at the designated time for four or five hours from late night to sunrise next morning. It is expected to take an hour and 20 minutes as regular show, and 50~55 minutes as invitation show. The process of performance is unlike in the past, not connected with each other. It has been passed down by natives of Dongraeg area. The performance that the natives used to learn little by little has lead to performing by professional performers managed by a preservation association. The third chapter traces changes in contents of Dongrae Yaryu, which was divided into performance contents, directing, lines, displays of dance, music and songs, and stage props. When it was restored at first, the part 2, Yangban(the noble) Dance and the part 4, Old woman Dance were only performed, after then, the part 1, Leper Dance and the part 3, Yeongno(a kind of monster) Dance were gradually added. Oguigut(a performance of exorcism appeasing ghosts by singing and dancing) of the part 4 is not performed so far due to shortage of performers. Moreover the part of sutra chanting is diminished, and only a third of lines in the part 2, Yangban Dance are performed. The characteristics of Yangban Dance part in Dongrae Yaryu is that the scenes in which Malttugi insults against Yangban are mainly left out. A display of dance basically keeps as it used to. Though the actions of dance are the same now as in old times, what seems different is not because a display of dance becomes different, but because current performers cannot follow wonderful dances of former performers. The music and songs of Dongrae Yaryu are still kept and continued, while they are transformed. The songs for after-performance are not transmitted, but the endeavor to restore the songs continues by applying a score of Danbagu Taryeong(traditional Korean ballad) in Gyeongsangnam-do. The masks were made by participants individually in the past, but are made by professional manufacturers, today. The materials of masks and props have been changed according to social changes. In the fourth chapter, the reasons and the meaning of performance changes of Dongrae Yaryu were examined. Dongrae Yaryu has changed its characteristics, developing from the seasonal customs into stage performance. Nevertheless, the original meaning of Dongrae Yaryu has kept by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time when it was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at's because in particular, the dramatic theme that satirizes the establishment and criticizes macho bravado has not been changed. Being recognized the mask dance losing its original function as shows having artistic value, the traditional mask dances try to have sustainability adjusting to the present day. The way performers handle the changes will cause another new change. In spite of getting out of the original aims and context, Dongrae Yaryu will necessarily create a new tradition, according to selective application. This study has examined the changing aspects, the reasons, and the meaning of Dongrae Yaryu. These changes do not mean a genre itself bu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That is to say, its change brings a new tradition suitable for the present times, under the context of letting the legacy of the performance continue. Compared with mask dances from other areas, Dongrae Yaryu keeps its cultural heritage as a important intangible property without being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ast. The current performance scenes of masks dances are having our everyday lives and culture, and important as folklore materials. That's why the systematical research, recording, and preservation of masks dances of other areas as well as those of Dongrae Yaryu are need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masks dances and performance venues of folklore performances nationwide arts are record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past performances. Looking for something in common and the differences from changed performance, the reason for bringing the changes should be analyzed respectively. Hopefully these jobs will contribute to conserving mask dances and preparing countermeasures for cultural transmission in future. 동래야류의 변화양상과 그 의미 중요무형문화재 제18호 동래야류(東萊野遊)는 현재 부산광역시 동래구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가면극이다. 동래야류는 일제강점기 및 6·25전쟁으로 인해 전승이 단절되었다가, 후에 본격적인 복원과정을 거쳐 1967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지금의 연행 모습을 갖추었다. 동래야류는 자연적 전승이 아닌 복원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재구성되는 과정을 거쳤다. 시간과 공간, 수단과 목적 등 시대의 변화가 연행양상의 변화를 초래하기도 하고 연행환경의 변화에 의해 연희자들 스스로 변화로 초래하기도 하다. Ⅱ장에서는 연행시기의 장소의 변화, 연행시간의 변화, 연행과정의 변화, 연희자와 전승집단의 변화로 나누어 동래야류 연행환경의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동래야류는 1935년 일제강점기에 중단되기 전에는 정월 대보름에 세시풍속의 성격을 가지고 연행되었다. 현재는 주로 정기 및 상설공연, 초청공연 등으로 연행하여 정해진 시기 없이 잦은 공연을 하고 있다. 이러한 잦은 공연은 각 과장의 연출 방식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동래야류의 연희자들은 주로 동래 토착민들에 의해 전승되었다. 토착민들이 조금씩 배워 연행하였던 것이 지금은 보존회에서 관리하는 전문연희자가 연행한다. Ⅲ장에서는 동래야류 연희내용을 공연내용과 연출, 대사, 춤사위, 음악과 노래, 가면 및 소도구로 나누어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공연내용은 복원당시 2과장 양반과장, 4과장 할미․영감과장만을 공연했고 후에 1과장 문둥이과장, 제3과장 영노과장을 차차 복원하였다. 연출부분에서는 연희자의 부족으로 제4과장에 등장하는 오귀굿을 공연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독경의 비중 또한 줄어들었다. 춤사위는 기본적으로 지속되는 측면이 많다. 춤사위의 동작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같지만 변화한 것처럼 보이는 것은 춤사위가 달라진 것이 아니라 예전 연희자들의 멋진 춤사위를 못 따라간다는 표현이 더 맞을 것이다. 동래야류의 음악과 노래는 지속되는 측면도 있지만 변화한 것도 있다. 뒷놀이의 노래들은 현재 전해지지 않고 있는데, 경상도에 내려오는 단바구타령 등의 악보에 적용하여 복원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가면은 동래야류 연행에 참가한 사람들 개인이 만들었는데 현재는 가면제작자가 가면을 만든다. 가면과 소도구 모두 시대의 변화에 따라 자연스럽게 재료도 변했다. Ⅳ장에서는 이러한 동래야류 연행의 변화를 가져온 요인과 그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동래야류는 세시적 성격의 연행에서 무대공연화하게 되면서 변화의 과정을 거쳤다. 그러나 동래야류 역시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한 당시 모습 그대로 전수되는 가운데 연행되므로 본래 지니고 있는 의미는 지속된다고 볼 수 있다. 본디 동래야류 연행의 목적과 맥락은 떠났어도 선택적 적용에 따라 새로운 전통을 창출할 수밖에 없는 길에 들어서게 된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변화는 동래야류의 연행성격이 변했을 뿐이지 장르 자체가 변한 것은 아니다. 즉 과거의 연행을 잇는다는 맥락 아래, 현재 시대에 부합하는 전통의 창출로 나아갔다고 볼 수 있다.

      • 인간관계의 변화를 가져오는 사회적 현상에 대한 성경적대안 : 가족구조, 빈부격차, IT발달과 여가활동 중심으로

        장만영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관계를 형성하고 변화하는 요소가 개인의 영향도 있지만 사회적 구조에 의해 이뤄짐을 발견하고자 했다. 사회적 현상의 변화는 관계형성에서 중요한 인적요소가 아닌 외부적 환경 즉, 경제의 문제, 소득의 문제, 여가시간활용의 문제에 있다고 접근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통계청의 통계자료와 각종 신문보도 자료를 기초로 짧게는 2~3년 전부터 60여 년간 가족구조와 소득, IT발달, 여가활동 등을 중심으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고 그에 따른 사회현상이 인간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구조의 변화는 인간관계의 변화를 가져온다. 개인과 여성의 역할이 변화되면서 가족구조의 변화를 가져왔다. 전통적으로 대가족제도가 도시화와 산업화의 영향을 받아 여성의 사회적 진출이 활발해지고 핵가족을 넘어 1인가구의 증가를 가져와 경제ㆍ사회구조의 변화의 새로운 인간관계의 틀이 형성되고 있다. 둘째, 하나님은 사회구조 속에서 역사하시고 변화 속에서 참된 진리와 가치를 전파하신다. 사회구조의 변화가 다양해질수록 가치관과 존재감마저 흔들리는 모습을 보인다. 사회의 부속품으로 전락한 자신의 모습 속에서 오히려 절대자를 갈망하고 참된 진리를 갈구하고 있다. 셋째, 하나님은 창조 후에 문화명령을 통해 하나님의 교회와 백성이 세상의 중심으로 세상의 문화를 주도하길 원하신다. 교회와 성도가 세상과의 관계 속에서 영향력을 회복하여 문화명령을 선도하고 하나님의 나라가 확장되는데 앞장서야 한다. 넷째, 하나님의 역사는 인간관계를 통하여 지속되었다. 아담으로부터 시작되는 인간관계는 또 다른 창조사역이다. 타락과 죄악은 관계의 단절을 가져왔고 하나님 말씀의 순종은 관계의 회복을 가져왔다.

      • 평촌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안양시의 도시공간변화에 관한 연구

        국현민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는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신도시를 건설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도 꾸준히 신도시를 개발하고 있다. 처음에는 신도시의 개발목적이 공업단지의 배후도시를 건설하는 것이었지만 최근으로 올수록 수도권의 주택부족문제 해결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자족성 부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 받아 왔으나 최근에는 도시기능 및 환경에 대한 인식부족, 신·구도시 간의 갈등 등 새로운 문제점들이 드러나고 있다. 이렇듯 새롭게 지적되고 있는 문제점들 중에서도 본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한 것은 신도시가 구도시에 미치는 영향이었다. 영향력 측정을 위해 수도권 5개 신도시 중 구도시와 인접하여 개발된 평촌을 사례지로 선택하였으며, 평촌지역 개발 이후의 안양시 모습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고 중심성과 기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독립적 신도시가 아닌 신시가지 개발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과 앞으로 안양시의 도시관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하여 도시의 중심성 측정방법, 도시공간분석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참고로 하여 평촌개발이후 안양시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분석지표를 설정하였으며, 기능변화와 중심성변화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심범위와 도심기능을 설정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설정된 분석지표들을 통해서 인구 측면, 물리적 측면, 사회계층적 측면에서의 안양시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중심성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인 데이비스의 기능지수법을 사용하여 사업체자료를 토대로 안양시의 중심성 변화와 기능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인구변화를 살펴본 결과 구시가지에서 신시가지 쪽으로 30,40대의 인구가 주로 이동함에 따라 그에 따른 자녀들이 함께 이동을 했고, 그 결과 신시가지에는 구시가지에 비해 0~10세, 30~40대의 인구가 많이 분포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결과 구시가지의 노령화지수가 신시가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물리적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공간구조의 변화에 따라 안양시에 위치해 있던 공장들이 타 지역으로 이동하였으며, 행정기관이 신시가지에 집중 분포함에 따른 지역불균형이 나타났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열악한 구시가지 쪽에 더 많은 예산을 배정함으로서 안양시의 균형적 성장을 의도하고 있는 시청의 의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사회계층적 측면에서 주택의 자가점유비율을 살펴본 결과는 예상과는 달리 구시가지가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주민들의 교육열을 간접적으로 알아볼 수 있는 사교육 학원의 분포는 신시가지의 특정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신시가지의 학생수에 비해서도 더 많은 학원이 위치해 있다. 넷째, 안양시의 중심성과 도심기능 변화를 살펴본 결과, 신시가지의 개발에 따라 구시가지의 사업체 총량변화는 거의 없었다. 하지만 구시가지의 도심기능지수는 크게 감소한 반면 신시가지에서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구도심이 안양시 전체에서 담당하던 역할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하여 신규 시가지를 개발할 때에는 다양한 주택형태의 공급과 다양한 연령층을 고려한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기존도시와의 융합과 균형적 성장을 위한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 OECD 국가의 화력발전을 통한 전력생산비율 변화 요인분석

        이응곤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협약 이후 구체적 감축 목표를 설정한 교토의정서의 채택이 OECD국가의 화력발전을 통한 전력생산비율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확인하고, 또한 어떤 요인들 때문에 대상 국가들의 전력생산비율이 변화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는 기후변화협약의 채택이 온실가스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의문 해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결과 OECD 국가 중에서 화력발전의 비중을 감소시킨 국가는 교토의정서 부속서Ⅰ에 속하는 29개 국가 중 10개국 이었으며, 1997년 교토의정서 채택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아 본 논문에서 교토의정서는 국제협약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였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화력발전 비중을 감소시킨 OECD 국가들은 국제적 기후변화에 대한 의지를 기후변화협약이 논의되는 과정에서 이미 하고 있었으며, 교토의정서에서 설정 된 감축 목표를 맞추기 위해서가 아니라 스스로 자국의 화력발전 비중을 조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후변화 당사국총회를 통해 새로운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논의를 지속하고 있으며, 선진국 및 개도국 각자가 자국 내 정책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여 국제 기준을 맞추기 위한 장기적인 플랜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가 연구를 통해 화력발전비율에 미치는 요인으로 화석연료의 가격지수, 인구증가율, 인당 GDP 증가율이 있었으며, 이를 통해 환경쿠즈네츠 곡선의 이론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현재 개도국 위치로 감축의무에 대해 어떤 책임도 없는 우리나라는 경제규모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보았을 때, 조만간 감축의무 대상국으로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정부는 국제사회에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를 발표하고 구체적인 정책을 발표하기 시작하였다. 앞으로도 우리나라에서 전력의 생산과 사용은 경제성장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내부적으로는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전력수급계획이 서로 엇나가지 않게 종합적인 관리가 이루어져 경제에 줄 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대외적으로는 개도국과 선진국 사이에 중도적인 입장을 충분히 살려 명분과 실리를 모두 잡는 것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In this study, the adoption of the Kyoto Protocol in OECD countries affect the ratio of the thermal power electricity generation that was going to check. What factors have also targeted the country's power production ratio has been changed for this analysis. Ultimately, the adoption of the 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emissions of carbon dioxide, the main culprit of greenhouse gases affected the resolve the question of whether its purpose. Reducing the proportion of thermal power plants in AnnexⅠ 29 countries of the 10 countries were countries. The Kyoto Protocol adopted in 1997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is paper do not serve as the Kyoto Protocol is an international agreement determines that were not performed. Thus, reducing the proportion of thermal power plants in OECD countries in the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agreement is a commitment to climate change and was already in the process of being discussed, the reduction targets set in the Kyoto Protocol, not to meet its self-gravity to adjust the thermal power plant were confirmed. The next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continues to be a discussion on the developed countries and developing countri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to meet internationalstandards for the long-term plan was to have confirmed that.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on the factors of thermal power ratio of fossil fuel price index, population growth, per capita GDP growth was, through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was able to confirm the theory. South Korea saw the size of the economy and carbon dioxide emissions, the reduction in the near future are likely to be included in the target station duties. The government is already 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eased specific figures and began to announce specific policies. The production and use of electricity in our country economic growth is an essential element. Internally, a comprehensive managemen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hat could impact on the economy softens, externally between the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to fully make use of centrist position is required to cause and profit at the time of the catch.

      • 생리적 환경변화에 따른 유아의 놀이 행동에 관한 연구

        최영애 숙명여자대학교 1984 국내석사

        RANK : 247807

        本 硏究는 유치원 교실의 物理的 環境 變化가 幼兒의 놀이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려고 하였으며 이런 目的을 위하여 設定한 硏究問題는 다음과 같다. 1. 몬테소리 感覺敎具를 數 놀이 영역에 代置했을 때 유아의 놀이 행동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2. 몬테소리 感覺敎具를 數 놀이 영역에 代置했을 때 유아의 놀이 영역 선택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3. 몬테소리 感覺敎具를 數 놀이 영역에 代置했을 때 유아의 놀이 행동, 놀이 영역 선택에 남아와 여아의 差異는 있는가? 4. 조용한 놀이와 활동적인 놀이를 區分해서 配置했을 때 유아의 놀이 행동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5. 조용한 놀이와 활동적인 놀이를 區分해서 配置했을 때 유아의 놀이 영역 선택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6. 조용한 놀이와 활동적인 놀이를 區分해서 配置했을 때 유아의 놀이 행동과 놀이 영역 선택에 남아와 여아의 差異는 있는가? 以上의 問題를 解決하기 위해 서울 시내에 위치한 유치원의 남녀 아동 20명을 對象으로 Parten(1932), Sutfin(1983)의 놀이 행동 分類를 基礎로 체크리스트를 作成하여 놀이 행동, 놀이 영역 선택과 남녀의 차이에 대한 관찰을 첫째, 원래의 유치원 교실의 환경, 둘째, 數 놀이 영역의 교구를 몬테소리 感覺敎具로 代置한 환경, 셋째, 조용한 놀이와 활동적인 놀이로 區分해서 놀이 영역을 다시 配置한 환경에서 관찰하였다. 觀察을 위한 방법은 時間 表集法을 선택하였으며 환경의 변화와 놀이 행동 변화와의 관계를 統計 分析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몬테소리 感覺敎具를 數 놀이 영역에 代置했을 때 전체 흥미 영역에서 유아의 놀이 행동은 혼자 놀이가 증가했고 평행 놀이, 연합 놀이는 감소했다. 2. 몬테소리 感覺敎具를 數 놀이 영역에 代置했을 때 전체 흥미 영역에서 유아의 놀이 영역 선택은 수 놀이 영역 선택이 증가되고 소꼽 놀이, 작업 영역에서는 감소되었다. 3. 몬테소리 感覺敎具를 數 놀이 영역에 代置했을 때 物理的 環境 變化와 性別간의 相互 作用 效果는 놀이 행동 중 협동 놀이에서 나타났다. 즉 物理的 環境이 變化함에 따라 남아는 협동 놀이 행동이 늘어나고 여아는 줄어듦으로써 物理的 環境 變化에 따른 남녀의 협동 놀이 출현상태가 다름을 보였다. 그러나 놀이 영역 선택에서는 物理的 環境 變化와 性別간의 上互 作用 效果는 有意味하지 않았다. 4. 조용한 놀이와 활동적인 놀이를 區分해서 配置했을 때 전체 흥미 영역에서 유아의 놀이 행동은 연합 놀이가 증가했고 협동 놀이가 감소했다. 5. 조용한 놀이와 활동적인 놀이를 區分해서 配置했을 때 전체 흥미 영역에서 유아의 놀이 영역 선택은 퍼즐, 대근육, 일상생활 영역 선택이 증가되었고, 數 놀이 영역 선택은 감소되었다. 6. 조용한 놀이와 활동적인 놀이를 區分해서 配置했을 때 소근육 영역과 일상생활 영역에서 物理的 環境 變化와 性別간의 相互 作用에서 有意味한 效果가 나타났다. 즉 物理的 環境이 變化함에 따라 남아는 소근육 활동영역 선택이 높아지고 여아는 소근육 활동 영역 선택이 낮아졌다. 일상생활 영역에서도 物理的 環境이 變化함에 따라 여아는 일상생활 영역 선택이 높아졌고 남아는 낮아졌다. 그러나 놀이 행동은 環境과 性別간의 相互 作用에서 有意味한 效果가 없었다. This Study was conceived to examine how the changes of physical environments of kindergarten classrooms influence on the preschool children's behaviors. General questions for investigation were as follows; 1. Is there any changes in preschool children's behaviors when Montessori sensory materials are set at mathematics area? 2. Is there any changes in preschool children's selection of play area when Montessori sensory materials are set at mathematics area? 3.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pre school children's selection of play area when Montessori sensory materials are set at mathematics area? 4. Is there any changes in preschool children's play behaviors when quiet plays and active plays are set by classified? 5. Is there any changes in preschool children's selection of area when quiet plays and active plays are set by classified? 6. Is there any changes between boys and girls in preschool children's selection of area when quiet plays and active plays are set by classified? 10 boys and 10 girls of a kindergarten classroom area were selected and observed for this experiment. A check-list was made up by using the assortment of play behaviors of Parten (1932) and Sutfin (1983) and then, observed as follows. 1. children's play behavior and selection of the play areas in the environment of kindergarten classroom without adding any changes. 2. the changes of children's play behavior and selection of the play areas after replacing Montessori sensory materials at mathematics area. 3. the differences of children's play behavior and selection of the play areas after rearranging play areas by quiet plays and active plays. These observations were made by applying the Time-Sampling technique and were statistically analized the relations between environments and play behaviors, and the relations between environments and sex in play behaviors and in the selection of area. selection of area. The result showed that; 1. The solitary plays were increased, while pararrel and associative plays were decreased when Montessori sensory materials were set at mathematics area. 2. The preschool children's selection of area were increased at mathematics area and decreased at house play area when Montessori sensory materials were set at mathematics area. 3. The effects of mutual action between the changes of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sex were showed at cooperatine plays when Montessori sensory materials were set at mathematics area. 4. The associative plays were increased, while the cooperative plays were decreased when quiet plays and active plays were set by classified. 5. The selection of puzzle, gross-motor and active life areas were increased, while the selection of mathematics areas were decreased, when quiet plays and active plays were set by classified 6.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at small-motor areas and active life areas between the changes of physical environments and the sex when quiet plays and active plays were set by classified.

      • 역사교육에서 신문자료를 활용한 독도수업의 설계 : 시간적 추이에 따른 신문보도의 태도변화를 중심으로

        김석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역사적 통찰력의 신장을 목적으로 동일한 역사적 주제와 관련한 신문보도의 태도 ‘변화’에 주목하여 교수-학습 설계를 하였다. 본 논문에서 선택한 주제는 ‘독도 문제’이며 본 논문의 과제는 크게 2가지이다. 하나는 독도 문제에 대하여 시간적 추이에 따른 신문자료를 어떻게 선정하느냐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역사적 통찰력을 기르기 위해 그 신문자료를 활용하여 어떻게 교수-학습 설계를 하느냐는 것이다. 많은 학습자료 중에서도 신문자료에 주목한 이유는 국가적 현안문제나 중요한 사건 등에 대한 신문기사는 생생한 시대적 사료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장기화된 국가적 사안에 대한 신문기사는 시간의 추이에 따른 분석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크다. 왜냐하면 역사의 주된 관심사인 “변화”를 분석해 낼 수 있으며, 이것을 역사적 통찰력의 신장으로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독도문제에 대한 시간적 추이에 따른 신문 자료를 선정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독도에 대한 신문보도의 태도변화가 나타나는 것에 주목하여 시기를 5개로 구분하였다. 5개의 시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기는 독도분쟁의 시발점이 되었던 시기로 일본이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지배권을 인정받아 1905년에 독도를 일본에 편입한 때이다. 이때부터 독도분쟁이 시작되었다. 둘째 시기는 독도를 다시 우리영토로 재 편입한 시기이다.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의 패전국이 되어, 제국주의적 침략을 감행하기 이전으로 일본 영토를 되돌렸던 시점이다. 이 때 이승만대통령은 인접해양주권선언(평화선)을 선포함으로써 독도를 우리 영토로 재 편입시켰다. 셋째 시기는 독도와 주변 12해리를 전관수역으로 설정한 시기이다. 제 1차 한일협정 때 박정희 대통령은 독도와 그 주변 12해리를 전관수역으로 설정함으로써 “현실적”으로 독도가 우리의 영토임을 명확히 하였다. 이러한 조치는 현재까지도 일본과의 독도분쟁이 있을 때마다 독도가 우리 영토라는 근거가 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넷째 시기는 독도근해가 한일 공동관리수역으로 설정된 시기이다. 국제적으로 EEZ 설정 문제가 제기됨으로써 한・일 간에도 EEZ 설정이 불가피 했으며 독도와 울릉도 중 어느 기점을 영해의 기준으로 설정할 것인가에 대한 분쟁이 있었다. 이 무렵 우리나라는 IMF 외환위기와 일본의 경제적 차관 지원에 대한 부담으로 2차 한일협정 당시 영해의 기점을 울릉도로 결정함으로써 독도가 한일 공동관리수역으로 설정되었다. 다섯 번째 시기는 독도에 대한 갈등이 심화된 시기이다. 이 시기는 일본이 장기적인 경제적 침체로 국가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경제적 번영을 이루며 국제적으로 G20 의장국을 맡는 등 국가적 위상이 향상되었다. 이 때 이명박 대통령은 2차 한일협정으로 공동관리수역이 된 독도를 방문하였고, 국회에서는 2차 한일협정으로 인해 일본이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며 이를 폐기하고 다시 협정을 체결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한편 일본은 독도문제를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한다는 뜻을 보이며 양국 간의 심각한 갈등을 보이고 있다. 위와 같은 시기구분에 근거하여 독도문제에 대한 신문보도의 태도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신문자료를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독도에 관한 신문자료를 통해 역사적 통찰력을 기르기 위한 수업 설계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신문보도 태도의 변화에 주목하였다. 특히 각 시기별 신문의 보도 태도에 있어서 변화에 주목함으로써 그 변화의 배경 혹은 원인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요컨대 각 시기별 변화라고 하는 역사적 현상들의 이면에 있는 원인이나 배경을 주목하고, 그것들을 종합해 보게 함으로써 변화라고 하는 현상의 이면에 있는 본질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영토 혹은 영토에 대한 태도는 고정불변한 것이 아니며, 시대적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라는 것을 학습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였다. 즉, 태도가 변화한다는 것을 넘어 그 변화의 원인이 무엇인지도 함께 파악하게 됨으로써 역사교육의 중요한 목표중 하나인 통찰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적 효과도 얻을 수 있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시간의 추이와 신문자료의 성격에 주목한다면 역사교육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변화상을 학습하기에 신문자료가 정말 좋은 자료라는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즉, 신문자료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주제뿐만 아니라 여성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인식의 변화라든가, 행복에 대한 사람들의 의식이 시대별로 어떻게 변화 하는가 등 시간적 추이에 따른 변화를 학습하기에 적절한 자료라는 것을 덧붙이고 싶다. 나아가 역사수업에서도 신문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여러 가지 변화를 학습하는 한편, 이를 역사적 통찰력의 신장으로 발전시키는 많은 후속 실천들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Aiming to enhance the historical insight, this paper designed the history teaching plan focusing on ‘changes’ in attitudes of newspaper reporting with respect to the same historical topic. We focused on newspaper data among many learning materials because newspaper articles on national current issues or important events have the value as vivid historical materials of the times. In particular, newspaper articles on prolonged national issues have great historic significance in that the analysis can be made with the change of time. This is because the major concern of the history, “changes” can be analyzed and this, in turn, can be connected to enhancement of the historical insight. First, in order to select newspaper articles on the Dok-island issue with the change of time, we divided periods into five focusing on the changes in the reporting attitude of newspapers on Dok-island. Five periods are as follows. The first period is the starting point for Dok-island dispute and at that time, Japan was recogniz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ver the control for Korea and incorporated Dok-island into Japan in 1905. From this moment on, Dok-island dispute began. The second is the period when Dok-island was again incorporated into our territory. In this period, Japan became a defeated nation of World War II and returned its territory before venturing into the imperialistic aggression. At this time, by proclaiming adjacent marine sovereignty declaration (peace line), President Lee Seung-man re-incorporated Dok-island into our territory. The third is the period when Dok-island and 12 sea miles around it were set as an exclusive fishing zone. By setting Dok-island and 12 sea miles around it as the exclusive fishing zone during the first Korea –Japan Agreement, President Park Chung-hee clarified that Dok-island is our territory “realistically”. The measure is greatly meaningful in that it has become the grounds showing that Dok-island is our territory whenever there is a dispute over Dok-island with Japan until now. The fourth is the period when adjacent seas of Dok-island were set as Korea- Japan jointly controlled waters. With EEZ setting issue raised internationally, EEZ setting was inevitable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here was a dispute over which one should be set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territorial waters between Dok-island and Ulleungdo. Around this time, due to the burden for the IMF financial crisis and Japan's economic loans support, Korea determined the starting point of the territorial waters as Ulleungdo at the time of the second Korea –Japan Agreement so Dok-island was set as Korea- Japan jointly controlled waters. The fifth is the period when conflict on Dok-island was intensified. During this period, Japan was suffering from national difficulties due to long-term economic downturn while the national phase of Korea was improved like achieving economic prosperity and acting as chair of the G20 internationally. At this time, President Lee Myung-bak visited Dok-island which became jointly controlled waters by the 2nd Korea –Japan Agree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claimed to denounce 2nd Korea –Japan Agreement and conclude an agreement, saying that Japan is claiming the sovereignty over Dok-island due to the agreement. On the other hand, a serious conflict is shown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Japan indicated that they would bring the Dok-island issue before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Based on the above periodization, we selected newspaper materials focusing on changes in attitude toward the Dok-island issue. Next, we presented the instructional design to develop the historical insight through newspaper materials on Dok-island. To this end, we paid attention to changes. Particularly, by taking notice of changes in the reporting attitude of newspapers by each period, we allowed students to identify the background or cause of the changes. In short, by letting them pay attention to the background or cause behind historical phenomena which are the changes by each period and put them together, we enabled them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phenomenon called as changes. We designed classes so that students can learn the attitude toward territory is not fixed and changed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rough this process. That is, by identifying the cause of the change beyond attitude change, students were also able to obtain educational effects that develop the historical insight, one of the important goals of history education.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suggest that if paying attention to the change of time and nature of newspaper materials through this study, newspaper materials are really good to learn changes regarded as important in history education. That is, we would like to add that newspaper materials are appropriate for learning changes over time such as changes in awareness on social status of women as well as the topic presented in this study or age-specific changes in people's awareness on happiness etc. Furthermore, we hope that students can learn various changes by actively using newspaper materials in history classes while many follow-up actions can be carried out to develop it into enhancement of the historical ins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