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百濟文化祭 實態 및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이주영 韓南大學校 社會文化科學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21th century are promising Cultural Tourism Products by era of culture. Specially, local festival according to era is used to important subject in development of local economy and local culture do in Globalization with age of local Government. This area culture festival has big charm to detain tourists into importance resources for tourist development, and in local government as well as central government cultural tourism product concentrically plan and development. Is preserving culture and tradition as capital of hundred emperor trillion that is long history's Bu-yeo. Specially, Bak-Jae cultural festival on topics are contributing greatly in local culture development that is preserved today to representative local culture festival of Bu-yeo regional, and are represented by area specific Character and Tradition. Such as Bak-Jae cultural festival theme is cultural tourism products to have superior resources, but is not recognized practical value called cultural tourism products. The reason being because is not receiving hailing of local resident and tourists, is not contributing local economical development and community development. Because is not influencing in Bu-yeo Gun attempt area development, need countermeasure for area festival development being not considering local community and charm, cultural value, meaning of festival,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 and tourists, expectation effect of area etc. that is important leading person of area festival. Bak-Jae culture festival topic at the future cultural tourism products if arrange contents to develop as following be . Firstly, need change to little more excellent practical festival in current formal festival. variation by special quality and "practical festival" through current 86 events and develop to area event, and financial part must solve voluntarily. Second, center and rear culture heritage event because developing subject of Bak-Jae cultural festival topics in theme form. Connect and produce program and event schedule on the whole. Third, hold to event that local resident participates. Local society and inhabitants drive ready of event and administration operation so that can hold and manage voluntarily, and tradition customs event "Local resident" and "Tourists" together do by program that know compose . Fourth. Equipment of event space little more visual, space enemy, original, produce, and develop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program and form satisfaction to festival by atmosphere. compose to theme of spaces culture heritage pavilion using Kum-Gang River Park, should be grown by brand because develop, and develop Local products so that tourists may can experience. Conclusively, if synthesize way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based on present condition and analysis about Bu-yeo. is Bak-Jae Culture festival topics, contents should be executed after examine in dimension that is working-level to administer business actually that propose in investigator's situation.

      • 역사문화형 축제의 주제반영성 비교연구 : 2012년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와 한성백제문화제를 중심으로

        최혜영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2

        축제의 주제는 그 축제를 함축적으로 표현한 상징적 개념으로 지역의 문화관광자원과 축제의 가치성을 높여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현재의 역사문화축제는 역사성이 고증되지 않은 연출, 프로그램 운영, 민간 사업체 참여 등으로 역사축제의 본질인 역사 주제반영성이 흐려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 역사축제인 공주·부여백제문화제와 한성백제문화제의 방문객의 주제반영성 만족도를 비교하고, 각 축제의 방문객을 성별, 방문 여부, 거주민/방문객, 방문동기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특성별 그룹의 백제문화제를 통한 주제반영성 항목에 대한 만족수준의 차이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 된 자료는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에서 총 544부의 유효표본이 수집되었으며, 한성백제문화제에서는 316부의 유효표본이 분석에 투입되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와 한성백제문화제 주제반영성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의 주제반영성 만족수준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주·부여 백제문화제는 ‘축제장 분위기’, ‘주변시설물’, ‘박물관’, ‘프로그램’, ‘복장’, ‘기념품’, ‘식음료’의 순위로 만족수준이 조사되었다. 한성백제문화제는 ‘축제장 분위기’, ‘복장’, ‘박물관’, ‘주변시설물’, ‘프로그램’, ‘기념품’, ‘식음료’의 만족 수준으로 순위가 도출 되었다. 둘 째, 축제 방문객 그룹(성별, 신규/재방문객, 거주민/방문객, 방문동기) 간 주제반영성 7개 항목 만족도를 차이분석 하였다. 주제반영성 만족도 측정변수인 축제장 분위기를 차이검증 한 결과,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와 한성백제문화제 모두 성별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주제반영성 만족도 측정변수 프로그램에서는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에서 재방문객과 신규방문객의 축제 주제반영성 만족도를 인지하는데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한성백제문화제에서는 남성과 여성 그룹간에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주제반영 식음료에서는 한성백제문화제의 성별그룹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기념품을 차이검증 한 결과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에서는 재방문객과 신규방문객 그룹간에서, 한성백제문화제에서는 성별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복장에서는 한성백제문화제에서만 성별 그룹 간 주제반영성 만족도를 인지하는데 통계적인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와 한성백제문화제 방문객의 방문동기 그룹별 주제반영성 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공주·부여 백제문화제는 주변시설물, 프로그램, 식음료, 기념품, 복장에서 집단별 만족수준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한성백제문화제 방문객의 방문동기별 그룹 간에 주제반영성 만족도를 차이 검증한 결과, 박물관에서 방문객 동기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하여 공주·부여 백제문화제는 신규방문객과 재방문객을 위한 프로그램 보안 및 개발이 필요하며, 한성백제문화제는 여성방문객을 위한 프로그램 강화를 해야 한다. 또한 두 축제 모두 박물관의 훌륭하고 다양한 소재와의 연계를 통한 주제반영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주제반영과 연계되지 않은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점은 개선해야 하며, 프로그램의 역사를 고증하는 절차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 백제문화제에서 시연되는 '백제 춤'의 개선 방향

        최병권 공주대학교문화유산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논문은 백제문화제의 개막식 때 재현되는 백제 춤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그 대안을 제시한 것이다. 매년 거행되는 백제문화제 때에는 개막식 때 백제 춤이 재현된다. 그런데 지금까지 시연되었던 백제 춤을 보면 복식이 백제 복식이 아닌 것이 가장 눈에 띈다. 더구나 춤사위가 대부분 느리고 역동성이 없어 찬란한 백제문화를 재현하기보다는 백제에 대한 잘못된 선입견을 심어줄 우려가 있다. 백제는 존속 기간 동안 동남아 여러 국가와 교류하며 찬란한 문화를 발전시켜 왔다. 춤 역시 마찬가지다. 일찍이 1993년에 부여 ‘능산리’ 사지에서 출토된 ‘백제금동대향로’에는 백제 때 연주되었던 5 악기 완함(阮咸) 종적(縱笛) 배소(排簫) 현금(弦琴) 북(鼓) 등이 표현되어 있다. 5 악사가 다섯 개의 악기를 연주하는 모습을 통해 백제 때 다섯 개의 악기가 실제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994년 대전시 서구 월평동에서 출토된 ‘양이두(羊耳頭)’ 현금(弦琴)은 그것이 백제 산성에서 출토되었다는 점에서 마찬가지로 백제 때 연주되던 악기로 평가받고 있다. 그럴 뿐만 아니라 1962년 국보 제106호로 지정된 ‘계유명 전씨 아미타불 비상’에 조각된 8가지 악기도 백제 악기로 규명되었다. 여기서 보이는 악기는 금동향로에 나타난 5 악사 이외에 다채로운 백제 악기가 연주되고 있었음을 뜻하는 것이다. 이렇게 백제 당시의 악기가 있었다고 한다면 그 악기를 연주하며 노래를 부르고 춤을 췄을 것은 누구나 알 수 있는 사실이다. 그런데도 아직 백제 춤에 대해서는 그 원형을 시원하게 밝히지 못하고 있다. 문헌 기록에 의하며 서기 604년 수나라 양제의 즉위식에 참석한 백제인들이 춤을 추고 노래를 불렀다고 󰡔구당서󰡕와 󰡔신당서󰡕에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서 보면 그 춤이 강국(康國)의 춤과 흡사하다는 기록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강국’은 곧 현재의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라고 하는데, 그렇다면 우즈베키스탄의 전통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우즈베키스탄의 전통춤은 한마디로 말해서 리듬이 빠르고 경쾌한 것이 특징이다. 실제로 최근 백제문화제 폐막식 때 그러한 강국의 전통춤이 시연된 적이 있다. 그렇다면 백제 춤도 지루함이 느껴질 정도의 느리고 변화가 없는 리듬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빠르고 경쾌한 춤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백제문화제처럼 축제 때에는 더더욱 고정관념을 버리고 빠르고 경쾌한 춤을 시연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그동안 금동향로나 고고학적인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백제 악기를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the problems of Baekje dance reproduced at the opening ceremony of the Baekje Cultural Festival and suggested alternatives. During the annual Baekje Cultural Festival, Baekje dance is reproduced at the opening ceremony. However, the Baekje dance, which has been demonstrated so far, shows that the costume is not a Baekje costume. Moreover, most of the dance moves are slow and dynamic, which could instill preconceptions about Baekje rather than reproducing the splendid culture of Baekje. During its existence, Baekje has developed a splendid culture by interacting with various Southeast Asian countries. The same is true of dance. As early as 1993, the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excavated from the Neungsan-ri Temple Site in Buyeo, depicts the five-instrumental instruments played during the Baekje Period, including a longitudinal bandit, a cash drum, and more. Five musical instruments were actually used during the Baekje Period by the five musicians playing five instruments. In addition, the 'Yangdu' cash discovered in Wolpyeong-dong, Daejeon-si in 1994 is considered to be a musical instrument played during the Baekje Period, given that it was excavated from the Baekje Fortress. In addition, the eight instruments carved in the 'Gye Yu Myung-jeon Amitabha Buddha'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 No. 106' in 1962 were identified as Baekje musical instruments. The instrument shown here indicates that various Baekje musical instruments were being played in addition to the five orchestras shown in Geumdong-ro. If there were instruments from the Baekje period, it is known that they played, sang, and danced. Nevertheless, the original version of the Baekje dance has not been revealed yet.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literature, Baekje people, who attended the inauguration ceremony of Yangje in 604 A.D., danced and sang, according to the old and new Tang documents. From here, there is a record that the dance is similar to that of Gangguk. The powerhouse here means the present Uzbekistan, and if so, it is necessary to look at Uzbekistan's traditional dance. Uzbekistan's traditional dance is characterized by its fast rhythm and cheerfulness. In fact, such a powerful traditional dance was demonstrated during the opening ceremony of the Baekje Cultural Festival recently. Then, I think it is necessary to keep the fast and cheerful dance in mind, not just the slow and unchanging rhythm that makes Baekje dance boring. Especially during festivals, like the Baekje Cultural Festival, it is necessary to demonstrate fast and cheerful dance without stereotypes.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using Baekje musical instruments that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gold trends and archaeological excavations.

      • 백제문화제를 통해 본 한국 지역축제와 문화 분권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손혜진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festivals and the role of them in realizing regional ideals of cultural decentralization by enhancing cultural diversity and the identity of the region. In Korea, local festivals are one of the main cultural policies adopted by local governments for regional development promotion and revitalization as a globalization plan utilizing local cultural resource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the mid-1990s. The role of local festival is very big in the situation of global flow for realizing cultural diversity and the efforts of Korean government to strengthen local culture decentralization.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ekje Cultural Festival, which has been preserved for 64 years, and to see what role it plays in strengthening the cultural diversity of the region and the cultural right of the local residents is meaningful in this respect. that it presents direc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the direction to move to the advanced country of culture b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al decentralization in the region. In order to assess the contribution of local festivals to the realization of cultural decentralization, I have set up three analysis frameworks based on 'democratization of culture' and 'cultural democracy' which are the main concepts of European cultural policy. First, I assessed opportunity to enjoy the culture, accessibility to culture, and balanced distribution of public support with “universality” set as a requirement of ‘democratization of culture' emphasizing cultural accessibility. And as a concept of 'cultural democracy' with an emphasis on open culture and participation, I evaluated the strengthening of identity by taking advantage of local characteristics and the diversity of policy decisions with “diversity” and “autonomy”. In other words, I tried to study the role and limit of local festivals to realize cultural decentralization by analyzing the aspect of cultural,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aspects of local festivals. Changes in the selection and support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by the central government are under consideration. In order to expect long-term sustainability in such a situation, Korea's local festivals including the Baekje Cultural Festival should move toward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hat utilizes identity, a stable operating organization, and securing financial viability. Now, first of all, the way that local residents can participate in the planning, operation and evaluation of festival should be given priority. Cultural decentralization can be realized when local residents who have raised their cultural capacity as a local cultural expert with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are centered and lead local festivals.

      • 문화재활용축제의 효과에 대한 지역 공무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고령대가야, 백제문화제, 안성바우덕이 축제를 중심으로

        김형우 배재대학교 국제통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6

        Cultural heritage is the sublime legacy possessing our predecessors' breath, and it attains historically and artistically high values. The values of such cultural heritage increase along with the flow of time, and the interest of its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is growing. Recentl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adopted a guideline for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to observe possible opportunities to expand uses of cultural heritage through various methods based on its preservation. Cultural heritage utilizing does not simply mean using cultural heritage but taking advantages of its value, function and ability that the heritage has in sustainable manner. In addition,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contributes to developing outstanding traditional culture through intensified preservation and new cultural values. In this regard, festival for utilizing Korea's cultural heritage has been emerged as the possible application. Cultural heritage festival responds to the popular desire to experience culture and to the extended time of leisure life, and it is a beneficial utilization method which combines educational valueand advantage of the event. It is possible to be divided into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utilizing festival, but current festivals come into both aspects. Furthermore, these festivals are used as a tool to promote the regional inherent cultural heritage to findthe identity of the region, but studies and empirical analysis for the effects of festivals are not enough.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examine if regional cultural heritage utilizing festival can develop inherent cultural assets of the region and has social-economic effect well as positive influence on the image of the region. Moreover, it will also discuss countermeasures against problems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utilizing festival as well as possible plans to increase efficiency. This study, therefore, introduces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utilizing festival systematically by definingconcepts of event and cultural heritage as well as the effect and the pattern of them. Also, with the theoretical view, characteristics of festival are introduced along with positive-negative aspects from local examples. Also, survey from the government officials whose region had similar precedents is done to analyze the effects and influence over the region and the recognition changes after holding the festivals. Finally, results of empirical investigation are analyzed and some suggestions are proposed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of cultural heritage utilizing festival. This study concluded that cultural heritage utilizing festival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region, and it also affects to change the recognition of government official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regions. Except those represented in element analysis such as cultural heritage recognition increasing effect, cultural heritage development effect and tourism industry development effect, there is no particular effect that is distinctly shown among the regions. A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cultural heritage utilizing festival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region as a way to preserve the region's own cultural heritage and also it promotes effective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established a concept of cultural assets application festival, brought the changes of government officials' recognition toward the cultural heritage and derived the positive effects of festivals on economy and tourism industry development through empirical investigation. 문화재는 선인들의 숨결이 밴 숭고한 유산으로, 역사적으로나 예술적으로 높은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재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가치가 크게 상승하고 있으며, 보존 및 활용에 대한 관심도 높아가고 있다. 최근 문화재청에서는 문화재활용에 관한 지침을 통해 문화재 보존이라는 밑바탕에서 문화재활용을 위한 다양한 활용방식 및 건전한 문화재 활용을 확산시킬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문화재활용은 문화재를 단순히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지닌 가치나 기능 또는 능력을 잘 살려 지속가능하게 이용하는 행위이다. 또한 문화재의 보존이라는 개념은 보존을 강화하고 새로운 문화가치를 생산, 다양한 가치개발을 통해 우수하고 고유한 민족문화를 새롭게 발전시키는데 기여한다. 이에 따른 지속가능한 활용으로서 문화재활용축제가 대두하게 되었다. 문화재활용축제는 대중의 문화향유에 대한 욕구 및 여가시간 증가에 따른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며, 문화재의 교육적 효과와 이벤트의 장점을 결합시킨 상생의 문화재 활용방법이다. 이는 유형문화재 활용축제와 무형문화재 활용축제로 분류할 수 있으나 현재의 축제는 유무형의 문화재가 복합적으로 활용되어 추진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문화재활용축제는 지역이 가진 고유의 문화재를 널리 홍보하고 나아가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도구로서 사용되고 있으나, 우리의 경우 그에 따른 효과 및 실증적인 분석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역의 문화재활용축제 개최가 지역고유의 문화유산을 발전시키고 나아가 지역의 사회적-경제적 효과 및 지역의 이미지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문화재활용축제의 발전을 위해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이벤트로 성장 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이벤트와 문화재의 개념, 효과, 유형 등의 개념정립을 통하여 문화재활용축제에 대한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문화재활용축제에 대한 지역의 사례를 통하여 축제가 가지고 있는 특징 및 긍정적-부정적 영향 등에 대하여 조사했다. 또한 이 같은 사례를 가지고 있는 해당지역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문화재활용축제 개최 후 지역 문화재 및 효과에 대한 인식 변화와 지역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증조사를 통해 나온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해 문화재활용축제가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문화재활용축제가 지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당공무원의 인식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지역별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요인분석을 통해 나타난 문화재인식 상승효과, 문화재개발효과, 경제적효과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광산업발전효과를 제외한 타 효과에서는 지역별로 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문화재활용축제는 지역 고유의 문화재를 보다 가치 있게 보존하기 위한 활용의 방법으로서 지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효율적으로 문화재를 보존 하는 데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분석결과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화재활용축제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문화재활용축제가 해당지역 공무원들이 문화재에 대한 인식변화를 가져왔으며, 경제적 효과, 관광산업발전효과 등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는 점을 실증조사를 통해 도출했다는 점 또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축제체험과 축제이미지가 방문객의 지각된 가치,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백제문화제를 중심으로

        황요천 우송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03

        근년에 들어 다양한 지역 축제가 많아지면서 축제를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키고 교류를 확대하는 동시에 지역의 이미지를 제고하여 문화적인 관광기회 및 특색 있는 볼거리를 제공함으로써 관광객들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끌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