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제거래 대금결제방식과 금융기관의 소송법상 지위

        허성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1. 연구의 목적 국제거래 규모가 커지면서 당사자들이 직접 거액의 거래대금을 주고받는 것이 어렵게 되고, 국가 간의 물리적 거리 혹은 언어와 제도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국제적으로 공통된 역할을 하는 금융기관이 당사자의 거래대금 결제과정에 필수적으로 개입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금융기관의 기능·역할과 지위도 국제거래과정(특히, 대금결제과정)에서 중요한 축을 담당하게 되었다. 더군다나 결제방식의 다양화·전문화는 단순히 당사자들이 결제방식을 정하고 금융기관에 이용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전문가인 금융기관이 국제거래 유형의 특징을 분석하여 해당 국제거래에 가장 적합한 결제방식을 비전문가인 거래 당사자들에게 추천하고 당사자들은 이를 수용하는 등, 금융기관이 금융전문가로서 실거래 당사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점차적으로 커지는데 기여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무역결제 방식에 대한 연구들은 금융기관이 아닌, ‘결제방식 자체’ 혹은 ‘결제방식을 이용하는 당사자’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을 뿐 금융기관의 결제과정에서의 역할과 지위,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 금융기관의 권한 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으며, 있다고 하더라도 개별적인 결제방식에 대한 연구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금융기관의 실체법상 법적지위가 논의되는 수준에 불과했다. 그러나, 국제거래규모가 커지고 거래종류가 다양해짐으로서 거래대금의 지급과 관련된 분쟁이 발생하는 빈도도 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금융기관의 결제방식의 법적 의미에 대하여 정확히 이해하고, 대금결제와 관련된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 소송법상 금융기관이 어떠한 지위에서 어떠한 권리의무를 갖는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2. 결제방식과 금융기관의 법적 지위 금융기관 송금결제방식에 있어서 거래 당사자들은 거래대금의 수수를 위해 금융기관을 이용하기는 하지만, 이는 금융기관과 각 거래 당사자 간의 사적인 금융계약에 근거한 것으로서 국제거래와 금융기관은 어떠한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따라서, 무역 거래 당사자인 수출상과 수입상이 송금결제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금융기관의 관여는 사실적이고 제한적인 것으로서 국제거래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별다른 법적 의미를 갖지 못하며, 따라서 송금결제와 관련된 소송이 진행중인 경우라고 하더라도, 금융기관은 소송법상 어떠한 지위도 갖지 못한다. 이러한 송금결제 방식은 동시결제 방식이 아닌 경우에는 당사자간의 상업이나 신용위험을 배제 할 수 없기 때문에, 수출상이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금융기관으로 하여금 수입상으로부터 거래대금을 대신하여 추심케하는 추심결제방식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추심결제방식에 있어서 추심금융기관(추심의뢰금융기관)은 송금결제방식과는 달리 수출상의 대리인으로서 적극적으로 수입상으로부터 물품의 대금을 추심할 권한을 갖는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추심결제방식에서 대금의 지급과 관련된 소가 제기되는 경우에도, 금융기관은 금융기관과 수출상이 공동소송의 원고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출상의 수입상을 상대로 거래대금 지급을 구하는 소가 진행 중인 경우라면 수입상에 대한 수출상의 승소를 보조하기 위한 보조참가가 가능하다. 한편, 추심결제방식도 금융기관이 수입상을 대신하여 대금 지급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수입상의 신용상태가 불량하거나 지급불능인 경우 수출상은 대금회수불능의 신용위험을 면할 수 없다. 여기서 수입상의 신용위험을 보완하는 신용장 결제방식이 등장하게 된다. 신용장 결제방식에서는 수입상의 거래금융기관이 수입상을 위하여 조건부 지급확약을 하며, 더 나아가 수입상을 대신하여 상품에 대한 권리가 표창된 선적서류 혹은 환어음과 상환하여 대금을 지급하여 주기도 한다. 따라서, 신용장 결제방식에 있어서는 수출상의 거래금융기관은 수출상의 대리인으로서 수입상의 거래금융기관에 대하여 국제거래 대금의 지급을 청구하고, 수입상의 거래금융기관은 수입상의 보증인이자 수입상의 대리인으로서 서류 심사를 통해 거래대금을 우선적으로 지급하게 된다. 따라서, 수출상의 수입상에 대한 채권과 신용장 발행 금융기관에 대한 채권은 독립된 청구권 이지만 동일한 법률상의 원인에 기하여 발생한 것으로써 신용장발행 금융기관과 수입상은 공동피고가 될 수 있으며, 채권자(수출상 및 추심금융기관)는 신용장 발행금융기관에 먼저 청구해야 하므로, 수출상은 신용장 발행금융기관을 제1피고로 하고, 제1피고에 대한 청구가 인용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수입상을 제2피고로하는 예비적 공동소송을 제기하게 될 것이다. 또한, 신용장발행 금융기관은 수입상에 대한 소송의 결과에 의하여 법률상 이해관계가 있으므로 보조참가를 통해 소송에 참여할 수 있다. 신용장 결제방식은 수출상을 위한 대리인인 금융기관과 수입상을 위한 보증인 겸 대리인인 금융기관이 개입하게 되면서 신용위험과 상업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으나, 신용장이라는 법률문서가 개입하면서 대금결제절차가 복잡해지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었으며, 이러한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팩토링과 포페이팅이 등장하게 되었다. 팩토링과 포페이팅에서는 금융기관이 단순히 당사자의 대리인의 지위에 머무르는 것을 넘어서서 거래 당사자가 가지고 있는 권리를 직접 인수함에 따라 거래 당사자로서의 법적 지위를 취득하게 되었다. 물론, 포페이팅은 신용장이 발행된 상태에서 많이 사용되며 금융기관이 수출상으로부터 매입하는 채권이 어음상 채권인 것에 비하여, 팩토링은 신용장이 없는 경우에, 금융기관이 수출상으로부터 어음상 채권이 아닌 기본 국제거래에서 발생하는 채권을 취득한다는 측면에서 차이가 있지만, 본질적으로 금융기관이 취득하는 지위는 채권양수인으로서 거래 당사자의 법적 지위를 승계함으로써, 거래당사자로서의 지위를 가진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큰 차이가 없다. 따라서, 팩토링 및 포페이팅 결제방식에 있어서 대금의 지급을 둘러싼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 원칙적으로는 수출상과 공동원고가 될 수 없다. 한편, 수출팩터는 수입상의 보증기관인 수입팩터를 제1차 피고로 하고, 수입팩터의 지급거절이 인정되는 경우를 조건으로, 수입상을 제2차 피고로 하는 예비적 공동소송을 제기할 수 있을 것이다.

      • 栽培方式과 養液의 種類에 따른 카네이션(Dianthus caryophyllus L.)의 生長과 開花反應

        손정금 全南大學校 199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양액재배를 이용한 카네이션 절화 재배시 수량 증대 및 고품질 절화의 생산체계의 확립과 생산기간의 단축을 목표로 카네이션 "지지" 품종 (Dianthus caryophyllus L. cv. GiGi)을 공시하여 담액수경(DFT, Deep flow technique)과 박막수경(NFT, Nutrient film technique) 재배방식하에서, 山崎 배양액, Cooper 배양액, 일본 원시균형 배양액, 네델란드 PTG시험장의 카네이션 전용 배양액을 사용하여 재배방식 및 배양액의 종류에 따른 카네이션의 생장과 개화반응을 비교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카네이션 양액재배시 근권온도는 NFT방식에서는 DFT방식 보다 약 4℃ 정도 높게 나타났다. 적정 EC는 2.0∼3.0mS/cm 이었으며, pH는 두 재배방식에서 모두 네델란드 PTG시험장의 카네이션 전용 배양액을 사용했을 때 가장 낮게 나타났고 EC는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정식 88일 후의 초장에 있어서 DFT방식에서 PTG 배양액을 사용했을 때 53.0cm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NFT방식에서는 Cooper 배양액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경경(莖徑)은 NFT방식의 PTG 배양액을 사용하였을 경우 7.2mm로 가장 두꺼웠으며 DFT의 일본원시균형 배양액을 사용하였을 경우 6.1mm로 가장 가늘었다 개화 소요일수에 있어서는 NFT방식에서 PTG 배양액을 사용했을 때 122.3일로 가장 빨리 개화되었으며 DFT방식에서 Cooper 배양액을 사용했을 때 137.5일로 가장 늦게 개화되었다. 또한 카네이션 절화의 화경장은 DFT의 PTG 배양액을 사용하였을 경우 92.4cm로 가장 좋은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카네이션의 양액재배시 NFT 재배방식에서 배양액을 네델란드 PTG 시험장 카네이션 전용 배양액으로 사용했을 때 수확기간의 단축과 고품질 절화의 다수확을 기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재배방식과 배양액에 따른 근권온도 및 pH 그리고 근권의 용존산소의 차이는 양수분 흡수에 지상부 생육 양상을 변화시키므로 재배방식에 따른 배양액관리와 작물별, 생육단계별 배양액 관리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the optimum hydroponic system and nutrient solution for growth and flowering responses of hydroponically grown cut carnation.(Dianthus caryophllus L.) Both DFT(deep flow technique) and NFT(nutrient film technique) systems were employed and, four kinds of nutrient solution, Cooper solution, Yamazaki solution, balanced nutrient solution by Japanese Horticultural Experiment Stati on and PTG solution in the Netherlands were used and compared. Root zone temperature was higher in the NFT system up to 4℃ than that of DFT system. pH was lowest in the PTG solution compared to the other solutions. Plant height was highest in the DFT system in using PTG solution as of 53.0cm on 88 days after transplanting, but the Cooper solution in NFT system plant height was the lowest. Stem diameter was more thickered in the NFT system in the treatment of PTG solution for carnation as of 7.2mm on 88 days after transplanting. Days to flowering was shortened in the PTG solution at NFT system as of 122.3 day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optimum hydroponic system and nutrient solution for cut carnation production were determined as a combination of NFT system and PTG solution. Further trials to the management of nutrient solution by crops and growing stages should be followed.

      • 체육수업에서 교사의 동기부여방식이 중학생의 심리적 욕구만족 및 욕구좌절과 과제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오연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teacher’s motivating style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on middle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psychological needs thwarting and task persist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ough validated impact of each variable on middle school students to prepare the ground for lifelong physical education by forming positive experiences from the satisfaction of psychological needs and to provide teachers with basic data on better physical education classes. About 600 middle school students located in Jeon-nam S city are selected as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data is collected through SPSS 21.0 and AMOS 21.0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of each variable according to gender,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actors. In addition,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than male students in the sub-factors of controlling motivating style and psychological needs thwarting, but male students showed higher value than female students in all other sub-factors.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of each variable according to grade,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actors. In addition, 3rd graders showed higher value than 1st graders in the sub-factors of controlling motivating style and psychological needs thwarting, but 1st graders showed higher value than female students in all other sub-factor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the teacher’s autonomy supportive motivating styl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sub-factors of students’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task persistence. Also, the teacher’s controlling motivating style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ub-factors of students’ psychological needs thwarting.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teacher’s motivating styles on students’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utonomy supportive motivating styl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sub-factors of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teacher’s motivating styles on students’ psychological needs thwarting,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motivating styl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needs thwarting. In addition, controlling motivating styl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sub-factors of psychological needs thwarting.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teacher’s motivating styles on students’ task persistence, autonomy supportive motivating styl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ask persistence. Seven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students’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on task persistence,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ask persistence. In particular, autonomous needs satisfaction has a greater impact than other sub-factors of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Eigh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students’ psychological needs thwarting on task persistence, autonomous needs thwarting and competence needs thwarting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task persistenc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s follows. The teacher’s autonomy supportive motivating style and creating a learning environment can satisfy the psychological needs of the student, which is an internal motivation for physical activities, and can increase the effort to continue to practice the task activities and form a positive experience. This experience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practical attitudes of active participation it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further suggests the necessity in the field of education as it can lead to the continuing physical activities of the future. This study suggests that autonomous suppor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help physical education teachers understand motivational methods and to provide practical and useful information for field applications. 본 연구는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학생이 인식한 교사의 동기부여방식이 심리적 욕구만족 및 욕구좌절과 과제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각 변인 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중학생들에게 심리적 욕구의 만족으로 인한 긍정적인 경험형성을 통해 평생 체육의 발판을 마련하며 교사에게는 더욱 좋은 방식의 체육수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으로 전라남도 S시에 소재한 중학생 약 600명을 선정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AMOS 21.0 version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CFA)을 수행하였고, SPSS 21.0 version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Cronbach’α),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른 각 변인(동기부여방식, 심리적 욕구만족 및 욕구좌절, 과제지속성)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통제적 동기부여방식, 심리적 욕구좌절의 하위요인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이를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각 변인(동기부여방식, 심리적 욕구만족 및 욕구좌절, 과제지속성)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통제적 동기부여방식, 심리적 욕구좌절의 하위요인에서 3학년이 1학년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이를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는 1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 교사의 자율성지지 동기부여방식은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만족의 모든 하위요인과 과제지속성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교사의 통제적 동기부여방식은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좌절의 하위요인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동기부여방식이 학생의 심리적 욕구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 자율성지지 동기부여방식이 심리적 욕구만족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의 동기부여방식이 학생의 심리적 욕구좌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 두 동기부여방식이 모두 심리적 욕구좌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제적 동기부여방식이 심리적 욕구좌절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사의 동기부여방식이 학생의 과제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 자율성지지 동기부여방식이 과제지속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학생의 심리적 욕구만족이 과제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 심리적 욕구만족이 과제지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리적 욕구만족의 하위요인 중 자율성 욕구만족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학생의 심리적 욕구좌절이 과제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 자율성 욕구좌절과 유능성 욕구좌절이 과제지속성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교사의 자율성지지 동기부여방식과 학습 환경 조성은 체육활동에 대한 내적 동기인 학생 내면의 심리적 욕구를 만족시키고, 과제활동을 지속해서 실천하고자 하는 노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긍정적 경험을 형성할 것이다. 이러한 경험은 체육수업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실천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학생들이 미래의 신체 활동 지속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교육현장에서 그 필요성을 더욱 시사한다. 따라서 동기부여방식에 대한 체육 교사의 이해를 돕고, 현장 적용을 위한 실제적이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자율성지지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함을 시사한다.

      • 무역환경 변화에 따른 新무역결제방식의 활용에 관한 연구

        권윤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무역의 과정에서 물품매매계약을 체결하면 매도인과 매수인 사이에는 물품인도와 대금지급의 의무가 발생하게 된다. 전통적으로 신용장 방식, 추심방식, 송금방식 등이 주된 무역 결제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1990년대까지는 신용장방식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1990년대 말부터 지속적으로 하락하였고 현재는 송금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도 및 무역업자의 신용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며, 아울러 무역거래의 결제방식 선택에 있어 신용이 가장 크게 작용하던 예전과 달리 오랫동안 거래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판매·구매자간 신용을 바탕으로 수수료를 아끼려는 경제성과 업무처리의 편리성을 중요하게 여기게 되었기 때문이다. 1990년대부터 PC의 보급과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터넷 사용이 확산되면서 전자무역으로의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전자무역은 인터넷의 사용으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없애고, EDI를 통해 종이문서의 사용을 대폭 줄이는 등 비용을 절감시켰으며, 무역업무의 절차도 간소화시켜 무역의 전 과정을 기존 무역방식에 비해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결과를 이루어 냈다. 우리는 스마트시대라 명명되고 있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스마트시대란 전 산업분야 더 나아가 사회전반에 IT가 활용, 재생산되어 인류 삶의 질을 보다 향상시키는 시대를 가리킨다. 2007년 미국에서 아이폰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부터 전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열풍이 불기 시작했는데, 스마트폰은 PC를 사용할 때 보다 손쉽게 정보검색과 전자 상거래가 가능해, 스마트폰을 활용한 무역에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무역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전통적 무역결제방식과 전자무역 결제방식을 검토하고, 신유형 지급결제방법으로 근래 주목 받고 있는 모바일지갑 서비스, 코드 스캐닝 결제서비스, 서버형 결제서비스, Mobile POS 결제방식의 무역결제로의 활용가능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같은 신유형 지급결제방법은 무역결제 방식으로의 활용에 대하여 그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각국에서 개발되는 모바일 결제기술은 서로 연동 및 제휴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가 간 전자상거래의 활성화로 인하여 소액결제의 경우에는 모바일 지갑결제방식을 활용할 가능성도 함께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국제거래에서 무역결제는 전통적인 결제방식은 물론 소액결제방식까지 매우 다양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가 머리로 생각할 수 있는 만큼 결제방식도 진화 및 구현할 수 있도록 발전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The seller and the buyer have obligations of delivery of goods and settlement of proceeds each other. Letter of credit(L/C), Collection, Remittance are used as the main trade payment methods. Up to the late 1990s, Letter of credit was the largest portion of the trade payment methods, but has decreased continuously since the late 1990s in Korea. The current main trade payment method is the Remittance so we called T/T(telegraphic transfer). There are several reasons in the changing methods of trade payment. First, Korea and korean traders’ credit rating are improved in the global trade transaction. Second, buyer and seller begin to consider economic feasibility and convenience in the payment. Since the 1990s, the Internet has diffused rapidly from the PC penetration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lso, the study of proliferation of electronic trading was also very active. The electronic trading made to eliminate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from using Internet and to reduce the use of paper documents through EDI. Through simplification of trade procedures made trading business more efficient than the existing trading. We live in the era is called smart age. Smart age is described as The era to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life through use of IT. In 2007, after was released iPhone, Smartphone was spread around the world. We can search information more easily through smartphone than use PC, and we can expose more to e-commerce environment. And therefore expectations for the trade to take advantage of smart phones is growing. This study reviewed traditional trade payment methods and electronic trade payment system under the changing of trade circumstances. In addition, this study researched the new type of payment methods such as Mobile wallet services, Code scanning services, Server-type payment services, Mobile POS Payment services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utilization possibility of trade payment from the new type of payment method. The possibility of use new type of payment method in trade is very high.

      • 空調方式에 따른 室內 溫熱環境 評價

        全宰弘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경제발전에 의해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생활양식이 인간의 환경을 중요시하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 대한 요구조건의 수준은 고도화, 정밀화되고 있으며 또한 최소의 비용과 에너지로 쾌적한 실내환경을 충족시키기 위한 요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인간이 생활하는 실내환경에 대한 쾌적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요소(온도, 습도, 기류, 복사온도) 및 인적 요소(착의량, 대사량)인 온열적 환경를 제어하기 위한 공조기술이 필요하다. 인간이 실내에서 생활하는 데 요구되는 쾌적한 조건을 실현하기 위한 기기나 제품 등이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적합한 환경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것이 공조 시스템이다. 공조 방식은 매우 다양하여 각각의 실내 공간에 가장 적합한 공조 방식을 선정하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환경기후실험실을 대상으로 두가지 공조방식인 천정분출 천장배출 공조방식과 바닥분출 바닥배출 공조방식에 의한 실내기류유동에 대한 실험을 통해 실내 온열환경요소를 측정하여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조방식을 검토하여 에너지 절약적이면서 쾌적하고 건강한 실내 환경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 하고자 한다. In this of study, an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hrough model experiment and numerical simulation into the relation between PMV and visibility of flow. The results revealed as follows. 1) During ventilation operating, all of overceiling and underfloor make difference of temperature near inlet/outlet configurations. As the flow becomes more distant from that, it's difference is disappear. 2) In case of underfloor ventilation, Temperature distribution becomes more implicated at the occupied zone. 3) When PMV distribution is considered, the underfloor ventilation is more comfortable. 4) The most of numerical analysis of modeling is distribution of air velocity and temperature that concentrated subject.

      • 민자유치방식에 의한 교육시설 사업에 관한 연구 : 대학교 기숙사를 중심으로

        정승원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경제 수준이 향상될수록 국민의 교육·복지·문화서비스에 대한 요구 수준은 날로 높아진다. 이러한 분야에 양질의 시설을 확충하고 서비스 질을 높이는 일은 복지를 기반으로 지식정보화 사회의 성장잠재력을 높이는 관건이 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현 정부의 재정여건 상 국민요구에 부응한 시설투자가 적절한 시기에 충분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005년 1월에 개정된 민간투자법에서 대상사업의 범위가 학교시설·노인요양시설·문화시설 등의 교육 및 복지관련 9개 생활기반시설을 포함하는 44개시설로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민간투자제도는 경제적 인프라시설 뿐만 아니라 사회적 인프라 시설에도 적용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영국, 일본, 호주와 같은 선진국에서도 민자유치사업(The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대상시설 중 학교시설이 가장 활발히 시행되고 있는데 이는 어느 나라에나 교육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국가 인프라로서 시설노후화와 시설확충에 대한 재정적 수요가 크기 때문인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학생 수와 규모의 증가 등 외형적 팽창에 비해 21세기의 변화하는 상황에 적합한 교육 및 연구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의 주된 원인은 대학이 자체적으로 시설재원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이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새로운 방식이라 할 수 있는 민자유치사업 방식은 지식기반 사회를 창출하는데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대학의 교육환경 개선 즉 시설재원확보 및 운영의 효율성이라는 측면에서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학교시설에 대한 민자유치사업의 경험이나 사례가 적어 실질적인 사업참여에 앞서 민자유치사업과 학교에 대한 이해와 사전검토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자유치사업을 중심으로 교육시설 즉 대학 기숙사 사업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사례연구를 통해 앞으로의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우선 사례 연구를 통해 나타난 문제점은 다른 부문도 많이 있겠지만 참여자 관점의 차이나 사업구조 상의 문제 등의 사업에 대한 문제점과 금리 및 Cash Flow 등을 포함하는 금융문제 그리고 관리비 정산, 수요부족, 감가상각 등을 포함하는 운영에 대한 문제점으로 요약하였고 민자유치방식을 활용한 대학기숙사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민자유치사업에 대한 문제점을 연구했지만 위 사업 방식이 갖고 있는 장점에 비교한다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문제점이므로 앞으로 제도적인 보완을 통하여 문제점들을 보완해 나간다면 사회기반시설의 조기 확충에 적합한 사업방식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The necessity level fort education, welfare and cultural service of the nation is getting higher day by day throughout the world. Expanding good quality facilities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service in this field is a key point in improving the growth potential of knowledge/information literacy society. However, considering the financial condition of our current government, there is not enough investment on facilities to meet our nation's expectations in an appropriate time. In the private investment law that was revised on Jan. 2005, the range of project has been expanded up to 44 facilities including 9 life infrastructure facilities related to education and welfare such as education facilities, the aged convalescence facilities, cultural facilities and etc. Among the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England, Japan and Australia, education facility is the most actively enforced project. As the most fundamental national infrastructure for education in any countries, this is due to high financial demand on facility senescent and expansion. As for our country, compared to the external inflation such a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and size, the education and research facilities are not sufficient enough to meet the changing situation of the 21st century. The main reason for this is due to the lack of a system to secure our own facility source of revenue and organized framework to support this system. However, the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which can be called the new method should perform a big role in improving college education environment, that is, securing facility source of revenue and efficiency of operation. However, as the experience or precedent is less in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for education facilities, understanding and advancing investigation on education is very much needed before substantial participation in this project can begin. So in this research, to study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for college dormitory project mainly by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we sought future plan through studying precedents. The first problem that comes up by studying precedents is the difference in participants view or business structure, financial problem including cash flow and operational problem including administration costs, insufficient demand, depreciation. Although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blems of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these are problems that can be solved compared to the advantages of the above project method. If we deal with these problems through institutional supplement, this method will surely become a suitable project method in early expansion of social infrastructure.

      • 전력설비의 부식방지를 위한 최적효율 방식전류 제어장치 개발

        강용주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기반기술에너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발전플랜트에 사용되고 있는 소화수, 급수, 해수용 배관 그리고 유류 저장조 등 다양한 금속성 자재들이 해수 및 토양과 접하여 지속적 부식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부식 방지용 제어정류기는 일반적인 전압제어형 전기방식 시스템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효율이 낮고 전력소비가 많다는 단점이 있어서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발전 플랜트분야 기자재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저항식 전식 방지장치의 개선으로 수명과 효율을 향상시켜 소비전력 절감과 안정적인 설비의 운영이 될 수 있도록 최적효율 방식전류 제어장치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발전소에 사용되는 지하매설 배관들의 유효수명 유지와 배관 부식으로 인한 누유 예방과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해 현재 사용중인 방식설비의 최적 상태를 추적하고 제어함으로써 전기에너지의 이용효율을 높이고 방식효율을 높여 전기에너지를 절감하고 설비의 수명을 연장하였다. 전류제어형 방식 제어장치는 여러개의 양극을 분산제어하기 위한 다채널 제어장치의 형식을 갖추고 최적의 방식제어를 위한 패턴 및 지능제어 기법을 적용 하였으며 방식의 효율적인 통합관리를 위해 방식전위 계측 및 통신시스템을 개발하여 최적화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시험한 결과 부식방지 시스템의 소비전력은 기존정류기 665W에 비하여 75[W]로 약 590[W]의 소비전력이 감소하였으며 효율은 기존정류기 효율 59.9%에 비하여 94.8%로 약 34.9% 증가하였다 또한 기존정류기와 연구개발 정류기를 168시간 동일조건에서 부식시험한 결과도 각 부식 범위에 일정한 방식전류를 공급하여 부식을 방지하여 Test용 Metral의 평균수명이 1.7배가 연장되었을 확인하였다.

      • 모둠구성방식의 차이에 따른 소집단 협동학습이 초등학생의 영어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신희숙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모둠구성방식의 차이에 따른 소집단 협동학습이 초등학생의 영어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소집단 구성방식의 차이가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과 정의적인 영역,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 향상과 정의적인 영역 및 상호작용의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소집단 구성방식을 찾아보고, 앞으로 성공적인 소집단 협동학습을 위해 지향해야 할 부분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숙달도, 친밀도, 무작위 방식에 따라 모둠을 구성하고 소집단 협동영어쓰기 학습을 할 경우,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영어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언어숙달도, 친밀도, 무작위 방식에 따라 모둠을 구성하고 소집단 협동영어쓰기 학습을 할 경우,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영어쓰기에 대한 정의적인 영역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언어숙달도, 친밀도, 무작위 방식에 따라 모둠을 구성하고 소집단 협동영어쓰기 학습을 할 경우,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성남시 소재 B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세 학급 학생 56명을 대상으로 총 11차시에 걸친 소집단 협동 영어쓰기 학습을 진행하였다. 실험 수업 전 사전 쓰기 평가와 친밀도 검사, 그리고 사전 정의적 영역 검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대상의 사전 쓰기평가 및 친밀도 검사를 통해 소집단을 구성하였다. 언어숙달도에 따라 모둠을 구성한 학급은 사전 쓰기 평가 점수를 기준으로 이수준 소집단으로 편성하고, 친밀도를 배제하기 위해 친밀하다고 하지 않은 학생들과 소집단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친밀도에 따라 모둠을 구성한 학급은 친밀도 검사지를 통해 친밀한 학생들과 함께 소집단을 구성하되, 언어숙달도의 변인을 배제하기 위해 언어숙달도 집단과 마찬가지로 사전 쓰기평가 점수를 기준으로 하여 이수준 소집단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무작위 집단은 매 단원마다 제비뽑기를 통해 언어숙달도나 친밀도의 변인없이 무작위로 소집단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효과적인 소집단 협동학습을 위해 모둠성취분담모형(STAD)을 사용하였고, 소집단 내 발화 분석을 위하여 각 학급 별로 두 개의 초점집단(focus group)을 지정하여 그들의 담화를 녹취하였다. 실험 수업을 모두 마친 뒤에는 사후 쓰기 평가 및 사후 정의적 평가를 실시하여 소집단 구성방식의 차이가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과 정의적인 영역, 그리고 상호작용 여부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로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해 세 집단 모두 영어 쓰기 능력이 향상되었으나, 소집단 구성방식의 차이가 학습자의 영어 쓰기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언어숙달도와 친밀도에 따른 소집단은 정의적인 영역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지만 무작위로 소집단을 구성한 학급은 유의미한 영향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소집단의 상호작용에 있어, 친밀도에 따른 집단이 가장 높은 발화수를 가졌고, 그 다음으로 언어숙달도, 무작위 집단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친밀도 집단과 언어숙달도 집단은 차시가 진행될수록 친밀도가 증가하면서 잡담의 빈도가 높아졌고, 무작위 집단은 줄곧 수업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집단 협동학습이 언어숙달도, 친밀도, 무작위방식에 따라 소집단을 구성할 경우 학습자의 영어실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정의적인 영역에 있어서는 11차시 동안 함께 협동학습을 한 언어숙달도와 친밀도 집단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무작위방식으로 모둠을 구성할 경우에는 학습자들이 긴장감을 갖고 학습할 수 있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갖는다.

      • 마스터 아키텍트(M.A)방식과 BIM 가상 시뮬레이션 기법 적용을 통한 단지 설계방식에 대한 연구

        장경훈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건설프로젝트가 첨단화, 초고층화, 복합화, 가속화됨에 따라 광범위한 정보베이스 구축과 사업비 및 사업기간의 절감 및 단축을 위한 시도가 다각화되고 있다. 특히 급속한 사회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주거단지 개발방식의 도입이 절실해지면서 거시적인 안목에서의 도시개발이 쟁점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단지계획 및 설계는 도시경관과 자연 및 문화 환경의 측면에서 고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 이상 기능에 충실한 기계적 공간이 아닌 매력적인 도시공간 창출과 도시맥락을 공유하는 설계 수법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최근 마스터 아키텍트(Master Architect)방식이 도입되어 조심스럽게 확장 전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마스터 아키텍트 방식은 기존의 단일 계획가에 의해 이루어지던 미시적인 설계를 탈피하고, 콘텍스에 대한 다양한 배려와 주변 시가지와의 조화, 그리고 친환경적인 요소의 도입 등 도시설계 및 건축가의 전문적인 참여를 유도하며, ‘선계획 후개발’ 방식을 지향하는 경향을 띤다. 따라서 이 연구는 마스터 아키텍트의 설계운용 방식에 대해 고찰하고, 이러한 방식을 좀더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기술로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방식을 적용시키는 가능성에 대해 진단하고자 한다. 즉, 단지계획이라는 가상의 공간에서 건물이 건축되는 과정과 완성되는 시기 등을 정확하게 예측하여 이와 관련된 정보와 시행착오를 시물레이션 기법으로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여 MA 방식을 좀 더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MA 설계운영방식은 대부분 평면적으로 이루어져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부터 다양한 의견을 즉각 반영하여 진행시간과 계획상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과 동시에 2000년대에 건축 산업계에 도입되고 있는 BIM방식은 건물의 전생명주기(Life-cycle)동안 생성되는 정보를 통합관리하고 재활용하여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과정이며, 협업체계를 구축하여 최적의 효과를 추구함에 따라 통합설계프로세스의 기반이 되고 있다. 이 연구의 동기와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의 전생명주기(기획, 설계, 시공, 운영)에서 MA 운영방식과 BIM운영방식 적용은 건축물 전생명주기의 정보와 각 생애 단계별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어 MA설계방식이 운용되는 동안 각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다양한 의견과 문제점 등이 효율적으로 반영될 수 있다는데 있어서 관심의 초점이 모아진다. 특히 단지설계에서 MA 설계방식 위애 BIM방식을 도입한다면, 건축물 발주처와 건축 이용자가 추구하는 고품질의 건축물을 완성할 수 있으며 건설분야에서는 단계별, 분야별로 방대한 양의 정보들을 공유하는 동시에 타 분야와의 원활한 협업을 이룰 수 있어 도면상의 불일치, 공기지연 등의 문제점을 줄이고 품질향상과 공기단축을 통해 경제적인 효과를 높이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MA 방식과 BIM 방식의 도입 및 적용을 통해 건물의 전생애, 즉 기획부터 사업시행까지의 단계를 관장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론에 대한 가능성을 진단하고 이를 방법론적으로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