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방송언어로서의 사투리에 대한 방송인과 일반인의 인식도 연구

        임명숙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정보예술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Although there is a stipulation that broadcasting terminology should be the standard language, the brogue in broadcasting programs is still used. In addition, programs inspiring the local feelings or using the accents intentionally often stir up the televiewer's interests with the opening of. the private local broadcasting and the era of local self-government. This study focus on the question that the brogue is inappropriate language in broadcasting programs. To solve the question, we have taken the comparative analysis on consciousness between the broadcaster and the general public through the poll survey. By the survey, we can come to some conclusions. These are the following. First, we have researched the use of brogue with the kinds of programs(namely drama, quiz, news, etc). In the discussion, interview or news programs, broadcasters answered that it is possible to use the accent according to circumstances, while the general public and college students are strict to the use of accent. Also in these kinds of programs, men are more austere to the use of accent than women. In the sports program, the general public and the college students are more generous to the use of accent than the broadcasters. In the drama or show program, the broadcasters working in Seoul are more generous to the use of accent than the those working in Kyoungsang-Nam Do. In the children, discussion, interview or popular song program, the broadcasters working in the department of announcer are more negative to the use of accent than those working in the department of composition, reporting or technology. Second, we have researched the recognition of brogue with the kinds of broadcasting station(namely central, local and cable). In the use of accent of central broadcasting, the broadcasters are more generous than the general public and the college students. Also women are more negative to the use of accent than men. Broadcaters working in Kyoungsang-Nam Do are more austere than those working in Seoul. Third, we have researched the recognition of brogue with the kinds of the person charged with the program(namely announcer, MC, reporter, etc). In the case of announcer and anchor man in news, men are more austere to the use of accent than women. Against our expectation, the general public, the college students and broadcasters working in Kyoungsang-Nam Do are more austere to the use of accent than broadcasters and those working in Seoul. This study have primarily focused on the use of brogue in broadcasting. Through the analysis we can find out the fact that brcacasters and the those working in Seoul are more generous to the use of accent than the general public and those working in Kyoungsang-Nam Do. So the broadcasting terminology can use the brogu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 and the personality of broadcasters, rather than it should be always the standard language. In spite of the limitations of analytic scheme as well as time and space, this study stressed the importance of change of recognition on the broadcasting terminology.

      • 방송언어의 높임법 오용실태에 대한 연구

        박은주 신라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말에서 높임법을 사용하는 것은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게 하는 언어문화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복잡하게 발달한 높임법은 다른 나라에서는 보기 힘든 특성인데 핵가족 사회와 함께 서구에서 들어온 평등 의식으로 점차로 높임법이 간소화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단순한 높임법의 간소화를 지나 실제 언어생활에서 잘못된 높임표현을 사용한다던지 아예 높임표현을 하지 않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그것은 잘못된 것이다. 이러한 잘못된 언어생활의 한 원인으로 방송언어의 오사용을 들 수 있다. 왜냐하면 현대 사회에서 방송이 미치는 영향은 막대하고 그중에서도 방송언어가 국민들의 언어생활에 미치는 영향도 크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언어생활이 방송의 영향력 아래에 놓여있고 방송이 국민의 언어생활에 모범이 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실제 방송언어에서 잘못 사용된 높임표현을 조사함으로써 방송언어의 모습을 정확히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2006년 1월부터 2006년 3월까지 KBS와 SBS의 6개 프로그램을 모니터링 하여 방송언어에서 높임법 사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먼저 조사한 오용사례를 높임법 체계에 따라 여덟 가지 오용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 중에서 남용 사례가 다른 유형에 비해 월등히 많은 상대높임 비격식체 ‘-요’의 사용은 조사 방법을 달리하여 따로 조사 하였고 나머지 일곱 가지 유형을 보자면 반말을 사용하는 경우가 상대높임 ‘요’ 사용을 제외한 전체 오용 사례의 66.9%를 차지하고 있었다. 주체높임선어말어미 ‘시’의 남용이 8.7%, ‘나/저’, ‘우리/저희’, ‘말/말씀’등의 구분이 안 된 체언의 오용이 7.9%,‘가/께서’, ‘에서(한테)/께’ 처럼 조사가 잘못 쓰인 사례가 6.6%였다.주체높임의 용언 ‘있다/계시다’, ‘먹다/드시다(자시다)’의 구분이 잘 안 된 사례가 3.9%이고,‘묻다/여쭈다’, ‘보다/뵙다’처럼 객체높임의 용언이 잘못된 것이 3.4% 차지했다. 마지막으로 주체높임선어말어미 ‘시’가 있어야 함에도 없어 틀린 표현이 2.6%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프로그램 유형별로 방송오용 사례를 조사한 결과 <야심만만>이 전체의 52.9%, 두 번째 순위가 18.4%인 <솔로몬의 선택>이고 세 번째가 <비타민> 10.7%, 네 번째가 9.2%의 <6시 내고향>, 다섯 번째가 6.4%의 <윤도현 러브레터>, 마지막이 2.4%의 <지방선거대기획>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따로 조사한 비격식체 ‘요’의 남용사례는 프로그램별로 1 회분씩 모니터링 하여 전체 문장에서 ‘요’를 사용한 문장이 차지하는 비율을 조사했다. 그 결과 3월 13일자 <야심만만> 90.1%, 1월 1일자 <비타민> 75.5%, 2월 3일자 <솔로몬의 선택> 68.8%,2월3일자 <윤도현의 러브레터> 30.4%, 3월 3일자 <지방선거대기획>은 13.6%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가 우리의 방송 언어를 반성하는 계기가 되어서 방송이 우리말을 바르고 아름답게 사용하여 나아가 국민의 바람직한 언어생활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It plays an important part as language culture that do to form smooth human relations to use honorifics in our language. Intricatily develope honorifics gradually simple that to equality living which is flowed in West Europe with divided families massacre of scholars to be other hard special quality in the other country actuality be. Passing honorific's simplification, Uses wrong honorifics in actuality language lifeor do not honorifics there is occasion that it is wrong. Like this, one cause of language that use wrong is broadcasting language. Because Effect that broadcasting reaches on modern society is huge. and effect that broadcasting language gets in language life of people is huge. In this study, wish to be under big influence of broadcasting in language life and grasp correctly image of broadcasting language that investigates honorifics that is used wrong in actuality broadcasting language under proposition that broadcasting should be shown model in people's language life. This study is interested in relation in honorifics used wrong in actuality language life and wrong honorifics use in broadcasting and I investigated honorifics misuse actual condition on present broadcasting in virtue step for language use using in finally desirable broadcasting. This research for misusages of honorifics in broadcasting language is based on several program, which had been internally conducted by KBS and SBS, dated from January, 2006 to march, 2006. First, Divided misuse example that examine into misuse 8 type by honorifics system. Heare honorifics of '-Yo' describe apart because there are a lot of abuse instances and see remainder 7 type, that use crude language dominates 66.9% of whole misuse example. Subject honorifics 선어말어미 '-Si' dominates 8.7%. And misuses of an uninflected word is 7.9%, and a postpositional word is used wrong is 6.6%. Misuse ofa declinable word of Subject honorifics is 3.9%, anda declinable word of Object honorific is wrong occupied 3.4%. Subject honorifics 선어말어미 '-Si' does not exist it was expose in 2.6%. Next, result that investigate misuse example by program type <being late at night> this whole 52.9% occupy. The second order is 18.4% of <Solomon's selection>, <vitamin> 10.7%, <hometown in 6 o'clock> of 9.2%, <Yundohyeon's love letter> of 6.4% , last appeared by <discussion on locality election> of 2.4%. Finally, for program abuse example of Heare honorifics of '-Yo' by 1 ash by program, I investigated ratio that emblem that use 'Yo' in whole. March 13 <being late at night> 90.1%, January 1 <vitamin> 75.5%, February 3 <Solomon's selection> 68.8%, February 3 <Yundohyeon's love letter> 30.4%, March 3 <discussion on locality election> was expose in 13.6% order. This study want not only to serve as that a momentum that reflect on our broadcasting language but also to suggest the possible way to improve the languages used in broadcasting. Besides broadcasting language contributes to refine korean language for right and beauty.

      • 방송언어의 可聞性 연구

        이정원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방송언어는 음성언어이지만 방송대본을 기초로 하여 방송 프로그램 진행자가 말로 표현하는 것이므로 방송 대본의 가독성(可讀性)은 시청자들이 그 프로그램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교육 수준이 각기 다른 독자들에게 적합한 독서물을 결정할 수 있는 공식을 개발한 가독성 연구자들은 또 방송언어의 가문성(可聞性)을 측정하기 위해 가독성 공식을 이용할 수 있는지를 연구했다. 이 연구 결과는 가독성 공식이 가독성뿐만 아니라 가문성도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우리 나라 방송 프로그램 녹취록의 가문성을 분석하여 시청자들이 이해하기에 적합한 수준인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우리 나라의 방송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방송언어의 가문성은 어느 정도인가? 2.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라서 방송언어의 가문성에 차이가 있는가? 3. 방송 프로그램의 진행자에 따라서 방송언어의 가문성에 차이가 있는가? - 남녀 성별에 따른 가문성에 차이가 있는가? - 진행자가 언어 교육을 받은 전문 MC인지, 아니면 비전문 MC인지에 따라서 가문성에 차이가 있는가? 오늘날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공식으로 알려진 Flesch의 가독성 측정 공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우리 나라 방송 프로그램의 가문성은 다른 대중매체와 비교해 볼 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 흥미 점수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른 가문성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흥미 점수는 연예오락 프로그램이 훨씬 높았다. 셋째, 남녀 진행자에 따른 가문성의 차이도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흥미 점수는 차이가 있었다. 또 언어 교육을 받은 전문 MC와 비전문 MC 사이의 가문성도 큰 차이는 없었으나 흥미 점수의 차이는 있었다. Since the broadcast writing is expressed through the spoken words of a M.C. based upon a scenario, the readability is crucial for the audience in understanding of the program. Readability research originated with education researchers as early as 1888. Readability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develop a quantitative formula that indicates whether written materials are appropriate for audiences with different educational backgrounds. Researchers have also tested the ability of readability formulas to predict "listenability" of broadcast writing - writing read aloud. This research shows that readability formulas predict listenability as well as readability. Considering this fact, this paper analyzes the listenability of the script of the Korean TV program as understood by the general audience. These are the main questions addressed in this paper: 1. How is the listenability of broadcast writings of Korean TVprograms? 2. Is there difference between the listenability of broadcast writings according to the TV program genre? 3. Is there difference of the listenability of broadcast writings according to the M.C.? -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M.C. - The difference between speech trained M.C. and non-speech trained M.C. The results of the paper using the Flesch Reading Ease Formula - one of the most widely used readability formulas - are as follows: First, the listenability as well as the Human Interest of the Korean TV programs was high compared to the listenability of other mass media. Secon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listenability according to TV program genre, but the entertainment program had much higher Human Interest than the cultural programs. Thir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of listenability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M.C., but some difference of Human Interest. As for the difference between M.C. with speech training and M.C. without speech training, there was also little differenc of listenability, but some difference of Human Interest.

      • 남북한 방송언어의 비교 연구 : 스포츠 중계 방송을 중심으로

        손범규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통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그 관심은 남북한의 정치와 경제, 사회체제의 차이에 대한 연구와 함께 단일 민족의 단일 언어인 우리말에 대한 동질성회복으로 이어진다. 분단 이후 60 여 년 동안 남한과 북한은 언어정책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남한이 말의 자율적 흐름을 중요시하는 관용적 정책을 택한 반면에 북한은 주체사상을 언어에 유착시키는 인위적이고 처방적인 정책을 실시했다. 따라서 오늘날 남북한간의 언어 차이는 발음, 어휘, 의미, 어법, 맞춤법, 문체 등 여러 면에서 나타난다. 이런 이질화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언어 이질화 현상을 깊이 있게 비교, 연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남북한의 언어통일과 표준화 대책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방송은 언어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전문적으로 훈련된 방송인의 방송언어는 언어의 원칙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지만 일반인이 방송에서 사용하는 방송언어는 언중의 잘못된 언어사용에 큰 영향을 준다. 따라서 남북한의 언어연구는 방송언어에 대한 폭넓은 고찰이 필요하며, 특히 북한의 방송언어는 사상의 강화와 체제의 유지라는 목적에서 그 개념이 변질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남북한의 방송 중에서 스포츠 중계 방송을 중심으로 남북한의 방송언어를 비교하면서 연구하였다. 또한 스포츠와 방송의 관계, 남북한 스포츠 중계 방송의 역사와 현황을 시대의 흐름에 맞춰 고찰하였으며 스포츠중계 방송언어를 사용하는 스포츠캐스터의 역할과 스포츠캐스터가 갖춰야 할 조건에 대해서도 살펴봤다. 이와 함께 방송언어의 모체가 되는 일상언어는 북한의 규범문법인 문화어를 개괄적으로 고찰했으며, 남한의 경우는 표준어를 연구기준으로 삼았다. 또 방송언어를 메시지로 전달하는 남북한 방송의 기능과 방송정책을 연구하였다. 연구에서 나타난 남북한 방송언어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형태적 특징 남북한 방송언어의 형태적 특징에서 가장 이질화된 요소는 경어법의 사용이다. 남한의 방송은 시청자중심의 경어를 사용하는데, 북한의 방송은 시청자에 대한 경어의 원칙이 없으며 경어가 사용될 때는 그들의 지도자에 대한 호칭에서 뿐이다. 또 ‘들’, ‘-적’과 같은 접미사의 사용도 남북한간에 차이를 보인다. 북한방송은 중국문화의 영향과 사상적 이유로 남한 방송보다 접미사 ‘들’과 ‘-적’을 더 많이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문체의 차이를 들 수 있다. 남한의 방송은 구어체의 준말형식을 자주 사용하지만 북한 방송은 문어체의 본디말을 주로 사용한다. 2) 어휘적 특징 남북한의 방송을 보면서 이질화를 가장 크게 느끼는 분야가 어휘이다. 전체적으로 문장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나 단어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는 별로 없다. 하지만 남한과 북한의 어휘 표현이 달라서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와 외래어의 표기가 다른 어휘, 고유어를 외래어로 바꾸면서 이질화된 어휘의 차이가 있다. 3) 발음적 특징 남한과 북한의 방송언어의 발음적 특징에서 장단음의 잘못된 사용은 모두 나타난다. 이는 우리말 표기의 규범성이 무너지고 표준발음을 사정하지 못한 데 그 원인이 있다. 이런 공통의 잘못된 사용가운데서도 북한은 특히 단음을 장음으로 발음하는 현상이 두드러진다. 경음화현상도 남북한의 방송언어에서 자주 나타난다. 경음화가 규정된 어휘외에 나타나는 경우는 뜻을 확실히 전달하고 음가를 강조하기 위해서인데 북한에서는 방언의 영향과 자극적이고 선동적인 분위기의 조성을 위해서 경음화현상이 일어난다. 두음법칙의 사용은 남북한 방송언어에서 차이를 보인다. 남한의 방송언어가 비교적 두음법칙을 잘 준수하는데 반해 북한에서는 잘 지켜지지 않는다. 4) 화법적 특징 화법은 듣는 사람에게 어떤 지식이나 의견, 감정 등을 올바르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다. 남한 방송에서는 방송언어 본연의 특성과 조건에 따라 화법적인 전달이 이뤄진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여기에 순수한 언어적 능력만이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당성, 노동성, 인민성이 철저히 구현되므로 전투적인 용어가 많이 나온다. 방송언어 중에서 스포츠 중계 방송언어는 가장 빠른 언어의 속도를 나타낸다. 남한과 북한 방송의 비교에서는 북한의 스포츠 중계 방송이 언어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서 남한보다 대체적으로 느린 속도를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남북한 방송언어의 기본 문법 구조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지만 형태, 어휘, 발음, 화법 등에서 남북한의 언어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격차는 이념과 체제의 차이, 인위적으로 만든 문화어를 비롯한 북한의 언어정책, 개인우상화에 따른 언어의 왜곡에서 기인한다. Recently, people are more concerned about the national unification. Accordingly, more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the differences of two Koreas'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as well as the recovery of the linguistic homogeneity. For the last six decades after the national division, two Korean have adopted different language policies. While South Korea has adopted some programmatic language policy emphasizing the autonomous development of the language, North Korea has relied on an artificial and prescriptive linguistic policy combining their Juche (self-reliant) thought and language. Accordingly, two Korean have come to have different pronunciations, vocabularies, meanings, grammars, spellings and styles. In order to surmount such a linguistic heterogeneity between two Koreas, it is essential to comparatively study the linguistic heterogeneity in depth and thereupon, arrange linguistic unification standards. Broadcasting affect the language much. The journalist who have been trained in their use of language in a professional way tend not to depart much from the linguistic principles, but ordinary people's talks broadcast may distort the development of language.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ifference of broadcasting language between two Koreas, and in particular,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North Korea's broadcasting language has deteriorated due to the intensification of their ideology and maintenance of their system.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comparatively studying two Koreas' broadcasting languages centering about the sports relay broadcasting languages. To this end, relationship between sports and broadcasting, history and conditions of two Koreas' sports relay broadcasting were reviewed, and thereupon, roles and qualifications of the sports casters using the sports relay broadcasting languages were discussed. In addition, since the ordinary language may be a base for the broadcasting language, North Korea's normal grammar or "cultural language" was reviewed in reference to South Korea's standard language. Besides, functions and policies of two Koreas' broadcasting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messages broadcast. The differences of broadcasting languag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ormative characteristics The most heterogeneous formative elemen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broadcasting language is use of polite expressions. While South Korea's broadcasting language uses televiewer-centered polite expressions, North Korea's broadcasting language has no principle for polite expressions for televiewers. They only use the polite expression for their leader. In addition, there are differences of such suffixes as plural 's' or 'wise' between two Koreas. North Korean broadcasting language use 's' and 'wise' more frequently than South Korean broadcasting language due to the influence from China. Lastly, there are differences of language styles between two Koreas. South Korean broadcasting frequently use the colloquial abbreviations, while North Korean broadcasting use the original literary styles primarily. 2) Characteristics related to vocabulary The most heterogeneous element between two Koreas' broadcasting languages involves vocabulary. In overall terms, South Koreans may well understand North Korea's sentences. However, there are great differences of vocabularies between two Koreas, while foreign languages are differently spelled. Such differences may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original vocabularies are differently replaced with their foreign counterparts. 3) Characteristics of pronunciations Both in two Koreas' broadcasting, the long and short sounds are mistakenly used, because the norms of spelling was discarded without a standard pronunciation set. In particular, North Korean broadcasters pronounce the short sound as long. On the other hand, the fortised phenomena are frequently heard in both Koreas' broadcasting languages. Many other words than specified for fortis are also fortised in order to delay their meaning clearly and emphasize their phonetic values. North Korean broadcasting language features more fortises than South Korean counterpart partly due to the influence from their dialects and partly due to their scheme of propaganda. There are differences of the initial sound principle between two Koreas' broadcasting languages. South Korean broadcasting does well keep the initial sound principle, while North Korean broadcasting does not well keep the principle. 4) Narrative characteristics Narration serves to correctly and effectively delay a certain knowledge, opinion and sentiment to others. South Korean broadcasting keeps the narration due to its sense of mission as public journalism. However, North Korean broadcasting does not rely on narration faithfully, but uses the narratives related with loyalty to the party, proletariat dictatorship, people's democracy and revolutionary war. Among the broadcasting languages, the sports relay broadcasting language is most speedy. North Korea's sports relay broadcasting language tends to be slower than South Korea's counterpart in order to be more authoritative.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re is no peculiar difference of the basic grammar structure of the broadcasting langauge between two Koreas, but that there are great differences of forms, vocabularies, pronunciation and narration between two Koreas' broadcasting languages due to difference of ideologies and systems, North Korea's artificial language policy, and misuse of the language for personal idolization.

      • 放送言語의 西歐 借用語 考察

        전지연 강원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고는 放送에서 널리 使用되고 있는 西歐 借用語를 다양한 觀點에서 考察하였다. 먼저 방송에서 사용되고 있는 서구 차용어의 時期別 특징과 分野別 특징을 살펴보았다. 시기별 분석은 프로그램 제목의 서구 차용어 사용 비율을 把握하였고, 분야별 분석은 5가지로 細分한 프로그램의 내용을 점검․조사하여 사용 비율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階層間 疏通을 斷絶시키는 서구 차용어의 사용 원인과 媒體를 통한 波及力, 國語學的 意味를 살펴보았다. 먼저 방송의 서구 차용어 사용 이유를 社會言語學的, 저널리즘적, 國語學的 觀點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社會言語學的 분석에서는 방송언어가 언어의 敎師로서 더 이상 敎科書的인 역할을 하지 않게 되면서 방송언어의 位相이 달라진 점을 다루었다. 또 TV 시청의 이유가 娛樂의 기능이 강화 되면서 방송언어의 許容 範圍까지 넓혀주었다. 이를 계기로 방송언어에 서구 차용어가 대거 流入되었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그리고 방송의 趨勢가 實生活 중심이 되면서 일반인들의 현실언어가 그대로 방송에 露出되는 기회가 잦아지고, 그에 따라 서구 차용의 쓰임이 擴大되었다. 여기에 제작자는 視聽率을 의식해 시청자의 嗜好에 맞는 방송을 만들게 된 것도 방송에 서구 차용어 사용이 增加하게 된 중요한 이유로 작용하였다. 저널리즘적 관점에서 媒體가 가지는 權力으로 인해 매체에서 選擇한 언어 역시 意圖的이든 非意圖的이든 그 권력을 뒷받침하게 된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저널리즘에서 서구 차용어는 사용하는 주체에게 疏通의 권력, 이미지의 권력, 命名의 권력, 이데올로기의 권력이 있다. 주체에게 선택된 차용어는 선택된 목적에 따라 ‘소통과 소외, 지적이고 세련된 이미지 구현, 명명할 수 있는 힘, 패러다임 구성’ 등의 힘을 갖는다. 이는 방송언어가 갖춰야 할 公正性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방적인 便宜를 위해 선택받은 차용어, 선택한 쪽에게만 유리한 차용어,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차용어, 성역할을 나누고 계급을 구분 짓는 차용어, 認識의 體系를 規定해 버리는 차용어가 바로 그것이다. 國語學的 측면에서 차용어는 意味論的인 관점에 비중을 두고 살펴보았다. 차용어는 대부분 차용되는 目的에 따라서 의미 영역이 변하게 된다. 즉, 威勢的 동기, 新語 필요에 의한 동기, 婉曲 표현에 의한 동기, 意味場 완성의 동기, 意味 辨別의 동기, 擴大 使用의 동기에 따라 의미 영역이 縮小, 擴大, 轉移 된다는 것이다. 이는 意味 領域의 결과만 다루었던 기존의 논의들과 區分되는 동시에 차용 原因인 그 動機에 따라 어떤 의미 변화를 겪는지 豫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本稿는 방송언어의 서구 차용어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방송언어에서 남용되고 있는 서구 차용어에 대한 국어 화자들의 裏面을 살펴보았다. 또한 차용어 사용으로 국어의 모습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차용어가 방송언어와 국어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과정에서 방송언어의 서구 차용어 남용에는 국어 화자들의 歪曲된 言語觀이 자리하고 있으며, 이는 영어를 筆頭로 하는 서구 차용어에 대해 過大評價하고 오히려 더 勸獎하는 사회 분위기가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왜곡된 언어관을 바로잡기 위해서 國語敎育뿐만 아니라, 公共財를 사용하는 방송언어도 그 책임을 다해야 할 것이다. 본고는 방송언어에서 사용하는 서구 차용어의 분석을 통해 앞으로 우리 국어가 가야할 방향을 가늠해 보았다.

      • 방송언어의 호칭어 사용 양상 연구

        강 주영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방송언어에 쓰인 호칭어를 분석하여 그 사용 양상과 특성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화자와 청자 간의 위치 관계와 거리 관계로 호칭어를 분류하고, 방송언어에서 조사 된 사례 분석과 통계 분석을 통해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호칭어의 품사 유형별, 개념적 유형별, 방송 프로그램 유형별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호칭어의 품사별 유형을 크게 명사형, 대명사형, 감탄사형으로 분류하고 명사형은 다시 이름 호칭어, 직함 호칭어, 친족 호칭어, 일반명사 호칭어로 나누었다. 명사형 중에서 이름 호칭어가 가장 많이 쓰이며 이름 호칭어 사용 비율은 ‘이름+접미사’, ‘이름’ 단독형, ‘이름+조사’, ‘별명’, ‘이름+일반명사’ 순으로 나타난다. ‘이름+접미사’ 형태가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방송의 공영성으로 인한 높임의 접미사 ‘-님’ 또는 ‘-씨’의 사용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름’ 단독형은 상대방의 주의를 환기 시킬 때 사용되고 거리감을 나타낼 수 있어 일반적으로는 많이 쓰이지 않지만, 예능 프로그램에서는 출연자 소개 등의 이유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직함 호칭어는 ‘이름+직함’ 형태가 많이 쓰이고 드라마에서는 ‘직함’ 단독형도 많이 나타난다. 친족 호칭어는 대용친족어가 친족어보다 더 많은 사용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사회 구조가 핵가족 형태로 변모하면서 가족 단위에서 부를 수 있는 친족 호칭어가 줄어들고, 화자와 청자 사이의 사회적 관계에서 성립된 대용친족어가 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반명사형 호칭어는 ‘사모님, 선배님, 어르신, 부인, 막내, 가시나, 여편네, 마누라’ 등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그 쓰임은 적은 편이다. 대명사형 호칭어는 드라마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전체 사용 비율은 ‘너> 여러분> 당신> 자기(야)> 자네> 이놈(아)> 이자식(아)’ 순으로 나타난다. ‘너’는 [±친밀]의 경우 모두 사용 가능하며 ‘이름’과 공기 관계를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사용 비율이 가장 높다. 일상 언어에서 많이 사용하지 않는 ‘여러분’은 주로 보도 프로그램에서 앵커가 시청자에게, 예능 프로그램의 진행자가 출연자나 시청자에게 많이 사용하고 있어 높은 사용 비율을 보인다. 감탄사형 호칭어에는 ‘야, 여보, 여보세요, 저기요, 인마, 이봐(요), 얘(야/들아), 아가(야)’가 있고, 이밖에 ‘계세요’와 ‘잠깐만요’도 호칭어로 쓰이고 있다. 상대의 주의를 화자 쪽으로 환기하는 기능이 있는 이들 호칭어는 서로의 관계 설정이 불분명하거나 낯선 관계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호칭어로 그 쓰임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호칭어는 개념적으로 처음부터 호칭어로만 사용되는 본래적 호칭어와 지칭어가 호칭어로 전용되어 사용되는 전용적 호칭어로 나눌 수 있다. 본래적 호칭어는 감탄사형만 나타나고, 전용적 호칭어는 명사형, 대명사형, 감탄사형 모두 나타난다. 전용적 호칭어 중에서 호격조사 ‘아/야/여’와 결합하는 유표적 호칭어는 명사형 중에 이름, 친족, 일반명사 그리고 대명사형과 감탄사형에 쓰이고, 무표적 호칭어는 모든 형태의 호칭어에 나타난다. 방송언어에 쓰인 호칭어는 대부분 무표적 호칭어이며, 전체 사용 비율은 ‘전용적/무표적 호칭어> 본래적 호칭어> 전용적/유표적 호칭어’ 순이다. 방송 프로그램 유형별 분석 결과는, 보도 프로그램에 나타난 호칭어 대부분이 동료 관계나 사회 관계에서 쓰이고, 시사 교양 프로그램은 사회 관계에서 나타난 호칭어가 가장 많이 나타난다. 예능 프로그램은 동료 관계의 호칭어가 가장 많으며 드라마는 가족, 친구, 동료, 사회 관계의 호칭어가 두루 쓰이고 있다. 이러한 방송언어에 나타난 호칭어 사용 양상을 보면 다양한 위치 관계의 호칭어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표준 화법’에서는 가족 관계에서 쓰이는 호칭어를 주로 다루고 있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복잡하고 규정짓기 어려운 한국어의 호칭어 체계를 제한적인 방송언어 자료 분석을 통해 이와 같은 결과를 제시한다는 것이 조심스러운 일이 될 수 있겠으나, 호칭어 연구가 지금까지 개념 정의나 특정 호칭어 형태의 기술에만 초점이 맞추어진 점을 볼 때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방송 매체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방송 매체의 가장 중요한 전달수단인 방송언어가 우리의 일상 언어생활에 미치는 영향도 그만큼 커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를 통해 다룬 방송언어의 호칭어 연구는 호칭어가 나타나는 문맥 속에서 다양한 사회적 현상을 살필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그동안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던 방송언어를 중심으로 분석하면서 장기적인 연구 대상 자료 확보가 필수적임을 확인하고, 자료 분석과 통계에 의존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설문과 면접 조사 등 사회언어학의 다양한 연구 방법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과제를 갖고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address terms used in broadcasting languages and clarify the usage and features of them. For this, we classify the address terms into location relation and distance rel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and understands the features for each type through analysis of examples researched in broadcasting language and statistical analysis. To summarize the analysis results for each type of address term in part of the grammar type, conceptual type, program type is as follows: First, we can classify the grammar type of address terms as nouns, pronouns, exclamations. The noun form can be sub-divided into name, title of a position, kin, general noun. The name form is most used amongst noun types and the usage of name form is ordered from most used to least used; ‘Name+suffix’, ‘Name’ independently, ‘Name+particle’, ‘nickname’, ‘Name+general noun’. The ‘Name+suffix’ form is used most because due to the publicity of broadcasting, the respect suffix ‘-nim’ or ‘-ssi’ was used a lot. ‘Name’ independent form is used a lot due to the introduction of entertainers in an entertainment program. As for title terms of address, the ‘Name+title’ form is used frequently and in dramas independent forms of ‘title’ often appears. In kin terms of address, substitute kin address terms are more frequently used than kinship address terms. This can be seen due to the fact that kinship address terms that are called in family units have decreased, while the substitute kin address terms that are established in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have increased. The general noun form is relatively less used compared to the variety of forms. The usage rate of pronoun form is ordered from most to least used ‘Neo> Yeoroboon> Dangshin> Jagi(ya)> Jane> Inom(a)> Ijashik(a)’. ‘Neo’ can [±solidarity] be used by all and is used most because it forms appear with ‘Name’. ‘Yeoroboon’ is frequently used by news program or entertainment program hosts to the actors or guests, so it shows a high usage rate. In exclamation form, there is ‘ya, yeobo, yeoboseyo, jeogiyo, inma, ibwa(yo), yae(ya/dula), aga(ya)’ and ‘gyeseyo’, ‘jamkkanmanyo’ is also used as a address terms. Second, if we classify address terms as conceptual forms, we can divide it into the original address term and the diverted address term, where the designation is diverted and used as an address term. The original address term only appears in exclamation forms. The diverted address term is used in all noun forms, pronoun forms, exclamation forms. Amongst diverted address terms, the marked address term which combines with the vocative ‘a/ya/yeo’ is used in name, kin, general noun and pronoun form, exclamation form. The unmarked address terms appear in all types of address terms. Third, in the analysis result of each program type, most of the address terms that appear on news programs are used in peer relations or social relations. In social issue programs address terms that appear in social relations mostly appear. In entertainment programs, address terms within peer relations appear the most and in dramas, address terms of family, friends, peers, social relations are widely used.

      • 방송언어의 비표준어 사용 양상 연구 : 케이블채널 tvN 드라마, 예능에서의 음성표현과 자막을 중심으로

        김현영 세종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고에서는 국내 방송의 유료채널 등장 이후, 방송 출연자의 비표준어 사용 양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특히 방송환경의 변화에 따라 지상파와 케이블채널의 TV 드라마, 그리고 오락예능 프로그램에서 출연자의 비표준어사용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피고, 장르별 사용유형과 방송언어로서의 비표준어 기능과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분석대상은 시청률과 화제성을 고려해 2015년 tvN에서 방영된 드라마 <응답하라 1994>, <응답하라 1998>과 예능프로그램으로는 <삼시세끼-어촌편 1>, <삼시세끼-어촌편 2>를 대상으로 출연자의 음성표현과 자막표현을 중심으로 비표준어 사용 양상을 분석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본고에서는 크게 다섯가지 연구문제를 해결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첫째. 드라마와 예능프로그램의 비표준어 사용 빈도와 유형은 어떠한가? 둘째. 드라마 음성표현과 예능프로그램 자막의 비표준어 유형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드라마와 예능프로그램의 장르별 비표준어의 차이점은 어떠한가? 넷째. 방송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비표준어에 대한 영향과 시청자 인식은 어떠한가? 다섯째. 방송언어로서 비표준어의 다양한 기능은 무엇인가? 이상 언급한 문제에 대한 연구결과, 케이블채널 tvN에서 방영된 드라마와 예능프로그램에서의 비표준어 사용이 예상보다 많았다. 드라마와 예능프로그램의 장르별 비표준어는 장르가 다른 만큼 많은 차이를 보였다. 드라마 음성표현에 나타난 비표준어 유형별로는 비속어〉은어〉신조어〉기타, 폭력적 표현 순으로 많은 횟수를 기록했는데 음성표현에서는 비속어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예능프로그램의 자막 언어표현은 통신언어와 신조어, 은어 사용이 두드러지게 많았으며 비속어는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되었다. 자막에서 표현된 비표준어 유형의 사용빈도는 드라마 장르와는 비교되는 부분이다. 드라마와 예능프로그램의 장르별 비표준어는 장르가 다른 만큼 많은 차이를 보였다. 비표준어와 폭력적 언어사용, 사투리 비중이 예능프로그램보다 드라마 장르에서 훨씬 많이 나타났다. 방송과 일상에서 비속어, 비표준어 등이 지속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이러한 표현의 성과가 시청률과 연동된다는 기대 때문에 제작진의 의도는 없는지 연계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제작자 인터뷰와 함께 방송 드라마와 예능프로그램을 즐겨보는 시청자를 대상으로 비표준어에 대한 인식조사를 하였다. 방송프로그램의 비표준어 사용에 대한 의견으로는 비표준어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현실감이 느껴져 재미있다는 반응이 많았다. 미디어 발달로 인해 사회구조와 방송환경이 다양한 모습으로 변하고 있으며, 방송과 일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언어 역시 다채롭게 변하고 있다. 특히 드라마에서는 인물을 구축하기 위해 비속어나 은어가 자주 사용되는데 <응답하라 1994>와 <응답하라 1988>에서 사용된 사투리와 비속어들은 인물의 캐릭터를 구축하는 데 아주 큰 역할을 했다. 비표준어를 통해 배우들은 극 속 인물의 성격을 좀 더 밀도 있고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었다. 예능프로그램에서 인터넷 이용자들이 사용하는 통신언어를 자막화한 것은 현장감과 구체적인 생동감을 준다는 장점을 갖는다. 첫 번째 축약형태의 단어자막을 사용함으로써 간결한 재미를 주는 기능을 한다. 두 번째 의성어, 의태어를 사용한 자막들이 많은데, 자막에서 사소한 소리까지 다양하게 표현함으로써 재미를 더하고 출연자의 행동이나 몸짓에 의태어가 합쳐져서 웃음을 더욱 극대화 하는 기능도 한다. 세 번째 의인화와 문장부호의 함축적 표현을 들 수 있다. 최근 방송에서 비표준어가 어느 정도 어떤 형태로 사용되고 있는지 지상파와 케이블 채널의 드라마, 그리고 예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살폈다. 아울러 비표준어 사용빈도와 양상을 연구함으로써 현재 문제로만 지적되고 있는 비표준어에 대한 긍정적인 기능과 다양한 쓰임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시청자들이 원하는 재미와 유익함을 줄 수 있는 방송 제작을 위해 방송언어 규범에 대한 합리적인 기준과 올바른 언어사용 범위를 가늠할 수 있었다. 이에 따른 결과로, 방송에서 비표준어 사용에 대한 규제와 적절한 수위조절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래서 방송프로그램별 비표준어 사용 등급분류 모델을 제시하였다. 요컨대 방송언어에 대한 기준표를 두고 비표준어의 구분을 구체화한다면 프로그램 제작자는 자신이 생산한 콘텐츠의 언어 선정성, 폭력성, 유해성 정도를 1차적으로 자발적 등급 체크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규제자는 프로그램 전체에서 비표준어가 어느 정도 사용되었는지, 방송 장르의 특성에 따라 성인, 청소년 등 연령대를 고려하여 언어유해성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관리 감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언어등급 분류의 기준이 마련된다면 방송언어 사용의 올바른 방향과 진로 설정을 위한 학술적 토대가 마련될 것이다.

      • 방송언어의 사용실태와 지도방안 연구

        김윤영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Nowadays, the hours that the youth spend using the mass media are rapidly increasing. The media such as TV, the radio, and the Internet are easy to approach and are highly valuable because one can attain various forms of data like movies, graphics, or pictures. However, there are frequent erroneous use of media language in broadcasting.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 entertainment program on the air, find out the cases of wrong use of language, and apply them to the practical teaching. First of all, chapter Ⅱ examines theoretically the broadcasting language, then reviews its concept and features, those of the erroneous broadcasting language use, the teaching theor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broadcasting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Ⅲ provides the analysis results of eight misuses in MBC's currently showing program, 'Muhandogeon' (Infinite Challenge). Chapter Ⅳ points out the problems in connection with a relevant unit based on the analyzed data, and suggests an applicable teaching method. The objects of the case study in chapter Ⅲ are the eight episodes of the program that were broadcasted from January 6th to February 24th in 2007, and are categorized into (1) a foreign language, (2) jargons, fad words, and slang, (3) spacing words, and (4) phonemes. A foreign language is classified into cases of the natural code-switching and of ambiguous language use. This classification is less specific than that of other categories because the criterion is quite subjective. In case of jargons, fad words, and slang, this thesis suggests the most frequent usages during the research period since they carry opportuneness. Spacing words is on the basis of the subtitles in the program. Given its major proportion among other types of misuse, it needs to be corrected promptly. Phonemic problems come last due to the rare cases of mispronunciation, and an appropriate teaching method is presented focusing on front vowel assimilation or dissimilation which are not dealt with in the existing textbooks. Chapter Ⅳ suggests a teaching method that adopts inquiry learning model: goal setting → basic learning → inquiry learning → in-depth learning → evaluation, and adjust the teach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respective linguistic features. The foreign language category focuses on the lessons that are planned to refine the problems, then it presents an instruction on the proper TV watching attitudes. First, after reviewing the concepts of jargons, fad words, and slang, encourage learners to find out those in 'Muhandogeon', check their own language through individual learning rather than group work. In the end, let them watch TV with a critical view and correct their previous uncritical reception of the broadcasting language. For spacing words, an instruction on the concepts of each part of speech are done first, followed by students' rule acquisition of spacing words. Have them find out the examples of misuse of language, and provide them with the revision activities and a lesson on TV watching attitudes at last. As for the phonemic problems, concept learning of front vowel dissimilation, searching the examples of misuse, an attitudial lesson are implemented in order. Hopefully, this study leads to a lesson that help the youth who used to uncritically accept the broadcasting language, to be aware of the misuse of language through their critical eyes. 현재 청소년들의 매체이용시간은 급증하고 있다. TV나 라디오, 인터넷 등의 매체는 정보에 접근하기 쉽고, 동영상, 그래픽, 사진 등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이용가치가 매우 높다. 그러나 이러한 매체들 중에는 잘못된 언어사용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방영되고 있는 오락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오용 사례를 찾아내고 현장 교육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제2장에서는 방송언어와 국어교육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방송언어와 언어적 오류의 문제, 방송언어와 국어교육의 상호 관련성,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방송언어 교육내용을 살펴본다. 그리고 제3장에서는 현재 MBC에서 방송되고 있는 ‘무한도전’프로그램 중 8회에 걸쳐 오용사례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앞서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교과서의 해당 단원을 찾아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활용한 지도방안을 제시했다. 제3장의 사례연구는 2007년 1월 6일부터 2월 24일까지 총8편의 분량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 외국어, 2, 은어, 유행어, 비속어 3. 띄어쓰기, 4. 음운의 문제로 범주화하였다. 외국어의 문제는 외국어를 자연스럽게 우리말과 섞어 쓰는 경우와 무슨 뜻인지 바로 파악하기 힘든 외국어를 사용하는 경우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구분이 다분히 주관적이므로 다른 분류처럼 자세히 하지 않았다. 은어, 유행어, 비속어의 문제는 시의성(時宜性)을 띠므로 조사 시기에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는 경우를 제시하였다. 띄어쓰기의 문제는 자막에 의한 것이다. 띄어쓰기가 오용 사례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아, 이를 조속히 수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음운의 문제는 잘못 발음하는 사례가 극히 드물어 가장 뒤에 배치하고, 그 중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제시되지 않는 전설모음화 현상이나 이화현상에 초점을 맞추어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의 지도방안은 탐구 학습의 방법을 도입하여 제시하였다. 목표 설정→기본 학습→탐구 학습→발전 학습→평가의 단계를 따랐으며, 각 언어의 특성에 맞게 교육내용을 조정하였다. 외국어의 문제에서는 이를 순화하는 수업에 초점을 맞추고, TV를 바르게 보는 태도에 관한 수업을 제시한다. 은어와 유행어, 비속어는 개념을 살펴본 후, ‘무한도전’을 시청하며 이들을 찾아낸다. 그리고 모둠별 수업보다는 개별학습을 통해 자신이 쓰는 용어를 스스로 점검하게 한다. 그리고 학습자 스스로 이들 용어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TV시청에 관한 비판적인 태도를 길러 방송언어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습관을 고치도록 한다. 띄어쓰기는 각 품사에 관한 개념을 습득한 후, 이에 관한 띄어쓰기 규정을 학습한다. ‘무한도전’을 활용하여 오용 사례를 찾고 이를 바르게 고치는 활동이 진행되며 마지막은 역시 TV시청에 관한 태도 수업을 한다. 음운의 문제는 전설모음화와 이화현상에 관한 개념학습이 이루어진 후 오용 사례를 찾고, 태도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매체 언어를 무조건 옳은 것으로 받아들이는 청소년들이 매체의 언어 오용에 대해 깨닫고 이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수업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 放送 廣告 言語가 靑少年의 言語 生活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 高等學生의 TV 廣告 카피 模倣 使用 行態를 中心으로

        정보산 東亞大學校 言論弘報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86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V Commercial Copy on the language life of adolescent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e following 5 subjects of study and 4 hypotheses were established. [Subject 1] Which consciousness and attitude for TV commercial copy do adolescents have? H1 : When adolescents watch an interesting copy on TV they feel like using it in daily life. H2 : When adolescents use commercial copy in daily life, they think that they are leading the vogue of that time. H3 : Generally, adolescents think that commercial copy is suitable for their sense. H4 : Generally adolescents think that commercial copy is interesting. [Subject 2] Which commercial copy do adolescents use most frequently in daily life? [Subject 3] How often do adolescents use commercial copy in daily life? [Subject 4] Why do adolescents use commercial copy in daily life? [Subject 5] Under which situation and in what form do adolescents use commercial copy in daily life. To solve Subject 1, 2, 3, a survey was used and to solve Subject 4, 5 FGI(Focus Group Interview) was used as research methodology. The data of the survey was collected from 318 high school students and content of FGI was collected from 45 high school students in Pusan.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established subjects of the studies and hypotheses. The result of Subject 1 ; Hypothesis 1 was supported. That is, when adolescents watch a interesting commercial copy on TV, they are inclined to use it in daily life. Hypothesis 2 was supported weakly. That is, when adolescents use commercial copy in daily life, they think that they are leading a vogue. But there isn't a significant difference. Hypothesis 3 was also supported weakly. That is, Adolescents think that commercial copy is suitable for their sense. But there isn't a significant difference. Hypothesis 4 was supported strongly. That is, Adolescents think that commercial copy is very interesting. The result of Subject 2 ; The commercial copy that adolescents imitate most frequently is 'It's King'(Korea Yakurt). The result of Subject 3 ; Generally, adolescents are inclined to use commercial copy in daily life. The result of Subject 4 ; Adolescents use commercial copy in daily life because it is easy and interesting. The result of Subject 5 ; 9 situations in commercial copy that adolescents use can be classified. The representative expressions are favorable expressions, displaying expressions and humorous expressions, etc.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s that adolescents use commercial copies in daily life variously. That gives advertisers a few suggestions of followings. First, advertisers must have macroscopic eyes that advertising is the culture of society as well as the tool of marketing. Second, advertisers must concider carefully adolescents when they make advertisements. Third, advertisers must concider carefully the linguistic affection to adolescents when they make commercial co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