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태권도의 발전가능성 및 발전방향

        박세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8702

        이 연구에서는 태권도의 발전 가능성 및 발전방향을 위하여 태권도의 전반적인 문제를 파악하여, 미래지향적인 태권도 정책의 수립과 국민적 스포츠로서의 태권도 교육 실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델파이 연구 기법을 조사도구로 사용하여 지명도, 전공분야, 협조가능성, 연구의 성격 등을 고려하여 태권도 전문가 집단으로 태권도 전문행정가, 태권도학과 교수, 관장 및 사범, 감독 및 코치 160명을 대상으로 4회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1차 델파이에서는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태권도와 관련한 태권도 지도자 양성제도, 태권도 지도자 재교육연수, 태권도 수련생 교육프로그램, 태권도장 운영, 경기태권도, 무도태권도의 6개 항목에 대하여 평소에 중요하다고 생각한 내용들을 6개 항목과 관련지어 기술하도록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에서 기재내용이 신뢰성이 없거나 부실하다고 판단되는 자료 26부는 제외시켰다. 2차 델파이에서는 1차 설문내용과 선행연구 논문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한 문항을 추가하여 70개 문항으로 2차 델파이 설문문항을 만들었으며 전문가집단에게 문항별 순위를 부여하도록 부탁하였으며, 이와 함께 필요 없는 문항 표시와 추가할 문항을 다시 한번 기재토록 하여 유목별로 구분하여 단순 빈도 분포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3차 델파이는 2차 델파이를 바탕으로 전문가 집단에게 변화가능성과 변화에 대한 본인들의 주관을 나타내는 희망 척도로 구분하여 70개 문항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변화가능성과 희망 척도가 평균치 이상과 이하로 응답한 전문가 집단에게 4차 설문문항을 주어 평균치 보다 높게 또는 낮게 응답한 이유를 쓰도록 하여 소수의 의견을 반영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태권도 지도자 양성을 위한 연수프로그램의 내용은 현실에 적합한 태권도 기술, 태권도 이론, 태권도장 경영과 운동수행을 위한 체육전문지식 및 전통문화유산의 전승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태권도 지도자 양성의 내실화를 위하여 태권도 지도자 양성기관인 국기원의 교육시설 부족으로 시·도 태권도협회에 연수원을 두는 것과 현행 시행하는 제도보다 향상된 25세의 연령, 전문대학 이상의 학력, 4주간의 양성 교육 기간이 늘어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태권도 지도자 재교육을 위한 연수프로그램의 내용은 현실에 적합한 태권도 기술, 태권도 이론, 태권도장 경영과 운동수행을 위한 체육전문지식, 국제화·정보화에 대비한 어학과 컴퓨터 교육 강화 및 전통 무술, 국악, 다도, 도예, 역사, 전통놀이, 전통예절 등 전통문화유산의 전승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재교육연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태권도 지도자 재교육 연수의 내실화를 위하여 태권도 지도자 재교육연수기관인 국기원의 교육시설 부족으로 시·도 태권도협회에 연수원을 두는 것과 현행 시행하는 재교육연수에 대한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 재교육연수의 점수를 학점은행제처럼 관리하여 태권도협회에서 도장에 대한 등급을 산출하여 지원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태권도 수련생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도 태권도협회 연구소의 설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급·단별 운동기능, 태권도 이론, 인성교육 지침서가 되는 태권도 교과서와 태권도 지도서 개발 및 태권도장 운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태권도 수련생 교육프로그램은 수련생 유형별 장애자, 허약자, 비만자 등을 고려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수련생 특성별 성별, 연령별, 급·단별로 태권도 기본기술, 호신술, 품새, 예절교육, 안전교육, 인성교육, 전통문화교육 등의 수련생 교육활동에 대한 평가가 종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합리적이고 다양한 평가도구의 개발과 평가준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태권도장의 홍보는 시대적 변화에 발맞춰 태권도장을 알리는 홈페이지와 정보네트웍이 구축되어야 하며, 관(대한태권도협회 및 시·도 태권도협회) 주도로 언론매체 등을 이용한 태권도 이미지 광고가 TV, 라디오, 신문, 영화, 교통수단, 판촉물 등의 문자, 영상, 음향매체 등을 통하여 태권도의 가치 및 중요성에 대한 홍보가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태권도장의 시설은 수련생의 교육과 휴식을 위한 다용도 공간(독서, 컴퓨터, 강의실, 상담실 등의 설치와 성인 수련생 확보를 위하여 건강증진과 건강관련 시설이 마련되어야 한다. 여섯째, 태권도 수련생 관리는 수련상황(출결, 건강, 생활, 평가, 공지사항 등)을 보호자나 수련생이 볼 수 있도록 컴퓨터 네트웍을 이용과 수요자 중심의 교육 활동을 통한 수련생 교육비의 차등 적용에 대한 구체적 내용이 마련되어야 한다. 일곱째, 태권도 지도자는 경기지도능력, 신체적인 건강, 도덕적으로 사회 리더로서의 역할, 무도태권도 지도능력 등의 지도뿐만 아니라 국악, 다도, 도예, 역사, 택견등 전통문화유산의 전승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여덟째, 경기태권도가 올림픽 영구 종목으로 채택되기 위해서는 판정 시비를 줄이기 위한 전자호구 사용과 합리적인 경기 운영 및 관중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고난도 기술발휘에 따른 차등 점수제와 회전별 종결제의 도입될 수 있도록 경기규칙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태권도학과와 실업팀의 증가로 선수들의 진로가 보장되고 시·군 태권도협회의 아마추어 경기대회를 활성화하여 경기인구 저변확대와 기술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아홉째, 무도태권도는 자신의 몸을 방어하기 위해서 호신술과 실전 겨루기(격투기), 우리고유 전통무술의 수련을 통한 건강증진과 정신수양을 위하여 검술, 봉술, 쌍절권, 격파, 호신술, 택견, 기체조 등의 지도가 시·도 태권도협회 연수원을 두고 성인과 노인 및 부녀자를 대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basic data needed to grasp general problems of Taekwondo, establish a future-oriented Taekwondo policy and realize Taekwondo education as a national sport by examining development potentials and direction. A questionnaire has been performed for 160 Taekwondo-related experts, such as Taekwondo administrators, professors, masters, couches and directors, considering prominence, major, cooperativeness and the character of this study. (Four times total) Delphi research technique was used to attain the goal In the first Delphi, specialist group was asked to describe important contents of six items (Taekwondo-related leader cultivation system, re-educational training of Taekwondo leaders, education program for Taekwondo trainees, operation of Taekwondo gym, game Taekwondo and physical training Taekwondo). 26 copies were excluded owing to insincerity or lack of confidence. In the second Delphi, some more questions were added on the basis of the first questionnaire and precedent theses. 70 questions were asked. An expert group gave orders to the questions. They were asked to record needless questions and more questions to be added. Simple frequency distribution and percentage were found. In the third Delphi, a specialist group was asked to describe the chance to change and the scale desired and to show opinions on change. The result was analyzed. Then the experts whose scales are higher or lower than average were asked to say the reason. A minority opinion was reflected.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program for cultivating Taekwondo-related leaders should include various programs for reality-based actual Taekwondo skills, Taekwondo theory, operation of Taekwondo gym, special physical education knowledge for exercise performance and role as a successor to the traditional cultural inheritance. In order to insure substantiality of Taekwondo-related leader cultivation, Taekwondo-related leader cultivation institution should not limited only to Kookgiwon. Training centers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local Taekwondo associations. Requirements for a Taekwondo leader should be reinforced to upgrade the quality of Taekwondo leaders. Second,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program for cultivating Taekwondo-related leaders should include various re-educational training program, such as reinforced language skills, computer skills for a globalized information society and a role as a successor to traditional cultural inheritance as well as various programs for Taekwondo skill, Taekwondo theory, operation of Taekwondo gym and special physical education knowledge for exercise performance. In order to increase participation in Taekwondo leaders' re-educational training, marks should be managed like a credit bank. The Taekwondo association should grade the Taekwondo gyms and establish an organized system. Third,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trainees, e.g., the handicapped, the weak, obese people, sex, age, rank, etc. Taekwondo textbook, guidebook and manual should be developed, too. Research institutes should be established under the control of municipal or provincial Taekwondo associations. The institutes can develop various evaluation standard and tools to ensure synthesized evaluation of the trainees' educational activities. Fourth, homepage and information network should be established for publicity of Taekwondo gyms. Taekwondo associations advertise the value and importance of Taekwondo using advertisement media, such as TV, radio, newspaper, etc. Fifth, multi-use rooms for education and rest (reading, computer, lecture room, consultation room, etc.) should be built. To attract adult trainees, health-related facilities should be equipped. Sixth, training situations (attendance, health, life, evaluation, notice, etc.) should be controlled by a computer network so guardians or trainees can check. Detailed contents of graded training fees should be prepared according to user-oriented education activities. Seventh, Taekwondo leaders should secure special abilities to perform the role as a successor to traditional cultural inheritance, such as traditional music, tea ceremony, ceramic art, Tagkyeon, etc. as well as game guidance ability, physical health, a role as an ethical leader in the society and physical training Taekwondo guidance ability. Eighth, in order to make Taekwondo be selected as a permanent event in the Olympics, electronic devices should be used to reduce decision-related argument and rational game operation skills are needed. Game rules should be supplemented. Graded points should be given for high degree of difficulty. Spectators like high degree skills. And round conclusion system should be introduced. Establishment of Taekwondo-related departments and business team should be increased. Systems should be established to expand the game population base and improve technology by activating armature games on a level of municipal or provincial Taekwondo associations. Ninth, physical training Taekwondo should include art of fencing, art of stick fighting, twin-club exercise, defeating, Tagkyeon, and spirit gymnastics as well as art of self-defence and match.

      • 태권도 시범의 문화적 변천에 따른 특성 분석 및 발전방향 모색

        이승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99

        태권도 시범은 지금껏 태권도의 기술과 정신적 가치를 표현해 보임으로써 그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 태권도가 전 세계인에게 한 발자국 다가설 수 있는 교두보의 역할로써 책임을 다하여 왔다. 또한 목적에 제한을 두지 않고 발전하여 독자적인 문화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태권도 시범이 발전할 수 있었던 특성에 대한 이해는 부족하여 태권도 시범이 가진 문화의 현재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탐색하는 데 한계가 따르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태권도 시범문화의 구성요소와 구조를 파악하고 변천과정에서 나타난 특성을 파악하여 태권도 시범문화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첫째, 태권도 시범문화의 변천과정에서 나타난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태권도 시범문화의 발전방향은 무엇인가? 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위해 태권도 시범에 관한 학술지, 논문, 서적, 신문기사, 태권도 시범 영상, 사진 등의 문헌을 참고하여 분석한 뒤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태권도 시범문화의 변천과정에서 나타난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 먼저 태권도 시범문화의 구성요소와 구조, 구조간 관계를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태권도 시범의 주요 문화를 통해 태권도 시범문화의 변천에 따른 특성에 대해 찾아내고자 하였다. 태권도 시범문화의 구성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문헌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태권도 시범문화 요소와 관련한 단어 선별 작업을 거쳐 754개의 용어가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분류된 태권도 시범문화 요소는 경기용어, 시범용어, 공연용어, 수련용어 등 현상, 장소, 가치, 신념 등을 포함하였다. 태권도 시범문화의 구성요소를 범주화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범주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해 전문가 집단의 논의를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태권도 시범문화 용어를 범주 분석한 결과, 태권도 시범문화의 구성요소 중 대분류는 정신문화와 물질문화로 범주화되었다. 정신문화의 중분류는 가치문화와 규범문화로 물질문화의 중분류는 행동문화와 용구문화로 범주화되었다. 가치문화는 각각 의미와 수단문화로, 규범문화는 도덕적 규범과 제도적 규범문화로 범주화되었다. 또한 행동문화는 기술, 수련, 예식, 역할로, 용구문화는 시설과 용품문화로 소분류 되었다. 태권도 시범의 구성요소와 범주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태권도 시범의 문화적 변천과정에서 나타난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치관의 확장이다. 태권도가 세계화를 이룩한 이후 태권도 시범의 가치를 잃어버린 것이 아닌 재창조된 태권도 시범으로 국내는 물론 세계인에게 다가가고자 기존의 형식을 탈피하고 다양한 문화들과의 접목을 시도하면서 태권도 기술의 미적가치를 높이고 다양성을 추가하며 태권도 시범을 하나의 예술성을 가진 작품으로 만들고자 하였다. 이는 한국의 대표 문화콘텐츠로 인정받아 실제적 시범의 개념과는 다른 예술적 가치를 전제로 한 태권도 시범의 공연화를 말하는 것으로 사회의 변동과 함께 ‘보여주기 위한 태권도’의 개념에서 공연예술로서, 그리고 ‘스포츠 경기화’로의 진일보된 형태를 가고자 하였다. 둘째, 제도적 기틀이 마련되었다. 2000년대 후반부터 전폭적으로 지원된 정부 차원의 태권도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문화예술 정책의 지원 및 스포츠 관광 활성화의 정책지원, 태권도 진흥 및 태권도 공원 조성 등에 관한 법률 제정에 따른 태권도 진흥 기본계획 시행 등이다. 중앙정부 행정조직의 다양한 체육진흥정책은 태권도 시범의 역할과 중요성을 인식하여 태권도에 대한 진흥정책을 활발히 펼쳐왔으며, 태권도가 제도권 스포츠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어왔다. 하지만 정부의 정책 흐름은 태권도의 문화산업 발전과 관광 브랜드화를 위한 태권도 시범의 문화 콘텐츠화에 집중적으로 지원되면서 정통 시범이라는 범주에서 공연예술로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정부에서 주체적으로 태권도의 문화 콘텐츠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볼 때 태권도 시범 공연문화 형성은 필연적이었으며, 태권도 시범에서 태권도 시범 공연으로의 변화는 지속적인 발전양상을 띠고 있다. 셋째, 기술의 다양화이다. 태권도 시범의 발전은 시범에서 행해지는 각 요소의 발전을 가져왔으며, 각 요소들이 가진 특성은 저마다의 형태를 유지하여 발전되었다. 태권도 시범의 기술들은 기존의 태권도 기술을 본래의 의미 그대로 표현하고자 했던 정통 태권도 시범이라는 틀을 벗어나 다양한 형태로 변화를 추구해왔으며, 음악과 의상 등 소품의 추가와 용품의 변화 등의 결합은 태권도 시범기술의 진일보를 가져왔다. 현재 태권도 시범 형태는 공연 예술적 요소가 가미된 형식 안에서 태권도 시범의 요소들을 표현해내고 있으며 이는 흥미를 유발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이끌어내기 위한 태권도 시범의 사회로부터의 요구였다. 넷째, 태권도 시범의 양분화이다. 태권도의 해외진출과 정치적 목적에 의해 태권도 시범이 활용된 결과는 태권도의 세계화 발전에 기틀을 마련했다는 사실이며, 태권도가 스포츠 종목으로서의 가치를 넘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콘텐츠이자 문화상품으로 발전하여 태권도 시범 공연문화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또한 태권도 시범 공연에 대한 발전과 시범 공연의 양적 증가를 위해 체계적이고 정량화된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시범경연대회 개최는 시범의 경기화로 이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개인종목으로 기준을 두어 태권도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격파 부분이 두드러지게 발전되는 경향이 나타나며 태권도 시범 경기문화의 움직임이 나타난 것이다. 태권도 시범문화의 구성요소와 문화의 흐름 안의 특성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태권도 시범문화의 주요 영역들이 존재한다. 태권도 시범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주요 문화는 대중들에게 공통적 특성을 공유하며 기술에 대한 과학적 원리와 체계성을 가지고 다른 문화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문화의 한 영역을 의미한다. 태권도 시범의 주요 문화 중 첫째, 태권도 시범 공연문화이다. 태권도 시범은 기존에 시범의 범주를 벗어나 타 장르 간 영역의 경계를 넘는 문화의 융․복합 흐름을 가지게 되었으며, 태권도를 소재로 한 많은 태권도 시범 공연이 제작되어 본격적인 태권도 시범의 공연화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태권도 시범 공연문화의 발전과정 속에서 태권도 시범 공연에 대한 가치가 바람직한 방향만을 제시하는가에 대해 양면성이 나타났다. 태권도 정신이 깃든 태권도의 예술성을 알리고 태권도의 우수성을 알리는 목적의 공연예술 형태를 추구하는 한편, 경제적 수익을 추구하는 문화 산업의 경제적 흐름이라는 예술의 부로써 수단적 측면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둘째, 태권도 시범 경기문화이다. 태권도 경기가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 태권도 시범의 새로운 경기문화를 시도하기 위해 각 대학교 주관의 태권도 대회 등 매년 태권도 시범 대회의 개최 수가 늘어가며 태권도 시범 경기화에 대한 양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태권도 시범 경기문화의 발전은 대학 내 태권도 시범 전공자 증가 및 시범을 통해 대학을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 선수들이 늘어나며 시범 전문 도장이 생겨나는 등 태권도 시범 인구의 확산으로 이어졌다. 대회 입상을 통해 상급학교로 진학하기 위한 학생 선수들은 난도 높은 기술을 무분별하게 시도하고 있으며 위험요소가 배제되지 않은 기술들의 시연 속에서 나타나는 선수들의 부상은 선수들을 지켜주기에는 턱없는 부족함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태권도 시범단 교육이 대회 입상을 위한 격파 기술 교육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같은 교육방침은 태권도 시범을 위한 시범단이 아닌 격파 위주의 시범단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태권도 시범문화의 구성요소와 그 흐름을 통해 나타난 특성을 살펴보고 태권도 시범문화의 층위 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태권도 시범문화를 구조주의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그에 따라 나타난 층위구조는 표층, 중층, 심층으로 구분되었다. 태권도 시범의 표층문화는 겉으로 나타나는 실체화된 현상으로 태권도 시범의 기술과 수련, 예식, 시설, 용구 등을 의미한다. 태권도 시범의 중층문화는 심층문화를 통해 표층문화가 나타나는데에 따른 과정이나 방법을 말한다. 태권도 시범과 관련한 기관, 집단, 조직 등의 구성과 그에 따른 규칙, 규범 등을 말하는 것으로 태권도 시범이 질서를 이루도록 하는 규범문화가 주로 중층문화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권도 시범의 심층문화는 태권도 시범이 가진 가치나 개념으로, 태권도를 통한 국위선양이나 문화외교사절로서의 역할, 한국 대표 문화상품으로서의 가치라 할 수 있다. 태권도 시범의 심층문화는 태권도 시범의 공연화와 경기화라는 주요 문화로 인해 크게 양분화 될 수 있으며 하나로 귀결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태권도 시범 주요문화의 구조는 각 층위별 구조가 서로의 경계를 분명히 하여 분리되어 나타나는 구조가 아닌 상호작용을 통해 유지 발전하는 유기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즉 태권도 시범 주요문화인 공연문화와 경기문화 각각의 층위구조에서 심층문화는 중층문화에, 중층문화는 표층문화에 미치는 형태로 나타나며, 외부문화에 의해 변화된 표층문화가 중층문화와 심층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와 마지막으로 중층문화의 심층문화 변화로 인해 표층문화에 영향을 주는 경우로 나타났다. 태권도 시범문화의 변천과정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태권도 시범문화의 발전방향을 알아보기 위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시범 공연문화의 발전방향이다. 태권도 시범 공연을 제작하기 위한 기본적 형태의 틀을 만들어 기준을 세워야 할 것이다. 태권도 시범 공연을 제작하기 위해 연출가와의 접촉, 태권도 소재 공연의 이해 등이 필요하며 각종 세부 영역에서 살펴보면 빠른 움직임을 잡아낼 수 있는 조명감독과 비전문 배우의 감정을 정확히 전달하기 위한 음향감독, 무대동선을 정확히 숙지시켜 무대 장치들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한 무대감독 등 전문 인력을 확보하는 등의 시범 공연의 제작을 위한 기준을 만들어야 할 것이 사료된다. 다음으로는 태권도 시범 공연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재화와 관련하여 태권도 시범 공연을 통한 생계유지의 문제가 나타난다. 제도적 차원에서 태권도 시범 공연을 위한 공모사업과, 스토리와 연출 내용까지 심사가 가능한 태권도 시범 공연대회가 다 수 개최되어야 한다. 이는 중․소규모 시범단에서 가능성이 큰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금전적, 인력 부족 등의 문제로 시범 공연을 제작하는데 문제들을 해결해주어 태권도 시범 공연문화를 유지․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태권도 시범 공연의 홍보와 관련한 문제이다. 태권도 시범 공연이 가지는 가치가 각종 매스컴에서 다룰 만큼 파급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과 태권도 시범 공연의 메이저(major)급 배우가 함께하지 못함으로 공연의 홍보를 위한 TV프로그램에도 비춰지기 어렵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태권도 시범 공연에 유명 배우같은 매스컴이 찾을 만한 인물이 필요하며, 현재까지 비언어적 작품의 형태인 넌버벌 퍼포먼스(non-verbal performance)로 태권도 시범 공연이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대사와 노래와 같은 관객의 이해도와 공감할 수 있는 변화를 통해 대중들에게 태권도 시범 공연이 한 발자국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둘째, 태권도 시범 경기문화의 발전방향은 다음과 같다. 스포츠의 경기화 요건을 살펴보았을 때 태권도 시범이 스포츠화, 즉 경기화 되기 위해서 먼저 공인된 기관의 경기규칙 제정이 필요하다. 또한 공인된 경기규칙을 이행할 심판을 선발하고 교육하여 경기현장으로 배치시켜야 한다. 이것이 종목을 관장하는 기관으로써 마땅히 해야 할 일이며, 태권도 시범 경기문화가 발전될 수 있는 밑바탕이 될 수 있다. 제도적 차원에서 변화되어야 할 기준은 규칙, 심판과 함께 지도자의 역할과 위치가 있다. 현재 태권도 현장의 전문지도자를 위해 취득해야 하는 태권도 전문스포츠지도사 과정은 실기와 구술에서 겨루기/품새에 대한 영역만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시범 전문지도자의 양성을 위한 기관의 제도적 변화의 필요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환경적 측면에서는 선수들의 안전을 위해 사용되는 착지 매트에 대한 문제이다. 선수들의 안전을 위해서, 불의의 사고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착지 매트의 사용을 허가하였으나, 숙련도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부상의 위험이 있는 기술을 구사한다는 것은 계층 이동을 위해서 신체 소외도 마다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도는 선수의 안전을 보호해야 할 의무도 있다. 단순히 태권도 시범 경기에서 착지매트를 허가해준다는 것을 자칫 미완성된 기술에 대해 우연을 기대하며 출전하는 선수와 지도자의 욕심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문제 해결을 위해 금지기술 제한과 매트사용 금지를 외치고 있다. 결국 태권도 시범 문화는 경기화 과정에서 공인된 규칙과 형식에 따라 경기가 진행되어야 스포츠 경기 측면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종 대회가 지속적으로 개최되고 이에 대한 기관이나 조직, 집단이 확대되어 선수 간 경쟁과 함께 태권도 시범 경기문화는 앞으로 더욱 발전될 것이라 사료된다.

      • 맞춤형화장품과 DIY화장품의 지각된 인식과 피부관심도가 신뢰도 및 발전방향에 미치는 영향

        김하나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99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between customized and Do it youyself (DIY) cosmetics and examine their development direction.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nd a total of 363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ulation analysis, one-way ANOVA,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In terms of age, ‘30s’ was the highest. When asked what kind of customized cosmetics they used, ‘toner’ was most responded. In DIY cosmetics, on the contrary, ‘cleanser’ was the highest. When asked how they get to know customized and DIY cosmetics, ‘recommendation by friend/acquaintance’ was the highest. In terms of the image of customized cosmetics, ‘cosmetics with the ingredients which are good for me after skin measurement’ was mentioned. In DIY cosmetics, ‘cosmetics developed and used by me’ was observed. When asked how they acquired customized cosmetics, ‘department store’ was most responded. In DIY cosmetics, in contrast, ‘cultural community center’ or ‘personal studio’ was high. When asked if they experienced any kind of side effects, ‘nothing’ was responded often. In terms of types of side effects, ‘skin irritation’ was responded in both cosmetics. In terms of how to handle such side effects, ‘I stopped using the cosmetics’ was responded equally. In terms of intention to repurchase customized cosmetics, they said that they are willing to give advice and recommend them to their acquaintances. In terms of development directions, they said that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systematic system in which a customized cosmetics prescription manager (national license) diagnoses customer skin at purchase of customized cosmetics based on extensive knowledge on cosmetics. Regarding intention to repurchase DIY cosmetics, the respondents showed willingness to give advice or recommend such cosmetics to their acquaintances. In term of development directions, they said that there should be a systematic system in which a DIY cosmetics instructor (national license) diagnoses customer skin at purchase of DIY cosmetics based on extensive knowledge on cosmetics. The above results confirmed differences and development directions of both customized and DIY cosmetics. Keeping pace with customizing industry in which consumers’ personality and tastes are respected, it is necessary to help customized cosmetics prescription managers and DIY cosmetics instructors have professional knowledge and build a well-organized system for the growth and prosperity of both customized and DIY cosmetics. In addition, multi-pronged advertisements are anticipated. 본 연구는 맞춤형화장품과 DIY화장품의 차이와 두 화장품의 발전방향을 연구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363명의 결과지를 토대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 교차분석(Cross Tabulation Analysis),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주성분분석법(Principle Component Analysis),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연구 대상자는 30대가 가장 많았으며 사용해본 맞춤형화장품의 품목은 토너와 스킨이, DIY화장품은 세정제가 가장 많았으며 사용 맞춤형화장품과 DIY화장품을 처음 접하게 된 계기는 친구 및 지인의 추천이 가장 많았다. 맞춤형화장품의 이미지는 피부측정 후 나에게 맞는 성분을 처방해주는 화장품이라 생각하였고, DIY화장품은 내가 스스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화장품의 이미지를 떠올렸다. 맞춤형화장품의 구매장소는 백화점 매장 상담을 통해서 구매했다가 가장 높았으며 DIY화장품의 경우 문화센터 혹은 개인 공방을 통해서 구매했다가 높게 나타났다. 맞춤형화장품과 DIY화장품의 부작용 경험 유무는 부작용을 경험하지 않았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부작용의 형태는 두 화장품 모두 피부 트러블이 올라왔다로 같았다. 부작용 발생시 대처 방법 또한 화장품 사용을 중단했다로 동일하게 나왔다. 맞춤형화장품의 재구매의도는 맞춤형화장품에 대한 조언과 추천을 지인에게 해줄 의향이 있다고 했으며 발전방향은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국가자격)의 화장품에 대한 지식이 많고 맞춤형화장품 구매 시 내 피부를 진단해 줄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이 구축되었으면 한다로 나타났다. DIY화장품의 재구매의도는 DIY화장품을 주변 지인에게 추천하거나 조언할 의향이 있다고 했으며 발전방향은 DIY화장품 전문강사가 화장품에 대한 지식이 많으며 DIY화장품 구매시 내 피부를 전단해 줄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이 있었으면 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맞춤형화장품과 DIY화장품의 차이와 발전방향을 확인하였다. 소비자의 개성과 취향이 존중되는 커스터마이징 산업에 발맞춰 화장품 산업에서도 맞춤형화장품과 DIY화장품의 발전을 위해 맞춤형화장품 전문조제관리사와 DIY화장품 전문강사의 전문적인 지식교육과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해 보이며 두 화장품의 발전을 위해 다각적인 홍보가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 맞춤형 화장품과 조제 관리사 인식 및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발전방향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지역 20-50대를 중심으로

        한혜주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98

        본 연구는 제주에 거주하는 20-50대 성인남녀의 맞춤형 화장품과 조제 관리사 인식 및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발전방향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504명의 결과지를 토대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 Fisher's exact 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연구 대상자는 여성과 30대가 가장 많았고 맞춤형 화장품에 대한 인지도는 낮았으며 피부 분석을 통해 처방하는 화장품으로 내 피부 타입에 맞는 화장품일 것이라 기대하였고, 조제 관리사에 대한 인지도도 낮았으며 화장품 처방 전문가의 이미지를 떠올렸다. 기초 화장품 중 로션/크림, 향수, 메이크업 베이스를 선호하였으며, 합리적인 가격을 기대하였다. 트러블 발생의 사후 서비스와 사용 방법과 사용 기한 설명, 판매원의 화장품 지식 보유 순으로 발전방향에 대한 결과를 나타냈다. 일반 화장품과 맞춤형 화장품의 가격이 비슷할 경우 맞춤형 화장품을 구매할 것이며, 제주형 맞춤형 화장품에서는 도민을 위한 부가혜택 존재 시 구매 의사를 나타냈다. 맞춤형 화장품 발전방향은 화장품 구매결정 영향 요인, 화장품 구매영향 매체 및 맞춤형 화장품 인지 여부, 맞춤형 화장품 구매의사와 구매 이유, 조제 관리사 인지 여부, 검증 시스템 필요 유무, 맞춤형 화장품에 대한 선호 욕구 유무와 선호 이유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맞춤형 화장품 구매의도는 맞춤형 화장품 구매의사, 조제 관리사의 긍정적 영향 및 검증 시스템 필요 유무, 맞춤형 화장품 선호 유무와 선호 이유에 따른 차이가 있었고 맞춤형 화장품 발전방향과 구매의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으며, 맞춤형 화장품 구매의도는 맞춤형 화장품 발전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소비자의 긍정적 반응을 확인한 만큼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홍보 계획 수립 및 제주의 산업 자원을 통한 특별한 경쟁력으로 제주 화장품 산업의 새로운 원동력이 되길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ustomized cosmetics and the direction of customized cosmetics development depending on perceptions of prescription managers and preferences on the purchase intention among adult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to 50s in Jeju. Based on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504 respondent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isher’s exact test of chi-squared test, One-way Anova,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largest number of the subjects were females and consumers in their 30s, they had low awareness of customized cosmetics and most of them responded that customized cosmetics would be prescribed through skin analysis. Along with positive responses, the subjects expected that customized cosmetics would fit their skin types, they had low awareness of customized cosmetics prescription managers and recalled images of experts in cosmetics prescription. Among basic skin care products of customized cosmetics, lotion/cream, perfume and makeup base were highly preferred and the subjects looked for reasonable prices. With regard to the direction of customized cosmetics development, after-service for troubles after applying cosmetics was mentioned the most and it was followed by instructions and explanations of use-by-date, sellers’ knowledge of ingredients and cosmetics. In relation to the customized cosmetics purchase intention,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would purchase customized cosmetics if the prices are similar to those of general cosmetics and they wanted to use Jeju-type customized cosmetics if there are a variety of additional benefits for people living in Jeju. The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display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sub-factor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and the customized cosmetics purchase intention influenced the direction of customized cosmetics development. In conclusion, these study results demonstrate consumers mostly have positive responses to customized cosmetic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innovative promotion plans that emphasize differentiated effects of customized cosmetics for meeting expectations and desires of consumers. Jeju-type customized cosmetics are still insufficient to meet desires of consumers. To improve this, it is required to develop special competitiveness in the customized cosmetics market through industrial resources of the tourist industry or medical industry that is now under active development in Jeju.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rategy would bring new driving force to the cosmetics industry of Jeju.

      • 경제활동분석에 의한 중소도시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강원도를 중심으로

        장은경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87

        경제발전 과정에서 서울·경인지역, 남동해안지역에 사회기반시설과 산업 등이 집중되어 전국토의 불균형 문제가 심각해졌다. 대도시는 인구과 밀, 환경오염, 교통난 등의 문제가 발생했고, 지방도시와 농촌지역은 낙후 되어가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1970년 대부터 국토종합개발계획을 수립하여 국토의 균형발전을 위한 노력을 해 왔다. 그러나 국가의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발전된 도시들의 대부분은 경기도와 경상남북도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토의 균형발전을 모색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책으로 중소도시 발전을 제시하고 있다. 중소도시 발전이 농촌 등 배후지역으로 파급효과를 발생시켜 도·농격차를 해소하고, 지방도시와 농촌지역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전국토의 균형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중소도시의 분포, 국토의 균형발전 기여정도, 배후지역으로의 파급효과를 기준으로 강원도 지역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게 되었다. 입지상과 변화할당분석을 이용해 강원도내 7개 중소도시의 경제활동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중소도시별 산업별 발전방향을 모색하며 기존 정책과 비교·평가해 보았다. 강원도내 7개 중소도시에 대한 발전방향과 정책적 시사점을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 춘천시는 사회서비스업과 오락 및 문화예술서비스업이 특화되었다. 에니메이션과 영상산업을 중심으로 첨단산업기지로 조성하려는 기존정책은 춘천시 산업구조를 잘 반영한 정책으로 평가된다. 종합건설업이 기반산업으로 나타나므로, 도로·교통망 등 기반시설 구축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종합건설업을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춘천시는 강원도 동해안 지역과 다른 도를 연결하는 중요한 지점이다. 그런데 춘천시의 산업환경이 산업성장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투자를 통해 산업환경의 개선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원주시는 통신업 발달을 토대로 테크노파크를 조성하고, 이를 통한 도시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분석결과를 볼때 통신업이 발달되었기 때문에 기존의 정책이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원주시가 최첨단 산업단지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통신업과 관련된 통신장비·기계제조업, 정보화에 대한 발전이 병행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강릉시는 도시 특성을 살려 임·어업의 현대화를 도모하고, 비금속광물 제품제조업 중 시멘트산업을 대체할 산업을 개발하는 일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볼 수 있다. 강릉시의 기존정책을 살펴보면 과학산업도시로 발전시키려고 하는데 연구 및 개발업의 입지상이 작고, 현실적으로 대학과 연구소가 적은 편이다. 따라서 연구 및 개발업에 대한 투자의지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동해시는 지리적으로 강릉시와 인접하여 강릉시와 산업환경이 비슷한 특색을 지닌다. 사양산업이 된 시멘트산업을 합리화시키고, 대체산업을 개발하는 정책을 이루어가야 할 것이다. 태백시는 석탄산업합리화 정책으로 버려진 탄광지역을 관광지화하는 정책이 활발이 진행되고 있다. 입지상분석을 볼 때 90년대 후반에 수도사업, 전기·가스 및 증기업 등의 사회서비스업이 발전되었다. 따라서 행정서비스와 사회서비스업 개선을 기초로 탄광지역을 관광지화하는 것은 바람직 한 정책으로 볼 수 있다. 속초시는 음식 및 숙박업, 음식료품 및 담배제조업, 전문직별 건설업, 오락 및 문화예술서비스업 등이 발전했다. 관광지라는 특색이 입지상 분석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다양한 관광상품개발을 모색해야 할 것이며 특히 계절별로 집중되는 관광수요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을 이루어가야 할 것이다. 삼척시는 강원도 중소도시 중에서도 산업발전이 가장 뒤쳐진 지역이다. 따라서 산업발전을 위한 기반시설이 마련되어야 하고, 어업과 특산물의 상품화를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Korea, the problem of unbalance among the whole country has been increasely raised. This phenomenon caused the high density of population, pollution, and traffics. It also caused the decline of undeveloped areas.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the government established Nation-Total-Development-Plan in 1970 and attempted to balance the development of the state in governmental scale. In spite of the governmental policy, according to the ratio of middle cities in the province, the main cities were mainly scattered through in Kyonggi-do and Kyongsangnambuk-do which occupied 60% of whole 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of middle cities as the mechanism of balancing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We suggested of the cultivation of middle cities in undeveloped areas. In accordance with that, the spill-over effects might occur the areas nearby. As regional and rural areas were developed the gap between the cities and the rural areas might be narrowed down. As a consequence,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would be well-balanced. The first chapter dealt with the purpose and method of this research. The second chapter, for the theological background, we would examine the Location Quotient and the Shift Share Technique which were the method of the economic activity analysis. We would also examine the basic definition of the middle cities and previous researches. We would study the governmental policies on the middle cities. In the third chapter, we would analyzed the problems of policies on regional development. We would examine Kangwon-do on the basis of the ration of middle cities among different province, the degree of contribution to controlled development of the country, and the spill-over effects on areas nearby. We would study population and industrial activities in Kangwon-do. The fourth chapter dealt with the results of Location Quotient. and Shift Share Technique on seven middle cities which were Chunchon, Wonju, Kangnung, Tonghae, Taebaek, Sokcho, and Samchok in Kangwon province. According to the analytic result, the suggestions on future policies and directions of development were following: Because LQ of general construction was higher 1, the general construction should be developed to make a contribution to basic utilities such as high way, traffic network in Kangwon area. Considering the location of Kangwon do, Chunchon was a critical place where connected Kangwon-do with different province. Therefore the investment on SOC was necessary. The industrial environment in Chunchon was considered to be an obstacle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industry. Therefore, the industrial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Establishing Techno Park on the foundation of telecommunications industries Wonju is considering the method to develop the city. In order to develop Wonju as High-Techno Park manufacture of machinery, telecommunication equipment, information, which were closely related to telecommunications industries also should be accomplished. Kangnung plans the modernization on forestry, logging and fishing, and explores the way of industrial development to replace the decline of cement industry among non-metal industry. Previous policies on Kangnung attempted to develop the city do a c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such case, The price of LQ is less than 1, and research & development in Kangnung is very small and, few and laboratory, the government should invest on research & development. Geographically speaking, Tonghae is very close to Kangnung. It has similar characteristics of industry environment with Kangnung as well. The new policy should be examined to replace the decline of cement industry. Currently, the policy of transforming abandoned miners to tourist resorts is actively engaged in Taebaek.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LQ there was a growth in social and related community services such as water works and supply, electricity gas and steam in the late 1990.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public services, social and related community services is significant to transform mining areas into tourist resorts. In Sokcho, restaurants hotels, drinking and tobacco industries were developed. And construction-special trade contractors, recreational and cultural services are very important.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t resort were exhibited in the analysis of LQ. It is suggested to specialize the department to deal with tourist is various tourism souvenir. It is important to take to action for tourists who concentrated differently by season. Samchok is the most undeveloped cities among middle cities in Kangwon-do. The basic utilities for the industrial development should be provided. The various development on fishing and choice goods are recomme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