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발달지체 영유아의 조기발견을 위한 보육교사 인식과 지원 요구

        박지연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발달지체 영유아를 조기발견하기 위해 보육교사에게 요구되 는 역량을 밝히고 교사의 지원 요구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체 영유아의 조기발견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발달지체 영유아의 조기발견을 위한 교사의 교육 요구는 어떠한가? 셋째, 발달지체 영유아의 조기발견을 위한 교사의 지원 요구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내 H시, S시에 소재한 민간어린이집, 국공립 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에서 담임을 맡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 온라인 설문지 196부와 지면 설문지 121 부를 회수하여 최종 317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는 발달에 어려움을 보이는 영유아의 조기발견과 전반적인 발달선별검사를 실시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대부분의 보육교사들이 보육현장에서 표준화검사도구를 활용해 본 경험이 없다. 둘째, 발달지체 영유아를 조기발견하기 위한 교사의 교육 요구 중 가장 절실히 요구되는 역량으로는 ‘선별검사의 결과 해석’과 ‘선별검사 도구의 활용’이다. 셋째, 교사가 원활한 선별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 ‘어린 이집 재원 원아 대상으로 한 발달지체 선별검사의 의무적인 실시’가 제도 화되어야 한다. 이를 통하여 발달지체 영유아의 조기발견을 위해 필요한 교사 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파악하고 교사의 교육 요구를 분석하였다는 것에 매우 큰 의의가 있으며, 조기발견자로서의 교사의 역량을 제시함으로써 기초자 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시사점이 있다고 본다.

      • 협동미술활동을 통한 또래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 발화에 미치는 영향

        황성자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발달지체유아들이 또래유아와 의사소통 하는 것은 사회적응과 행동발달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며, 따라서 의사소통을 하는 과정에서 또래의 행동이나 발화에 적절하게 반응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발달지체유아들은 언어의 화용론적 측면의 결함을 가지고 있고, 이는 또래와의 관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현재 일선 유치원에서 운영되고 있는 통합 학급은 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가 함께 활동하면서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 기회를 늘릴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성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 발화를 증진시키기 위해 구조화된 활동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화된 활동에는 통합의 교수적 자원인 또래 일반유아들에 대한 중재훈련이 우선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발달지체유아들에게 있어서 또래와의 의사소통을 하는데 있어 발화의 중요성과 문제를 인식하고 협동미술활동 시간에 이루어지는 또래중재가 통합된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 발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구체적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미술활동을 통한 또래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발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협동미술활동을 통한 또래중재에 따른 발달지체유아의 발화 양상은 어떠한가? 이 연구는 유치원에 통합된 만 5세 발달지체유아 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또한 발달지체유아들과 동일학급에 있는 4명의 일반유아가 중재자로 참여하였다. ABA설계를 사용하였고, 또래중재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또래중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중재를 통해 증가한 의사소통 발화의 빈도가 또래중재의 종결 이후에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재 종료 1주일 후 기초선 단계에서 관찰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미술활동을 통한 또래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발화 빈도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협동미술활동을 통한 또래중재에 따른 발달지체유아의 발화의 질적 특성에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또래중재는 적어도 이 연구에 참여한 발달지체유아들의 의사소통 발화를 증가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으며, 발달지체유아들의 의사소통 발화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또래중재훈련 프로그램이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또래중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또래간의 활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협동미술활동과 같은 구조화된 활동이 제공되어야 함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 발달지체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그림책 감정 놀이

        신용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지체유아를 위한 감정 놀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발달지체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발달지체유아들의 감정 표현과 또래 상호작용을 관찰한 후 발달지체유아들의 감정 수준 및 특성에 따라 그림책을 선정하였고 유아들의 관심사와 흥미를 반영한 맞춤형 감정 놀이를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 놀이 후 발달지체유아들의 다양한 감정 표현 어휘력이 증가하였다. 단순히 기분이 ‘좋다.’, ‘싫다.’를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림책에 나왔던 다양한 감정 어휘들을 표현하는 모습이 많이 관찰되었다. 학부모 상담 중 유아들이 유치원에서뿐만 아니라 평소 일상생활 속에서도 다양한 감정 표현을 하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었다. 따라서 발달지체유아가 흥미를 보이는 그림책을 통해 다양한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는 놀이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또래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늘어났다. 실행연구를 진행하기 전 발달지체유아들이 또래에게 관심은 있지만 감정 표현의 어려움이 있거나 의사소통의 미숙으로 또래와의 놀이 중 갈등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였으나 감정 놀이 후 또래에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거나 감정을 조절하는 모습이 많이 보였다. 또한 통합학급 또래 유아들과 함께 놀이를 만들어 가는 모습들이 관찰되었다. 이에 통합 환경에서 다양한 감정 놀이의 경험은 긍정적인 또래 상호작용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감정 놀이를 통해 발달지체유아들의 다양한 감정 표현과 긍정적인 또래 상호작용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연간 단위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발달지체유아의 감정 놀이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nd apply an emotional play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o examine how they affect peer interactions. To this end, after observing the emotional expression and peer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picture book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emotional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customized emotional play reflecting the interests and interests of children was constructed and proceeded.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emotional play, the developmentally delayed children's vocabulary for expressing various emotions increased. It was observed that they did not simply express 'good' or 'hate' feelings, but expressed various emotional vocabularies that appeared in picture books. During parent counseling, it was often observed that young children expressed various emotions not only in kindergarten but also in everyday life. Therefore, through picture books tha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re interested in, play to recognize and express various emotions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Second, positive interactions with peers increased. Prior to the implementation stud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ere interested in their peers, but had difficulty expressing emotions or had conflicts during play with their peers due to poor communication. They showed a lot of control over their emotions.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they were making play with their peers in the integrated clas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experience of various emotional play in an integrated environment is helpful in improving positive peer interac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see changes in various emotional expressions and positive peer interactions of developmentally delayed children through emotional play. Therefore, continuous and systematic yearly research on emotional play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hould be conducted.

      • 통합교육 상황에서 점토놀이 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양영실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lay activities on the maladjusted behaviors of a preschooler with developmental delay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 The subject in this study was a preschooler with developmental delay who attended a general kindergarten. An experiment was implemented by employing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After he was observed in eight baseline sessions, he participated in a clay program in 16 intervention sessions, and then whether he underwent any changes in maladjusted behaviors involving crying, shouting and physical attack was checked. As a result of providing intervention through the clay activitie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 the clay activities were effective at reducing the crying behavior of the preschooler with developmental delay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 The preschooler with developmental delay was not initially good at expressing himself through language, but he became able to express and restrain his emotion and to express himself properly when he got to enjoy the clay activities, and that experience served to make him cry less than before. Second, the clay activities were effective at curbing the shouting behavior of the preschooler with developmental delay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 As the clay activities allowed him to address his own inner needs, he didn't shout any more, and he naturally got to imitate the verbal expression and positive behaviors of nondisabled preschoolers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 That experience had a good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his maladjusted behavior. Third, the clay activities were effective at reducing the physical attack behavior of the preschooler with developmental delay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 He was able to unleash his oppressed emotion and relax in the course of concentrating his mind on the clay activities with interest. This process served to boost his emotional stability and enabled him to get himself in control, and there was consequently a decrease in his physical attack behavior.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First, just one preschooler with developmental delay who was especially maladjusted was examined in this study, and the findings might not be generalizable. In the future, more divers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a larger number of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elay should be investigated. Second, the clay program was carried out only on a short-term basis for two months in this study. Mor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the development of prolonged programs, and their effects should be checked. As preschoolers usually find it delightful to perform activities by using nature-friendly clay materials thanks to the characteristics of clay, it's very worth doing to develop a wide variety of clay programs. Third, the clay program turned out to have a good effect on not only the maladjusted behaviors of the preschooler with developmental delay but his expressiveness in this study.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lay activities and verbal expressiveness should accurately be examined. 본 연구는 통합교육 상황에서 점토놀이 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일반 유치원에 통합되어 있는 발달지체유아 1명을 대상으로 행동간 중 다기 초 선 설계(multiple baseline across behaviors)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초선 8회기를 측정한 후 중재 16회기에 걸쳐 점토놀이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우는 행동, 소리 지르기, 신체적 공격의 부적응 행동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점토놀이 활동 중재를 비교․분석하여 도출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 상황에서 점토놀이 활동은 발달지체유아의 우는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언어적 표현이 미흡한 발달지체유아가 점토놀이를 즐기면서 자신의 감정을 발산하게 되고 감정을 절제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우는 행동이 감소되었다. 둘째, 통합교육 상황에서 점토놀이 활동은 발달지체유아의 소리 지르기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발달지체유아가 점토놀이 활동 과정을 통해 내면적인 욕구와 필요를 충족시켜 주었기 때문에 소리 지르기 행동도 자연스럽게 해소되었다. 또한 통합교육이라는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일반 유아들의 언어적 표현 및 긍정적 행동에 대한 모방은 부적응 행동이 감소에 좋은 영향을 미쳤다. 셋째, 통합교육 상황에서 점토놀이 활동은 발달지체유아의 신체적 공격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발달지체유아가 점토놀이 활동에 집중하고 흥미를 느끼는 과정을 통해 억압된 감정을 분출하고 긴장이 해소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갖고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길러짐으로써 신체적 공격 행동이 감소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발달지체유아 중 부적응 행동이 두드러진 유아 1명을 선정하여 연구함으로써 일반화에 제한 점을 가진다. 발당지체유아의 다양한 행동특성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본 연구는 2개월간의 단기간에 걸쳐 점토놀이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는데 장기적인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점토라는 자연친화적인 재료는 활동 과정 자체에서 내적 희열을 느낄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점토를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은 충분한 가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발달지체유아의 부적응 행동 감소뿐 아니라 언어 표현력 향상에도 효과를 볼 수 있어 점토놀이 활동과 언어 표현력의 기능적인 관계를 밝힐 필요가 있다.

      • 발달지체유아 담당 언어치료사의 가족지원에 대한 인식

        김영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발달지체유아 담당 언어치료사의 가족지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치료기관에서 발달지체유아와 그 가족 구성원들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데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특수교육지원센터, 장애인 복지관, 의료기관, 사설기관, 재활원 등에서 발달지체유아를 대상으로 치료지원을 실시하고 있는 언어치료사 17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체유아 담당 언어치료사의 가족지원에 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본 결과 가족지원을 실시하고 있는 치료기관이 실시하고 있지 않은 치료기관보다 더 많았다. 실시하고 있는 가족지원의 방법으로는 개별상담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부모의 치료계획 참여, 참관, 강연회, 가정통신문, 학부모소모임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원을 실시하기 어려운 이유는 지원시설 또는 장소의 부족, 치료사의 시간 부족, 발달지체유아 가족의 관심과 이해 부족, 기관장의 지식과 이해 부족, 치료사의 지식과 이해 부족 순이다. 둘째, 발달지체유아 담당 언어치료사의 가족지원 실시방법 및 내용에 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발달지체유아 및 그 가족에게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가족지원의 방법으로는 1순위에서는 개별상담, 2순위에서는 부모의 치료계획 참여, 3순위에서는 참관 및 참여수업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치료를 위한 장․단기 목표를 세울 때 부모참여 여부 결과는 부모참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경우보다 더 많았다. 부모참여가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부모의 시간 부족, 부모의 관심 부족, 치료사의 시간 부족, 치료사의 협력 촉진 기술 부족, 치료사의 이해 및 노력 부족 순이다. 언어치료사와 특수교사 간⋅언어치료사와 부모 간의 협력체제 필요성에 대해 대부분의 언어치료사들이 꼭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부모교육의 내용은 1순위에서는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 및 언어발달 현행수준에 대한 교육, 2순위에서는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적인 의도 이해 교육, 3순위에서는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을 촉진할 수 있는 상호작용 방법 교육이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다. 부모교육 지원, 가족상담 지원, 비장애 형제 지원, 지역사회 연계 지원은 전체 문항이 3점에서 4점 이상의 점수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발달지체유아 담당 언어치료사의 가족지원에 관한 효율적인 지원방안을 알아본 결과 협력체계의 어려움에는 언어치료사와 부모 간⋅언어치료사와 특수교사 간의 협력 방법에 대한 어려움, 부모의 이해 부족 및 참여 부족에 따른 어려움, 언어치료사의 시간 부족에 따른 어려움을 들었다. 행정적 지원에는 부모 참여 지원, 치료사의 시간 부족문제 지원, 장소 지원, 경제적 지원, 협력체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재정적 지원에는 고용문제 지원과 가족지원에 대한 보수교육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 유치원 통합학급에서의 소집단 협동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강다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만 4세 유치원 통합학급에서의 소집단 협동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통합학급에서의 소집단 협동활동은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중 시작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유치원 통합학급에서의 소집단 협동활동은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중 반응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G단설 유치원의 만 4세 통합학급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발달지체 유아 2명이다. 연구를 위하여 발달지체 유아 2명과 비장애 유아 2명이 소그룹을 이루어 본 연구자가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구상한 소집단 협동활동 프로그램을 매주 2회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후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10분간 촬영하여 사회적 시작 행동과 사회적 반응 행동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기초선 기간에는 일어나지 않았던 발달지체 유아들의 사회적 시작 행동과 사회적 반응 행동이 중재가 시작된 후 증가 하였으며, 중재를 마친 후에도 유지되었다. 특히,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은 평소 자유선택활동 및 기타 활동과 연계되어 생활 속에서도 발달지체 유아들과 비장애 유아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 시켰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스스로 활발하게 상호작용하며 어울리기 힘든 발달지체 유아가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구성된 소집단 협동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 이 촉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연구 결과 사회적 시작 행동에 비해 사회적 반응 행동 횟수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발달지체 유아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수준을 고려하고 또래 유아의 사회적 시작 행동에 대한 적절한 반응 행동을 함께 지도하면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반응 행동 또한 증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임을 제언하였다.

      • 활동 중심 삽입교수 중재가 통합된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장지윤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장애유아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자연적 중재 방법의 중요성을 근거로, 활동 중심 삽입교수 중재방법을 사용하여 어린이집 하루 일과에서 진행되는 모든 상황에서 통합된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시행하였다. 발달영역에 전반적인 지체를 보이고 사회성이 낮은 특성을 가지고 있고 장애아통합어린이집 만 3세반에 완전 통합되어 교육을 받고 있는 발달 지체유아 1명의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이 연구는 발달장애유아가 속한 통합 학급 내에서 약 3개월 동안 실시하였다. 10초간 부분간격 기록법을 사용한 상황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다. 기초선 관찰 후에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행동을 가르치는데 효과적인 교수방법으로 제시되는 활동 중심 삽입교수 중재를 활용하여 활동-도표를 작성하고, 학급에서 진행되는 계획된 활동 상황, 유아 주도 활동 상황, 일상적인 일과활동 상황에서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 종료 2주 후에 중재의 유지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 연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시작행동과 반응행동이 중재를 실시한 후 기초선보다 증가하였다. 둘째,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사회적 시작행동과 반응행동이 기초선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활동 중심 삽입교수 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시작행동과 반응행동에 미치는 효과성과 중재를 통해 발달지체유아와 또래 유아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 0~3세 발달지체 영유아 언어중재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경험

        이정은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만 0〜3세 발달지체 영유아의 언어중재 경험이 있는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발달지체 영유아 언어중재 과정에 대한 경험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Giorgi의 현상학적 자료 분석 방법과 Strauss와 Corbin의 3단계 코딩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51개의 의미단위와 18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이들 하위범주를 추상화한 6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도출 된 상위범주 ‘발달지체 영유아와의 첫 만남’, ‘정확한 진단 및 평가를 위한 노력’, ‘의사소통 조기중재 실제’, ‘언어재활사와 보호자의 관계의 경험과 중요성’, ‘중재 과정에서 심리적 부담감과 자부심’, ‘한 단계 더 성장하는 언어재활사’로 최종적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로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재활사들은 영유아기 발달지체 아동과 첫 만남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언어재활사들은 정확한 진단 및 평가를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셋째, 언어재활사들은 실제 임상현장에서 발달지체 영유아의 특성을 고려한 언어중재 전략들을 사용하고 있었다. 넷째, 언어재활사들은 중재 과정에서 나타나는 언어재활사와 보호자와의 관계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언어재활사들은 발달지체 영유아를 중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심리상태를 경험하였다. 여섯째, 언어재활사들은 전문가로서 한 단계 더 성장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참여자들은 언어중재의 행위자인 언어재활사로서 발달지체 영유아를 중재해 본 경험에 대하여 대부분 ‘어려움, 부담감, 힘듦, 막막함’과 같이 의사소통 조기중재 과정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단어들로 표현하며 현장에서의 어려움을 전했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기 발달지체아동’을 대상으로 한 언어중재 과정이 언어재활사들에게 쉽지 않은 영역임을 나타내고 있다. 참여자들은 첫 만남에서 영유아기 발달지체 아동의 주호소에 대하여 첫 낱말 산출의 지체, 의사소통의 의도의 부족, 상호작용 어려움 등의 문제를 언급하였다. 이러한 의사소통 문제는 아동과 가족뿐 아니라 언어재활사에게도 어려움을 느끼게 하며, 중재 과정에 이를 고려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참여자들은 영유아기 발달지체 아동의 언어중재 과정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 보호자와 언어재활사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며, 이를 위해 서로간의 신뢰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보호자에 대한 적절한 부모 개입을 촉진하며 아동의 발달단계와 언어중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부모교육이 언어재활사의 역할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말하였다. 또한, 참여자들은 영유아기 발달지체 아동에 대한 진단·평가 과정은 표준화된 언어발달검사의 한계점과 영유아기 대상자를 위한 언어발달평가 검사 도구의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어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영유아기 언어발달 진단·평가에서 비공식 평가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지만, 비공식 평가의 활용 및 분석 과정과 결과가 언어재활사의 역량에 의해 신뢰성과 타당성이 큰 영향을 받으므로 이로 인한 심리적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고 하였다. 참여자들은 언어중재에 대한 목표 설정 단계에서 ‘기능적인 의사소통’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으며, 효과가 있었던 중재 접근법으로 반응중심 중재(아동중심 중재)과 환경중심 중재를 주로 활용한다고 이야기 하였다. 이와 함께, 3세 미만 발달지체 영유아를 중재하는 것에 있어서 발성이 동반된 구어적 중재만 적용하는 것보다 제스처, 스킨십, 신체놀이와 같은 비구어적 의사소통을 경험할 수 있는 전략을 함께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실제 발달지체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 현장에서는 ‘보호자와 언어재활사의 관계 형성, 발달지체 영유아의 다양한 특성, 치료실 환경, 전문가로서 역량’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들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함에 있어, 본 연구는 ‘영유아기 발달지체’를 중재하는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중재 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그 의미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추후 발달지체 영유아 언어중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언어재활사를 포함한 관련 전문가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소통 조기중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anguage intervention process and derive meaning from The Speech-Language Pathologists'(SLP's) experience of language intervention for 0〜3-year-old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ed.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is process analyzed data collected based on Giorgi's phenomenological data analysis procedure and Strauss & Corbin's three-step coding procedure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a total of 51 semantic units, 18 subcategories, and 6 upper categories that abstracted these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e derived upper categories were 'First meeting of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ed', 'Efforts for accurate diagnosis and evaluation', 'Early language intervention in the actual field', 'Relationship between SLP's and parents: experience & importance', 'Psychological burden and pride due to language intervention', 'Continuous efforts for improving SLP's professionalism'. 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 expression of participants, it is difficult to process language intervention of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ed. Language intervention process for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ed is led by SLP's. SLP's consider various characteristics of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ed and apply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hildren through appropriate diagnosis and evaluation. In add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are provided to parents, and parent intervention is induced. Therefore, The value of this study is that the role of SLP's is very important to succeed in early language interven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specific experiences and information on early language intervention for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ed', and raising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 발달지체영유아 아버지의 가족지원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임경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에서는 발달지체영유아 아버지의 가족지원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설문지와 면담(interview)을 통해 알아봄으로써, 향후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지체영유아 아버지의 가족지원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한 효율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함과 아울러 바람직한 가족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실천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 대상자는 서울, 경기도, 울산에 소재하고 있는 유아특수학교, 특수학교 유치부,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특수학급 및 일반학급, 일반유치원, 일반 어린이집, 장애전담 어린이집, 장애인복지관 조기교육 및 치료실에서 교육받고 있는 만 1세~만5세 발달지체영유아 아버지 2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은 SPSS(ver. 1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첫째, 아버지의 가족지원 인식에 대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 통계분석(평균, 표준편차)을 실시하였다. 둘째, 조사대상자 및 자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원의 인식에 대한 차이를 보기 위해 t-검증과 F-검증(ANOVA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 경우에는 Scheffe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조사대상자인 아버지의 가족지원 내용과 관련된 요구들을 1, 2, 3순위로 기술통계분석한 후 순위별 빈도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장 필요한 가족지원의 요구를 살펴보았다. 면담은 경기도 소재 유아특수학교, 특수학교유치부, 일반 유치원, 일반 어린이집, 장애전담 어린이집에서 교육받고 있는 만 3세~만 5세 발달지체유아 아버지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면담을 통해 얻게 된 내용을 녹음한 자료는 연구자와 보조연구자에 의해 원래의 내용 그대로 전사되었다. 전사된 자료는 연속적 비교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사용하여 부호화(coding)하고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아버지 참여와 교육, 가족지원 서비스 정보, 사회적 지원, 심리․정서적 지원에 대한 발달지체영유아 아버지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아버지 참여와 교육, 사회적지원에 대해서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가족지원 서비스 정보 및 심리․정서적 지원의 경우 낮은 인식을 보였다. 또한, 발달지체영유아 아버지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가족지원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아버지 참여와 교육에 대한 인식은 학력, 직업, 종교에 따라, 가족지원서비스 정보는 직업, 종교에 따라, 사회적 지원에 대한 인식은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심리․정서적 지원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첫째 자녀일수록 아버지 참여와 교육에 대한 인식은 높았고, 가족지원서비스 정보에 있어서는 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사회적 지원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심리․정서적 지원에 대한 인식은 자녀가 여아인 경우 더 높았다. 발달지체영유아 아버지의 가족지원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면 자녀가 현재 혹은 장래에 받을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아울러 장애자녀로 인한 양육의 어려움에 대한 지원을 원하였다. 가족지원 프로그램 방법은 개별상담을 요구하였고, 비장애형제와 관련해서는 형제와 함께하는 캠프지원과 형제를 대상으로 하는 장애이해 교육을 원하였다. 그리고 가족역량강화에 있어서는 가족이 서로 돕는 방법을 배우기 위한 도움을, 가정에서의 자녀교육 및 생활지도와 관련해서는 자녀의 신변자립에 대한 지원을 원하였다. 또한 심리, 사회ㆍ정서적 지원에서는 자녀의 선생님이나 치료사와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시간을 원하였으며, 가정-지역사회 서비스 연계에 있어서는 충분한 교육/보육기관 및 전문가 확대를 요구하였다. 재정적인 보조와 관련해서는 자녀의 교육비 중 치료비(놀이, 인지, 미술, 음악치료 등)에 대한 지원을 요구하였으며, 부모상담은 교육과 교육기관 선택을 위한 상담을 요구하였다. 상담지원을 받고 싶은 기관은 자녀가 다니는 교육기관을, 상담지원을 받고 싶은 전문가로는 특수교사를, 특수교육관련 서비스와 관련해서는 언어치료를 요구하였다. 발달지체유아 아버지를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연속적 비교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 4개의 주제와 16개의 하위주제가 도출 되었다. 도출된 주제는 첫째, 가족지원에 대한 인식 둘째, 가족지원의 지원망 셋째, 가족지원을 저해하는 요소 넷째, 아버지의 요구이며, 4개의 주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발달지체유아 아버지들의 가족지원에 대한 인식은 정보와 교육의 부족으로 인해 대체로 낮게 나타났으며, 아버지들이 가지고 있는 지원망은 장애인 부모모임, 특수교사, 인터넷, 종교 등으로 나타나, 특수교사를 제외하고는 비공식적 지원이 주를 이루었다. 가족지원을 저해하는 요소로는 아버지 역할과 참여의 어려움, 사회적 인식, 체계적 서비스의 부족, 양육휴가 제도의 요소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지원을 위해 단기보호시설 확충, 교육기회확대, 경제적 지원, 비장애 형제에 대한 지원, 상담지원, 자립에 대한 지원을 요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바탕으로 제언하자면 가족지원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과 요구에 대해 폭 넓은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후속연구와 더불어 면담에서 발달지체영아를 포함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버지뿐만 아니라 부모의 가족지원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질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가 나온다면 가족지원의 방향을 설정하거나 정책을 입안하는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주제어 : 발달지체영유아, 가족지원, 아버지의 참여, 아버지의 역할. In this research, surveys and the interviews were performed to discover the perception of familial supports and needs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hopes that, with the findings, we can meet needs for familial supports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by searching for the effective ways and by giving foundation in developing and establishing adequate supports. Two hundred thirty fathers with young children, age one to five, of developmental delays in rehabilitation centers and clinics of early interventi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chools, special education kindergartens, kindergarten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special-ed and regular classes, normal kindergarten, regular day care and disability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Ulsan were surveyed. Statistics were processed through SPSS(ver. 15.0) program. First, descriptive statistics(Mean, Std. Deviation) was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the level of awareness of fathers. Second, t-tesrt and F-test(ANOVA) were used to se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familial supports among different socio-demographics of participants and their offsprings and different educational institutes that they are currently in. Third, the priority of requests was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were ranked as first, second and third. Requests chosen as the first were given more points than the ones chosen as the second or the third ,then the most needed requests were determined. Five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ge three to five in special education daycare center, kindergarten classes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daycare enter, regular kindergarten, and special early education schools in Kyung-Gi province of Korea were interviewed.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scribed verbatim by the researcher and assistants. Then the data was coded and categorized for analysis by adopting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s of research follow as below. First, after surveying perception of fathers' participation, education, familial support information, social supports,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s, Survey results show that fathers had relatively high perception in paternal participation and education and social supports, but low perception in famili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 Secon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familial supports were examined in accordanc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results show as following: The perception of paternal participation and education differs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s, religion and occupation; information of familial supports differs in religion and occupation; perception of social supports differs according to age. However, perception i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 was similar in all groups. The perception of paternal participation and education was high in fathers of the first born child of developmental delays. Perception of information of familial supports didn't show much difference between groups. Fathers of daughters have higher perception of soci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s. In the aspects of request of familial supports from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y requested the information about the service that their disabled offsprings could receive in the current time and in the future, supports to take some burdens off in raising a disabled child, and camping with other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Also in aspects of psychological, social, and emotional supports, they wanted to receive help from their children's teacher; In the aspect of financial supports, they requested supports for therapy (play, art, cognitive, and music therapy); and they wanted a private consultation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 when choosing education and educational institutes for their children. For the stronger family, they wanted support on the methods of helping each other in family. For the special education services, they requested speech therapy. Through analysing individual interviews with fathers of young children of developmental delays by using constant comparative method, four main subjects and sixteen sub-subjects were generated. Generated subjects are: 1 Awareness of familial supports 2. support network of familial supports 3. Factors that hinder familial supports 4. father's requests. Summaries are: The perception of familial supports of fa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with developmental delays were generally low due to the lack of education and information; their support network was mainly informal such as meeting with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ternet and religion. Factors that hinder familial supports were difficulties in fathers' role and participation, social perception and lack of systematical service and parenting leave. For familial supports, they requested more short-term care facilities,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financial supports, supports for non disabled siblings, counseling supports and supports for independence.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s of further research about perception and requests of fathers with more participants with different backgrounds, especially in deeper interview research. Also the results from the qualitative comparison and analysis on fathers' and mothers' perception and requests of familial supports will render stronger foundation in planning and adopting familial supports. Key Subject words: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Familial support, Fathers' participation, Father's role.

      • 발달지체유아 통합교육의 성공요인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강지선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교사의 개인적 배경과 유치원 현황에 따른 발달지체유아 통합교육의 인식 차이와 성공요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공립유치원의 성공적인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체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개인적 배경(연령, 경력, 통합교육경험, 특수교육 관련과목 이수 및 연수 경험)과 유치원 현황(담당학급, 학급 인원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발달지체유아 통합교육의 성공요인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에 근무하는 공립유치원 교사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를 위해 사용한 설문지의 문항수는 개인적 배경과 유치원 현황 6문항,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발달지체유아 통합교육의 인식에 관한 문항 34문항, 성공요인에 관한 문항 11문항으로 Likert 5점 평정 척도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PSS 12.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개인적 배경(교사의 연령, 경력, 통합교육경험, 특수교육 관련과목이수 및 연수 경험)과 유치원 현황(담당학급, 학급 인원수)에 따른 발달지체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발달지체유아 통합교육의 성공요인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역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체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개인적 배경과 유치원 현황에 따라 반응이 차이는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긍정적이었다. 둘째, 공립유치원 교사들은 통합교육의 성공요인으로 행·재정적 지원, 학습체제지원, 교사의 전문성 함양, 지역사회의 협력, 교사의 이해 및 사고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 이들 성공요인이 빨리 충족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발달지체유아 통합교육의 긍정적 효과는 유아기일수록 분명하게 나타나고, 교사가 어떤 인식을 가졌느냐에 따라 통합교육의 효과도 달라진다. 따라서,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 성공요인을 충족시켜서 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모두에게 양질의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하고, 공립유치원은 사립유치원, 어린이집과 달리 초등학교 관리자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확고히 해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관리자들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뀔 수 있도록 노력해서 적극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