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종 반월상연골판 이식술 후에 발생하는 이식물 탈출의 유발인자로서 경골 근위부 골극에 대한 비교 연구

        전병삼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83

        목적: 본 연구에서는 동종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 시 관찰되는 근위 경골의 골극의 제거가 술 후 관찰되는 이식물 탈출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과 단기 임상적 결과의 호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0월에서 2012년 7월까지 슬관절의 동종 반월상연골판 이식술을 받은 환자 323례 중 2 mm이상의 경골 근위부 골극이 있는 88례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35.3세(15-56)이였으며, 이중 남성은 57명, 여성은 31명이였다. 44명은 반월상연골판 이식술과 함께 골극 제거를 동시에 시행하였으며, 나머지 44명은 반월상연골판 이식술 만을 시행하였다. 양 군간의 나이, 체 질량 지수, 반월상연골판 제거술 후 이식술까지의 시간, 그리고 술 전 슬관절 점수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내측 반월상연골판 이식술은 13례(15%), 그리고 외측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은 75례(85%)이였다. 이식물 탈출의 절대값(absolute extrusion, AE)과 상대값(relative percentage of extrusion, RPE)은 반월상연골판 이식술 후 1년 째에 자기공명영상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임상 결과의 비교 평가를 위해 술 후 1년 째에 기록된 변형 Lysholm 점수 체계와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점수 체계를 사용하였다. 결과: 골극을 제거한 군과 제거하지 않은 군의 술 후 1년 째 이식물 탈출 절대값은 각각 3.5±1.5 mm, 5.5±1.6 mm으로 관측되었으며, 평균 상대값은 각각34.1±15.9%, 54.7±20.7%로 관측되었다. 3mm이상의 이식물 탈출 비율은 제거한 군은 28/44(63.6%), 비제거군은 41/44(93.2%)로 나타났다. 양 군간의 이식물 탈출 절대값, 상대값, 그리고 탈출 비율(rate of allograft extrusion)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세 변수 모두 p < 0.001). 하지만 양 군간의 술 후 1년 째 변형 Lysholm 점수와 HSS 점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다 (p < 0.662, p < 0.433). 결론: 2mm이상의 근위 경골 골극의 제거는 동종 반월상연골판 이식술 후에 발생하는 이식물 탈출의 감소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 전층 두께 수직 반월상연골 봉합술의 우수한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 : The outstanding radiologic and clinical outcomes of meniscal repair using the full-thickness vertical mattress technique

        김남기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67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층 두께 수직 반월상연골 봉합술의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가설: 전층 두께 수직 반월상연골 봉합술이 파열 부위의 해부학적 구조를 복원하고 강한 고정력을 제공함으로써 우수한 치유율을 보일 것이다. 재료 및 연구 방법: 2008년 9월부터 2012년 2월까지 본원에서 전층 두께 수직 반월상연골 봉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반월상연골의 전층 두께 수직 봉합을 위해 파열 위치에 따라all-inside 술기와 변형된 outside-in 술기가 선택되었고 후방 1/3의 파열에는 all-inside 술기, 중간체와 전방 1/3의 파열에는 변형된 outside-in 술기가 사용되었다. 수술 후 평균 1년 경과시의 방사선학적 결과는 자기공명영상 검사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임상적 결과는 Lysholm 점수,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점수, Tegner 활동 지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는 최종적으로 65명 (69례)이 포함되었고 평균 연령은 28.9 ± 12.3세, 평균 추시 관찰 기간은 12.6 ± 1.0 개월이었다. 수술 1년 후 MRI상 반월상연골의 치유율은 94.2%였다. 그러나 5.8%는 수숧1년 후 MRI상 치유 실패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평균 Lysholm 점수는 수술 전68.4 ± 17.6점에서 수술 1년 후 92.3 ± 8.9 점으로 증가하였고 평균IKDC 점수는 수술 전67.1 ± 16.9 점에서 수술 1년 후 84.7 ± 10.5점으로 증가하였다. 평균 Tegner 활동 지수는 수술 전3.8 ± 1.5 점에서 수술 후4.6 ± 1.4 점으로 증가하였다. 세 가지의 임상 지수는 모두 수술 전에 비해 수술 1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p < 0.05) 결론: 전층 두께 수직 반월상연골 봉합술의 수술 1년 후 방사선학적 치유율은 94.2%였고 Lysholm 점수, IKDC) 점수, Tegner 활동 지수 모두 수술 전에 비해 수술 1년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볼 때, 전층 두께 수직 반월상연골 봉합술은 우수한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술기이다.

      • 반월상연골 봉합술 후 재활시점에 따른 재활프로그램 적용이 엘리트 스포츠 선수들의 슬관절 근기능 및 기능점수에 미치는 영향

        장지웅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6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unctional capacity of patient who have had meniscus repair and to investigate effect of a 16weeks rehabilitation program on knee function and lysholm score. Sixteen patient divided into two groups, ie; early rehabilitation group(ERG) and 6weeks later rehabilitation group(LRG). ERG participated in the rehabilitation program in two or three days after the surgery. LRG participated in the rehabilitation program in 6weeks after the surgery. Statistical techniques for data analysis were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The significant level of probability was p<.05.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In 60°/sec, 180°/sec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peak torque of the uninvolved knee extensor in ERG(p<.05)(p<.01), whereas, it was no significantly change in LRG. In 60°/sec, 180°/sec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peak torque of the involved knee extensor in ERG(p<.01)(p<.001) and LRG(p<.01)(p<.05). In 180°/sec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peak torque of the uninvolved knee flexor in ERG(p<.05), whereas, it was no significantly change in LRG. In 60°/sec, 180°/sec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peak torque of the involved knee flexor in ERG(p<.05)(p<.01), whereas, it was no significantly change in LRG. In 60°/sec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total work of the uninvolved knee extensor in ERG and LRG(p<.05), whereas, 180°/sec only increase in ERG(p<.01). In 60°/sec, 180°/sec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total work of the involved knee extensor in ERG(p<.05)(p<.01) and LRG(p<.01)(p<.05). In 60°/sec, 180°/sec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total work of the uninvolved knee flexor in ERG(p<.01), whereas, it was no significantly change in LRG. In 60°/sec, 180°/sec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total work of the involved knee flexor in ERG(p<.01), whereas, it was no significantly change in LRG. In 60°/sec, 180°/sec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average power of the uninvolved knee extensor in ERG(p<.05), whereas, it was no significantly change in LRG. In 60°/sec, 180°/sec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average power of the involved knee extensor in ERG(p<.05)(p<.001) and LRG(p<.05). In 180°/sec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average power of the uninvolved knee flexor in ERG(p<.01), whereas, it was no significantly change in LRG. In 60°/sec, 180°/sec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average power of the involved knee flexor in ERG(p<.01), whereas, it was no significantly change in LRG. In 60°/sec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deficient of uninvolved/involved knee extensor in ERG(p<.05) and LRG(p<.01), whereas, in 180°/sec only increase in ERG(p<.01). In 60°/sec, 180°/sec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deficient of uninvolved/involved knee flexor in both group. 2. Lysholm scores after the meniscus repair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p<.01). It would be concluded that an early 16weeks rehabilitation program elicited many positive changes in the patients after the meniscus repair such as improvement of knee function, lysholm score and declining the deficient of the peak torque of the uninvolved/involved knee. The group which participated in rehabilitation program after six weeks, increased but not enough compared with early rehabilitation group. It was concluded that an early rehabilitation program necessary for the patients after the meniscus repair.

      • 단독 외측 반월상연골 동종 이식술의 결과에 관한 고찰

        김창완 인제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85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availability through the study of the results following isolated lateral meniscus allograft transplantation. Subjects and Methods:Thirty-four patients were analyzed for prospectively collected data following isolated lateral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The average duration of follow-up was 43 months (range, 24 to 108 months), and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32.0 years (range, 18 to 45 years). All patients were available for objective follow-up either 2nd look arthroscopic examination (4 cases) or postoperative MRI (30 cases) after 1 year of operation. Lysholm score and HSS score between preoperation and final follow up were performed for clinical evaluation, and either 2nd look arthroscopic examination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ere used for objective evaluation. Als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nalysed. Results:All patients believed that their clinical functions were improved following surgery. Lysholm score and HSS score were statistically improved at the final follow-up. Joint space narrowing of the lateral compartment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with 45° flexion anteroposterior X-ray between postoperative 6 months and final follow-up. In addition, MRI or 2nd lookarthroscopic examination, the objective evaluation following the surgery revealed sound peripheral healing of the meniscus and various signal intensity within the graft in all cases. The articular cartilages of femoral and tibial condyle did not show progression of degenerative changes compared with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The mean graft extrusion was 2.55 ± 1.01 mm (range, 0.65 to 4.64mm). The complications were one case of grafted meniscal tear and one case of anterior horn shrinkage. Conclusions: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encouraging with clinical improvement and objective findings in short- to intermediate-term follow-up. I can conclude isolated lateral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is a beneficial treatment method for the lateral meniscus -deficient knee. Nonetheless, long-term follow-up of larger number of patients would be necessary to assess the effect of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over a long time. 목적:단독 외측 반월상연골 동종 이식술 후 결과를 평가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단독 외측 반월상연골 동종 이식술을 시행한 34명의 환자에 대하여 전향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43개월(24-108개월) 이었고,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32세(18-45세) 였다. 모든 환자에서 술 후 1년 째 2차 관절경 검사(4례) 또는 술 후 자기 공명 영상(30례)과 같은 객관적인 추시관찰을 시행하였다. 임상적 결과의 평가를 위해 술 전 및 최종 추시시 Lysholm 점수와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이하 HSS) 점수를 각각 비교 분석하였으며,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단순 방사선 검사를 이용한 관절 간격의 변화와 2차 관절경 검사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이식물의 생착 여부, 외측 전이 정도, 관절 연골의 퇴행성 변화를 평가하였고, 또한 술 후 합병증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 반월상 연골 손상 후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 패턴이 무릎관절 통증, 관절 가동 범위,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박선자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반월상 연골 손상 후 PNF 패턴 그룹과 보존적 물리치료 그룹이 수술 후 3주간의 적용으로 무릎관절 통증, 관절 가동범위, 근 활성 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09년 12월부터 2010년 2월까지 3주 동안 실험을 이해하고 동의한 60명에 반월상 연골 손상 후 관절내시경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보존적 물리치료 그룹 30명, PNF 패턴 그룹 3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측정은 치료 전, 1주, 2주, 3주 후의 결과를 반복측정 일원분산분석과 독립 T-test로 분석하였다

      • 슬관절 반월상연골 손상에 대한 ^(99m)Tc-pyrophosphate 스캔

        이재형 조선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8638

        The author assessed the accuracy of the radionuclide imaging of the knee with ^(99m)Tc-pyrophosphate for the patients with suspected tear of the meniscus of the knee. Among the 217 cases in which ^(99m)Tc-Pyrophosphate scan was performed, both arthrogram and knee scintigraphy were performed in 102 cases, but only 57 cases were done arthroscopy & arthrotomy to identify the intraarticular lesions. Four types of increased uptake in the scintigraphy were found in 39 of 46 cases that identified the meniscal tear. These pattern were seen with 1) diffuse increased uptake, 2) focal increased uptake, 3) plate-like increased uptake in or near the joint space, 4) diffuse increased uptake with plate-like accentuation. Among 57 cases, 44 of scintigraphy, 46 of arthrogram, 49 cases of arthroscopy were found to the consistent operative findings and their diagnostic accuracy were 77%, 80% and 86% each other.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knee scintigraphy for meniscal tear were 82% and 55%. Patterns of the knee scintigraphy with ^(99m)Tc-Pyrophosphate depended on symptomatic duration and degree of meniscal tear. The author believe that radionuclide imaging may be useful diagnostic tool for meniscal tear as review more number of c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