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념미술 연구 : Joseph Kosuth의 작품을 중심으로

        안유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개념미술은 1960년대 말 기존의 모더니즘에 반기를 들며, 광범위하고 다양하게 전개된다. 기존의 작품인 대상, 즉 오브제보다는 아이디어나 과정을 중요시하게 생각하는 개념미술은 일반적으로 마르셀 뒤샹의 레디메이드에서 출발점을 찾는다. 예술가의 관념에 따라 일상적인 오브제가 예술적인 문맥 속에서 존재 할 수 있음을 강조한 뒤샹의 이러한 예술적 도전정신은 개념미술의 미술사적 배경으로 엿볼 수 있으며, 이후 현대 미술의 자유롭고 다양한 작업의 전개와도 연관되어 진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미니멀리즘이 유행한 이후에 확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술로 개념미술의 출발은 미니멀리즘과 개념미술이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변화하는 시대에 맞서는 연장선의 과정으로 보았다. 개념미술은 시각적인 대상의 작품보다는 개념, 아이디어를 중요시하는 비물질화의 주된 특징으로 다양한 재료와 형태 등으로 예술의 폭을 넓혔다. 본 논문에서는 개념미술의 미술사적 배경과 철학적 이론 등을 살펴보고, 개념미술의 작가인 코수스의 전기, 후기 그리고 이후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하여 개념미술과 코수스를 연구한다. 조셉 코수스는 개념미술의 선두주자의 한사람으로서 개념미술의 이론정립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 작가이다. 뒤샹의 레디메이드와 논리실증주의 그리고 비트겐슈타인의 언어분석철학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그의 예술관은 현대 미술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그에게 있어서 언어는 작업의 중요한 수단이자 매체로 사용되어 진다.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코수스의 작업은 언어의 본질을 탐구한 분석적 시기로 볼 수 있으며, 1980년대 이후에는 기존의 이미지나 텍스트를 반복, 복제, 반전으로 하여금 차연의 컨텍스트를, 덧쓰기 작업을 통한 흔적과 삭제의 인터텍스트의 작업을 통한 해체적 시기로 진행된다. 다음으로 코수스는 언어설치작업을 통하여 미술관과 관람자 사이를 연결하는 중재자역할로서의 작품을 시도한다. 이러한 그의 도전은 그의 작품을 일방적이기 보다는 관람자를 작품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끔 하여 관람자와 작품사이를 중재하는 것이다. The conceptual art is shown with wide rage and as diverse shapes, being against the existing modernism in 1960. The conceptual art considering the idea or process is more important than the objet, targets of the existing works were normally thought to be started from The Ready-Made of Marcel Duchamp. This artistic challenging mind of Duchamp who stressed that objet in living lives can be exist in artistic contexts, according to the thought of artists can be seen as the background of the conceptual art. Also, this is related to development of diverse and free works of modern arts after that. In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ceptual art's start isn't separated from Minimalism but is on the course of expanded line, coming along with changing era as the art which occur when Minimalism was expanded after it is on vogue. The conceptual art widened the rage of arts to diverse materials, shapes and so on which is the main feature of de-materialization, thinking the concept and idea are more important than visual works. The artistic background and philosophical theory and so on will be discussed and, it will be studied about the conceptual art and Kosuth by focusing on the former term, the latter term of Kosuth, an artist in the conceptual art, and works after that time, in this study. Joseph Kosuth is an American artist who affecting on making theory of that as one of the front-runners in the conceptual art. His thought on arts affected from Duchamp's the Ready-Made and logical positivism and the philosophy analyzing languages of Wittgenstein can be thought as a meaningful one to the modern arts. Also, language is used as an important tool of works and mediates for him. Works of Kosuth, from 1960s to 1970s, can be considered as the term that analyzing the essence of languages. The works, after 1980s, have been progressed, as the dismantlement time, by repeating, copying, reversing the existing images and texts through inter-text works of traces and deletion, through works covering contexts of natures. As a next one, Kosuth made works to make those mediators connecting art galleries and spectators through the work installing languages. These challenges make spectators positively participate in the works rather than just see them. Therefore, he could mediate art galleries and spectators.

      • 사회정의 교육을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고학년 개념미술 지도 방안 연구 :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정요람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최근 사회적 연구 결과 및 언론 보도에 따르면 사회정의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와 갈망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는 사회정의의 부재, 즉 사회적 불평등과 불의를 사람들이 몸소 체감하고 있다는 것에 대한 반증일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우리 교육 현장에서는 사회정의 교육에 대한 적용이나 연구가 폭넓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우리는 1960년대 미국을 중심으로 등장한 개념미술이라는 현대미술의 한 흐름에서 오늘날의 시대적 요구와도 유사한 사회참여적 가치를 읽어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아직 사회정의 미술교육을 다루는 내용이 적용되지 않았으며, 개념미술을 다루는 내용 또한 충분치 않은 실정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교육적 필요성에 의하여 사회정의 교육을 사회정의 교육을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고학년 개념미술 수업 지도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정의 교육을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고학년 개념미술 수업 방안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Ⅱ장에서 사회정의 교육과 개념미술에 대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듀이의 진보주의 교육철학, 1960년대 미국의 쟁점중심교육, 프레이리의 비판교육학 등의 영향을 받아 탄생한 사회정의 교육의 필요성과 의의에 대해 알아보고, 사회정의를 위한 미술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개념미술의 등장배경 및 특성, 대표작품 등을 알아보고,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개념미술의 적용 사례를 분석하였다. Ⅲ장에서는 사전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구 참여 학생의 성향 및 지도 방향을 설정하였고, 아트 프로펠 수업절차를 분석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수업 단계를 구성하였다. Ⅳ장에서는 앞서 Ⅱ장의 교육과정 분석 내용과 Ⅲ장에서 수립한 수업 계획을 토대로 경기도 G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3주간 적용한 결과를 정리․분석하였다. 수업은 총 16차시로 2차시는 수업 안내, 14차시는 정의를 실천하는 주체를 나-너-우리의 범주로 나누어 각각의 주체 범주를 중심으로 세 번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수업은 ‘열 세 살의 나의 모습에서 찾는 정의’로 아동의 인권과 행복을 주제로 개념미술 관련 활동을 진행하였다. 두 번째 수업은 ‘내 곁의 너를 지켜주는 정의’로 타인의 편견과 차별을 주제로 개념미술 관련 활동을 진행하였다. 세 번째 수업은 ‘우리 모두를 위한 정의’로 다양한 사회적 문제에 요구되는 정의를 주제로 그룹별 협동 작업으로 운영하였다. Ⅳ장에서는 수업 구조도, 교수․학습 과정안을 통해 수업의 흐름을 먼저 제시하고, 실제 교수․학습에 적용한 결과를 학생 작품계획서, 현장대화록, 학생 작품, 학생 소감문 등을 분석하였다. 사회정의 교육 기반 초등학교 고학년 개념미술 수업 방안을 통해 얻은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즉 미술 교과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관심과 흥미가 높아진 원인은 다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체험 영역적으로는 자신의 작품이 일상 공간에 전시되고 관객들의 소통한다는 점에서 성취감과 만족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표현 영역적으로는 개념미술적 표현 방식이 기존의 사실적 표현 중심 수업에 익숙해져 있던 학생들에게 새로운 자극이 되었다. 문자를 중심으로 표현하는 점이나, 이미지와 조합할 수 있는 점, 문자의 구성이나 배치를 조형적으로 고민하여야 하는 점 등이 학생들에게는 미술 활동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하는 계기가 되었다. 감상 영역에서는 사회정의에 대한 주제와 개념미술적 표현 방식이 만나 상승효과를 거둔 경우다. 감상 활동에서 느낀 점을 수용하여, 이후 수업의 체험 영역이나 표현 영역 활동에 반영하는 모습 또한 미술 교과에 대해 학생들의 변화된 태도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사회정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효과가 나타났다. 정의에 대해서 막연하게 ‘남을 돕는다’는 개념을 갖고 있던 학생들이 인권, 환경 등 구체적인 주제를 스스로 계획하고 표현하며 감상하는 과정을 통해서 사회정의에 대한 능동적 경험을 한 것이다. 이를 통해 각자의 삶 속에서 정의의 의미와 필요성을 깨닫고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가 생겨났다. 사회정의 교육 기반 초등학교 고학년 개념미술 수업은 사실적 표현 중심의 표현 영역 수업과 현대미술로 인해 확장된 미술의 개념과 범위를 폭넓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감상 영역 수업에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개념미술적 표현 방식은 이전에 학생들이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표현 방식과 감상 방식으로서 미술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자신감을 고취시켜준다. 또한 자신의 삶 속의 다양한 문제를 작품으로 반영할 수 있는 사회정의 미술교육의 특성으로 말미암아 학생들이 미술 활동에 능동적인 태도로 참여하는 계기를 마련해줄 수 있다.

      • 개념미술의 표현매체와 유형별 작품연구

        이연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31

        ‘100명의 작가가 있다면 100개의 미술양식이 있다‘고 할 정도로 오늘 날의 미술작품들은 저마다 독특한 표정과 목소리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다양성은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로 불리는 오늘 날의 특성이며 이에 관람자들은 과거에 비해 훨씬 많은 작품경향들을 향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단순히 조형적 특성과 형식의 다양화만이 아닌 작품의 ‘아이디어’를 근본으로 한다. 뒤샹 이래로 많은 작가들은 작품의 아이디어에 관하여 탐구하였고, 이 중 개념미술은 그 핵심적인 미술운동이다. 개념미술은 예술에서의 사고를 중요시하였고, 미술에 대한 본질을 새로 해석하기 시작했다. 1960년대 개념미술이 등장한 이래로 장르의 경계는 무의미해졌고, 작가의 아이디어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었다. 개념미술가들은 미술의 본질, 미술과 대중, 미술제도, 미술 실천 등과 같은 실험을 통해 그들의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개념미술에서는 조형적 요소가 중심이 된 물질 중시의 미술경향에서 벗어나 일상과 대중은 물론 사회·정치·제도의 문제로까지 그 범위를 확대해나갔다. 이처럼 개념미술은 단순히 조형미술의 범위에 국한되지 않고 참여와 행동을 수반하는 능동적인 미술운동이었다. 뿐만 아니라, 개념미술과 그 이전의 미술경향의 차이점은 매체에서도 나타난다. 개념미술에서 ‘아이디어’는 사진과 언어 및 비디오, 영화, 퍼포먼스·신체, 포스터, 책자 등과 같은 매체를 통해 전개된다. 이러한 개념미술의 표현매체는 단순히 재료로서의 의미를 넘어서, 작가의 아이디어를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내며 그들의 미학적 관념을 반영한다. 이처럼 매체의 범위와 개념에 대한 확장된 시각은 개념미술 이후의 많은 미술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쳐 그들의 작업이 보다 지적이고 비물질화 되는 계기가 되었다. 개념미술의 매체는 오늘 날에도 여전히 활발히 사용되어지고 있고, 매체 분석은 현대미술을 이해하는 데 있어 하나의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여러 미술사가와 연구자들의 문헌을 기초로 하여, 개념미술 작가들이 사용한 표현 매체를 통해 그들이 추구한 새로운 미술운동의 방향을 알아보고 그것이 작품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는 아이디어, 시각적·언어적·복합적 매체라는 큰 유형에서 작품을 분류하여 작가와 작품을 분석해보았다. 이를 통해 같은 유형의 매체를 사용하였음에도 각 작가별로 그 개념에 따라 제시하고자 하는 문제와 그 표현방식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미술에서 아이디어 접근 방식의 다양성과 현대미술에의 영향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개념미술에서 표현매체의 변화와 확장에 대해 알고, 그에 따른 작품 감상을 통해서 개념미술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미술 감상자들로 하여금 개념미술을 이해하게 함으로써 미술에 대한 열린 시각을 도모하고, 흥미를 고취시키는 데에 그 정당성이 있다. Each art work of today possesses the unique expression and voice of its own to even coin the phrase, "If there are 100 artists, there are 100 art forms." Such diversity is a characteristic of today which is called post-modernism era, and because of it, audiences came to enjoy many more work trends compared to the past. This is not just about the diversity of simpl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forms but is based on the "ideas" for art works. Ever since Duchamp, many artists have explored the ideas for art works, and the conceptual arts among them are the core art movement. The conceptual art emphasized the thoughts in arts and started to re-interpret the nature of art. Since the appearance of conceptual art in 1960s, the boundaries between genres have become obsolete, and the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idea of an artist. The conceptual artists suggested their ideas through experiments such as the nature of art, the art and the public, the art system and the practice of art. In the conceptual arts, escaping from the art trends of materialism with the focus on the formative elements, the range has been expanded to not only the daily life and the public but also to the problems in society, politics and systems. Thus, the conceptual arts were not simply limited to the range of formative arts but were an active art movement accompanied by participations and actions.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ceptual arts and the previous art trends was present in media, too. In the conceptual arts, the idea is developed through media such as photographs, languages, videos, movies, performing bodies, posters and books. In the conceptual arts, the media transcend the meaning as the simple materials to represent artist's idea most effectively and to reflect their aesthetic notion. Thus, the range of media and the expanded view about the notions became the opportunity for their works to be more intellectual and immaterialized by affecting many artists since the introduction of conceptual arts. The media for conceptual arts are still actively used today, and the analysis of media works as an important standard in understanding the modern arts. Accordingly, through the expressive media used by conceptual artists based on the literatures of various artists and scholars,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ion of new art movement which they pursued and explored what role it is playing in art works. In addition, under the large patterns of idea, visual, linguistic and mixed media, art works were classified, and the artists and their works were analyzed. Through this, the suggested problems and the expressive methods were found to be different for each artist despite using the media of same pattern. Furthermore, the diversity in idea approach methods and the effects on the modern arts were confirmed in the arts. The implications for this study are in comprehending the change and expansion of expressive media in the conceptual arts and understanding the conceptual arts through the appreciation of art works based on such knowledge. Also, the justification for the study lies in promoting open views and the inspiring the interests in arts by making art appreciators to understand the conceptual arts.

      • 設置美術에서 공간의 再解析 : 개념미술적 견해를 중심으로

        정하영 전북대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As a general art form that has attempted to restore the absolute relationship between works of art, audiences and artists who have been separated in traditionally, in which life and art have been distinguished, one can think of 'installation art' that designates an exhibition method to construct the given entire space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modern works of art. It has been a tendency in modern art, a reflection of new spirits and a new formative expression, and it has narrowed the gap between art and daily life and raised the aesthetic values of a spatial scope and expanded the concept of genre in art by the harmony of human beings, art and environment and the new recognition in space. Along with this installation art, the avant-garde atmosphere in the 1970s that rejected the commercialization of art has let artists search for the possibility of conceptual and irreproducible works and put more emphasis on concept than form. Therefore,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n the meaning of space in the installation art via conceptual artistic approach, artists have started off to ask a question for the origin of installation art in modern art and have focused on the space as a place of conscious communication through the expansion of cognizance. The mutual interaction in installation art has been acquired by audiences' mutual response to the works through the process of their affecting the form and content of media environments. Today's mutual interaction does not confine the role of audiences as those who appreciate works of art passively, but let them participate actively in the process of creating works of art. The efforts to think of the role of audiences as differently from before and to make new possibilities form a point of new dimension where art and human beings (that is, audiences) join and they create a 4-dimensional space in installation art. Namely, installation art exists not only as thought and concept, but also it has to exist for the communication with people who enjoy the meaning of life. In this process, the reinterpretation of space through conceptual artistic approach is meaningful, by lea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ences and works to a place of more active and maximized communication and by expanding the experiences of the said relationship into a two-way direction that is connected with the satisfaction of communication. In order for works and audiences to communicate mutuall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laces of communication more actively and to utilize various expression media such as language, photos, media and so on to let them 'experience' works from a broad perspective; meanwhile, art and art works that penetrate the outside of gallery centers or people's actual lives as an expansive meaning of space result in coming also into the urban environment and public space. The scope of such mutual interaction does not simply remain in the primary relationship between audiences and works, or between artists and audiences, but expands to the true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as well as the quest for inner self, others and society. Besides, by actively accepting the subsequent cultural changes and phenomena, it suggests a new change in terms of the future artistic concept, artists' creation and activity methods. Therefore, mutual interaction will be developed as a process of thought that makes us to think what effects it will have on our lives and culture beyond experiences and will become a place of communication that we truly desire. 현대미술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삶과 예술을 분리해서 보는 전통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서로가 분리되어 왔던 예술작품과 관객, 그리고 예술가의 절대적 관계를 회복시키고자 하는 총체적 예술로서 공간 전체를 조형화하는 전시의 하나의 방법을 지칭하는 ‘설치미술’을 들 수 있다. 이는 현대미술의 한 조류이자 새로운 정신의 반영으로서 또한 새로운 조형적 표현으로서 예술과 일상생활의 간격을 좁게 하고 인간과 예술, 그리고 환경의 조화로운 합일과 공간의 새로운 인식에 의해서 공간 영역의 미학적 가치를 높였으며 미술의 장르개념에 있어 확장을 가져왔다. 이러한 설치미술과 함께 예술의 상품화를 거부하던 1970년대의 전위적인 분위기는 개념적이고 일회적인 작품의 가능성을 찾아왔으며, 형식보다는 개념을 중요시하게 된다. 그러므로 개념미술적 접근을 통한 설치미술에서의 공간의 의미에 대해 재해석해 봄으로서 오늘날 현대미술 속에서 설치미술의 근본에 대한 물음에서부터 시작한 인식의 확장을 통한 의식적 소통의 장으로서의 공간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설치미술 안에서의 상호작용성은 관객이 매개환경의 형식과 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통해 작품과 교감하는 작용을 말한다. 오늘날 상호작용성의 특징은 관객의 존재를 수동적인 작품의 감상자의 차원에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작품 창조의 과정에 적극 참여시킨다는 것에 보다 중요한 의미가 있다. 관객을 이전과는 다른 차원의 위치로 설정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 내려는 노력은 예술과 인간 곧 관객이 합류하는 새로운 차원의 지점을 형성하며 설치미술에 있어 4차원의 공간을 형성하게 한다. 결국, 설치미술이란 사고와 개념만으로 존재하는 게 아니라 함께 삶의 의미를 향유하는 사람들과의 소통을 위해 존립해야 하므로 이를 통해 관객과 작품과의 관계를 더욱 적극적이고 극대화된 소통의 장으로 이끌어내고, 관계의 체험이 쌍방향으로 확장되면서 소통의 만족성으로 이어지게 되기까지 개념미술적 접근을 통한 공간의 재해석은 중요한 의미로 볼 수 있다. 작품과 관객이 상호 소통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적극적으로 소통의 장을 넓히고 관객으로 하여금 폭넓게 작품을 ‘경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언어, 사진, 미디어 등 다양한 표현적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또한 공간의 확장적 의미로 미술관 밖 또는 삶의 현장으로 침투한 미술은 도시환경, 공공 공간으로까지 유입되게 되는 결과까지 낳게 된다. 그러한 상호작용의 범위는 관객과 작품, 혹은 작가와 관객과의 1차적인 관계에 머무르지 않고 자아의 내면 탐구에서 시작해 타인과 사회, 더 나아가 세계와의 진정한 소통으로까지 확장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그에 따른 문화적 변화와 현상까지도 적극 수용함으로서 앞으로의 예술 개념과 예술가의 창작방식, 그리고 활동방식에까지 새로운 변화를 제시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호작용성은 체험을 넘어서 그것이 우리의 삶과 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생각하게 하는 사고의 과정으로까지 발전하게 되며 진정 우리가 원하는 소통의 장을 이루게 될 것이다.

      • 언어와 사진을 매체로 한 개념미술의 유형적 분석 : 조셉 코수스와 브루스 나우먼을 중심으로

        김윤미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831

        작품의 아이디어나 제작과정이 예술이라고 생각하는 개념미술은 일반적으로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이 직접적 영향을 주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이후에 개념미술이 나오게 된 것으로 자본주의의 팽배로 상업화되는 예술시장에 대한 상품으로서의 예술에 대한 반발로 개념미술이 시작된 것이라 말할 수 있다. 그리하여 뒤샹을 개념미술의 출발점으로 보고 개념미술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개념미술은 전통적 미술의 형식미학에 대한 부정으로서 새로운 아이디어의 개발과 미술이 본질을 추구하고자 하는 경향으로 물질적 대상물로서의 작품보다는 그것을 위한 의도로서의 아이디어를 중시하는 비 물질화, 비대상화의 시도가 주된 특징으로 나타나며 개념미술에서 사용되어 왔던 방법적 매개체들인 언어와 사진, 텍스트, 신체, 영상, 문자, 비디오, 영화 등과 함께 대거 수용되어 예술의 폭을 넓혔다. 그 후 수많은 작가들은 새로운 예술로서 궤도와 본질과의 관계를 개념미술을 통해 비물질적 특성을 바탕으로 제시하게 되었다. 개념예술은 오브제(object)보다 관념을 매우 중요시 한다. 그들은 전통적인 예술 오브제 즉, 물질성에서 탈피하기 위해서 비 물질성인 언어를 주요 매체로 사용한다. 이들은 언어학, 언어철학에 바탕을 두고 철저하게 관념을 위한 예술을 시도하기도하였다. 현대미술이 시장과 밀착되어 상업적이고 소비 문화적 양상으로 빚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미술이 그러하게 되지 않도록 본질적인 물음을 상기시킬 수 있게 한 처음 시도가 개념미술이다. 다원화된 오늘날 현대미술에서 개념미술은 비물질적 특성을 처음 제시하였고 따라서 작품에서는 가장 본질적인 것 ‘개념’ 즉 ‘Idea’자체가 미술작품 속에 항상 내재하도록 방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개념미술의 비물질적 특성이 주는 메시지를 더욱 물질화되어가는 현 시대의 반성지침으로 삼아 새로운 미술의 가능성을 다시금 제시할 것을 기대하며 이 논문을 쓰게 되었다. My starting point is the artist Marcel Duchamp who is, it can be argued, the originator of conceptual art, which can be defined as works whose conception and creative process are as important as the objects themselves or lack thereof. Conceptual art can also be said to be a reaction against the art market, commercialism, and capitalism. Since its beginnings, conceptual art has sought to express the essence of art and new ideas that confront the formalist aesthetic of more traditional modern art. Its primary expressive meanshave been objectivity, immateriality, and ideas situated at the heart of an artistic intention that counts more than the artwork itself as material object. Conceptual art has stretched the limits of art by exploiting language, photography, text, the body, writing, video, and cinema. More recently , many conceptual artists have been expressing the immaterial relation -ship between essence and process as a means to a new art. In conceptual art, since the concept is more important than the object , conceptual artists primarily exploit language in its immateriality in order to avoid the materiality of the traditional object. They make references to semiology, linguistics, and the philosophy of linguistics in an effort to change art into an absolute concept. Contemporary art on the art market is becoming just one more comme rcialized cultural object for well-heeled consumers. One of conceptual art's objectives is to bring art back to its essential existence as a noncommercial object. In the pluralistic art world of today, conceptual art expresses art's immateriality. It emphasizes the idea as the essence of the artwork. I have written this thesis with the hope that conceptual art's immateriality can be a guiding principle for a lifestyle that rejects our increasingly materialistic times. I also hope that such a guiding principle will suggest possibilities for a new art.

      • 퍼스(C. S. Peirce) 기호학의 삼항구조에 따른 개념미술의 텍스트적 특성 연구

        이선기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개념미술은 1960년대 미술 사회의 형식주의적 분위기에 반하여 작품의 내용적 측면을 중심으로 표현하는 작업 경향으로 대두되었다. 개념미술은 아이디어나 작가의 의도 표현을 위하여 기존의 재현적 방법을 지양하고, 비물질적인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독창적인 아이디어나 작품 과정을 중요시했다. 이러한 개념미술에서 주요한 매체로 활용된 텍스트는 가시화하기 어려운 개념을 관람자에게 비교적 익숙한 소통 수단으로 명료하게 나타낼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개념미술가들에게 그 유용성을 인정받았다. 개념미술에서의 텍스트는 작품에서 시각적 기호의 역할과 언어적 기호의 역할이 혼재된 특성을 보이며, 이러한 복합적인 기호 작용으로 관람자는 작품을 감상하고 의미를 해석한다. 이러한 이론을 근거로 본 논문에서는 개념미술의 전반적 특징을 고찰하고, 퍼스의 기호학적 삼항 구조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개념미술 텍스트의 작품 사례를 분석하여 개념미술의 텍스트적 특성이 가지는 예술론적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2장에서는 개념미술의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고, 퍼스의 기호학적 삼항 구조와 그에 따른 유형에 대하여 이해하고자 했다. 개념미술은 1960년대 반문화 중심의 서구 사회를 배경으로 탄생하였다. 이는 내용적 측면을 강조하여 비재현적이고 비물질적인 표현으로 새로운 미술 형태를 보였다. 이에 텍스트 역시 개념미술의 표현에서 주요한 매체로 다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퍼스는 감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기호 자체를 뜻하는 표상체와 기호가 나타내고자 하는 대상인 대상체, 그리고 표상체를 통하여 대상체를 해석하는 관념인 해석체 세 가지의 삼항 구조를 제시했다. 기호 작용의 과정에서 해석체는 새로운 표상체로 작용하여 무한한 기호 작용을 일으키는 것이 기호 작용의 본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퍼스의 기호학을 통한 개념미술에 대한 접근의 필요성은 첫째, 미술 작품을 기호로 보고 작품의 감상 과정을 그에 따른 기호 작용으로 보면서, 기호와 기호 작용에 대한 분석으로 텍스트의 문해력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에 있다. 둘째, 퍼스의 무한한 기호 작용의 이해를 바탕으로 텍스트의 다양한 해석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에서 접근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퍼스의 기호학적 삼항구조에 따른 개념미술의 텍스트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개념미술의 텍스트와 이미지의 관계에 대하여 차별화론과 유사론, 중재적 입장에서 고찰했다. 개념미술의 텍스트가 작품에서 시각적 기호의 역할뿐만 아니라 언어적 기호의 기능을 수반하는 혼재적 관계를 가지는 것에 대하여 이해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념미술의 텍스트적 특성의 네 가지를 알 수 있었는데, 첫째는 타이포그라피적 특성으로 인하여 언어적 기호 작용과 시각적 기호 작용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성격이다. 둘째, 시각적 특성과 언어적 특성을 의도적으로 운용하여 나타내는 유희적 성격이다. 셋째, 작품에서 모방에 의한 재현적 표현이 아닌 텍스트로 표현한다는 점에서의 비재현적 성격이다. 넷째, 관람자가 텍스트를 시각적으로 보는 동시에 언어적으로 읽고 작품의 의미를 파악한다는 점에서 관람자의 읽기 행위를 통한 소통적 성격이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개념미술의 텍스트에 대하여 퍼스의 삼항구조에 따라 표상체와 대상체, 해석체로 접근하여 작품을 분석하였다. 텍스트를 작품의 전면에 다룬 브루스 나우먼(Bruce Nauman, 1941∼)이나 조셉 코수스(Joseph Kosuth, 1945∼), 에드워드 루셰(Edward Rucha 1937∼)의 작품을 대상으로 텍스트적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작품에 표현된 텍스트의 기호 작용을 해석하여 앞서 알아본 텍스트적 특성이 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퍼스의 기호학적 삼항구조로 접근한 개념미술의 텍스트적 특성의 예술론적 의의를 도출하였다. 그 의의로는 첫째, 텍스트의 기호적 성격을 활용하여 반전통적 미술 개념을 정립했음을 알 수 있었다. 비재현적인 매체인 텍스트를 활용하여 전통적인 미술 개념에 대하여 의문을 제시하고 개념미술에서 반전통적인 미술 개념을 정립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호적 텍스트의 해석 작용을 이용하여 작품의 의미를 확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텍스트를 사용하여 작품 내용을 직접적으로 전달하여, 관람자와 작품의 소통 능력을 강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개념미술의 텍스트적 특성에 대하여 퍼스의 기호학적 삼항구조의 접근에서 그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The conceptual arts emerged as the working trends for contents-centered expression against the formalism tendency of 1960s' art community. The conceptual arts maintained expression of authors' intentions with suspending the previous representing ways, used diverse non-material media, and emphasized unique ideas or working processes. Text, which was utilized as important media in conceptual arts, was recognized its utility in that it can make the concepts difficult to make invisible appear easily to audiences by using relative familiar communication tools for audiences. Texts in conceptual arts show the properties in which the role as visual symbols and the role as linguistic symbols are mingled each other. Through these complex acts of symbols, audiences appreciate art works and interprete their meanings. Based on this theory, this paper purpose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nceptual arts in general and consider the aesthetic implications that textual properties of conceptual arts contain, by analyzing the cases of works with conceptual artistic texts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 semiotic triadic system of Charles Sanders Peirce. For this purposes, in the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onceptual arts is considered, and the semiotic triadic system of Peirce and the types according to it are tried to be understood. Conceptual arts were born on the set of the western society in 1960s when anti-culture was focused on. They emphasized the views of contents and showed new forms of arts through non-representational and non-material expressions. So, texts were also treated as important media in the expressions of conceptual arts. In addition, Peirce suggested semiotic triadic system, consisting of 'representation' that is a symbol itself that can be sensibly perceived, 'object' that is the object of the symbol, and 'interpretant' that is the concept to interpret the object through the representation. In the process of symbols acting, it is the essence that interpretants act as new representations and cause infinite symbolic acts. The necessity to approach to conceptual arts through Peirce's semiotics is found first in tha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literacy of texts by analyzing a symbol and the symbol's acting, seeing an art work as a symbol, and appreciation of it as the symbol's acting. Second, the necessity is also found in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possibility of varied interpretations of texts based on understanding of Peirce's infinite semiotic acts. In the chapter 3, the textual properties of conceptual arts according to Peirce's semiotic triadic system is analyze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s and images of conceptual arts is considered from the views of differentiation, similarity, and media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texts of conceptual arts have mixed relationships, entailing the roles as visual symbols as well as linguistic symbols. Based on that, the four textual characteristics of conceptual arts are found. First, because of their typographical characteristics, linguistic symbolic acts and visual symbolic acts are complexibly done. Second, entertaining characteristics appear by complexibly dealing with visu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Third, non-representational characteristics from the view of textual expression, not by representational expression by imitation. Fourth, communicational characteristics from the views of audiences who appreciate art works by both visually seeing and linguistically reading texts. About the texts of conceptual arts which have the characteristics as above, the art works are analyzed by approaching to representation, object, and intepretant, according to Peirce's semiotic triadic system: The art works of Bruce Nauman(1941~) Joseph Kosuth(1945~), or Edward Rucha(1937~), who brought texts on the forefront of there works are examined about their textual characteristics. By interpreting the symbolic acting of the texts expressed in the works, the textual characteristics as explained above were being manifested. In the chapter 4, based on the analysis in the chapter 3, the aesthetic implications of textual characteristics approached from semiotic triadic systems of Peirce are drawn out. The first implication is that anti-traditional art concepts using symbolic properties of texts were established. Using texts as non-representational media, traditional art concepts were questioned and anti-traditional art concepts were established based on conceptual arts. Second, using interpreting acts of symbolic texts, the meanings of the art works were broaden. Third, by delivering directly the contents of the works by using texts, communication ability with audiences was fortified. Therefore, the textual characteristics of conceptual arts can be understood by approaching from the view of the Peirce's semiotic triadic system.

      • 개념미술의 사례를 적용한 수업방안 연구

        윤유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미술교육은 사회 문화와 미적 경험에 영향을 받는 교육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미술교육은 시대와 역사, 사회의 변화에 맞게 연구되고 실천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미술교육은 전통적 미술의 특징 중 하나인 결과물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이어져 왔으며, 이러한 표현중심 위주의 미술교육은 자칫 표현능력이 부족한 학생들로 하여금 미술에 대한 거부감을 가지게 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표현능력이나 작품의 형태보다는 아이디어나 과정에 더 많은 비중을 두는 개념미술을 적용한 수업방안을 연구하였다. 개념미술은 물질적 대상물로서의 작품보다는 그것을 위한 의도로서의 아이디어를 중시하는 시도가 주된 특징으로 나타난다. 결과물로서의 ‘작품’이 아닌 작가의 의사나 과정 등을 강조하였고, 어떤 활동이나 아이디어가 회화나 조각형태로 구체화 되어 나타날 필요 없이 그 자체를 잠재적인 미술작품으로 보았다. 또한 아이디어, 언어, 사진 등 다양한 매체들이 대거 수용되어 예술의 폭을 넓혔다. 아이디어는 시각적으로 형용할 수 없는 그야말로 ‘개념적인 것’으로 개념미술에서 핵심적 동기로 작용하였다. 또한 언어를 가장 근본적인 표현 형태로 생각하여 그 자체를 작품 속에 등장 시켰고, 아이디어의 확장을 위한 도구이자 비물질적 매체로서 사진을 선택하였다. 이런 매체들은 하나의 방식만으로 표현 된 것이 아니라 여러 방법과 다양한 미술철학 및 이론의 결합으로 작가의 아이디어를 지키고 표현되었으며, 표현 매체들이 어떠한 하나의 흐름으로만 설명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는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 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개념미술의 발전적 요소들인 아이디어, 개념, 일상생활들을 적극적으로 끌어 들임 으로서 오늘날의 예술영역을 보다 포괄적, 단계적으로 확대, 발전시키는데 핵심적 역할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언어와 사진의 관계를 통한 수업방안을 연구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에 효과적인 이론인 개념미술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개념미술의 전개와 특징, 표현 매체에 대해 알아보고 그중 에서도 언어와 사진을 활용한 개념미술에 영향을 받은 작가들인 조셉 코수스, 존 발데사리, 존 힐리어드, 바바라 크루거의 표현방식과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특히 실제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본인이 직접 수업한 수업결과물로 수업 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정·보완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함 으로서 미술 교육에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Art education is influenced by social culture and aesthetic experience. Therefore, art education should be studied and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times, history and social changes. However, art education has tended to emphasize the outcome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rt and such type of expression-oriented art education is likely to induce repulsive feeling to those students who do not have sufficient expressive ability. Thus, the present researcher, applying studied a teaching method which conceptual art is applied to and emphasizes the ideas or process greater than the expressive ability or form of the work. Conceptual art is characterized by the attempt to place greater emphasis on the ideas as an intention rather than the work itself as a materialistic object. It stresses the artist's intention or process rather than the work itself as an outcome and regards a certain activity or idea as a potential artistic work without necessarily being substantialized into painting or sculpture. In addition, various mediums such as idea, language and picture are accepted to expand the range of art. Idea is something literally 'conceptual' that cannot be visualized, which is the key motive in conceptual art. In addition, conceptual art regards languages as the most fundamental expressive form and use them in the work. It also chooses picture as a means of idea expansion and non-material medium. These media are not expressed with only one method but represent and express the artist's ideas by combining various methods with many different art philosophies and theories. They are not explained by one trend but can be classified variously depending on the explanation method. What is most important is that conceptual art actively introduces its constructive elements such as ideas, concepts and everyday life to play the key role in more comprehensively and gradually expanding and developing the current artistic areas.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teaching metho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picture.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expressive media of conceptual art to facilitate its understanding as a effective theory focusing on the expressive methods and works of Joseph Kosuth, John Baldesari, John Hilliard and Barbara Kruger who are the artists influenced by conceptual art. In particular, this study identified the problems of the proposed method with the outcomes from the class directly taught by the present researcher fo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which also proposed the modified and complemented teaching-learning plan to help in art education.

      • 세스 시겔롭의 ‘전시로서의 출판’ 연구 : 1960-70년대의 개념미술과 출판의 관계

        김명진 한국예술종합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study began with the aim of exploring the history and meaning of art publishing which has served as a platform for alternative art formats and exhibitions, and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shing project and exhibition of Conceptual Art in the 1960s and 1970s. This thesis consists of two important axes. First, this study examines publication as a form of art, exploring how publications become artworks as they are or have a status of exhibition. Second, this thesis interprets language and information-oriented Conceptual Art as “an art in the era of media upheaval” and highlights documents and publications, the material medium that enabled Conceptual Art, focusing on duplication, reproduction, new ways of distribution and diffusion of art. This thesis sheds light on Seth Siegelaub(1941–2013) as an important figure in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ual Art and publishing, and analyzes his publishing projects under the definition of “publication-as-exhibition.” He was an art dealer, curator, and publisher who worked in New York and several European cities during the early years of Conceptual Art. Siegelaub intended the democratization of art through portable publication exhibitions, arguing that when art becomes an idea, exhibitions can be held anywhere and art can visit audience, not audience visiting art. Conceptual artists’ creation method that had language as a main material in their creation and Siegelaub’s curating that studied how to exhibit their art interacted and developed together. Siegelaub elevated the status of the catalogue from the supporting role of physical exhibition to conceptual exhibition by itself by presenting Douglas Huebler’s solo exhibition as a “catalogue-as-exhibition” in 1968. Siegelaub’s unique methodology is to conceptualize publications such as catalogues, books, calendars and magazines as exhibitions. In particular, Xerox Book(1968) that Carl Andre, Robert Barry, Sol LeWitt, Joseph Kosuth, and Lawrence Weiner participated is a prime example of early Conceptual Art publication. From 1968 to 1970, “publication-as-exhibition” projects gradually expanded from individual exhibitions to team exhibitions and from New York centered exhibitions to international trends in Conceptual Art. In 1972, Siegelaub left the art world to focus on bibliographic research on media theory and the history of textiles, but this thesis describes his continued influence and subsequent trends, focusing on the methodology of publishing. In the 1970s, the publication of artists became an international trend and reached its best days, with the background of increased influence of Conceptual Art. Textualization of discourse became more important than visual effects for many artists, and language-oriented tendencies produced enormous amount of print. Publishing also served as a medium for establishing an alternative network of artists who sought to bypass the mainstream art world, around New York and major cities in Europe. In 1970, Siegelaub founded the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General” to create a distribution system of publications from himself and his fellow artists, and later on, bookstores, archives and institutions for artists’ publications emerged in earnestly. Publishing-mediated art activities are alternative practices that have continued throughout the contemporary period. However, its size and shape have changed, expanding from independent publishing to artists' publishers and bookstores, and to global Art Book Fair since 2000. Publications used in the art world today are works, exhibitions, and means of communication, and they have various status as products and/or research documentation. This thesis introduces Seth Siegelaub, who has rarely been discussed in Korea so far, and holds the significance that studies the subject of publication as a form of art which is being discussed a lot in art world, with the context of art history. It also discusses his contemporary significance with a primary focus on the medium of publication that he used as an exhibition format, departing from prior studies that analyzed Siegelaub’s activities primarily as a part of conceptual art or the history of exhibition making. 본 연구는 대안적 예술 형식 및 전시의 플랫폼으로 기능해 온 출판의 역사와 의미를 탐구하려는 목적에서 시작되었으며, 그 중요한 분기점인 1960-70년대 개념미술(Conceptual Art)의 출판 프로젝트와 전시의 관계를 주제로 한다. 이 연구에는 두 가지의 중요한 축이 있다. 하나는 ‘예술형식으로서의 출판’에 대한 연구로서 출판물이 어떻게 그 자체로 미술작품이 되거나 전시의 위상을 갖게 되는가에 관한 것이다. 둘째로는 언어와 정보 중심의 개념미술을 ‘미디어 격변기의 예술’로서 독해하며, 개념미술을 가능케 한 물질적 매개체인 문서와 출판물에 주목하는 연구로서 그 특징인 복제와 재생산, 미술의 새로운 유통과 확산 방식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본 논문은 개념미술과 출판의 관계 연구에 있어 중요한 인물로 세스 시겔롭(Seth Siegelaub, 1941-2013)을 조명하며 그의 출판 프로젝트들을 ‘전시로서의 출판(publication-as-exhibition)’이라는 정의 아래 분석한다. 그는 개념미술의 태동기에 뉴욕과 유럽 여러 도시를 오가며 활동했던 화상이자 큐레이터, 출판인이다. 시겔롭은 미술이 아이디어가 될 때 전시는 어디에서나 열릴 수 있고, 관람자가 예술을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예술이 관람자를 찾아 갈 수 있음을 주장하면서, 이동 가능한 출판물 전시를 통해 미술의 폭넓은 확산을 의도하였다. 언어를 작업의 주된 재료로 삼은 개념미술가들의 창작 방식과 이러한 미술을 선보이는 방법을 연구해 온 시겔롭의 큐레이팅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 나갔다. 시겔롭은 1968년 더글라스 휴블러의 개인전을 ‘전시로서의 카탈로그(catalogue-as-exhibition)’로 제시하면서부터 카탈로그의 지위를 물리적 전시의 보조적인 역할에서 개념적 전시 그 자체로 격상시켰다. 이후에도 카탈로그, 책, 달력, 매거진 등의 출판물을 전시로서 개념화한 것은 시겔롭의 특징적인 방법론이다. 특히 『제록스 북 Xerox Book』(1968)은 칼 안드레, 로버트 배리, 솔 르윗, 조셉 코수스, 로렌스 위너 등이 참여한 초기 개념미술 출판의 대표적인 사례로 잘 알려져 있다. 1968년부터 1970년까지 ‘전시로서의 출판’ 프로젝트들은 개인전에서 단체전으로, 그리고 뉴욕 중심에서 개념미술의 국제적 경향을 포괄하는 방향으로 점차 확장되어 갔다. 1972년경 시겔롭은 미술계를 떠나 미디어 이론과 직물의 역사 등에 관한 문헌 연구에 집중하였지만, 본고는 ‘출판’이라는 방법론에 초점을 두고 그의 지속적인 영향력과 이후의 흐름을 서술한다. 1970년대에 예술가들의 출판은 국제적 흐름이 되어 전성기를 맞이하는데, 그 배경에는 개념적 미술의 증대된 영향력이 있었다. 많은 미술가들에게 시각적 효과보다 담론의 텍스트화가 중요해졌고, 언어 중심적 경향은 엄청난 양의 인쇄물들을 만들어냈다. 또한 출판은 뉴욕과 유럽의 거점 도시들을 중심으로 주류 미술계를 우회하려는 예술가들의 대안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였다. 시겔롭은 1970년에 선구적으로 출판사 ‘인터내셔널 제너럴(International General)’을 설립하여 자신과 동료 미술가들의 출판물을 유통하는 체계를 만들었으며, 이후 본격적으로 예술가들의 출판물을 위한 서점과 아카이브, 기관들이 등장했다. 출판을 매개로 한 예술 활동은 동시대에도 지속되는 대안적 실천 방식이다. 그러나 그 규모와 양상은 점차 변화했는데, 독립출판에서 예술가들의 출판사와 서점으로, 그리고 2000년대부터는 전지구적인 ‘아트 북 페어’로 확장되어 왔다. 오늘날 예술계에서 활용되는 출판물은 작품 또는 전시이자 소통의 방식이며 상품 혹은 연구기록물로서 다양한 위상을 갖는다. 본고는 국내에서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던 인물인 세스 시겔롭을 소개하며, 미술 현장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예술형식으로서의 출판에 관한 주제를 미술사적 맥락에서 연구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시겔롭의 활동을 주로 개념미술의 이면 또는 전시 만들기의 역사라는 맥락에서 분석하였던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그가 전시 형식으로 활용하였던 출판이라는 매개체에 주된 초점을 두어 그 동시대적 의의를 함께 논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