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존재론적 사유를 통한 사물의 상징적 표현연구

        박진희 신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What is art? For the question of what art is, the process of the artist looking for the answer to the question becomes the artistic act. As a poet answers the question through language, an artist finds the answer to the question through formative language, which can be said to be the task assigned to the modern artists. The artist begins from a personal interest and with the formative act, reflects the external and internal life of oneself onto the works. In producing the works, the artist does not just rely on one's personal understanding of beauty or interest. One is influenced not only by the contemporary formative styles but also by the times, social aspects, and cultural facets directly and indirectly. The present can be said to be a time where many things are allowed, and moreover, acknowledged. Such pluralistic society provides peace on the outside, but the plurality, on the other hand, brings internal disconjunction and alienation to cause lack of communication and in turn mass-produce the unrest which only produces self-replicates. Such historical, social agony and personal experiences form the base and the traces of thoughts are reflected through the object of things (tools), and the works are completed as the communion with the viewers who appreciate them. This report has organized the formativeness and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in the philosophical approach and forms regarding the ontological meanings in the works by the author. The ontological thoughts that frame the works will be examined against the philosophical meanings. To do so, first the question of being by the philosopher Martin Heidegger (1889~1975) and the ontological meaning of things (Ding), and what meaning that question of being conveys in artistic works will be examined before investigating the ontological meaning in the objects (things) and expressional styles seen in the works by the author. The task of the author is to find out which style to formulate such in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ontological meanings, and this study covers the formative elements according to the intent of production, shows the production process of accomplishing the personalization, and defines the works to seek the future directions for the creative act ahead. 예술이란 무엇인가? 미술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은 작가가 그 의문의 답을 찾는 과정이 미술행위가 된다. 시인이 언어를 통해 그 물음에 답하듯 작가는 조형 언어를 통해 그 물음에 답을 찾아가는 것이 현대 작가들에게 주어진 과제라 할 수 있다. 작가는 개인적 관심으로부터 출발하여 조형적 행위로 작가가 가지고 있는 외적인 생(生)과 내적인 생(生)을 작품에 투영하게 된다. 작가는 작품을 제작함에 있어 자신의 개인적 미(美)인식이나 흥미에만 의존하지는 않는다. 동시대적 조형 양식에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속해 있는 시대상, 사회상, 문화상 등에도 직, 간접적 영향을 받게 된다. 현시대는 많은 것들이 허용되어지고 더 나아가 인정되는 시대에 살아가고 있다 할 수 있다. 이런 다원주의적 사회는 외적으로 평안함을 주기도 하지만, 반대로 그 다양함은 내적 단절과 소외로 인해 소통의 부재를 가져와 자기 복제만을 생산해 내게 되는 불안함을 양산한다. 이런 시대적, 사회적 고민과 개인적인 경험들을 바탕으로 사물(도구)이라는 대상을 통해 사유의 흔적들을 반영함으로서 그것을 감상하는 감상자들과의 교감으로 작업을 완성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본인이 제작한 작품들이 갖고 있는 존재(存在, Being)적 의미에 대한 철학적 접근 방식과 형식에 있어 조형성과 표현적 특징들을 정리해 보았다. 작품에 있어서 뼈대가 되는 존재론적 사유는 철학적 의미에 기대어 살펴볼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선행 되어야 할 과제는 먼저 본인이 제작한 작품에서 볼 수 있는 대상(사물)과 표현 형식에 있어 존재적 의미를 살펴봄에 있어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1889〜1975)의 존재의 물음과 사물(Ding)의 존재적 의미, 그리고 그 존재의 물음이 예술 작품에 있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i아 이해해 보기로 한다. 존재적 의미의 이해를 통해 그것을 어떠한 형식으로 조형화 할 것인가가 본인의 과제이며, 본 연구는 본인의 작품을 제작함에 있어 제작 의도에 따른 조형요소의 연구와 개성화를 이루어 가는 제작 과정을 보여주고 작품을 정의함으로서 앞으로의 작업 활동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모색해 보기로 한다.

      • 纖維藝術作品의 人體 表現

        정은경 群山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599

        예술(藝術)은 자기감정의 전달(傳達)이다. 자기감정을 전달함으로써 자기 자신 즉, 자신(自身)의 내면세계(內面世界)를 표현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어떠한 형식이나 방법을 찾기 마련이다. 인간이 창조하는 예술은 단순히 자연(自然)의 모방을 위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통하여 자기표현의 가능성을 찾는 것이다. 인간은 자연에서 태어난 일부분이며, 자연이 인간에 주는 감동은 귀한 예술적 생명의 모체(母體)가 된다. 이로 인하여 자연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싹트게 되었으며 이러한 자연친화적, 자연에의 회귀적 시대정신은 인간의 지적 활동인 예술 등에도 반영되고 있다. 따라서 인체를 소재로 조형화함에 있어 자기의 내면세계와 형상을 진실 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모색해 왔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인체를 소재로 작가의 자유로운 창조적 주관을 표현하려는 순수한 조형의지를 나타낸 많은 예술작품 중에서, 특별히 섬유(纖維)로서 인체표현을 형상화시킨 섬유예술 작품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예술작품의 중요 소재인 인체의 표현이 현대섬유 예술분야에서는 어떤 조형적 특징을 가지고 변화되고 표현되어 왔는지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인체를 표현하는데 있어서의 여러 가지 일반적인 특징들을 회화와 섬유작품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오늘날 섬유예술작품에 나타나고 있는 인체표현을 미적, 기능적, 표현 형태적 특징으로 나누어 연구 전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인체표현의 소재로 섬유에 표현한 본인의 작품들에 대해서 제작 동기, 사용된 재료와 방법, 제작배경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현대의 미술표현과 기법이 다양화된 것처럼 염색의 기법에 있어서도 고정적인 염색법에서 탈피하여 여러 가지 기법을 응용함으로써, 우연적인 효과와 전통적인 염색에서 얻지 못하는 새로운 조형성을 개발할 수 있었다. 끊임없는 변화(變化)와 창조성(創造性)을 갖는데서 예술창작의 의의를 찾는다고 볼 때 창조적이고 감동적인 작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이론적 원리나 일정한 기법에 얽매임 없이 실험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와 정신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An art is an expression of one's own emotion. Artists will thus seek any format or methods to try to expose their own inner world. They often owe it to nature to do it. They don't, however, imitate nature itself, but to look for possibility of disclosing their own ego through nature. Man, as its part, is born in nature, and the impression that nature gives to man becomes an embryo for valuable artistic motives. It is thus easily confirmed that such interest and affection on nature have been reflected in the history of art. For an example, it has been pursued to harmonize human body with the nature to deliver one's own inner world. That is, figures of human body have been expressed in nature through nature. There are a lot of works of art which show the free creative subjectivity through a combination between nature and human body, but in this study, as its object, fiber works were chosen, which formalized expression of human body especially in fiber. This study analyzed various formal characteristics of an expression of the human body and its development, not only in modern fiber artistic, but also in painting fields. Such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by aesthetic, functional, and formal ones. Compared with them, the motives of some several works in fiber, their used materials and expression methods were critically reviewed. Besides, through many experimental attempts, from traditional to modern techniques in silk batik, accidental as well as desired effects wire so developed in the creative works of the author's as to confirm a new formalization of human body expression. They made emphasis on the vital image of nature, and tried to reflect it in expressing human body. Some important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human being's entity has been expressed by describing fine and natural human bodies. That is, the silk batiks in the thesis are going to transmit the inner world of the person oneself like a self portrait. Women appearing in the works are not object of daily, monotonous and formal feeling, but expression of beauty, affluence and inner emotion in themselves. Second, the dynamic image of vitality, not superficial character of nature, was stressed as an inner order of self-being in the author's works. They regarded nature as the origin which can generate and change all things as well as man. Expression motives for human identity can be extracted from nature, which can be also in turn expressed through human Inner world. Finally, for further artistic works, the sustainable change and creativeness are needed. Irrespective of theories and techniques, many experimental approaches must he sought to produce more creative and comprehensive works.

      • Minimalism에 관한 硏究

        신석호 群山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599

        Early in 1960's, Minimalists made a challenge to Greenberg's formalism criticism. Minimalists destroyed the distinction between paintings and sculptures, an art work and any object, that is, art and non-art, invalidating Greenberg's modern concept, called medium specific. They also made beauty judgments void by presenting any object just like they imitated Duchamp's cynical gesture. Minimalism, together with Pop art, an strong peer at the front of anti-formalism, tried to show conflict between art and goods by presenting repeatedly produced products as they were against old subjective model of art. Their revolt posed a serious challenge to Greenberg's aesthetics, conservative and authoritarian criticism. After mid 60's Minimalism gained popularity among young artists who chose Greenberg's absolute modernism as their target in their liberal mood of intellect and politics. To meet the difficult situation, Michael Fried, influenced by Greenberg, wrote a paper titled Art and Objecthood which refuted the Minimalists' opinion. Fried, more firmly than Greenberg, devaluated Minimalism, saying that the nearer art comes to dramatic expression, the farther it becomes from its essence. Fried considers that Minimalists chose dramatic elements as a principal art way, where focus was placed on appreciators, presentation method, and surrounding situation - appreciator's body, space, light, etc- rather than art or work itself, which he named as 'Presence'. While Presence was regarded as an essence of theatrical property, making the qualification of works vague, Presentness, purely instant state by Modernism standard, was considered as essential condition for art. That is, it indicates a state which excels atmosphere and physical things, leading to fundamental existence. Having a firm conviction about the essence of art and aesthetic value, Fried even said that Presentness is a kind of blessing. Another interpretation of Minimalism includes Thierry de Dube's. According to him, Minimalist artists succeeded in destroying aura of dogmatic criticism, but they failed in obtaining the public's concern and understanding. Although they replaced works by objects, appreciation by play, imitating Duchamp's anti-art act, they could not give up art unlike Duchamp. They ridiculed aesthetic value but have never presented a white canvas itself. Unlike Rodechenko, who suggested monochrome in 1921 for the first time and announced death of painting, then turned his attention to reproduced pictures rather than painting, they produced identical works repeatedly and remained silent while they were watching their works coming into streets or gallery. In 1980's, criticism on Minimalism seemed general under Post-modernism vogue. Hall Foster suggested different interpretation on Minimalism. His thought about devaluation of Minimalism in 1980's was that just as McCarthist in 1950's tried to bury radicalism of 1930's, so Reaganists in 1980's tried to remove or reduce cultural right and political achievements of 1960's. He tried to save artistic achievements of 1930's and 1960's which had a deep impact on new conservatism from indiscriminate strategies of Post-modernism. In this respect, Foster tried to understand how much capitalism influenced the form and the composition of works and how works reacted to it. In the flow of art from 1960 through 1980 from this viewpoint, Minimalism was thought not to be overcome by Post modernism but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eriod of paradigm change. This study considers Foster's interpretation on Minimalism reasonable and analyzes Minimalism based on his viewpoints. Thus Greenberg's Modern theory in 1940's through 1950's will be considered and then its relationship with Minimalism will be discussed. By examining interrelationship between Minimalism and Neo Avant garde, it is shown that Minimalism is not an extinct issue into history but it has a progressive meaning in that it played an important role during paradigm change period.

      • 인체이미지를 형상화한 타피스트리 작품제작

        이재신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599

        인체는 자연의 일부로서 하나의 작은 우주라고 볼 수 있다. 각 부분들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전체가 하나로 통일될 때 조화로운 생명활동을 이룬다. 물론 게놈 프로젝트(Genome Project)로 대표되는 현대 의학은 인체의 작용 원리와 방식에 대해 예전과 비할 바 없는 많은 정보를 알아내었다. 하지만 이러한 유전자 배열에 대한 지식만으로는 인체의 각 부분들의 상호 밀접한 관계 그리고 환경과의 유기적인 연결고리를 통해 생명을 영위해 나가는 인체의 활동을 모두 설명할 수 없다. 현대인은 산업화에 의한 물질문명을 이룩해 오면서 평화롭게 공존해 오던 자연과의 유대를 상실하였으며 내면적 가치는 위축되었고, 인간 존재의 의미를 찾기 어려운 현실에 직면해 있다. 이제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발전과 진정한 가치 추구를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창조적 예술행위는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인간활동의 하나이다. 따라서 본인은 작품을 통한 정신적인 창조 활동으로 인간의 자연성과 참된 삶의 가치를 추구하고자 한다. 인간은 인체의 감각을 통해 자연의 모든 생명체와 교감을 나눌 수 있는 존재이므로 그 이미지를 형상화함으로서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인 관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 이론적 근거로서 미학적, 철학적, 해부학적 접근을 시도했다. 그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인체는 인간을 이루는 기본적인 요소 중의 하나이며 그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것은 곧 자연과 인간의 가장 근원적인 미의 발현이라는 결과에 도달했다. 미술의 영역 중 타피스트리는 작가 개인의 수공적 노력, 다시 말해 상당한 시간과 인내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특성은, 편리함과 신속함에 익숙해져 있는 현대인들에게 하나의 존재가 탄생하기까지의 지난한 과정에 대한 성찰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본인은 타피스트리 작업을 통해 신비로우면서도 아름다운 인체의 탄생과 그 과정에 대한 인식적·심미적 재발견을 이루고자 하였다. The human body as a part of nature seems to be a small universe. Each part of the human body could be the harmonious origin of life only when unifying each other's tightly coupled activities as a whole. Contemporary medical science represented by the Genome project has discovered lots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working principle and method of the human body. However, activities of the human body that are closely interrelated each other and tightly associated with natural environment cannot be explained only by the knowledge of the gene arrangement. The moderns have lost their peaceful coexistence with the nature, withered their inside values, and faced with a difficult situation for finding ones' reason for being, as they have established the material civilization through industrialization. Nowadays the endeavor to make the harmony of human being and nature and to pursue its true value is fully required. An act of the creative art is a human activity that is consistent with such an objective. Accordingly, in this study, I want to seek for the nature of human being and the true value of living through a piece of work. Since the human being can share the feeling with all other living things using the senses, one has tried to describe the organic relationship with nature by shaping its image. Based on the aesthetic, philosophical, and anatomical approaches, the previous studies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human body is the fundamental element of the human being and expressing its beauty is the basic manifestation of both nature and human being. Among areas in fine art, tapestry strongly needs each artist's manual effort, i.e., tremendous time and endurance, to produce a final product. It is possible that such a feature leads the moderns who are familiar with convenience and quickness to sound reflection about the tough process for creating a new work. Therefore, I myself intent to cognitively and esthetically rediscover the birth of a mysterious and beautiful human body and its process.

      • 꽃과 여인을 통한 內面世界의 硏究 : 本人 作品을 中心으로

        김지영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599

        예술은 자기 감정(感情)의 전달(傳達)이다. 예술가는 자기 감정을 전달함으로씨 자기자신 즉, 자신의 내면세계(內面世界)를 표현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반드시 어떠한 형식이나 방법을 찾기 마련이다. 이때 예술가는 자기에게 심성적으로 공감(共感)되는 형태만을 선택하게 되는데 본인이 '꽃과 여인'을 선택함은 우리 주위에 흔히 볼 수 있는 '꽃'이라는 소재를 통해 미(美)를 표현하고 더 나아가 사물의 고유한 방식에서 벗어나 본인(本人) 감정(感情)을 이입, 재해석 해 보고, 자화상적인 여인(女人)을 통해 인간에 대한 자기성찰과 존재론적 가치여부 등 인간의 내적(內的)요인을 상징적으로 단순화시켜 본인(本人)의 내면세계(內面世界)를 함축적으로 표출 하고자 하였다. 화면 구성은 많은 다양한 선(線)들의 집합체인 크고 작은 색(色), 면(面)들을 화면에 리드미컬하게 배치한 후 꽃과 여인이 주는 내면의 세계를 다양한 선묘(線描)로 표현함으로서 궁극적(窮極的)으로 면(面)과 선(線)이 유기적(有機的)으로 연결,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특히 면 분할에 있어서는 소재가 주는 이미지와 칼라의 특수성(特殊性)을 고려, 비교적 커다란 Volume을 강조하는 면에서 투영된 이미지를 단순화시키려 하였다. 본인이 주로 쓰는 색채는 무채색(無彩色)의 중채도, 저채도의 다소 무거운 느낌을 바탕으로 한 전반적(全般的)인 모노톤의 색채표현, 꽃과 여인의 소재에 따른 부분적(部分的)인 원색(原色)의 표현과 보라색, 청색, 자주색을 중심으로 중간색채의 색상과 채도로서 혼합되는 색조를 구사하여 화면을 구성하였다. 기법상으로는 부분적으로 호분(胡粉)을 사용하여 마티에르를 표현하기도 하고 나이프로 색을 두텁게 덧바른후 색채로서 공간의 깊이감을 주어 화면에 또 다른 변화를 주려고 했다. 따라서, 본인(本人)의 작품세계(作品世界)는 꽃과 여인을 자연의 주관감정 및 기질, 소양을 반영하는 의지적인 매개체(媒介體)로 인식하여 표현하였으나, 본인이 의도하는 바의 감성이 화면에 얼마만큼 충분하게 나타났는지가 더욱 중요한 일이라 하겠다. Art is communicating his own emotion. Artist represents his own inner world by communicating his own emotion and for this he definitely finds out a from or a method. At this very moment artist choose the only from the can sympathize with emotionally. The reason why I chose "Flowers and Woman" is that I wanted to represent beauty through flowers and to do empathy of mine sloughing off the typical way of things and to interpret. And also I wanted to simplify the inner factors of self-reflection and ontological values through the woman and then expressed my own inner world by implication. In the plane formation, first of all I arranged big and small colors and planes of collection of several lines on the plane rhythmically and then represented the inner world of flowers and woman with various line drawings. Thus I harmonized plane and lines organically. Especially in plane division I tried to simplify the reflected image stressing comparatively big volume and considering the speciality of immaterial image and color. I used usually the mono-tone colors of middle and low chroma which give somewhat heavy feeling, and partially I used primary colors in representing flowers and woman, and also used mixed colors with purple, blue, violet of middle chroma. In technique I partially used cosmetic powder to express matiere, and with knife I coated colors to give space depth with colors. Therefore, I recognized flowers and woman as a medium of will that represents nature' s subjective emotion, disposition, and characteristics and represented it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I expressed my intention and sensitivity on the picture plane.

      • 도시 형태를 통한 회화표현에 대한 연구

        양정미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인간의 삶은 대개가 반복적인 일상의 연속이다. 사람들은 그러한 삶의 요소요소에서 뜻 깊은 의미를 발견하기도 하며 또 각자에게 각각의 의미를 부여한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연구자 삶의 일상적인풍경과 도시 형태에서 포착되는 빛에 의해 형성된 형태들의 단면들을 해체하고 분석하여 회화적으로 형상화하는 작업을 시도한다. 빛에 의해 형성된 형상들은 기하학적 형태로 재편(再編)되며 심리성이 드러난다. 더불어 본인의 삶과, 정서의 사유에 대한 고찰과 맞물린다. 작품 속에서는 반복적인 일상 속에 산재하는 고독, 우울, 슬픔 등 현대사회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불안한 요소들이 연구자가 구획하고 구성된 사유공간을 통해 와해되고 진정되어 휴식의 공간을 취득하게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연구자 회화에서의 빛은 삶에 개입된 경험이며 삶의 실재성이다. 그리고 빛에 의해 지각된 색채 또한 일상적 삶과 그 기억들에 의해 비롯된 것이며 블루(Blue)로 나타난다. 따라서 연구자회화의 공간은 ‘나’자신 속에 내재된 삶에 대한 자아성찰의 결과이다. 즉, 연구자 회화는 일상적 풍경의 재현을 넘어서 삶과 ‘나’에 대한 표현이며 도시의 내재성을 조형적으로 가시화 시킨 것이다. Human life is a continuation of repeated everyday lives. People find profound meanings in the elements of such life and give each one their own meaning. The researcher attempts to disassemble and analyze the aspects of the forms developed by the light captured in everyday scenery and urban forms of the researcher's life, and try to visualize them in a pictorial form. The shapes developed by the light are rearranged in a geometrical forms and reveals psychological nature. And they interlink with the consideration of own life and the speculation on emotion. In the works, many uneasy factors such as loneliness, depression, sadness that are scattered in repeated daily lives are passed through the process of getting the space of relaxation after being broken down settled down through the speculation space divided and formed by the researcher. The light in the researcher's paintings is the experience involved in life and the reality of life. The colors perceived by the light are also derived from the everyday lives and the memories of them, and appear as 'Blue'. Therefore, the space of the researcher's paintings is the result of introspection on the life embedded in 'myself'. In other words, the researcher's paintings are the expression of life and 'I' beyond the reproduction of everyday scenery and the formative visualization of the intrinsic nature of the city.

      • 한국화의 한지 오브제 표현에 관한 연구 : 본인 작품 중심으로

        조영숙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한지는 한국적인 정서와 감정을 나타내는 조형언어(造形言語) 이다. 연구자는 붓으로 어떤 대상을 그려내지 않고 한지를 이용하여 콜라주 기법으로 화면에 부착 시켜 작품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인쇄된 종이와 그리다 버린 한지들을 찢어 붙이거나 다양하게 먹을 가해 어떤 형상을 지우는 작품을 제작하였다. 나아가 색채의 감각성을 강조한 마티에르가 중심된 작품들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동양적 회화 정신을 바탕으로 하면서 서구적 조형어법이 더해진 한국화의 현대적 표현으로 나타났다. 이응로는 한지의 매체 실험으로 콜라주의 작업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권영우는 화판에 한지를 바르고, 뚫고, 채색하며, 뒷면에서 색이 배어 나오도록 하는 작업들로 표현하였는데 한국화로서 추상형식과 오브제의 기법을 통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연구자는 수묵한지 오브제를 바탕으로 콜라주 하였는데 수묵한지의 수많은 우연성과 비정형의 요소들을 현대적인 표현으로 접근하였다. 그리고 평면적인 것에서 단조로움을 느껴 한지로서 재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모든 사물의 가치를 재인식하여 작품의 새로운 표현효과를 주기 위해 판화작업에 맞춰서 오브제로서 콜라주의 표현을 하였다. 그리하여 판화방법으로 수묵한지 오브제를 콜라주 하여 작품세계의 근간이 되고 핵심이 되는 중요한 표현으로 나타내고 있다. 판화는 매체로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데 특히 2차원에서 3차원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새로운 예술형태로써 나타나고 있어 실험적인 방법으로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리고 콜라주는 오브제 방법으로 확장시킬 수 있으며 가변적으로 연결하여 그림을 그릴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회화적 공간 속에 다양한 물성의 실험을 통한 미적 감각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자의 작품에서도 콜라주를 표현 하였다. 20세기 현대미술에서 콜라주의 최초 도입은 종합적 입체주의 시대로, 붓으로만 그리던 전통적인 방법에서 벗어나 매체의 수용과 표현으로 많은 변화가 일어났으며 표현영역의 확장을 가져왔다. 이러한 변화는 현대미술의 무한한 가능성과 함께 많은 가능성을 가져왔다. 이는 표현 매체로서 연구자의 작품세계에도 영향을 주었고 연구와 실험 그리고 작품분석을 통하여 조형적 가치관을 갖고 표현함에 있어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연구자의 작품세계는 유년시절의 기억을 수집하고, 삶에 대한 생각과 느낌. 나날의 단편들, 그리움의 세월에 대한 일상의 소소한 에세이가 바탕 되어있다. 그리고 붓으로 그리는 기법이 아니다. 칠하거나, 그린다기보다 찍거나 바른다는 표현이 적절한 작품세계 이다. 연구자의 작품세계는 한지를 통해 오브제 작업을 실험하고 수묵을 더해서 분석함으로써 이 시대 사람들의 일상에서 전통의 맥을 찾아내고 시대정신으로 재해석해 나타낸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다양한 재료와 표현방법으로 연구를 지속하여 앞으로 새로운 방향과 발전적인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나아가 화면 공간 속에서 재구성이 가능하게 하여 열려진 공간으로 표현영역을 확장하는 것은 연구자가 이어가야 할 과제이다. Hanji is a formative language(造形言語) that expresses Korean people's feeling and emotion. The researcher produced a work in collage technique with hanji by attaching it to the screen without drawing an object with a brush. Also, produced a work to tear and attach printed paper and hanji pieces that were thrown while drawing, and erase a certain image with ink stick variously. Furthermore, produced works based on matiere that emphasized sensitivity of color. As the result, the researcher expressed in modern expression of Korean painting added with western formative language based on oriental painting spirit. Lee, eungro influenced collage work a lot with medium experiment of hanji. Also, Gwon, yeongwoo expressed works by attaching hanji on the drawing board, piercing, coloring it, letting it ooze out from the rear, producing works in abstract form and objet technique as Korean painting. The researcher performed collage based on sumuk hanji objet, approaching in modernistic expression with lots of coincidence and atypical factors of sumuk hanji. Also, expressed collage as an objet suitable for engraving work to give a new expression effect of work by overcoming limitation of material as hanji and newly understanding the value of all objects by feeling monotonousness of flat objects. Therefore, importantly expressed the basis and core of work world by performing collage on sumuk hanji objet in engraving method. Engraving is expanding its area to the medium, particularly, the method of expressing from 2-dimension to 3-dimension appears as a new art form, which increased in an experimental method. Also, collage could be expanded in objet technique, and can be painted by being variably connected. This way, the researcher also expressed collage in respect that esthetic sense could be raised through the experiment of various materials in painting space. The initial introduction of collage to the 20th century modern art is the comprehensive cubism period, when various changes occurred with acceptance of media and expression by evading the traditional method of painting only with brush, brought expansion of scope. Such change has brought lots of possibility along with infinite possibility of modern art. This influenced the researcher's work world as the expression medium, also, is very helpful to express with formative value view through research, experiment, and work analysis. The researcher's work world is based on collection of childhood memories, idea and feeling of life, pieces of daily life, and ordinary essay of the life of longing. Also, it is not based on the technique of brush drawing. Rather than painting or drawing, the work world is proper for the expression of printing or spreading. The researcher's work world has the implication of expressing through searching the context of tradition in daily life of people of this period and reinterpreting with the spirit of the period by testing the objet work through hanji and adding sumuk. Also, the researcher intended to have an opportunity to suggest new direction and development henceforth by continuing research with various materials and expression methods. Furthermore, it is a task for the researcher to continue to expand expression scope to an open space by enabling reconstitution in the screen space.With the foc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