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악 산업에서 큐레이션 서비스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조혜란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42

        수많은 정보들 사이에서 특정한 정보를 수집해 분류하고 새로운 가치를 부여해 재공유하는 콘텐츠 큐레이션은 정보 과잉 시대에서 효율적으로 정보를 다룰 수 있는 방법으로 각광받게 되었다. 음악 산업에서도 다르지 않다. 음악시장의 흐름이 스트리밍 중심으로 변화하게 되면서 음악시장으로의 진입이 쉬워졌고, 이로 인해 매일 수많은 음악이 새롭게 발매되는 상황에서 무엇을 들을지 고민하는 대중들을 위한 방안으로 콘텐츠 큐레이션을 음악시장에 적용한 뮤직 큐레이션 서비스가 시행되기 시작했다. 다양한 음악을 대중의 취향, 환경, 상황에 맞게 분류해 대중들에게 자동으로 선곡해주는 뮤직 큐레이션 서비스는 대중들이 차트위주의 획일화 된 감상행태에서 벗어나 다양한 음악을 접하고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롱테일 음악시장 구축에 긍정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 속에 시행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에 집중하여 현재 음악 산업에서 시행되고 있는 뮤직 큐레이션 서비스의 현황과 평가에 대해 살펴보고 그에 따른 뮤직 큐레이션 서비스의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를 실행했다. 그 결과, 관련자들은 뮤직 큐레이션 서비스 자체가 가진 긍정적 가능성에 대해서는 인정했으나 현재 국내의 뮤직 큐레이션 서비스는 그 영향력 미미하다고 평가했으며, 다양한 음악을 소개하고 소비자로 하여금 새로운 아티스트를 발견할 수 있게 하는 뮤직 큐레이션 서비스의 “발견의 효과”에 대해서는 그다지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평가를 토대로 본 연구는 국내의 뮤직 큐레이션 서비스가 음악시장의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바이다. 첫째, 다양한 기반 기술의 사용 등 기술적 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전문성을 갖춘 큐레이터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다양한 서비스의 경쟁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해 큐레이션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현재 국내의 뮤직 큐레이션 서비스가 점차 정교화 되며 발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가 뮤직 큐레이션 서비스를 통해 도달할 수 있는 이상적인 음악시장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키워드: 뮤직 큐레이션 서비스, 콘텐츠 큐레이션 Content curation, which collects and categorizes specific information amo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and re-shares it with new values,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way to efficiently handle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overload period. Such phenomenon is not different in the music industry. As the trend of music market changed into streaming, it became easy to enter into the music market. Consequently, new music is released every day and the public have a variety of options to select which music to listen. In this sense, music curation services, which applies content curation to the music market, has started to be implemented. The music curation service that automatically classifies and selects diverse music according to individual tastes, environments, and situations of the public can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public can access and consume a variety of music beyond the chart-oriented uniform appreciation circumstance, which is expected to contribute positively to the establishment of the long-tail music market. This study focuses on this point,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 evaluation of music curation services currently implemented in the music industry, and conducting research o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music curation services accordingl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arket-related persons acknowledged the positive possibility of the music curation service itself. However, they thought that music curation service in Korea now has little influence, and they did not give a very positive assessment of the "discovery effect" of the music curation service, which introduced various music and allowed consumers to discover new artists. Based on such evalua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music curation service in Korea to positively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the music market. First, the technical reinforcement such as use of various ground technologies should be conducted. Second, the role of a professional curator should be emphasized. Third, the quality of curation services should be improved by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services can be competitive. As the domestic music curation service is gradually elaborated and develop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help to create an ideal music market that can be reached through the music curation service. Keyword : Music Curation Service, Content Curation

      • 사용자 경험 분석에 기반한 음악 큐레이션 서비스 만족 영향 요인 및 사용 유형 발굴

        한은수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69471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platforms that produce and provide content have diversified and rich content consumption has become possible. However, in the process of searching and selecting content according to these changes, users feel high fatigu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uration becomes important and is being used in various industries, and active research in terms of technology development is being conducted. However, research in the design aspect of music curation services tends to be limited to visual and cognitive factors, so an analyt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using curation services is need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user experience of the curation service only on the music streaming platform that uses the curation service as a core strategy, discover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r satisfaction of the music curation service, and categorize them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First, afte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music streaming platform and the curation proces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schematically analyz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user experience process and the curation process. Subsequently, through the qualitative user survey method, the usage behavior and requirements of the curation function in the music streaming platform were collected to deriv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hen using the curation service, and it was categorized and analyz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ing the curation fun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sers tended to prefer automated and intuitive services in situations where efficiency was important, and delicate and highly free services in situations where expertise was important. Accordingly, the necessity of providing a differentiated recommendation method for each use situation was suggested to enhance user satisfaction. Finally, a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erived satisfaction influencing factors and types for each purpose of use. The qualitative survey results were quantitatively verified by checking the importance difference of satisfaction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the type of use. This study is an analytical study of the user experience design perspective on music curation services. It is meaningful to prove that the user's expectations differ depending on the main purpose of use through analysis according to the user's satisfaction, and suggesting the need for various levels of curation methods that deviate from the existing generalized curation metho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requirements for each typ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presented in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the curation provision method will be used as basic data when developing and improving related services. 기술의 발전과 함께 콘텐츠를 생산하고 제공하는 플랫폼이 다양화되며 풍요로운 콘텐츠 소비가 가능해졌지만 이러한 변화에 따라 콘텐츠를 탐색하고 선별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들은 높은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큐레이션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기술 개발 측면의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디자인 측면의 연구는 시각 및 인지적 요인에 한정되는 경향을 보여 큐레이션 서비스 사용 경험에 대한 분석적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핵심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는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에 한하여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여 음악 큐레이션 서비스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발굴하고 사용 목적에 따라 유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문헌 조사를 통해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과 큐레이션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인 후 실제 사용자 경험 과정과 큐레이션 과정의 관계성 파악을 위해 도식화하여 분석하였다. 이어 정성적 사용자 조사 방법을 통해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내 큐레이션 기능 사용행태 및 사용시 요구사항 등을 수집하여 큐레이션 서비스 사용 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였고, 이와 함께 큐레이션 기능 사용 목적에 따라 유형화하여 상세히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용자는 효율성을 중시하는 상황에서는 자동화되고 직관적인 서비스를, 전문성을 중시하는 상황에서는 섬세하고 자유도가 높은 서비스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만족도 고취를 위한 각 사용 상황별 차별화된 추천 방식 제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만족 영향 요인과 사용 목적별 유형 검증을 위한 설문을 진행하였고, 통계분석을 통해 사용 목적별 유형에 따른 만족 영향 요인의 중요도 차이 등을 확인하여 정성 조사 결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음악 큐레이션 기능에 대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 관점의 분석적 연구로서, 사용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실제적인 요인을 발굴해 냈다는 점과 핵심적인 큐레이션 사용 목적에 따른 분석을 통해 주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자의 기대가 상이하다는 점을 입증함과 동시에 기존의 일반화된 큐레이션 제공 방식에서 벗어난 다양한 수준의 큐레이션 방식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추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용 목적에 따른 유형 별 요구사항 분석 결과 및 큐레이션 제공 방식의 개선 방향이 관련 서비스 개발 및 개선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