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불법 유출 문화재 반환에 관한 국제법적 고찰

        이강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문화재는 문명과 민족문화의 근본요소의 하나를 이루며 그 참된 가치는 역사 및 전통적 배경에 관한 모든 정보와 관련하여서만 평가될 수 있고, 다시는 복구될 수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탈식민지화의 과정에서 논의되고 있는 문화재의 원소유국으로의 반환문제는 문화재를 민족의 문화유산 개념으로 파악하느냐, 인류의 공동유산 개념으로 파악하느냐의 대립이었다. 민족문화유산의 개념은 한 국가 내에서 만들어진 문화재 또는 그 국가 내에서 최초로 발견된 문화재는 그 국가의 소유라는 의미이다. 이 개념에는 그 문화재와 민족간에는 '특별한 관계'가 성립한다는 원칙과 '국가주권'의 개념이 내포되어 있다는 원칙이 제시되었다. 특히 식민지 상황에서의 문화재의 양도는 현 문화재보유국들에 의해 합법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는데 이에 대해 신생독립국들을 비롯한 비동맹국가들의 반격이 바로 UN 총회에서의 결의 형식 등으로 드러나게 되었다. 1970년대에 UN 총회에서 논의된 식민지배 또는 무력충돌 시의 문화재 유출에 대한 반환은 부분적으로는 현 문화재보유국과 반환청구국간의 지속적인 교섭과 협약체결로 성공적으로 이행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현 문화재보유국과 신생독립국간의 문화재의 반환문제는 소급효가 인정되지 않는 현재의 국제협약의 적용범위 밖의 사항들이기 때문에 문제 해결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전제 위에서, 먼저 문화재의 반환에 관한 국제법적 관행들을 역사적으로 고찰하였다. 전시 문화재의 보호에 관한 국제사회의 규제사항이 등장한 20세기를 기준으로 그 이전까지의 문화재 반환에 관한 국제사회의 관행 등을 살펴보고 무력충돌시 또는 군사 점령시의 문화재는 원칙적으로 반출되거나 이전될 수 없음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1·2차 세계대전의 전후처리 과정에서는 약탈된 문화재의 원소유국으로의 반환을 이행시킨 현 국제사회의 국제법적 규범화 노력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어서 UN 총회결의 내용의 변화에 따른 문화재 반환의 해결방법, 즉 UNESCO의 전문가위원회, 정부간위원회 등과 국제박물관 위원회의 특별위원회 등이 제시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국가간의 현실적 관행과 비교하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대표적 국가간의 문화재 반환 사례를 통하여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한 반환의 해결방식을 소개하였다. Cultural property constitutes one of the basic elements of civilization and national culture, its true value can be appreciated only in relation to the fullest possible information regarding its origin, history, and traditional setting. And it has a characteristic feature that can't be restored easily.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to its countries of origin that has been discussed in the context of decolonization since world war Ⅱ, has raised the collision of the concept of cultural property between 'national cultural heritage' and 'the common cultural heritage of mankind'. The concept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 views cultural property produced within a state or first discovered within a state as belonging to that state. This doctrine is based on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a people and its cultural property and the notion of state sovereignty. Especially, cultural properties removed during colonial period are often regarded as legal transfer by the holding states. The newly independent states, however, have strongly resisted this argument, making many resolutions in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placing emphasis on the core of the problem. After the discussion at the UN General Assembly in the 1970's,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illegally removed during colonial rule or military occupation, has been, even if partly, applied through the possessory states and the requesting states. But most of issues on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between the holding countries and the requesting countries are not covered by the present international convention provisions which do not provide for the retroactive effect. It may be termed an 'extra-convention matters'. This makes it very difficult to resolve the substance of the subject. Under this context, this study, above all, investigates historical practices for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in international law. So I wanted to show that the cultural property removed in the event of armed conflict or under the foreign military occupation should not be exported or transferred with the investigations of the international practices for the return of the cultural property before the beginning of this century when appeared the international standard about it. And then I'm concerned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endeavours to restore the plundered cultural properties to its countries of origin. To solve problems for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in the post-world war Ⅰand Ⅱ, this study investigates various programs, following the change of the resolution of UN General Assembly, presented by special committee of UNESCO, IGC, and ad hoc committee of ICOM with the real practices performed among the countries. With investigating the representative cases of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ies among the related countries, I wanted to propose the actually possible solutions for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 건축문화재 분류체계 적용에 관한 연구

        최연규 목원대학교 산업정보언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분류체계는 유사한 특징을 가진 자료는 모으고, 다른 특징을 가진 자료는 구분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한 체계나 표를 말한다. 인터넷의 대중화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수요와 공급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지식이 곧 국가 사회 및 개인의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자산이 되는 지식되는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방대한 정보자원들 중에 원하는 양질의 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여과장치와 나침반 역할을 하는 분류체계의 중요성은 나날이 높아져 가고 있다. 문화재는 우리 조상들이 의식주 및 정치?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남긴 유무형의 유산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종류가 다양하고 분류도 복잡하다. 문화재청은 문화재 보존관리 행정업무 등에 적용하기 위해 지정주체 및 종목, 성격 등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문화재를 분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사적, 민속문화재 등 일반인들이 용어나 개념을 파악하기에는 직관적이지 않고 분류의 기준과 경계가 모호하다는 측면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문화재청 등 문화유산 관련기관에서 생산하는 건축문화재 관련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축적?관리하고 편리하게 활용하기 위해 건축문화재 고유의 특징을 잘 반영한 직관적 분류체계를 어떠한 방법으로 설계하여 코드화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문화재청 정보시스템에 적용된 문화재 분류체계의 문제점을 사례를 통해 도출하였고, 개선된 건축문화재 분류체계를 제작하기 위해 계층형 분류체계가 아닌 관계형 분류체계를 적용해 보았다. 또한, 실제 정보시스템에 반영할 수 있도록 건축문화재 서비스 메타데이터를 문화유산 전체 기본 메타데이터 표준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이 문화유산 기록정보자원의 통합관리 및 공동활용을 위해 문화재청이 구축 추진중인 문화유산 허브뱅크 시스템 메타데이터 설계에 적용되어 수요자 중심, 현장 중심의 u-문화재 정보서비스 실현, 문화콘텐츠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는 등 국가 자산으로서의 문화유산 기록자원의 연구보존 및 후대계승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전통목조건축물 소방안전에 관한 연구

        김완섭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s beginning at the 'Sungnyemun' incendiary fire accident, on purpose of studying a fire safety of korean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wooden cultural properties and traditional temples), for suggesting safety plans of these building First, studied the korean an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related with traditienal wooden buitdings, the traditional temples preservation law, legislation of fire service, 「the law of crime prevention·incendiaryj Provided by korean buddhist jogye older, 「the incendiary standard of cultural properties」 provided by an association of fire insurance, japanese law of fire service, american NFPA 914 Second, examined and analyzed main cases, causes, patterns ef fire accidents of traditianat wooden buildings, on the other hand, inspected a fire traditional of wooden buildings under consideration for fire images of these buildings Third, through a field study of three traditional temples which have cultural properties, analyzed geographical conditions, courses·times of fire acting, pretectien system, managemeut of preventing fire, factors of fire vulnerability and finally suggesting the result. On the result of examining and analyzing, suggested the step-by-step safety plans of traditional woDden buildings based on proses of disaster management First, a step of preventing fire Suggested net only preventing plans of fire related with incendiary, electricity, fire holes, sparks, candles, cigarettes, forest fire which take a lot of Percentages of causes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fire accidents, but also self control of management of preventing fire, improvements of system. Second, main point as a step ef preparaticn(building at preventing disaster system) A, Active prevention of disaster system 1) Plan systematization warranting speed and reliabitity through an auto fire detector and auto news flash equipment and CCTV with ability to percept spark and alarm 2)As a fire extinguisher with a validity to timber, set up a strengthened water fire egtinguisher type of securing upper part range. 3) Apply and deduce the plan of installing a closing-water equipment fire fighting syrtem of minimiaing outward damage te the place that hard 19 reach and easy te diffuse fire like eaves. 4) After examining application possibility of internal linked watering System, install to the place unavoidable ruining fire fighting. 8, App3iable passive prevention of disaster system 1) Preventing fire to the ignitable place but maintain ruality to eperate by periDds, but, eHam fire preventing management plan fire preventiDn glass, as an alternative plan at hard to Preventing fire or high temperature expgsurable place 2) Scheme minimizing combustibles, safety line, irnpreving water breed, er cempasing a fire preveiltion forest te the place that danger part ts radiating flying sparks and spread. 3) Isolate spread course to use a fire stopping matter 19 the flame -intrudab le place 4) EBam exchanging preenist charging matter to non-flammables at place that floating of timber down a river Third, a step of a respense(fire suppressien) A, It suggested the selution abeut the prgblems which was revealed during the Sungnyemun fire surpressiDn activity. B , the self-fire suppression activity by interested persens, 1) Suppress the fire by using the fire extifguisher set nearby, 2) If the fire is not extinguished by fire extinguisher, put out it by using fire estinguishing eeui pme nt 3) If the cultural assets can be taken out te ihe outdoor, carry out as soon as possible, C. Next, according to the main contents of the fire suppression activity by fire fighters, 1) At the earty stage of fire, they access and enter intg the building with fire euickly and put eut the fire withsut a break, 2) At the mid-level Df fire, they ShDUld b8 equipped With Dxygen cy]inder and shDuld pay attenticn 19 the Back draft when they enter iBID the building. AHd they ShDUld rult Parallel tD the draining water , 3) At the fleurishing level, they should fccus en the preuentien Bf fire diffusion tD the surround building father than fire SUPPreSSiDn ft) De the preliminarp douche to~the surreund building for preventing the leaping flames of wonden structure, 4) Do the prelimary douche to the surround building for preventing the leaping flames of woode sturcture. 5) In cnse of reef destHrtien, they shguld dismantle the ridse first and dDuche the water aleng to the eares fcr suppression, The maia reasons of the damaBe of the traditional weeden building are erosion, breakdown, egtinctien and etc, And extinction by fire is the mest threatening facter, Eyer thnugh we cannel prevent the breakdgwn or injury by natural disaster which Duerwhelms the human ability, we can prevent the disaster like fire effgctively when we foster the upright cegnition, study and sincerity. 본 연구는 2008년 2월 10일 발생한 ‘숭례문 방화사건’을 계기로 우리나라 전통목조건축물(목조문화재 및 전통사찰)의 소방안전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으며, 전통목조건축물의 소방안전대책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첫째, 전통목조건축물과 관련된 우리나라의 문화재보호법, 전통사찰보존법, 소방관련법규, 대한불교 조계종에서 정한「방범·방화에 관한 령」, 화재보험협회에서 정한 「문화재 방화기준」, 일본 소방법, 미국의 NFPA 914 등 방재관련 규정을 고찰하였다. 둘째, 전통목조건축물의 주요 화재사례, 화재원인, 화재유형 등을 조사·분석하는 한편, 목조건축물의 화재성상 등을 고찰하여 목조건축물의 화재취약성을 살펴보았으며, 셋째, 문화재를 보유한 전통사찰 3개소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하여 지리적 여건, 소방대 출동경로·출동시간, 소방 및 보안시스템, 방화관리, 화재취약요인등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위에서 조사·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전통목조건축물의 소방안전대책 방안을 재난관리과정에 따라 단계별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화재예방단계로서 전통목조건축물의 화재원인 중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방화, 전기, 아궁이, 불티, 촛불, 담배, 산불 등에 대한 화재예방대책은 물론, 자율 방화관리, 제도개선사항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대비(소방·방화시스템 구축)단계로서 주요 사항을 보면 가. Active(가동식)소방시스템 1) 불꽃감지기능과 경보기능을 갖춘 CCTV,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연동하여 신뢰성과 신속성을 담보하는 시스템화를 도모한다. 2) 목재에 유효한 성능의 소화기로서 상부방향 도달거리가 확보되는 유형의 강화액소화기 등을 설치한다. 3) 처마 등과 같이 도달이 어렵고 화재가 확산되기 쉬운 곳에 외관 훼손을 최소화 한 형태의 수막설비 등 소화시스템 설치방안을 도출 적용한다. 4) 파괴소화가 불가피한 곳은 내장형 연결살수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 후 설치토록 한다. 나. 적용 가능한 Passive(비가동식)방화시스템 1) 착화 우려 부위에 대해 방염조치 하되 주기적 시행으로 성능을 유지한다. 다만, 도장이나 침윤에 따라 방염 등의 조치가 어렵거나 복사열 등 고열에 노출될 수 있는 부위는 제3의 대안으로서 방화유리 등으로 방화조치를 검토한다. 2) 복사에 의한 연소 및 비화 우려부위는 가연물 최소화, 난연화, 안전선, 수종개선 또는 방화수림 조성 등을 도모한다. 3) 화염이 침입할 우려가 있는 부위는 화염차단재(Fire Stop)를 사용하여 전파 경로를 차단한다. 4) 적심부등 훈소 우려가 있는 부분은 기존의 충전재(잡목 등)를 불연재로 교체를 검토한다 세째, 대응(화재진압)단계로서 가. 숭례문화재 진압활동시 드러난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으며, 나. 관계자 등에 의한 자체 화재 진압활동은 1) 가장 가까운 주변에 배치된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2)소화기로 자체 진화되지 않는 경우 소화설비를 이용하여 진화한다. 3) 옥외로 반출이 가능한 문화재등이 있는 경우 즉시 반출조치한다. 다. 다음으로 소방대의 화재진압 활동의 주요내용을 보면 1) 초기단계에서는 화재발생 건물에 신속히 접근·진입하여 단번에 진압한다. 2) 화재중기에서는 옥내진입 시 Back draft(역화)에 주위하며 반드시 방수와 병행해야 하고, 공기호흡기를 장착한다. 3) 전성기에서는 화세를 제압하는 이상으로 주위 건물등의 연소방지에 중점을 둔다. 4) 목조건물은 비화의 우려가 높으므로 인접건물에 예비주수를 실시한다 5) 지붕 파괴시에는 용마루부터 해체하여 양쪽 처마방향으로 주수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전통목조건축물의 주된 훼손원인은 부식, 파손, 소멸 등이며 그 중에서도 가장 위협적인 것은 소멸, 즉 화재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의 능력한계를 초월하는 천재지변 등 자연재난에 의한 파손이나 손실은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화재와 같은 재난으로 인한 손실은 인간의 올바른 인식과 연구노력, 그리고 성의를 갖는다면 충분히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 미생물 휘발성 유기화합물(MVOCs) 분석을 통한 지류문화재 생물열화 진단

        조규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류문화재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물리적, 인위적, 화학적, 생물학적 열화가 발생한다. 그 중에서도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열화는 유기재질인 지류문화재에 큰 피해를 초래한다. 특히, 곰팡이는 열악한 환경에서도 적정생장조건이 맞으면 다양한 효소를 만들어 얼룩 등의 미관상 피해뿐 아니라 재질 자체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지류문화재의 생물열화를 사전에 발견하기 위한 방법으로 미생물의 대사과정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MVOCs)의 분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지류문화재 가해 곰팡이를 선별하고 기질분해능과 호환성 평가를 통해 공시균 2종(Aspergillus niger, Penicillium oxalicum)을 선정하였다. 이후, 단일 및 복합균주의 배양기질별 MVOCs를 분석하고 방출패턴을 비교하였다. 또한, 실제 지류문화재의 주요 재료들로 의사시편을 제작하여 실제 유물에서 곰팡이가 생장하였을 때 방출될 수 있는 MVOCs와 패턴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배양기질에 따른 MVOCs를 동정 및 분류하였다. SPME-GC/MS 분석의 TIC의 머무름 시간에 따라 초기에는 Acetaldehyde, Propylene Glycol과 같은 저분자량의 화합물들이 나오다, 그 뒤로는 사슬형 지방족 탄화수소 유도체들이 방출된다. 대표적인 화합물들로는 1-Hexanol, Heptane, 3-Octanone 등이 확인되었다. 머무름 시간 후반에는 고분자량 화합물인 테르펜과 유기산 에스테르 등이 방출된다. 배양기질 및 균주에 관계없이 유사한 화합물들이 방출되었는데, 선행연구에 따르면 MVOCs가 탄화수소 및 탄화수소 유도체, 테르펜 등의 구성이기 때문에 공통되는 화합물이 나타날 수 있다. 즉, MVOCs의 동정만으로는 미생물의 생장을 확인할 수 있지만, 세부 종의 구별은 어렵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동정된 화합물들을 다양한 기준으로 재분류하여 방출패턴을 비교하였다. 균주별 공통 화합물 중 대표적으로 2-Methyl-1-butanol의 경우, 서로 다른 단일균주에서 방출양상이 다르게 확인되었으며, 다른 공통 화합물 또한 총 방출량을 비롯하여 배양일자에 따른 방출양상이 달라 이를 통한 곰팡이의 종간 구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선행연구를 참고한 화합물 분류기준과 탄소개수에 따른 방출패턴을 비교한 결과 서로 다른 단일균주의 패턴이 상이하게 확인되어 종간 구분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혼합균주의 방출패턴은 혼합한 균주 중 우점종의 성장도에 따라 방출패턴이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도 확인하였다. 지류문화재 의사시편의 MVOCs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MVOCs로 알려진 기본 화합물들이 동정되었다. 그러나 방출패턴은 영양원(배지) 조건과는 다른 패턴을 보였으며, 주요 기질이 동일하다고 해서 영양원조건과 실제 시편의 MVOCs 방출양상이 동일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류문화재의 주요 기질과 의사시편을 대상으로 방출되는 MVOCs와 단일 및 혼합균주의 방출패턴을 확인하였으며, 지류문화재의 생물열화 진단법으로 MVOCs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방출패턴 분석을 통한 종간 구별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문화재 가해균주의 구별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다양한 문화재 재질과 단일 및 복합균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여러 조건의 데이터가 축적된다면 생물열화 진단 및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MVOCs를 예방보존분야까지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문화재 야간경관에 미치는 조명(照明) 물리량 연구

        이연소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2002 한ㆍ일 월드컵」 이후 야간 경관개선에 대한 관심이 급속히 증가하였다. 또한 문화재에 대한 야간경관사업도 동시에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급격한 사업 확대로 인해 야간 조명의 연출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이 문화재의 본연성을 고려하지 않고 진행되었다. 이로 인해 문화재가 지닌 본연의 경관이미지를 훼손시키고 획일적인 경관을 양산하는 폐해를 낳기도 하였다. 문화재의 야간경관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조명물리량과 경관구성요소, 경관이미지의 형성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며 조명물리량과 인지특성을 고려한 야간경관 개선방향의 제시가 필요하다. 조명 물리량은 경관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경관구성요소의 선호 여부는 심리적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야간 경관조명이 문화재에 대한 연출에서 벗어나 진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경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제어가 이루어지는 조명에 대한 이해와 함께 야간의 문화재 경관이미지를 형성하는 과정과 요소에 대한 검토가 동시에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명의 물리량, 경관요소의 구성, 경관이미지의 형성이 문화재 경관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주간의 조명 물리량이 문화재 경관의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여 야간 경관의 조명 물리량의 영향력을 파악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두 번째는 문화재의 주․야간 경관에 대해 조명 물리량, 경관구성요소, 경관이미지, 경관선호도의 상호 영향 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문화재의 조명 물리량과 인지 특성의 영향 관계를 고려한 야간 경관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조명 물리량을 분석하기 위해서 야간조명이 설치된 덕수궁(德壽宮)의 중화전(中和殿)과 중화문(中和門), 대한문(大漢門)을 대상으로 주간의 청천공(晴天空) 상황에서 시간대별로 촬영된 사진을 이용하여 경관선호도를 분석하였다. 경관선호도 분석을 통해 선호하는 시간대의 장면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선호 시간대의 경관은 따뜻한 느낌의 빛이 문화재 본연의 색상과 재질을 돋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두 번째로 문화재의 조명 물리량을 분석한 결과, 주간에는 문화재의 상부에서부터 휘도 분포가 높게 나타나는 반면, 인공조명에 의해 야간에는 축부인 공포와 일부 부재의 휘도가 높게 나타났다. 휘도대비는 주간경관에서는 최대 1 : 10을 넘지 않아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나타내는 반면, 야간경관에서는 불규칙적인 국부적 인공조명에 의해서 휘도대비가 공포에서 1 : 57.9의 큰 차이를 유발하여 주변과의 이질감을 조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세 번째로 주간경관에서의 색온도는 부재별로 청색, 녹색, 주황색계열 등의 다양한 색상이 분포하지만, 야간경관에서는 인공조명(3000k)에 의해서 색온도가 난색의 붉은색 계열에 편중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야간경관의 색상 차이의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 색차가 모두 12이상으로 나타나 주간과 야간경관에서 부재의 색상이 전혀 다르게 인지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네 번째로 문화재의 주간과 야간 경관에 대해서 선호도는 모두 3.5이상으로 나타났지만, 야간경관에 대한 이미지는 본연성(2.64)과 조화성(2.77) 등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색채(2.52), 재질(2.58), 명암(2.77) 등의 경관구성요소에서도 선호도가 낮게 나타나 조명에 의한 효과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 번째로 경관선호도에 대한 경관이미지의 영향력을 회귀분석한 결과, 주간과 야간 모두 경관선호도에 문화재의 품위성이 본연성, 조화성에 비해 가장 영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 의해서 문화재의 품격인 품위성이 경관선호도에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 번째 주간경관의 조명 물리량과 구성요소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색채, 질감, 형태, 명암 등이 물리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야간경관에서는 조명 물리량과 구성요소간의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현재의 획일화된 투광조명이 야간의 색채, 질감, 형태, 명암 등에 대한 영향을 주지 않고 있음을 시사한다. 일곱 번째로 야간경관에서 경관이미지와 상관성이 낮았던 물리량이 경관선호도에 대해 직접적인 상관성을 보였다. 이는 야간 조명이 문화재를 밝게 비추는 기능에 국한되고 있음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화재 경관의 인지특성과 조명 물리량의 관계를 규명하고, 주․야간 조명물리량의 분포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본연의 이미지 형성을 위한 야간 조명의 개선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에 지속적으로 진전성 측면의 문화재 조명연출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와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한 설계형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기존의 과도한 조명연출이 아닌 문화재 조명의 물리량을 고려한 조명설계가 되도록 하여 문화재 진정성을 느낄 수 있는 조명 연출이 되도록 개선하고 주변과 조화를 이루며, 주·야간 연속성을 지닌 문화재 본연의 이미지를 구현해 내는 조명연출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 Study on the Lighting Physical Quantities influencing on Night Landscape to Cultural Heritages Submitted by Lee, Yeon So Supervised by Dr. Choi Key Soo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December, 2011 Since the 2002 Korea-Japan World Cup, interest in exterior lighting at night has rapidly grown. Projects of lighting historic buildings have become active as well. Due to rapid expansion of project scale, however, night lighting planning has been carried out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the identity of historic buildings themselves. Thus, historic buildings lost their own identity and uniform lighting scenery has been engendered. Lighting historic buildings requires understanding of luminous characteristics, scenery elements, and development of scenery images, and night lighting improvement measures need to be suggested in consideration of luminous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 characteristics. Luminous characteristics have direct impact on scenery elements and preference on scenery elements has effects on psychological changes. Accordingly, night lighting needs to go beyond uniform simple lighting and for better night lighting to maintain the identity of historic buildings, night image formation process and elements of historic building’s night images need to be reviewed along with the understanding of luminous characteristics.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luminous characteristics, scenery elements and formation of scenery images on scenery preference of historic buildings. For this objective, first, whether daytime luminous characteristics have effect on scenery preference of historic buildings was verified and methods to verify the effect of night luminous characteristics were explored. Then, mutual effect of luminous characteristics, scenery elements, scenery images and scenery preference was verified for day and night scenery of historic buildings. In addition, measures to improve night scenery were to be suggested in consideration of relation between luminous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 characteristics on historic building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o analyze luminous characteristics, pictures of Junghwajeon, Junghwamun, and Daehanmun where nightlighting was installed were taken hourly on a clear day to analyze scene preference. The analysis of scene preference shows that there exists a preferred scene image of a specific time. The preferred time appears to be when the true color and material of the building stand out. Second, the analysis on luminous characteristics of historic building lighting shows that upper part of the building has high brightness whereas at night, axle and other members, including wooden brackets, have high brightness. During the day, brightness contrast was maximum 1:10, showing natural look of the building whereas at night, irregular local lighting has caused as great as 1:57.9 brightness contrast at the wooden brackets, showing difference from the surroundings. Third, color temperature of daytime scenery shows various colors from blue, green and orange, but artificial lighting (300k) at night produces colors sided toward warm colors like red. Color difference analysis shows that it was over 12 for both of day and night, meaning color of a member may be very differently perceived during the day and night. Fourth, both of daytime and night scene preference of historic buildings were over 3.5, but night scene shows low true identity (2.64) and harmony (2.77). Furthermore,night lighting shows low preference of scene elements such as color (2.52), material quality (2.58), and light and shade (2.77), and this means very low effectiveness of night lighting. Fifth, the regression analysis on scene images of scene preference showed that dignity of a historic building has greater effect that true identity or harmony for both of daytime and night scene preference. This shows the effect of historic building dignity on scene preference. Sixth, correlation between luminous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of daytime scene was analyzed. The result showed high correlation of luminous characteristics with color, material quality, shape and light and shade. For night scene,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luminous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This implies that current uniform flood lighting does not have effect on night color, material quality, shape or light and shade. Seventh, luminous characteristics, which had low correlation with night scene image, had directcorrelation with scene preference. This means night lighting is limited to lighting historic buildings. This study contributed to verific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luminous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 characteristics of historic buildings and suggestion of measures to improve night lighting to form true images by analyzing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day and night luminous characteristics. Continuous studies on lighting planning for historic buildings from the perspective of true identity are necessar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Lighting planning needs to go beyond current over-lighting and consider luminous characteristics for lighting planning to express true identity of the historic buildings and harmonize with the surroundings. Lighting planning also needs to express true images of historic buildings continuously between day and night.

      • 문화재 활용 관점에서 역사문화 도시의 야간경제·관광 활성화 연구 - 전주, 공주, 통영, 제주를 중심으로 -

        김상만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Around the world, there is a growing trend to plan nights to create cities with good economy, culture, and living conditions in cities, and cities are looking for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tourism and job creation in the Night Time Economy by managing and operating the temporal and spatial parts of the night. In the UK, a night economic zone certification system called "Purple Flag" is being implemented to revitalize the night economy. The Purple Flag area aims to revitalize the city center area, which is clean, crime-free, has convenient access and safe use of public transport, and various activities such as festivals and food are guaranteed. For the strategy of Koreanizing the night economy zone, through research on revitalization of the Night Time Economy and Tourism Area centered on night tourism using cultural assets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ities of Jeonju, Gongju, Tongyeong, and Jeju, th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use of cultural properties and factors to revitalize night economic and tourism areas were compared and the effects of night economy and tourism zone activation factors on cultural properties utilization factors were investiga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regional difference analysis of night economy and tourism activation factors, five variables, ‘night opening of cultural property facilities’, ‘weekend night opening of cultural and art facilities such as museums, art galleries, exhibition halls, and music halls’, ‘night opening of public facilities such as city hall, community center, library, and school’, ‘night tour programs using cultural properties, traditional markets, restaurants, and night views’, ‘night care and pharmacy open 24 hours a day on weekends’, were analyzed to show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Second,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the importance of night economy and tourism zone activation, it was derived from 6 factors, ‘night appeal’, ‘night safety and security’, ‘night convenience’, ‘use of cultural properties at night and festivals’, ‘night management operation and support’, and ‘night certification system.’ And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the use of cultural propertiesit was derived from 6 factors, ‘contents utilizing cultural properties at night’ and ‘service supporting the use of cultural properti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of revitalization of the night economy and tourism zone affect the factors of utilizing cultural properties and it was analyzed that as the importance of night appeal, night safety and security, night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and festival, and night management operation and support increases, the importance of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increases. Fourth, it was analyzed that the factors activating the night economy and tourism zon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need of the Night Mayor 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the night economy and tourism were drawn as follows. First, as a way to activate the night economy and tourism zone, it was found that events such as cultural property night trips, the creation of a night view facilities using lighting for cultural property facilities, and the weekend night opening of cultural property facilities were necessary to utilize cultural properti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stallation and expansion of CCTV (security cameras) and smart streetlights for the safety of night economy and tourism areas are the most important. Third, it is judged that a festive approach such as a night-type festival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revitalize the night economy and tourism zone. Fourth, in order to revitalize the night economy and tourism,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should actively consider the operation of late-night buses on weekends. Fifth, it is necessary to form a working group in which various stakeholders participate to establish and revitalize the night economy and tourism zone. Sixth, it is necessary to manage and operate the night with the same plan as the day by introducing the Night Mayor system or by hiring public officials specializing in night economy and tourism. Seventh, in order to establish and revitalize the night economy and tourism zone, a survey of the night time period (from 6 pm to 6 am the next day) such as the night economy, traffic, infrastructure, safety and health (medical) should be conducted first to provide the basis for domestic application of night economy zone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Korea to revitalize of the night economy and tourism and establish zones from the viewpoint of utilizing cultural properties and a lot of research will be needed to apply the unfamiliar concept of the night economy to Korea. As in overseas cases, in the case of night economy and tourism, a study on the necessity of the Night Mayor syst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ight public transportation and night economy and tourism will be needed. In addition,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and job cre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night economy and tourism zones should be conducted and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various nighttime attractions for revitalization of the night economy and tourism zones will also be required. 전 세계적으로 도시에서의 경제, 문화와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야간을 계획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으며, 야간이라는 시간적, 공간적 부분을 관리 운영함으로써 지역경제 및 관광 활성화, 일자리 창출을 야간경제(Night Time Economy)에서 찾고 있다. 영국에서는 야간경제 활성화를 위해 ‘퍼플플래그(Purple Flag)’라고 하는 야간경제구역 인증제도를 시행 중이며, 퍼플플래그 지역은 깨끗하고 범죄로부터 안전하며, 접근이 편리하고 안전한 대중교통 이용, 축제와 음식과 같은 다양한 활동이 보장되는 도시 중심지역의 활성화에 목표를 두고 있다. 야간경제구역의 한국화 전략을 위해 역사문화 도시인 전주, 공주, 통영, 제주시의 문화재를 활용한 야간관광 중심의 야간경제 · 관광 구역(Night Time Economy and Tourism Area) 활성화 연구를 통해 야간경제 · 관광 구역 활성화 요인과 문화재 활용의 지역적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야간경제 · 관광 구역 활성화 요인이 문화재 활용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야간경제 · 관광 구역 활성화 요인이 야간시장(Night Mayor) 제도 필요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야간경제 · 관광 활성화 요인의 지역적 차이 분석에 의하면, ‘문화재 시설의 야간개장’, ‘박물관, 미술관, 전시관, 음악홀 등 문화예술시설의 주말 야간개방’, ‘시청, 주민센터, 도서관, 학교와 같은 공공시설의 야간개방’, ‘문화재, 전통시장, 음식점, 야간경관 등을 활용한 야간관광 프로그램’, ‘주말 24시간 운영하는 야간진료와 약국’의 5개 변수가 지역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야간경제 · 관광 구역 활성화 중요도에 관한 요인분석 결과 ‘야간 매력성’, ‘야간 안전 및 보안’, ‘야간 편의성’, ‘야간 문화재 활용 및 축제’, ‘야간 관리운영 및 지원’, ‘야간 인증제도’의 6개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문화재 활용에 관한 요인분석 결과 ‘야간 문화재 활용 콘텐츠’와 ‘문화재 활용을 지원하는 서비스’ 2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야간경제 · 관광 구역 활성화 요인은 문화재 활용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야간 매력성, 야간 안전 및 보안, 야간 문화재 활용 및 축제, 야간 관리운영 및 지원의 활성화 요인의 중요도가 증가할수록 문화재 활용의 중요도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야간경제 · 관광 구역 활성화 요인은 야간시장 제도 필요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야간경제 · 관광 활성화를 위한 결론과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야간경제 · 관광 구역 활성화 방안으로 문화재 활용을 위해 문화재 야행과 같은 이벤트와 문화재 시설에 조명을 활용한 야간경관 시설 조성, 문화재 시설의 주말 야간개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야간경제 · 관광 구역의 안전을 위한 CCTV(보안카메라), 스마트 가로등의 설치 및 확충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야간경제 · 관광 구역 설정과 활성화를 위해 야간형 축제와 같은 축제적 접근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야간경제 · 관광의 활성화를 위해 중소도시에서는 주말 심야버스 운행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야간경제 · 관광 구역 설정과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워킹그룹의 구성이 필요하다. 여섯째, 야간시장 제도의 도입이나 야간경제 · 관광 전문 공무원을 도입하여 주간과 같은 계획으로 야간을 관리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야간경제 · 관광 구역 설정과 활성화를 위해서 야간경제, 교통, 인프라, 안전 및 건강(의료)과 같은 야간시간대(오후 6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 실태조사를 먼저 시행하여 야간경제구역의 국내 적용을 위한 기초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재 활용 관점에서 야간경제 · 관광 활성화와 구역 설정을 위한 국내 중소도시에서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로 의의가 있으며, 야간경제라는 생소한 개념을 국내에 적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야간경제 · 관광에 있어 해외 사례와 같이 야간시장 제도 필요성에 대한 연구와 야간 대중교통과 야간경제 · 관광의 영향 관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야간경제 · 관광 구역 설정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과 고용창출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야간경제 · 관광 구역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야간 매력 콘텐츠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 문화재 복원과 보존 연구 : 우리나라 금속문화재 보존 사례 중심으로

        신덕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We noticed the fact that great amount of cultural properties are excavated after being damaged or eroded from environmental pollutions and chemicals, biological factors and physical factors at underground environment for a long time, and this erosion proceeds faster due to rapid environmental changes after being excavated, but such erosion or damages after excavation could be prevented by carrying out field conservation treatment. Hence, in order to preserve cultural properties in the condition as they are at the time when they are excavated, it is necessary to perform conservation treatment at the same time when they are excavated and to move them to an inside space and then perform additional conservation treatment at indoors. Studies on conservation treatment at field are mainly being proceeded with their focus at application cases, and studies on tools and instruments for conservation treatment, especially, on surface reinforcing agent, are still rare. Its reason is that the reinforcing agent widely being used at the moment has been used from a long time ago and proved to be safe and reversible for indoor conservation treatment. Hence, it has been also used for over 30 years for field conservation treatment until now without undergoing any verification. However, conservation treatment performed at fields and conservation treatment performed at indoo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ir characters since field conservation treatment is temporary process in order to safely move cultural properties excavated to indoors, and thus, different kind of reinforcing agent should be selected in case of field conservation treatment. Following these conditions, this study is to review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processes for metal cultural properties. At Chapter 1, we discussed the purpose and range of the study, and, at Chapter 2, we explained meaning and definition of cultural properties and the needs of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And, at Chapter 3, we reviewed characters of metals, reasons of damage and relevant analysis, types and categories of erosion and measurements for effective conservation treatment, and, at Chapter 4, we reviewed case studies on repair methods for metal cultural properties and relevant research and analysis, cases of disassemble and restoration and maintenance of surrounding environment. At Chapter 5, as a conclusion, we mad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measures and directions for advancement in the future. Execution of scientific conservation measures for cultural properties was started at the mid 20C in the European countries, and conservation science was introduced to the South Korea by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Section at Cultural Heritage Institute, Department of Management on Cultural Heritage in 1969, and, later, it was expanded and changed to Conservation Science Institute as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was established in 1975. Scientific conservation treatment on metal cultural heritage was started during the national grand excavation and research during which various scientists participated and substantial scientific conservation treatment was applied and by which Cheonmachong Tomb (1973), Hwangnamdaechong Tomb (1974 - 1975) and King Muryeong's Tomb (1971) were excavated. However, in most cas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likely to change during or from excavation work, and, following environmental changes, metal properties may erode and be changed to pieces or powder in about 2 to 3 years to lose their value as cultural heritage at last. H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storation technology for our cultural properties, and, by the help of such restoration method applied properly with traditional and scientific techniques, we could convey to our descendants our valuable cultural properties restored in their original condition and the self-esteem and the cultural excellence of Korea. There are several major weak points or problems in relation to the current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methods for cultural properties including loss of cultural properties due to destroy or damage, citizens' poor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for cultural properties, wrong restoration method performed by non-specialists, weakness in governmental research, investigati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nd lack of specialists. We think that the responsibility of conservation scientists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metal relics is to prevent such valuable historical relics from being changed in their appearance due to exterior environments such as erosion and to keep them maintain their form at the time they are excavated. Hence, it is urgent to recognize relevant problems properly and prepare permanent measures of conservation, and it is necessary to bring up effective solutions through sufficient researches and investigations before actually carrying out conservation work for cultural properties. Also,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rained professional labor, offer high-quality educational sessions on cultural heritage, develop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properties and establish governmental and municipal polices to conserve and protect cultural relics, and all these will lead to enhancement in the historical value of our cultural heritage and relics and increase in the national status. 본 연구는 많은 문화재들이 환경오염, 매장환경으로부터 오랜 시간동안 화학적, 생물학적, 물리학적으로 부식된 채 발굴 및 출토 된 후에는 급속한 환경변화에 의해 부식이 활발해져 출토 후 발생되는 손상은 현장 보존처리를 진행하면 예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물을 출토 당시대로 보존하기 위해서는 출토와 동시에 현장 보존처리를 진행하고 수습하여 실내로 옮긴 후 실내 보존처리로 연계되어야 한다. 현장 보존처리에 대한 연구는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현장 보존처리용 재료, 특히 표면 강화제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는 현재 사용되는 강화제는 실내보존처리에서 오랜 시간동안 사용되면서 안정성과 가역성 등이 이미 검증된 재료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금까지 현장 보존처리에서도 30년 이상 재검증 없이 사용하고 있다. 현장 보존처리는 유물을 안전하게 실내로 옮기기 위한 임시적인 작업이므로 실내에서 시행하는 보존처리와 현장에서 시행하는 보존처리를 그 성격이 다르므로 현장 보존처리는 현장이라는 상황을 고려하여 강화제를 선택해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금속문화재의 보존과 복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며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범위을 논하였고, 제 2장에서는 문화재의 의미와 정의, 문화재의 보존과 복원의 필요성 등을 논하였으며, 제3장에서는 금속의 특성과 손상원인 및 분석 그리고 부식의 유형 및 종류 보존관리상의 대책 방안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며, 제 4장에서는 금속문화재 보수 방법 사례연구와 조사 분석 및 해체복원보존처리 사례와 주변 환경 정비에 관해 살펴보았다. 제 5장에는 결론으로 앞으로 개선 방안과 발전방향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문화재의 과학적 보존은 20세기 중반에 유럽에서 처음 시작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보존과학의 도입이 1969년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실 내 보존과학반으로 시작되어 1975년 문화재연구소의 신설에 따라 보존과학연구실로 확대되었다. 금속유물의 과학적 보존처리는 천마총(1973), 황남대총(1974∼1975), 무녕왕릉(1971) 등의 대형발굴조사에서 과학자의 참여와 실질적인 과학적 보존처리의 실시 등으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발굴이라는 행위로 인하여 그 주위환경이 변화 하게 되는데 이 환경변화에 따라 금속유물은 부식되어 2∼3년 내 파편 또는 분말화 상태로 변하여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상실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우리나라 문화재 복원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고 복원에는 전통 및 과학기술을 적절히 적용해서 본래의 모습으로 복원하여 소중한 문화유산을 후손들에게 물려줌으로써 민족의 자긍심과 문화적 우수성을 전달해 주어야 한다. 현재에는 문화재 보존 복원에 대한 취약점은 파괴, 훼손으로 인하여 사라지는 문화재, 문화재에 대한 국민의 낮은 인식과 비전문가로 인하여 복원이 잘못된 문화재, 정부의 연구 조사 및 보존관리의 취약점, 전문적 인력 부족 등이 우리문화재 보존 복원의 가장 큰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금속유물을 보존처리하는 보존과학자들이 이 귀중한 역사적 물증자료가 부식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형상이 변화하는 것을 사전 예방함과 발굴당시의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그 임무라 할 수 있다. 문제점을 바로 알고 영구적인 보존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함을 확인하고 문화재의 복원에 앞서 충분히 조사를 통하여 해결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전문 인력 양성과 수준 높은 문화재 교육, 문화재보존과학 발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재 보호 정책이 뒷받침 되어질 때 귀중한 우리 문화재의 보존으로 역사적인 가치로 인하여 국가의 위상도 높아질 것이다.

      • 지역문화재 기반 역사문화콘텐츠 구축 및 역사교육 활용방안

        전수진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s in establish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utilizing the local cultural assets centered on the Weoljeongsa Temple on the Odaesan Mountain and in preparing an education plan utilizing them. And, through this, the historical value of the Weoljeongsa Temple was raised and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as a history education material and an educational plan utilizing this were explored. In this research,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flow of the Weoljeongsa Temple on the Mountain Odaesan are taken a look at through the various kinds of literature and historical records, an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possessed by the Weoljeongsa Temple are examined by domain. And, through the storytelling that is linked with the munsu faith and the locally transmitted tales, a plan that can establish the Weoljeongsa Temple a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is sought after, and a model for the utilization of the historical education and a teaching plan were proposed so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public and the students can be heightened through the meaningful meetings with the cultural assets. Ever since the foundation of the Silla Dynasty and until the Joseon Dynasty and the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the Weoljeongsa Temple on the Mountain Odaesan in Pyeongchang-gun, Gangwon, has been on the diverse historical paths. If we examine the history of the Weoljeongsa Temple from its foundation until the contemporary times, we can find out that such flows and special features of the Korean history have been contained intact. The history of the Weoljeongsa Temple has been a meaningful standard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Buddhism in Korea. And the Weoljeongsa Temple has been possessing the digest materials that posses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including the accommodation of the Mountain Odaesan faith, which has been passed down from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the meaning as a munsu shrine, the locally-transmitted tales related to the Weoljeongsa Temple, etc. As such, in this research, through the storytelling utilizing the history, the cultural assets, the tales that have been transmitted, etc. that are possessed by the Weoljeongsa Temple, a plan for establish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was presented as the following: Firstly, regarding the Weoljeongsa stone tower,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Weoljeongsa stone tower was presented centered on the values and the meanings of the octagonal, nine-story, stone pagoda and the Bodhisattvas of the Weoljeongsa Temple. And, secondly, as, with regard to the production of the actual view landscape performance of the Weoljeongsa Temple, the Weoljeongsa Temple has been containing the diverse stories within its long history, if, with the Weoljeongsa Temple and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as the background, the foundation of the temple, the ups and the downs, the munsu faith, the Sejo tale, the stone towers, etc. are structured into one description, and, by having the content and the form different from the ordinary performances, if the performance is created with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region as the materials and through the participation by the regional residents, a lot of the favorable responses can be obtained. And it was proposed that the socio-economic contributions should be made to the local society. Thirdly, as a result of presenting a plan for making the Weoljeongsa Temple a historical and cultural park and as with the signifying of the space for understanding the past as a background, from the aspects of the lines of the movements and the space storytelling, and through the immersions in the flows and the spaces of the consciousness resulting from the story, it was mentioned that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spaces and the visitors can be induced. And, as a method for planning such a series of the processes and through the space storytelling, the possibility of the Weoljeongsa Temple becoming an integrated history and culture park was presented. Fourthly, for the raising of the PR for, and the social interest in, the Weoljeongsa Temple, we proposed the organization of a Sudhana contest. It is judged that, for this, by bringing alive the meaning of Sudhana, who is a wise seeker of truth, a plan for expanding and utilizing the contents that sponsor and cultivate the excellent children and the talented youths in the region must be prepared. Fifthly, in order to heighten the conveniences of the tourists and heighten the value of the Weoljeongsa Temple, a plan for the historical education on the Weoljeongsa Temple, which was grafted with the IT technologies, and for th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was presented. Afterwards, a plan for a history class utiliz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of the Weoljeongsa Temple based on the field trips in this research, the historical and cultural inheritances of the region, and the constructive teaching approach method was presented. The plan for the class of this research has one's own critical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s and judgments through the experiences and the researches as the goal. The class of this research is in the form of going on a field trip with the actual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of the Weoljeongsa Temple centered on the parts of the ancient times and the medieval history in the domain of the Korean history, which are the units that pertain to the overall textbook of 'History 1' in junior high school. And by having 'the prior activities in the classroom- the onsite study- the afterwards activities in the classroom' as one bundle, by classifying into the 3 times, and by managing with the 2 topics, a total of 6 times of the subject classes are proceeded with. With the class activities in progress, regarding the historical facts or incidents which one came into contact newly, rather than the knowledge acquisition of them just the way they are, by becoming the history of an excellent person by oneself, too, and, through the experiences of the interpretations and the evaluations, again, through the investigations and the analyses, the interest in the historical study can be elicited. This is, eventually, a solution for supplementing the problems of the current history education of the schools. And it can be evaluated as an alternative of the history education for finding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ing the history of our ethnic group while experiencing the sites of the dynamisms of our histories of the ancient times and the medieval times, which are linked with Buddhism, just the way they are. I hope that, centered on such a basic direction, even bette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of the Weoljeongsa Temple are developed and that the educational utilizations take place. And I have the high expectation that, by possessing the status as a new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brand in the region, the Weoljeongsa Temple will be reborn as a living and breathing cultural asset. keywords: Local cultural asset,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the Weoljeongsa Temple, Buddhism, and history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오대산 월정사를 중심으로 지역문화재를 활용한 역사문화콘텐츠 구축과 이를 활용한 교육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월정사의 역사적 가치를 제고하고, 역사교육자료로서 개발 가능성과 이를 활용한 교육방안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오대산 월정사의 역사적 배경과 흐름을 각종 문헌과 사료를 통해 살펴보고, 월정사가 보유한 역사문화자원을 영역별로 검토한다. 그리고 문수신앙 및 지역전승설화와 연계된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월정사를 역사문화콘텐츠로서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일반대중과 학생들이 문화재와 의미 있는 만남을 통해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역사교육 활용모형 및 교수방안을 제안하였다. 강원 평창군 오대산 월정사(月精寺)는 신라시대 창건 이후 고려와 조선 및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적 궤적을 밟아 왔다. 월정사의 창건부터 근대에 이르는 역사를 검토하면 이러한 한국사의 흐름과 특징이 고스란히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 윌정사의 역사는 한국불교사의 의미 있는 이해 기준이 되고 있으며, 삼국유사에서 전래되는 오대산신앙의 수용, 문수 성지로서의 의의, 팔각구층석탑 및 공양보살상, 탑돌이, 월정사와 관련한 지역전승설화 등 역사문화적 가치를 지닌 다양한 소재를 갖추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월정사가 보유한 역사와 문화재, 전승설화 등을 활용한 스토리텔링으로 역사문화콘텐츠로서의 구축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월정사 탑돌이는 월정사 팔각구층석탑과 공양보살상의 가치와 의의를 중심으로 월정사 탑돌이가 발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둘째, 월정사 실경산수공연의 제작에 있어서, 월정사는 오랜 역사 속에서 다양한 이야기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이를 월정사와 주변 자연환경을 배경으로 절의 창건과 성쇠, 문수신앙, 세조설화, 탑돌이 등을 하나의 서사로 구조화하고, 일반 공연과는 내용과 형식을 달리하여 지역의 역사‧문화를 소재로 지역민들의 참여를 통해 공연을 만들어간다면, 많은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고, 지역사회에 사회경제적 기여도 하게 될 것임을 제안하였다. 셋째, 월정사의 역사문화공원화에 관하여 방안을 제시한 바, 과거를 이해하기 위한 공간의 의미화를 배경으로, 동선과 공간스토리텔링 측면에서 이야기에 따른 의식의 흐름과 공간에 대한 몰입을 통해 공간과 방문객간의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기획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간스토리텔링을 통하여 월정사가 통합적인 역사문화공원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월정사의 홍보와 사회적 관심 제고를 위해 선재동자 선발대회의 개최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지혜로운 구도자인 선재동자(善財童子)의 의미를 살려, 지역의 우수한 아동, 청소년 인재를 후원하고 양성하는 콘텐츠로 확장시켜 활용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관광객의 편의와 월정사의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IT 기술과 접목한 월정사의 역사교육 및 관광 정보서비스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현장체험학습과 지역의 역사적 문화유산, 구성주의 교수접근법에 토대를 둔 월정사 역사문화콘텐츠 활용 역사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수업방안은 체험과 탐구를 통해 자신만의 비판적 역사 이해 및 역사적 해석과 판단을 내려 보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수업은 중학교『역사1』교과서 전반에 해당하는 단원인 한국사 영역 고대 및 중세사 부분을 중심으로 실제 월정사의 역사문화콘텐츠를 가지고 현장체험학습을 하는 형태이며, ‘교실 사전활동 - 현장학습 - 교실 사후활동’을 하나의 묶음으로 하여 3개 차시씩 구분하여 2개의 주제로 운영됨으로서, 총 6차시의 교과수업을 진행하게 된다. 수업 활동이 진행되면서 새롭게 접하게 된 역사적 사실 내지 사건에 대해 있는 그대로의 지식습득이 아닌 자신도 훌륭한 한 사람의 역사가가 되어 조사․분석을 통한 해석과 평가의 경험을 통해 역사 학습의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이는 결국 현행 학교 역사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해법이며, 불교와 연계된 우리 고대․중세사의 역동성을 보여주는 현장을 그대로 체험하면서, 우리 민족의 역사를 재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는 역사교육의 대안이 될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방향을 중심으로 보다 나은 월정사의 역사문화콘텐츠가 개발되고, 교육적인 활용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월정사가 지역의 새로운 역사문화콘텐츠 브랜드로써 위상을 가져, 살아 숨 쉬는 문화재로 거듭나길 기대한다. 주제어: 지역문화재, 역사문화콘텐츠, 월정사, 불교, 역사교육

      • 지역문화재생에서 '크로노토프'의 의미 연구 : <캠프그리브스 문화재생사업(2016-17)>을 중심으로

        최보경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지역문화재생은 사용가치를 잃은 공간에 새로운 의미부여를 통해 생동감을 불어넣는 작업이다. 보존된 경관에 장소기억이 반영된 콘텐츠를 적용하면서 장소는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매개체로 역할 한다.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의 사상가이며 문학이론가인 바흐찐의 ‘크로노토프’ 개념에 천착하여 지역문화재생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시공간을 의미하는 ‘크로노토프’는 이야기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사건들을 조직하는 중심으로 이야기의 마디가 맺어지고 풀어지는 맥락을 뜻한다. 장소에 대한 기억은 과거의 역사적 배경과 흔적에 대한 기억으로 이미지 지향적으로 드러난다. 반면 시간에 대한 기억은 인물 행동과 관계되며 경험 지향적 특성을 가진다. 이 논문에서는 지역문화재생을 위해 장소가 가지고 있는 ‘크로노토프’ 개념에 주목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지역문화재생에서 적용되는 ‘크로노토프’는 과정에서 폴리포니아적 결합을 통해 카니발로 발현된다. 카니발이라는 전환의 과정은 장소정체성을 전환시킨다. 지역문화재생에서 이루어지는 장소정체성 전환은 지역의 근본적인 정체성 변화보다는 장소의 공간적·사회적 맥락의 전환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지역문화재생은 결과보다는 진행되는 과정의 개념으로 보아야 한다. 캠프 그리브스는 한국전쟁 이후 미군이 주둔했던 기지였지만 이라크 전으로 미군이 떠나간 이후 유휴지가 되어 흔적으로 남았다. 그리고 <캠프그리브스 문화재생사업>에서는 장소기억이 반영된 ‘크로노토프’를 반영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새로운 문화적 기억을 만들어 냈다. <캠프그리브스 문화재생사업>은 2016년부터 시작하여 2017년 완료된 사업으로 건축과 공공미술을 통해 장소기억을 반영한 콘텐츠를 장소에 재현했다.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문화재생의 근간이 되는 ‘장소정체성’과 ‘장소기억’에 대한 대표적인 학자들의 이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지역문화재생에서 장소정체성과 장소기억을 연결하는 맥락으로서 ‘크로노토프’를 제시한다. 둘째, 장소정체성과 장소기억을 기반으로 하는 <캠프그리브스 문화재생사업>에 대한 직접 참여자의 자문화기술지 연구를 진행함으로서 기획자로서 캠프 그리브스 개발 초기 지역문화재생에 참여한 연구자의 직접적인 기록을 남긴다. 셋째, <캠프그리브스 문화재생사업>에 대한 ‘크로노토프’ 분석과 함께 바흐찐의 폴리포니아와 카니발 이론을 접목하여 <캠프그리브스 문화재생사업>에 대해 해석함으로써 지역문화재생 연구에서 그 과정에 드러나는 ‘크로노토프’의 확장적 의미를 분석한다. <캠프 그리브스 문화재생사업>의 과정에서 적용된 ‘크로노토프’에 대한 연구는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해 DMZ 지역에 만들어질 평화공원 구축을 위한 준비과정의 기록으로서 의미를 가지며 반환되는 미군기지 활용의 사례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접경지역인 경기 북서부를 문화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시민과 기관의 의지가 폴리포니아적 결합을 통해 카니발로 구현된 <캠프그리브스 문화재생사업>은 캠프 그리브스와 같은 아픈 기억을 가진 장소에 문화예술을 활용한 재생을 진행함에 있어 ‘크로노토프’를 확장적으로 적용하여 사회문화적 지속가능성을 찾은 사례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Local cultural regeneration refers to activities that instill vitality and new significance into a place that has lost its utility value. By applying content that mirrors place memories to the preserved landscape, the place serves as a medium that connects the past and future. This study aims to delve into local cultural regeneration based on Russian thinker and literary theorist Mikhail Bakhtin's definition of "chronotope". Chronotope, which literally means "time space", refers to the context in which passages of a story come to an end and unfold again around the axis that threads the events framing the story. Memories of places deliver their historical backgrounds and traces and thus are image-oriented. However, memories of time are interconnected with human behavior and thus are experience-oriented. This study raises the need to identify the chronotope that each place has in executing local cultural regeneration. The chronotope applied to local cultural regeneration is manifested in the form of carnival through a polyphonic combination. The process of carnival converts place identity. The conversion of place identity achieved in local cultural regeneration can be understood as a conversion of the spatial and social context of a place, rather than a change of its fundamental identity. Local cultural regeneration should be viewed as an ongoing process rather than as an outcome. Camp Greaves used to be a military base for the US Forces after the ceasefire agreement of the Korean War, but it was abandoned after the troops stationed there withdrew to be sent to the Iraq War. The Camp Greaves Cultural Regeneration Project, which was launched in 2016 and came to a close in 2017, succeeded in creating new memories of culture through content mirroring the location's chronotope with place memories. Through this Project, content that mirrors place memories was represented on the site using architecture and public ar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aims to highlight the chronotope as context that connects place identity and place memories that form the foundation of local cultural regeneration by delving into the theories of leading scholars on place identity and place memories. Second, it aims to archive direct records of the resear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local cultural regeneration of Camp Greaves based on place identity and place memories in the early stage as planners by conducting research using auto-ethnography. Third, it aims to analyze the chronotope regarding the Project and interpret the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yphony and carnival theories of Bakhtin to offer an extended definition of chronotope in local cultural regeneration research. This study on chronotope applied to the Project, which set an example for the utilization of a returned military base of the US Forces,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documentary records of the preparations made for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park in the DMZ for the upcoming era of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Project, which reflects the commitment of citizens and government organizations to the cultural regeneration of the northwestern region of Gyeonggi-do bordering North Korea represented in the form of carnival through a polyphonic combination, is also noteworthy as an example of finding ways to ensure sociocultural sustainability by applying an extended chronotope in executing the regeneration of a place previously defined by its scars and wounds, such as Camp Greaves, using culture and the arts.

      • 목조건축문화재의 지진위험을 대비한 방재시스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현성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목조건축문화재의 지진위험을 대비한 방재시스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 현 성 명지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지도교수 김 왕 직 2016년과 2017년의 지진으로 한국에서는 지진에 대한 안전문제가 큰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 두 지진으로 인해 많은 문화재가 동시에 훼손이 되었으며, 문화재의 지진에 대한 안전성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그동안 우리는 문화재를 보수하고 보존하는 정책을 우선으로 삼아왔다. 문화재라는 특수성으로 지진을 대비한 방재시스템을 적용하는 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양하고 복합적인 재난발생으로부터 문화재의 진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법‧제도, 재난관리 조직, 구조보강 기법의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지진에 대한 문화재의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한국의 지진위험성을 검토해본 결과 지진의 발생횟수와 규모가 최근들어 점점 커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진으로 이한 피해는 진앙의 거리와 연관성이 있는데 진앙의 위치와 문화재의 분포현황이 거의 일치하여 지진으로부터의 예방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의 지진위험에 대비한 방재시스템의 개선을 위해서 한국과 외국의 법제도, 방재 담당 기관의 조직체계, 구조보강기법 현황을 분석하였다. 한국과 외국의 법‧제도를 비교해 보았을 때의 한국의 재난관련 법률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크게 2가지로 나타났는데 관련법률의 세분화와 문화재를 위한 방재관련 법적 기반 미비에 있다. 방재조직체계를 비교해 보았을 때 재난관리의 문제점은 크게 세가지로 나타났다. 첫째는 가장 핵심이 되는 재난관리 조직의 문제점은 사고와 재난의 유형별로 관리업무가 분산되어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한국의 재난관리조직의 전문성에 대한 문제점으로 소방조직을 제외하고는 전문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는 재난관리 전문인력의 양적‧질적 부족의 문제이다. 구조보강기법에서는 외국의 경우 예비단계에서부터 면밀한 점검과 피해에 따른 조사를 바탕으로 재해를 예방하는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반면 한국의 문화재에 대한 구조보강은 예방적 측면에 비해 피해에 따른 복구의 성격에 맞춰 이루어온 문제점이 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재시스템의 개선사항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관련 법‧제도의 통폐합의 필요성이다. 한국의 재난관리에 대한 법‧제도를 살펴본 결과 지나치게 세분화 되어 있어 복합적인 재난에 대한 대응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둘째, 재난관리조직의 명확한 체계별 역할분담의 필요성이다. 재난의 대응체계를 재난 발생전 예비단계, 재난 발생시 대응단계, 재난 발생후 복구단계로 나누어 보았을 때, 현재의 시스템 에서는 각 조직이 이 모든 단계에 대해 개별적인 업무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업무의 중복성과 책임소제의 불명확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셋째, 지진방재를 위한 구조보강 기법의 적용이다. 아직까지는 지진 후 피해 수습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문화재의 진정성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원형보존이 중요한 만큼 문화재에 대한 적극적인 구조보강 기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목조건축문화재 지진위험 대비의 핵심은 문화재의 진정성 및 완전성을 지키기 위한 사전예방으로 문화재 방재에 대한 법‧제도, 재난관리 조직, 구조보강기법을 개선하는데 있다. 문화재의 가치는 피해복구를 통해 되돌리기 어려울뿐더러 가치를 돈으로 환산할 수도 없다. 또한 장기적인 측면으로 보았을 때에도 계속적인 수리로 발생하는 비용에 비해 예방을 위한 투자가 더 효율적일 것이다. 주제어(키워드) 목조건축, 문화재, 지진, 방재계획, 재난관리, 내진구조보강, 재난관리조직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Against the Earthquake Risk of Wooden Building Cultural Property Lee Hyunsung Department of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im Wangjik Due to the earthquake of 2016 and 2017, the safety problem of earthquake is raised as a big social problem in Korea. Due to these two earthquakes, many cultural properties were damaged at the same time, and it wa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safety of cultural properties against earthquakes. In the meantime, we have prioritized policies to preserve and preserve cultural properties. Because of the special characteristic of cultural assets, it was difficult to apply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prepared for the earthquake. However, it is necessary to improve legal and institutional,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and structural reinforcement techniques in order to maintain the authenticity of cultural properties from various and complex disasters.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safety of cultural properties for earthquakes in Korea.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earthquake risk in Korea, it is confirmed that the frequency and magnitude of the earthquake occurrence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Also, the damage caused by the earthquake is related to the distance of the epicenter,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location of the epicenter and the distribution of the cultural property are almost same, and the prevention from the earthquake is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against the earthquake hazard in Korea, we analyzed the legal system of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disaster prevention agencies, and the state of the structural reinforcement techniques. Comparing the laws and systems of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ere are two major problems in Korea 's disaster - related laws. These are the subdivisions of related laws and the lack of legal basis for disaster prevention for cultural properties. When comparing the disaster prevention organization systems, there were three problems of disaster management. First, the problem of the most important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is that management tasks are dispersed by type of accident and disaster. Second, the problem of the expertise of the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in Korea is lacking in the expertise except the firefighting organization. Third, it is a problem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hortages of experts in disaster management. In the case of foreign countries, foreign countries apply technology to prevent disasters based on careful inspections and investigations from preliminary stages. However, structural reinforcement of Korean cultural assets is more effective than preventive measures We confirmed the problem that was made. Improvements of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that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related laws and institution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aws and systems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it is too fragmented to respond to complex disasters. Second, it is the necessity to share the clear roles of the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If we divide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into pre-disaster stages, disaster response stages, and recovery stages after the disaster, since each organization is responsible for each of these stages in the current system, redundancy and responsibilities The uncertainty of the scrap has become a problem. Third, application of structural reinforcement technique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However, in order to preserve the authenticity of the cultural property,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structural reinforcement technique to the cultural property as important as preserving the original shape. Wooden Building Cultural Property The key to the preparation of earthquake risk is to improve legal and institutional disaster management,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and structural reinforcement techniques in order to prevent the authenticity and completeness of cultural properties. The value of cultural property is not easy to be recovered through restoration, and the value can not be converted into money. Also, in terms of long-term perspective, investment for prevention will be more efficient than the cost of continuous repairs. Keyword Wooden architecture, Cultural Heritag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plan, Disaster management, Reinforced earthquake resistant structure,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