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지털 경제 하에서 중국 문화적 창의성과 경제성장에 관한 연구

        왕용 세종대학교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경제 발전에 대한 문화의 역할을 무시할 수 없다. 특히 인류 사회가 디지털 경제 시대에 접어든 후 문화의 역할은 관련 제품의 경쟁력뿐만 아니라 경제 발전 방식에 대한 결정적 영향력에서도 나타난다. 디지털 경제 시대에 문화 관련 경제 부문이 부상하고, 전 세계 경제 성장의 새로운 엔진이 되었다. 문화창의산업을 국민경제의 지탱산업으로 발전시키는 것은 국민경제발전을 촉진하고 국제영향력을 증가시키는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주류 경제학 이론은 경제 성장에 대한 문화의 역할을 중요시하지 않았다. 특히 디지털화 가능한 문화를 미시적 대상으로 삼아 경제성장과의 관계를 연구한 문헌이 매우 미미하다. 특히 국내 문화 창조 산업이 활발히 발전하여 경제 발전을 견인하는 새로운 엔진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문화 창조 산업과 경제 성장의 관계 및 메카니즘에 대한 연구가 드물기 때문에 이론적 고도에서 문화 창조 산업이 경제 발전을 이끌 수 있도록 뒷받침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경제하에서의 문화적 창의성과 경제 성장의 상호작용 관계를 분석하여 디지털 경제하에서의 문화적 창의성 산업의 발전 전략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구조체계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귀납적 총화와 논리적 추리를 결합하고, 학제적 교차 연구방법이고, 비교정태분석과 일반균형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이와 관련된 통계는 2019년 중국 성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자 분석과 주성분 분석을 통해 전국 각 지역의 4개 지표의 구체적인 점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문화적 창의성 변수들을 종합하여 SPSS 23.0 통계방법으로 산출물의 회귀분석을 도입하고 디지털 경제 변수의 매개 효과와 조절 효과를 각각 검사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개 작용을 통제하지 않는 상황에서 문화창의지수의 회귀계수이고 5% 유의성 수준의 통계검정을 통과하여 문화창의(v)가 지역산출수준(y)에 대하여 뚜렷한 긍정적 촉진작용을 나타낸다. 둘째, 중국 31개 속성의 회귀 분석을 통해, 물적 자본(k), 노동 투입(l), 인적 자본(h), 문화적 창의성(v), 디지털 경제(d)를 인수로 하고 교차 항목이 없는 회 모형을 기초로 회귀 모형을 만들고, 이 기초 회귀 모형에 문화적 창의성과 다른 인수의 상호 작용(vk, vl, vh, vd)을 점진적으로 추가하여 디지털 경제 변수의 조절 효과를 검증한다. 셋째, 문화 창의와 경제 성장에는 현저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넷째, 디지털 경제는 문화적 창의성을 위한 자본 투입과 경제 성장을 매개하는 요소이다. 다섯째, 디지털 경제는 문화적 창의성과 경제 성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끝으로, 디지털경제는 문화창의와 다음해의 경제성장에 조절효과가 있다. 본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산업발전을 장려하기 위한 경제정책은 문화산업의 질적 성장을 촉진하는 데 중심을 두어야 한다. 둘째, 문화적 창의성이 디지털 형태로 문화산업의 경계를 넓히고 혼합형 문화기업의 발전을 장려하며, 산업 융합을 통해 기업 분립의 제한을 돌파하고 문화 창의성이 더 큰 범위의 배치와 전환을 추진하여 경제 전환과 산업 혁신을 촉진한다. 셋째, 지역층면에서 교차 복합형 도시문화 창의체계의 구축이다. 넷째, 기술 층면에서 디지털 기술과 문화 창의성의 심도 있는 융합의 추진이다. 다섯째, 문화적 측면에서 문화 혁신의 생태계의 구축이다. 즉 문화창의성과 관련산업의 결합을 유도하고 문화창의성을 이용하여 기술혁신과 제도혁신의 질을 높여 문화 혁신을 융합하여 기업 가치와 제품 경쟁력을 제고시켜야 한다. 본 연구는 아직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본 연구는 논문의 전체 분석이 거시적으로 치우쳐 미시적 기초가 부족하였으며, 총량과 구조의 두 측면에서 실증적 분석을 하였으나 총량분석은 상대적으로 시간에 따른 디지털 경제의 역동적인 변화는 모형에서 드러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방향은 우선 수리적 모델을 최적화하여 제조업자와 소비자의 선택과 같은 미시적 행동을 포함하는 동적인 수리적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패널 데이터의 중개 효과 분석을 탐구하는 방법으로 디지털 경제 발전에 따른 시간 차원에서의 디지털 기술이 문화 창의성과 경제 성장 관계의 강약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문화 창의성 융합이 기업 생산과 소비자 선택에 들어가는 미시적 이론 분석을 심화하고 특히 문화 창의성 크로스오버 융합이 서로 다른 유형의 기업에 대한 경제 작용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문화정책 변화에 따른 애니메이션 지원제도의 시스템 변화 연구 : 1999~2013 제작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서수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애니메이션 산업은 한번 흥행을 하면 영상 판매 이익을 비롯해 캐릭터 및 연관 산업을 통한 라이선스 사업으로 전 세계를 향해 별다른 제약 없이 막대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역대의 각 정부들은 애니메이션 산업을 문화콘텐츠산업의 핵심 산업 중의 하나로 인식하여 정책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이 연구는 각 정부의 이러한 정책적인 관심이 국내 애니메이션 지원에 미친 영향과 그 흐름을 연구한 것으로,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및 각 진흥기관들이 생겨나기 시작한 1999년부터 시작해, 관련기관들에서 실시한 제작지원 사업들의 변화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또한 현재의 애니메이션 산업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국내 애니메이션 지원제도들이 가지는 실효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 문화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을 비롯해 총 7개의 조사기관에서는 글로벌 애니메이션 제작지원(단편, 파일럿, 본편), 애니 프론티어, 신화창조 프로젝트 등의 사업을 실시하였으며, 현재까지 총 161개의 사업이 시행되었다. 가장 많은 제작지원 사업을 실시한 기관은 한국콘텐츠진흥원이었으며, 가장 먼저 제작지원 사업을 실시한 기관은 서울산업통상진흥원(서울애니메이션센터)이었다. 각 지원 사업들의 시행 회수와 지원 금액은 정권이 교체되는 시기에 가장 줄어들었고, 반대로 해당 정권이 절반 정도 흐른 해에 제작지원 사업 수와 금액이 가장 높은 양상을 보였다. 또한 정부의 제작지원 사업이 시작된 초기에는 단편애니메이션 제작지원이 주가 되었고, 차후에는 TV용 애니메이션을 위한 제작지원 사업들이 활성화 되었다. 반면, TV용 애니메이션과 달리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만을 제작지원 하는 사업은 단 10건으로 매우 적게 시행되었다. 이외, 정부 제작지원 사업의 주된 사업 목표는 산업활성화, 창작활성화, 성공모델도출인 것으로 나타났고, 제작지원 사업에서 제작비 지급 외에 추가적으로 이루어진 지원으로는 후반작업지원, 홍보 및 마케팅 지원, 투자유치지원, 교육지원 사업들이 있었다. 그러나 국내 애니메이션 산업의 문제로 지적되는, 국내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의 제작 및 매출 부진, 관련 인력의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민간투자 위축 등에 대해, 정부와 관련 기관의 제작지원 사업들은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하지 못했다. 국내 애니메이션 산업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의 제작지원 활성화가 요구되며 제작된 애니메이션의 배급과 전용관 확보에 대한 정부의 지원 확대가 절실하다. 또한 인력의 효율적인 양성과 활용을 위해, 제작지원과 유기적으로 연계된 사업들이 필요하다. 제작으로 편중된 인력 비율을 조정하고 효율적인 인력 활용을 위해서 진흥기관의 관리 하에 다양한 전공이 포함된 학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기업이 이들과 협력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각 진흥기관의 국제 협력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국제공동제작 지원이 실시되어야 한다. 지금의 국제공동제작지원제도는 이미 공동제작이 선결된 회사에 제작비를 지원하는 것으로 다른 제작지원제도와 별다른 차이를 가지지 못하며, 다수의 해외 연결망이 없는 기업들에겐 무의미한 사업이 된다. 적극적인 공동제작지원은 성공적인 해외 진출 모델 도출과 민간 투자의 활성화를 이끌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애니메이션 진흥기금 조성을 통한, 제작 자본의 안정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지금의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도들은 해당 제작자의 프로젝트가 성공하였다고 하더라도 다음 프로젝트로의 연계를 보장하지 못한다. 애니메이션 산업의 기반이 되는 안정적인 자금마련이야 말로 민간 투자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촉매체가 될 것이다. 한편, 각 진흥기관의 제작지원 사업들은 1회에 그치거나 특정 해에는 시행되지 않는 등 잦은 변화를 보였는데, 이 또한 한국 애니메이션 지원 사업에서 필히 해결 되어야 할 과제 중에 하나이다. The animation industry is a higher value-added business that makes a huge profit under the favor of license agreement and character merchandising from related other business across the universe. For this reason, our governments have regarded animation business as one of the core business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supplied the business unsparingly. This study is keeping track of the change of the effect on animation support arising out of governments's attention and the animation support projects of government branch such as Kocca(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other similar agencies. In addition, it's analysing the problems which the animation industry have and checking how much effectiveness has the animation supporting projects of these governments settle the problems. As the result, This thesis found a fact that total 161 projects such as 'Global Animation production support', 'Ani-Frontier' and aggressively implemented up to now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occa, and the other 5 agencies. Kocca is the agency having implementing most frequently the support policy and Seoul Business Agency is the first agency having the support policy. The finance and the number of implementation for support policies has decreased at the point of change of government, on the contrary to this, it has increased highly the each government in history pasts the half-way point. Also the support policy for short animation was taking a possession of the most of the policy at the first time to start support policy. but the policies changed themselves for TV series animation as time goes by. However the support policies for a full-length animation was enforced only 10 times contrary to above policies, and there was many policies which have no concern with format, length and type. This study is telling government's support policy for animation focuses on invigorating a animation industry, creative activation, and providing success models and lends a hand by offering post-production, public relations and marketing, investment besides paying production costs. However it isn't to get specific answer about production of full length animation for theater, its sluggish sales, imbalance of supply and demand for human resource, a private investment fall off that is referred to the main problem. For this, it's urgent to increase the number of dedicated theater for animation and a distribution channel and need to support a production about feature length animation for balanced development of the domestic animation industry. For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manpower, organically projects linked with production support are needed. The government agencies should help cooperation of academia and enterprises, as establishing academia's network including a variety of majors under the control of the governments in order to utilize human resources effectively and adjust ratio of labor weighted towards main-production. And each government agency should manage the international co-production support efficiently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It doesn't have distinction between other production supports because today's international co-production support back up the companies decided co-production and value to the companies that have not connection network about overseas. The active support about it will make successful model for overseas expansion and vitalize the private investment. Finally, it's need to support consistently the production fund by making the animation promotion fund. Even though the project got a box office hit, the present policy to activate private investment can't guarantee success of the next project. This fund will become catalyst which can attract private investors. Meanwhile, Production supports of each government agencies appeared the frequency of the changes that occur from irregular business management, temporary project. This is the problem to be improved in support policy for Korea animation industry, too.

      • 중국 문화창의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저장성을 중심으로

        Wang, Lu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중국 문화창의산업은 2004년 이후 급속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보이면서 국민생산, 취업 등에 영향을 미치고 지역 경제발전을 촉진하는 등 그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면서 점차 발전의 핵심 영역이 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중국이 문화창의산업을 통해 경제발전을 이루려면 문화창의산업과 경제발전에 관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중국의 문화창의산업에 관한 연구는 정성적인 연구가 대부분이며, 질적 연구에서 지역 경제에 대한 영향력 분석이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중국 문화창의산업의 대표적인 지역인 저장성(浙江省)은 최근 몇 년간 문화창조산업이 급속히 성장하여 중국의 문화창의산업의 대표적인 선도지역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저장성(浙江省)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중국 문화창의산업 발전의 선도 지역인 저장성을 연구대상으로 저장성 문화창의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과 저장성 통계청이 2003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업 클러스터 이론, 경제성장 이론 및 수렴이론으로 산업집적도분석, 패널회귀모형, 절대 수렴 및 조건부 수렴분석을 통해 저장성 문화창의산업의 클러스터의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31개 성(省), 직할시(直轄市) 및 자치구(自治區) 의 문화창의산업 생산 증가액을 사용하는 산업 집적도 입지계수 분석 결과, 저장성이 2015년부터 2018년까지 문화창의산업 발전이 전국 3위 안에 들어가 있었고 문화창의산업 발전의 선두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저장성 내의 각 지역의 문화창의산업 집적도를 산업 종사자 수의 입지계수(LQ)로 분석한 결과, 항저우(杭州)는 문화창의산업 발전의 핵심 도시로서 LQ지수는 2012년부터 이후 LQ지수가 꾸준히 1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닝보(寧波)와 저우산(舟山)은 특정 연도의 LQ지수가 1이상이 나타났다. 나머지 지역들은 문화창의산업 집적 현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이 확인되었다. 추가로 항저우 문화창의산업의 연 생산 증가액을 이용해서 2011년부터 2019년까지의 산업 생산 입지계수를 분석한 결과가 산업 종사자 LQ지수의 분석결과와 일치하게 나타났으며, 항저우 내에 분명한 문화창의산업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는 것이 판단된다. 이 결과를 통해 저장성의 문화창의산업의 분포에 지역적 차이가 분명히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문화창의산업의 연말 종사자 수, 도시주민 문화창의 제품의 1인당 소비 지출, 문화창의산업의 집적도를 문화창의산업의 설명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전 사회 고정자산투자, 연말 사회 총종사자 수와 같이 투입하여 패널회귀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전 사회 고정자산투자, 연말 사회 총 종사자 수가 지역 1인당 GDP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문화창의산업의 종사자 수, 도시주민 문화창의 제품의 1인당 소비 지출도 지역 1인당 GDP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제성장 수렴효과의 분석결과, 저장성 전체의 경제성장은 절대 수렴과 문화창의산업 발전 하의 조건부 수렴형태로 나타났다. 절대 수렴분석의 경우, 닝보(寧波), 가흥(嘉興), 취저우(衢州) 이 3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의 경제성장이 다 유의수준에서 절대 수렴효과가 나타났다. 문화창의산업 발전 하의 조건부 수렴분석의 경우, 닝보(寧波), 소흥(紹興), 저우산(舟山)은 1%의 유의수준에서 조건부 수렴효과가 나타났으며, 후저우(湖州)는 유의수준 5%, 타이저우(台州)는 유의수준 10%에서 조건부 수렴효과가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라 중국 문화창의산업의 불균형한 분포 현황을 알 수 있으며, 문화창의산업의 발전은 지역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정책지도로 지역 저장성 내의 균형발전을 촉진해야 한다. 둘째, 문화창의산업의 발전 수준이 높은 도시들이 충분히 자신의 우세를 이용하여 문화창의산업의 생산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저장성 전체 문화창의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하는 것을 중요시해야 한다. 셋째, 문화창의산업의 집적을 유지하며, 산업 클러스터를 더 중요시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국가 통계청 데이터의 제한으로 인해 관련 영역의 심층 분석의 어려움이라는 한계점이 있다. 향후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더 많은 설명변수와 계량 분석 방법을 고려한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 한중 문화산업의 현황과 전망연구

        류몽택 우석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The Present Situations and Features of Korea and China Culture Industry Liu Mengze Department of nternational Business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Culture industry and intelligence communication industry are the focus of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Culture industry is an epoch-making industry without considering time and space limitations. It is a high-profit and high-value industry recreated by one country’s traditional culture. Nowadays, many developed countries had been already realized that the importance of culture industry, such as U.S. and Japan. They use every conceivable stratagem to control the international market. And meanwhile, Korea and China are gradually entering and nibbling the global market. Cultural industry, occupying 64% of the Korean GDP,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Korean economy developing. In order to meeting the cultural keen competition, I personally think it is necessary for IT industry to create new products and explore the oversea market. According to calculation, in 2015, the expenditure of China Cultural industry and its related consumptions will be increased at 53.4 billion US dollars. Moreover, the national outcome of consumption in China will be increased at 3.82 billion US dollars. So, it is essential to study the current situation of China cultural industry. Both Korea and China are developing fast in all aspects, especially China, with cheap work force, plentiful natural resources, and enormous domestic market, is developing fast during the past 20 years. To a large extent, China has already eliminated the yoke of poverty. However, compared with Korea, China is reduced to absolute inferiority in cultural industry. There are certain similarities between Chinese culture and Korean culture; compared with commodity trade, cultural industry has a brighter future than commodity trade. In this essay, I will evaluate and discuss the present situations and features between these two countries’ cultural industry.

      • 기독교 문화산업의 패러다임 연구 : 기독교 문화관과 문화인프라의 모색을 중심으로

        홍성일 숭실대학교 기독교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life have made one realize the various cultural needs in modern society. An individual strives to find a way to escape from societal demands, and lives the life one hopes for. Because of this, the cultural industry combines cultural creativity and knowledgeable information with cutting-edge technology to satisfy human needs. Therefore, the cultural industry has maximized its economic effect which in turn expanded the cultural sentiment of people. As a result, the country has acknowledged the value and importance of the cultural industry, leading to the protection of its cultural fund, and the cultural industry deployed an industrial policy in order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cultural products. However, the cultural industry’s products that are being consumed by individuals are not promoted by natural culture rather people have been utilizing products crafted by artificially made culture. Political communication, commercial propaganda and infomercials offer continuous supplies of cultural products. Natural culture and artificial culture seem to be of a different nature but in reality the two cultures have blended so much into one another that one is una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two. In a spiritually influenced Christian perceptive, the critical evaluation of the cultural industry is being requested. This is because some Christians do not know the clear theology of the Christian faith and are often subject to take part i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cultural product. For that reason, Christians have declared that the paradigm of the cultural industry must be set by the confession of faith. As a Christian who follows God’s cultural command, the expansion of the Christian cultural industry is vital. This needs to be started with a thesis on the Christian culture. A thesis based on the world view of the faith of god has to be originated. Disciples who sought independence from Jesus Christ's instructions must be recovered. This action should be accomplished by one serving, caring, and having a steward sense of responsibility. Starting with cultural pluralism and multiple identities, one must become a cultural advocate, and a cultural change implementer. Christian cultural industry must rear from the control of the actual cultural industry by constructing a cultural infrastructure. This is not only for Christians; the cultural product that needs to be produced is for everyone who holds in common with Christ's new creation. The Christian cultural industry’s intention is not to use cultural products as a way to spread the word of God to the population; its purpose is to see a human as a God’s child, to help the Christian understand the original meaning, and to realize one’s sins, wrongful desires, and personal problems. Using the relationship with God people will recover from the cultural industry's diversion from the right direction. 현대인은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다양한 문화욕구를 느끼게 되었다. 강제적인 삶의 의무로부터 벗어나 희망하는 생활을 영위하려고 하고 그 방법을 찾는다. 이에 문화산업은 문화적 창의성과 지식정보를 첨단기술과 결합하여 인간의 욕구를 총족시킨다. 문화산업은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문화의 정서를 확산시킨다. 그래서 국가도 문화산업의 부가가치를 중요시하게 되었고, 자국의 문화재원을 보호하고, 문화상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문화산업 정책을 펼치게 되었다. 그러나 문화산업의 상품을 소비하는 대중은 사회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된 문화가 아니라 인위적으로 가공, 생성된 문화를 소비하게 되었다. 정치적 이해관계, 상업적 선전 그리고 정보화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문화 생산물은 공급되어진다. 외적인 모습은 서로 보완 하면서 발전되어지는 것처럼 보여도 내면적 인간의 정체성은 점점 그 본질적 의미를 상실해 간다. 특히 영혼에 깊은 영향을 받고 있는 기독교적 관점에서 문화산업에 비판적 평가가 요청되는 점이다. 기독교인도 명확한 신학적이고 신앙적인 지침을 알지 못하고 문화상품의 생산과 소비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기독교 문화산업에 대한 패러다임은 신앙 고백적으로 정립되어져야 한다. 하나님의 문화명령을 수행하는 동인으로서 기독교 문화산업이 육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기독교 문화관을 정립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하여야 한다. 하나님을 신앙하는 세계관을 정립하여야 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교훈을 ?i는 제자적 주체성을 회복하여야 한다. 섬김과 돌봄의 청지기적 책임감으로 실천하여야 한다. 문화적 다원주의와 복합적 정체성으로부터 기독교는 문화변화의 유발자가 되어야 하고 문화변화의 시행자이어야 한다. 현실 문화산업의 지배로부터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문화인프라를 구축하여 기독교 문화산업을 육성하여야 한다. 이는 기독교인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 있는 새로운 피조물이 된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문화상품을 생산하는 것이다. 기독교 문화산업의 지향점은 문화생산물을 통하여 대중을 복음화 시키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을 보다 하나님의 자녀, 즉 기독교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바르게 인식시키고, 인간의 죄악상과 본질적인 인간의 문제를 깨닫게 하는데 있다. 하나님과의 관계에 의하여 문화산업의 변혁을 바른 방향성으로 회복하려는 것이다.

      • 문화콘텐츠 인력 양성을 위한 경제교육의 변화 방향

        엄대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1990년대 문화산업의 성장 잠재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문화산업은 21세기 주요 산업으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2000년대로 접어들면서 문화산업의 핵심인 콘텐츠의 중요성이 강조되었고, 문화산업은 문화콘텐츠산업이라는 개념으로 전환된다. 여전히 문화산업과 문화콘텐츠산업의 관계에 대해서는 상이한 관점이 존재하지만, 어떤 관점을 채택하더라도 최근의 경향이 문화콘텐츠산업에 있음은 부정할 수 없으며, 이러한 현상은 콘텐츠 개발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문화콘텐츠산업의 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것은 세계적인 현상이다. 게다가 문화콘텐츠산업의 성장 속도는 GDP 성장 속도의 두 배 이상을 기록하고 있고,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이러한 문화콘텐츠산업의 현황과 전망에 대한 통계는 문화콘텐츠산업이 차세대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뒷받침한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구조의 변동과 문화변동은 문화콘텐츠산업의 중요성에 더욱 타당하고 확실한 근거를 제공한다. 산업사회에서 정보사회로의 천이는 이미 현실화되었다. 중요한 것은 정보사회의 기반이 구축되고 난 이후이다. 디지털 기술을 중심으로 정보통신 네트워크가 구축된 이후에는 네트워크 안에서 유통되고 활용되는 콘텐츠가 핵심 자원이 된다. 하드웨어가 갖추어지면 자연스럽게 소프트웨어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것과 마찬가지다. 동시에 문화적으로도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사회가 되면서 여가와 웰빙, 문화적 욕구 충족에 대한 의식이 진작되고 있다. 이러한 경제기반의 변화와 문화적인 변동이 문화콘텐츠산업에 주목해야 할 근거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은 이러한 변화상을 포용하지 못하고 있다. 문화콘텐츠산업 인력 양성이 정부, 재계, 학계 모두에서 중요시되고 있지만, 정작 학교교육 체계는 인력 양성을 위한 역할을 담당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규 학교교육이 문화콘텐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무엇을 담당해야 하는지와 문화콘텐츠산업이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한다는 전제하에 과연 그 패러다임은 무엇이며, 그것을 반영하고 교육해야 할 교과로서 경제 교과가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를 연구하였다. 문화콘텐츠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은 현재 네 층위로 이루어진 구조로 진행되고 있다. 그 중 가장 기초 단계가 ‘기초 잠재 인력’을 양성하는 단계로서 초, 중, 고 과정의 정규 학교 교육이 이에 해당한다. 전체 인력 양성 구조의 초석이 되는 단계이기 때문에 전문적인 소양보다는 핵심적이지만 기초적인 소양을 포괄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문화콘텐츠산업은 독창적인 콘텐츠의 개발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그 인력에게 가장 중요한 자질은 창의성과 창의성의 바탕이 되는 폭넓은 인문 사회과학적 지식 그리고 디지털 기술을 조작할 수 있는 능력과 표현력이다. 나아가 문화상품을 기획· 제작· 판매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문화적인 감수성과 비판적인 사고력, 의사결정능력 등 고급사고력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학교교육은 이러한 능력을 함양하고 진작시키는 역할을 해야 하며, 이를 위해 사회, 기술, 미술, 음악 등 연관 과목들의 비중이 높아져야 한다. 문화콘텐츠산업의 문화적 측면과 산업적 측면의 특성들은 사회과에서 다루기에 적합하다. 문화콘텐츠 인력에게 요구되는 문화적인 감각과 관점, 문화리터러시 등의 자질들은 사회과를 통해 기를 수 있다. 또한 문화콘텐츠 인력이 기본적으로 이해해야 할 문화콘텐츠산업의 산업적 특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경제적 사고방식은 경제교육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현대 사회의 경제 사회적 변화 속에서 기존의 핵심적인 경제학적 원리와 개념들 중 몇몇이 설명력이 떨어지고 한계를 드러내면서 경제교육 변화의 필요성을 방증하고 있다. 이제 경제교육은 기존의 주류 경제학이 간과해 온 문화경제학적 관점, 생산자와 소비자의 이분법적 구도에 의해 인식되지 못했던 프로슈머 의식, 합리성 중심의 경제에서 창의성 중심으로의 전환, 콘텐츠의 소비가 아닌 생산의 중요성, 수확체증의 원리, 희소성이 아닌 확장성, 생산의 3요소가 아닌 4요소 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변화되어야 한다. 이를 반영하기 위해 우선 경제교육의 목표 측면에서, 합리적 경제인 양성이라는 기존의 목표에 창의적인 생산자 양성이라는 목표가 부가되어야 한다. 내용 측면에서는, 경제기반의 변화와 문화콘텐츠산업의 특성, 한계에 봉착한 기존 경제학 원리들, 그것을 대체하는 원리들을 포함시켜야 한다. 방법측면에서는 지식 전달 위주의 수업에서 창의성을 고양할 수 있는 수업 모형과 교과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식기반사회는 문화콘텐츠기반사회로 나아가고 있다. 경제교육은 급속히 콘텐츠기반의 경제로 도약하고 있는 사회변화를 수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이 받을 충격을 완화하고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경제관 형성에 기여해야 한다. 이것은 문화콘텐츠 인력 양성을 위해서뿐 아니라 교육의 사회적 기능을 고려할 때, 교육 본연의 임무이기도 하다. 따라서 문화콘텐츠 인력 양성을 위해 경제교육이 변화해야 하는 것은 시대적 요청이다. The cultural industry started being highlighted as a main industry in 21st century as interests in the potentials of growth in the cultural industry in 1990s. As it entered 2000s, the cultural industry shifted to a concept of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as the importance of contents was strengthened as the core in the cultural industry. There still exist different 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industry and cultural contents industry, it is hard to deny the recent trend lies in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whatever view one might take up, and such circumstances imply the importance of the contents development. The expansion of market size in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is a worldwide phenomenon. Moreover, the growth speed of cultural industry has recorded twice or more than that of GDP, along with its continuous growth. Statistics on the current status and expectations for such cultural contents industry underlie the fact that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will become the driving force for growth in the next generation. The cultural changes with those in the social structure, which have been proceeding now, provide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with more valid and solid foundations. The shift from the industrial society to the information society has been already realized. Important is the time after the foundations of information society are constructed. Contents to be distributed and utilized in the networks become core resources after the constru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around the digital technologies. It is the same as we naturally have fierce competitions with software after we are equipped with hardware. At the same time, we have been more aware of leisure, well-being and fulfillment of cultural needs as we approach to a society with material affluence in terms of cultural. Such changes in the economic foundations and variations in cultural provides us with rationale to which we should pay attention. However, the educational realities in our country have not embraced such images of changes. Although all of government, industrial circles and academic worlds regard the development of manpower for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as being important, it is true that the systems of school education in reality have not played a role in fostering such manpower.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what roles the regular school education should play to foster the manpower of cultural contents with a prerequisite that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require a new paradigm, and what the paradigm will become and how we have to change our economic subjects to reflect and educate such circumstances. The education to develop manpower for the cultural contents has proceeded with a structure composed of four layers as of now. The most basic stage is one to foster 'the basic potential manpower', which falls into the regular schoo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ourses. As it is the stage underlying the foundations on the manpower development structure as a whole, the stage should be able to carry out education to foster the core and basic acquirements in general rather than any professional attainment. As it is the most important to develop the creative contents in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 most important qualities for manpower consist of expressive abilities with skills to operate digital technologies as well as wider humane and scientific knowledge along with creativity. Furthermore, as they have to carry out works to plan, produce and sell the cultural products, they have to keep the thinking powers with high qualities such as the cultural sensitivities, critical thoughts, decision-making abilities, etc. Accordingly, the school education should play a role in fostering and promoting such abilities, and thus the weights for those related subjects should be heightened including such subjects as society, technology, art, music, etc. It seems appropriate for subjects in society to deal with characteristics in culture and industry for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Qualities such as the cultural senses and viewpoints, and cultural literacy which are required for manpower in the cultural contents can be fostered through subjects in society. In addition, the economic education should deal with the new paradigm and economic ways of thoughts with the industrial characteristics in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for manpower in the cultural contents to basically understand. As a few among the existing core economic principles and concepts are losing their abilities of explanations in the middle of economic and social changes in modern society, they reflect necessities of changes in the education of economy. Now is the time for the education of economy to have changes to reflect not just three elements of production but four elements such as the perception of prosumer that has not been recognized in the dichotomy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shift to the economy central to creativity from rationality, importance of production not as the consumption of contents, abilities to expand from the principle of increasing returns and scarcity in terms of cultural and economic viewpoints which have been neglected by economics in the existing mainstream. In order to reflect such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add a goal to develop creative producers to the existing goals to foster rational and economic people. It is necessary to include changes on the basis of economy, characteristics in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principles to replace the existing ones facing limitations in terms of cont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class models and textbooks to increase creativity from those around the simple delivery of knowledge in terms of methods. The knowledge based society proceeds to the cultural contents based society. The education of economy should make contributions to forming the economic views to have proper responses while easing impacts on learners by accommodating the social changes with a rapid takeoff to the economy based on contents. This is not only for the development of manpower for the cultural contents but also the essential missions of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social functions in education. Therefore, it is a demand in our times for the education of economy to change for the development of manpower in the cultural contents.

      • 문화산업 예술로서의 한국 전통춤 연구

        이지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21 century is known as "the century of culture " or "the era of cultural war". Thus, the power of culture will reorganize the structure of world, and politics and economy should be homogenized on the same axis with culture in order to exhibit its competitiveness. Developed countries are lavish in investing the national fund to foster culture as business because already understood culture as invaluable business which promotes cultural spead; raises the image of their products and their indigenous culture; utilizes the revolution of telecommunication most effectively; possess the enormous potential to be propagated; and has environmentally friendly aspects. Contrarily, in Korea, funding and political measures regarding cultural industry, especially on the traditional dance, are insufficient. Based on this problem, this thesis aims at proposing the possibility and potential of uniqueness and cultural aspects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the essence of cultural industry, for researching and discovering the direction of cultural political measures on the popularization and activa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Problems which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to succeed significance and value of cultural industry, its role in an economical aspect,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its value in cultural industry.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s follow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and its value; have been defined. In addition, By studying case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First, as Korea Traditional Dance is incorporated with emotion peculiar to Korean, it is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through standing against the cultural homogen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Second, By preserving and utilizing Korean Traditional Dance, it is possible to activate local economy and to magnify the welfare of the local. Moreover, programs related to Traditional Dance education such as regional performance, survey and exhibition play a pivotal role in improving creativity and the quality if life if a nation. It is also expected to uplift the competitiveness of national economy by adding higher value. Third, Through industrialization, gener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mage of korea's economy, society and politics can be improved and changed positively. For Korean Traditional Dance to develop as cultural industry, political support is necessary. The conclusion has been drew; solution and proposals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approaches from new perspective for the general audience are insufficient. This problem can be improved by eliciting the public's attention and inducing their participation through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and production of performances. Second, There are not sufficient theatres to accommodate special performances and regular performances; thus the reality hinders the Korean Traditional Dance's circulation and development. Establishing theatre with numerous function and long-term performances will attract general audiences. Third, the number of audience is sluggish compared to other genre. This problem can be improved by cultivating not only latent customers but also future customers through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and political support. ‘Being Korean is Being Global'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s infinite possibility to create an immense amount of economical benefit in the competitive world of cultural industry. Especially among a number of cultural heritage, cultural commercialization lead by Korean Traditional Dance can be the essential part to promote the competence of Korean culture; thus national image and identity establishment will be positively effected. It is evident that for the future, Korean Traditional Dance should be fostered and focused to uplift national competitiveness. This thesis hopefully can be utilized as research foundation for the future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Dance. 21세기는 ‘문화의 세기’, ‘문화 전쟁의 시기’라는 말들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21세기는 문화의 힘이 세계 구조를 재편할 것이며, 경제, 정치도 문화라는 하나의 축에서 동질성을 가져야만 그 힘을 발할 수 있을 것이다. 선진국들은 이미 문화를 높은 부가가치를 지닌 외래 전파 및 자국 문화와 상품의 이미지 제고에 크게 기여하는 산업, 정보통신혁명을 가장 잘 이용할 수 있는 산업, 파급효과가 막대한 산업, 환경 친화적인 산업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산업으로서의 문화 육성에 국가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그에 비하면 우리의 문화산업, 특히 전통춤에 대한 정책과 지원은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시발점으로 문화산업의 주요한 요소인 한국 전통춤의 대중화 또는 활성화를 위한 국가적 문화정책 방향의 모색과 탐색을 위하여 전통춤이 문화산업으로 발전하는 데 가지고 있는 독창적이고 문화적인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다음과 같다. 문화산업의 의의와 가치, 사회 ? 경제적 기능, 그리고 한국 전통춤의 특징과 문화산업적 가치를 정의해보고, 한국 전통춤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서 한국 전통춤이 문화산업으로서 성공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점 및 방안을 찾아보았다. 위 내용에 대한 분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전통춤은 민족의 정서를 담고 있어, 문화의 상업화와 획일화 경향에 맞서서 현존하는 문화재의 독창적 ? 문화적 특징을 통하여 민족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고 있다. 둘째, 전통춤의 보존 및 활용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여 지역주민에 대한 복지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각 지역별 공연, 답사, 전시 등 전통춤 관련 학습 프로그램은 국민의 창의성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파급 효과를 지닌다. 또한 해외선양을 통해 한국경제에 고부가가치를 창출하여 국가경쟁력을 제고시킨다. 셋째, 전통춤 콘텐츠의 산업화, 생활화, 세계화를 통하여 한국의 경제, 사회, 정치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변화, 상승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전통춤의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가치를 지닌 한국 전통춤이 문화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관한 문제점 및 제언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일반 관객을 위한 전통춤의 새로운 각도에서의 접근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 문제는 대중의 관심을 끌고,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작품 생산과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해결 가능할 것이다. 둘째, 전통춤의 기획 공연 및 상설공연 그리고 다양한 레퍼토리는 공연 장소의 부족으로 유통 ·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전용극장을 개설하여 다양한 극장 기능의 활성화 및 장기 공연을 통한 관객 유치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한국 전통춤은 타 장르에 비해 관객이 저조하였다. 이 문제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및 정책적 지원을 통해 잠재 관객과 미래 관객을 양성하여 해결 가능할 것이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라는 말이 있듯이 한국 전통문화는 세계 문화산업의 경쟁 속에서 막대한 경제적 이득을 창출할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수많은 문화유산 중 한국 전통춤을 중심으로 한 문화상품화는 외국에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알리는데 핵심 요소가 되어 국가 이미지 제고와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줄 것이며, 향후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반드시 육성시켜야 할 산업부문으로 주목받아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가 한국 전통춤의 발전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 문화경영분석 방법에 입각한 한국 바둑문화산업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김미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에서는 한국 바둑문화산업의 발전전략을 제안하기 위하여 문화경영분석 방법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경영전략 수립절차를 고안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고안한 문화경영전략 수립절차에 실제 한국의 바둑문화산업을 적용하여 한국 바둑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문화경영전략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문헌 연구, 현황 분석 연구, 발전요인 분석 연구'의 세 가지 연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바둑의 본질에 관련된 선행 연구 검토, 문화산업 이론 검토, 문화산업으로서의 바둑의 가치 정립, 문화경영의 개념 및 문화경영전략에 관련된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개념을 정리하였다. '현황 분석 연구'에서는 문화산업의 분류체계를 중심으로 바둑문화산업에 적합한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바둑문화산업 현황 분석의 틀을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 바둑문화산업 현황을 고찰하였다. '발전요인 분석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현황분석에서 도출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한국 바둑문화산업의 발전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때 해당 분야 전문가의 의견 수렴을 통해 한국 바둑문화산업의 발전요인을 보다 객관적이고 총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바둑문화산업의 발전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문화경영전략 수립절차는 '문화를 가능케 할 수 있는' 문화경영적 시각을 바탕으로 사회과학적 분석 영역의 '현황분석, 발전요인 분석, 시사점 도출'의 3단계 과정과 전략도출 영역의 '목표설정, 계획수립, 조직화'로 프로세스를 도출하였다. 먼저 해당 문화산업 분야에 대한 현황을 객관적인 자료와 정보에 근거하여 기술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하며, 현황분석 결과를 토대로 발전요인을 도출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전략을 제안한다. 이렇게 도출된 전략은 피드백을 통하여 효과적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고 새로운 계획과 방침을 취하는 지속적인 평가의 과정을 통해 전략의 완성도를 높여나가야 한다. 둘째, 문화경영전략 수립절차에 입각하여 한국 바둑문화산업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한국 바둑문화산업은 '출판산업, 교육산업, 기전산업, 방송산업, 게임산업, 관광산업, 바둑용품산업'의 7가지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문화산업의 기반이 조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바둑문화산업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역사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 인적 요인, 제도적 요인, 본원적 요인'의 5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으며, 각각의 요인은 서로 밀접하게 연계되어 상호작용을 통해 바둑문화산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둑문화산업의 실태분석을 통해 도출한 핵심적인 시사점은 현재 한국 바둑문화산업은 바둑과 관련된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이상적인 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콘텐츠의 구성내용 측면에서 접근해보면 바둑문화상품 속에 다양한 가치관, 예술성, 상상력, 생활양식, 효용성, 상업성 등을 담아내지 못하여 문화향유자인 바둑팬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는 점이다. 셋째, 문화경영분석 방법을 적용한 한국 바둑문화산업의 문화경영전략은 바둑문화산업의 실태에서 도출된 결과와 시사점을 바탕으로 '한국 바둑문화산업의 목표설정, 계획수립, 조직화'에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한국의 바둑문화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첫 번째 단계에서는 바둑이 한국을 대표하는 상품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단계별 추진전략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반드시 문화경영자의 문화경영 마인드를 기반으로 바둑문화산업에 따라 단계별 전략 또는 혼합하여 실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앞에서 제시한 목표설정이 구체화 될 수 있도록 추진전략 및 목표에 맞추어 각각의 바둑문화산업별 계획을 '문제분석, 대안 찾기, 예측, 평가'의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이러한 수립 계획이 실현될 수 있도록 바둑계를 구성하고 있는 조직이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상품으로 세계적 미래브랜드 구현'이라는 비전을 실현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한국 바둑문화산업의 추진전략과 수립계획에 맞추어 바둑계 조직인 바둑유관기관과 기업, 정부 그리고 바둑팬이 함께 협력해 나가는 전략을 도출하였다. 지금까지 논의한 한국 바둑문화산업의 문화경영전략은 문화경영의 개념이 적용된 문화경영분석 방법을 실제 한국 바둑문화산업에 적용함으로써 한국 바둑문화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문화경영전략을 도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것은 '문화를 가능케 한다'는 문화의 실현을 의미하는 것으로 진정한 의미의 조정행위가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본 연구자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앞으로는 기존에 바둑계에서 진행해온 전략과는 차별화된 방법으로 사람들에게 바둑문화를 인식시키고 널리 알리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21세기 전 지구적 무한경쟁의 시대에 바둑이 문화산업으로 살아남기 위해서는 바둑 속에 담긴 문화와 정신적 가치를 바둑문화콘텐츠에 드러내어야 될 것이며, 그렇게 된다면 유력한 문화콘텐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문화향유자인 시민들의 다양한 욕구들을 해소시키기 위해서 바둑문화산업이 균형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여전히 바둑문화에 대한 지원과 육성정책이 미진한 상황 속에서 본 논문은 기존의 바둑문화를 콘텐츠화하여 현대화시키는 탐색적인 연구로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동양의 전통놀이문화인 바둑을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재탄생시켜 미래 한국 바둑문화의 대중화와 세계시장 속의 미래 브랜드로서 바둑이 자리매김하기 위한 바둑문화산업의 기반을 조성한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의의가 있다.

      • 문화산업이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중국 감숙성 사례

        심상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role of cultural industry in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is gradually increasing. The existing research has prov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industry an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from many aspects. The research of this paper takes Gansu Province of China as the object to analyze the impact of cultural industry on regional economic growth. Gansu Province in China, located in the western region, is a region with a relatively low level of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there are excellent cultural heritages in the region, including Dunhuang. This shows that the cultural industry in Gansu Province has a cultural basis for growth in the future. Based on the data from 2003 to 2018, this paper uses the regional GDP, explanatory variables of Gansu Province to use the number of employees of the cultural industry, the added value of the tertiary industry and the financial expenditure of the culture, science and sports departm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added value of the tertiary industr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number of employees in the cultural industry and the financial expenditure of the cultural, scientific and sports departmen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uch results show that if the cultural industry in Gansu Province wants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it not only needs financial investment, but also needs more effort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문화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있어서 역할이 점차적으로 증대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여러 측면에서 문화산업과 지역경제발전 사이의 관계를 증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감숙성을 대상으로 문화산업이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중국의 감숙성은 서부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지역경제발전 수준이 낮은 지역이다. 그러나 지역 내에 둔황을 포함한 우수한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향후 감숙성의 문화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문화적 기반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증분석은 2003-2018년의 자료를 이용하고 있으며, 종속변수는 감숙성의 지역 GDP를 이용하고, 설명변수는 문화산업의 종사자 수, 3차 산업의 부가가치, 그리고 문화과학체육 부문의 재정지출을 이용하고 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3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고 있으나 문화산업의 종사자 수와 문화과학체육 부문의 재정지출은 통계적 유의성이 낮다. 이러한 결과는 감숙성의 문화산업이 지역경제성장에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재정투입뿐만 아니라 문화산업의 발전에도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