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文脈資質에 依한 隱喩의 解釋

        성명옥 國民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867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interpretation of metaphor. Chapter 1 briefly stat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Chapter 2 introduces various definitions and views of metaphor. Chapter 3 examines various definitions and views of context. Chapter 4 provides an evaluation of the constructural theory of metaphor. The semantic constructural theory by Weinreich(1966) and Levin(1977) claims that metaphor is a matter of sentence meaning. On the other hand, the pragmatic constructural theory illustrated by Grice(1975) and Searle(1979) claims that it is a matter of utterance meaning. Chapter 5 adopts the semantic constructural theory by Weinreich(1966) and applies it to the metaphorical interpretation. Therefore, we introduce contextual features to interpret metaphor. We propose contextual feature-sensitive interpretation rules: 1. contextual feature assignment rule 2. contextual feature convergence rule 3. contextual feature matching rule Then, we analyze metaphor in William Faulkner's Light in August, using contextual feature-sensitive interpretation rules. The last Chapter presents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 한국어 교육용 대화 시스템 개발을 위한 화행 판별 자질 연구

        한지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330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the dialogue act of user response utterances for the development of a dialogue syste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select what features are appropriate for efficiently discriminating such utterances. This paper proposes a dialogue tag set that classifies the learner's utterance intent to develop a chat bot dialog system designed to enable Korean learners to practice Korean conversation. In order to classify the utterances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se tag set, I examine what features are suitable for the conversation system made for Korean education among the discriminant features used in the previous research. For this purpose, a corpu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collected to annotate the discriminant features and dialogue act. Based on the annotated corpus, we selected the dialogue act tags that can be used in the dialogue syste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Rather than the traditional linguistic works, the discriminant features were chosen for practical use in the dialogue system for practicing Korean conversation. In case of the discriminant features, the features that can be commonly used in both rules base – d automatic classification and statistics-based automatic classification are selected and analyzed. The first chapter presents the purpose and background of this study. After examining the discussions related to the speech, second chapter the scholarly works on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method. Furthermore, this chapter analyze the corpus used in the previous research after summarizing the discriminant features used in the study. The third chapter provides the design and collection of dialog corpus to be used in the dialogue syste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fourth chapter analyses the collected response speech data. The conclusion part g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future issues. 본고의 연구 주제는 한국어 교육 목적의 대화 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사용자 응답 발화의 화행을 분류하고, 이러한 화행을 효율적으로 판별하는 데 적합한 자질이 무엇인지를 선별하는 것이다.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회화를 연습할 수 있도록 고안된 챗봇 대화 시스템에 입력된 학습자의 발화 의도를 파악하고 분류하는 화행 표지 체계를 제안한다. 또한, 이러한 화행 표지에 맞춰 발화를 자동으로 분류하기 위하여 기존에 화행 자동 분류 연구에서 이용된 화행 판별 자질 중 한국어 교육 목적 대화 시스템에 적합한 자질이 무엇인지 검토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 교육용 대화 말뭉치를 구축하여 화행과 화행 판별 자질을 주석하였다. 주석된 말뭉치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 목적의 대화 시스템에서 활용 가능한 화행 표지를 선정하였고, 화행 판별 자질과 화행 간의 연관도를 검토하여 각 화행별로 유의미한 화행 판별 자질을 추출하였다. 화행 표지는 전통적인 언어학에서의 화행과는 별개로 한국어 회화를 연습하기 위한 대화 시스템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표지를 선택하였다. 화행 판별 자질의 경우 규칙 기반 자동 분류 모델과 통계 기반 자동 분류 모두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질을 선정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배경, 의의에 대해서 논한다. 관련 연구에서는 화행과 관련된 논의를 살펴본 후, 화행 자동 분류 방식에 대한 연구의 흐름에 대해서 탐구하면서 이러한 연구에서 활용된 화행 판별자질에 대하여 정리한 뒤 기존의 연구에서 활용된 말뭉치에 대하여 분석한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 목적의 대화 시스템에서 사용될 대화 말뭉치의 설계와 구축에 대하여 논의하고 4장에서는 수집된 응답 발화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행별로 유의미한 화행 판별 자질을 선별한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성과와 추후 과제에 대하여 논한다.

      • 『창조』 수록 시작의 서술 구조 연구 : 근대 문예 언어의 리듬 형성에 대하여

        장보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2233

        이 논문은 1910년대 근대시의 언어 운용 방식을 살피기 위하여 문예지 『창조』를 연구한다. 근대 문학은 서술 내부에 개별 주체의 자아와 감정을 표상화 한다. 이때 문학이 다루는 사건은 계몽으로 환치된 이념의 세계로부터 개인의 생활로 변화한다. 『창조』에 수록된 시의 서술은 서술 주체의 역량과 사례로서의 근대적 주체를 등장하게 한다. 문학의 주체는 개인의 언어와 개별 사건을 통해 자아를 논의의 선상에 올려놓는다. 시적 서술을 통해 개별 주체의 세계관이 드러난다. 문예지 『창조』에 수록된 시는 한국 근대 문학의 정체성을 수립하기 위해 한글 개별 주체와 그의 언어가 무엇인지 논의하고 시도한다. 개별 주체는 문학과 예술적 이상의 실현이라는 목표를 바탕으로 자기 언어 행위로써 시적 서술을 완성하고자 한다. 이 목표가 서술의 진실성과 논리를 뒷받침한다. 주체의 태도와 다양한 서술 방식이 시 언어의 형태-의미 결합과 관계하고, 그 연관으로 시적 맥락이 탄생한다. 시의 언어는 서술 행위의 측면에서 주체의 말을 대변한다. 서술의 연속성과 연쇄의 방식은 주체의 상황과 감정을 구체화한다. 『창조』의 시는 거대 담론이 놓친 관념과 당위에 이입되지 못한 사건, 작은 사물, 집단의 논리에 속하지 못하였거나 생활 자체에 천착하여 갑작스러운 변화에 대비하지 못한 인물의 상태를 보여준다. 시적 서술은 어떤 이미지, 분위기, 말의 함축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서술 양상으로서 비유는 언어 간 유사성을 바탕으로 주체의 세계관을 일관되고 명확하게 한다. 비유의 언어 행위로 사건 또는 단서가 장면화된다. 장면화된 서술은 주체가 의도한 주제를 곧바로 감상자가 인식 가능하게 한다. 다만 주제가 시의 전부가 아닌 것과 같이 서술 전부가 시 내용의 한계를 규정하거나 산문시의 언어 흐름을 일반화하지 않는다. 문장 부호는 부차적인 언어 기능을 하는 기호로써 시에 기입된다. 언어는 의사소통의 기호 역할을 하고 문장 부호는 문맥의 상태와 기능을 지시한다. 서술의 지속과 중단, 연쇄 등을 주체의 발화를 전제하고 지속해 나간다. 서술된 텍스트는 그 자체로 발화를 재현하기 위한 조건과 주체의 호흡, 어조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발현의 단서로 작용하는 부분이 실제 발화의 상황과 일치하거나 일정한 규격으로 통제되는 일은 거의 없다. 서술에 전제된 언어 기제가 실재할 수 있는 발화의 모든 상황과 감상자의 자세 등을 미리 제지할 수 없는 까닭에서다. 언어의 의미와 흐름은 발화 실행자와 감상자의 관계와 문자 언어를 이해하고 실현 당시에 그것을 다루는 방식에 따라 차이를 드러내기도 한다. 시의 리듬은 언어 인지의 문제와 관련한다. 의미와 형식이 결합된 구조와 아울러 ‘통사’는 서술 주체의 논제와 언어 행위를 표면화한다. 리듬의 양상은 시 언어의 규격이나 규칙에 따르기보다 개별 주체의 서술 맥락과 발화 행위, 감상자의 위치에서 인식 가능한 내용과 형식의 결합 구조 또는 그것이 나타내는 비정형의 흐름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개별 언어와 발화는 상황의 복잡성을 바탕으로 하며 서술 주체와 감상자의 언어 인식 과정과 결과는 서로 일치할 수 없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