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용학과 지망생들의 입시준비 실태에 관한 연구

        박수진 용인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학입시제도는 한국교육에서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대학에 입학하는 것 자체가 개인의 사회적 직위의 상승을 결정하는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는 더욱 절실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무용학과 실기를 준비하는 학생들의 준비 실태를 알아보고 준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가정, 학교, 사교육기관의 현실과 영향력을 알아보고 입시준비에 대한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를 통하여 무용학과를 준비하는 학생들의 올바른 인식과 학생들의 특기를 살리고 장차 전문가로서의 올바른 이해를 높이며, 지망생들을 지도하는 지도자들에게 학생의 전공 선택의 중요성, 실기지도의 개선점, 그리고 학교무용수업의 실기지도에 방향과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 같은 목적을 위해 서울과 경기도지역의 무용학과 지망을 원하는 사설학원에 수강중인 학생 300명을 표집하여 불성실한 응답의 33명을 제외한 267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통계프로그램인 SPSS 12.0 for Windows Package를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무용학과 지망생의 실기준비 실태조사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학과의 지망요인으로는 자신의 의지로 선택하며, 장차 교육자, 지도자가 되기 위해서가 지원요인으로 가장 높았다. 소수의 학생들은 성적과 관련하여 무용학과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기 준비를 위해 한 달에 쓰여지는 돈은 20만원에서 50만원까지 고른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학원의 특성에 따라 수강료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무용학과를 지원하는 것에 부모지원이 전체적으로 궁극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기에 대한 정보를 얻는 곳으로 인터넷과 선배의 도움을 받으며, 체육관련 학원에서 보내는 시간은 4시간이상, 수강기간은 2년이상에서 3년이상 수강한 학생이 많았다. 지원하고자 하는 전공은 무용학과 전공인 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 째즈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기준비에 쓰여지는 돈이 많이 든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많으며, 성적에 따라 전공을 바꿀 수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많은 학생이 무용학과를 고수하고, 진로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있으며, 목표를 위해 열심히 노력할 것이라는 응답이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The matriculation examination system is pointed out as the biggest issue on the Korean education. It is becoming a significant problem especially in the social circumstances where the matriculation itself functions as an important factor on raising one person's social position. This study intends to survey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tudents who want to be admitted to the dance departments of universities, the realities and influences of home, school, and private institution as influential factors, and their relations to the preparation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This study is also designed to promote the right perception of the dance department in the minds of the students preparing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for the dance department, help them make the most of their special abilities and be prepared for the future as professionals. For teachers who guide them,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o make them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students' major choice and let them know the things to be improved in their instruction. And for the physical education at school,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the right direction and fundamental data on dance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300 student who were taking lectures from private institutes to apply for the dance departments in Seoul and Gyeongi-do were sampled, except those insincere answers of 33 students. The rest reliable answers of 267 students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using the statistical software, SPSS 12.0 for Windows packag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pplicants preparing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for the dance department are as follows: Firstly, the major factor of choosing the dance department is one's own will, and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are going to major in it in order to be teachers or coaches. It is indicated that only a few students choose the major because of their grades. Secondly, the money spent on the preparation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per month varies from 20 thousand won to 50 thousand won, and it seems that the differences among tuition fees come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es. Overall, it is shown that the support of their parents is critical to the preparation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for the dance department. Thirdly, the sources of the information on the preparation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are mostly gained from the internet and seniors. The time spent on the institute is more than 4 hours per day, and the period during which students take courses is more than 2 or 3 years. Their desired courses in the dance department are Korean dance, modern dance, ballet, jazz dance in order. Lastly, it seems that many students think the money spent on the preparation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is excessive but most of them will not change their course. Although some students say that they may change their major according to their grades,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are very sure of what they are going to do and also say that they will do their best to achieve their goal.

      • 중국 사범대학교 무용학과의 교육 현황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융복합 교육체계 연구

        염자악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중국 사범대학교 무용학과의 교육 현황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융복합 교육체계 연구 본 논문은 인플레이션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사범대학교(Normal University) 무용학과의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체계적인 공연예술교육 체계를 구축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현황조사, 데이터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중국 사범대학교 공연예술교육 체계 구축 방안을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 하여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국 사범대학교(Normal University) 무용학과의 교육현황을 분석한 결과이다. 5개 대학교의 무용인재양성방안과 공통모듈로 재분석한 무용공연수업의 학점 및 교시 비중을 통해, 내부구조를 분석하였다. 첫째, 허베이 사범대학교(Hebei Normal University)과 신양 사범대학교(Shenyang Normal University)의 공연예술과목에 관한 교시와 학점의 비율이 균형을 이룬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두 대학교의 무용인재 양성방안은 공연과정에 관한 학점과 교시의 관계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화이인 사범대학교(Huaiyin Normal University)과 무단장 사범대학교(Mudanjiang Normal University) 및 허베이 사범대학교(Hebei Normal University)의 공연과정 수업시간이 학점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대부분의 중국 사범대학교(Normal University)에서 공연예술교육이 인재양성에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또한 학점이 고정된 상황에서 공연예술의 수업시간 및 비중도 높임으로써 공연예술과목의 양성방안에서의 위상을 높이고 무용인재양성에 대한 공연예술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창장 사범대(Changjiang Normal University)는 무용인재 양성 방안에서 공연예술 과목의 교시의 비중이 공연예술 과목의 학점보다 훨씬 낮고 적정체량에도 크게 못 미쳐 강의 설계 및 학점 설치가 불합리 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중국 사범대학교(Normal University) 무용학과의 체계적인 공연예술교육 구축방안을 분석한 결과이다. 첫째, 중국 사범대학교(Normal University) 무용학과 교육 관련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FGI를 진행하였으며, 교수진 확보, 대학 내 공연예술작품의 생산, 공연예술 수업의 확대에 대한 요구가 분석되었다. 둘째, 교육 요구도를 토대로 한 체계적인 공연예술 교육 구축 방안을 모색한 결과, 공연예술 과목 학점 비중의 25%이상으로 상향 조정, 공연예술 수업 시간 확대, 공연예술팀 강화, 공연예술작품 창작 강도 향상, 공연예술기구와의 협력에 대한 방안이 모색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 status of the dance department of Normal Universities in China and to find a way to Efficient Convergence Education System. To achieve this goal, problems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study, current status survey, and data analysis, and a plan for establishing a performing arts education system at Normal Universities in China was presented through an expert interview.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ducation status of the Dance Department at Normal Universities in China. The internal structure was analyzed through the weight of credits and teachings of the dance performance class, which was re-analyzed through a common module and the dance talent nurturing plans of 5 universities. First,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ratio of teaching and credits for performing arts subjects at Hebei Normal University and Shenyang Normal University was balanced. In other words, the two universities' methods of nurturing dance talents had a high relationship between the grades and teachings related to the performance process. Second, it was found that class hours for performance courses at Huaiyin Normal University, Mudanjiang Normal University, and Hebei Normal University accounted for a higher ratio than credit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performing arts education is important for nurturing talents at most Normal Universities in China.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by increasing the class time and weight of performing arts in a situation where grades were fixed, the status of performing arts subjects was raised and it represented the importance of performing arts for nurturing dance talents. Third, Changjiang Normal University was found to be unreasonable in designing lectures and setting up credits as the proportion of teaching in the performing arts subject was much lower than the grades in the performing arts subjects in the dance talent nurturing plan, and it was far below the appropriate body weight.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icient convergence education system of the Dance Department at Normal Universities in China. First, FGI was conducted for a group of experts related to dance education at Normal Universities in China, and the demands for securing faculty, production of performing arts in the university, and expansion of performing arts classes were analyzed. Second, as a result of seeking a method to build an efficient convergence education system based on educational needs, plans for raising the percentage of credits in performing arts subjects to 25% or more, extending the performing arts class, strengthening the performing arts team, improving the creative strength of performing arts and cooperating with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were devised.

      • 국내 대학 무용학과 교과과정 분석 및 융복합 교육 방향성 연구

        강민지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국내 대학 무용학과를 비롯한 타 학과들은 심각한 정원 미달 사태를 겪고 있으며 지방대를 중심으로 신입생 정원 축소, 학과 통폐합, 폐과 등 대학구조조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위기에 직면한 국내 대학들은 변화하는 시대를 인지하고 대학 교육혁신을 선언하며 앞으로의 교육환경에서 실제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융복합 교육으로 학사제도를 개편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시대의 변화에 맞춰 21세기에서 요구하는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의 필요성을 인식하며, 무용 인재들이 다양한 분야의 사회 진출을 할 수 있도록 국내 대학 무용학과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무용학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융복합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전국 31개 대학 무용학과의 교과과정을 살펴보고, 교과과정 심층 분석을 위해 그 중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총 11개교 대학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무용-한의학 트랙, 전공트랙제도, 전공인정과목(연극뮤지컬전공), 진로개발로드맵 CDR, 자기설계융합전공, 기술-예술 융합예술학, 융합문화예술대학, 융·복합전문인 특성화 프로그램 등을 실행하고 있다. 위와 같이 현재 국내 대학 무용학과는 기존의 교육방식과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융복합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각 대학의 특성에 맞춰 무용과 타 분야를 융합한 여러 교과목들이 개설되어있지만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학생들이 들을 수 있는 융복합 교과목 수는 여전히 부족하다. 따라서 국내 대학 무용학과가 직면한 문제들을 융복합 교육을 통해 무용 인재들이 다양한 예술 분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예술영역 자체의 범위를 넓힐 수 있는 방향성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첫째, 무용 전공영역의 확대라는 측면에서, 전공자들이 관련 기술을 습득하고 창의력을 발달시키기 위해 교과목을 세분화해야 한다. 이는 전공자들이 다양한 영역으로 개인 활동 창출의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틀을 재구조화하여 무용의 특수성을 확립해야 한다. 둘째, 4차산업의 기술발전과 학제 간 융합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시점에서 무용학과와 과학기술 관련 학과와의 협동을 통해 전공 간의 학문 지식을 공유 및 연계하여 과학기술의 기초적 활용법과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교과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무용은 내부감각 및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을 통해 예술적 즉흥성, 창의적 표현력을 보다 적극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학문이다. 예술의 창의적 표현(무용)과 과학적 특성(과학), 심리적 접근(심리학)을 통합하여 정신건강과 치료를 돕는 학과 간, 학문 간의 융복합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예술이 치료의 도구로써 사용될 수 있는 교과과정 개발을 통해 무용이 의·과학적으로 시야를 확장해야 한다. 넷째, 현재의 문화예술영역은 순수 창작활동의 범주를 넘어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문화산업의 콘텐츠이다. 예술적 교류 및 문화예술의 본질적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새로운 산업 영역, 문화예술경영으로서의 무용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 대학 무용학과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이정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문헌자료와 현행 실시되고 있는 각 대학교 및 대학의 요람을 참조하였다. 이러한 자료 조사를 통하여 무용교육의 필요성을 논하고 대학 무용학과의 교육이념과 교육목표 수행을 높이기 위하여 대학교육의 이념, 학문으로서의 무용, 무용의 사회적 효용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무용교 육의 영역으로 전문 무용인 양성을 위한 무용교육과 무용교육자 양성을 위한 무용교육, 비 전문인을 위한 무용교육으로 분류하여 서술하였다. 그리고 연구범위는 영남지역 무용학과의 교과과정 현황 및 내용을, 각 대학교의 요람 중심으로 조사하여 무용학과의 유형분석, 무용학과의 교과 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무용학과의 발전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학 교육기관들 중 무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4년제 대학 무용학과와 2년제로 구성되어있는 대학(구 전문대학)으로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연구 되었다. 그리고 현재 영남지역의 대학(교)에서 실행되고 있는 교육과정을 99년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학요람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대학(교)별 교과과정을 그 대상으로 선정하였음으로 대학(교)의 특성 및 장 ·단점 등은 고려하지 않고 조사하였다. 본 조사를 통해 영남지역 무용학과의 현황 및 교과과정과 문제점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①지역별 현황은 부산지역 무용(학)과가 개설된 대학교는 경성대학교, 동아대학교, 부산대학교, 신라대학교 이며 대학(구 전문대학)은 부산여자대학, 부산문화예술대학이 있다. 대구지역은 대학교만 개설되어 있으며 계명대학교, 효성가톨릭대학이다. 경남지역의 무용학과가 개설되어있는 대학교는 창원대학교, 경상대학교이며 경상대학교는 민속무용학과로 개설되어 있다. ②영남지역의 학교별 교과목 특성을 분석하면 표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상대학교 무용학과'의 <구비문예론>과 <전승공예>, <한국문화특수연구>를 들 수 있으며, '경성대학교 무용학과'는 <무용기능학>, <무용연출> 이 있다. '계명대학교 무용학과'는 <민속특기>로 각자가 민속을 익혀 사회에서 표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무용의상학>과 <무용영양학>을 개설하여 특이한 과목으로 선정할 수 있다. '동아대학교 무용학과'는 <무용 기록법>, <공연기획 및 제작>을 개설하고 있으며, '대구 효성가톨릭대학교 무용학과'는 심리학과목으로 <움직임과 인간심리>를 개설하고 있다. '부산대학교 무용학과'에서는 <무대구성 및 효과>에 많은 시간을 배정하고 있으며, '신라대학교 무용학과'는 <안무법>, <색체학>을 들 수 있다. '창원대학교 무용학과'는 <무대분장>, <공간형성법>이 다른 학교와 달리 개설되어있으며, '부산여자대학 무용과'는 학기를 마친 후 일선 현장에서 학점을 받아오는 <현장실습>과목이 있다. 이론과목에 비해 실기과목의 비중이 가장 큰 '부산 예술문화대학 무용과'에서는 <하 · 동계스포츠>와 <트레이닝실기>를 개설해 다른 학교와 다른 점을 볼 수 있다. ③영남지역 무용(학)과 교과목수 및 수업시간을 분석하면 그림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상대학교는 52개의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시수로는 113시간을 강의한다. 경성대학교는 64과목에 199시수를 보이고 있으며, 계명대학교에서는 50과목과 127시간, 동아대학교는 39과목과 100시간, 대구효성 가톨릭대학교는 90과목과 182시간, 부산대학교는 112과목과 312시간, 신라대학교는 69과목과 134시간, 창원대학교는 54과목과 157시간을 강의하고 있으며, 대학(구 전문대학)인 부산여자대학은 44과목과 78시간, 예술문화대학은 47과목과 105시간을 강의하고 있다. 부산대학교가 112개의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수업 시수는 312시간으로 영남지역 내에 가장 많은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수업 시수도 가장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동아대학교는 가장 적은 교과목과 수업 시수를 볼 수 있는데 교과목 39개와 수업 시수 100시간으로 부산여자대학(구 전문대학) 보다 적은 수치를 볼 수 있다. 그림1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실기와 이론 시수에서 많은 차이를 볼 수 있는데 그것은 이론과목의 경우 학점당 수업시간이 동일 한것에 비해 실기과목의 경우 학점 당 2배 시수가 배점되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다. 그리고 학과목개설은 대학교 중 이론과목을 가장 많이 개설한 학교는 부산대학교로 37개의 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가정 적은 대학교는 경성대학교로 17개의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실기과목으로는 부산대학교가 75과목으로 이론과 같이 최고의 과목개설 수를 보이며, 17개 과목을 개설한 동아대학교가 가장 적은 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대학(구 전문대학)의 경우 교과목 개설은 부산여자대학보다 예술문화대학이 3과목이 많으며 시수에 있어서도 예술문화대학이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영남지역 무용(학)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과정을 살펴보면 동일한 교과목인데도 불구하고 각 학교마다 그 명칭이 달라 무용학과 교과목 통일의 개선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무용원론, 무용론, 무용개론 과목은 같은 교재로 수업함에 있어서도 교과목 명칭이 다르게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새롭게 변화될 교육정책, 즉 수강생들이 어느 학교에서든 교육받을 수 있는 학점인정제를 위해 같은 교과목인 경우 동일한 명칭으로 획일화되어 통일성 있게 교육되어야 한다. 둘째, 무용(학)과 교육목표적인 측면을 보면 각 대학 특성에 맞는 목표를 설정하지 않고 교육되는 경향이 있다. 즉, 경성대학교, 부산대학교는 예술대학, 경상대학교, 신라대학교, 대구 효성가톨릭대학교는 인문대학, 창원대학교는 자연과학대학, 계명대학교, 동아대학교는 체육대학으로 편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과목은 전체대학(영남지역)이 동일하게 개설되어 교육되고 있다. 또한 무용치료, 무용행정, 무용심리 등 무용인접분야에 대한 교과목개설의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졸업 후 진로를 위한 좁더 심도있는 교과목을 개설해야함은 현실적으로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고, 교육기관 제도적 측면에서 대학교와 대학(구 전문대학)을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여 졸업기간의 구분이 아닌 대학교와 대학(구 전문대학)교과목을 특성화하여 전문인력 배출이 요구된다. 즉, 대학교와 대학(구 전문대학)은 나름대로의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여야 하며, 특히 대학(구 전문대학)에 대한 사회인식개선과 함께 대학교의 모방이나 축소된 기관이 되지 않도록 각 기관에 따른 무용교육이 적재적소에서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대학교의 교육기관은 무용학정립이라는 과제를 수렴하고 대학(구 전문대학) 교육기관은 어떤 분야에 대한 전문인을 양성한다는 과제를 수렴하여 두 기관의 교육이 조화를 이루어 사회진출 진로문제를 현실화하는 요구에 적응해야 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reference to literature and each of the general surveys of colleges. Based on such materials, the study discussed the need of dance education and reviewed the idea of college education, dance as a science and the social utility of dance in order to promote the educational idea of college's dance department and accomplish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department. Then the study classified aspects of dance education into three ones, or dance education for raising professional dancers, for raising dance instructors and for non-professional dancers, and described each. For the study, the curriculums and courses of dance departments of colleges located in Kyungsang province were investigated centering around the general survey of each college. Based on the investigation, dance departm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type and problems of their curriculums were pointed out to secure development of the departments ultimately.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dance departments of four years' universities and two years' colleges(former junior colleges) which were located in Kyungsang province. The curriculums as mentioned above were investigated centering around each of the general survey as published in 1999. The investigation put its focus as the courses with no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and strong and weak points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urrent situation, courses and problems of dance education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of the province were analyzed as follows. ① In Pusan, dance departments are established at Kyungsang, Dong-A, Pusan National and Shilla universities and Pusan Womens' and Pusan Culture and Arts colleges(former junior colleges). In Taegu, only universities such as Kyemyung and Hyosung Catholic have dance departments. In the south Kyungsang province, Changowon and Kyungsang universities open such departments. The latter has the department in the name of folk dance science. ② As can be seen in Table 12, courses of each of the dance departments were investigated as follows. Dance department of Kyungsang university has courses of <Theory of Traditional Literal Arts>, <Folklore Fine Arts> and <Special Research on Korean Culture>. That of Kyungsang university has courses of <Science of Dance Function> and <Dance Performance>. In Kyemyung university, <Folklore Specialty> is established as one of the courses of dance department, whose purpose is to make each student learn their own folklore specialty and express it in soeiety. Among the courses, <Science of Dance Costume> and <Science of Dance Nutrition> can be considered as unique. Dance department of Dang-A university open courses of <Methods of Dance Record> and <Performance Planning and Production> and that of Hyosung Catholic university, the course of <Movement and Human Psychology> which is one of psychological subjects. In dance department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the course of <Stage Construction and Effects> is allowed much time. Shilla university's dance department operates courses such as <Choreography> and <Colors>. Differently with other similar institutions, Changwon university's dance department runs courses such as <Make up for Stage> and <A Method of Spatial Formation>. In Pusan Womens' college, the department of dance teaches the courses of <Field Practice> which requires students to take credits through field practices after semester. With its focus on practice not theory, dance department of Pusan Culture and Arts college have courses of <Summer and Winter Sports> and <Training Practice> opened, different with those of other colleges and universities. ③ The number of courses and instruction hours at dance departments of colleges an universities located in Kyungsang province are shown in figure 11. Kyungsang university allows 52 courses and 113 instruction hours for its dance department. Dance departments of Kyemyung, Dong-A, Hyosung Catholic, Pusan National, Shilla and Changwon universities employ 64 courses and 199 instruction hours, 50 and 127, 90 and 182, 112 and 312, 69 and 134, and 54 and 157, respectively. For college, dance department of Pusan Womens' runs 44 courses and 157 instruction hours while that. of Pusan Culture and Arts, 47 courses and 105 instruction hours. Pusan national university opens its dance department having 112 courses and 312 instruction hours both of which are more than in any other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Kyungsang province. Dong-A university's dance department is operated with 39 courses and 100 instruction hours both of which are fewer than in any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Pusan Womens' college(former junior college). As can be seen in figure 11,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instruction hours between practice and theory courses. Theory courses are given instruction hours as equally assigned to each credit while practice courses are allowed such hours double of which is assigned to each credit. For subjects of dance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opens 37 theoretical subjects, most in Kyungsang province and Kyungsung university, 17 as the least while the former runs 75 practical subjects as the most and Dong-A university, 17 as the least. In college(former junior college), Pusan Culture and Arts college has three more courses more instruction hours of dance education that Pusan womens'. Problems with dance education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located in Kyungsang province are as follows. First, subjects are different in their name among colleges and universities despite they contain the same contents, indicating the need for unification among those subjects. For example, Principle of Dance. Theory of Dance and Introduction to Dance are different in their name, but instructed using the same materials. this problem could be solved when similar subjects are unified and instructed under the same name according to a new policy that adapts the credit recognition system under which students can learn at any college or university. Second, educational objectives of dance education are not set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Dance departments are established within college of arts in Kyungsung and Pusan national universities, within college of liberal arts in Kyungsang, Shilla and Huosung Catholic universities and within college of athletics in Dong-a university. Despite this situation, all of these departments(from all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Kyungsang province) instruct similar contents of subjects. Meanwhile, fields related to dance such as dance treatment, dance administration and dance psychology are needed to be open in the forms of subjects. And third, it is important to open subjects as more profound and helpful to the future course of students after graduation. For institutional aspects of authorities concerned, clear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to make differences between universities and colleges(former junior colleges) focusing not on discriminating the time of graduation between the two groups but on specializing subjects instructed at universities and colleges(former junior colleges) and raising specialists. Each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uild up its unique aspect of dance education. Social recognition about colleges(former junior colleges) should be improved to prevent them from just imitating universities, Dance education are needed to be carried out effectively according to each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Universities and colleges should employ tasks of establishing science of dance and raising specialists, respectively, adapting to the future course after advancement into society.

      • 한·중 대학교 무용학과 교육과정 만족도 연구

        사랑인청 전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무용학과를 개설하고 있는 중국 내 대표적인 5개 대학과 한국 2개 대학을 대상으로 현재 진행하고 있는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한・중 대학교 무용학과 교육과정 만족도를 조사하여 향후 급변하는 사회 수요에 맞춰 발전해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무용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전북, 충남지역 국립대학교 2곳을 선택하여 설문조사는 모두 off-line 방식으로 수집하였으며 중국은 5곳을 선택하여 학교당 무용학과 전공자 100명을 대상으로 lifelong교육 과학회사를 통하여 on-line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회수한 설문지는 재확인 절차에서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에서 제외시키고, 설문자료는 spss방식으로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또한 spss방식을 활용하여 Cronbach`s α 통계량으로 설문자료를 검사하였으며, 설문자료 중에서 Cronbach α 통계량이 8.0점 이하로 나오는 설문지는 제외하고 유효설문 표본 총 393부를 대상으로 통계를 진행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와 자료 분석결과를 기초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중대학교 무용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한국 무용학과 학생들은 현재의 교육과정에 대하여 보통 정도의 만족도가 43%로 가장 높았으며, 중국 무용학과 학생들은 교과과정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만족이 46%로 나타났다. 한・중 대학교 무용학과 학생들의 전체적인 매우 만족도는 중국 2.56%, 한국 1.92%로 나타났다. 둘째, 한・중 대학교 무용학과 교수진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한・중대학교 무용학과 양국 학생 모두 지도교수에 대한 만족도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한국 무용학과 학생들은 보통수준이 63%로 가장 높은 반면, 중국 무용학과 학생들은 대체로 만족이 43%로 나타났다. 셋째, 한・중 대학교 무용학과 학생들의 수업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한・중대학교 무용학과 양국 학생 대부분은 무용학과 수업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국 무용학과 학생들의 전공 선택 동기가 교육과정 만족도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설원준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Dance major in normal universiti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training of dance teachers. However, the research on dance education in China Normal University is very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dance majors in China's domestic normal universi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choice motivation and future decision, how professional choice motivation affects course satisfaction, and how course satisfaction affects future decision, and put forward an effective scheme to improve dance majors in China's normal universiti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majoring in dance in Anhui Normal University, Anqing Normal University and Huaibei Normal University in Anhui Province, China. Among the 400 answers, 354 sampl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ept for improper answer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irls in the dance department are more satisfied with the courses than boys, have a strong motivation to choose majors, and have a high understanding of the career direction and employment determined by their future. In addition, the higher the grade and dance experience, the higher the motivation and future decision of choosing a major. Secondly, all factors of major choice motivation have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all factors of course satisfaction. That is to say, students majoring in dance can choose optional majors on the basis of self-understanding such as interests or values, personality, ability and skills, and through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comprehensively considering family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understanding. Thirdly, dance majors have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all factors of educational curriculum satisfaction. That is to say, students who are satisfied with the course have a bright and lasting sense of employment for their futu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existing in the teaching process of dance major in Chinese universities, this study puts forward the improvement scheme of changing teaching staff into student-centered teaching mode, thoroughly selecting and teaching lecturers,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major, and establishing distinctive teaching process and dance facilities. This study is based on empirical analysis, taking the students of Dance Department of Normal University in Anhui Province, China as the research object. In the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nd study the students of Dance Department of universities in a wider area through more methods. In addition, after investigating various variables, it is necessary to bring them into the research model for further research. 사범대학교 무용학과가 무용교사 배양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사범대학교 무용교육에 대해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중국 내 사범대학교 무용학과 학생들의 교육과정 만족도, 전공 선택 동기와 진로결정 간의 관계, 전공 선택 동기가 교육과정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교육과정 만족도가 진로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중국 사범대학교 무용학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 안후이성 안후이사범대학교, 안칭사범대학교, 화이베이사범대학교 3개 사범대학교에서 무용학과 재학 중인 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00개의 응답 중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하여 354개의 표본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하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교육과정 만족도가 높고 전공 선택 동기가 강하며, 진로결정에 대한 진로방향과 취업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년, 무용경력이 높을수록 전공 선택 동기와 진로결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 선택 동기의 모든 하위변인은 교육과정 만족도의 모든 하위변인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무용학과 학생들이 흥미나 가치관, 성격, 능력 및 기술 등의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가정적 환경, 사회적 환경, 직업에 대한 이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선택 가능한 전공을 선택하는 것이다. 셋째, 무용학과 학생들의 교육과정 만족도의 모든 하위변인은 진로결정의 모든 하위변인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학생은 자신의 진로에 대해서 뚜렷하면서도 지속성이 있는 취업의식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 무용학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학생을 중심으로 하는 수업 방식으로 변경하며, 강사 선발 및 교육도 철저히 이루어지고, 무용학과의 특징을 고찰하여 특색이 있는 교육과정과 무용시설을 마련해야 한다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안후이성에 소재하고 있는 사범대학교 무용학과의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더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더욱 넓은 지역의 대학교 무용학과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조사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변수를 고찰한 후 연구모형에 포함시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 한ㆍ중 대학교 무용학과의 무용교육과정 비교 : 강원대학교와 항주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임가희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무용 교육은 서로 다른 대상과 목적에 따라 대중 무용 교육과 전문 무용 교육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대중화를 위주로 개개인이 즐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단기적인 훈련과 무용 기초 지식의 전수를 통하여 대중들의 예술 감상 수준과 건강을 제고하고 정신문명의 건설을 촉진하기에 세계 각국에서는 대중화 무용 교육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반면 후자는 제고를 위주로 하고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무용 학원, 무용 학교 및 전문적인 예술 학원, 예술단에서 학생들을 양성하는 방식을 통하여 엄격한 기초 훈련과 기술 훈련을 진행하고, 무용의 역사와 무용론의 전수를 통하여 여러 전업의 무용 단체 양성과 우수한 인재 양성에 도움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한국 강원대학교와 중국 항주사범대학교를 예로 들어 연구했으며, 한중 대학교의 무용 과정에 대해 비교, 분석을 했다. 두 학교를 비교하여 공통점, 차이점 및 두 학교의 대표적인 특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두 학교에 존재하는 문제점과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여 무용 교육 과정의 발전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오늘 날 한 중 대학교의 무용 교육 과정 설치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하여 무용학과의 설치는 교학 기획의 주요 조성 부분, 인재 양성 방안의 핵심 내용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학과 설치의 변화 또한 고등교육학원의 교육 사상과 인재 양성 방안에 대한 변화임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 더 많은 무용 교육자들로 하여금 중국, 더 나아가 세계적인 무용 인재 양성의 발전 방향에 대하여 생각하게 하고 더 많은 대학교 교육자들이 힘을 합쳐 과학, 발전, 전면, 혁신형 무용 인재의 양성에 새로운 길을 창조하게 하여야 한다. 본 논문의 연구는 미래 무용 교육 과정의 발전 방향을 목적으로 하여 두 학교의 무용 교육 과정의 이념, 현황, 발전 방향 등 여러 면에서 출발하여 두 학교의 차이점과 특징의 비교, 분석을 진행하여 대학교 무용 교육 과정의 공통점을 찾아 두 학교의 공동 발전에 힘을 실을 것이다. 반대로 공통성을 기초로 하여 두 학교의 차이점에 대하여 비교, 분석을 진행하고 그 중에서 두 학교의 무용 교육 과정의 특색을 이해하여야 한다. 두 학교는 우호적인 교류 관계를 갖고 있기에 분석을 통하여 두 학교의 무용 교육 과정의 미래 발전 방향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서로 학습하고 연구를 진행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두 학교의 더 나은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며 학생들로 하여금 또 다른 학습 경험을 얻게 하고 그들의 종합 능력을 제고하게 할 것이다.

      • 체육계와 예술계 무용학과 교과과정의 비교연구

        김수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is a study to investigate uniqu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s of a dance department which is involved in a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and a college of arts. The target samples are 8 departments of dance, that includes 4 departments in the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and 4 departments in the college of arts. Data was collected by a literature review, and anlyzed by two college types,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and college of arts. The total number of core courses of dance department were 60, that includes 21 arts related courses, 15 physical education related courses, and 24 dance related courses. The dance department in a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offered more numbers of the courses than that of dance department in a college of arts (t(2)=3.60, p<0.05). The dance department in a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tends to offer more courses about arts related (t(13)=2.01, p<0.05) and physical education related (t(11)=3.92, p<0.01) than that of the college of arts. However, the dance related courses were not demonstrated statistical significance (t(11)=1.26, p>0.05). The core courses for exercise are Korean Folk Dance, Ballet, and Modern Dance, which were more offered in the college of arts than the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t(3)=2.51, p<0.01). The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has 66 credit hours for the core courses. However, the college of arts offers 159 credit hours for the courses. As a results, even though the dance department in the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offers more various courses, it is not concentrated to the core exercises such as Korean Folk Dance, Ballet, and Modern Dance that should be emphasized to the student majoring in dance. The dance department in the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offers many courses within categories of fine arts, music, literature, physical education, and medical area. However, such a huge and various course opening can be just explained to "Promoting Knowledge about the Dance".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dance department in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tends to disregard movement itself by emphasis in the building up the knowledge. Therefore, the dance department in the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requires re-evaluation of their coures works to promote student's professionalities. 본 연구는 무용학과의 교과과정을 소속되어 있는 전공계열에 따라 분류하여 그 교과목의 분포와 특징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상학교는 무용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8개 대학교였으며, 무용학과가 체육계열에 소속되어 있는 4학교와 무용학과가 예술계열에 소속되어 있는 4학교로 구성되어 있다. 무용학과의 교과과정은 문헌조사에 의해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들은 체육계열의 무용학과와 예술계열의 무용학과로 분류하여 조사되었다. 무용학과의 전공과목은 총 60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 과목들 중에서 예술성함양에 관한 과목이 21개, 무용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과목이 24개, 그리고 체육에 관련된 과목들이 15개였다. 이들 과목에 대한 분포도는 체육계열의 무용학과에서 개설하고 있는 과목의 갯수가 예술계열에 소속되어 있는 무용학과의 그것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2)=3.60, p<0.05). 예술성 함양을 위한 과목들(t(13)=2.01, p<0.05)과 체육에 관한 과목들(t(11)=3.92, p<0.01)은 체육계열에 소속되어 있는 무용학과가 예술계열에 소속되어 있는 무용과의 그것보다 많았다. 그러나 무용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과목의 숫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11)=1.26, p>0.05). 무용학과의 기본이 되는 실기과목은 한국무용, 발레 , 그리고 현대무용으로 이루어 졌다. 이들 기본이 되는 실기과목에 대한 체육계열과 예술계열의 차이점은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 (t(3)=2.51, p<0.01). 이 세과목에 대한 체육계열의 학점수는 66학점이었으며, 예술계열은 159학점이었다. 결과적으로 체육계열의 무용학과는 예술계열의 무용학과보다 댜양한 전공과목을 개설하고 있어서 전반적인 지식함양에 도움을 주고 있지만, 자칫 이러한 "무용의 지식화"속에서 무용의 본질인 움직임이나 행위 그자체를 간과하기 쉽다. 그러므로 체육계열에 소속되어 있는 무용학과는 전공과목의 중요도를 재검증하여 이에 대한 전문성있는 교과과정을 보완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 국내 대학원 무용학과 교과과정에 관한 비교연구 : 박사과정을 중심으로

        김화선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고 고등 교육기관인 대학원의 무용학과는 전문 예술인과 무용지도자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 문화예술에 관한 사회의 관심이 높아지고 무용인구가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무용관련분야의 전문가와 지도자의 역할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대학원 무용학과 박사과정은 현재 6개 대학원에 개설되어 있으며 2000년도 이후 4개 대학원에 박사과정이 신설되는 등 그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 연구는 앞으로 개설될 무용학과 박사과정의 교과과정 편성에 있어서 무용이론의 체계적인 정립과 무용교육의 질적인 발전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단국대, 세종대, 용인대, 이화여대, 한양대의 5개 대학원 박사과정 무용학과의 교과과정을 영역별로 구분하고, 비교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무용학과 박사과정 교과과정의 개선 방안은 다음의 내용과 같다. 무용학과 박사과정의 교과과정 중 동일한 내용의 교과목에 대해 과목명칭과 용어를 하나로 정립하여야 하며, 무용 지도자의 육성에만 치우치기보다는 현실적인 무용관련분야의 다양하고 체계적인 과목을 개설하고 전공을 세분화하여 무용 경영, 기획, 의상, 비평 등 각 분야의 전문가 육성에 힘써야한다. 또한 세계화 시대에 발맞추어 각국의 무용교류, 정책연구 등 급변하는 사회흐름에 대처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세워야 한다. 또한 무용 과학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최고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원 박사과정은 사회가 요구하는 학위의 취득에만 머무를 것이 아니라 보다 체계적이고 다양한 교과목의 편성으로, 무용지도자는 물론 관련분야의 전문가 육성을 선도하며 무용이론의 정립과 더불어 질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Graduate schools of dancing, the highest educational institution of dancing, take aim at training expert artists and leaders of dance. As the public's interest in art and culture grows and people's interest in dancing increases, the role of the experts and leaders increases gradually. There are 6 graduate schools that have doctor's course of dancing and 4 new graduate schools of dancing were established since the year of 2000, and the number of schools establishing graduate courses of dancing increases. This research is necessary for newly established doctor's courses and the courses that will be established in the near future to systematize the principles of dancing and to develop the education of dance qualitatively. In this thesis, curriculums of doctor's courses of dancing in Dankook University, Sejong University, Ewha Women's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were sort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to find the problems and the ways to solve them. At the present day, technical terms and the names of subjects with the same contents should be united, and doctor's courses should be focused not only in training the leaders of dancing but also in nurturing the experts of dancing with the knowledge of management, planning, clothing, and criticism by establishing practical, various, and systematic subjects and subdividing majors. Moreover, theoritical basis should be formed to cope with the international exchange of dancing and dance policy keeping pace with the age of globalization. Continuous interests and efforts in the field of dancing science are necessary. Doctor's courses, the highest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nurture the experts of dancing as well as the leaders by sysemized and various curriculums and should develop dancing qualitatively and form a theoritical basis.

      • 중국 종합대학교 무용학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대학무용 발전방안 연구

        마소우 용인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oblems of dance education at Universities located in China and to provide comprehensive rationale of the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The study design was qualitative study. The study compared different curriculum of dance education between four Chinese Universities in which are well-known for high-skilled of dance performance and four Korean Universities in which provide organized dance education. As a result, there are several problems of dance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First, the curriculums are lack of balance between theory-oriented education and practical education. Students have less education in terms of dance theories and curriculum did not reflect creativity. Despite different universities, their curriculum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nd a balance between core and electives courses was inconsistent. In addition, a few number of professors who were qualified existed. Faculties didn’t have essential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y had lower quality of skills. Also a quality of the facility was outdated. Moreover, the curriculum was not diverse. Primary type of education was lecture and a lack of creativity was reported. Lastly, the output after graduation was not focused. Due to lack of theoretical background and a lack of qualified education, it may be barrier to find a job.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important implication in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at China. First of all, a variety of curriculum should be provided. Also, a specified courses that dedicates to educate a professional dancer may be needed. Furthermore, it may support faculty management. Curriculum should be organized and specified to fit dance education. Fifth, multi-disciplinary approach for arts and dance education might be helpful to develop dance education. Sixth, a curriculum that develop a demand and a quality of education should be needed. Overall, a developed education should promote students’ motivation who major in dance education and dedicate them to study dance education in both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actical skills. 본 연구는 중국의 4개 종합대학교의 무용학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무용교육의 장, 단점들을 파악한 후, 이를 토대로 중국 종합대학교 무용교육의 발전과 비전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한국의 4개 종합대학교 무용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중국의 4개 종합대학교는 남창대학교, 귀주대학교, 광서대학교, 하북대학교이며 한국의 4개 대학교는 용인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세종대학교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과 한국의 종합대학교 무용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중국의 4개 종합대학교 무용학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은 첫째, 미비한 교육과정이다. 학생들의 무용이론 교육이 부족하였고, 학생들의 창조성과 그 과정이 일목요연하게 도입되지 않았다. 그리고 수업내용이 거의 비슷하여 학교들간의 특색이 없었으며, 필수과정과 선택과정의 비율이 적합하지 않았다. 둘째, 부족한 교수들과 그들의 자질이다. 많은 종합대학교의 무용 교수들이 기초적인 무용이론 지식이 부족하고 실기능력 또한 낮은 수준이었다. 셋째, 낙후한 교육시설이다. 음향 시설, 멀티미디어 시설, 무용 장소 등이 없거나 부족한 현실이었다. 넷째, 단일한 교육방법이다. 교육방법이 단순하고 창조성이 없으며, 교수 위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다섯째, 어려운 취업현황이다. 무용의 실기와 이론을 다양하게 교육받지 못하고 졸업을 하기 때문에, 사회에서 요구하는 취업기회가 적은게 현실이다. 이상의 문제점들을 토대로 중국 종합대학교 무용교육의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다양한 교육과정의 도입이다. 둘째, 종합대학교 무용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특색 있는 교육과정의 도입이다. 셋째, 교수의 자원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넷째, 교재의 내용을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구성하는 것이다. 다섯째, 종합대학교의 각 전공과 여러 가지 예술을 무용과 결합시키는 융합교육이다. 여섯째, 수요와 질을 높이는 교육방법이다. 종합적으로 무용과 학생의 문화 의식을 고취시키고, 학생들의 전공수준을 강화시켜야 하며,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해야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