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용멘토링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지현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 문 요 약 무용멘토링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 수준별, 무용 능력별, 무용 경력별에 따라 무용멘토링,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무용멘토링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무용 수준별(고등학생, 대학생), 무용 능력별(콩클 안나감, 콩클 나가고 수상 못함, 수상함), 무용 경력별(1-5년 미만, 5년 이상)에 따라 무용멘토링(역할모델, 수행지도, 정신적 지원, 사회적 지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문제해결), 진로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필요한 도구를 갖추는 활동,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나아가 무용멘토링 하위요인(역할모델, 수행지도, 정신적 지원, 사회적 지원)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소재의 예술 고등학교와 대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유층집락 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서울특별시, 경기도에 소재한 3개의 예술 고등학교와 3개의 대학무용학과 무용 전공자를 대상으로 설문검사지법을 실시했다. 총 472명을 대상으로 무용 수준별 분포는 고등학생 223명, 대학생 249명, 무용 능력별 분포는 콩클 안나감 103명, 콩클 나가고 수상 못함 221명, 수상함 148명이다. 또한, 무용 경력별 분포는 1-5년 미만은 225명, 5년 이상은 247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에 사용된 척도들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사용 적합성이 증명되었으나 기술분석, 신뢰도 분석, 그리고 요인분석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재검토 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 SPSS 18.0을 이용한 MANOVA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수준별 집단(고등학생, 대학생)에 따른 무용멘토링(역할모델, 사회적 지원, 정신적 지원, 수행지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진로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필요한 도구를 갖추는 활동,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 수준별에 따른 무용멘토링은 역할모델, 정신적 지원, 사회적 지원, 수행지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고등학생이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2) 수준별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자기평가의 하위요인에서 고등학생이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3) 수준별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은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 정보수집활동, 필요한 도구를 갖추는 활동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고등학생이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2.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능력별 집단(콩클 안나감, 콩클 나가고 수상 못함, 수상함)에 따른 무용멘토링(역할모델, 사회적 지원, 정신적 지원, 수행지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진로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필요한 도구를 갖추는 활동,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1) 능력에 따른 무용멘토링 사후분석(Scheff) 결과 역할모델, 정신적 지원 요인에서는 콩클에 참여하여 수상한 무용수들이 콩클에 참여 안한 무용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콩클에 참여하고 수상 못한 무용수가 콩클에 참여 안한 무용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평균점수상으로는 콩클에 참여하여 수상한 무용수가 콩클에 참여 하고 수상 못한 무용수보다 높은 평균을 보이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회적 지원 요인에서는 콩클에 참여하여 수상한 무용수가 콩클에 참여하고 수상하지 못한 무용수와, 콩클에 참여 안한 무용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수행지도 요인에서는 콩클에 참여하여 수상한 무용수가 콩클에 참여 안한 무용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2) 능력별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요인별 평균에서는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자기평가 요인에서 콩클에 참여하여 수상한 무용수가 콩클에 참여하고 수상 못한 무용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3.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경력별 집단(1-5년 미만, 5년 이상)에 따른 무용멘토링(역할모델, 사회적 지원, 정신적 지원, 수행지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문제해결), 진로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필요한 도구를 갖추는 활동,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멘토링(역할모델, 사회적 지원, 정신적 지원, 수행지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문제해결), 진로준비행동

      • 대학 무용 전공자의 멘토링 경험이 무용성취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안유리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대학 무용전공자의 멘토링 경험이 무용성취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첫째, 대학 무용전공자의 개인적특성에 따른 멘토링, 무용성취, 진로태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둘째, 멘토링과 무용성취, 진로태도의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강원 지역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교 무용전공 학생 중 설문에 동의한 309명을 대상으로 표집 하였다. 응답자 개인이 자기평가 기입방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설문에 응답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자료 처리를 위해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α=.05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멘토링이 무용성취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 t검정,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특성에 따른 멘토링, 성취, 진로태도의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개인적 특성에 따른 멘토링에서의 성별 분석 결과 역할모델과 사회적지원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수행지도와 정신적지원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진로태도에서는 확실성, 독립성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결정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공에 따른 멘토링, 성취, 진로태도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전공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출신고에 따른 멘토링에서는 사회적 지원에서 인문계 졸업학생이 예술계 졸업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수행지도, 역할모델, 정신적지원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무용경력에 따른 멘토링, 성취, 진로태도를 보면, 멘토링에서는 모든 항목이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성취에서는 심동성취가 무용경력이 10년이상 집단이 1-5년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정의성취와 인지성취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공연횟수에 따른 멘토링에서는 역할모델에서 30회이상 집단이 10회이하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성취에서는 심동성취에서 10회이하 집단에 비해 20-30회 집단과 30회이상 집단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진로태도에서는 확실성과 독립성에서 30회이상 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결정성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멘토링과 성취, 진로태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멘토링의 수행지도와 사회적지원에서는 정의성취, 심동성취, 인지성취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역할모델, 정신적지원은 정의성취와 인지성취에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멘토링과 진로태도와의 상관에서는 수행지도, 역할모델, 사회적지원은 독립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정신적지원은 결정성, 독립성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멘토링의 4가지 하위요인이 무용성취와 진로태도와의 회귀분석결과 멘토링의 하위요인 중 정신적지원과 성취, 진로태도와의 회귀분석결과가 가장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태도에서는 독립성에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멘토링의 하위요인들이 무용성취에서 정의적 성취와 인지적 성취에 높은 영향이 있었고 진로태도의 하위요인에서는 독립성에 높은 영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멘토링은 대학 무용전공자의 무용성취와 진로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멘토링 경험이 무용성취와 진로태도에 중요한 요인임을 나타낸다.

      • 무용전공 대학생의 멘토링이 무용몰입과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

        허지은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319

        무용전공 대학생의 멘토링이 무용몰입과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멘토링이 무용몰입과 무용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용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4년제 대학 6곳을 방문하여, 총 363명의 연구 대상자를 표집 하였다. 조사도구는 총 48문항으로 이루어진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통계처리는 t-test,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거쳐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개인적 특성이 멘토링, 무용몰입 및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개인적 특성에 따른 멘토링에서 성과 출신고등학교, 무용경력에 따른 멘토링의 차이는 밝혀지지 않았으며, 전공에 따른 멘토링은 역할모형기능에서 현대무용이 한국무용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라서는 지도기능은 1학년, 2학년, 3학년이 4학년보다, 상담기능은 3학년이 4학년보다 높았다. 개인적 특성이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년, 출신고등학교에 따른 무용몰입의 차이는 밝혀지지 않았으며, 성에 따른 무용몰입은 성취몰입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무용몰입에서 최면몰입은 현대무용이 발레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성취몰입은 현대무용이 한국무용과 발레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경력에 따른 무용몰입은 최면몰입에서 11년 이상이 4-6년 이하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이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출신고등학교에 따른 무용성취의 차이는 밝혀지지 않았으며, 성에 따른 무용성취는 무용공연횟수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무용성취는 무용공연횟수에서 발레가 한국무용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무용성취는 무용공연횟수에서 4학년이 다른 학년 학생들의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용경력에 따른 무용성취는 무용점수, 무용공연횟수, 입상횟수 모두에서 경력이 높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멘토링이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멘토링의 하위변인인 역할모형기능, 노출기능은 최면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상담기능은 최면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멘토링의 하위 변인인 지도기능, 역할모형기능은 성취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멘토링이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멘토링의 하위변인인 노출기능은 무용공연횟수와 입상횟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멘토링은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몰입과 무용성취에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멘토링이 무용몰입과 무용성취에 중요한 요인임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무용전공 대학생의 멘토링 활성화는 다각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본 연구는 무용몰입 및 무용성취의 증대와 훌륭한 무용가 배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주제어 : 무용전공 대학생 , 멘토링 , 무용몰입 , 무용성취 ABSTRACT The Influence of Mentoring on Dance Flow and Dance Achievement of Dance Majoring Student's. Heo, Ji eun Department of Dance Sejong Universit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influence of mentoring on dance flow and dance achievement of dance major students. In achieving the research purpose, 6 universities with 4-year-course curriculum are paid visit, and a total of 363 sample students are selected. A questionnaire comprised of 48 questions is used for research method, and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 a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thes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 below results are deduced. First, examining the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mentoring, dance flow and dance achievement, it is deducible that gender, high school background, and dance experience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ntoring. As for mentoring per each specialty, modern dance majors show higher rate than Korean dance majors in Role Modeling Function, For mentoring per each school grad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 show higher rate than fourth graders in Guidance Function, and third grade students show higher rate than fourth graders in Counseling Function. Examining the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dance flow, it is deducible that school grade and high school background factors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dance flow, while in dance flow per gender, female students show higher rate than male students in achievement flow. Concerning dance flow per each specialty, modern dance majors show higher rate than ballet majors in hypnosis flow, and modern dance majors show higher rate than ballet majors and Korean dance majors in achievement flow. As for dance flow according to years of experience, students over 11 years of experience show higher rate than students with less than 4-6 years of experience in hypnosis flow. The study on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ver dance achievement suggest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ance achievement according to high school background, while concerning dance achievement per gender, male students show higher rate than female students in dance performance frequency. With reference to dance achievement per each specialty, ballet majors show higher rate than Korean dance majors in dance performance frequency. For dance achievement per each school grade, fourth graders show higher rate than other grade students in dance performance frequency. In regard to dance achievement per amount of experience, more amount of experience relates to higher rate of achievement in all three factors of dance score, dance performance frequency and award records. Second, examining the effect of mentoring on dance flow, sub-variables of mentoring, Role Modeling Function and Exposure Function have positive effect on hypnosis flow, while Guidance Function has negative effect on hypnosis flow. Sub-variables Guidance Function and Role Modeling Function display positive effect on achievement flow. Third, examining the effect of mentoring on dance achievement, sub-variable Exposure Function indicates to have positive effect on dance performance frequency and award record. Summarizing above results, it concludes that mentoring has positive effect on dance flow and dance achievement of dance major students, confirming that mentoring is an essential factor in dance flow and dance achievement. Therefore, an active encouragement of mentoring among dance major students will stimulate a positive effect multi-dimensionally. This study would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the increase in dance flow and dance achievement,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proficient dancers.

      • 무용전공 대학생의 멘토링 경험이 무용 자신감과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송현 조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32319

        ABSTRACT The Experience of Mentoring Dancing Major University Students Influences on Dance with Confidence and Course Preparation Act Shin Song-Hyun Adviser : Prof. Park, June-Hee Major in Da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is research examines how the experience of mentoring dancing major university students influences on dance with confidence and course preparation act. Also,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positive effects of mentoring experience to the dancing major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1stof December 2014 to 24th of December 2014 by selecting students who have the will to enter university as a dancing major. The research focused academies and schools. G and K region had 170 surveys respectively and in total 340. In addition, excluding 16 surveys which had double, collective and blank entries, the research used 324 surveys as a valid sample. The research conducted credibility test (Cronbach’s α)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Verimax) for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analysis for the survey. It used correlation to validate the internal validity and to differentiate sub facto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demographic attributes, mentoring experience, dance with confidence and course preparation act, the research conducted t-test and one-way Anova. If the test one way Anova has verified tha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t used scheffe as a post verification method. The result is as follows by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validation of the research model’s causal relationship. Hypothesis 1. There is a difference of mentoring experience in demographic attributes. Hypothesis 2. Mentoring experience influences to the dance with confidence. Hypothesis 3. Mentoring experience influences to the course preparation act. Hypothesis 4. Dance with confidence influences to the course preparation act. Therefore,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based on the experience of mentoring dancing major university student influences on dance with confidence and course preparation act.

      • 무용전공대학생의 멘토링경험이 학과적응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소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무용전공대학생의 멘토링경험이 학과적응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해결하고자 서울, 경기, 충남, 부산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대학생 350명을 유의표집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26명은 분석에서 제외하고, 최종 자료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총 324부이다. 무용전공대학생의 성별, 학년, 전공, 무용경력, 개인연습시간, 연간공연횟수를 파악하고, 멘토링경험, 학과적응, 진로준비행동 각 변인에 대한 차이와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일원변량 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과정으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경험에서는 전공, 개인연습시간, 연간공연횟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과적응에서는 성별, 전공, 개인연습시간, 연간공연횟수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에서는 성별, 전공, 개인연습시간, 연간공연횟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멘토링경험의 역할모델과 사회적지지 및 수행지도의 모든 하위변인이 학과적응의 환경적응, 동료적응, 학습적응의 3개 하위변인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멘토링경험의 하위변인 역할모델과 사회적지지 및 수행지도 모두 진로준비행동의 하위변인 진로탐색활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 및 수행지도는 정보수집활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과적응의 하위변인 환경적응, 동료적응, 학습적응 모두 진로준비행동의 하위변인 진로탐색활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적응, 학습적응은 정보수집활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대학생의 멘토링은 주로 강의실과 연습실 등 학과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학업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를 적절하게 해결하고 학과 내 대인관계가 원만하게 이루어지는데 학과 구성원인 지도자, 동료, 선·후배 등 멘토의 무용지도와 지지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무용과 내 조직 상황에서 구성원들의 논의 및 지원은 무용전공대학생들이 무용과 구성원으로써 정체성을 확보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무용전공대학생의 진로 준비 및 결정에 멘토의 경험적 조언이 도움 될 것이다. 무용전공대학생이 다양한 직업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적절한 멘토 구성의 노력이 필요하며, 멘토 역시 여러 직업에 관한 현장 상황을 파악해야 한다. 즉, 멘토는 무용전공대학생이 목표한 진로에 대해 필요한 직업정보를 제공하고, 무용전공대학생은 진로에 대한 구체적 행동 체계가 준비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학과에서 구축된 시설을 활용한 학업문제 해결은 학과 구성원의 도움을 통해 무용지식과 역량을 향상시키며, 진로에 적합한 준비를 실제로 행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학과에서는 무용전공대학생의 개별적 목표 직업을 파악하여 관련 정보수집에 맞춤형 도움을 주어 적합한 능력이 갖추어지도록 구체적 과정을 제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무용전공대학생이 자신의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해결하고 발전하기 위해 멘토링경험의 필요성과 학과적응의 중요성 및 진로를 준비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며, 나아가 무용전공대학생의 진로준비를 위한 다양한 멘토링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entoring experience of dance majors on department adap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solve this research purpose, 350 dance major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Chungnam, and Busan were sampled. Of these, 26 people who showed unfaithful response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and a total of 324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the gender, grade, major, dance experience, individual practice time, and the number of performances participated in the dance majors per year,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influences of each variable of mentoring experience, department adap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toring experience in major, individual practice time, and the number of performances participated in a year. Gender, major, individual practice time, and the number of performances participated in a yea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artment adap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erms of gender, major, individual practice time, and the number of performances participated in a year. Second, both the role model, social support, and performance guidance, which are subvariables of mentoring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al adaptation and peer adaptation, which are subvariables of departmental adaptation, and they were also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adapt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both the role model and social support and performance guidance of the subvariables of mentoring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exploration and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ies among the subvariable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it was found that environmental adaptation, peer adaptation, and learning adaptation, all sub-variables of department adap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and learning adap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nformation collection activities.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mentoring of dance majors is mainly done in department spaces such as lecture rooms and practice rooms, the dance guidance and support of mentors such as leaders, colleagues, seniors, and juniors who are members of the department can properly solve various problems arising from their studies, so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med within the department can be smoothly discussed and supported together to help dance students establish themselves as members of the department. Second, students majoring in dance should help them decide their career path with help from mentors in preparing for their career paths. In other words, efforts to organize mentors of various occupational groups are needed to help dance majors access various jobs, and mentors should also grasp the field situation of various occupations. Therefore, mentors should provide necessary job information about the career path that dance majors aim for, and dance majors should strive to form a specific behavioral system for their career path. Third, academic problem solving using the facilities established in the department improves dance knowledge and competence through the help of department members, and actually prepares them suitable for their career path. Therefore, the department should help dance students identify their target occupations and collect relevant information, and efforts to present academic problems are needed to equip them with the appropriate skills. Finall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dance majors to solve and develop their career concerns, the need for mentoring experiences, the importance of departmental adaptation, and preparation for career paths.

      • 선·후배간 멘토링이 무용전공 대학생의 학과적응에 미치는 효과

        강연지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287

        이 연구는 무용 전공 대학생의 학과만족에 매우 다양한 사회·심리적 요인이 관계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선·후배간 멘토링 프로그램이 선배와 후배의 학과적응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6년 현재서울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의 무용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구조화된 설문지이며,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후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분석방법은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같은 절차와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멘토관계기능과 학과만족·적응은 서로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둘째, 사회심리적 기능이 클수록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전공몰입은 증대되었다. 셋째, 경력관련기능과 역할모형기능이 클수록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학과생활적응성은 증대되었다.

      • 무용전공학생들의 멘토링 경험이 참여효과의 미치는 영향

        장수현 조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32255

        ABSTRACT Effect of Dance Major Students Mentoring Experiences on Effective Participation Jang Su-hean Adviser : Prof. Park, Jun-Hee Major in Da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data to suggest ways to help you identify How does any impact on satisfaction, commitment, trust,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map patterns of behavior can be physical activity leaders after school two leaders and students want. This study is February 10, 2016 - was selected as the K area, G area, dance student population in D major areas until 15 March. Surveyed using a convenience sample extraction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 total of 290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 research tool. In addition, we conduct a frequenc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o deter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analyz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t-test, was performed a member disposed ANOVA (one-way ANOVA)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entoring experience, engagement effect, by performing the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model equations were as follows. Firs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entoring experience, effective participation ha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 Second, the mentoring experience had an impact on the physical effects of the sub-factors involved. Third, the mentoring experience had an impact on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the sub-factors involved. Fourth, the mentorship experience had an impact on the social effects of the sub-factors involved.

      • 무용전공대학생의 그릿(Grit)과 회복탄력성이 멘토링에 의해 미치는 영향

        조우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15935

        본 연구는 멘토링이 무용전공대학생의 그릿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무용전공생 3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중 성실하게 응답한 300명을 본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6과 AMOS 26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멘토링, 그릿,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분석하였을 때, 성별과 전공의 특성은 차이가 없었으며, 학년과 무용경력에 따라 그릿과 회복탄력성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멘토링이 무용전공대학생의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멘토링과 그릿은 서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멘토링은 그릿의 하위요인인 흥미일관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그릿의 노력지속성에서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멘토링이 무용전공대학생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멘토링과 회복탄력성은 서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멘토링은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사회성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회복탄력성의 긍정성과 통제성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전공대학생의 그릿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그릿과 회복탄력성은 서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그릿은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긍정성, 통제성, 사회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멘토링은 무용전공대학생의 그릿과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무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수행을 한다면 멘토링이 무용전공대학생들의 그릿과 회복탄력성을 향상시켜 학습자가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는데 큰 도움이 될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mentoring on grit and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 survey was conducted on 305 dance majors attending a 4-year university in Seoul, South Korea, and 300 respondents who provided sincere response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6 and AMOS 26.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mentoring, grit, and resilienc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ance majors,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major, whereas grit and resilience showed a positive effect depending on year of study (college) and dance experien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mentoring on grit of dance majors, mentoring and gri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mentoring did not affect consistency of interest, while it had a positive effect on perseverance of effort, which are subfactors of gri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mentoring on resilience of dance majors, mentoring and resili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while mentor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ity, it had a positive effect on positivity and sense of control, which are subfactors of resilienc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grit on resilience of dance majors, grit and resili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grit had a positive effect on subfactors of resilience such as positivity, sense of control, and sociality. In sum, mentoring had a positive effect on grit and resilience of dance majors. By developing and continuously implementing dance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se results, it would be possible to improve grit and resilience of dance majors through mentoring, which would contribute greatly to achieving the goals set by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