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國的 狀況에서 열린교육의 可能性과 限界

        박용철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12

        이 연구는 열린교육의 개념과 이의 교육적 원리를 정확히 파악하여 한국적 교육상황에서의 열린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주제는 ‘한국에서 열린교육이 가능한가?’이다. 이 물음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II장에서 문헌을 통해 열린교육의 개념, 특성, 국제적 동향을 살펴보고 열린교육의 조건을 탐색해 보았다. III장에서는 한국교육의 상황을 분석하여 열린교육 적용상의 한계점을, IV장에서는 열린 교육의 가능성을, 교육과정·교육행정·열린교육 수용의 측면에서 탐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면에서 현행 획일적인 교육과정 체제는 열린교육의 가장 큰 한계점이다. 그러나 새로 개편되는 7차 교육과정은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과 재량시간의 신설·확대로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편성·운영하도록 하여 열린교육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둘째, 교육행정 측면에서 입시제도에 기초하고 있는 권위주의적 학교풍토는 열린교육의 걸림돌이다. 그러나 무시험전형제도의 도입은 열린교육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셋째, 교육시설의 측면에서 대규모 학교, 과밀학급은 열린교육의 한계점이다. 그러나 농어촌 지역에서 학급의 축소와 학급당 학생수의 감소, 학습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는 열린교육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넷째, 열린교육의 수용 면에서 입시에 연계된 평가방법은 교사, 학부모, 학생들에게 열린교육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갖게 하고 있다. 그러나 입시제도의 개선에 따른 수행평가의 도입은 열린교육의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 한국 교육의 가장 병폐가 되었던 입시제도는 대학입학 무시험 전형과 더불어 학교교육의 틀을 바꾸어 놓고 있다. 새로운 입시제도는 지식 중심, 교과서 위주의 획일적 교육을 현장 중심, 체험학습의 열린교육으로 학교의 새로운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입시제도는 학생들의 내재적 흥미에 의한 자율적 학습활동의 폭을 ��히고 창의성과 바른 인성교육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이렇게 볼 때 한국적 상황에서 열린교육은 더욱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현재에 있어 농촌지역의 소규모 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열의있는 젊은 교사들은 열린교육의 명실상부한 선두주자가 되고 있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plain the concepts and the principles of open education and to delineate the possibilities and the limitations of open education under the Korean education system. In chapter 2, the concep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nternational trends of open education were studied by investigating the references. The conditions of open education were researched b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education. The limitations of applications of open education were investigated in chapter 3. In chapter 4, the possibility of open education was researched in light of the educational process, educational administration, education facilities, and acceptance of open education. The first biggest limitation of open education is the uniform system of the education process. However, the revised education process adopts the education process according to a student's ability, and establishes and extends new elective courses, which would make the education process flexible. The second limitation is the view of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Authoritarian schools are derived from the college entrance system which is a hindrance of open education. However, the introduction of university entrance system without examinations would make open education more possible. Thirdly, large schools and crowded classrooms also limit open education.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the students per class and the computterization of studying materials pave the way for open education in rural areas. The last limitation is the attitude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have about the grading system associated with college entrance. The introduc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s accompanied by changes to the college entrance system are necessary for open education to thrive. The college entrance system has been the biggest obstacle to Korean open education. The university entrance system without examination is changing this framework of education. The new college entrance system is changing the education from knowledge - and-textbook oriented to practice-and-work oriented, which would lead school to accept open education. The new college entrance system encourages voluntary study for intrinsic interests and contributes to educational creativity and morals. Taking these into account, open education would be more popular. Enthusiastic teachers, working in rural areas, are becoming the mainstream of open education.

      • 한국과 중국 교사 자격제도 비교연구

        解慧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8

        본 논문은 비교연구를 통해 한국과 중국의 교사 자격제도를 비교하고, Cooper의 다차원적 정책분석 이론을 근거로 해 분석틀을 서립하였으며, 3개의 차원으로 한국과 중국의 교사 자격제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상호 보완할 수 있는 것을 도출했다. 제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내용을 서술하였다. 제Ⅱ장에서는 관련 기본이론 외에 양국의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 정책분석 이론 등을 자세히 소개했다. 제Ⅲ장에서는 분석틀을 만들고 서로 다른 재료 수집 방법을 어떻게 분석하는지 설명했다. 제Ⅳ장에서는 구조 분석에 따른 교사 자격제도를 분석했다. 한국과 중국의 교사 자격제도를 보다 전면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문제 해결했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교사 자격제도의 구조적 차원의 차이는 무엇인가? 둘째, 한국과 중국의 교사 자격제도의 구성적 차원의 차이는 무엇인가? 셋째, 한국과 중국의 교사 자격제도의 기술적 차원의 차이는 무엇인가? 넷째, 한국과 중국의 교사 자격제도는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하는가? 이에 따라 최근 양국의 교사 자격제도에 관한 자료를 수집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우선, 역사적으로 볼 때 한국은 더 일찍부터 교사 자격제도를 개혁해 왔고, 교육현장의 문제점에 맞게 조정해 왔으며, 교사 확충부터 교사 양성체계 개혁까지 1960년대부터 빠르게 발전해 왔다. 중국은 교육 발전의 출발점이 늦었지만 처음에는 의무교육의 보급을 주요 발전 방향으로 삼았다가 1990년대에 이르러서야 교육 발전의 절정기를 맞이하였다. 교사 양성기관인 한국은 사범대, 교육대, 교육대학원, 교직과정 이수 등에 의존하면서 교사의 질적 수준을 유지한 채 길을 넓혀가고 있다. 중국에서 교사 부족과 소양이 낮은 교사들이 이슈가 되기 때문에 개혁 이후 중국 사범대학은 교사 양성기관으로 인정받는 지정기관이 아니다. 둘째, 같은 교육공무원 신분인 한국은 임용시험에 합격하면 교육공무원이 되지만 중국은 임용시험과 공무원 시험이 완전히 분리돼 있다. 교사 선택의 경우 한국 교사들은 교사 자격증을 가지고 학교 이외의 교육기관에서 기회를 찾고, 중국 교사들은 교사 자격증을 통해 국가 차원의 교육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해 다양한 형태로 취업 기회를 제공하며,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교사 양성에 있어 한국은 교사의 전문적 능력과 지식 수준을 중시하고, 중국은 교사의 전문적 소양을 함양함과 동시에 사상적 인성 함양을 더욱 중시하고 있다. 한국이 교사 자격증을 따는 길은 무시험검증으로 주로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교육현장에서 실습하는 것이지만, 중국은 사범대 졸업자도 교사 자격증 시험을 봐야만 교사 자격증을 딸 수 있다.

      • 1969년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 도입과정 연구

        박수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49

        본 연구의 목적은 1968년 문교부가 발표한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의 도입과정을 검토함으로써, 한국 중등교육사 속에서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의 도입이 한국 중등교육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960년대 한국 사회의 교육열과 중학교 입시경쟁 양상을 살펴보고,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의 도입과정을 검토함으로써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 도입과정의 특징과 한국 중등교육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960년대 국민학교와 중학교의 규모를 보여주는 문교부의 통계자료와 중학교 입시경쟁 양상과 입시 준비 과정,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에 대한 반응을 보여주는 신문 기사, 그리고 정부의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 논의 과정과 도입과정을 보여주는 국회와 국무회의의 회의록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60년대 중학교 지원 경쟁률은 일류고등학교 동계진학이 가능했던 일류중학교들에 편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중학교 입시 준비는 일류중학교에 진학하려는 학생과 학부모의 열의와 높은 진학률로 학교 명성을 높이기 위한 학교와 교사의 노력이 함께 작용하며 더욱 과열되었다. 국민학교 학생들의 중학교 입시준비 과정이 건강을 악화시킬 정도로 과중하다는 점에서 중학교 입시는 대중의 비판을 받았다. 중학교 입시 부담을 줄여줘야 한다는 의견은 과외 반대 운동, 학원 정화 운동, 사도 정화 운동으로 나타났다. 문교부는 학생들이 과외 공부를 하지 않아도 될 수 있도록 시험문제를 교과서에서만 출제하는 방안과 문제은행식 출제 방법으로 입시 제도를 개혁하였다. 중학교 입학시험이 교과서에서만 출제되었음에도 일류중학교 합격을 위한 과외와 입시 준비 노력은 지속되었다. 중학교 입학시험 자체가 없어지면 학생들의 입시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는 무시험 진학의 의견도 제기되었다.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의 도입에 대한 문교부의 반응은 회의적이었다.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를 실시하고 의무교육을 확장하기에는 중학교의 수용능력이 부족하고 현실성이 낮다는 이유였다. 1968년 4월, 대한 교련의 중학교 무시험 진학 건의안에도 문교부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하였다.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는 1968년 5월 박정희 대통령이 정부 시책의 능률적인 시행을 위해 문교부 장관을 교체하면서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다. 박정희 대통령에게 내년도 입시 문제를 해결하라는 임무를 받은 권오병 장관은 문교부 전체에 함구령을 내려 문교부에서 논의되는 정책이 밖으로 알려지지 못하도록 하였다.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는 권오병 장관이 구성한 소수의 정책 협의회에서 논의되었다. 비밀리에 준비된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는 교육 현장과의 소통 과정 없이 대통령의 최종 인가를 받아 승인되고 발표되었다. 문교부는 국무회의와 국회 본회의에서 일류중학교를 향한 교육열의 과열이 과도한 과외공부를 조장하고, 국민학교 수업을 형식화시키며, 학생들의 인격형성 결여를 야기하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의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학교군을 설치하고, 국민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은 학교군 내에 있는 중학교에 추첨을 통해 입학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또한 일류중학교를 선호하는 학생들의 의식을 없애기 위해 일류중학교로 불리는 학교는 3년에 걸쳐 폐지할 것을 지시하였다. 국회에서는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는 찬성하지만, 중학교의 수용능력의 부족과 평준화의 미비를 수익자부담 원칙으로 중학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를 바란다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문교부도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학급 증설과 평준화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교원과 시설 평준화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다.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가 발표되고 언론에선 학생들을 입시지옥에서 해방시키는 정책의 등장을 교육혁명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가 시행되기에 있어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점들을 특집기사로 편성하였으나,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를 본질적으로 반대하지는 않았다. 학생과 학부모들은 중학교 입학시험을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를 찬성하였으며, 국민학교 학생들은 학교에서 수업 태도가 태만해지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국민학교 교사들은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의 목표가 국민교육의 정상화였기 때문에 표면적으로 반대하지는 않았지만, 과외로 인한 음성 수입이 줄어드는 것을 걱정하기도 하였다.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에 가장 크게 반대했던 것은 사립학교였다. 학생의 선발권을 박탈당한 사립학교는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를 반대하였지만, 문교부는 받아들이지 않고 교원의 인사와 학교의 인가에 대해 간섭하며 사학의 반발을 억압하였다.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는 2개월의 짧은 논의를 거쳐 세상에 공표되었지만, 국민학교 교육의 정상화와 의무교육 확대를 위한 준비라는 이상적인 목표 아래에서 권위주의적인 방법으로 도입되고 추진되었다. 국민학교 학생들의 과중한 입시 부담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 속에서 국민학교 교육 정상화라는 문교부의 논리는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의 시행을 반대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는 이상적인 목표를 지향하였기에 제도의 시행 자체가 반발되기보다는 미흡한 제도 시행 준비 과정을 지적받는 과정에서 추진되었다. 문교부는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의 문제로 지적되었던 중학교의 수용능력 부족과 평준화 미비를 수익자 부담 원칙을 고수함으로써 해결하였다. 당초 문교부의 계획보다 많은 학생이 중학교 진학을 희망하자 중학교 공납금을 수익자 부담 원칙에 따라 인상함으로써 중학교 진학 희망자 수를 줄여보고자 하였다. 수익자 부담 원칙은 문교부가 부족한 중학교 수용능력임에도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를 추진할 수 있는 힘이자,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의 사전 준비 부족을 가리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에 대해 사립학교에서는 사학의 학생 선발권을 침해하는 제도라고 반발하였다. 문교부는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의 시행 과정에서 사학을 철저하게 통제하였다. 문교부는 사립학교의 학생선발권도 중요하지만, 국민학교 학생들의 교육 정상화가 우선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문교부는 반발하는 사학에 경제적 원조를 끊는 방식으로 반대하는 목소리를 통제하였다. 국·공립 학교만 국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시설이 미비한 사립학교는 신입생을 받지 못하도록 하였다. 사학들은 자율적인 학생 선발권의 박탈에 반발하기보다 국가에 경제적 원조를 요청하는 현실적인 방향을 선택하였다.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는 교육열을 냉각시키고, 일류지향성을 폐지하겠다는 당초 목표와는 다른 의도하지 않은 영향을 한국 중등교육에 남겼다. 먼저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는 한국 중등교육의 단선적 성격을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한국은 서양이 중등교육 학제를 복선형으로 구성한 것과 달리, 6-3-3-4의 단선형 학제를 채택하고 있었다. 단선형 학제는 학교 계통이 단일의 계통으로 일원화되어 계층과 무관하게 학생들이 받을 수 있는 교육이 열려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육법에서 지정된 단선형 학제만 보면 영국의 퍼블릭스쿨, 프랑스의 리세, 독일의 김나지움과 같이 명문대학교에 진학하는 엘리트 교육기관이 없었던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실제 한국 중등교육에는 명문대학교 진학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던 고등학교들이 존재했다. 일류고등학교는 동계진학이라는 입학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일류중학교-일류고등학교-명문대학교라는 출세의 길이 존재하도록 하였다.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는 일류중학교를 폐지함으로써 일류중학교와 일류고등학교로 이어지는 연결고리를 끊어내는 결과를 가져왔다.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의 시행으로 일류고등학교에 진학하기 좋은 공식적인 길은 사라지게 되었다. 일류중학교의 폐지는 한국 중등교육의 단선형 학제 성격을 강화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의 또 다른 의도하지 않은 결과는 한국 사학의 준공립화 현상을 초래했다는 것이다. 해방 이후 중학교의 설립은 사립재단에 맡겨져 있었다. 국민학교가 대부분 국·공립이었던 것에 반해, 중학교는 사립학교의 비중이 45%를 차지하고 있었다.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 이전까지 중학교 교육은 의무교육이 아니었기에 중학교는 학교 설립 이념에 맞는 학생들을 선발하거나, 학교가 원하는 성적을 받는 학생들을 선별하여 선발하고 있었다.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의 시행으로 사학은 학교가 원하는 학생을 선발할 수 없게 되었고, 사학의 독자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어려워졌다. 사립학교는 행정적으로는 문교부에 국·공립학교처럼 평준화를 위한 통제를 받으면서, 사학의 자율성은 인정되지 않고 경제적인 보조금도 지원받지 못하였다. 사학은 문교부가 요구하는 평준화의 요건을 충족하여야 지위를 보전할 수 있게 되었다. 국가의 사립학교 통제에 저항하지 않고, 국가에 경제적 원조를 요청하면서 국가의 통제를 받게 되면서 사학은 자율성이 줄어들고, 준공립화되는 결과가 나타나게 되었다.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로 인한 사학의 자주성 위축은 한국 중등교육에서 국·공립과 사립의 차이를 줄이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는 교육열의 냉각을 목표로 한 정책이었지만, 역설적으로 교육열을 가열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를 발표하고 중학교 진학 희망자는 문교부의 예상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며, 실제로 중학교 진학률은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가 시행된 이후 빠르게 증가하였다.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 이전까지 중학교는 의무교육이 아니었기에, 중학교 입학시험이라는 선별과정을 통과한 사람만 진학할 수 있었다.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는 누구나 시험을 보지 않더라고 중학교에 지망하면 추첨을 통해 진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학교 진학의 문턱을 낮추는 결과를 가져왔다. 일류중학교를 향한 교육열을 냉각시키려고 도입한 추첨을 통한 입학방식과 일류중학교의 폐지는 한국의 중등교육에 대한 교육열을 가열시키고 중등교육이 팽창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는 교육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정책으로 시행되었지만, 중학교 입학시험 폐지와 일류중학교 폐지 정책이 오히려 의도하지 않은 단선형 학제의 성격 강화와 한국 중등 사학의 준공립화를 초래했다고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는 중학교 단계에서 엘리트와 비엘리트를 구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한국의 교육열을 가열하였고, 빠른 중등교육의 팽창을 유발하였다.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가 한국 중등교육에 미친 영향에 대한 본 연구가 한국의 입시정책 연구와 향후 교육정책 연구를 위한 참고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roduction of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68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on Korean secondary educ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secondary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aspirations of Korean society and the competition for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s in the 1960s, and examines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and the impact of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on Korean secondary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comprehensively reviewed statistical data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on the size of national schools and middle schools in the 1960s; newspaper articles on the competition for middle school entrance exams,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exams, and reactions to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and minutes from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Council of Ministers on the process of discussing and introducing the government's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Here's a summary of the results. In the 1960s, the competition for middle school applications tended to be skewed toward the top middle schools that offered winter admission to top high schools. Preparation for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was intensified by students' and parents' eagerness to get into top middle schools and by schools' and teachers' efforts to improve their reputations through high enrollment rates.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has been criticized by the public for being overwhelming to the point of deteriorating health. The Ministry of Education reformed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to allow students to take the exam only from textbooks and to use the question bank method to eliminate the need for tutoring. Although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was based on textbooks, tutoring and preparation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continued. Proponents of the exam-free system argued that eliminating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 would reduce the burden on students. The Ministry of Education's response to the introduction of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was skeptical. It argued that the capacity of middle schools was insufficient and that it was impractical to introduce a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and expand compulsory education. In April 1968, the ministry rejected a proposal to allow middle school students to enter middle school without an examination. The idea of allowing students to enter middle school without taking an examination was discussed in earnest in May 1968, when President Park Chung-hee changed the minister of education to streamline the implementation of government initiatives. Minister Kwon Oh-byeong, who was assigned by President Park to decide on the next year's entrance examination, issued a gag order on the entire ministry to prevent the policy from being discussed outside the ministry.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was discussed in a small policy council formed by Minister Kwon.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was secretly prepared and approved and announced with the final approval of the president without any communication with the education field. Although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was announced to the public after a brief two-month discussion, it was introduced and promoted in an authoritarian manner under the idealistic goal of normalizing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nd preparing for the expansion of compulsory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s logic of normalizing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n the face of negative social attitudes toward the heavy burden of entrance examination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de it difficult to oppose the introduction of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Because it was an ideal goal,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was not opposed, but rather criticized for insufficient preparation for its implementation. The ministry addressed the lack of capacity and unevenness of middle schools, which had been identified as problems with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by adhering to the beneficiary-pay principle. Since more students wanted to enter middle school than the ministry had originally planned, the ministry tried to reduce the number of applicants by increasing the contributions of middle schools based on the beneficiary-pay principle. The beneficiary-pay principle gave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power to push through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despite the lack of capacity of middle schools, and it also masked the lack of preparation for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Private schools reacted to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by saying that it infringed on the right of private schools to select students. The Ministry of Education tightly controlled private schools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The ministry argued that while the right of private schools to select students is important, the priority should be to normalize the education of public school students. The ministry controlled dissenting voices by cutting off economic aid to dissenting private schools. It ensured that only government schools could receive government support and that poorly equipped private schools could not accept new students. Rather than react to the loss of their autonomous right to select students, private schools took the pragmatic route of asking the state for economic aid.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has had unintended effects on South Korean secondary education that are at odds with its original goal of cooling education fever and abolishing the top-down system. First,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reinforced the one-dimensional nature of Korean secondary education. Unlike the bi-linear organization of secondary education in the West, South Korea had adopted a 6-3-3-4 single ladder system similar to Japan. The single ladder system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school system is unified into a single system and education is open to students regardless of class. Based on the single ladder system stipulated in the Education Act, it would seem that there were no elite institutions such as the Public Schools in Britain, the Lycée in France or the Gymnasium in Germany. In reality, however, there were high schools in Korean secondary education that produced the majority of students who went on to prestigious universities. The first-class high schools adopted a winter admission method, which created a path for students to advance through the ranks of first-class middle schools, first-class high schools, and prestigious universities.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abolished the first-class middle school, breaking the link between the first-class middle school and the first-class high school.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there was no formal way to enter a top high school. The elimination of elite middle schools reinforced the single ladder system of Korean secondary education. Another unintended consequence of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is that it has led to the semi-publicization of Korean private school. After independence, the establishment of middle schools was left to private foundations. While elementary schools were mostly national or public, middle schools were 45% private. Since middle school education was not compulsory prior to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middle schools selected students who fit the ideology of the school's founding or who received the grades desired by the school.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examination-free system, private schools can no longer select the students they want,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run their own educational programs. Administratively, private schools were subject to the same leveling controls as state and public schools, but their autonomy was not recognized and they received no financial subsidies. In order to maintain their status, private schools had to meet the leveling requirement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Rather than resisting state control of private schools, private schools submitted to state control by seeking economic aid from the state, resulting in their diminished autonomy and semi-publicization. The loss of autonomy of private schools due to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led to the reduc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national, public, and private schools in Korean secondary education. Finally,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was a policy aimed at cooling the educational fever, but paradoxically it had the effect of heating it up. After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was announced, the number of middle school applicants increased to a level that exceeded the Ministry of Education's expectations, and in fact, the middle school entrance rate increased rapidly after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free system was implemented. Prior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free system, middle school was not compulsory, so only those who passed a screening process called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could enter middle school.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has lowered the threshold for entering middle school by allowing anyone to apply for middle school without taking the examination and be selected by lottery. The lottery system and the abolition of first-class middle schools, which were introduced to cool down the fever for first-class middle schools, heated up the fever for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and led to the expansion of secondary educ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s that although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was implemented as a policy to cool down the educational fever, the abolition of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and the abolition of first-class middle schools actually led to the unintended strengthening of the single ladder system and the semi-publicization of Korean secondary private school. Moreover,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fueled educational fervor in Korea by becoming a system that did not differentiate between elites and non-elites from middle school, leading to the rapid expansion of secondary education. We hope that this study on the impact of the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on Korean secondary education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future studies on Korean entrance examination policy and education policy.

      • 무시험 미용사면허에 따른 미용학개론 수업현황과 개선방안

        박진희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375

        최근 미용관련 교육과정에서는 ‘미용학개론’ 수업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려는 일환으로 무시험 미용사면허 발부에 관한 지정 교과목의 타당성에 따른 교과목 이수규정과 산업현장 직업군에 따른 미용사 직무 문제가 논의되고 있다. 이 연구는 교수자 중심의 수업운영 현황에서 나타나는 수업계획서 및 문제를 분석하고 개선과제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분석 연구를 중심으로 하고 학습자의 인식조사를 통해 보완하였다. 문헌연구의 도구는 4년제 17개 대학이 제시하는 ‘미용학개론’ 수업계획서를 준거틀로 제시하였다. 강의교재를 근거로 교수자가 직접 작성한 수업계획서의 교육내용과 중간고사 평가지를 통해 교육목표 달성을 분석한 후 공동강의 표준교재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공동강의 표준교재는 내적 구성요소를 모형화하여 표준 수업계획서 제시와 작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와 더불어 현재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수업계획서의 실태와 학습자 인식(2항목)을 조사하기 위해 17개 대학의 수업계획서 17부를 수합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설정한 수업계획서 구성요소 준거틀에 따라 각 대학이 제시하는 수업계획서 양식과 교수자가 직접 작성한 수업계획서 구성요소별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계획서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지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량, 빈도분석, 교차분석의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미용학개론’ 수업계획서에 대한 분석과 교재 모형개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7개 대학 ‘미용학개론’ 수업계획서 구성요소는 정혜령(2007)이 고안한 10개의 상위영역과 36개의 하위영역인 준거의 틀에 의해 구성영역인 기본정보, 교육활동, 수업 규정을 중심으로 상위 8영역과 하위 24영역으로 표준 수업계획서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육활동영역에서 교수자가 직접 작성한 명시적 학습목표를 토대로 학습내용을 선택하고 학습방법을 제시하는 평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교육목표의 취지와 이해를 구분하지 못하여 학습자 위주의 명확한 수업계획을 드러내지 못하였으며 교수자의 교과 내 지식수준에 따른 체계성 부족의 문제를 야기하였다. 대체로 교수요목은 대부분의 대학에서 주교재로 지정된 <미용학개론>의 개괄적인 단원명을 제시하였다. 중간고사 평가지의 문항은 미용의 개요, 미용 기초이론, 모발학 등 3개의 단원이 주로 서답형, 논술형으로 제시되었다. 선정된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을 제시하는 교육방법은 수업방법, 주체, 활용기자재를 항목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세부적 분석결과는 기본적으로 일관성과 무관하게 대학별로 다르게 운영하고 있었다. 넷째, 미용사(일반)의 입문서인 ‘미용학개론’의 내용은 모발관련 교과인 실기과목의 선수과목으로 제시된다. 이는 모발생리, 형태, 미세구조, 성질 등의 개념과 원리가 접목되는 샴푸 및 린스, 두개피관리, 헤어세팅 및 디자인, 헤어컷, 헤어펌, 헤어컬러링(이하 모발관련 교과)에 대한 개론서의 전문적인 형식을 갖춤으로써 내용 비중상 대체 교과목명의 필요성을 규명하였다. 다섯째, 「공중위생관리법」 이・미용관련 교과목 이수규정에 따른 ‘한국미용학회’ 의견 서(2011년 5월 3일) 제출에서 이수교과별로 제시된 교과와는 달리 ‘미용학개론’ 교과목명과 내용규정은 어디에도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미용학개론’에 대체할 수 있는 공동강의 표준교재(안)는 《모발 미용학의 이해》를 중심으로 내적 구성요소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미용사 및 미용교사 양성을 위한 교과목이라는 특수성이 내용 구성에 적절히 반영된 공동강의 표준교제의 내용을 토대로 표준 수업계획서가 작성되었다. In the recent beauty-related curriculum, the rules of course completion by the validity of specified subjects on cosmetology license and the jobs of beauty artists by occupational groups in industry are being discussed as part of looking at ways to improve the ‘Introduction to Cosmetology’ cou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yllabus and teaching issues from the status of professor-centered teaching, and develop improvement challenges and implications. To achieve this, it was made up for through a survey of learners' perception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For the scale of literature review, the ‘Introduction to Cosmetology’ syllabus offered by 17 4-year colleges was come up with as a framework. Based on the course materials, the standard textbook for joint lecture was come up with after an analysis of education goal attainment through the educational contents of syllabus and the evaluation sheets of midterm exam directly written by professor. The offered standard textbook for joint lecture came up with information for the suggestion and writing of standard syllabus through the modelling of internal components. In addition to this, 17 copies of the syllabus in 17 colleges were gathered to survey the status of syllabus at colleges and learners' perception(2 items). It analyzed the syllabus form offered by each college and the syllabus contents directly written by professors depending on the framework of syllabus components established through the precedent study. And it developed a questionnaire and verified its reliability to survey learners' perception of the syllabus. For the analysis of data,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17.0 statistics package program. The analysis of the ‘Introduction to Cosmetology’ syllabus and the result of textbook model develop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onents of ‘Introduction to Cosmetology’ syllabus in 17 colleges offered framework for analyzing the standard syllabus to 8 hyper-scopes and 24 sub-scopes on the basic information, educational activities and course rules of component elements by framework of 10 hyper-scopes and 36 sub-scopes designed by Jeong Hye-ryung(2007). Second, it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valuation that selects the learning content and suggests the learning method based on the explicit learning objectives directly written by professors in the scope of educational activities. As a result, it didn't show clear teaching plans by failing to separate the object of educational goals from the understanding of them and brought about a dearth of system depending on the level of professors' knowledge in the curriculum. Generally, the teaching curriculum suggested the general unit name of <Introduction to Cosmetology> specified as main textbooks in most colleges. The questions of evaluation sheet for midterm exam were mainly come up with as the constructed response and the essay-typed response in 3 units such as the summary of beauty, the fundamental theory of beauty, and trichology. The educational method, which suggests the selected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itemizes the teaching method, the subject, and materials for use. But the detailed analysis showed that it was being differently operated regardless of fundamental consistency by college. Third, the contents of ‘Introduction to Cosmetology’, a manual of beauty artists(ordinary people), are suggested as an initiative subject of hair-related curriculum, practice subject. In other words, it determined the need for alternative subject name on the importance of content by having the professional forms of introductory textbooks on shampoo and rinse, scalp hair treatment, hair setting and design, hair cut, hair perm, and hair coloring(the rest is a hair-related curriculum) that combine the concept of hair physiology, shape, microstructure, and character with the principle. Fourth, the subject names and content rules of ‘Introduction to Cosmetology’ were come up with nowhere, unlike subjects suggested by taken subject in submitting a written opinion(May 3, 2011)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pending on the completion rules of beauty-related subjects by the 「Public Health Control Act」. Consequently, standard textbooks(plans) for joint lecture, which can alternate the ‘Introduction to Cosmetology’ suggested the models of internal component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Hair Cosmetology》. Fifth, based on the contents of standard textbooks for joint lecture that properly reflect the specialty of a subject to train beauty artists and beauty teachers in the structure of contents, the standard syllabus was written out.

      •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모델링에 관한 연구 : 중학교 무시험 배정업무 모델링 중심으로

        김기찬 仁川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356

        오늘날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의 분석, 설계, 개발은 기존의 구조적 기법에 의존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객체지향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Booch, Jacobson, Rumbaugh에 의해 제안된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은 시스템을 분석하고 모델링 하는데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UML은 시스템을 기능적 측면, 정적인 측면, 그리고 동적인 측면으로 분석하고 설계하여 보다 명확하고 쉽게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는 반면, 논리적 특성을 표현한 모델과 물리적 특성을 표현한 모델간의 연계성을 명확히 표현하기 어렵다. 현재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들은 목적 시스템의 객체지향 모델링만을 제공할뿐, 그 자체는 구조적 체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지향 시스템 개발을 위한 효과적 UML프로세스 모델을 정의 한다. 제시된 객체지향 분석 및 설계의 예는 UML을 사용하여 객체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개발자들에게 방법론의 안정성 및 실무경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객체 지향적 모델링을 제시한다. 개발 산출물 및 활동이 객체로 모델링 되며, 개발 생명주기 프로세스가 객체간의 상호작용으로 모델링 되었다. 제시된 객체 모델들은 재사용성, 유연성, 확장성, 유지보수의 용이성의 장점을 제공한다. Today, the analysis, planning and development of software and system are mainly depended on the new object oriented technology not by the old fashioned structure technology. Among those technology, the UML(Unified Modelling Language),which is invented by Booch, Jacobson and Rumbaugh, gives new paradigms in the fields of analysing and modelling the system. UML provides us the advantages which are capable of analyzing and planning the system in the sides of function, statics and dynamics. While these advantages could be more clearly and easily taken in developing the system, it is difficult in expressing the connection clearly between the model written logical characteristic and the model written physical characteristic. Meanwhile, today's object oriented software developing techniques merely offer the object oriented modelling of the objected system, but these are based on the structure system. This study defines the efficient UML process model for the object oriented software developing techniques. The suggested examples of the object oriented analysis and design provide the stability of methodology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practical experiences which will develop the object oriented system with the UML and also give the object oriented modelling of the developing methodology object oriented software. Therefore the developed products and activities are modelling as objects and the developing life-periodic time process is modelling wit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objects. The referred object oriented modelling gives us the advantages of recycling flexibility, extension and facility of maintaining and repai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