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러시아 전시컨벤션 산업의 포지셔닝 전략 : 모스크바 중심으로

        이미하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939

        오늘날 세계 각국은 전시컨벤션 산업을 전략 산업으로 지정하여 급속한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전시컨벤션 산업은 관광산업 부문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관광산업의 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세계 각국은 컨벤션 개최지로서의 홍보활동을 강화하고 막대한 자본을 투자하여 대규모 컨벤션 시설을 확충하는 등 자국으로의 컨벤션 유치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시컨벤션 산업은 경제적 파급효과 뿐 만 아니라 정치, 사회, 문화적 파급효과 등의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전시컨벤션 유치 경쟁이 전 세계적으로 치열해지고 있다. 때문에 전시컨벤션 산업 육성 단계에 있는 러시아 모스크바도 효과적인 산업의 성장을 이끌기 위한 포지셔닝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를 통해 전시컨벤션 개최지 선택과 관련된 속성을 먼저 도출하고 구조화된 설문을 이용해 모스크바를 전시컨벤션 관련 방문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 대상으로 도출된 속성의 중요도 및 모스크바 전시컨벤션 개최지로서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동시에 모스크바 전시컨벤션 산업의 SWOT분석을 실행하여 포지셔닝 전략을 세우기 위한 토대를 만들었다. 위의 두가지 분석기법의 결과를 바탕으로 모스크바 전시컨벤션 산업의 강점을 강화시키고 약점을 보완시킬 수 있는 포지셔닝 전략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시컨벤션 개최지 선택 속성들 중 중요도가 높은 항목은 전시컨벤션 시설, 전시컨벤션 운영능력, 전시컨벤션 서비스, 개최지의 접근성, 통신 시설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모스크바 전시컨벤션 선택속성 실행도(만족도)가 높은 항목은 관광?문화?역사 매력도, 전시컨벤션 개최여력, 공항에서의 접근성, 전시컨벤션 시설, 개최지의 접근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시컨벤션 시설, 통신 시설, 방음/조명/음향 시설, 전시컨벤션 개최 여력, 개최지의 접근성, 공항에서의 접근성이 IPA '유지' 사분면에 위치함으로써 높은 중요도와 이에 따른 높은 만족도를 나타났다. '집중' 사분면에 위치하는 전시컨벤션 임대료, 회의?전시 공간 활용 가능성, 전시컨벤션 운영능력, 전시컨벤션 홍보, 전시컨벤션 서비스, 관세절차, 호텔 서비스 질, 호텔 시설, 호텔 숙박비용, 호텔 예약, 안전성(범죄율)의 속성들은 높은 중요도에 비하여 실행도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SWOT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기반으로 IPA 분석을 통해 나타난 집중 및 유지영역을 차지하는 속성들을 반영하여 효율적인 모스크바 전시컨벤션 산업 전략을 위한 SO 전략, ST 전략, WO 전략, WT 전략을 제시하였다. 대응전략들을 통해 모스크바의 높은 관광?문화?역사 매력을 알리고 안전한 개최지 이미지를 부각시키면서 문화, 역사, 건축 유산을 보유하는 우수 관광센터로 발전하는 모스크바 도시를 전시컨벤션 전문가 대상으로 하는 적극 홍보 활동을 바탕으로 한 전략 수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러시아 모스크바 전시컨벤션 산업 포지셔닝 전략을 통해 모스크바 전시컨벤션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러시아 전시컨벤션 산업의 활성화를 선도할 수 있는 기초 전략 수립을 한 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고 모스크바 전시컨벤션산업에 대한 연구의 시작이 될 수 있으며, 향후 진행될 관련연구들의 밑바탕이 될 수 있는 탐색적인 연구로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Today the industry of exhibition & convention develops all over the world and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economy of region and country as a whole. Therefore many countries carry out efforts for development of it's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positioning strategy of exhibition & convention industry of Moscow. To archive this purpose, both documentary research and empirical study were conducted. A self reported survey measured the importance of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and destination's performance(satisfaction) on each of those attributes with specialists in exhibition & convention industry who have visit to Moscow for exhibition & convention matters. In this study were us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SWOT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 shows that exhibition & convention facilities, communication facilities, soundproof/lighting/sound facilities, exhibition & convention performance record, destination accessibility, accessibility from airport were placed on 'Keep up the good work' area. Exhibition & convention facilities rent charge, facilities practical use, management skills, promote, service, custom clearance procedure, hotel service quality, hotel facilities, hotel room charge, hotel reservation, safety were placed on 'Concentrate here' area. The reaction strategy (SO, ST, WO, WT)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results received from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nd SWOT analysis. On basis of these strateg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ositioning strategy which would be based on active promotion of Moscow as a growing tourist center which possesses cultural, historical and architectural heritage. Moreover, it is also needed to pay more attention to high level of not only touristic, cultural and historical attractiveness but also to safety of the city as exhibition and convention destination.

      •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 모스크바장로회신학대학교의 교회개척

        한재희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926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1) 서론부분에서는 다음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오늘날까지 수행해 온 선교에서 교회가 하나님의 뜻에 합당한 선교를 하고 있는가에 대한 대안으로 교회의 진정한 선교를 위해서 선교의 근원을 하나님 자신이라는 점과 선교는 하나님의 것이라는 점에서 시작했다. 연구방법으로는 삼위일체의 하나님 안에 있는 교회와 하나님의 선교를 찾으려했다. 연구절차로는 러시아교회 특히 모스크바장로교 신학대학교에 의해서 개척된 교회를 중심으로 하나님의 선교 안에서 러시아 교회개척을 살펴보았다. (2) 교회론의 변화에서 교회의 정의를 삼위일체 하나님 안에서 찾고자했다. 즉,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 예수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 성령의 전으로서의 교회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물론 이것은 사도 바울이 본 교회이다. 여기서 교회의 주인은 사람이 아니라는 점과 교회는 제도가 아니라 에클레시아인 하나님의 백성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성령의 전안에서 교회의 속성을 갖는다. 교회의 속성은 하나된 교회로서 하나됨과 거룩한 교회로서 거룩성과 보편적인 교회로서 보편성과 그리고 사도적인 교회의 사도성이다. 하나님의 선교는 사도성 안에서 계속되는 보냄을 갖는다. 교회는 하나님의 은혜로운 부르심 속에서 하나님의 백성이 되고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가 되며 성령의 전이된다. 교회는 하나님의 선교로의 부르심에 응답하는 선교적인 사명을 수행하는 가운데 교회의 존재의 근거를 갖는다. 과거의 선교에 있어서 교회를 위한 선교나 선교열정으로 인위적인 선교는 하나님의 선교와 다른 제도적 교회가 행한 선교의 한 모습이었다. 오늘날 하나님의 백성인 에클레시아 역시 하나님의 선교로 부름을 받고 있으며 에클레시아인 교회는 그 부름에 응답해야 한다. 하나님의 선교에 응답하는 교회만이 참된 교회로 하나님의 백성이다.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교회만이 하나님 나라를 지향하는 종말론적 공동체가 된다. 교회와 하나님의 나라 관계에서는 교회는 곧 하나님의 나라가 아니라 부활의 빛 속에서 '이미' 온 하나님의 나라를 선취한 교회가 세상 속에서 '아직' 완성되지 않은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어 가야 한다. 세상은 하나님이 사랑한 세상으로 교회는 세상 가운데서 그 역사성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교회는 세상에서 하나님의 통치를 이루어 가야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교회와 세상과 선교, 교회와 이성과 하나님의 나라, 교회와 역사와 하나님의 나라, 그리고 교회와 정치와 하나님의 나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3) 러시아 개신교회에서는 먼저 러시아 정교회를 먼저 밝혔다. 왜냐면 러시아는 러시아 정교회의 영향 속에서 이루어진 백성이기 때문이다. 러시아인들에게 러시아 정교회는 종교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으므로 러시아 개신교회 역시 그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러시아 정교회와 러시아에 대해서는 러시아와 정교회, 러시아국가교회, 그리고 동방 정교회의 중심된 선교신학를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러시아 개신교회에 대해서는 먼저 러시아 개신교의 전래와 전파지역 그리고 선교의 대상, 오늘의 개신교의 성장을 이루어낸 지하교회의 고난과 소망 속에서 승리한 러시아 개신교회로 보았다. 이는 초대교회가 로마의 핍박을 딛고 일어난 것처럼 러시아 개신교회가 갖고있는 신앙의 전승 속에서 오늘날까지 러시아교회가 남은 자로서 성장하는데 큰 바탕을 이루었다. (4) 본론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하나님의 선교에서 본 러시아 교회개척인데 먼저 하나님의 선교에 대한 개념을 정리했다. 즉, 교회는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도구이며, 선교의 근원은 하나님 자신에게 있고 그 선교의 내용은 하나님으로부터 보냄 받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삶을 통한 교회의 참여이다. 교회는 세상에서 하나님의 뜻을 실천하는 하나님의 선교공동체이며 성령은 교회가 하나님의 선교를 이루도록 인도하고 이루시는 분이다. 따라서 인위적이거나 제도적 교회에 의한 선교는 하나님의 선교에서 배제된다. 이 같은 하나님의 선교의 관점에서 모스크바 장로교신학대학교에 의한 교회개척을 살펴보았다. 특히 교회개척의 의미를 하나님의 선교와 하나님의 나라 그리고 복음과의 관계에 비추어 찾고자 했다. 여기서 교회개척은 단순한 양적 증가의 의미보다는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복음의 활성화와 러시아 교회의 요청에 의한 상황화이며 한국교회의 지속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모스크바 장로교신학대학교의 교회개척은 '러시아인에 의한 러시아선교'의 과정이며 신학교육의 장으로 신학과 교회의 유기적 상호관계 속에서 열매를 맺어가는 과정이다. 그러므로 모스크바 장로회신학대학교에 의한 교회개척은 러시아 개신교회의 활성화에 참여하는 역동적 기능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러시아 교회개척의 방법과 성장에 있어서 러시아 교회의 성장은 양적인 교회성장보다는 러시아교회에 요구하시는 하나님의 음성에 응답하는 유기적인 신앙공동체가 될 때 하나님의 선교 안에서 바른 교회의 바른 성장이라는 것이다. 러시아교회의 특징으로는 신학적 특징으로 러시아 정교회의 영향 속에서 성례전의 중시와 사랑의 신학 그리고 도덕성과 부활의 신학을 들 수 있다. 예배학적 특징으로 러시아 교회가 지니고 있는 신앙전승 속에는 말씀의 선포뿐만 아니라 찬양과 시 낭송 등 신앙고백적인 적극적인 참여를 들 수 있다. 목회학적 특징은 공동체정신을 바탕으로 친교공동체로서의 교회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러시아 교회의 선교 신학은 과거 핍박의 시기를 지나는 동안 교회들은 기본적으로 에큐메니칼 정신을 공유하고 있다. 개척교회의 분류는 러시아교회의 신앙전승을 토대로 하는 교회들과 모스크바 장로교 신학대학교에 의해서 개척된 교회들로 나눌 수 있다. 개척된 러시아교회들은 비록 한국교회의 협력 속에서 개척되고 있을지라도 러시아 교회가 지니고 있는 신앙의 전승 속에서 러시아적인 장로교회로 태어나야 한다. 러시아 교회는 러시아에서 역사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러시아 교회는 러시아에서 요구되는 개인의 영혼구원과 함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가운데 하나님의 나라를 선취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예배 공동체인 교회는 세상과의 관계에서는 선교 공동체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그 본질이 선교적이며 선교적이어야 한다. 선교적인 교회만이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는 교회가 된다. 하나님의 선교는 한국교회 뿐만 아니라 오늘 러시아교회에서도 요구된다. 러시아 교회개척과 러시아 교회의 성장은 교회의 제도나 교회에 대한 단순한 개종을 넘는다. 이것은 교회가 하나님의 선교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에게 개종하는 교회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삶을 이 세상에서 실천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한국교회는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함으로서 새로운 변화를 찾을 수있다. 그 동안 양적 성장을 거듭한 한국교회에게 교회 갱신의 필요성과 교회갱신 기회를 갖게 한다. 그리고 한국교회의 질적인 성장을 위한 선교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참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가운데 자기를 돌아보고 반성하며 쇄신하는 겸손한 자기 비움을 경험하게 할 것이다. 한국교회는 러시아교회와 파트너쉽(partnership)의 선교를 통해서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가 되고 성령의 전이되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하나된 세계교회에 참여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러시아교회의 개척은 하나님의 선교 안에서 개교회 차원의 단순한 한국교회의 이식과 확장이 아니라 러시아에 있는 예수 그리스도의 몸 안에 있는 지체로서 의미를 가진다. 러시아교회는 러시아의 정교회의 영향 속에서 그 동안 성장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러시아교회는 러시아 정교회에도 충격을 줄 수 있도록 개인구원과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특히 상대적으로 우월한 도덕성을 계속 전승해야하고 다양한 계층에서 요구되는 삶의 질문에 대해서 교회가 하나님의 말씀 안에서 응답 해야한다. 교회는 하나님의 말씀과 함께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삶으로 모두에게 보다 가까이 다가 가야한다. 이를 위해서 러시아 교회는 특히 정교회의 선교신학 가운데 하나인 사랑의 신학으로 모두를 포용하는 선교를 해야한다. 오늘날 선교의 내용과 활동도 변하고 있다. 이것은 세상과의 관계 속에 있는 교회도 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근본적이고 선교의 큰 틀인 하나님의 선교 안에서 러시아교회가 열린 마음으로 러시아라는 세상과 친교를 이루어 갈 때 러시아 교회는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강한 믿음과 소명의식 그리고 리더쉽(leadership)과 책임감을 가진 목회자들과 선교사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한국교회는 러시아교회를 통해서 나눔과 친교공동체로서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고 있음을 기억해야한다. 하나된 교회를 위해서 한국교회는 값비싼 하나님의 은혜를 구할 수 있어야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삶을 나누는 가운데 예수 그리스도의 흔적을 보여주어야 한다. 다양하고 활발한 선교활동가 곧 값비싼 은혜는 아니다. 교회와 세상을 변화시키지 못하는 교회는 값싼 은혜 속에 있다. 오늘 한국교회에게 필요한 것은 한국교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값비싼 은혜를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가운데서 구해야한다. 한국교회는 값비싼 은혜가운데서 예수 그리스도의 흔적을 남기고 자기비움으로 경계를 넘어가는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해야 한다. 우리를 변화시키고 화해시키는 하나님의 선교는 한국교회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편애하시는 가난한 사람들과 약한 자들과 억압받는 자들에 이르기까지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을 나누고 치유하는 교회가 되도록 할 것이다.

      • 中蘇 紛爭에 關한 小考 : 1960年代를 中心으로한

        최영관 全南大學校 大學院 1977 국내석사

        RANK : 2830

        The dispute over ideology between Sino-Soviet during the period of l960∼64 can be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events in the world of today, for it represents the contradiction and weaknesses inherent in the communist ideology: it also shows that monolithic communism cannot abide under the present situations and it necessarily brings about divisions and pluralination. At the 20th Congress of the Soviet Communist Party held in February l956, the problems of peaceful co-existences with the capitalistic nations and of peaceful transition from Capitalism to socialism were proposed for the first time; these, in turn, became the beginning of Sino-soviet disputes. It was at this see ret meeting that Nikita Khrushchev so furiously denounced the criminal actions of J, stalin who was the symbol and idol of one-man totalitarianism. Although the disputes of the two nations were not spelled out, there had been numerous frictions, Khrushchev's visit to the unied States in september, l959. Culminated the antagonism of sino to soviet. It was in the leading articles of Sino issued in commemoration of the 90th birthday of Lenin in April, l960, that the seriousness of hostility was made public. They also defined clearly those Russian “Revisionlatsts”as traitors of orthodox communism. From that time on, the disputes rapidly led to the publication of thousands of articles, openletters, white papers, speeches, and to quariela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tables, At here each started to seek its supporters, dividing communism into two bloc. Moreover, Soviet Russia exerted economic pressure on Sino, moving the conflict from party channels to governmental Channals. The cuban orisim and the conflict between Sino-India in l962. The Nuclear Test Ban Treaty Signed by U.S.A. Great Britian. and Soviet Russia in the summer of l963, made sino so antagonistic to soviet that it intensified its denounciation of soviet Russia. At last, the soviet attempted to unseat Sino at a World Communist Convention, but many Communist Parties showed their opposition by poycotting the convention and putting Khrushchev on the spot. This became one of the reasons for his stepdown. As mentioned above, in view of ideology, virtually there is net a great difference in the dispute between sino-soviet. When this confrontation between the sino-soviet is looked at dispassionalely, One may find that it did not orginate from any deeprooted differences of opinion in the basic philosophy, but from the differences of emphasis on strategy and on the order of priorities. Nevertheless, this dispute bear significmce in that they reflect the degree of blindedress and violence of communiet ideology. This is also impertant because from these points a maltilateral or many pronged communism emerged and diverged from the unilaterl or monolithic one. It conclusion, the disputes in beginning from the conflict of ideology between sino-soviet has become a greet element to diverge the monolithie or dogmatio sytam of communism it also has become a motivation to change a good friendship relationse in Sino-Soviet into an untrustworthy hositility nation. The Chinese has got in touch with America which was an hositility nation of yesterday and persued to keep off with America the power of soviet of flow in south. Therefore, though here is the chinese which has forgot Mao-Tse-tung, so long as there are many political elite in powar effected by Mao-Tse-tung in chinese and there are also great beal of people who has Mao’s phylesophy in their mind and living, I don’t think the relations betbeen Sino-Soviet will be soon relieve as old adys.

      • 국내 소매업체 해외시장 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 : 러시아 모스크바 지역을 중심으로

        엄동기 명지대학교 유통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636

        러시아의 소매시장은 1991년 전까지는 근대적 소매시장의 개념이 형성되지 못한 시기였다. 이는 과거 사회주의 국가인 이유로 정상적인 유통산업이 발전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과거의 비효율적인 유통배분구조는 본격적인 시장의 개방과 함께 급격한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현재 러시아에서 도·소매분야는 GDP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유통분야는 중요한 산업이 되었다. 모스크바市 무역부 자료에 따르면, 수퍼마켓의 매출비중은 12%, 오픈 에어마켓의 비중은 30%, 재래식 소상점의 매출비중은 58%로 재래식 소상점의 비중이 압도적이다. 이는 모스크바 소매환경이 비교적 호전되었지만, 아직도 소매시장의 근대화가 미비하고 유통부문 신규 시장 창출 확보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모스크바의 유통시장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길거리의 Kiosk와 재래시장이 유통시장의 전부였지만, 곧이어 토착쇼핑센터였던 TsUM, Petrovsky Passazh 등의 백화점 리노베이션 시대, IKEA 및 Ramstore 등 외국계 대형 소매업체들이 진출한 이후 식당, 오락, 스포츠 공간을 가진 복합쇼핑몰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IKEA 외에도 프랑스의 Carrefour 및 미국의 Walmart 등도 이미 러시아 진출을 선언한 상태이며, 이들 유통 공룡기업의 러시아 시장 진출은 시간문제로 보인다. 이러한 대형 유통업체의 러시아 진출은 러시아의 유통산업뿐만 아니라 물류산업, 식품포장산업, 운송사업 등 관련업계 산업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이며, 급격한 증가세의 식품산업을 포함한 산업전반에 걸쳐 산업의 자국화, 선진화 추세를 앞당길 것으로 예측된다. 국내 소매업체의 러시아 진입시장 의미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고 있다. 첫 째, 현재 중국시장의 유통산업과 비교했을 때, 아직 외국기업 진입의 초기 단계라 볼 수 있다. 러시아의 유통산업 관련 제도의 미비로 투자위험성은 분명히 존재하지만, 그만큼 사업확장의 가능성은 크다고 볼 수 있다. 둘 째, 러시아 유통회사들은 자본의 부족으로 다점포 전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바, 한국기업에 합작형태의 투자 기회가 열려있다. 셋 째, 러시아 국민은 일반적으로 좋은 품질의 제품이라면 외국 브랜드에 대한 거부감이 적다. 넷 째, 지금까지 러시아의 소매시장 특징을 살펴본 결과, 식품의 상품구색을 강화한 500 ∼ 1,000평 내외의 수퍼마켓 형태(SSM)의 업태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보이며, 향후 하이퍼마켓 업태도 발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섯째, 추후 국내 소매업체가 러시아에 진출할 경우, 중소기업의 판로확대 등을 통해 국가의 종합적인 해외진출 지원 시스템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예컨대 '중소기업 해외진출을 위한 자금'을 마련하는 것도 하나의 지원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정부의 효율적인 대러시아 단일 협상 창구 및 DB 구축을 통해 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해야 한다. 한국 유통업체의 해외진출은 국내 유통시장이 포화상태임에 따라 월마트 및 까르푸와 같이 글로벌 기업으로 재탄생할 시점이라고 본다. 특히 중국, 러시아, 동남아시아 등지의 철저한 시장조사를 단행하여 변화하는 유통의 시대적 흐름에 순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러시아 유통시장 진출과 관련된 사례로서 정부와 관련단체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하는데 유용성이 있으며, 향후 이 분야에 대한 진전된 연구를 통해 시장개방에 대응한 정책방향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retail trade market was almost non-existent in Russia even still in 1991. This was the case in particular with food, as in most of the Russian regions the consumers could buy for example eggs, meat and butter only with coupons. The situation started to improve gradually, with supply meeting demand more efficiently. Currently, the retail and wholesale trade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conomy of the Russian Federation accounting for about 20% of the GDP. There are more than 1 million trading companies with about 5 million people on their payroll in Russia. Retail trade volumes are growing in Russia according to the Committee for Statistics of the Russian Federation (RF), and the share of non-food products seems to be increasing. Small commercial outlets continue to dominate the market. It is estimated that only 6% of Russian customers do shopping in supermarkets and trade centres. Most people buy food and necessities in small shops, open-air markets and kiosks. Outlets with an annual turnover of less than USD 40,000 take up about 60% of the total shop floor space in Russia and the number of small retail businesses amounts to over 400 000. The sector is mostly in private hands, the state owning only about 3% of retail and 8% of catering businesses. The share of supermarkets in Russian sales turnover is only 1%. Both domestic and foreign retail chains are slowly developing, spreading throughout the big cities, such as Moscow, Saint Petersburg, Ekaterinburg, and Nizhni Novgorod. Moscow, with 7% of Russia's total population, accounts for about 30% of the national retail trade turnover. This is explained by the higher level of incomes in Moscow and by the fact that Moscow is the shopping centre for Central Russia and other regions. The share of supermarkets as a distribution channel is higher in Moscow than anywhere else in Russia. The largest Russian food retailers: PEREKRESTOK, KOPEYKA, DIKSI, MEGAMART founded the Russian Retail Alliance in April 2001. The joint annual turnover of the alliance is $500 million from their 72 stores located in Moscow and St. Petersburg. The strongest company in the Russian Retail Alliance is PEREKRESTOK - a retail chain and wholesaler. The company has 29 shops: 24 supermarkets and 5 discounters. The leading Moscow retail chains include: THE SEVENTH CONTINENT(15 supermarkets), M-VIDEO (11 outlets, electronics), SPORTMASTER (11 outlets, sporting goods), STARIK HOTTABYCH (8 outlets, construction materials) and ARBAT PRESTIZH (3 outlets, cosmetics). These companies decided to combine their resources and experience to implement joint marketing and investment projects. The total annual turnover of the 5 companies is expected to reach $400 million in 2001. International retail chains have shown strong interest in the Russian retail market but not many of them operate in the market. The market is currently at the initial development stage and many foreign companies find it too uncertain to enter yet. For example, clothing retailers such as BRITISH HOUSE and NEXT tried to enter the market in the mid-1990s but left after the financial crisis of 1998. The British clothing and food retailer MARKS & SPENCER has been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into Russia since the early 90s but has declined the idea of opening a store in Moscow so far. However, the company still continues to explore the market However, a number of international food retailers currently operate in Russia, and several companies are investigating the market, looking for reliable partners and negotiating to open their stores. Examples of active foreign investors are the French company TATI that already has two stores in Moscow and plans to open another 5 during the next two years and Finnish company STOCKMANN that has worked in Russia for 12 years. Stockmann has a supermarket of 2000 sq. m and a fashion store in Moscow and two stores in St. Petersburg. Another Scandinavian company, the Swedish furniture and household products company IKEA opened its first superstore in Moscow region in 2000. The company has already invested 200 million USD in the Russian market. The company plans to expand its operations and also start mass production of furniture in Russia. So far only 5% of production is manufactured in IKEA's furniture factories in Leningrad region, Nizhny Novgorod and Altayysky Kray. Another French company AUCHAN (221 hypermarkets and 523 supermarkets in 12 countries) plans to open two hypermarkets in Moscow region in 2002 while the Dutch retailer SPAR (18,000 supermarkets in 32 countries) plans to open 30 shops in Moscow during the next 3 years. Spar plans to build non-expensive supermarkets under 1500 sq. m in partnership with Russian company RUSMED, a large domestic food distributor. In addition to opening supermarkets by itself, SPAR also plans to offer shops for franchising. SPAR is also planning to expand its operations outside Moscow, to Nizhni Novgorod in the first place. The world's third largest trade company Metro AG from Germany (2000 outlets in 21 countries) plans to open its first Cash&Carry centre in Moscow in 2002. Metro AG intends to open 5-6 Cash&Carry stores in Moscow and Moscow region by 2005 and invest 180 million USD. Another German company AVA AG (364 hypermarkets, supermarkets, optic shops and construction goods outlets in Germany) has already started the construction of its first supermarket in Moscow region. The store will have food, household appliances and construction goods departments. Also two Turkish companies RAMENKA and VETA are actively operating in the Russian retail market. RAMENKA has already opened 2 shopping centres and 7 supermarkets in Moscow investing 120 million USD in the Russian retail business. It plans to increase dramatically the number of shops and intends to build 2 more shopping centres and some 50 supermarkets. The company does not plan to expand outside Moscow in the near future. VETA has so far been operating in other CIS countries and planned to open its first supermarket in Moscow in 2001. korean companies should take advantage of the fast growing retail market, which is still in the initial development stage before the mass invasion of international retailers and inevitable saturation of the market. Moscow and Moscow region are the areas with the strongest potential and should be entered first. For korean companies, the best prospects appear to be: Opportunities for korean businesses lay in the following areas: - Opening of supermarkets and hypermarkets and establishing Retail chains - Supplies of food products and other goods for supermarkets - Food processing and packaging equipment - Trade equipment Retail equipment and fixtures (refrigerators, displays, cash machines etc) - Construction and real-estate development - Promoting SMES'(Small & Medium Industry) Products in the Russian market.

      • 소비에트 예술 맥락에서 본 "콜렉티브 액션(Collective Actions)"의 예술전략

        김주현 한국예술종합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619

        본 논문은 소비에트 시기 미술그룹 콜렉티브 액션(Collective Actions: 러시아어 약칭 KD)의 창작을 다룬다. KD의 활동 분석을 통해 소비에트 시기의 미술을 이해하고, 나아가 러시아 미술이 어떠한 경로로 아방가르드에서 사회주의를 거쳐 동시대 미술로 발전할 수 있었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구체적인 시기는 1991년 소연방이 해체되기 전 즉, 소비에트에서 탈 소비에트로 가는 이행기인 1980년대 예술이다. 이 시기는 브레즈네프(Leonid Brezhnev)에서부터 시작한 데탕트(détente) 정책이 고르바초프(Mikhail Gorbachev)의 글라스노스트(Glasnost)로 이어지면서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탄압 받았던 비주류 미술인“비공식 미술(Unofficial art)”이 점차 지상으로 모습을 드러내는 시기이자, 소비에트 미술이 서구 세계와 접촉하며 서구식 포스트모더니즘의 형태로 발전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대표적인 소비에트 비공식 미술인 소츠아트(Sots art)와 모스크바 개념주의(Moscow Conceptualism)는 각각 서구의 팝아트(Pop art)와 개념미술(Conceptual art)의 영향을 받았지만, 사회주의 체제 미술로서 독자적인 발전 양상을 보였다. 소츠아트는 주로 코마르(Vitaly Komar)와 멜라미드(Alexander Melamid) 같은 서구 망명 작가들에 의해 발전되었던 반면, 모스크바 개념주의는 일리야 카바코프(Ilya Kabakov) 서클을 중심으로 자국 내 일부 비공식 예술가들을 통해 전개되었다. 본고에서 구체적으로 다루는 KD는 모스크바 개념주의를 대표하는 예술가 집단이다. 그들은 카바코프를 위시로 하는 1세대 개념주의자들과 러시아 동시대 예술을 이끄는 차세대 개념주의자들을 매개하며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는 러시아 최장수 퍼포먼스 그룹이다. KD는 사회주의 국가에서 집단참여의 변질된 형식으로 자리한 퍼포먼스를 예술의 한 장르로 구축한다. 도시 밖으로의 여행이라는 테마를 갖는 그들의 퍼포먼스는 지금껏 유사한 시공간적 배경과 시나리오로 진행되며 변주되었다. 소비에트 사회의 감시체제에서 벗어나기 위한 한 방편으로 시작되었던 여행 퍼포먼스는 말레비치의 “부재(absence)” 카바코프의 “공허(void)”의 계보를 이어나가며“빈 행동(Empty action)”의 미학으로 거듭난다. 그들의 “빈 행동” 퍼포먼스는 집단과 전체주의 속에 함몰된 개인의 감각과 지각을 일깨우기 위한 방편으로서 계속 진화되어 나간다. 러시아 현대 미술사에서 KD의 작업이 갖는 의미는 매우 크다. 소비에트 체제가 역사 속에서 사라진 현재에도 그들이 구축한 텍스트와 아카이브는 체계화된 미학과 담론들은 탄생시켰고, 이는 러시아 현대미술의 제도 및 예술평론의 작업으로 이어졌다. 또한 KD는 사회주의의 경직된 체제 속에서 독자적인 예술 활동을 통해 러시아 아방가르드의 정신과 형식적 실험을 소환하고 재해석했다는 데에도 큰 의미가 있다. 그들의 창작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라는 유일한 문화에 맞서 대안을 제시하는 과정이었으며, 본고에서 구체적으로 다루는 다양한 퍼포먼스와 형식적인 실험들은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한다. 본 논문은 4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러시아 역사와 흐름을 같이하며 모스크바 개념주의의 큰 축을 이루고 있는 KD의 작품을 통해 궁극적으로 러시아 현대미술의 흐름을 이해하고자 한다. 국내에는 다소 생소한 KD에 대한 연구가 미술 변방국으로 인식되었던 러시아의 현대 미술에 대한 향후 관심과 이해를 드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creation of the Soviet period art group Collective Actions (Russian abbreviation KD). Through the analysis of KD's activities, we will try to understand the art of the Soviet era and further analyze the process of how Russian art developed into contemporary art. The specific period covered in this thesis is art in the 1980s, a transition period from the Soviet Union to the post-Soviet, before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in 1991. This was the period when the détente policy started by Leonid Brezhnev was followed by Mikhail Gorbachev's glasnost. During this period, “Unofficial art,” a non-mainstream art that was oppressed under the socialist system, gradually appeared on the surface, and Soviet art developed in the form of Western-style postmodernism in contact with the West. Sots art and Moscow Conceptualism, representative Soviet unofficial art, were influenced by Western Pop art and Conceptual art, respectively, but show independent development as socialist system art. While Sotsu Art was developed mainly by Western exile artists such as Vitaly Komar and Alexander Melamid, Moscow Conceptualism was developed through some unofficial artists in the country, centering on the Ilya Kabakov Circle. KD, which is specifically covered in this paper, is a group of artists representing Moscow Conceptualism. They are Russia's longest running performance group, linking the first-generation conceptualists led by Kabakov with the next-generation conceptualists leading contemporary art. KD builds performance as a genre of art, which has been established as a degenerated form of collective participation in socialist countries. Their performance, which has the theme of traveling out of the city, has been carried out with similar spatial backgrounds and scenarios and has been varied. The travel performance, which began as a way to escape from the surveillance system of the Soviet society, continues the genealogy of Malevich's 'absence' and Kabakov's 'void' and is reborn as an aesthetic of 'empty action'. Their empty action performances continue to evolve as a way to awaken individual senses and perceptions that have been sunk in collective and totalitarianism. KD's work has a great meaning in the history of Russian contemporary art. Even in the present day when the Soviet system disappeared in history, the texts and archives they built gave birth to systematized aesthetics and aesthetic discourses, which led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Russian contemporary art and the work of art criticism. It is also significant that KD summoned and reinterpreted the spirit and formal experimentation of the Russian avant-garde through independent artistic activities in the rigid system of socialism. Their creation was a process of presenting an alternative against the unique culture of socialist realism, and their various performances and formal experiments support this fact. This thesis deals in depth with the works of KD, a Moscow conceptualist group that has been in sync with Russian history for over 40 years and is a major axis of Russian contemporary art. In this way, by analyzing KD's activities and evaluating their art historical value,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tha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and consider Russian contemporary art, which is somewhat unfamiliar in Korea.

      • 남북한 지역 주민의 정치사회화 과정에 관한 연구 : 1945~48년 문맹퇴치운동을 중심으로

        이오갑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91

        본 연구는 정치사회화론에 입각하여 해방 공간에서 진행된 남과 북의 문맹퇴치운동의 제 활동과 전개과정에서 나타난 정치사회화 기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의 시간적 범위를 1945년 8·15 해방부터 1948년 남북 분단정권 수립 전후로 한정하고, 공간적 범위는 해방 3년간의 남과 북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시기는 남과 북이 아직 공식적인 분단으로 나아가기 전이었으나, 1946년 초부터 남북한은 체제 경쟁을 시작하였고, 이 과정에서 문맹퇴치운동의 주체와 내용이 바뀌어 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해방 직후 남과 북에서 진행된 문맹퇴치운동(문해교육)은 식민지시기 문맹퇴치운동의 연장선에서 야학 등을 통해 자발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모스크바 삼상회의 결정안을 둘러싼 미·소, 좌·우 대립의 격화 속에서 운동의 목적과 주체가 변화되었다.미군정은 남한 주민들의 문맹퇴치를 민주주의 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필수요건으로 생각하였다. 문맹퇴치의 공식적 목적은 글을 깨치는 것이었지만, 교육과정을 통해서 당시의 주도적 문화와 이데올로기를 성인들에게 전파하는 정치사회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미군정기에 전개된 국문강습회, 공민학교, 민간단체의 계몽운동 등은 문맹퇴치라는 하나의 목적을 추구하는 듯하지만, 사상적·정치적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었다. 이 운동은 주민들에게 새로운 사상인 민주주의를 교화시키기 위한 사상운동이었고, 주민들은 민주국가의 공민으로서 적극적으로 선거에 참여하고 정당하게 권리를 행사토록 하는 정치사회화 과정이었다.북한에서의 문맹퇴치운동 또한 그 자체가 국가기구의 조직 및 대중의 사회참여를 확고히 하는 과정이기도 하였다. 즉, 문맹퇴치운동이라는 전 사회적 과제를 매개로 하여, 중앙정부에서 지방 최소행정단위의 집행기구까지 단일한 명령체제의 국가기구가 등장하였다. 또한 사회운동에 인민학교 학생부터 대학생, 지식인, 농민, 노동자까지 광범위하게 참여함으로써 인민 스스로가 자주적 독립국가 건설에 동참한다는 의식을 확산시키게 되었다. 소년단과 여맹, 농맹 등 사회단체는 구체적인 과업을 통해 조직을 강화시켜 나갈 수 있었다. 이러한 문맹퇴치운동은 교육과 정치를 결합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정치집단에 의해 선도되는 위로부터 개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인민대중을 양성하고자 하였던 것이다.결국 남과 북의 문맹퇴치운동은 새로운 국가건설과정의 일환으로 국가권력의 주도 하에 진행되었으며, 그 내용 또한 단순히 글자를 깨우치는 것에서 나아가 체제의 정당성을 주입하는 것으로 바뀌어 갔다. 이 과정에서 남북의 주민들은 1948년의 형식적 분단 이전에 이미 체제내화의 과정을 겪게 되었으며, 남북 분단의 내용적 측면이 만들어져 갔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function of political socialization represented in the process of the activities and development of campaigns to abolish illiteracy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that had proceeded in independent space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political socialization. It confined its time limit to the period from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to around the establishment of the 1948 south-north divided regimes. And spatial range was limited to the south and the north for three years. This period indicates the time when the south and the north had not been formally separated but their systemic competition began early in 1946. It seems that in this process the subjects and contents of crusades against illiteracy had changed.Crusades against illiteracy spontaneously carried out both in the south and in the north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began via night study and so forth along the extended line of crusades against illiteracy in the colonial period. But their purposes and subjects varied in the raging whirlpool of confront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and at the same tim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especially resolutions in the Moscow Agreement.The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recognized the abolishment of illiteracy for the people of south Korea as a prerequisite for the construction of a democratic state. The formal goal of crusades to abolish illiteracy awakened to writing on one side but on the other to the production of good effect in such political socialization as could propagate ideology to adult individuals through the courses of education. Korean language classes, civil education schools, non-government organizations' enlightenment campaigns, and so on in the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period might be seen merely as the pursuit of illiteracy abolishment but presented a strong ideological and political nature. This campaign was thought to be an ideological movement to enlighten democracy, a new ideological movement for the people and simultaneously a political socialization process in which the people were led to rightfully exercise their rights by positively taking part in election as a citizen of a democratic state.Crusades against illiteracy in north Korea also partly served as a process solidifying the participation of national organization and the people into social activities. That is to say, the national organization of a single order structure emerged from central government to the lowest local administrative units through the mediation of social matters of great concern, partly by the influence of what was calledcrusades against illiteracy. Furthermore, a wide range of participation of people's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intellectuals, farmers, and laborers into social movements awakened the people to a sense of direct participation into the construction of an independent state. The crusades against illiteracy intended to train the people to actively take part in reforms by being guided by political groups.Crusades both in the south and in the north proceeded under the leadership of state power as part of the construction of a new state, and their contents also underwent changes from simply teaching how to read to the instillation of the justification of their systems. It seems that in this process the people both in the south and in the north already came to undergo systemic internalization and that the core of the territorial division into south and north were internally formed, respectively on both si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