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투수블록의 투수면적비에 따른 투수 특성 및 비점 저감에 대한 연구

        최윤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6

        불투수 면적의 증가와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로 우수유출량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건기 중에 축적된 지표면의 비점오염물질은 지표유출에 의해 씻겨 내려 도심유역의 수생태계와 수질오염 등의 환경오염 피해를 가중시키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저영향개발기법을 활용하고 있다. 그 중, 투수블록의 연구 및 시공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투수계수와 폐색현상, Total Suspended Solid(TSS) 제거효율은 투수블록의 장기적인 공용 성능을 보장하는 중요한 설계인자이지만, 현재 국내외에서 표준화된 설계 기준과 시험 기법이 없는 실정이다. 또한, 투수블록을 시공함에 있어 설치 면적비는 경제성과 투수 성능에 있어 필요한 설계인자이나, 선행 연구가 충분하지 못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탈부착과 분리가 용이한 투수블록에 소성황토를 여재로 채워 투수블록 설치 면적비에 따른 투수 성능과 TSS 제거효율의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실험실 규모 실험 결과, 폐색 이후의 투수계수 감소율은 투수면적비가 25%일 때 11.0%로 다른 조건에 비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투수면적비가 50%에서 75%로 증가할 때 투수지속성이 증가하는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TSS 제거효율은 투수면적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실증 규모 실험 결과, 투수면적비가 증가할수록 투수지속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실제 시공 시에 전면적의 약 5.3%를 투수 면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투수성능 및 경제성에 있어 효율적이라 판단하였다. 또한, TSS 제거 효율은 모든 경우에 80% 이상의 높은 제거 효율을 보였고, 투수면적비가 증가할수록 많은 양의 고형물을 처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Due to an increased impervious areas and torrential rain caused by climate change, the stormwater runoff is increasing. In addition, non-point sources accumulated on the surface are washed away by surface runoff, increas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water ecosystem and water pollution in the urban basin. Low impact development(LID) has been paid attention to control this worldwide. Research and construction of the permeable block is actively underway.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clogging and Total Suspended Solid(TSS) removal efficiency of permeable block are important design factors to ensure the long-term performance, however, there are currently no standardized design criteria and testing techniques worldwide.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area ratio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ermeable block is a necessary design factor for economic and permeable performance, but there is not enough previous research. In this study, we analyzed permeability performance and TSS removal efficiency tendency according to permeability area ratio by permeable block filled with calcinated yellow soils as a filter media. As a result of Lab-scale test, reduction rate of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after clogged was 11.0% when the permeability area ratio was 25%, and decreased sharply compared to other conditions. In addition, the permeability persistence tended to increase when the permeability area ratio increased from 50% to 75%. TSS removal efficiency decreased with increasing permeability ratio. As a result of Pilot-scale test, we confirmed that the permeability persistence was increased as the permeability area ratio increased, and it is judged that setting 5.3% of the total construction area as permeable area is effective for perme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In addition, the TSS removal efficiency showed a high removal efficiency of more than 80% in all cases, determining that the higher the permeability area ratio, the higher the volume of solids can be treated.

      • 한옥의 차양요소 특징을 반영한 창호의 음영면적비에 관한 연구

        조우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3

        최근 현대 건축은 에너지 절약적이며 친환경적인 건축물로써 거듭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으며, 그 중 태양에너지에 따른 실내부하의 조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실내로 유입되는 직달일사는 실내부하의 증감에 영향을 미치므로 외부차양의 일사조절 성능에 대한 분석은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중요하다. 한편, 친환경 주거형태인 한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현대생활에 적합한 한옥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옥 개발의 목표는 전통한옥의 외형을 계승하면서 향상된 주거성능을 확보하는 것인데, 성능향상을 위해서는 기존 한옥의 성능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동안 한옥의 차양요소로는 처마만을 생각하였으나, 창살 역시 일사를 차단한다. 하지만 그 기능에 대한 인식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특성을 반영한 성능 평가 방법 역시 부재한 실정이다. 또 한옥은 수평차양인 처마와 혼합차양 형태인 창살로 인해 한 종류의 차양만 존재할 때와는 다른 패턴의 음영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영면적비를 이용하여 한옥의 차양요소의 차양성능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그 차양요소에 따른 차양 성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옥에서 차양의 역할을 수행하는 요소에 대해 파악하였고 일반 차양과는 다른 형태와 구성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특징을 반영하여 한옥 차양요소에 의한 각각의 음영면적비의 계산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복잡한 처마선을 가진 한옥 처마에 대해 처마의 모델링 수준을 제안하였으며 그 결과 처마곡을 고려하되 추녀-선자연-평연구간을 직선으로 단순화하여 모델링해도 결과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막새기와에 의한 음영은 하나의 막새기와의 면적비를 이용하여 반영하였다. 다음으로는 띠살창에서 같은 격자형태가 반복되는 것을 이용하여 창살에 의한 음영면적비를 계산방법을 제안하였다. (2) 처마와 창살을 동시에 고려한 창호의 음영면적비 계산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때 처마와 창살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각 요소에 의한 음영면적비를 계산할 때와는 다른 접근 필요하며, 창살에 의한 모든 음영영역을 계산하는 것은 그 과정을 복잡하게 하므로 음영영역이 아닌 일사유입 영역을 계산하고 이를 처마에 의한 음영영역과 종합하여 창호의 음영면적비를 계산 방법은 제안하였다. (3) 한옥의 차양요소에 따른 음영면적비를 평가 및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창살 또는 처마에 의한 각각의 음영면적비와 창살과 처마를 동시에 고려한 음영면적비를 비교하였다. 창살은 혼합차양의 형태로 창살에 의한 음영면적비는 태양의 방위와 고도의 영향을 동시에 받지만, 수평차양의 형태인 처마는 상대적으로 태양 고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처마와 창살을 동시에 고려한 경우 하나의 요소만 고려한 경우에 비해 냉방기의 음영면적비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옥의 차양성능 분석 시 모든 차양요소를 반영해야함을 확인하였다. (4) 한옥의 차양성능 개선을 위한 방향 제시를 위해 창살깊이, 창살간격, 처마각을 일정한 범위 내에서 변화시킨 후 그 결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처마각 변화에 의한 음영면적비의 변화율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았으며 창살깊이가 얕고, 창살간격이 넓을수록 난방기의 음영면적비는 감소하였다. 반면에 냉방기의 음영면적비는 거의 변하지 않았다. 따라서 창살의 깊이와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냉방기에 대한 차양성능은 유지하고, 난방기의 일사유입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복합상업시설 내 보이드 공간의 계획적 특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 내부가로의 공간구조 분석과 보이드 공간의 면적비 변화를 중심으로

        문성식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724

        본 연구는 점차 대형화, 복합화되는 소비공간 내부에서 각 층 사이를 입체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계획적 요소인 ‘보이드 공간’의 조사를 통해 그 특성의 변화추이에 대해 분석한다. 그 결과 보이드 공간이 소비공간 내에서 차지하는 전체적인 면적비가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점차 복합상업시설의 전 층을 관통하는 중심이 되는 하나의 큰 보이드 공간을 두어 집중시키는 초기의 계획방법에서 중심이 되는 보이드 공간을 두되, 규모를 줄이고 수평적 이동이 가능한 공용공간 내에 배치하는 소형의 보이드 공간의 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계획 방법이 점차 변화함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기존 연구들이 복합상업시설의 각 개 보이드 공간을 개별적으로 분석하여 그 특성을 가지고 디자인제안을 하던 방식과는 다르게 이론적 고찰을 통해 소비공간의 유형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공간적 확장방식과 보이드의 의미변화를 이해한다. 또한 보이드 공간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성에 관해 정리하여 건축 계획의 단계에서 보이드 공간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tends to show the changing architectural properties of existing void spaces within commercial facilities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Void spaces commonly regard to architectural factor to create multi-dimensional composition among separated floors in commercial facilities. Results show a tendency that the proportion of the void spaces has gradually increased in mixed-use commercial complexes. Further, the gradual changes in architectural planning are observed. In the earlier research sample, void space tends to create one single large and centered area penetrating every floors. It has now been changed to create more than one center space, and the size of each void space has gradually decreased. Moreover, small-sized void spaces are placed in communal spaces, where the possibility of movement increases.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suggest designing proposals with characteristic based on analyzing each void space in mixed-use commercial complexes, this study addresses the changes in commercial facility types by theoretical consideration. Additionally, it covers the changes in the spatial expansion method and the very meaning of the void space.

      • 조선시대 복식의 배색구조

        이미랑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707

        조선시대 복식의 배색구조 A Study on Color Layout of Clothes from the Joseon Dynasty 조형디자인학과 이 미 랑 지 도 교 수 한 은 혜 본 연구는 조선시대 복식의 배색구조에 있어서 면적비에 따른 배색구조를 분석하여 전통복식의 색채구성이 어떻게 구조화되어 배색의 조형성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어떠한 미의식이 작동되어 배색조화를 이루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접근 방법은 수리(數理, mathematical)적이고 과학적인 분석도구를 도입하여 배색구조의 실체를 파악한다. 분석도구는 메이틀랜드 그레이브스(Maitland Grave)의 모형을 기준으로 배색구조의 조형요소를 분석하고 뉴 모멘트 암(new Moment Arm)을 도입하여 면적비를 적용하여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전통복식에서 색채의 면적비와 색가의 자극값과의 상관관계를 수리적인 분석을 통하여, 배색균형이 조화롭게 잘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배색구조의 특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고찰하기 위한 방법 면에서 먼저 정량화된 복식의 색채를 객관화하기 위해 색채를 측색하고, 오방색과 오간색, 잡색을 포함하는 전통색을 5계열로 분류하여 표본시료색을 추출하여 전통색채계를 체계적으로 표본화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은 기존의 전통색 연구에서 색명에 의존해서 색을 선정하여 그 정확성에 대하여 미흡한 점이 보이는데 반해,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고 정확성에 접근하려는 절차로 전통색을 새로운 체계로 계열화하여 분류한 시도에 의의를 가진다. 이어서 표본시료색의 색채값을 n-MA(new moment arm)값으로 환산하여 표본시료색의 자극값을 제시하여 배색구조의 수리정량분석(數理定量分析, mathematical quantitative analysis)을 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배색구조에 있어서 자극값과 면적비의 비율이 역으로 적용되어야 배색균형을 이룬다는 새로운 분석적 관점을 가지고 기준이 되는 표본복식을 선정하여 조선시대 복식의 배색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선시대 복식의 배색구조는 작은변형이 50%를 차지하고 다음으로 중간변형과 큰변형 순으로 표면적으로는 비교적 균형의식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되었다. 이를 근거로 하여 배색균형의 정도에 큰 영향을 가지는 면적안배구조를 정안배와 역안배로 분류하여 여러 양상으로 고찰하였다. 이에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색에 있어서 균형의식이 작동되어 작은변형으로 나타나는 복식의 구조적 특징은 정안배의 구조로 73.7%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양상은 대체적으로 색상간격구조는 M구조, 변형면적은 D, W의 중명도의 면적이 넓게 안배되었다. 둘째, 배색의 균형의식이 부재되어 중간, 큰변형으로 나타나는 복식의 구조적 특징은 역안배의 구조로 71.4%를 차지하고 있으며 색상간격구조는 m-M구조, 변형면적은 A, D의 고‧중명도의 면적이 넓게 안배되어 구조화 되었다. 셋째, 복식의 용도별 분류에서 의례복이 정안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채도가 높은 원색조의 색채와 함께 장식적인 색면의 면적비를 크게 하여 화려한 배색으로 구성되어 자극값에 따른 면적안배에 균형의식이 작동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일상복에서는 역안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밝고 맑은 담색조의 색채가 선호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검증결과에 따른 논의에서는 균형의식에서 벗어나게 된 중요한 요인으로는 우리민족의 조형의식 안에 자리 잡고 있는 자연주의와 음양오행사상의 영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조선시대 복식의 배색구조의 특징을 시각적으로 중시되는 면적비를 자극값에 따른 배색균형에 중점을 두고 수리정량분석((數理定量分析, Mathematical Quantitative Analysis)을 통해 그동안 정성해석(定性解釋, Qualitative Interpretation)되어온 배색의 구조를 규명할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우리민족의 색채에 대한 미의식 안에는 색가와 면적비에 따른 직관적인 균형의식이 자리 잡고 있으면서도, 우리민족의 색채정신이 문화적인 인자가 내재되어 배색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요어 : 조선시대, 복식, 배색구조, 전통색채계, 자극값, 면적비, 배색균형 정안배, 역안배

      • 點熔接 面積比와 位置變化가 두 四角平板의 挫屈應力에 미치는 影響

        이현철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94

        사각 평판을 이용한 산업구조물을 사용하는 산업은 항공기, 자동차, 철도 차량, 선박 등이 있고, 취급성과 성형성이 매우 우수하여 구조물 설계시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평판에 관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여러 공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각도로 이루어져 왔다. 실제로 설계 시에 파괴양식 평가 및 재료거동의 이해가 이루어진 후 형상과 재질이 선택되고, 그 다음에 응력 및 변형해식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설계가 수행된다. 평판구조물에서 가장 큰 문제는 좌굴(buckling)에 의한 안정성(stability)의 문제로 좌굴강도(buckling strength)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박판의 좌굴강도는 항복강도 보다 작기 때문에 보강재를 사용하여 좌굴강도를 증가시켜야 한다. 이 때 보강재와 평판을 전면적으로 용접할 수 없으므로 점용접(spot welding)을 사용하게 되지만 점용접 접합부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실재로 점용접 접합부는 경험적인 판단에 의해 설계가 이루어져 비효율적이고, 좌굴붕괴사고의 위험성도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판의 좌굴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설계 파라메타 중에 세 가지 즉, 점용접 면적비, 점용접 거리비 및 점용접 상대위치를 설계 파라메타로 선택하여 압축 및 진단하중이 작용할 때 평판의 임계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1. 점용접 면적비가 변화함에 따른 임계하중(critical load)과 응력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응력비와 면적비는 선형적인 관계가 아님을 알 수 있었고, 최소자승법(least-squares method)을 사용해 표준편차가 매우 미소한 4차 다항식의 근사식으로 표현하였으므로 실제로 필요한 좌굴강도에 대한 점용접 면적비 선택을 용이하게 하였다. 2. 점대칭 형태로 용접될 때 거리비 변화에 따른 임계응력의 변화를 살펴보면 압축의 경우 case Ⅰ, case Ⅱ는 e=0.5에, case Ⅲ은 e=0.7에 점용접될 때 최대의 보강효과를 가지고, 전단의 경우 case Ⅰ, case Ⅱ는 e=0.3에 case Ⅲ은 e=0.5에 점용접될 때 최대의 보강효과를 가진다. 또한, 거리비 변화에 따른 최소임계응력에 대한 최대임계응력의 증가율은 전체적으로 형상비가 작아질수록 커졌다. 3. 점용접이 점대칭이 아닌 경우에 점용접 상대위치에 대한 치수최적설계(size optimization)를 추행한 결과 압축의 경우 r≤1, model Ⅰ, model Ⅱ에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 상대위치는 분할영역 중앙점 부근에 위치시키고, 분할 경계선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배열할 때 보강효과가 가장 크며, model Ⅲ에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 상대위치는 중앙 부근에 위치시키고, 그 형태는 v자로 위치시키는 것이 가장 보강효과가 켰다. r 1인 경우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으며, 전단의 경우도 압축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압축보다 전단의 경우에 최적점용접위치가 각 영역의 중앙부에 더욱 가깝게 위치하고 있었다. 또한, 분할영역의 중앙점 보다 최적의 점용접점에서 압축임계하중 증가율은 최고 17.7% 증가하였고, 전단임계하중의 증가율은 최고 37% 증가했다. Industrial structures, which are made of plates, are aircraft, auto mobiles. trains and ships, etc., and the plates are so easy to treat and form that they may be essential to design Therefore, the study of plates have been performed by lots of engineers from all directions. Practically, in order to design, fracture modes were analyzed and behavior of materials were understood, and then forms and materials were chosen After these, design was performed by analysing stress and strain The stability of a plate structure is very crucial problem which results buckling Therefore, studies on buckling strength have been performed a lot Because the buckling strength of thin plates is lower than the yield strength of the matenal. reinforcement material must he used to increase the buckling strength I n this case. because to weld reinforcement plates and rectangular plates was impossible, spot welding was used, however, the study on spot welded joints have not been performed so far The spot welded joints are practically designed by experimental decisions. so it is inefficient and has the risks of buckling demolition In this study, three parameters such as area ratio. distance ratio and relative location of spot welding which can have influence on the buckling strength should be chosen, then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effect of three parameters on the critical stress under compressive and shearing load are as followed 1 The relations of stress ratio and area ratio were not linear when investigating the change of critical load and stress ratio according to the change of spot welded area ratio Practically, in order to choose the needed area ratio of spot welding about buckling strength easily, forth order polynomial expression which has standard deviations close to zero is expressed by using the least-squares method 2. In welding of point symmetry, in changing of critical stres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distance under compression, CaseⅠ, CaseⅡ have e=0.5, and CaseⅢ has e=O.7, in these distance ratios, maximum reinforcement effectives were occurred. Also, the increase ratio of the maximum critical stress according to the minimum critical stress was gradually increased while aspect ratio was decreased. 3. In welding of point asymmetry, the maximized reinforcement effect relative location of spot welding under compression were that on the condition of r≤l, in modelⅠ, modelⅡ, relative locations of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were around the center of each available region, relative locations of model Ⅱ were symmetrically according to boundary line of separated regions, in model Ⅲ, relative locations of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were around the center and the shape of the locations was arrayed like Ⅴ, that on the condition of r≥l,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e above. And the case of shearing was similar to compression, too Conclusions are that on the condition of shearing, the most efficient relative locations of spot welding were closer to the center of each available region than compression, that on the most efficient relative locations of spot welding compared with the center of separated regions, compressive critical load was increased to 17.7%, and shearing critical load was increased to 37%

      • 스트라이프 문양의 3색 배색과 그 면적비 변화가 넥타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성남숙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75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image dimensions and various clues to affect necktie wearer with different combinations and area ratios of three color stripe patterns, which can provide some fundamental data for choosing and developing necktie design. To accomplish this goal, the author set up total 312 stimuli consisting of tone-in-tone, tone-on-tone, and grey-color combinations with 13 different area ratios of 1:1:1 and each 6 combination of 1:2:3 and 1:3:6. Total 3,744 questionnaires were finally collected from men and women students in their twenties in Seoul, Daegu, Busan, and Gyeongnam area between April and September, 2006.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AS program with factor analysis, ANOVA, dispersion analysis, t-test, LSD, multiple classification analyses (MC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Effective clues on the image of necktie wearer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coloration, depending on different combination of three color stripe patterns. In the tone-in-tone combinations, a pair of twenty six adjectives grouped into five image dimensions of activeness, attractiveness, ability, visibility, and tenderness. In the tone-on-tone combinations, a pair of twenty six adjectives combined into five image dimensions of attractiveness, activeness, visibility, ability, and tenderness. Finally five images of activeness, ability, attractiveness, visibility, and tenderness are combined from same adjectives. Consequently, three types of coloration show same dimensions of five images, but preferences of dimensions are somewhat different one another. (2) In tone-in-tone combinations, images of three color stripe neckties show common clues of combination and tones of colors on all five image dimensions, regardless of three different types of area ratios. In detail, distinct clues indicate that both attractiveness and visibility closely relate to color tone, activeness to color combinations, and ability to 1:3:6 area ratios. In addition, activity in 1:2:3 and tenderness in 1:3:6 area ratios are eminent as an independent clue in terms of area ratio, while visibility in 1:2:3 and ability in 1:3:6 area ratios are eminent in terms of the distinction of sex, respectively. Interaction among image dimensions clearly shows that area ratio is more effective than color tone in total area ratios and vivid tone is more effective than light tone in the images of attractiveness, ability, and tenderness. It also shows that 3:1:6 area ratio is more effective in image of attractiveness and 2:1:3, 2:3:1, 3:6:1, and 6:3:1 area ratios is more effective in that of activeness. In image of activeness, men prefer 2:1:3 and 2:3:1 area ratios, while women prefer 3:2:1 area raio, resulting in sexually different tastes. In 1:3:6 area ratio, RYB coloration is most effective regardless color tone. (3) In tone-on-tone combinations, images of three color stripe neckties show common clues of combination colors on all five image dimensions, regardless of three different types of area ratios. Both images of attractiveness and visibility are eminent in total area ratios and those of visibility and tenderness in 1:2:3 area ratio are eminent as independent clues in terms of the distinct of sex, respectively. Consequently, the area ratio of v:lt:dk tone are most effective in both men and women. Area ratio analysis indicates that yellow tone 1:2:3 area ratio is most effective in image dimensions of activeness and tenderness. In 1:3:6 area ratios, men preferentially perceived those images in order of 1:3:6>3:1:6>3:6:1 area ratio, but women prefer 1:6:3 and 3:1:6 area ratio of them. (4) In grey-color combinations, images of three color stripe neckties show that the most important dimensions are activeness and ability in the total area ratio and color combination in the 1:2:3 area ratio. Three coloration of WYB positively reacts, but 2:1:3 and 6:1:3 area ratios in WRY and 1:2:3 and 1:6:3 area ratios in WYB are most effective. On the other hand, 1:3:2 and 6:1:3 area ratios in GRP or 3:1:2, 6:1:3, and 6:3:1 area ratios in GRB show most ineffective perception. Conseqeuntly, the wider grey becomes, the more negatively men and women perceive. From the consideration of experimental study discussed above,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tripe, as one of most common patterns in neckties consists of color combination and area ratio. These two are the basic factors affecting image of necktie wearer. The types of coloration show differences in image dimensions, depending on various combination of three colors with different area ratio. The image formation of three color combination is decided not by separate information of color and area ratio, but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m. Therefore, this study indicates that images of necktie wearer with three color stripe patterns depend on how to combine three color with their area ratios. Recently, the necktie used to be as the expression of man himself in man's suit.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tried to focus on the stripe necktie with three color combination and area ratio which have not been studied yet. The analytical data obtained by this study will provide some valuable information to produce the image of men's wearer with necktie as well as to design necktie pattern corresponding to consumer's des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