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화예디자인의 사용자 맞춤 모듈화 방식 연구 : 디지털 환경에서의 매스 커스터마이즈 디자인을 중심으로

        김화영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66

        산업화 시대의 대량생산 시스템은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여, 낮은 가격에 표준화된 제품을 고객에게 제공하였다. 그러나 현대 소비사회는 정보통신기술과 컴퓨터를 이용한 유연 및 통합 생산기술의 발전으로 품질 및 기술이 크게 차별되지 않게 되어 과거의 대량생산방식에 의한 제품으로는 고객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물량부족으로 생산자가 만든 제품을 무조건 구입해야만 했던 과거의 공급자-소비자의 관계와는 달리 각종 제품,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욕구와 구매는 양적 확대와 질적 충실을 넘어 다양화를 구하는 쪽으로 급격히 변모하여 사용자 지향적으로 요구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그리하여 기업들은 대량생산체제를 바탕으로 유연하고 신속한 대응으로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Mass Customization:MC)이라는 생산방식을 도입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업 환경에 적응하고 극복하기 위해 화예디자인에서의 MC 방식을 제시해보았다. 현재 미국을 시작으로 컴퓨터, 의류, 화장품 등의 분야에서 MC가 실행되고 있다. 화예디자인 또한 제품 특성상 소비자의 개성, 감성이 확실하게 반영되며 소비자의 니즈가 다양하게 존재하는 상품이기 때문에 MC개념이 잘 부합되는 사업이다. 그러나 화예디자인분야에서는 선행연구도 없는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화예디자인의 적절한 MC 개발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 우선 기존 타 영역에서의 MC 사례를 조사하고 유형을 분석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이론을 정리하여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이론의 출현 배경과 중요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3장에서는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이론 중 Ulrich와 Tung의 모듈화 이론을 바탕으로 현재 디지털 영역에서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사례를 조사하고 유형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앞에서 연구된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사례의 유형을 화예디자인에의 적용하기 위해 화예디자인의 특성을 살펴보았고, 화예디자인의 디지털 환경에서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사용자 맞춤 모듈화 방식 가이드라인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가이드라인을 근거로 한 화예디자인 홈페이지 연구를 추가하였다. 5장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요약, 시사점 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In contrast to mass production technology which supplied standardized mass production for the economies of scale, MC is the production way to satisfy the individual needs and efficiencies in mass produ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omputer, internet and e-commerce many firms apply the MC technology to win the competitive advantages. This study suggests how profits could be made by internet technologies and the module process in the floral art and design. Because the study of MC in the floral art and design has not been thoroughly examined until now, I summarized the concept and the types of MC, the successful factors of the other MC cases in fashion, cosmetics, chocolate company and so on. In the end, I suggest a guideline for floral firms to create value by making prototype of the homepage design with modular process. Key words: mass customization, e-business, floral art and design, modular process, homepage prototype

      • 신사복의 Mass customization을 위한 MTM CAD 프로그램 활용 현황에 관한 연구

        임호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35

        최종 소비자의 개별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제품과 서비스를 다양하게 제공하려는 서비스가 증가함에 따라 각종 산업제품과 의류제품에 대한 매스커스터 마이제이션(Mass Customization)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의류산업에서의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은 소비자가 원하는 디자인, 색상, 체형특성, 신체치수에 맞추어 신속한 의류생산을 하는 고객 맞춤형 서비스의 개념이다.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은 산업 정보화 기술 발달에 근거하여 발전의 가능성이 현실화되고 있다.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의복생산용 소프트웨어로 MTM(Made-to-Measure) CAD 프로그램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신사복 산업에 보급된 MTM CAD 프로그램의 특성과 보급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국내 신사복 산업의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발전 현황을 진단하고, 미래의 발전 방향을 가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활발하게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신사복 브랜드 5개를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맞춤형 신사복 브랜드에 보급된 MTM CAD 시스템은 거버, 인베스트로니카, 렉트라 시스템이었다. 보급율은 인베스트로니카, 거버, 렉트라 순 이었다. 국내 맞춤형 신사복 브랜드에 인베스트로니카의 MTM CAD 프로그램이 가장 많이 보급되어져 있는 이유는 인베스트로니카의 프로그램이 신사복 업체의 업무프로세스에 적합하게 개발되어있기 때문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거버, 인베스트로니카, 렉트라 시스템 모두 주문 시스템 구축, 고객 주문수주, 맞춤용 주문 생산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였다. 3개 시스템 모두 고객이 주문한 정보가 생산공장에 전송되면 MTM CAD에 저장되어있는 패턴 DB중에 고객의 사이즈나 체형에 가장 가까운 패턴을 선택하여 패턴을 수정 제작하고 마커 제작을 하는 시스템이었다. 셋째, 기본적인 치수의 기성복의 치수를 부분적으로 보정하거나, 생산에서 제외된 극단치수의 기성복을 주문에 따라 추가 생산해주는 사이즈오더 개념의 개별주문생산은 대부분의 조사 대상 브랜드에서 실시하고 있었다. 5개 업체 중 2개 업체에서 가장 활발하게 기성복의 치수 시스템이 제공하지 않는 특이 체형의 고객이나 특수소재나 스타일의 제품을 맞추고자 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개별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내 맞춤형 신사복 업체들이 운영하는 주문 시스템의 패턴 DB구축은 기성복 사이즈 규격에 따라 기본 패턴 DB를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기성복 치수 시스템에 근거한 사이즈오더 방식을 따르고 있음을 반증하였다. 주문생산 비율이 비교적 높은 기업은 다양한 고객의 체형과 신체 치수를 고려한 광범위한 패턴 DB구축이 이루어져 있다. 다섯째, 국내 신사복 업체의 매장에서 사용하는 주문서에 기재되는 정보는 외국의 어패럴 CAD 공급업체가 제공하는 MTM CAD 프로그램에 기재되는 정보의 종류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국내에 보급된 MTM CAD 프로그램이 주로 생산현장에서의 패턴 제작과 마커 제작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매장에서의 주문정보입력 프로그램은 각 업체의 업무 프로세스 특성을 반영하여 전산망 시스템에 맞추어 제작되었기 때문이었다. 여섯째, MTM CAD 프로그램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활용도와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 기업내 MTM CAD 프로그램에 대한 활용도가 높을수록 만족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의 주문 신사복의 치수, 고객관리에 관한 정보 데이터는 모든 업체가 회사 전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각의 고객이 주문한 제품의 패턴을 저장하여 반복구매나 유사 체형의 고객용으로 재활용하는 업체는 5개 업체 중 2개 업체에 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신사복 브랜드 중 활발하게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브랜드라고 하더라도 개인 소비자의 스타일, 소재, 색상 등 디자인에 대한 맞춤 서비스의 기능은 미약함을 보여준다. 치수에 대한 맞춤도 브랜드가 기존에 운영하는 모든 치수의 범위 내에서 재고누적의 문제로 생산이 보류된 작은 치수나 큰 치수의 제품을 주문에 의해 생산하거나 기본적인 치수의 기성복에서 간단한 치수 보정이 이루어지는 사이즈오더의 개념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 소비자의 디자인 및 치수에 대한 일대일 맞춤 개념의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는 업무 프로세스의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s the demand for services to maximize customer's satisfaction by selling various products and services which are changed to meet end-user's individual needs is on the increase, the degree of importance of mass customization grows higher. Mass customization of the clothing industry is the concept of service on customer's demand, that is, to product garments quickly to meet the needs of a particular individual in designs, color, physical features, or body size, and as a software for production of clothing for it, MTM(Made-to-Measure) CAD program is being use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aimed at grasping the actual conditions of mass customization of domestic men's suit industry and the use of MTM CAD program. Further, this made an effort to examine measures for development of mass customization of our men's suit industry by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MTM CAD program in apparel CAD system and real situations of the diffusion of domestic companies involved in men's sui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MTM CAD systems spread over custom-made brands of domestic men's suit market, Investronica topped the list of the rate of diffusion, followed by Gerber and Lectra. Evaluating from it, the reason that the program of Investronica came into wide use was possibly because it was developed in the best to the working process of those related companies. Second, every system of Gerber, Investronica, and Lectra provided the function that can be utilized in building custom-design order system, receiving customers' orders, and producing on customer's demand. Thus, these three systems underwent the following process: first of all, information ordered by a customer was forwarded to a factory of production, and then the closest pattern fitted to the customer's size or physical feature was chosen by the system among pattern DB stored in MTM CAD. Lastly, the pattern was corrected and produced, and a marker was made by the system. Third, most of the companies produced products on individual demand under the idea of size order-the way of adjusting size by gauge wear, and they also gave services to easy order-the way of customizing for the customers who had unique physical features and who intended to order expensive products. Fourth,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of pattern DB of made-to-order system in our country, most companies dealing with custom-made garments constructed the basic pattern DB to fit the standard size of ready-made suits. Moreover, companies which were relatively higher in the rate of made-to-order were systematically having and using pattern DB considering various customers' physical features and body size. Fifth, it was shown that a kind of information listed on an order sheet used in shops was not necessarily corresponding to a kind on the MTM CAD program. This phenomenon was because MTM CAD program was usually used in production of patterns and markers in actual production fields, and the program to input order information in shops was made to fit the network system of each company. Sixth, from evaluating the degree of use and contentment of users of MTM CAD program, the higher the degree of use of MTM CAD program, the higher the degree of contentment of it. Also, it was indicated that all the companies save the information data of customers in their own computer systems; however, only some companies stored the pattern of products which each customer ordered, and recycled it for repeated purchase or customers of similar physical types. Therefore, result of this research previews that improvement of business process need for offer of mass customization service of one to one order concept for individual consumer's design and size.

      • 중국내 모바일 폰 업체의 생산 및 시장전략

        송문양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99

        중국의 모바일 폰 시장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중국제품의 저가, 범용제품 주력 및 외국기업 고가품 주력 등 생산 및 시장전략의 차별화이다. 2000년 대 이전에는 중국 모바일 폰 시장에서 노키아, 모토롤라 등 외국기업이 절대적인 독점지위를 유지하였으나 2000년 이후 중국산 저가 모바일 폰의 시장점유율이 외국기업을 초과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2000년 대 중반 이후 고가품제품에의 대응실패로 인하여 중국산 제품의 시장점유율이 하락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둘째, 과잉생산 및 시장경쟁의 격화로 인한 이윤율의 감소이다. 중국업체의 범용제품 등장에 따른 과잉생산과 외국업체의 중국시장 진출에 따라 저가 및 고가 모든 시장에서 과잉생산과 시장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대부분 중국업체의 경우 이윤율 감소현상이 나타나며 상당수 기업이 도태되고 있는 추세이다. 셋째, 3G시대의 도래에 따라 이동통신사와의 협력관계를 통한 주문생산방식의 등장이다. 통신사들이 제조, 판매, 서비스, 제품개발 등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함에 따라 이동통신사에 의한 모바일 폰 주문제작이 활성화 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모바일 폰 제조기업에게는 새로운 기회와 도전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중국 모바일 시장 대응전략으로서 모듈화 생산, 직접판매 방식 등을 기반으로 하는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전략을 제안한다.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의 전략은 다음과 같이 측면에서 그 유용성이 관찰된다. 첫째, 시장전략의 측면에서 제조기업과 소비자간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시장가치의 극대화, 정확한 미래 시장수요의 예측가능성, 셋째, 재고의 최소화 등 경영효율성의 제고, 물류비용의 하락, 자금유통의 원활화 등의 측면이다. 둘째, 생산측면에서는 기업별 핵심 부가가치 공정으로의 집중, 기업간 협력 가능성의 증대, 모바일 폰 생산원가의 감소 및 제품의 다양화, 제조와 판매의 유기적 결합 등의 측면에서 모듈화 생산방식의 유용성이 기대될 수 있다.

      • 중년 남성의 키에 따른 드레스셔츠 치수체계

        안동주 배재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proper sizing system of dress shirt according to the stature group for middle-aged men aged 40-54 years, that could be used in the manufacturing of ready-made, mass customization and custom-made dress shirts, For this purpose, the actual wearing of dress shirts and the shirts brands status were surveyed, and the sizing systems of dress shirt brands were analyzed. Men’s body shape according to stature was also analyzed. For the purpose, first, we surveyed the actual wearing ready-made and online custom dress shirt and analyzed the fit. Also, we analyzed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tual wearing of dress shirts according to the stature of middle-aged men. Second, we surveyed the conpany status and sizing system for 10 ready-made dress shirt brands and 17 online custom dress shirt brands. Third, using the 7th Size Korea measurement data, 40-54 year old men were divided into regular and tall groups according to KS 0050, and the bod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tature were analyzed. Fourth,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 on the actual wearing of dress shirts and the analysis of the sizing system of the dress shirt brands, the dress shirt sizing system was proposed according to the stature, reflecting the body shape analysis results by stature group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of the online custom dress shir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ready-made dress shirts. The dissatisfied parts of the ready-made dress shirts were neck circumference and sleeve length, and dissatisfied parts of the online custom dress shirts were neck circumference and shirt length.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ature groups were found in the degree of interest in fashion, the average purchase price of the ready-made dress shirt, shirt size satisfaction, repair experience, dissatisfaction with purchase, the selection criteria at the time of purchase, the limitation of the shirt size selection due to the stature, the limitation of the shirt size selection due to the body shape and the experience of purchasing online custom dress shirts. Second, custom dress shirt brands offered a variety of design options and size selection options to meet the consumer's personality and taste. In the ready-made shirt brands, all 10 brands used the same size designation system, and the difference of product size among 10 brands in the same shirt size wa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custom shirts. In the case of online custom shirt brands, different sizing systems were used for each brands, and the size disignation, the number of size and the interval between size were different.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product size in the online custom shirt brands was very large in the same shirt size. Third, all items with a high correlation with stature of 0.5 or more showed a low correlation with chest circumference of less than 0.5. If the body shape characteristics of stature groups are utilized,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the fit in length as compared with the pattern design based on the circumference dimensions. All the item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tature were significantly larger in the T group than in the R group, indicating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ight, length, width, thickness and circumference according to stature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proportion between stature groups, the R group had a smaller height ratio than the T group, the width ratio and thickness ratio did not differ between stature groups. And R group had a larger ratio of vertical length of frontal body and a larger ratio of horizontal length of shoulder area than T group. Fourth, the dress shirt sizing system based on the stature of middle-aged men had a 5cm interval of chest circumference and further specified size differentiation by adding a “half size”. The size denomination should be written in the order of chest circumference-neck circumference-hwajang(cervicale to wrist length). Only the chest circumference colud be marked if necessary.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izing system of each stature group and distribution by each siz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dress shirts size according to stature groups. The average body sizes in the same range of chest circumference differed by stature group.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basic data for the production of middle-aged men 's dress shirts which have a high degree of match in size and body shape suitability by distinguishing the sizing system according to the stature. 본 연구의 목적은 40∼54세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드레스셔츠 착용실태와 업체 현황, 치수체계 등을 조사하고, 키에 따른 체형분석을 통해 기성복 생산 및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맞춤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키 집단별 치수체계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성복 및 온라인 맞춤 드레스셔츠 착용실태를 조사하고 맞음새를 분석하였다. 또한 중년 남성의 키에 따라 드레스셔츠 착용 실태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둘째, 10개 기성복 드레스셔츠 브랜드와 17개 온라인 맞춤 드레스셔츠 브랜드에 대해 업체 현황과 치수체계를 조사하였다. 셋째, 제7차 Size Korea 측정 자료를 사용하여 40∼54세 남성을 KS 0050의 키 구분에 따라 보통 키(Regular)와 큰 키(Tall) 집단으로 나누고, 키 집단별 체형 특징을 분석하였다. 넷째, 드레스셔츠 착용실태 조사 결과 및 업체의 치수체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키 집단별 체형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키에 따른 드레스셔츠 치수체계를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드레스셔츠 착용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온라인 맞춤셔츠의 만족도가 기성복에 비해 높았다. 기성복 드레스셔츠에서 치수 불만족 부위는 목둘레와 소매길이였으며, 온라인 맞춤 드레스셔츠에서 불만족한 부위는 목둘레와 셔츠 길이로 나타났다. 키 집단에 따른 유의차가 나타난 문항은 패션에 대한 관심도와, 1벌 평균 구매가격, 치수 만족도, 수선 경험, 구매 시 불만족 사항, 구매 시 선택 기준과 키로 인한 치수 선택 제한, 체형으로 인한 치수 선택 제한, 온라인 맞춤 구매 경험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드레스셔츠 업체 현황과 치수 체계를 조사한 결과, 온라인 맞춤 드레스셔츠 업체는 소비자의 개성과 취향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 옵션과 치수 선택 옵션을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기성복 업체에서는 10개 업체 모두 동일한 치수 호칭 체계를 사용하고 있고, 동일 호칭에서 업체 간 제품 치수의 차가 맞춤 셔츠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았다. 온라인 맞춤 업체에서는 업체별로 서로 다른 치수체계를 사용하고 있으며, 치수 호칭 표기 방식 및 치수 호칭의 수, 치수 호칭 간 간격이 각각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일 호칭에서 업체 간 제품 치수의 차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셋째, 키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항목은 높이와 세로 길이 항목이었고, 가슴둘레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항목은 주로 둘레와 너비, 두께, 그리고 등 상부의 가로 길이 항목으로 나타났다. 그중 키와 0.5 이상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항목 모두 가슴둘레와 0.5 미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므로, 셔츠 패턴 설계 시 키 집단에 따른 체형 특징을 반영함으로써 세로 길이와 비율에서 맞음새가 향상될 것으로 판단된다. 키 집단에 따라 유의차가 나타난 항목은 모두 T 집단이 R 집단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키 집단에 따라 높이나 길이뿐 아니라 너비, 두께, 둘레 항목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R 집단은 T 집단에 비해 키에 대한 높이 비가 작고, 너비와 두께 비는 차이가 없으며, 신체 앞면 세로 길이의 비율, 어깨 부위 가로 길이의 비율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치수체계는 가슴둘레 치수 간격 5cm를 기준으로 하면서 ‘중간 치수’를 추가하여 치수 간격을 세분화하였고, 호칭 표기 시 가슴둘레-목둘레-화장(목뒤손목안쪽점길이)의 순으로 표기하고 필요에 따라 가슴둘레만을 표기할 수 있게 하였다. 다섯째, 키 집단별 치수체계 및 호칭별 분포율을 살펴본 결과, 키 집단에 따라 드레스셔츠의 호칭 분포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같은 가슴둘레 구간에서도 키 집단에 따라 신체 치수의 평균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한된 키에 따른 치수체계를 활용하여 치수 및 체형 적합성이 높은 중년 남성의 드레스셔츠를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The) effects of omni-personalization attributes of digital experience on brand affect and brand performance

        형원준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8 국내박사

        RANK : 248600

        디지털경험의 옴니퍼스널라이제이션 요소가 브랜드 감성과 브랜드 성과에 미치는 영향 새로운 디지털 디바이스의 보급과 모바일 정보 서비스의 증대 및 확산에 통해 소비자들은 보다 다양하고 복잡한 속성을 지닌 디지털 경험을 하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은 이를 통해 소비자와 브랜드 간에 긍정적 감성 관계를 형성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소비자들은 오프라인 매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온라인 쇼핑몰, 검색엔진, 포털, 홈페이지, 쇼핑앱, 소셜네크워크 등의 다양한 채널을 통해 디지털 경험을 거치면서 긍정적 또는 부정적 브랜드 감성을 쌓아가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전체적인 경험을 이해하는 옴니채널의 관점에서 다차원적으로 브랜드 감성을 이해해야 한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기술의 급진적 발달로 브랜드 성과를 위해 동원할 수 있는 디지털 경험의 수단들은 훨씬 복잡하고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기업들은 소비자의 디지털 경험을 이해하거나 소비자 경험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가치 정보를 디자인함에 있어서, 특정 채널이나, 특정 공급자의 제한된 관찰 범위의 한계에서 벗어나, 소비자의 입장에서 경험할 수 있는 모든 채널, 즉 옴니채널에서 총체적이고 다차원적으로 디자인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소비자 입장에서 인지할 수 있는 거의 모든 디지털경험 속성들이 브랜드 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차원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125개 국내 브랜드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9,833개의 설문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디지털 경험 품질을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브랜드 성과 향상에 보다 효과적인 품질유형을 분류하는 것이다. 디지털 경험에 있어서 특정 속성에 국한하지 않고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진 22개의 모든 속성들을 품질유형으로 구성하였다. 22개의 속성들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매력품질, 필수적인 당연품질 등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각 속성별로 기대할 수 있는 만족 수준과 현재의 만족 위치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브랜드를 소유한 기업은 소비자의 디지털 경험의 형태를 총체적으로 파악해야 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차별화할 수 있는 속성에 집중하여 품질 개선을 시도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규명된 22개의 속성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소비자가 지각하는 디지털경험의 속성들을 통계적으로 유사성이 높은 두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구분된 6개의 속성은 맞춤형 개인화 관련 요인들로 나타났고 옴니퍼스널라이제이션 속성군이라 명명하였고, 나머지 16개의 일반적인 속성들은 일반 속성군이라 명명하였다. 다양한 산업에서 다양한 채널과 디바이스들을 포괄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소비자의 입장에서 디지털 경험을 분석한 결과 개인화 관련 속성들이 브랜드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통계적 특성이 유사한 것으로 구분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옴니퍼스널라이제이션 그룹과 그 나머지로 구분된 디지털 경험의 속성들이 브랜드 감성과 구매의사, 타인추천의사 등 브랜드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옴니 퍼스널라이제이션 속성들이 나머지 일반 속성들보다 브랜드 감성, 구매의사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브랜드 감성은 현재의 구매 영향력, 미래의 구매의도 및 추천의도와 같은 브랜드 성과에 매우 강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소비자들이 보다 지능화되고 스마트해진 디지털 디바이스와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개인의 독특한 개성과 상황에 맞는 맞춤형 개인화를 경험하게 할수록 보다 효과적으로 브랜드 감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구매의사와 브랜드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검증한 것을 의미한다. 앞으로 다양한 산업부문에서 디지털화가 지속될수록 맞춤형 개인화와 매스커스터마이징 생산 방식은 브랜드 감성의 차별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며,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 및 연구에 대한 결과는 브랜드를 소유한 기업들이 각 브랜드의 디지털 경험 디자인이나 디지털 마케팅 전략 수립하는데 개인화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보다 효과적인 디지털 경험 요소에 집중투자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rough the supply of new digital devices and the increase and proliferation of mobile information service, consumers are enjoying digital experiences that have more various and complex attributes, and many companies are making their best efforts to create positive emotional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sumers and the brands. Especially, the consumers are creating positive or negative brand affects through digital experiences via various channels such as off-line stores, search engines, portals, hompages, shopping apps, and social networ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brand affect from omni-channel perspectives that explain the consumers' holistic experience in multi-dimensional ways. The radical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Internet of things, and cloud technology these days allows more complex and diverse means of digital experience that are brought for brand performance. Therefore, in understanding the consumers' digital experiences and designing new value information based on consumer experiences, the companies need to break the limits of restricted observation boundaries of particular channels or particular providers and design in a holistic and multi-dimensional manner in omni-channels that can be experienced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almost all digital experience attributes that can be perceived in consumers’ perspective in a multi-dimensional way. For the analysis, 9,833 responses are collected on 125 domestic brand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ainly composed of the two parts. The first purpose is to understand digital experience attributes from consumers’ point of view and to categorize the quality attributes with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 This study is not limited to exploring the specific attributes of digital experience but rather explores the effect of 22 attributes dealt in previous researches on brand effect, with a wholistic and exploratory approach. Not only Using Kano model, 22 attributes are categorized into attractive quality, must-be quality that are necessary. but also, the difference between expected satisfaction level and current satisfaction position for each attribute, is examined. The study suggests that the companies or brands ne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digital experience as a whole and to try differentiated quality improvements focusing on these selected attributes. The second purpose is to exploratively categorize the experience quality differences perceived by the consumers on the identified 22 attributes through factor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22 attributes are categorized into omni-personalization attributes and the other general attributes. Also, how the categorized digital experience attributes influence on brand affect and performance is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omni-personalization attributes have stronger effect on brand affect, purchase intention and performance than the other general attributes. Also, brand affect is shown to have very strong positive influence on brand performance such as current purchase influence, future 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is research verifies that the more consumers experience omni-personalization tailored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s using highly intelligent and well-equipped digital devices and software, the more effective on brand affect, which then leads to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and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It is expected that omni-personalization and mass customization methods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differentiation of brand affect and, from this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establishing digital experience designs or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 미용실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실행과 고객의 요구수준

        권태신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32447

        Today's beauty salon is industrialized, standardized, and becomes more elegant while the competition among companies is getting stronger all around the industries. With the fierce competition among beauty salons, the customer-oriented service is getting popular. Since the beauty industry has characteristics which immediately show customer's satisfaction, a customer-oriented service system that could maximize each customer's satisfaction is needed in beauty industr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mass customization which could satisfy each customer's needs through various goods and better service. The study which identifies the factors of mass customization influencing beauty salon's customers and hair industries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Beauty Salon's Implementation for Mass Customization and the Level of Customer Needs. It is also to be helpful in devising the strategies for efficient mass customization which are suitable for beauty salon's characteristics and maximize each customer's satisfaction. The research questions addres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s factors in mass customization implementation strategies and then categorizes beauty sal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Second, the study identifies factors in mass customization level of needs which beauty salon's customers want and then categorizes beauty salon's customer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ird, the study compares and analyzes beauty salon's mass customization implementation strategies and beauty salon's customer's mass customization level of nee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4 factors and 44 questions in beauty salon's mass customization implementation were derived. The factors are material resources service, human resources service, services related with beauty salon's policy, and services related with technique. The 44 questions were categorized into 6 factors such as staff's technique, communication service, electronic products, monetary support, man-to-man service, and dissatisfaction removal service. Based on these, beauty salons in the samples were categorized into 2 groups (a high implementation group and a low implementation group). A high implementation group had a higher monthly sales and more regular customers and staff. The beauty salons were franchises and the size was spacious in the high group. They were located at fashion street, department store, outlet mall and offered fashionable hair styles. However, a low implementation group had a lower monthly sales and less regular customers and staff. The size of beauty salon was small in the low group. They were located in residential areas and offered basic hair styles. The beauty salon's directors in a high implementation group showed less than 5 years or more than 16 years experience. Secon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4 factors and 44 questions in beauty salon's customer's mass customization level of needs were derived. The factors are material resources service, human resources service, services related with beauty salon's policy, and services related with technique. The 44 questions were categorized into 6 factors such as hair technique, beauty salon's staff, individual communication service, sanitary condition and convenience service, and visible service. Based on these, beauty salon's customers in the samples were categorized into 3 groups (a high-level of needs group, a middle-level of needs group, and a low-level of needs group). A high-level of needs group consisted of female ranging in age from 10s to 20s, college students, and highly educated people. Monthly income was more than 4,000,000 Won. Even though frequency of use of beauty salon was low, the group used the beauty salons which are located at fashion street. The group preferred their own style which is unrelated with fashion. The group got hair information through TV or on the street. A middle-level of needs group consisted of female ranging in age from 30s and 40s married working women and women with high school diploma. Monthly income was between more than 2,000,000 Won and less than 4,000,000 Won. The group used hair salons once or twice monthly which are located at residential areas. The group preferred basic and simple style and got hair information through the monthly magazine. A low-level of needs group consisted of female ranging in age from 10s and 20s, middle aged women, married working women, and college students. Monthly income was less than 2,000,000 Won. The group used beauty salons once a month which are located at department store and mart. The group preferred fashionable style and got hair information through the hair magazine. Third,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beauty salon's mass customization implementation strategies and beauty salon's customer's mass customization level of needs showed that beauty salon's customer's level of needs was higher than beauty salon's implementation in all 4 factors. The results of comparing 6 mass customization showed that each factors between beauty salons and customers were in discord.

      • 김치산업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에 관한 硏究

        吳潤喜 경기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2446

        포드(Ford)의 성공이후 여러 산업에서 오랜 기간동안 지배해 왔던 대량생산은 효율성, 안정성, 통제력을 상실하면서 무너지기 시작했다. 그 후 기업의 경쟁 환경이 급변하고 고객의 요구사항이 다양화되어 감에 따라 고객의 요구에 충실히 반영할 수 있는 제품을 빠른 시간 내에 제공해야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양한 제품을 저렴한 비용으로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은 여러 산업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하였고,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도입함으로 인해 성공한 기업들이 많이 등장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대표적 음식산업인 김치산업이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개념을 적용하고 있는지의 상황을 분석하고,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특성을 도입하여 김치산업을 더욱 활성화 할 수 있는 여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김치산업 현황을 살펴보았고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특징 및 핵심요소가 국내의 선도적 김치산업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가를 파악하였다.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핵심요소로는 유연성, 고객의 민감성, 민첩성, 정보성, 경쟁환경, 개별성, 학습성, 프로세스 수용성, 조직의 준비성, 다양성, 품질향상, 자동화를 들 수 있으며, 국내의 선도적 김치산업에 도입된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핵심요소로는 다양성, 고객의 민감성, 정보성, 경쟁환경, 품질향상성, 고객의 건강성, 개별성, 자동화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김치산업에서 도입된 핵심요소가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핵심요소에 다수 포함되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러한 많은 핵심요소들을 사례연구 기업인 K기업의 핵심요소와 비교분석한 결과 국내의 선도적 김치산업 기업에 도입된 핵심요소를 대부분 포함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의 김치산업은 대량생산 체제에서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체제로 빠르게 전환 해가고 있다고 분석된다. Mass production that had dominated most of the industrial fields for a long time started being collapsed as gradually losing its efficiency, safety and controls. However, as enterprises are getting more competitive and demands of customers are getting various, companies are getting pressure to provide good fulfilled products for customers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refore, the concept of mass-customization was created. mass customization means what provides various products to customers with cheap price. This new concept began to be used by many of industrial parts these days and more companies are going to succeed with this strategy. In this study, the Kimchi food industry, a food industry representing one of the traditional korean foods, is analyzed whether a mass customization can be adopted and if so, how the Kimchi food industry applies the essence of mass customization. In addition, the current state of the Kimchi food industry is studied to find out a potential power to activate that industry.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es regarding mass production the general qualities of mass customization can be identified as flexibility, sensibility of customers, agility, intelligence, individuality, learning quality, receptiveness of process, preparation for system, variety, improvement of product quality and automatiza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K company, a model company of the Kimchi food industry in this study, has qualities like variety, sensibility of customers, intelligence, competitive surrounding, improvement of product quality, individuality and so on. A comparison between general qualities of mass customization and qualities of K company shows that most qualities of the Kimchi food industry accord with general qualities of mass customization, which means that the Kimchi industry in korea introduces mass customization already.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Korean Kimchi food industry is rapidly turning to apply mass customization getting out of the way of mass production recently.

      •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디자인 과정 참여시 소비자가 경험하는 플로우의 역할

        장지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32446

        본 연구는 소비자가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의류제품의 디자인 과정에 참여하였을 때 디자인 과정의 참여수준과 개인의 참여능력에 따라 경험할 수 있는 플로우에 대한 차이와 이때 경험한 플로우가 소비자의 만족도와 최종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문제는 첫째, 소비자가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디자인 과정에 참여하는 수준이 플로우, 만족도, 최종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 둘째,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디자인 과정에서 소비자의 참여능력과 만족도의 상관관계에 있어 플로우가 가지는 매개효과를 밝힌다. 셋째,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디자인 과정에서 소비자의 참여능력과 플로우의 상관관계에 대한 소비자 참여수준의 조절효과를 밝힌다. 거주지가 서울인 20~30대의 성인 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질문지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총 600명을 할당하였다. 티셔츠, 블라우스, 쟈켓의 3참여수준으로 조작화하였으며, 참여수준 집단 별로 플로우에 대한 경험 정도에 차이가 났는데, 즐거움 요인에서는 티셔츠, 블라우스, 쟈켓 집단, 집중력 요인에서 티셔츠와 쟈켓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제품만족도에서 블라우스와 쟈켓을 제작한 집단, 전체만족도에서도 블라우스와 쟈켓 집단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소비자 참여능력’→ ‘플로우’, ‘플로우’ → ‘만족도’, ‘만족도’ → ‘최종구매의도’의 경로들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플로우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소비자가 디자인 제작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형성된 제품만족도와 과정만족도는 제품과 과정에 대한 전체만족도와 최종 구매의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졌고, 과정만족도가 최종 구매의도에 더 큰 영향력을 지녔다. 또한 소비자가 참여하는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수준에 따라 소비자의 참여능력이 플로우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을 통해 구매행동의 변화를 살펴 봄으로써, 소비자가 직접 디자인 과정에 참여하여 의류제품을 구매하게 될 경우에 플로우를 경험하고, 플로우를 통해서 만족도와 최종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비자는 제공하는 의류제품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이용할 때 소비자의 만족도와 최종 구매의도에 플로우가 매개 역할을 한다. 기업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가치는 목표 소비자의 기호와 개성을 더욱 잘 이해하고, 소비자가 의류제품을 구매할 때 만족감을 느끼게끔 대처할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 소비욕구, 사회적 기능 태도, 패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유형선호와 구매의도

        남운효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428

        Consumers have changed from passive buyers to leaders in consumer decisions that value subjective tastes and personalities, which have become the center of marketing. To satisfy this consumer need, fashion brands and companies had to introduce different products and services than before. Reflecting this phenomenon, the fashion industry, which is more customer-oriented than other industries, chose mass customization, a way to push for cheap production, the home of mass production, while meeting the individual requirements and various expectations of customers, and respond flexibly and quickly to each customer's individuality, allowing the company and brand to stand in a competitive position. Based on the need for research on fashion mass customization, which has emerged as a hot topic in fashion brands and compan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fashion mass customization consumers' Consumption Want on social functional attitudes, to find out the effect of social function attitude on mass customization type preference, and to find out the effect of mass customization type preference on Purchase Intention. For the twenty two days from September 3th to September 25th in 2019,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consumers who have heard or purchased mass customization fashion products. Finally, a total of 319 questionnaire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SPSS 18.0 were conducted. Based o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ducted using the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a confirmed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AMOS 25.0. First,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show that consumers' consumption want are categorized into six factors for consumption want which referred for aesthetic, pleasure, relationship, discrimination, show off, recognition. Social functional attitude consisted of two factors: self-expression and self-presentation. Mass customization type was classified as cooperative customization, cosmetic customization, adaptive customization, and transparent customization based on Pine & Gilmore's mass customization methodology as a total of four factors. Purchase Intention was derived as one factor. The results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pat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factors extracted from the factor analysis, the suitability of the latent factors and the overall measurement model was derived. Second, consumption want effects on social functional attitudes, the study expressed that aesthetic wan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expression, pleasure wan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presentation, relationship wan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presentation, discrimination wan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expression, show off wan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expression, presentation, and recognition wan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presentation. Third, social functional attitudes effect on mass customization type preference, the study showed that Self-express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operative customization, cosmetic customization, and adaptive customization. Among them, it was found to have the most influence on cooperative customization. self-present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operative customization, cosmetic customization, and transparent customization. Among them, it was found to have the most influence on transparent customization. Fourth , analyzing path coefficient between mass customization typ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The transparent customization prefere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Collaborative customization, cosmetic customization, and adaptive customization have all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Through the afore mentioned analysis results,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ashion brands and companies in establishing mass customization marketing strategies for consumers, and to present data that could be based on academia lacking related research. 소비자는 예전의 수동적인 구매자에서 주관적인 취향 및 개성을 중요시하는 소비 결정의 주도자로 변화하였고, 이는 마케팅의 중심이 되었다.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 패션 브랜드와 기업은 이전과 다른 상품과 서비스를 도입해야 했다. 타 산업보다 고객 지향적 산업인 패션 산업은 이러한 현상을 반영해 고객의 개별적 요구조건과 다양한 기대수준을 충족시키면서도 대량생산방식의 해택인 저렴한 생산을 추진할 수 있는 방식인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이라는 방식을 선택하였고, 고객 개개인의 개성을 중요시하면서도 유연하면서도 신속하게 대응해 기업과 브랜드가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패션 브랜드와 기업에서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패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패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소비자들의 소비욕구가 사회적 기능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사회적 기능 태도가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유형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유형선호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2019년 9월 3일부터 2019년 9월 25일 까지 총 22일 동안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패션 상품에 대해 들어보거나 구매해본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319부를 통계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활용한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근거하여 AMOS 25.0을 활용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소비자들의 소비욕구는 심미의 욕구, 쾌락의 욕구, 관계의 욕구, 차별화 욕구, 과시의 욕구, 인정의 욕구의 6가지 차원으로 분류되었다. 사회적 기능 태도는 자기표현, 자기제시의 총 2가지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유형은 총 4가지의 요인으로 Pine & Gilmore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방법론에 근거하여 협동적 커스터마이징, 외관적 커스터마이징, 적응적 커스터마이징, 투명적 커스터마이징으로 분류되었으며 구매의도는 한 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탐색적 요인 분석으로부터 확인적 요인분석과 경로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으로부터 추출된 요인들을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잠재요인과 전체 측정모형의 적합도는 적합한 수준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비욕구가 사회적 기능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심미적 욕구는 자기 표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쾌락의 욕구는 자기 제시에 영향을, 관계의 욕구는 자기 제시에, 차별화의 욕구는 자기 표현에 영향을 미쳤다. 과시의 욕구는 자기 표현과 자기 제시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인정의 욕구는 자기 제시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적 기능 태도가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유형 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자기 표현은 협동적 커스터마이징, 외관적 커스터마이징, 적응적 커스터마이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 중 협동적 커스터마이징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제시는 협동적 커스터마이징, 외관적 커스터마이징, 투명적 커스터마이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그 중 투명적 커스터마이징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유형선호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 투명적 커스터마이징 선호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협동적 커스터마이징, 외관적 커스터마이징, 적응적 커스터마이징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앞서 언급된 분석 결과를 통해 패션 브랜드와 기업들이 소비자들에게 맞는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데 시사점을 제공하며, 관련 연구가 부족한 학계에 기초가 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