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파 서비스품질이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화리조트 설악 이용객을 중심으로

        임선영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a spa setting in Hanwha Resort Seorak,Korea. The study also strives to make a contribution to marketing implica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A total of 255 samples from a survey were used to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three components of spa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wenty-seven spa service quality items were factor analyzed, and the five factors that perceived service quality to the spa were identified as service, facility, profession, safe & security and cleanliness. The service factor was the most influencing dimension of service quality, and followed by facility, profession, safe & security and cleanliness. The factor structure accounted for 68.2% of the total variance. A regression analysis was then employed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five factors of spa service quality and each of six items associated with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s imply that the five factors are significant in predicting both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analysis confirmed that spa service qualit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and satisfac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spa service qual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This suggests that marketing implications relate to service quality should be considered by practitioners in the market of spa services. In particular, managers of spa services should look for ways to enhance spa service quality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associated with repurchase intentions and willingness to recommend. It is also particularly suggested that managers should place a greater emphasis on the enhancement of services and safe & security, and then allocate facility and professional staff, with cleanliness in the area of food and beverage considered as well. 본 연구는 증가하는 스파이용객의 확대와 스파산업의 확산에 대응하여 스파 서비스품질에 대한 조사를 통해 스파서비스 이용에 따른 만족도와 스파서비스의 품질이 이용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만족한 이용객들의 향후 행동의도를 파악하여 스파산업의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의 측정도구는 제시된 요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5점 리커트척도를 이용하였다. 한화리조트 설악 이용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255부를 통계분석하였다. 설문구성은 스파서비스 이용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7개 문항, 스파이용객의 특성 6개 문항, 스파프로그램 이용 2개 문항, 스파 서비스품질 27개 문항, 만족도 6개 문항, 향 후 행동의도에 대한 6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교차분석,t-검정을 통하여 분석되었고, 또한, 각 문항간의 신뢰도와 타당성검증을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스파의 서비스품질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27개 문항을 분석하여 신뢰성과 타당성에 저해가 되는 6개의 문항을 제외하고 서비스,시설, 전문성, 보증성, 청결성의 5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각 차원의 분산설명력은 서비스, 시설, 전문성, 보증성, 청결성 순으로 전체 68.155%의 설명력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과 행동의도는 단일항목으로 분석결과 신뢰도는 만족이 0.839, 행동의도가 0.859의 높은 신뢰를 나타냈다. 따라서 스파 서비스품질의 5개요인은 모두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동의도에도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결과 확인 할 수 있었고, 만족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보여주고 있어 서비스 수준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파의 서비스품질을 분석한 결과 국내 스파이용객의 서비스품질은 서비스, 시설, 전문성, 보증성, 청결성의 요인으로 세분화되었다. 둘째, 스파서비스의 품질요인 중 분산설명력을 위주로 본다면 종사원의 서비스와 스파의 시설 그리고 전문성과 신뢰성을 나타내는 보증성, 시설의 청결성 순으로 만족이나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용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소비자행동으로 나타나는 재방문이 나 재이용 혹은 구전광고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서비스를 강화하고, 이용객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시설을 배치하며, 전문화된 인력의 배치와, 시설 혹은 제품에 대한 보증성을 높이고, 모든 시설 특히 식음료 부분에 대해서는 철저한 청결성이 요구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파의 경우 서비스품질을 설명하는 요소로써 서비스, 시설, 전문성, 보증성, 청결성의 5가지 요인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하여 스파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위의 5가지 요인에 대한 일차원적인 전략의 수립보다는 다차원적인 측면에서의 종합적인 전략수립을 통하여 스파의 서비스품질 개선을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져야할 것으로 보여진다.

      • 청소년 수련활동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을 중심으로

        김국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의 입소한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이용실태 파악과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청소년 수련활동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 향후, 청소년 수련시설의 이용극대화와 합리적 운영 등에 기여하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의 입소한 청소년 57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청소년 수련시설 만족도(시설 만족도, 지도자,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고 고찰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수련경험 횟수로는 5회 이상 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가장 많았으며, 3-4회 , 2-3회, 1회의 순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수련활동 선호도에서는 청소년들이 제일 많이 희망하는 수련시설로는 해양 수련원이 가장 많았으며, 재학 중 수련 횟 수로는 재학 중 1회가 가장 많았고, 희망 수련 계절로는 가을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련 단위로는 학년별을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련 기간으로는 2박3일을 제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인 시설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시설 만족도에서는 일상생활에 꼭 필요, 제반시설 이용시 사용 수칙을 잘 지킨다, 편의시설(화장실,휴게실) 사용이 편리, 제반시설 배치가 이용시 편리, 공간활용이 편리, 전반적인 청소 및 관리, 냉·난방시설은 불편, 사용하기 편리한 장소에 소재, 이용시간이 적당, 홍보와 안내가 미흡, 불만이나 개선사항을 건의하면 잘 수용한다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에 따른 시설 만족도에서는 일상생활에 꼭 필요, 제반시설 이용시 사용 수칙을 잘 지킨다, 냉·난방시설은 불편, 사용하기 편리한 장소에 소재, 이용시간이 적당, 홍보와 안내가 미흡, 불만이나 개선사항을 건의하면 잘 수용한다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련 참여 횟 수에 따른 시설 만족도에서는 냉·난방시설 불편하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도자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수련시설 지도자 만족도에서는 지도사들의 친절도, 전문적 기능이 충분, 적극적 자세, 시설과 장비를 완벽하게 활용, 청소년에 대한 이해가 충분, 통솔력이 충분, 지도사들의 수가 충분, 획일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에서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에 따른 수련시설 지도자 만족도에서는 전문적 기능이 충분, 적극적 자세, 시설과 장비를 완벽하게 활용, 청소년에 대한 이해가 충분, 통솔력이 충분, 지도사들의 수가 충분, 획일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에서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련 참여 횟 수에 따른 지도자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성별 및 건강에 따른 프로그램 만족도에서는 프로그램의 다양성 만족, 청소년들에게는 꼭 필요, 주위친구들에게 권해주고 싶다, 앞으로도 수련활동에 참여하고 싶다, 수련활동 내용이 독창적, 수련활동 내용이 질적으로 전문적인 수준, 수련활동프로그램 운영시간에 대해 만족, 참여한 수련활동프로그램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된다에서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련 참여 횟 수에 따른 수련시설 프로그램 만족도에서는 앞으로도 수련활동에 참여하고 싶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가정어린이집 원장-부모 관계와 부모의 보육만족

        박정연 한국성서대학교 보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가정어린이집의「원장-어머니 관계」에 대한 원장과 어머니의 인식을 조사하여, 그 인식이 어머니의 보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가정어린이집에서 부모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보육의 질을 높이는 방안 모색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과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원장과 어머니의 「원장-어머니 관계」인식의 양상은 어떠한가? 1) 「원장-어머니 관계」에 대한 원장과 어머니의 인식 간 관계는 어떠한가? 2) 「원장-어머니 관계」에 대한 원장과 어머니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어머니의「원장-어머니 관계」인식이 어머니의 보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 「원장-어머니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어머니의 보육만족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원장-어머니 관계」인식이 어머니의 보육만족도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어머니의 「원장-어머니 관계」인식이 어머니의 보육만족도 하위요인 (보육과정, 보육교직원 자질, 건강・영양・안전, 가정연계, 자녀・부모의 호감) 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정어린이집 36개소의 가정어린이집 원장 36명과 이 기관에 다니는 만 0-2세 영아를 둔 학부모 311명으로 선정하였다. 사용된 연구도구는 원장이 인식하는 어머니와의 관계와 어머니가 인식하는 원장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Elicker, Noppe와 Fortner-Wood(1997)가 제작한 부모-교사 관계 척도(PCRS: Parent-Caregiver Relationship Scale)를 수정하여 사용한 이찬주(2002)의 어머니-교사 관계 척도를 참고하여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신뢰, 의사소통, 존중, 가치의 공유, 협력 그리고 친밀감을 5점 척도 2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부모의 보육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최일섭(1998)의 부모만족도평가 척도를 수정・보완한 길태경(2003)의 부모만족도 설문지를 참고하여 제작한 설문지로 5점 척도 5개 하위영역(보육과정, 보육교직원 자질, 영양・건강・안전관리, 가정연계, 자녀・부모의 호감) 2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항목별,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가정어린이집 원장과 어머니 각각의 배경변인에 따라 「원장-어머니 관계」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종속표본 t검증(paired t-test)을 사용하였다. 원장과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보육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를 사용하였고 원장과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 인식과 어머니 보육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 회귀분석과 단계적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실시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장-어머니 관계」에 대한 원장과 어머니의 인식은 원장의 인식 전체와 어머니의 원장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전체 간에 유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장과 어머니의 관계 인식은 원장과 어머니 모두 긍정적이었으나 원장이 어머니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어머니가 인식하는 원장과의 관계 전체는 어머니의 보육만족도 전체와 상관이 매우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미하였다. 넷째, 어머니의 「원장-어머니 관계」인식의 하위요인 중 신뢰감, 가치의 공유, 협력이 어머니의 보육만족도 전체에 대해 50.7%의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어머니의 「원장-어머니 관계」인식에 대한 하위요인(신뢰감, 의사소통, 친밀감, 존중감, 가치의 공유, 협력)이 어머니의 보육만족도 하위요인(보육과정, 보육교직원 자질, 건강・영양・안전, 가정연계, 자녀・부모의 호감)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육과정 만족도에는 어머니의 「원장-어머니 관계」인식의 하위요인과 가치의 공유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보육교직원 자질에 대한 만족도에는 어머니의 「원장-어머니 관계」인식의 하위요인 중 신뢰감, 협력, 가치의 공유 순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어린이집의 건강・영양・안전에 대한 만족도에는 어머니의 「원장-어머니 관계」인식의 하위요인 중 협력과 신뢰감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가정연계에 대한 만족도에는 어머니의 「원장-어머니 관계」인식의 하위요인 중 신뢰감, 의사소통, 가치의 공유 순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호감 만족도에 대해서는 어머니의 「원장-어머니 관계」인식의 하위요인 중 가치의 공유, 협력, 신뢰감의 순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 顧客滿足經營技法을 導入한 軍需支援體制 發展方向에 관한 硏究 : 被服補給을 中心으로

        김광락 高麗大學校 經營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경쟁우위에 있는 민간기업의 고객만족경영기법을 활용하고, 민간기업의 고객만족경영 우수사례 및 미군의 군수혁신사례를 벤치마킹 여 미래 디지털 군수환경에 부합되는 미래 피복보급지원시스템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그러나 군에 적용되는 고객만족경영에 대한 개념과 구현전략이 보편화되어 있지 않고 적용되어야 할 분야가 매우 광범위하고 내용의 구체성과 세부 내용별로 경험을 통한 적용 방안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서두에 밝혀두고자 한다. 아울러 이 연구를 기반으로 차후 우리 군은 고객만족경영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전 국방 차원에서 표준화되고 통합된 고객만족경영기법이 개발되어 전투원(사용자)에게 최고의 만족을 제공하고, 군수운영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나가야 할 것이며, 모든 군수 요원들이 오로지 일과 업무로써 군수변화를 선도해 가길 기대한다.

      • 이차원적 자기애, 직무만족, 서비스몰입 및 고객지향성간 관계 : 유통업 서비스 종사자 중심으로

        임현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기업은 단지 물질적인 실체를 가진 상품만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무형의 서비스 또한 판매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이윤 극대화를 위해 고객 개개인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키는, 서비스 종업원들의 서비스 수준을 결정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하였다. 유통업 서비스 종업원들이 고객의 반응 및 특성에 따라 서비스의 질적 내용을 달리하는 원인에 대하여 여러 요인 중 자기애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통 부문 서비스 종업원들의 자기애 유형과 직무만족과 서비스 몰입 및 고객지향성이 관계가 있는지, 관계가 있다면 어떤 영향을 주는지와 이차원적 자기애에 따른 군집의 유형과 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설문조사는 서울, 부산, 광주, 경기도 소재 백화점 및 대형마트 종업원들에게 고객지향성, 서비스몰입, 직무만족도 및 이차원적 자기애 척도에 대해 2015년 4월 약 3주간 온라인을 통해 진행했으며 총 226명이 응답하였고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179명(남자 70명, 여자 109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서비스 종업원의 이차원적 자기애, 즉 자기 주도적 자기애와 타인 의존적 자기애가 직무만족, 서비스 몰입 및 고객지향성과 각각 다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기 주도적 자기애가 타인 의존적 자기애 보다 직무만족(r=446, p<.01), 서비스 몰입(r=401, p<.01) 및 고객지향성(r=346, p<.01)에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2) 이차원적 자기애와 고객지향성, 서비스몰입, 직무만족도의 영향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차원적 자기애중 자기 주도적 자기애만이 고객지향성(β = .403, p<.05), 서비스몰입(β = .496, p<.05), 직무만족도(β = .528, p<.05)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타인 의존적 자기애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이차원적 자기애 하위변인에 따른 군집 구성은 자기 주도적 자기애는 높고 타인 의존적 자기애는 낮은 ‘자기 주도적 자기애 집단’을 군집 1로 가장 기능적인 집단으로 보며, 자기 주도적 자기애와 타인 의존적 자기애가 모두 낮은 군집 2를 ‘비자기애 집단’, 자기 주도적 자기애는 낮고 타인 의존적 자기애는 높은 군집 3은 ‘타인 의존적 자기애 집단’, 자기 주도적 자기애와 타인 의존적 자기애 둘 다 높은 군집 4는 ‘혼재집단’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자기 주도적 자기애 집단을 제외한 나머지 세 집단을 역기능 집단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군집의 유형이 직무만족, 서비스 몰입 및 고객지향성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4개의 군집이 아닌 혼재집단과 비자기애집단만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각각의 군집이 기능적 또는 역기능적 차이를 가진 집단이 아닌 이차원적 자기애의 유, 무의 차이만을 가진 집단으로 분류 된 것을 의미한다. 이차원적 자기애 하위변인 사이 높은 상관(r=778, p<.01)이 군집별 차이에 따른 영향을 살피는 것을 어렵게 했다. 이러한 결과들은 유통업 서비스 종업원들의 자기애 유형에 따라 고객지향성, 서비스몰입 및 직무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자기애 유형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이해하는 것보다 개별적 접근이 필요함을 주장하면서도 이차원적 자기애에 대한 척도의 타당성 및 점검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 뷰티살롱 종사자의 직무만족도가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현남 용인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뷰티살롱종사자들의 직무에 관한 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여 직무에 관한 불만족도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이직의도를 낮추고 업무에 일관성과 지속성을 유지하여 고객 신뢰도를 높임과 동시에 경영성과에 대한 기여도를 높이고자하는 목적으로 설계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은 2014년 8월 22일부터 10월 10일까지 서울과 경기지역에 뷰티살롱 "J헤어"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설문지는 300부를 배포하여 이중 미회수 및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34분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실증연구를 통해 검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살롱 종사자의 직무만족도 중 개인만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사자들은 개인만족이 높아야만 직무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둘째, 일반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는 직위, 월평균소득, 총 미용경력, 근무시간, 교육 횟수, 6개월 내 이직경험, 이직획수는 직무만족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외에는 성별, 연령, 최종학력, 현 미용경력, 교육시간, 직업 선택 동기, 미용실 근무인원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뷰티살롱종사자의 직무만족도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친다. 직무만족도가 높아질수록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이다. 넷째, 뷰티살롱 종사자의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친다. 종사자의 이직의도가 낮아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직무만족요인이 있어야만 뷰티살롱을 운영 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뷰티살롱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친다.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면 이직의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뷰티살롱종사자들은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가 감소되는 것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뷰티살롱종사자의 직무만족도의 관리와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에 대한 해소 방안으로 종사자에 대한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도적인 개선과 직무스트레스 감소시키기 위한 뷰티살롱에 경영관리개선이나 교육프로그램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sures for reducing the turnover intention and maintaining the consistency and sustainability of performance among beauty salon workers by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factors which would influence the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beauty salon workers and eliminating the job dissatisfaction factors, ultimately increasing the customer reliability and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performance. For this study, the workers of beauty salon "J Hair"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urveyed from August 22, 2014 to October 10 of the same year. A total of 300 set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ut of which 234 set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excluding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not collected or contained insincere answ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were validated empirically,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the personal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very high in connection with the job satisfaction of beauty salon workers. In other words, beauty salon workers had high job satisfaction only when they had high personal satisfaction. Seco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was observed in connection with occupational post, average monthly income, career in beauty salon business, working hours, number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training, turnover experience over the last 6 months, and turnover frequency,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Excluding those factor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depending on the gender age, education background, current career in beauty and cosmetology sector, education/training time, motivation for the selection of occupation, and beauty salon working personnel. Third, the job satisfaction of beauty salon worker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job stress. In other words, the management performance was influenced to a greater extent when the job satisfaction was higher. Fourth, the job satisfaction of beauty salon worker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For reduc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workers, various job satisfaction factors were found to be important in operating the beauty salons. Fifth, the job stress of beauty salon worker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t turned out that higher job stress led to higher turnover intention. Based on aforesaid results of this study, beauty salon workers were found to have lesser degree of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when they had higher job satisfaction. Thus, it would be considered necessary to increase the attention to the improvement in business management of beauty salons or to the education programs which can help mitigate job stress, along with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increasing the job satisfaction of beauty salon workers, in connection with the measures that can ensure effective management of beauty salon workers' job satisfaction, help relieve job stress and reduce turnover intention.

      • 치과의료기관의 치과위생사와 간호조무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

        용기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치과의료기관의 치과위생사와 간호조무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 치과위생사와 치과간호조무사는 치과의료기관에서 치과의사의 진료업무를 보조하면서 외부고객인 환자와 직접 접촉하는 치과의료서비스의 주체임과 동시에 치과의료기관으로부터 가치를 받는 내부고객이다. 따라서 이들의 직무만족은 서비스의 질적 향상으로 이어지고 환자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치과대학병원, 일반대학병원, 치과병원, 치과의원에서근무하는 치과위생사와 치과간호조무사 총 368명을 대상으로 전자우편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설문을 실시하여 262부의 설문을 회수하여 71.2%의 응답률을 보였다. 이 중 무응답률이 높은 3명을 제외한 259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임금만족도, 복리후생 만족도, 직무수행 만족도, 동료, 치과의사, 환자와의 관계 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두 직업간의 만족도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치과의료기관의 종류에 따른 차이를 알아 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치과의료기관 업무의 질적 향상을 추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치과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 복리후생에 대한 만족도, 동료, 치과의사,환자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3점을 넘는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임금에 대한 만족도는 비교적 높지 않았고, 임금의 적절성 여부와 직무수행성과에 대한 보상체계 마련에 대해 특히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치과위생사 그룹과 치과간호조무사 그룹간의 직무만족도 비교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치과간호조무사가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치과의료기관별 직무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대체로 치과대학병원과 같이 규모가 큰 의료기관일수록 높은 직무만족도를 보였으나, 동료와의 갈등은 높은 편이었고, 치과의사와의 관계에서도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치과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직무와 관련한 동기부여를 고양하기 위해 성과급 제도 등을 적극 적용하여 종사자들의 임금 만족도를 개선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부분의 치과의료기관은 동료간에 서로 돕고 의지할 수 있는 직업환경임을 알 수 있으나 치과의사와의 관계를 단순한 고용인과 피고용인의 관계에서 탈피시켜 보다 친밀한 관계 구축을 통해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치과위생사와 치과간호조무사 그룹간 직무만족도는 비교적 치과간호조무사 그룹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므로 두 그룹이 치과의료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직무의 차이를 알아보고 역할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으며 큰 규모의 치과의료기관에서 치과의사와 치과의료기관 종사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동료 및 치과의사와의 관계를 돈독히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개인의원에서는 적은 수의 동료와의 협업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Dental hygienists and nursing assistants are subjects of dental service since they directly contact external customers, patients, and they are also internal customers receiving values from dental institutions. Accordingly, their job satisfa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because it leads to improved dental service quality, thereby affecting patient satisfaction directly. In this research, digitized questionnaires via electronic mails and smart phones were sent to total 368 dental hygienists and nursing assistants working at dental university hospitals, university hospitals, dental hospitals and private dental clinic nationwide. 262 out of 368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the response rate was 71.2%. Among these, 259 excluding 3 questionnaires with high no reply rate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a final analysis. Wage satisfaction, benefits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olleagues, dentists and patients were analyzed and satisfaction difference between two jobs and according to types of dental institutions were also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se data,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were analyzed and plans to improve dental service quality were searched. Conclusions are the following: Dental service providers’ job satisfaction, benefits satisfac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olleagues, dentists and patients showed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above 3 points in most categories, but wage satisfaction was not high in comparison and they showed especially low satisfaction with adequacy of wage and compensation for outcomes of work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and nursing assistants was compared and in most categories, nursing assistants showed higher satisfaction,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job satisfaction was compared among types of dental institutions and large scale institutions, such as dental university hospitals,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but trouble with colleagues was more frequen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dentists was low. Based on these data, it seems important to actively apply performance based system to enhance job motivation of dental service providers. Most institutions provide helpful work environment promoting cooperation among co-workers but it is still necessary to build close relationship with dentists, which is more than that between employers and employees in order to enhance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of nursing assistants was higher than that of dental hygienists, so difference in assigned work should be further examined. In addition, plans to strengthen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dentists working in large scale dental institutions and maximize cooperation among a small number of co-workers in private clinic should be studied in future.

      • 임금만족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산동지역 'Z' 자동차 회사 근로자를 대상으로

        YU Haibo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 중국은 시진핑(?近平) 국가 주석을 중심으로 급속한 경제발전을 이루면서 세계 제2위의 경제 대국이 되었다. 이러한 발전의 토대는 핵심 경제 부처들이 주변 국가들과 협력을 통해 세운 ‘실크로드 경제지대’및‘21세기 해상 실크로드’의 경제 대계획과 아시아 기초 투자은행(AIIB) 자금 지원을 통해 마련되었다. 중국의 주식시장 또한 2000지수였던 상해 지수는 2014년, 4500지수까지 오르면서 나날이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이러한 분석상 중국 경제는 날로 발전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반면 중국 경제의 내부 상황은 발전이 아니라 퇴보하는 편에 가깝다. 국민소득 양극화가 심화되는 것 뿐 아니라 중국의 제조업 시장이 생산 능력 과잉으로 인해 난황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몇몇 학자들은 중국의 생산 가능 지수가 이미 포화 상태이기 때문에 제조업은 계속 퇴락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실제 2015년 4월, 중국의 HSBC 제조업 PMI 초기 가치 기대치는 전년도에 비해 49.2%까지 하락했다. 중국의 제조업은 시장 내 수요도가 낮을 뿐 아니라 불경기로 주문량이 늘지 않는 추세를 보인다. 때문에 중국의 제조업자들은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적극적인 전략을 세우고 있다. 이 중 하나는 경쟁 우위에 올라서게 할 수 있는 인재의 발굴이다. 인재는 기업 경쟁력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세계 제 2의 경제 대국으로의 성장에 비해 중국 직원들의 평균 월급 수준은 낮은 편이다. 통계부의 발표에 따르면, 2013년 중국 내 제조업 근로자의 평균 연봉은 45676위안으로, 다른 선진국에 비해 미국은 269895위안, 일본 202200위안, 중국내 제조업 근로자들의 평균 연봉은 매우 낮은 수준이다. 직원들의 임금 인상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이는 중국 내부시장의 임금체계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임금에 대한 만족도는 근로자와 기업 모두에게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임금의 만족도는 이직률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위기와 기회로 가득한 현재 경제상황에서 근로자의 이직은 기업의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근래 대다수의 기업들은 이직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임금수준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임금 만족도에 따른 이직율을 분석하여 가장 중요한 근무 조건인 임금이 회사에 대한 만족도와 이직 이사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중국의 대표적 제조업인 자동차 산업을 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검토해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을 위한 설문지를 만들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동차 근로자의 임금만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동차 근로자의 임금만족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동차 근로자에 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추후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임금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Since the year China overtook Japan as the world’s second largest economy, the economy of China seems to be thrive. For example, the initiative of jointly building the Silk Road Economic Belt and the 21st-Century Maritime Silk Road which raised by XI Jinping ,the new President of China. The 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proposed by China, is to offer financing for infrastructure projects in underdeveloped countries across Asia. Even the China stock market has become a bull market, while Shanghai composite index raise from 2300 to 4500 in a year. But the manufacturing industry of China, not the same as said before, meets its difficulty. There are all kinds of reasons, such as the overcapacity, high tax, and low consumptive level. HSBC China Manufacturing PMI (Purchasing Managers Index) drops to 49.2, the lowest in 12 months, means the manufacturing industry, because of the overcapacity, goes worse. Manufacturing industry of China is the base of the economy, on one hand, the low consumptive level leads to low requires of order. On the other hand, China is on its way to the strategy “go global”. At this time, which comes with both crisis and opportunity, talent become more useful than ever before. Talent become the important key factor of companies when they compete with each other. All the businesses of company need people to do, such as management, research and development, manufacture and sales .That means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is the talent competition. So the company who has the talent will seize the opportunity in the crisis. Even though China is the world’s second largest economy, the salary of employees in China is still in a low level. The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announces that the average wage of urban residents is 45676, much lower than the developed countr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y, the demand for wages will up to the developed country, that means the salary of employees in China will change tremendous. Because the answer will affect the survival of the company in the economy which is full of opportunity and crisis, I think the managers really need to know how the salary satisfaction influences the employees, how to keep them stay in the company. To conduct this research, I investigate the automobile industry, which is the symbol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China. And I hope the results will help me to find out how much the wage will influence the employee’s satisfaction of the company and intention to leave. Keywords: Pay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 학습만족도 향상을 위한 오픈소스 학습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 베트남 사례를 중심으로

        임진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universalization of internet use are rapidly transforming into learner centered by facilitating web-based learning, as well as e-learning provided by higher education courses in Korea and developing countries, which are experiencing rapid economic development, have also an important issue both higher education and adult education sector. In terms of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e - learning has attracted attention of developing countries in the problem of education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eing merged to change the paradigm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o solve the digital divide. In addition, Korea has developed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to contribute education digitalization for developing countries. Actually, the e-learning system that is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demand of developing countries is important in terms of sustainability of e-learning. In particular,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which plays a key role in running web-based learning, is an indispensable element in leading web-based learning to self - directed learning methods for learners. Therefore, through the case study of HOU (Hanoi Open University in Vietnam) which is supported by the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under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n Korea would analyze features of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in developing countries and ICT industry status in Vetnam, Education system in Vietnam with relevant research study. The analysi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f the university system in Vietnam and the HOU students were conducted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existing e-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and newly developed e-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are analyz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case of Vietnam HOU is a good example of an open source based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sustainable e - learning use in developing countries, which is already recognized as a global task for lifelong learning.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implies the need for recognition and reflection on the limitations of existing development methods for future development.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인터넷 사용의 보편화는 웹기반 학습을 촉진시키면서 학습자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부분은 비단 한국의 대학에서 고등교육 과정으로 제공되는 이러닝 뿐만 아니라 급격한 경제발전을 이루고 있는 개발도상국의 고등교육과 성인교육에서도 중요한 이슈로 자리 잡고 있다. 교육기회의 균등에 있어서 이러닝은 교육과 정보통신 기술이 융합되어 교수학습의 패러다임에 변화를 주고 지식과 정보에 대한 접근이 경제적 계층, 성별, 연령 별로 불균형 하게 나타나는 교육정보 격차(digital divide)를 해소하는 문제에 있어서 개발도상국의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더욱이, 한국은 국제개발협력(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공적 개발원조)를 통해 개도국 교육정보화 지원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으며, 개발도상국 교육환경과 수요에 적합한 이러닝 시스템은 이러닝 활용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중요하다. 특히, 웹기반 학습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학습관리시스템은 학습 수요자에게는 자기주도형 학습 방식으로 웹기반 학습을 주도 하는데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이에, 한국 국제협력단(KOICA,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에서 지원한 ‘베트남 하노이 개방대학교 개선사업 (이하 하노이개방대학교, HOU)’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개발도상국 학습관리시스템의 특성을 분석하고 관련 문헌조사와 베트남 정보통신기술 산업현황, 베트남 교육제도 현황, 베트남의 개방대학 체계, 하노이개방대학교의 내/외부 환경에 대한 분석과 하노이개방대학교 재학생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오픈소스 기반의 신규 개발 지원된 이러닝 학습관리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 및 활용도에 대한 결과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해서 하노이개방대학교 사례가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이러닝 활용을 위한 오픈소스 기반의 이러닝 학습관리시스템의 좋은 사례로서 향후 널리 전파될 수 있다. 특히,‘지속가능한 활용’의 명제는 이미 평생교육을 위한 전 세계적 공통 과제로서 인식되고 있다. 지속가능성의 개념은 미래의 발전을 위한 기존의 개발 방식의 한계에 대한 인식과 반성의 필요성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개발도상국인 베트남 대학에서의 오픈소스 기반 학습관리시스템 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오픈소스기반 학습관리시스템 구축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천시 지역 고등학생의 학교스트레스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혜용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study is aimed at figuring out what effect the school stress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from Icheon-si, Gyeonggi-do have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at verifying whether social support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rom school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o do so, the study found out the main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school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figured out the interac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with these variables. With its research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proposals to promote high school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Questionnaires had been distributed to I-cheon community high school students and 51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In addi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s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285(55.8%) were male students and 226(44.2%) were female ones among research subjects; that 238(46.6%) were freshmen and 273(53.4%) were sophomore. A school record showed relatively even distribution; when it comes to the subjective level of monthly family income, 313(61.3%), a large part of the respondents, picked 'the average', followed by 'very low' with 48 respondents(9.4%) and 'very high' with 15 of them(2.9%). In terms of religion, 'no religion' accounted for the greatest part with 293 students(57.3%); graduation from high school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s for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ir parents. Besides, the answer 'I have both parents' held a majority with 437 students(85.5%). Second, as a result of measuring each variable, the average school life satisfaction of research subjects turned out 3.04 which was about an intermediate level. Furthermore, stress from school proved 2.36 on average. The school stress of high school students was beyond the intermediate level on the basis of 4 points. In particular, stress from studying was highest. Lastly, the average social support was 3.47, which means high school students consider themselves given a little greater social support than the intermediate level. Third, the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school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showing that school life satisfaction decreases when school stress increases. On the other hand, it turned out that school life satisfaction increases as social support increases. It means stress from school is an important factor that reduce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is a meaningful resource that increases school life satisfaction. Finally, soci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rom school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high school students who think they are getting a lot of social support can moderate the result that a high level of school stress hinders school life satisfaction. Such research findings lead to the follow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for theoretical implications, considering that an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has been carried out to make up for the vulnerability of the region's financial ability, such an effect also has influence on the subjective income level of the respondents. In a reality where few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from the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this result is the meaningful data for such research. In addition, since few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argeting adolescents from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to illumi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rom school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study is meaningful as a remarkable precedent research in dealing with follow-up studies. Moreover, the study lays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can enhance school life satisfaction even with a high level of school stress, by providing high school students with social support. With regard to practical implication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rom school and social support that affect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making it possible to apply it at school, and in presenting what needs to be considered in case of intervention in high school matters, based on the aspects related to high school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Above all, the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can make high schools in the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reconsider their policy towards social workers.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이천시 인문계 고등학생의 학교스트레스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가 학교스트레스와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를 가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교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주 효과를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가 이들 변인 사이에 나타내는 상호작용 효과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것으로부터 얻어진 연구결과를 통해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이론적 제언 및 실천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구대상은 이천시 지역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총 511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들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자료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성별은 남자가 285명(55.8%), 여자가 226명(44.2%)이었고 학년은 1학년이 238명(46.6%), 2학년이 273명(53.4%)이었다. 학교성적은 비교적 고른 분포를 나타냈고 주관적 가족 매월 소득 수준의 경우 보통이 313명(61.3%)으로 가장 많았는데 매우 낮은 편이 48명(9.4%)으로 매우 높은 편인 15명(2.9%)보다 훨씬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종교는 종교 없음이 293명(57.3%)으로 가장 많았고 부모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또한 조사대상자와 부모님과의 상태에 대한 응답으로 부모님이 두 분 다 계신다는 응답이 437명(85.5%)으로 과반 수 이상을 차지했다. 둘째, 각 변수의 수준을 측정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학교생활만족도 평균은 3.04로 중간수준 정도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스트레스 평균은 2.36으로 드러났다. 변수가 4점 척도임을 고려해 볼 때, 고등학생들의 학교스트레스는 중간정도 이상의 수준으로 보였다. 특히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 평균은 3.47이었는데 이를 통해 고등학생들은 중간 수준보다 약간 더 많은 사회적 지지를 제공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교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학교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교스트레스가 학교생활만족도를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사실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만족도를 증가시키는 의미 있는 자원임을 파악했다. 넷째, 학교스트레스와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갖았다. 즉, 고등학생들이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생각할수록 학교스트레스가 높다하더라도 이로 인해 학교생활만족도가 저해되는 결과를 완화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로부터의 이론적 함의와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 함의로는 도농복합시 추진배경이 지역 재정능력의 취약성을 보완하고자 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영향은 조사대상자들이 생각하는 주관적 소득 수준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농복합시 지역청소년의 특성을 밝히는 데 연구가 미흡한 현실해서 이에 대한 탐색적 자료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는 도농복합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스트레스와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를 밝힌 연구가 매우 적은 현실에서 이에 대한 후속연구를 다루는데 주목할 만한 선행연구로 의미를 가진다. 나아가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여, 학교스트레스가 높더라도 이를 통해 학교생활만족도를 고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활용 가능한 이론적인 기반으로 의미를 가진다. 다음으로 실천적 함의는 본 연구를 통해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도출하여 이를 학교 실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과 관련된 양태를 파악하여 그것을 근거로 고등학생들에게 개입 시 유의할 점이 무엇인지를 제시해주었다는데 의미를 가진다. 무엇보다 도농복합시 고등학교의 학교사회복지사에 대한 정책적 재고(再考)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