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크루즈시장 세분화에 관한 연구

        이현주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난 1980년대 이래로 세계 크루즈 산업은 년간 10% 정도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유망산업으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국내 여행업계내에 있어서도 크루즈 상품은 기존의 해외 패키지상품의 대체상품으로서, 고부가가치상품으로서 그 관심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크루즈의 실제구매층 및 잠재고객층의 특성파악을 통한 정확한 목표시장 설정의 부재와 관련 통계자료나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으로서 실질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을 통한 크루즈 시장의 발전은 다소 요원한 일로 보여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의 현실인식을 기초로 하여, 국내 크루즈상품 이용객의 인구통계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라이프스타일 분석을 통해 크루즈 시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크루즈 시장의 세분화를 시도함으로써, 이 결과를 국내 크루즈 마케팅의 활용근거로 사용하여 향후 한국내 크루즈 시장의 저변확대에 기여하고자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조사와 실증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크루즈 이용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으로서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t-test, 일원량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크루즈 이용객들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은 자아가치 추구형, 적극적 여가활동형, 진취적 사교형, 진보적 사고형, 자립적 노력형, 실속형 총 6가지로 분류되었다. 가설분석의 결과 크루즈 이용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인구통계적 특성에서는 성별, 결혼유무, 연령, 교육수준, 직업 등에서 각 유형별 유의하게 차이를 보였으며, 크루즈여행의 일반적 특성에 있어서는 목적지, 여행기간, 여행 형태, 승선횟수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크루즈 여행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자립적 노력형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크루즈 여행의 만족도가 재구매 의사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크루즈 이용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시장 세분화 이외에도 추구편익, 여행목적 등의 다양한 변수에 의한 크루즈 시장 세분화 연구 등도 차후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들 결과를 근거로 하여 크루즈 시장 확대를 꾀하기 위한 보다 전문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Since 1980, the Cruise Industry has developed with an average annual passenger growth rate of 10% per annum. In fact, the cruise tour is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for outbound package tours and a highly value added tour in Korea tourism industry. However, there have been a few cruise-related studies and there even have been hardly found any statistical data based on the tourists with cruise experienc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segment consumer groups by investigating lifestyle of cruise tourists and observe the pres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cruise market as well as contributing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cruise industry in Korea.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mentioned abov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adopted. As a result of the study, 6 types of lifestyle (seeking self-value type, positive leisure-activity type, progressive sociability type, progressive thinking type, independent endeavor type, prudent consuming type)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based on lifestyle statistical test. Results of the study can b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n the view of the demograph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sex, marital status, age, education, job, income as the lifestyles. Secondly, in the view of general cruise trip features, there were the destination, stay length, type of trip and the past cruise experience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ly, it was founded that overall satisfaction of cruise tour was affected by the independent endeavor type. And lastly,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repeated purchase of cruise products was affected by overall satisfaction of cruise tour.

      • 외식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이 관여도에 따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HMR 제품을 중심으로

        이미라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 사회는 급격한 경제 성장과 산업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이전과 다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국민 소득의 성장으로 소비자의 인식이 변화되고 있으며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맞벌이 부부, 1인 가구의 증가, 여가를 즐기려는 욕구의 향상, 비대면 시대 등으로 사회적 변화와 더불어 많은 소비 여건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빠르게 변하는 HMR의 성장에 맞추어 HMR 제품을 이용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제품의 관심 정도를 나타내는 관여도와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기에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외식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이 관여도에 따르는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기존의 서적과 문헌 연구, 선행연구를 통해 외식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의 유형을 살펴보고 HMR 제품에 대한 관여도에 따른 구매의도에 대해 이론적으로 개념을 정립하였고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된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고 라이프스타일이 관여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실증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 조사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HMR 제품 이용 경험이 있는 성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 및 대상에 대한 충분한 설명 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법과 구글 설문 조사 방법으로 표본 자료로 사용하여 이를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문항은 5가지로 나뉘었으며 HMR제품의 이용형태, 라이프스타일, 관여도, 구매의도,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총 5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회수된 응답지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 이용을 통해서 분석을 실시하였고,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HMR(Home Meal Replacement)제품 이용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을 실시하였고, 측정항목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 척도를 위해 Cronbach α값을 산출하였다. 각 구성 개념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Person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라이프스타일이 관여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악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1의 라이프스타일은 관여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서의 분석 결과 ‘미각 추구형’, ‘편의 추구형’, ‘유행 추구형’은 관여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 추구형’, ‘경제 추구형’, ‘안전 추구형’은 관여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채택 되었다. 가설 2의 관여도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 검증에서 관여도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3의 “라이프스타일이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서 ‘건강 추구형’, ‘편의 추구형’, ‘경제 추구형’, ‘안전 추구형’, ‘유행 추구형’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각 추구형’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채택 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라이프스타일 유형 중 건강 추구형은 관여도나 구매의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다양해지는 소비자들의 요구와 변화하는 시대에 맞추어 HMR 제품이라도 식탁의 한 구성으로 좋은 식재료와 영양가를 고려해 건강 추구형 소비자들에게 접근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많으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관여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부족한 관여도에 다가가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셋째, 외식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서 맛의 중요한 부분과 접근성, 편의성을 더해 음식의 트렌드 변화를 받아들이는 소비자들이 HMR 제품에 부여하는 중요한 관심을 나타내는 관여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HMR 제품을 구매하는 외식소비자들의 관심의 방향과 HMR 제품에 대한 선택 반응을 잘 살펴서 제품 개발과 판매에 중점을 두면 소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서 제품 개발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 넷째, HMR 제품에 대한 중요한 정도나 관심의 정도인 관여도는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려는 예상되는 계획된 행동인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니 건강과 안전성에 집중한 우수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품질 경쟁력이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의도를 촉진시키는 방법이라고 본다. 다섯째, 언제 어느 곳에서나 쉽게 접할 수 있고 발전해가고 있는 HMR 제품의 다양성과 조리의 간편성이 장점이라 외식소비자의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어졌기 때문에 구매하려는 소비자층을 세분화하여 표본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향후 연구방향을 보면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고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선행연구는 많으나 관여도의 선행연구에 대한 결과물이 부족하여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유사점을 밝히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외식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개인들의 가치관, 신념 등의 내부적 요인과 현 시대의 사회 구조적인 변화 등의 외부적 요인에 의해 변화 가능성이 있어서 주기적으로 외식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하여 판매 마케팅에 반영할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여야 할 것이다. Modern society is changing differently thanks to rapid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 technology, and consumers' perceptions are changing due to changes in lifestyle, increasing double-income couple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improving their desire to enjoy leisure, and changing consumption conditions.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lifestyle of using HMR products in line with the rapidly changing growth of HMR, but studies on the degree of interest and purchase intention of the product are insufficient, so the purpose is to study the effect of the lifestyle type of restaurant consumers on the purchase inten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existing books, literature studies, and previous studies examined the lifestyle of dining out consumers, theoretically established the concept of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HMR products,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it. In this study, after 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purpose and subject of the study for adult consumers living across the country for empirical research, it was used as sample data using self-written survey methods and Google survey methods. It was divided into five questionnaires in this study, and consisted of a total of 53 questions in terms of the type of use, lifestyle, involvement, purchase intention,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HMR products. The collected responses were analyzed through the use of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alysis (HMR)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and home measurement product usage statu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Pe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constituent concept,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e effect of lifestyle on involvement and purchase intenti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Hypothesis 1 that the lifestyle wil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degree of involvement, 'taste-seeking type', 'convenience-seeking type', and 'fashion-seeking type' were partially adopted. In the hypothesis verification that the degree of involvement in Hypothesis 2 wil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involve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In Hypothesis 3, "Life style wil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health-seeking type," "convenience-seeking type," "economic-seeking type," and "fashion-seeking typ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nd "taste-seeking type" was partially adop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mong lifestyle types, health-seeking types were not correlated with involvement or purchase intention, and even HMR products are intended to provide access to health-seeking consumers in consideration of good ingredients and nutritional value as a composition of the table. Second, there are many previous studies on lifestyle, but studies on the degree of involvement according to lifestyle type are insufficient. Based on this study, it can be said that in-depth research can be conducted by approaching insufficient involvement according to lifestyle type. Third, by adding important parts of tast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to the lifestyle of restaurant consumers, it is affecting the involvement of consumers who accept changes in food trends to HMR products. Focusing on product development and sales by carefully examining the direction of interest of restaurant consumers who purchase HMR products and the selection response to HMR products is likely to lead to consumption, so a strategy for product development is needed. Fourth, involvement, which is an important degree or degree of interest in HMR products, affects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 planned behavior to purchase products, so they strive to develop excellent products focusing on health and safety and quality competitiveness is a way to promot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Fifth, since the diversity and ease of cooking of HMR products that are easily accessible and developing anytime, anywhere are advantages, it is necessary to secure samples by subdividing the consumer base to purchase. Looking at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this study,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for a specific class, and there are many preceding studies on lifestyle, but there was a limit to revealing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from previous studies due to lack of results on involvement. Therefore, the lifestyle of dining out consumers is not fixed, but there is a possibility of change due to internal factors such as individuals' values and beliefs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social structural changes in the present era, so continuous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periodically identify and reflect in sales marketing.

      • 스포츠센터 이용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여가제약과 여가유능감의 관계

        김정식 용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스포츠센터 이용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이 여가제약과 여가유능감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지역 스포츠센터를 이용하는 성인 남녀를 모집단으로 하여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총 250부를 배부하여 그 중에서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설문지를 제외한 198분의 설문지를 실제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한 라이프스타일, 여가제약, 여가유능감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한 결과 유행, 자기억제, 달성, 의지박약, 스포츠, 자기확신, 브랜드, 건강관리, 허무, 긍정에서 남녀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연령에 따른 차이는 달성, 자기확신, 브랜드, 건강관리, 긍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는 유행, 자기억제, 달성, 의지박약, 스포츠, 자기확신 브랜드, 건강관리, 허무, 긍정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월수입에 따른 차이는 자기확신, 브랜드, 허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여가제약을 분석한 결과 대인적, 경제적, 시간적에서 남녀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연령에 따른 차이는 대인적, 경제적, 시간적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는 대인적, 경제적, 시간적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월수입에 따른 차이는 경제적, 시간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여가유능감을 분석한 결과 신체적 유능감, 사회적 유능감, 인지적 유능감에서 남녀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연령에 따른 차이는 시체적 유능감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는 신체적 유능감, 사회적 유능감, 인지적 유능감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월수입에 따른 차이는 신체적 유능감, 사회적 유능감, 인지적 유능감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라이프스타일, 여가제약, 여가유능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행은 자기억제, 달성, 의지박약, 스포츠, 자기확신, 브랜드, 건강관리, 허무, 긍정, 여가제약, 여가유능감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자기억제는 달성, 의지박약, 스포츠, 자기확신, 브랜드, 건강관리, 허무, 긍정, 여가제약, 여가유능감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달성은 의지박약, 스포츠, 자기확신, 브랜드, 건강관리, 허무, 긍정, 여가제약, 여가유능감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의지박약은 스포츠, 자기확신, 브랜드, 건강관리, 허무, 긍정, 여가제약, 여가유능감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스포츠는 자기확신, 브랜드, 건강관리, 허무, 긍정, 여가제약, 여가유능감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자기확신은 브랜드, 건강관리, 허무, 긍정, 여가제약, 여가유능감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브랜드는 건강관리, 허무, 긍정, 여가제약, 여가유능감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건강관리는 긍정, 여가제약, 여가유능감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허무는 여가제약, 여가유능감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긍정은 여가제약, 여가유능감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여가제약은 여가유능감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5. 라이프스타일과 여가제약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라이프스타일의 하위요인인 달성, 의지박약, 스포츠, 자기확신, 브랜드, 건강관리에서 여가제약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결정계수(R^(2))가 .484로 나타나 라이프스타일이 여가제약을 설명하는 정도가 전체변량의 48.4%임을 알 수 있다. 6. 라이프스타일과 여가유능감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라이프스타일의 하위요인인 달성, 의지박약, 자기확신에서 여가유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결정계수(R^(2))가 .430으로 나타나 라이프스타일이 여가유능감을 설명하는 정도가 전체변량의 43.0%임을 알 수 있다. 7. 여가제약의 하위요인인 대인적 제약, 경제적 제약, 시간적 제약 등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결정계수(R^(2))가 .334로 나타나 라이프스타일이 여가유능감을 설명하는 정도가 전체변량의 33.4%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this study was to estimat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of sports center users and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competence. Taking adults male and female using sports center in the vicinity of Seoul as universe, subjects of this survey were selected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tal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however complete questionnaires from 198 respondents were used in this research work, excluding those responses that considered failed to complete the instrument and lack of reliability. To identify issues of this research, thos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survey that included questions regarding lifestyle,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competence. The results from this survey revealed the followings: 1. The results from analyses of lifestyl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reveal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factors such as, fashion or popularity, self-control, accomplishment, weak will, sports, self-confidence, brand, health management, a sense of emptiness, and positive, a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s in view of accomplishment, self-confidence, brand, health management, and positive. Also, the results from analyse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of level of education with regard to fashion or popularity, self-control, accomplishment, weak will, sports, self-confidence, brand, health management, a sense of emptiness, and positive, a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differences of monthly income in relation to self-confidence, brand, and a sense of emptiness. 2. The results from leisure constraint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reveal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regarding interpersonal, economic, and timing constraints, a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differences of ages in all interpersonal, economic and timing constraints. Regarding differences from education lev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view of interpersonal, economic and of timing constraints, and regarding differences from monthly income, the results display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economical and timing constraints. 3. The results from analyses of leisure competenc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reveal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view of physical competence, social competence and cognitive competence, a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difference only in physical competence. And the results from these analyses reveal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in terms of physical competence, social competence and cognitive competence, an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according to monthly income in view of physical competence, social competence and cognitive competence. 4. The results from correlation analysis of lifestyle,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competence showed that there were static correlations between fashion or popularity and self-control, accomplishment, weak will, sports, self-confidence, brand, a sense of emptiness, positive,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competence; and that there were static correlations between self-control and accomplishment, weak will, sports, self-confidence, brand, health management, a sense of emptiness, positive, leisure constraint and leisure competence; and that there were static correlations between accomplishment and weak will, sports, self-confidence, brand, health management, a sense of emptiness, positive,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mpetence; and that there were static correlations between weak will and sports, self-confidence, brand, health management, a sense of emptiness, positive,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competence; and that there were static correlations between sports and self-confidence, brand, health management, a sense of emptiness, positive,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mpetence; and that there were static correlations between self-confidence and brand, health management, a sense of emptiness, positive,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competence; and that there were static correlations between brand and health management, a sense of emptiness, positive,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mpetence; and that there were static correlations between health management and positive,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competence; and that there were static correlation between a sense of emptiness and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competence; and that there were static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and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competence; and there were static correlations between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competence. 5. The results from analyses of relations between lifestyle and leisure constraints revealed that such sub-factors of lifestyle as accomplishment, weak will, and self-confidence, sports, brand, health managemen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on leisure competence. The results from verification of adequacy of model revealed that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as .484, so then it tells that level of explanation regarding leisure constraints done by lifestyle is 48.4% of total variance. 6.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lifestyle and leisure competence revealed that such sub-factors of lifestyle as accomplishment, weak will, and self-confide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leisure competence. The results from verification of adequacy of model revealed that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as .430, so then it tells that level of explanation regarding leisure competence done by lifestyle is 43% of total variance. 7. The results from analyses of surveys indicated that all factors including interpersonal constraints, economic constraints and timing constraints, which were sub-factors of leisure constraint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on lifestyle? or leisure competence? The results from verification of adequacy of model revealed that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as .334, so then it tells that level of explanation regarding leisure competence done by lifestyle is 33.4% of total variance.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관광동기 및 선택속성이 크루즈 관광객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권오대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Humanity is undergoing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changes unprecedented in history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resulting acceleration of digital technologies. These changes have brought many changes to our lives, and our lifestyles are also changing in a different way.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find ways to activate the recovery quickl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ruise industry by analyzing tourism motivation and cruise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the changed lifestyle after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impact on consumers’purchasing int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conducted a literature study and an empirical study based on precedent studi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8-year-old adults of Korean nationality from July 01 to August 31, 2022 to secure and a total of 343 valid samples were analyzed accordingly. For statistical processing of collected data, data coding was perform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5.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ample and to underst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overseas travel and cruise tour.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d items, the analysis of exploratory factors and the reliability analysis using values of Cronbach's Alpha was conducted.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verification of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rived from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Lifestyle was derived from five types of trend-seeking, knowledge-seeking, leisure-seeking, safety-seeking, and social-seeking, Tourism motivation was four variable factors: escape from daily life, social bond, rest and relaxation, tourism and cultural exploration, Cruise selection attributes are seven factors: cabin service, human service, food and beverage service, on-board supplementary facilities, on-board programs, prices, and shore excursion. Purchase intention is a single factor.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secur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erived measurement item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on tourism motive according to lifestyle type, lifestyle has shown positive impact relationships with tour motivation in partially. Thirdly, in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relationship on the cruise selection attribute according to the lifestyle type, lifestyle has shown positive impact relationships with cruise selection attribute in partially. Fourthly,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motives and cruise selection attributes, tourism motivation has shown positive impact relationships with cruise selection attributes. Fif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motivation on purchase intention, tourism motivation has shown positive impact relationships with the purchase intention of cruise tourists. Six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the cruise selection attribute on the purchase intention, the cruise selection attribute has shown positive impact relationships with the purchase intention of cruise tourists. The practical implications presented based on the abov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consumers' lifestyles that have changed since COVID-19 are very important in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 behavior, and the tourism or cruise industry cannot be an excep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pay attention to market segmentation focusing on consumers' needs so that tourism motivation and cruise selection attributes can be identified according to consumers' lifestyles. Secondly, unlike package tou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uitable cruise product that can meet the purpose or desire of consumers, along with the business ability to accurately provide information such as the attractiveness of the cruise port area, different operation methods and services for each ship, and the differences in facilities and services of cruise ships. Thirdly, effective measures to increase sales should be prepared along with the build-up for a segmented marketing strategy to understand purchase intention that may directly influence as purchase behavior in various and complex purchase decisions according to changes in consumers' lifestyl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rrelation between tourism motivation, cruise selection attributes, and cruise tourists'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lifestyle due to the rapidly changed environment after the COVID-19 pandemic. It is expected to help recovery quickl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e cruise industry and further a follow-up study in the future by presenting implications in terms of strategic marketing. 인류는 COVID-19 대유행과 그로 인한 디지털 기술의 가속화로 인하여 역사상 유례없는 사회·경제를 비롯한 환경적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의 삶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전과는 다른 모습으로 우리의 라이프스타일 또한 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VID-19 대유행 이후 변화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관광동기 및 크루즈 선택속성, 나아가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을 통해 변화된 라이프스타일 시장세분화와 크루즈 잠재 수요의 동기, 그리고 크루즈를 선택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크루즈 산업의 빠른 회복과 지속 성장이 가능하도록 활성화하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헌적 연구와 실증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실증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대한민국 국적의 만 18세 성인을 대상으로 2022년 07월 01일부터 08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43부의 유효 설문지를 확보하여 분석하였다. 취합된 데이터의 통계처리를 위해 데이터코딩을 거쳐 SPSS Win. 25.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조사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파악과 국외여행 및 크루즈관광의 행태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항목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Alpha 값을 이용한 신뢰도 분석을 실행하였다. 그리고 변수의 하위요인을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실증분석 검증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스타일은 유행추구형, 지식추구형, 여가추구형, 안전추구형, 사회추구형의 5개의 유형, 관광동기는 일상탈출, 사회적 유대감, 휴양 및 휴식, 관광 및 문화탐방의 4개 요인, 크루즈 선택속성은 객실서비스, 인적서비스, 식음서비스, 선내 부대시설, 선내 프로그램, 가격, 기항지관광의 7가지 요인, 구매의도는 단일요인으로 도출된 측정항목의 분석을 통해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의 유형에 따른 관광동기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관광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채택되었다. 셋째,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크루즈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에서는 라이프스타일 유형 중 크루즈 선택속성에 정(+)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 채택되었다. 넷째, 관광동기가 크루즈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관광동기는 크루즈 선택속성에 정(+)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 채택되었다. 다섯째, 관광동기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관광동기는 크루즈 관광객의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부분 채택되었다. 여섯째, 크루즈 선택속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 결과로 크루즈 선택속성은 크루즈 관광객의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부분 채택되었다. 위의 실증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제시하는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 이후 변화된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은 소비자행동의 구매 행동에 있어 매우 중요하며, 관광 또는 크루즈 산업 또한 예외일 수 없다. 그러므로,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관광동기와 크루즈 선택속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소비자의 요구에 초점을 맞춘 시장세분화에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둘째, 패키지여행과 달리 크루즈 운항지역의 매력, 선사별 다른 운영방식 및 서비스, 크루즈 선박의 시설 및 서비스 차이 등의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업무적인 능력과 함께 소비자의 여행 목적이나 욕구를 충족을 시켜줄 수 있으며 동시에 만족을 줄 수 있는 적합한 크루즈 상품을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다양하고 복잡한 구매의사결정에서 구매 행동으로 직접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구매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세분화 마케팅전략 수립과 함께 판매를 증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COVID-19 대유행 이후 빠르게 변화된 환경으로 인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관광동기, 크루즈 선택속성, 크루즈 관광객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전략적 마케팅 대응 방안에 대한 시사점 제시를 통해 향후 크루즈 산업의 빠른 회복 및 지속 가능한 발전과 나아가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스포츠센터 고객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따른 서비스만족 및 센터 재구매

        박영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8703

        소비자의 욕구충족을 위한 마케팅 전략이 핵심적 과제로 등장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 있어 스포츠 소비자행동을 분석하는 작업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상업스포츠 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스포츠센터 고객의 라이프스타일 특성, 서비스 만족 및 센터 재구매의 관계를 분석 규명하여 상업스포츠센터 경영의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1년 현재 전라북도 전주시의 상업스포츠센터 시설 중 수영장, 볼링장, 헬스클럽/에어로빅, 테니스장, 골프(연습장) 등 스포츠센터에서 이들 스포츠 종목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스포츠 활동종목 및 지역을 고려한 유층집락 무선표집법(multi-stage stratified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총 897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사용된 방법은 설문지 기법이며, 구체적인 설문 문항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스타일 관련 문항은 Mayo(1975), Potts(1985), Wells와 Tigert(1971), Wells(1974) 등의 연구에서 사용한 라이프스타일 항목에 대한 설문 문항을 기초로 사용한 Evagelopoulos(1993)의 라이프스타일 측정 설문지를 임번장, 서희진(1999)이 번안하여 사용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둘째, 스포츠센터 서비스 만족에 관한 문항은 이덕성(1999)이 사용한 물적 서비스, 인적 서비스, 시스템적 서비스 문항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셋째, 스포츠센터 재구매 관련 문항은 김숙향(1991), 김홍설(1999)의 스포츠 소비 관련 항목 및 스포츠 경기 재관람 의사 관련 항목을 토대로 작성하여 서희진(2001)이 사용한 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한 통계분석 기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분산분석, 회귀분석, 구조모형 등이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포츠센터 고객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만족 및 라이프스타일의 특성에 따른 차이에 있어서 서비스 만족 및 라이프스타일은 성, 연령, 직업, 교육수준에서 대부분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개인 중심은 연령, 주관적 건강 정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TV 과시청은 주관적 건강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둘째, 스포츠센터 이용종목이 서비스 만족, 센터 재구매 및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포츠센터 이용 종목과 서비스 만족 및 센터 재구매는 헬스/에어로빅이 가장 높고, 테니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센터 재구매 의사의 관계에서 헬스와 골프 이용 고객이 재구매 의사가 높게 나타났으나, 테니스와 볼링 이용 고객은 낮게 나타났다. 스포츠센터 이용 종목에 따라 라이프스타일 중 친목 사교와 사회 참여, 종교 지향, 생활 과민에 차이가 있게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센터 고객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이 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물적 서비스는 친목 사교, 생활 과민, TV 과시청에, 인적 서비스는 친목 사교, 생활 과민에, 시스템적 서비스는 친목 사교, 생활 과민, TV 과시청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센터 고객의 서비스 만족 및 라이프스타일은 스포츠센터 재구매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센터 고객의 서비스 만족 및 라이프스타일 특성은 스포츠센터 재구매 가능성 및 의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포츠센터 고객의 라이프스타일 특성, 서비스 만족 및 센터 재구매의 관계에서, 라이프스타일은 스포츠센터 서비스 만족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센터 재구매에는 라이프스타일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서비스 만족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스포츠센터 고객의 라이프스타일 특성과 서비스 만족은 스포츠센터 재구매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스포츠센터 사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고객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만족도를 높여야 하며 고객중심의 입장에서 마케팅 전략수립 및 실행을 추진해야만 경쟁력 있는 스포츠센터를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analysis of the customers' mind is crucial in the modern society where marketing strategy is very important for the satisfaction of the custo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style characteristic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kinds of events and service satisfaction of sports center customer and reusing the cent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are the participants of the swimming pool, bowling center, fitness club, tennis center and golf club among the commercial sports center in Jeonju, Jeollabugdo. They are chosen by the multi-stage stratified random sampling considering the events and region. The valid samples are 897 persons at last among 1000 persons except the 103 persons whose validity are determined low.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he questionnaire. Lifestyle items are based on the Evagelopoulos's lifestyle items translated by Lim, Bunjang and Seo, Heejin, which extracted the lifestyle items used by Wells and Tigert(1971), Wells(1974), Mayo(1975), Potts(1985), by factor analysis. And the questionnaire of the sports center satisfaction is based on the item of material service and personal service, systematic service used by Lee, Deokseong and the center reusing standards are based on the items of sports consumption and center reusing used by Kim, Sukhyang and Kim, Hongseol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questions used by Seo, Heejin. To analyze the data,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regression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are used in this study. In this study, those following results are gathered by analysing the data through above approaches. Firstly, in the difference between sports center satisfaction of custom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ifestyle, material service showe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 income, occupation and personal service showe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 occupation and systematic service showe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 income, occupation. TV heavy viewing showe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subjective view of one's health condition. Secondly, the kinds of events appeared to influence on the reusing center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More specifically, fitness, golf and tennis were rather high in material service as the kinds of events and service satisfaction and fitness and swimming were high and tennis was low in personal service. Fitness, swimming, golf, bowling were high and tennis was low in systematic service. The relationship between reusing center and kinds of events fitness and golf participant's reusing opinions were rather high. But tennis and bowling participant's reusing opinions were low. Social contact, social participation, respect for religion and nervousness showed the difference. Thirdly, the lifestyle characteristics of the customers showed to influence on sports center satisfaction. Specifically, material service influences on social contact, nervousness, TV heavy viewing and personal service influences on social contact and nervousness and systematic service influences on social contact, nervousness and TV heavy viewing. Fourthly, sports center satisfaction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of customer influence on the opinion of reusing center. It showed that sports center customers' satisfaction influence on the opinion of reusing center. Fifthly,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satisfaction and center reusing opinion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influence on lifestyle directly in facility satisfaction and the lifestyle influences on reusing opinion not directly but indirectly by facility satisfaction As sum up those above results, the customers' lifestyle characteristics and service satisfaction influence on center reusing opinion greatly. So, to run sports center efficiently, the owner should run the competitive center by the strategy recognizing the difference of the customers' lifestyle and service satisfaction.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포츠이벤트 참여동기와 참여만족도

        김이영 全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change in perception that sports are not for only athletes but for the general public, and everybody can enjoy sports caused the number of sports events to increase. As a result, numerous sports club members and general public eagerly participate in the sports events, which shows that sports means more than just physical activity and that sports are recognized as leisure and recreation help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health. This study aims to corroboratively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the degree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among various groups depending on differ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nt's lifestyle and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style and the degree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are the participants of the sports event festivals held in Jeollabugdo. They are chosen by the multi-stage stratified random sampling considering event and region. The samples for the data of 206 persons out of 250 person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measuring tools for this study are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on lifestyl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the degree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The questionnaire on lifestyle was developed by Evagelopolos(1993) by selecting questions through factor analysis from lifestyle section of the questionnaire used by Mayo(1975) and Potts(1985), Wells and Tigert(1991), and Wells(1974) and adapted by Lim Bunchang and Seo Haejin(2000). The questionnaire on participation motivation is based on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by Ragheb and Beard(1980) and used by Kim Jihyun(1992) and Kim Hyoungiun(1992). The questionnaire on the degree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was developed by Ragheb and Beard(1980) and used by Kim Kyoungtae(1996) and Park Sujung. The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appli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or the study are valid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induced from the data analysis using above-mentioned methods and process. 1.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mong various groups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ists in the only case of the sports event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tivation of social participation exists in the case of age and participation period ; the notabl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exists in the case of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sports events, but does not in the case of sex, occupation and income. 2. Lifestyl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the degree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affects among themselves even 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some factors and characteristics.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most highly influences the degree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in the cognitive efficiency motivating factor and the educational satisfying factor. 3. Sports event participant lifestyle affects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especially the social gathering factor has positive effect, and social participation factor has negative effect. 4. The characteristics of sports event participant lifestyle affect the most areas of the degree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The factors of social gathering, emotional seeking, self-centeredness have positive effects, but social Participation factor has negative effect.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골프용품 구매행동과 구매만족도 관계

        최강옥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 용품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라이프스타일 특성이 구매행동과 구매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골프용품 구입에 대한 소비자들의 성향을 분석함으로써 골프용품 산업발달에 기여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라북도에 거주하며 골프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유층집락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총 413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라이프스타일 설문지는 Mayo(1975), Potts(1985), Wells와 Tigert(1971), Wells(1974) 등의 연구에서 사용한 라이프스타일 항목에 대한 요인 분석을 통해 추출하여 사용한 Evagelopoulos(1993)의 라이프스타일 측정 설문지를 국내의 임번장 · 서희진(2000)이 번안하여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고, 둘째, 구매행동 설문지는 김명회(2001), 허현미(1991) 등이 사용한 설문문항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여 완성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기법으로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골프 관련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라이프스타일 설문지는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구매행동과 구매만족도 설문지는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골프관련 일반적 특성,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구매행동 및 구매만족도, 골프관련 일반적 특성과 구매행동, 구매만족도 간의 관계는 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 t(F)검증, 사후검증(LSD)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 및 자료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골프 관련 일반적 변인에 대한 분석 결과 월 지출 비용빈도에 있어서는 연령과 직업, 월 평균수입에서, 골프 경력에 있어서는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월 평균수입에서, 골프참여동기는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월 평균 수입에서, 월 골프라운딩 빈도는 연령, 학력, 직업, 월 평균수입에서, 평균 타수는 성별, 연령, 직업, 월 평균수입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구매행동의 관계에 대한 차이 검증에 있어 매체의존 구매행동은 연령에 있어서, 합리적 구매행동은 직업에 있어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골프용품 구매자의 골프 관련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매행동의 차이 중 매체의존 구매행동에 대한 차이는 골프경력에서, 합리적 구매행동에 대한 차이는 월 평균 골프지출 비용과 골프 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골프용품 구매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구매만족도는 연령에 있어서, 골프 관련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매만족도는 골프경력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다섯째, 구매행동과 구매만족도간 상관관계는 구매행동 중 매체인자와 합리적 구매인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체의존 구매행동이 높을수록 구매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라이프스타일 요인과 매체의존 구매행동의 상관관계는 달성, 유행, 스포츠, 의지박약, 자기억제에서, 합리적 구매행동의 상관관계는 달성, 의지박약, 건강관리, 자기억제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일곱째 , 라이프스타일 요인과 구매만족도 요인과의 상관관계는 달성, 스포츠, 허무, 건강관리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he consu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ifestyle influence consum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and, based on this, to contribute to the golf-industry by analyzing consumers' behavioral intentions. To achieve the goal, a group of amateur golf players living in Jonbuk province was selected as the target population and 413 of them were extracted by using stratified cluster sampling. Utilizing Bun-Jang Yim and Hee-Jin Seo's (2000) survey scale which translated Evagelopoulo's (¸°993) lifestyle survey based on Mayo's (19?), Potts' (1985), and Wells and Tigert's (1971) lifestyle list by using factor analysis, this study was examined. The second source is that Myung-Hee Kim's (2001) and Hyun Mi Hur's (1991) surveys were used and rebuilt for the survey related to consumer behavior. Analysis of the responses was conducted by (a) frequency analysis for demographic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golf (b)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for lifestyle survey (c) reliability test for consumer behavior and satisfaction survey (d) ANOVA, regression analysis, F-test, and LSD for relations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general features related to golf, and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behavior/satisfaction, and between general features related to golf and consumer behavior/satisfac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correlations between some demographic factors and general features related to golf are significantly hi e finding are as follows: (a) expenditure frequency/mo. and age, occupation, and income/mo. (b) playing career and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and income/mo. (c) motivation of starting playing golf and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and income/mo. (d) frequency of rounding and age,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and income/mo. (e) average score and gender, age, occupation, and income/mo. Secondly, two demographic factors (age and occupation) are highly related to consumer behavior: (a) age and consumer behavior depending on media (b) occupation and rational consuming behavior. Thirdly, two consumer behavior pattern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some general features of golf players: (a) consumer behavior depending on media and playing career (b) rational consuming behavior and golf-related expenditure frequency / playing career. The fourth finding is that age and playing career are respectably related to consumer satisfaction Fifth, media factor and rational consuming factor are significantly related. In addition, the higher consuming behavior depending on media is, the stronger satisfaction is. Sixth, some lifestyle factors (achievement, fashion, sports, weak-minded, and self-control) are positively related to consuming behavior relying on media. In addition to the factors, such as achievement, weak-minded, and self-control, health care is related to rational consuming behavior. The last result is that some lifestyle factors (achievement, sports, emptiness, and health care) and satisfaction factor are highly related.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여행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 국외여행상품을 중심으로

        최혜경 京畿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8703

        所得의 증가로 대중 소비시대가 도래하면서 다양한 층들이 소비에 본격적으로 참여함에 따라 消費樣態가 다양화하기 시작하여 필수적 소비단계에서 획일적인 소비양태에서 벗어나 기존의 합리성과 이성적 행위에 바탕을 둔 행동들이 변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소비자욕구가 다양화된 現代의 旅行市場에서 인구통계적 기준만으로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불충분하므로 價値觀, 生活儀式, 生活行動 등이 복합되어진 라이프스타일을 기준으로 한 여행시장세분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硏究는 旅行客의 요구와 욕구에 부응하는 고객지향적인 국외여행상품 개발을 위하여 라이프스타일의 槪念을 도입하여 旅行市場을 세분화하였다. 이러한 硏究의 目的을 달성하고자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연구의 방법 및 범위를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라이프스타일 개념과 접근방법, 여행자 행동의 개념과 영향요인, 여행시장세분화, 라이프스타일과 旅行市場細分化와의 상관성, 선행연구에 대하여 체계적인 이론을 논하였다. 제3장에서는 제2장의 理論的 背景을 토대로 국외여행상품을 구매만 여행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국외여행상품 구매성향 차이검증과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국외여행상품 구매성향의 차이검증을 하였다. 여기서 실증분석의 結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라이프스타일 항목에 대한 要因分析으로 ① 독립형, ② 활동형, ③ 자아실현형, ④ 알뜰구매형, ⑤ 리더형, ⑥ 자기충실형, ⑦ 사회문제 관심형, ⑧ 사회통념 탈피형, ⑨과시형, ⑩소심형으로 10가지로 區分되었다. 10가지 요인에 대해 조사대상자들의 동질적인 집단으로 묶어주기 위하여 군집 분석을 실시하여 5개 집단으로 분류하여 제1집단은 진취적 활동형, 제2집단은 합리적 생활만족형, 제3집단은 전통적 알뜰형, 제4집단은 보수적 생활무관심형, 제5집단은 진보적 사회관심형으로 命名하였다.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國外旅行商品 購買性向을 보면, 방문지역에서는 집단1은 미주, 집단2는 동남아시아, 호주, 뉴질랜드, 집단3은 유럽, 집단4는 일본, 하와이, 괌, 사이판, 집단5는 유럽, 미주지역으로 나타났으며, 여행기간에서는 집단1은 11-15일, 집단2는 5일이하, 집단3은 11-15일, 집단4는 5일이하, 집단5는 5일이하로 여행기간에서는 주로 5일이하나 11-15일 정도가 많이 차지하고 있다. 國外旅行商品 類型으로는 집단1과 집단4는 해외연수상품, 집단2와 집단3, 집단5는 관광여행상품, 특히 집단5는 배낭여행상품에 관심을 높이 보이고 있었으며, 국의여행상품에 대한 가격은 집단1과 집단3은 201만원이상, 집단2와 집단5는 50-100만원, 집단4는 50만원 미만으로 구입하였으며, 국외여행상품 구매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내용으로는 전반적으로 각 집단마다 방문지역, 여행상품 유형, 여행상품 가격, 여행상품 일정의 순으로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人口統計的 特性에 따른 국외여행상품 구매성향에서는 성별, 결혼여부, 연령, 가족구성, 교육수준, 직업, 소득에 따라 몇가지를 제외하고는 영향을 미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제4장에서는 實證分析結果에 대한 해석 및 시사점을 제시하여 연구의 분석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구매성향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또한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국외여행상품 구매성향에서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제5장은 결론으로 고객지향적인 마아케팅을 위한 국외여행상품 개발에서는 라이프스타일과 인구통계적 특성에 맞는 각각의 商品開發이 필요하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객지향적인 마아케팅을 위한 단계로 국외여행상품을 구매한 여행객의 라이프스타일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여행시장세분화를 위한 단계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국외여행상품 구매성향을 알아보았으며 또한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국외여행상품 구매성향을 알아보았다는데에 意義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다. 첫째, 조사대상자에 대한 한계점으로 서울시 일반여행업체의 국외여행상품을 구매한 여행객으로 제한하였으므로, 본 硏究의 結果를 전국 여행업체의 여행객에게 적용하기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둘째, 라이프스타일 변수를 30개로 한정하여 旅行客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해 포괄적인 결과를 얻었다고는 할 수 없으므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變數를 보다 많이 택해야 할 것이다. 셋째, 조사시기가 9월이였으므로 국외여행상품 購買性向이 다를 수 있는 계절적·시간적인 차이를 둔 조사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여 향후 硏究에 있어서는 보다 신뢰성있고 심도 있는 연구가 되길 바란다. The personal income & the living standard by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nation grow larger every year namely, the industrialized modern society has seen the abrupt change in the life-style, not for wealth-oriented but for leisure-oriented. Therefore in accordance with the prevailing recognition of the best use of the leisure time result from the change of their life-style, in these days, national income for travel is gradually increasing more and more. A kind of leisure, they have taken a trip. For increase of the consumer's disposable incomes and increase of their surplus-time promote the travel, so the travel agency is facing on the era of the consumer-oriented. The travel agency considred the consumer's desire as a way for survival. Consumers no longer want uniformity, and many of them want to maintain their life-style. Consumers are very diversification, If we want to survive in this condition, we have to subdive them more minutely. The satisfaction of the diversifying and ever changing customer can be achieved through a market segmentation. In this point of view, we will have a grasp of the life-style of the traveler. To carry out this study, I divided into 5 chapters.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and the method of this thesis are described. In the second chapter, the theoretical research relate to the life-style examined. The third chapter is a empirical research. the empirical research analyzed and verified by using SAS. As a result of collecting questionnaire from the traveler, 10 different types ar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 ⓛ self-reliance type ② activity type ③ superoriety type ④ prudent type ⑤ type of leader ⑥ self-centered type ⑦ social-oriented type ⑧ emerge from the social ideal type ⑨ ostentation-oriented type ⑩ cautious-oriented type. The fourth chapter is a suggestion and the fifth is a conclusion. This study has two limitations which can offer the direction of the study in the future. First, It's the subject of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subject restricted only the traveler of outbound travel agency in seoul. so, it's difficult that results of this study apply consistently the travel product. Second, it's the attributes of life-style. In this study has only 30 attributes. So I can't convinced that this study is right. I hope that a good study will be conduct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 on the future.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국내 오페라 관객특성에 관한 연구

        김연수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conducted a positive survey to understand how opera audience's behavior of selection is transformed based on their lifestyle. Following is the object of this study. First, to examine the lifestyle variable that can influence opera audience's behavior of opera selection and to segmentalize the opera audience market based on it. Second, to draw out the selective attribute of opera watching to examine its internal level, and to analyze posi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iously mentioned lifestyle variable and the selective attribute. For that, this study theoretically considered the definition, analyzing method and materialization cases of lifestyl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market segmentalization, and established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opera, opera and marketability and the concept of consumer's behavior and market segmentalization. For a positive analysis,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18 to 60 years old males and females who have at least once experienced opera as an opera audience in Seoul, Busan and Daegu. Data were collected by convenient sample extraction. Total 7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but 614 sheets except for those answered unfaithfully were used by coding the samples. Frequency analysis, credibility and validity analysis, searching factor analysis, ANOVA and community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Pc+win 12.0 according to statistical technique. Out of factor analysis of the whole respondents, 6 factors were drawn out like family-centered type, society type, culture-oriented type, steady effort type, displaying tendency type and self-centered type. Centering around self-centered type, displaying tendency type, family-centered type and culture-oriented type that are fit to this study, the selection attributes(cultural life pursuit type, leisure life and purpose-oriented type) and the convenience pursuit type(convenience of use, quality of works and promotion activity) of opera performance were analyzed according to audience's lifestyle type. The research hypotheses and the test results are shown below. Summary Hypothesis 1 Lifestyle type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consumers' characteristics variables(sex distinction, age, major, marriage, job and academic level). Adoption Hypothesis 2 Lifestyle type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social and economic variables(expenditure per person). Adoption Hypothesis 3 Lifestyle type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consumption pattern( weekday and number of use). Rejection Hypothesis 4 Opera selection variable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ifestyle type. Adoption Hypothesis 4-1 The convenience of opera use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ifestyle type. Adoption Hypothesis 4-2 The quality of opera work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ifestyle type. Adoption Hypothesis 4-3 The selection of opera marketing activity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ifestyle type. Adoption Hypothesis 5 The convenience pursuit type of opera watching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ifestyle type. Adoption Hypothesis 5-1 The cultural life pursuit of opera watching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ifestyle type. Adoption Hypothesis 5-2 The leisure of opera watching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ifestyle type. Adoption Hypothesis 5-3 The purpose-oriented type of opera watching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ifestyle type. Adoption Analysis showed that all the factors designated as consumers' characteristics variables as well as the expenditure per person and income of opera audience were related to the lifestyle type.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opera audience's day and number of use was not related to the lifestyle.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selection attributes and convenience pursuit type of opera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lifestyle type. In this study, the segmentalized groups according to the lifestyle were regarded as groups representatively using each selectional attribute of opera performance in opera performance market. Followings are the suggestions for marketing strategy based on the consumption behavior of opera watching ; First, displaying tendency type and family-centered type groups should be selected as target market to expand the opera audience. In other words, in case of displaying tendency type and family-centered type out of opera audience's lifestyle type, these groups tend to select an opera in respect of cultural life pursuit like culture acquisition,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nd pride for cultural life, and will increase afterward. On the other hand, self-centered types tended to select an opera performance in respect of purpose-oriented rather than for cultural life pursuit or leisure life. Second, as opera audience of displaying tendency type is active, prefers high class brand and is highly narcissistic,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high class automobile-related marketing strategy to the opera marketing strategy in order to expand the pool of this type's opera audience. Lexus has a good command of a thorough differentiated strategy as it emphasizes an independent brand identity by providing the superior(premium) customers with service intensively and raising the loyalty of customers. The loyalty of opera audience might be raised by applying such strategy to opera-related marketing and establishing a homepage for opera audience to provide them with concrete information of opera or to let them write their opinion of opera, opera preferred or a leading actor. Third, to expand opera audience, a differentiated strategy of opera ticket price should be conducted. It is desirable that displaying tendency types and family-centered types with low price elasticity of demand should be induced to high-price opera tickets, and self-centered types and culture-oriented types with low price elasticity of demand should be induced to low-price opera tickets. Fourth, it is required to plan opera works for youths who are highly interested in arts. Since youths prefer new themes that they can enjoy lightly rather than seriously with their sweetheart or friend, a new production and composition should be prepared to meet their interest and musicality. They are likely to be devotional opera audience afterward who will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opera performance, so it is necessary to plan opera works to meet their desire. Fifth, the quality of an opera was found out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secure constant opera audience. All of the opera audience regarded the quality of a work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they select one, and preferred traditional Italian operas and works rearranged into modern ones. Therefore more effort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opera, so the strategy is demanded to meet the opera audience's desire by performing more modern opera works. Sixth, opera house side should consider the audience's convenience of use. The convenience of use as a selectional factor of audience was also found out to be important. Especially audience of displaying tendency type regarded the convenience of use out of selectional attributes of opera hous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Youths, especially more females than males were found out to be displaying tendency type. As females take the majority of audience in opera house, efforts should be exert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for females. Lastly, a continuous activity of promotion is desired concerning opera performance. The activity of promotion was found out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all the lifestyle type, but especially displaying-oriented type groups were more sensitive to the activity of promotion. Accordingly it looks appealing to command the marketing that emphasizes "value" etc. This study is limited in expanding and interpreting the opera market according to the entire opera audience's lifestyle as it uses convenient sample extraction method in selecting the region and personnel of sample object. Therefore it is required to verify continuously for generalization of this model of study.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오페라 관람객을 중심으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서 관람객의 오페라관람 선택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실증조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첫째, 관람객의 오페라관람 선택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라이프스타일 변수를 규명하고 이를 통하여 오페라 관객시장을 세분화해 보고자 하였다. 둘째, 오페라관람의 선택속성을 추출하고 이의 내재적 차원을 규명한 후, 앞서 제시한 라이프스타일 변수들이 이들 선택속성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의, 분석방법, 유형화 사례 및 라이프스타일과 시장세분화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오페라의 정의 및 특성, 오페라와 시장성, 소비자 행동 및 시장세분화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서울, 부산, 대구에서 오페라공연을 관람한 경험이 있는 만 18세부터 60세까지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조사는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총 700부를 배포하였으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한 총 614부를 표본의 코딩에 의해 사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신뢰성과 타당성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분산분석, 군집분석을 하였으며, SPSS/Pc+win 12.0을 이용하여 통계기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전체 응답자들의 요인분석 결과, 가족중심형, 사교형, 문화지향형, 건실노력형, 과시성향형, 그리고 자기중심형의 6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나, 본 연구에 잘 맞는 자기중심형, 과시성향형, 가족중심형, 문화지향형을 중심으로 오페라관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오페라 공연의 선택속성(문화생활추구형, 여가생활, 목적지향형)과 편익추구유형(이용의 편의성, 작품의 품질, 촉진활동)을 분석하였다. 가설검정 결과를 전체적으로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가설검정 요약 채택여부가설 1 소비자특성변수(성별, 연령, 전공여부, 결혼여부, 직업, 교육 수준)에 따라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채택가설 2 사회경제적 변수(1인지출비용, 소득)에 따라 라이프스타일유형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채택가설 3 소비행태(요일, 이용횟수)에 따라 라이프스타일유형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기각가서 4 라이프스타일유형에 따라 오페라 선택속성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채택가설4-1 라이프스타일유형에 따라 오페라 이용 편의성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채택가설4-2 라이프스타일유형에 따라 오페라 작품의 품질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채택가설4-3 라이프스타일유형에 따라 오페라 판촉활동에 대한 선택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채택가설 5 라이프스타일유형에 따라 오페라 관람의 편익추구 유형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채택가설5-1 라이프스타일유형에 따라 문화생활추구형 측면에서의 오페라 관람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채택가설5-2 라이프스타일유형에 따라 여가적 측면에서의 오페라 관람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채택가설5-3 라이프스타일유형에 따라 목적지향형 측면에서의 오페라 관람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채택 그 결과 소비자특성 변수로 지정한 모든 요인이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사회경제적 변수인 오페라관람객의 1인지출비용 및 소득 또한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연과성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오페라 관람객들의 이용요일 및 이용횟수는 라이프스타일과 연관성이 없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오페라공연의 선택속성 및 편익추구유형에는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세분화된 집단들을 오페라공연 시장에서 각각의 오페라 공연 선택 속성을 이용하는 대표하는 집단으로 간주하고 각 집단의 특성과 이들의 전반적인 오페라공연 관람 소비행태를 토대로 한 마케팅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페라 관람객들의 확대를 위해서는 과시성향형과 가족중심형 집단을 표적시장(target market)으로 선정하여야 한다. 즉 오페라 관람객들의 라이프스타일 유형 중 과시성향형과 가족중심형의 경우 교양습득과 삶의 질 향상, 문화생활을 위한 자부심 등 문화생활추구 측면에서 오페라관람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고, 향후 이 유형의 집단은 증대될 것이다. 반면에 자기중심형은 문화생활추구나 여가생활을 위해 오페라 공연을 선택하는 것 보다는 목적지향 측면에서 선택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나났기 때문이다. 둘째, 과시성향형인 오페라 관람객들은 활동적이며 고급브랜드를 선호하며, 자기애가 강하므로 이러한 유형의 오페라 관람객의 저변확대를 위해서는 고급자동차 관련 관계마케팅 전략을 오페라 마케팅전략에 응용할 필요성이 있다. 럭세스는 우수(프리미엄) 고객에게 서비스 제공 노력을 집중하는 방법으로 독립적인 상표정체성을 강조하고, 고객의 충성도를 높이는 등 철저한 차별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을 오페라 관계마케팅에 응용하여 오페라 관람객 홈페이지를 구축하여 오페라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또한 오페라를 본 소감이나 보고 싶은 오페라, 주연배우 등을 홈페이지에 작성하게 함으로써 오페라 관람객의 충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오페라 관람객들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오페라 입장권의 가격차별화 전략을 구사해야 할 것이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낮은 과시성향형과 가족중심형에게는 고가의 오페라 입장권판매를 유도하고, 가격탄력성이 높은 자기중심형과 문화지향형에게는 저가의 입장권을 판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예술에 관심이 높은 젊은층을 위한 오페라 작품을 기획할 필요가 있다. 젊은층은 연인과 친구와 같이 무거운 주제보다는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주제를 선호하거나 새로운 것을 추구하므로 이들의 흥미와 음악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연출과 구성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들 고객층은 향후 충성적인 오페라 관람객으로 오페라의 공연의 확대에 주요 고객이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들의 욕구에 부응하는 오페라 작품을 기획할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지속적인 오페라 관람객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오페라 작품의 품질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모든 오페라 관람객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오페라 선택요인으로는 작품의 품질이 선정되었으며, 또한 정통이태리 작품 및 현대물로 재편성된 작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오페라 작품 품질의 향상에 보다 많은 노력이 요구되므로 현대물의 오페라작품을 보다 많이 공연하여 오페라 관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전략이 요구된다. 여섯째, 오페라 공연장은 관람객들의 이용의 편의성 측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관객들의 선택요인으로 이용의 편의성을 또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시성향형 관람객의 경우, 오페라공연장 선택속성에서 이용의 편의성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하고 있었다. 또한 젊은 세대들,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과시성향형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오페라 공연장의 경우에는 여성 관람객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여성들을 위해 공연장 이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노력할 필요성이 있다. 일곱째, 오페라 공연과 관련된 지속적인 촉진활동이 요망된다. 모든 라이프스타일 유형에서 촉진활동은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지만, 특히 과시지향형 집단의 경우 촉진활동에 보다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가치" 등을 강조하는 마케팅을 구사하는 것이 호소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표본대상의 지역, 인원 및 선정에서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전체 오페라관람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오페라시장을 확대 해석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본 연구모형의 일반화를 위한 지속적인 검정이 요구된다.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해외여행상품 선택속성 중요도와 여행목적지 선호도에 관한 연구

        박재훈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개인의 소비행위 전과 후를 종합적이고 습관행위까지 설명해줄 수 있는 라이프스타일은 소비자 설명변수로 지속적 일관성을 지니고 있는 특징이 있다. 개인들의 일시적이거나 일정기간의 선택행위들은 자신들이 만족시키려고 노력하는 자신들 특유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표출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구통계학적 변수들과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해외여행상품 선택속성 중요도와 해외여행목적지 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해외여행상품 선택속성 중요도가 여행목적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소비자가 만족할 수 있는 여행상품 개발과 대고객 마케팅 전략수립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여행상품과 선택속성, 여행목적지 선호도,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해외여행객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하였다. 실증조사를 위한 설문지는 여행객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관한 질문 5문항,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질문 36문항, 해외여행상품 선택 속성 중요도에 관한 질문 18문항, 해외여행목적지 선호도에 관한 질문 1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설계를 하기위한 표본은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해외로 출국하는 여행객을 대상으로 총 300부를 배포하여 응답내용이 부실한 4부를 제외한 296부를 가지고 실시하였으며 조사된 설문지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ANOVA, 군집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결과 라이프스타일은 적극적 인간관계형, 자아신뢰형, 창작만족형, 가족중심형, 엔터테인먼트 소비형, 개인성공 추구형의 6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6가지 요인에 대해 조사대상자들의 동질적인 집단으로 묶어주기 위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3개군집으로 분류하여 제1군집은 자아․가족 추구형, 제2군집은 소극형, 제3군집은 적극적 삶 추구형으로 명명하였고 각 군집만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여행상품 선택속성요인은 여행사와 상품, 숙박시설, 가격, 식사, 여행목적지 5가지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여행목적지 선호도는 2000-2007 각년도 종합을 기준으로 해외여행출국자수 상위 5개국 중국, 일본, 미국, 태국, 필리핀으로 구분되었다. 본 논문에서 설정한 가설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해외여행상품 선택속성 중요도의 차이는 숙박시설 요인, 식사 요인, 여행목적지 요인은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고, 연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사와 상품 요인, 여행목적지 요인은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업에 따른 차이는 여행사와 상품 요인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소득에서는 여행목적지 요인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해외여행목적지 선호도의 차이는 동남아여행 선호 요인과 중국여행 선호 요인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연령에 따른 차이는 동남아여행 선호 요인, 일본여행 선호 요인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는 동남아여행 선호 요인, 일본여행 선호 요인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해외여행목적지 선호도 중에서 동남아여행 선호 요인과 일본여행 선호 요인은 직업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월소득에 따른 해외여행목적지 선호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해외여행목적지 선호도 차이는 동남아여행 선호 요인과 일본여행 선호 요인 그리고 중국여행 선호 요인은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국여행 선호 요인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해외여행상품 선택속성 중요도 차이는 가격 요인과 여행목적지 요인 그리고 식사 요인은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여행사와 상품 요인과 숙박시설 요인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해외여행상품 선택속성 중요도가 해외여행목적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은 숙박시설 요인과 여행목적지 요인은 동남아여행 선호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본여행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숙박시설 요인과 가격 요인과 식사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가격 요인과 여행사와 상품 요인은 미국여행 선호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국여행 선호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숙박시설 요인과 여행목적지 요인과 식사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검증결과를 토대로 볼 때 해외여행상품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아울러 여행사들도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여행사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각기 상이한 라이프스타일을 가지고 있는 여행객들이 해외여행상품을 구매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선택속성과 이러한 것들이 여행목적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치열한 경쟁 환경 속에서 생존과 경쟁적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시장을 세분화하여 공략할 필요성이 요구되며 세분화된 시장에 따른 차별적인 마케팅활동과 대응전략이 요구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의 진행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해외여행목적지 선호도에서 태국, 필리핀, 중국, 일본, 미국에 대한 선호도로 한정하였다. 이는 여행객들이 여행사를 통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해외여행목적지 이긴 하지만 더욱 다양하고 세분화된 목적지를 제시한다면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리고 여행목적지 선호도에 있어서 해당 여행목적지 여행경험에 따라 선호도의 변화를 관찰하여 더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변수에서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월소득 이외의 변수를 추가한다면 라이프스타일 변수와 함께 더욱 세분화된 시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다 의미 있는 연구가 되리라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