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생들의 띄어쓰기 실태와 지도 방안 연구 : 제천지역7‧8‧9학년을 중심으로

        최성진 세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충청북도 제천시 소재의 중학생 중, 학년별 2개 학급씩 총 6개학급의 중학생 170명에게 실시한 띄어쓰기에 대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년별 사용 실태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설문조사는 학습자들을 맞춤법이나 기타 띄어쓰기에 대한 배경학습의 시행여부로 7.8학년과 9학년으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실태 분석은 7.8학년과 9학년 학습자들 각각에 대해 띄어쓰기의 올바른 경우, 그리고 올바르지 않은 경우를 확인해 보고 그에 대한 오류가 나타나는 이유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각 학습자 간 유사한 경우와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 등도 추가로 분석하였다. 다음은 이와 같은 실태조사를 통해 확인된 학습자들의 띄어쓰기에 대한 대표적인 오용의 원인들이다. 첫째, 학습자들의 오용은 홀로 쓰이지 않는 단어들을 다른 단어와 붙여 쓰거나 띄어 쓰려는 경우가 그것이었다. 둘째, 단어의 쓰임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부족으로 인한 오용이었다. 셋째, 띄어쓰기에 대한 실제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문법의 올바른 정리나 적용의 부족에서 생겨난 경우였다. 넷째, 띄어쓰기의 예외 조항이나 기타 특수한 경우에 대한 구분의 문제로인 한 오용이었다. 이상에서와 같은 오용의 원인들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었던 것은 체계적인띄어쓰기에 대한 구체적 학습 과정 안의 필요성이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학습과정에 대한 조정이나 추가가 한순간에 이뤄 질 수 있는 문제의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당분간은 지속적이고 꾸준한 문제해결방식의 반복 학습을 통해서 이와 같은 용법상의 혼동이나 혼선 등을 어느 정도 줄여 나가야 할 것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학습 과정의 체계화를 이루기 위한 단계별 학습 과정 안 제시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끝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직접 적용해보고 보완해 나갔어야 하지만 개인적인 여건의 한계로 그러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남았다. 따라서 앞으로도 본고에 대한 과업 연구와 방안 모색은 꾸준히 지속하여 조금 더 성과 있는 연구가 되도록 노력 하겠다.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state of words spacine and investigated the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result of questionnaire on words spacing writ tenby 170 middle school students of 2 classes from each grade thus 6 classes in total in a middle school located in Jecheon, Chunchungbukdo.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grade 7 and 8, and grade 9 by whether or not is undergone the background study of words spacing and orthography and wrote the questionnaire. To analyze the actual state, this study reviewed the correct cases and incorrect cases in each of grade 7 and 8, and grade 9 students, and analyzed the causes of these errors. At the same time, the case which the students are indifferent and the case which the students are different were analyzed additionally. Followings are the causes of the typical misuses of words spacing frequently done by studen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First, the students' misuses were made by putting a space or between the words that are not used alone or writing those words together with other words. Second, the students' misuses were incurred from poor understanding of the use of words. Third, the students' misuses were incurred from the lack of application and definition of grammars on words spacing taught in the classes. Fourth, the students' misuses were incurred from the problems of identifying any exemptions or special cases in words spacing. From the result exhibiting the causes of misuses, it could be found that a specific teaching method about proper words spacing is strongly required. However, since these corrections and revisions can be applied to current academic curriculum at once, these confusions on grammatical use should be gradually reduced through the continuous iterative learning for a while. However ,it is clear that a provision of a step level teaching method to systematize the learning process is strongly required. Lastly, although the developed method should be applied in real field of education and the weaknesses should be revised, it could not be done due to the limitations in real conditions. Therefore, through continuous investigation on the method and this study, the researcher will spare no efforts to make it a fruitful study.

      • 초등 학습자를 위한 띄어쓰기 지도 방안 연구

        최효운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for learners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others. Communicating smoothly means being able to accurately communicate one's intentions to the other person beyond simply understanding and acquiring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Among the expressive functions of the Korean language, accuracy and clarity are more important because writing can express one's intention through the writing results, unlike speaking that can express through situations. In order to clearly understand the intention, word spacing is essential. But the importance of word spacing in elementary school is overlooked. There is no contents about word spacing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Korean education curriculum, and it appears only as part of a lesson in one unit of the textbook. Therefore, teachers do not instruct about meaningful word spacing to learners, but only provide some advices about word spacing for revising. At the result, learners can get a negative perception of word spacing and it can prevent learners from learning about word spacing by themselv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education curriculum and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guides, find problems in word spacing in elementary school, and design a learner-centered word spacing instruction method for elementary school learners. So in the study, there is the instruction method composed of a total of 6 steps, and it is designed so that the learners can learn the word spacing by themselves. And also an activity book is composed in the step-by-step order of the word spacing instruction method so that it can be used usefully for learning. And after instructing the word spacing, a follow-up surveys show the effectiveness of word spacing instruction. The purpose of word spacing is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others, but in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word spacing is not considered important. And the proportion of word spacing in the curriculum of Korean education and textbooks is small. In elementary education, Language recognition and acquisition should occur actively. But if learners only get the knowledge by one-sided way not study by themselves, that can make learners to have the wrong habit of word spacing. Therefore,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teach word spacing at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for learners to understand and apply word spacing only with the knowledge that teachers instruct without a systematic Instruction method for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learners-centered instruction method that can be repeatedly learned and applied. So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elementary school learners, because it suggests systematic step-by-step word spacing method. I hop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ill establish the word spacing education and the researches about word spacing instruction method will be actively carried out through diverse and in-depth discussions. After that, I also hoped the diverse word spacing instruction methods will be materialized in elementary schools and developed. 국어 교육의 목표는 학습자가 타인과 원활하게 소통하는 것이다. 원활하게 소통한다는 것은 단순히 국어 지식을 이해하고 습득하는 것을 넘어 자기 의사를 상대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국어의 표현 기능 중, 상황을 고려하여 표현할 수 있는 말과 달리 글은 최종 결과물을 통해 자기 의사를 표현할 수 있기에 그 정확성과 명확성이 더 중요하다. 의사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띄어쓰기가 필수적이지만 학교 현장에서의 띄어쓰기 교육의 중요성은 간과되고 있다. 현행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상 띄어쓰기에 관한 내용은 부족하며 오직 교과서의 한 단원의 일부 차시 내용으로만 등장한다. 그렇기에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유의미한 띄어쓰기 지도를 하지 못하고 학습자들의 쓰기 결과물을 검사하고 평가하는 수준의 지도만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띄어쓰기 학습은 학습자들이 띄어쓰기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하며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띄어쓰기를 학습할 기회를 막는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와 지도서를 자세히 분석하여 초등학교 띄어쓰기 교육의 문제점을 찾고 초등 학습자를 위한 학습자 중심의 띄어쓰기 지도 방안을 설계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 논의한 내용을 장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띄어쓰기 지도 방안 설계의 방향과 지향점을 얻기 위하여 연구에 필요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맞춤법과 띄어쓰기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띄어쓰기 지도 내용 연구, 띄어쓰기 지도 방안 연구에 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띄어쓰기 지도 방안 설계의 지향점을 정리하였다. Ⅱ장에서는 현행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1~6학년 국어 교과서, 국어 활동 교과서 그리고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였다. 학습 목표 도달에 필수적인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내용 요소 속 띄어쓰기 내용을 살펴보고 교육과정이 반영된 교과서와 지도서에는 띄어쓰기가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통해 띄어쓰기 교육의 문제점을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학습의 실제성을 반영하기 위해 띄어쓰기에 관한 학습자 인식 및 사용 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가 담임교사로 있는 초등학교 3학년 학습자 25명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 띄어쓰기에 관한 학습자들의 인식 및 사용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띄어쓰기 지도 방안의 지향점에 대해 정리하였다. Ⅳ장에서는 앞선 Ⅱ장과 Ⅲ장에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학습자를 위한 띄어쓰기 지도 모형을 설계하고 학습에 필요한 활동책을 개발하였다. 지도 모형은 총 6단계이며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학습 내용을 탐구하며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띄어쓰기 지도 모형의 단계 순으로 활동책을 개발하여 학습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띄어쓰기 지도 후 띄어쓰기 인식 및 사용 실태 사후 조사를 실시하여 띄어쓰기 지도 방안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띄어쓰기는 타인과 원활하게 소통하기 위함이 목적이지만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띄어쓰기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으며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 또한 작다. 언어 인식 및 습득과정이 활발하게 일어나야 할 초등 국어 교육에서 이를 비중 있게 다루지 않는 것은 학습자들이 잘못된 띄어쓰기 습관을 갖게 할 수 있다. 그렇기에 초등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띄어쓰기를 지도하는 것은 꼭 필요하다. 또한 체계적인 지도 방안 없이 교사가 일방적으로 지도하는 것은 학습자들이 띄어쓰기 규정을 이해하고 적용하기 어렵다. 그렇기에 학습자가 중심이 돼서 학습하고 적용할 수 있는 지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체계적인 띄어쓰기 지도 방안을 설계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초등학교 띄어쓰기 지도 방안 연구에 관한 다양한 논의와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실행을 통해 초등학교 국어 교육에 띄어쓰기 교육이 자리 잡고 초등 학습자를 위한 띄어쓰기 지도 방안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바란다.

      • 띄어쓰기 오류 실태 연구 : 중학생 글을 대상으로

        김수진 창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Spacing is part of the spelling system that makes it easier to use written language. That aims at conveying the meaning of sentences in an accurate manner. In other words, that is mandatory for reading efficiency. As every single word has its own separate concept, word spacing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any possible misunderstanding in advance and to make out the meaning of writing. In fact, however, spacing education isn't yet on the right track, and students don't pay attention to that, either.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that should be developed, and in order to make it happen, what errors students make in spacing should be grasped first of 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rrors that middle schoolers made in the use of parts of speech including postposition, bound noun, auxiliary declinable word, prenoun and adverb.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the spacing of postposition, the students investigated didn't make a frequent errors in general, which indicated that they were aware of the spacing principles for postposition. By the type of postposition, they made the greatest errors in spacing auxiliaries, which implied that although they had a full understanding of the spacing principles for postposition, they didn't get an accurate grip on the types of post- position. They made a more frequent error in spacing bound nouns than postpositions. Among bound nouns, the error rate for universal bound nouns was higher, and they didn't understand well how to space ‘것 ‘지’, and ‘줄’ that were respectively a universal bound noun, subjective bound noun and adverbial bound noun. They should receive education about bound noun and how to discriminate between postposition and the ending, as the two might easily be confused with each other. There was a strong tendency for most of the students to write auxiliary declinable words without spacing them. They didn't know when auxiliary declinable words needed space, and the reason seemed that they couldn't discriminate between auxiliary declinable words and declinable words or between compound declinable words and declinable words added by auxiliary declinable words. In the event of prenoun spacing, the error rate of demonstrative prenoun spacing was higher. In particular, they made a frequent error in spacing attribute prenoun ‘옛, 첫’, demonstrative prenoun ‘그, 이’, and numerical prenoun ‘명’. It signified that all of them made a frequent error in spacing single-syllable prenouns. Besides, they confused prenoun with prefix, which led to another spacing errors. Specifically, they should learn about single-syllable prenoun so that they could distinguish it from complex word. In the event of adverb spacing, the error rate of ingredient adverb spacing was higher, which denoted that they didn't get a full grip on ingredient adverb, and that they weren't well conscious of spacing, either. Like the case of prenoun, they especially made a frequent error in spacing single-syllable adverbs. As for the spacing of single-syllable noun, compound word and ending, they made an error often on spacing single-syllable nouns. They had a strong tendency to attach a single- syllable noun to the previous word, viewing it as part of the previous word. Thus, they didn't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single-syllable noun. In terms of compound word spacing, they made few errors since they had a strong inclination to write compound words without any spacing, but they made 15 mistakes in spacing a compound declinable word ‘하다’ Concerning the spacing of the ending, approximately 28 mistakes took place, probably because of their poor consciousness of spacing rather than poor understanding of the ending. Middle schoolers are yet unaware of the exact meaning of words and parts of speech, and they consequently make a mistake in spacing. What's more, they aren't fully conscious of spacing. The efforts by this study to look into the spacing errors of students to discuss what difficulties they faced and what made them to make spacing errors suggested that they should wake up to the necessity of spacing for writing, and efficient teaching methods should be prepared to fix their academic deficiencies in this field. 띄어쓰기는 문자 언어 생활을 보다 편리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표기법으로 문장의 뜻을 정확히 전달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곧 읽기의 효율성을 위해서 꼭 필요한 규범인 것이다. 단어는 각각 한 개의 독립한 개념을 가지고 있으므로, 단어를 띄어 씀으로써 글의 뜻에 대한 오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띄어쓰기를 통해 글 속에 나타난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띄어쓰기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더불어 학생들의 띄어쓰기 의식조차 부족하다. 따라서 띄어쓰기 교육의 효과적인 지도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며 이러한 지도 방안의 모색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띄어쓰기 오류 실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학생 글을 대상으로 조사, 의존명사. 보조용언, 관형사, 부사, 기타로 분류하여 띄어쓰기 오류 실태를 분석해 보았다.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의 띄어쓰기 경우, 조사는 전체적으로 낮은 오류율을 보였는데, 이는 학생들이 조사의 띄어쓰기 원칙을 바르게 알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조사의 유형별로 비교해 보면 보조사의 띄어쓰기 오류율이 가장 높았다. 이는 조사의 띄어쓰기 원칙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지만 조사의 분류 유형에 대한 이해는 아직 부족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의존명사의 띄어쓰기는 조사의 띄어쓰기 오류율보다 높은 오류율을 보였다. 그리고 의존명사 유형 중에서 보편성 의존명사의 오류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보편성 의존명사 ‘것’, 주어성 의존명사 ‘지’, 부사성 의존명사 ‘줄’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의존명사의 오류율은 의존명사에 대한 지도와 함께 혼동하기 쉬운 조사와 어미를 구분할 수 있는 지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조용언의 띄어쓰기 경우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붙여 쓰려는 경향이 높았다. 그리고 반드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는 상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띄어 써야 하는 경우에도 붙여 사용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는 보조용언과 본용언을 구분하지 못하거나 합성용언과 본용언+보조용언의 형태를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관형사의 띄어쓰기에서는 지시관형사의 오류율이 높았다. 그리고 특히 성상관형사 ‘옛, 첫’과 지시관형사 ‘그, 이’, 수관형사 ‘명’이 높은 오류율을 보였는데 이는 공통적으로 단음절로 된 관형사의 오류율이 높다는 것을 보여 준다. 또한 관형사와 접두사가 혼동되어 띄어쓰기에 오류를 보였다. 따라서 관형사 중에서도 단음절 관형사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며 그러한 지도를 통해 합성어와 혼동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부사의 띄어쓰기에서는 성분부사의 오류율이 높았다. 이는 성분부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을 보여 주며 또한 학생들의 띄어쓰기 의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그 유형 중에서도 관형사와 마찬가지로 대체로 단음절로 된 부사가 오류율이 높았다. 그 밖에 단음절로 된 명사와 합성어와 어미의 띄어쓰기를 살펴보았다. 학생들이 띄어쓰기 오류를 많이 범한 것은 주로 단음절로 된 명사이다. 이러한 단음절 명사를 앞말의 일부라고 생각하고 앞말에 붙여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는 단음절 명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을 보여준다. 합성어의 띄어쓰기는 학생들의 붙여 사용하려는 경향이 강해 오류를 거의 보이지 않았지만, ‘하다’의 합성용언에서 15회의 오류를 보였다. 어미의 띄어쓰기는 28회 정도의 오류를 보였는데 이는 어미에 대한 이해의 부족보다 띄어쓰기에 대한 학생들의 의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아직 중학생들은 정확한 단어의 의미와 품사에 대해 알지 못한다. 따라서 띄어쓰기에 있어 혼동하여 오류를 범한다. 또한 올바른 띄어쓰기를 해야 한다는 의식이 부족하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띄어쓰기에서 어떠한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왜 그러한 띄어쓰기 오류를 범하는가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글쓰기에 있어 띄어쓰기에 대한 인식의 정립의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아울러 학생들이 부족한 부분에 대한 효과적인 지도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띄어쓰기의 사용실태와 지도방안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김인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7차 중등 교육과정에서 띄어쓰기와 관련된 교육 내용을 찾아 중학교 국어 교과서와 생활국어 교과서에서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살펴본 뒤, 고등학교 1학년의 띄어쓰기에 대한 인식과 띄어쓰기의 실태에 대해 분석하고, 띄어쓰기에 대한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7차 중등 교육과정에 나타난 띄어쓰기 교육 내용에 대해 띄어쓰기 관련 문법 내용과 띄어쓰기 관련 내용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7차 중등 교육과정의 띄어쓰기 교육 내용은 문법 지식의 내용이 체계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지 않아 각 단원의 연결성을 찾기가 힘들고, 띄어쓰기 내용의 양이 적으며, 띄어쓰기 조항의 내용이 균형 있게 구성되지 않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어 띄어쓰기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기 힘들다고 보았다. 객관식 문항과 작문의 띄어쓰기 오류 실태 조사를 통해 학생들이 자주 범하는 띄어쓰기 오류의 다섯 가지 유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로 나타난 오류 유형은 조사의 띄어쓰기 오류이다. 조사의 띄어쓰기 오류는 객관식 문항을 통한 실태 조사에서도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으며, 작문의 띄어쓰기 분석에서도 많은 오류를 보인 항목이었다. 특히 두 음절 이상의 조사나 조사가 두 개 이상 겹쳐 오는 경우와 서술격 조사 ‘-이다’의 띄어쓰기 오류가 많이 나타났다. 두 번째 오류 유형은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오류이다. 객관식 문항을 통한 띄어쓰기 실태 조사에서 ‘것, 바, 수’와 같은 의존명사의 띄어쓰기의 오류율은 높지 않은 반면에 의존명사 ‘지’와 단위성 의존명사의 띄어쓰기는 낮은 정답률을 보이고 있으며, 작문에서도 띄어쓰기 오류가 빈번히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세 번째로 단어와 단어를 품사와 관계없이 붙여 쓰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단어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이를 붙여 쓰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네 번째 유형으로는 문장 성분과 문장 성분이 결합하여 절을 이룰 때 나타나는 띄어쓰기 오류유형이다. 주어․목적어․보어가 서술어와 결합할 때, 하나의 절을 이루어 다른 문장 성분의 역할을 하기도 하고, 보어와 ‘되다/아니다’의 경우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지만 이는 각각 다른 단어임으로 띄어 써야 원칙이지만 학생들의 작문에서 이를 붙여 쓰는 오류를 범하고 있었다. 다섯 번째 오류 유형으로는 한 단어를 둘로 나누어 적는 유형이었다. 이는 국어의 조어법을 이해하지 못해 생기는 문제로 국어의 조어법에 대한 내용을 학습하고, 단어를 형성하는 요소인 어근, 어기, 어미, 접사는 단어를 이루는 요소이기 때문에 이는 띄어 쓰지 않아야 하지만 이를 나누어 적는 오류를 발견할 수 있었다. 위의 다섯 가지 오류 유형을 바탕으로 JigsawⅡ모형을 활용한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 중학생 띄어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인터넷 국어사전의 활용 방안

        방효수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요즘 인터넷과 휴대전화의 발달과 더불어 적은 공간 안에 많은 글을 빠르게 적기 위해 띄어쓰기를 무시하는 현상이 늘어나고 있다. 띄어쓰기를 잘못할 경우 그 의미가 불분명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혀 다른 뜻으로 오해를 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에 바른 띄어쓰기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학교현장에서는 효율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띄어쓰기 지도에 큰 비중을 두지 않고 있다. 현재 교육과정에서 소홀히 여기는 이러한 띄어쓰기 교육을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국어사전을 활용한 띄어쓰기 지도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Ⅱ장에서는 교육 현장의 띄어쓰기 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학교에서 띄어쓰기 지도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 ‘한글 맞춤법’ 규정을 살펴본 후, 7차 교육과정을 분석해보고, 교육현장에서의 띄어쓰기 지도의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띄어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인터넷 국어사전 활용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띄어쓰기 학습의 중요성과 함께, 띄어쓰기 학습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한 후, 그 변화에 맞추어 인터넷 국어사전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대표적인 인터넷 국어사전들을 비교?분석해 보며 효과적인 띄어쓰기 학습에 도움이 될 만한 요소들을 찾아보도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Ⅴ장에서는 이 중 띄어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 가장 유용하다 할 수 있는 네이버 국어사전을 중심으로 실제 지도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띄어쓰기 교육은 자칫 학생들에게 띄어쓰기가 어렵다는 인식을 갖게 할 수 있으며, 한 두 번의 강의식 수업으로는 띄어쓰기 능력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띄어쓰기 여부에 확신이 들지 않을 때마다 인터넷 사전을 활용하여 해당 단어의 띄어쓰기 여부를 확인한다면 띄어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논문이 많은 한계점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띄어쓰기 교육에 큰 비중을 두지 않고 있는 현 교육과정에서 띄어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기대해 본다. The recent trend in writing is that people no longer space words properly or at all when they are composing text and e-mail messages due to the limited space available for writing and their desire to write at a faster pace. This trend can be attributed to the phenomenal rise of Internet and cellular-phone usage. If the word spacing is incorrect, however, the meaning can become unclear and the recipient of the message can misinterpret its meaning. Considering this, it is very important to teach students the correct way to space the words in what they are writing. Most schools, however, fail to teach word spacing effectively, and to make matters worse, in some schools, even the administrators and teachers themselves are not aware of the importance of word spacing when writing. To support the current word-spacing-related teaching that is much disregarded in the current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aims to show how word spacing can be taught through the use of online Korean dictionaries. In Chapter II of this study, the current issues and problems in relation to word spacing in actual classes are examined. In Chapter III, the need for online Korean dictionaries to help students improve their word spacing ability in writing is discussed. In Chapter IV, the representative online Korean dictionaries are compared and analyzed to find the factors that can boost learning in terms of word spacing in writing. Based on the foregoing, Chapter V presents a way by which such dictionaries can be used by focusing on the online Korean dictionary of the portal site Naver, which is currently considered the most useful and effective online dictionary in improving word spacing learning. The students find it difficult to learn word spacing in writing when the teacher simply lectures on it. If the students, however, will make it a habit to check the online Korean dictionary whenever they are not sure of how to space words while they are writing, they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word spacing skills. Although this thesis has many limitations, the teaching of word spacing skills through the use of an online Korean dictionary, which is suggested in this thesis, can boost the students’ word spacing skills, whose importance is much disregarded in the current school curriculum.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띄어쓰기 교육 방안 연구

        유정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중국의 한자와 달리 한국의 한글은 문장 속에서 언어 규칙에 따라 띄어 쓰는 특징이 있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글쓰기 과정에서 띄어쓰기에 대한 어려움을 많이 느끼고 형식적인 오류도 많이 범한다. 그러나 띄어쓰기는 글쓰기의 중요한 기본 요소로써 글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문자 언어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띄어쓰기는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까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띄어쓰기 관련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며, 그 구체적인 지도 방안도 아직 제대로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먼저, 설문조사를 통해 띄어쓰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또 학습자가 직접 쓴 글을 분석하여 글쓰기에서 어떤 오류를 범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적절한 띄어쓰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학습자의 글쓰기에서 띄어쓰기 오류가 일어나는 원인을 구체적으로 학습자 측면의 원인, 교육적 측면의 원인, 환경적 측면의 원인으로 나눠서 분석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띄어쓰기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우선, 분석한 띄어쓰기 오류 원인에 따라 띄어쓰기 교육 방향을 제시하고 띄어쓰기 교육 방안을 설계해 보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학습자 측면 오류 원인에 따른 ‘문법과 규정을 통한 띄어쓰기 교육 방안’, 교육적 측면 오류 원인에 따른 ‘오류 유형별 띄어쓰기 교육 방안’, 환경적 측면 오류 원인에 따른 ‘매체 활용을 통한 띄어쓰기 교육 방안’ 이 세 가지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설계한 띄어쓰기 교육 방안에 의하여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 즉 교사 설명 수업과 학습자 탐구 학습을 결합하는 교수·학습 모형과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현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띄어쓰기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에서 학습자의 띄어쓰기 오류 원인과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모형과 교수·학습 지도안을 교육 현장에서 직접 실천해 보지 못하여 실제적인 띄어쓰기 능력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다. 앞으로 이를 시행하여 수정을 거쳐 보완한 교수·학습 모형과 교수·학습 지도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Korean Hangul has a feature of word spacing in article according to its language rule, which is different from Chinese. Chinese Korean learners feel hard using word spacing in the Korean writing process and therefore make many errors. As an important basic factor, word spacing plays a very important role on Korean writing. Word spacing is also necessary for effective communication. So far,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there are only few studies about word spacing for Chinese Korean learners, and no practical plans have been proposed yet. The Chinese Korean learners who are studying in Korean university are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We firstly made an investigation of the understanding of word spacing by a questionnaire survey. Then we analyzed the article which is written by the Chinese Korean learners and investigated what kind of errors they have made. In order to find the effective word spacing teaching methods, we analyzed the reasons for the errors from Chinese Korean learners' articles, education and environment. Based on these reasons, we have explored specific and effective word spacing teaching plan for Chinese Korean leaners. Based on these errors we had found the word spacing education direction and had designed an education plan of word spacing. The specific education plan was explored like this: based on the learners' errors we should educate word spacing by grammar and regulation; based on the errors of word spacing education we should educate word spacing by the types of word spacing errors; based on the errors of the environment we should educate word spacing by using the media. According to the word spacing education direction we had found a word spacing education learning model which combined the teacher's explanation with the learners' inquiring and a word spacing lesson plan at the scene of the Korean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it found the reasons of errors and teaching methods of word spacing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the teachers have not done systematic teaching for Chinese Korean learners. However, the education learning model and lesson plan which was raised in this research have not practiced directly in the Korean education, and we do not know what the result would b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et up a much more practical teaching program through a process of practice and modification.

      • 중국인 초·중급 학습자의 한국어 띄어쓰기 오류 양상 연구

        정로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초급과 중급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띄어쓰기에 있어서의 오류 양상을 분석하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적합한 띄어쓰기 교육 내용과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유 작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띄어쓰기에 관한 인식과 띄어쓰기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알아보았으며 자유 작문을 통해서는 평소 띄어쓰기 습관에 대해 살펴보았다. 설문조사와 자유 작문 자료의 분석 결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띄어쓰기의 중요성과 기준에 대한 인식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에서 초급 학습자들은 띄어쓰기 총칙에 관한 것과 조사, 의존명사의 띄어쓰기에서는 비교적 높은 정답률을 보였으나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와 고유 명사, 보조 용언의 띄어쓰기는 상대적으로 어려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급 학습자들은 의존 명사에서도 비교적 높은 정답률을 보였으나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와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하는 말, 단음절로 된 단어와 보조 용언 등에서는 정답률이 높지 않았다. 또한 자유 작문 분석 결과에서는 전체 오류 중 총칙에 관한 것과, 조사, 의존 명사, 보조 용언의 등의 띄어쓰기에서 여타의 조항에서보다 오류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띄어쓰기 교육에 포함시켜야 할 교육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글쓰기에서 띄어쓰기의 중요성과 띄어쓰기의 기준을 명확하게 알려 주어야 한다. 둘째, 조사의 의존 명사의 구분 등 한국어 문장 성문과 구조에 대한 기본 지식의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실제 글쓰기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것, 즉 띄어쓰기 총칙에 해당하는 것과 조사, 의존 명사, 보조 용언 등의 띄어쓰기에 중점을 두고 가르쳐야 한다. 넷째, 중급 학습자에게는 띄어쓰기 규정의 각 조항에 포함된 주의사항, 예를 들어 조사가 중첩된 경우, ‘대로, 뿐, 만’ 등 용법에 따라 조사와 의존 명사의 기능을 하는 어휘의 띄어쓰기까지도 주의하여 가르쳐야 한다. 이상에서 논의한 점들을 중심으로 중국인 학습자의 띄어쓰기 교육의 내용과 지도 방안을 구성하여 가르친다면 띄어쓰기에 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확고히 하고 실제 글쓰기에서 필요한 띄어쓰기 규칙을 익혀, 보다 완성도 높은 산출물을 생산하게 될 것이라 기대한다. 향후 더욱 효율적인 교육이 되기 위하여 띄어쓰기로 인해 의사소통에 방해가 되는 사례들, 다시 말해 이해에 지장을 주는 오류에 대한 세밀한 조사를 바탕으로 한 활용도 높은 구체적인 교육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rrors in word spacing made by elementary and intermediate Chi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and to present the contents of word spacing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suitable for Chi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To achieve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Chinese learners and free composi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m. Through the survey, their use of word spacing and problems with their word spacing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data showed that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standards of word spacing in the Korean language was low for those Chinese learners. As the result of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elementary learners showed a relatively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the general rules of the word spacing, and in the word spacing of postpositions and bound nouns. However, they found the word spacing of nouns representing units, proper nouns, and auxiliary predicates relatively difficult. The data also demonstrated that the intermediate learners showed a relatively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bound nouns, but when using words representing units, words connecting two words or words of listing, monosyllabic words, and auxiliary predicates, their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not high.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writing skills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errors in word spacing was higher in the general rules, postpositions, and bound nouns than in other item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ructure that should be used in Korean language word spacing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the word spacing in Korean writing and the standards of word spacing should be taught clearly. Second, education in basic knowledge about the sentence elements and structure of the Korean language, such as distinguishing between postpositions and bound nouns, is needed. Third,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s in actual writing, which are related to the general rules of the word spacing, postpositions, bound nouns, and auxiliary predicates should be a priority for teachers. Fourth, for the intermediate learners, caveats included in word spacing rules such as the word spacing in the words that function as postpositions or as bound nouns, depending on the usage of, for example, ‘대로, 뿐, 만’ in the case of overlapping postpositions, should be taught. It is expected that Chi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will reinforce their awareness about word spacing and learn word spacing rules needed for actual writing more effectively, if they are taught the contents of word spacing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commendations. In order to attain a more efficient education in the future, concrete educational methods with a high degree of usefulness, based on detailed investigations about the errors hindering understanding, that is, hindering effectiveness due to the word spacing, should be prepared.

      • 이주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띄어쓰기 지도 방안 연구

        이혜경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rrors in word spacing made by migrant workers learning Korean and to suggest the contents of word spacing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suitable for them. To achieve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migrants workers who learn Korean at Incheon Support Center Foreign Workers and the following results showed. First, over 80 % of migrant workers graduated high school or college, that means they have ability to learn Korean grammar. Second, it was found that we should give more interest in word spacing education for migrant workers who have difficulties in spacing word and want to learn it. Third, compared to the error rate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Chinese Korean learners and married migrant women, it was found that migrant workers showed a relatively high percentage of wrong answers in the word spacing of postpositions. Based on those analysis, the following guidelines are suggested. First, the word spacing education for migrant workers who are from a variety of different nations should start with understanding their mother languages. Second, it is more effective to explain to them about the importance of word spacing in Korean not with the examples of sentence level but with those of vocabulary level. Third, migrant workers need to be educated on the basic grammar of a formality particle and a dependent noun for improving their word spacing skill. I hope more researches continue on the word spacing education and they w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in the migrant workers’ proficiency in Korean. 본 연구에서는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정확한 의미전달을 위해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띄어쓰기 교육에 대해 효율적인 지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천외국인력지원센터에서 한국어 학습을 하고 있는 이주노동자들의 띄어쓰기 설문지와 레벨 테스트 주관식 문항 답안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이주노동자들은 80% 이상이 고등교육을 이수하여 문법 습득 능력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이주노동자는 띄어쓰기를 어려워하고 배우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앞으로 이들을 위한 띄어쓰기 교육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한국어 화자의 쓰기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 조사의 띄어쓰기 오류가 이주노동자에게서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의존명사에 대한 띄어쓰기도 어려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이주노동자들을 위한 띄어쓰기 교육 내용과 학습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다양한 국적의 학습자로 구성되어 있는 이주노동자의 한국어 수업에서 띄어쓰기 교육은 이주노동자의 모국어 이해에서부터 출발해야 된다. 둘째, 이주노동자들은 문법 습득 능력이 가능한 성인 학습자이지만 어휘력이 부족하므로 띄어쓰기 예문을 제시할 때에는 문장 단위보다는 띄어쓰기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쉬운 어휘를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셋째, 이주노동자들에게 가장 기본적이고 자주 사용하는 격조사와 의존명사의 띄어쓰기와 관련된 문법적 지식은 반드시 설명을 해 주어야 하나 한국인 화자들도 혼란스러워 하는 띄어쓰기의 문법적 요소는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앞으로도 이러한 교육을 위한 후속 연구가 활성화되어 이주노동자들의 한국어 능력이 크게 향상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