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작업환경측정값과 ECETOC TRA 모델값의 비교를 통한 국내 디클로로메탄 제조·취급 사업장 근로자의 공정별 노출수준 추정

        정수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87

        작업장에서 근로자의 화학물질 노출수준을 파악하는 방법은 크게 ‘측정’과 ‘추정’ 두 가지가 있다. 국내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25조에서 정하는 작업환경측정제도 내에서 ‘측정’ 방식을 통해 화학물질의 노출수준을 파악하고 있다. 한편, 유럽에서는 REACH 도입 이후 노출평가용 모델을 사용한 ‘추정’ 방식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국내 산업보건전문가들은 작업환경측정에 있어 측정값의 대표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으며, 모델을 활용한 노출수준 추정에 있어서는 모델의 신뢰도와 국내 적용 가능성에 대한 의견이 상충한다. 이에 따라 작업환경측정 제도 내 측정값에 대한 신뢰성 확인과 화학물질의 노출수준 관리를 위한 스크리닝 도구로서 노출평가용 모델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확인이 연구과제로 남아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디클로로메탄 취급·제조 사업장의 작업환경측정 및 작업환경측정 신뢰성 평가(이하 ‘신뢰성 평가’라 한다.)의 측정값과 ECETOC TRA의 모델값(이하 ‘모델값’이라 한다.)을 비교하여 디클로로메탄의 실제 노출수준을 추정하고, 디클로로메탄의 노출수준 관리를 위한 보조수단으로서의 ECETOC TRA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디클로로메탄 제조·취급 공정은 총 12개의 PROC으로 분류되었다. 그 중 모델 실행에 필요한 노출시나리오 조건을 충족하는 데이터는 작업환경측정 데이터의 경우 10개, 신뢰성 평가 데이터의 경우 6개의 PROC으로 분류되었다. PROC별 측정값은 작업환경측정 데이터의 위해도가 0.119~0.313(95% 신뢰구간) 범위에서 분포하고, PROC별로 위해도에 차이가 없었다. 환기방법별 측정값 또한 PROC별 차이가 없었다. 반면, 모델값에서는 PROC 및 환기방법에 따라 위해도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며 작업환경측정 데이터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한편 신뢰성 평가 데이터의 위해도는 0.249~1.229(95% 신뢰구간) 범위에서 분포하였으며, PROC13과 PROC19에서 PROC 내 위해도 평균이 각각 0.979와 1.549로 특히 높았다. 그리고 환기방법에 따라 위해도에 차이가 있었는데, 전체적으로 국소배기장치 가동 시에는 위해도가 낮고 환기 없이 실내 작업에서는 위해도가 높았다. 이는 신뢰성 평가 데이터의 모델값의 경향과 유사하다. 측정값과 모델값의 관계는 전체 데이터 514건 중 약 98.4%인 506건에서 모델값 위해도가 측정값 위해도보다 높았다. 또한 ECETOC TRA 모델은 디클로로메탄의 노출시나리오가 ‘산업적 세팅’, ‘제품 내 물질 농도 25% 이상’, ‘작업 시간 4시간 이상’이면, PROC2를 제외한 모든 PROC이 국소배기장치가 가동될 때에만 근로자의 디클로로메탄 노출수준이 허용가능한 위험수준(위해도 1 미만)에 든다고 예측했다. 연구 결과에서 작업환경측정 결과의 측정값은 PROC 및 환기방법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고 모델값과 다른 양상을 보였던 것에 비해, 신뢰성 평가의 측정값과 모델값은 PROC 및 환기방법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고 모델값과도 유사한 양상을 보여, 작업환경측정 결과는 실제 작업장 내 디클로로메탄의 실제 노출수준과는 차이가 있어 보인다. 따라서 PROC과 환기방법을 바탕으로 노출수준을 추정하였을 때 노출수준이 높게 예측됨에도 불구하고 측정값이 현저하게 낮게 나타나는 사업장이 있다면, 작업환경측정 결과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정부 또는 제3자가 개입하여 해당 작업장의 노출수준을 재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이번 연구 결과에서 모델값이 측정값보다 더 보수적으로 관측되어 모델의 스크리닝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앞으로도 측정값과 모델값의 비교를 통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화학물질 노출관리를 위한 보조수단으로서의 모델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Two types of method called ‘measurement’ and ‘estimation’ are being used as ways to evaluate exposure levels of chemicals in the working environment. In Korea, ‘measurement’ by Work Environment Monitoring Program (WMP) under provision 125,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is mainly implemented to evaluate exposure level of chemicals for workers in workplaces. Meanwhile, ‘estimation’ through occupational exposure models has been widely used in Europe since the introduction of REACH (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z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 Unlike ‘measurement’ only available to be used as a method of exposure assessment for limited chemical substances, ‘estimation’ by occupational exposure models has a wider scope of application and is quite efficient. However,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being required to provide evidence since there are different views about its conservativeness and reliability among industrial hygienists. In regard of WMP, industrial hygienists in Korea have expressed concerns with representativeness of exposure levels in the working environment. As for exposure assessment using occupational exposure models, there are conflicting opin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the reliability of measured values in WMP and applicability of occupational exposure models as a screening tool for chemical exposure manageme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aimed to find out the true exposure level of Dichloromethane in workplaces which produces or handles Dichloromethane in and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ECETOC TRA, one of the occupational exposure assessment model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following procedure to achieve these goals: Firstly, exposure levels by PROCs (Process Categories) were identified with the data from WMP and then the distribution of those values was compared to those from the result of modeling. Secondly, the data from WMP and Reliability Assessment of the Work Environment Monitoring Program (RA for WMP) were treated as a same way in the first step in order to find out the true exposure level of Dichloromethane. Thirdly, ECETOC TRA’s usability as a screening tool was confirmed by comparing values from WMP, RA for WMP and Model. The methods are as follows. Step 1: some parts of the report for WMP (n=587) and RA for WMP (n=31) were dataficated in order to get raw data. Step 2: Data were standardized by its keyword and main information included so that data can be secured without intervention of subjectivity. Step 3: The standardized data were converted to input variables required to run ECETOC TRA model, and then the model was run with the data (n=514) which fulfill the predetermined exposure scenario. Step 4: The statistical properties and distribution of data by PROCs and Ventilation type were analyzed and compared after all measured values had been converted to the RCR (Risk Characterisation Ratio) in order to compare those with the modelled values. Step 5: Data which resulted in the unexpected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d value and modelled value were analyzed with additional survey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Process categories of Production and handling Dichloromethane were classified into 12 kinds of PROCs and among them, only 10 PROCs were used to run ECETOC TRA. The data from WMP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measured data by PROCs was 0.119-0.313 (95% CI) and it didn’t seem like to have a difference by PROCs, which is unlike to the tendency of the modelled values from WMP. Neither did it with ventilation type. The tendency of measured values from WMP is quite different from the trend in the modelled values from WMP. On the other hand, the distribution of data from RA for WMP was 0.119-0.313 (95% CI) and the measured values for PROC 13 and PROC 19 were 0.979 and 1.549, whose figur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PROCs. Also, the figure of measured data by ventilation types tended to be higher under good ventilation conditions and lower under bad ventilation condition. This is a similar tendency with the modelled values from RA for WM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d values and the modelled values from the whole data was as follows. The number of data which modelled value was higher than the measured value was 506 out of 514, which accounts for 98.4%. In addition, the model estimated that the exposure levels were expected to be permissible (RCR<1) only when LEV (Local Exhaust Ventilation) works well in workplaces for all PROCs (PROC 3,4,5,7,8a,8b,10,13,19) except PROC 2. Assuming that the measured values from WMP showed a different tendency from those from RA for WMP and the modelled values, the measured values from WMP may be not the true exposure levels of Dichloromethane in the workplaces. Thus, instead of solely relying on the result of WMP and deciding what to do for managing risks, the government or any third party should keep watch on a company and re-evaluate the exposure level if the company gets very low measured value from their WMP even though the modelled exposure level estimated from the modeling program is quite high. In addition, the study revealed that the modelled values tend to be higher than the measured value, which means ECETOC TRA might have a potential to work as an appropriate screening tool and the further empirical study is required to confirm its availability as a screening tool.

      • 우리나라에서 디클로로메탄과 1,2-디클로로프로판의 직업적 노출가능성에 관한 연구

        정연희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86

        본 연구는 일본오사카 지역의 옵셋 인쇄업 근로자들에게서 높은 발병율을 보인 담관암의 원인물질로 의심되는 세척제 성분 중 디클로로메탄과 1,2-디클로로프로판에 대하여 우리나라에서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과 내용으로는 첫째, 우리나라 서울 일부지역의 옵셋 인쇄업에서 사용하는 세척제를 수거하여 디클로로메탄과 1,2-디클로로프로판이 함유량을 조사하는 것이었고, 둘째, 2009년부터 2011년까지의 3년간 우리나라 산업안전보건법에 의거하여 실시한 작업환경측정 자료를 분석하여 디클로로메탄과 1,2-디클로로프로판이 측정된 사업장과 업종 그리고 측졍결과를 분석하는 것이었으며, 셋째, 2002년부터 2011년까지의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원자료에서 담관암으로 인한 사망자를 추출하여 직업, 연령, 및 지역별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1. 2012년 10월10일부터 2012년 11월21일까지 서울시 성수동과 을지로 일대의 일부 옵셋 인쇄소 22개소에서 롤러기와 블랑켓 세척제 38개를 수거하여 분석한 결과 디클로로메탄과 1,2-디클로로프로판은 검출되지 않았다. 2. 수거한 38개의 세척제에서 모두 검출된 성분은 톨루엔이었고, 24개의 시료에서 벤젠이 검출되었다. 이어서 노말헥산, 에틸벤젠 등이 주로 검출되었다. 3. 조사한 옵셋 인쇄소 22개소의 설문조사결과, 하루 세척작업은 10-50번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일본 오사카 지역의 인쇄소에서 하루 300-600번 정도의 세척이 있었다는 보고보다 훨씬 낮았다. 4. 2009년에서 2011년 연도별 디클로로메탄의 작업환경측정결과 산술평균은 6.63 ppm, 6.15 ppm, 6.09 ppm이었으며, 노출기준 50 ppm을 초과할 확률은 2009년 3.44%, 2010년 4.18%, 2011년 4.36%로 나타났다. 5. 2009년에서 2011년 연도별 1,2-디클로로프로판의 작업환경측정결과 산술평균은 11.07 ppm, 13.63 ppm, 3.29 ppm이었으며, 노출기준 75 ppm을 초과할 확률은 2009년 1.94%, 2010년 6.68%, 2011년 0.57%로 연도별로 큰 차이가 나타났으나 시료수가 적어서 경향성을 판단하기는 어려웠다. 6.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2부터 2011년까지 10년간 담관암으로 인한 사망자는 28,095명으로 연평균 2,810명이었다. 사망원인통계 원자료에서 상세한 직업군 등의 정보가 부족하여 자세한 분석을 하기는 어려웠다.

      • 입상활성탄을 이용한 디클로로메탄의 흡착제거연구

        김성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3

        본 연구는 CGAC, LGAC, WGAC, BGAC 입상 활성탄을 사용하여 교반 온도, 농도, 교반 시간, 입상 활성탄 주입량, pH 변화에 따른 디클로로메탄의 흡착 제거 효율 분석에 대한 연구이다. 최대 흡착량은 pH 6.0-8.0 의 범위에서 CGAC가 45.4 mg/g으로 최대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교반 시간과 교반 온도가 증가하면 할수록 흡착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대로 초기 디클로로메탄 100 mg/L의 조건에서는 온도가 증가 하면 할수록 흡착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연에서 흡착과정이 진행될 때 발열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LGAC의 경우 Langmuir model에 가장 적합 하였으며, CGAC, WGAC, BGAC의 경우에는 Freundlich model에 적합 하였다. 교반 온도 10℃의 경우 CGAC와 BGAC는 pseudo-first order model을 따르고 있으며, 교반 온도 25℃, 35℃의 경우에는 pseudo-second order model을 따르고 있었다. 본 실험의 흡착 메커니즘은 주로 물리적 흡착의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초기 디클로로메탄의 농도가 낮은 경우, 용액 속에 경쟁 음이온이 존재 하고 있는 경우에도, 입상 활성탄에 의한 디클로로메탄의 흡착 제거 효율은 크게 변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용액내에 고농도의 디클로로메탄이 용해되어 있을 경우, CGAC와 LGAC를 이용했을 경우 가장 처리 효율이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디클로로메탄이 수중에 존재 할 때 입상 활성탄을 이용하여 실제 처리 공정에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광학렌즈 제조업 근로자들의 디클로로메탄 폭로량에 따른 혈액성상 및 자각증상 비교

        박성민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605

        This study was performed 0 find out the changes of hematelogcical values, enzyme activities, and complain rates of subjective symptoms against the Dichlororomethane(DCM) exposed levels in optical lens manufacturing workers. The DCM exposed workers were divided into 3 groups that were consisted of the washing, setting and seperating group, and analyzed the DCM levels, hematological values(WBC, RBC, Hb, Hct), enzyme activities(5-G07, s-GPT, TG and TC), and surveyed the subjective symptoms from 42 DCM exposed workers who worked in Taejon city and Chungnam provincial areas from Feb, 1 to 18, 199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values of DC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working process, that was 19.62± 6.29ppm in washing, 25.08±8.27ppm in setting, 43.46± 18.65ppm in seperating process. And the DCM exposed level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when job tenure was longer and ventilation was worse. 2. The values of WBC, RBC, s-GOT and TG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UM exposed levels. 3. The complain rates of subjective symptoms of DCM exposed workers were high rates such as "heaviness‥‥", "sleepiness‥", "nausea and vomiting‥‥", "decrease eye-sight", "hand tremor" and "dyspnea", respectively. 4. The correlation between DCM exposed levels, and WBC, RBC and CO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